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컴피턴시 중심 교육 관점에서의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컴피턴시 중심 교육 관점에서의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7卷(2), 2004. 12, pp. 55~76

ⓒ 韓 國 職 業 能 力 開 發 院

컴피턴시 중심 교육 관점에서의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

박 성 종*

직업교육, 특히 공학기술교육에서 교육과정은 산업체 현장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산업체 현장실무를 학교 교육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더 나아가 어떠한 방법으로, 무엇을, 어떻게 반영시키는가 하는 점과 관련하여 공 학기술 교육에서의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핵심 컴피턴시로는 의사결정 능력, 의사소통 기술, 독립적으로 일을 통제하는 능력이 대표적이며 공학기술 교육에서 행동 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환 경에 대한 실제 학습의 토대 위에 개성을 개발하고 새로운 발견을 추구하는 개념이 다. 컴피턴시 중심, 행동 중심 교육과정은 이론적인 지식과 실제적인 지식 모두를 고려하는 학습이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것을 요구한 다. 공학기술 교육에서 SCID나 CURRENT는 모두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에 기초 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이며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가가 아닌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

기술 표준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 표준 중심 교육과정은 학습 과정의 결과로 학 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중시하는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 의 기초가 된다.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컴피턴시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대를 반 영하여 교육과정에 구조화됨으로서 성취기준이 정확히 설정되며 이러한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이나 학교가 목표로 하는 기대치를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개발된 공학기술 교육과정은 ABET나 ABEEK과 같은 기구의 인증기준 에 따라 그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내는 지 판단하는 평가가 필요하다.

공학기술 교육에서 프로젝트는 실무현장을 가장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컴피턴시 중심, 행동 중심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학생들은 취업과 관련된 산업체와 연관을 맺으며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고 그 결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자질을 갖추게 된다.

- 주제어: 컴피턴시, 교육과정개발, 공학기술교육, 기술표준, 프로젝트 투고일: 2004년 11월 15일, 심사일: 12월 3일, 심사완료일: 12월 10일

* 아주자동차대학 인터넷정보학부 교수

(2)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의 산업 환경은 기술의 발전 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직무 영역이 점점 더 전문화, 세분화되어 산업체의 인력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학교의 교육과 정 개발 또한 산업체의 요구를 즉시 수용할 수 있는 체제를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도 복잡하여 교육현장과 산업체와의 괴리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고 좀처럼 그 간격을 좁힐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제한된 교육기간으로 정보화, 외국어 능력, 산업 기반 교과목 등 동일 회사에서 도 직무별로의 다양한 교과과정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이제 그 한계에 도달한 것 으로 보인다.

특히 공학기술 교육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산업현장과 밀 착된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갖추도록 과학적 이고 체계적으로 목표를 세워 준비해 주는 종합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산업체 현장실무를 학교 교육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더 나아가 어떠한 방법으로, 무엇을, 어떻게 반영시키는가 하는 점과 관련하여 공학기술 교육에서의 컴피턴 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논의가 더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각 각의 교육현장에 알맞은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 직무분석부터 교육평가에 이르기까지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의 일관된 개념과 행동 중심 교수학습의 사고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과 공학기술 교육과정

교육과정이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기능적 능력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교육 을 주도하는 기관이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모든 종류의 교수 학습 계획의 경험이다. 이는

(3)

교육기관에서 무엇을 어느 수준까지 가르쳐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교과과정과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등 교육과 훈련에 관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 교육활동 전체를 말한다.

직업 교육과정은 기술적 내용뿐만 아니라 새로운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 어 평생 동안 배울 수 있는 준비를 해주어야 한다. 모든 분야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여 한번 속한 직업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전이(transfer)할 수 있는 기본 기 술(the basic set of skills)을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의 목표가 정확해야 할 뿐 아니라 개발된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공학기술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에도 적용된다. 학생들은 취업과 관련된 산업 체와 기술적 직업적 연관을 맺으며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고 그 결과 산업 현 장을 이해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자질을 갖추게 된다.

교육과정 개발 프로그램은 보다 깊고, 넓고, 강력한 학문적 기초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하며 공학기술 교육의 경우 이에 더 나아가 기술의 원리, 응용 수학, 응용 생물․화 학은 물론 나아가 PC 사용 방법과 QC 이해 및 실습과 같이 현장과 연관된 과정 등도 포 함된다.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 적용,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표로 하는 대상에 대해 교육과정 개발이 개인적, 사회적으로 필요한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이 원활하고 이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충분하며 교육과정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가, 교육 내용이 적정한가, 목표에 부합하는 능력, 태도, 기술 등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는 등 교육방법이 원활하게 구성되 어있는가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Ⅱ. 직무분석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1. 직무분석

이무근(1990)은 직업기술 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절차를 단계별로 설정하

(4)

였으며 이는 그대로 공학기술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현재와 미래의 산업발전 추이에 의거하여 직업군, 직업, 직무, 작업분석을 통해 키워주어야 할 능력을 추출하고 분류하고 학습자의 흥미, 지적능력, 요구, 장래 취업 희망 분야 등의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시발점 행동을 판단한다. 학교의 교육 이념, 목표, 행정, 재정, 제도, 시설, 교사의 가용 시간, 지적 능력, 자주성, 관련 분야에 대한 경험과 관심도, 교육적 신조를 분석하고 아울러 지역사회의 요구도 및 산업사회에서 직업군별로 본 인력 수급의 현황과 전망 등을 분석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전공별, 과별로 교육 목표를 설정하며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과목명, 교과 목표, 교과목에서 다루어야 할 기본 내용 등을 선정한다. 이들 교과목들을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의 영역으로 분류하며 교육과정을 협의의 교육과정으 로 할 것인지 광의의 교육과정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에 필요 한 공통적 능력을 공통 필수로 이수하게 하고 직업, 직무, 작업에 관련된 교과 영역을 선 택 교과로 하여 학생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많이 주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과목별 교과요목을 작성하고 수업 전개 전략을 계획하며 교재를 비롯해서 필요 사항을 준비하여 실제 수업을 전개하고 교육 평가를 실시한 후 평가 결과를 교육 목표 설정과 교 육과정 전반에 걸쳐 반영한다.

이와 같이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는 직무분석으로부터 시작된다. 직무분석 은 근로자가 직장에서 직업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취하는 행동에 대한 정보를 체계 적이며 분석적으로 수집, 서술, 분석하는 것으로 직무 내용과 필요 직무, 그리고 전체 직 무의 조직 환경을 다루어 특정한 목적과 특정 조직에 맞도록 수행된다.

Harvey(1991)는 작업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무엇을 하는지 어떤 기술을 사 용하는지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직무 행위와 직무 환경의 특성을 기술하는 자료를 수집하 는 활동을 직무분석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직무분석은 원하는 결과를 명확히 인식하여 결정하고 그에 필요한 특정한 능력과 동기를 추론하는 중요한 목적을 갖고 있다 (Heneman, Ⅲ et al, 1986).

Landy와 Vasey(1991)는 현직에 있는 경험 많은 전문가들도 언어 능력, 기억력, 개인 적 특성에 따라 그들이 제공하는 정보의 질이 달라지므로 그들 중에서도 누구를 선정하 여 직무분석을 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현직의 전문가와 직무 분석가들이 직무분석에 의해 가장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으나 최근에는 고객과의 접촉이 많은 직무의 경우 고객만족이 강조됨에 따라 고객이 직무분석의 중요한 출처로 대두되고

(5)

있어(Sanchez & Levine, 1999) 교육현장에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직무분석에서는 직무(job), 임무(duty), 작업(task), 작업 요소(task element) 또는 스 텝(step),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능력(ability)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직 무분석 작업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한 번 직무분석을 하여 여러 가지 목 적에 두루 사용할 수도 있으나, 분석 항목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 번 분석으로 여러 가지를 모두 충족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직무분석을 위한 양식을 개발할 때 직무분석 목적을 명기하여 분석된 자료가 어디에 쓰일 것인가를 명확하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직무분석은 다양한 직업의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접근하고 연구하는 과정으로 생산성 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뿐 아니라, 기술표준 조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장 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실제 근로자가 어떤 일을 수행하는지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근로 자가 수행하는 일의 질적인 유형도 알 수 있다.

Sanchez와 Levine(1999)은 향후 직무에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과거 에 행하였던 전통적인 직무분석의 방식은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변화되어야 한다고 하였 다. 따라서 개인이 하는 일의 분석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직무분석의 방법이나 형태도 변 화되어야 한다. 다루고자 하는 직무의 내용이 빠르게 변화하므로 전통적인 지식, 기술, 능 력보다는 분석의 단위를 넓혀서 컴피턴스(competence)를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직무분석 방법에는 분석 대상 직업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직무 내용의 전반적인 특 성을 체계적으로 상세하게 분석해 내기 위해서는 관찰을 하거나, 질문을 하거나, 조사를 하여야 한다. 이 때에 어떤 방법을 택할 것인가는 분석 대상 직무의 성격, 얻을 자료의 용 도, 주어진 분석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된다.

직무분석 방법을 인력 개발과 관리를 위한 측면에서 구별하면, 최초 분석법, 비교 확인 법 및 데이컴법이 있다. 최초 분석법은 분석 대상 직무 또는 직업이 산업 발전에 따라 새 롭게 발생한 직무로, 참고할 만한 자료가 없을 때 활용한다. 그러나 이미 잘 알려진 직업 으로 참고할 자료가 풍부한 경우에는 비교 확인법이 능률적이다. 교육이나 훈련을 위한 목적으로 단기간 내에 효과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면 데이컴법을 활용한다. 그러나 비교 확 인법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최초 분석법의 일부를 겸용할 필요가 있다. 어떤 방법을 사용 할지라도 정보를 만들기 위해 현직근로자를 반드시 포함 시켜야하며 지역적 차이를 고려 해야만 한다.

(6)

2. DACUM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DACUM(Developing a Curriculum)은 몇 가지 가정과 전제를 두고 있는데, 첫째, 전문 적인 작업자는 다른 누구보다도 그 직무에 대하여 잘 기술할 수 있고, 둘째, 한 가지 직무 는 해당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숙련된 사람이 수행하는 작업 명칭들로 충분히 기술될 수 있으며, 셋째 모든 작업에는 그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관계 지식과 태도가 있다는 것이다. 데이컴은 분석 협조자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중심으로 데이컴 차트를 완성함으로서 작업을 마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데이컴 차트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 적용 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었다(박성종, 2003).

데이컴은 직무에 대한 개요를 살피고 수행되어지는 특정 임무를 찾아낸 후 임무와 작 업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상세히 논술하여 그에 대한 내용을 정렬하는 일련의 과정을 따른다. 그리고 직무의 일반적인 지식과 기술 요구사항 및 근로자의 행위 태도나 기질, 그리고 장비, 도구, 원료, 재료 목록을 작성한다.

임무는 반드시 특정한 수행 용어로 정의되어야 하는데 협상 과정을 거쳐 상세한 수행 목적들이 명확하고 충분히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임무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하며 특정 임무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위들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

Norton(1997)에 따르면 학교를 위한 데이컴법의 2차 산물로 학교와 산업체간에 새로 운 관계가 발생한다고 한다. 산업체는 학교에서 필요한 장비와 재료를 제공하거나 새롭게 발생하는 산업 영역에 대해 인적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지역의 필요성에 맞는 교 육훈련 요구를 수용하여 학교에서 실시하는 성인 재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율이 증가하 고 지역 경제, 산업, 노동 및 경영 관련 기관으로부터의 교육기관 지원이 증가하는 효과 가 있는 등 데이컴은 종종 장기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데이컴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로는 SCID(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를 권하고 있다. 이 SCID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정 디 자인, 수업 개발, 교육훈련 적용, 프로그램 평가의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한 다.

먼저 실질적인 필요 요구 분석, 데이컴에 의한 직무분석, 전문가의 각 과제별 중요도, 난이도 등을 통한 작업 검증,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할 작업 선정, 수행 스텝과 핵심적인 일반 관계지식, 기술 표준을 분석하는 표준 작업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분석을 실시한다.

다음에는 교육 프로그램과 수업의 개별화 수준 및 지원 매체에 관한 의사결정, 선정된

(7)

작업별 학습 목표 개발, 직무 수행 측정 평가 개발, 교육 계획 준비 등으로 교육과정을 디 자인한다. 그 후 수업 개발 단계로서 컴피턴시 중심 또는 수행 중심 프로그램 (competency based or performance based program)을 위한 컴피턴시 프로필 (competency profile)을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 가이드(learning guide) 또는 모듈, 교육과정 가이드, 수업 계획 등을 개발한다. 학습 과정을 다양하고 명확하게 구성하며 학 생 수준에 맞게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을 선정하고 이를 적용, 보완하도 록 한다.

교육 훈련 적용 단계에서는 교육 계획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정규 수행 평가를 시행하고 학습자의 성취 상황 및 교사의 수행 기록 등 교육 훈련 결과 를 기술한다. 이후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 프로그램 개선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를 시행하고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정보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한다.

Ⅲ. 공학기술교육에서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

1. 핵심 컴피턴시(Key Competency)

Reetz(1991)에 의하면 교육과정 이론의 관점에서 학습목표(learning objective)는 일 반성과 복잡성(generality and complexity)의 정도가 가장 높다. 따라서 아무리 복잡한 환경일지라도 학생들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교육과정이 있어야 하 며,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새로운 상황의 특정한 형태(situation-specific form)에서 하기, 말하기, 생각하기(doing, speaking, thinking) 등의 확실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일반적 능력 인 핵심 컴피턴시를 학생들이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고려하여야 한다.

핵심 컴피턴시로는 의사결정 능력, 의사소통 기술, 독립적으로 일을 통제하는 능력 (ability to organise one's work independently)이 대표적이다.

핵심 컴피턴시는 현장의 특정한 기술능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해주는 것으로 서, 목표로하는 기술과 지식의 나열(list)이 아니라 과목을 뛰어넘어(supra-subject) 인 간과 관련된(person-related) 컴피턴시를 말한다.

(8)

2. 행동(action)과 행동 학습 또는 현장 학습(action learning)

공학기술 교육에서 행동이란 예견된 결과를 향해 기대감을 가지고 행하는 일련의 행위 이며 행동 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환경에 대한 실제 학습(practical learning)의 토대 위 에 자신의 개성을 개발하고 새로운 발견을 추구하는 학습개념이다. 그 행위가 모터의 제 도, 조립과 같이 외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가, 또는 과정이 사고 동작(thinking operation) 과 같이 내적인가에 따라 외적 행동과 내적행동(external action and internal action)으로 나눈다.

행동 학습 이론에 의하면 학습자가 자신의 행위(activity)를 점진적, 독립적으로 스스 로 통제할 수 있는 토대위에 학습과정에서 예견된 목표(expedient objective)를 과제나 문제 형태로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행동 학습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복잡하고 전체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 다. 복잡성은 일상적인 단순한 과제가 아닌 복합적인 과제나 문제의 해결과 같은 복잡한 행동과 관련된 것이고, 전체성은 금속 분야와 전기 분야를 다 같이 다룰 수 있는 행동과 관련된 것이다.

이를 위한 행동 중심 교수(action oriented teaching)는 복잡한 갈등상황에서 유용한 문제 해결 학습(problem solving learning)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3. 핵심 컴피턴시와 행동 학습

공학기술 교육에서 컴피턴시와 행동 학습의 개념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논의는 학습의 장소로서 산업체와 학교간의 노동의 교육적 구분(pedagogical division)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내 학습(in-company learning)의 경우 기술적 작업환경에 의해 이론적인 설명을 즉 시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업체에서의 실습과 학교에서의 이론 학습간의 전통적인 장벽이 계속 유지되지는 못한다. 공학기술 교육기관이 경우도 학문적인 원리를 체계적으 로 완벽하게 반영한 이론 학습이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 모두는 현장 중심 이 론(practice based theory)을 반영한 것이다.

컴피턴시 중심, 행동 중심 교육과정은 이론적인 지식과 실제적인 지식 모두를 고려하

(9)

는 학습이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사내 학습에서의 학습경로(learning path)는 현장을 반영하는 실습 과제로부터 수행한 행위의 이론적인 이해로 이동해야 하며 교육 현장에서는 실제적으로 현장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지식에 기초하여 이론적으로 이해된 내용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디자인한다.

산업체에서 접할 수 있는 전형적인 분야들의 현장실무에 관한 예제 패키지(exemplary package)를 통해 확실하고 견고하게 시뮬레이션되거나 미래에 예견되는 상황을 상징적 으로 나타낸 학습 내용들만이 학교에서 채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산업체에서 유 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지식 또는 현대의 직업에 요구되는 컴피던스를 학 습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초적인 교수 학습 전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제의 교수 학습에서는 산업체 교사와 학교 교사가 함께 하는 적당한 형태의 팀티칭 이 바람직하다.

공학기술 교육과정에서 행동 중심 교수(action oriented teaching)는 다음 다섯 개의 조건을 염두에 둔 개념이다(Jank, Meyer, 1994).

(1) 인간은 센스있고 자유로운 존재이나 동시에 자기 규제가 가능한 존재이다.

(2) 학습은 머리, 가슴, 손 그리고 오감이 같이 협력하는 총체적 경험이다.

(3) 젊은 사람은 질문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이며 그들의 환경을 경험하고 실험 수준에서 테스트하기를 원할 만큼 호기심이 많다.

(4) 교사나 학생 모두는 완벽하지 못해서 실수하거나 실패할 수도 있으나 그들의 실수 로부터 학습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5) 현장실무에 기초한 학교에서의 생활과 학습은 일정 정도까지만 가능하고 때로 모 순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을 염두에 둔 행동 중심 교수(action oriented teaching)의 7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행동 중심 교수는 총체적이다. 사람들은 머리, 가슴, 손과 오감을 동원할 때 훨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방법을 선택할 때도 마찬가지로 총체적 이어야 한다.

(2) 행동 중심 교수는 학습자 주도적이다. 학습자 스스로 탐구하고 테스트하고, 발견하 고, 토론하고,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할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교사가 학생에게 실제적인 컴피턴시(practical competency)를 더 많이 나누면 나

(10)

눌수록 학생들은 더욱 더 그들의 일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3) 행동 중심 교수는 산출 결과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여기서의 결과는 수업 행위 로 얻은 육체적 정신적 결과로서 교사의 지도 아래 학생들이 보여 줄 수 있는 결과 물을 말한다.

(4) 행동 중심 교수는 주관적인 학생의 관심을 학습의 출발점으로 삼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학생들은 행위적인 접근(active approach)을 통해 새로운 주제와 새로 운 문제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5) 행동 중심 교수는 수업의 계획, 적용, 평가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을 포함시 킨다. 교사는 더 이상 교과과정이나 교재, 학습주제 선정으로 자기가 할 일을 끝냈 다고 할 수 없으며 학습 내용이나 학습 방법이 객관적이고 학생에게 적당하다는 것을 공개적인 대화를 통해 충분한 이유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6) 행동 중심 교수는 학교의 투명성 혹은 공개성을 증가시킨다. 개인의 학습경로의 증진, 과목간 수업(inter-subject instruction)의 확장, 그 밖의 학교생활의 개발과 관련되는 내적 투명성뿐 아니라 학습 장소 네트웍 구축(settling up of a learning place network)과 관련되는 외적 투명성까지도 포함한다.

(7) 행동 중심 교수는 육체적 정신적 행동이 균형을 갖도록 한다. 즉 신체의 도움을 받 아 수행하는 모든 물리적 행동과 사고, 토론, 분석, 계획 등 정신적 행동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4. CURRENT

현장 중심 또는 행동 중심 교수 학습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 교육과정 개발 방법으로 CURRENT(Curriculum Revision Entwicklung)가 독일의 공학기술교육 현장에서 사용되 고 있다.

CURRENT는 학습자의 주관적인 관심에 기초를 두고 모든 학습자가 계획, 실행, 평가 에서 자기 스스로 종합적으로 결정하며 교육의 최종 목표를 산출결과(production)에 둔 다. 원활한 의사 결정, 협동, 의사 소통에 기초하여 학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외부의 사회나 산업체 등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태도로 대하여 전체적인 관점에서 개인적, 방법 적, 내용적 목표간의 균형을 이룰 뿐 만 아니라 학습자 개인의 머리, 가슴, 손 간에도 균

(11)

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행동 중심 이론에의 과도한 집중에 비판을 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Minnameier, 1997) 공학기술 교육의 시간적, 공간적 현실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공학 기술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구성주의(constructivism) 관점에서 보면 효과적인 학습 환경은 확실한 상황(authentic situation)에 맞게 현실적이어야 한다. 또한 학습은 전문가와 초보자간의 관계에서 훨씬 더 잘 발생하며 학습 순서의 배열은 다른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야 한다(Gerstenmaier, Mandl, 1995).

교육적인 관점에서 한 곳에서 획득한 지식이 다른 곳으로 전이된다는 것은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며 이는 행동 중심 이론, 구성주의 학습, 상황 학습(situated learning), 상황 인식(situated cognition)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점에서 지식은 언제나 실제 상황을 따르며, 따라서 이론적인 개념이 다양한 실제 상황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교실에 서 배운 지식은 생기가 없고 비활성적이며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않은 시험에는 사용될 수 있으나 실제적인 문제해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실제 상황 에의 적용뿐 아니라 선정된 실습 주제들 간의 조정도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한 CURRENT는 우선 지역적 범위, 산학 파트너(cooperation partner), 계 획된 목표 그룹의 구성을 기본 틀로 하여 노동, 상품, 서비스 시장의 분석, 목표 그룹의 분석, 교육훈련 분야의 분석으로 시작된다. CURRENT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행위 (activity)의 직업적 인식 및 개념 파악, 수행해야 할 직무 및 작업 리스트,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컴피턴시 리스트, 교육 훈련에서 획득해야 할 기타 컴피턴시 리스트, 학습과 일(learn & work) 작업의 예제 등을 확보하여야 한다. CURRENT를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에는 컴피턴스와 컨텐츠, 교육적 기본 틀, 학습과 일 작업, 소규모 프로젝트가 포 함되어 있다.

5. 기술 표준(Skill Standard) 중심 교육과정

SCID나 CURRENT는 모두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이며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가가 아닌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가에 관

(12)

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은 산업체마다 요구하는 수준이 다르므로 이와 관련 된 기술표준의 설정은 공학기술 교육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SCANS(Secretary's Commission Achieving Necessary Skills)의 노력으로 대부분 높 은 생산성을 보이는 직장에서 요구하는 기술 표준을 맞추기 위한 필수 기본 기술 내역에 관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SCANS 모델은 모든 직업에서 발생하는 기능적 행위의 범 주를 제공하는 표준 언어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고 SCANS 위원회는 기초 기술(기본 기 술, 사고력, 개인적 자질)과 능숙도(자원, 인간관계, 정보 체계, 기술)로 구성된 두 개의 부분 항목을 개발하여 직무분석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산업체에서 기술 표준을 인식한다는 것은 직업군 또는 직업을 인식하고 직무기능과 작 업 및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을 인식하기 위해 데이컴 등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 과 수행하는 작업의 범위를 설정함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 표준을 근거로 하여야 현장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현 재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산업체 요구에 맞게 새로이 개발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는 산업체와 관련된 공학기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 표준은 현장의 기대를 반영하므 로 학생들은 그러한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게 된다.

산업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산업체에서 동의하고 인식한 지식, 기술, 능력을 말하는 컴피턴스는 현대의 산업현장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의 자질과 능력, 지식, SCANS 보고서에 의한 기본 기술을 하부구조로 하고 모든 산업, 모든 직무에 공통되는 기술, 지식, 능력을 중간 구조로, 개별 산업이나 조직에 특유한 기술, 지식, 능력 을 상부구조로 하는 일종의 피라미드 형태로 볼 수 있다.

결국 공학기술 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이란 작업의 수행 범위를 갖고 기술 표준에 기반을 둔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체계적 접근으로 볼 수 있다.

기술 표준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 표준 중심(skill standard based) 교육과정은 학습 과 정의 결과로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중시하는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의 기초가 된다. 기술 표준 중심 교육과정은 그 이외 코스나 모듈을 통한 학습 프로그램의 결과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기술하는 학습자 프 로그램 산출 결과(Learner Program Outcomes)와 기타 수행 평가(Performance Assessment), 통합 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교육의 질은 성취기준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을 때 매우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컴피턴스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대를 반영하여 교육과정

(13)

에 구조화됨으로서 성취기준이 정확히 설정되며 이러한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이나 학교가 목표로 하는 기대치를 훨씬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 술 표준의 교육과정에의 적용으로 고교부터 대학으로의 연속적인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 하는 연계 체제도 수립할 수 있다. 물론, 새롭게 발생하는 직업군과 산업동향의 인식, 산 업과 직업 분야의 기술 표준을 개선하기 위해 수시로 기술 표준을 업데이트 하여야 한다 (NWCET, 1998).

6. 공학기술 교육 인증과 프로젝트

가. 공학기술 교육과정의 평가

새로운 공학 이론 정립과 창의적 설계를 할 수 있는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기존의 기술과 이론을 조합하여 새로운 설계와 시스템 운영을 양성하는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등 여러 프로그램이 그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내는지를 가려주는 평가가 필요하다. 공학 기술교육 인증과 관련하여 워싱턴 협약(Washing Accord)에 가입한 국가들의 경우 오래 전부터 ABET(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 의해 공학기술 교육을 인증하고 있으며 최근의 EC 2000(Engineering Criteria 2000)과 같이 지속적으 로 인증기준을 개편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공학교육 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교육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국제 적 기준에 맞도록 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에 한국 공학 교육 인증원 (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이 설립되어 공학교 육 인증 기준을 제정하고 서류 및 실사를 통한 대학 및 학과의 인증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는 공학교육 인증만 활성화되고 있으나 공학기술교육 인증도 이에 발맞 추어 개발해야 한다.

김병재(2000) 등에 의하면 실제 교육 현장에 창의 공학 설계 과목을 도입함으로서 창 의적 팀 활동을 위한 기초 사고 기술을 배양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을 도모하며 공학 설계 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공학 인증의 여러 기준에 관련된 학습 성과를 효과적으로 배양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도 있다.

공학기술 교육의 평가는 학습 계획 및 설계, 수행 과정, 주위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학생

(14)

의 다양한 능력과 소양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공학기술 교육 인증에서 수행 평가를 적용하여 공학기술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 공학 문제 해결의 의사 결정에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평가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로 하여금 개인별로 전공 과 목의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게 하여 취업 및 진학시 그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함이 바 람직하다(우연재․이병욱․노태천, 1999).

이와 같은 목적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의 발달 과정을 알 수 있고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통해 학습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 공학기술 교육에서 포트폴리오는 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 기술, 능력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자료집으로 최근의 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Collins, 1992).

한송엽(2000) 등은 공학기술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함양해야 할 것을 고려하여 전 공기반 영역, 기본적 소양 영역, 공학 실무 영역 등으로 나누어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본다. 이에 따라 인지적 영역 평가, 정의적 영역 평가, 조작적 영역 평가의 세 부분 으로 평가의 방향을 잡고 과목별 학습자 평가용 준거를 설정하여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 록 하였다.

이와 같이 공학기술 교육 인증과 관련하여 보다 많은 전문 지식과 함께 광범위한 문화 인식, 좋은 인간관계 유지 등과 같은 목표는 졸업 후 금전적으로, 전문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킨다. 여기에서 전문 지식 코스인 메이저 코스(major course)를 이수 하기 위해 문화적인 코스인 마이너 코스(minor course)가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의 공학 기술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인 자질을 갖춘,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를 양성하도록 하고 있다(Marbury, Barnes, Lawsine, Nicholson, 1991).

나. 프로젝트

공학기술 교육에서 프로젝트는 행동 중심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기 본적인 공학 실습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설계와 분석에 대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며 설계 프로젝트 내에서 팀을 구성하여 팀웍을 함양하는 단기간 실습 훈련 프로그램도 개 발되었다. 이를 통해 공학기술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많은 학문 분야에 관련이 있는 학제간(inter-disciplinary) 공학 실습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Bhurtun, Jahmeerbacus, Oolun, and Feliachi, 1999).

공학기술 교육 분야의 졸업생들은 현대 사회에서 많이 요구하는 팀을 이루어 일해 본

(15)

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동기유발을 증진시키기 위해 공학기술 교 육에서는 팀을 이루어 학습을 진행하며 프로젝트의 팀 조직을 통해 코스간의 실습 재료 를 통합함으로서 현재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Schlimmer, Fletcher, Hermens, 1994).

Hilborn(1994)에 의하면 학생들은 더불어 같이 학습함으로서 훨씬 더 잘 배우게 되고 공학기술 교육에서의 팀 학습은 기존의 일반적인 강의 수업의 대안으로 보다 생명력이 있으며 효과적이다. 아울러 팀의 일원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문제 해결력과 의사 결 정의 기본 원칙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Bronzino, Ahlgren, Chung, Mertens, Palladino, 1994).

물론, 고학년에서의 실험실습 과목에서 설계 기술과 팀웍을 함양시킬 수도 있으며 (Harold W. Smith, 1994) 저학년 특히 1학년에서도 경험 학습(first year experience)과 프로젝트 중심의 재학생 공학 설계, 문제 해결, 현장 견학, 컴퓨터 사용, 팀웍 디자인, 실 험 실습 등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Orr, Eisenstein, 1994)(Cyganski, Nicoletti, Orr, 1994)(Uribe, Haken, Loui, 1994). 대학 1학년의 경우 세미나, 강의, 실험 실습은 학습 과정의 인식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협동 학습을 증진시키 고 전체적 사고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Ostheimer, Mylrea, Lonsdale, 1994).

공학기술 교육과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가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나 어떤 경우는 산업체 나 다른 기관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학생들 스스로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는 경우가 많 으며 학생들은 학제간 프로젝트를 추구하고 이를 실현하게 된다. 프로젝트는 때때로 실제 의 직무(real job) 형태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취업 전에 이를 완성하여야 한다(Baez- Lopez, Montero-Hernandez, 1993).

프로젝트의 주제로는 예를 들어 IC 측정, 실험실 출입용 전자 신용카드, 화재 재난시 즉시 출동 경보 시스템, 동력 측정을 위한 토오크 미터(torque meter), 크기별 감자 분류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탑다운(top down) 설계 과정을 거쳐 다양한 설계 문제에 적용되며, 토론과 초빙강사를 통해 개발 공학(development engineering), 신뢰성 공학 (reliability engineer- ing), 제조 과정(manufacturing processes) 등이 학생에게 소개된 다(Gander, Salt, Huff, 1994).

(16)

IV. 결론

공학기술 교육에서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은 교육 현장과 산업체 혹은 직업 세계와의 간격을 좁히는 것으로 이는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공학기술 교육과정을 개 발, 적용할 때 많은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공학기술 교육과정은 많은 부분 직업교육 에서의 교육과정 이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공학기술 교육과정 개발은 직무분석으 로부터 시작된다.

데이컴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데이컴 차트를 활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교육과정을 개 발하는 시도도 있다. 공학기술 교육과정은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컴피턴시 와 행동 학습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개발방법이 다를 수 있으나 추구하는 핵심 컴 피턴시로는 의사 결정 능력, 의사 소통 기술, 독립적으로 일을 통제하는 능력이 대표적이 다.

컴피턴시 중심, 행동 중심 교육과정은 이론적인 지식과 실제적인 지식 모두를 고려하 는 학습 이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는 산업체에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지식 또는 현대의 직 업에 요구되는 컴피던스를 학습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초적인 교수 학습 전략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직무분석을 통한 컴피턴시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무엇보다 기술표준의 설정 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 표준을 근거로 현장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산업체 요구에 맞게 새로이 개발할 수 있고 학생 들에게 산업체와 관련된 공학기술 교육을 제공한다.

기술 표준의 설정과 함께 새로운 공학 이론 정립과 창의적 설계를 할 수 있는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기존의 기술과 이론을 조합하여 새로운 설계와 시스템 운영을 양성하는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등 여러 프로그램이 그 목적에 적합한 결과(outcome)를 내는지 를 가려주는 평가가 필요하다.

공학기술 교육과정은 공학기술 교육 인증과 학생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등의 평가로

(17)

개인의 컴피턴시를 알 수 있으며 공학기술 교육에서 프로젝트는 행동 중심 교육과정을 실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참 고 문 헌

김병재․이의은․주우석(2000). 「창의공학 및 공학설계 교육」, 『한국공학기술학회 2000 년도 공학교육학술대회 논문집』, 231~238쪽, 한국공학기술학회.

박성종․지명석․류지호(2003). 「Duty, Task, Step 분석을 통한 전기․컴퓨터 분야의〮

DACUM Chart 활용 방안」, 『직업능력개발연구』, 제6권 제2호, 67~91쪽,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우연재․이병욱․노태천(1999). 「내연 기관 실습을 위한 포트폴리오 방식의 수행 평가 도 구 개발」, 『한국공학기술학회 1999년도 공학교육학술대회 논문집』, 146~163쪽, 한국공학기술학회.

이무근(1990). 『직업기술교육에서의 교육과정』, 배영사.

한송엽․권영빈․노태천․김덕규(2000). 『신교육 환경에 대비한 공학교육 프로그램』, 서울 대학교 공과대학․교육부.

Bhurtun, C., Jahmeerbacus, I., Oolun, K. & Feliachi, A.(1999). 󰡒Short-Term Practical Training for Electrical Engineering Undergraduates󰡓, IEEE Trans.

Education, Vol.42 No.2, pp. 109~113.

Bronzino, J. D., Ahlgren, D. J., Chung, Chia-Lung, Mertens, J. D. & Palladino, J. L.

(1994). 󰡒Design and Teamwork: A Must for Freshmen󰡓,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184~188.

Collins, A.(1992). “Portfolio in science education: Issue in purpose, structure and authenticity”, Science Education, Vol.76 No.4, pp. 451~463, Salem, Mass.:

John Wiley & Sons Inc..

Cyganski, D., Nicoletti, D., Orr, John(1994). 󰡒A New Introductory Electrical Engineering Curriculum for the First-Year Student󰡓, IEEE Trans.

(18)

Education, Vol.37 No.2, pp. 171~177.

Gander, R. E., Salt, J. E. & Huff, G. J.(1994). 󰡒An Electrical Engineering Design Course Sequence Using a Top-Down Design Methodology󰡓,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1, pp. 30~35.

Gerstenmaier, J. & Mandl, H.(1995). “Wissenwerb unter Konstrukti-vistischer Perspektive”, Zeitschrift f. Padagogik, Vol.41, pp. 867~888.

Harvey, R. J.(1991). 󰡒Job analysis󰡓, in Dunnette, M. D. & Hough, L. M.(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Heneman, H. G. et al.(1986). Personnel/Human Resource Management(3rd), ILL.:

Richard D. Irwin, Inc..

Hilborn, R. B. Sam(1994). 󰡒Team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207~211.

Jank, Werner & Meyer, Hilbert(1994). Didaktische Modelle-Handlungs-orientierter Unterricht, Grundbegriffe und Merkmale, Berlin: Cornelsen Scriptor.

Landy, F. J. & Vasey, J.(1991). “Job analysis: The composition of SME samples”, Personnel Psychology, Vol.44, pp. 27~50, Houston, TX.: Personnel Psychology, Inc..

Lopez, D. B. & Hernandez, O. M.(1993).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IEEE Trans. Education, Vol.36 No.1, pp. 184~186.

Marbury, C. H., Frank, S., Barnes, L. L. & Nicholson, N. C.(1991). “A One Room Schoolhouse Plan for Engineering Education”, IEEE Trans. Education, Vol.34 No.4, pp. 303~309.

Minnameier, G.(1997). 󰡒Die unerschlossenen Schlussel-qualifikationen und das Elend des Konstruktivismus󰡓, Zeitschrift f. Berufs und Wirtschaftspadagogik, Band 93 Heft 1, pp. 1~29.

Norton, R. E.(1997). DACUM Handbook, Ohio: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Ohio State University.

NWCET(1998). Building a foundation for tomorrow, A Development Kit for Skill

(19)

Standard-Based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Washington: The NorthWest Center for Emerging Technologies, Regional Advanced Technology Education Consortium, Bellevue Community College(BCC).

Orr, John & Eisenstein, B. A.(1994). “Summary of Innovations in Electrical Engineering Curricula”,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131~135.

Ostheimer, M. W., Mylrea, K. C. & Lonsdale, E. M.(1994). “An Integrated Course in Fundamental Engineering and English Composition Using Interactive and Process Learning Methodologies”,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189~193.

Reetz, Lothar(1991). 󰡒Duales System zwischen Tradition und Innovation󰡓 in Wirtschafts? Berufs? und Sozialpadagogische Texte(WBST), Special Vol.4, pp. 27~46.

Ricardo, B. U., Haken, L. & Loui, M. C.(1994). 󰡒A Design Laboratory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or Freshmen󰡓,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194~202.

Sanchez, J. I. & Levine, E. L.(1999). “Is job analysis dead, misunderstood, or both?:

New forms of work analysis and design”, in Kraut, A. I. & Korman, A.

K.(eds.). Evolving practic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Schlimmer, J. C., Fletcher, J. B. & Hermens, L. A.(1994). 󰡒Team-Oriented Software Practicum󰡓,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212~220.

Smith, H. W.(1994). 󰡒University of Toronto Curricula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EEE Trans. Education, Vol.37 No.2, pp. 158~162.

(20)

abstract

A Curriculum Development o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within a view point of Competency Based Learning

Sung-jong Park

Curricula in vocational education, especially i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do not adequately mirror the needs of the work fields but implications are focused on management of curricula emphasizing the smooth transition of students from school to work, needs of strategies for competency based education.

Generally, key competencies mean abilities such as decision-mak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bility to organize one's work independently, etc. Action- oriented learning, or rather action learning i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means a learning concept in which the learner develops his personality and proceeds to make findings on the basis of an active study of his or her environment.

The intensity of action-oriented teaching is boosted in particular by problem- solving learning making use of conflict situations.

Key competencies and action oriented vocational training will force vocational schools to adopt an understanding of theory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So, Curricula i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for example, SCID or CURRENT must be developed within a view point of competency based and action oriented learning and teaching.

Skill standards can be the foundation tools for developing curriculum, profiling jobs, recruiting and evaluating employees, and designing academic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 The application of skill standards to development of curriculum results in courses and programs whose outcomes can be assessed across a broad range of contextual technical and foundation performance criteria.

Developed curricula i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need to be accredited by a standard of the institute like ABET or ABEEK.

To embody the competency based and action oriented learning in engineering

(21)

technology education, project is more effective by representing a practical workplace.

This means that the learner contributes actively in actual, simulated or symbolic situation. So, this results in learners who are prepa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e workplace.

Keyword: Curriculum development,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Competency based learning, Key competencies, Action oriented learning,

Skill standard, Accreditation, Project

참조

관련 문서

○ 초중등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SW․AI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인 간과 기계가 공존하는데 토대가 되는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포함한 STEAM 교육

탄력적 교육과정 속 교과 융합 프로그램 개발 STEAM 교육을 위한 MAKER SPACE 활용.. 프로젝트 공동연구(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융합인재-맞춤형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통한 최적(最適) 융합형 수업모델 개발 및

ㅇ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식생활교육 확대가 필요하고, 교육콘텐츠의 지속적 개발 , 매체의 다양화, 온라인 플랫폼 활용

STEAM 학습능력 연구 STEAM 교육과정 편성 운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TEAM 교육을

Story Telling 중심 STEAM 교육 적용 방안 창의적 Multi형 인재 육성을 위한. Story Telling 중심 STEAM

이러한 방법으로 흰색과 검은색을 검출하는데 유용하므로 라인트레이서 제작에 이용됩니다... 프로그램을

◦ 교육과정 분석과 과정중심평가를 활용한 과학교육일체화 프로그램 개발 ◦ 미래와 소통하는 창의적 과학인재 육성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