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0 2 석사학위 논문

가정폭력 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관한 연구

근 거 이 론 접 근

- -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한 미 경

(3)

가정폭력 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관한 연구

근 거 이 론 접 근

- -

T

he attendance center order'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

년 월 일 2010 2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한 미 경

(4)

가정폭력 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관한 연구

근 거 이 론 접 근

- -

지 도 교 수 김 진 숙

이 논문을 사회복지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09 10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한 미 경

(5)

한미경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 ) 인

년 월

2009 11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경험세계1 , 특성 및 영향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경험세계

1.

가정폭력가해자의 특성 2.

가정폭력이 배우자에 미치는 영향 3.

제 절 가정폭력에 대한 이론2 정신분석이론

1. (Psycho-Analysis Theory) 사회학습이론

2. (Social-Learning Theory) 인지행동이론

3. (Cognitive-Behavioral Theory) 가족체계이론

4. (Family System Theory) 여성주의이론

5. (Feminist Theory)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 선행연구3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 대응 사례 분석4

미국 1.

유럽 2.

한국 3.

장 연구방법 3

제 절 근거이론접근1 이론적 배경 1.

근거이론의 과정과 기법 2.

연구의 접근방법 3.

(7)

제 절 연구 설계2

연구문제 형성과 연구자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3.

제 절 연구의 평가3 연구자의 준비 1.

연구의 엄격성 2.

연구의 윤리적 문제 3.

장 연구결과

제 절 연구 참여자의 특성1 제 절 개방코딩2

1.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의 중심주제 :‘자기정립을 통한 새로운 삶 추구’

개방코딩 과정 2.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대상자의 교육경험 주제별 묶기

3. :

제 절 개방코딩과정의 패러다임 모형3 중심현상

1.

인과적 조건 2.

맥락적 조건 3.

중재적 조건 4.

작용 상호작용 전략 5. /

결 과 6.

제 절4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대한 서술적 이야기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관한 유형 분석5

1. 유형분석을 위한 가설적 정형화 및 유형분석을 위한 가설설명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의 유형분석

2.

(8)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의 과정 분석6 부정단계

1.

혼란단계 2.

구성단계 3.

순응 도약단계 4. ·

제 절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의 상황모형7 개인 수준

1.

가정 수준 2.

지역사회 수준 3.

국가 사회 수준 4. ·

장 연결론 및 논의 제 절 연구결과 요약1 제 절 함의2

제 절 제언3

참고문헌 부록

(9)

표 목 차

연구참여자의 특성 [ 4-1]

개념의 범주화 개방코딩

[ 4-2-1] ( )

개념의 범주화 개방코딩

[ 44-2-2] ( )

개념의 범주화 개방코딩

[ 4-2-3] ( )

개념의 범주화 개방코딩

[ 4-2-4] ( )

중심현상의 속성과 차원 [ 4-3]

인과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 4-4]

맥락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 4-5]

중재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 4-6]

작용 상호작용 전략의 속성과 차원 [ 4-7] /

결과의 속성과 차원 [ 4-8]

[ 4-9-1] 자기정립을 통한 새로운 삶의 추구 의 가설적 정형

[ 4-9-2] 자기정립을 통한 새로운 삶의 추구 의 가설적 정형 자기정립을 통한 새로운 삶의 추구 의 유형

[ 4-10] ‘ ············································71

(10)

그 림 목 차

그림 자료분석의 틀 [ 2-1]

그림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과정에 대한 모형 [ 4-1]

그림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의 단계 [ 4-2]

그림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에 대한 상황모형 [ 4-3]

(11)

ABSTRACT

A Study on Attendance Center Order Experience by Family Violence Attackers

Grounded Theory Approach

Han Mi-Kyoung

Advisor: Prof Kim Sin-Soo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ttackers that cannot be viewed within the frame of experience discourse from the outsiders' viewpoint of their experience of attendance center order.

Since the process of experience contains complexity, ambiguity, ambivalence and multidimensionality on its property, it is a concept which cannot be caught from any single view. Many studies paid attention to adapting experiences from health and pathology mechanically, but didn't try to discover a hidden potential. This study draws the family violence attackers who were always watch list as the subject of discourse and then was to know how they recognize attendance center order and their experience was composed.

This study chos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listen to the voices of family violence attackers from insiders' view and through this, it was to develop practical theory understandable from general view of attendance center order of family violence attackers.

To accomplish these goals of the research,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recorded transcripts and depth interview of the whole course of

(12)

attendance center order with 10 family violence attackers who followed attendance center order. Data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continuous open coding with theoretical sensitivity of original data from 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total 17 categories, 35 sub-categories and 224 concept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major phenomena from attendance center order experience were 'tunnel of darkness', 'failure', 'time of chaos', and 'gloomy future'. Causal conditions of central phenomenon were greatly divided into three, 'bondage in the name of family', 'gap in communication', and 'following deeply rooted Confucian cultur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central phenomenon could be suggested as three concepts such as 'loss of family love', 'It takes two to tango', and 'fear for social prejudice'. Arbitration conditions fostering or inhibiting interaction of central phenomenon were 'relationship within group', 'power of family', and 'recalling the scar of original family'.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f central phenomenon were 'conversion of thought' and 'self-confrontation' and the results through these strategies were set as the pursuit of new life according to mechanical and active adaptation.

Key Words : Family violence attacker, Attendance center order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Depth interview

(13)

제 장 1 서 론

오늘날 가족의 형태와 기능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여러 가지 가정문제 중에서 특히 가정폭력이 중대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1997년 및 1999년 김재엽의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에 의하면 지난 1년간 우리나라 부부의 31.4% 및 34.1%에서 부부폭 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적어도 3가구당 1가구에서 부부폭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부 부폭력이 면연해 있음을 말해준다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적절한 분노조절이 가장 부족. 한 사회 공간 중에 하나가 역설적이게 가정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가정은 사랑과 친 밀감, 애정적 유대의 장으로 기능하지만, 반면 서로의 활동영역에 대한 침해가 잦으 며, 연령과 성에 따른 종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이 가족생활주기 발달에 따른 가족의 특수성으로 인해 폭력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은 양면성을 지닌다. 따라서 가정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폭력과 구별된다 고 하겠다 가장 따뜻하고 정서적으로 유대가 긴밀해야 할 가정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권위주의적인 의사소통과 정제되지 않은 감정표출은 수많은 가정폭력과 연관되고 있 다. (한국형사연구원, 2003) 이에 가정폭력에 대한 관심이 학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 로 증가하고 있고 그 대책에 대해서도 정책적인 측면에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인 노력에도 결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가정폭력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있다 연구자에 따라 가정폭력발생률은 상이하지만 매년 엄청난. 폭력이 발생되고 있고, 폭력의 수준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경찰, 검찰, 더 나아가 법 원에 계류되는 경우는 매우 미흡하다. 이는 가정폭력에 대한 일반인과 관계자의 인식 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인문제로 보는 경향이 있고, 폭력의 속성을 제 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가정폭력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보다 전문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비하여 그 대책은 최근에 이루어졌다 미국은. 1970년대에 이르 러 1960년대의 반전운동과 학대당하는 여성을 옹호하는 여성운동으로부터 대책을 강구 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정폭력을 가정 내에 국한된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부와 사회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사회적인 문제로 보는 인식은 1990년대 이후 여성 계를 중심으로 조금씩 확대되어 왔다. 그러한 인식의 변화의 일환으로 가정폭력이 사 회적 개입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쟁점사항이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997년

(14)

에 가정폭력과 관련된 2개의 법이 입법화 되었고 이로써 1998년 월 일부터 가정폭력7 1 특례법이 시행됨에 따라 법적으로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과 가정폭력 가해자들에 대한 수강명령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이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1998년 을 전환점으로 우리사회에서도 가정폭력이 사회적 개입을 통해 근절되어야 할 ‘사회 문제 라는데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

한편, 교정치료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수강명령 기간은 매우 중요하다. 수강명령기간 동안에 행위자가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그들의 삶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행위자들은 저항이 강하고, 비자발적이며, 동기가 약하여 짧은 시간 주로( 50 시간 내에 변화되기가 쉽지 않다) .

가정폭력가해자들은 신체적, 정서적 고립과 소외에서 오는 것으로 보이는 의존성을 특징 중 하나로 들고 있다. 가정폭력가해자들에게 가족은 그들의 세계의 전부이며 아 내는 그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가정폭력가해자들은 대개 사랑 지지 친밀감, , , 문제해 결의 유일한 근원으로서 아내에게 의존한다고 한다(D. J. Sonkin). 따라서 이러한 관 계에 매여 있기 때문에 아내를 분리된 실체로서 느낄 수가 없고 그 결과로 아내가 떠 나면 자기 자신의 일부가 떠난 것과 같은 느낌을 갖는다고 한다. 그래서 아내를 집안 에 고립시켜두고 친구나 친척들로부터 단절시키면서 끊임없는 확인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아내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자신감을 상실을 가지고 있으면서 역으로 자신이 의존적인데 대해 마음속으로 분노하고 결과적으로 힘을 과시하고 자신 의 약함을 부정하기 위해 아내에게 통제력을 행사하려고 한다는 것이다(K. H.

Coleman)

이에 가정폭력가해자 수강명령경험의 과정은 폭력행동의 감소와 중단을 돕기 위함이 고 자신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시간이면서 궁극적으로 자신이 추구하고 바라는 가정의 모습은 무엇이었는지를 생각하는 시간이 된다.

기존연구의 대부분이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기존의 연구들은 가해자들 의 프로그램 효과성이 주를 이룬다는 점 말고는 가해자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연 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가정폭력가해자들에 대한 서비스가 거의 찾아보기 가 힘든 실정이며 이에 대한 전문적 서비스 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가정폭력이 현대. 가족복지의 주요 핵심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사업 실천 현장에서의 관심은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가정폭력특별법이 시행되어 가정폭력 행위 자들에 대한 수강명령제도가 도입 실시된지 12년을 맞이한 현 시점에서 이들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연구와 다양한 사회사업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

(15)

으로 가정폭력 문제에 대하여 사회사업실천가들이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으 로 시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 내지는 지침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 법원에서 수강명령이나 상담명령을 받는 가정폭력 가해남성들이 증가하면서 가 해자 상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폭력과 가해남성에 대 한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개입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가해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나 조사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어떠한 접근방법이 가해 남성에게 가장 효과적인지 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함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행위자들의 특성을 다룬 연구들은 폭력행동을 유발시키는 개인내적 요인들을 파악함 으로써 가정폭력을 설명이나 이론이나 개입방법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오게 하였다. 하 지만 특성연구들은 가정폭력 행위자들을 하나의 동일집단으로 간주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성장배경, 기질, 심리상태, 폭력정도나 형태와 같은 다양한 변수들에서 행위자 들 간에 서로 다른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에도 이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로 문. 헌에서는 행위자들이 단일그룹이 아니라는 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Hamberger and 가정폭력 행위자에 대한 이해가 서로 엇갈리고 덜 선명한 이유도 한 Hastings, 1986).

편으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행위자들의 이질성을 간과한 상태에서 폭력과 비 폭력 집단을 구별한다면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된다.

짧은 기간 내에 행위자를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대상자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행위자를 정확하게 이해하 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현장에 들어가서 행위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입장과 주관적인 경험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 김진희( , 2001; 김은경, 2001; 김현수 ․ 신윤미․ 조선미 ․ 임기영, 2004; 노일석, 2005). 행위자가 수강명령을 받으면서 겪는 긍정적 인 혹은 부정적인 경험은 무엇이며 행위자가 변화될 수 있는 동기는 무엇인지 변화되, 지 않는 행위자의 원인은 무엇인지를 시간적 경과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전체과정을 분석하여 행위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실체이론 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행위자관련 연구는 가정폭력법이 제정된 이후에 이루어졌으므로 선행연구가 많지 않으며, 주로 사례연구나 양적연구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행위자의 목소리를 통 해 밝힐 수 있는 세밀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수강명령경 험 과정에 관한 연구는 통계적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인간으로서의 행위자를 이해하 여야 하므로 폭력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유용하다고 보고 이들의 경험세계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실체이론(substantive

(16)

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질적연구방법 중에

theory) . Strauss

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 이유는 지극히 사적으로 예민하고 정서 적 깊이를 지니고 있는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경험세계와 그것에 대한 이해를 얻 는데 부합되는 방법론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 방법론은 사례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행동변화를 설명해 주고 상호작용 을 통한 메커니즘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유동적이고 변화무쌍한 경험과정을 탐색하는데 활용되어져 왔다 문성미( , 2003; 박한샘, 2004; 이명연, 2005). 그러나 분 석과정을 구조화시켜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결과를 제시하는 장점은 있지만 (조흥식 역 외, 2006) 무원칙성과 자의성 문제는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근거이론 방법을 따르는. 대부분의 연구가 절차주의에 기계적으로 경도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사유방식이 실증주의의 연장선상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김인숙( , 2006). 또한 경험적 자료를 범주화 하는 작업에서 이론적 민감성을 견지하지 못하고 개념과 범주들 간의 인과관계나 경향성을 적절히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Wai-Ching Yeoung, 199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절차적 타당성과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분석과정에서 연구 자의 심리적 갈등과 고민을 드러내고자 했고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을 중심으 로 수강명령을 받고 살아가는 경험과정을 정립하는 과정을 외부자적 관점이 아닌 내부 자적 관점으로 행위자의 수강명령경험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서 실무현장에서 가 해자를 명확히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 개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과정에서의 경험은 무엇인가?

(17)

제 장 2 문헌고찰

제 절1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경험세계, 특성 및 영향

1.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 경험세계

가정폭력의 개념을 정의함에 있어 폭력의 목적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폭력 연구자 들은 ‘폭력이란 여성을 체계적으로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 학대 방법들을 동 원하고 있는 가부장적 테러리즘에 그 본질이 있다 고 본다’ (Jonson, 195; Pence and 이러한 가정폭력의 개념규정은 Paymer, 1993; Bograd, 1990; Dobash & Dobash, 1979).

폭력의 목적성 에 초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는데 폭력의 목적성 에 초점을 둔

‘ ’ ‘ ’

반면 폭력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정폭력범죄의처벌에관한특례법' 제 조2 1항에 의하면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사이에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하고 정의하고 있, 다 여기에서 가정구성원은 사실상 혼인관계에 있는 배우자 또는 배우자 관계에 있었던. 자 사실상 양친관계를 포함하는 자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 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자, , 계부모와 자의 관계 또는 적모와 서자의 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자, 동거하는 친족관계 에 있는 자 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제 조 항( 2 2 ). 즉 혼인관계를 전제로 현재 혹은 과거 에 그러한 관계에 있었던 사람들과의 사이에 일어나는 폭력을 가정폭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가정폭력 범죄에는 아동복지법 제. 18조 제 호를 위반한 죄 등이 포함되다2 .

가정폭력은 남편의 아내에 배우자 폭력뿐만 아니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자녀폭력 자식의 노부모에 대한 노인폭력 형제간의 발생하 (child violence), (elder violence),

는 형제폭력(sibling violence) 등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폭력의 유형을 포괄 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조민선( ,1999).

외국의 경우에는 중립적인 개념인 ‘가정폭력(family violence)’ 혹은 ‘배우자학 대(domestic violence or spouse abuse)’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개인의 문화는 세상을 살아가는데 사소한 것들을 읽어내게 한다. 문화안에는 사실에 대한 특별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별한 진리, 가치 등이 숨겨져 있다. 어떤 문화권 속에 서 살아가는 것은 위와 같은 것들을 당연하고도 보편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 런 점에서 처음에 문화적 관점에서 보고자 하였으나 가족관계 내에서 구조적 측면에서

(18)

그리고 친밀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일상적 상호작용과 폭력을 유발하는 외적 환경적 요 인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생각에서 사회 심리적 관점으로 고찰해 나가 고자 하였다. 그러나 학문분야에서도 인식, 가치관 등이 상이하고 쟁점이 될 만한 논 의들은 서로 대립되기 마련인데 이러한 논쟁 자체가 학문 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가정폭력가해자의 수강명령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대별되는 두 가지 구도는 외부자적 관점과 내부자적 관점이다. 이 틀 안에서 인과관계 연구를 통해 문제규명을 시도하고 가정폭력가해자 당사자의 체화된 경험을 드러내어 실천적, 법적, 사회적인 대책 등이 강구되어져 왔다.

이중 외부자적관점은 논리 실증적으로 과학성을 담보하고 있기 때문에 가정폭력가해 자 연구에서 지배적 담론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최근에 이르러 이러한 단선적이고 일 방적인 측정방법과 연구들에 대한 반성이 제기되면서 주체적 관점에서 적응을 이해하 려는 시도도 일어나고 있지만 외부자적 관점은 가정폭력가해자를 규명하는 유일한 잣 대로 사용되어졌기 때문에 가정폭력가해자의 실천적 지평에서 어떤 영역을 구축했는가 에 대한 논의 없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져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가정폭력가해자의 연구에서 외부자적 관점의 실증적 패러다임이 유일한 설명체계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관점을 성찰하는 것은 경험연구의 지적발전 과정에서 필요한 절차라고 사료된다.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는 양화된 방법으로 인과관계를 규명하려는 작업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어야만 하는 사회적 요구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계량적 방법의 유용성을 무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러 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가정폭력가해자 당사자들의 삶을 전향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실천 적 당위성과 연계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문제를 연구자나 주류세계의 시각에서 파악하 였기 때문에 가정폭력가해자 당사자들의 시각에서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방법 으로 교정하려는 관점을 소홀히 하였다는 비판을 받기 쉽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가족 안에서 살아가는 삶 자체를 결핍과 병리적 관점으로 볼 수 있는 개연성이 높고 작은 문제조차 크게 확대하여 보게 하거나 일부 문제를 일반화시 켜 보려는 태도를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자적 관점에서 가정폭력가해자의 행동 적 문제 자체를 교정적 시작으로 바라보거나 고정 불변의 문제로 귀착해서 보려고 하 기 때문에 실증주의적 방법은 위험이나 결핍 소인을 지닌 가정폭력가해자는 항상 부정 적인 결말을 잉태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개인차가 큰 역치 마져도 무시하여 특수한 상황에 처한 개인을 운명론적 체념에 빠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무

(19)

엇보다도 실증주의적 방법으로 경도되어 있는 연구들은 필연적으로 그 결과가 산출되 는 과정이나 구조적 맥락을 도외시하여 내면적 문제를 파악하게 한다.

이러한 관점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잉태한다. 첫째는 종합적 판단과정의 결여이다. 표준화된 검사 이외에 임상가들의 전문가 식견이나 임상적 통찰이 함께 요구됨에도 불 구하고 총체적인 관점의 논의가 결여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경험과정의 변화가능성 을 무시한 것이다. 실증주의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이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경험을 전제 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때문에 인간의 환경적인 맥락을 고려 하지 못하거나 역동적인 측면을 간과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관찰대상에 대한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연구들로 선택한 내부자적 관점이 반드시 기 존 외부자적 관점을 배척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내부자적 관점과 외부자적 관점을 지 향하는 연구 공히 경험세계에서 얻은 구체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체계 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창출하는 논리 경험적인 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인간. 과 사회라고 하는 현상이 매우 다면적인 것과 같이 가정폭력가해자의 경험을 창출하는 다양한 내외적 조건들은 복잡다기하기 때문에 하나의 연구방법으로는 충실하게 그 진 리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똑같은 사건이라고 할지라도 개개인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행동의 양상이 다르게 전개된다는 사실을 제시해주고 있 다. 가정폭력가해자를 보는 시각이 왜 실패했는가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어 떤 경로를 통해 성공해 나가는가에 대한 변화과정을 규명해 내려는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다.

2. 가정폭력가해자의 특성

가정폭력은 단 한 번이라도 피해자에게 상처를 준다. 폭력의 피해자는 신체적인 상 처를 입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정신적인 고통으로 시달리게 한다. 특히, 가장 가까 운 관계에 있는 남편에게 당하는 피해여성은 신체적으로 고통을 당할 뿐만 아니라 정 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가정폭력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은폐성이다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족 내 폭력은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 른 폭력에 비해 문제가 외부에 노출 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개입과 치료 및 예방이 어

(20)

려운 문제가 많다 정민자( , 2001).

둘째, 연속성이다 모든 폭력들이 가장 경미한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가장 심각한 수. 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연속선상으로 확대되어 간다. 뿐만 아니라 이들 폭력행위들이 서로 중첩되거나 혼합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지닌다 홍숙자( , 1999).

셋째, 남성주도성이다 가정폭력은 가족 내 권력관계에서 파생되는 가족문제로 이해. 되어지는데 경제력, , 지위 완력 인지수준 등의 권력 형태에서 더 강한 자가 다른 가, , 족원들에게 그 권력을 행사함으로써 발생한다. 남편은 자신이 아내와 자식을 먹여 살 린다는 권위와 자부심으로 그가 지닌 권력을 사용하여 아내와 자식을 소유하고 통제하 려 하므로 가족관계는 평등한 인격적 관계가 아니라 상하 위계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 다 정민자( , 2001).

넷째, 상습성이다. 가정폭력의 초기 단계에서는 일단 남편이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 하고 난 뒤에는 즉각 사과하는 경향이 있으나, 폭력이 반복될수록 부부간 혹은 가해자 와 피해자 간 화해의 단계가 줄어들거나 없어져 가는 경향이 있을 뿐 아니라 폭력의 주기가 빨라지게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홍숙자( , 1999).

다섯째, 세대 전수성이다. 가정폭력이 세대전승 된다는 입장은 연구자들이 공히 수 용하고 있다. Straus(1979)는 폭력관찰과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10대였을 때 구타경 험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자녀에게 심한 폭력행동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정민자 한국여성의 전화 의 통계에 의하면 아내와 아이를 구타하는

( , 2001). ‘ (1992) ,

남성의 성장 배경 중 아동기에 가정폭력을 경험한 경우가 5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는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개입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을 Walker

집중적으로 연구하기보다는 사회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요인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심리사회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 은 아내학대 남성들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 수단이 되고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도 움이 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 다음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결과로서 보고된 심리사회적 특성들이다. 자존감 저하와 자기표현능력의 부족, 경직된 가부장적 성역 할 태도, 아동기 학대경험, 분노조절 능력의 결여, 폭력의 부인과 축소, 사회적 고 립, 의존성, 질투, 알콜과 약물의존, 친밀관계 형성 능력 결핍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주는 가해남성들의 폭력행동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요인들 이다. 음주상태에서 가해를 하는 경우가 상당하며, 가해남성들의 음주습관은 만취할 때까지 먹는 경우가 많아 술을 마시는 남편이 않는 남자들에 비해 2-3배 높다고 한

(21)

다(Kantor & Straus, 1990). Walker의 연구에 의하면 배우자를 학대하는 남성들은 약물남용보다는 알콜남용의 문제가 더 많았다고 한다. 이렇게 알콜을 남용할 경우에 는 여성에게 더 심각한 상해를 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편 가정폭력 피해여성 들을 대상으로 한 Fojtik의 1978의 조사에서는 학대 남편들의 60% 정도가 알코올 중 독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김재엽( , 2007 재인용). 또한 김재엽의 1997년 조사에서 는 남성들의 음주의 양에 따른 가정폭력발생률이 관련이 있었지만, 1999년 조사에서 는 두 변인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차이가 나타난 것은 아니라고 보고 하고 있어서 김재엽( , 2007) 음주의 양과 폭력행위간의 관계에 관한 다른 결과를 보 이고 있다.

가해남성들은 성역할에 대해 남성우월주의 또는 가부장적인 태도가 강한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 폭력성이 높을수록 더 보수적인 성역할 태도를 갖는다는 입장 김광일( , 으로서 성역할의 사회화가 남녀 간의 불평등에 대해 1985; Rosenbaum & O'Leary, 1981)

동조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사회화된 경우가 많아서 가해자 폭력재발을 막는 프로그램 은 가해자의 성역할 재사회화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연결된다. Gilbert &

의 연구 에 의하면 의사결정이나 부부관계를 위한 희생 집안일의 분담 등

Walker (2001) ,

에 대하여 배우자가 서로를 평등하다고 생각하는 부부들이 그렇지 않은 부부들보다 두 배 이상 오랫동안 부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미국에 사는 중국, 한국, 베트 남 캄보디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피험자의, 24%에서 36%가 아내가 바람을 피 우거나, 잔소리를 하거나 가사 일을 거부하는 경우 폭력을 사용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응답했다(Yoshioka, Dinola, & Ullah, 2001, 김지영, 2003 재인용). 장희숙 등의 연구 에서도 가정폭력가해자들은 일반 남성에 비해 여성의 성역할에 대해 더 보수적이고 가 부장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한편 가해자들은 대체적으로 폭력에 허용적인 태도가 강하다고 한다. Dibble &

의 연구 에서 아내구타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가진 남편 응답자 중에서 Straus (1990)

는 23.0%가 실제로 아내에게 폭력을 사용하였으나, 아내구타를 허용하지 않는 태도를 가진 남편은 6.5%가 아내를 구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폭력에 허용적인 태도 는 위에서 논의한 성역할태도에 있어 가부장적인 사고가 폭력행위에 미치는 관련성 보 다 더 밀접하게 폭력행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장희숙(2006)은 밝히고 있다. 폭력수 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폭력을 허용하는 태도가 많으며, 이와 같은 아내폭력을 정당화 하는 사고는 남성이 지배하고 권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가치관 보다 오히려 폭력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이라고 한다.

(22)

부부의사소통 유형은 가해남성의 인격적 특성, 가해 남성의 성역할 태도 또는 가부 장적인 사고 그리고 부부 상호간의 의사소통과정과 연관되어 폭력을 초래하는 원인인, 것으로 논의된다 건강하지 못한 인격 또는 가부장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남성들은 권. , 위적이고 강압적인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아 부부간의 대화가 원만히 진 행되지 못하고 폭력이 의사소통의 한 유형으로 변하게 한다.

한편 가정폭력이 폭력을 행사하는 가해자의 개인적 특성에만 기인하기 보다는 부부 간 상호작용의 과정과 결과로 발생하게 된다고 보는 관점도 있다(Giles-Simes, 1993).

다시 말해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한 부부는 상호 협상에 도달하지 못하고 폭력을 대화 의 한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국내의 경험적 연구에 의하면 산만형이나 비. 난형이 가해자인 남성에게서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김정옥 외( , 2000). 한편 빈곤가정 부부 101쌍을 대상으로 한 김재엽의 조사(2007)에서는 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을 5가지 회유형 공격형 이성형 산만형 존중형 로 구분하고 남편이 주로 공격형이나 산만

( , , , , )

형일 때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가정은 가족이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는 최초의 장소가 되고 폭력을 목격하거나 폭 력의 피해를 당한 아동은 폭력이 갈등해결의 일차적 수단이 된다는 사실을 어려서부 터 목격한 결과 폭력의 방법을 학습할 뿐 아니라 폭력사용에 대한 인정을 받는 셈이 된다(Walker). Gelles는 아동기의 학대관련 경험이 아내 학대자에게나 피해자에게나 모두 역할모델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성인이 되어 분노를 표출할 때 폭력 이외의 다른 대안적인 방법을 찾지 않고 부모의 방법과 똑같은 대처방법만을 보고 배움으로써 부모의 결혼생활을 답습하게 되고 자녀들에게 불건강한 행동형태를 세습 시키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는 것이다(Martin). 가해남성들의 성장기 폭력경험이 성인이 된 후 아내폭력과 관련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들은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아동 기에 부모의 폭력을 목격하였거나 폭력을 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아내 폭력률이 높다 는 주장이 많지만 김득성 외( , 2000; Rosenbaum & O'Leary, 1981), 성장기의 폭력에 대한 경험이 성인이 되어 아내폭력에 직접적인 관련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관련이 있어도 미미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Gelles, 1997; Hotaling & Sugarman, 1990; 김 예정 외, 2003).

3. 가정폭력이 배우자에 미치는 영향

폭력은 단 한 번이라도 피해자에게 상처를 준다. 폭력의 피해자는 신체적인 상처를

(23)

입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정신적인 고통으로 시달리게 된다.

특히 피해여성들의 심리적 증상에 대해 서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많은 연구들이 경 험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그 부정성을 논의하고 있다(Chessler, 1972; Walker, 1978;

우리나라에서는 가정폭력의 실태에 관 Hanks & Rosenbaum, 1977; Rounsaville, 1978).

한 연구에서 김광일(1985)은 피해여성들은 가해자인 남편에 대해 순응적이며, 폭력의 원인을 자신에게 기인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자존감이 낮고, 표출하지 못한 분노감이나 적개심으로 심리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들의 이러한 심리상태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으로 논의하였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피해여성들에게서 발견되는 주된 증상이다(Kim & Choi).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은 수면이상, 공포심, 주의집중 곤란, 불안증 등인데, 이는 고도의 스트레스를 겪은 위기상황 직후 또는 위기상황 수개월 후에 비정상적인 심리상태를 보이는 것이라고 한다(Hattendorf & Tollerud, 1997).

가정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들은 가정폭력의 가장 큰 피해자가 여성이라는 점을 공통 점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김재엽 이서원( , , 2005).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낮은 자아존중감, 우울증 사회로부터의 소, 외감, 자신을 무능력하고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학습된 무기력 등이 나타나고 있으 며, 불안과 공포로 잠을 자지 못하고 음식을 섭취한 후 소화불량의 증세가 나타나고 있다 김유순( , 2000). 가정폭력의 피해여성 뿐만 아니라 아내들의 낮은 자존감으로 인 해 사회적으로 점차 고립되게 되면서 이러한 부정적인 자아상은 그들의 자녀들에게 같 은 고통을 물려주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제 절2 가정폭력에 대한 이론

가정폭력은 행위자 개인, 관계, 사회구조적 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수준에 초점을/ 맞춘 여러 관점들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그 가운데 정신분석, 사회학습, 인지행동, 가족체계, 여성주의 이론은 행위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적 개입과 관련된 대표적인 접근법들이다.

(24)

1.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sis Theory)

가정폭력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에 속하는 정신분석이론은 정신병리적 관점에서 가정 폭력 문제를 보고 행위자의 초기 아동기 경험이 행위자의 병리적 성격을 어떻게 만들, 어 내는지 설명한다.

손상된 자아기능과 겉으로 포장하고 있는 과장된 남성다움과 같은 행위자의 병리적 성격이 폭력행동의 근본 원인이며, 이는 부모로부터의 거부 혹은 아동기 발달상의 외 상에 기인한다고 이해한다 김유순( , 2000).

안전에 위협을 받고 애정이 결핍된 아동기 환경을 경험한 이들은 부적응적인 관계모델을 형성하고 친밀한 관계에서 출수 회피 위협 공격성과 같은 역기능적 정서 전략을 사용, , , , 하게 된다(Bowlby, 1980; 1988). Bowlby의 이론에 근거해 Dutton(1988)은 수치심과 어머니 와의 불안정한 애착의 결합 가정 내 신체적 폭력 직접적 경험이 많은 남성들에게 학대적, 인 성격특질(abusive personality)을 형성하도록 한다고 주장하면서 특히 친밀감이 특히 경계선적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남성들의 폭력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폭력 발생의 주요한 요인이 되는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남. 성들이 여성에 대한 전통적 가치를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사회의 승인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폭력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조건의 영향을 배제한다. 또한 정신분석 접근법에서처럼 가정폭력의 원인을 유년기 경험에서 찾는 것은 행위자들의 폭력행위를 변명해 주는 셈이 된다(Adams, 1988; Davis, 1995).

따라서 문제해결 개입은 가정폭력 행위자가 과거경험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깨닫도록 무의식을 의식화 하도록 돕고 자기내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여 현재의 관계에서 보다 적절히 반응하는 것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2. 사회학습이론(Social-Learning Theory)

사회학습이론은 폭력이 사회적으로 학습되며 모방을 통해서 강화된다고 설명한다.

포격에 노출된 이들이 폭력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회학습이론에서 제시 하는 몇 가지 개념들을 근거로 유추할 수 있는데 첫째, 직접적인 관찰하다. 둘째, 폭 력행동의 모델이 관찰자에게 영향력이 있는 대상이다. 셋째, 폭력행동의 긍정적인 결 과를 목격한다. 사람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단순히 그 행동을 모방하는 것이 아 니라 관찰행동의 결과에 따라 모방행위를 결정한다고 한다(Baundra, 1977).

(25)

폭력을 경험하면서 자란 아이들은 폭력을 하나의 문제해결 방안으로 받아들이고 가족 안 과 밖에서 폭력을 사용하는 경향이 더 많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남자 아이들은 결혼해서. 자신의 아내와 아이들에게 폭력을 반복해서 사용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김유순( , 2000).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인간은 폭력적인 가정에서 성장하면서 폭력적 행동이 학습되며 폭, 력이 타인을 지배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라는 것을 내면화하게 된다고 본다 이경순( , 2004).

사회학습이론의 개입방법은 현재의 폭력행동이 어떻게 학습되었는가를 파악하고 잘 못된 폭력행동을 소거시키고, 비폭력행동을 강화하고 비폭력행동을 학습할 기회를 제, 공하는 것이다. 즉 모델의 관찰을 통해 재학습을 시키는 것이다.

3. 인지행동이론(Cognitive-Behavioral Theory)

인지행동이론은 폭력적인 행동을 지지하는 신념이 어떻게 내면화 되었는지를 강조한 다 이 접근법은 폭력이 학습된 행동이며 비폭력 역시 학습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 폭 력은 스트레스 감소나 불안 감소 방법으로 강화되며, 비합리적 사고 및 사회기술 부족 이 폭력행동의 근본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 기반을 둔 인지행동 모델은 행위자들에게 폭력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결과를 지적하고 대안적인 비폭력 행동을 습 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지행동이론은 사람의 생각이 그 사람의 감정이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사람의 사고를 변화시킴으로써 감정과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 다고 믿는다 이서원( , 2003).

인지 행동적 접근에서는 인간의 여러 측면 중 인지가 가장 우선적이며, 제일 중요하 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사람들의 감정이나 행동은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인 간의 인지에서 기인한다는 입장이다 박경애( , 2005).

현재 대부분의 행위자 교정 치료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이론의 접근을 택하고 있다.

이유는 인지 행동적 접근은 폭력행위 그 자체를 문제로 삼고 폭력행동의 변화를 시도, 한다는 점에서 명확하고 구조적이며 평가가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단과정이 갖는 치료적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장희숙( ,1999; Chang &

나아가 폭력은 남편이 아내에 대한 권력과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된 Saunders, 2002).

다는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Adams, 1988).

남편이 분노를 통제하지 못해서 폭력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배우자를 통제하려는 의 도에서 폭력을 사용한다면 성차별이나 아내통제에 대한 태도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분 노통제 기법은 단순 ‘기법’차원에 머물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6)

4. 가족체계이론(Family System Theory)

가족 체계적 접근에서는 아내에 대한 남편의 폭력행위를 개인적인 병리현상이라기 보다는 사회체계내의 한 부분으로 이해한다. 즉 가정폭력은 가족 내에 존재하는 가족 체계내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하고 본다(Straus, 1978). 그러므로 가족체계이론은 폭력에 대한 원인보다는 폭력이 일어나는 과정에 중점을 두며 사건의 발생과정, 개인 간, 사건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중요시한다 가정폭력 행위자의 특성인 의존갈등. , 친숙 함에 대한 두려움, 아동기의 폭력경험역사, 미약한 대처반응 등은 폭력피해 여성에게 도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러한 특성이 폭력체계 패턴의 지속성을 감소하며, 학대체계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이 가정폭력에 대한 가족체계 이론은 사회적 관계적 상황과․ , 관계 내에서 일 어나는 상호작용의 독특한 유형들의 대인 관계를 강조한다. 그러나 가정폭력을 역기능 적인 부부체계의 결과로 인식하는 가족체계 이론은 체계 내에서 성(gender)에 따른 힘 과 통제의 차이를 무시하고 암묵적으로 아내에 대한 남편의 통제와 지배를 정당화 한 다는 비판을 받는다(Dobash & Dobash, 1977).

5. 여성주의이론(Feminist Theory)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성차별적인 문화적 규범˙ ˙ , 전통˙ ˙ , 가치˙ ˙ , 구조˙ ˙ 를 가진 가부장적 사회제도가 아내폭력에 가장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폭력은 남성이. 아내를 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부부관계에서 남편의 아내에 대한 지배와 통제의 기제가 가정폭력이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폭력은 개인의 과거 경험 분노 기술 부족 등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 ‘선택 인 것이다’ .

여성주의자들은 순수하게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나 가족기능면에서 개입하는 치료 모 델들을 비판한다( Pence & Shepard, 1988).

가정폭력에 대한 여성주의 이론의 핵심은 남편이 아내에 대하여 행사하는 폭력은 결 코 개인적이거나 가정적인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으로 존재해 온 남성 지배체계․ 의 문제로 본 점이다 가정 폭력은 남성이 여성에게 행사하는 남성권력의 한 형태이며. 다른 사회적 영역에서 행해지는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통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따. 라서 가정폭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해자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확대와 아울러 폭력 발생의 근원인 가부장제 문화의 틀을 바꾸어야 한다. 또한 이 시

(27)

각은 가해자인 남성이 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여성주의 관점은 폭력행동에 대한 거시적, 사회구조적 관점을 제공해 주고 있기는 하 지만 개입하는데 있어서 개인과 집단의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목표로 하는 실천현장의 욕 구와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단일 이론으로만 가정폭력을 설명하는 것에 대. 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Carden, 1994; Dutton, 1998; O'leary, 1993), 그 어떤 특정 이론도 가정폭력을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가정폭력은 다양한 수준에서. 다양한 원인 요인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

이처럼 가정폭력가해자에 관한 이론들은 크게 정신내적, 사회심리적 사회문화적 관, 점에 따라 크게 3가지 구조로 분류하여 볼수 있는데 정신내적 관점은 폭력에 대한 책 임성이 간과되고 정신병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많은 폭력행위자들에 대한 타당한 설명 을 찾아낼 수 없다고 보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장과 변화의 가능성을 가치 로 삼는 사회복지적 관점과는 일치되지 않는다. 또한 사회문화적 관점은 폭력행동에 대한 거시적, 사회구조적 관점을 제공해 주고는 있으나 폭력행동을 개입하는데 있어 각 개인과 집단의 구체적 행동변화를 목표로 개입을 해야 하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는 보다 더 문제해결 중심적이고 구체적인 행동변화에 초점을 두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폭력에 대한 사회심리적 관점은 폭력과 학대를 가족과 가족구조, 그리 고 친밀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일상적 상호작용과 폭력을 유발하는 외적 환경적 요인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이다. 즉 가족구조, 스트레스, 폭력의 세대간 전달, 가족의 상호작 용 패턴과 연결시켜 보는 이론적 접근이 환경적 영향과 상호작용적 요인들을 잘 통합하 고 있는 사회사업 실천에 가장 적절한 개입방법을 시사해 주는 관점이라고 본다.

제 절3 가정폭력가해자 선행연구

가정폭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특성연구나 이들 행위자의 가정특성을 살펴본 것들이 대부분이다 우선 폭력가해자들의 특성을 연구한. ,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폭력남성이 우울한 성향이 있고 자존감 (Hamberger & Hastings, 1986; Rosenbaum & O'leary, 1981; Saunders, 1984),

이 낮아(Elbow, 1977; Gondolf, 1985; Rosenbaum & O'leary, 1981; Saunders, 1984;

유태수 장희숙 정정호 김예성 변현주 상대방의 반응 Taylor, 1984; , 2003; , , , , 2003),

에 비판에 예민하게 반응하며(Saunders, 1984), 이러한 낮은 자존감이 그들의 심리적

(28)

상처와 공포 체험들과 결합되면서 즉시 분노감정을 일으키게 되며 그러한 감정들은 공 격행동으로 전환된다(Rosenbaum & O'leary, 1981). 또한 행위자들의 아내에 대한 질투 심과 소유욕의 정도도 병리적이다(Bowlby, 1984; Coleman, 1980; Davis, 1990;

이들은 이밖에 수줍음이 많고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Saunders, 1984). (Saunders, 1984),

에서의 어려움이 있고, 사회 지지망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으며(Davis, 1990), 충동조절 능력에 결함( Davis, 1990; Sonkin, 1985)을 보인다. 또한 표현능력이 부족하고(Ney, 자기주장을 잘 못하며 상대방을 탓하거나 유태수 문제 1978), (Davis, 1990; , 2003), 의 원인을 외부의 탓으로 돌리면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분노 의 대상을 전위 한다던가(Davis, 1990), 갈등해결기술과 문제해결기술 장희숙( , 정정 호, 김예성, 변현주, 2003)부족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결혼생활에 대하여 비 현실적이고 경직된 기대를 하며, 스트레스를 크게 지각하여 결혼만족도가 일반인들보 다 낮은 편이다. 한편 가정폭력 행위자들은 주로아내를 대상으로 폭행을 일삼는데 장희( 숙 등, 2003), 이에 대하여 Martin(1988/1998)은 이들이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아내의 순수한 행동도 가장인 자신의 위치를 위협하는 것으로 해석하기 때문을 파악하였다. 1998 년 가정폭력이 시행되면서 가정폭력의 원인이 되는 행위자를 변화시키면 폭력의 피해가 훨씬 줄어들 수 있다는 인식하에 가정폭력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 작되었다. 점차 행위자 교정프로그램이 실시되자 행위자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와 행위자 특성연구로 이어졌다(Elbow, 1977; Hotaling and Sugarman, 1986; Gondolf, 1988;

궁민순 유태수 장희숙 외 이러한 행위자들의 공 Saunders, 1992; , 2002; , 2003; , 2003).

통적인 특성은 배경, 정서, 태도, 사회, 성격, 기술적인 요인으로 나타난다 장희숙 외( ,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행위자의 대표적인 특징은 아동학대의 경험 알코

2003; 60-82). ,

올 및, 약물남용, 질투심 낮은 자존감, , 분노, 우울, 여성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 기대, 높은 폭력허용도 자녀학대 낮은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의존성 친밀감의 어려움 통, , , , , , 제욕구 높은 방어기제 성격장애 관련 특질 주장기술 갈등해결기술 통제능력 결여 등, , , , , 을 들 수 있다 최근 행위자의 유형화에 대한 효과성 연구가 발표된 이후 행위자 유형에. 따른 접근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emp, 2001; 346-379).

그러나 행위자의 유형화 연구는 연구방법과 군집변인을 다양하게 사용하므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우나 어느 정도 구분되는 것은 아내에게만 폭력을 사용하는 행위자와 아내와 타인 모두에게 폭력을 행하는 행위자의 대조가 뚜렷이 나타난다. 후 자의 경우 아동기 학대 경험이 많이 있고 보다 심각한 폭력을 행사하며, 알코올과 지 배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장희숙 김예성( ․ , 2004).

(29)

선행연구들을 살펴볼 때 이와 같이 대부분 가정폭력행위자들의 특성을 살펴본 연구 들이 주를 이루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연구조차도 드문 현실임을 알 수 있다. 가정폭력행위자들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볼 때 그들의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는 많이 이 루어졌으나 가정폭력행위자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경험을 밝힌 연구 즉, 폭력 당시의 감정을 살펴보거나 가정폭력이 줄어드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김현희( ,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개입은 피해자의 경찰 신고부터 시작되는데 행위자는 가 2006).

정폭력을 범죄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경찰에 연행될 때 매우 당황하며, 처음으로 공 권력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한다 한국여성담담센터( , 2005; 25). 그러나 행위자들은 폭 력의 원인을 배우자에게 전가하거나 부인 축소 또는 정당화하며, , 심한 분노감과 배신 감을 느끼고 김정숙( , 2000; 김진희, 2001; 유덕순, 2001; 유태수, 2003), 신고를 이유 로 하여 피해자를 더욱 심하게 괴롭히기도 한다. (김정숙, 2005: 52). 또한 법적처리 절차에서 반말로 함부로 대하여 심한 굴욕감과 치욕스러움의 부정적인 경험을 하기도 한다 행위자가 보호처분을 받는데 걸리는 시간은 사건 발생 후 평균 개월 정도 걸리. 5 며, 수강명령 교육일까지는 8개월에서 1년정도 소요되므로 가해자들은 매우 지친다. 그러나 행위자들은 교정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기도 한다 가해자. 들은 자기 자신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바람직한 대화기술을 배우고 가부 장적 성역할 태도를 상대방의 입장의 평등주의 시각으로 전환한다 이서원( , 2003). 가 해자들은 대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대화의 열쇠는 자신이 가지고 있음을 깨달으 면서 가족들도 마음을 여는 것을 경험한다. 또한 권위란 힘으로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아내에게 사랑을 베푸는 남편이 진정한 권위 있는 자임을 이해하게 된다. 한편 이에 대한 피해자들의 실제적인 응답에 따르면 프로그램 후 신체적 폭력이 73.5%가 감소되 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한국여성상담센터( , 2005; 35).

이를 종합하면 가해자들은 처음에는 법 앞에 냉혹한 현실을 경험하지만 교정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폭력에 대한 통찰과 객관적인 자아를 바라보게 되며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고, 분노조절기술을 배워 점차 폭력에서 벗어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들은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대체로 가정폭력가해자들이 경험하는 구체적이고 직접적 인 실례를 바탕으로 했기보다는 주로 사례연구나 특성을 분석하거나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양적인 접근방법으로 그들의 생활을 파악하여 해석한 것들이 대부분이었 다 따라서 가해자가 가정폭력으로 신고 된 이후 어떤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변화되어 가. 는지 변화의 동기는 무엇인지 변화되지 않는 행위자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 수강명령 경, , 험에 대한 맥락적인 이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 폭력행동의 패턴을 발견하여 사회

(30)

복지 실천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판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행위자들이 직접 부딪히고 생활하는 현장경험과 관련지어서 이들이 폭력을 행사하게 된 주된 원인 뿐 아니라 폭력당시의 감정과 수강명령을 경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들이 수강명령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실체이론을 규명해서 가정폭력가해자들이 수강명령이라는 경험이라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고 행동하며 관여하는지에 대한 상황을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수강명령의 효과성을 높이 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다른 연구방법보다 경험적 자료로부터 실체이론을 도출하기 위한 귀납적 방법인 근거이론 방법이 적합하며 가정폭력가해자의 목소리를 통, 해 이들의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더욱 절실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정폭력가해자들의 재범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하는 수강 명령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제 절4 가정폭력가해자 대응 사례 분석

1. 미국

미국의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은 1970년대 말부터 여성 운동가들이 가정폭력 피해자를 돕는 과정에서 행위자들을 처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생겨나기 시작했다 초기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은 피해자 보호 프로그램의 일부이면서 동 (Gondolf, 2002).

시에 행위자인 남성의 가부장적 태도를 변화시키는 사회 운동의 한 부분이었다.

초기에 강력한 사법적 처벌을 실시하던 미국에서는 기소유지의 어려움, 높은 사회적 비용 실형보다 변화를 원하는 피해여성 피해여성의 안전 등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 , 고자 법원이 행위자들에게 보호관찰명령과 더불어 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수강명령을 내리기 시작했다. (Edleson, 1996). 이후 가정폭력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노력을 전개하였다(Saunders, 1996). 법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여성 운동가들이 법정에서 피해자 여성들을 보조하고 정보 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가정폭력을 다루는 법정을 신설하여 숙련된 법원 공무원이. 가정폭력 케이스의 과정을 다루게 하였다 강제기소와 판결 전 의뢰 제도로 인해 많은. 행위자들이 보다 빨리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에 의뢰되었다.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운영 기관과 보호관찰 공무원 사이의 전달체계를 강화시켜 행위자가 프로그램에 성실히 참

(31)

여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가정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이 활성화 되면서 미국에서는 이제 다양한 관점의 치료 프로그램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여성주의적 접근, 인지행동적 접근, 심리학적 접근 에 따라 다양한 치료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Tolman & Edleson, 1995). 각 프로그램 은 서로의 장점을 부각하기 위하여 적극적 홍보와 보급에 나섰다. 이러한 각 프로그램 들의 경쟁적 성장은 치료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데 좋은 토양이 되었다(Sherman, 그러나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치료프로그램의 남발로 인하여 행위자 치료프로그 1992).

램의 질에 대하여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고 문제로 치료자의 자격 기준에 대하 논란으 로 이어지면서 가해자치료프로그램의 관리 감독 및 프로그램 표준화의 필요성이 부각 되었다(Gondolf, 1999). 이에 따라 미국의 각 주는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지침서를 개발하였으며, 이 지침서에 따라 기관들이 표준화된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할 것 을 권장하였다. 따라서 현재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은 특정 모델에 국한되어서 치료프로 그램을 운영하기보다는 행위자의 폭력 재발 방지와 지역 사회 통합을 위한 최적화모델 로 발전하고 있다.

2. 유럽

유럽의 가정폭력률은 다른 대륙에 비해 낮은 편에 속한다. 유럽 국가 중 스웨덴의 경우 2000년 가정폭력률은 1%미만 이었으며, 2003년에는 4.1%였다(Estrada and 다른 서구 유럽 국가들도 정도의 가정폭력 발생률을 나타내고 Nilsson, 2004). 1%~10%

있다(Smeenk & Malsch, 2005). 이러한 비교적 낮은 폭력률은 유럽의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노력을 북미지역보다 더디게 만들었다. 그 결과 유럽에서는 가정폭력가해자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와 개발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 유럽에서도 가정폭력에 대한 강력한 대응과 더불어 행위자에 대한 치료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 영국

가정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게 된 것은 1970년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가정폭 력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 개입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여기지게 되었으며 여기에는 영미의 여권운동의 영향이 컸다(Grase, 1995). 미국과 마찬가지로 1970년대 영국에서는 여성운동가들에 의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하 쉼터가 설립된 시기였다.

(32)

여성주의 입장을 표방한 이 시대에 가정폭력 남성들은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도 전받아야 한다는 것과 폭력의 책임이 남성에게 있음을 수용해야 한다고 이해되었다.

영국에서 가정폭력이 공공정책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게 된 것은 1980년대와 년대에 이르러서이다 년대에는 영국 경찰이 가정폭력문제를 다루는 공공기관

1990 . 1980

을 부각된 시기였다. 이 시기에 가정폭력을 형사처벌이 필요한 행동으로 처리하라고 행정자치부에서 경찰에 지시하였지만, 체포수준은 신고의 20%미만에 머물렀고 처벌을 받는 경우는 이보다 더 적었다(Robert & Fields, 2002). 이러한 사실은 가정폭력에 대 한 경찰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에 대한 사회적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년대에는 영국의 여러 지역이 가정폭력에 대처하기 위한 포럼이나 기관협의체 1990

등의 통합적인 조직을 구성하여 폭력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Grace, 1995). 행 위자 프로젝트들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에 이르러서였다. 즉 1990년대에 가정폭력 행 위자에 대한 프로젝트들이 독자적으로 혹은 보호관찰소나 지역가정폭력 포럼과 같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Mullender, 1996).

나. 독일

독일이 가정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다. 사회적 개입이 가장 두드러진 시기는 1990년대 후반인데 2001년 개정된 폭력보호법은 독일에서 가정 폭력 행위자의 퇴거명령의 원칙을 확립하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가정폭력행위자들에 대한 경찰, 검찰, 법원의 형사법적 처벌 이외에도 긴밀한 네트워크 하에서 행위자 훈련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있다(Smeenk & Malsch, 라인란트 팔츠 주에서 시행되고 있는 마인츠 행위자 훈련 프로그램 은 행

2005). - (TAE)

위자 훈련 프로그램의 한 예이다.

다. 스웨덴

여성이 남성 배우자의 폭력을 경찰에 신고했을 때 경찰은 폭력이 있었다고 의심되면 수사에 착수할 의무가 있고 검사는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기소할 의무가 있다 스웨덴. 에서는 폭력 남성이 유죄판결을 받는 것과는 별개로 중요한 것이 폭력 행동을 그만두 는 것이라는 것을 점점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Smeenk & Malsch, 2005). 만일 부부관계 를 계속 유지하고 싶다면 가정폭력행위자는 가족 상담이나 다른 치료를 시작하게 한 다 현재 교도소와 보호관찰 시설에서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하여 처벌을 받는 남. 성들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중에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을 위하여는 을 위하여는 위하여는 위하여는 정당한 정당한 정당한 정당한 범위 범위 범위 안에서 범위 안에서 안에서 안에서 공정한 공정한 공정한 공정한

 When we refer to ‘blood sugar’, we actually mean the monosaccharide (simple sugar) glucose dissolved in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직장생활에 더 많은 통제를 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거나, 더 좋은 분위기가 있는 직장으로 옮기고 싶어 하는 바램을 느낀다거나 할 때

• 준거집단의 신뢰성(credibility)은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 유명인사의 신뢰성은 전문성(expertise)과 진실성(trustworthiness)에 의해

§ 즉, 작품 안에서, 인물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어떤 반응을 하는 지 또는 어떻게 말하는 지에 따라 보여짐. 인간의 행동은

회사까지 지하철로 1시간 정도 걸립 니다.. 지하철

‘텃밭 텃밭 텃밭 텃밭’이란 이란 이란 소재를 이란 소재를 소재를 통해 소재를 통해 통해 통해 가족 가족 가족 가족 구성원 구성원 구성원 간의 구성원 간의 간의

미국의 가족 부양자 지원 프로그램은 가족 부양자들에게 돌봄 활 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여지는 것을 예방하 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