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업체 HRD 조사(200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업체 HRD 조사(2002)"

Copied!
16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02-20

사업체 HRD 조사(2002)

(2002 Year Surv ey of HRD in Enterprises)

(2)

기본연구 02-20

사업체 HRD 조사(2002)

(2002 Year Surv ey of HRD in Enterprises)

연구책임자 : 오영훈

연 구 자 : 주용국

김수원

홍선이

(3)

머 리 말

인적자원개발(HRD) 정책은 세계화・정보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 구조의 변화와 고용의 질적 변화, 그리고 사업장 수준에서의 대응 현황 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축적된 자료를 바탕 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사업장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실태가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효과적이 고 효율적인 인력자원개발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많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 고 있다. 이것은 인적자원개발의 변화 요인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초 통계의 구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01년에 수행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우리나라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에 대한 시계 열 자료의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시계열 자료 는 장기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구축될 경우 합리적인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귀 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무쪼록 본 연구 를 통해서 앞으로 사업체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가 보다 체계적이고 주기적 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업체 인적자원개발 DB가 구축되기 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아낌없는 조언과 도움을 주신 원내・외의 전문가 여러분에게 감사 드리며,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 하는 바이다. 아울러 바쁜 와중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에 성의껏 응해 준 사 업체 관계자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 드린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진의 견해이며 본 원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님을 밝혀둔다.

2002년 10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강 무 섭

(4)

【연구 요약】

1. 연구의 개요

인적자원개발(HRD) 정책은 세계화・정보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 구조의 변화와 고용의 질적 변화, 그리고 사업장 수준에서의 대응 현황 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축적된 자료를 바탕 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사업장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실태가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효과적이 고 효율적인 인력자원개발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많은 장애 요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 이것은 인적자원개발의 변화 요인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 할 수 있는 기초 통계의 구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01년에 수행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첫째, 사업체 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지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조 사지를 통하여 우리 나라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를 파악한다. 셋째, 사 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에 대한 DB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인적자원개발의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과 방법을 사 용하였다. 첫째, 고용보험 DB를 이용하여 2001년도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실적을 분석하였다. 둘째, 2002년 사업체 HRD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지 를 개발하고, 고용보험 DB상의 5인 이상 규모의 1,500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HRD 조사의 방향 및 내용, 조사 방법에 대한 협의를 위하여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노동부 및 중소기업청의 관련 실무자, 그리고 학계의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전문가협의회를 운영하였다.

넷째, 이상의 연구 내용과 방법을 바탕으로 향후 조사 실시상의 개선점과 인 적자원개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5)

2. 사업체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의 주요 결과 가. 인력 수급 실태

첫째, 각 사업장에서의 인력 규모는 전체적으로 생산기능직(41.5%), 전문기 술직(29.2%), 서비스판매직(23.0%) 등 생산 현장에서 종사하는 관련 직종의 인력 부족 현상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기능직의 경우 사 업장 규모에 관계없이 가장 인력이 부족한 직종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3년 동안 학교졸업자 및 경력자의 신규채용 실태는 신규졸업자 의 경우 2000년에 비해 2001년의 채용 인원이 감소한 반면에 경력자의 채용 인원은 300인 이상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매년 증가하였다.

셋째, 인력을 선발할 때 경력과 인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으며, 임금과 근로조건이 인력 충원의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 인적자원개발 운영 체제

첫째, 사업장의 인력개발 조직은 조직과 담당자 모두 없는 곳이 가장 많았 고(38.4%), 다음으로 전임 담당자만 있는 곳이 많았다(29.0%). 인력개발 담당 부서의 운영 형태는 인사관련 업무와 인력개발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를 동 시에 수행하는 사업장이 가장 많았다(44.2%).

둘째, 인력개발 담당자의 위치는 대부분 일반 사원과 동일하였으며(67.7%), 전문가 또는 핵심 전문가로서의 위치를 갖는 사업장은 1/ 3 정도였다.

셋째, 각 사업장에서 노조와 노사협의회가 직원의 인력개발에 참여하는 정 도는 사업장 규모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미미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단체 협약에 따라 노조가 인력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사업장은 18.3%

에 불과하였다.

(6)

다. 교육훈련 투자

첫째, 교육훈련 예산의 편성 기준은 전체적으로 특별한 기준이 없다(54.5) 는 사업장이 가장 많았다. 2001년도 한 해 투자된 교육훈련 비용은 총 인건 비의 1.2%를 차지하였다.

둘째, 총 교육훈련비 대비 신입사원 교육훈련비의 비중은 30.3%, 신입사원 1인당 평균 교육훈련비는 25.3만 원으로 총 교육훈련비 중 신입사원 교육훈 련비의 비중은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높았다. 최근 3년 동안 신입사원 교육 훈련비로 지출된 비용은 매년 평균 9.1% 증가하였으며,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는 연평균 41.6%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라. 인력개발제도의 운영

첫째, 인력개발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사업장은 77.9%로서 그 내용은 근로 시간 중의 교육훈련 수강 배려가 가장 많았으며(48.9%), 협력업체에 기술 또 는 교육훈련을 지원하는 사업장은 10% 정도에 지나지 않았고, 퇴직 준비 프 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장은 3.2%에 불과하였다.

둘째, 직업훈련 이외에 노동부의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 따라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33.7%로 매우 저조하였다. 내용별로는 근로자 학자 금 대부 지원이 가장 많았고(42.3%), 수강장려금 지급제도를 이용한 사업장 은 7.5%에 불과하였다.

마. 경력개발제도 및 자격제도의 운영

첫째, 종업원 경력개발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사업장은 12.8%에 불과하였으 며, 승진 배치 체제의 미흡이 경력개발제도를 저해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사내 자격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8.5%에 불과하였다. 자격증 소

(7)

지 여부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국가가 운영하는 국가기술자격의 경우 채용시 비교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 인력개발 추진상의 개선점

첫째, 인력개발 추진의 애로 사항은 인원차출의 어려움과 장기 계획의 미 흡(3.4) 그리고 경영 성과의 연계(3.3) 순이었다.

둘째, 사업장에서의 개선점은 근로자의 능력개발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 변 화, 종업원의 경력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그리고 능력개발에 대한 근로 자의 적극적인 의식이었다. 이들은 인력개발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개선되 어야 할 문제점들로 지적되고 있다.

셋째, 정부가 개선해야 할 내용 중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문제점들 로는 훈련비 지급의 현실화, 인력개발정책의 일관성, 그리고 중소기업에 대 한 대폭적인 지원 등이었다.

사. 교육훈련 운영 실태

첫째, 2001년 사업장의 중점 교육훈련 1순위 대상자는 사무직이 가장 많았 고(34.7%), 인력 부족 현상이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생산직은 관리직 을 제외하고는 교육훈련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았다.

둘째, 교육훈련 내용의 선정은 전체적으로 부서별 관리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사업장이 가장 많았으며(37.4%), 종업원의 의견은 상대적으로 매우 약하게 반영되고 있었다(15.3%).

셋째, 조사 대상 사업장의 65.1%가 2001년에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교육 훈련의 종류는, 회사 자체 교육훈련이 가장 많았고(81.2%), 다음은 훈련비가 지원되는 직업훈련(42.1%), 타 부처 제공 교육훈련(8.6%)의 순이었다.

넷째, 2001년에 채용한 신규 인력을 대상으로 재교육을 실시한 사업장은 28.1%이며,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재훈련을 실시한 곳이 많았다. 신규 채용

(8)

여 경력자는 32일 정도인 것은 경력자를 선호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실시한 사업장은 50인 미만의 경우 20.0%에 불과한 데 비해 3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은 83.6%가 직업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과정은 향상훈련을 실시한 사업장이 96.0%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양성훈련을 실시한 사업장은 1.7%, 유급휴가훈련은 2.3%에 불과하였다.

여섯째, 직업훈련 과정별 훈련비 지원 실적은 향상훈련과정이 전체 지원 금액의 82.4%, 양성훈련과정이 10.4%를 차지하였다. 1인당 지원 금액은 평균 223,877원이었다.

일곱째, 2001년도에 정부의 교육훈련 지원금의 지원 없이 회사 자체 교육 훈련을 실시한 사업장은 조사 대상 사업장의 52.8%이었으며, 사내 집체훈련 이 가장 선호되었다(71.1%). 훈련강사는 사내 관련 전문인력(44.9%), 전문교 육기관 강사(42.8%), 사내 전임 강사(35.3%)가 주류를 이루었다.

아. 교육훈련의 성과

첫째, 양성훈련과 향상훈련이 생산성 향상과 직무수행을 위한 숙련 형성에 도움을 준 정도를 훈련 방법별로 보면, 전체적으로 그룹 교육훈련과 해외 교 육훈련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4.1) 데 비해 최근 들어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On-line 교육훈련은 상대적으로 생산성 향상과 숙련 형성에 도움을 준 정도가 크지 않았다(3.5).

둘째, 교육훈련 이수 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반영되는 정도를 보면, 경력 개발, 교육훈련, 배치 전환 때에 교육훈련 결과를 반영하는 사업장이 응답 사업장의 40% 정도를 차지하며, 교육훈련의 결과를 채용이나 승진・승격에 반영하는 사업장은 30% 정도이며, 임금 보상에 반영하는 사업장은 20.8%로 나타났다.

자. HRD 파트너십

첫째,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사업장은 14.2%에 불과하였고,

(9)

앞으로 산학연계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사업장도 22.5% 정도였다. 또 규모가 작은 사업장일수록 참여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산학 연계사업을 운영할 의사가 없는 중요한 이유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52.4 %), 여건 마련이 불충분하기(20.9%) 때문이었다.

둘째,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 능력 향상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던 사업장은, 대학 재학생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던 곳이 20.1%로 가장 많았고, 노동부 지원 직장 체험 프로그램 5.4%, 중소기업청 지원 중소기업 직장 체험 프로그램은 1.7%로 매우 미미하였다. 한편 대졸 인턴 사원 취업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업장은 16.6%로서 인턴 사용 후 정규직 채용비율 은 68.2%로 매우 높았다.

셋째, 대학 재학생의 취업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나 대졸 인턴 사원 사용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은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미흡이 41.1%로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 관리 인력 확보의 어려움(20.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제언

첫째, 본 조사의 위상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원과 같은 전문 연구기관이 주관하여 일관성을 가지고 정기적으로 관련 기초통계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종합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과 근로자들의 대응을 종합적 으로 파악하고, 정확한 정보의 획득과 구축을 위해서는 노・사 양자를 동시 에 조사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인 조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고용보험 DB상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는 사업장의 변화에 따라 정보 가 수정・보완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함으로써 사업장 종사자 수에서 조사 설계상의 표본 추출 결과와 실재 조사 결과 때에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따 라서, 고용보험 DB상에 수록된 정보가 적시에 수정・보완될 수 있도록 현재 중앙고용정보원과 근로복지공사에 의해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운영체계 는 개선되어야 한다.

(10)

연구 요약

Ⅰ. 연구 개요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연구 방법 3

Ⅱ. 실태 조사를 위한 조사의 설계

5

1. 모집단 및 표본 설계 5

2. 실사 진행 결과 12

3. 설문조사지의 개발 15

Ⅲ. 사업장의 인력 수급 현황

23

1.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23

2. 인력 수급 현황 23

Ⅳ. 사업장의 인적자원개발

37

1. 인력자원 관리제도 37

2. 인력개발 운영 체제 39

3. 교육훈련 투자 43

4. 노동조합의 교육훈련 참여 형태 48

(11)

5. 인력개발제도 운영 실태 49

6. 종업원 경력개발 52

7. 자격 제도의 운영 56

8. 인력개발 추진상의 문제점 59

Ⅴ. 교육훈련 운영 실태

62

1. 교육훈련의 운영 62

2. 2001년 교육훈련 실시 실태 66

3.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69

Ⅵ. 인적자원개발(HRD) 파트너십

89

1. 사업장 HRD 파트너십 실태 89

2. 대학생 취업 능력 제고 프로그램 운영 실태 94

Ⅶ. 연구 결과 요약 및 제언

99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99

2. 사업체 인적자원개발 DB의 컨텐츠 108

3. 제언 109

참고 문헌

111

ABSTRACT

113

[부록 1] 독일의 사업체 HRD 조사

119

(12)

표 차 례

<표 Ⅱ-1>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모집단 분포 7

<표 Ⅱ-2> 표본 수 조정 8

<표 Ⅱ-3>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표본 분포 8

<표 Ⅱ-4>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표본 분포 9

<표 Ⅱ-5>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모집단 분포 10

<표 Ⅱ-6> 설문지 회수 성공률 13

<표 Ⅱ-7> 사업장 종업원 규모별 실사 결과 14

<표 Ⅱ-8> 조사 불능 사유 14

<표 Ⅱ-9> 설문조사지 조사 항목 및 조사 내용 20

<표 Ⅲ-1> 분석 대상 사업장의 특성 24

<표 Ⅲ-2> 사업장 규모별 인력 수급 현황 25

<표 Ⅲ-3> 업종별 인력수급 현황 26

<표 Ⅲ-4>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 방법 27

<표 Ⅲ-5> 업종별 인력 충원 방법 28

<표 Ⅲ-6> 인력 선발 때 고려 요소 29

<표 Ⅲ-7> 사업장 규모별 기술・생산 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 수요 전망 30

<표 Ⅲ-8> 업종별 기술・생산 공정의 변화에 따른 인력 수요 전망 31

<표 Ⅲ-9> 사업장 규모별 향후 인력수요 증가시 충원방법 32

<표 Ⅲ-10> 업종별 향후 인력 수요 증가 때 충원 방법 33

<표 Ⅲ-11> 사업장 규모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34

<표 Ⅲ-12> 업종별 인력 충원이 어려운 이유 35

<표 Ⅲ-13> 1999, 2000, 2001년 신규 졸업자, 경력자 채용 인원 36

<표 Ⅳ-1> 사업장 규모별 인력자원 관리제도 38

<표 Ⅳ-2> 업종별 인력자원 관리제도 39

<표 Ⅳ-3> 인력개발 담당 부서 현황 40

<표 Ⅳ-4> 인력개발 담당자 수 및 평균 근속 연수 40

(13)

<표 Ⅳ-5> 인력개발 담당자의 위상 41

<표 Ⅳ-6> 인력개발 담당 부서의 운영 형태 41

<표 Ⅳ-7>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 여부 42

<표 Ⅳ-8> 교육훈련과정 이수 43

<표 Ⅳ-9> 교육예산 편성기준 44

<표 Ⅳ-10> 2001년 교육훈련 투자비용 45

<표 Ⅳ-11>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지출 실태 45

<표 Ⅳ-12> 1999~2001년도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비교 46

<표 Ⅳ-13> 인력개발 체계 정도 47

<표 Ⅳ-14> 노동조합 또는 노사협의회 운영 여부 48

<표 Ⅳ-15> 직원의 인력개발에 대한 노조와 노사협의회의 참여 형태 49

<표 Ⅳ-16> 사업장의 인력개발제도 50

<표 Ⅳ-17> 노동부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의 활용 51

<표 Ⅳ-18> 정부의 교육훈련비 제도가 없을 경우 교육훈련 변화 예상 52

<표 Ⅳ-19> 경력개발제도 도입 여부 53

<표 Ⅳ-20> 경력개발제도 도입 목적 53

<표 Ⅳ-21> 경력개발 방법 54

<표 Ⅳ-22> 향후 종업원 경력개발 프로그램 도입 계획 여부 55

<표 Ⅳ-23> 경력개발제도 도입・운영상의 문제점 56

<표 Ⅳ-24> 사업장의 사내 자격 운영 여부 57

<표 Ⅳ-25> 사업장의 사내 자격제도 운영 종류 57

<표 Ⅳ-26> 사내자격 도입 계획 여부 57

<표 Ⅳ-27> 자격증 소지 여부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58

<표 Ⅳ-28> 인력개발추진의 애로점 60

<표 Ⅳ-29> 인력개발의 개선점 61

<표 Ⅴ-1> 근로자가 갖추어야 할 소양 62

<표 Ⅴ-2> 교육훈련 대상자 선정 때 의견 반영자 63

<표 Ⅴ-3> 중점 교육훈련 대상 1 순위 64

(14)

<표 Ⅴ-5> 사업장 규모별 중점 교육훈련 대상 1 순위자 근무 연수 64

<표 Ⅴ-6> 교육훈련 내용 선정 때 의견 반영자 65

<표 Ⅴ-7> 교육훈련 기관 선정 때 고려 사항 66

<표 Ⅴ-8> 지난해(2001년) 교육훈련 실시 여부 67

<표 Ⅴ-9> 2001년 실시한 교육훈련의 종류 68

<표 Ⅴ-10> 2001년 신규 채용 인력에 대한 재교육 실시 여부 68

<표 Ⅴ-11> 2001년 신규 채용 인력의 재교육 소요 기간 69

<표 Ⅴ-12> 사업장 규모별 사업장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 사업장 70

<표 Ⅴ-13> ' 01년도 사업장 규모별 직업능력 개발훈련 과정별 실시 현황 71

<표 Ⅴ-14> ' 01년도 직업능력 개발훈련 과정별 지원금 지원 현황 72

<표 Ⅴ-15> '01년도 조사대상 모집단 사업장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실태 73

<표 Ⅴ-16> 2001년 직업능력 개발훈련 실시 현황 74

<표 Ⅴ-17> 양성훈련 훈련 방법 75

<표 Ⅴ-18> 양성훈련 훈련 강사 75

<표 Ⅴ-19> 양성훈련 평균 시간 76

<표 Ⅴ-20> 향상훈련 훈련 방법 77

<표 Ⅴ-21> 향상훈련 훈련 강사 77

<표 Ⅴ-22> 향상훈련 평균 시간 78

<표 Ⅴ-23> 전직훈련 훈련 방법 78

<표 Ⅴ-24> 전직훈련 훈련 강사 79

<표 Ⅴ-25> 전직훈련 평균 시간 79

<표 Ⅴ-26> 회사 자체 교육훈련 실시 현황 80

<표 Ⅴ-27> 회사 자체 교육훈련 방법 81

<표 Ⅴ-28> 회사 자체 훈련 강사 82

<표 Ⅴ-29> 교육훈련 평가 실시 여부 83

<표 Ⅴ-30> 교육훈련 평가 방식 83

<표 Ⅴ-31> 교육훈련 효과 측정 수준 84

<표 Ⅴ-32> 교육훈련 평가 미실시 이유 84

<표 Ⅴ-33> 양성훈련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도 85

(15)

<표 Ⅴ-34> 향상훈련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도 86

<표 Ⅴ-35> 양성훈련이 직무 수행을 위한 숙련 향상에 도움이 된 정도 87

<표 Ⅴ-36> 향상훈련이 직무 수행을 위한 숙련 향상에 도움이 된 정도 87

<표 Ⅴ-37> 교육훈련 이수 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 88

<표 Ⅵ-1> 사업장의 산학 연계 여부 90

<표 Ⅵ-2> 사업장의 산학 연계 교육 90

<표 Ⅵ-3> 교육훈련기관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 92

<표 Ⅵ-4> 기업 규모별 HRD 협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93

<표 Ⅵ-5> 산학 연계 사업의 이점 93

<표 Ⅵ-6> 산학 연계 사업 참여 의사 여부 94

<표 Ⅵ-7> 산학 연계 사업을 운영할 의사가 없는 이유 94

<표 Ⅵ-8> 대학생 취업 능력 제고 프로그램 참여 실태 95

<표 Ⅵ-9> 대졸(전문대졸) 인턴 사원 취업지원제 참여 실태 97

<표 Ⅵ-10> 취업 능력 제고 지원 프로그램 운영상의 어려움 98

<표 Ⅵ-11> 참여 프로그램별 운영상의 어려움 98

(16)

Ⅰ. 연구 개요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지식기반사회로 특징지워지는 오늘의 세계는,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지닌 인적자원의 확보와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확보와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책을 개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경쟁력 있는 인적자 원개발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훈련시장 과 노동시장의 연계, 특히 노동시장에서의 인적자원개발 행태에 대한 정확한 실태 및 그 추이 파악의 결과가 교육훈련시장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당위론 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수립은 세계화・정보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 구조의 변화와 고용의 질적 변화, 그리고 사업장 수준에서의 대응 현황 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 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사업장 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적지 않은 애로를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적자원개발의 변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초 통계의 구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우리 나라에서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하여 전규모 사업체를 대상으로 전문 성을 가지고 수행된 실태 조사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수행된 몇 편의 연구는 엄격한 표본 추출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거나 적정 크기의 표본 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대표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조사가 일회성으로 그치고 있어 심층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시계열의 연속성을 구축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1년 본 연구의 선행 연구로 수행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 는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시계열 자료의 개발을 연

(17)

구 목적의 하나로 수행된 바 있으나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엄 격한 표본 추출 방법의 미적용에 따른 표본 오차의 문제점과 표본의 크기가 대표성을 갖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올바른 정책의 수립 및 실행, 평가를 위한 대표성 있고 신뢰할 만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한 DB의 구축, 특히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시계열 자료는 장기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구축될 경우 분석적인 노동시장 연구를 보다 활 성화시킴으로써 합리적인 인적자원 개발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기여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1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에 관한 기초 연구 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를 위해서 선행 연구의 조사지를 수정・보완하여 조사지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조사지를 이용하여 우리 나라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DB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인적자원개발의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 목적과 관련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의 선행 연구 조사지의 수정・보완과 추가 조사 영역 및 조사 항목의 검토를 통하여 실태 조사지를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사업장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를 위하여 모집단 및 표본의 크기 분 석 등을 통하여 조사 설계를 하였다

셋째, 인력개발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정・보완된 조사지를 이용하여 사업 장의 인력개발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DB 구

(18)

넷째, 표본의 내용 및 표본 추출의 적절성, 실사 성공률 및 조사 실패 사 례의 원인 분석 등 실사 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조사 실시상의 개선점을 제 시하였다.

다섯째,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 개발의 정책방향을 제시하 였다.

3. 연구 방법

첫째, 노동시장 및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하여 특히, 고용보험 DB를 이용하 여 2001년도 직업능력 개발훈련 사업 실적을 분석하고, 국외 사업체의 인적 자원개발과 관련하여 독일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2001년 예비 설문조사에 참여한 15개 사업장의 인사교육 훈련 담당 자를 대상으로 예비 설문조사 내용의 타당성 및 향후 조사 실시의 가능성, 조사 실시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설문 조사의 수정・보완 및 실사에 반 영하였다.

셋째, 2001년 예비 설문조사 결과와 예비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업장의 인 사교육 훈련 담당자와의 면담 조사 결과, 그리고 원내 DB 구축 관련 사업간 협의를 통한 조사 영역 및 조사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2002년 사업체 HRD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넷째, 2002년 사업체 HRD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 설계 및 조사 실시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구체적인 내용은 제 2장을 참조할 것).

1) 조사 설계

- 모집단 : 중앙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DB상의 5인 이상 사업장 - 지역 : 서울, 경기권, 부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등 6개 권역 - 산업 : 고용보험 DB상의 표준 분류 이용

- 표본 추출 방법 : 임의 할당 표집(사업장 규모 기준) - 표집 틀 : 중앙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DB

- 목표 표본 수 : 1,500개 사업장

(19)

2) 조사 방법

- 조사 전문기관의 용역을 통하여 방문 면담조사

- 중앙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원자료(data)를 이용하여 사업장의 기 본 사항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 관련 항목을 추출 분석

- 중앙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원자료(data)에서 추출한 정보와 설문 조사 결과를 결합(merge)하여 종합 분석

다섯째, 조사의 방향 및 HRD 조사 내용, 표본 설계, 조사 방법에 대하여 협의하기 위하여 사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노동부 및 중소기업청의 관 련 실무자, 그리고 학계의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전문가 협의회를 운영하였 다.

(20)

Ⅱ. 실태 조사를 위한 조사의 설계

1. 모집단 및 표본 설계 가. 모집단

본 조사에서는 2002년 6월을 기준으로 중앙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DB 에 수록된 5인 이상 사업장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고용보험 DB의 5인 이상 사업장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이유는, 첫째, 본 조사의 목적이 개별 사업장에 서의 인력개발 실태 파악에 있지만, 우리 나라 전체 사업장의 68%를 차지하 고 있는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에 대한 인력개발이 거의 이루어지 지 않고 있고, 둘째, 본 DB의 고용보험 적용률이 70% 정도로 모집단으로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본 DB가 각종 훈련 및 교육 지원 상황 등 사 업장의 인력개발과 직접 관계된 정보의 수록 등 통계적인 시의성이 가장 높 고, 셋째, 사업장 관리 번호(ID)가 수록되어 있어 향후 패널 표본 업체를 관 리할 경우 상당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림업, 어업, 광업, 가사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 기관, 그리고 제주 지역은 사업장의 수 및 지리적 제약 등으로 말미암아 표본 추출의 제약이 따르고 조사가 어 려운 점을 고려하여 조사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나. 표본 추출

본 조사에서는 고용보험 DB의 5인 이상 사업체 명단을 이용하여 층화표집 법(stratified sampling method) 중에서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지역별로 표 본 수를 불비례 층화하여 표본 추출하였다. 이는 표본 크기를 계층마다 될 수 있는 대로 고르게 획득함으로써 사업장 규모간의 비교・분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표 Ⅱ-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사업장 규모가 10명 미

(21)

만 사업장이 과반수에 가까운 46.7%이고, 집단간의 분산값이 1.88로 가장 적 은 반면 사업장규모가 커질수록 규모별 분산값이 크기 때문에 사업장 규모 를 30명 미만 그룹(5~9명, 10~29명), 300명 미만 그룹(30~49명, 50~99명, 100~299명), 300명 초과 그룹(300~499명, 500~999명, 1,000명 이상) 등 3개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별로 할당비를 20:40:40으로 하여 규모가 큰 사업장에 서의 표본이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되도록 조정하였다(<표 Ⅱ-2>참조).

또한 지역은 서울・경기권(인천・경기・강원), 부산권(부산・경남), 대구권 (대구・경북), 광주권(광주・전남북), 대전권(대전・충남북) 등 6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1차 할당된 사업장 규모별 수에 지역별 모집단 비율을 비례적으로 적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에 따라 추출된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표본 분포는 <표 Ⅱ-3>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표본 수(목표 표본 수) 는 1,500개 사업장으로 30명 미만 그룹 303개소, 300명 미만 그룹 599개소, 300명 초과 그룹 598개소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 30.5%, 경기권 26.1%, 대구권 9.5%, 광주권 7% 등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 분류는 고용보험 DB상의 분류를 적용하였으며, 사업장 규모별 업종 별 표본 분포는 <표 Ⅱ-4>와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업이 전체의 36.1%를 차지하고 있는데, 본 조사에서는 제조업을 다시 생활관련 제조업 등 3개로 구분하여 제조업의 특성별 차이를 보이고자 하였다. 제조업에 이어 건 설업 21%, 도・소매업 8.1%, 사업서비스업 10.2%, 통신업 0.3% 등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모집단 분포와 표본 분포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은 사업장 규모별 표본 수의 불비례 할당에 따른 차이에서 기인한다. 즉, 예를 들어서 도소매업의 경우에 모집단 분포가 13.9%이지만 표본 분포에서는 8.1%로 비교적 큰 차이 가 나는 이유는 <표 Ⅱ-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 업종에 비하여 사업장의 크기가 30인 미만 사업장(91.5%, 동일 규모 사업장의 평균 분포 83%)에 집중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운수창고업의 경우 모집단 분포는 3.7%이나 표본 분포가 6.3%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이 업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하여 사업 장의 크기가 30~299명 규모의 사업장(30.4%, 동일 규모 사업장의 평균 분포

(22)

<표 Ⅱ-1>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모집단 분포

5~9 10~29 30~49 50~99 100~299 300~499 500~999 1000 이상 계 

총계

112,023 (46.7)

<100>

87,125 (36.3)

<100>

17,725 (7.4)

<100>

12,445 (5.2)

<100>

7,930 (3.3)

<100>

1,162 (0.5)

<100>

736 (0.3)

<100>

539 (0.2)

<100>

239,68 5 (100)

<100>

서울 35,853

(49.0)

<32.0>

26,301 (35.9)

<30.2>

4,655 (6.4)

<26.3>

3,124 (4.3)

<25.1>

2,251 (3.1)

<28.4>

415 (0.6)

<35.7>

301 (0.4)

<40.9>

265 (0.4)

<49.2>

73,165 (100)

<30.5>

인천 경기 강원 

30,869 (45.7)

<27.6>

25,101 (37.2)

<28.8>

5,285 (7.8)

<29.8>

3,562 (5.3)

<28.6>

2,164 (3.2)

<27.3>

289 (0.4)

<24.9>

156 (0.2)

<21.2>

102 (0.2)

<18.9>

67,528 (100)

<28.2>

부산 경남

16,466 (45.2)

<14.7>

13,119 (36.0)

<15.1>

2,936 (8.1)

<16.6>

2,207 (6.1)

<17.7>

1,296 (3.6)

<16.3>

181 (0.5)

<15.6>

119 (0.3)

<16.2>

78 (0.2)

<14.5>

36,402 (100)

<15.2>

대구 경북

10,300 (45.2)

<9.2>

8,297 (36.4)

<9.5>

1,861 (8.2)

<10.5>

1,347 (5.9)

<10.8>

785 (3.4)

<9.9>

106 (0.5)

<9.1>

66 (0.3)

<9.0>

36 (0.2)

<6.7>

22,798 (100)

<9.5>

광주 전남 전북 

9,560 (49.4)

<8.5>

6,768 (35.0)

<7.8>

1,321 (6.8)

<7.5>

928 (4.8)

<7.5>

619 (3.2)

<7.8>

72 (0.4)

<6.2>

40 (0.2)

<5.4>

31 (0.2)

<5.8>

19,339 (100)

<8.1>

대전 충남 충북 

8,975 (43.9)

<8.0>

7,539 (36.9)

<8.7>

1,667 (8.2)

<9.4>

1,277 (6.2)

<10.3>

815 (4.0)

<10.3>

99 (0.5)

<8.5>

54 (0.3)

<7.3>

27 (0.1)

<5.0>

20,453 (100)

<8.5>

(23)

<표 Ⅱ-2> 표본 수 조정

사업체 규모별 사업체수 분산값 표본 수

(Grouping전) Grouping 표본 수 (Grouping후)

배정 비율

(1)5~9명 112,023 1.88 701 A 169

(2)10~29명 87,125 28.49 545 A 131 300

(3)30~49명 17,725 31.89 111 B 279

600

(4)50~99명 12,445 200.03 78 B 196

(5)100~299명 7,930 2,712.49 50 B 125

(6)300~499명 1,162 3,087.68 7 C 286

600

(7)500~999명 736 20,043.30 5 C 181

(8)1000명 이상 539 468494308.7 3 C 133

<표 Ⅱ-3> 사업장 규모별, 지역별 표본 분포

5~9 10~29 30~49 50~99 100~299 300~499 500~999 1000 이상 계  총계

172 (11.5)

<100>

131 (8.7)

<100>

275 (18.3)

<100>

197 (13.1)

<100>

127 (8.5)

<100>

285 (19.0)

<100>

180 (12.0)

<100>

133 (8.9)

<100>

1500 (100)

<100>

서울 55 (11.1)

<32.0>

40 (8.1)

<30.5>

73 (14.8)

<26.5>

49 (9.9)

<24.9>

37 (7.5)

<29.1>

101 (20.4)

<35.4>

73 (14.8)

<40.6>

66 (13.4)

<49.6>

494 (100)

<32.9>

인천 경기 강원

46 (11.8)

<26.7>

38 (9.7)

<29.0>

83 (21.2)

<30.2>

56 (14.3)

<28.4>

34 (8.7)

<26.8>

71 (18.2)

<24.9>

38 (9.7)

<21.1>

25 (6.4)

<18.8>

391 (100)

<26.1>

부산 경남

26 (10.8)

<15.1>

20 (8.3)

<15.3>

45 (18.8)

<16.4>

35 (14.6)

<17.8>

20 (8.3)

<15.7>

45 (18.8)

<15.8>

30 (12.5)

<16.7>

19 (7.9)

<14.3>

240 (100)

<16.0>

대구 경북

17 (12.0)

<9.9>

13 (9.2)

<9.9>

28 (19.7)

<10.2>

22 (15.5)

<11.2>

11 (7.7)

<8.7>

27 (19.0)

<9.5>

15 (10.6)

<8.3>

9 (6.3)

<6.8>

142 (100)

<9.5>

광주 전남・북

14 (13.3)

<8.1>

9 (8.6)

<6.9>

21 (20.0)

<7.6>

15 (14.3)

<7.6>

12 (11.4)

<9.4>

17 (16.2)

<6.0>

10 (9.5)

<5.6>

7 (6.7)

<5.3>

105 (100)

<7.0>

대전 충남・북

14 (10.9)

<8.1>

11 (8.6)

<8.4>

25 (19.5)

<9.1>

20 (15.6)

<10.2>

13 (10.2)

<10.2>

24 (18.8)

<8.4>

14 (10.9)

<7.8>

7 (5.5)

<5.3>

128 (100)

<8.5>

(24)

<표 Ⅱ-4>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표본 분포

업종별 5~9 10~29 30~49 50~99 100~299 300~499 500~999 1000 이상

계 172

(11.5) 131 (8.7)

275 (18.3)

197 (13.1)

127 (8.5)

285 (19.0)

180 (12.0)

133 (8.9)

1500 (100) 생활 관련

제조업 16 13 31 25 15 29 19 10 158

(10.5) 기초소재형

제조업 12 9 25 18 12 29 21 10 136

(9.1) 가공조립형

제조업 23 19 51 36 22 43 26 28 248

(16.5) 전기/ 가스/

수도 사업 0 1 0 0 1 4 4 5 15

(1.0)

건설업 31 31 67 45 26 63 33 19 315

(21.0)

도/ 소매업 31 16 21 10 6 18 9 11 122

(8.1) 숙박/

음식점업 2 1 2 1 2 5 3 5 21

(1.4)

운수/ 창고 5 4 11 14 17 24 14 6 95

(6.3)

통신업 1 0 0 0 0 0 2 2 5

(0.3) 금융 및

보험업 0 5 8 6 3 8 5 15 50

(3.3) 부동산 및

임대업 7 6 9 5 2 3 4 0 36

(2.4) 정보통신서비

스업 9 4 9 5 2 5 2 2 38

(2.5)

사업서비스업 15 10 20 18 13 41 25 11 153

(10.2)

교육서비스업 9 4 5 1 0 0 0 2 21

(1.4)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8 5 8 6 4 10 10 3 54

(3.6)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

3 3 8 7 2 3 3 4 33

(2.2)

(25)

<표 Ⅱ-5>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모집단 분포

업종별 5~9 10~29 30~49 50~99 100~299 300~499 500~999 1000이상 생활관련

제조업 9,847 8,718 2,015 1,493 872 116 77 41 23,179 (9.7) 기초소재형

제조업 7,349 6,700 1,588 1,163 739 115 78 40 17,772 (7.4) 가공조립형

제조업 14,545 12,953 3,121 2,230 1,304 180 109 103 34,545 (14.4) 전기/ 가스/

수도 사업 142 142 36 42 48 16 15 13 454

(0.2) 건설업 19,262 20,685 4,259 2,810 1,583 254 146 85 49,084 (20.5) 도/ 소매업 20,247 10,456 1,292 672 407 64 39 45 33,222 (13.9) 숙박/

음식점업 2,653 1,202 206 157 94 20 15 17 4,364

(1.8) 운수/ 창고 3,078 2,966 775 818 1,125 94 51 27 8,934 (3.7)

통신업 296 280 91 56 28 4 6 7 768

(0.3) 금융 및

보험업 1,585 1,982 551 361 181 34 25 58 4,777

(2.0) 부동산 및

임대업 4,827 3,627 550 279 104 15 16 7 9,425

(3.9) 정보통신

서비스업 4,158 3,326 578 320 127 21 11 9 8,550

(3.6) 사업

서비스업 10,219 5,829 1,252 1,105 800 165 98 52 19,520 (8.1) 교육

서비스업 5,291 2,716 320 149 37 6 2 2 8,523

(3.6) 보건 및 사회

복지사업 4,964 2904 539 403 274 40 32 16 9,172

(3.8) 기타공공 및

개인서비스업 3,544 2,623 551 387 207 18 16 17 7,363 (3.1) 가사

서비스업 12 13 1 26

(0.0) 국제 및

외국 기관 4 3 7

(0.0) 계 112,023

(46.7) 87,125

(36.3) 17,725

(7.4) 12,445

(5.2)

7,930 (3.3)

1,162 (0.5)

736 (0.3)

539 (0.2)

239,685 (100)

(26)

다. 조사 방법 및 조사 기간

본 조사는 전문조사기관에 용역을 의뢰하여 2002. 7. 1~ 8. 30까지 8주간 실시되었다. 설문조사의 실시는 먼저 면접원이 전화로 설문조사 협조가 가능 한 사업장을 확인한 후 해당 사업장에 설문조사지를 사전 배포하여 인력개 발 담당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방법을 사용하고, 추후 면 접원이 직접 조사 대상의 사업장을 방문하여 작성된 조사지를 확인하고, 수 정・보완이 필요한 조사 문항은 그 자리에서 보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설문지는 당해 사업장의 인사 및 교육훈련 담당자가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해당자가 없을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담당자 (예: 총무팀 또는 대표자)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설문의 내용이 1명이 독자적으로 응답하기 어려운 사업장의 경우에는 해당 부서와 사전에 서로 협조하도록 하였고 조사원으로 하여금 설문조사지를 작성한 담당 부서와 담당자를 반드 시 기록하도록 하였다.

또, 다음과 같은 조사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하 여 조사 결과의 분석 및 향후의 조사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① 응답률에 관한 사항

② 표본 탈락에 관한 사항

③ 응답 거부에 관한 사항

④ 조사 불능에 관한 사항

⑤ 접촉 불능에 관한 사항

⑥ 표본 오차에 관한 사항

⑦ 기타 조사 수행 과정상의 문제점에 관한 사항

(27)

2. 실사 진행 결과

지역별로 할당된 표본을 얻기 위해서 일련의 표집 절차를 거쳐 접촉을 시 도한 사업체 수는 3,949개 사업체로 1,500개 표본을 얻기 위해서 평균 2.6개 사업체에 조사 협조를 의뢰하였다(<표 Ⅱ-6> 참조). 이중 조사 협조에 응하 여 배부된 설문지는 1,752개로 표본의 1.17배였으며, 실제로 조사기간 내에 회수된 설문지 수는 1,529개였다. 그러나 회수된 설문지의 검증 과정에서 응 답의 성실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 등, 보완 조사를 위해 응답자와 재접촉을 시도하였으나 응답자의 사정(부재중, 전근, 퇴직, 출장 등)으로 더 이상 접촉 할 수 없게되어 보완조사가 불가능했던 설문지는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최종 적으로 검증이 완료된 설문지 1,500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본 조사의 표집 과정에서 모집단으로 사용한 고용보험 DB는 고용보험료를 납입하고 있는 사업체를 수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므로 표집 때 사업체 가 소멸되거나 이전하거나 사업장의 소재지가 부정확하여 조사가 불가능했 던 사례는 많지 않았던 반면, 건설업종에서 조사 대상 사업체의 응답 타당성 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표본의 분포에서 건설업은 제조업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업종에는 틀림이 없으나 대부분 공사 현장이어서 본 조사와 관련하여 합당한 응답자를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업은 부득이 단위 사업체로 조사가 된 것이 아니라 해당 사업체의 본사 를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하여 기 할당된 표본 수대로 조사가 어려운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향후 조사의 표본 설계에서는 건설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고용보험 DB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 중 사업장 종사자 수에 대한 일 부 정보의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조사설계상의 표본 추출 결과와 실재 조 사 결과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용보험 DB상에 수록 된 해당정보가 사업장의 변화에 따라 바뀔 때마다 수정・보완되어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결과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고용보험 DB에 수록된 정보가 적시 에 수정・보완될 수 있도록, 현재 중앙고용정보원과 근로복지공사에 의해 운

(28)

<표 Ⅱ-6> 설문지 회수 성공률

구분 접촉 시도 설문지 배부 설문지 회수 성공률

서울 1,311 536 502 38.3

인천, 경기, 강원 1,149 434 395 34.4

부산, 경남 586 281 246 42.0

대구, 경북 399 184 145 36.3

대전, 충남・북 275 170 134 48.7

광주, 전남・북 229 147 107 46.7

생활 관련 제조업 412 162 159 38.6

기초소재형 제조업 398 146 140 35.2

가공조립형 제조업 557 254 250 44.9

전기/ 가스/ 수도 사업 31 20 18 58.1

건설업 1,348 482 323 24.0

도/ 소매업 204 122 118 57.8

숙박/ 음식점업 85 31 22 25.9

운수/ 창고 123 100 95 77.2

통신업 12 7 5 41.7

금융 및 보험업 95 60 52 54.7

부동산 및 임대업 62 41 36 58.1

정보통신서비스업 101 48 43 42.6

사업서비스업 375 158 156 41.6

교육서비스업 32 23 21 65.6

보건 및 사회 복지사업 67 60 56 83.6

기타공공수리및개인서비스업 47 38 35 74.5

5~9명 365 249 221 60.5

10~29명 392 213 189 48.2

30~49명 661 330 278 42.1

50~99명 652 284 201 30.8

100~299명 290 180 165 56.9

300~499명 672 226 218 32.4

500~999명 520 150 142 27.3

1000 명이상 397 120 115 29.0

3,949 1,752 1,529 38.7

(29)

<표 Ⅱ-7> 사업장 종업원 규모별 실사 결과

(단위: %) 구 분 1~4

5~9

10~

29명 30~

49명 50~

99명 100~

299명 300~

499명 500~

999명

1000명 이상 합계

5~명 5.6 62.3 30.7 .5 .5 .0 .0 .5 .0 100

10~29명 .6 7.7 80.7 6.6 3.3 .6 .0 .0 .6 100

30~49명 1.5 2.6 15.7 61.7 13.1 2.2 .4 .0 .0 100 50~99명 .5 1.0 6.7 13.3 65.1 11.8 .0 .5 .0 100 100~299명 .0 .0 3.7 2.5 9.3 72.0 4.3 5.6 2.5 100 300~499명 .0 .0 .9 .0 1.4 17.1 68.2 8.8 3.7 100 500~999명 .0 .7 2.8 1.4 2.8 2.1 10.6 69.0 10.6 100 1,000명 이상 1.7 .9 .9 1.7 1.7 4.3 .9 9.6 78.3 100

설문 조사 협조를 시도하였으나 조사가 불가능하거나 응답이 거절된 가장 큰 사유는, <표 Ⅱ-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 대상 사업장이 건설업의 임 시 사업장(공사 현장)이었기 때문 전체의 47.2%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회 사 방침에 따른 응답거부(14.7%), 업무량 과다(11.6%), 설문 분량의 부담 (11.2%)의 순이었다.

<표 Ⅱ-8> 조사 불능 사유

구 분 사례 수 백분율

224 100

회사의 부도・소멸, 사업체 이전 6 2.7

임시 사업장(공사현장) 107 47.2

교육 담당자의 퇴직・전근 13 5.8

업무량 과다 26 11.6

설문 분량 과다 25 11.2

회사 방침 33 14.7

부서간 협조 곤란 14 6.3

(30)

3. 설문조사지의 개발

사업장에서의 인적자원개발 또는 인력개발은 종업원 개인의 능률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일정 기간 동안 제공되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활동이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인력개발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개인개발(individual development),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 조직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로 구분되는데, 여기에서 개인개발은 새로운 지식과 기능의 개 발이나 현 직무의 능률 향상으로서 일반적으로 훈련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이들 요소의 중요성은 조직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개인의 능률 향상 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 능률향상(individual performance improvement)은 인력개발의 핵심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개발은 개 인개발과 조직개발이 상호 보완적으로 수행되고, 기업 내의 다른 제도나 환 경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실시될 때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오영훈 외, 2000:16~17). 따라서, 본 연구의 설문지 내용은 개인개발, 즉 사업장에서의 교육훈련 실태를 중심으로 인력개발과 관련하여 사업장에서 전개되고 있는 전반적인 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질문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2001년 예비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 중의 하나는 45개 문항, 30 쪽의 가까운 설문의 양과 관련된 문제로 이것은 설문지 작성의 소요 시간과 직결된다. 사업체 조사의 경우, 대부분 근무 시간 중에 방문 조사를 수행해 야 하기 때문에 분량이 많은 설문은 기피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설문조사 협조를 약속한 경우에도 막상 설문지를 대하면 설문분량의 과다로 거절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설문의 분 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거절률도 높을 뿐 아니라 응답이 이루어져도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가급적 설문분량을 줄일 수 있도록 조사지의 내용, 편집 체제 등을 재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설문조사지의 적합성 검토는 예비조사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 나였다. 예비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설문조사 내용의 문제점 중의 하나 는 실적과 관련된 회고형 문항의 낮은 응답률과 신뢰성 문제를 지적할 수

(31)

나 상당 부분 그렇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문항으 로는 매출액, 인건비, 교육훈련비, 교육훈련 내용 및 교육훈련 인원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계 저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조사에서 는 고용보험 DB를 활용함으로써 해당 내용을 설문 내용에서 제외시켰다.

본 설문조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질문, 둘 째, 인력 수급과 관련한 질문, 셋째, 인력관리 및 자격관리에 대한 질문, 넷 째, 인력관리 지원 체제 및 투자 규모에 대한 질문, 다섯째, 교육훈련 운영에 대한 질문, 여섯째, 경력개발에 대한 질문, 일곱째, 인력개발 파트너십과 관 련된 질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내용은 해당 사업장의 본사 여부, 사업장의 설립 년도, 업종, 그리고 상시 근로자 수와 월 평균 이직자 수 등에 대하여 질 문하였다. 특히,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 수는 고용보험 DB와 병행(merge)하여 분석하도록 하였다. 지난해 예비 조사 항목에 포함되었던 총 매출액, 주요 제 품의 내수・수출 시장 점유율, 그리고 주당 소정 근로 시간 및 초과 근무 시간, 교대 근무 형태는 조사상의 애로점과 조사 결과의 부정확성 등으로 말미암아 이번 조사에서 제외하였다.

나. 인력 수급

인력 수급과 관련한 내용은 먼저 직종별 인력 수급 현황과 관련된 내용으 로써 관리직을 비롯한 4개 직군에 대한 수급 현황, 인력 부족의 경우 충원이 어려운 이유와 충원 방법, 인력 선발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이와 함께 직종별 중・단기(향후 5년) 인력 수급 전망과 필요 인 력의 수요 증가에 따른 충원 방법을 질문하였다. 특히 지난 3년간 학교졸업

(32)

다. 인력관리 및 자격관리 제도

인력관리제도에 대한 질문은 종업원 개발과 보상관리, 그리고 평가로 구분 하였다. 종업원 개발과 관련된 문항은 전문직을 위한 독립적인 경력개발제도 와 개인 목표관리제도, 직능자격제도의 실시 여부를 질문하였고, 보상관리와 관련한 문항은 직종별 연봉제도, 팀별 인센티브제도, 우리 사주제도, 그리고 스톡옵션(stock option)제도의 실시 여부를 조사하였다. 평가와 관련해서는 직원의 능력고과와 태도고과, 업적고과 제도의 실시 여부를 질문하였다.

자격관리와 관련된 질문은 기업에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훈련 이후 일정한 검정 과정을 거쳐 자격증을 발급하는 사내 자격 제도의 운영 여부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내 자격의 종류를 알아보는 것이 었다. 둘째, 사내 자격에 대한 생각 및 도입 계획 여부, 그리고 자격증 소지 여부가 채용, 승진, 승격, 임금 보상, 교육훈련, 배치전환 등 인사관리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예비 조사에 포함되었던 직무수행능 력 지표,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직무수행능력 비교는 조사 결과가 사 실상 일반화되어 있다는 전문가 회의에서의 지적에 따라 제외되었고, 인적자 원 개발인증제도에 대한 문항도 본 제도가 아직 실시되지 않고 있고 제도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제외하였다.

라. 인력개발 지원 체제 및 투자 규모

인력개발 지원 체제와 관련된 질문은 먼저 교육훈련 전담 조직과 담당자 보유 유무에 대한 질문과 인력개발 담당자의 수와 평균 근속 년수, 담당 부 서 및 담당자의 위치, 그리고 담당자의 자질 향상을 위해서 2001년도에 제공 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또한 노동조합 또는 노사협의회 의 인력개발 참여 형태와 교육훈련 예산의 편성 기준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력개발 추진 때에 예상되는 문제와 관련하여 인원 차출 등 15가지 질문을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인적자원개발 체계와 관련하여 사업 장내의

(33)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 규모는 2001년도의 총 인건비와 직업훈련을 포함한 교육훈련비 총액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난 3년간 신입사원(신규 학교 졸업 자, 경력직 신입사원) 교육훈련비용을 별도의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다만, 지 난해 예비조사에서 조사한 직업능력 개발사업 납부 보험료 및 환급액은 조 사상의 애로점과 정확성을 고려하여 고용보험 DB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하도록 하였다.

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운영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질문은, 크게 교육훈련 내용, 대상자, 교육훈 련기관의 선정 기준과 사원들이 갖추어야 할 소양, 2001년도의 교육훈련 실 적, 교육훈련 평가, 교육훈련 결과의 활용, 그리고 근로자의 능력개발과 관련 된 제도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2001년도의 교육훈련 실적과 관련한 조사 내용은 직업능력개발훈련촉진법 에 따른 직업훈련으로 노동부로부터 훈련비 지원을 받은 직업훈련과 노동부 의 훈련비 지원과 관계없이 종업원의 직무 수행과 관련하여 실시한 모든 교 육훈련으로 다만 취미 생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훈련은 제외하였다. 이와 함께 지난 예비조사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중소기업청, 정보통신부 등 타 부 처에서 제공하는 교육훈련 참여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 항목을 추가하 였다. 교육훈련 실적과 관련된 구체적인 질문 내용은 교육훈련 주체별 교육 훈련 종류 및 훈련 방법, 훈련 강사, 평균 훈련 시간, 훈련 인원, 훈련 비용 으로 재구성하여 예비조사에 비하여 단순화하였다.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 따른 훈련 실적은 고용보험 DB에 수록된 관련 내용을 결합하여 분석・비교 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지난해의 예비조사 내용 이외에 추가된 조사 문항은 신규 채용인력을 대상으로 직무 수행과 직접 관련된 재교육의 실시 여부와 학교급별, 경력별 재교육 평균 소요 기간에 대하여 조사 항목을 신설 하였다. 또한, 중점 교육훈련 대상 인력에 대해서는 직종별로 근무 차수를 조사함으로써 경력에 따른 교육훈련의 변화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

(34)

교육훈련 평가에 대한 질문은 평가의 실시 여부와 평가 방법, 현재 교육훈 련 효과의 측정 수준, 그리고 평가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의 그 이유, 교육훈 련의 이수 결과가 채용, 승진, 승격, 해고, 임금 보상, 교육훈련, 배치전환 경 력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이와 함께 교육훈련 방 법별, 훈련과정별 생산성 향상의 도움 정도, 그리고 직무 수행을 위한 숙련 형성의 정도를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도록 새로이 문항을 개발하였다.

각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능력개발을 위한 제도와 관련해서는 노동부의 교 육훈련비 지원제도가 근로자의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과 사업장에서 직원 들의 능력개발 및 활용을 위해서 실시 중인 제도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또 한, 노동부가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 따라 지원하고 있는 제도의 활용 정도 를 파악하는 문항을 신설하였다.

바. 경력개발

경력개발과 관련된 문항은 예비조사와 같이 모두 5개 문항으로 경력개발 제도의 도입 여부와 도입하지 않고 있을 경우의 향후 도입의 필요성 정도, 경력개발 제도를 도입한 목적과 경력개발 방법, 경력개발 운영상의 애로점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사. 인력개발 파트너십

인력개발 파트너십은 지난해 예비조사의 산・학 연계와 관련된 내용을 대 폭 수정・보완하여 조사 항목을 구성하였다. 먼저 각 사업장에서의 교육훈련 기관과 사업체간의 파트너십 운영 여부와 프로그램 종류, 인력개발 파트너십 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의 정도, 파트너십을 운영하지 않을 경우의 그 이유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또한, 전문대학 졸업자를 포함한 대졸 재학생의 취업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여부를 프로그램별로 파 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대졸 인턴사원의 활용 여부와 이들의 채용에 관

(35)

아. 사업체 인력개발의 개선점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개선 사항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정부, 기 업, 근로자의 측면에서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모두 11가지 문항을 구성하였다.

<표 Ⅱ-9> 설문조사지 조사 항목 및 조사 내용

항 목 조사 문항 조사 내용

사업장의 일반적

사항

①주 업종

②본사 여부

③사업장 설립 년도

④상시 근로자 수

⑤월 평균 이직자 수

주 업종(고용보험 D B와 merge) 본사 여부

사업장 설립 년도

성별 상시 근로자 수(고용보험 D B와 merge) 월 평균 이직자 수,

인력 수급

①인력 채용

②인력 수급

채용 인원('99~' 01 기간 중 년도별 신규 학교 졸업자, 경력직 채용자)

직군별 선발 고려 요소 직군별 인력 수급 현황

직군별 충원 곤란 이유, 충원 방법 향후 직군별 인력 수급 전망, 충원 방법 인력관리

자격관리

①인력관리제도

②자격관리제도

종업원관리, 보상관리, 평가 자격증과 직무 수행 능력과의 관계 사내 자격 운영 실태

자격증과 인사관리제도의 관계 인력관리

지원체제 투자 규모

①인력관리 조직 운영 담당 부서 및 업무 수행 형태

담당자의 위상 및 평균 근속 연수 담당자에 대한 교육훈련

②인력개발 추진 애로점 인력개발 추진 때 애로 사항

③노조의 참여 정도 노동조합 또는 노사협의회 유무 및 인력개발

참여 형태

(계속)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대학생 야구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 선행연구들에

On behalf of our institute,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 would like to welcome you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교육 훈련지수(ETI)는 고용요건에서 발견된 정보를 수량화한 결과를 말한다. 미국 이나 캐나다와 같은 체계에서는 입직시 각 주의 자격증이나 특정한 인가를 필요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투자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하다. 대기업의 경우는 인사관리 부서와 교육훈련 부서가 각각 독립되어

이런 지역의 인적자원개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 체장이나 해당지역의 인적자원개발 고위정책결정자의 효과적인 리더십이

과학기술자사회의 규범의 현실화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성 강화 , 일반인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 증진 을 과학기술과 관련된 인적 자원의 개발

둘째, 사업장의 변화 실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사업장의 인력개발 담당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내

전공지식과 대인관계능력의 습득을 비교하면 대학교육이 대인 관계능력을 키우는데 취약하다고 느끼고 있다.. 학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