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와 연산 연산(3)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수와 연산 연산(3) (3)"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와

수와 연산 연산(3) (3) 수와

수와 연산 연산(3) (3)

(2)

4. 집합과 논리

•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해석학의 발전

 기하학적 직관의 취약점

• 19세기 수학의 기초를 산술에서 찾으려 함

• 집합의 개념으로부터 모든 수학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 할 수 있음

함수도 집합으로 정의됨

• p이면 q이다: 집합의 포함 관계로 설명 가능

(3)

자연수 개념과 집합론

• 기수: 수를 집합에 대응. ‘대등’이라는 동치 관계에 대한 동 치류로 자연수를 정의

– M∪{x}의 기수로 m+1 정의

• 서수: 전체 자연수 체계를 생성하는 속성을 강조. 개별 자연 수의 구체적인 의미 상실. 형식주의

수의 구체적인 의미 상실. 형식주의

– 페아노의 공리계: 다음을 만족하는 집합 N이 존재한다. 이때 집합 N의 원소를 자연수라 한다.

• 0은 N의 원소이다

• N의 모든 원소 n에 대하여 n의 후자라고 불리는 원소 n+가 유일하게 존재 한다.

• 0은 N의 어떠한 원소의 후자도 아니다.

• N의 원소 m, n에 대하여 m+=n+이면 m=n

• 0을 포함하는 N의 부분집합 P에 속하는 모든 원소 n의 후자 n+가 다시 P 에 속하면 P=N

(4)

• 논리적 측면에서는 서수보다 기수적 측면이 더 기본

- 일대일 대응의 관계는 순서 구조를 전제하지 않아도 됨

• 새수학: 기수적 측면

• 아동은 서수가 자연스러울 수 있음.

• 수 개념의 파악(Piaget) – 새 수학에 영향(기수 개념 강조)

자연수 개념과 집합론

• 수 개념의 파악(Piaget) – 새 수학에 영향(기수 개념 강조)

– Verbal counting: 수 세기를 할 수 있지만 몇 개인지 모름. 보존 개념 의 결여

– 수 개념의 획득 준거: ① 두 집합의 대등성을 일대일 대응에 의해 판단, ② 두 집합의 대등성이 원소의 배열과 무관하게 보존됨.

– 기수적 측면과 서수적 측면 모두를 포괄하고 종합해야

– 집합의 결합과 분해, 순서 짓기, 짝짓기 등의 활동으로 자연수 지도 하는 것이 바람직

(5)

실무한

• 아리스토텔레스: 실무한 vs. 잠재적 무한

– 실무한: 무한을 존재하는 실체로 여김, 칸토르의 transfinite(초한) – 잠재적 무한(가능적 무한, 가무한): 계속 그것을 향해가는 것만 생

각하여 가능성으로만 여기는 무한

• 학교수학의 극한: 무한히 가까이 가는 과정 & 그 과정이

• 학교수학의 극한: 무한히 가까이 가는 과정 & 그 과정이 구현된 결과인 극한값

• 극한 개념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0.9999…=1

– NCTM은 무한등비급수 개념을 이용하여 증명할 것을 권고

(6)

실수

• 무리수: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실수: 무한소수

– 루트 2는 정수가 아니지만 제곱하면 정수가 되므로 유리수가 아 니다

– 무한수열의 극한 개념이 없이 무한소수 개념이 직관적으로 사용 됨

• 실수의 정의 방법

• 실수의 정의 방법

– 같은 값에 수렴하는 두 유리수열을 동치인 것으로 보면, 실수는 수렴하는 유리수열의 동치류

– Dedekind의 절단

(7)

• 실수는 체(field)의 공리, 순서 공리, 완비성 공리를 만족하 는 집합

• 부르바키의 모구조: 대수적 구조, 순서 구조, 위상적 구조

• 학교수학에서 실수가 도입되는 방식

– 실수의 기본 성질을 받아들여 몇몇 연산의 성질을 연역(공리적) – 무한소수로 정의(구성적)

– 공리적 방법과 구성적 방법이 절충되어 있음

(8)

• 교과서에서의 무리수 개념

–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유한소수 또는 무한소수의 형태

–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모든 유리수는 항상 순환소수로 나타 낼 수 있다

–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는 항상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실수

–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는 항상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 유리수가 아닌 수의 존재는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무한소 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무리수 존재. 직관적으로 다룰 수 밖에(9학년).

– 유리수 집합과 무리수 집합의 합집합이 실수의 집합

(9)

5. 수와 연산에서 계산기의 사용

• 제곱근의 계산

• 계산기의 활용 방안

– 길고 복잡한 계산을 계산기에 맡겨 개념 학습에 집중하게 한 다.

– 계산기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자신의 추측을 정당화 하게 한다.

– 상황과 문제를 더 복잡하고 실제적인 방식으로 모델화한다.

(10)

토론 과제

1. 중학교 2, 3학년 교과서를 참조하여 답하시오.

1) 무한소수로 나타내어지는 유리수가 항상 순환 소수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2) 중2에서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때의 문제 점은 수학적으로 무엇인가?

점은 수학적으로 무엇인가?

3) 무리수의 정의와 그 도입 방법을 교과서별로 비교하시오.

4) 분수로 표현되는 무리수의 예를 찾으시오.

5) 교과서에서 유리수의 조밀성은 어떻게 다루어

지고 있는가?

(11)

2. 계산기의 AC, CE, GT, , MRC, M-, M+ 의 미를 조사하시오.

3. 계산기 활용 방안을 접목한 수와 연산 학 습 지도 사례를 찾으시오.

습 지도 사례를 찾으시오.

4.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제곱근의 근삿

값을 추측하는 활동지를 작성하시오.

참조

관련 문서

중앙값은 자료의 값의 개수가 짝수이면 자료를 작은 값 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중앙에 있는 두 자료의 값 의 평균이므로 자료에

[r]

[r]

[r]

최빈값은 자료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구하기 쉽기 때문 에 선호도 조사에

[r]

대응변의 길이와 대응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