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모-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부모-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본 논문은 제 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하였음.

** 제 1저자

*** 교신저자(withjss@dankook.ac.kr) 2020, Vol. 36, No. 3, pp.259-289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 유아의

부모-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이 승 현**(우리두리 아동청소년발달센터 감각통합치료사) 전 상 신***(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교수)

<요 약>

연구목적: 이 논문은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 유아의 부모-유아간 사회 적 상호작용의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모집된 만2세-4세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 유아 3명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자 료 수집은 부모-유아 간 자연스러운 놀이시간을 영상촬영 하여 대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행동의 빈도와 반응행동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위 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행동 빈도와 반응행동의 비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중재 종료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 이는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의 통합된 중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Floortime, 감각통합, 자폐스펙트럼장애, 사회적 상호작용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혼용)는 신경발달장애로서 사 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며 상동행동과 같은 반복적인 행 동 및

제한적인 흥미, 활동들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ASD 유아들이 겪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의 원인에 대한 의견들은 ASD 유아들 이 가지고 있는 특성만큼 다양하다(Pillay et al., 2011). Greenspan, DeGangi & Wieder (2001) 은 감각운동처리시스템 때문에 ASD 유아들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필요한 환경적 요구에 관해서 중추신경계가 과소 및 과잉반응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승희(2017)도 ASD에서 흔히 보이는 감각적 특징으로 과잉선택성을 지적하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과 언어발달에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감각처리의 근원적 장애는 ASD 유아의 놀이, 학습, 일상생활에 서 일어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문제 및 부적응 행동을 보다 심각하게 하는 중요한 원 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Ben‐Sasson et al., 2008; Rogers, Hepburn, & Wehner, 2003).

감각처리장애는 2000년대에 Miller, Coll & Schoen(2007)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로 감각통합장 애를 개칭한 것이다. 감각통합장애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정보들을 조직화하 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에 문제가 있는 것이 다(이승희, 2017; Ayres, 2006). 감각처리장애는 ASD 유아의 95%가 경험할 정도로 ASD 유아에게 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Tomchek & Dunn, 2007) 감각조절장애, 감각기반 운동장애, 감각구별장 애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ASD 유아들이 보이는 감각 과대반응, 감각 과소반응, 감각 추구양상은 감각조절장애에 속하는 것이다. 감각조절장애에서 볼 수 있는 행동들은 목표-지향성 놀이, 다른 사 람과의 상호작용, 주의력 기능장애, 행동의 습득과 수행을 방해하고 교육 및 학습, 사회모방이나 가 상놀이에 장애를 초래한다(조병인, 2003). 이에 ASD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뿐 아니라 전반적 발 달의 향상을 위해서는 감각각조절장애 대한 중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ASD 유아의 감각조절문제를 위한 중재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감각통합치료가 있다. 이는 작업치 료사에 의해 ASD의 비정상적인 감각처리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감각처리 및 통합에 대한 초기 평가를 실시하여 의미 있고 목표지향적인 활동 속에서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여러 가지 감각자극, 특히 전정, 고유감각, 촉각자극을 받아드릴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한다(Ayres, 1972). 또한 감각통합 이론 및 원리에 기초한 감각-기반 중재는 압박기술, 소리 및 청취를 이용한 치료,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의자의 사용, 무게가 있는 도구의 사용을 포함하고, 이러한 감각통합 중 재는 유아의 감각처리, 운동 기술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행동조절의 변화와 자조

(3)

활동 및 사회적 활동에 대한 참여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김시은, 김지훈 2018;

Schell et al., 2013). 그러나 2008~2016년의 ASD 아동의 감각통합 체계적 고찰한 신예나, 유은영, 홍은경(2017)의 연구를 보면 감각통합 중재의 사용이 감각처리, 운동기술, 실행능력, 청각처리능력 향상 등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중재하기 보다는 기능적 부분 효과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지안(2020)의 ASD 대상자들의 감각특성관련 연구 동향 분석에서도 감각중재 성과에서 사회 적 상호작용 논문 수는 3편으로 감각통합 중재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더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아동 중심 감각통합 중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동기에 따라 활동을 한다고 하여도 ASD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한 정서적 경험, 관심을 공유, 상호작용 확장의 기회를 주기 등의 직접적 중재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

ASD는 이질적이고 독특한 상호작용의 특성(김은경, 김은경 2006)을 가지기 때문에 ASD 유아의 상호작용을 확장하기 위해선 그들의 관심을 따라가 공유하고, 반응해주며 상호작용하는 것 또한 중 요하다. 유아의 주도적인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호작용 중재자가 민감하게 유아의 감정이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반응성’은 주로 ‘민감성’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민용아, 김진호, 2013). 박지윤과 이병인(2018)의 2007-2017년 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ASD 영유아 실험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연구를 살펴보면, ASD 영유아 를 대상으로 한 중재법으로 인관관계중심 중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ASD 유아에게 관계중심의 중재법은 중요하다.

대표적인 관계중심의 중재인 Floortime은 DIR/Floortime과 동일어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 그램으로써 ASD 유아를 포함한 발달장애 유아의 발달과 사회적 정서, 언어 및 인지능력을 증진 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심리학자 Wieder와 소아정신과 의사인 Greenspan에 의해 개발 되었다. DIR/Floortime에서는 DIR® 모델을 기반으로 유아의 발달(Developmental의 D), 개인 적 차이(Individual-Difference의 I), 관계성(Relationship의 R)의 발달을 고려하며 중재한다.

중재자는 유아의 기능적 정서발달단계(FEDC)를 고려하고 Floortime원칙을 준수하며 감각운동 놀이와 상징놀이를 제공하고, 유아와 성인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주고-받기 순환이 길게 이어 지도록 지원하면서, 유아가 언제나 자신이 놀이를 주도하는 주인공이 되도록 하는 발달이론에 근거 한 포괄적 중재 모델이다(Greenspan, DeGangi, & Wieder, 2001).

Greenspan과 Wieder(1997)는 Floortime 중재를 시행한 ASD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2~8년 후 를 검토한 결과, 중재가 끝난 후에도 의사소통을 유지하며, 감정적인 이해와 높은 수준의 공감능력 으로 상호작용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대만에서 실시된 시범 연구에서는 가정기반의 DIR/Floortime 중재 프로그램을 ASD 유아에게 적용하여 이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적응 기능에 대한 영향을 보았는데, 45-69개월 사이의 11명의 ASD 유아들은 평균 109.7시간의 중재를 받았고 이들의 감정적 기능,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기술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이들의 부모들은 자녀와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느꼈다고 보고하였다(Liao et al, 2014). Solomon 등 (2007)의 연구에

(4)

서도 홈 상담 프로그램을 사용한 놀이 프로젝트가 ASD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아동의 45.5% 정도가 중요한 기능 발달 진행을 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로부터 90% 수준의 지지도를 보였다고 하였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도 Floortime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던 ASD 아동들의 관심공유 능력과 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어 언어능력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 다(양영진, 2019).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감각통합과 Floortime 중재법은 ASD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에 의미 있는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Floortime에서의 개인적 차이(I)는 유아의 신경학적 처리 수 준을 고려하는 것으로, 유아가 주변 감각과 환경 정보를 어떻게 습득하고 반응하는지 알아보는 것 이다. 이는 신경학적인 처리 과정에 초점을 두는 감각통합 이론을 사용하는 감각통합 중재자가 제 일 잘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다(Ayres, 1972). 또한 감각통합치료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부드럽게 안아 주거나 쓰다듬어 주는 신체적인 접촉과 성인의 수용적인 태도는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 여 영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이숙화 2010; Hyson 1994). 이러한 측면은 Floortime에서 유아의 정보처리 유형을 고려하여 더 높은 기능적 정서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양 육자 및 주변 성인과의 관계성(R)을 강조하고 있는 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Greenspan과 Wieder(2006)는 유아가 보여주는 자연스러운 관심을 이용하여 이에 따라 성인이 항상 반응하며 민감한 상호작용의 제공을 Floortime의 기본 전략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심과 친밀함을 형 성하고 유아 스스로 자신이 상호작용적인 사람으로 느낌으로써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Floortime의 기본적 전략과 목표를 기반으로 하여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 활동에 전정감각,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자극을 포함하여 내적동기를 유발하고 능동적이고 자발적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전반적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에게 좀 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지원을 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D 위 험 유아에게 Floortime 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ASD 위험 유아에게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부모-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중 시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ASD 위험 유아에게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부모-유아간 사회 적 상호작용 중 반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ASD 위험 유아에게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부모-유아간 사회 적 상호작용에 미친 효과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는가?

(5)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자폐성 장애가 의심되는 만 2-4세 사이 유아 3명이다. 참여 대상 유아는 전문 가에게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지는 않았으나 양육자와 어린이집 교사로부터 이에 대한 의심이 보고 되고, 전반적으로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며 자폐 선별 검사에서 3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경우를 위 험군 유아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자세한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및 감각 특성은

<표 1>,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첫째, 만24개월 이상 48개월 미만 유아

둘째, 아동기 자폐증검사(CARS)에서 30점 이상 유아

셋째, 감각프로파일 (Sensory Profile)에서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 넷째, 아동발달검사(K-CDI) 사회성 항목에서 생활연령 30%이하 발달 연령 유아 다섯째, 관계 중심적(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유아 여섯째, 다른 감각관련 자극 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유아

일곱째, 연구기간 동안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한 유아 여덟째, 부모가 연구에 함께 참여 가능한 유아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중재가 ASD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사용하였다. 기초선–중재–유지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기초 선은 각 대상자 별로 동일한 환경의 놀이치료실에서 15분간 부모-유아 간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을 영상 촬영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중재의 시작은 대상유아 1의 기초선의 자료점이 3회 기 이상 안정적일 때 진행하였다. 대상유아 1에게 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대상유아 2와 대상유아 3 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기 위해 기초선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유아 1의 중재 단계의 자료점이 기초선 단계의 자료점과 연속 3회기 중복되지 않으면 중재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대상유아 2에게 중재를 적용하였다. 대상유아 3에게도 같은 방법으로 중재를 시작하였다. 중재 종 료기준 설정을 위해 32개월부터 41개월 사이의 일반유아 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유아간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을 10분간 촬영하였을 때 시작행동의 빈도와 반응행 동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시작행동은 평균 7.5회, 반응행동은 96.4% 였다. 대상유아들의

(6)

대상유아1 대상유아2 대상유아 3

성별 남 여 남

연령 32개월 41개월 37개월

CARS 39점 34점 41점

K-CDI (연령)

전체발달 : 2세 3개월 사회성 : 14개월 자조행동 : 20개월

대근육 : 26개월 소근육 : 33개월 표현언어 : 25개월 언어이해 : 28개월 글자/숫자 : 44/41개월

전체발달 : 18개월 사회성 : 18개월 자조행동 : 22개월

대근육 : 17개월 소근육 : 19개월 표현언어 :20개월 언어이해 : 23개월 글자/숫자 : 24/18개월

전체발달 : 16개월 사회성 : 12개월 자조행동 : 14개월

대근육 :27개월 소근육 : 16개울 표현언어 : 13개월 언어이해 : 12개월 글자/숫자 : 24/18개월

SP (문제 항목)

감각예민, 감각회비 저등록, 낮은역치

청각, 촉각 영역

저긴장, 감각예민 소근육/지각

감각조절 행동과 정서반응

저긴장, 부주의 저등록, 소근육/지각

전정, 촉각, 구강, 다감각영역

감각 조절

FEDC (성취도)

FEDC 1단계 : 83%

FEDC 2단계 : 61%

FEDC 3단계 : 54%

FEDC 4단계 : 55%

FEDC 1단계 : 58%

FEDC 2단계 : 52%

FEDC 3단계 : 50%

FEDC 4단계 : 42%

FEDC 1단계 : 41%

FEDC 2단계 : 33%

FEDC 3단계 : 25%

FEDC 4단계 : 6%

상호 작용 특성

호명에 반응하나 유아가 먼저 제안하거나 요구하는 시작행 동은 거의 없음. 눈 맞춤 없 이 한단어 혼잣말을 함.(‘차’,

‘1, 2, 3’ ‘샤이’) 스킨쉽 안 좋아함. 유아에게 다가가면 뒤로 물러서는 경향이 있음

요구사항이 있을 때는 혼잣 말을 하며 표현, 눈 맞춤이 어려움. 호명에 50%정도 반 응. 상호작용을 하며 놀이하 기 보다는 누워있거나 앉아 있거나 함.

싫어하는 것은 ‘시러’라고 표 현. 상호작용의 시작이 거의 없이 반응위주의 상호작용

교실을 나가고 싶을 때 장난 감을 가지고 싶을 때 엄마나 선생님을 잡아끄는 행동을 하 지만 이 또한 빈번하지 않음.

상호작용이 거의 없이 구강추 구를 하며 돌아다니는 패턴 호명 반응 없음, 눈 맞춤 없 음. 양육자나 선생님 등 사람 에게 관심이 없음.

*CARS :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 *K-CDI : Korean Child Development Inventory

*SP : Sensory Profile / *FEDC : Functional Emotional Developmental Capacities

<표 1> 대상 유아의 특성

(7)

대상유아1 대상유아2 대상유아 3

전정 감각

그네, 흔들리는 놀이도구 무 서워함. 머리감길 때 고개가 뒤로 가는 것 싫어함

지면의 변화를 싫어하고 폭 신한 매트위 안 좋아함. 트램 폴린, 미끄럼틀 등 아직 무서 워함.

계속 돌아다니면서 감각추구 있음. 빙글빙글 돌면서 눈을 옆으로 봄.

고유 수용성

감각

운동 모방이 어려워서 제스 쳐나 율동을 잘 따라하지 않 았음.

근 긴장도가 높고 신체를 인 식하여 협응적 움직임이 어려 움. 움직임이 뻗뻗함

근 긴장도 낮음, 잘 넘어짐.

힘 조절이 안 됨. 뛰어다니면 여기저기 부딪힘. 트램폴린 활동 시 과잉흥분 되어버림.

촉각

모래놀이터, 클레이, 물 튀기 는 것 싫어함, 스킨쉽 안 좋 아함.

클레이, 비눗방울 등 촉각활 동을 안 좋아함.

통각에 둔감하고 더럽혀지는 것을 싫어함.

청각

시끄러운 상황을 싫어함. 쉽 게 산만해짐. 또래에 비해 작은 소리에도 놀라는 경향 이 있음

주변에 소음이 많으면 주의가 산만해짐.

드라이기 소리, 세차장 소리 등

시각

회전하는 도구, 빛나는 물체 보는 것을 좋아함. 시각 추 구있음.

눈의 초점 맞추기가 어렵고 눈을 옆으로 보기 자주 함.

장난감 자동차 바퀴 돌아가는 것 보는 시각추구 있음

구강 감각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경 향이 있고, 양치가 힘듦. 편 식 심함.

씹기 미숙. 고기, 젤리 등을 좋아하지 않음. 구강이 예민 하여 연하치료 거부가 심했음

딱딱한 물건을 입에 넣는 구 강추구 있음.

다감각 주변에 자극이 많으면 쉽게 산만해짐.

자극이 많은 상황에서는 주 의집중이 안되고 불안이 높 아짐.

주변에 자극이 많으면 쉽게 흥분하고 주위 인식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표 2> 대상 유아의 감각행동 특성

발달연령 특성과 기초선의 비율을 고려해 대상유아1은 일반유아 반응행동의 90%를 연속 3회기 나 타나면 중재를 종료하는 것으로 설정하였고, 대상유아2는 일반유아 반응행동의 80%를, 대상유아3 는 일반유아 반응행동의 70%를 3회기 이상 보이면 중재를 종료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대상유아 의 중재의 유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 종료 일주일이 지난 이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연속 3회기 관찰 측정하였다.

(8)

3. 중재 도구

1) Floortime기반 감각통합 프로그램

이 연구의 중재는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촉진을 위해 Floortime의 원칙을 기반으로 감각통 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감각통합이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 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인 과정이다(Ayres 2006).

감각통합 프로그램에서는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 활동에 전정감각,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자극 을 포함하여 내적동기를 유발하고 능동적이고 자발적 참여를 촉진한다. 다양한 감각정보의 사용, 처리, 통합 등의 신경학적 처리과정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아의 감각 운동기능을 근본적으로 발달시 키고 부적절한 상동행동을 감소시킨다(이재현, 방요순, 주은솔 2018; Ayres, 1979). 본 연구의 감각 통합 프로그램은 유아 각각의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고려하고, ‘감각통합과 실제’(권혜련 외, 2005)와 김영미(2014)의 장애유형별 감각통합기능 특성에 따른 감각통합프로그램 및 모형을 개 발한 연구, 노금미(2011), 박은하(2012)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유 아들에게 활동을 제공하면서 대상유아 별로 감각영역 별 자극빈도를 다르게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 램은 특수교육 전문가 1인에게 검증받아 참여 유아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Floortime기반 의 감각통합의 각 영역별 활동 기대효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사가 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Floortime원칙을 숙지하고 유아의 정서발달에 맞 게 중재를 적용하였다. 중재 적용 이전에 치료사는 Floortime 교육전문 기관 ICDL에서 1년 반 동 안 이론과정부터 실습과정까지 슈퍼비젼 받았으며, Floortime 치료자격을 갖추었다. Floortime 적용 전 치료사는 유아의 정서발달단계를 기초선 영상을 보고 FEDC 관찰 척도로 분석하여 파악한다.

FEDC는 Floortime 중재를 사용하는 치료사가 각 유아의 기능적인 정서발달단계를 알고 상호작용 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이다. 1단계부터 6단계까지 정서발달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중 재자 또는 양육자가 작성한다. 단계 안에 항목별로 유아의 상태에 따라 ‘항상 그렇다’는 3점, ‘가끔 그렇다’는 2점, ‘스트레스 상황이 아닐 때 만’는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0점으로 나누어 체크한다 (Greenspan & Shanker, 2004). Floortime 원칙은 총 7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유아의 정서에 조율하여 유아의 감정변화에 반응하고 유아의 신호를 민감하게 인식한다. 둘째, 유아와 상호조절 한다. 치료사는 유아의 각성을 체크하고, 다양한 의사소통방법을 사용하여 유아와 상호작용 수준을 조절한다. 셋째, 유아의 동기를 따른다. 넷째, 유아의 기능적 정서발달단계를 인식하고 현 단계에 따른 상호작용 방법을 사용한다. 다섯째, 유아와 지속적인 의사소통의 순환 유지한다. 여섯째, 적당 한 순간에 상호작용의 확장에 도전한다. 일곱째, 자기 반영을 통해서 나를 되돌아보고 보완점을 찾 는다. 이렇게 치료사는 Floortime원칙을 준수하며 감각통합 프로그램 안에서 유아에게 좀 더 반응 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유아의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초기 에는 유아가 자기 조절하고 치료사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관계를 형성하는 준비회기이다.

(9)

영역 활동기대효과 프로그램

촉각

다양한 상호작용의 경험의 기회를 줄이는 촉각방어 소거

 손의 사용증진으로 구강 탐색 등 감각추구 감소

 소 근육 발달로 손 조작능력 증진

신문지 찢기 밀가루 놀이 비눗방울 놀이 편백(콩) 놀이

고유수용성 감각

각성 조절로 인하여 지속적인 주의집중력 향상

 신경계 안정을 도모하여 감각처리 과잉반응 감소, 주의력 증진

 운동계획능력 향상으로 모방활동 , 놀이 참여도 증가

 상호작용의 기회를 방해하는 감각추구 및 회피 감소

환경적 세팅 다양한 장애물

지나가기 구르기 활동

전정감각

각성 조절로 인하여 지속적인 주의집중력 향상

 상호작용의 기회를 방해하는 감각추구 및 회피 감소

 감각처리능력 증진으로 다양한 전정활동에 참여

 일정하고 느린 전정자극으로 신경계 안정을 도모

무지개 통 놀이 트렘폴린 활동

그네활동 미끄럼틀 타기

스쿠터 타기

Floortime

기능적 정서발달단계(FEDC)의 증진

 Self-Regulation and Interest in the World -> 감각을 조절하면서 침착성을 유지를 도모

 engagement and relating

-> 유아는 치료사 함께 친밀감을 만들고 관계를 형성을 경험

 two-way intentional communication -> 의사소통의 순환을 열고 닫는 것을 발달시킴

 Complex Communication & Shared Problem Solving -> 유아는 소리를 모방하는 능력, 복잡한 제스쳐 대화를 통해 자

신을 표현하는 능력 향상

까꿍놀이 잡기놀이 소꿉놀이 방해놀이 칙칙폭폭놀이

<표 3>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기대 효과

이때 연구자는 유아가 각성을 조절할 수 있게 환경을 세팅하며 다양한 감각환경을 제공한다. 초기 감각통합은 유아가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신경계의 안정을 도모하고 다양한 감각경험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또 연구자는 유아의 작은 반응에도 주의를 기울이며 유아의 관심사를 관찰하고 유 아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중기에는 자기조절을 잘 유지하여 지속적 집중을 도와주는 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다. 여기선 유 아의 감각프로파일에 따라 감각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제공하고, 감각적 도전의 기회를 제 공한다. 이는 감각 비정상적 반응으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 기회를 피하거나 놓치지 않게 하 기 위해서이다. 또한 전정-고유수용성감각을 제공하여 유아의 운동계획능력을 증진시켜 제스쳐의 사용과 모방행동을 향상도 도모한다. 연구자는 유아에게 다양한 제스쳐와 목소리 등을 조절해 유아

(10)

의 상호작용 참여를 유도하고 연구자와 깊은 관계를 형성해 간다. 유아의 반응을 기다려주며 양방 향 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을 유도해 나간다.

말기에는 유아에게 감각통합 프로그램 안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향상과 함께 감각추구, 감각회피 등의 소거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와 복잡한 의사소통의 긴 순환을 유도하고, 유아와의 상호작용 안에서 정서적 표현을 하며 유아의 정서발달을 지원한다. 자세한 프 로그램 계획은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회기 활동

(주요감각) 활동내용 세부목표

1 탐색하기 감각통합 교실 여기저기를 걸어 다니기

원하는 교구 사용해보기 감각통합

상호작용을 위한 각성조절, 신경계 안정.

교실 환경 적응, 선호 감 각 찾기, 다양한 감각을, 경험시키기

Floortime 친밀감 형성 공동주의 만들기 즐거운 정서 공유

2 터널놀이

(고유수용성감각)

긴 터널, 흔들리는 터널을 지나면서 까꿍 놀이 터널 안에서 옆으로 구르며 이동해보기

좁은 터널을 기어가서 안에서 장난감 찾아서 탈출하기 터널에 숨어서 숨바꼭질하기, 터널 지나면서 술래잡기 3 그네와 친해지기

(전정감각)

그네에 몸의 반만 기대어 타보기 그네에 장난감을 매달아 놓고 떼어 오기

4

편백 활동, 샌드위치 놀이

(촉각)

편백 안에 장난감을 숨겨놓고 찾기 두꺼비 집 노래 부르며 서로의 손 숨겨보기 트램폴린에서 뛰고, 넘어지면서 서로 눌러주기 폭신한 매트위에서 유아를 선생님의 몸으로 눌러주기

5 사다리활동

(고유수용성감각)

구름사다리 올라가서 장난감 가져오기

미끄럼틀 타기 위해 구름사다리 오르기 감각통합

상호작용을 위한 각성조 절, 신경계 안정, 다양한 감각에 도전시도, 감각처 리능력 향상으로 주의 집중력 지원, 모방, 제스 쳐의 활용 증진

Floortime 외부자극에도 공동주의 유지, 상대의 시작신호에 반응, 시작의 기회를 제 공, 제스쳐 발성 등 연구 자에게 표현 유도, 양방 향의 상호작용 촉진 6 미끄럼틀 놀이

(전정감각)

원목 미끄럼틀 / 매트 미끄럼틀(1m)

미끄럼틀을 속도를 달리해서 앉아서 내려오기 (치료사가 밀 어주기, 천을 깔고 내려오기)

미끄럼틀 거꾸로, 걸어서 내려오기, 걸어서 올라가기 선생님과 같이 내려오기, 서로 밀어주며 내려오기, 내려와서 선생님에게 안기기, 서로 받아주기

미끄럼틀 위에서 자동차 내려보내며 자동차 경주하기 ->미 끄럼틀 내려가서 자동차 빨리 가져오기

7

밀가루, 촉각 공 활동 (촉각)

밀가루 반죽을 굴리고 누르고 해서 소꿉놀이

콩, 모래, 쌀, 밀가루 주머니 등 다양한 질감의 주머니 바구 니 안에 던지기 활동

볼풀공, 고슴도치공, 스폰지공 등 다양한 공을 던지기 다양한 공을 트램폴린 위에 쏟아서 굴리며 놀기

<표 4> 대상자별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 계획

(11)

회기 활동

(주요감각) 활동내용 세부목표

8

장애물을 지나며 까꿍 놀이 (고유수용성감각)

유니바, 평균대, 미끄럼틀, 언덕매트 등을 지나서 원하는 장 난감 가져오기

선생님이 먼저 가거나, 뒤따라가면서 유아에게 모델링을 제 공하거나, 칙칙폭폭 놀이처럼 같이 참여하고 있다는 신호를 주면서 활동 안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유지

언덕매트에서는 기어서, 굴러서 내려와 보기 유니바에서는 점프 또는 걸어서 지나가 보기

9 그네활동

(전정감각)

bi-roll swing

처음엔 선생님과 같이 타다가 유아가 적응하면 유아혼자 줄 잡고 타게 유도

고리 넣기(시각적 활동)활동을 같이하며 선생님과 상호작용 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유도

좌우, 앞뒤로 그네의 방향 다양하게 제공하기

해먹

유아를 그네 안에 완전히 넣어주어 안정감 제공하기 선생님에게 안겨서 타기

감각통합

상호작용을 위한 각성조 절, 신경계 안정, 감각처 리능력 향상으로 주의집 중력 지원, 감각추구 및 감각회피 소거, 감각방어 소거, 모방, 제스쳐의 활 용 증진

Floortime

제스쳐, 얼굴표정, 소리 등을 이용한 양방향 상 호작용을 촉진, 상호작용 의 순환 10회 이상, 정 서적 상호작용 순환 3회 이상

10 신문지 놀이 (촉각)

얼굴에 대고 신문지 찢으면서 까꿍놀이 하기 찢은 신문지를 머리 위로 뿌려보기 찢은 신문지를 뭉쳐보기

어질러진 신문지를 모아서 밟아보기 (낙엽 밟는 느낌)

말기 11

장애물 잡기놀이 (고유수용성감각)

유니바, 평균대, 미끄럼틀, 언덕매트 지나면서 상대방 잡기 선생님이 먼저 가거나, 뒤따라가면서 유아에게 모델링을 제 공하거나, 칙칙폭폭 놀이처럼 같이 참여하고 있다는 신호를 주면서 활동 안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유지

12 스쿠터활동 (전정감각)

선생님과 유아 같이 타면서 적응시키기

유아가 잘 탄다면 유아 혼자 타게 하여 끌어주기

<표 4> 대상자별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 계획 (계속)

4. 연구 절차

1) 연구 기간

이 연구는 2019년 2월 온라인 카페와 블로그를 통해 연구대상자 모집을 홍보하는 것을 시작으 로 2019년 6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대상자 모집 공고 후 연락 온 유아 대상 으로 방문 면담과 선별검사를 실시해 대상자 선정을 하였고, 선별검사 중 감각프로파일을 가지고

(12)

대상유아에 맞게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2019년 3월부터 종속변인에 대한 기초선 측정을 하였고 기초선의 안정성을 확보 한 후 4월부터 중재를 시작하였다. 유지는 중재 종료 일주일 후 2019년 5 월 16일부터 측정하였다.

2) 연구 장소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발달센터 감각통합 치료실에서 이루어졌다. 이 장소는 감각통합 중재를 위해 조성된 치료실로 25평 크기에 트램폴린, 평균대, 무지개통, 미끄럼틀, 사다리, 암벽, 4가지 종 류의 그네 등이 배치되어 다양한 감각자극을 줄 수 있게 최적화된 공간이다. 또 안정성을 위해 벽 에는 보호쿠션이 되어있고 바닥에 매트가 깔려있다. 장난감과 소도구들은 치료실 한쪽의 작은 방에 배치되어있고 유아가 문을 열고 들어가 원하는 것을 가져올 수 있다. 또는 치료사가 프로그램 계획 에 따라 필요한 도구를 미리 치료실에 준비해 놓았다.

<그림 1> 감각통합 치료실 배치도

3) 기초선

각 대상자들은 약속된 시간에 중재가 이루어지는 발달센터에 방문하여 부모-유아간의 자연스러 운 놀이상황을 15분간 촬영하였다. 기초선은 총 3~4회기 진행되었고 자연스러운 놀이시작 5분 후 10분 동안 부모-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초선의 측정 장소는 발달센터의 놀이치료실로 한쪽 벽에는 다양한 놀이도구들이 배치되어있고, 다른 한쪽에는 책상과 의자가 배치 되어있다.

(13)

4) 중재

이 연구의 중재는 기초선이 3회기 연속 안정된 결과를 보이면 시작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 2~3회씩 총 6주 동안 매 회기 40분씩 진행되었다. 대상유아가 센터에 방문하면 우선 이전 회기의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5분 동안 부모와의 자유놀이를 하고 이를 영상촬영하여 기초선 측정과 동일하게 놀이 시작 5분 후 10분간의 상호작용을 관찰 측정하였다. 이후 40분 동안 치료사와의 중 재 프로그램이 이루어졌다. 중재 프로그램은 한 회기 안에는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적 활동의 제공과 함께, 유아의 감각프로파일 결과에 따라 회기마다 메인 감각자극을 계획해 유아의 필요한 감각 통합적 중재를 유도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치료실 환경을 감각 영역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유아가 선호하는 놀잇감을 배치하여 상호작용의 환경을 구조화하였다. 이후 유 아와 Floortime 원칙을 사용하면서 상호작용하였고 감각적 활동을 진행하였다.

5) 유지

유지기는 중재가 끝난 이후에도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가 유지되는지를 보기 위해 기초 선과 동일한 환경에서 측정되었다. 유아는 중재 7일이 지난 후 1주일 동안 주 3회기 센터를 방 문하여 부모와의 자유놀이를 15분정도 영상촬영이 진행되고 연구자는 이를 가지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20분 정도 양육자와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마지 막 회기에는 유아에 대한 향후 방향을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5. 자료 수집 및 분석

1) 종속변인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정의는 Lee & Odom(1996)의 연구에서 사용된 정의를 사용 하였으며,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으로 나누었고 이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 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세한 행동의 조작적 정의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분류 조작적 정의

시작행동

대상 유아의 어머니를 향한 혹은 어머니의 대상 유아를 향한 말이나 몸짓으로 정의되며, 행 동이 발생하기 전 5초 동안 그 행동 발생의 대상자로부터 어떠한 사회적 행동도 전달받지 않았을 경우에만 시작행동으로 간주한다.

반응행동 시작행동이 발생한 후 5초 이내에 그 시작행동을 보인 대상에게 반응하는 말이나 몸짓으로 정의된다.

<표 5> 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작적 정의

(14)

정반응 예시 오반응 예시

시작행동

 상대방의 관심을 끌기 위해 소리를 내거나 (‘아’, ‘어’), 신체적으로 잡거나 끄는 행동

 상대방에게 놀이를 제안하기 및 놀잇감을 건네며 응시하기

 자신이 원하는 것과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소리 내기 및 행동하기 상대방을 향한 시 선 옮기기

 상호작용이 아닌 도구적 사용을 위한 어머니 잡아끌기

 관심끌기가 아닌 놀이에서의 혼잣말

 상호작용 대상자가 아닌 것에 말하거나 행동하기

반응행동

 대화시도에 반응하는 행동 또는 상대방의 관심을 끌기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응시하 기, 무언가 말하는 것처럼 말로 소리내기 (‘아’, ‘이거’, ‘야야야’)

 상대방이 주는 놀잇감을 받기, 손을 뻗으 려는 행동, 상대방이 내는 소리 쪽으로 몸 돌리는 행동

 상대방의 요구에 동의하거나 거절하는 표 현으로 웃거나, 고개 돌리기

 호명에 시선을 향하는 행동

 상동행동의 양상으로 (‘아’, ‘나’) 소리 내기

 어머니의 시작행동에 전혀 관련 없는 대답.

 놀이 안에서 혼잣말

<표 6> 조작적 정의 정반응과 오반응

2) 관찰 및 자료 수집방법

본 연구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기초선, 중재, 유지 측정은 연구가 진행되는 센터 내에 놀이치 료실에서 영상 촬영되었다. 매 회기 중재 시작 전 15분 동안 부모-유아 간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을 촬영하였으며 놀이시작 5분 후 10분간의 상호작용을 관찰 측정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관찰기 록 방법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행동은 10분간 총 발생 빈도를 측정 하였고 반응행동은 어머니 의 시작행동 발생에 따른 유아의 반응행동의 횟수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반응행동은 부모와 사전에 계획하여 유아에게 최소 5번 이상의 시작행동을 제공하게 하여 발생빈도를 유 지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관찰기록표는 진달래(2018)의 기록표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 하였다.

6. 관찰자 훈련 및 관찰자간 신뢰도

관찰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제1관찰자)와 감각통합 치료자 1명을 제2관찰자로 선정하여 각각 영상 자료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관찰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작적 정의를 숙지하고 사전 활동을 통하여 두 관찰자간 일치율이 3회 연속 90%이상이 될 때까지 관찰자

(15)

훈련을 실시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는 영상 촬영한 내용을 두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기록한 내용 중 무작위로 전체 회기의 1/3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시작행동은 두 관찰자가 기록한 것 중에서 작 은 수를 큰 수로 나눈 후 백분율(발생빈도가 작은 수/발생빈도가 큰 수 × 100)로 나타냈다. 반응 행동은 행동발생일치수를 총 행동발생의 기회수로 나눈 후 백분율(행동발생에 대한 일치 수/ 행동 발생 총 기회 수 × 100)으로 계산하였다.

대상유아 1 대상유아 2 대상유아 3

시작행동 평균

(범위) 100% 100% 100%

반응행동 평균

(범위)

97.2%

(95-100)

95.8%

(93-98)

96.3%

(93-100)

<표 7> 관찰자간 신뢰도 평균과 범위

7. 중재 충실도

상호작용 중재의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중재에 대한 충실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도 유 아에게 적절한 중재를 실시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는 정혜림, 최연우, 김경미(2013)의 감각통합치료 중재 고찰연구를 참고하고 특수교육전문가에게 피드백을 받아 총 13문항으로 평가항 목을 만들었다. 이를 가지고 대상유아1, 2, 3의 전체 중재 회기 중 30%를 무작위로 선정한 영상 자료를 Floortime자격과정을 이수하고 경력 5년 이상의 감각통합치료사 2명이 평가하였다. 문항에 대한 표시는 ‘그렇다’라고 표시할 때 3점, ‘보통’이라고 표시할 때 2점, ‘아니다’는 1점으로 계산하 여 총점을 내고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대상유아1 대상유아2 대상유아 전체평균

평균 94.9% 92.3% 91% 92.7%

<표 8> 대상자별 중재 충실도 평균

8. 사회적 타당도

연구에 사용된 중재 프로그램의 절차 및 성과에 대한 평가를 위해 중재가 종료된 후 연구에 참 여한 대상유아의 부모3명과 특수교육 관련 치료사 7명(작업치료사1명, 놀이치료사)을 총 10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연구자의 연구에 대한설명과 기초선, 중재과정, 중재효과가 편집된 영상과, 결과 측정된 자료 보고 사회적 타당도 질문지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문항은

(16)

대상 기초선 중재 유지 중재 PND

대상유아1 평균

(범위)

1.7 (1-2)

4 (3-6)

4.3

(3-6) 91%

대상유아2 평균

(범위)

0 (0-0)

2 (0-3)

1

(0-2) 91%

대상유아3 평균

(범위)

0 (0-0)

0.7 (0-2)

1

(0-2) 55%

<표 9> 실험 조건별 대상유아의 시작행동 발생빈도 평균과 범위

중재 목표의 중요성, 중재 절차의 적절성 그리고 중재 결과의 중요성을 묻는 것으로 총 7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그렇다(3점)’, ‘보통이다(2점)’, ‘아니다(1점)’ 3점 척도로 구성된 사회적 타당 도 질문지를 작성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사회적 타당도는 97.6%로 나타났다. 부모의 기타의 견으로 아이의 발달 정도와 상호작용의 정도가 잘 파악되고, 이것이 수업에 잘 반영되었던 점이 좋 았다는 의견이 나왔다.

Ⅲ.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는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이 ASD 유아의 부모-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작행동, 반응행동으로 나누어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 동안 나타난 발생빈도와 비율의 평균, 범 위, 경향선, 비중복비율(PND)을 제시하고 시각적 분석을 통해 변화를 보고자 한다.

1. 사회적 시작행동의 변화

대상유아가 보인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에 사회적 시작행동의 변화는 <표 9>와 <그림 2>에 제 시되어 있다.

1) 시각적 분석

대상유아1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 1.7회(1-2)의 시작행동의 빈도를 나타냈으나,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는 평균 4회(3-6)로 기초선 기간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기초선에서 안정적이고도 낮은 시작행동을 보이던 대상유아1은 중재가 시작됨과 동시에 상호작용의 대상자가 되는 어머니에 게 보이는 시작행동의 증가를 보였다. 한 번의 변동을 보였지만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인 증

(17)

<그림 2> 대상유아의 시작행동 발생빈도

(18)

가를 보였다. 9회기 때 보인 낮은 빈도의 시작행동은 유아가 감기로 인해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았 고 다음날 장염으로 응급실에 갈 정도로 컨디션 난조였기에 이것의 영향으로 보여 진다. 이후 다시 증가를 보이며 11회기부터는 일반발달유아의 평균 7.5 시작행동의 발생빈도와 가까운 6회로 나타 나기 시작하였다. 또 이 이후 안정적으로 높은(5-6회) 시작행동의 발생빈도가 나타났다. 중재 구간 의 경향선(trend lin)을 살펴보면, 일반발달유아의 평균빈도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방향으로 기울 어진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재구간의 비중복비율(PND)는 91%로 나타났다. 이는 중재 프로그 램이 유아의 시작행동의 발생빈도의 증가에 영향이 크게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대상유아2의 경우, ‘시러’ 등 한 단어 표현을 하지만 이외에는 발화가 거의 없고 나타나도 혼자 상동적으로 나타나는 발화를 보였다. 기초선 기간의 평균 0회의 매우 낮은 시작행동의 빈도를 나타 내었다.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는 평균 2회(0-3)를 나타내 기초선 기간보다 증가됨을 보였다. 중재 가 시작된 이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지만 기초선 기간보다 증가된 빈도를 보였다. 17회기에는 유 아의 건강상의 문제로 기초선과 같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대상유아2의 중재 구간 경향선을 보면 수평적 양상을 보이지만, PND는 91%로 기초선 기간과 자료점이 대부분 겹쳐지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대상유아3은 단어발화가 없는 유아로, 기초선의 경우 평균 0회기의 매우 낮은 시작행동의 빈도 를 보였다. 중재가 시작된 이후 13회기까지도 중재에 대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4회기 부터 차츰 시작행동의 발생빈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꾸준히 시작행 동의 발생빈도가 나타났다. 중재기간 평균0.7회(0-2)로 기초선 기간보다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상유아3의 중재 구간 경향선을 보면 상향선을 보이고 PND는 55%로 나타났다.

2) 일화기록에 의한 분석

대상유아 1의 경우, 기초선 시기 유아는 요청하기 위한 시작행동은 보였다. 하지만 이는 강하게 도움이 필요할 때였고, 엄마를 보지 않고 ‘도와줘’라고 표현하나, 놀이가 마음대로 안 되면 바로 포 기하며 다른 놀이를 하였다. 엄마를 찾거나 부르는 횟수도 10분 안에 1번 정도의 빈도를 보였다.

엄마를 쳐다보고 놀이하기보다는 시선이 거의 장난감에 가 있었다. 엄마를 보지 않고 혼잣말을 하 고, 한 단어 수준으로 이야기하였다. 중재 후 4회기에 엄마를 정확히 보면서‘엄마 이거 봐요!’ 요구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놀이 안에서 상호작용하기 위해 엄마가 역할을 맡고 있는 자동차에게

‘놀이터 갈까?, 가자!’를 이야기하였다. 5회기부터는 중재 시간에 유아의 감정 표현(‘재밋다!’)과 두 단어가 연결된 발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1회기부터 어머님과 놀이에서 과일을 건네주는 모습

이 보이는 등 유아의 시작행동은 급격히 늘어났다. 12회기에도 유아가 엄마를 보면서 ‘이거 할 래’라고 말하는 등 꾸준히 시작행동의 모습을 보였고, ‘고마워’라고 하며 정서표현도 나타났다. 또한 거부의 표현도 나타났고 스스로 하겠다고 엄마에게 이야기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19)

대상유아 2의 경우, 기초선에 유아는 ‘시러’, ‘안해’, ‘엄마’라는 말을 할 수 있지만 거의 어머님의 시작행동에 따른 반응으로 발화가 나타났다. 유아는 놀이를 찾거나 놀이치료실의 장난감에 관심을 갖는 모습 또한 보이지 않았다. 어머님의 행동을 지켜보고 앉아서 쉬고 싶은 모습처럼 보여졌다.

중재시작 후 유아의 시작행동은 증가되는 모습을 보였다. 10회기에는 어머님과 편백으로 요리놀이 를 하면서 ‘이거 줘’를 표현하는 등 시작행동을 여러 번 나타냈다. 부모 보고에 의하면 유아가 예전 보다 밝아졌고 즐거운 감정표현이 많아졌다고 하였다. 유아는 소꿉놀이에서 어머님에게 요구사항을 이야기하며 시작행동을 나타냈다. 17회기에는 유아가 먼저 장난감을 가져오는 모습이 나타났고, 일 상에서도 언어 발화가 많아졌고 발음이 정확해졌다고 보고하셨다.

대상유아 3의 경우, 기초선시기 유아는 시작행동의 거의 없었다. 유아가 밖에 나가고 싶을 때 엄 마의 손을 잡아끄는 행동이 여러 번 있었으나 이는 상호작용의 시작행동 보다는 엄마를 도구적으 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 반응에 속하였다. 유아는 장난감에도 관심이 없어 보였고 뛰어다 니기, 장난감 입에 물기, 손벽치기 등 감각추구 하는 모습이 많았다. 14회기에 처음으로 엄마에게 카드놀이를 하자고 카드를 건네는 모습이 보였다. 유아는 카드를 건네고 나서 엄마가 카드를 읽어 주는 것에 집중하며 즐거워하였다. 또한 유아는 어머님에게 안기고 쳐다보는 정서적 상호작용이 나타내기도 하였다. 16회기에 아가 장난감을 어머님에게 가져가지는 않았지만 어머님이 보여줬던 장난감을 만지거나, 들거나 하면서 놀이를 하고 싶어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때부터 유아의 발 성도 많이 나오는 모습이 보였다. 19회기에 엄마를 보고 장난감을 만지며 ‘아~, 으~’ 등의 발화를 보였다.

2. 사회적 반응행동의 변화

대상유아가 보인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에 사회적 반응행동의 변화는 <표 10>과 <그림 3>에 제시되어 있다.

대상 기초선 중재 유지 중재 PND

대상유아1 평균

(범위)

65.2 (60-71)

84.8 (67-100)

97.6

(93-100) 100%

대상유아2 평균

(범위)

50.2 (45-57)

69.0 (48-86)

74.6

(70-79) 82%

대상유아3 평균

(범위)

33.5 (24-42)

55.4 (38-72)

70.7

(70-72) 82%

<표 10> 실험 조건별 대상유아의 반응행동 발생비율 평균과 범위 (단위: %)

(20)

<그림 3> 대상유아의 반응행동 발생비율

(21)

1) 시각적 분석

대상유아 1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 65.2%(60-71%)의 반응행동의 발생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중재가 시작된 이후 평균84.8%(67-100%)로 기초선 기간보다 높아진 발생비율을 나타냈 다. 기초선 기간에는 낮은 반응행동 비율을 나타내던 대상유아가 중재가 지속됨에 따라 꾸준한 증 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재 종료 시점에는 100% 반응비율을 보이며 높은 증가 비율을 보 였다. 중재 기간 중 반응행동의 비율이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는 것이 보이지만 PND 100% 로 대 부분의 자료점이 기초선 기간의 자료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경향선 또한 상승선을 확연히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재 프로그램이 대상유아1의 반응행동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대상유아 2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50.2%(45-57%)의 낮은 반응행동의 발생비율을 보였다.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는 평균69%(48-86%)로 기초선 기간보다 높아진 발생비율을 나타냈다. 대상 유아 2는 중재가 지속됨에 따라 13회기부터 반응행동의 발생비율이 꾸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 다. 17회기에 감소된 비율을 보였지만 이후 바로 회복되었고, 경향선을 보면 급격한 상향선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PND 82%로서 중재 프로그램이 대상유아2의 반응행동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대상유아3의 또한,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 33.5%(24-42%)의 낮은 반응행동의 발생비율을 보였으 나,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는 평균 55.4%5(38-72%)로 기초선 기간보다 높은 발생비율을 보였다.

대상유아3는 15회기부터 안정적으로 증가된 발생비율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13회기에 급격한 감 소 비율을 보였는데 이때 유아가 여행일정을 보내고 와서 수면패턴이 바뀌어 이 영향으로 인한 것 으로 보여진다. 유아의 경향선을 보아도 상승선을 보이고 있고 PND 또한 82%로서 중재 프로그램 이 대상유아3의 반응행동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2) 일화기록에 의한 분석

대상유아 1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 유아는 어머님이 제안하면 그쪽을 쳐다보긴 하나 시선이 거 의 장난감에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어머님이 유아의 행동에 반응하고 나래이션 해주긴 하지만 의 사소통의 순환이 연속 5번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놀이의 주제도 5번 이상 빈번히 바뀌었다. 중재 시작 후 유아는 꾸준히 어머님의 시작에 반응하는 빈도가 증가됨이 보였다. 따라서 유치원에서도 유아가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며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있다고 보고가 되었다. 또한 언어 치료실에서도 언어가 급격히 늘고 있다는 보고를 하였다. 이는 유아의 상대방에 대한 반응비율이 좋아지면서 일상의 상호작용이 좋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유아는 중재 시간에 3단어 이상을 붙여서 문장으로 말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 유아의 반응행동 비율은 꾸준히 증가되었고 12회 기부터는 어머님과의 상호작용의 시간도 길어지며 한 가지 주제로 10분 동안 집중해서 어머님과

(22)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엄마의 시작행동은 자연스럽게 줄었고 유아의 반응행동 빈 도도 줄었다. 대신 부모-유아 간 상호작용의 시간이 길어졌다. 어머님도 유아가 대답을 잘한다고 보고하였다.

대상유아 2의 경우, 기초선 기간을 보면 유아가 반응하지 않으니 어머님의 시작행동을 여러 번 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놀이를 어머님이 주도해 나가고 유아에게 무언가 시키는 패턴의 놀이 모습 이었다. 유아는 어머님을 장난감을 보긴 하나 상호작용에 참여하진 않았다. 어머님의 시작행동이 2~3번하면 유아의 반응행동이 1번 정도 나왔다. 유아는 어머님과 상호작용하기 보다는 이갈이,

‘나~, 아~’ 같은 상동적 발화를 하며 자신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모습이었다. 중재 시작 후 유아 가 혼자 이를 갈거나, ‘아, 나~’ 등 상동적으로 발화하는 부분이 부모-유아 영상에서 거의 없어졌 고, 엄마의 제안에 거부반응이긴 하지만 ‘시러’, ‘안해’ 등 발화로 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5회기 부터 유아는 중재 시간에 좀 더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6회기에 연구자가

‘준비됬어요 ~?’ 물어보면 ‘네네 선생님’ 하며 반응하고, 양말 신자고 하면 바로 수행하러 가거나, 유아가 먼저‘도와줘’ 이야기도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중재가 진행될수록 감각활동에 도전하는 모습 이 보였는데 이런 부분이 일상서의 상호작용의 도전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반응행동의 기회가 많 아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유아 3의 경우, 기초선 기간 유아가 상호작용이 거의 없고 놀이에 관심이 없어 어머님의 시 작행동이 많고 유아에게 제안을 시도하나 유아는 거의 반응하지 않음 20~30% 사이였다. 유아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보다는 자주 입으로 가져가서 물고 있었다. 유아는 비눗방울, 단어카드에 관 심을 보이나 어머님에게 시선을 두지 않고 장난감만 쳐다보는 모습이었다. 어머님의 장난감을 보여 주거나 아이의 행동을 장난스럽게 방해하며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행동에도 시선을 두는 시간이 2 초 정도로 짧게 나타났다. 중재 이후 유아는 어머님이 장난감 만지거나 시작행동 할 때 쳐다보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유아가 하던 손벽치기, 장난감을 입에 물기 등의 감각추구 행동의 빈도도 줄었 다. 19회기에 유아의 어머님이 마술처럼 장난감을 숨기며 사라진척 하였더니 장난감이 있는 장소를 파악하여 찾아내며 관심을 가졌다. 유아는 사라진 것이 아닌 것을 인지하고 엄마와 장난스럽게 놀 이하는 모습을 보였다. 엄마가 새로운 장난감, 놀이를 제안할 때 집중하는 시간이 20~30초 정도까 지 길어졌다. 엄마가 호명하면 지나가다 가도 고래를 돌려 쳐다보는 모습이 많아졌다.

3. 사회적 상호작용의 유지 효과

1) 시각적 분석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프로그램으로 ASD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시작행동, 반응행동)변화가 유지되는지 보기위해 중재 종료 1주일 후 연속 3회기를 관찰하였다. 사회적 시작행동은 <표 9>와

(23)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상유아 1은 평균과 범위에서 4.3회(3-6)로 중재 구간의 평균보다 더 높은 발생률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유아2 또한 평균 1회(0-2)로 기초선 보다 높 은 시작행동 빈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대상유아3의 시작행동 빈도의 평균은 1회(0-2)로 높은 빈도 로 시작행동이 유지되고 있었다. 사회적 반응행동은 <표 10>과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재 기간 100% 반응행동 비율을 보였던 대상유아1은 평균97.6%(93-100)로 중재가 끝난 이후에도 높 은 비율로 유지가 되고 있었다. 대상유아2는 74.6%(70-79)로 중재 이후에도 높은 비율로 반응행동 이 유지되고 있었다. 대상유아3은 70.7%(70-72)로 중재 이후에도 높은 비율로 반응행동이 유지되 고 있었다.

2) 일화기록에 의한 분석

대상유아 12의 경우, 유아와 어머님이 소꿉놀이를 하며 상상놀이가 진행되었고, 부모-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계속되어서 엄마의 시작행동의 빈도가 줄었다. 어머님의 시작행동 없이도 유아가 시작 하고, 놀이를 이어가는 모습이 보였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유지 3회기에는 어머님이 놀이를 제안하거나 아이에게 반응하는 모습이 적었다. 그러자 유아가 적극적으로 어머님의 관심을 유도하는 시작행동을 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부모 보고에 의하면 버스를 타고 가다가도 유아가 먼저 손가락을 동그랗게 만들고 ‘도넛츠 먹어~’ 라고 하는 등의 상호 작용의 시작행동을 보인다고 하였다.

대상유아 2의 경우, 유아는 어머님의 제안에 대부분을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어디로 갈까?,

‘뒤에 있어~’ 등의 어머님의 질문에도 대답을 하여 상호작용의 순환을 이어갔고 이에 따라 놀이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연결되었다. 대상유아2 또한 반응행동의 비율이 좋아지면서 한가지의 주제로 놀이가 길어지는 모습이 나타났다. 하지만 유지 1회기에는 시작행동의 빈도는 높지 않았다. 이는 놀이의 흐름이 끊겼을 때 어머님의 계속적 시작행동을 보여서 유아의 시작행동 기회가 많지 않았 고 이것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대상유아 3의 경우, 유아는 자신이 놀던 것을 장난감을 던지고 어머님이 제안하는 장난감을 쳐 다보거나 관심을 가지는 등 부모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모습이 보였다. 그래서 유아의 반응행동 빈 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님과 중재기간에 했던 풍선불 기, 소리 나는 자동차, 카드놀이를 계속 이어가며 부모-유아간의 상호작용시간이 자주 보였다. 시 간이 또한 유지 3회기에는 어머님에게 스킨쉽을 시도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어머님이 ‘주세요’,

‘카드’ 등의 놀이 시작에 언어모방을 요구하면 유아는 어머님을 보면서 따라하려고 노력하는 모습 이 보였다.

(24)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ASD 유아를 대상으로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부모-유아 간 사회적 상 호작용(시작행동,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유지과정으로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Floortime기반의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ASD 위험 유아에게 적용했을 때 부모-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시작행동, 반응행동)이 증가되었 고, 중재 효과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특히 사회적 반응행동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연 구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 프로그램 안에서 고유수용성감각과 전정감각을 제공함으로써 ASD 위험 유아들의 신경계 안정과 각성조절을 지원하였다. 이것이 대상유아들의 주의집중력에 영 향을 주어 그들의 부모에게 반응하는 비율을 높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는 김보경 등(2010)의 감각통합 중재가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ASD 아 동에 주의집중력을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김보경 등(2010)의 연구에서는 ASD 아동 2명을 대상으로 감각통합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의집중력의 향상을 보기 위해 별 지우기 검사와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사용하였는데, ASD 아동들의 주의집중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그네, 점핑활동, 균형 잡기 등의 감각통합 중재안의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자극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주어 주의집중력을 향상시켰을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재 현 등(2017)의 연구에서와 같이 일반아동들과 소뇌의 크기가 다른 ASD 아동에게 소뇌와 그 신경 망들을 자극하기 위해 전정기관 자극하는 감각통합치료를 사용하여 ASD 아동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전정감각처리능력 지원이 대상유아의 부모에게 눈 맞춤(시각 집중)하며 반 응하는 기회를 향상시켰고 이것이 유아의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Lundy-Ekman(2007)는 전정감각은 다른 감각과 통합하여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자세 와 균형, 움직임과 공간, 방향감각을 갖도록 돕는다 하였고, 실제 전정자극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ASD 유아들의 시각적 주의집중력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보고한다(김현호 등, 2010; 강은희 2018).

이는 대외피질의 시각영역은 전정계로부터 많은 정보를 받고 정상적 시각발달을 위해선 적절한 전 정감각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일화기록에서도 CARS 점수가 제일 높은 대상유아 3 의 놀이집중 시간이 길어졌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또한 대상유아1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서도 놀이 관련 혼잣말은 많이 하지만 부모를 쳐다보고 하지는 않아서 오 반응으로 측정된 것이 많았다.

하지만 중재 이후 부모를 보고 요청하고 표현을 하여 이런 부분이 시작행동으로 인정되었다. 연구 에서 전정감각 지원이 유아의 눈 맞춤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은하(2012)의 감각통합 치료가 ASD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눈 맞춤, 지시 순응 및 요구하기 행동의 증가를 가져왔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감각 예민함의 감소로 놀잇감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였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stresses among conventional methacrylate-based composite resins and silorane-based composite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improving the attitudes of regular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will of start-up according to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current status, effects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develop and expand SW-based AI educ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