•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125)

1. 결론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 하여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및 간호의도에 대해 조사하고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20년 10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S대학병원의 18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로 최영은, 이은숙(2019)이 개발한 신종 호흡기감염병(SARS, MERS)에 대한 지식, 태도 예측도구를 국내·외 코로나19 관리지침과 대응지침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 며 전문직 자부심은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2020)가 개발한 도구, 지각된 행위 통제와 간호의도는 유혜라 등(2005)이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SAR환자 간호의도 예측도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맞추어 연구자가 수 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tatistics Ver. 26.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성별, 교육 희망여부,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가 간호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행위이론은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이론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지각된 행위통제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환 자 간호 행위를 통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중요하다. 앞선 여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을 적용 하였을 때 간호사의 문제 해결 능

력이 향상되었으며 임상 수행 자신감 또한 향상 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 시 임상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간호사가 실제적 상황 으로 인식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사료되며 강의식 교육만 제공하는 것 보다 시뮬레이션 교육을 같이 함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신 종감염병 대유행 상황에 대비하여 임상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불 안, 스트레스, 긴장감등을 낮추고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포함한 지 각된 행위통제를 높여 결과적으로 간호의도를 긍정적으로 변화 시키는데 효과 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교육으로 통한 간호사의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이고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 또한 마련해야 할 것이 다.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환자 간호에 있어 충분한 개인보호장비가 지급되 어야 할 것이며 지속적인 최신 프로토콜과 상황 대비 교육에 대해 제공하는 것은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코로나19 환자 간호 수행에 대해 노력에 따른 인정과 간호수행 후의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지원, 특별한 보상금과 같은 물질적 지원이 지원된다면 간호사의 간호 수행에 있어 자신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을 측정한 도구 사용에 있어 기 존의 신종감염병(SARS, MERS)에 이용된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으나 코로나19 와 신종감염병 지식 차이 비교에 있어 유의한 지표로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 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도구 사용에 있어 기 존의 신종감염병(SARS, MERS)에 이용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 서의 태도 평가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적용함으로써 개인이 갖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로 측정도구와 결과의 상이함을 나타낼 수 있다.

셋째, 간호 전문직 자부심 측정 도구는 새롭게 개발된 간호사 대상으로 이 루어진 측정도구이며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전문직관에 대한 측정도 구와 틀리며 이에 대해 결과가 상이함을 나타낼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의 지각된 행위통제를 측정한 도구 사용에 있어 기존의 간호사의 신종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에 이용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 나 설문지 문항 사항이 적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을 것으로 사료 되며 이에 대해 결과가 상이함을 나타낼 수 있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S대학병원 1곳 대상으로 코로 나19 환자 간호의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므로 여러 곳의 병원으로 대상을 확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대상으로 신종호흡기감염병 및 코로나19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조사하였으나 코로나19환자 간호 경험이 있는 집단으로 구성 하여 연구 해볼 필요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의 변수는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 간호의도와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에 따라 추후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간 호의도에 대한 많은 탐색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 결과에서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는 지각된 행위통제가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환자 간호수행 시 자신감과 할 수 있다는 믿음을 높이기 위한 실제 경험과 유사한 임상 시뮬레이션 교육 개 발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 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김윤 (2020). 코로나19 2차 유행에 대비한 감염병 진료체계 구축. 참여연대사 회복지위원회, 5-10(6page)

김현지, 최연희 (2016). 임상간호사의 고위험 병원체 감염 환자 간호의도 영향 요인. 임상간호연구, 22(3)

김미란 (2008).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 서울, 한국: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정, 김승주, 김귀분 (2013).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19(2)

김수정 (2020).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이행 영향요 인. 대구, 한국: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경남, 이옥철 (2016). 간호사의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인식. 기 본간호학회지, 23(4)

강지연, 이용옥, 윤선영, 강정희, 박소희 (2009).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다약제 내성균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김옥선, 오진환, 이경혜(2016). 간호대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불안, 지식, 감염가 능성, 감염예방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이행 수준의 융합적 연구. 한국융 합학회논문지, 7(3)

김건희 (2020). 신종 감염병 환자에 대한 임상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대구, 한국: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현진, 박호란 (2017).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임상간호연구, 23(2)

김남정, 이은희, 전재희, 김은주 (2019). 요양병원간호사의 역할갈등, 직무만족 및 전문직 자부심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6(2)

김미자 (2017). 간호대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의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4)

문혜진 (2019). 국․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서울, 한국: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성원, 양숙자 (2015). 대사증후군 고위험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계획적 행위 이론 적용.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2)

배진현, 도은수, 서영숙 (2014).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뇌졸중 환자의 금연 의도에 미치는 예측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6(1)

박계성 (2006). 서울시 보건소 보건․간호직 공무원들의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태도․실무능력. 김해, 한국: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혜자 (2016).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호준, 구원회, 백민호 (2015). 국내․외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비교 연구. 한국 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

심성욱, 이진우, 손영곤 (2009). 여대생 절주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음주행 동 영향 요인 분석: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여대생 음주행동 이해.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손영곤, 이병관 (2012).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 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회, 56(6)

송민호, 김은이 (2014).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계 획된행위이론의 확장 모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5(1)

이지연 (2018). 간호사의 신종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 한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미라, 소희영, 조미경 (2005).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 결정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7(2)

이민규, 한덕웅 (2001). 섭식억제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계획된 행동이 론의 수정모형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6(2)

이계하 (2017). 메르스에 대한 간호 학생의 지식, 건강신념 및 예방적 건강 행 위. 서울, 한국: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규은 (2014). 계획된 행위 이론을 적용한 여대생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의도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1(4)

이종경 (2001). 에이즈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들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 도, 두려움 및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4(1)

이명준, 윤석한, 조영채(2015).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요인, 직무스 트레스 및 피로와 간호서비스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7(8)

유재용, 오의금, 허혜경, 최모나 (2012).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수준 및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4(3)

유석조, 정현주, 박현순 (2010).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들 및 백신 부작용 보도의 영향 분석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 이론 간 비교. 한국광고홍보학회, 12(3)

유혜라, 권보은, 장연수, 윤현경 (2005). SARS 환자간호 의도예측 도구의 타당 도 및 신뢰도 검증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5(6)

유혜라, 권보은 (2004). 일부 임상 간호사의 SARS 환자 간호의도와 영향요인 조사연구.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004(5)

윤사라 (2020).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감염관리 수행, 회복탄력성 및 사회심리적 건강 간의 상관관계. 서울, 한국: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윤은자, 권영미, 전미순, 안정화 (2016).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6(1)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 전문직관 측정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5(6)

오남희 (2016).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 염병환자 간호의도. 대구, 한국: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윤혜상, 한미경(1998). 노인간호실습이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1(2)

전경자, 최은숙 (2016). 간호사의 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실태와 감염관리 인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1)

질병관리본부 (2020). 한국 초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 28명의 역학적 특성. 주간 건강과 질병, 2020:13(9):464-474

장수정, 박진희 (2018). 요양병원 종사자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 예방행위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6)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 (2020). 간호 전문직 자부심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 과학회, 50(2)

정선영, 박효선, 왕희정, 김미정 (2015).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간호사의 신 종인플루엔자 A 환자 간호의도와 영향 요인. 가정간호학회지, 22(1)

정영식 외 17명 (2020). 코로나 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2020;20(5);32

최주영 (2016). 간호사의 급성 호흡기 감염병 관련 개인보호장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착용. 서울, 한국: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차동필 (2010).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광고홍보학회, 0(87)

추현심 (2001).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영향요인. 서울, 한국: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영은, 이은숙 (2019). 신종호흡기감염병(SARS와 MERS) 간호경험이 없는 간 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지식, 태도, 감염관리활동 의도와 교 육요구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2)

한덕웅, 이민규 (2001).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한국 심리학회지, 15(2)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idelberg: Springer Berlin.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Ajzen, I. (2002).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Retrieved September 13, 2017, from http://people.umass.edu/~aizen/pdf/tpb.measurement.pdf

Ajzen, I. (2005).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second edition).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Ajzen, I., & Fishbein, M. (1973). Attitudinal and normative variables as predictors of specific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7(1), 41-57.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NJ: Prentice Hall.

Armitage, C. J., & Conner, M. (2001).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4), 471-499.

Arthur D, (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2;17(6).

Barr, H. L., Macfarlane, J. T., Macgregor, O., Foxwell, R., Buswell, V., &

Lim, W. S. (2008). Ethical planning for an influenza pandemic. Clinical Medicine, 8(1), 49-5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ek HC, Kim-Godwin YS.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4):509515.

Bouckaert G (2001). Pride and performance in public service: Some patterns of analysis.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2001;67(1):15-27. https://doi.org/10.1177/0020852301671002

Corley.A et al (2009). The experiences of health care workers employed in an Australian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H1N1 Influenza pandemic of 2009: a phenomenological study

Cowden, J., Crane, L., Lezotte, D., Glover, J., & Nyquist, A. C. (2010).

Prepandemic planning survey of healthcare workers at a tertiary car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12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