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 결과

1) 체력요인의 변화

( 1) 근력 및 근지구력

<표3> 배근력의 결과 단위:Kg

구분 N M±S D Sig

남 Pre 9 83 .77±18.57

Post 9 87.66 ±20.53 .383

여 Pre 9 45 .11±11.14

.003**

Post 9 55 .88 ±15.72

*P<.05, **P<.0 1, ***P<.00 1

<표3 >의 배근력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83 .77±

18 .57로 나타났으며, P ost 87 .66±20 .53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배 근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 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반 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4 5 . 1 1±11 . 14로 나타났으며, P ost 55 .88±

15 .7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참여가 여성 Gr ou p의 배근력 향상을 가져오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배근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9> 배근력 측정결과

그림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배근력 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배근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 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표4> 악력의 결과 단위:Kg

구분 N M±S D Sig

남 Pre 9 33.93±4 .88

Post 9 33.00±4 .42 .369

여 Pre 9 22.4 1±3 .8 1

. 165

Post 9 23.57±3 .26

*P<.05, **P<.0 1, ***P<.00 1

<표4 >의 악력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33 .93±4 .88 로 나타났으며, P ost 33 .0 0±4 .4 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악력의 감소 현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22 .4 1

±3 .8 1로 나타났으며, P ost 23 .57±3 .2 6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악 력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 의 악력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P <.0 5) .

<그림10> 악력 측정결과

그림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악력 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악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악력의 향상정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5>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하지근력) 단위:횟수/30sec

구분 N M±SD Sig

남 Pre 9 18 .77±3 .52

.032*

Post 9 22 .77±4 .79

여 Pre 9 19 .22 ±5 .76

.022*

Post 9 22 .66 ±2 .9 1

*P<.05 ,**P<.0 1, ***P<.00 1

<표5>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18 .77±3 .52로 나타났으며, P ost 22 .7 7±4 .7 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 에 있어서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19 .22±5 .76으로 나타났으며, P ost 22 .66±2 .9 1로 10주간의 신체활동 참여가 여성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여성에 있어서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11>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측정결과

그림 1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의자

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 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여성에 있어서도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6> 아령들기(Arm c url)의 결과 단위:횟수/ 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26.66±6.9 1

.6 14

Post 9 27.33±5.97

여 Pre 9 24.33±3.20

.0 19*

Post 9 26.88±2.75

*P<.05, **P<.0 1, ***P<.00 1

<표6 >의 암컬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26 .66±6 .9 1 로 나타났으며, P ost 27 .3 3±5 .9 7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암컬의 점진 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암컬 향 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 서는 P r e 24 .3 3±3 .2 0으로 나타났으며, P ost 26 .88±2 .7 5로 10주간의 신 체활동참여가 여성의 암컬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암컬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

<그림12> 암컬 측정결과

그림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암컬 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암컬의 향 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 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 유연성

<표7> 좌전굴의 결과 단위:cm

구분 N M±S D Sig

남 Pre 9 - 2.22±9.39

.0 13*

Post 9 3.3 1±8 .54

여 Pre 9 11.46±5.65

.006**

Post 9 16.82±5.26

*P<.05, **P<.0 1, ***P<.00 1

<표7 >의 좌전굴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 2 .22±

9 .39로 나타났으며, P ost 3 .3 1±8 .5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좌전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에 있어서의 좌전굴 향상의 정도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P r e 1 1.4 6±5 .6 5로 나타났으며, P ost 16 .82±

5 .26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참여가 여성의 좌전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의 좌전굴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 <.0 5) .

<그림13> 좌전굴 측정결과

그림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좌전 굴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좌전굴의 향상 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8> 견관절 유연성의 결과 단위:cm

구분 N M±S D Sig

남 Pre 9 - 2.58±12 .90

Post 9 - 4.05±9.62 .739

여 Pre 9 - 7.33±10 .64

Post 9 - 2.3 1±10 .40 .255

*P<.05, **P<.0 1, ***P<.00 1

<표8 >의 견관절 유연성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 2 .58±12 .90으로 나타났으며, P ost - 4 .0 5±9 .62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견관절 유연성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 7 .33±10 .64로 나타났으며, P ost - 2 .3 1±10 .4 0으로 10 주간의 신체활동이 견관절 유연성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견관절 유연성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4> 견관절 유연성 측정결과

그림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견관 절 유연성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 Gr ou p에서는 견 관절 유연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에 있어서의 향 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 민첩성

<표9> Timed up- a nd- go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D Sig

남 Pre 9 4.30±0.48

.000***

Post 9 3.73±0.34

여 Pre 9 4.82±0.76

Post 9 4.28±0.64 .090

*P<.05, **P<.0 1, ***P<.00 1

<표9 >의 타임 업 앤고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4 .30

±0 .4 8로 나타났으며, P ost 3 .73±0 .3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Tim ed u p- a 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에 있어서의 Tim ed u p- a n d- go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만큼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4 .82±0 .76 으로 나타났으며, P ost 4 .28±0 .64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Tim ed u p- a n d- go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성 에 있어서의 Tim ed u p- an d- go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5> Timed up- a nd- go 측정결과

그림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는 Tim ed u p- a 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에 있어 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여성 Gr ou p에서 도 Tim ed u p- an d- go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 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 평형성

<표10> 눈감고 외발서기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8.2 1±6 .66

.583

Post 9 9.22±9 .40

여 Pre 9 5.86±3 .4 1

.954

Post 9 5.94±4 .09

*P<.05, **P<.0 1, ***P<.00 1

<표10 >의 눈감고 외발서기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8 .2 1

±6 .66으로 나타났으며, P ost 9 .22±9 .4 0으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눈 감고 외발서기의 점진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 성에 있어서의 눈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는 않았다(P <.0 5) . 반면 여성 Gr ou p에서는 P r e 5 .86±3 .4 1로 나타났 으며, P ost 5 .94±4 .09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눈감고 외발서기의 점진 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눈감고 외발 서기의 향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 5) .

<그림16> 눈감고 외발서기 측정결과

그림 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주간의 신체활동이 남성 Gr ou p에서 눈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에 있어서의 향상정 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여성 Gr ou p에서도 눈 감고 외발서기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의 향상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 반응시간

<표11> 반응시간의 결과 단위:sec

구분 N M±S D Sig

남 Pre 9 0.42±0 .10 .084

Post 9 0.35±0 .07

여 Pre 9 0.53±0 .13 . 170

Post 9 0.45±0 .09

*P<.05, **P<.0 1, ***P<.00 1

<표11>의 반응시간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0 .4 2±0 . 10 으로 나타났으며, P ost 0 .3 5±0 .07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반응시간의

<표11>의 반응시간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남성 Gr ou p이 P r e 0 .4 2±0 . 10 으로 나타났으며, P ost 0 .3 5±0 .07로 10주간의 신체활동에 따라 반응시간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