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제 발전을 위한 도시와 중산층의 역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경제 발전을 위한 도시와 중산층의 역할"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다 이이 앤앤 데데 이이 비비 스스 (( DD ii aa nn ee DD aa vv ii ss ))

강현수 | 중부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인터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환경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중부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 이며, 현재 미국 MIT 대학교에 방문 교수로 있다. 전공분야는 도시 및 지역 계획으로, 산업입지, 지역경제정책, 정보통신의 공 간적 영향 등에 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신지역발전론」(공저, 2009), 「디지털 시대 의사소통의 장소로서 도시 의 역할과 형태」(2007), 「유럽의 지역발전정책」(공저, 2003), 「공간의 정치경제학-현대 도시 및 지역 연구」(공저, 2003) 등이 있다.

다이앤 데이비스 교수는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를 졸업하고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에서 사회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뉴스쿨(New School) 대학교수를 거쳐 현재 MIT 대학교 도시연구 및 계획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도시의 갈등과 폭력, 도시 정치와 거버넌스, 도시와 국가발전 사이의 관계 등이다. 주요 저서는「Cities and Sovereignty: Nationalist Conflicts in the Urban Realm」(공편, 2009), 「The New Sociological Imagination」(공편, 2006) 등 이 있으며, 한국을 소재로 쓴 책「Discipline and Development: Middle Classes and Economic Prosperity in East Asia and Latin America」(2004)로 미국 사회학회(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의 올해의 최우수 저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 interview

Davis

Diane

(2)

강현수(이하‘강’):바쁘신 중에도 불구하고, 이메일 인터뷰를 승낙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국토연구원을 대신하여 감사드립니다. 먼저 국토연구원에서 발행 하는「국토」의 독자들을 위해 교수님 자신을 간단히 소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 니다. 교수님은 그간 많은 훌륭한 책들과 논문들, 특히 한국과 관련된 책「규율 과 발전(Discipline and Development)」을 출간하였지만, 상대적으로 한국 독 자들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못한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경력과 그 동안 하신 일 들, 지금 하시고 계신 일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이앤 데이비스(이하‘데이비스’):저도 강 교수님과 이렇게 이야기하면서 국토연구원의 전문가들 및 한국의 여러분들과 제 생각을 나눌 기회를 가지게 되어 영광입니다.

저는 지금 MIT 도시연구 및 계획학과에서 정치사회학 분야 교수로 있으면 서, 국제 발전 그룹의 책임을 맡고 있습니다. 또 MIT 건축 및 계획 대학의 부학 장과 국제연구센터 일을 맡고 있습니다. 저는 시카고에 있는 노스웨스턴 대학 에서 사회학 및 지리학 학사를, UCLA에서 사회학 석사와 박사를 받았습니다.

MIT에 오기 전에는 뉴스쿨 대학 사회학과에서 사회조사 책임을 맡았었고, 웨슬리, 하버드, 터프스, 브라운, 브랜다이스 대학 및 멕시코 엘 꼬레지오데 대 학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다가 2001년부터 MIT에 합류하였습니다. 저의 최근 연구 관심사는 도시의 갈등이고, 이 속에서 경찰의 부패와 폭력에 초점을 맞추 고 있습니다. 저는 1990년대 중반에 멕시코시티를 대상으로 이런 주제를 다루

경제 발전을 위한 도시와 중산층의 역할

강현수|중부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인터뷰)

강현수

(3)

Diane Davis:

The roles of cities and middle classes for economic development

Hyunsoo Kang(‘Kang’): I know you must be busy, but I am so happy that you

have agreed to do this e-mail interview. I extend grateful appreciation to you on behalf of the KRIHS.

▶▶ Diane Davis(‘Davis’): I am more than honor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speak to you and to share some of my thoughts with the rest of your urban planning colleagues at the KRIHS and in Korean society more generally.

Kang: First of all, w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for the Korean

readers of Planning and Policy? I feel that you remain relatively unknown to the Korean audience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ven though you’ve written a number of famous books and outstanding articles, in particular, the Korea- related book Discipline and Development. Please tell us briefly about your career, and tell us what kind of work you have done and are doing now.

▶▶ Davis: I am a Professor of Political Sociology in the Department of Urban

Studies and Planning, and currently serve a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Group. I have served a term as Associate Dean of the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at MIT, and also have an affiliation with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I hold a PhD and an MA from UCLA, both in sociology, and a BA in Sociology and Geography from Northwestern University in Chicago,

Diane Davis

(4)

면서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범죄 와 폭력이 도시 주민뿐만 아니라 정부 당국에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 다. 지금 저는 남미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동 유럽 후발 개발도상국들의 많은 도시에서 일어 나고 있는 폭력과 위험의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도시 갈등과 폭력에 관심을 갖기 전에는 도시 와 국가 발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을 집중했었습 니다. 저는 도시의 양상은 그 도시가 속한 국가 의 정치경제 발전의 우선순위가 반영되는 것이 라고 이해하는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멕시 코시티의 도시성장과 토지이용 패턴에 초점을 맞춘 저의 학위논문 연구 - 도시화와 토지이용 패턴을 연구하기 위한 렌즈로서 지하철 건설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였음 - 에서 저는 거의 반대되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멕시코시티 의 도시 상황은 토지이용과도 관련되어 있지만, 어떤 특정 정책들을 다른 정책들보다 더 선호하 는 정치연합과도 관련되어 있었고, 국가의 정치 경제적 양상의 토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이 것이 1994년 출간된 저의 첫 번째 저서「도시 리바이던(Urban Leviathan) - 20세기의 멕시코 시티」에서 주장했던 내용입니다 그 후 저는 주 로 라틴아메리카의 도시 거버넌스와 정치에 관 한 연구를 시작했고, 도시사회운동, 민주화 과 정에서 시민과 지방정부의 역할 같은 주제들에 대해 관심 있게 연구해 왔습니다.

강:미국 사회학회에서 2005년 정치사회학분 야 최우수 저서로 선정되었던 교수님의 저서

「규율과 발전-동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의 중산 층과 경제번영(Discipline and Development:

Middle Classes and Economic Prosperity in East Asia and Latin America)」(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에서, 교수님은 20세기 산업화 과정 동안 한국과 대만의 경제적 성장에 대비해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의 상대적 실패 과 정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비교한 바 있습니다.

교수님은 라틴 아메리카 전문가로 알려져 있는 데, 이 책에서 동아시아 국가에 관해 연구한 이 유는 무엇인지요? 덧붙여 이 책의 주요 논지를 저희들에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이비스:솔직히 말씀드려, 제가 동아시아 국가들을 공부하기 시작한 이유는 만약 제가 학 자로서 성공해서 종신교수가 되길 원한다면 멕 시코만 연구하지 말고 좀 더 많은 나라에 관심 을 가져야 한다고 한 동료 교수가 충고해 주었 기 때문입니다. 미국 학계가 지닌 문제이기도 한데, 특히 제가 초창기 경력을 쌓아나갈 당시 에는 미국에서 자국 중심주의가 매우 강했습니 다. 만약 어떤 사람이 미국에 대한 어떤 한 주제 - 교통, 토지이용, 정치, 로컬 거버넌스 등 무엇 이건 간에-만을 연구한다면, 아무도 그의 생각 이 부족하거나 그의 학식이 보잘것없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약 연구 대상으로 외 국의 한 나라를 선택한다면, 갑자기 동료들이 그를 협소한 관점을 가진 사람으로 생각합니다.

(5)

Illinois. Previous to MIT, I chaired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and conducted research and taught at Wellesley, Harvard, Tufts, Brown, Brandeis and El Colegio de Mexico. I joined the MIT faculty in 2001. My current research is focused on cities in conflict and, within that area, police corruption and police violence. I became interested in this topic as it applied to Mexico City, during the mid- 1990s, when I realized that crime and violence were becoming a significant problem for residents of the city, as well as for governing officials. Now, I am looking at problems of insecurity and urban violence in many cities of the late-developing world, not just in the rest of Latin America but also Africa and Eastern Europe.

Before turning to urban conflict and violence, my work revolved around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national development. I was trained to understand urban patterns as reflecting 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priorities, but for my dissertation research, which focused on urban growth and land use patterns in Mexico City (using the decision to build the subway as the lens through which to study urbanization and use patterns), I found almost the opposite. Urban conditions in Mexico City, both related to land use and to the political coalitions that favored one set of policies over another, laid the foundation for certain national patterns, both political and economic. This was the argument I made in my first book, Urban Leviathan: Mexico City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was published in 1994. After that, I began to work on urban governance and urban politics, again mainly focused on Latin America, and have studied such topics as leftist mayors, urban social movements, and the role that urban citizens and the local state played in the democratic transition.

Kang: In your seminal book, Discipline and Development: Middle Classes and Economic Prosperity in

East Asia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which was awarded the Winner of the 2005 Best Book in Political Sociology section by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you tried to compare the economic success of South Korea and Taiwan with the relative lack of success of Mexico and Argentina through a historical examination of each country during their twentieth century industrializations. Would you explain how you, a famous Latin America specialist, came to focus on these East Asian countries-especially, South Korea - and also let us know the main points of this book?

▶▶ Davis: Well to be completely frank, the reason I began to study East Asian countries was because a faculty mentor recommended that if I wanted a successful academic career, with tenure, I would need to focus on more than just Mexico to build my reputation. Part of the problem of US academia, at least in the years

(6)

물론 저는 그렇게 여기지 않지만, 어쨌든 조언 자의 충고를 따랐고, 연구대상 나라와 주제 범 위를 넓혔고, 결과적으로 그렇게 해서 종신교수 직을 얻었습니다.

저의 두 번째 저서인「규율과 발전」을 쓰도록 자극받은 두 번째 이유는, 그전까지와 다른 것 을 좀 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즉 다 른 도시를 공부하기보다는 아예 국가 수준으로 올라가자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제가 앞의 책

「도시 리바이던」에서 지역적 힘과 국가적 힘 사 이의 구분이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 래서 국가 경제 패턴에 관심을 가졌고, 멕시코 가 국가 경제발전 궤적에서 다른 개발도상국들 과 과연 다른지, 다르다면 왜 다른지를 이해하 려고 했습니다. 그러자 곧바로 왜 동아시아 국 가들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보다 경제적으로 더 성공했는지를 이해하려고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발전 이론의 시각을 통해서 동아시아와 라 틴아메리카 국가들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저 는 곧 중산층의 성장이 경제 발전의 결과라는 고전적 논의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는 발전이론에서 매우 강력하고 의심의 여지가 없 는 주장입니다. 그런데 저는 그 반대로 말하고 싶었습니다.

사물을 이해하는 전통적 방식을 뒤집자. 이것 이 사실 제가 학자로서 하고자 하는 기법입니 다. 일례로 저의 책「도시 리바이던」에서, 제가 전통적 관점을 뒤집으려고 노력했던 것은 개발 도상국의 도시들은 국가적 상황의 산물이라는

시각이었습니다. 저는 국가 차원의 정치나 공간 이용이 도시의 상황과 투쟁의 산물이지, 그 역 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두 번째 책에서도 저는 중산층이 발전의 결과라는 이론을 뒤집으 려고 했고, 한 나라가 경제적으로 발전할지 못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산층의 존재 (혹은 부 재) 여부와 이들의 행동 때문이라고 주장하였습 니다. 저는 중산층이 발전의 결과가 아니라 원 인이라고 보고 싶었습니다.

그렇지만 강 교수님은 왜 제가 동아시아 국가 사례로 한국과 대만을 선택했는지를 보다 구체 적으로 알고 싶으실 겁니다. 제가「도시 리바이 던」집필을 마쳤을 때인 1980년대 말에서 1990 년대 초에‘동아시아 호랑이들’에 관한 큰 논쟁 이 진행되었습니다. 즉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내부생산성이나 국제경쟁력이 갈수록 뒤처지고 있는데, 어떻게 동아시아 국가들이 그렇게 경제 적으로 성공했는지에 대한 논쟁이었습니다. 저 는「도시 리바이던」에서 멕시코시티의 성장이 도시와 국가 수준에서 정치적 동맹을 변화시켰 고, 그래서 멕시코의 거시경제적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기 때문에, 저도 이 논쟁에서 할 말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여러 개발도상 국들에서 중산층의 역할을 비교해서 이들 중산 층의 행동이나 지향이 거시경제발전 궤적의 성 공과 실패를 설명할 수 있을지를 알고 싶었습니 다. 한국과 대만은 분명히 성공했기 때문에 선 택했고,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는 실패했기 때문 에 선택했습니다. 더구나 저는 이들 네 나라가

(7)

when I was developing my initial career, is that it is very ethno-centric. If a person studies a particular topic in the United States-it could be transportation, land use, politics, local governance, or whatever-no one thinks that their ideas are limited or their scholarship is inconsequential. But select a country abroad, and all of a sudden your peers think you are narrow! I don’t believe any of this, of course, but I did follow the advice of my mentors, widened the range of countries and topics that I studied, and ultimately did get tenure for doing so.

The second thing said to me and that also inspired my second book, Discipline and Development, was that I should do something different: do not study another city. So I thought okay, I will jump to the level of the nation -as the distinction between local and national forces had been so important in Urban Leviathan - and I will look mainly at national economic patterns and try to understand whether and why Mexico is different from other developing nations in terms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ies. This soon pushed me to try to understand why East Asian countries were more economically successful than Latin America countries, of which Mexico was one. After I started working on East Asia and Latin America through the lens of development theory, I immediately became intrigued with the classic argument that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is a consequence of economic development. This is a very powerful and uncontested claim in development theory. I wanted to argue the opposite.

This in fact is a technique that I try to follow as scholar: to turn upside down conventional ways of understanding things. So in Urban leviathan, for example, what I was trying to turn upside down was the conventional view that cities in the developing world are the product of national conditions. That is, I argued that national politics and use of space (including urban and regional patterns) were a product of struggles and conditions in the capital city, and not vice-versa. In my next book, I sought to turn upside down the theory that the middle class is a reflection or a consequence of development, and argue that it was the actions and presence (or lack thereof) of the middle class that determined whether a country economically developed or not. I wanted to see middle class not as the consequence but as they cause.

But more specifically, you probably want to know why I chose to South Korea and Taiwan for my East Asia cases. When I finished Urban Leviathan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 big debate was raging over the ‘East Asian Tigers’ and how they were able to be so successful economically, while Latin America was falling further and further behind in domestic productiv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Because in Urban Leviathan I had looked at the ways that the growth of Mexico City had impacted macroeconomic development, by changing political coalitions at the urban and national levels, I knew I had something to say

(8)

비교하기에 매우 좋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대 만과 멕시코는 정치적으로 일당 지배 체제였고, 대만과 한국은‘관료적 권위주의’국가의 특징 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발전의 맥락에서 각 비교대상 국가들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찾기 가 유용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연구 설계를 할 때 예측하지 못 했던 가장 중요한 차이는 도시와 농촌의 양상 및 과잉도시화가 중산층의 역할 및 중산층과 국 가의 관계에 미친 영향이었습니다. 저는 동아시 아와 라틴아메리카 사이의 가장 큰 차이가 도시 화의 역사라는 사실과, 한국과 대만은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보다 더 농촌적이라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국가의 도시화 양상과 농촌적 유산의 차이로 인하여 동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 국가 들의 중산층 구조가 서로 아주 다르게 되었기 때문에, 도시 중산층과 농촌 중산층을 구별해야 했습니다. 이 연구 프로젝트에서 가장 좋았던 것 중의 하나는 제가 중산층, 도시화, 정치, 발전 사이의 관계에 관해 무언가 새로운 것을‘발견’

했다고 느꼈다는 것입니다.

강:교수님의 책에 관해 조금 더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이 책에서 교수님은 한 나라의 경제 성공의 핵심 열쇠는 자본을 규율할 수 있는 국 가의 역량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교수님 은 도시와 농촌 사이의 전후방 연계가 국가 발 전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하 셨습니다. 그러나 교수님이 이 책의 결론 부분

에서 이미 경고하신 바와 같이, 현재와 같은 지 구화 시대에는 다국적 기업이 시민사회를, 대도 시가 농촌을 압도하는 방향으로 힘의 균형이 변 하고 있기 때문에, 자본을 규율하고 도시와 농 촌 사이의 연계를 촉진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지 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새로운 환경에 서, 어떻게 한 나라나 지역이 지속가능한 경제 적 성공을 이룩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이에 대한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데이비스:강 교수님이 규율의 개념에 대해, 그리고 왜 규율이 한국과 대만의 경제발전 성공 에 그렇게 중요한 개념인지를 질문해 주셔서 감 사합니다. 괜찮다면, 세계화에 대한 강 교수님의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규율에 관한 저의 생각을 먼저 설명하고 싶습니다.

도시와 농촌의 중산층들 간에 정치적 행동과 충성도, 문화 등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면 서, 저는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 적 맥락과 함께, 정치 지도자와 발전정책에 대한 그들의 기대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시작했습니 다. 한국을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제가 놀랐던 점은, 한국의 농촌 중산층이 그 당 시 박정희 정권을 지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했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당시의 박 대통령을 매우 억압적이고 권위주의적인 독 재자로 보고 있습니다만, 저는 농촌의 중산층과 박 대통령이 가치를 서로 공유했다는 상당한 근 거를 발견했습니다. 사람보다는 돈벌이에만 관 심을 가지는 투기적 자본가에 대한 도덕적 반감

(9)

about this debate. I decided that I would compare the role of middle classes in a variety of developing countries, and see if their political actions or orientations helped explain successful or failed macro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ies. I picked South Korea and Taiwan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clear successes, and then threw Argentina into the mix, with Mexico, as the two failures. I also found that these four cases made a good basis for comparison. Both Taiwan and Mexico could be considered political regimes dominated by one-party rule, and both Taiwan and South Korea had been characterized as ‘bureaucratic- authoritarian’ states. So the matched pairs allowed me all sorts of ways to look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these developmental contexts.

Ultimately, however,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was one that I had not anticipated when I set up the research design: the impact of urban and rural patterns as well as over-urbanization, both on the role of middle classes and on the state’s relationship to them. I found that what most distinguished the Latin American from the East Asian cases was the history of urbanization, and the fact that South Korea and Taiwan remained rural so much longer than did Mexico and Argentina. These factors, in turn, pushed me to distinguish between urban and rural middle classes, precisely because national urbanization patterns and rural legacies made the middle class structures of East Asia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was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One of the nicest things that emerged from that research project was that I felt like I ‘discovered’ something n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classes, urbanization, politics, and development.

Kang: I would like to ask one more question about your book. In your book, you found that the key to a

country’s economic success is the state’s capacity to discipline capitalists. Also you emphasized tha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between city and countrysid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upporting national development. However, in the current era of globalization - as you warned in the conclusion of your book - where power balances are shifting to multinational corporations over civil society and to the large cities over the countryside, disciplining of capital and developing urban-rural linkages seems to be almost impossible. In this new environment, how can a country or region achieve sustained economic success? Would you please explain what your suggestion is?

▶▶ Davis: I am glad you asked me a bit more about the concept of discipline, and why it was so important to the story of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Taiwan. So if you don’t mind, I would like to explain my argument about discipline a little more before I get to your question about globalization.

(10)

이나 자기절제 같은 가치들을 함께 공유한 것입 니다. 저는 한국의 농촌 중산층들이 자본가들을 규율할 수 있는 역량을 국가에 주었다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저의 생각은 자본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동을 규율해야 한다고 전제했던 전통적 발전 이론의 지혜에 대한 도전이었습니다. 저는 누가 누구를 왜 규율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떠한 발 전의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일깨웠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는 농촌 중산 층이 정치적∙문화적으로 박 정권과 연대하게 되면서, 박 정권이 산업 자본을 규율할 수 있는 의지와 역량을 가지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이 한국의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한 하나의 원인입니다. 반대로, 만약 중산층이 국가가 자본 을 규율하도록 하기보다, 자본과 정치적 문화적 으로 연대하게 된다면, 자본은 보호주의의 우산 속에서 비효율적인 운영을 하게 되고, 따라서 경 제는 강해지지 못할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산층이 자본을 규율할 수 있을 지 여부는 그들이 어떠한 도시와 농촌 환경에 놓 여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전 멕시코와 아르헨 티나가 자본을 규율하지 못하고 경제 성공에 도 달하지 못한 이유 중의 하나가, 당시 너무 도시 화된 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대도시를 가지 고 있습니다. 이는 이들 국가의 중산층들이 도시 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이들 중산층들이 공간적으로 자본가들 옆에 거주하기 때문에, 공

간이 이들을 결속시켜서 서로 공통의 정치, 문 화∙사회적 이해를 공유하게 됩니다. 그러나 당 시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도시가 상대적으로 작고, 시민이나 전통, 관행 등이 보다 농촌적이 어서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동아시 아에서 저는‘후진성’의 이점을 발견했습니다.

도시화와 산업화를 통한 근대화의 실패로 인해 제가 농촌 중산층이라고 명명한 상당수의 농촌 소농인구를 있게 했습니다. 한국과 같이 덜 발전 했던, 그래서 보다 농촌적인 국가가 이점을 얻게 된 것은, 그들이 농촌 중산층의 역량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며, 이 역량은 상이한 공간 패턴에 기인한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동아시아 국가와 대부분의 후기 발전국가들은 누구나 수출을 하는 세계화된 세 상에서 서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모델 이 너무 성공적이어서 오히려 수출을 처음 시작 했던 동아시아 국가들의 세계적 위상이 약화되 는 면이 있습니다. 여기에 덧붙여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성공으로 인해 보다 도시화 된 국가로 변모하였습니다. 그 결과 원래의 농촌 적 지배가 약화되었고, 도시화 양상은 라틴아메 리카를 닮게 되었습니다. 경제적 세계화는 불균 형을 심화시키고 있고, 자유입지 자본은 부동산, 서비스, 정보통신 경제를 시장으로 삼으면서, 대 부분의 활동을 도시에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그 결과 도시 농촌의 전후방 연계는 더 이상 강하지 못하며, 세계 도시들은 이제 농촌 마을 및 농업 부문이 성장하고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약화시

(11)

My discovery that the political actions, allegiances, and cultures of rural and urban middle classes differed from each other got me analyzing about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 in which they lived, and their expectations from their political leaders and development policies. What most struck me about South Korea, in contrast to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in particular, was the important role that rural middle classes played in sustaining the Park regime. While most scholars have seen Park as a very oppressive and authoritarian tyrant, I found considerable evidence of shared values between Park and rural middle classes. One of those was the value of self-discipline, as well as a moral repugnance towards speculative capitalis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money-making than the people. Building on this material and other types of evidence about the cultural values associated with the hard life of agriculture, I made the argument that rural middle classes are what best endow the state with a capacity to discipline capitalists.

This idea also was a challenge to conventional wisdom in development theory, which presupposes that in order to develop capitalist have to discipline labor. I was shaking up the sense of who disciplines who and why, with what developmental consequences. More specifically, I suggested that once the rural middle class became politically and culturally allied to the Park regime, it had both the willingness and capacity to discipline industrial capital. This was part of what enabled economic success. Conversely, I suggested that if the middle class politically and culturally allied with capitalists rather than joining with the state to discipline them, capitalists were more likely to act inefficiently and under the cover of protectionism, and thus the economy would be less robust.

Finally, whether middle classes would support disciplining of capital depended on whether they were situated in rural or urban settings. I realized that one of the reasons that Mexico-and Argentina-was not able to discipline capitalists, and thus arrive at more economic success, was because it was so urbanized as a country.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had huge cities, which meant that their middle class tended to be more urban, and because they were located in space next to capitalists they also shared common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interests, because space united them in ways that did not happen in East Asia where cities were very small and the country’s citizens, traditions, and practices were more rural. East Asia, I discovered had the advantage of ‘backwardness’, in that the failure to modernize throug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endowed it with a sizeable rural population of small farmers, or what I call rural middle classes. It was the some of the ‘least developed’ more agrar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that had advantages, because they had rural middle class capacity and that capacity was contingent on different patterns in space.

(12)

키고 있습니다. 농촌 중산층이 사라져가면서, 자 본을 규율하는 일은 과거의 일이 되어버렸습니 다. 농촌 중산층이 자본을 규율한 역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받았던 한국 같은 나라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렇다면 강 교수님께서 질문하신 바처럼, 한 국 및 이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나라들의 미래는 어떠할까요? 이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저 는 농촌 발전 및 농촌-도시 연계에 대한 관심을 부활시키는 새로운 발전 모델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직감은 이러한 새로운 모델이 녹색 경제 및 지속가능성을 더 중시하는 인식의 토대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 지만 지금 대부분의 나라에서 하고 있는 피상적 인 방식으로 해서는 안 됩니다. 즉 도시-농촌 분 단을 유지하거나, 농촌 경제를 농업에만 의존하 거나, 기본적으로 과잉도시화 양상이 그대로 남 아있으며 겨우 주변적인 (태양에너지를 사용하 거나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등) 변화에만 머무르 고 있는 대도시에서 단기적 관점의 지속가능성 실천에만 관심을 쏟는 것으로는 안 됩니다. 제가 요구하는 바는‘국가 공간’에 대한 관심 재개와 더불어, 생산과 소비 경제 사이의 연결과 시너지 촉진을 위해 농촌 공간과 도시 공간의 활용에 더 큰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교수님이‘박정희와 그의 유산’을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에 참가하기 위해 올 가을 한 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들었습니다. 박 전 대

통령이 사망한 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그 시대의 유산은 여전히 한국에 긍정적인, 또 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이 지속가능한 국가경제 발전과 지역 간 균형 발전 을 이룩하기 위해서 박정희 시대의 긍정적 유산 은 계승하고, 부정적 유산을 극복하고자 할 때 지금 우리 한국인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 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데이비스: 아쉽게도 이번 가을 학술대회에 참석할 시간을 만들지 못했습니다. 만약 제가 참석했다면 저는 박 대통령이 수행한 성취를 굳 건히 하면서 그의 약점과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서 그의 시대를 특징지었던 정치발전과 경제 발 전의 상충 관계에 깊게 주목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이것이 제가 과거의 발전 행정에 대해 해석하려는 모든 분들께 드리고 싶은 충고 입니다. 때로 자국 지도자들을 연구할 때는 그 들 행위의 정치적 맥락을 남들보다 더 잘 압니 다. 하지만 자국 지도자들의 행위를 평가할 때 그들의 행위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 에, 여러 정책에 대한 자신의 선호에 근거하여, 지나치게 경직된 해석의 틀을 사용하게 됩니다.

한편 외국의 관찰자들은 그들의 국가 발전 경험 이나 지도자들에 대해 상이한 시각을 갖도록 도 와줄 수 있습니다. 물론 저 같은 외국의 관찰자 들이 항상 옳다거나 또 이렇게 바라보는 방법이 더 낫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상이한 해석의 렌 즈를 가져보는 것이 어떤 행동을 바라볼 때 도 움이 될 수 있습니다.

(13)

But in the contemporary period East Asia, and most late developers for that matter, are competing in a global world where everyone exports. That is the East Asian model was so successful that it holds the potential to undermine the global position of the East Asian countries that initiated it.

Additionall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 Korea, have been transformed by their prior successes, which have led to more urbanization. One consequence is an undermining of prior agrarian dominance and urbanization patterns that resemble those of Latin America. Economic globalization has further the imbalance, as footloose capital turns to real estate, services, and IT economies as a market, with most of these activities concentrated in cities. As a resul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are no longer strong and global cities are undermining the capacities of rural villages and the agrarian sector to grow, prosper, and compete. With rural middle classes disappearing, moreover, the disciplining of capital seems to be a thing of the past, even in a culture like South Korea where this history brought so many gains.

So what lies in the future for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a similar situation, you ask? That of course is the million dollar question. I would say that the developing world needs new models of development that revive a concern with rural development and rural-urban linkages, and that can moderate to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of over-urbanization. My gut sense is that these new models can be built around a better appreciation of green economies and sustainability. But not in the superficial way that most countries are doing this now, which includes keeping the same rural-urban divide, letting the economy of the countryside remain agrarian, and turning attention only to short-term sustainability practices in big cities where the basic over-urbanization pattern remains the same and changes are introduced only at the margins (like installing solar panels, incentiviz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etc.). I guess what I am calling for is a renewed attention to ‘national space’ and more innovation in uses of rural and urban space so as to facilitate connections and synergies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economies of both.

Kang: I know that you have been invited to visit Korea this fall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titled “Park Chung Hee and His Legacy”. I believe that the late president Park's positive and negative legacies still strongly impact Korea even though some decades have passed since his presidency.

What do you think are the most important tasks we Koreans now need to do to maintain his positive legacies and overcome negative ones, if we want to pursue sustainabl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14)

제가 박정희 정권을 연구할 때 사용했던 특정 렌즈에 근거했을 때, 저의 생각을 사로잡았고 또 한국의 장기적 번영에 기여했다고 여겨지는 지도자로서의 박정희에 대해 다음 세 가지를 강 조할까 합니다. 첫째는 그가 발전의 어떤 신념 에 있어서는 미국의 견해라고 하더라도 이에 반 대하겠다는 의지가 있었고, 장기적으로 미국의 지원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미국에 반대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둘째, 그는 도시가 발전의 주요 장소로 여겨지던 시대에 농 촌지역에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셋째, 미래 한국의 발전에 일종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외부 모델을 찾으려는 그의 의지입니다. 그는 덴마크 를 한국의 발전 모델로 삼았었는데, 이 나라의 농촌과 도시의 균형이 정치나 경제 측면에서 현 대적이고 또 진보적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끊임없이 바깥에 서 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본받을 만한 발 전모델을 찾을 때는 혁신적으로, 그리고 새로운 시각으로 과거와는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또 발전 모델을 선택할 때는 그 나라의 자원, 역사, 유산 등을 잘 이해해야만 합니다. 그 래야 단순히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 가능한 결실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강:교수님은 미국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라틴 아메리카와 동아시아 도시들을 전문적으로 연 구했기 때문에, 전 세계 도시들에 대해 객관적 이고 비교가능한 통찰력을 우리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교수님이 보시기에 미 국이나 라틴 아메리카 도시들과 비교해 볼 때, 동아시아 도시들의 독특한 특징, 장점과 단점, 향후 도시 정책의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데이비스:저는 전 세계 모든 도시들에서 중 요한 도전은 급속한 도시화에서 비롯된다고 봅 니다. 미국이나 유럽보다는 동아시아나 라틴아 메리카 도시가 이러한 변화의 속도와 결과에 더 취약합니다만, 모든 곳에서 동일한 추동력이 문 제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제약 받지 않는 자유입지 자본이 성장과 자본축적이 가장 높은 곳에서 건조 환경(build environment) 에 투자하려는 것입니다. 최근의 금융위기 때문 에 미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둔화되었고, 부동 산 개발이 더 이상 이윤을 보증하는 것이 아닙 니다만, 제조업이 십 년 전에 그랬던 것처럼 자 본에는 지금 여전히 건조 환경에 대한 투자가 큰 기회를 제공합니다. 저는 데이비드 하비 교 수가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었다고 봅니다. 하비 교수는 상이한 자본 순환 흐름과 함께, 제조업에서 부동산과 건조환 경을 떠받치는 활동으로 투자처가 옮겨가는 조 건을 규명했습니다. 세계화된 자본이 전 세계의 도시에서 투자의 출구를 찾아다니는 경향 속에 서 지방 정부와 계획가들의 가장 중요한 도전은 불평등의 문제입니다. 소득이나 계층 간 불평등 뿐만 아니라 공간 접근성에서의 불평등도 문제 입니다. 앙리 르페브르의 개념을 사용한다면,

(15)

▶▶ Davis: Unfortunately, I have not been able to make time in my schedule to attend that conference this

fall. If I had been able to participate, I would have suggested that scholars take a deep look at the trade-offs between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characterized the Park administration, building on the clear gains while also avoiding the mistakes and pitfalls he made. That is the kind of advice I would give to all interpreters of past developmental administrations. Sometimes when we study our own leaders, we know much more than outsiders do, especially about the larger (and often contested) political context of their action. But it is also true that sometimes the daily exposure of their actions drives us to use overly rigid frameworks of interpretation to assess the actions of our leaders, based on our approval or disapproval of a variety of their policies. At times, foreign observers can help citizens and scholars think differently about their own countries’ developmental experiences, and even their leaders. I am not saying that foreign observers like myself are always right; or even that our way of ‘seeing’ is preferable. But having a different interpretive lens to see the same behavior could be helpful.

Building on the particular and admittedly partial lenses I used to study the Park regime, let me highlight three things about him as a leader that captured my imagination and that probably served South Korea well in the long run. First was his willingness to disagree with the US on certain development tenets, and his capacity to do so without really sacrificing long-term US support. The second was his deep commitment to rural areas in a time when cities were seen as the main sites of development. The third was his willingness to seek external models that could serve as some sort of guidepost for future South Korean developments, as he did with Denmark, concluding that that balance of rural and urban development in that country could be interpreted as both modern and progressive in both political and economic terms. The lessons that could be drawn from this, in particular, are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ally look elsewhere for models, to think innovatively and ‘outside the box’ when seeking development models for emulation, and to us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esources, histories, and endowments in one’s country when selecting models, so real gains are achievable, and not merely desirable.

Kang: Having been born and raised in the U.S, and having studied Latin America’s as well as Asia’s

cities, I believe you can provide us with valuable insights through your comparative and objective perspective. What are the unique features, strong and weak points, and confronting missions of the cities of East Asian countries, compared to Latin American and U.S cities?

(16)

이러한 최근 경향성들이 시민들의‘도시에 대한 권리’를 제약하는지 여부와, 어느 곳이든 상관 없이 공간적 배제와 격리가 과거보다 훨씬 더 심하게 21세기의 도시들을 좌우하고 있는지 여 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강:교수님의 최근 연구 관심사는 도시의 갈등 과 폭력에 관한 주제라고 알고 있습니다. 또 제 가 최근에 읽은 교수님의 논문에서, 교수님은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도시유형 분류기준으로 안전한 도시와 위험한 도시로 구분할 필요가 있 다고 주장하셨습니다. 최근 교수님께서 갈등, 폭력, 안전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최근 이런 주제에 대해 교수님이 연구한 결과에 대해서, 특히 오늘날 도시에서의 폭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 니다.

▶▶ 데이비스:불안과 폭력에 대한 저의 관심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 세계 도시에서 나 타나는 건조 환경의 세계화와, 도시의 급속한 성장이 사회적∙공간적 불평등을 초래하는 데 대한 관심에서 유발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또한 후기 산업화의 역사 및 과잉도시화가 지속가능 한 경제 발전을 어떻게 저해하는지에 대한 저의 관심에서도 비롯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흐름에 대한 저의 지적 관심이 라틴아메리카 및 다른 개발도상국의 도시에서 나타나는 범죄와 폭력 의 증가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게 한 것입니

다. 현재 이들 도시에서 과잉도시화는 비공식활 동을 키우고, 공식 부문에서 안정된 고용을 갖 지 못한 일부 도시거주자 집단을 형성하고 있습 니다. 제가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수 없기 때 문에 한국의 독자들께서‘안전과 위험 도시’에 관한 저의 글을 보기를 희망합니다. 그렇지만 저는 이 글에서 지적했던 한국과 동아시아 국가 와 관련된 내용은 여기에서 언급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저는 라틴아메리카 도시에서 불법 거래와 폭력, 위법 활동을 불러일으키는 비공식 활동의 성장이 최근 한국 같은 나라에서 밀수품 을 수출하기 때문에 더욱 촉발된다고 봅니다.

멕시코시티에는 조그마한 밀수품 수입업자 카 르텔이 있는데, 이들은 이런 불법 국제무역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멕시코 사람들을 한국에 보내서 한국어를 배우게 합니다. 이러한 불법 국제무역 거래의 결과 멕시코에서 비공식부문 과 폭력이 지속되게 됩니다. 저는 여건이 허락 한다면, 이러한 불법거래의 기원과 움직임 및 도시와 국가 발전에 대한 함의를 좀 더 정교히 이해하기 위해, 한국과 멕시코 간의 국제 가치 사슬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를 하고 싶습 니다.

강:교수님은 미국 학계에서 진보적 입장의 도 시사회학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뿐만 아 니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국가들이 직면한 최근의 도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서, 도시사회학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교

(17)

▶▶ Davis: I see the major challenge for cities all over the world is to stem rapid urbanization. The rate and

consequences of these changes are more debilitating in East Asia and Latin American than in the US or Europe, but in all contexts the same driving force is fueling the problem: footloose capital that seeks to invest in the built environment because rates of growth and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such activities have been very high. The recent mortgage crisis has slowed this in the US, and real estate development is no longer an assured route for profit-making, but it still offers great opportunities for capitalists, in ways that industrial manufacturing did decades ago. I still think David Harvey has the best take on the theory that explains this, when he identifies the different circuits of capital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investments move from industrial manufacturing to real estate and other activities that sustain the built environment. In light of the trends of global capital seeking investment outlets in cities around the world, a major challenge for local governments and planners is the problem of inequality, not just income or class inequality but inequality in access to space. To use Henri Lefebvre’s words, we need to examine whether these trends will limit certain citizens’ “rights to the city” and whether spatial exclusion and segregation will dominate 21st century cities to an even greater degree than in the past, no matter their location.

Kang: I have heard that your current research is focused on cities in conflict and violence. Also I read

your article in which you argued that we need new typologies for cities for a global era: secure and insecure cities. Would you please explain why you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se issues like conflict, violence and insecurity in cities, and what are your main discoveries about these issues - in particular, about the ways to reduce violence in contemporary cities?

▶▶ Davis: My interest in insecurity and violence stems from my interest in the globalization of the built

environment in cities around the world, as noted above, and the ways that the rapid growth of cities can bring social and spatial inequality; but it also builds upon my concern with histories of late industrialization, and the ways that over-urbanization can prevent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These two intellectual concerns come together in my research on the acceleration of crime and violence in cities of Latin America and elsewhere in the developing world where over-urbanization bred informality and produced a sub-population of urban residents without stable employment in the formal sector. I hope your readers will take a look at my article on Secure and Insecure Cities, since I really cannot spell out the argument here. But I will close by saying that in that article I make an important point that has relevance for South Korea and much of East Asia.

(18)

수님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데이비스:저는 항상 사회학을 사회과학 분야 의‘여왕’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사회학은 사 회가 작동하는 수많은 양상들을 개별적으로 또 구조적-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구조-으로 고려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도시사회학은 공간과 지 역의 역동성까지 함께 다룹니다. 그래서 사회적 시각뿐만 아니라 공간적 시각을 통해서 무엇이 사회를 만들고 어떻게 사회질서가 형성되는지를 질문합니다. 저의 부족한 견해로는, 한 입장에 얽매이지 않는 절충주의(eclecticism)와 학제 간 연구가 도시계획가들이 필요로 하는 훈련방 법이라고 여겨집니다. 저는 보스턴이건 멕시코 시티건, 파리건 서울이건 간에 세계의 어디서나 이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사회학자 들이 다른 학문 분야에서 교육받은 사람들보다 항상 더 진보적인 것은 아닙니다. 미국에서 사 회적으로 가장 보수주의자 중의 한 명이며, 「거 룩하지 못한 도시」를 쓴 에드워드 빈필드는 유 명한 도시사회학자입니다. 그러나 사회학자들 은 사람뿐만 아니라 제도에 대해서도 생각하도 록 훈련을 받았고, 이러한 훈련이 아마 진보적 행동 쪽으로 기울게 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각 개인이 도시를 어떻게 경험하고, 어떻게 하 면 모든 개인들을 위해 도시를 더 좋은 장소로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해 우리 모두 반드시 고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런 것이 진보 적이라면, 저는 진보적이라는 호칭을 진심으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강:지금까지 저의 질문에 시간을 내서 성실히 답변해 주신 것 대단히 감사합니다. 저는 교수 님과의 이메일 인터뷰가 매우 유익했다고 확신 합니다.

▶▶데이비스:저 역시 즐거웠습니다. 기회가 되 면 한국을 방문하여 강 교수님과 동료 분들을 찾아 뵙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다이앤 데이비스의 주요 저서

Diane Davis. 2009. Cities and Sovereignty: Nationalist Conflicts in the Urban Realm(edited with Nora Libertun de Duren). Indiana University Press.

Diane Davis. 2006. The New Sociological Imagination(edited with Hector Raul Solis Gadea). Springer Verlag Publishers.

Diane Davis. 2004. Discipline and Development: Middle Classes and Economic Prosperity in East Asia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awarded Best Book in Political Sociology by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June 2005).

Diane Davis. 2003. Irregular Armed Forces and their Role in Politics and State Formation(edited with Anthony Perei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Diane Davis. 2000. Violence, Coercion, and Rights in Contemporary Latin America(edited with Anthony Pereira).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Diane Davis. 1994. Urban Leviathan: Mexico City in the Twentieth Century.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

Specifically, I argue that the growth of informality in Latin American cities, which itself helps nurture illegal trade, violence, and unrule of law has in recent years been fueled by the exportation of contraband goods from countries like South Korea. In Mexico City there is a small ‘cartel’ of contraband importers which has been sending Mexicans to live in Korea and learn Korean in order to grease the wheels of this global trade. The result of these global trading connections is not merely a sustained informal sector in Mexico, which helps keep violence alive. I would like to conduct more research on these global supply chains between South Korea and Mexico, in order to get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ir origins, dynamics, and implications for urban and national development in each country and in some aggregate sense - if that is actually possible.

Kang: You are known as a progressive urban sociologist in the American academy. What and how, do

you think, can urban sociolog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solving recent urban problems - not only in the U.S., but also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 Davis: I have always seen sociology as the ‘queen’ of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 that it has to take into

account so many aspects that make society function as it does: both individuals and structures, and with respect to the latter,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tructures. Urban sociology, in particular, adds space and territorial dynamics to the mix, and asks questions about what produces society and how it is ordered, but as seen through a spatial as well as a social lens. In my humble opinion, this eclecticism and

‘multi-disciplinarity’ is exactly the type of disciplinary training that urban planners need. I think this is true for anyplace in the world, whether Boston, Mexico City, Paris, or Seoul. Sociologists may not always be more progressive than those trained in other disciplines. After all, one of America’s premier social conservatives, Edward Banfield, who wrote The Unheavenly City, was a renowned urban sociologist. But sociologists are trained to think about people as well as institutions, and this training may be what produces a ‘bias’ towards progressive action. I think we all should be thinking about how individuals experience cities, and how to make cities better places for all individuals. If that is ‘progressive’, then I embrace the label wholeheartedly.

Kang: Thank you very much for taking time to answer my questions. I am certain that your e-mail

interview is very interesting and useful for us.

▶▶Davis: It was my pleasure. I look forward to visiting you and your colleagues in South Korea some time soon. Thank you.

참조

관련 문서

[r]

By observing this spread process, we can find the cross section in the passage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Southwest Asia and Northeast Asia.. By looking

 Goddard, C.(2005),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n Introduction, OUP...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Sector contacts, however, continued to note concern over higher input prices, supply chain disruptions, and labor constraints which, in turn, have increased project

Reports from District contacts suggest economic activity has continued to increase slightly since our previous report; however, conditions deteriorated toward the end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 79억 유로 규모의 나부코 프로젝트는 러시아에 대한 가스 의존도를 줄이 기 위한 차원에서 아제르바이잔 및 중앙아시아 가스를 EU로 수송하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