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 뺷 뺸 에 나타난 미인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의 뺷 뺸 에 나타난 미인관"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3)최병규*

목 차

1.들어가는 말

2.미인에 대한 지극한 사랑 3. 미인의 정취와 교감에 대한 중시 4. 미인의 개념과 조건

5. 미인의 의의와 가치 6. 나오는 말

<국문초록>

장조의 뺷유몽영뺸은 우리 삶 속의 미에 대해 전문적으로 논한 빼어난 수필문학 으로 그 중 미인에 대한 담론은 이 책에서 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뺷유 몽영뺸의 미인론은 비록 다소 추상적이지만 미인의 개념과 조건을 비교적 구체적 으로 제시함으로써 중국고전문학 속 미인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린 점과 다른 중국문인들의 미인론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미인에 대한 사랑이 동정과 연민을 초 월해 존중과 숭배의 극치에 이른 점 등에 그 의의와 특징을 찾을 수가 있다. 뺷유몽 영뺸의 미인론은 만명시기 주정주의 사상의 영향 아래 탄생한 당시 일부 중국문인 들의 미인론을 계승하여 미인에 대한 사랑과 애호에서 출발하여 미인의 개념, 조 건, 의의, 가치 등 미인에 대한 전방위적 평론을 펼친 기이한 문장이다. 장조는 명 청시대 일부 문인들이 주장한 바와 같이 여색에 대한 탐미가 오히려 사람을 세속 적인 부귀영화와 탐욕으로부터 벗어나 초연하게 해준다는 ‘호색무악론’적 입장을 바탕으로 미인에 대한 심미적 평가와 함께 미인의 가치와 의의를 대단히 높이 평 가하고 있다. 본고는 뺷유몽영뺸 텍스트 속 장조가 미인에 대해 언급한 모든 내용들

* 안동대학교

(2)

을 근거로 하여 그가 제시한 이런 미인담론들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통해 그의 미 인관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자 노력하였다.

주제어 : 장조, 유몽영, 미인, 미인관, 호색, 정, 명청시대, 심미적, 위영, 열용편

1. 들어가는 말

미인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모든 인간들의 보편적 인 감정일 것이다. 그러나 그 어느 나라에서보다도 중국전통문화 속에서의 미인은 대단히 깊은 문화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그것은 중국고전문학 속 에서의 미인은 단순히 아름다운 외모의 미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상 당히 풍부한 상징적 의미와 사상적 內涵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楚辭에서도 잘 드러나듯 중국인들에게 있어 미인은 처음부터 단순 히 아름다운 외모의 여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답고 선한 인격체 의 상징이자1)실각한 선비문인들의 탈속적인 은거와 자유를 상징하는 정신 적 기탁으로 활용되었던 게 사실이다.2) 그런 까닭에 명청시대의 일부 문인 들은 여색에 대한 탐미가 오히려 사람을 세속적인 부귀영화의 탐욕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건전하고 고귀한 것이라고 보기도 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중국인들의 미인에 대한 예찬은 풍부한 정신적 내함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청대 초기의 인물 장조(1650~?, 활약시기 : 1676~1700)가 지은 뺷유몽영뺸은 우리 삶 속의 미에 대해 전문적으로 논한 빼어난 수필문학으로 정평이 나있

1) 아름다울 ‘美’라는 글자의 함의를 따지면 그것은 원래 선할 ‘善’자와 상통하는 것이다.

허신의 뺷說文解字뺸에서도 미와 선은 같은 의미라고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陳伯海, 뺷中國文學史之宏觀뺸, 北京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 51면 참조.

2) 이는 초사의 창시자 굴원이 향초와 미인을 통해 자신의 탈속적 은거와 자유를 노래한 것에서부터 비롯된 중국문학의 전통으로 이해될 수가 있다.

(3)

다. 그 가운데 미인에 대한 찬미는 이 책에서 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 다. 장조는 만명시기 李贄, 湯顯祖 등과 같은 진보적 사상가의 영향으로 개인의 개성과 욕망을 중시했는데, 미인에 대한 예찬과 사랑은 그의 이러한 사상적 배경을 잘 보여주고 있다.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장조의 미인관은 중국 인들이 미인에 대해 펼친 논의와 개념이 가장 구체적이면서도 가장 심미적 인 시대라고 할 수 있는 명청대 미인론의 대표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중요 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뺷유몽영뺸 텍스트 속 장조가 미인에 대해 언 급한 모든 내용들을 토대로 그가 제시한 미인에 관한 담론들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그의 미인관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2. 미인에 대한 지극한 사랑

전술한 대로 미인에 대한 사랑과 예찬은 중국고전문학의 세계에서 매우 깊은 함의를 지니고 있듯이 중국고전문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들이 미인에 대해 찬미하였다. 일찍이 離騷를 통해 어질고 고결한 대상의 비유로 향초 와 미인이 등장하였음은 우리가 주지하는 사실이다. 그런데 명청시대의 문 인 장조의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사랑과 예찬은 초사에서와 같이 현자나 군주와 같은 덕을 지닌 자에 대한 비유나 기탁의 개념에 입각한 추 상적인 예찬에서 더욱 발전하여 아름다운 여성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사랑 과 찬미의 성격이 강하였다. 말하자면 중국고대 초사문학에서 비롯된 비유 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된 미인예찬이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구체적인 미 인 즉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사랑으로 발전된 것이다.3)

3) 중국인들의 미인에 대한 예찬은 시대별로 변화하는 미인관을 보이는데, 이는 각 시대별 상이한 정치, 사회, 경제,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시대별 다른 여성미에 대해 개괄적 으로 논하면, 신화와 전설 속의 여신과 모성사회를 통해서 본 상고시대의 미인관은 여성 의 외형미보다는 생육능력에 대한 찬미가 돋보이고, 춘추전국시대의 미인관은 청신함과 활발함을 바탕으로 유교적 속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자연미와 건강미를 추구하였으며,

(4)

장조의 뺷유몽영뺸 속의 미인관은 우선 미인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들 수가 있는데, 그는 미인을 단지 쾌락과 욕정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심미적인 대상 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4) 이는 그가 미인 즉 佳人을 운치가 있는 韻人과 고결한 인품의 소유자인 高人과 같은 선상에 두고 사랑 하고 있음에서 알 수가 있으며, 장조의 미인에 대한 사랑은 단순히 미인의 미모에만 집착한 것이 아니라 미인이 지닌 韻味와 정취와 같은 정신적인 사랑을 바탕으로 한 미인의 정신적인 고상한 기질에 대한 찬미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5) 그러므로 그의 미인에 대한 사랑은 욕망의 충족을 뛰어넘어 삶의 경지를 고양하는 심미적인 고상한 차원으로 승화된 것이다.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장조의 미인에 대한 지극한 사랑은 심미적인 애호에서부터 연민과 동정으로 발전하고 더 나아가 존경과 숭배의 경지로까지 승화되었음을 알 수가 있는데, 이제 예문과 함께 그 사랑의 경지를 단계적으로 하나하나 짚어 보기로 하자.

1) 심미적 애호

전술한 바와 같이 뺷유몽영뺸 속의 미인에 대한 사랑은 심미적인 태도로 미인을 바라보고 이를 찬미하고 예찬함에 있다. 따라서 미인을 관능적이거 나 육감적으로 보는 색정적인 관점을 벗어나 예술적인 시각으로 여성을 바

한위시기의 미인관은 마른 몸매를 미의 기준으로 삼고, 자유와 방탕의 시대정신에 따라 여성의 요염함과 퇴폐함이 강조되었으며, 당대의 미인관은 부강, 풍요, 호방, 상무 정신 등을 바탕으로 女戒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움과 풍만한 여성미를 표현하였으며, 송원명청시대의 미인관은 덕만 중시하던 전통적 관념을 벗어나 문학과 예술에 더욱 가까 워지면서도 남성 중심의 변태미, 병태미, 유약미, 결함미를 많이 반영하게 된다. - 顧丞峰 主編, 뺷藝術中的女性뺸, 長春 : 吉林美術出版社, 2006, 7~60면 참고.

4) 명청문학에는 계몽주의 내지는 인성해방운동에 편승하여 인간의 욕정을 추구하는 저급 한 색정적 성향의 문학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뺷유몽영뺸은 이런 성향의 문학과는 차이가 있다.

5) 이 점은 뺷유몽영뺸이 초사에서 비롯된 중국의 전통적인 미인관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라보고 있다. 따라서 이런 미인에 대한 애호는 미인에 대한 존중심을 기반 으로 하고 있기에 여성을 物化시킨 것이라고는 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뺷유 몽영뺸 속의 미인은 운치가 있는 ‘韻人’이나 지조가 높은 ‘高人’과 같이 격이 있는 존재로 간주되고 있다. 그 예문을 보면,

꽃을 감상할 때에는 응당 미인과 함께 해야 하고, 달을 보며 술을 마실 때에는 마땅히 운치 있는 사람이 있어야 하며, 눈 오는 설경을 구경할 적에는 응당 세속 을 떠난 고매한 은사가 곁에 있어야 한다.(賞花宜對佳人; 醉月宜對韻人; 映雪 宜對高人.6))

눈을 보면 高士가 생각하고, 꽃을 보면 미인이 생각나고, 술을 보면 협객이 생각나고, 달을 보면 친구가 생각나고, 산수를 보면 멋진 시문이 생각난다.(因雪 想高士; 因花想美人; 因酒想俠客; 因月想好友; 因山水想得意詩文.7))

위 첫 번째 예문을 보면 가인, 운인, 고인이 같은 선상에서 삶의 격조를 높여주는 운치가 있는 대상으로 표현되었고, 두 번째 예문에서도 역시 미인이 고사, 협객, 호우, 시문과 같이 삶을 풍요롭게 하는 멋진 대상들과 함께 나열되 어지고 있다. 이는 뺷유몽영뺸의 미인에 대한 애호가 미인이 지닌 격조와 심미 적 아름다움에 그 바탕을 두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런 까닭에 다음의 예문에서 보듯 미인은 삶의 정취와 멋을 격상시키는 존재이기도 하다.

누각 위에서 산을 바라보고; 성 꼭대기에서 눈을 내려다보며; 등불 앞에서 꽃 을 쳐다보고; 배 안에서 아침저녁의 해와 노을을 감상하며; 달 아래에서 미인을 바라보는 것은 또 다른 정취를 자아낸다.(樓上看山; 城頭看雪; 燈前看花; 舟中 看霞; 月下看美人; 另是一番情景.8))

달 아래에서 선을 얘기하면 선취가 더욱 깊어지고; 달 아래에서 검을 논하면

6) 馮保善, 뺷新譯 幽夢影뺸, 臺灣 : 三民書局, 2015, 18면.

7) 같은 책, 40면.

8) 같은 책, 38면.

(6)

마음이 더욱 진실해지며; 달 아래에서 시를 논하면 풍취가 더욱 그윽해지고; 달 아래에서 미인을 대하면 정이 더욱 돈독해진다.(月下談禪, 旨趣益遠; 月下說 劍, 肝膽益真; 月下論詩, 風致益幽; 月下對美人, 情意益篤.9))

이상의 예문을 통해 우리는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심미적 애호 는 정취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즉 달 아래에서 미인을 대하 는 것은 누각 위에서 산을 보거나 배 안에서 아침저녁의 노을을 바라보며 느끼는 등과 같은 삶의 무한한 정취를 선사한다는 것이다.

2) 호색과 다정

인간의 정상적인 정과 욕에 대한 긍정과 추구는 중국 명말 선진적 사상 을 지닌 문인들에게 나타난 보편적인 추구였다. 따라서 욕망과 쾌락의 추구 와 같은 인간의 욕정에 대한 긍정은 자연히 호색으로 이어졌는데, 명말 문 인들은 정주 이학으로 그 동안 억제되었던 호색을 정당시하며 이른바 ‘호색 무악론’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10) 명말청초의 작가 장조의 뺷유몽영뺸에도 이런 사상이 드러나고 있다.

술은 좋아해도 되지만 그로 인해 사람을 욕해선 안 되고, 색은 좋아해도 되지만 그로 인해 몸을 망쳐서는 안 되며, 재물은 좋아해도 되지만 그 때문에 양심을 팔아선 안 되며, 화는 내어도 되지만 정리에 어긋나면 안 된다.(酒可好不可罵座, 色可好不可傷生, 財可好不可昧心, 氣可好不可越理.11))

9) 같은 책, 100면.

10)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유명한 만명문인들 가운데에는 다분히 세속적이라고 할 만큼 욕정과 쾌락을 추구하는 성향이 적지 않았으며, 특히 그 동안 금기시되었던 여성과 미인 에 대한 예찬을 마음껏 펼치며 자신의 호색(?)을 떳떳이 밝혔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로 衛泳을 꼽을 수가 있다.

11) 같은 책, 143면.

(7)

위 인용문에서는 술(酒), 여색(色), 재물(財), 화(氣)와 같은 전통적인 금 기사항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그것을 긍정하며 마음껏 추구해도 무 방함을 얘기하고 있다. 다만 그로 인해 화를 불러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마음 껏 즐기면 된다는 논리이다. 사실 중국전통문화 속에서 ‘酒色財氣’는 언제 나 사람을 파멸의 길로 이끄는 도화선임을 강조해왔으며, 항상 그로 인한

‘패가망신’을 환기시켰던 것이 사실이었다.12)그러나 만명의 일부 문인들은 이런 도덕적 논조에 반대하며 인간의 욕정을 최대한 추구하고자 노력하였 다.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장조의 호색관도 몸을 망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얼마든지 호색을 탐해도 무방함을 얘기하였으니, 정신적인 정취를 중시하는 그의 심미적 여성관과는 다소 차이가 느껴지는 듯하지만, 정과 색의 관계를 토로한 다음의 예문을 통해 뺷유몽영뺸의 호색관은 진일보 드러나고 있다.

정이 많은 자는 반드시 색을 좋아하지만 색을 좋아하는 자가 모두 정이 많은 것은 아니다; 아름다운 여자는 모두 복이 박하지만 복이 박한 여자들이 모두 아름 다운 것은 아니다; 시에 능한 자는 반드시 술을 좋아하지만 술을 좋아하는 자들이 모두 시에 능한 것은 아니다.(多情者必好色, 而好色者未必盡屬多情; 紅顏者必 薄命, 而薄命者未必盡屬紅顏; 能詩者必好酒, 而好酒者未必盡屬能詩.13))

즉 위 인용문을 통해 우리는 뺷유몽영뺸이 호색을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을 알 수가 있는데, 하나는 ‘색만 좋아하고 정이 없는 것’과, 다른 하나는

‘정을 기반으로 한 호색’이다. 이는 뺷유몽영뺸의 ‘호색과 다정의 관계’를 잘 말해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정하면 자연히 호색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정상적이며, 다만 정이 없이 호색을 하는 자가 문제일 뿐이라는 것을

12) 이를테면 중국고전통속소설 삼언은 정당한 욕정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찬 미하는 경향이 농후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삼언애욕소설들은 <西江月> 詞를 통해 이런 무분별한 ‘주색재기’에 대한 경계와 그에 의한 패가망신의 사례도 대단히 많이 보여주고 있음이 사실이다.

13) 같은 책, 153면.

(8)

암시하고 있다. 이는 정을 기반으로 한다면 호색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는 논리로 당시 만명시기 선진적 문인들의 보편적 사고형태였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14)요컨대 뺷유몽영뺸의 호색관은 호색을 추구하되 욕정을 기반으 로 하지 않는, 정신적인 정을 바탕으로 해야 함을 알 수가 있는데, 이는 앞서 논의한 뺷유몽영뺸의 심미적 미인관과도 크게 상충하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3) 연민과 동정

뺷유몽영뺸의 미인에 대한 사랑은 단순한 애호를 넘어 연민과 동정의 마음 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여성에 대한 연민 소위 ‘憐香惜玉’의 情은 고래로 부터 중국문인들이 시가를 통해 종종 표현한 독특한 심리현상의 하나이다.

이는 주로 남편에게 버림받은 나그네의 처에 대한 연민이나 부부간의 이별 의 정한을 남성 시인이 여성적인 어조로 연민과 동정의 태도로 지은 것인 데, 이는 중국전통시가에 나타난 독특한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여성 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심리는 중국전통문화에 내재된 도가적 여성숭배문 화의 전통과 중국전통문학에 나타난 여성애호현상과 여성화경향 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15)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이런 연민과 동정의 태도도 그 근원을 따지면 중국전통시가에 나타난 이런 ‘여성문화’ 전통이 산문문학으로 확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14) 뺷홍루몽뺸에서 가보옥을 통해 추구하는 호색의 경지도 바로 정을 기반으로 한 호색의 경지로 이해할 수가 있다. 뺷홍루몽뺸 제5회에서 경환선고가 제시한 “情而不淫(정은 쏟 되 육체적 음란한 짓은 하지 않는다)”의 경지는 바로 가보옥의 정신적인 호색의 경지를 반어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물론 이는 뺷유몽영뺸의 호색의 경지와 다소 차이가 있지 만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다시 말해 뺷유몽영뺸에서의 호색은 정신적인 호색과 육체적 인 호색의 가치 차이를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여하튼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정을 바탕으로 한 이런 격조 있는 호색은 이후 뺷홍루몽뺸과 같은 정을 바탕으로 한 양성관계 의 중요성을 제시한 소설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5) 이를테면 작품을 통해 향초미인의 형식을 애용한 초사문학은 남성 시인이 자신을 버림 받은 미인에 비유하며 여성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심리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중국전통 문학의 여성애호현상과 여성화 경향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9)

연민과 동정의 심리를 반영한 예는 다음과 같다.

꽃은 쇠락함을 차마 볼 수가 없고, 달은 침몰함을 차마 볼 수가 없으며, 미인 은 요절하는 것을 차마 볼 수가 없다.(花不可見其落, 月不可見其沉, 美人不可 見其夭.16))

좋은 꽃을 사면 그것을 아끼고 사랑해주는데 하물며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미인 에게는 어떠하겠는가!(買得一本好花, 猶且愛憐而護惜之, 矧其爲解語花乎?17)) 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미인을 사랑하면 또 다른 정취를 느낄 수가 있고; 미인 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꽃을 사랑하면 꽃에 대한 사랑과 연민의 정이 더욱 깊어질 것이다.(以愛花之心愛美人, 則領略自饒別趣; 以愛美人之心愛花, 則護惜倍有 深情.18))

이상의 인용문을 보면 작가가 꽃과 달과 미인을 같은 선상에 두고 찬미 하고 있는데, 이는 한마디로 작가의 미인에 대한 사랑과 연민의 정이 아름 다운 생명이 다하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연민의 심정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미인에 대한 이런 연민의 정은 재자에 대한 아낌의 정과 도 일치하는데, 다음의 인용문은 중국인들에게 재자와 가인은 마치 군자와 요조숙녀와의 결합처럼 최적의 짝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천하에 책이 없으면 몰라도 있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고; 술이 없으면 몰라도 있다면 반드시 마셔야 하며; 명산이 없다면 몰라도 있다면 반드시 유람을 해야 하며; 꽃이 없다면 몰라도 있다면 반드시 감상해야 하며; 재자가인이 없다면 몰라 도 있다면 반드시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天下無書則已; 有則必當讀; 無酒則 已, 有則必當飲; 無名山則已, 有則必當遊; 無花月則已, 有則必當賞玩; 無才 子佳人則已, 有則必當愛慕憐惜.19))

16) 같은 책, 135면.

17) 같은 책, 199면.

18) 같은 책, 42면.

19) 같은 책, 190면.

(10)

위 인용문에서 재자와 가인을 같은 선상에서 논함은 중국문화 속에서의 가인이 재기가 넘치는 남성인 재자와 동격임을 알 수가 있다. 지적인 남성인 재자의 짝으로 덕이 있는 현숙한 여성 즉 현녀나 지식이 풍부한 재녀와 결합 시키지 않고 미모가 뛰어난 가인을 최고의 결합으로 맺음은 중국전통문화의 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남성의 재기와 함께 여성의 미모를 중시하 는 당시 명청시대의 문화적 특성의 한 면모를 잘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20)

4) 존경과 숭배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지극한 사랑의 감정은 최종적으로는 존 경과 숭배로까지 이어졌는데, 이는 그 사랑이 얼마나 깊은 지를 단적으로 잘 말해주고 있다.

나는 일찍이 무차대회를 한번 열려고 했는데, 하나는 역대의 재자들을 위해서 이고, 하나는 역대의 가인들을 위해서이다. 진정한 고승을 만나면 법회를 실시하 고자 한다.(予嘗欲建一無遮大會, 一祭曆代才子, 一祭曆代佳人. 俟遇有真正 高僧, 即當爲之.21))

위 인용문에서 뺷유몽영뺸의 작자는 현세에서 그간 무수한 핍박을 겪은 중

20) 주지하다시피 명청시대 문학의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재자가인 소설이 크게 유행한 것과 자유와 성령을 중시한 풍류재자들이 대거 등장한 점이다. 재자가인 소설은 오래 전부터 중국소설의 주요 題材였지만 명청시대와 같이 우후죽순처럼 대거 출현한 시대는 일찍이 없었다. 재자가인 소설은 재자와 가인의 결합을 얘기하고 있는데, 여기서 재자는 재기가 넘치는 남성이지만 가인은 단순한 미인이 아니라 才, 色, 情 삼박자를 모두 갖춘 개성 넘치는 미인이었다. 그리고 만명시기에는 정주이학의 기풍에 반대하며 인간의 욕정 과 자유, 그리고 개성과 성령을 추구하던 풍류재자들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이런 만명문 인들의 등장은 자연히 聲色에 대한 추구로까지 이어졌으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호색을 긍정시하고 미인을 중시하는 풍조가 자연히 만연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명청시대 문학에 나타난 미인은 단순히 외모만 아름다운 여성이 아니란 점이다.

21) 같은 책, 225면.

(11)

국 역사상의 수많은 재자와 가인들이 저세상에서는 평안한 안식을 얻도록 그들의 영혼을 달래는 의식인 이른바 무차대회를 열어 그들의 명복을 빌고 한을 풀어주고자 하고 있으며, 그것도 형식상 치르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고승을 찾아 제대로 한번 진행하고자 하는 마음을 표하였다. 이는 재자가인 에 대한 작자의 아낌과 존중의 정이 얼마나 진지하고 깊은지를 단적으로 잘 보여주는 예로, 재자가인에 대한 작자의 진정한 아낌과 존중의 정이 없 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거기다 미인에 대한 작자의 존중과 숭배의 정은 다 음의 인용문에서 극대화된다.

재자가 재자를 만나면 언제나 그 재기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 미인 이 미인을 만나면 반드시 그 아름다움을 아끼는 마음이 없다. 나는 원컨대 내세 에 절대가인으로 태어나 그 상황을 반전시키고 난 후에 기뻐하게 되길 바란다.

(才子遇才子, 每有憐才之心; 美人遇美人, 必無惜美之意. 我願來世托生爲絕 代佳人, 一反其局而後快.22))

위 인용문을 보면 작자는 아예 내세에서는 자신이 남성이 아니라 직접 절세가인으로 태어나 그 동안 동료미인들에게 푸대접 받던 중국의 미인들 에게 아낌없는 동정과 연민의 정을 표하겠다는 바람을 얘기하고 있다. 정말 기발하고도 진정이 느껴지는 열정적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이는 가인에 대 한 존중의 마음이 숭배의 지경에까지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따라서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이런 농후한 여성주의적 성향은 마치 스스로 남성으로 태어났음을 부끄러워하면서 여성을 극도로 숭배하는 뺷홍루몽뺸 속 가보옥 의 경지를 연상하게 만든다.23)

22) 같은 책, 224면.

23) 주지하는 바와 같이 뺷홍루몽뺸 속의 가보옥은 여섯 살에 이미 진흙으로 만든 남성은 추하고 역겨운 존재인 반면 여성은 물로 만들어진 깨끗한 영혼을 지녔음을 지적하였으 며, 賈母도 밝혔듯이 이 소설 속 남주인공 가보옥은 남성으로 태어남을 부끄러워하는 여성화된 인물임을 알 수가 있다.

(12)

3. 미인의 정취와 교감에 대한 중시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관의 특성 중의 하나는 바로 미인의 정취와 교감 에 대한 중시이다. 명청문인들이 중시하는 문학 내지는 삶의 풍격 가운데 가장 중시하는 것 중의 하나라면 ‘정취’를 꼽을 수가 있다. 정취는 쉽게 말 하면 사람마다 지닌 멋과 개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명청시대 문인들은 천편 일률적인 성리학적 삶을 지양하면서 개성을 중시하였는데 정취는 바로 이 런 개성을 뜻하기도 한다.

예교 밖에 살아가는 사람들(승려나 도사 등을 지칭)은 술을 꼭 끊을 필요가 없지 만 반드시 속됨을 경계해야 하고; 여자는 문장에 꼭 능통할 필요가 없지만 반드시 정취가 있어야 한다.(方外不必戒酒, 但須戒俗; 紅裙不必通文, 但須得趣.24))

위 인용문은 승려나 도사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규율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속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고,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문장력 (내지는 학식 혹은 재기)이 아니라 정취가 있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과 거 유교문화 속의 여성에 대한 요구는 원래 재기를 경계하고 덕을 중시하 는 이른바 ‘女子無才便是德(여자는 재주가 없는 것이 바로 덕이다)’ 라는 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명말에 이르면 이런 성리학적 관념에 대한 반 발로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덕이 아닌 재기를 중시하는 풍조가 팽배해 졌다. 재자가인 속의 여주인공들이 대개 모두 재기가 출중한 여성이었던 것 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가 있다. 그런데 뺷유몽영뺸에서는 여성의 학식이 나 재기보다도 오히려 정취를 더 중시하였으니, 이는 뺷유몽영뺸의 특이한 관 점이 아닐 수 없다. 즉 뺷유몽영뺸은 여성의 미모를 중시하여 미인을 숭상하 였지만, 학식이 넘치며 정취가 없는 미인보다는 차라리 학식은 출중하지 못 해도 정취가 있는 미인을 더 숭상하고 있다. 여성의 정취에 대한 중시는 그

24) 같은 책, 95면.

(13)

의 여성관이 지적인 여성보다 감성적인 여성을 더 선호하고 있음을 말해주 고 있다. 이런 정취에 대한 중시는 미인이 꽃과 같이 단순히 아름다운 외모 를 지닌 존재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개성을 지니면서 재자와 서로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존재여야 함을 다음 인용문은 얘기하고 있다.

미인이 꽃보다 나은 점은 사람의 마음을 이해함에 있고; 꽃이 미인보다 나은 점은 향기를 자아냄에 있다. 이 둘을 모두 얻을 수가 없다면, 차라리 향이 있는 꽃을 버리고 마음을 이해하는 미인을 택하리라.(美人之勝於花者, 解語也; 花之 勝於美人者, 生香也. 二者不可得兼, 舍生香而取解語者也.25))

위 인용문은 뺷유몽영뺸이 추구하는 미인이 화병 속에 꽂힌 단순히 아름다운 외모만을 지닌 미인이 아니라 정취를 지니면서 남성들과 상호 허물없이 얘기 할 수 있는 미인임을 잘 말해주고 있다.26)이는 오직 婦德만을 고수하며 남성들과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아가던 중국 전통 유교문화 속의 전통적 여성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미인이라고 할 수 있다. 명청문학 속에 나타난 여성이나 미인들은 종종 전통적인 사상을 벗어나 자유로이 남성들과 함께 상호 교감하며 의기투합하는 진정한 知己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미인이 바로 뺷유몽영뺸이 추구하는 미인일 것이다. 이를테면 뺷부생육 기뺸 속 진운이나 뺷홍루몽뺸 속의 임대옥과 같은 여성들이 그런 부류라고 할 수 있다.27)

25) 같은 책, 43면.

26) 명말청초의 재자가인 소설 가운데 뺷玉嬌梨뺸에서 남주인공 蘇友白이 말하길. “재기가 있으나 예쁘지 않으면 佳人이 될 수 없고; 미모는 있어도 재기가 없어도, 가인이 될 수 없다; 비록 재기와 미색을 갖추어도 나 소우백과 더불어 애틋한 정을 나누지 않으면 그 역시 나 소우백의 가인이 될 수 없다.(有才無色, 算不得佳人; 有色無才, 算不得佳 人; 卽有才有色, 而與我蘇友白無一段脉脉相關之情, 亦算不得我蘇友白的佳人.)”

라는 말도 상호 감정이 통하는 정취가 있는 미인에 대한 선호를 말해주고 있다. - 何滿 子, 李時人 主編, 뺷明淸小說鑑賞辭典뺸, 抗州 : 浙江古籍出版社, 1994, 523면 참조.

27) 진운이나 임대옥은 모두 전통적인 여성의 모습이라기보다는 당시의 법도에 구애받지

(14)

4. 미인의 개념과 조건

전술한 바와 같이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장조의 미인관은 중국인들이 미인 에 대해 펼친 논의와 개념이 가장 구체적이면서도 심미적인 시대라고 할 수 있는 명청시대 미인론의 대표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바로 다음의 인 용문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른바 미인이란 달과 같은 외모, 새와 같은 목소리, 달과 같은 정신, 버들과 같은 몸매, 옥과 같은 기골, 눈과 같은 피부, 가을 강물과 같은 자질, 시와 같은 심령과 정감을 지녀야 한다. 그 외에는 다른 흠을 잡을 데가 없다.(所謂美人者 : 以花爲貌, 以鳥爲聲, 以月爲神, 以柳爲態, 以玉爲骨, 以冰雪爲膚, 以秋水爲姿, 以詩詞爲心. 吾無間然矣.28))

위 인용문을 통해 장조는 미인의 개념에 대해 외형적인 자질 외에 정신 적 특질에 대해 추상적이지만 비교적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미인이 란 외형적으로는 “달과 같은 외모”, “새와 같은 목소리”, “버들과 같은 몸 매”, “옥과 같은 기골”, “눈과 같은 피부” 등을 지녀야 하며, 정신적인 기질 로는 “달과 같은 정신”, “가을 강물과 같은 자질”, “시와 같은 심령과 정감”

을 지녀야 함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버들과 같은 몸매”와 “옥과 같은 기 골”, 그리고 “새와 같은 목소리”와 “눈과 같은 피부”는 중국고전문학에서 종종 얘기하는 미인의 외형적 모습이라 그리 특별한 것은 아니라고 할지라 도, 압권은 “달과 같은 정신”과 “가을 강물과 같은 자질”, 그리고 “시와 같 은 심령과 정감”이라는 정신적 자질에 관한 말이다.29)그 중에서도 가장 핵

않는 자유분방하고 나름대로의 개성을 지닌 미인들이었다. 그런 까닭에 이들은 남주인 공 심복, 가보옥과 더불어 상호 마음으로 교감하는 진정한 지기가 될 수 있었다. 심복은 자신의 부인 진운을 진정한 지기로 칭하였고, 가보옥 역시 대관원의 수많은 여성 가운데 자신과 마음으로 교감할 수 있는 진정한 지기는 오직 임대옥 뿐이었다고 할 수 있다.

28) 같은 책, 158면.

29) 청대 초기의 저명한 문학비평가 張竹坡(1670.9.9~1698.10.18)는 장조의 이 인용문에

(15)

심적인 문구는 “시와 같은 심령과 정감”이라는 구절이다. 이는 미인이란 시 적인 정감과 심령을 지녀야 함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예술적인 감성과 마음 을 지녀야 함을 뜻한다.

그러나 다음 인용문을 보면 이런 미인의 개념은 사실상 어느 한 마디로 명명할 수 없고, 어느 일정한 표준을 내세우기도 어려움을 동시에 지적하였다.

산의 색, 물의 소리, 달의 색, 꽃의 향, 문인의 신운과 기질, 미인의 아름다운 자태 등은 모두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가 없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도 없다. 이 는 실로 사람의 마음을 아득하게 하고 넋을 잃게 만든다.(山之光; 水之聲; 月之 色; 花之香; 文人之韻致; 美人之姿態; 皆無可名狀, 無可執著. 真足以攝召魂 夢, 顛倒情思!30))

여기서 작자는 미인의 구체적인 모습이나 개념은 어느 특정한, 한정된 개 념으로 국한시키기 어려움을 얘기하고 있다.31) 이는 마치 문인의 신운과 기질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것과 같음에 비유하였다. 따라서 뺷유몽 영뺸의 미인에 대한 개념, 즉 미인관은 획일적인 가치를 추구하던 기존의 유 가적 개념의 산물인 ‘현모양처’와 같은 고정된 형태가 있는 것도 또 고정적 인 미인의 정형도 있는 것이 아니라 여성 각 개인 나름대로의 다양한 아름 다운 개성과 정취를 지니면 바로 미인이 될 수 있음으로 해석될 수가 있다.

이런 뺷유몽영뺸의 미인관은 사실 위진 이래로 여성의 미모는 물론, 여성의

대해 “미인을 논함에 있어 詩詞의 마음을 지녀야 함을 얘기한 것은 일찍이 그 누구도 제시하지 못한 점이다(論美人而曰以詩詞爲心, 眞是聞所未聞.)”라는 평을 하며 칭찬 을 하였다. - 馮保善, 뺷新譯 幽夢影뺸, 臺灣 : 三民書局, 2015, 159면.

30) 같은 책, 39면.

31) 이 점에 있어 뺷유몽영뺸의 미인관도 여성의 미추는 절대적인 기준이 없을 뿐 아니라 일정한 기준도 없다(“大抵女子好醜無定容, 惟人取悅, 悅之至而容亦至, 衆人亦收國土之 享.” -뺷悅容編뺸) 라는 위영의 논조와 유사하다. 사실 미추를 판단하는 데에 명확하고도 변하지 않는 기준 따위는 있을 수가 없으며, 인종이나 종족의 미추에 대한 판단 속에는 문화 간의 권력관계가 불가피하게 개재되기도 한다. - 장징 지음, 이목 옮김, 뺷중․일 미인의 비교문화사 - 미녀란 무엇인가뺸, 뿌리와이파리, 2004, 18면 참고.

(16)

신운과 우아한 기질을 중시하는 중국의 전통적인 미인관을 계승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또 미인에 대한 담론이 비교적 자유로웠을 뿐 아니라 성리학 적 여성담론으로부터 해방을 추구하던 명청시대의 미인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32)다시 말해 명청시대의 문인들은 전통적 이상형인 현모 양처가 아닌 멋과 정취가 있는 개성적인 미인을 추구하였는데, 뺷유몽영뺸의 미인관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어질 수가 있다.

그러나 미인을 지극히 사랑하고 존중하며 숭배하는 이런 뺷유몽영뺸의 미 인관도 아름다운 미인에 모든 것을 다 걸지는 않았다. 아름다운 미인도 현 숙한 여성만 못하다고 말하기도 하였으니 이는 청대의 이성적 사고의 반영 인 듯하다.

아름다운 첩은 현숙한 처만 못하고, 재물이 많음은 처지가 순조로움만 못하 다.(妾美不如妻賢, 錢多不如境順.33))

즉 정을 부르짖던 명말의 감성적인 사회 분위기는 청초에 이르면 다시 이성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명청지간의 많은 문인들은 명말 자신의 젊은 시 절 치정적인 삶을 반성하고 ‘情理合一’의 각성적 삶으로 돌아가는데34), 뺷유 몽영뺸의 작가 장조도 이런 분위기에서 벗어나진 못한 것이다.35)

32) 이에 대한 참고로 앞의 주3)을 참조.

33) 같은 책, 147면.

34) 이에 대해서는 郭英德, 뺷癡情與幻夢뺸, 北京 : 三聯出版社, 1992, 37면 참조.

35) 장조는 시대적으로 보아 만명의 문인 이지와 탕현조, 풍몽룡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시에 또 청초의 철학가 황종희, 고염무, 왕부지 등의 사상적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는 뺷유몽영뺸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가 있는데, 그가 책 속에서 經, 史, 子, 集의 각 종류의 서적들의 讀法에 대해 논의하며 博學을 바탕으로 博證, 致用을 중시한 점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이는 그가 만명문인들의 주정주의적 사상 외에도 중용과 이성 주의의 정신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말해준다. - 이에 대해서는 앞의 책 馮保善, 뺷新譯 幽夢影뺸, 4면, 9면 참조.

(17)

5. 미인의 의의와 가치

앞에서 본대로 청대 문학가 장조는 뺷유몽영뺸에서 미인을 꽃과 달에 비유 하며 사랑하고 예찬하였는데, 이는 정과 욕망을 중시하던 만명시대 문인들 의 주정주의 사상의 계승이다.

정이라는 것은 세상을 지탱하는 요인이고; 재라는 것은 세상을 아름답게 해주 는 요인이다.(情之一字, 所以維持世界; 才之一字, 所以粉飾乾坤.36))

장조는 정의 가치에 대해 그것이 세상을 지탱하는 요인으로 해석하였는 데, 이는 분명 풍몽룡이 뺷情史뺸 序에서 세상에 정이 없다면 모든 사물들이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는 논조37)와 거의 일맥상통한다. 뺷유몽영뺸뺸의 미인에 대한 사랑은 아름다운 것에 마음이 끌리는 정의 자연스러운 발로라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문장에서 정이 세상을 지탱하게 하는 요인이라 면 才는 바로 세상을 아름답게 해주는 요인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바로 재 기를 지닌 재자는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요인이란 뜻이고, 재자가인을 하나 로 보는 뺷유몽영뺸의 논조로 볼 때 가인 역시 세상을 아름답게 해주는 요인 으로 풀이될 수가 있다. 이런 논리는 바로 다음의 인용문에서도 이어진다.

만약 시와 술이 없다면 산수는 무늬만 있는 헛된 것이고; 만약 아름다운 미인 이 없다면 꽃과 달도 모두 헛된 것이 되고 만다.(若無詩酒, 則山水爲具文; 若無 佳麗, 則花月皆虛設.38))

36) 같은 책, 184면.

37) 天地若無情, 不生一切物. 一切物無情, 不能環相生. 生生而不滅, 由情不滅故. ……

萬物如散錢, 一情爲線索. 散錢就索穿, 天涯成眷屬. - 馮夢龍, 뺷情史뺸, 北京 : 中國廣 播電視出版社, 2005, 1면.

38) 같은 책, 215면.

(18)

뺷유몽영뺸은 세상에 시와 술이 없다면 그 아름다운 산수도 헛된 것이 되고, 세상에 아름다운 미인이 없다고 한다면 그 아름다운 꽃과 달도 모두 헛된 것이 되고 만다고 하였다. 이것은 바로 만약에 미인이 없다면 우리들에게 아름다운 정취를 주는 꽃과 달과 같은 아름다운 자연도 아무런 의의가 없다는 말로 해석되는데, 이는 바로 미인의 의의와 가치를 얘기하고 있는 말이다.

요컨대 위 인용문의 말들을 종합하면 뺷유몽영뺸은 미인이야말로 세상을 아름답게 하고, 삶에 미와 정취를 더해주는 의의와 가치를 지닌 것으로 보 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미인과 더불어 인생을 즐기는 이런 樂은 부귀공 명과 같은 세속적인 탐욕에서 벗어나야만 비로소 만끽할 수 있는 것임을 다음 인용문을 통해 기술하고 있다.

산림에 은거할 수 있는 낙이 있어도 그것을 알지 못하는 자는 어부, 나무꾼, 농부, 승도들이며; 원림, 정자, 아름다운 처첩들을 소유하는 낙이 있어도 그것을 누릴 수가 없고 또 잘 누리지도 못하는 자는 부유한 상인들과 높은 벼슬의 관리 들이다.(有山林隱逸之樂而不知享者, 漁樵也, 農圃也, 緇黃也; 有園亭姬妾之 樂, 而不能享, 不善享者, 富商也, 大僚也.39))

위 인용문은 아름다운 산수와 늘 같이 하지만 그것을 즐기는 여유와 식 견, 그리고 정취가 없으면 산림에 은거하는 낙을 누리지도 못하듯, 아름다 운 미녀 처첩들이 많아도 돈을 많이 버는데 혈안이 되어 있거나 높은 벼슬 자리에 앉아 골치 아프게 정치에 깊이 관여한다면 이런 낙을 즐기지도 못 함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는 부귀공명을 버리고 미인과 더불어 담백한 삶을 누리는 것이 곧 인생의 樂임을 간접적으로 얘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뺷유몽영뺸에 나타난 미인에 대한 가치는 다음의 인용문에서 단적으로 잘 드러난다.

39) 같은 책, 160면.

(19)

재자로서 인물이 뛰어나고, 가인으로서 문장에 뛰어나면 반드시 장수하지 못 한다. 이는 조물주의 시기를 받을 뿐 아니라 이런 사람들은 원래 한 시대의 보배 일 뿐 아니라 고금을 통틀어 만대의 보물이기 때문에 인간 세상에 머물러 세인 들에게 더럽혀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才子而美姿容, 佳人而工著作, 斷不能 永年者, 匪獨爲造物之所忌. 蓋此種原不獨爲一時之寶, 乃古今萬世之寶, 故 不欲久留人世取褻耳.40))

이는 장조의 뺷유몽영뺸이 미인을 재자와 동일시하여 만대의 보물로 여기 면서 역대 그 누구의 미인론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미인의 가치를 극대 화하며 그것을 보배시하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6. 나오는 말

중국문학사에서 미인에 대해 심미적이고 계통적으로 논술한 것은 명말청 초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衛泳(생몰연도 미상, 활동 시기 : 1643~1654)의 뺷悅容編뺸이나 李漁(1611~1680)의 뺷閑情偶記뺸란 책 은 이 방면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가 뺷한정우기뺸 속의 「聲容部」

篇을 통해 주로 미인의 외형적인 아름다움에 대해 논했다면41)위영은 여성의 자태와 기질, 그리고 남녀 간의 교감을 중심으로 한 정신적 특질에 대해 논의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위영의 뺷열용편뺸은 이 방면의 선도적 역할을 한 초기 대표작에 속한다.42)위영은 뺷열용편뺸을 통해 미인에 대한 전방위적인

40) 같은 책, 216면.

41) 이어는 뺷한정우기뺸 「성용부」에서 여성의 選姿(외모), 修容(미용), 治服(옷입기), 習技 (문화적 소양) 네 부분에 대해 논하였으며, 또 여성의 외모에 있어서는 肌膚(피부), 眉眼 (눈), 手足(수족), 態度(태도-기질)의 네 분야로 나눠 서술하였다.(李漁, 뺷閑情偶寄뺸, 北京 : 作家出版社, 1996, 118~165면.) 뺷한정우기뺸에서 이어는 미인의 조건으로 그 무엇 보다도 문화적 소양과 기질의 미를 가장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이 책을 통해 미인의 외형적 조건에 대한 구체적 언급에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20)

‘專論’을 펼쳤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는 대장부가 공명과 절개로 세상에 나아가지 못한다면 부득이 미인에 정을 쏟아 울분을 기탁할 따름이라고 하였 다.43)누차 과거시험에서 실패하면서 미인의 가치와 의의를 심미적으로 서술 한 장조의 미인관도 위영의 이런 미인관을 계승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장조는 상당 부분 산실된 위영의 저술들 가운데 뺷열용편뺸을 모아 자신이 편찬한 뺷昭代丛书뺸란 책 안에 수록함으로써 그것이 널리 알려지게 하였으니, 장조의 뺷소대총서뺸가 아니었다면 뺷열용편뺸과 같은 저술들은 이미 유실되었을 것이다. 이런 면에서도 장조의 공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뺷유몽영뺸의 미인론은 대체적으로 말해 역대 중국문인들의 미인론을 계 승하여 미인에 대한 연민과 존중의 마음을 바탕으로 심미적인 태도와 관점 에서 미인을 논한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역대 미인론에서 뺷유몽영뺸이 지닌 의의와 가치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될 수가 있다.

첫째, 미인에 대한 사랑이 동정과 연민을 초월해 존중과 숭배의 극치에 이른 점을 꼽을 수가 있는데, 이는 다른 중국문인들의 미인론에서 찾아보기 힘든 경지이다. 전술하였듯이 장조는 뺷유몽영뺸을 통해 자신의 소원이 바로 내세에는 아예 절세미인으로 태어나 그간 서로 배척되고 무시되었던 가인 들에게 동정과 연민의 정을 듬뿍 쏟아주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바로 여성에 대한 존중과 숭배의 경지를 넘어 어떤 의미에선 ‘여존남비’적 사상 까지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뺷유몽영뺸의 이런 미인 예찬론은 여성인 미인 을 이상적 남성인 재자와 같은 선상에 두면서 양자를 동일시하는 관점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의 이런 미인예찬은 작가 자신과 같은 재자에 대

42) 위영의 생애에 대해서는 이어와는 달리 알려진 바가 매우 적은데, 단지 그가 長洲(지금 의 蘇州) 사람이며, 뺷古今文集뺸이란 책을 편찬한 것만 전해지고 있다. 위영의 생애와 저작에 관한 자료는 金榮, 뺷四庫全書總目뺸, 北京 : 中華書局, 1965, 1129면과 張慧劍, 뺷明清江蘇文人年表뺸, 上海 : 上海古籍出版社, 1986, 571~661면 참조.

43) “丈夫不遇知己, 滿腔真情, 欲付之名節事功而無所用, 不得不鍾情於尤物, 以寄其 牢騷憤懣之懷.” - 衛泳:뺷悅容編뺸, 뺷香豔叢書뺸 卷一, 上海書店影印本, 1991, 77면.

(21)

한 연민의 마음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둘째, 호색에 대해 정을 바탕으로 한 정신적인 호색과 정이 없는 육체적 인 호색으로 분리하여, 정이 없이 욕정만 있는 육체적인 호색과 구분되는, 정을 바탕으로 한 차원 높은 정신적 호색의 경지에 주목하였다. 이는 뺷유몽 영뺸이 비록 정신적 양성관계의 중요성을 극구 제창한 것은 아니라 할지라 도 양성관계에 있어 호색을 추구하되 욕정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정신적인 정을 바탕으로 해야 함이 옳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뺷유몽영뺸에 의 하면 건강을 해칠 정도가 아니면 마음껏 호색에 탐닉함도 무방하지만, 이상 적인 호색은 정을 바탕으로 해야 함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뺷유몽영뺸의 이런 호색관은 향후 양성관계 속 정신적 교류의 가치를 주장한 소설의 등 장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셋째, 뺷유몽영뺸은 비록 다소 추상적이지만 미인의 개념과 조건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중국고전문학 속 미인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내 렸다고 할 수가 있다. 사실 중국고전문학 속에는 예로부터 미인을 가송한 수많은 문장들이 있지만 미인의 정의나 개념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한 문장 은 그리 많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뺷유몽영뺸은 미인의 정의와 개 념에 대해 다소 추상적이지만 그래도 비교적 구체적이면서 동시에 매우 아 름답고 간결한 시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이어의 뺷한정우기뺸나 위영의 뺷열용편뺸과 구분되는 뺷유몽영뺸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顧丞峰 主編, 뺷藝術中的女性뺸, 長春 : 吉林美術出版社, 2006, 7~60면.

郭英德, 뺷癡情與幻夢뺸, 北京 : 三聯出版社, 1992, 37면.

金榮, 뺷四庫全書總目뺸,北京 : 中華書局,1965, 1129면.

陳伯海, 뺷中國文學史之宏觀뺸, 北京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 51면.

(22)

衛泳, 뺷悅容編뺸, 뺷香豔叢書뺸 卷一, 上海 : 上海書店影印本, 1991, 77면.

李漁, 뺷閑情偶寄뺸, 北京 : 作家出版社, 1996, 118~165면.

張慧劍, 뺷明清江蘇文人年表뺸, 上海 : 上海古籍出版社, 1986, 571~661면.

장징(張競) 지음, 이목 옮김, 뺷중일 미인의 비교문화사- 미녀란 무엇인가뺸, 뿌리와 이파리, 2004, 18면.

馮夢龍, 뺷情史뺸, 北京 : 中國廣播電視出版社, 2005, 1면.

馮保善, 뺷新譯 幽夢影뺸, 臺灣 : 三民書局, 2015, 18~234면.

何滿子, 李時人 主編, 뺷明淸小說鑑賞辭典뺸, 抗州 : 浙江古籍出版社, 1994, 523면.

(23)

Abstract

A Study on the Viewpoint on Beautiful woman in Zhang Chao(張潮)’s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44)Choi, Byeong-gyu*

This paper researches the viewpoint on beautiful woman in Zhang Chao (張潮)’s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in Ming Qing dynasty, is the praise to beautiful woman. But few people has fully described the conception or definition of beautiful woman except Zhang Chao(張潮). This paper studies the conception and meaning of beautiful woman described in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text. Zhang Chao(張潮)’s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has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not only expressed the love and compassion to beautiful woman, but also expressed the respect and worship to beautiful woman, which was hardly expressed by other people. Zhang Chao(張潮) has confessed he wanted to be born as a woman so that he could fully give his love and compassion to beautiful woman, which means his respect and worship to beautiful woman has reached the degree of predominance of women over men.

Second,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devided lust into two parts, one with love and the other just having physical desire, and this idea had a good effect on the creation of the novels that support the value of spiritual relations between man and woman.

Third,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exactly defined the meaning and conception of beautiful woman, and concretely explained it, which is the accomplishment of this book.

* Andong University

(24)

Key Words :뺷You Meng Ying(幽夢影)뺸, Zhang Chao(張潮), beautiful woman, viewpoint on beautiful woman, 好色(lust), 情(compassion)

<필자소개>

이름 : 최병규 소속 : 안동대학교

전자우편 : bgchoi@andong.ac.kr

논문투고일 : 2016년 12월 20일 심사완료일 : 2017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 2017년 2월 13일

참조

관련 문서

• 수에즈 위기를 통해 프랑스는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고 유럽 통합에 박차 를 가함.. 드골

‘텃밭 텃밭 텃밭 텃밭’이란 이란 이란 소재를 이란 소재를 소재를 통해 소재를 통해 통해 통해 가족 가족 가족 가족 구성원 구성원 구성원 간의 구성원 간의 간의

그러나 인간의 언어는 현 재는 물론 과거나 먼 미래에 대한 의사 소통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물의 언어 와 인간의 언어는 정보 축적

미래의 요리에 대한 동영상을 보고 모둠별 토의를 통해 미래의 요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에 대한 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였고 캐비어와 망고누들 만들기를 통해

이 논문은 기형도 시에 나타난 이미지를 불과 물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문화 콤플렉스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기형도 ,. 의 시세계를

Ⅳ에서는 Ⅱ장과 Ⅲ장을 통해서 연구한 향가와 속요의 기원성 연구를 통해 향가와 속요에 나타난 기원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향가와 속요 모두 화자

이러한 인체 조각 작품 활동을 통해 인체 구상표현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고, 나 아가 역동적인 인체조각의 표현에 다양한 시도와 독창적인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 할

라고 말하고 있듯이 양성 간의 성적 경향은 실제로 존재하 고 있는 몸 안의 성의지하고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후가 변덕스런 버스 에 나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