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케냐 경제 현황"

Copied!
41
0
0
더 보기 ( 페이지)

전체 글

(1)

2011. 11. 9 나이로비 무역관

케냐 경제 현황

케냐 경제 현황

(2)

Kenya, 동 아프리카 중심

아프리카내 위치 아프리카내 위치

케냐 개황

케냐 개황

(3)

국 명 : 케냐 공화국 (The Republic of Kenya) 면 적 : 582,646 Km ( 남한의 6 배 )

수 도 : 나이로비 (Nairobi) : 400 만명 (2010 년 , 추정 ) 인 구 : 4,050 만명 (2010, EIU 추정치 )

종 교 : 개신교 (48%), 천주교 (23%), 이슬람 (11%), 기타 (18%) 종 족 : 키큐유족 (662 만 ), 루야 (534 만 ), 루오족 (404 만 ),

캄바족 (389 만 ), 카렌진족 (497 만 ), 키시족 (221 만 ), 메루 (166 만 )

마사이족 (84 만 ) 등 42 개 부족 (*2009 인구조사 기준 ) 언 어 : 영어 ( 공용어 ), 스와힐리어 ( 통용어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현재 Mr. Kibaki 대통령 ) - 2012 년 대통령 선거 (8 월 또는 12 월 미정 )

케냐 일반 사항 케냐 일반 사항

(4)

*10 월말 환율로 , 2011 년 1 월초 80.20 에서 대폭 하락세 , 케냐 중앙은행은 기준이자 율을 종전 7% 에서 10.6 일 11%, 11 월 1 일 16.5% 로 대폭 인상하였음 .

* 수출은 한국의 1.5%, 수입은 2.4% 수준임 ( 한국의 75-77 년 수준 )

케냐 경제 지표 케냐 경제 지표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GDP (U $억 ) 271 304 289 309 328

1 인당 GDP (U $ ) 733 790 732 763 789

경제성장률 (%) 7.1 1.7 2.5 5.6 4.5

소비자 물가상승율 (%) 9.6 17.8 5.3 4.5 9.3 교역규모

(U $억 )

수 출 41.3 50.4 45.0 52.2 54.4

수 입 84 107 95 112 119

외환보유고 (U $백만 ) 33.6 28.8 38.5 43.2 52.8 외채 (U $억 ) 73.8 74.3 80.1 84.7 89.6 년평균환율 (KSH/U $ ) 62.68 77.71 75.82 80.75

100.89

*

( 자료원 : EIU, *2011 년은 전망 치 )

(5)

주요 산업 주요 산업

▸ 농업 ( 어업 및 임업 포함 ) : GDP 의 23.6%

- 원예작물 * 항공으로 유럽수출 ( 케냐 총수출의 9%)

- 차 (Tea), 커피 * 세계 차 수출 수위국 ( 케냐 총수출의 13.4%)

▸ 관광산업 : GDP 의 15.4%

- 천혜의 야생 국립공원을 보유 , 케냐경제의 중요한 구성요소 - 2010 년 161 만명 관광객이 케냐 방문 ( 한국인 약 1 만명 )

▸ 제조업 : GDP 의 10.2%

- 동아프리카 대표 제조국이나 , GDP 비중은 저조

- 식품가공 ( 맥주 , 우유 , 설탕 등 ), 시멘트 , 의류 및 자동차조립 등 - 경제성장의 동력인 제조업 육성이 필요

케냐 시장 이해

케냐 시장 이해

(6)

케냐 시장특성 케냐 시장특성

① 상 권 : 인도계 상인이 유통 , 제조 등 주요상권의 60% 이상 장악

② 산 업 : 경쟁력 , 기술력 부족 , 노후화 ( 영국 식민지 시대 유럽계 설 비 )

③ 유 통 : Nakumatt, Westgate 등 유통망 대형화 추세

④ 통 신 : 2009 년부터 해저광케이블 도입 , 휴대폰 시장 급속 성장 - Safaricom, Airtel , Telcom , Yu 등 서비스

- 2012 년 4G 서비스 도입 예정

⑤ 주문관행 : 소량다품종 주문 ( 가격에 민감 )

- 일반상품 : 소량주문 , 저가 지향 (1 일 U$1 미만 소비자 60%)

- 기계류 : 한국 70 년대 수준 반자동 기계와 저렴한 노동력 결부 필요

(7)

주요 수출 품목 주요 수출 품목

< 자 료 > Economic Survey 2011

( 단 위 : 억 불 )

품 목

2007

2008

2009

2010

차 (Tea) 7.8 8.0 7.3 11.4

화훼류 6.5 6.8 6.2 8.9

커 피 1.3 1.3 1.4 2.0

철 강 1.3 1.3 1.1 1.5

플라스틱제품 7.0 0.7 0.6 0.8

(8)

캐냐의 주요 수출국 캐냐의 주요 수출국

국 가 200920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총 계 45 -10 50.8 1.4 100.0

우 간 다 5.4 7.4 6.5 20.4 12.8

영 국 4.1 -3.7 5.0 22 9.8

탄자니아 3.5 2.3 4.1 17.1 8.1 네델란드 3.5 6.0 3.3 -5.7 6.5 미 국 3.9 29.9 2.8 -28.2 5.5

한 국 0.6 -2.9 0.9 50 1.8

< 자 료 > Economic Survey 2011

( 단위 : 억불 ,

%)

(9)

주요 수입 품목 주요 수입 품목

< 자 료 > Economic Survey 2011

( 단 위 : 억 불 )

품 목 2007200820092010 년 기 계 류 10.2 11.4 10.5 20.9

정유제품 9.0 9.0 8.3 15.1

원 유 7.7 7.8 7.7 8.9

자 동 차 6.2 6.8 6.9 6.9

의 약 품 3.5 4.0 3.7 3.5

철 강 2.8 3.1 3.6 5.4

(10)

케냐의 주요 수입국 케냐의 주요 수입국

< 자 료 > Economic Survey 2011

( 단위 : 억불 ,

%)

국 가

2009

20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 수입비중

총 수 입

94.9 -11.2 117.0 23.3 100.0

중 국 10.4 16 14.9 43.3 12.7

U . A . E 14.6 -5.2 14.4 -1.4 12.3

인 도 8.5 7.1 12.8 50.6 10.9

남 아 공 6.9 19.3 7.4 7.2 6.3

일 본 5.8 -22.6 7.2 24.1 6.2

미 국 7.9 4.3 4.9 -37.9 4.2

영 국 5.4 -10.5 4.7 -12.9 4.0

사 우 디 1.5 -48.8 4.0 167 3.4

한 국 1.7 5.3 2.3 35.3 2.0

(11)

한 - 케냐 무역동향 한 - 케냐 무역동향

우리의 대케냐 수출 우리의 대케냐 수출

 수출 증가세 : 1.37 억 (‘07) → 1.56 억 (’08, 14.4%) →

1.64 억 (’09, 5.3%) → 2.33 억 (‘10, 41.3%)

수출품목 20102011. 1-8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

총계 232,687 41.3 134,741 -20.2

합성수지 34,909 -7.9 24,865 1.8

기타석유화학제품 21,724 13.3 20,511 53.8

정밀화학원료 10,136 112.3 13,402 147.7

건설광산기계 4,746 74.9 7,787 167.6

고무제품 7,529 1.4 5,573 4.2

철강판 4,945 -77.4 5,286 12.5

자동차 2,617 -10.7 5,223 653

종이제품 5,085 39.3 4,841 194.7

기타섬유제품 5,337 34.6 4,484 29.8

 주요 수출품목 ( 단위 : 백만불 ,

%)

* 2011 년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12)

수출 유망품목

• IT 분야 ( 컴퓨터 , 주변기기 ,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 )

- 이동통신 급속진전 , 디지털 , 인터넷 및 전자정부 추진계획 가시화 - 정부 ICT 분야 정책지원 등으로 꾸준한 수요 예상

• 상용 화물자동차 및 부품

• 건축설비 및 관련자재 ( 금속기와 , 전기설비 , 알루미늄 구조물 등 ) - 건축경기 활성화에 따른 건축자재 수요 증가

- 도로 및 주택 신축 / 개보수 급속 확대

• 보안장비

- 2011.10. 15 일 소말리아 대테러 전 케냐정부군 파병 , 대선 정치불안

• 농기계 , 식품가공 및 포장기계 , 플라스틱사출기 , 인쇄기기 등

※ 케냐 3 대 인프라구축 관련제품 : 도로 , 전력 , 상하수도

(13)

우리의 대케냐 수입 우리의 대케냐 수입

 수입 증가 추세

ㆍ 5.7 백만불 (’08) → 5.6 백만불 (’09) → 9.2 백만불 (’10) ㆍ 커피 수입 증가

 주요 수입품목 ( 단위 : 백만 불 , %)

수출품목

2010

2011

년 (1-8 월 )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9 65.8 12 21.9

동괴및스크랩 4 136.4 7 96.2

커피류 3 70.8 4 16.9

기타인쇄물 0.6 -18.6 0.5 -15.6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0.2 128.9 0.2 0.0

* 2011 년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임 .

(14)

한국의 주요 케냐 투자진출 사례 한국의 주요 케냐 투자진출 사례

업체명 진출년도 투자금액 투자분야 기 타 사파리파크

호텔 1974 U$500 만 호텔 / 카지 노

환성가구 2004 U$300 만 시스템 가구 1991( 우간다 ) 사나 인더스트리 1989 U$200 만 가발제조

퍼스시 ( 케

냐 ) 1996 U$40 만 사무용가구

포스코 - - 철강제조 * 타당성 조사중

(15)

기회와 위협요인

기회와 위협요인

(16)

16

케냐「 Vision 2030 」 케냐「 Vision 2030 」

기회요인 기회요인

▶ 2008. 6 월 , 케냐 경제 / 사회 / 정치 중장기 발전 3 대 근간

▶ 2030 년까지 년평균 10% 의 고속성장 지속 목표 - 중진국 진입 목표

▶ 빈곤해소를 위한 국부 창출기회 확대 , 국가인프라 구 축 ,

안정적 에너지 자원 확보 , 과학기술 혁신 , 국토 - 인 적

자원 개발 , 사회안전 시스템 확보 , 공공서비스 증대

(17)

17

라무지역 종합 개발 프로젝트 라무지역 종합 개발 프로젝트

기회요인 1: 인프라 프로젝트 기회요인 1: 인프라 프로젝트

라무지역의 전략적 중요 성

(1) 남수단 - 에티오피아의 경제 ( 무역 ) 관문

(2) 케냐 : 석유 ( 남수 단 ),

전력 ( 에티오피아 )

(3) 중국 : 남수단 석유

(18)

라무지역 종합 개발 7 대 프로젝트 라무지역 종합 개발 7 대 프로젝트

연번 개발 분야 투자예상액 ( 백만불 )

1 라무항 건설 (32 선석 ) 5,300

2 철도 ( 남수단 - 라무 - 에티오피아 ) 8,080 3 고속도로 ( 남수단 - 라무 - 에티오피아 ) 1,080

4 송유관 ( 남수단 - 라무 ) 3,700

5 리조트 도시 건설

( 라무 , 이시올로 , 투르카나 ) 680

6 국제 공항건설

( 라무 , 이시올로 , 로키초기오 ) 560

7 정유소 건설 ( 라무 ) 2,800

8 기타 인프라 건설 비용 2,500

총 합계 24,700

<자료 > 케냐 교통부 LAPSSET 개발 프로젝트

(19)

라무 지역 종합 개발 지도 라무 지역 종합 개발 지도

(20)

라무항 1 차 사업 : 3 선석 항구건설 조감도 라무항 1 차 사업 : 3 선석 항구건설 조감도

(21)

통신 분야 프로젝트 통신 분야 프로젝트

콘자 테크노파크 프로젝트 ( 별칭 : 아프리카 실리콘 사바

○ 개요 : 나 )

- 사업목표 : 미국 실리콘 벨리와 같은 정보통 전문 종합도시를 건설 - 사업주관 : 케냐 정통부

- 투자규모 : 총 5000 헥타 면적에 총 100 억 달러 투자

○ 추진일정

- 2011. 7 월 콘자 테크노파크 마스터플랜 완료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이 수행 ) - 2011 년내 1 차 23 억불 규모 과학기술단지 공사 착공식 예정 - ~2030 년 총 4 단계에 걸쳐 완공

○ 1

차 사업 상세내용

-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BPO) 설립

- BPO 주변 국제호텔 , 현대식아파트단지 , 재정공원 (Financial Park) 등 건 설 - 투자방식 : 정부와 민간 합작투자 (PPP) 형식으로 BOT 조건 (99 년 상 환 ) - 매년 2 억 4400 만 달러 정도의 이익산출 가능 (Masterplan 에 근거 ) - Mahindra, Tata Infrastructure ( 이상 인도 ), Leasing and Financial Services, Wipro ( 이상 미국 ), 영국과 유럽 몇 개국이 관심 표명 중

 정보통신 인프라 , 전자 주민증 / 공인인증시스템 ICT 마스트 플랜

 정보통신 인프라 , 전자 주민증 / 공인인증시스템 ICT 마스트 플랜

(22)

콘자 테크노파크 위치 및 조감도

* 콘자 테크노파크 단지는 나이로비에서 몸바사 방향으로 약 30Km 에 위치

(23)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케냐 전력 수요량 ( 전망치 )

연도별 순간최대

수요량 (MW) 총소비량 (GWh)

2012 1,520 9,084

2018 3,751 22,685

2024 7,608 46,147

2030 15,026 91,946

2031 16,905 103,518

* 년간 평균 증가율 13.5% 13.6%

자료 : 케냐에너지부 , 비젼 2030

(24)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2030 년까지 발전계획

자료 : 케냐에너지 부

단기 (2010-15) 중 - 장기 (2016-30) 총발전량 1815MW ( 투자액 총 39 억달러 ) 최종 21,620MW ( 투자액 미정 ) 원자력 2022 년부터 발전개시 위한

법적 , 행정적 , 인적자원 준비

2016 년까지 1 차 1,000MW 급 원 자력발전위한 발전소 위치 선정 . 2022 년부터 발전 개시

화력 2018 년까지 300MW 발전위한 2013 년까지 석탄화력발전 국제 입찰 시행

2016, 2019, 2023, 2025, 2026 년 단계별 석탄화력 발전국제입찰 시행 , 총 2000MW 전력 증산 지열

2031 년까지 5530MW 발전을 위 한 1,100 개 스팀광구 탐사 및 개 발

10,000MW 발전 목표로 4 개의 지 열스팀 필드 드릴링 및 광구 탐사 지 속

수력 2012 년까지 2 개 소형수력발전

소 증설 , 2018 년에 발전개시 별도 계획 없음

(25)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전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지열발전 집중투자 예상

자료 : 케냐에너지 부

○ 지열발전 잠재력 : 7000-10000MW

○ 현 198MW 발전 -> 2030 년 5000MW

○ 2018 년까지 지열분야에 집중 투자

- 1300MW 를 증산 , 전체전력의 50% 발 전

○ 지열 유망지역

- 메넹가이 지역 : 100MW 총 8 억달러 - 보고리아 지역에 3000MW

발전유형별 총 발전량

(MW) 전체비

율 (%)

지열 5,530 26

원자력 4,000 19

화력 2,720 13

가스터빈 2,340 11

화력 ( 디젤 ,HFO) 1,955 9

전력수입 2,000 9

풍력 2,036 9

수력 1,039 5

총 합계 21,620 100

우리기업 지열발전 수주

 - 올카리아 I, IV 지열발전소 건설 - 총 280 MW 5 억달러 프로젝트

- 현대엔지니어링 / 토요타 컨소시움

3.7 억불 계약 (2011.11. 7 일 서명

우리기업 지열발전 수주

 - 올카리아 I, IV 지열발전소 건설 - 총 280 MW 5 억달러 프로젝트

- 현대엔지니어링 / 토요타 컨소시움

3.7 억불 계약 (2011.11. 7 일 서명

2030 년 유형별 발전전 망

(26)

프로젝트 파이낸싱 개발 노력 프로젝트 파이낸싱 개발 노력

시장 확대 방안 시장 확대 방안

▶ 개발 프로젝트 계획은 많으나 케냐 정부재원 부족으로 외부 및 자체 파이낸싱이 수주에 결정적 요인

▶ EDCF 자금 의존도 극복

▶ AfDB, 세계은행 , 유럽계 펀드 , 오일머니 등 국제 파이낸싱 유치 노력 필요

▶ 아프리카 민간 프로젝트 펀드 조성 정책적 지원

(27)

2050

년 아프리카 세계 최대의 중산층 소비시장

2050

년 아프리카 세계 최대의 중산층 소비시장

기회요인 2: 중산층 소비재 시장 기회요인 2: 중산층 소비재 시장

☞ 2010

년 대비 2050 년

• 인구 ( 현재의 약 2 배 , 10 억→ 20 억 ) • GDP(20 배 , $1.3 조→ $22 조 ) • 1 인당 GDP($1,273→$11,028)

2050 년 세계 인구 및 경

구 분 인구증가 ( 백만 ) GDP (U$10 억 )

2010 2050 증가율 (%) 2010 2050

미국 316 404 27.8 13,271 35,165

유럽 733 691 -5.7 12,965 35,288

중국 1354 1,417 4.7 2,998 44,453

러시아 140 116 -82.9 847 5,870

브라질 195 219 12.3 668 6,074

인도 1,214 1,613 32.9 929 27,803

아프리카 1,033 1,998 93.4 1,315 22,033

(28)

케냐내 한국상품 소비인구 케냐내 한국상품 소비인구

절대 빈곤층

(하루 U$1 달러 이

하 ) 시골지역

( 문화혜택 불가 )

도심 서민층

( 저가 공산품 )

한국상품 소비자

2,400만명 (60%)

800만명 (20%)

400만명 (10%) 400만명 (10%)

총 소비인구 4,000 만명

(29)

소비재 , 중간재 투자진출 소비재 , 중간재 투자진출

시 장 확대 방안 시 장 확대 방안

▶ 생산부재 품목

- 유리 , 변압기 , 자동차부속 ( 특히 , 클러치 ), 전자부속품 등 중간재 , 소비재 , 생산재 전반에 걸쳐 생산 기술 부재

▶ 유망 분야

- 화장품 , 여성용 티슈 등 소비재 - 전력기자재

- 식음료 가공용 기계

- 건축용 자재 , 보안장비

- 인쇄 , 포장용기

(30)

▶ 제조업 생산지수 최상위 6 개 분야

(Manufacturing Quantum Index)

유망 투자 분야 유망 투자 분야

  2008 2009 2010

플라스틱 1513.9 2063.4 2108.6 흙 / 유리가공 1751.6 1748.2 1707.0 석유화학 제품 1323.2 1440.7 1496.7 운송관련 부품 1106.7 1047.4 1079.0

식품가공 649.7 680.1 690.7

고무가공 558.3 640.5 611.2

기 준 :

1976=100

자료 : 케냐중앙통계 청

(31)

▶ 제조업 생산지수 최하위 6 개 분야 (Manufacturing Quantum Index)

유망 투자 분야 유망 투자 분야

  2008 2009 2010

목재가공 44.2 37.8 44.2 기초화학제품 52.2 50.7 52.3 인쇄 , 출판 240.7 123.8 64.3

가구류 64.0 66.2 68.0

수동식 기계류 74.1 77.3 78.3

섬유류 97.9 78.6 81.4

기 준 :

1976=100

자료 : 케냐중앙통계

(32)

케냐 , 동아프리카 진출 허브 구축 케냐 , 동아프리카 진출 허브 구축

기회요인 3: 동아프리카 진출 전진기지 기회요인 3: 동아프리카 진출 전진기지

▶ EAC ( 동아프리카국가연합 ) 국가 공급 전진 기지 구축 - 동아프리카 내륙국을 포함한 동아프리카 시장 점유를 위해 적기 공급이 가능한 물류 허브 구축

- 가전제품 , 자동차 및 부품 , 기계류 등 A/S 가 필요한 부품

▶ 뭄바사 , 나이로비 Arti River 지역 , 자유무역지대 등 - 판토스 등 물류기업 신규 진출 등

▶ KOTRA, 케냐의 동아프리카 물류허브 타당성 조사 중

(12 월말 한 )

(33)

전반적 위험요인 전반적 위험요인

구분 대상 요인 분야별 상황

정치 지도자의 역량 , 리더쉽

정치적 안정성

케냐 > 르완다 / 우간다 / 탄자니아

비교적 안정세 ( 종족 갈등 잠복 )

사회

전반적 부패도

치안 및 안전망

행정 시스템

심각 , 점진개선 기대 ( 지도자 관건 )

탄자니아 > 우간다 > 케냐 > 르완다

케냐 > 우간다 / 탄자니아 / 르완다

경제

경제발전 의지 및 발전 속도

합리적 경제정책 수립 및 추진

대외 경제 의존도

산업기반 보유 또는 개발 노력

한국의 발전속도 대비 1/20 수준

정책수립 > 실행 ( 미래 개선 예상 )

매우 큼 ( 현 국가예산 30% 이상 원조의 존 )

미약하나 민간부문 중시정책

미래

국민들의 국가관 ( 애국심 )

인적자원 ( 교육열 )

미래에 대한 기대 ( 희망 )

종족 > 국가 , EAC 완성에 기대

교육열 높음 ( 희망적 )

지도자 리더쉽에 의존 ( 내재적 희망여 지 )

(34)

동아프리카 사업 환경 동아프리카 사업 환경

  르완다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부룬디

사업환경순위 58 98 122 128 181

사업시작 9 125 137 122 135

건설허가 82 35 133 179 175

부동산등록 41 129 150 151 115

자금확보 32 6 46 89 168

투자가 보호 28 93 132 93 154

세금납부 43 162 62 120 141

인근국 교역 159 144 148 109 176

계약이행 39 125 113 32 171

사업철수 - 85 56 113 -

자료 : Doing Business in EA 2011 ( 세계은행 ), 단위 : 총 183 개국중 순 위임

(35)

35

동아프리카 시장을 우리의 텃밭으로 !

마 무 리 마 무 리

▶ High Risk = High Return 이 가능한 시장

-

동아프리카 : 인구 1 억 3 천만 , GDP 786 억불 . 경제성장율 연평균 6%

-

네슬레 , IBM, Google, Glaxo Beecham 등 글로벌 기업 , 동아프리 카

지역 본부 설치 또는 활동 거점을 나이로비로 확대 중

▶ 케냐 프로젝트 + 국내엔지니어링사 + 국제적 파이낸싱 접목

- “ 자금을 가져와서 직접 개발 , 이익금 챙긴 후 넘겨달라”

- 대형 프로젝트는 즐비하나 EDCF 자금은 한계

- 케냐 발주처 + 한국기업 + 국제 파이낸싱 기관 접목

▶ 장기적 안목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 구축

- 단기간에 이익을 내겠다는 성급함은 금물 - 정확한 인맥을 구축을 위한 장기 투자 필요 - 현지 거래관행과 시장을 깊이 이해하는 노력

(36)

참 고 자 료

참 고 자 료

(37)

동아프리카 5 개국 경제현황 (2010 년 ) 동아프리카 5 개국 경제현황 (2010 년 )

구 분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 브룬디

인구 ( 백만명 ) 40.5 44.8 33.8 10.6 8.5 GDP (U $억 ) 309 238 170 55 14 1 인당 GDP (U $ ) 763 531 503 519 165

경제성장률 (%) 5.6 7.0 5.6 7.5 3.6 소비자 물가상승율 (%) 4.5 5.6 4.0 2.3 6.4

교역규모 (U $억 )

수 출 52.2 42.7 21.6 2.3 0.9 수 입 112 70.9 42.6 11.2 5.1

자료 : EIU 보고

(38)

동아프리카 5 개국 수출 현황 (2010 년 ) 동아프리카 5 개국 수출 현황 (2010 년 )

( 단 위 : 억 불 )

국 가 수출액 주요 수출품목 주요 수출대상국

케 냐 50.8 차 , 화훼 , 커피 , 철강 , 철 가공품 , 플라스틱 제품

우간다 , 영국 , 미국 , 네덜란 드

탄자니아 42.7 금 . 다이아몬드 , 커피 , 면 화

캐나다 , 인도 , 네덜란드 , 일 본

우간다 21.6 커피 , 어류 , 면화 , 차 벨기에 , 네덜란드 , 프랑스 , 독 일

르완다 2.3 커피 , 차 , 주석 , 콜타르 중국 , 독일 , 미국 , 파키스탄 부룬디 0.9 커피 , 차 독일 , 스위스 , 파키스탄 , 벨

기에 합 계 118.3

자료 : EIU 국가보고

(39)

동아프리카 5 국 수입현황 (2010 년 ) 동아프리카 5 국 수입현황 (2010 년 )

( 단 위 : 억 불 )

국 가 수입액 주요 수입품목 주요 수입대상국

케 냐 117 기계류 , 정유제품 , 원유 , 자동차 , 의약품 , 철강

UAE, 중국 , 인도 , 미국 , 남아공

탄자니아 70.9 기름 , 기계류 , 운송기기 , 건축자재

남아공 , 중국 , 인도 , UAE

우 간 다 42.6 기계장비 , 차량 및 부품 ,

화학제품 , 석유제품 케냐 , UAE, 중국 , 인도 르 완 다 11.2 생활용품 , 중간재 사우디 , 우간다 , 독일 ,

벨기에

부 룬 디 5.1 자본재 , 생활용품 사우디 , 케냐 , 벨기에 , 프랑스

합 계 246.8

자료 : EIU 보고

(40)

한국의 동아프리카 수출 한국의 동아프리카 수출

<자료 > EIU, KOTIS ( 세계무역통계 )

( 단 위 : 억 불 )

국 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2010 2011.1-8 월 주요 수출품목

케 냐 233 41 136 -20 석유화학제품 , 건설중장비 , 타이어 , 섬유류

탄자니아 107 58.2 56 -17.8 석유화학제품 , 섬유류 , 축 전지

우 간 다 18 12.1 17 96.1 컴퓨터 , 합성수지 , 휴대폰 , 가전제품

르 완 다 15 -46.5 6 -54.5 전화교환기 , 광케이블 , 사 진필름

부 룬 디 0.3 -62.3 0.3 71.1 서적 , 의료기기 , 식품포장 합 계 193.6 - 128.8 - 기계

(41)

한국의 동아프리카 수입 한국의 동아프리카 수입

<자료 > EIU, KOTIS ( 세계무역통계 )

( 단 위 : 억 불 )

국 가 2010 2011.1-8 월

주요 수출품목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케 냐 9 65.8 12 121.9 폐철 , 커피 , 알류미늄스크랩 탄자니아 71 550.2 21 -41.6 연초류 , 알루미늄스크랩 , 동

우 간 다 4.9 9.8 8 144 어육 , 비철금속제품 , 화초류 르 완 다 0.1 246 0.06 -30.9 섬유류

부 룬 디 0 - 0 - n/a

합 계 105 - 35.76 -

참조

관련 문서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고등학교 경제 관련 교과서도 단순한 경제 관련 지식을 학 습하도록 안내하는 교과서가 아니라 생활과 관련해서 삶의 경험을 확대할

국제화 시대에 택배산업의 발전은 국가 경제 발전과 일치한다. 경제 글로벌화 확산 으로 인해 택배산업 시장은 상대적으로 크며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택배회사는

[r]

경제 전망과 대응 정책... 싱가포르 경제의

근로계약의 불법적 종료에 대하여 책임 있는 관리자에 대한 손해배상 요구 근로자에 대한 불법적 근로계약 종료 또는 전직으로 인한 임금지급으로 관리자 가

우무르자코프 부총리 겸 투자대외무역부 장관은 쉬씬 첸(Shixin Chen) 아시아 개발은행(ADB) 부총재와 면담을 갖고, 주요 프로젝트 진행현황 및 협력방안을 논의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서명한 부가가치세(VAT) 개선에 대한 명령에 따라 금년 10.1부터는 수출기업의 국내계좌로 외화가 입금되었는지 확인절차 없이 실제

자신들의 이익과 편리함을 위해 기프트 카드를 받지 않고 있어 소비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경제 성장 둔화 추세에 있는 우리나라가 보다 성숙된 고소득 선진국으로 안착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개혁 등을 경제 자유지수(Index of

[r]

[r]

국가주의와 상업주의 대두-금전적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프로 스포츠의 발달 – 행위의 결과 중시, 외면적 보상을 추구하는 생계유지 수단으로 스포츠가 강조

ASIA 각국

두 번째 기준은 경제적 특성으로 자원관련 산업이 국가 경제 의존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자원의 국가의존도가 높은 지역으로 중동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있으며

주력 수출 상품 추이...

관광공급 : 관광생산자가 생산한 관광재 또는 관광서비스를 일정 기 간에 일정한 값으로 관광소비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 또는 욕 망. 관광공급량 : 관광생산자가

또한 최근 유럽 경제 위기로 인한 전 세계적인 경제 침체 , 디지털미디어 발전에 따른 종이 수요 감소 에도 불구하고 중국업체들에 대한 무역규제 강화 , 일본 대지진

[r]

이는 결과적으로 안정적 직업 취득을 통한 경제 ·사회적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경제 영역에서는 가게와 기업에 대해 배우고 합리적인 생산자와 소비자를 탐구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직접적인 경제 활동을 하지 않기

조방한 경제발전방식과 합리적이지 못한 경제 구조는 중국 경제 성장의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 고 있다. 에너지 절약 및 이산화탄소 감축은 경제 구조를 조정하고 발전 방식을

국민 경제 전체의 경제활동별 최종 생산액 비중을

국제화 시대에 택배산업의 발전은 국가 경제 발전과 일치한다. 경제 글로벌화 확산 으로 인해 택배산업 시장은 상대적으로 크며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택배회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