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5년 8월 박사학위논문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人智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배 숙 경

(3)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人智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of Inattention and Hyperactive-Impuls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2015년 8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배 숙 경

(4)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人智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도교수 김 택 호

이 논문을 이학박사 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5년 4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배 숙 경

(5)

배숙경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권 영 란 (인) 위 원 전남대학교 교수 노 안 영 (인) 위 원 정여주미술치료연구소 소장 정 여 주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택 호 (인)

2015년 6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7

C. 용어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0

A. 인지학 ··· 10

1. 인지학의 성립배경 ··· 10

2. 인지학의 개념 ··· 11

B. ADHD 아동 ··· 17

1. ADHD 아동의 정의 및 진단 ··· 17

2. ADHD 아동의 특성 ··· 19

3. 인지학에서 ADHD 아동의 관점 ··· 22

C. 창의성 ··· 26

1. 창의성의 개념 ··· 26

2. ADHD 아동의 창의성 ··· 28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와 창의성 ··· 29

D.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 32

1. 인지학 미술치료 ··· 32

2. 집단미술치료 ··· 33

(7)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원리 ··· 34

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특성 ··· 37

5.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형태와 기법 ··· 39

E. 연구의 모형 ··· 46

Ⅲ. 연구 Ⅰ: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A. 연구목적 ··· 48

B. 연구절차 ··· 48

C. 프로그램 개발모형 ··· 49

D. 프로그램 개발절차 ··· 50

1. 단계 1: 예비 프로그램 목표수립 ··· 52

2. 단계 2: 예비 프로그램의 구성 ··· 54

3. 단계 3: 예비 프로그램 연구 및 장기적 효과 제고노력 · 58 4. 단계 4: 본 프로그램 개발 ··· 61

IV. 연구 II: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A. 연구목적 ··· 76

B. 연구가설 ··· 76

C. 연구방법 ··· 77

1. 연구대상 ··· 77

2. 연구의 윤리적 고려 ··· 78

3. 연구도구 ··· 79

4. 실험설계 ··· 84

5. 연구절차 ··· 84

6. 자료분석 ··· 86

(8)

D. 연구결과 ··· 87

1. 기술 통계치 ··· 87

2. 사전 동질성 검증 ··· 90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91 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증상에 미치는 효과 ··· 96

E. 질적 내용분석 연구결과 ··· 98

1. 참여 관찰 평가와 분석 ··· 98

2. 관찰행동 기록 분석 ··· 103

3. 작품 분석 ··· 109

Ⅴ. 논의 및 결론 ··· 124

A. 논의 ··· 124

1. 연구 Ⅰ: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 124

2. 연구 Ⅱ: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 126

B. 결론 및 제언 ··· 130

참고문헌 ··· 134

국문초록 ··· 148

부록 ··· 150

(9)

표 목 차

<표 1> 인간의 네 가지 구성 요소 ··· 14

<표 2> 4가지 구성체의 7년 주기설 ··· 15

<표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형태와 기법 ··· 39

<표 4> 연구 Ⅰ의 연구절차 ··· 49

<표 5>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예비 프로그램 ··· 57

<표 6>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예비 프로그램의 전문가 자문요약 ··· 61

<표 7>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활동내용 ··· 64

<표 8> 회기 진행 순서 ··· 65

<표 9>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최종 본 프로그램 ··· 73

<표 10>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 79

<표 11> 창의성 검사 항목에 따른 문항 번호 ··· 82

<표 12> TTCT 하위 요인의 채점 방법 ··· 82

<표 13> 검사 요인별 신뢰도 ··· 83

<표 14> 연구 설계 ··· 84

<표 15> 연구 II의 연구절차 ··· 86

<표 16> 창의성 검사 원점수 ··· 88

<표 1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가척도 원점수 ··· 89

<표 18> 실험집단, 대기집단 창의성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증상의 변인별 기술통계 결과 ··· 90

<표 19>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 따른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 91

<표 20> 사전 · 사후 창의성 차이 검증 ··· 92

<표 21> 사전 · 사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상 차이 검증 ··· 96

<표 22> 아동관찰 분석 ··· 100

<표 23> 행동 관찰 분석 ··· 105

<표 24> 자기 행동 분석 ··· 106

<표 25> 반응 기록 분석 ··· 108

<표 26> 프로그램 소감 분석 ··· 109

<표 27> 작업 활동과정 분석 ··· 111

(10)

그 림 목 차

<그림 1> DSM-5 Diagnostic criteria for ADHD ··· 18

<그림 2>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모형 ··· 47

<그림 3> 김창대의 프로그램 개발모형(김창대 외, 2011) ··· 50

<그림 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절차 ··· 51

<그림 5> 유창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3

<그림 6> 독창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3

<그림 7> 제목의 추상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4

<그림 8> 정교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5

<그림 9> 성급한 종결에의 저항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5

<그림 10> 부주의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7

<그림 11> 과잉행동충동성에 대한 실험집단,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 97

<그림 12> B 아동의 2회기, 4회기 작품 ··· 113

<그림 13> B 아동의 5회기, 7회기 작품 ··· 114

<그림 14> B 아동의 9회기, 12회기 작품 ··· 115

<그림 15> J 아동의 1회기, 2회기 작품 ··· 116

<그림 16> J 아동의 4회기, 5회기 작품 ··· 117

<그림 17> J 아동의 10회기, 12회기 작품 ··· 118

<그림 18> E 아동의 5회기, 6회기 작품 ··· 119

<그림 19> E 아동의 7회기, 9회기 작품 ··· 119

<그림 20> E 아동의 10회기, 11회기 작품 ··· 120

<그림 21> J 아동의 5회기, 6회기 작품 ··· 121

<그림 22> J 아동의 7회기, 9회기 작품 ··· 122

<그림 23> J 아동의 10회기, 11회기 작품 ··· 122

(11)

부 록 목 차

<부록 1> 전문가 집단 내용 타당도 ··· 151

<부록 2> TTCT 도형 창의성검사 ··· 152

<부록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척도 ··· 163

<부록 4> 행동관찰 평가 ··· 164

<부록 5> 자기행동 평가 ··· 165

<부록 6> 반응 기록지 ··· 166

<부록 7> 프로그램 소감문 ··· 167

<부록 8> 연구참여 동의서 ··· 168

<부록 9> 연구윤리 교육과정 이수증 ··· 170

<부록 10>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회기별 계획서 ··· 171

<부록 11>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세부계획 ··· 173

<부록 12>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기록 ··· 185

<부록 1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형태소묘 기법 ··· 197

<부록 1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기법 ··· 201

(12)

부 록 그 림 목 차

<부록 그림 1> 자유로운 나 경험 ··· 185

<부록 그림 2> 나의 감정 경험 ··· 186

<부록 그림 3> 나를 일깨우기 ··· 187

<부록 그림 4> 나와 놀기 ··· 188

<부록 그림 5> 호기심 펼치기 ··· 189

<부록 그림 6> 감정 합체 ··· 190

<부록 그림 7> 생각 합체 ··· 191

<부록 그림 8> 표현의 자유 ··· 192

<부록 그림 9> 특징 찾기 ··· 193

<부록 그림 10> 바로 서기 ··· 194

<부록 그림 11> 마음대로 즐기기 ··· 195

<부록 그림 12> 생각, 마음 합체 ··· 196

<부록 그림 13> 수평선 ··· 197

<부록 그림 14> 물결선 ··· 197

<부록 그림 15> 물결선 ··· 197

<부록 그림 16> 매듭선 ··· 197

<부록 그림 17> 겹침선 ··· 198

<부록 그림 18> 겹침선, 대칭선 ··· 198

<부록 그림 19> 원, 나선형 ··· 198

<부록 그림 20> 대칭선 ··· 198

<부록 그림 21> 엮은선 ··· 199

<부록 그림 22> 나선, 미로형 ··· 199

<부록 그림 23> 빗금선 ··· 199

<부록 그림 24> 빗금선 ··· 199

<부록 그림 25> 빗금선 ··· 200

<부록 그림 26> 빗금풍경 ··· 200

<부록 그림 27> 원형 ··· 200

<부록 그림 28> 만다라 ··· 200

<부록 그림 29> 형태소묘 ··· 201

<부록 그림 30> 목탄소묘 ··· 201

(13)

<부록 그림 31> 음영소묘 ··· 201

<부록 그림 32> 자연소묘 ··· 201

<부록 그림 33> 습식 수채화 ··· 201

<부록 그림 34> 베일 페인팅 ··· 201

<부록 그림 35> 세코렐 ··· 201

<부록 그림 36> 점토 ··· 202

<부록 그림 37> 목공 ··· 202

(14)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of Inattention and Hyperactive-Impuls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Bae, Suk Kyung

Advisor: Prof. Kim, Tack Ho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of inattention and hyperactive-impuls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with this, and to verify the effect. The research composed of Research I and Research II to achieve its purpose has been carried out as follows:

At the stage of Research I,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in order to develop an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promoting creat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was established, and by configuring the contents applicable to this, the preliminary ar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ADHD tendency children in a regional children’s center. The preliminary research process thereafter was assessed, analyzed, modified and corrected, and an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validity of which contents was verified by an expert group has been developed.

At the stage of Research II,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ided to ADHD tendency children and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was verified.

(15)

The anthroposophy ar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12 times to 12 children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in a waiting group who are in G regional children’s center, so its effect was verified.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reativit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result than the waiting group. Of subordinate elements in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abstraction of title, granularity,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mor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

Second, in the aspec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meaningful result than the waiting group. Of subordinate element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negligence and hyperactive-impuls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more meaningfully than those in the waiting group.

To sum up, when a developed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ided to ADHD tendency children, their creativi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Through a group art therapy using Steiner’s anthroposoph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and stages of the program.

Therefore, a positive change in creativity promo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i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continuously provided to ADHD tendency children in fields, will is expected to make.

Key Words: Anthroposophy,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Creativity,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attention, Hyperactive-Impulsivity

(16)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의 폐쇄적인 도시환경과 거미줄처럼 복잡한 사회구조적 환경, 그리고 빠르게 변해가는 디지털 환경은 인간에게 탈 인간화를 부추기며 심리적 억압과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사람들은 외적인 모습만을 쫓다 보니 실제의 삶과 관련된 인간 존재의 근원적 영역을 깨우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심신이 불균형적으로 발달 하여 몸의 질병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병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경미한 우울이나, 불안, 혹은 대인관계 기피, 원인을 알 수 없는 신체적 통증 등은 현대인 에게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비단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의 심리상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 심각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아동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들에 대한 인식 또한 점차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전 문적 진단과 개입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특히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진단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진단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증상 중 하나이다(김정원, 2014). 임경희와 조붕환 (2004)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5.7%가 ADHD 아동으로 추정되 고 있다. 경증까지 포함하면 ADHD는 최고 13%에 달할 정도의 흔한 질병이라 볼 수 있다(김동식, 20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2012년 5월부터 최근 5년 간(2007~2011년) 20세 이하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ADHD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이 2007년 4만 8,000명에서 2011년 5만 7,000명으로 5년 동안 약 9,000명인 18.4%가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ADHD 아동의 치료법이 개발 시행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오히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것은 앞으 로 ADHD 아동의 치료법 및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박민선, 2008).

기존의 김정원(2014), 김영래(2014), 박수진(2013), 이형구(2013) 등의 ADHD 연구들은 ADHD 아동의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부적응, 공격성, 불안, 분노 등 부정적인 문제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은 약물 개입적 접근, 행 동수정 접근, 놀이 치료, 미술 치료, 사회성과 부모훈련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개입 연구뿐 아니라, 병원을 다니는 임상군들을 대상으로 DSM-5에 나오는 진단 기준에

(17)

따른 ADHD 아동의 인지, 기질적 특성, 가족 특성, 발달 특성(영아, 유아, 학령, 사회적 특성)의 연구, ADHD 아동들에 관한 척도 개발 연구 등으로 나뉘어 이루 어졌다. ADHD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주로 ADHD 아동이 가지고 있는 결함과 그로 인해 생겨난 문제행동,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개입방법에만 초점 이 맞추어져 연구되었다(이명희, 2009).

Nylund(2008)에 따르면, ADHD 아동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방법론적 결함과 오류”를 내포하고 있어 오히려 ADHD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 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Lara(2005)는 기존의 증상 중심의 ADHD 치료 프로그램 에서는 ADHD 문제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아동에게 낙인의 문제점 을 유발하고 이는 오히려 아동의 자아존중감이나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환경에 부적응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이로 인해 ADHD 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 낮은 유능감,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내부에 형성 되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부적응하게 된다. 따라서 개입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성향 을 고치는 것에만 치중하기보다 아동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성향을 존중해주면서 부정적인 성향의 수정을 돕는 장점에 근거한 개입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정은, 2008).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기존의 부정적인 견해에 대한 반박으로 ADHD 아동의 긍정적인 접근의 한 측면으로 ADHD 아동의 특성 중 하나 인 창의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Gollmar, 2000). 조나리(2001), 이영나 (2006), 최수경(2005)의 연구에서 ADHD 아동의 높은 창의적인 능력, 창의적인 사 람과 ADHD 아동의 특징, 왜 창의성과 ADHD가 중복될 수 있는지와 ADHD로 인하 여 아동의 창의성이 가려질 수 있는지, 그리고 오진에 대한 경고등이 논의되었다.

Hallowell과 Ratey(1994)는 창의적이고 직관적인 ADHD 사례를 보고하였고, Guenther(1995)는 ADHD 성향과 창의적인 성향과의 유사성을 보고하였다. Leroux

& Levitt-Perlam(2000)는 부주의하고 과잉활동과 충동적인 행동, 기질의 까다로움, 사회성 능력, 학업 수행능력 부족과 같은 ADHD 성향들이 창의적인 사람들의 모습 이며, 기존의 ADHD 연구들이 주로 치료와 증상, 문제만을 강조하고 창의적인 것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 Lovecky(2004)는 ADHD 성향이 심한 아동에게는 창의성이 나타나기 어렵지만, 매우 창의적이면서 가벼운 ADHD 성향을 지닌 아동은 학교과제를 하지 않거나 남을 괴롭히는 등의 행동을 보이지 않기

(18)

때문에 쉽게 ADHD로 진단되지 않는다고 한다.

Cramond(1994)는 ADHD의 창의성과 공유하는 부분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이라고 설명하였다. ADHD로 진단된 아동은 임무를 끝까지 완성하지 못하는 과잉행동을 보이며, 생각 없이 행동하고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위험한 일에 뛰어드 는 충동성을 보인다. 그는 이러한 행동을 창의적인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높은 에너 지 수준의 표현, 정서 과잉 흥분성으로 설명을 하였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ADHD 아동에게 창의적 성향이 있다는 전제 하에 그들이 적응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학교와 가정에서 지나치게 통제적이고 타율적인 틀에서 아동을 교육하고 양육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Lovecky, 2000). ADHD 아동의 창의성에 초점을 맞춘 개입방법은 ADHD 아동들이 현실적으 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으로 봐서 무엇보다 필요한 접근이라 고 하겠다. 또한 미래를 살아가야 할 아동들에게 시시각각 달라지는 사회 속에서 문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부분이다(김현아, 2009).

ADHD 아동과 창의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최혜영(2014)의 ADHD 아동을 위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는 창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을 다면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고, 창의성 증진을 통해 자기효능감의 증진도 도모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ADHD 아동 의 창의성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개발 한 특징적인 부분이 있고, 연구결과에서는 창의성 증진과 자기효능감 향상의 효과 를 보았지만 ADHD 아동의 문제 감소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최재원 외(2012)의 ADHD 아동의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건강관련체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운동참여가 ADHD 아동의 건강관련체력과 창의성에 긍정 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영나(2006)의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 유능감 관계 연구는 ADHD 성향 아동이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이 일반아동에 비해 높다고 했다.

창의성에 관한 연구들에 따르면 창의성은 훈련과 연습을 통해 신장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이 밝혀지고 있다(김현아, 2009). Winnicott(1998)은 미술의 표현활동이 심리적인 고통과 긴장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미술 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19)

예술과 창조성은 긴장을 이완 시킬 뿐 아니라 자아의 힘을 길러 주는 활동이다.

또한 예술과 친숙한 아동은 ‘창조’를 하게 되며, ‘창조’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키우 게 된다(Anderson & Milbrandt, 2007).

학습에 집중하기 어렵고 주의가 산만한 ADHD 증상을 겪고 있는 아동에게 미술 활동은 긴장감과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창의적인 활동을 반복하면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술활동은 사고력의 다양성을 확장시켜 독창성, 융통성을 키워주 며, 자신감 증대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시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 시킨다 (최현정, 2013).

이러한 미술치료 중 인지학(人智學) 미술치료는 아동들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발달 특성에 맞게 환경과 치료내용을 제공하여 ADHD 아동의 잠재되어 있는 창의 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이다(설희정, 2008).

창의적 인간형성을 추구하는 인지학(人智學) 미술치료는 아동이 가진 각각의 문제들을 다루는데 있어서 상상력이 풍부한 접근법이며, 산만한 아이는 자신의 주 변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고 자기 자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Londen, 1985).

인지학의 창시자인 Steiner는 미술을 통한 감성과 창조의 체험은 인간이 스스로 전인적인 삶을 영위하고 긍정적인 자아실현을 존속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기질과 정서의 감각적인 영역까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미술 만큼 총체적이며 인간 본연의 삶에 충실한 분야는 없다고 보았다(Steiner, 1988).

인지학 미술치료에서는 자연에 대한 세밀한 관찰을 중시하며 이를 예술적 기법 을 통한 소묘나 색, 조형을 통한 형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Form Drawing), 추상 화, 모형 만들기, 변형하는 창조적 과정을 거친다. 또한 Steiner의 고유한 동작 치료인 Eurhythmie를 통한 몸으로 생각하기와 선과 색을 통한 감정이입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다양한 예술적 활동과 방식은 창조를 이끌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창조성을 추구하는 기본 방식으로서 유용하다.

인지학 미술활동과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들을 살펴보면, 발도르프 습식 수채화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효과적이었다고 밝혔으며(조현, 2012) 인지학 미술치료 방법 중 하나인 포르멘(형태소묘)을 이용해 시각예술영재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김경애, 2006)가 있다. 또한 포르멘(형태소묘)을 이용한 미술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창의성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장누리, 2010)는

(20)

인지학 미술치료와 창의성의 연관성을 밝혀주고 있다.

인지학 미술치료는 예술적 접근에 의한 독특한 치료 방식에도 불구하고 이론의 방대함과 난해함 때문에 국내에서는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내선행 연구동향은 1990년대 이후부터 교육학에서 연구가 시작되었고, 건축, 예술, 의학, 농업, 음악치료 분야 등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 인지학 이론과 미술치료에 대한 소개는 정여주(1999)의 인지학적 관점에 서 고찰한 교육적 미술치료연구에서 이루어졌으며, 임상연구는 윤선영(2011)의 인지학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오명연(2012)의 형태소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연구 등이 있다. 정여주(1999)연구는 인지학 미술치료를 교육적 미술치 료관점에서 미술치료의 목적과 의의, 형태와 기법 등을 고찰하였다. 윤선영(2011) 은 인지학 미술치료의 소묘, 회화, 조소의 세 가지 활동내용에서 형태소묘, 습식 수채화, 점토를 이용한 기법으로 정신분열증 환자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학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완화, 정서표현 수준향상, 무쾌 감증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오명연(2012)은 인지학 미술치료 기법 중 소묘 인 포르멘 기법(형태소묘)을 통해 학교 부적응 아동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인지학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불안과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 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국외연구는 독일 인지학 병원에서 실시한 인지학 미술치료와 관련된 연구로 Harald와 Claud(2007)의 만성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학 예술치료 임상연구 와 Harald와 Claud(2009)의 불안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학 예술치료 임상 연구가 있다. 두 편의 임상연구는 인지학 예술치료에서 미술, 음악, 오이리트미, 언어치료와 증상별 약물치료와 마사지요법을 같이 사용해 만성질환과 불안장애 환자의 증상 감소와 삶의 질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두 연구에 서는 Steiner의 미술치료만이 아닌 음악, 언어, 오이리트미등의 다양한 치료와 약물, 마사지 등의 통합적인 치료방식을 함께 사용하였으며, 아동에서 성인까지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2년간의 추적연구를 하였다. Harald와 Claud의 연구에 서는 다양한 연령층과 병리적인 만성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과 2년 뒤 까지 치료적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것, 그리고 다양한 인지학 치료요법들을 병행했 다는 것이 연구의 특성이다. 그러나 인지학 미술치료만의 전문적인 효과를 탐색하

(21)

기는 어려웠으며 대상에 따른 치료에 대한 상세한 방법은 알기 힘들다.

인지학 미술치료와 창의성, ADHD 아동과 창의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ADHD 아동과 창의성과의 관련연구를 밝히거나, 일반아동의 창의성과 관련한 비교연구, 일반아동과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 학습과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들이다. 인지학 미술치료 연구 분야에서는 유아 대상이나 일반아동, 영재아동, 정신분열환자, 만성질환 환자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치료 기법에서 포르멘(형태소묘) 혹은 습식 수채화의 기법 중 한 가지 기법만을 사용해 연구하였다.

또한 ADHD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많은 학문적 논의와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ADHD 아동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거의 없다. 그리고 ADHD 아동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실질적인 방법과 연결시켜 효과성을 본 미술치료 연구도 없다. 인지학 미술치료 선행연구와 ADHD 아동의 창의성과 관련한 선행연 구들은 그 이론과 증상에 대해서도 통합적 이해와 설명이 부족하고, 그 수도 미비 하여 전반적인 인지학 미술치료와 ADHD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하기 어렵 다. 결국 ADHD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설명, 그리고 그러한 기법에의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한 인지학 미술치료는 ADHD 아동의 창의성 연구에 무엇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학 이론 및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이론을 분석하고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관점에서 집단미술치료의 원리를 제시한다. 그리고 ADHD 성향 아동 의 인지학적 접근에서 신체적, 정신적, 영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인지학 집단미술치료로 적합한 이론적 모형을 구체화하여 제시한다. 또한 ADHD 성향 아 동과 관련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ADHD 성향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 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성 프로그램을 만들고 인지학적 관점에서 이를 종합 평가 한다. 인지학 미술치료를 분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술치료 방향 설정에 인간이해 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받고 나아가 미술치료 운영의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받 고자 한다. 또한 ADHD 성향 아동이 가진 부주의성, 과잉행동/충동성의 문제행동이 창조성의 속성인 주의집중과 정교성, 통합적인 문제해결과 자기조절로써 창의적인 활동의 전환으로 이어져 문제행동 감소의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으로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통한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와 ADHD 성향 아동의 치료개입에 대한 창조적 전환을 갖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22)

의의가 있다.

B. 연구문제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연구문제 1.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인가?

연구문제 2. 인지학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C. 용어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정의는 사전적 정의와 연구목적에 따른 조작적 정의로 기술하였다.

인지학

인지학(Anthroposophy, 人智學)이라는 용어의 어원은 인간(Anthropos)과 지혜 (Sphis)가 합성되어 만들어진 단어이다. 즉 현재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이 세상만 을 바라보는 인간이 아니라 상위세계, 즉 정신세계를 바라보고 생활하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지혜를 의미하는 것이다(Wilkinson, 1993).

인지학을 학문적 체계로 정립한 Steiner는 ‘인지학은 우리의 정신세계를 우주안 의 정신세계로 이끄는 인식의 길’이며, ‘우리의 경험을 넘어서 우리의 참자아를 분명하게 알려주는 자각이 있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학문이다(Steiner, 2009).

인지학은 보통 다음의 세 가지 의미로 쓰여 지는데, 첫째, Steiner가 주창한 초감 각적(超感覺的, Super-sensible) 세계에 대한 과학적(科學的, Scientific) 연구방법 을 의미한다. 둘째, 이런 방법으로 연구하여 얻어진 결과를 의미하며 이것을 정신 과학(Spiritual Science)이라고 한다. 이것은 자연과 우주 속에 존재하는 인간, 즉 정신적 존재가 지니고 있는 초감각적 본질을 연구하는 과학이다. 셋째, 정신과학

(23)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Kowal-Summek, 199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인지학 집단미술치료는 Steiner가 정립한 인지학 이론에 근거해 독일의 여의사인 Hauschka박사가 인지학의 의학적 관점과 예술적 관점을 연결하여 만든 예술치료 이다. 인지학 집단미술치료는 인간의 세 영역인 신경-감각조직(머리), 리듬(허파, 신장), 신진대사(하복부)의 체계에 따라 정해진 구체적인 처방과 지침(소묘, 회화, 조형)이 주어진다(Mees-Christeller, 1996).

본 연구에서는 인지학 이론인 인지학적 인간론, 인지학적 예술론에 바탕을 둔 미술치료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개발한 것을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 램이라고 한다.

ADHD 성향 아동

발달 수준에 비해 매우 산만하고 부주의한 행동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충동적인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주의력 결 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라고 한다(이명 주, 2005). 이 장애를 지닌 아동은 같은 또래의 아동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산한 행동을 보이며 안절부절 못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 에서의 생활에 커다란 어려움을 겪게 된다(Nylund, 2008).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구체적인 행동특성은 DSM-5의 진단기준에 제시되어 있다(APA, 2000, 이형구, 2013).

본 연구에서는 ADHD의 의학적 진단을 받지 않았으나 주의력 결핍형, 과잉행동- 충동형, 혼합형의 ADHD 하위유형이 두드러진 경우와 한국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가척도(K-ARS)에서 선별된 아동을 ADHD 성향 아동으로 정의한다.

창의성

창의성에 대한 사전적 정의로는 ‘독창성, 상상력이 풍부한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으로 설명 가능하며, ‘만들다, 생산하다, 야기하다, 낳다’등을 의미하는 creo를 어원으로 하는 라틴어 creare를 의미한다. 서양의 창의성(creativity)에 해당하는

(24)

용어는 동양의 창견, 창안, 창정, 창제, 창출 등의 용어와 동일하며 공통적으로 새 로움, 작품, 아이디어 등을 만들어 내는 의미를 담고 있다(최인수, 윤지운, 2013).

본 연구에서의 창의성은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Torrance(1996)가 개발하고 김영채(1999)가 편역한 한국판 TTCT 도형 창의성 검사 도구를 연구대상에게 실시하여 얻은 점수 를 말한다.

부주의

부주의(inattention)란 주어진 과제에 집중하지 않고 눈의 시선이 다른 곳을 응시하며, 활동과 상관없는 물건을 만지거나, 외부자극에 쉽게 산만해지는 행동을 말한다(이명희, 2009). 세부적인 것에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물건을 쉽게 잃어버리고 학습과 생활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이은정, 2009).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평가척도(K-ARS)에서 하위 유형인 부주 의항목과 관련해 활동과 상황, 타인의 이야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실수하거나 다른 활동과 행동을 하는 것, 지시를 완수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하기 힘든 것을 말한다.

과잉행동충동성

과잉행동충동성(hyperactivity-impulsivity)이란 과도한 행동, 꿈틀거림, 착석유지 의 어려움, 부적절한 소음-발성, 기다림의 어려움(Kronenberger & Meyer, 2001) 과 자신의 즉각적인 반응을 억제할 수 없거나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Mealer, 1996). 그리고 성급하게 대답하거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고 타인 의 활동을 간섭하거나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정혜욱, 2010).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평가척도(K-ARS)에서 하위 유형인 과잉행동충동성항목과 관련해 신체를 필요이상으로 많이 움직이거나 특별한 목적 없이 자주 자리를 이탈하는 행동과 타인의 이야기가 끝나기 전에 대답하거나 말을 하는 경우, 상황에 적절하지 않은 즉흥적인 행동, 타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부적절 한 행동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25)

Ⅱ. 이론적 배경

A. 인지학(人智學)

1. 인지학의 성립배경

인지학(Anthroposophy, 人智學)의 창시자인 Rudolf Steiner(1861~1925)는 인간 의 정신은 ‘더 높은 세계’와 ‘정신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인간 인식의 한계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Carlgren, 2008). 인식의 한계는 극복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극복은 종교적 신비주의적 방법이 아닌 자연과학적 명확성과 사실의 경험에 근거한 방법론에 의한 것이기를 원했다.

Steiner는 인지학 발달시기 인도 자이나교의 신비주의에 경도되어 만들어진 독일 의 신지학(Theosophy, 神智學: 신에 대해 탐구하고 밝히는 학문)활동을 통해 신의 세계와 영혼의 자유로움, 그리고 영혼의 재탄생 등에 대해 몰두한다. 하지만 신비 주의로만 경도된 채 현실과 괴리되어가는 신지학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 그는 결국 신지학과의 결별을 선언하고 인지학을 추구하게 된다(Albert, 1998). 인지학은 신지 학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일종의 인간중심 사고에 대한 인간학이라고 할 수 있다.

Steiner에게 인지학은 어떤 가르침이나 이론이 아니라 정신적, 영혼적 삶을 의미한 다(Lindenberg, 1979).

Steiner의 인식론적 노력은 Goethe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아 발달하게 된다.

Goethe는 당시 자연과학이 생명현상의 본질을 설명하지 않고 단지 유기체를 부분 의 합으로만 이해한다고 평가했다. 그에 따르면 생명을 가진 유기체는 전체를 통해 서만 각각의 부분도 의미를 갖는다. Goethe는 유기체를 ‘그 외부와 내부가 너무나 다양하고 무한해서 그것을 파괴하지 않고 분석하기 위해 아무리 많은 기관 이름을 만들어낸다고 해도 부족하다. 아름다움이란 자유가 있는 완전함이다.’ 라고 유기체 의 전체로서의 의미를 설명한다(Goethe, 2003).

Goethe의 자연과학에 대한 접근방식을 Goethe 과학이라고 하는데, Goethe 과학은 형태(morphologie)와 변용(metamorphology), 원형(archetypal)식물, 양극 성(polarity), 상승(heightening) 등과 같은 개념들을 갖고 있다(Goethe, 2003).

(26)

위의 사상은 Steiner에게 영향을 주어 이러한 변용과정과 인식과정이 동, 식물의 변용과정을 넘어 인간의 발달단계까지 확대되고 인간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Steiner가 강조한 인간이란 바로 이런 변용과정을 거치는 인간으로서 변화/성장하 는 인간이다(Peter, 1999). Steiner는 Goethe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주관과 객관, 과학과 예술, 물질과 정신을 이원론으로 구분하려는 경향을 버리고 통합성을 발견 하려하였다. 자연세계 안에 살아있는 정신성과 신성을 발견하려 하였고, 이를 기초 로 인간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체계를 수립하였다(Kiersch, 2004).

2. 인지학의 개념

a. 인지학의 정의

인지학(Anthroposophy, 人智學)은 인간(Anthropos)과 지혜(Sphis)가 합성되어 만들어진 단어이다. Steiner는 양극화된 이분법적 문명에 길들여진 사고를 보완하 는데 관심을 갖고 예술, 과학, 종교의 연결을 시도하는 인식론적 방법인 인지학을 성립하였다. 그는 예술, 과학, 종교의 상호작용을 볼 수 있고, 우주 속에서 인간과 세상이 상호작용하는 전체로서의 인간성(humanity)을 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 다. 정신과학(Spiritual Science)이라고 일컫는 슈타이너의 인지학은 물리화학적인 법칙에서 생명운동에 이르는 전체에 작용하는 변화과정, 그리고 우주와 인간의 창 조 및 진화의 비밀을 수용하여 그것을 사랑의 운동으로 바꾸는 것이 인간영혼의 본질적 과제라고 하였다(Bamford, 1994). 인지학은 교육, 의학, 농업, 예술, 종교 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Nobel, 1996).

b. 인지학적 인간이해 (1) 인지학적 인간론

인지학의 주된 관심은 학문적 기초 위에서 영혼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존하는 이 세계의 문제에 대해 답을 구하고자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세계를 넘어 초감각적인 세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Steiner, 1990). Steiner는 인간에게 새로운 기관의 발달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인식하고, 인식을 넘어설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정혜영, 1997). 이는 영혼수련을 통한 영혼체험과 인지학적 훈련을 통해 초감각적 세계를 파악하는 초월적 능력을 말한다. 인지학적 훈련 방법은 인간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의식적 체험과 인간의

(27)

고유한 내면에 주의를 돌리는 방법이 있다(Steiner, 1972).

Steiner는 육체를 강화시키기 위해 연습하는 것처럼 정신적인 영혼도 연습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인간의 고유한 내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잠들고 있는 오성을 깨워야 하며 이는 도덕적, 인격적 성숙을 이룬 성숙된 인간이어야만 자신의 능력을 지각하고 고차원적 세계의 인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는 수련을 통한다면 누구 나 초감각적 세계의 인식에 다다를 수 있다고 공언하였다(Steiner, 2004).

Steiner가 초감각적 세계에 대한 영혼 연구방법을 발견하고자 한 주된 목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학은 육체만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이 아니라, 영혼과 정신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으로부터 출발한다. 종래의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파악은 ‘정신’과

‘육체’라는 이분법적 방식으로 전개해왔지만, Steiner는 이분법적인 방식을 배격하 고 인간을 육체(Body), 정신(Spirit), 영혼(Soul)의 삼분법적인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육체·영혼·정신이 조화롭게 일치될 수 있는 인간을 찾고자 하였다(Nobel, 1996). 여기서 영혼과 정신의 차이는 분명하다(Kiersch, 2004).

Steiner의 영혼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신체보다 고차원적인 정신을 매개하는 중간 영역을 의미한다. 정신은 우리 안에 있는 영혼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감정 들을 말하며, 우리는 이 감정에 따라 행동하거나 의지를 표현할 수 있고 신체는 영혼의 근거라고 할 수 있다(Steiner, 1990). 정신세계로부터 내려온 영혼은 정신 영역이 물질적 유전의 지배를 받는 신체와 영혼 영역에서 만나게 됨으로써 인간의 성격과 기질이 형성된다. Steiner는 이러한 서로 다른 세 가지 요소들이 결합해서 조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보았다(Ritchie, 2001).

둘째, Steiner는 7세, 14세, 21세를 인간이 어머니의 뱃속에서 태어나는 만큼이 나 중요한 사건으로 보고 있다. 출생을 포함한 4번의 계기를 통해서 인간은 물질 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 자아로 이루어진 네 가지의 구성체를 갖게 된다.

인간의 물질체는 우리가 ‘신체’라고 이르는 것을 말한다. 물질체는 생명이 없는 광물의 세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인간의 물질체는 광물체의 성질을 공유하고 있으며, 인간이 죽게 되면 인간의 물질체는 광물과 똑같은 상태가 된다. 즉 ‘물리 적 신체’로 인간은 자신의 신체를 광물적인 물질들로부터 형성한다(Steiner, 2003).

인간의 본성을 이루는 두 번째 구성체는 에테르체로 다시 말하면 ‘생명체’라고 이야기하며 ‘빛남’을 의미한다. 생명체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인식하는 신체의 어떤

(28)

성질에 관한 것이 아니다. 에테르체는 유기체로 하여금 하나의 개체로서 자립시키 는 생명력이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에테르체로 갖기에 생명체(life body)라고도 하며, 물질체의 형태를 보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를 형성력체(formative force body)라고도 한다. 즉 ‘에테르체’ 또는 ‘생명체’로 생동적인 형성력과 성장, 번식, 유전 등과 같은 생명 현상을 일컫는다(Steiner, 2003).

인간을 구성하는 세 번째 구성체인 아스트랄체는 쾌락, 충동, 열망, 열정, 등의 감각, 감정의 전달자로서 ‘감정체’라고 부른다. 이러한 감각이나 감정들은 감각작용 을 포함한다. 식물은 감각작용이 없고 자극에 대한 반응만 있지만, 동물은 감각작 용을 가진다. 따라서 감각작용과 관련이 있으며 의식이 내적 생명에 해당하는 아스트랄체는 동물계와 특성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아스트랄체의 활동이란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의지하는 것이며, 이 점이 앞의 두 구성체인 물질체나 에테르체와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인간은 충동, 본능, 욕망 들을 가지고 여러 가지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사물을 감각적으로 지각하고 의식하며, 자극에 반응하여 쾌, 불쾌 등 다양한 감정에 따라 사고하며 살아간다.

특히 아스트랄체와 깊게 관련되어 있는 것은 충동, 쾌, 불쾌 등을 포함하는 감정이 다. 즉 ‘감정체’ 또는 ‘아스트랄체’는 의식과 내적 체험, 고통과 기쁨. 충동과 탐욕 등 감정을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한다(Steiner, 2003). 즉 이것을 통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감각작용을 내적으로 체험하고 내면화하게 된다.

앞의 세 가지 구성체가 광물이나 식물, 동물의 특성을 공유하는 것과는 달리, 자아는 인간에게만 존재하는 고유한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자아의 존재와 작용 은 ‘나’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나’라고 하는 명칭은 자기 자신을 우주 안의 다른 모든 것과 구분되게 한다. 즉, 인간은 ‘나’라는 단어를 통해 자신을 여타 의 존재들과 구분되는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어느 무엇과도 공유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개체성으로서 자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자아이다. 즉 ‘자아 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으며, 일정한 정도만 추구하거나 회피를 통해 스스로 제어하는 법을 배운다(Steiner, 1972).

앞에서 언급한 네 가지 구성체는 인간의 삶 속에서 같은 속도로 동시에 성장하 지 않는다. Steiner는 네 구성체를 정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동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발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데, 이때 발달은 연속적인 발달이 아닌 물질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 자아의 탄생이라는 계기를 포함하는 의미의 발달이다.

(29)

<표 1> 인간의 네 가지 구성 요소

인간 자연계 성분

물질체(신체) 미네랄 흙

에테르체(생명) 식물 물

아스트랄체(영혼) 동물 공기

자아(ego) 인간 불

이것은 눈앞에 보이는 신체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구성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Steiner는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인간을 이루는 네 가지 구성체를 통합적으로 인식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네 가지 구성체에 관한 것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허자경, 2008).

(2) 인지학적 발달론

육체적인 것에 관련된 좁은 의미의 인간학은 영혼과 정신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 의 인지학으로 확장되었다. 종래의 발달심리학은 변화하는 영적 외향들의 시간적인 결과들만을 기술하는데 치중해 있었기 때문에 내적인 발달과 변화는 파악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Steiner는 자신의 인지학적 방법으로 영혼과 정신도 육체처 럼 파악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이렇게 인지학적으로 확장된 발달심리학은 Steiner의 발도르프 학교에 발달 지향적인 교육학을 위한 전제가 되었다(정혜영, 1997).

Steiner는 인간의 발달을 연속과정으로 보지 않고 단계적인 과정으로 보았다. 그는 인간발달의 비약적이고 질적인 변화의 특징을 잘 드러내기 위하여 인간의 발달현 상에 대해서 ‘성숙’이나 ‘발전’이라는 단어 보다는 ‘탄생’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Steiner는 세계 안에 인간의 위치와 인간이 가진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위에 서 언급한 인간본질의 네 가지 구성체를 제시하고, 그 구성체들의 협동에 의해서 인간현상이 산출된다고 보았다. 이 구성체들은 모두 동시에 탄생되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물리적 신체’의 탄생으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체’, ‘감정체’,

‘자아체’ 등의 탄생이 각각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각각 보호막에 둘러 싸여 완전히 성숙되기까지는 그 속에서 보호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물리적 신체’의 보호막은

(30)

<표 2> 4가지 구성체의 7년 주기설

제1기 탄생~7세

Ÿ 탄생에서부터 치아교체기까지의 시기

Ÿ 아동신체의 건전한 성장과 감각의 발달에 의한 ‘의 지’의 교육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

물리적 신체

재2기 7세~14세

Ÿ 치아교체 시기부터 성적 성숙기까지의 시기

Ÿ 풍부한 ‘감성’의 발달을 통하여 자신과 사회·자연과 의 관계를 실감하게 하는 교육을 목표로 함.

생명체

제3기 14세~21세

Ÿ 사춘기부터 자아가 확립되기까지의 시기

Ÿ 아동이 자신의 신체적 발달과 아울러 성적 성숙을 체 험하는 긴장과 격정의 시기로 ‘사고’의 육성이 목표

감정체

제4기 21세~

Ÿ 독립적인 한 인격체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질 수 있게 됨

Ÿ 자아체의 육성시기

자아체

‘모태’, ‘생명체’의 보호막은 ‘감정체’라고 보았다(Steiner, 2003).

이 네 가지의 구성체의 탄생은 약 7년간의 리듬 속에서 결정된다. Steiner는 7세, 14세, 21세를 인간이 어머니의 뱃속에서 태어나는 탄생만큼이나 중요한 사건으로 보고 있다(윤선영, 2011). 연령의 구분이 모두 다 공통적으로 허용되는 것은 아니 지만, 인간의 발달을 탄생 이외에 아동에서 성인이 될 때까지의 세 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인간의 발달은 아동기로부터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구별이 가능하고, 단계에 맞는 학습과 성향들로 이루어진다(Lindenberg, 2000). 4가지 구성체의 7년 주기설을 살펴보면 <표 2>과 같다(Steiner, 2003).

첫째 단계에는 탄생에서부터 치아교체기까지의 시기로 아동 신체의 건전한 성장 과 감각 발달교육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치아교체 시기부터 성적 성숙기까지의 시기로서 오감의 반응으 로 성장하게 되므로 모방이 학습의 기본이 된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모방할 수 있는 물리적, 심리적, 도덕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시기에는 신체적 인 형성이 중요함으로 규칙과 리듬을 배려한 환경을 제공하여 내적 안정감을 주어 야 한다(고은지, 2003).

셋째 단계에는 사춘기부터 자아가 확립되기까지의 시기로 아이들이 자신의 신체

(31)

적 발달과 아울러 성적 성숙을 체험하는 시기로 긴장과 격정의 시기라고도 한다.

이 시기에는 확산적 사고와 깊이 있는 사고를 통한 발달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단계는 독립적인 한 인격체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질 수 있게 됨으 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사고력을 바탕으로 하여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전문분야를 다룰 수 있다. 세계와 인간에 대한 더 깊은 인식 욕구가 나타나고 추상적 사고 능 력이 생기며 자신의 영혼의 힘, 즉 감정과 의지로 환경에 맞선다. 그럼으로써 이 시기에 자유를 얻게 되는데, Steiner는 자유란 자기의 감정과 의지로서 판단하 고 자신의 의사대로 행동 할 수 있는 힘이라고 말한다(Steiner, 2005).

(3) 인지학적 기질론

Steiner(2003)는 윤회(ReinKarnation)와 카르마(Karma)라는 신지학적 관념으로 출발해 1908년도와 1909년도 사이에 3개의 강연에서 인지학적 정신-인식으로부터

‘기질의 비밀’을 밝히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고 기질의 기초가 아스트랄체 및 에테르체의 짜임새에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의 ‘본질적 핵’이라 할 수 있는 기질은 전생으로부터 이어진 결실이며, 이것은 정신세계와 신체적으로 물려받은 유전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Steiner에 의하면, 개인의 정신세계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소들이 결합이나 조정(Ausgleich)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의 우주적인 4개의 본질들, 즉 아스트랄체, 자아, 에테르체, 그리고 물질적 신체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 로 관계가 시작됨으로써 인간의 4가지의 기질이 생겨난다고 보았다(Easton, 1995). 그는 인간 기질은 다혈질(多血質), 우울질(優鬱質), 점액질(粘液質), 담즙질 (蕁汁質)로 구분하여 소우주인 인간의 내면과 우주 존재와의 공통성을 기질론 이라 고 하는 형태로 파악하였다.

Steiner(2003)는 물리적 신체가 자신에게 있는 무거움을 가지고 에테르체에게 너무 큰 영향력을 행사하면, 인간 안에 ‘우울질(Melancholisch)기질’이라고 부르는 것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우울질은 주로 감성적이고 자기중심적 이여서 자신의 운명과는 상관없는 비극적인 일에 동화된다. 그리고 자기 내면으로 깊게 빠져 여러 가지 상황들을 자신에게 관련지어 생각한다. 그러나 의지는 강하기 때문에 이상이나 진 실을 철저히 따르려고 한다.

물리적 신체나 아스트랄체 및 자아에 의한 영향력이 에테르체에게 분명하게

(32)

비치지 않으면 ‘점액질(Phlegmatisch)기질’이 생긴다. 점액질은 보통 화를 잘 내지 않고 침착한 편이다. 또한 내적 조화와 안정감이 강하고 조용하며 인내심이 강하 다. 그러나 수동적이고 다소 게으른 면이 있다.

아스트랄체가 주로 자기 영향력을 행사하면, ‘다혈질(sanguinisch)기질’이라 부르 는 것이 생긴다. 기분이 가볍고 잘 변하지만, 천진난만함과 낙천성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아가 활동하여 에테르체에게 영향을 미치면 ‘담즙질(Cholerish) 기질’

이 생긴다. 강하고 정열적이며 격노하기 쉬우며, 행동파이고 실질적이다(장희경, 2005).

Steiner(2003)는 기질은 삶과 연령 사이에 관계가 있으며, 성인인 경우 우울질은 물리적 신체, 점액질은 에테르체, 다혈질은 아스트랄체, 담즙질은 자아가 우위를 차지한다. 반면에 어린이의 경우에는 우울질은 자아, 점액질은 물리적 신체, 다혈 질은 에테르체, 담즙질은 아스트랄체가 지배적이다. 즉 기저의 바탕을 이루는 기질 과 삶의 단계마다 연령상 다른 기질이 지배적 이여서 성격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때 연령에 따른 기질은 유기체의 변화(본질 자체의 ‘탄생’) 및 자아-발달의 단계 를 통해서 생성되는 것이다.

B. ADHD 아동

1. ADHD 아동의 정의 및 진단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는 동등한 발달수준에 있는 개인들에게서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것보다 더 빈번하고 심하게 나타나는 지속적인 패턴의 주의집중력 부족, 충동적인 행동, 과잉행동의 특성을 가지는 인지발달 장애(cognitive development disorder)로 정의된다(APA, 2000). 대표적인 외현성 정서/행동장애로, 아동의 정신/사회적 기능(psychosocial function)에 문제를 야기하며 아동기에 시작해서 대부분 성인까지 지속되는 매우 유전이 잘되는 특성을 가진 소아 청소년기에 가장 흔한 신경행동학적 질환이다 (Gollmar, 2000).

ADHD 아동의 약 50% 정도는 만 4세 이전에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조수철 등, 2001) 대부분의 경우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입학 후 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면서 진단과 치료를 받게 되는 사례가 많다.

(33)

A. (1) 또는 (2)에 해당

(1) 부주의에 관한 다음 증상 중 6가지(또는 그 이상) 증상이 6개월 동안 부적응적이고, 발달 수준에 맞지 않을 정도로 지속된다.

부주의(Inattention)

① 흔히 세부적인 면에 대해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직업 또는 다른 활동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른다.

② 흔히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지속적으로 주의를 집중할 수 없다.

③ 흔히 다른 사람이 직접 말을 할 때 경청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④ 흔히 지시를 완수하지 못하고 학업, 잡일, 작업장에서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다. (반항적 행동이나 지시를 이해하지 못해서가 아님).

⑤ 흔히 과업과 활동을 체계화하지 못한다.

⑥ 흔히 활동하거나 숙제하는데 필요한 물건들(예: 장난감, 학습과제, 연필, 책 또는 도구)을 잃어버린다.

⑦ 흔히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진다.

⑧ 흔히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린다.

(2) 과잉행동-충동에 관한 다음 증상 중 6가지(또는 그 이상) 증상이 6개월 동안 부적응적 이고, 발달 수준에 맞지 않을 정도로 지속된다.

과잉행동(Hyperactivity)

ADHD는 주의력, 과잉행동, 충동성의 주 문제 외에도 학습이나 관계형성 등의 2차적인 문제를 보인다. 또한 ADHD 아동은 증상에 대한 대처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유발되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른 정신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ADHD 아동의 30% 정도는 품행장애, 반항성장애, 불안장애 등 다른 정신장애와 공존하거나(표경식 등, 2001; 양수진, 정성심, 홍성도, 2006) 이후 품행장애나 반항성장애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 에 ADHD 성향 아동의 인지, 정서, 사회성 측면의 정상적 발달을 돕기 위한 조기 진단과 개입이 시급하다(최현정, 2013).

ADHD는 부주의 행동 특성 9개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 특성 9가지로 구성된 총 18가지 행동 증상을 통해 정의된다. 어떤 아동이 9개의 부주의 증상 중 적어도 6개 증상을 보일 때, 또는 9개의 과잉행동성-충동성에서 6개 행동을 보일 때 ADHD로 진단된다. DSM-5-TR(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에서 정의하고 있는 ADHD의 진단기준은 <그림 1>과 같다.

(34)

① 흔히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움직인다.

② 흔히 앉아 있어야 하는 교실이나 기타 상황에서 자리를 뜬다.

③ 흔히 부적절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 오른다 (청소년이나 성인에게는 주관적 안절부절못함으로 제한될 수 있음).

④ 흔히 여가 활동에 조용히 참여하거나 놀지 못한다.

⑤ 흔히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마치 자동차에 모터가 달린 것처럼 행동한다.

⑥ 흔히 지나치게 수다스럽게 말한다.

충동성(Impulsivity)

⑦ 흔히 질문이 채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한다.

⑧ 흔히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⑨ 흔히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한다(예: 대화나 게임에 참견함).

B. 장해를 일으키는 과잉행동-충동 또는 부주의 증상이 12세 이전에 있었다.

C. 증상으로 인한 장해가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장면에서 존재한다.

(예: 학교 또는 작업장, 가정에서)

D.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장해가 초래된다.

E. 증상이 정신분열증, 또는 기타 정신증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하지 않으며, 다른 정신 장애(예: 기분장애, 불안장애, 해리성 장애, 또는 인격 장애)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유형에 기초한 진단

- 주의력 결핍 우세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 기준 A.1)은 충족시키지만 A.2)는 충족시키지 않는다.

-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 기준 A.2)는 충족시키지만 A.1)은 충족시키지 않는다.

- 복합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 기준 A.1)과 A.2) 모두를 충족시킨다.

<그림 1> DSM-5 Diagnostic criteria for ADHD

2. ADHD 아동의 특성

학령기 아동의 ADHD 성향은 한 학급에서 약 10%로 나타났다(주간한국, 2005).

ADHD 성향 아동은 집중시간이 짧아 흥미 있는 일이 자주 바뀌고 몽상과 상상을 많이 하며 일반아동에 비해 활동적이다. ADHD 아동은 일반아동보다 학업성취도에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area of ​​information subject on percep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Employmen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whether voluntary early morning physical exercise effect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al processes, 'expansion of self-leading instructional ability',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for the methods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y Using Hanji on Spontaneity of the Osteoporosis Eldery

Futhermore, if the consultation activity is perform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n the Gestalt Group Art Therapy in personal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