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4 장 중세(고려, 조선)시대의 태권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4 장 중세(고려, 조선)시대의 태권도"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4 장 중세(고려, 조선)시대의 태권도

(2)

Kwak Jeong Hyeon

698 년 발 해 의 건 국 이 후 신 라 와 공 존 하 다 가 935년에 신라가, 926년에 발해가 각각 멸망하면서 끝난 시대를 뜻하는 역사 용어이다.

신라는 고구려 및 백제와의 전쟁이 끝나자 내실을 기 하 기 위 해 국 가 제 도 를 개 혁 하 였 고 , 강 화 된 왕권으로 귀족들을 억눌렀다. 또한 인구 증가와 생 산 력 향 상 에 따 라 조 세 가 늘 어 나 자 수 도 를 정비하고 대대적인 건설공사를 벌였다. 신라가 한창 삼국 통일의 전리품을 챙기고 내정을 다지는 사이 압록강 북쪽에서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났다.

대조영이 고구려의 유민들을 모아 발해를 건국하고 고구려의 후신임을 자처하고 나선 것이다. 이때부터 한 국 역 사 에 북 쪽 의 발 해 와 남 쪽 의 신 라 라 는 남북국시대가 시작된다.

1. 후삼국 시대

(3)

Kwak Jeong Hyeon

후백제는 상주 농민 출신인 견훤(甄萱)이 신라 서남해 방면의 비장(裨將)으로 있으면서 공을 세우고 인망을 얻게 되자 진성여왕 3년에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의 무리들을 이 끌 고 무 진 주 ( 武 珍 州 : 光 州 ) 를 점 령 , 이 어 서 완산주(完山州:全州)를 장악하고 백제를 부흥시킨다는 명분을 내세워 완산주를 수도로 삼고 900년 후백제를 세웠다.

후 고 구 려 는 신라의 왕자 (憲安王의 서자라고 함 )로서 세달사(世達寺)의 중이 되었던 궁예(弓裔)가 세운 나라로, 수도를 송악에 정하고 국호를 후고구려라 하였다. 궁예는 906년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고치고 연호를 무태(武泰), 서 울 을 철 원 으 로 옮 겼 으 며 , 그 후 914 년 국 호 를 태봉(泰封)이라 고쳤다. 국가의 체제가 정비되고 국력이 강 해 지 자 궁 예는 점 차 횡 포를 거 듭 하게 되 어 918년 신숭겸(申崇謙) 등이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 국호를 고려라 하여 서울을 송악(개성)에 정하였다.

1. 후삼국 시대

(4)

Kwak Jeong Hyeon

1. 고려시대의 모습

2. 고려시대의 태권도

(5)

Kwak Jeong Hyeon

• 고 려 는 통 일 신 라 말 기 의 혼 란 으 로 인 한 후 삼 국 으 로 의 분 열 속 에 서 혼 란 을 수 습 하 고 통일신라를 이어 재통일국가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고려 초기에는 문물이나 제도가 정비되지 않고 태봉이나 신라의 직제를 혼용하는 상태에 있었다.

• 그 러 나 웅 대 한 포 부 에 서 출 발 한 고 려 이 지 만 건국초부터 북방에는 여진, 금, 그리고 거란, 은 나 라 와 불 편 한 관 계 에 있 었 고 , 남 방 의 국내에서도 건국초인지라 구세력과 신세력간의 끊임없는 암투로 혼란이 계속되어 태조의 포부를 펼쳐나가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1. 고려시대의 모습

2. 고려시대의 태권도

(6)

Kwak Jeong Hyeon

• 고려 태조 왕건은 무인출신이었지만 고려 왕조는 문치주의를 표방하여 무신은 정치적으로 문신보다 하위에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열세에 놓이게 되어 결국 무신은 천시받는 존재였고 문신에게 사역되는 존재로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점점 문약에 빠지게 되었던 것이다.

• 고려의 무예는 무신이 천대받는 것과 관련되어 무예 역시 천시 받았는데 관리 등용시의 문인 과거시험에도 무과가 없었고 따라서 서민들이 관리가 되기 위해서는 군인으로 들어가 발탁, 기용되어 무관이 되는 방법밖에 없 었으므로 신 분이 낮은 서인 계급은 거친 무반 직에 들어갔 으므로 문무양반은 이와같이 신분, 문벌상의 차이가 생겨났으며, 무신의 원망이 싹텄던 것이다.

1. 고려시대의 모습

2. 고려시대의 태권도

(7)

Kwak Jeong Hyeon

• 귀족들의 억무정책으로 인하여 무신들의 불만이 쌓이고 마침내 의종 24년(1170년), 정중부, 이의민, 이고와 함께 무신의 난을 일으키게 되었다.

• 그러나 무신정권은 법제적인 권한을 초월하여 대단한 실권을 가지게 됨으로써 왕의 존재를 무시하고 국정을 전담하면서 왕권을 억압, 침해하는 여러 가지 횡포를 함부로 자행하였다.

• 그러나 이 무신정권이 한국역사에 큰 의의를 남긴 것은 몽고에 대한 끊임없는 항쟁을 벌여 삼별초에 민족적 기개를 성립시켜 놓았다는 사실에 집약시킬 수 있다. 또한 무신정권 때 30여년 간에 걸쳐 진행되었던 장구한 대몽항쟁을 들 수 있다.

1. 고려시대의 모습

2. 고려시대의 태권도

(8)

Kwak Jeong Hyeon

• 삼국시대에 기본동작, 손기술, 발 기술로 분화, 발전된 태권은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도 계승, 발전되 었다. 특히 고려는 왕건이 삼국을 통일한 이후 475년간 존속하면서 우리 역사상 상고시대와 근세를 이 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동시 에 삼국의 분화를 계승, 발전시키 는 중추역할을 하였다.

2. 고려시대의 태권도

(9)

Kwak Jeong Hyeon

• 이 시대는 삼국을 거친 택견이 기초 단계를 넘어서 무예적 가치를 인정 받아 벼슬과 직결될 만큼 무인의 필수 무술이 되었으며 기술과 위력도 인명을 살상할 정도로 무기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 고려사에 보면 태권도가 수박희로 기록되어 있 다. 고려사 권 128, 열전 41, 이의민에 보면 "이의민은 수박희를 매우 잘하므로 의종 임금은 이를 사 랑 하 여 대 정 에 서 별 장 으 로 승 진 시 켰 다 " 는 구 절 이 있 다 . 또 "임금이 상춘정에 납시어 수박희를 보셨다. " "임금이 화비궁에서 수박희를 보셨다. “말바위에 납시어 수박희를 보셨다.”는 고려사 권 36 충혜왕의 기록도 있다.

• 고려 때에 있어 수박희(태권도)는 무예로서 뿐만 아니라 스포츠로서 제 삼자가 관람할 수 있을 정도로 체계가 서 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고려시대의 태권도

(10)

Kwak Jeong Hyeon

2014-11-05

(11)

Kwak Jeong Hyeon

2014-11-05

(12)

Kwak Jeong Hyeon

• 이렇게 발전해 온 수박은 고려 말에 이르러 화약이 발명되고 새로운 무기가 등장함에 따라 국가의 제도적 뒷받침이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무재 또는 무예적인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민속경기로서의 기틀을 마련하여 갔다.

• 신채호 선생은 송도수박이 조선까지 내려오고 있다 하였고 <고려사>에는 수박으로 돈이나 물건을 내기한 자는 각각 곤장이 일백이라 하였다.

송도수박이 조선까지 내려왔다하는 기록은 고려의 서울인 송도에서 민속으로 수박경기가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백성들이 수박으로 돈이나 물건을 내기하고 있어 이를 법적으로 규제하였다 함으로 많은 백성들이 이를 민속으로 행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2. 고려시대의 태권도

(13)

Kwak Jeong Hyeon

手搏(수박)

Soo Bak ; Taekkyon

고려사(Koryo Sa)

History book about Koryo

2. 고려시대의 태권도

(14)

Kwak Jeong Hyeon

고 려 의 뒤 를 이 어 함 경 도 출 신 의 무 장 ( 武 將 ) 인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와 협력하여 세운 왕조로서 1392년 즉위한 태조(太祖) 이성계에서 1910년 마지막 임금인 순종(純宗)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지속되었다.

초기에는 무예를 중시하여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주력하였으나 화약 발명에 따른 새로운 무기의 사용도가 높아지고 군대조직이 정비되자 태권과 같은 맨손무술이 점차 쇠 퇴 하 기 시 작 하 였 다 . 유 교 의 이 념 을 국 시 로 삼 고 , 배 불숭 유의 정책 을 시 행함 에 따 라 연 등회, 팔 관회 등 국가적인 행사가 폐지된 후 무예의 진흥은 많은 타격을 받았다.

1. 조선시대의 모습

3. 조선시대의 태권도

(15)

Kwak Jeong Hyeon

그러나 당시 수박을 수련했다는 사실을 실록에서 보면 ‘담양의 향리 단노 등이 국가에서 시험을 보아 군사를 뽑는다는 소문을 듣고 여럿이 모여 수박희를 벌였다’.

동국여지승람에 ‘여산군 북쪽 12리 충청도 은진현 경계에 있는 작지 마을에서는 매년 7월 15일(백중)이면 근방 충청도와 전라도 사람들이 모여서 수박희를 행함으로써 승부를 겨룬다’ ‘병조 의흥부에서 수박희로서 인재를 시험하여 방패군에 보하되 3인을 이긴 자를 채용하였다.’

‘임금이 잔치를 베풀고 갑사 및 방패군으로 하여금 수박희를 행하도록 하고 구경했다’, ‘시위군인에게 수박희를 시키고 상을 주되 차등이 있었다’

특히 임진왜란을 겪은 이후 창, 활 검 등의 고대 무기 외에 화포, 대통, 창술 , 태견 등을 일정한 방침 아래 체계적으로 훈련하기 시작했다.

3. 조선시대의 태권도

(16)

Kwak Jeong Hyeon

2014-11-05

(17)

Kwak Jeong Hyeon

유숙의 대쾌도

3. 조선시대의 태권도

(18)

Kwak Jeong Hyeon

정조(正祖) 임금이 우리나라 고유의 무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1790 년 정 조 는 이 덕 무 ( 李 德 懋 ), 박제가(朴濟家)에게 우리 나라의 무술 전반에 걸쳐 다룬 교재를 편찬토록 하였는데, 그 속에 맨손격투기를 삽입토록 지시하였다.그래서 출 간 된 것 이 " 무 예 도 보 통 지 ( 武 藝 圖 譜 通 志)"이며, 이 책은 현재 한국 무예의 중요한 초기 고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목판 인쇄본으로 된 40 여 페 이 지 분 량 의 이 책 의 내 용 과 그림들은 당시 한국무예의 실상을 비교적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3. 조선시대의 태권도

(19)

Kwak Jeong Hyeon

3. 조선시대의 태권도

(20)

Kwak Jeong Hyeon

3. 조선시대의 태권도

(21)

Kwak Jeong Hyeon

탁견희 조에 ‘옛 풍속에 각술이라는 것이 있는데 서로 대하고 서서 서로 차 거꾸러 뜨린다. 이것을 탁견이라고 하며 그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세 가지가 있는데 최하는 다리를 차고 잘하는 자는 어깨를 차며 비각술이 있는 자는 상투를 차서 떨어 뜨린다.’라고 하였다.

수박타조에는 ‘옛 풍속에 수술이 있는데 예전 칼쓰는 기술로부터 기술로부터 온 것이다. 마주 앉아서 서로 치는 손기술이 있는데 두 손이 왔다 갔다 할 때에 만일 한 손이라도 법에 어긋나면 곧 타도를 당한다. 이것을 수벽타라고 한다’.

해동죽지(海東竹枝)

3. 조선시대의 태권도

참조

관련 문서

특정국가의 특정물품의 수입증가로 국내산업이 실질적 피해 또는 무역전 환이 발생되거나 받을 우려가 있음이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고 국내산업을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 관리시스템: 분석이나 의사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정보계 시스템 또는 분석계 시스템으 로 불리기도 함(ex.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이주연은 “춘풍의 처도 조선 후기 노동의 화폐 가치가 증대되는 시대의 흐름에 승하여 지략적 처세술을 유 감없이 발휘하며 능동적 대응을 하고 있다”(ii)고 쓰고 있다.

점성이 있는 유체는 흐르면서 역학적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하나의 원자 궤도함수는 하나의 전자를 발견할 확률이 높은 공간 영역이다. 원자 궤도함수는

중세 시대에

퍼옥시좀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이다(그림 4-23).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퍼옥시좀 내의 커다란 결정은 효소인 카탈라아제로 이 루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