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6년 카타르 경제 현황 및 2017년 카타르 경제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6년 카타르 경제 현황 및 2017년 카타르 경제 전망"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6년 카타르 경제 현황 및 2017년 카타르 경제 전망

2017.2.15(수), 주 카타르 대사관

□ 요약 :

ㅇ 주재국은 총 수출의 약 80%, 정부예산의 약 70%를 석유와 천연가스 수출 에 의존하고 있음. 2014년 중반 배럴당 100~110달러였던 국제유가가 2016년 30달러 이하로 하락하면서 무역수지 급감으로 주재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주재국은 그간 5%를 상회하는 GDP성장률을 보여 왔으나 2016년에는 2%

대로 감소하였고, 또한, 2000년대 들어서 15년 만에 최초로 재정적자가 발생함.

- 재정수입 감소에 따라 주재국은 정부지출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긴축재정 정책을 시행하였는데, 공공요금 인상(전기, 수도, 휘발유 등에 대한 보조 금 축소), 정부조직의 중복을 없애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을 단 행함.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도 주재국은 2022년 개최 예정인 FIFA월드컵 준비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계속하였는데, 이에 따른 건설분야 성장은 지 난해 주재국 경제(특히, 비탄화수소 분야)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이었음.

- 지난 한 해 동안에도 주재국 국부펀드를 관리하는 카타르투자청(QIA)은 미국, 동남아 등에 대해 약 200억불 규모의 투자를 하였고, 중동정세 혼 란에 따른 전투기, 전함 등 자국안보를 위한 무기구매 등에 약 170억불을 사용함.

ㅇ OPEC 감산합의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으로 2017년도는 지난해보다는 높은 경제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국제유가 상승폭이 제한적이어서 향후 주재국의 긴축재정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그러나, 2022년 월드컵 준 비를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됨.

(2)

□ 주요내용 :

1. 주요 거시경제지표

ㅇ (재정수지) 2000년 들어 지속적으로 흑자기조를 유지해 왔던 주재국 정부 의 재정수지는 2016년 최초로 적자로 전환함.

-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주재국 재정수입(Government Revenue)은 2015년 740억불에서 2016년 428억불로 축소되었고, 이에 따라 정부지출 역시 2015년도 629억불에서 2016년도 556억불로 11.5% 감소함(2016년말 기 준 128억불의 재정적자가 예상됨).

ㅇ (재원조달) 주재국 재무부(Ministry of Finance)는 “재정부족분 충당을 위 해 카타르의 국내은행(local bank)이나 외국에서 자금을 조달할 것이나, 카 타르중앙은행(Qatar Central Band)에 예치된 외환보유고나 카타르투자청 (QIA)의 국부펀드(Qatar Sovereign Wealth Fund)는 손대지 않을 것”이라 고 발표함.

- 지금까지 주재국 정부는 해외로부터 145억불, 국내채권 및 Sukuk(이슬람 채권) 발행을 통해 26억불을 조달함.

ㅇ (무역수지) 2016년도 무역수지 흑자는 총 수출액은 583억불로 2015년에 비해 25% 감소함. 탄화수소(hydrocarbon) 관련 수출이 전체 수출의 80%

를 차지하고 있어 국제유가 하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음.

- 큰 폭의 수출액 하락에 비해, 수입은 2016년 326억불로 2015년 317억 불에 비해 3%만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무역수지 흑자는 266억불로 지난 해 대비 40%가 감소함.

ㅇ (GDP성장률)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긴축재정의 영향으로 GDP성장률은 대 폭 둔화되었는데, 2016년초 주재국 정부는 4.3%의 GDP성장률을 전망하였 으나 바르잔(Barzan) 가스전에서 천연가스 생산 차질 등으로 인해 당초 전 망치를 훨씬 하회하는 2.7%에 그칠 것으로 예측됨

(3)

- 그러나, 월드컵 개최준비를 위한 건설인프라 프로젝트 발주로 인해 비탄 화수소분야 성장은 5.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인플레이션) 부족한 재정수입 충당을 위한 전기, 수도, 휘발유 등에 대한 정부 보조금 축소로 공공요금이 대폭 인상되었는 바, 이 영향으로 물가는 2015년 1.6%에서 2016년 3.4%로 큰 폭으로 상승함.

ㅇ (국가신용등급)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경제둔화에도 불구하고 주재국은 충 분한 현금 및 자산보유로 인해 스탠다드앤푸어스(Standard & Poor) AA, 무디스(Moody) Aa2, 피치(Fitch) AA의 국가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 음.

[주요 경기지표 현황]

2014년 2015년 2016년(1/4~3/4 분기)

브렌트유 평균가격($) 99.5 53.6 44.5

실질 GDP 성장률(%) 4.0 3.6 2.3

소비자 물가상승률(%) 3.4 1.6 3.4

재정수지(GDP의 %) 14.1 3.5 -7.8

경상수지(GDP의 %) 26.1 8.2 -0.4

정부부채총액(GDP의 %) 25.0 42.5 51.0

※ 주재국 기획통계부(Ministry of Planning and Statistics) 발표자료(2016년 3분기)

2. 주요 정책

ㅇ (구조조정)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재정문제로 주재국 정부지출은 2015년 629억불에서 2016년도 556억불로 약 11.5% 감소함. 매년 증가하고 있는 정부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재국 정부는 정부 및 공공기관 통폐합, 인 원감축 및 예산축소를 단행함.

- 2016년에는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정부부처를 재편하였고, 2016.12월에는 국영 LNG회사인 카타르가스(QatarGas)와 라스가스(RasGas) 합병을 발표 함.

(4)

- 카타르석유공사(QP) 3,000여명, 하마드 메디컬코퍼레이션(HMC) 1,000여 명, 시드라(Sidra) 병원 200여명, 알자지라 방송 1,000여명을 해고하였고, 주로 고액연봉의 외국근로자에 집중됨.

ㅇ (프로젝트 축소) 공공인프라 프로젝트 발주도 대폭 축소되었는데, 주재국 최대 발주처인 공공사업청 예산은 2015년 약 69억불에서 2016년 약 45억 불 수준으로 축소되었고, 의료 관련 예산도 11억불에서 4억불로 축소됨.

- 2016년에는 2개의 박물관 건설공사가 취소되었고 카타르재단의 대학에 대한 예산지원도 큰 폭으로 축소되었음. 가장 큰 규모의 프로젝트 취소는 석유화학분야로 64억불 규모의 알 카라나(Al Karaana) 석유화학 플랜트 프로젝트와 55억불 규모의 알 세질(Al Sejeel) 석유화학 플랜트 프로젝트 임.

ㅇ (월드컵 관련 프로젝트) 부족한 재원에도 불구하고, 2016년도 월드컵 준비 관련 경기장, 도로 관련 프로젝트 발주는 249억불로 2015년도에 비해 4%

증가함. 이는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주재국이 월드컵 관련 프로젝트 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됨.

- 부족한 재원 마련을 위해 2개 경기장을 민간자금조달(PPP) 방식으로 추진 할 예정이었으나, 참여기업이 없어 기존 EPC 방식으로 발주됨(현재 8개 경기장에 대한 입찰이 모두 완료된 상태임).

(5)

[주요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 종료 예산

(억불) 기타

루세일 복합개발 2022 450 도하북부 신도시 개발(Qatar Diar)

카타르통합철도 2026 400 메트로/경전철(260km),승객/화물철도(400km) 하마드국제공항 2020 235 1단계(150억불완료)/2단계(85억불예정)

고속도로 2018 200 주요 고속도로

LRDP 2019 146 지방도로망, 하수처리시스템

유전재개발 2028 110 Bul Hanine 유전생산량 확대(90만배럴/일) 바르와 알코르 개

2025 100 알코르 북부에 복합주택단지 개발

도하신항만 2020 74 기존 도하포트를 대체하기 위해 3단계 개발(현재 1단계 완료) 전력망구축 2019 33 전력망 구축을 위한 변전소/전력망 구축(14단계 발주 중) 경제자유구역 2018 32 3개의 경제자유구역 건설

ㅇ (무기구매) 중동지역 정세불안에 따른 안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주재국의 지난 2년간 무기구매에 사용된 금액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 2015년도 170억불, 2016년 167억불

[주요 무기구매 현황]

일자 금액

(억불) 내용

2016.3월 70 프랑스 라파엘 전투기 24기 구매 2016.6월 42.7 이탈리아 해군함 7척 구매

2016.4월 39.9 미국 보잉사 F-15E 전투기 36기 구매

ㅇ (해외투자)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변 GCC국가들이 국부펀드 투자규모를 축 소하거나 기존 투자대상을 청산하고, 국부펀드 자금을 자국의 재정부족분 충당에 사용한데 반해, 주재국 국부펀드는 지속적인 해외투자 규모를 유지 함.

- 주재국 국부펀드 규모는 2015년 3290억불에서 2016년 3350억불로 증가 한 것으로 추산되고, 현재 추가적인 정부재정의 투입 없이 매년 기존 투 자로부터 발생하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 짐.

(6)

[2016년도 국부펀트 투자 현황]

일자 금액(억불) 내용

2016.2월 68 호주 운송업체 Asciano 인수 2016.3월 6 미국 MIRAMAX Studio 인수 2016.3월 13.4 미국 로스앤젤레스 사무실 건물 구매

2016.4월 20 영국 런던 주택임대사업

2016.5월 24.5 싱가포르 Asia Square Tower 1 구매 2016.6월 5 프랑스 패션업체 Balmain 인수

2016.7월 16 미국 Grosvenor House, New York Plaza, Dream Downtown 3개 호텔 인수

2016.8월 0.38 러시아 St. Petersburg 공항 지분 인수(24.99%) 2016.8월 6.2 미국 Empire state Building 지분 인수(10%) 2016.12월 1.75 미국 St. Regis San Francisco 호텔 인수

2016.12월 14.6 영국 National Grid Gas Division 지분 인수(8.5%) 2016.12월 30 러시아 석유회사 Rosneft 지분 인수(19.5)%

4. 2017년 전망

ㅇ (재정상태)  대부분 전문가들은 2017년 국제유가가 2016년도(브렌트유 평 균 44불) 보다 높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미국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은 2017년도 국제유가(브렌트유)를 53불로 예측하고 있음.

- 주재국 정부는 EIA 전망치보다 보수적인 배럴당 45불에 기초하여 2017년 예산을 책정하였는데, 2017년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보다 9% 상승한 467억불에 달하고, 정부지출은 지난해보다 2% 축소된 544억불로 77억불 의 적자가 예상됨.

ㅇ (프로젝트)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은 지난해에 비 해 2.6% 상승한 256억불로 전체 정부지출의 47%를 차지하고 있어, 향 후 주재국의 차질 없는 월드컵 준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음.

- 2017년에는 127억불 규모의 신규프로젝트(교통 69억불, 월드컵경기장 23 억불, 의료/교육 16억불, 기타 19억불)가 발주될 예정으로, 나머지 예산은 현재 진행 중인 1027억불 규모의 프로젝트 진행 등에 사용될 예정임.

(7)

ㅇ (경제성장) GDP성장률은 2016년 2.7%에서 2017년에는 3.4%로 상승하여 GCC국가들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성장은 △바르잔(Barzan) 해상 가스전 프로젝트 완공에 따른 2bcf/d (연간 15백만톤)의 천연가스 추가 생산, △인프라 등 프로젝트 발 주에 따른 건설경기 부양,△국제유가 상승 등에 의해 뒷받침 될 것으로 보임.

* [참고] 카타르 천연가스 관련 주요 현황

① 천연가스생산량 : 6.36 tcf/d (130백만톤/년)

② LNG 수출량 : 77백만톤/년 (QatarGas 40백만톤/년, RasGas 37백만 톤/년 수출)

③ PNG 수출량 : 1.8 bcf/d (13.5백만톤/년) 오만과 UAE로 수출

ㅇ (물가수준) 2017년도 물가상승률은 3.7%로 예측되는데, 이는 자국 내 휘발 유 판매 가격을 국제유가에 연동시키고, 지속적으로 공공요금에 대한 보조 축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임.

참조

관련 문서

- Peter ICRC 총재는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카타르의 코로나19 대응 노력 과 조치들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카타르 항공이 전염병 발생 지역에서 사 람들을

ㅇ (보건) 주재국 보건부는 2019년 중 5,400만불 규모의 IDB 차관을 통한 테구시갈파 지역 외상응급 대응 의료네트워크 통합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4,900만불

[r]

경제정책

[r]

ㅇ 7.26 카타르를 방문한 미국 Brian Hook 국무부 이란특별대표와의 회담에서 양 국 협력 증진 방안 및 지역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Mohammed 외교장관은 지역의 안

- Hassan Diab 임시 총리는 레바논에 대한 카타르의 지속적인 지원과 지지에 사 의를 표명하며 카타르가 레바논 폭발 사고 이후 재건

- Saad Al Kaabi 에너지담당 국무장관 겸 QP CEO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해외 고 객에게 안전하고도 적시에 맞는 LNG 배송을 위한 기존 인프라 확장이 가능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