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뺷論語뺸 ‘如’,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고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뺷論語뺸 ‘如’,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고찰"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뺷論語뺸 ‘如’,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고찰

43)

한 경 숙*

❙국문초록❙

언어의 필연적 함축물인 의미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미론적으로 언어연구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왜냐하면 의미가 언어의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어휘가 활용되는 문장 속에서 그 어휘의 통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그 통사 속에서 의미구조를 분석하면서 어휘 자신만의 자질을 찾아갈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어휘와의 차이를 나타내주는 변별적 자질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본고는 의미소 분석 법과 의미구조 분석법 그리고 격(case)문법 분석법을 이용하여 뺷論語뺸 중의 ‘如’와 ‘何’의 통사와 의미구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런 고찰을 통하여 ‘如’와 ‘何’ 언어형식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들의 의미소를 분석하였 다. 의미소 분석법과 의미구조 분석법 그리고 격(case)문법 분석법으로 뺷論語뺸 중의 ‘如’와 ‘何’의 여러 가지 의 미자질을 분석해냈고 이런 의미자질들을 통하여 ‘如’와 ‘何’의 여러 성분 사이의 변별적 자질을 고찰해냈다.

[주제어] ‘如’, ‘何’, 통사적 특징, 의미구조, 격 관계, 의미자질, 의미소 분석법, 선택자질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분석방법

Ⅲ. ‘如’,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Ⅳ. 나오며

Ⅰ. 들어가며

최근 의미연구의 주류는 의미구조화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

.

언어현상을 완전하게 기술하기 위해서는 언어 형식의 기술로부터 시작해서 내적 의미를 검토해야 하며

,

내적 의미로부터 시작해서 그 의미를 나타내는 언 어형식을 연구해야 한다

.

언어의 필연적 함축물인 의미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미론적으로 언어연구 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

왜냐하면 의미가 언어의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

그렇기 때문에 그 어휘

* 단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연구조교수 / 12120029@dankook.ac.kr

(2)

가 활용되는 문장 속에서 그 어휘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그 어휘 자신만의 의미구조를 찾아갈 수 있고 나아가 다른 단어와의 차이를 나타내주는 변별적 자질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

는 상고중국어시기 갑골문 때부터 존재해왔던 어휘들이다

. ‘

자는

會意字

로 甲骨文

‘(

13.1)

1)에서는 오른쪽이 입

(

)’

자이고 왼쪽은 무릎을 꿇고 있는 한 여자의 형상인데 이 여자는 두 손을 가슴 앞에서 십자로 교차하여 무엇을 빌고 있는 형상인데

, ‘

분부를 따르다

(

從命

)’

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2)

象形字

로 甲骨文

‘(

795) ’

3)중의 얼굴을 왼쪽으로 향한 한 사람이 긴 창을 어깨에 이고 거친 숨을 몰아쉬 며 앞으로 가는 형상이다

.

4) 갑골문에서 두 단어는 모두 동사5)로 존재하다가 그 후 몇 천 년의 긴 세월을 거쳐 현대중국어의 의문대명사

如何

가 형성되었다

.

본고는 춘추전국시대의 대표적인 저작 뺷論語뺸를 중심으로 이들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구조를 분석해볼 것 이다

.

뺷論語뺸에 출현한

에 관한 한중 양국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

모두 예문 분석을 통한

의 통사적 분포 분석에 치중되었고

, ‘

의 의미자질 나아가 의미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

본고는 이런 선행연구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성분분석법 즉 의미소분석법과 격문법 분석법으로 뺷論 語뺸에 출현한

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자질을 고찰해 보려고 한 다

.

본고의 고찰에 의하면 뺷論語뺸6)

는 모두

149

번 출현하였고

,

단독으로 하나의 품사를 이루기도 하였 는데 그 수는

82

개로 전체

55%

를 차지하고

,

또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여러 가지

~

구조를 구성 하기도 하였는데 그 수는

67

개로 전체

45%

를 차지하였다

.

그리고

114

개의

자가 출현하였는데 그 중

25

개의 대명사로 쓰인

가 술어의 앞에 전치되었고 한 개만 술어의 뒤에 위치하고 있었다

.

Ⅱ. 분석방법

본고가

’, ‘

의미구조 분석을 위하여 사용하려는 성분분석법은 단어의 의미 특성을 살펴보는 방법 중 의 하나로 의미소 분석

(componential analysis)

을 일컫는 것이다

.

의미소 분석7)이란 단어의 의미를 보다

1) 遠東圖書公司 編, 뺷漢語大字典뺸 2, 台北: 遠東圖書公司, 1995, 1025.

2)左民安, 뺷細說漢字뺸:这个字本为會義字。胛骨文的寫法右邊是’, 左邊是跪着的女人, 双手交叉于胸前, 表示從命之義。”, 北京: 九州出版社, 2008, 209.

3) 遠東圖書公司 編, 뺷漢語大字典뺸 1, 台北: 遠東圖書公司, 1995, 130.

4) 左民安, 뺷細說漢字뺸:这个字本为象形字, 甲骨文就象一个面朝左的人肩扛着长戈, 张口喘气, 迈步向前的样子。”, 北京: 州出版社, 2008, 27.

5) “, ~象人荷物竝張口向後, 似問誰何”, “~動詞, 擊鼓以祭也。”, 劉興龍, 뺷新編甲骨文字典뺸, 北京: 國際文化出版公司, 2007, 485~816.

6)본고의 분석에서 사용한 뺷論語뺸 판본은 河北省文物研究所、定州漢墓竹簡整理小組 整理, 뺷論語뺸, 北京: 文物出版社, 1997.”

이고, 번역은 楊伯俊, 뺷論語譯註뺸, 北京: 中華書局, 2010(1958)”; “류종목, 뺷論語의 문법적 이해뺸,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0”; “장호득, 뺷「論語」와 함께 배우는 고대중국어 문법뺸, 용인: 교학출판사, 2012” 등 세 권을 참고하였다.

7) 박종한, 뺷중국어 동사 유의어 연구방법론뺸, 서울: 중국도서문화중심, 2000, 26~27.

(3)

작은 의미단위인 의미소

(semantic feature)

로 분석하여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

예를 들면

, ‘

(~

를 아내로 맞이하다

.)’

(~

에게 시집가다

.)’

를 비교해 본다면

, ‘

(~

를 아내로 맞이하다

.)’

娶:

+[[+

남성

]___[-

남 성

]]’

8)으로 표시할 수 있고

, ‘

(~

에게 시집가다

.)’

嫁:

+[[-

남성

]___[+

남성

]]’

으로 표시할 수 있다

.

9) 즉 동사

(~

를 아내로 맞이하다

.)’

(~

에게 시집가다

.)’

는 위와 같은 동사의 의미 특성을 충족시켜야 맞는 문장 이 나오지

,

그렇지 못한다면 비문이 나올 것이다

.

동사와 논항 사이의 선택 제한 현상은 명사구의 의미소 분석만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본고에서는 동사와 논항 사이에 존재하는 의미론적 관계인 격 관계도 같이 분석할 것이다

.

동사와 논항 사이 에 존재하는 의미론적 관계를

Fillmore

는 격 관계

(case relationship),

또는 격

(case)

이라고 했다

.

10) 자연언 어에 이와 같은 격이 도대체 얼마나 존재하고 있는지는 지금까지 공인된 결론이 아직 없다

. Fillmore

1968

년의 뺷

The case for case(1968)

뺸에서 여섯 가지를 제시했지만

,

Some problems for case grammar

(1971)

뺸에서는 여덟 가지를 제시했다

.

그러나 이것도

Fillmore

자신이 말한 것처럼 잠정적인 것에 불과하다

.

중국어는 형용사도 술어가 될 수 있기에 본고는 형용사 술어문의 술어와 논항 사이의 의미론적 관계도 분석 해 볼 것이다

.

汤廷池

(1990)

는 그의 저서에서 중국어 문법 분석에 최소한으로 필요한 격으로서 행위자격

(Agent),

경험

자격

(Experiencer),

대상격

(Object),

도구격

(Instrument),

결과격

(Result),

기점격

(Source),

착점격

(Goal),

장소격

(Locative),

시간격

(Time)

등 아홉 개의 격을 설정하였다

.

11) 이러한 의미관계는 추상적인 층위인 심 층구조에서 동사에 의해 논항에 부여되어 그 의미관계가 표면구조의 어순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존재 한다

.

이런 격 역할 또는 격은 적당한 변형을 거친 뒤 표면구조에서 주어

,

목적어

,

전치사구 등으로 된다

.

그 러므로 심층 구조에서 거의 모든 격은 잠재적으로 주어이거나 목적어다

.

본고에서는 주어나 목적어 역할의 명사구 의미소 분석은 다음과 같은 의미소 수형도의 분류를 따를 것이다

.

명 사 구

[+유정 –Animate] [-유정 –Animate]

[-인간 –Human] [구체 –concrete]

[+인간 –Human] [추상 –abstract]

[식물 –vegetation]

[동물 –creature]

8) 여기에서 ‘___’는 환경기호(environmental bar)를 나타내고, ‘娶:+[[+남성]___[-남성]]’嫁:+[[-남성]___[+남성]]’(~

를 아내로 맞이하다.)’(~에게 시집가다.)’의 의미구조를 표시하고 있다. 9) 박종한, 뺷중국어 동사 유의어 연구방법론뺸, 서울: 중국도서문화중심, 2000, 30.

10) Fillmore, C. J , 남용우 등 역, 뺷격문법이란 무엇인가(Some problems for case grammar), 서울: 을유문화사, 1987, 23~175.

11) 湯廷池 저, 박종한 옮김, 뺷중국어 변형 생성문법뺸, 서울: 학고방, 1990, 85~102.

(4)

동사의 선택자질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의 의미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

아래에 뺷論語뺸에 하나밖에 출현하지 않은

존재

12)를 나타내는 동사

과 현대중국어의

을 비교 분석 해 보고 이런 분석을 통하여 본고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의미소분석법

을 구체적으로 소개해 보겠다

.

(1) 籩豆之事, 則有司存。(8.4)(제기를 다루는 것 같은 세세한 일은 유사가 주관한다.)

예문

(1)

은 뺷論語뺸에 출현한 유일한

을 포함한 예문이다

.

여기에서

은 동사로

있다

,

존재하다

의 의 미를 지니고 있다

.

이 동사

의 주어는

有司

제사를 주관하는 담당자

를 일컫는 것이다

.

예문

(1)

에서 술어

은 주어

有司

는 갖고 있지만

,

목적어는 없다

.

즉 뺷論語뺸에 출현한

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存’:+[[+인간]A___]

그러나

他心存侥幸

(

그는 마음속으로 요행을 바란다

);

他存錢

(

그는 돈을 저축한다

)”

처럼 현대중국어에서

은 뺷論語뺸에 출현한

과 달리 그 앞에 주어

만 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뒤에 목적어

侥幸

도 동반되어야 한다

.

따라서 현대중국어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存’:+[[+인간]A___[±추상]O]

위의 의미구조를 아래의 표로 정리하겠다

.

<표 1> ‘存’ 의미구조 의미구조

동사 현대중국어 뺷論語뺸

存 +[[+인간]A___[±추상]O] +[[+인간]A___]

뺷論語뺸에서

과 현대중국어의

은 의미뿐만 아니라 논항구조도 다르다

.

현대중국어의

은 두 개의 논항을 필요로 하지만

,

뺷論語뺸에서

은 그 앞에 하나의 논항만 나타났다

.

즉 뺷論語뺸에 출현한

존재 론적 존재

13)의 의미지만

,

현대중국어의

사건적 존재

14) 의미이다

.

즉 현대중국어로 발전하면서 기존

12) 본고의 존재동사의 분류는 신선경의 분류를 참고하였다. 신선경, 있다의 어휘 의미와 통사뺸, 서울: 태학사, 2002, 32~

33.

13) ‘존재론적 존재는 단순한 존재성을 나타내는 존재 의미로 존재 대상의 존재 방식이나 존재의 시간적, 공간적 위치 등은 필 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14) ‘사건적 존재는 어떤 대상의 존재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시간이나 공간적인 전제로 사건성을 갖고 있다. 즉 어떤 장 소에서의 과정성(process)’머무름(stay)’의 의미를 갖고 있다. 한마디로 사건적 존재[+시간성]을 갖고 있다.

(5)

시간

공간

을 초월한

존재론적 존재

의미를 갖고 있던

시간

’, ‘

공간

의 의미가 추가되면서 논항도 증가한 것이다

.

그리고 같은 단어라 할지라도 그 단어의 사용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 구조를 가질 수 있 기에 위와 같이 의미소 분석법과 격 문법 분석법 그리고 술어의 선택자질과 논항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

본고는 이런 의미소 분석법과 격 문법 분석법 그리고 술어의 선택자질 즉 논항구조를 분석하면서

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을 고찰해볼 것이다

.

이런 분석을 통하여

의 의미자질을 찾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문헌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의 의미구조

,

통사적 특징의 변천과정과 서로 다른 시기

의 변별적 자질

,

에를 들면 뺷論語뺸의

’, ‘

와 현대중국어의

’, ‘

의 변별적 자질도 찾아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Ⅲ. ‘如’,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1. ‘如’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뺷論語뺸중에

는 모두

149

번 출현하였고

,

단독으로 하나의 품사를 이루기도 하였는데 그 수는

82

개로 전 체

55%

를 차지하고

,

또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여러 가지 구조를 구성하기도 하였는데 그 수는

67

개 로 전체

45%

를 차지하였다

. ‘

는 동사

,

연사

(

連詞

),

조사

,

관용사

,

(

詞組

),

문형

(

固定格式

)

등으로 뺷論語뺸에서 그 출현 빈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

본고에서는 동사

를 중심으로 그 의미구조를 고찰 해 보도록 할 것이다

.

동사

의 분류15)는 뺷論語뺸에 출현한 동사

의 의미에 따라 가

)

비유문 중의

‘‘~

것 같다

’(

)’, ‘~

과 같다

(

)’;

)

서술문 중의

‘~

과 같다

(

好像

)’, ‘~

과 같다

(

彷佛

)’;

)

판단문 중의 판단사

‘~

이 다

’;

)

부정 비교문 중의

‘~

보다

~

, ~

과 비교할 수 있다

(

比得上

)’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그 의미구조를 고 찰해볼 것이다

.

(1) 동사 ‘如’

동사로 사용된

는 뺷論語뺸에 모두

46

번 나타났다

.

이런 동사들은 문장에서 술어 자리에 위치하면서

‘~

과 같다

’, ‘

마치

~

인 것 같다

’, ‘

닮다

’, ‘

바로

~

이다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

다음은 이들을 현대중국어에 해당하 는 의미 별로 분류해 보면서 이들의 의미구조를 분석해 보겠다

.

15) 현대중국어에서 일반적으로 문장을 분류할 때 어기에 따라 진술문(서술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 네 가지로 분류하거 , 술어에 따라 서술문(동사술어문), 판단문(명사술어문), 묘사문(형용사술어문)등 세 가지로 분류한다. 본고에서는 뺷論語뺸 에 출현한 동사 술어문 중의 동사 를 그 술어의 의미에 따라 () 비유문 중의 ‘‘~것 같다’()’, ‘~과 같다()’; () 서술문 중의 ‘~과 같다(好像)’, ‘~과 같다(彷佛)’; () 판단문 중의 판단사 ‘~이다’; () 부정 비교문 중의 ‘‘~보다~, ~ 비교할 수 있다(比得上)’ 등 네 가지로 분류하겠다. 본고에서는 판단동사 유무를 막론하고 판단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은 모두 판단문에 귀속시킨다.

(6)

① 비유문 중의 ‘像’, ‘似’

뺷論語뺸에 비유를 나타내고 현대중국어의

’, ‘

의 의미를 갖고 있는

17

번 출현하였다

.

이런 동사

는 한 사물을 다른 어떤 한 사물에 비유하여 묘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

(2) 詩云:뺷如切如磋, 如琢如磨。뺸其斯之謂與?(1.15)(뺷시경뺸에 ‘자른 것 같고 간 것 같고 쫀 것 같 고 닦은 것 같다’라고 한 것은 아마 바로 이런 것을 두고 말하는 것이겠군요!)

(3) 子在川上, 曰:「逝者如斯夫!不舍晝夜。」(9.17)(공자께서 냇가에 계실 때 말씀하셨다. “흘러가 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구나!”)

위의 예문

(2), (3)

을 보면

, ‘

는 동사로 문장 중에서 술어의 역할을 하고 있다

. (2)

는 우리말로

‘~

것 같다

로 번역할 수 있고

(3)

‘~

과 같다

로 번역할 수 있다

.

현대중국어의

이나

로 번역될 수 있다

.

이런

예문은 뺷論語뺸 모두

17

번 출현하였는데 주로 비유를 나타내는 문장 속에 출현하였다

.

이런 문장들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 a) +[[±인간]A___[±추상]O] / b) +[[___[±추상]O]

② 서술문 중의 ‘好像’, ‘彷佛’

뺷論語뺸에 서술문에 나타나 현대중국어의

’, ‘

好像

’, ‘

彷佛

의 의미를 갖고 있는

10

번 출현하였다

.

이런 동사

는 문장 중에서

‘~

과 같다

라는 의미를 나타내주고 있다

.

(4) 祭如在, 祭神如神在。子曰:「吾不與祭, 如不祭。」(3.12)(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때는 마치 조상이 앞에 앉아 계시는 것처럼 정성스럽게 하고, 여러 신령들에게 제사를 지낼 때는 마치 여러 신령 들이 앞에 앉아 있는 것처럼 경건하게 하셨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제사에 직접 참여하 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은 것과 같은 기분이다.”

(5) 入公門, 鞠躬如也, 如不容。(10.4)(제후의 대궐 문을 들어가실 때는 구부정하게 몸을 구부리시는 것이 마치 문이 낮아 들어갈 수 없어서 그러시는 것 같았다.)

위의 예문

(4), (5)

를 보면

, ‘

는 동사로 문장 중에서 술어의 역할을 하고 있다

. (4)

는 우리말로

마 치

~

인 것 같다

로 번역할 수 있고

(5)

‘~

과 같다

로 번역할 수 있다

.

현대중국어의

이나

好像

’, ‘

彷佛

로 번역될 수 있다

.

이런

예문은 뺷論語뺸 모두

11

번 출현하였는데 주로 서술을 나타내는 통상적인 문장 속에 출현한 것이 그 특징이 되겠다

.

이런 문장들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a) +[[±인간]A___[±추상]O] / b) +[[___[±추상]O] / c) +[[±인간]A___[±인간]O]

(7)

③ 판단문 중의 판단사

판단사의 역할을 하고 있는

는 뺷論語뺸에 두 번 출현하였는데 문장 중에서 판단대상과 판단내용 사이의 관계가

一致

혹은

歸屬

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을 판단해주는 작용을 하고 있다

.

(6) 子曰:「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如其仁!如其仁!」(14.16)(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환공께서 몇 차례씩이나 제후를 규합할 때 전차를 쓰지 않은 것은 관중의 힘이다. 이것이 그의 어진점이야. 이것이 그의 어진점이야.)

많은 학자들이 판단문의 정의에 대한 견해를 내놓았는데 杨伯峻과 何乐士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내놓았 다

.

첫째

,

주술부분이 일치관계를 이루는가

?

둘째

,

주어가 명사나 대명사 혹은 명사성구로 이루어지고 술어 가 명사 혹은 명사구로 이루어졌는가

?

셋째

,

주어와 술어 사이에 繫詞가 있어 연결하고 있는가

?

16)그러나 한 단어가 형태변화 없이 여러 문장성분을 담당할 수 있는 특성상 판단문의 주어 즉 대상과 술어 즉 내용을 명 사나 명사 성분으로 제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사료되어 동사나 동사구 역시 주어나 술어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본고에서는 성분과 관계없이 주어를 판단의 대상으로 하고 술어는 판단의 내용을 밝히는 범주적 판단

(categorical judgement)

의 논리구조가 반영된 문장을 판단문으로 분류하겠다

.

17)예문

(6)

을 보면

는 판단의 대상인 주어

桓公九合諸侯

,

不以兵車

,

管仲之力也。

와 판단의 내용인

其仁

사이에서 판단 기능을 수 행하고 있고

,

판단의 대상인 주어

桓公九合諸侯

,

不以兵車

,

管仲之力也。

와 판단의 내용인

其仁

사이는

일 치

라는 의미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즉 판단 대상과 판단의 내용이

라는 판단동사의 의해 연결이 되어 판 단문을 형성하고 있다

. ‘

는 문장 중에서 술어의 역할을 하고 있고 판단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

우리말로

‘~

이다

로 번역할 수 있고

,

현대중국어의

就是

혹은

乃是

로 번역할 수 있다

.

이런 동사

는 뺷論語뺸에 위와 같이 두 번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

先秦시기에 아직

繫詞

로 사용된 예가 많 지 않다

.

繫詞

로 사용된 예문이 매우 적어 뺷論語뺸에

4

개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

18) 이런 상황 속에서

는 다른 판단을 나타내는 동사

나 문형

(

固定格式

) ‘~

’, ‘~

등과 함께 先秦시기의 판단문을 형성하였고 그런 판단문 중에서 판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사이었던 것이다

.

이 문장들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인간]A___[+추상]O]

④ 부정 비교문 중의 ‘比得上’

뺷論語뺸에 동사

비교문이

16

번 출현했는데

,

특이하게도 모두 긍정형식이 아니고 부정형식으로 이루어

16) “什麽是判断句? 狹義地说判断句只指具有以下條件的句子: () 主謂两部分有等同关系; () 主語多由名詞、代詞充任, 謂語由 名詞或其短語充任; () 在主謂之間多有系詞連繫。”, 杨伯峻, 何樂士, 뺷古漢語語法及其發展뺸, 北京: 語文出版社, 1992, 705. 17) 鄭賢愛, 「판단사 의 형성과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3.

18) 韓京淑, 「뺷論語뺸 의미자질 분석」, 뺷중국문학연구뺸 53, 한국중문학회, 2013, 246.

(8)

동사 ‘如’ 의미구조 비유문 ①:+[[±인간]A___[±추상]O]

②:+[[___[±추상]O] 서술문 ①:+[[±인간]A___[±추상]O]

②:+[[___[±추상]O]

졌다는 점이다

. ‘

는 이런 비교문 중에서 부정사

’(14), ‘

의 뒤에 위치하고 있었다

.

이런 문장에서

는 우리말의

‘~

보다

~

’, ‘~

과 비교할 수 있다

라는 의미로 번역할 수 있고 현대중국어의

比得上

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

그 앞에 위치한 부정사

’, ‘

과 함께

‘~

보다 못하다

라는 비교의 의미를 나타내주고 있다

. ‘

’,

은 上古중국어에서 전형적인 부정사인데

先秦시기

의 뒤에 출현하는 동사는 지시대명사 목적어를 동 반하지 않는 것이 이 시기

의 통사적 특징이다

.”

19)

(7) 子曰:「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9.25)(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충성과 신의를 주로 하고 자기만 못한 자를 벗하지 말며 과오가 생기면 서슴없이 고쳐라.”

(8) 樊遲請學稼, 子曰:「吾不如老農。」(13.4)(번지가 곡식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달라고 청하자 공자 께서 “노련한 농부만 못하다”라고 하셨다.)

(9) 子曰:「弗如也!吾與女弗如也。」(5.9)(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보다 못하다. 너의 말에 공감한 다. 나와 너는 그보다 못하다.”)

위의 예문

(7), (8), (9)

중에서 동사

는 그 앞의 부정사와 결합하여 부정 비교문을 이루고 있다

. ‘

의 의미가 현대중국어의 비교문 중의

‘‘

比得上

이라는 의미에 해당이 되는데 그 앞의 비교문과 결합하면 우리말 의

‘~

보다 못하다

’, ‘~

만 못하다

로 번역될 수 있다

.

孫偉强

(2010)

’, ‘

뒤에 위치한

를 그 앞의 부정 사

’, ‘

과 결합한 관용구20)라고 서술하고 있는데 본고는 그의 분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

이때의

는 단 독으로 하나의 통사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동사이고 그 앞의 부정사

’, ‘

는 이들 술어를 수식하고 있 는 부사어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들의 결합이 상고중국어시기 이미 하나의 관용구로 고정되었다고 보기에는 좀 무리인 것 같다

.

이들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인간]A___[+인간]O]

동사로 사용된

의 의미구조를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한다

.

<표 2> 동사 ‘如’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19) “先秦時期, 連用的動詞不帶指示代詞賓語, 是这個時代字使用的特徵。”, 中國社會科學硏究院言語硏究所古代漢語硏究室 編著, 뺷古代漢語虛辭辭典뺸, 北京: 商務印書館, 2001, 160.

20) 孫偉强, 「뺷論語뺸中字硏究」, 뺷承德民族師專學報뺸 3(30), (8), 2010, 16.

(9)

동사 ‘如’ 의미구조

③:+[[±인간]A___[±인간]O] 판단문 ①:+[[+인간]A___[+추상]O] 비교문 ①:+[[+인간]A___[+인간]O]

위의

<

2>

를 살펴보면 동사

의 의미 분류에 따른 네 가지 문장인 비유문

,

서술문

,

판단문

,

비교문들 은 의미구조상 아래와 같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가 동사로 사용되었을 때는 비유문

,

서술문

,

판단문

,

비 교문 등 네 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

이때 각자의 의미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첫째

,

일단 비유문과 서술문으로 사용된

의 의미구조에

‘+[[___[±

추상

]

O

]’

이라는 구조가 있지만

,

판단문 과 비교문으로 사용된

에는

‘+[[___[±

추상

]

O

]’

라는 의미구조가 없다

.

즉 판단문과 비교문으로 사용된

는 비유문과 서술문보다 논항구조가 하나 적다

.

둘째

,

서술문에는

‘[±

인간

]

O

이라는 술어의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만

,

비유문에는 이런 선택자질이 없다

.

셋째

,

판단문과 비교문을 비교해보자면

,

이들 의미구조 중 술어의 선택자질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판단문은

‘[+

추상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만

,

비교문은

‘[+

인간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넷째

,

비유문과 서술문에 갖고 있는

‘[

-추상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판단문과 비교문에는 갖고 있지 않다

.

다섯째

,

비유문과 서술문은

‘[±

인간

]

A

’,

판단문과 비교문은

‘[

+인간

]

A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다

.

즉 판 단문과 비교문은

‘[

-인간

]

A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 않다

.

(2) 기타 ‘如’

뺷論語뺸 중 동사로 사용된

44

개의

외에 연사

(

連詞

),

접미사

,

관용구

,

(

詞組

),

문형

(

固定格式

)

등으로 사용된

105

번 출현하였다

.

동사 외의 종류들은 이들의 의미구조와 뺷論語뺸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 되고 분포되어 있는지 그 상황을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

① 연사

뺷論語뺸에서 연사 작용을 하는

는 모두

21

번 출현하였다

.

이들은 문장 중에서 단어와 단어

,

문장과 문 장을 이어주는 작용을 하며 단어와 단어

,

문장과 문장 사이의 전환 관계

(1

),

가정 관계

(16

),

선택적 관계

(4

)

등을 나타내주고 있다

.

(10) 對曰:「方六七十, 如五六十, 求也為之, 比及三年, 可使足民。如其禮樂, 以俟君子。」(11.26)(구 가 대답을 했다. “사방 육칠십 리 혹은 오륙십 리 되는 지역을 제가 다스린다면 제가 삼 년 만 에 그 지역 백성들을 풍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악 같은 것은 군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겠습니다.”)

(10)

위의 예문

(10)

을 보면 앞 문장에 출현한

의 앞과 뒤가 선택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우리말의

혹은

현대 중국어의

或者

로 번역할 수 있고

,

뒤의 문장에 출현한

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전환적 관계를 나타내주 고 있고 우리말의

‘~

으로 말하자면

현대중국어의

至于

로 번역할 수 있다

.

즉 앞에서 다른 사실에 대하여 이 야기한 뒤 말을 바꾸어 또 다른 사실을 예로 들어 이야기 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

과 같다

.

21)

전환 관계를 나타내는 연사22)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Con[-추상]O, [+인간]A___[+추상]O]

다음 예문을 다시 보자

.

(11) 公曰:「善哉!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12.11)(경공이 말 했다. “좋은 말씀입니다. 진실로 임금이 임금답지 않고 신하가 신하답지 않고 아버지가 아버지 답지 않고 아들이 아들답지 않다면, 비록 곡식이 있다한들 내가 그것을 먹을 수 있겠습니까?) (12) 曾子曰:「上失其道, 民散久矣。如得其情, 則哀矜而勿喜。」(19.19)(증자가 말했다. “윗사람이

정도를 잃어서 백성들이 흩어진 지 오래되었다. 만약 그들이 죄를 짓게 된 실정을 알게 된다면 슬퍼하고 긍휼히 여길 일이지 기뻐하지 말거라.”)

위의 예문

(11)

과 예문

(12)

중에 출현한

는 앞 문장과 뒤 문장 사이의 가정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

앞의 문장이 어떤 가정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면 뒤의 문장은 그 가정이 가져다주는 결과를 서술하고 있다

.

다만 예문

(11)

은 의문문이고 예문

(12)

는 서술문이다

.

즉 가정을 나타내는 연사

는 서술문

,

의문문 등에 출현할 수 있다

.

가정 관계를 나타내는 연사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a) +[Adv+Con[+인간]A___[+인간]O] / b) + [Con[+인간]A___[-인간]O]

(13) 安見方六七十如五六十而非邦也者?(11.26)(사방 육칠십 리나 오륙십 리가 되면서 나라가 아닌 것을 어디서 보겠느냐?)

(14) 非曰能之, 願學焉。宗廟之事, 如會同, 端章甫, 願為小相焉。(11.26)(제가 이런 것을 할 수 있다 는 말씀은 아니고 이렇게 되도록 배우고 싶습니다. 종묘에서의 제사나 제후들의 회동에 현단 과 장보관을 착용하고 작은 보좌관노릇을 하고 싶습니다.)

위의 예문

(13)

과 예문

(14)

를 보면

는 그 앞과 뒤의 두 부분을 연결시켜주면서 선택적 관계를 형성해 주고 있다

.

우리말의

혹은

’,

현대중국어의

或者

로 번역할 수 있다

.

예문

(13)

에서

앞의

六七十

과 뒤의 21) 류종목, 뺷論語의 문법적 이해뺸,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0, 378.

22) 연사는 ‘Conjunction’, 본고에서는 약칭 ‘Con’로 연사를 표시하고 부사 ‘Adverb’‘Adv’로 표시한다.

(11)

五六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예문

(14)

도 마찬가지로

의 앞과 뒤에는 선택적 관계에 놓여있는

宗廟之事

會同

이 위치하면서

, ‘

가 이들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관계를 이 루어주고 있다

.

선택적 관계를 나타내는 연사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추상]O+Con[±추상]O, [+인간]A___[+추상]O]

② 접미사

뺷論語뺸에 접미사23)로 사용된

31

번 출현하였다

.

이런 접미사

는 그 뒤에

를 동반하기도 하는 데 형용사의 뒤에서 형용사와 함께

형용사

+

+

라는 형태로 문장 중에서 부사어나 술어 기능을 하게 된 다

. ‘

앞의 술어는 형용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

(15)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君在, 踧踖如也。與與如也。(10.2)(조회에 나아가 하대부와 이야기를 할 때는 희희낙락하며 마음 편하게 이야기하셨고, 상대부와 이야기 할 때는 공손하면서도 정직하였으며, 임금이 계실 때는 조심스럽고 점잖으셨다.)

(16) 子之燕居, 申申如也, 夭夭如也。(7.4)(공자께서 집 안에 한가로이 계실 때면 느긋하셨고 평화로 우셨다.)

위의 접미사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如’:+[[±인간]A___Suf也]

위의 고찰을 아래와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다

.

<표 3> 기타 ‘如’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분류

통사 의미구조 개수

연사

전환 관계 +[Con[-추상]O, [+인간]A___[+추상]O] 1 21 가정 관계 +[Adv+Con[+인간]A___[+인간]O]

+[Con[+인간]A___[-인간]O] 16

선택 관계 +[[±추상]O+Con[±추상]O, [+인간]A___[+추상]O] 4

조사 如 +[[±인간]A___Suf也] 31

23) 접미사 ‘Suffix’를 본고에서는 약칭 ‘Suf’로 표시한다.

(12)

위의

<

3>

을 살펴보면

,

연사로 사용된

의 세 가지 관계의 의미구조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 다

.

즉 술어의 선택자질이 같은 부분도 있지만

,

서로 다른 부분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전환 관계

,

가정 관계

,

선택 관계의

의 의미구조 중 술어의 주어 선택자질은 모두

‘[+

인간

]

A

_’

로 서로 같은 양상을 보이 고 있지만

,

술어의 목적어 선택자질은

,

전환 관계:

‘[+

추상

]

O

’;

가정 관계:

‘[+

인간

]

O

’;

선택 관계:

‘[-

인간

]

O

로 서 로 다르다

.

뺷論語뺸에 관용구나 문형으로 사용된

도 나타나고 있는데

, ‘

譬如

(3

)’, ‘

夫如是

(3

)’, ‘

何如

(21

)’,

如之 何

(16

), ‘

~

(7

)’

등이 있다

. ‘

譬如

(3

)’, ‘

夫如是

(3

)’

는 다음 연구에서 더 구체적으로 다루기로하고

,

다음 3장에서는

何如

(21

)’, ‘

如之何

(16

)’, ‘

~

(7

)’

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何如

’, ‘

如何

’, ‘

如之何

사이 의 관계를 고찰해 보겠다

.

<표 4> ‘如’의 통사적 특징

통사 분류 구조 개수

① 동사 如 46

② 연사 如 21

③ 조사 如 31

④ 관용구 譬如(3), 夫如是(4), 何如(21), 如之何(16) 44

⑤ 문형 如~何(7) 7

⑥ 총수 149

<표 5> ‘如’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통사 분류 의미구조 개수

① 동사

비유문 +[[±인간]A___[±추상]O]

17

46 +[[___[±추상]O]

서술문

+[[±인간]A___[±추상]O]

10 +[[___[±추상]O]

+[[±인간]A___[±인간]O]

판단문 +[[+인간]A___[+추상]O] 2 비교문 +[[+인간]A___[+인간]O] 16

② 연사

전환 관계 +[Con[-추상]O, [+인간]A___[+추상]O] 1

21 가정 관계 +[Adv+Con[+인간]A___[+인간]O]

+[Con[+인간]A___[-인간]O] 16

선택 관계 +[[±추상]O+Con[±추상]O, [+인간]A___[+추상]O] 4

③ 조사 如 +[[±인간]A___Suf也] 31

(13)

2.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뺷論語뺸에

115

번 출현하였는데

,

단독으로 통사적 기능을 수행한

29

번이고 나머지는 모두 관용 구나 문형으로 사용되었다

.

뺷論語뺸에 동사로 사용된

는 없고 모두 대명사로 사용되면서 문장 중에서 주어 나 부사어 술어의 기능을 수행하였고

무엇

’, ‘

’, ‘

무엇 때문에

’, ‘~

무엇인가

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이중 술 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는 우리말의

‘~

무엇인가

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 현대중국어의

是什麽

?’

로 번역 할 수 있다

.

즉 이런 상황의

는 판단작용을 하는 의문대명사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

현대중국어 의 명사 술어문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

단독으로 통사적 기능을 하고 있는 것 외의

86

개의

는 모두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관용구나 문형을 형 성하고 있었는데 그 분포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표 6> ‘何’ 관용구와 문형의 분포 특징

분류 형식 개수(비율)

단독 何 29(25%)

관용구 何如, 何謂, 何爲, 何以, 何有, 何敢, 何必, 如之何, 何事, 何用, 何其 74(64%)

문형 何以~爲, 何~之有, 何~如 12(11%)

본고는

를 중심으로 이들의 의미구조를 분석하려고 하기에

의 단독용법24)만 다루고

, ‘

의 관용구 용법과 문형 용법은 다음 장에서

와 함께 더 상세하게 비교분석하도록 하겠다

.

는 단독으로 의문대명사 역할을 하면서 문장 중에서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 위치에서 통사적 기 능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이 그의 통사적 특징이 되겠다

.

아래에 단독우로 의문대명사 역할을 하고 있는

가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 위치에서 그의 의미구조를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

(1) 목적어

목적어 위치의 대명사

는 모두

15

번 출현하였는데

,

여러 사물과 언행을 나타내고 있고

14

개가 술어의 앞에 前置되어 있는데 단지 하나만 술어의 뒤에 위치하고 있다

.

(17) 曰:「求仁而得仁, 又何怨。」(7.15)(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을 추구하여 인을 얻었는데 또 무 엇을 원망했겠는가?”)

24) 뺷論語뺸에 115번 출현하였는데, 단독으로 통사적 기능을 수행한 29번이고 나머지는 모두 관용구나 문형으로 사 용되었다. 뺷論語뺸에 단독으로 사용된 예문 중 동사로 사용된 는 없고 모두 대명사로 사용되면서 문장 중에서 주어나 부 사어 술어의 기능을 수행하였기에 본고는 품사적으로 를 고찰하지 않고 대명사인 가 문장 성분 상 어떤 의미구조족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였다.

(14)

(18) 人雖欲自絕, 其何傷於日月乎?(19.24)(사람들이 비록 스스로 일월과 관계를 끊으려고 할지라 도 그것이 어찌 일월에 손상을 끼치겠습니까?)

(19) 子夏云何?(19.3)(자하는 뭐라고 하던가?)

목적어 위치의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何’:a) +[[+인간]A___[+추상]O] / b) +[[+인간]A+Adv[+추상]O___]

위의 예문

(17), (18), (19)

를 보면

는 대명사로 술어

’, ‘

’, ‘

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

이런

는 뺷論語뺸에

15

번 출현하였다

.

이 예문들 사이 하나의 다른 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다른

는 모두 술어의 앞에 前置되어 있지만

,

술어의 뒤에 후치되어 있는 예문도 하나 존재한고 있다는 점이다

.

先秦시기 의문대명사가 거의 모두 前置되어 있는데 이런 후치의 예문도 하나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

先秦중국어 문법에서 의문대명사목적어의 前置는 그 시기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던 문법현상이었다

.

뺷論語뺸에 하나의 예외가 있고 그리고 거의 같은 시기의 문헌인 뺷左傳뺸에도 이런 예외가 하나 있기도 하다

.

楊伯俊

,

何乐士

(1992)

25)에 의하면 의문대명사인

’, ‘

’, ‘

’, ‘

’, ‘

’, ‘

’, ‘

’, ‘

등은 先秦시기 漢 語에서 목적어로 前置된 경우가 있으며

,

이러한 규칙은 약간의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엄격한 문법규 율로 파악되고 있었다

.

何乐士

(1988)

26)는 뺷左傳뺸에서

가 목적어로 사용된 경우가 모두

118

회이며 이중

“V+O(

而事何也

?)(

당신은 누구를 섬깁니까

?)

27)의 한 가지 예문을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는 동사의 앞에 前置되었다고 하였다

.

張玉金

(2001)

28)에 의하면 갑골문에서 대명사목적어는 전치할 수도 있고

,

후치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

러나 의문대명사 목적어의 전치는 없었다고 한다

.

갑골문에서 술어의 뒤에 위치했던 의문대명사가 춘추전국 시기의 뺷論語뺸와 뺷左傳뺸에서는 각기 하나씩 후치된 예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전치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의문대명사 목적어의 특수한 修辭작용 때문이다

.

의문대명사 목적어는 목적어를 강조하거나

,

의문 감탄을 강조하는 작용이 매우 뚜렷하기 때문에 그 생명력이 매우 강하여

,

현대중국어에서는 아직도

何 去何从

등과 같은 강조하기 위하여 의문대명사 목적어를 전치하는 문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 ‘

를 사용하여 조사

/

復指목적어 전치를 한 구조 역시 현대중국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도 같은 원인 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

예를 들면

, ‘

何罪之有

,

唯利是图

,

唯命是从

/

復指목적어 전치구가 현대중국 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것이 그 이유일 수 있다

.

29)

그렇다면 같은 시기 두 문헌에 각기 하나의 예외 즉 의문대명사의 후치의 원인은 무엇일까

?

위의 예문

25) 楊伯俊, 何樂士, 뺷古漢語語法及其發展뺸, 北京: 語文出版社, 1992, 786. 26) 何樂士, 「뺷左傳뺸中的字」, 뺷古漢語論集뺸 2, 長沙: 湖南教育出版社, 1988, 261. 27) 李梦生, 뺷十三经譯註 – 左传譯註(뺷左傳·哀公11),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0, 1333. 28) 張玉今, 뺷甲骨文語法學뺸, 北京: 學林出版社, 2001, 212.

29) 韓京淑, 「뺷論語뺸 前置목적어구 의미구조 고찰」, 뺷중국문학연구뺸 52, 한국중문학회, 2013, 106.

(15)

(17), (18), (19)

를 통하여 그 원인을 찾아보겠다

. (18), (19)

를 보면

求仁而得仁

,

又何怨。

人雖欲自絕

,

其何傷於日月乎?

에서 목적어

와 그 뒤에 위치한 술어

’, ‘

사이의 관계가 단순히

무엇을 원망하는 가

?’, ‘

일월에 무슨 손상을 주겠는가

?’

라는 의미보다는

원망하지 않는다

.’, ‘

일월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

라는 의미를 의도적으로 강조하는 수식적인 장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즉 의문대명사 목적어

를 강조하기 위하 여 목적어가 전치된 것이다

.

그러나 예문

(19)

를 살펴보면 굳이 자하가 어떤 말을 하는지 강조를 할 필요가 없고

,

의문이나 감탄을 강조할 필요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목적어가 술어의 뒤에 후치한 것이다

.

(2) 술어

는 문장 중에서 사물을 대신하고 술어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이런

는 뺷論語뺸에

3

번 나타났다

.

(20) 子曰:「何哉, 爾所謂達者?」子張對曰:「在邦必聞, 在家必聞。」(12.20)(공자께서 “네가 말하는 통달이라는 것이 무엇이냐?”라고 묻자, 자장이 대답하였다. “제후의 나라에서 일을 해도 반드 시 명성이 있고, 대부의 식읍에서 일을 해도 반드시 명성이 있는 것입니다.”)

(21) 宗廟會同, 非諸侯而何?赤也為之小, 孰能為之大?(11.26)(종묘와 회동이 제후국의 일이 아니 고 무엇이겠느냐? 적이 작은 보좌관이 된다면 누가 큰 보좌관이 될 수 있겠는가?)

위의 예문

(20)

에서

는 술어로 주어는

爾所謂達者?

이다

.

즉 공자가 자장에게 자네가 말하는 달이 무엇 인가를 물어보고 있는 상황인데

,

단지 술어를 강조하려고 주어의 앞에 놓았던 것이다

.

이런

는 우리말의

무엇인가

로 번역할 수 있고

,

현대중국어의

是什麽

?’

로 번역할 수 있다

.

예문

(21)

중의

도 마찬가지이다

.

단 예문

(20)

은 주어가 앞에 위치하고 술어가 뒤에 위치하고 있는 도치문이다

.

술어 위치의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何’:+[[±추상]O___]

(3) 한정어

한정어

(

定語

)

위치에 있는

는 뺷論語뺸에

2

번 출현하였다

.

우리말의

어떤

으로 번역될 수 있고 현대중국 어의

什麽

혹은

什麽樣的

로 번역할 수 있다

.

(22) 曰:「何器也?」曰:「瑚璉也。」(5.4)(자공이 “어떤 그릇입니까?”라고 묻자 공자께서 “호련이다” 라고 대답하였다.)

(23) 曰:「伯夷、叔齊何人也?」曰:「古之賢人也。」(7.15)(자공이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이었습 니까?”라고 묻자 공자께서 “옛날의 현인이었다.”라고 하셨다.)

(16)

한정어 위치의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何’:a) +[[+인간]A___[+인간]O] / b) +[[___[-인간]O]

(4) 부사어

부사어 역할을 하는

9

번 출현하였는데

,

문장 중에서 주어와 술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우리말의

?’,

무엇 때문에

’, ‘

어떻게

등으로 번역할 수 있고

,

현대중국어의

爲什麽

’, ‘

怎麽樣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

(24) 子曰:「誰能出不由戶?何莫由斯道也?」(6.17)(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누가 밖으로 나갈 때 방 문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 왜 아무도 이 길을 가지 않는 것인가?”

(25) 夫子何哂由也?(11.26)(선생님께서는 왜 유의 말을 듣고 웃으셨나요?)

부사어 위치의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다

.

‘何’:+[[+인간]A+Adv___[±인간]O]

위의 고찰을 다음과 같은

<

7>

로 정리하겠다

.

<표 7> ‘何’의 의미구조와 통사적 특징 분류

통사 구조 개수

독립 사용

① 목적어 +[[+인간]A___[+추상]O] 1

+[[+인간]A+Adv[+추상]O___] 14 15

② 술어 +[[±추상]O___] 3 3

③ 한정어 +[[+인간]A___[+인간]O] 1

+[[___[-인간]O] 1 2

④ 부사어 +[[+인간]A+Adv___[±인간]O] 9 9

위의

<

7>

을 보겠다

.

첫째

,

다른 단어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품사로 사용된

의 의미구조를 살펴보면

,

이들이 통사적으 로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둘째

,

목적어로 사용될 때와 한정어로 사용될 때

,

그리고 부사어로 사용될 때 이들 술어의 선택자질 중 공 통적으로

‘[+

인간

]

A

라는 의미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러나 통사적으로 술어로 사용될 때의 선

(17)

택자질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셋째

, ‘

가 통사적으로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로 사용됐을 때 술어의 선택자질은 다음과 같은 차이 를 보이고 있다

.

목적어일 때는

‘[+

추상

]

O

’,

술어일 때는

‘±

추상

]

O

_’,

한정어와 부사어일 때는

‘[±

인간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다

.

Ⅳ. 나오며

본고는 뺷論語뺸 중의

의 의미와 통사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뺷論語뺸에 출현한

동사 술어문 중의 동사

를 그 술어의 의미에 따라

(

)

비유문 중의

‘‘~

것 같다

’ (

)’, ‘~

과 같다

(

)’; (

)

서술문 중의

‘~

과 같다

(

好像

)’, ‘~

과 같다

(

彷佛

)’; (

)

판단문 중의 판단사

‘~

이다

’;

(

)

부정 비교문 중의

‘‘~

보다

~

, ~

과 비교할 수 있다

(

比得上

)’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

이런 네 가지 문 장 속에서 동사

의 의미구조는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일단 비유문과 서술문으로 사용된

의 의미구조에

‘+[[___[±

추상

]

O

]’

이라는 선택자질이 있지만

,

판단 문과 비교문으로 사용된

에는

‘+[[___[±

추상

]

O

]’

라는 선택자질이 없다

.

즉 판단문과 비교문으로 사 용된

는 비유문과 서술문보다 논항이 하나 더 적다

.

) ‘

서술문에는

‘[±

인간

]

O

이라는 술어의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만

,

비유문에는 이런 선택자질이 없다

.

) ‘

판단문과 비교문을 비교해보자면

,

이들 의미구조 중 술어의 선택자질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판단문은

‘[+

추상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만

,

비교문은

‘[+

인간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 ‘

비유문과 서술문에 갖고 있는

‘[

-추상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판단문과 비교문에는 갖고 있지 않다

.

) ‘

비유문과 서술문은

‘[±

인간

]

A

’,

판단문과 비교문은

‘[

+인간

]

A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다

.

즉 판

단문과 비교문은

‘[

-인간

]

A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지 않다

.

는 그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구조와 선택자질을 갖고 있다

.

)

다른 단어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품사로 사용된

의 의미구조를 살펴보면

,

이들이 통사적으 로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

가 목적어로 사용될 때와 한정어로 사용될 때

,

그리고 부사어로 사용될 때 이들 술 어의 선택자질 중 공통적으로

‘[+

인간

]

A

라는 의미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러나 통사적으로 술어로 사 용될 때의 선택자질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 ‘

가 통사적으로 목적어

,

술어

,

한정어

,

부사어로 사용됐을 때 술어의 선택자질은 다음과 같은 차이 를 보이고 있다

.

목적어일 때는

‘[+

추상

]

O

’,

술어일 때는

‘±

추상

]

O

_’,

한정어와 부사어일 때는

‘[±

인간

]

O

이라는 선택자질을 갖고 있다

.

(18)

<참고문헌>

류종목

,

뺷論語의 문법적 이해뺸

,

서울

:

문학과지성사

, 2010.

박종한

,

뺷중국어 동사 유의어 연구방법론뺸

,

서울

:

중국도서문화중심

, 2000.

신선경

,

있다

의 어휘 의미와 통사뺸

,

서울

:

태학사

, 2002.

장호득

,

뺷「論語」와 함께 배우는 고대중국어 문법뺸

,

용인

:

교학출판사

, 2012.

Fillmore, C. J

,

남용우 등 역

,

뺷격문법이란 무엇인가

(Some problems for case grammar)

,

서울

:

을유 문화사

, 1987.

劉興龍

,

뺷新編甲骨文字典뺸

,

北京

:

國際文化出版公司

, 2007.

楊伯俊

,

何樂士

,

뺷古漢語語法及其發展뺸

,

北京

:

語文出版社

, 1992.

楊伯俊

,

뺷論語譯註뺸

,

北京

:

中華書局

, 2010.

李梦生

,

뺷十三經

(

譯註 뺷左傳

·

哀公

11

)

– 左传譯註뺸

,

上海

:

上海古籍出版社

, 2010.

遠東圖書公司 編

,

뺷漢語大字典뺸

1, 2

,

台北

:

遠東圖書公司

, 1995.

張玉金

,

뺷甲骨文語法學뺸

,

北京

:

學林出版社

, 2001.

中國社會科學硏究院言語硏究所古代漢語硏究室 編

,

뺷古代漢語虛辭辭典뺸

,

北京

:

商務印書館

, 2001.

左安民

,

뺷細說漢字뺸

,

北京

:

九州出版社

, 2008.

湯廷池 저

,

박종한 옮김

,

뺷중국어 변형 생성문법뺸

,

서울

:

학고방

, 1990.

河北省文物硏究所、定州漢墓竹簡整理小組 整理

,

뺷論語뺸

,

北京

:

文物出版社

, 1997.

何樂士

,

「뺷左傳뺸中的

字」

,

뺷古漢語論集뺸

2,

長沙

:

湖南教育出版社

, 1988.

鄭賢愛

,

「판단사

의 형성과정 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박사학위논문

, 2007.

韓京淑

,

「뺷論語뺸前置목적어구 의미구조 고찰」

,

뺷중국문학연구뺸

52,

한국중문학회

, 2013.

韓京淑

,

「뺷論語뺸

의미자질 분석」

,

뺷중국문학연구뺸

53,

한국중문학회

, 2013.

孫偉强

,

「뺷論語뺸中

字硏究」

,

뺷承德民族師專學報뺸

8, 2010.

*

이 논문은

2015

2

26

일에 투고되어

,

2015

3

9

일까지 편집위원회에서 심사위원을 선정하고

, 2015

3

26

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

2015

4

3

일 편집위원회에서 게재가 결정되었음

.

(19)

❙Abstract❙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Function of 뺷Lunyu뺸 in the “Ru” and “He”

30)

Han, Keungshuk*

Semantics is the concentrated body language, in order to study the language must start from the semantic. Because the semantics is the necessary factors of language. Therefore, through the study of melting in the syntax of lexical analysis, semantic structure and syntactic features of words, semantic feature to find the words. Distinguishing features and will find all words.

Analysis, grammatical analysis of

Lunyu

in the “Ru” and “He” of the semantic and syntactic was carefully examines the componential analysis and semantic structure by using the. Based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Ru” and “He” form of language features, sememe find “Ru” and

“He”. The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ifferent components through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the “Ru” and “He”.

[Key Words] ‘Ru’, ‘He’, Syntactic, semantic structure, case relation, semantic features, and then analysis, Feature selection

* Non-tenure track Assistant Professor, Dankook University

(20)

참조

관련 문서

④ 클라이언트의 과거 경험이 현재 심리 내적 혹은 사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⑤ 대상관계이론과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의 중심이라는 것은 그것의 외적 활동뿐만 아니라 내적 작용이 목표 지향적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생존을 유지하고, 자신의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언어 문화적 특징.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벡터를 정의하고 성질에 대하여 학습한다. 내적(점적)의 정의하고

An intrinsic, individual reward--- a sense of self fulfillment at work... 종업원 외적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 과 사회불안간의 관련성을 살펴, 아동기 외상경험으로 인한 내면화된

전술한 대로 미인에 대한 사랑과 예찬은 중국고전문학의 세계에서 매우 깊은 함의를 지니고 있듯이 중국고전문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들이 미인에 대해 찬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 학습영역 중 표현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기대가치 지각이 내적 동기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과제 지속행동에 정적인 영 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