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세기 수자원 정책 기본방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1세기 수자원 정책 기본방향"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1세기 수자원 정책 기본방향

김 광 묵

국 토 연 구 원

(2)

차 례

第 1 章 硏究의 槪要 ···7

1. 硏究의 背景 ··· 7

2. 硏究의 目的 ··· 7

제 2 장 現況 및 問題點 ···9

1. 水資源의 特性 및 利用 現況 ··· 9

2. 水資源 政策의 動向 ··· 11

3. 水資源 管理의 問題點 ··· 12

4. 水資源 管理 및 調査硏究 ··· 16

5. 財源確保의 어려움 ··· 17

第 3 章 與件 變化 展望 및 政策方向 ···19

1. 與件變化 展望 ··· 19

2. 水資源 政策方向 ··· 20

第 4 章 向後 推進 課題 ···23

1. 中․短期 政策 課題 ··· 23

2. 長期 政策 課題 ··· 28

第 5 章 ···31

結 論 ···31

參 考 文 獻 ···32

(3)

표 차 례

<표 2-1> 하상계수 비교 ··· 9

<표 2-2> 수계별 수자원 특성 비교 ··· 11

<표 2-3> 수자원 정책의 추진 동향 ··· 11

<표 2-4> 전국 용수수급 전망 ··· 12

<표 2-5> 주요 나라별 수도요금 비교 ··· 13

<표 2-6> 수도요금 비교 ··· 13

<표 2-7> 물사용량 비교(’95) ··· 14

<표 2-8> 하천개수 현황(’98) ··· 15

<표 2-9> 수자원 분야 투자 추이 ··· 17

<표 4-1> 수자원 정책의 동향 전망 ··· 23

<표 4-2> 수자원 정책의 개념 변화 전망 ··· 23

그 림 차 례 <그림 2-1>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 현황 ··· 10

(4)

第 1 章

硏究의 槪要

1. 硏究의 背景

◦ 1965년 수자원종합개발10개년계획을 수립하면서부터 물을 산업발전에 필요한 경제 재로 인식하면서 수자원의 중요성 대두

◦ 그동안 지속적으로 댐 및 광역상수도를 건설하여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공급하 고, 하천을 개수하여 홍수피해에 대비하는 등 수자원을 관리하여 왔으나 댐 개발 적지가 감소하고 지가 및 보상비가 상승하는 등 수자원 개발여건이 악화되고 있으 며, 주요 상수원의 수질이 악화되며, 수자원 관련 분쟁이 증가하는 등 사회적 여건 이 변화함으로써 수자원과 관련된 각종 문제점이 대두

◦ 따라서 21세기의 여건변화를 전망함으로써 향후 수자원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 고, 추진과제를 제시함이 필요

2. 硏究의 目的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특성 및 부존 현황, 용수의 확보․이용상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수자원정책의 추진과정과 문제점들을 검토

◦ 향후 수자원 여건변화를 전망함으로써 장래의 수자원 관리 정책 방향을 설정

◦ 수자원관리 기본방향에 따라 추진되어야 할 부문별 추진과제를 제시

(5)

第 2 章

現況 및 問題點

1. 水資源의 特性 및 利用 現況

1) 水資源의 特性

◦ 우리나라 수자원의 원천인 강우량은 연 평균 1,274㎜로 세계 평균 973㎜의 1.3배이 나 연간 1인당 강수량은 약 2,900㎥로써 세계 평균 26,800㎥의 약 11%에 불과

◦ 강수량의 연도별․지역적․계절적 편차가 심해 안정적 수자원 확보가 어려움

◦ 강수량의 지역별 편차도 비교적 커서 경북내륙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1,000㎜ 이 하인 반면 제주도는 1,600㎜, 남해안 일부는 1,500㎜에 이름

◦ 강수량의 계절적 편차도 심해 우기인 6월부터 9월까지의 4개월간에 연강수량의 2/3가 집중되는 반면 갈수기인 10월에서 다음 해 3월까지 6개월 동안은 년 강수량 의 1/5에 불과하여 홍수시에는 하류에 수해를 일으키며 대부분이 바다로 흘러가고 평시에는 하천의 물이 적어 각종 용수공급이 어려운 실정

◦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로 정의되는 하상계수는 유럽하천의 경우 보통 수십 단 위인 반면 우리 나라는 수백 단위 이상이어서 수자원 관리가 매우 어려움

◦ 지하수의 이용 가능량은 130∼140억㎥ 정도로 추정되나 대수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대규모 지하수 개발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

<표 2-1> 하상계수 비교

하천명(지 점) 하상계수 하 천 명(국 명) 하상계수

한 강(인도교) 390 테임즈강(영 국) 8

낙동강(진 동) 260 세 느 강(프랑스) 34

금 강(공 주) 300 라 인 강(독 일) 16

섬진강(송 정) 390 나 일 강(이집트) 30

영산강(나 주) 320 미조리강(미 국) 75

(6)

2) 水資源 利用 現況

◦ 우리나라 수자원의 총량은 연간 1,267억㎥이나 이 중 24%인 301억㎥만 이용되고 나머지는 증발 및 지하 침투, 그리고 홍수 등으로 인해 바다로 유출되어 이용되지 못함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단위 : 억㎥/년 ꠐ 수자원총량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1,267(1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ꠈ ꠐ 하천유출량 ꠐ ꠐ 증발산량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697(55%) ꠐ ꠐ 570(45%) ꠐ ꠌ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ꠎ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ꠈ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ꠈ ꠐ바다로 유실ꠐ ꠐ하천수 이용ꠐ ꠐ댐용수 이용ꠐ ꠐ지하수 이용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396(31%) ꠐ ꠐ 172(14%) ꠐ ꠐ 103(8%) ꠐ ꠐ 26(2%)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ꠌ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ꠎ ꠌ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ꠎ ꠌ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ꠎ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총 이 용 량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301(24%)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그림 2-1>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 현황

◦ 총용수 이용량 301억㎥을 수원별로 살펴보면 하천수에서 172억㎥(57%), 댐용수 103 억㎥(34%), 지하수 26억㎥(9%)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 용도별로는 생활용수 62억

㎥(21%), 공업용수 26억㎥(8%), 농업용수 149억㎥(50%), 하천유지용수 64억㎥(21%) 를 이용

◦ 한강수계는 5대강 유출량의 39%를 차지하고 있어 비교적 수자원이 풍부하고, 전체 다목적 댐의 용수공급량중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용수수요가 하류부인 수도권 에 집중되어 있어 용수수급상 유리한 입장임

◦ 낙동강 수계는 타 유역에 비해 연평균 강수량은 적은 반면 용수수요지가 유역 전 체에 걸쳐 있어 용수수급에 불리

◦ 금강 수계는 대청 다목적 댐과 대전․청주 등 주요 용수수요지가 인접해 있어 용 수수급이 비교적 용이

◦ 섬진강 수계는 강수량이 5대강 수계중 최고로서 비교적 수자원이 풍부하며, 용수수 요는 적어 대부분의 용수를 인접 수계에서 이용

(7)

◦ 영산강 수계는 5대강 유출량의 5%에 불과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수자원이 부족한 반면 용수수요는 커서 섬진강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고 있음

<표 2-2> 수계별 수자원 특성 비교

구 분 단위 한 강 낙동강 금 강 섬진강 영산강

유 역 면 적 26,018 23,817 9,810 4,897 3,371

연평균 강수량 1,286 1,116 1,269 1,414 1,319

총 강 수 량 백만㎥ 33,500 28,500 12,700 7,100 4,500

평균 유 출 량 백만㎥ 19,385 13,946 6,205 8,225 2,588

2. 水資源 政策의 動向

◦ 수자원정책을 주요 연대별로 요약하면 1960년대 이전에는 수자원정책의 태동기, 1970년대는 수자원종합개발계획수립기, 1980년대는 다목적 댐의 건설과 광역이수방 식의 확충기, 1990년대는 수자원개발 및 관리정책의 전환기라 할 수 있음

◦ 1960년대까지는 관계 답의 확장을 위한 농업용수의 개발과 수력발전 등 주로 이수 위주의 수자원 정책을 추진

◦ 1970년대에는 소양강 댐 등 대규모 다목적 댐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수도권광역 상수도Ⅰ단계 등 광역용수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하였으며, 한강홍수통제소를 설 치하는 등 홍수 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이‧치수 위주의 수자원 개발을 시작

◦ 1980년대는 충주댐 등 대규모 다목적 댐을 지속적으로 건설하였으며, 광역용수공급 체계를 확충하고, 수계별 치수사업을 실시하는 등 이․치수 위주의 수자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 1990년대는 대규모 댐개발 방식에서 중소규모 댐 개발 방식으로 댐개발 방식을 전 환하였으며, 안성천․형산강 등 중소 수계에도 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도입하고, 하천환경관리을 도입하여 하천을 정비하고, 지하수 관리제도를 도입하는 등 종합적 수자원개발 정책을 추진

<표 2-3> 수자원 정책의 추진 동향

구분 1960년대 이전 1970∼1980년대 1990년대

개발

정책 이수 위주의 수자원정책 이‧치수 위주의 수자원 정책 이‧치수‧환경보전등 종합적 수자원 정책

동향

- 농업용 저수지 개발 - 단일 목적 수력발전댐 건설

- 4대강 유역조사 - 하천법 제정(1961) 등

- 대규모 다목적댐 개발 - 하천개수 사업의 지속적 추진

- 광역용수공급체계 구축

- 중․소규모댐 개발 추진 - 환경정책기본법 제정 등(1991)

(8)

3. 水資源 管理의 問題點

1) 用水源의 確保 및 供給

(1) 用水需給 現況

◦ 지속적 용수수요 증가로 인해 건설중인 용담․밀양․횡성․부안․영천댐 도수로를 1999년까지 완공해도 2001년 이후에는 물부족이 발생할 전망

<표 2-4> 전국 용수수급 전망

(단위 : 억㎥/년)

구 분 '94 2001 2011

용수 수요 301 337 367

용수 공급 324 344 347

과 부 족 23 7 △20

예비율(%) 7.7 2.1 △5.5

◦ 특히 댐 및 광역상수도의 급수혜택이 미치지 못하는 도서․해안지역에서는 작은 가뭄에도 심각한 물부족을 겪고 있으며, 공단에서도 공업용수의 확보가 애로사항으 로 대두되고, 소규모 저수지나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는 지역은 식수부족이 발생 하는 등 국민들의 불편 초래

◦ 전체 도서지역중 상습적으로 식수난을 겪고 있는 도서는 총 유인도 488중 237개에 이르며, 이들 지역은 생활용수를 간이상수도, 우물, 운반 급수 등에 의존

◦ 경남 및 전남의 해안공업지역은 국가 기간산업체가 밀집되어 있어 물부족 발생시 막대한 경제적 손실 우려

◦ 우리 나라의 담수화를 이용한 생활용수 확보는 도입초기단계에 있으며, 공업용수는 1989년 보령화학의 담수화 설비를 시작으로 일부공장에서 운영중임

◦ 담수화 기술은 증발법, 역삼투막법, 전기투석법, 냉동법 등이 있으며, 우리 나라는 염수, 지하수, 공장폐수 등을 일정 수준의 수질로 개선하여 사용하는 담수화 플랜 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하루 5천㎥ 이하의 소규모 시설이 대부분

◦ 용수수급계획 수립시 고려되지 않았던 주택단지,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이 건설되 는 등 수자원계획과 도시 및 지역계획 등 타 계획과의 연계성 미흡으로 인해 용수 공급에 어려움

(9)

(2) 用水源의 確保

◦ 용수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급량 확대 측면에서 개발 위주로 추진되고 있으 나 댐 개발 적지의 감소, 지가 및 보상비의 상승, 지역주민들의 반발, 주요 수원의 수질악화 등 수자원 개발 여건 악화

◦ 4대강 유역은 용수원 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편이지만 해안․도서지역과 대규모 댐 이나 광역상수도의 혜택이 미치지 못하는 일부 내륙지역은 작은 가뭄에도 식수부 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공단에서는 공업용수 부족으로 생산에 지장을 초랴하는 등 공업용수의 확보가 기업의 애로 사항으로 대두

◦ 수혜지역과 개발지역과 상이하여 댐개발 대상지역 주민들의 피해의식 팽배로 인한 지역사회의 반발이 고조되고 있으며, 물가 및 보상비 앙등으로 인한 수자원 개발단 가의 급등으로 적기에 충분한 양의 수자원 확보가 어려움

◦ 1973년 건설된 소양강 댐은 ㎥당 용수 단가가 3.3원이었으나 1992년 건설된 임하댐 은 40.3원, 1996년 준공된 횡성댐은 101.3원으로 개발 단가 급등

◦ 수자원은 다른 사회간접자본과는 달리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다목적 댐 등 수자원 관련시설은 계획에서 개발까지는 장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물부족 발 생 시점보다 10년 정도 앞선 사업추진 필요하며, 일단 물부족이 발생하면 국민들이 받는 고통과 국가 경제적 손실은 다른 공공재 보다 훨씬 심각

(3) 用水의 利用

◦ ’96년 현재 수돗물의 톤당 생산가는 398원인 반면 판매가는 307원에 불과하며, 서 울의 경우 톤당 291원으로써 선진 외국의 9∼27%에 불과할 정도로 수돗물 값이 물가안정을 이유로 지나치게 낮게 책정되어 있어 물의 낭비를 유발하고 수질개선 및 용수 공급량 확대를 위한 투자재원 확보가 어려움

<표 2-5> 주요 나라별 수도요금 비교

구 분 한 국 영 국 일 본 프랑스 스위스 호 주 (서 울) (런 던) (동 경) (파 리) (쮜리히) (시드니)

단가 (원/㎥) 291 1,091 2,114 1,313 3,185 1,083

한 국 대 비 1.0 3.8 7.3 4.5 10.9 3.7

자료 : 일본수도협회(’97)

<표 2-6> 수도요금 비교

구 분 수도료 콜라 커피 소주 생수

단 가(원) 238/톤 380/톤 1500/잔 700/병 185,185/톤

수돗물구매가치 1/톤 1.6톤 6.3톤 2.9톤 778톤

(10)

◦ '93년 현재 수돗물 생산량중 요금을 징수한 양(유수율)은 67.6%에 불과하며,요금 미 징수율 32.4%의 주 요인은 노후관으로 인한 누수로써 불필요한 상수도 시설확장 수요를 유발

- 외국의 유수율 : 독일(91%), 싱가폴(89%), 일본 (84.6%)

◦ 국민소득과 물사용량을 외국과 비교해 보면 우리보다 국민소득이 높은 일본․영국 과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고 프랑스보다는 사용량이 많음

<표 2-7> 물사용량 비교(’95)

구 분 한 국 영 국 프랑스 캐나다 일 본 독 일

사용량(l/인/일) 398 337 296 340 393 233

◦ 저렴한 가격으로 인한 물의 과다사용은 결국 하․폐수량을 증가시켜 하천을 오염 시킴으로써 상․하수 처리비용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됨

2) 水質 및 河川環境 保全

◦ 도시화․산업화 및 각종 용수 사용량 증대로 주요 오염원인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축산 폐수의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국 주요 하천의 수질이 날로 악화

◦ 각종 용수사용량의 증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 폐수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하수처리율이 저조하여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오염은 날로 심화

◦ 영세농가의 축산폐수 및 농경지 및 골프장 등에서 사용하는 비료․농약에 의한 비 점오염원은 집중적인 처리가 곤란하여 주요 상수도 취수원의 수질오염을 심화시키 고 있어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한 대책 마련 시급

◦ 낮은 하수처리율, 고도정수처리시설의 미비, 수도관의 노후화 등으로 인한 수돗물 에 대한 불신감이 확산되고 있어 대국민 신뢰감 저하

◦ 하천환경 및 수질보전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미흡하여 하천정비계획에서 하천환 경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친수환경 조성 및 하천환경보전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

◦ 현재의 하천정비계획은 홍수소통 등 치수사업에 중점을 두어 하천을 직강화하거나 콘크리트 등 인공재료로 정비함으로써 생태계 단절 초래

◦ 도로나 주차장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시하천을 복개함으로써 친수환경 여건 악화

◦ 하천에서의 과다한 골재채취 등으로 하상이 불안정해지고, 하천생태계가 파괴됨

(11)

3) 洪水․渴水 管理

(1) 河川改修

◦ 하천개수가 저조하고, 도시지역의 내․배수시설이 미흡하며, 도시지역에서 하천주 변의 토지이용 증대로 인한 하천연변의 침수피해 증가

◦ 연평균 홍수피해액은 1970년대 1,323 억원, 1980년대 3,554 억원, 1995년 6,012 억원 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 이는 하천개수 사업이 수계별로 상․하류가 일관성 있게 추진되지 못하였고, 산림 면적의 감소로 인해 보수력이 저하되었으며, 인구밀집 및 공업지역을 관류하는 중 소하천에서의 홍수예․경보체계가 미흡하고, 홍수예․경보에 대한 주민 홍보활동이 미흡했기 때문

◦ 하천별로 개수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1998년 현재 전국의 하천개수율은 63.7%에 불과하고,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직할하천의 연장은 전체 하천연장의 9.4%에 불과 하는 등 중소하천에 대한 개수 미흡

◦ 하천개수사업이 하천별․구간별로 추진되고, 행정구역별로 하천을 관리하고 있어 하천개수의 효율성 및 수계 상․하류간의 연계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1998년 현재 중소하천인 준용하천의 개수율은 60.1%에 불과하는 등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을 관류하는 중소하천에 대한 정비가 미흡하여 중소하천에서 반복적 수해 발생

<표 2-8> 하천개수 현황(’98)

구 분 하천수 하천연장 요개수연장 하천개수

(㎞) (㎞) 개수연장(㎞) 개수율(%)

직할하천 62 2,858 2,851 2,713 95.5

지방하천 55 1,320 1,264 1,044 82.6

준용하천 3,847 26,238 31,998 19,246 60.1

3,964 30,416 36,113 23,012 63.7

(2) 綜合的 댐 管理

◦ 남강댐, 소양강댐, 충주댐 등 다목적 댐을 건설하여 홍수를 조절함으로써 4대강 하 류의 평야지대 및 인구밀집지역의 홍수 피해를 경감시키고, 하천의 유황을 개선하 여 하천환경을 보존하고 있으나 다목적 댐이 없는 중소하천 연안은 홍수피해 증가

◦ 홍수 예․경보 시스템은 1973년 한강 본류를 시작으로 설치되기 시작하여 1997년 현재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안성천, 임진강 등7대강 유역 17개소에 홍수 예․경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

(12)

◦ 갈수기에 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하고,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수계내 댐들 의 종합적 연계운영이 필요

(3) 異常氣候에 對備한 對策 未洽

◦ ’94∼’95년 가뭄 기간중 포항 등 일부 지역에서는 100년 빈도의 가뭄이 발생하였으 며, ’96년에는 임진강 수계에 최대 500년 빈도의 집중호우가 내리는 등 이상기후로 인한 극심한 가뭄이나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 미흡

◦ 우리 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은 1970년대에는 1,159㎜였으나 1990년대에는 1,274㎜로 증가하는 등 강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가뭄은 더욱 심해지는 등 강수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 짐

◦ 다목적 댐의 홍수기 수문조작은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수문정보를 필요로 하나 현 재의 기상예측은 지역적․시간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포괄적으로 실시되기 때문 에 댐 조작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미흡

4. 水資源 管理 및 調査硏究

◦ 지속적 수자원 개발로 수자원 관련시설의 수가 증가되어 시설관리의 중요성 증대 하고 있어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운영․관리정책의 필요성 증대

◦ 1997년 현재 광역상수도는 기완공 15개소, 건설중 15개소, 계획 22개소, 공업용수도 는 기완공 12개소, 건설중 2개소, 계획 14개소, 다목적 댐은 기완공 10개소, 건설중 7개소임

◦ 수자원 관련 시설물을 혐오시설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대국민 인식전환 및 시설물 건설에 따른 제도적 지원방안 필요

◦ 지방자치제가 정착됨에 따라 용수의 배분량, 우선순위, 용수가격 등 수자원 관련 분쟁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같은 지역간 물분쟁을 종합적으로 조정할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 미흡

◦ 수문조사는 수자원의 가장 기초적인 조사로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지속적으로 관측하여야 하나 수문관측을 위한 전문인력 부족과 수문관측기구의 다원화로 수문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미흡하여 수문조사 등 기초 자료의 조사 및 연구 활성화 필 요

(13)

5. 財源確保의 어려움

◦ 신규 용수원 확보를 위한 댐 및 광역상수도 건설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 어서 재원 확보에 어려움

◦ 현재 수자원개발시설에 대한 투자는 주요 산업단지와 대도시 주변 등 용수수요가 많은 지역부터 다목적 댐, 광역상수도, 공업용수도 등을 건설하고 있으나 최근 수 자원 분야의 투자현황은 SOC중의 약 12%에 불과하여 다른 SOC분야에 비해 상대 적으로 낮음

<표 2-9> 수자원 분야 투자 추이

(단위 : 억원)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SOC 부문 총계 24,955 33,205 34,147 48,992 58,875 72,489 88,620 - 도 로 12,967 18,502 17,042 21,049 28,396 32,444 40,833 - 철 도 1,899 3,966 4,674 12,363 7,973 10,598 13,584 - 지 하 철 3,193 2,100 2,500 3,810 6,500 8,292 8,399 - 공 항 416 507 1,089 1,959 3,200 3,628 4,452 - 항 만 2,203 2,883 3,351 3,560 4,351 4,671 6,147 - 다 목 적 댐 884 1,582 944 1,523 2,044 3,209 3,848 - 치 수 1,336 1,444 1,730 1,749 1,876 1,973 2,593 - 상 수 도 1250 1588 1975 2,197 3,351 6,219 7,138 - 공 업 단 지 807 633 842 782 1,184 1,455 1,626 - 수 자 원 3,093 4,040 4,326 4,957 6,504 8,848 10,947 ․ 다목적 댐 884 1,582 944 1,523 2,044 3,209 3,848 ․ 치 수 1,336 1,444 1,730 1,749 1,876 1,973 2,593 ․ 광역상수도 739 773 1,194 1,197 1,903 3,016 3,753

․ 공업용수도 134 241 458 488 681 650 753

수자원/SOC(%) 12.4 12.2 12.7 10.1 11.0 12.2 12.4

※ 수자원 = 다목적 댐 + 치수 + 광역상수도 + 공업용수도

(14)

第 3 章

與件 變化 展望 및 政策方向

1. 與件變化 展望 1) 自然 環境의 變化

◦ 지구온난화, 엘리뇨 현상 등 세계적인 이상 기후의 빈번한 발생과 더불어 토지이용 도 제고와 도시화의 진전으로 콘크리트 등 투수성이 작은 재료로 포장되어 첨두 홍수가 증가하는 등 유출 특성 변화

◦ 이상기후는 가뭄과 이상고온 등을 유발시켜 식량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으며, 해 수면의 상승으로 인한 연안의 피해 유발

◦ ’88년 및 ’94∼’95년의 가뭄은 이상고온과 겹쳐 국민들의 생활에 큰 고통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야기

2) 社會的 與件 變化

◦ ’92년 리우 지구환경협약에 의해 하천 및 저수지의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 이 높아 지고, 수질악화 문제와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그에 따른 여가 생활에 대한 국민 적 욕구 증대로 하천과 저수지에 대한 친수기능의 중요성 대두

◦ 지자제의 확대로 인한 지역이기주의로 님비(NIMBY)현상을 가속화시켜 자기지역에 댐 등 수자원개발 시설의 건설을 반대하는 등 수자원의 배분과 처리비용 등을 둘 러싸고 지역간 수자원 관련 분쟁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조정하고 해결할 제도적 장치 미흡

(15)

3) 水資源 開發與件

◦ 우리 나라의 수자원개발은 ’70∼’80년대에 이르기까지 대규모 다목적 댐을 건설하 고 광역용수공급체계를 구축하는 등 이․치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생 활수준 향상과 산업화에 따라 용수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수 자원 확보 및 공급시설의 확충이 불가피

◦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2011년까지 댐 건설을 통해 51억㎥의 신규 수자원을 확 보하고,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를 지속적으로 건설하여 용수수요에 대처한다는 계획을 수립․추진중에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 되어 사업추진에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를 전망

◦ 여건변화에 따라 용수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총용수수요는 1994년 현재 301 억㎥에서 2001년에는 337억㎥, 2011년에는 367억㎥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

◦ 용도별로는 생활용수가 62억㎥에서 2011년에는 87억㎥으로, 공업용수가 26억㎥에서 45억㎥으로, 농업용수가 149억㎥에서 151억㎥으로, 하천유지용수가 65억㎥에서 83 억㎥으로 각각 증가되어 총량적으로는 현재보다 66억㎥이 늘어난 367억㎥에 이를 전망

◦ 따라서 현재의 용수공급능력으로는 2000년대 초반에 전국적인 물부족이 발생될 것 으로 우려되므로 늘어나는 용수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2011년까지 댐 및 광역상수도를 지속적으로 건설하여 용수수요에 대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건설중인 6개 댐을 2001년까지 완공하고, 2011년까지 신규 댐을 건설하여 51 억㎥의 신규 수자원을 확보하여야 함

2. 水資源 政策方向

1) 政策目標

◦ 최근의 수자원 여건 변화와 수자원 정책의 추진 경위 등을 종합할 때 개발 위주에 서 신규 수자원의 확보와 용수수요 관리 등 정책적 추진전략을 강화

◦ 21세기 수자원 정책의 목표

․ 맑은 물의 안정적 확보 및 공급

․ 수자원의 보전 및 친수성 제고

(16)

․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다목적 이용

․ 홍수피해 경감을 위한 치수대책의 지속적 추진

․ 수자원 조사연구의 활성화

․ 통일에 대비한 전국토의 수자원 관리방안 강구

2) 政策方向

(1) 用水 需要 管理

◦ 개발위주의 정책에서 관리 및 보전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

◦ 기존 수자원 시설의 이용 극대화 방안 마련

◦ 광역상수도간의 연계체계 구축

◦ 수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국민적 인식 제고

(2) 用水源의 確保 및 供給

◦ 안정적 용수원 확보 및 공급을 위한 댐 및 광역상수도의 지속적 건설

◦ 해수의 담수화, 지하수의 개발 및 보전 등 대체 수원의 개발 추진

◦ 연안 및 도서지역의 국부적 물부족 대처 방안 마련

(3) 效率的 治水事業의 推進

◦ 생태계 보전 등 환경을 고려한 하천개수사업의 추진

◦ 수계별 하천 개수방식으로 전환

◦ 지속적 하천개수를 통한 개수율 제고

◦ 하천주변 저지대의 내수 대책 마련

(4) 水文調査 및 洪․渴水 對策

◦ 이상기후에 대비한 수자원 관리방안 강구

◦ 하천환경을 고려한 하천정비방안 추진

◦ 체계적․합리적 홍․갈수 관리 방안 마련

◦ 수문조사 및 기초 조사 사업의 지속적 추진

(17)

(5) 水資源의 保全 方案

◦ 수질오염의 방지

◦ 종합적 수자원 보전방안 강구

(6) 統一에 對備한 水資源 管理 方案

◦ 전국토의 수자원 관리체계 구상

◦ 임진강 등 접경지역의 공동 수자원 관리방안 마련

(18)

第 4 章 向後 推進 課題

1. 中․短期 政策 課題

1) 用水 需要 管理

(1) 旣存 施設의 利用 極大化 方案 講究

◦ 현재까지는 용수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발위주의 수자원 정책을 추진하여 왔으 나 지속적인 건설로 인해 관리하여야 할 시설물의 수가 증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측면에서 기존 시설물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관리위주의 정 책으로 전환

<표 4-1> 수자원 정책의 동향 전망

구분 2000년대 2010∼2020년대

개발 이․치수 및 환경보전 신규 용수원 확보 및 수자원의

목표 다목적 이용

동향 - 유역별 수자원 종합관리 - 해수의 담수화

- 중소규모 댐 개발 - 인공강우 개발

- 환경 보전적 수자원 이용 - 유역의 단일화

<표 4-2> 수자원 정책의 개념 변화 전망

구 분 기존 개념 향후 방향

수자원의 가치 - 자유재․무한성 - 경제재․유한성

수 량 확 보 - 신규댐 개발 - 기존댐 재개발 및 수원의 다원화 용 수 공 급 - 용수공급량 확대 - 용수 수요관리 정책 병행

수자원의 역할 - 도시화․산업화 지원 - 도시화․산업화 조절

(19)

◦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들은 대부분 1950년대 이전에 건설된 것으로서 장기간에 걸 친 저수지내 퇴적으로 인해 저수용량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준설하여 저수용량을 증대시키고, 기존 댐의 더돋기 등 기존 시설물의 이용 극대화 방안을 강구

◦ 팔당댐과 같이 발전효과 보다는 용수공급 측면애서 중요성을 갖는 발전용 댐들은 다목적 댐으로의 전환을 검토

(2) 물 節約 政策 推進

◦ 물 절약은 환경처리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간 물 배분에 있어서도 유연성을 확보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절약 방안을 적극 추진

◦ 연간 생활용수 사용량 62억㎥의 10%만 줄여도 6억㎥의 용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합천댐의 공급량과 같음

◦ 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기본적인 사용량은 저렴하게, 낭비적인 요소는 비싸게 공 급하는 등 절수 유도형 요금체계 도입을 검토하고, 댐 원수대와 상수도 요금을 단 계적으로 현실화하고, 절수형 수도꼭지, 2단 양변기 등 절수형 기기의 보급을 확대 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사용을 억제

◦ 수자원이 유한․경제재라는 국민적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등 교육과 홍보를 통해 수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국민적 인식 제고

◦ 이상가뭄, 수질사고 또는 지역적인 용수수급 불균형에 대비하고, 용수이용의 효율 성을 제고하기 위해 광역상수도간의 연계를 통해 여유가 있는 지역에서 물이 부족 한 지역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계간 용수이동 방안을 검토하는 등 광역 용수공급 체계간의 상호 연결망을 구축

◦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중수도 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신도시나 단지 등 지 역단위로 중수도 시설의 설치를 확대하여 용수 사용량을 경감시켜 신규 시설투자 비용을 깨끗한 수돗물 생산에 투자하고, 하수처리비용을 절감

◦ 중수도 시설은 물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호텔, 백화점, 공장 등에 우선적으로 설치 하며, 건축심의나 개발사업 협의시 중수도 설치를 장려하고, 중수도 설치에 대한 금융․세제상의 지원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중수도 제도 개발

◦ 노후된 상수관로를 연차적으로 개량하여 유수율을 제고시키고, 불필요한 수요 유발 을 억제시키며, 고도정수처리 시설의 도입을 위한 투자지원을 확대

(20)

2) 用水源의 確保 및 供給

(1) 用水源의 確保

◦ 하천수만으로는 급증하는 용수수요에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2001년까지 건설중인 남강댐 보강, 횡성댐, 밀양댐, 용담댐 등과 계획중인 탐진댐, 영월댐 등을 건설하는 등 다목적 댐의 건설과 병행하여 중소유역에 중규모 댐을 건설

◦ 용수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댐 후보지 조사를 토대로 수계별로 신규 댐을 지속적으 로 건설하여 용수공급량을 증대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주요 수계를 연결하여 수자원 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지역별 물부족에 대처

◦ 댐건설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수몰자 개인의 생활지원과 아울러 수몰지역 주민들의 생활향상을 위한 각종 지원방안을 강구하고,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며 댐 주변지역의 정비사업을 추진하여 댐 개발에 따른 피해의식을 최소화시키는 등 댐 건설로 인한 수몰민과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

◦ 또한 댐상류 지역의 오․폐수를 댐 하류로 유도하여 처리하는 등 가급적 상수원보 호구역 지정을 최소화하여 상류지역 주민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킴

(2) 用水 供給施設의 擴充

◦ 현재와 같이 가용수량의 지역간․유역간 불균형이 상존하는 상황에서는 광역상수 도나 공업용수도와 같은 광역용수공급체계가 필요하며, 특히 하천의 수질오염이 심 각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광역용수공급 시설의 확대는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한 최선의 대안임

◦ 국부적인 물부족을 해소하고 가뭄에도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광역상수 도 시설의 지속적 확충하여 급수혜택을 제고

◦ 용수공급은 광역상수도에 의한 공급을 우선으로 하되 기존의 광역상수도 수혜 지 역중 용수부족지역이나 도시계획, 공공택지개발 등 계획사업에 우선 공급하고, 광 역상수도 공급이 곤란한 지역은 지자체별로 용수원을 확보․공급하는 지방상수도 를 확충하며, 지역여건을 고려한 지하수 개발을 통해 대체용수로 활용하며, 지방상 수도의 개발이 어려운 해안 지역 등에는 해수의 담수화 설비를 보급하거나 간이상 수도 시설을 개발․공급

(21)

3) 治水를 考慮한 河川의 綜合的 管理 對策

◦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다목적 댐의 건설과 아울러 하천개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현재와 같은 하천별․일률적․지구별 분산개수방식에서 유역 전체에서 하천의 중요성과 특성을 판단하여 수계별로 개수하는 방식으로 전환

◦ 제방, 수문 등 기존의 치수관련 시설물들을 정기적으로 점검․보수함으로써 구조물 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인구와 산업이 밀집된 하천주변의 저지대에 대한 내수침수 대책을 마련

◦ 도시지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유수지 및 배수시설을 확충하며, 하수관망 을 신․증설하는 등 도시지역의 수방시설을 확충하여 수방능력을 제고시키고, 홍수 예․경보시설을 중규모 하천에까지 확대

◦ 저수로를 정비하여 관광선 및 수상교통을 개발하고, 물동량 이동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주운사업을 가능성을 검토하는 등 하천의 다목적 활용방안을 강구

4) 水文調査 및 洪․渴水 對策

◦ 이상 갈수시나 수질오염사고 발생시는 물론 평상시의 수계별 물관리의 효율적 수 행을 위해 상류 댐 군의 용수공급 및 하류 지역의 용수수요 분석에 의한 유역별 갈수관리대책 마련

◦ 가뭄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수계별 가뭄예보를 실시하는 등 유역단위의 종합 적 수자원 관리기법을 개발

◦ 다목적 댐을 건설하여 홍수조절능력을 제고시키고, 최적의 홍수 통제를 위한 수문 방류 시스템을 구축하며, 수공구조물의 정기적인 진단을 통해 수방 능력을 제고

◦ 홍수를 하천내에서만 처리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빗물 저류조, 지하공간확대 등을 이용하여 유역전체에서 홍수량을 저감시키는 방안 강구

◦ 현재의 홍수통제소를 확대 개편하여 홍수관리와 갈수관리를 동시에 수행토록 정비 하고 댐 군의 연계운영방안 등 효율적 댐관리체계를 구축

◦ 침수구역지도를 작성하고, 홍수예보 대상지역을 확대하는 등 홍수예보와 GIS를 연 결하여 홍수범람예상지역과 시간을 사전에 예보

◦ 우량관측소를 증설하고, 무인자동관측소로 시설을 교체하며, 자료의 정확도를 제고 시키기 위해 측정장비를 현대화하는 등 과학적 수문조사 체계 구축

◦ 레이다 우량계를 설치하는 등 관측기술을 개발하고, 체계적이고 정확한 수문관측을 위한 수문전담기구 및 전문인력을 확보

(22)

◦ 민․관 합동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등 수자원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며, 수자 원 관리기술을 개발

5) 水資源의 保全 方案

◦ 댐건설과 병행하여 어업, 경관, 하천관리시설의 보호, 동․식물의 보전 등 하천의 정상적 기능과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천유지용수를 확보

◦ 하수처리장을 읍급 도시까지 확충하여 하수처리율을 제고시키고, 산재되어 있는 소 규모 축산농가를 적정 규모화하여 축산폐수의 처리 효율을 제고

◦ 경관하천을 지정․관리하고, 하천 주변을 휴식공원화하며, 댐 및 저수지 주변의 환 경을 정비하여 건전한 여가선용 공간을 조성하는 등 수변환경을 정비

◦ 산림을 육성하고, 수원지역을 계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유역의 보수력을 확보하고,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보전을 위한 법적․제도적 관리방안을 강구하는 등 유역별 종합적 수질보전 대책을 마련

◦ 오염원의 입지관리, 오염물 배출기준 및 감시기능 강화, 환경기초시설의 보급을 확 대하는 등 오염물의 유입을 줄이고, 슬러지 준설 및 폭기시설의 설치 등을 통해 하 천 및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

◦ 하천별로 적정 수질기준을 설정하여 수질목표를 달성한 지역에 수질개선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 강구

◦ 수익자부담원칙에 따라 상수원 보호에 대한 비용분담 등을 협의하기 위한 유역별 관련 지자체간의 협의체 구성

6) 財源 確保 方案

◦ 현재 건설중인 사업을 포함하여 앞으로 2011년까지 다목적 댐 및 광역용수공급시 설 확충에 소요될 막대한 재원을 조달하기에는 정부재정의 한계가 있으므로 민자 유치 등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

◦ 지방상수도 공급 사업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여 사업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 선진국에서는 수질환경기준 강화에 부응하여 용수공급시설의 운영관리효율을 높이 기 위하여 민간기업에 의한 시설운영이나 건설의 민간 자본 유치를 적극 추진중

◦ 프랑스는 용수공급 시설의 65%를 민영화하였으며, 영국은 1989년 부터 용수공급 및 처리시설의 건설․운영관리를 완전 민영화하였고, 미국은 용수공급시설의 29%

정도를 민영화하고 하수처리시설에 대해서도 민간기업에 의한 운영관리를 추진중

(23)

2. 長期 政策 課題

1) 代替 水源의 開發

◦ 현재까지의 용수공급은 지표수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역특성에 적합한 지하 수 개발, 해수의 담수화 등 대체 용수원의 개발이 필요

◦ 대체수원의 개발은 댐 개발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갈수나 이상 가뭄과 같은 극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원 확보방안이라는 측면에서 댐개발과 병행하여 점진적인 연구․개발 추진

◦ 지하수 개발에 의한 용수원 확보는 다른 대체 용수원 개발보다 효과가 훨씬 크며, 갈수시 지표수의 대체 수자원으로는 최적의 대안임

◦ 지하수는 한번 오염되면 원상 회복시키기 어려우므로 무분별한 개발과 이용을 규 제하고 지하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보전을 원칙으로 하여 가뭄시 나 지표수 개발이 곤란한 지역의 비상용수 또는 대체용수로 개발

◦ 이를 위해 지하수의 부존 현황, 개발 가능량, 이용실태, 오염상태 등 지하수와 관련 된 전반적인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지하수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하수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이용․관리

◦ 도서․해안지역에 대한 안정적 용수공급으로 상습적인 가뭄피해에 대처하기 위해 담수화 사업과 아울러 빗물을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하며, 이를 위한 기술개발과 투 자지원 확대

◦ 담수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용수수급 현황 및 전망, 지형, 지질, 수질, 수온 등 기초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사업주체, 재원분담, 요금 산정 등에 관한 법적 근거와 조사․계획․시공․유지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

◦ 또한 시범사업 병행과 아울러 해수 담수화 사업의 타당성 조사 및 중장기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추진

2) 統一에 對備한 水資源 管理 方案

◦ 임진강 유역을 개발하여 수도권 및 연백평야의 용수공급과 수변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 등 접경지역의 공동수자원 개발방안을 통해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공 동 수자원 개발 및 관리 방안 검토

◦ 향후 통일 후 전국토의 장기적인 수자원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북한의 기초적

(24)

인 수문자료를 수집․분석

◦ 댐 개발을 통한 용수원 확보 및 광역 용수공급체계 구축, 치수방재 등을 위한 사전 연구 검토

(25)

第 5 章 結 論

◦ 물은 인간의 생명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산업활동을 지원하는 소중한 자원이지만 오늘날 우리나라는 세계기구에서도 물부족 국가로 분류할 정도로 심각한 물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 수량적인 측면에서는 도시화와 인구증가에 따라 용수수요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자원 개발여건은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수질적인 측면에서도 각 종 하․폐수량 의 증가와 처리시설의 미흡으로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더구나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장기적인 가뭄과 집중호우에도 대비해야 하는 어려 운 상황임

◦ 수자원에 대한 이러한 위기는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어서 향후 수자원 정책의 방향 설정은 더욱 중요

◦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댐 개발과 아울러 지속적인 공급시설의 확충을 통해 공급량을 제고시켜야 하며, 기존의 수자원 관련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이용 하기 위한 방안도 병행하여 추진되어야 함

◦ 또한 국부적인 물부족과 이상가뭄 등에 대비하기 위해 자하수의 체계적 개발과 관 리, 해수의 담수화 등 대체수원 확보하고, 중수도 제도의 활성화, 절수형 기기의 보 급 등 물 절약을 위한 노력도 필요

◦ 21세기의 수자원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수자원의 개발과 보전에 대한 과감한 투자 정책이 필요하며, 수자원의 계획, 개발, 이용, 관리, 보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적 정비도 필요

◦ 무엇보다 물은 무한한 자유재라는 기존의 개념에서 유한한 경제재라는 개념으로 인식이 전환되어야 할 때임

(26)

參 考 文 獻

건설교통부, 수자원개발 및 관리 종합대책(안), 1996. 4 건설교통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1996. 12

국무총리실, 물관리업무자료, 국무총리실 수질개선 기획단, 1998. 2.

국토개발연구원, 수자원 및 환경관리 정책의 평가와 방향, 1990. 12 조윤승, 세계의 물환경, 신광출판사, 1998.7.15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정책의 새로운 모색, 1998. 12.

한국수자원학회, 우리나라의 발전적 물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1998. 4. 20 한국수자원공사, 미래 수자원전망에 관한 연구, 1997. 12.

참조

관련 문서

• 유량 계산 시 유속 측정 지점의 누가거리를 이용하여 단면의 수심을 계산하 므로 시점은 항상 고정되어야함.  싞뢰도

다음과 같 은 엔티티를 고려해야 핚다고 가정핛 때, 발생핛 수 있는 관계를 찾아보고, 이를

 개체관계 모델을 그림으로 나타낸 개체관계도(ERD)는 엔티티, 속성,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  ERD를

Copenhagen Climate Change Summit..

◈ 동 보고서는 OECD 회원국 중 상대적으로 높은 물스트레스와 인 구밀도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이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 과정 에서 야기된 물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아울러 기술 자체의 라이프사이클 및 기술 의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 측에 있어서 기술개발코스트는 오히려 상승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과감한

[r]

Villa Malaparte, (1938),It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