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획특집: 적정기술] 적정기술의 현재와 미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기획특집: 적정기술] 적정기술의 현재와 미래"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적정기술의 현재와 미래

박 순 호 그린엔텍(주)

Present and Future of Appropriate Technology

Soonho Park

Green EnTech Co., Ltd

Abstract: 적정기술은 저개발국 현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되는 기술이다. 적정기술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로서 가져야 일반적인 성능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적정기술로서의 특성도 갖추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적정기술이 추구해야 할 목적과 방향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실패 사례와 성공 사례를 검토하였다. 또한 일반 기술과 적정기술의 비교를 통해 적정기술이 적정기술로서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공 적인 적정기술의 개발과 적용을 위해서 거쳐야 할 필수적인 개발 단계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거쳐 실제로 개발되고 적용된 국내외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앞으로 적정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가야할 방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Keywords

: Appropriate technology, sustainable technology, proven technology, drinking water

1. 서 론

1)

과학 기술과 산업의 발전으로 많은 선진국 주민 들은 경제적인 풍요와 생활의 편리함을 누리고 있 는 반면 전 세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과 아프리카 지역의 저개발국 주민들 은 이러한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한 채 기아와 갈 증, 각종 질병에 시달리며 빈곤의 악순환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때문에 UN에서도 새천년 MDGs 목표를 설정하고 열심히 노력하고 많은 지원을 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고통받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소외된 사람들 에게 식량과 물 등 생존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것 을 공급하고 나아가서 이들에게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빈곤의 악순환을 벗어나 인간다 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훌륭한 도구 중의 하나가 바로 적정기술이다. 적정기술은 어떤 기술 인가 하는 논제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각각 다른

저자 (E-mail: shpark@getc.co.kr)

생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정기술에 대해서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그 추구하는 목 표와 적정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따뜻하고 지속 가능한 융합 기술’이라고 하는 것도 적정기술에 대한 하나의 정의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정의를 기초로 적정기술의 여러 측면을 살펴보고 적정기술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여러 사례들을 살펴 보기로 한다.

2. 적정기술의 목적과 개발 방향

일반 기술의 최종 목적은 결과적으로 이윤의 극 대화이기 때문에 기술의 개발 과정과 방향이 모두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와 달리 적정 기술은 그 시작점에서부터 반드시 그 대상과 목적 이 분명히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적정기술의 정의에 있는 “따뜻한”이라는 단어는

바로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다. 적정기술은 현대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개발국 현지 주민들

(2)

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기 때문에 이들의 생존문제 해결과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모든 초점 을 맞추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3. 일반 기술과 적정기술의 비교

3.1. 일반 기술과 적정기술의 유사점

적정기술은 그 목적과 방향은 일반 기술과 다르 지만 성능 면에 있어서는 일반 기술과 동일한 효 과를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어 펌프라면 그 형태 나 재료와 상관없이 반드시 목표한 양정과 양수량 을 만족해야 하고 현지의 열악한 상황에서도 망가 지지 않고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내구 성도 확보해야 한다. 이처럼 기술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반 기술과 유사한 과 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기술 개발을 수행해본 많은 사람들이 경험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기 술은 단순히 한두 번 성능을 나타내었다고 완성되 는 것이 아니다. 실험실규모의 테스트에서부터 프 로토 타입 운전, 파일럿 운전 등 여러 단계를 거쳐 개발되고 실제 현장에서도 검증되어야 완성되는 것이다. 적정기술도 반드시 이러한 성능에 대한 검증을 거쳐 완성되어야 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일반 기술과 동일하다.

3.2. 일반 기술과 적정기술의 차이점

적정기술을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과 일반 기술 을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현 지화와 지속가능성의 확보 부분이다. 제품의 현지 화란 저개발국의 열악한 전력, 물류, 자재 수급 등 의 인프라 환경을 반영하여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 하는 과정을 말한다.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사 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 등 대체 전력을 함께 제공 한다거나 부품과 재료들을 현지에서 수급이 가능 한 것으로 대체하는 것, 자동화보다는 인력 사용 을 위주로 설계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지속가능성의 확보란 현지 주민들의 현저하게 낮은 소득 수준에서도 외부 지원을 최소 화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부

분은 제작 단가, 물류비, 유지관리비를 모두 최대 한으로 낮추는 것으로 대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서 일반 기술로 제품을 만드는 것과는 다른 선택 을 해야 한다. 첫째로 제품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핵심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부가 기 능은 과감하게 포기하여야 한다. 일반 기술로 만 들어진 제품의 경우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제품 의 핵심 기능 외에도 고객의 편의성 확보, 심미적 인 측면 등을 고려하여 여러 부가 기능을 추가하 는 것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제품의 구성품 중 부피가 크고 인력이 많이 필요한 부분은 그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 더라도 저개발국 현지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적정기술 제품이 적용되고 보급되는 지역이 대부분 유통망이 거의 갖추어지지 못해 물 류비가 매우 비싼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외부 공급은 물류비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현지 기술 수준으로는 생산이 불가능한 부분에 한해서만 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들을 동원하여 일인당 일 소득이 대 부분 1$ 이하인 사람들이 외부 원조 없이 스스로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 로 지속가능성 확보의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최 소한의 운영비를 제외한 이윤을 모두 포기해야 하 기 때문에 적정기술은 이윤을 추구하는 일반 기술 과는 차이가 있다.

4. 적정기술의 실패와 성공 사례

적정기술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는 플레이 펌프 이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들의 놀이 활동 을 통해서 물을 끌어올려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하 겠다는 아이디어와 취지는 정말 혁신적인 것으로 보였고 이에 미국 정부는 총 1,000만$의 재정을 투입하고 민간협력 자금 500만$를 동원하여 약 1,800기가 사하라 이남에 이 플레이 펌프를 설치 하였다. Figure 1은 이 플레이 펌프에 대한 개념도 이다.

이 개념도에는 펌프의 작동원리가 아이들이 회

(3)

제품명 핸드펌프 형태 기준양정

(용량) 주요 적용국

Rower pump Suction-row 6 m

(80l/min) Nigeria New No. 6 Suction 7 m

(36l/min) Bangladesh Swiss Pedal Suction-treadle 7 m

(60l/min) Cambodia NZ/Canzee Direct/Plunger 12 m

(20l/min) Ghana Bucket Pump Bucket pump 15 m

(10l/min) Zimbabwe Tara Direct action 7 m

(24l/min) Bangladesh Afridev Direct action 7 m

(26l/min) Kenya India Mark II Piston 7 m

(12l/min) India Consallen Piston 7 m

(14l/min) Liberia

U3 Piston 45 m

(10l/min) Nigeria Afridev Piston 24 m

(22l/min) Zimbabwe Vergnet Diaphragm 7 m

(24l/min) France Monolift Progressive

Cavity

60 m

(9l/min) So. Africa Rope pump Rope & disk 60 m

(8l/min) Nicaragua Bush pump-B Piston 60 m

(8l/min) Zimbabwe Volanta Piston 80 m

(4l/min) Niger 출처 : www.cee.mtu.edu/peacecorps

Table 1. 핸드 펌프의 종류별 성능 지표

Figure 1. Play Pump의 작동 개념도.

출처: www.playpump.co.kr.

전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 수를 끌어올리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외의 어느 자료에도 이 펌프의 양정이 어느 정 도이고 어느 정도의 인력이 가해졌을 때 시간당 양수량은 얼마인지 하는 등의 펌프로서의 기초적 인 성능 자료가 전무하다. 이는 이 플레이 펌프를 보급하기 전에 먼저 이 장치가 과연 펌프로서의 성능을 갖추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 없었기 때 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이 플레이 펌프가 거의 다 설치된 이후 국경 없는 기술자회에서 실제 핸 드 펌프와의 비교테스트를 한 결과 동일 조건에서 핸드 펌프의 경우 약 40 L/min의 양수량을 나타내 었지만 플레이펌프의 경우 양수량이 약 6 L/min 에 머물렀다. 다음으로 지속가능성 확보 측면에서 살펴보면 우선 이 플레이 펌프의 설치비용은 한 기당 대략 83,000$로서 일반적인 핸드 펌프의 설 치가격인 120∼300$의 276∼691배 수준이다. 플 레이 펌프의 양수량 대비 설치 비용을 계산해보면 더 차이가 큰 데 핸드 펌프 설치비용을 최대로 잡 더라도 약 1,800배 수준이다. 이 플레이 펌프 사례 에 나타난 기본적인 성능에 대한 검증 부재, 지속 가능성에 대한 검증 부재는 그동안 적정기술이라 는 이름으로 포장된 수많은 실패사례의 대표적인 원인이다.

이와는 대조적인 적정기술의 성공사례가 바로 플레이 펌프와 비교되는 핸드 펌프이다. 물론 이 제품도 보급과정에서 설치 후 수리가 안되어 방치

된 사례도 있지만 이 부분은 운영상의 부분으로

따로 논의되어야 할 부분이고, 기술적인 부분만을

놓고 검토해보면 매우 우수한 적정기술의 사례임

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핸드 펌프가 성공한 적정기

술이 된 첫 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도 수십 년

동안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데 사용해 왔고 그 성

능에 대해서는 아무도 의심하지 않을 정도로 검증

된 기술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 핸드 펌프가

성공한 적정기술 제품이 된 이유는 다양한 국가와

(4)

Figure 2. Hand Pump의 구성 도면.

출처 : www.vossfoundation.org

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해 정량적인 성능 지표들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 핸드 펌프의 제작 방식에 따라 지하 몇 m에서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지 사 람의 인력으로 어느 정도의 물을 끌어올릴 수 있 는지 등의 제품의 성능에 대해서 여러 저개발국 현장에서 운영하면서 검증하였다. 다음 표는 이 핸드 펌프들의 종류별 기본 성능 자료를 요약한 것이다. 이 표에 정리된 것처럼 핸드 펌프는 국가 마다 제품의 가동방식이나 형태는 조금씩 다르고 사용하는 재료도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핵심 성능 이 동일하기 때문에 어디서나 기본적인 성능을 발 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핸드 펌프가 성공한 적정기술 제품 이 된 것은 이 검증된 성능을 기초로 도면화, 계량 화를 했기 때문이다.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이 핸 드 펌프의 제작도면을 구할 수 있으며 그 작동원 리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설치에 있어서도 매우 체계적이고 자세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어 설치 작업자가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 고 지속가능성의 확보 측면에서도 캄보디아, 에티 오피아 등의 일부지역이기는 하지만 별도의 지원 이 없이도 판매되고 설치되고 있어 이 부분도 만 족하고 있는 대표적인 적정기술 성공사례라 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이 핸드 펌프의 작동원리와 구 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5. 적정기술의 개발 과정

적정기술의 개발 과정은 일반 기술의 개발 과정 과 약간 다른 과정을 거치는 데 가장 첫 번째 단계 는 적용 대상 현지의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단순한 문헌상의 내용을 넘어서 실질적인 현지 방문, 현지에서 오래 거주한 한국의 장기봉 사요원들과의 면담, 실제 현지인들과의 다양한 면 담을 통해서 정말 현지 주민들이 필요로 하고 해 결하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두 번째 단계로는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기본 원리들을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적정기술이 라는 미명하에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되고 검증된

기술의 기본원리를 무시하고 만들어진 제품들이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깝다. 기술이라는 것이 한두 사람의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아닌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개선 된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 원리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세 번째 단계로 적정기술 개발을 통해서 구현하

고자 하는 기능을 가진 상용화 제품들에 대해 충

분히 검토해야 한다. 상용화된 제품들은 기술이

완성된 이후에도 제품으로서의 기능과 경쟁력을

갖기 위해 다양한 시장 상황에 대한 검토, 디자인

에 대한 고민, 내구성에 대한 검증, 경량화, 생산단

가 절감 등 수많은 난관들을 극복하고 만들어진

것이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많은 제품들이 이러

한 과정을 겪은 것이기 때문에 이 상용화된 제품

(5)

항목 측정값

Pore size ~ 0.2 µm

Typical flow rate 1-3 L/hour Install Cost 7.50∼9.50 USD replacement Cost 2.50∼4.00 USD

Life-span 1 year (25L/day 사용시)

초기 1년 유지비 1.1 USD/m3

1년 이후 유지비 0.27 USD/m3 출처 : Water-SHED

Table 2. 세라믹 필터의 성능 지표

들이 적정기술을 통해 개발될 제품의 성능에 대한

가이드를 줄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로는 제품으로서의 성능을 발휘하 기 위해 꼭 필요한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을 구분 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핵심 기능에 집중하고 부가 기능을 과감하게 배제하는 새로운 설계는 성공적인 적정기술 개발의 중요한 키워드 가 된다. 다섯 번째 단계는 핵심 기능에 대한 검증 이다. 프로토 타입의 제품을 대상으로 어떤 상황 에서도 이 핵심 기능의 성능이 발휘하는지 철저하 게 검증해야 한다.

여섯 번째 단계로 현지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해 야 한다. 핵심 기능이 저개발국 현지에서 구현이 가능하다면 현지 제작이나 현지 조달로 진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부분은 국내에서 제공해 주 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핵심 기능에 대해 서는 과도한 운송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소형화, 경량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동시에 이 핵심 기 능 이외의 부가 기능에 대한 부분은 최대한 현지 에서 조달 또는 제작이 가능하도록 제품을 디자인 해야 한다. 이렇게 디자인되고 설계된 제품을 실 제 적용 대상이 되는 현지에서 장기 운전을 통해 검증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는 실제 성능 목표를 달성했는지, 실제 유지관리비용은 어떤지 반드시 정량적으로 검증하여야 한다.

일곱 번째 단계로 이 제품에 대한 표준화와 규 격화, 매뉴얼화를 진행해야 한다. 누구라도 제품의 도면을 보고 매뉴얼을 보면 그 원리를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 단계는 상용화 단계로서 제품이 현지인들의 구매 력에 의해 실제로 판매되고 보급될 때 비로소 하 나의 적정기술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6. 국내외 적정기술 개발 및 적용 사례

6.1. 해외 적정기술 개발 및 적용 사례 해외에서 적정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개발과 연 계하여 보급하는 대표적인 기관들로서는 독일 브 레멘 주 의회의 지원을 기반으로 하는 BORDA

(Bremen Overseas Research and Development Association)와 방글라데시에서 태양광전력보급사 업, 소형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개발 보급하는 사 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Grameen Shakti 등 여러 기관들이 있다. 이러한 기관 중 캄보디아에 기반을 두고 물과 위생에 대한 적정기술 개발과 보급을 수행하고 있는 Water-SHED Cambodia의 사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2000년대 초를 기준으로 약 66%의 사람들이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했 던 캄보디아에서 Water-SHED는 현지에서 제작 가능하고 미생물을 여과할 수 있는 세라믹 필터를 개발하여 실험실 규모에서 미생물 제거 효율을 평 가하였고 현장 테스트를 통해서도 성능을 검증하 였으며 유지관리 비용도 산출하였다. Table 2는 그 검증된 수치들이다.

다음으로 세라믹 필터의 지속 가능성을 모니터 링하였는데 보급된 세라믹 필터는 98% 정도가 사 용되고 있으며 75% 정도는 1년 이후 필터를 교체 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모니터링 되 었다.

다음으로 진행한 것은 바이오샌드 필터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다. 세라믹 필터와 마찬가지로 그

원리가 명확한 미생물 제거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이오샌드 필터를 표준화하여 제작한 후 실험실

과 현장에서의 검증을 거쳐 가정에 보급하는 일을

수행하였다. 다음은 테스트가 진행 중인 바이오샌

드 필터의 사진이다(Figure 3).

(6)

항목 측정값 단면적 ∼ 0.3 m3 (0.9 m Height) Typical flow rate 45 L/hour

Install cost 15.5 USD replacement 2.50∼4.00 USD

Life-span 10 year

Table 3. 바이오샌드 필터의 성능 지표 Figure 3. 바이오샌드 필터 테스트 사진.

출처: Water-SHED

Figure 4. 간이 미생물 측정 장치.

출처: Water-SHED

Table 3은 이 테스트를 통해 검증된 바이오샌드 필터의 성능 지표들을 나타낸 것이다.

지속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90% 이상이 보급 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른 분야의 적정기술로서는 간편한 미생물 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보급하였는데 Figure 4는 미생물 측정 장치 사진이다.

이 장치는 수인성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들 을 기온이 높은 캄보디아의 기후를 활용하여 간단 하고 저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치로 세라믹 필 터나 바이오샌드 필터의 효율을 평가하거나 사용 하고 있는 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용 하고 있다.

6.2. 국내 적정기술 개발 및 적용 사례 국내의 적정기술 개발 동향을 보면 크게 두 가 지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데 첫 번째는 대학

생들을 주축으로 여러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가능 성을 논의하는 경진대회 형태의 적정기술 개발과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경험과 역량을 모아 진행하 는 개발 과정이다. 전자의 경우 적정기술의 필요 성을 알리고 적정기술에 대한 인식 확대 차원에서 는 의미가 있지만 실제 사용 가능한 적정기술의 개발에 대한 기여도는 낮은 편이므로 전문가 집단 에 의한 적정기술 개발 동향만을 소개한다.

국내에서 적정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많 은 기여를 하고 있는 민간단체로는 (사)나눔과 기 술과 (사)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가 있다. (사)나눔 과 기술은 대전 연구단지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기술로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나누는 것을 목표로 2009년부터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 는 적정기술 영콜로키움 워크샵, 소외된 90%를 위한 공학설계 경진대회 등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 한 홍보, 교류, 기술 공유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캄보디아의 태양광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사)국 경없는 과학기술자회는 다양한 학계 구성원의 특 성을 살려 적정기술국제컨퍼런스 개최를 통한 네 트워크 구축, 해외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적정기 술의 보급,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등을 하고 있으 며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한 캄보디아 물적정기 술센터의 주관기관으로서 적정기술의 개발과 보 급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의 적정기술 개발 및 적용 사례로서 환경부

(7)

항목 내용

필터 구성 Sediment filter, Cation filter, Activated carbon filter, Ultra filter

Solar Panel 용량 10 W

생산량 60 L/hour, 240 L/day

생산수질 먹는 물 수질 기준 만족

설치 비용 400 USD

필터 교체 비용 50∼75 USD/year

필터 교체 주기 4∼6 month

유지관리비용 0.54∼0.86 USD/m3

Table 4. 소형 정수 패키지의 성능 지표

Figure 5. 캄보디아에 설치된 소형 정수 패키지.

출처: 그린엔텍 주식회사

의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사업의 에코스마트 상 수도 사업단의 지원으로 진행된 내용을 소개하고 자 한다. 2011년부터 시작된 ‘다목적 소규모 정수 처리 패키지 개발’ 과제에서 저개발국에 적합한 정수처리 공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주제를 가지 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앞서 언급한 캄보디아의 경우 가정용 정수 장치는 세라믹 필터와 바이오샌 드 필터와 같이 이미 검증되고 효과적으로 보급되 고 있는 적정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 보다 규모가 큰 공동체를 위한 적정기술 개발과 적용을 시도하였다. 적용 대상은 캄보디아의 Heaven Village Organization이라는 상주 학생이 30명 정 도인 보육 시설로서 세라믹 필터로 빗물을 정수하 여 식수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식수 생산량이 적어 보다 용량이 큰 정수장치에 대한 요구가 분명한 현장이었다. 또한 건기의 경우 빗물만을 이용하여 식수를 생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경도가 높은 지하수도 식수원으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현장 조사를 통해 상수원으로 사용될 빗물의 수 질과 지하수 수질을 확인하였고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충분한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 안을 강구하였다. 유지관리의 편의성과 안정된 수 질의 식수 생산을 위하여 핵심기능으로 멤브레인 필터와 소형 펌프를 선정하고 가장 적합한 상용제 품들을 검토하였다. 국내의 경우 정수기가 일반적 으로 많이 보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정수 필터들을 쉽게 구할 수 있었고 이를 소형펌 프와 조합하여 현지에서 정수장치를 쉽게 설치하 였다. 부가 기능으로서 필터 프레임, 원수탱크, 식 수 탱크, 태양광 설비와 배터리 등은 현지에서 구 매하여 설치하였다. 다음은 이 캄보디아의 보육시 설에 설치되고 2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소규모 정 수 패키지 사진이다.

초기 1년 정도의 운전 결과를 통해서 보육시설 에 거주하는 30명이 충분히 식수와 주방에서 사용 하는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검증된 주요 성능과 유지관리 비용은 다음과 같다. 이 유지관리 비용에는 필터의 운송 비나 펌프의 교체비까지 포함되어 있다.

1년 이상의 현장 운전을 통해 검증된 성능을 바 탕으로 시설을 늘려 인근의 초등학교와 마을 주민 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역시 핵심 기능은 동일하게 멤브레인 필터와 소형펌프 가 담당하고 필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sand filter를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VC pipe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설치하였다. 다음은 공동체용 식수 공급 시설 구성도와 실제 설치된 사진이다.

이 설비 역시 1년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건기에 인근 주민 500명 정도에게 식수를 공급하

는 설비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 이

설비의 운영 결과로 검증된 주요 성능과 유지관리

비는 다음과 같다.

(8)

항목 내용

필터 구성 Sand filter, Sediment filter, Cation filter, Activated carbon filter, Ultra filter

Solar Panel 용량 50W

생산량 180 L/hour, 1,800 L/day

생산수질 먹는 물 수질 기준 만족

설치 비용 800 USD

필터 교체 비용 112∼150 USD/year

필터 교체 주기 6∼8 month

유지관리비용 0.17∼0.22 USD/m3

Table 5. 공동체 규모 정수 패키지 성능 지표

Figure 6. 공동체 규모 정수 패키지 구상도.

Figure 7. 캄보디아의 공동체 규모 정수 패키지.

출처: 그린엔텍 주식회사

Sand Filter에 의한 전처리로 필터의 수명이 길 어져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설비는 현지에서 지속적으로 필터를 구매하여 직접 교체하여 운영하고 있어 지속가능 성도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지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더 표준화되고 소형화된 소규모 정수처리 패키지를 개발하였으며 이 제품은 캄보 디아 뿐 아니라 베트남, 가나, 몽골, 부르키나파소, 필리핀, 브라질, 에티오피아, 세네갈 등에 판매 또 는 보급되었고 현재도 지속적으로 구매 수요가 있 어 지속가능한 적정기술 제품의 가능성을 보여주 고 있는 사례이다. 이 사례는 또한 기술적인 측면 에서 전통적인 적정기술로 알려진 sand filter와 첨 단기술인 멤브레인 필터 기술, 태양광 발전 기술

이 유기적으로 융합될 때 진정한 성능을 발휘하는 적정기술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7. 적정기술의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

적정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가장 먼 저 적정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지표들을 확립 해야 한다. 이 평가지표에는 개발된 적정기술이 기본적으로 기술로서 가져야 할 성능 지표와 적정 기술로서 갖추어야 할 특성 지표들이 반드시 함께 반영되어야 한다. 현재 KOICA와 미래창조과학 부, 환경부 등 적정기술을 통한 ODA를 추진하고 있는 기관들에서 이에 대한 평가 기준 마련을 위 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이 새로운 평가 기준으 로 기 사용 중인 적정기술들을 평가해보면 어떤 기술 개발과 보급 방향이 더 적정기술로서 적합한 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개발된 적정기술을 해외에 적용하기

전에 실제 해외 현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평가하고

기술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국내

적정기술 거점센터 구축이 필요하다. 이 국내 적

정기술 거점센터를 이용하면 개발자는 해외에서

의 테스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해외 현지 주

민들은 보다 검증된 적정기술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현재 캄보디아에서 운영하고 있는 물 적정기술 센

(9)

Figure 8. 캄보디아 물 적정기술 센터 구성도.

출처: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터와 같이 저개발국 현지에서 실제 설치하고 운영 해봄으로써 적정기술을 검증하고 개선안을 도출 할 수 있는 해외 적정기술 거점센터의 운영이 필 요하다.

다음 Figure 8은 캄보디아에 설치된 물 적정기 술의 기능과 역할을 도식화한 것으로 앞으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수요조사, 적정기 술의 현지화 연구, 개발된 적정기술의 테스트 현 장 제공, 적정기술 보급 시범사업 등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이 센터는 물 분야에 대해 이러한 역 할을 수행하지만 앞으로 에너지, 농업, 생물자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적정기술 해외 거점센터가 구축 되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적정기술의 최종적인 목표인 저개 발국 현지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 는 적정기술의 보급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 로 적정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 적정 기술이 현지 주민들의 의식제고를 위한 교육프로 그램과 소득창출을 위한 지역개발프로그램 속에 포함되어 보급되고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 으로 이러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

대된다.

8. 맺음말

적정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보급되어 소

외된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따뜻하

고 지속 가능한 융합 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과 같은 양극단의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 전자는

해마다 적정기술 관련 여러 경진대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로서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아이디어 차원의 기술을 적정기술

이라고 제시하고 검증 과정 없이 바로 저개발국

현지에 적용하려는 태도이다. 후자는 현지의 상황

과 현지 주민들의 기술 수준, 수요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첨단 기술을 적정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여 현지에 적용하려

는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들을 버리고 본래 적정

기술이 가져야 할 지향점과 특성들을 기억하고 현

지의 상황과 현지 주민들의 경제적인 상황에 적합

한 완성된 형태의 적정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함으

로써 적정기술이 저개발국 현지 주민들의 삶의 질

(10)

박 순 호

1999 서울대학교 도시계획학 석사 2002 서울대학교 응용화학 박사

수료

2012~2013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 공학부 겸임교수 2002~현재 그린엔텍 기술연구소

연구팀장

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되기

를 기대한다.

수치

Figure  1.  Play  Pump의  작동  개념도.
Figure  2.  Hand  Pump의  구성  도면. 출처  :  www.vossfoundation.org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해  정량적인  성능 지표들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Figure  8.  캄보디아  물  적정기술  센터  구성도. 출처: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터와 같이 저개발국 현지에서 실제 설치하고 운영 해봄으로써  적정기술을  검증하고  개선안을  도출 할  수  있는  해외  적정기술  거점센터의  운영이  필 요하다

참조

관련 문서

○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수급 및 가격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 내 축산물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계열업체들의 과다 경쟁을 지양하고 축산업 발전을

농업 부문의 지원은 농업경제 번영과 농촌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일련의 정부조치로서, 이 러한 조치들은 기본적인 농업생산여건 개선에서부터 시작되며 농업기술,

OECD,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ITF), How Urban Delivery Vehicles can Boost

적정기술의 도입을 통한 과학기술공학적 행위의 의미와 가치의 인식 고양... 인공근육을 이용하여 로봇문어의

제시된 상황 이나 활동을 학생 스스로 가 해결해야하는 상황으 로 인식시키기 위한 과정 이

∙미래 산업현장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IT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하기 위한 범정부적

그러므 로 이 당시는 동화를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만한 아동 서사물 정도 로 이 당시는 동화를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만한 아동 서사물 정도

l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의 바이오제약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규모 제약회사들이 난립되어 있는 제약산업을 적극적으로 구조조정해서 세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