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 e e ffe ct of p h y si c a l a ct i v i t y on fi t n e s s a n d b o dy c om p o s i t i o n of e l d e r s

국 민 대 학 교 스 포 츠 산 업 대 학 원 운 동 처 방 및 재 활 전 공

조 지 훈

2 0 0 0

(2)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 h e e ff e c t o f p h y s i c a l a c t i v i t y o n fi t n e s s a n d b o d y c o m p o s i t i o n o f e l d e r s

지 도 교 수 김 창 규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

2 0 0 1년 6 월

국 민 대 학 교 스 포 츠 산 업 대 학 원 운 동 처 방 및 재 활 전 공

조 지 훈

2 0 0 0

(3)

조 지 훈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 0 0 1년 6 월

심 사 위 원 장 (인 )

심 사 위 원 (인 )

심 사 위 원 (인 )

국 민 대 학 교 스 포 츠 산 업 대 학 원

(4)

국문초록

본 연구는 10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노인 체력 및 체구성 변 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것을 통하여 노인의 건강유지 및 증 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 실험에 참가한 연구 대상은 6 5세 이상의 남・여 노인으로 일상생활에 불 편함이 없는 남자 1 1명, 여자 12명 총 23명으로 하였다. 체력요인(근력, 근지 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반응시간, 심폐지구력)과 체구성(체지방율, 제 지방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실시 후 10주간의 운동처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룹 내 운동처치 전・후의 각 요인별 변화에 대한 통계분석을 하기 위하여 p a ir ed t - t est 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총 23명중 개인사정으로 중간에 포기한 남자2명, 여자 3명의 자료는 통계분석에서 제외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력요인

첫째, 근력에 있어서는 남성의 경우에는 하지 근력 검사인 의자에 앉았다 일 어서기에서는 유의한 차이(P <.0 5 )가 나타났고, 상지근력 검사인 악력에서는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 외의 암컬과 배근력에서는 점진적인 증가는 있 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반면 여성에서는 배근력, 암컬 그리 고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P <.0 5)가 나타났고, 상지 근력 검사인 악력에서는 점진적인 증가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

둘째, 유연성 측정을 위한 좌전굴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증가하였고, 통계

(5)

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 <.0 5 )가 나타났다. 견관절 유연성에서는 남성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여성에서는 점진적인 증가는 있었으나,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민첩성에 있어서는 남성의 경우에는 Tim ed u p- an d- go에서는 증가하 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 <.0 5)가 나타났다. 여성에서는 점진적인 증 가는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평형성 측정을 위한 눈감고 외발서기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점진적인 증가는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반응시간검사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점진적인 증가는 나타났으나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심폐지구력 측정을 위한 자전거 에르고미터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점진적인 증가는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 체구성 요인

첫째, 체지방(%)에 있어서는 BIA (Bioelect r ical Imp ed an ce An alysis )에 서 남성과 여성 모두 점진적인 증가는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둘째, 제지방량에 있어서는 BIA (Bioelect rical Im p edan ce An alysis )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점진적인 증가는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10주간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근력과 유연성면에 있어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나, 그 외 체력요인과 체구 성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아니지만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노인의 체력요인과 체구성요인의 전반적 향 상을 위해서는 운동기간을 10주 이상으로 늘려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6)

목 차

Ⅰ . 서 1

1 . 연구의 필요성 1

2 . 연구 목적 4

3 . 연구 문제 4

4 . 연구 제한점 4

5 . 용어 정의 5

Ⅱ . 이 론 적 배 경 6

1 . 노인 6

2 . 체력 8

3 . 선행연구 12

Ⅲ . 연 구 방 법 1 7

1 . 연구대상 17

2 . 측정도구 18

3 . 실험설계 19

4 .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2 0

5 . 자료처리 2 6

(7)

Ⅳ .결 과 및 논 의 2 7

1 . 결과 2 7

2 . 논의 4 3

Ⅴ .결 론 및 제 언 5 0

1 . 결론 5 0

2 . 제언 5 2

참 고 문 헌 5 3

A B S T R A C T 6 1

부 록 6 5

(8)

표 목 차

표 1 . 신체적 특성 17

표2 . 측정도구 18

표3 . 배근력의 결과 2 7

표4 . 악력의 결과 2 9

표5 .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하지근력) 3 0

표6 . 아령들기 (Ar m cu r l )의 결과 3 1

표7 . 좌전굴의 결과 3 2

표8 . 견관절 유연성의 결과 3 3

표9 . T im e d u p - a n d - go의 결과 3 5

표 10 . 눈감고 외발서기의 결과 3 6

표 1 1 . 반응시간의 결과 3 7

표 12 . 심폐지구력 결과 3 9

표 13 . 체지방의 결과 4 0

표 14 . 제지방량의 결과 4 1

(9)

그 림 목 차

그림 1 . 실험설계 19

그림2 . 배근력과 악력 측정장면 2 0

그림3 .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와 아령들기 측정장면 2 1

그림4 . 좌전굴과 견관절 유연성 측정장면 2 2

그림5 . T im e d u p - a n d - go와 눈감고 외발서기 측정장면 2 3

그림6 . 반응시간 측정장면 2 4

그림7 . 심폐 지구력 측정장면 2 4

그림8 . 전기저항 체지방 측정 2 5

그림9 . 배근력 측정결과 2 8

그림 10 . 악력 측정결과 2 9

그림 1 1 .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측정결과 3 0

그림 12 . 암컬 측정결과 3 2

그림 13 . 좌전굴 측정결과 3 3

그림 14 . 견관절 유연성 측정결과 34

그림 15 . T im e d u p - a n d - go 측정결과 3 5

그림 16 . 눈감고 외발서기 측정결과 3 7

그림 17 . 반응시간 측정결과 3 8

그림 18 . 심폐기능 측정결과 3 9

그림 19 . 체지방 측정결과 4 1

그림2 0 . 제지방량 측정결과 4 2

(10)

Ⅰ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는 문명의 발달과 과학의 발달로 고도의 산업화에 따른 경제적 성 장과 더불어 인간의 평균수명도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노인의 인구 밀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의료기술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 서 평균수명이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도 현대화 추세에 따라 1996년의 평균수명이 72 .9세(남성 6 9 .5세, 여성 7 6 .6세)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노인인구의 수도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2 000년경이면 평균수명 이 74 .3세 정도(남성 7 1 .3세, 여성 77 .4세) , 2020년이면 77세(남성 74 .9 세, 여성 79 . 1세)로 연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보건복지부, 19 96 ) . 그러면 인간이 과연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아직 정확한 정설은 없다. 그러나 인간 의 수명은 문화의 발달과 함께 점차 연장되어 장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한국사회체육진흥회, 1987 ) .

이렇게 노인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고령화 사회와 관련되어 많은 노인문제를 야기시 킬 것이다. 따라서 노인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그러 기 위해서는 노인이란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노인이란 인간이 출생과 발육 을 거쳐서 생식(r ep r odu ct ion )을 완료한 생물의 개체로서 노쇠기에 들어선 상 태를 말한다. 노쇠기에는 몸을 구성하는 세포의 수가 감소되며, 세포중에 포함 된 수분량도 적어져 개개 세포의 활동력이 쇠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화를 노화(agin g)라고 하며, 이러한 노화과정을 거쳐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감소 상태에 있는 사람을 노인이라 하겠다(조유향, 199 5) .

따라서 노화란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포나 조직, 기관 등의 유기체 전

(11)

반에 걸쳐서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이다. 둘째, 시간적 과정에 관련되거나 혹 은 제약되는 것으로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하게 되는 조직과 기능의 결함 을 갖게된다. 셋째, 외상이나 전염병 혹은 외적, 환경적 인자에 의해서 발생되 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생체에 내재되어있는 필연적 과정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다. 넷째, 노화는 나이를 먹음에 따라 생리적 기능의 저하, 스트레스에 대 한 회복력 저하, 예비력 저하, 그리고 이환률 및 죽음의 확률이 증가하는 현상 이다(김영모, 199 5) .

이런 현상들로 인하여 사람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점점 쇠퇴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개인차가 존재함으로 같은 나이 지만 노화가 빨리 일어나는 사람도 있고 다른 사람보다 천천히 진행되는 경우 도 있다. 다시 말해 달력상의 실제적 연령과 건강체력의 연령이 동일하지 않 다 라는 점이다.

특히 체력은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노인의 삶의 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St ewar t , A. L . et al 199 1) .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 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의 체력이 필요하다(Bor ch elt , M . F l 1992 , Willia m s , R .T 1989 , You n g , A 1986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노화에 의해 신체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된다.

첫째로 池上晴夫 (198 7 )에 의하면, 체중은 남자의 경우 20대 시기부터 4 0대 까지 일정하고 50대 이후 감소되는데 그 사이 피하지방 두께는 일정하며, 여 성의 경우 약 50세까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지방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 다고 한다. 그리고 젊은이와 고령자의 지방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노화에 따라 체지방량이 증가되었음을 보고하였다(Sch op en - h au er , 1987 ) .

둘째, 근・골격근의 변화를 살펴보면, 60대 이후부터 남녀 모두 더욱 급속한 근력의 약화를 가져오며, 근의 면적이나 근의 크기도 같은 양상으로 감소된다.

또한 노인들의 근육대사능력, 근섬유의 크기, 속근섬유의 수가 감소된다

(12)

(Gr een , 1989 , Sp or du so, 19 9 5) .

셋째, 심장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심장 박동이 매 10년에 5~10번 정도 감 소한다는 사실과 함께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한다(Sh eph ar d , 1978 ) . 박출량의 감소는 심실수축력의 쇠약과 심장이 최고의 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느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노화된 혈관 내에는 그 동안 축적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그리고 노폐물 등이 쌓여 있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여러 성인병과 직결된다.

실제로, 임번장(19 82 )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50세 이상 남자 집단의 심 폐지구력은 2 5~29세 남자집단에 7 5 .9 %정도로 24 . 1%의 감퇴를 나타냈으며, 근지구력은 55 .4 % 정도로서 4 4 .6 %의 감퇴를 나타냈고, 순발력은 8 1.3 %정 도로서 18 .7 %의 감퇴를 나타냈으며, 유연성은 27 .4 %정도로서 7 2 .6 %의 감 퇴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노인들의 체력과 신체기능의 쇠퇴를 지연 시키거나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방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외국의 선행연구를 보면 노인과 관련된 여러 가지의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새로이 시 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Walt er등은 근력의 감소와 근 위축의 원인을 노화에 따른 생리적 기 능의 감소 이외에도 의존적인 생활 방식에 의한 신체 활동의 감소가 큰 요인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규칙적인 운동 수행은 노인의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 심폐기능의 향상, 혈압의 감소 등을 가져온다. 다시 말해 운동은 노화방지 및 노화에 따른 체력요인의 감소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 다(Ast r an d , 1987 : H a sk ell , 19 86 : Sa k t in & Golln ick , 198 3 ) .

그러나 우리나라는 노인의 체력에 대한 기초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김현 수, 199 5) , 또한 노인에 대한 체력을 평가하고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6 5세 이상의 노인을 대 상으로 10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을 반복함으로써 노인의 체력의

(13)

변화와 체구성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2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10주간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남・녀 노인의 체력과 체구 성에 대한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노인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운동의 필요 성을 부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10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노인의 체력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 10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노인의 체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 연구 제한점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설정하였다.

1)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S구에 거주하는 노인들로 제한하였다.

2 ) 운동 참가 시간 이외의 신체적 활동이나 식이섭취는 통제하지 못하였다.

3 ) 피험자의 심리적, 생리적 상태는 통제하지 못하였다.

(14)

5 . 용어 정의

1) 노인 - 본 연구에서 노인이란 6 5세 이상의 연령에 해당되는 남・녀를 말한다.

2 ) 노인의 체력 - 노인의 체력이란 생리적 노화, 질환, 신체허약과 관련된 요소로 예를 들어 물건 옮기기,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내리기, 손 자 안아주기, 상차리기 등의 동작과 관련된다. 이 노인체력은 동작에 대한 가동성,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민첩성등의 일상 생활 활동과 관련된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말한다. 다시 말해, 노인에 게 있어 체력은 생활공간에서 다른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해결 해 나갈 수 있는 정도의 힘을 말한다.

3 ) P WC (P h ysica l Wor k Ca p a cit y ) - 신체작업수행능력.

4 ) VO2 m a x - 최대산소 섭취량.

5) RM (Rep et it ion Maxim u m ) - 최대반복 횟수.

(15)

Ⅱ . 이론적 배경

1 . 노인

노인은 외모나 기력을 비롯한 신체적 특성, 사회적 역할과 지위, 심리적특 성, 사회적 역할과 지위 심리적 특성, 나이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감안하여 정 의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나이를 기준으로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회갑이 라는 관습에 의해 6 0세 이상을 노인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은퇴 시기와 평 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최근에는 6 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 리고 세월의 흐름과 함께 유기체의 적응성 손상, 기능적인 손상, 그리고 결국 죽음으로 발전되는 일련의 과정이나 조직 체계의 진행과정을 노화 라는 용어로 부른다(최종환 등, 1999 ) . 노화(agin g)란, 유기체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정상 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노화는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모든 유 기체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한다. 셋째, 노 화의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다. 넷째, 노화는 막을 수 없고, 역행할 수 없다. 다 섯째, 결국에는 사망에 이른다(최영희, 2000 ) .

1) 노인의 생리적 특성

신체에 나타나는 노화의 특징은 세포수의 감소에 따라 장기가 위축되기 때문 에 생리적 기능이 저하한다는 것이며(조유향, 199 5 ) , 노인은 노화현상으로 인 해 신체・생리적 기능이 저하된다(최영희, 2000 ) . 그리고 고령이 되면 될수록 골격과 근육의 무게가 감소되고, 골 실질 밀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많이 일어난다. 또한 관절의 변화가 일어나 관절경골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16)

쿠션으로서의 기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가동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나이가 들 면 노화과정의 일환으로 근육이 쇠퇴하며, 활동부족으로 인해 근력 및 근지구 력이 급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체격 또한 크게 변화한다.

Wolfson 등( 1996 )은 노인들이 자주 넘어지는 것이 중추신경으로의 정보 전달이 지연되기 때문이 아니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이 감소되기 때문이 라고 하였다. 그리고 Over st a ll (1977 )은 일반적으로 넘어지는 원인을 장애물 에 의해, 시력의 저하, 근력의 저하, 평형성의 저하 때문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Ext on- Smit h ( 1969 )은 64세 이상의 남녀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24 %의 남자노인과 44 %의 여자노인이 일상생활 수행 시 자주 넘어진 과거 력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즉 운동기능이 둔화되고 심폐기능이 저하되며 면 역기능이 떨어져 쉽게 병에 걸리고 주위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저하된다(김희 자, 1994 ) .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나이가 들면 삶에 있어서 기본적인 생 활형태를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인 운동기능과 심폐기능이 저하되므로 노인에게 있어서도 이러한 운동기능과 심폐기능의 저하를 늦추기 위해서 규칙적이고 지 속적으로 적당한 신체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2) 추천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노인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모두 도움이 된다. 대부분의 사 람들에 있어, 규칙적인 운동은 휴식시와 최대하 운동 부하 상황에서 운동시 심 박수를 낮춘다. 심박수가 운동부하 이전에 증가하고, 실제 운동 부하시에는 감 소하며 심장의 에너지 요구량을 낮추어 준다.

고정식 자전거 타기, 스트레칭, 웨이트트레이닝, 그리고 걷기를 포함한 운동 프로그램이 최대하 유산소 운동능력, 심박수, 휴식시 심박수, 오금건 (h a m st r in g)의 유연성,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의 복부 근력 등을 향상시킨

(17)

다(최종환 등, 1999 ) .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곧 노인들의 생활기능향 상을 가져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운동 형태에 있어서는 노인에 있어서는 대근육 활동을 포함하여 리드믹하고 지속적 인 운동형태가 강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걷기, 조깅, 자전거, 수영등과 같은 낮거나 적당한 강도의 운동은 체중조절, 근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적 합한 운동형태에 해당한다. 운동빈도는 심폐지구력 향상과 보다 적절한 신체조 성을 가지도록 조절하기 위해서 최소한 주당 3회의 운동빈도는 가져야 할 것 이다. 운동지속시간은 노인들이 생리학적인 자극에 대해서 적응하고 회복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낮기 때문에 장시간의 가벼운 강도가 선행된 후 점진적인 증 가방법을 적용시켜야 한다. 운동강도에 있어서는 노인들의 경우 뼈, 관절 및 신경근육계에 있어서 과도하게 높은 강도가 주어진다면 쉽게 피로해질 것이며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그러므로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매우 낮은 강도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운동강도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정훈교 등, 1997 ) .

2 . 체력

체력이란 인간의 생존과 생활의 기반이 되는 신체적 능력을 말한다. 체력은 크게 건강 관련 체력요인과 기술 관련 체력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강 관련 체력은 적극적인 체력으로 인체가 자신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고, 기술 관련 체력이란 외부로부터 인 체에 미치는 자극에 대한 방어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포츠 기능체력으로도 표현할 수 있으며, 건강체력의 유지 및 증진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18)

1) 건강 관련 체력(Hea lth related phys ical fitness)

( 1) 심폐지구력 ( c a r d i o v a s c u l a r )

심폐지구력이란 대근군을 사용하며 활동적이고 중강도에서 고강도에 이르는 운동을 장시간동안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ACSM , 199 5 ) . 다시 말해 피로의 시작을 늦추어가며 대근 활동을 포함한 신체활동을 계속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심폐지구력의 측정종목으로는 실험실검사에는 최대 운동부하검사, 최대하 운동부하검사등이 있으며, 필드검사에는 12분달리기, 1,500m달리기, 1mile 걷기, 3 ,200m 걷기등이 있다.

(2 ) 유연성 (fl e x i b i l i t y )

유연성이란 전체 운동 범위(ROM - Ra n ge Of Mot ion )상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의 능력을 말한다. 이 요인은 신체 운동수행에 중요한 역 할을 담당하며 운동상해 예방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유연성의 측정항목에는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서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그리고 엎드려 윗몸 뒤로 일으키기, 등뒤로 양손을 잡게하는 견괄절 유연성 검 사등이 있다.

(3 ) 근력 (s t r e n g t h )

근력이란 어떤 근군이 저항을 이겨내기 위하여 최대한으로 수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영완 등, 199 7 ) . 다시 말해, 근육의 부하

(19)

에 대응하여 발휘할 수 있는 힘을 말한다(한국체육과학 연구원, 19 98 ) . 근력 은 일반인의 건강과 체력측면에서 볼 때 실생활의 작업능력이나 올바른 자세유 지를 위해서 중요한 체력요소이다(전태원, 1994 ) .

이러한 근력은 중년 이후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근력 저하는 더욱더 심화되 고 있다. 근력저하는 일상생활의 사소한 불편에서부터 행동반경의 제한 그리고 넘어짐에 따른 치명적인 골절의 위험에 이르기까지 노인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 협이 되고 있다(김형묵, 19 97 ) .

근력의 측정항목으로는 악력, 배근력, 복근력, 각근력 등이 있다.

(4 ) 근지구력 (m u s c l e e n d u r a n c e )

근지구력이란 장시간 동안 근군이 최대 하에서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말한 다(고영완 등, 19 97 ) . 즉 근지구력은 근력 발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 이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 .

근지구력 역시 근력과 마찬가지로 일반인의 건강과 체력측면에서 볼 때 실 생활의 작업능력이나 올바른 자세유지를 위해서 중요한 체력요소이다(전태원,

1994 ) .

근지구력의 측정항목으로는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턱걸이, 철봉 매달 리기 등이 있다.

2) 기술 관련 체력(Skill related phys ica l fitness)

( 1) 민첩성 ( a g i l i t y )

민첩성이란 재빠른 동작으로 신체를 잘 조정하고 부드럽게 반응할 수 있는

(20)

능력 혹은 신체 동작에 있어서 전신 또는 부분 동작을 신속하게 변경한다든지 운동의 방향을 재빠르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민첩성의 측정항목으로는 10m왕복달리기(sh u t t le r u n ) , 부메랑 런 (b oom er a n g r u n ) , 지그재그 런(zig- za g r u n ) , 버피 테스트(bu r p ee t est ) , 싸이드 스텝 테스트(side- st ep t est )등이 있다.

(2 ) 평형성 (b a l a n c e )

평형성이란 신체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일반적으 로 건강 관련 체력 요인에 평형성은 포함시키지 않고 있으나 고령자에게 평형 성은 중요한 체력요인으로 간주된다.

평형성의 측정항목으로는 정적인 방법인 눈뜨고 외발서기와 눈감고 외발서 기 그리고 동적인 방법인 직선 보행검사와 큐아톤(Cu r et on )의 평형성 종합검 사 등이 있다.

(3 ) 순발력 ( p o w e r )

순발력이란 단위시간당 이루어지는 작업량으로 가능한 짧은 시간에 폭발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순발력의 측정항목으로는 제자리높이뛰기, 제자리멀리뛰기, 마가리아칼멘테 스트, 50m 달리기, 윙게이트테스트, 구이스노모그램 방법등이 있다.

(4 ) 반응시간 (r e a c t i o n t i m e )

반응시간이란 자극(st imu lat ion )에서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이 시작되는 시점 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21)

반응시간의 측정항목으로는 빛과 소리를 이용한 반응시간 테스트의 방법이 있다.

3) 체구성(Body compos ition)

체구성(b ody comp osit ion )은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체 지방(F M : fat m a ss )과 제지방(F F M : fat fr ee m a s s )으로 나눌 수 있다.

인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지방량을 포함하는 체지방량과 신체의 수분, 단백 질 그리고 무기질로 구분되는 제지방량을 더한 값은 체중과 같다. 제지방량의 변화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며 또한 제지방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근육조직이다. 이러한 체구성은 체중을 조절하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체구 성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체지방 측정방법은 직접 측정법과 간접측정법이 있는데, 직접측정법은 신체 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조직(fat t issu e)과 제지방조직(fr ee fat t issu e)을 아 르키메데스(Ar ch im ed es )의 원리를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측정・계산하는 것이 며, 간접측정법은 피하지방 두께 측정(Sk in fold Calip er )법, 노모그램에 의한 방법, 생체전기저항 분석(Bioelect rical Im p edan ce An alysis )법, 인체계측 법 등이 있다.

3 . 선행연구

1) 노화의 진행에 따른 체력의 변화

체력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188 5년대부터 미국에서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이 당시에 있어서는 체력의 지표를 근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9 10년대에

(22)

들어와서는 심장기능을 수단으로 하는 신체활동의 효율이 체력의 지표로 인식 하기에 이르렀음은 물론, 1920년대에 이르러서는 체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려 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어 지금은 체력이란 인간이 사회생활에 적용해나가는 제 능력으로 이해하기에 이르렀다.

T . K . Cu r et on은 인간의 원동력으로서 형태, 기능, 정신을 포함한 신체의 여러 가지 성질의 총합 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J oh n E . N ixon ( 196 5)은 체력이란 지나친 피로 없이 매일 매일 생활의 과업을 수행하 고 나아가서 그에게 다가온 비상시에 만족스럽게 대처할 수 있는 유기체의 능 력 이라 규명하고 있다.

Sk in n er ( 1990 )가 언급하기를 체력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건강상태 의 척도가 된다고 하였다. 고령자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체력은 생활공간에서 다른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해결해갈 수 있는 정도의 힘을 말하며 이것이 바로 체력이라고 할 수 있다.

St ewa r t 등( 199 1)은 젊었을 적에는 크게 눈에 띄지 않던 가령에 따른 변 화의 개인차는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크게 달라진다. 특히 체력은 일상 신체활 동을 할 수 있는 노인의 삶의 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라고 보고하였다. 현 재까지 노인의 건강, 체력 및 관련 변인 측정 연구(Goin g et a l 1994 , Br u ce 1989 , Rik li & Bu s ch 1986 ) , 건강, 체력 증진이나 노화지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계속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구해모 등, 19 99 ) .

우리 나라에서도 노인의 체력이나 건강, 체력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김현수 등, 199 5 ; 조성계 등, 199 5 ; 구해모 등,

1999 ) , 아직까지도 이렇다할 평가 지표는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외국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Lar s son 등(19 78 )은 1 1세부터 70세 사 이의 남자 1 14명을 대상으로 대퇴사두근의 최대 등척성 및 등장성 근력을 조

(23)

사하였다. 그 결과 대퇴사두근의 근력은 30세까지 증가했으며, 그러한 수준을 50세까지 유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나이의 증가와 함께 저하하기 시작하여 50세에서 70세 사이의 근력은 3 0 %정도 저하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사체(Au t op sy )의 외측광근 횡단면적을 조사한 H agerm a n F C 등 (2000 )의 연구에서 근육의 크기는 30세 이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며 50세가 되면 근육의 단면적이 약 10 % 정도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50세 이후에는 근육 횡단면적의 감소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서 20세와 80세사이에 4 0 %의 횡단면적이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근력은 20대 이후부터 저하가 시작되며 50세 이후에는 저하가 보 다 뚜렷해지면서 50 , 60대에서는 매 10년마다 약 15% , 그리고 그 이후에는 10년에 3 0 % 정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다(R oger 등, 1993 ) . Ma r ga r ia 등 ( 196 5)은 계단을 2단씩 전력으로 뛰어 올라가는 운동능력검사로 가령 변화를 조사하여 6 0- 70대에서는 2 0- 30대의 50 %이하로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하였다.

또 Cu sk a와 McCart y ( 198 5)는 의자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10회 반복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지 근지구력을 평가한 결과 20- 3 5세를 100으로 하면 6 6- 8 5세의 남성은 약 50 % , 여성은 약 60 %로 저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반 면에 H opk in s 등(199 0 )은 주 3회의 에어로빅댄스가 노년기의 평형성을 1 1%증가시켰고, 걷기 능력을 11%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정복자 ( 1998 )는 주3회 하루 6 0분씩 12주동안 덤벨운동이 근지구력, 평형성, 근력, 유연성에서 크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저항운동에 따른 노인들의 근력 증가와 근비대를 조사한 Mor it an i와 d evr ies ( 198 0 )의 연구에서는 2 2 %의 근력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연성 에 관한 성별 연령에 따른 연구에 의하면, 최희남( 1992 )는 유연성은 근력, 근 지구력과 더불어 생활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이의 약화

(24)

는 노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라고 보고하였다. 그 이후에 실시된 연구들에 서도 저항운동이 노인들에게서 괄목할만한 근력 증가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보 여주었다(Br own 등, 1990 , F iat a r on e 등, 1990 ) .

2) 노화의 진행에 따른 체구성의 변화

체구성은 개인의 건강과 체력모형의 중요한 요소이며(고영완 등, 199 7 ) , 체구성 평가는 종합적인 체력 평가의 일반적인 내용이며 중요한 요소이다 (ACSM , 199 5) . 우리의 체구성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체지방(F a t - b ody ) 과 제지방(F at - fr ee- b ody)으로 구별된다(Br ozek , Gr a n de , An der son , & Keys , 1963 ; Sir i , 196 1) .

인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지방량과 신체의 수분, 단백질 그리고 무기질로 구분되는 제지방량을 더한 값은 체중과 같다. 체중은 남녀 모두 2 0대 초반 이 후 계속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여성의 경우에는 4 5~50세 이후부터는 안 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70대에서는 감소하기 시작한다. 남자의 경우 4 0대 이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Bemb en MG ; Ma s sey BH ; Bemb en DA ; Boilea u RA ; Misn er J E , 199 5 ) .

그렇지만 체중이 감소되는 경우와 반대로 체지방은 증가한다. 중년에서부터 신체의 지방이 증가하는 반면에 제지방량(F at - F r ee- Ma ss )은 점차적으로 감 소하기 시작하며 이것은 주로 근육조직의 손실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반적으로 성인 남성은 복부에, 성인여성은 둔부 대퇴부에 지방이 침착되는 경 향이 있다.

성인병 특히,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허혈성심질환, 뇌졸중 등의 발병률 은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 낮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도 장수하는 것이다. 남 녀의 체지방 분포의 차이는 주로 성호르몬 분비량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따라

(25)

서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적게되는 폐경 후인 5 5세 이후에서는 체지방 분포의 남녀의 성차는 일반적으로 적게된다(Sh im ak at a 등, 1989 ) .

Ru dm a n 등( 199 1)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제지방량 감소를 cr ea t in e 측정 법으로 조사한 결과, 4 0세에서 80세에 이르기까지 남자의 경우 10년마다 약 5 %가 감소되며 여자의 경우 약 2 .5 %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제지방중량이 4 0세에서 80세 사이에 각각 2 0 %와 10 %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체지방량의 증 가는 지방조직의 분포에도 변화를 가져온다. 남자의 경우 신체 말초 (P er iph er a l )부위의 피하지방은 감소하지만 몸통(t r u n k )의 피하지방과 복강 내의 지방은 증가한다.

또한 Nich ols (1993 )의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인 여자노인 36명을 24주 동 안 웨이트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1.5k g의 제지방량 증가와 1.9 %의 체지방 율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H op k in s 등(1990 )은 덤벨 운동을 실시하기전보다 실시 한 후를 살펴보면 체중, 체지방이 저하되었으며, 근육량은 늘어났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Willm or e (1982 )는 10주동안의 근력훈련으로 훈련 전 28 . 1에서 훈련 후 26 .3으로 1 .8 %의 체지방의 감소를 보고하였다.

그리고 김형묵(1997 )은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을 일주일에 3일씩 12주간 실 시한 결과 체지방율이 웨이트트레이닝 전에 2 0 .8±2 .9 %에서 웨이트트레이닝 후에는 19 .4±2 .4 %로 감소하였고, 체지방량 역시 13 .5±2 .2k g에서 12 .6±

1 .7k g으로 감소하였고, 제지방량도 전에 5 1.4±2 .4 k g에서 후에 52 .4±

2 .4 k g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노화와 함께 나타나는 제지방 량의 감소와 체지방량의 증가는 웨이트트레이닝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다.

(26)

Ⅲ .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노인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운동 처치 전 후의 체력과 체구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실험 설계,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그리고 자료 처리 방법을 설정하였다.

1 .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시 S구에 거주하는 6 5세 이상의 남・녀 노인으로 과거 수술 경험이 없으며, 심장질환 등의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로서 또한 최근 6개월간 격렬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사람으로 아파트 계단 3층 정 도의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체력수준을 가진 사 람으로 남자 11명, 여자 12명 총 23명을 선정하였다.

<표1> 신체적 특성

항목

그룹 사례수 연령(세) 신장(Cm) 체중(Kg) 체지방(%)

남성 그룹 11 66.22±4.40 169.03±7.87 67.34±9.45 18.73±3.89

여성 그룹 12 66.44±3.94 153.00±5.60 6 1.13 ±10.07 27.99±3.78

(27)

2 . 측정도구

본 연구의 운동처치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표2 > 와 같 다.

<표2> 측정도구

실험 도구 모델명 제조 국가 용 도

신장, 체중계 J e nix 한 국 신장, 체중 측정

Impeda nce Gif- 89 1DX 한 국 체지방 및 제지방, 수분량 측정

Ae ro bike Combi 75XL 일 본 심폐기능 측정

자동혈압계 FT- 200S 한 국 안정 시, 운동 전・후 혈압 측정

악력기 S H- 9600 D 한 국 좌, 우 악력 측정

배근력기 S H- 9600E 한 국 요부근력 측정

좌전굴기 SH- 9600G 한 국 고관절 유연성 측정

전신반응기 SH- 9600I 한 국 전신반응 측정

평형성 측정기 S H- 9600H 한 국 눈뜨고 외발서기 측정

트레드밀 HM50 EX 한 국 유산소 운동장비

고정식 자전거 Horizo n Cyc le 한 국 유산소 운동장비

웨이트 장비 MedX 미 국 근력 운동 장비

(28)

3 . 실험설계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림1>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실시하였 다.

문헌 고찰 ▶ 연구주제 선정 및 문헌 고찰

연구대상

선정 ▶ S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23명 선정

사전 실험 ▶ 체력, 체구성 측정(두 그룹 모두)

운동 교육 ▶ 초기강도에 따른 5주간 운동프로그램 참여

운동 강도

재설정 ▶ 5주간 운동참여에 따른 운동강도 조절

운동 교육 ▶ 증가된 운동량에 대한 운동 5주간 재교육

사후 실험 ▶ 5주간 운동참여에 따른 측정항목 재측정

(두 그룹 모두)

자료 처리 ▶ Windows 용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처리 분석

<그림1> 실험설계

(29)

4 .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1) 배근력 ; 요부근력(Back strength)

노인의 요부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리를 편하게 넓히게 하고 고개를 들게 하여,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게 하고, 무릎을 편 상태에서 허리는 3 0도 정도 구 부린 상태로 높이를 맞추어 손잡이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리게 하여 측정할 것이 다. 서서히 당겨 마지막 부분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고 상해 위험에 대한 사전 설명을 충분히 실시하였다.

2) 악력 ; 상지근력(Grip strength)

피험자는 양발을 어깨 넓이로 넓히고 옆으로 팔을 내린 상태에서 상완과 몸 통의 간격을 약간 넓힌 후, 손가락의 2번째 마디에 맞추어 그립을 조정하여 한 손으로 동력계를 잡고 최대한 힘껏 쥐도록 하였다. 양쪽 모두를 각각 2회씩 검 사하여 가장 좋은 수치를 인정하였다.

< 그림2> 배근력과 악력 측정장면

(30)

3)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 하지 근력(30- second cha ir stand)

하지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30초 내에 총 몇 회를 앉았다 일어나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양팔을 가슴에 교차시켜 순수하게 하지 근이 동원되도록 한 후 측정하였다.

4) 아령들기 ; 상완 근력(Arm curl)

상완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손에 일정한 무게의 아령(남: 3Kg , 여:

2Kg)을 들고 30초 동안 완전한 가동 범위를 통해 올리고 내리기를 반복하도 록 할 것이다. 손에 아령을 들고 충분히 편 상태에서 손바닥은 위로 향하게 하 여 이두근에 손이 닿을 정도로 구부렸다가 펴게 하는 동작을 3 0초 동안 최대 로 빨리 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그림3>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와 아령들기 측정장면

(31)

5) 좌전굴(Sit- a nd- reach)

참가자는 앉아서 무릎을 구부리지 앉고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로 양쪽 손을 모아 앞으로 천천히 뻗도록 하고, 두 번을 측정하여 가장 멀리 간 수치를 기록 하였다.

6) 견관절 유연성(Back scratch)

등 뒤에서 양손의 가운데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양측 모두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하였다.

<그림4> 좌전굴과 견관절 유연성 측정장면

7) 민첩성(Timed up- a nd- go)

순발력, 스피드, 민첩성, 그리고 동적 평형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 의 자에서일어나 2 .4 5m거리에 있는 표적을 돌아 가능한 짧은 시간에 의자로 돌

(32)

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8) 눈감고 외발서기;평형성(One leg ba la nce with eyes close)

St on es ( 198 7 )에 의해 사용된 눈감고 외발 서기는 손을 허리에 올리게 하고 양쪽 다리 모두 시험적으로 외발서기를 실시해 피험자가 편하게 느끼는 다리를 선택하여 다른 반대쪽 다리를 들어 구부리게 하여 최대 60초 이상까지의 서있 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림5> Timed up- and- go와 눈감고 외발서기 측정장면

9) 반응 시간(Reaction time)

피험자는 양쪽 발바닥을 측정판에 올려놓고, 무릎을 15도 정도 구부리고 있는 상태에서 부저소리와 빛에 대한 반응으로 양발을 지면에서 동시에 떨어뜨 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3)

<그림6> 반응시간 측정장면

10) 심폐지구력(Ca rdiovascula r)

심폐 능력 검사는 Combi7 5XL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고정식자전거를 이 용하여 PWC 7 5%를 산출하여 VO2 m a x를 추정하였다.

<그림7> 심폐 지구력 측정장면

(34)

11) 체구성 측정

전기저항 체지방 측정법 (BIA ; Bioelect rical Imp eda n ce An alysis ) 귀금속을 제거한 후 바닥에 편히 눕도록 하여 손목과 발목에 전극을 붙이고 미세한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성별과 신체지수 등을 입력하여 나온 전기 저항 수치를 환산하여 체지방을 산출하였다.

<그림8> 전기저항 체지방 측정

(35)

5 .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 실시한 운동 전・후 측정치를 Win dows용 SP SS 10 .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1)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처치 전・후의 체력요인과 신체구성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2 )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그룹 내 처치 전, 후의 각 요인별 변화에 대한 통 계분석을 하기 위해서 p air ed t - t est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3 ) 유의수준은 α= .0 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36)

Ⅳ .결과 및 논의

1 . 결과

본 연구는 최근 6개월간 격렬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6 5세 이상의 노 인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총 10주간의 운동처치 기간 중 상해나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해 중도 포기하기하신 분들에 대한 자료는 결과분석에서 제외 시켰 다. 남성Gr ou p에서 2명, 여성Gr ou p에서 3명 총 5명이 중도포기 하였으며, 이상 총5명의 결과는 자료분석에서 제외시켰다. 따라서 Gr ou p (남자 9명, 여 자 9명)별로 신체활동 참여실시 전・후의 노인의 체력요인과 체구성 요인의 변화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력요인의 변화

( 1) 근력 및 근지구력

<표3> 배근력의 결과 단위:Kg

구분 N M±S D Sig

남 Pre 9 83 .77±18.57

Post 9 87.66 ±20.53 .383

여 Pre 9 45 .11±11.14

.003**

Post 9 55 .88 ±15.72

*P<.05, **P<.0 1, ***P<.00 1

(37)

<표3 >의 배근력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83 .77±

18 .57로 나타났으며, P ost 87 .66±20 .53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배 근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 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반 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4 5 . 1 1±11 . 14로 나타났으며, P ost 55 .88±

15 .7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참여가 여성 Gr ou p의 배근력 향상을 가져오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9> 배근력 측정결과

그림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배근력 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배근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 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8)

< 표4> 악력의 결과 단위:Kg

구분 N M±S D Sig

남 Pre 9 33.93±4 .88

Post 9 33.00±4 .42 .369

여 Pre 9 22.4 1±3 .8 1

. 165

Post 9 23.57±3 .26

*P<.05, **P<.0 1, ***P<.00 1

<표4 >의 악력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33 .93±4 .88 로 나타났으며, P ost 33 .0 0±4 .4 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악력의 감소 현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22 .4 1

±3 .8 1로 나타났으며, P ost 23 .57±3 .2 6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악 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 의 악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P <.0 5) .

<그림10> 악력 측정결과

그림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악력 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악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악력의 향상정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9)

<표5>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하지근력) 단위:횟수/30sec

구분 N M±SD Sig

남 Pre 9 18 .77±3 .52

.032*

Post 9 22 .77±4 .79

여 Pre 9 19 .22 ±5 .76

.022*

Post 9 22 .66 ±2 .9 1

*P<.05 ,**P<.0 1, ***P<.00 1

<표5>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18 .77±3 .52로 나타났으며, P ost 22 .7 7±4 .7 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 에 있어서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19 .22±5 .76으로 나타났으며, P ost 22 .66±2 .9 1로 10주간의 신체활동 참여가 여성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여성에 있어서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11>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측정결과

그림 1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의자

(40)

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 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여성에 있어서도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6> 아령들기(Arm c url)의 결과 단위:횟수/ 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26.66±6.9 1

.6 14

Post 9 27.33±5.97

여 Pre 9 24.33±3.20

.0 19*

Post 9 26.88±2.75

*P<.05, **P<.0 1, ***P<.00 1

<표6 >의 암컬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26 .66±6 .9 1 로 나타났으며, P ost 27 .3 3±5 .9 7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암컬의 점진 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암컬 향 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 서는 P r e 24 .3 3±3 .2 0으로 나타났으며, P ost 26 .88±2 .7 5로 10주간의 신 체활동참여가 여성의 암컬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암컬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

(41)

<그림12> 암컬 측정결과

그림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암컬 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암컬의 향 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 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 유연성

<표7> 좌전굴의 결과 단위:cm

구분 N M±S D Sig

남 Pre 9 - 2.22±9.39

.0 13*

Post 9 3.3 1±8 .54

여 Pre 9 11.46±5.65

.006**

Post 9 16.82±5.26

*P<.05, **P<.0 1, ***P<.00 1

<표7 >의 좌전굴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 2 .22±

9 .39로 나타났으며, P ost 3 .3 1±8 .5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좌전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에 있어서의 좌전굴 향상의 정도

(42)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P r e 1 1.4 6±5 .6 5로 나타났으며, P ost 16 .82±

5 .26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참여가 여성의 좌전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좌전굴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13> 좌전굴 측정결과

그림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좌전 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좌전굴의 향상 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8> 견관절 유연성의 결과 단위:cm

구분 N M±S D Sig

남 Pre 9 - 2.58±12 .90

Post 9 - 4.05±9.62 .739

여 Pre 9 - 7.33±10 .64

Post 9 - 2.3 1±10 .40 .255

*P<.05, **P<.0 1, ***P<.00 1

(43)

<표8 >의 견관절 유연성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 2 .58±12 .90으로 나타났으며, P ost - 4 .0 5±9 .6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견관절 유연성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 7 .33±10 .64로 나타났으며, P ost - 2 .3 1±10 .4 0으로 10 주간의 신체활동이 견관절 유연성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견관절 유연성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4> 견관절 유연성 측정결과

그림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견관 절 유연성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 Gr ou p에서는 견 관절 유연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 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4)

(3 ) 민첩성

<표9> Timed up- a nd- go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D Sig

남 Pre 9 4.30±0.48

.000***

Post 9 3.73±0.34

여 Pre 9 4.82±0.76

Post 9 4.28±0.64 .090

*P<.05, **P<.0 1, ***P<.00 1

<표9 >의 타임 업 앤고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4 .30

±0 .4 8로 나타났으며, P ost 3 .73±0 .3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Tim ed u p- a 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에 있어서의 Tim ed u p- a n d- go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4 .82±0 .76 으로 나타났으며, P ost 4 .28±0 .6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Tim ed u p- a n d- go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 에 있어서의 Tim ed u p- an d- go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5> Timed up- a nd- go 측정결과

(45)

그림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Tim ed u p- a 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 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 도 Tim ed u p- a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 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 평형성

<표10> 눈감고 외발서기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8.2 1±6 .66

.583

Post 9 9.22±9 .40

여 Pre 9 5.86±3 .4 1

.954

Post 9 5.94±4 .09

*P<.05, **P<.0 1, ***P<.00 1

<표10 >의 눈감고 외발서기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8 .2 1

±6 .66으로 나타났으며, P ost 9 .22±9 .4 0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눈 감고 외발서기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 성에 있어서의 눈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는 않았다(P <.0 5) .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5 .86±3 .4 1로 나타났 으며, P ost 5 .94±4 .0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눈감고 외발서기의 점진 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눈감고 외발 서기의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46)

<그림16> 눈감고 외발서기 측정결과

그림 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 눈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 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눈 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 반응시간

<표11> 반응시간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0.42±0 .10 .084

Post 9 0.35±0 .07

여 Pre 9 0.53±0 .13 . 170

Post 9 0.45±0 .09

*P<.05, **P<.0 1, ***P<.00 1

<표11>의 반응시간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0 .4 2±0 . 10 으로 나타났으며, P ost 0 .3 5±0 .07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반응시간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반

(47)

응시간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또 한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0 .53±0 . 13으로 나타났으며, P ost 0 .4 5±0 .0 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반응시간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반응시간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7> 반응시간 측정결과

그림 17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반응 시간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반응시간 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8)

(6 ) 심폐지구력

<표12> 심폐지구력 결과 단위:ml/kg/min

구분 N M±SD Sig

남 Pre 9 33.0 1±6.39

. 192

Post 9 35.42±7.64

여 Pre 9 23.78±4.47

Post 9 26.26±5.58 .375

*P<.05, **P<.0 1, ***P<.00 1

<표12 >의 심폐지구력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33 .0 1±

6 .39로 나타났으며, P ost 3 5 .4 2±7 .6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심폐지 구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 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0 5) . 또한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0 .53±0 . 13으로 나타났으며, P ost 0 .4 5±0 .0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심폐지구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8> 심폐지구력 측정결과

(49)

그림 18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 심폐지 구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심폐지구 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도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체구성 요인의 변화

( 1) 체지방

<표13> 체지방의 결과 단위:%

구분 N M±SD Sig

남 Pre 9 18.33±3.8 1

Post 9 17.70±5.0 1 .664

여 Pre 9 27.8 1±3.66

.702

Post 9 27.47±3.42

*P < .05, **P < .01, ***P < .001

<표13 >의 체지방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18 .33±3 .8 1로 나타났으며, P ost 17 .70±5 .0 1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체지방의 점진 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체지방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또한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27 .8 1±3 .66으로 나타났으며, P ost 2 7 .4 7±3 .4 2로 10주 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체지방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도 체지방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50)

<그림19> 체지방 측정결과

그림 19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 체지방 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체지방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도 향상정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 제지방량

<표14> 제지방량의 결과 단위:Kg

구분 N M±S D Sig

남 Pre 9 53.74±9.94

Post 9 55.07±6.73 .482

여 Pre 9 42.57±7. 14

.3 16

Post 9 44.05±6. 18

*P<.05, **P<.0 1, ***P<.00 1

<표14 >의 제지방량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53 .74±9 .94 로 나타났으며, P ost 55 .0 7±6 .7 3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제지방량 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51)

제지방량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 성 Gr ou p에서는 P r e 4 2 .57±7 . 14로 나타났으며, P ost 44 .0 5±6 . 18로 10 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제지방량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도 제지방량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20> 제지방량 측정결과

그림 2 0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 제지방 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여성 Gr ou p에서도 제지방 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도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2)

2 . 논의

1). 체력요인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체력이나 생리적 기능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 다. 본 연구는 10주간의 신체활동 참여가 노인의 체력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고 노인에 대한 기초적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근력과 근지구력에 있어 요부근력 측정을 위한 배근력 의 측정 결과 남성의 경우 83 .7 7Kg에서 87 .66Kg으로 점진적인 증가를 나타 냈고, 여성의 경우도 4 5 . 11Kg에서 55 .88K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 였다.

따라서 신체활동이 노인의 배근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부근력의 증가는 노인들의 잦은 요통의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노인에게 있어서 근력의 감소는 일상생활의 수행력에 많은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Bu ch n er DM . 199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운동을 통한 근력 향상이 나타났으므로 노인들이 일상생 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이 되며 노인도 지속적인 신체활동 이 필요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그리고 남녀 Gr ou p의 평균 배근력을 보면 7 1.7 7Kg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김희자(19 94 )의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에서 제시된 평균 72 .8세 양로원 노인 의 배근력 3 1.6K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는 본 연구에 참 여한 노인의 평균연령이 김희자(19 94 )의 연구에 참여한 노인의 평균연령보다 낮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도 보다 세부적인 연령 구분이 필요하며

(53)

각 연령대별 체력기준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악력의 결과 남성의 경우 33 .9 3Kg에서 33 .00Kg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냈고, 여성의 경우도 22 .4 1Kg에서 23 .57Kg으로 점증적인 향상을 나타냈 다. 남성의 경우에 감소한 것은 악력 측정과 유사한 운동이 실시되지 않아 악 력 향상에는 큰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 근력 측정을 위한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결과 남성의 경우 18 .77 개에서 22 .77개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도 19 .22개에서 22 .66개로 나타 나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인에게 있어 하지의 근력 은 기본적인 생활형태를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F on t er a WR . 1988 )라고 보고되었듯이 노인에 있어서도 신체활동을 통하여 기본적인 생활형 태를 유지하는데 있어 적당한 웨이트트레이닝은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10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트레이닝이 하지근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기본적인 생활형태를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상지근력 측정을 위한 아령들기(Arm cu rl)의 결과 남성의 경우 26 .66개에 서 27 .33개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 24 .33개에서 26 .88개로 나타났으며, 남・여 모두에서 점진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아령들기 검사는 상체의 근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노인에게 있어서 상체의 근력은 일상 생활속에서 작은 물건을 들어올릴 때에도 필요하다(David M . 199 1)라고 보고된 것처럼, 상지 근력의 요소 가운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노인에게 있어 상지의 근력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운동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McCart n ey et a l . 19 93 , Mor it an i &

d eVr ies , 19 80 )라고 제시된 연구와 본 연구는 매우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 다.

(5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노인들에게 있어서 규칙적인 신체활동 참여는 근력향 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더불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하겠다.

유연성 측정을 위한 좌전굴의 결과 남성의 경우 - 2 .22cm에서 3 .3 1cm로 나 타났고, 여성의 경우 11.4 6 cm에서 16 .8 2cm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인에게 있어서 둔부와 대퇴직근의 유연성 은 요통과 관련이 있으며, 근과 골격 손상의 위험율이 증가하고, 보행이 제한 되며, 노인들의 낙상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ACSM . 199 5)고 보고된 바에 의 하면 노인에게 있어서의 유연성 증진은 일상활동능력의 유지와 낙상 방지를 위 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조성봉(199 5 )의 규칙적인 운동수행이 노인의 체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에서 나온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유연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견관절 유연성의 결과 남성의 경우 - 2 .58cm에서 - 4 .0 5cm로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냈고, 여성의 경우는 - 7 .3 3cm에서 - 2 .3 1cm로 점진적인 향상을 나타 냈다. 이와 같이 남성의 경우 감소한 이유는 운동의 형태와 방법적인 것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되며, 노인의 있어서의 30 %정도가 견관절의 상당한 장 애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Ch ak r av art y , 1993 )라고 보고되어진 바에 의하면 노인에게 알맞은 견관절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스트레칭이나 덤벨 체조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의 경우에도 증가는 했지만 여전히 증가정도가 경미하므로 남성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칭이나 덤벨체조 동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민첩성 측정을 위한 Tim ed u p- an d- go의 결과 남성의 경우 4 .30 sec에서 3 .73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여성의 경우도 4 .8 2sec에서

수치

표 목 차 표 1 . 신체적 특성 17 표2 . 측정도구 18 표3 . 배근력의 결과 2 7 표4 . 악력의 결과 2 9 표5 .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하지근력) 3 0 표6

참조

관련 문서

첫째,검도수련일( 주) 과 경력이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련일( 주) 이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의미 있는 관련성이 적다고 볼 수 있는 조

체력적인 요인에서 본 연구에서 측정된 요인들 대부분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 는 것은 변형된 축구프로그램이 체력향상에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첫째 사회인 야구리그 참가자의 참가동기가 신체적인영역에 미치는 영향 , 을 분석한 결과 참가동기의 하위요인 컨디션 기술발달 무동기에서 통계적 , , , 으로

전신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인체 균형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 발목테이핑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배 등 29) 은 최근에 상아모세포주인 MDPC-23세포에 NFI-C를 과발현 또는 발 현 억제시킨 후 DSPP와 BSP mRNA의 발현 확인을 통하여 상아모세포

본 연구에서 노인의 유형별 미충족 의료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한 결과,여자, 배우자가 없는 경우,저학력,농촌지역,저소득,흡연,음주,신체활동 등에 대 한

여가경험이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여가경험이 정서적애착에

이 설문지는 부모님의 놀이성이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님의 자녀놀이 에 대한 참여가 적절한 중재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