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의 건강장수도시 사례분석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의 건강장수도시 사례분석 연구"

Copied!
19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의 건강장수도시 사례분석 연구

Case Study on the Cities of Health and Longevity in Korea 김은정, 김태환, 최영국, 권영섭, 차미숙, 임영태, 김재욱

(2)

▪ 연구진

연구책임 김은정 책임연구원, 김태환 선임연구위원 최영국 선임연구위원

권영섭 선임연구위원 차미숙 연구위원 임영태 연구위원 김재욱 연구인턴

▪ 외부연구진

배창희 워싱턴대학교 교수 조미향 동경대학교 박사과정

▪ 연구심의위원

박재길 국토연구원 부원장

김종원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수자원연구본부장 이왕건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지원센터장 김광익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3)

| F | I | N | D | I | N | G | S |

주요 결론 및 정책제안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음

❶ 고령화의 진전 및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의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건강하고 활기차게 나이들어 갈 수 있는 도시환경의 조성 필요

❷ 건강장수도시의 구성요소별로 모범사례를 선정하고 특징적인 실태를 조사 하고 시사점을 도출

❸ 사전 자료조사와 함께 현지조사에서는 주요 추진사업에 대한 사례도시 공무원과의 인터뷰, 추진사업 현장답사 등 발로 뛰는 연구를 추진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은 다음과 같음

❶ 건강장수도시 구현을 위한 공통적인 요소 및 형태를 도출하여 향후 한국형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제안에 활용

❷ 도시계획 측면에서 건강장수도시로 나아가야 할 정책적 가이드라인의 골격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4)
(5)

| P | R | E | F | A | C | E |

발간사

바야흐로 웰빙(wellbeing)의 시대다. 사회 모든 분야에서 건강, 힐링(healing), 삶의 질을 고려하는 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도시 및 지역계획에서도 ‘시민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생활하는 도시 만들기’가 새로운 콘텐츠로 등장하고 있다. 즉, 시민이 행복하 고 건강한 장수사회의 구현을 위한 국토공간상의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토연구원에서는 2011년 건강장수도시연구단이 출범하여 관련 연구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올해 들어 건강장수도시연구센터 로 조직을 강화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추진하고, 정책적 대응방안 마련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건강장수도시연구센터는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정책의 주요한 방향으 로서 ‘건강장수’의 가치가 확고하게 자리 잡아야 하며 이를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이 한 차원 고양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과업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모든 도시에서 주민이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도시환경 조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는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모범도시의 경험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자체들이 ‘건강장수’의 가치를 포함한 정책을 발굴하고, 이를 추진함으로써 실제 시민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제고에 관심을 두고 있는 사례들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시민의 건강개선을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 지역생태환경의 건강자원으로의 활용, 커뮤니티의 활성화 및 지역사회의 참여, 공공부문의 제도적 뒷받침 등의 다양한 건강장수환경을 포괄하여 접근하였다.

아무쪼록 이 연구를 통해 건강장수도시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역 및 도시계획 관련 연구자와 정책 담당자들도 건강장수도시 정책 발굴에 대한 논의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더 많은 건강장수도시 사례들이 소개되고, 더 나아가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 외국의 선진 사례들이 다양하게 소개되어,

(6)

우리나라의 건강장수도시를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로 긴요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은 김은정 책임연구원, 김태환 건강장 수도시연구센터장, 최영국 선임연구위원, 권영섭 선임연구위원, 차미숙 연구위원, 임영태 연구위원, 김재욱 연구인턴의 노고를 치하하며 외부연구진으로 참여해 주신 배창희 워싱턴대학교 교수님과 조미향 동경대학교 박사과정 학생에게 깊이 감사드린 다.

2012년 12월 국토연구원장 박 양 호

(7)

| S | U | M | M | A | R | Y |

요약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주민이 건강하게 생활하고 활기차게 나이들 수 있는 도시란 뜻의 건강장수도시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시환경은 미흡한 점이 많다. 환경오염 의 증가, 자연환경의 훼손, 자동차 중심의 도시구조 고착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해서는 보건·의료분야 의 영역을 넘어 국토·도시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적극 검토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다양한 모범도시의 경험을 소개하고 자 한다. 건강장수도시의 모범사례는 건강에 미치는 사회환경적 영향의 다양성만 큼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순히 시민의 건강행태가 활발하거나 만성질환이 낮은 수준이거 나 하는 등 보건적 관점의 건강도시를 초월하여 시민건강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 지역생태환경의 우수성과 건강자원으로서의 활용,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지역사 회의 참여, 공공부문의 제도적 뒷받침 등 도시의 건강장수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물리적 도시환경의 변화를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제고에 노력하는 도시, 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지자체, 보건소, 주민, 시민단체 등 여러 주체가 협력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소개하고 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이 연구의 공간범위는 전국으로 설정하되, 사례분석 단위는 시군구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건강장수도시의 유형화 과정을 통한 모범사례를 도출하고,

(8)

유형에 따른 특성별 사례를 소개한다. 결론에서는 각 사례들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건강장수도시 사례를 선정하는 기본 방법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어디에서 거주하고, 일하고, 생활하는가가 건강과 장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명제(Your addres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long you live and how healthy you are)하에 건강장수에 유익한 도시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시의 건강성을 5가지 측면(제도기반, 생태환경, 물리환경, 시민건강, 시민참여)에서 접근하였다. 우선 이 연구에서는 강원 원주시, 경남 창원시, 서울 강동구, 충북 제천시, 경북 울릉군, 전남 광양시의 사례를 조사하기로 한다.

연구수행방법은 사례지역선정, 사례분석, 시사점 도출로 구분된다. 우선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 건강장수도시의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건강장수도시 유형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사례를 실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전 자료수집을 통해 일반 통계자료 및 건강장수 관련 선행연구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건강장수도시 현장포럼을 추진함으 로써, 관련 전문가 및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지역들의 공통적·차별적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사례지역의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3. 건강장수도시 사례분석의 시사점

1) 강원도 원주시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원주시 사례는 우리나라의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한 정책 방향에 많은 시사점 을 제시해준다. ‘건강장수도시’는 그 이름에 걸맞게 모든 공공정책에서 ‘건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보건의료뿐 아니라 도시계획, 교통, 주거, 복지 등 시정의 다양한 분야가 서로 협력하여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점진적으로 시민의

(9)

생활양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와 주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지역주민 모두가 건강한 생활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2) 경상남도 창원시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대한민국 자전거 선도도시로서 창원시는 시민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통해 건강증 진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시설공급이나 일회성의 캠페인이 아니라 건강증진 효과 등 자전거 이용의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널리 홍보하여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전담부서 및 과학적인 운영체계 등을 갖추고 있고 또한 운영상의 문제점이 나 개선과제를 모니터링 하는 등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책추진이 중요한 시사점으로 보인다. 건강도시의 선도주자로서 창원시의 추진경험이 주는 또 다른 교훈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도시의 구현을 위해서 보건소의 기능을 넘어서는 부서간의 협력, 협조,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모든 사업에서 시민의 건강을 염두에 두어야 하고 도시계획 부서 등 시청내 관련 부서의 협조체계 구축이 무엇보다도 긴요한 과제라는 점은 건강장수도시를 지향하는 모든 도시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3) 서울특별시 강동구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강동구의 사례는 도시의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시텃밭, 그린웨이 등 시민들을 위한 건강인프라를 조성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도시내 녹지 부족문제를 녹지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녹지간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시민들이 손쉽게 신체활 동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은 유사한 도시환경을 가지는 도시에게 좋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과제로서는 지금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가능한 한 녹지부 족 지역에 대한 녹지공급을 보다 확대하고 도시내 자투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10)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텃밭조성사업도 사는 곳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텃밭경 작이 가능하도록 텃밭면적을 보다 확대하여 텃밭일구기가 생활밀착형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도시텃밭사업이 도시내 공동체형성으로까지 확대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관심을 더 많이 끌어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조를 확고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충청북도 제천시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제천시의 사례는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도시의 발전전략을 ‘한방건강도시’, ‘자연치유도시’로 특화한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과정에서 건강도시 조성정책이 시민의 건강성과 삶의 질 제고 차원으로 확대되어 나갈 수 있도록 정책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방건강도시 제천선언문’에서 명시적으로 표명하고 있듯이 시민의 건강체감도를 높이고 시민행복이 최우선 목표가 될 수 있도록 연성적인 시책의 발굴과 실행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5) 경상북도 울릉군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울릉군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건강장수 자원을 골고루 잘 활용하여 이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례이다. 자연환경의 장점과 더불어 겨울철 열악한 기후조 건, 경사가 급한 주거환경, 지역간 연계성 미약 등은 명실상부한 건강장수섬 울릉도가 되기 위해 극복되어야 할 과제라 할 것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건강장수도시로 발전하 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과 환경관리, 시민의 건강실천 수준 제고에 대한 실천전략이 필요하다.

6) 전라남도 광양시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광양시는 강산해(江山海)가 자리하고 있어 태생적으로 건강장수 고장으로서의

(11)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광양시는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실천하는데도 열심이다. 제도적 기반 구축을 위해 서태평양건강도시 연맹(AFHC)에 가입하고, 제도적 근거마련을 위한 ‘건강도시 운영조례’를 같은 해에 제정하기도 하였다. 건강도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부서간 연계사업 발굴을 위한 TF팀을 구성하고, 읍면동 간담회, 지역 산업체 간담회 등을 개최하는 등 제도적인 노력들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다만, 현재는 지리적·생태적 건강장수 자원을 활용한 물리적 조성 환경 및 정책 발굴이 다소 적은 것이 현실이다. 건강장수도시 만들기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부서별로 추진되고 있는 관련 정책들을 총괄하는 조직도 필요할 것이며, 건강장수 자원을 적극 활용한 정책 발굴에도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웰빙, 건강, 장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국토공간 정책 측면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 진전, 삶의 질 향상 욕구 증대 등에 대응하여

‘국민이 행복한 생활국토의 조성’의 일환으로 ‘건강장수도시 만들기’의 움직임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야 할 때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민의 건강과 장수를 우선목표로 하여 이를 실현하고 있는 국내도시의 사례를 발굴하고 사례도시에서 추진 중인 시책이나 정책적 노력을 파악하여, 도시계획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우리나라의 대표적 인 건강장수도시를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장수도시 구현을 위한 공통적인 요소와 개념 및 형태를 도출하여 향후 한국형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제안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국민의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건강장수도시로 나아가야 할 정책적 가이드라인의 골격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핵심추진 국정과제인 「100세 시대 준비」를 위한 국토 및 도시정책 부문에서의 주요 사례들을 소개하였으므로,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공간상의 전략을 도출하는데도 활용이 가능하다.

(12)

외국에서는 건강장수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발굴되어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시즈오카현 동부지역과 효고현 도요오카시의 사례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시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저감하거나 규제하는 정책들을 발굴하는 노력들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정책적 대응들은 향후 과제로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건강장수’ 측면에서 우리나라 도시들에 대한 분석이 보다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6개 사례도시를 통하여 다양한 측면의 건강장수도시를 부각하려 노력하였으나, 좀 더 다양한 지역 특성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책적 접근을 하는 도시들을 더 많이 발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사례에 대한 분석을 축적하여 우리나라 건강장수도시의 발달 특성을 도출하고 중앙정부차원에서 한국형 건강장수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다.

(13)

| C | O | N | T | E | N | T | S |

차례

주요 결론 및 정책제안 발간사

요약

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4. 연구의 방법 1) 사례선정 방법 2) 연구수행 방법

II. 건강도시 원주, 시민의 건강증진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1. 들어가는 말

2. 원주시의 건강도시 여건 1) 확고한 제도적 기반 2) 건강 친화적 도시환경 조성

3)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추진 4) 건강형평성 제고와 활발한 시민참여 독려 5) 시민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노력

3. 맺음말: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Ⅲ. 자전거 천국 창원, 대한민국 건강도시운동의 발상지 1. 건강도시 조성의 배경

2. 자전거 천국, 창원

1 3 4 4 5 5 7

9 11 12 12 14 16 17 20 20

23 25 26

(14)

1) 자전거도시로의 태동

2) 자전거 타기 편리한 인프라 조성 3)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4) 시민의 자발적 참여분위기 조성

3. 건강도시운동의 발상지, 창원 1) 건강도시 도입의 배경

2) 건강도시운동 확산을 위한 노력 3) 주요 건강도시 시책

4. 맺음말

Ⅳ. 미래 건강도시의 메카를 지향하는 강동구 1. 미래지향적 건강도시를 실천하는 강동구 2. 강동구가 지향하는 건강도시 정책 3가지

1) 도시텃밭은 미래 건강도시로의 발전과 도시경쟁력 확보의 원동력

2) 녹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그린웨이체계 3) 건강한 삶의 기반이 되는 에너지절약 정책 3. 강동구가 미래 건강도시의 메카가 되려면 4. 맺음말: 건강도시는 시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

Ⅴ. 백두대간이 빚어낸 약초·한방 건강도시, 제천 1. 들어가는 말

2. 약초·한방 건강도시로서의 제천시 잠재력 및 향후 과제 1) 백두대간이 빚어낸 산림·건강자원 보유

2) 한방특화 산업·관광인프라 구축 및 연계 운영

3) 한방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조례 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 4) 슬로시티 인증으로 한방건강도시의 브랜드 강화 모색 3. 지속가능한 한방건강도시, 제천시의 발전을 위한 제언

Ⅵ. 천혜의 자연환경과 건강장수섬, 울릉도

26 26 29 30 33 33 33 34 34

37 39 41 41

43 45 46 49

51 53 54 54 55 60 62 63

65

(15)

1.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건강장수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울릉도의 경제·지리적 위상

4. 울릉도의 건강장수도시 진단 1) 자연(생태)환경

2) 물리적 환경 3) 제도적 기반 4) 시민건강과 실천 5) 사회적 기반

5. 울릉도가 건강장수섬이 되려면

Ⅶ. 강산해(江山海)를 건강장수 자원으로, 광양시 1. 들어가는 말

2. 광양시민의 건강장수도 3. 광양시의 건강장수 자원 1) 강(江): 섬진강 줄기 따라

2) 산(山): 백운산, 호남정맥 줄기 따라 3) 해(海): 광양만, 남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4. 제도적 기반 구축 및 건강형평성을 위한 노력 5. 광양시가 건강장수도시로 자리매김하려면 6. 맺음말

Ⅷ. 결론 및 향후 과제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2.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1) 연구의 성과

2) 향후 과제

67 68 69 69 69 74 76 77 78 79

81 83 84 85 85 87 89 91 92 93

95 97 97 103 104 104 105

(16)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07 109 111

(17)

| 표 | 차 | 례 |

<표 1-1> 건강장수도시 사례지역 선정

<표 5-1> 한방건강도시 제천 선언문

<표 6-1> 환경별 음이온 양

6 60 70

(18)

| 그 | 림 | 차 | 례 |

<그림 1-1> 건강장수도시의 5가지 측면

<그림 1-2> 연구추진체계 및 수행방법

<그림 2-1> 원주시 청사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캐치 프레이즈

<그림 2-2> 건강도시 관련 행사

<그림 2-3> 문화의 거리 조성도

<그림 2-4> 차 없는 문화의 거리에서 펼쳐진 태권도공연(좌)와 원주천 변의 자전거도로에서 열린 자전거축전(우)

<그림 2-5> 도심부 헬스파크 전경

<그림 2-6> 원주시의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의 노력

<그림 2-7>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증진 기회 보장

<그림 2-8> 원주시민 건강 체조 개발 및 보급

<그림 2-9> 걷기운동 실천을 통한 건강도시 만들기 노력

<그림 2-10>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홍보판

<그림 3-1> 창원시 시민공영자전거 ‘누비자’ 인프라

<그림 3-2> 대방로 도로 다이어트 추진 사업

<그림 3-3> 안민터널 내 자전거도로

<그림 3-4> 누비자를 즐기는 시민들

<그림 3-5> 자전거 홍보활동, 안전교육 등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노력

<그림 3-6> 누비자 운영센터

<그림 3-7> 자전거 이용 전후 신체조성, 혈액성분, 체력의 변화

<그림 3-8>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노력

<그림 4-1> 강동구 위치도

<그림 4-2> 강동구 도시텃밭

<그림 4-3> 텃논 조성이전과 이후의 모습

<그림 4-4> 강동구 그린웨이

<그림 4-5> 그린웨이체계 일환으로 조성된 허브천문공원

<그림 4-6> 강동구 브랜드 네임

5 7 11

13 14 15

15 17 18 18 19 21 27 28 28 29 30 31 32 34 40 42 42 43 44 45

(19)

| 그 | 림 | 차 | 례 |

<그림 4-7> 에너지절약 정책으로서 도시텃밭 조성

<그림 4-8> 강동구 그린웨이 체계의 방향: 네트워크화

<그림 4-9> 공사 전과 후의 서원마을

<그림 4-10> 텃밭을 일구고 있는 주민들

<그림 4-11> 강동구청장과 건강도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고 있는 국토 연구원 건강장수연구센터팀(2012년 8월)

<그림 5-1> 제천시의 산림·건강자원

<그림 5-2> 제천시의 한방특화 산업 및 관광 인프라

<그림 5-3> 제천시푸드마켓

<그림 5-4> 한방명의촌 및 박달재 자원

<그림 5-5> 청풍호반과 자드락길

<그림 5-6> 제천 한방건강도시 주요 프로그램

<그림 5-7> 슬로시티 실사

<그림 5-8> 제천 한방건강도시 주요 프로그램

<그림 5-9> 제천시 전경

<그림 6-1> 건강장수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메카니즘

<그림 6-2> 신령수숲길과 봉래폭포

<그림 6-3> 도동과 저동간의 숲길

<그림 6-4> 저동과 도동간의 해안길

<그림 6-5> 경사로에 설치된 모노레일

<그림 6-6> 울릉도의 물리적 건강자원

<그림 7-1> 광양시 주요 건강지표 수준

<그림 7-2> 섬진강과 강변을 따라 조성되는 ‘섬진강 100리 테마로드’

종합계획도

<그림 7-3> 섬진강 100리 테마로드를 따라서

<그림 7-4> 백운산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7-5> 백운산 치유의 숲 사업단계별 공간구상

<그림 7-6> 배알도 해변공원

46 47 49 49 50

54 56 57 58 59 61 62 63 64 68 71 72 73 74 75 85 86

87 88 88 90

(20)

| 그 | 림 | 차 | 례 |

<그림 7-7> 광양만 컨테이너 부두/ 이순신 대교

<그림 7-8> 건강도시 선포식

<그림 7-9> 옥룡보건지소에 설치된 공중목욕장

<그림 7-10> 광양시 현장포럼

90 91 92 93

(21)

chapter 1

서론

(22)
(23)

C | H | A | P | T | E | R | 0 1

서론

이 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및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삶의 질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시대에 물리적 도시환경의 변화 및 다양한 주체의 협력을 만들어 내는 정책개발의 노력을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제고에 노력하는 도시를 소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1. 연구의 배경

우리 국토는 도시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국민의 90%가 도시에 살고 있다. 건강한 국토는 건강한 도시가 선행되어야 하고, 국민의 삶의 질은 도시에서의 삶의 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도시의 삶의 질을 규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 중의 하나는 건강하 고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환경이라 할 수 있다. 도시의 산과 하천 등 자연환경은 물론 우리가 인공적으로 건설해온 도시의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도 이에 부합 하여야 할 것이다. 시민의 건강은 점차 이러한 주택, 도시디자인, 교통체계, 공원녹지 접근성 등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었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장수인도 쾌적한 자연환경뿐 아니라 우수한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 등 도시의 제반환 경이 양호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주민이 건강하게 생활하고 활기차게 나이들 수 있는 도시란 뜻의 건강장수도시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시환경은 미흡한 점이 많다. 환경오염 의 증가, 자연환경의 훼손, 자동차 중심의 도시구조 고착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24)

산적해 있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해서는 보건·의료분야 의 영역을 넘어 국토·도시 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적극 검토 되어야 한다.

2. 연구의 목적

국토연구원 건강장수도시연구센터는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정책의 주요한 방향으 로서 ‘건강장수’가 확고하게 자리 잡아야 하며 이를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이 한 차원 고양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과업에 주목한다(김태환·김은정 외, 2011).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모든 도시에서 주민이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도시환경 조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는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다양한 모범도시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건강장수도시의 모범사례는 건강에 미치는 사회 환경적 영향의 다양성만큼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순히 시민의 건강행태가 활발하거나 만성질환이 낮은 수준이거 나 하는 등 보건적 관점의 건강도시를 초월하여 시민건강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 지역생태환경의 우수성과 건강자원으로서의 활용,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지역사 회의 참여, 공공부문의 제도적 뒷받침 등도 시의 건강장수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도시 계획적 관점에서 물리적 도시환경 의 변화를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제고에 노력하는 도시, 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지자체, 보건소, 주민, 시민단체 등 여러 주체가 협력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이 연구를 통해 개별 도시별로 특색 있는 건강장수도시 만들기 전략이나 과제를 발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도시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3. 연구의 범위

이 연구의 공간범위는 전국으로 설정하되, 사례분석 단위는 시군구로 하였다.

(25)

<그림 1-1> 건강장수도시의 5가지 측면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건강장수도시의 유형화 과정을 통한 모범사례를 도출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별 사례를 소개한다. 결론에서는 각 사례들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4. 연구의 방법

1) 사례선정 방법

이 연구에서 건강장수도시 사례를 선정하는 기본 방법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어디에서 거주하고, 일하고, 생활하는가가 건강과 장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명제(Your addres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long you live and how healthy you are)1)하에 건강장수에 유익한 도시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시의 건강성을 5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환경의 건강성(생태 환경적 우수성의 활용)이다. 건강결정요 소로서 환경의 중요성은 이미 밝혀져 있으며, 특히 생태환경의 건강성이 중요한 특성이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건강성(시설, 인프라 등)이다. 생태환경 뿐 아니라 시설이나 인프라 등의 물리적 도시환경도 시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셋째, 제도적 기반(전담조

직, 계획, 금연구역지정 등)이다. 지방자치단 체의 관심정도와 제도적 뒷받침은 그 지역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여건이다. 넷째, 시민의 건강성(질병이환, 정신건강 등)이다.

지역의 건강성만큼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건강수준도 건강장수도시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로 꼽힌다. 다섯째, 시민참여(건강실천, 시민의식 우수 등)이다. 질병이환이나 정신

1) http://www.cdc.gov/healthyplaces/factsheets/healthy_community_checklist.pdf

(26)

건강 수준만큼이나 그 지역 주민들의 건강실천 여부, 시민의식 수준은 건강행태와 연관되므로, 여기에서는 건강장수도시의 중요한 한 측면으로 포함시켰다.

제도 기반, 생태환경, 물리환경, 시민건강, 시민실천의 다섯 가지 분류에 따른 건강장수 측면의 모범 지자체와 특징을 정리하면 <표 1-1>과 같다. 주지해야 할 것은 선정된 지역이 하나의 특징만을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을 때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원 원주시의 경우는 건강관련 제도기반이 특징적이기는 하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조성에도 모범적인 사례로 분류될 수 있다. <표 1-1>에서 선정된 도시들 중에서 우선 이 연구에서는 강원 원주시, 경남 창원시, 서울 강동구, 충북 제천시, 경북 울릉군, 전남 광양시의 사례를 조사하기로 한다.

차례 분류 내용 지자체 선정이유 후보 지자체

제도 기반

전담조직, 조례, 재원, 계획 등

[도] 강원 원주시 건강도시 조례 및 계획 서울 종로구, 성북구, 송파구, 부산 동구, 경남 창원 등(도시농업 조례제정); 충남 천안시, 충북 진천군(건강도시 조례제정)

[도] 서울 강동구 도시농업 조례

[도] 경기 수원시 건강도시 추진 조직 [농] 전북 무주군 건강도시조례, 조직

생태 환경

대기질, 수질, 소음, 자연환경 등

[농] 전남 신안군 증도 슬로시티

경기 양평군(친환경), [농] 전남 곡성군 자연환경

[도] 충북 제천시 자연환경, 약초

[농] 경북 울릉군 자연환경(녹색섬)

물리 환경

운동체육시설, 도심공원, 자전거도로, 보건의료시설

[도] 경남 창원시 자전거 천국/

건강도시효시

경기 분당구(도심공원) 대전시(자전거 천국, 타슈) 전남 장성군(편백나무 숲) [농] 경남 하동(진주) 건강환경 조성/생활터

[농] 충남 금산군 아토피 치유숲 [농] 충남 서천군 노인보건의료시설(어메

니티복지마을) [도] 경북 고령(경산) 건강도시 기반구축

[도/농] 세종시 건강환경조성

시민 건강

시민건강수준, 유병률 등

[도/농] 제주 제주시 장수지역(장수도↑)

서울 서초구(장수도↑) [도] 서울 강남구 장수지역(장수도↑)

[도] 전남 광양시 장수지역(장수도↑)

시민 참여

운동실천율, 체육프로그램 참가율 등

[도] 경기 의왕시 건강행태(걷기실천율↑) 서울 도봉구(비만율↓, 걷기실천율↑)

※ [도]: 도시, [농]: 농촌. 도시와 농촌을 적절히 배분하여 사례집을 구성하기로 함

<표 1-1> 건강장수도시 사례지역 선정

(27)

2) 연구수행 방법

연구수행방법은 사례지역선정, 사례분석, 시사점 도출로 구분된다. 우선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 건강장수도시의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건강장수도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는 앞 절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선정된 사례를 실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전 자료수집을 통해 일반 통계자료 및 건강장수 관련 선행연구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건강장수도시 현장포럼을 추진함으로써, 관련 전문가 및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지역들의 공통적·차별적 요소를 확인함으 로써 사례지역의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림 1-2> 연구추진체계 및 수행방법

(28)
(29)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 과제명: 서울시 혼잡통행료 제도 실시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 교통개발연구원 (1996)

∙ 연구목적: 최적혼잡통행료 및 혼잡지역을 선정하고 이 지역에 대한 혼잡통행료 시 행방안 제시

∙ 국내외 문헌고찰

∙ 서울시 혼잡지역 및 축 분석

∙ 혼잡통행료 추정을 위한 시범교통축 및 모형정립

∙ 혼잡통행료에 대한 시민여론 조사 및 혼잡통행료 최적부과대상지역 선정

∙ 최적혼잡통행료 추정 및 효과분석

∙ 통행료 수입금 배분방안 제시

2

∙ 과제명: 서울시 혼잡통행료 징수체계 보완연구

∙ 연구자: 서울시정개발연구 원(2001)

∙ 연구목적: 남산 1, 3호선 혼잡통행료 징수사업 평가 및 징수기준 보완방안 제시

∙ 남산 1, 3호 터널에 대한 통행료 징수효 과를 교통계획적 측 면에서 평가하고(통 행속도 변화, 교통량 변화 등) 확대시행을 건의

∙ 혼잡통행료 법적근거 및 시행기준 검

∙ 시범사업 시행효과 분석 및 개선대상 파악

∙ 혼잡통행료 징수기준 보완방안

∙ 징수시스템 보완방안

∙ 혼잡통행료제도 확대

3

∙ 과제명: 혼잡통행료제도 확 대시행의 효과분석

∙ 연구목적: 혼잡통행료 제도 의 시행효과를 BRT 제도와 의 정책적 결합을 중심으로 검토

∙ 서울시 교통현황 분 석 및 전망

∙ 혼잡통행료 효과분 석 방법론 수립 및 서 울시 사례 분석

∙ 혼잡통행료제도의 국내외 사례 분석

∙ 서울시 교통현황 및 추이 분석

∙ 혼잡통행료 및 BRT 시행효과 분석

본 연구

∙ 다양한 혼잡통행료 징수방 법을 대안으로 설정하고 시 행에 따른 소득계층별, 지 역별 파급영향을 제시하며 정책도입의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

∙ 해외사례 검토

∙ 시민의식 설문조사

∙ 계량모형 구축 및 운

∙ 혼잡통행료 해외 시행 사례검토

∙ 다양한 혼잡통행료 징수대안 설정 및 평가

∙ 혼잡통행료 제도의 효율적 시행을 위 한 정책 방안 제시

<표 1-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단위: 없음)

주: 도로혼잡비용. 2012.

chapter 2

건강도시 원주, 시민의 건강증진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30)
(31)

<그림 2-1> 원주시 청사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캐치프레이즈

C | H | A | P | T | E | R | 0 2

건강도시 원주, 시민의 건강증진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본 장에서는 시민의 건강증진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강원도 원주시 사례를 소개한다. 원주시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의장도시이며, 건강도시 와 관련된 제도기반이 잘 마련되어 있고, 물리적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1. 들어가는 말

수도권과 영동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 또는 군사시설이 밀집한 군사도시로 알려져 있던 원주시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지자체의 의지와 지역대학의 협력이 결

합되어 의료기기산업 의 발전을 이끌어 원주 시의 주요 특화산업으 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연세대학교 원주캠퍼 스의 의료기기 개발기 술에 상지대학교의 한

(32)

방의학 등 건강 관련 연구가 밑받침되고, 더불어 지역 내 대학에서 배출되는 전문 인력과 의료기기 관련 연구소 및 관련 기업이 집적하여 성장한 의료기기산업은 원주시는 물론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으로 면모를 갖춰나가고 있다.

원주시는 의료기기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라는 슬로건 아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다. 원주시는 도시발전의 최고 목표를 건강도시로 설정하였다. 시정의 최우선순위를 시민의 건강에 두고 있으며, 시민들과 함께 건강도 시를 만들어나가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원주시의 건강도시 요건

1) 확고한 제도적 기반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도시에 대해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상호 협력하여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가는 도시’로 정의하였다. 또 주요 특징으로 첫째, 건강관련 정책이나 행정체계가 잘 갖추어진 도시, 둘째, 물리적·비물리적 환경이 깨끗한 도시, 셋째, 누구나 건강 관련 서비스를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 마지막으로 시민의 건강수준이 높은 도시를 들고 있다.

대한민국의 선도적 건강도시로서 원주시가 갖추고 있는 특성은 우선 제도적 기반에 서 찾아볼 수 있다. 시장의 리더십과 강력한 의지로 건강도시 실현을 시정의 주요 목표로 확립한 이후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일찍부터 갖추어 나갔다.

전담조직으로 기획예산과 건강도시팀, 보건소 건강관리팀을 신설하고 건강도시 관련 사업의 협의, 조정 등을 수행하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일관된 건강도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건강도시 사업을 확고한 제도적 기반 위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2005년 ‘원주시민 건강의 날 조례’, ‘건강도시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2010년 ‘건강도시 기본 조례’ 등을 제정하였다. 이 중 매년 개최되는 ‘원주시민 건강의 날’ 행사는 시민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제고와 건강도시 운동에의 참여를

(33)

원주시민 건강의 날 기념행사 모습

건강박람회

건강도시 자문위원회

<그림 2-2> 건강도시 관련 행사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건강

도시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에 의해 구성된 건강도시자문위원 회는 건강도시 추진을 위한 각계 전 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수렴과 사업 추진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건강도시의 체계적 발전을 위해 서는 종합적인 계획의 수립·시행 또 한 필요하다. 2005년부터 ‘건강도시 원주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 고, 현재는 그 후속계획으로 ‘비전 2020 건강도시 원주발전 10개년 계 획’을 수립하여 8개 분야 105개 과제 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주시의 건강도시 구 축을 위한 노력 중 가장 특이할 만 한 점은 사업추진을 위한 재원마련 에 있다. 약 190억 원 규모(2012년 기준)의 담배소비세 세입 재원 전 액을 건강도시사업 추진에 투자하 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건강도시 사업추진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아 2006년 AFHC2)의 우수정책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 원주시는 건강도시 사업 초창기부터 국제적인 건강도시 운동의 흐름에 동참하여 2004년 WHO 서태평양건강도시 연맹(AFHC)의 창립멤버로 가입하였다. 또한 2006년 창립된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KHCP)의 의장 도시로 활동하는 등 우리나라에서 건강도시의 확산과 경험공유에 적극 나서고 있다.

(34)

<그림 2-3> 문화의 거리 조성도 2)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

건강도시 조성을 위해 정책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선진국의 건강도시들이 공통 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바로 신체활동의 촉진을 위한 도시 인프라의 조성이다. 특히 자동차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보행이나 자전거 이용 등 시민건강을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도시 원주시의 두 번째 특징 또한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다. 원주시는 특히 건강도시 환경조성에서 아주 주목할 만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바로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건강한 도로를 만들기 위해 차도의 일부를 보행자에게 돌려주는 사업이다. 원주시내 중심의 가장 분주한 도로를 보행자전 용거리로 개편하고, 주변의 왕복 4차선 두 개 도로를 편도 3차선으로 줄여 이 중 1차로를 보행자도로로 전환하였다. 또 도로 양쪽 보도의 폭을 넓혀 보행환경을 개선하 고 도시미관도 함께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3) 이러한 사업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에 걸맞게 자전거와 보행 중심으로 도시교통체계를 지속적으로 바꾸어나가길 기대하는 목소리 또한 높다.

시민의 신체활 동 촉진을 위한 것 으로 원주천변 걷 기 및 자전거도로 조성사업이 있다.

지역민의 건강체 육 증진과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 하여 현재 원주천 변 양안에 명품 코

3) 이 중 1개 도로(원일로)는 2012년 6월 말 준공하였다.

(35)

<그림 2-5> 도심부 헬스파크 전경

스를 조성 중인데, 걷기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코스를 분리하여 이용효율을 높이고 이용자 간의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자전거 횡단보도와 도로표지판 등의 설치를 확대하고 구도로를 보수할 경우 차도 폭을 줄여 자전거도로를 확보하 여 건강도시 원주의 브랜드를 정착시킬 방침이다. 이 외에 원주천 주변을 자연친화 적 건강공원으로 조성하고, 쓰레기 매립장을 생활체육공원으로 환원하는 사업 등도 추진하면서 건강인프라 확충에 매진하고 있다.

<그림 2-4> 차 없는 문화의 거리에서 펼쳐진 태권도공연(좌)와 원주천변의 자전거도로에서 열린 자전거축전(우)

건강인프라 확충을 위한 사업에는 건강관리와 의료·체육시설 및 문화시설이 집적된 헬스파크 단지 조성도 빼놓을 수 없다. 헬스파크 단지에는 종합운동장, 원주따뚜 공연장, 원주국민체육

센터, 원주엘리트 체육 관이 집적되어 있는데, 이 중 원주국민체육센터 에서는 수영장, 헬스장, 다목적 체육관, X-게임 장 등이 설치되어 시민 을 위한 생활체육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36)

3)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추진

헬스파크 단지 내 원주국민체육센터에는 시민들의 평생건강을 관리하는 평생건강·

운동의학센터가 2009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이곳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교에서 위탁운영을 맡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만성질환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 질병예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신체 운동능력에 적합한 운동법 처방 및 지도를 실시하는 기본맞춤형 운동처방 프로그램,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질환별 운동처방을 제공하고 일정기간 후 건강데이터 분석 제공 등 시민들이 꾸준하게 건강을 관리하고 자율적인 건강생활을 실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원주국민체육센터의 이용자 1,704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점 만점에 9.2점으로 높게 나타나 제공되는 서비스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복 이용자 1,0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는 체중이 1.1kg, 복부둘레 2.6cm, 체지방률이 7.4% 감소하는 등 유의미한 수준에서 건강증진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거점체력센터를 유치하여 서비스의 범위와 질을 제고하고 시너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원주시에서는 세계보건기구의 ‘건강도시 운동’에서 채택한 바와 같이 시민들이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 방법을 주요 전략으로 하고 있다.

생활터 접근방법은 우리가 거주하고, 배우고, 일하고, 여가활동을 하는 일상생활의 영역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주택, 학교, 직장, 지역사회환경 등이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원주시는 이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우선 각 생활터에서 건강에 대한 인식제고와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어린이 건강교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비만예방캠 페인, 주부 비만교실, 어르신을 위한 실버건강체조교실 등을 운영하였다. 또 건강생활 공간 마련과 관련하여 장수농촌마을 사업, 산책로 조성, 학교숲 및 도시숲 만들기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37)

원주시 교동초교 학교숲 조성 전(좌), 후(우)의 모습

원주시 청곡근린공원 도시숲 조성 전(좌), 후(우)의 모습

원주시 문화의 거리 현재(좌)와 조성 후(우)의 모습

<그림 2-6> 원주시의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의 노력

4) 건강형평성 제고와 활발한 시민참여 독려

건강도시를 만들어가는 데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 및 기회의 공평한 제공과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다. 시민 누구나 건강을 증진시 킬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고 시민들은 건강생활실천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 로써 지속가능한 건강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38)

<그림 2-8> 원주시민 건강체조 개발 및 보급 이러한 측면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증진 기회의 보장과 건강실천프로그램의 참여는 건강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문이다. 원주시는 건강취 약계층을 배려하고 불평등을 제거하는 건강형평성의 개선을 주요한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즉 장애인, 노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가 건강한 삶의 기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한 방문간호서비스, 찾아가는 경로당 어르신교육, 장애인을 위한 재활프로그램 운영, 최근 사회문제로 급증하고 있는 자살률을 줄이기 위한 정신건강 증진, 자살예방토론회 개최 및 자살예방 프로그 램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

방문간호 서비스 어린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꾸러기 건강캠프 정신건강 상담

<그림 2-7>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증진 기회 보장

원주시는 시민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 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개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금연운 동을 확대하여 금연공원이나 금연정류 장의 지정 등을 시도하였고, 건전한 음 주문화와 관련하여 보다 실천적인 방안 으로 절주잔 보급 등의 노력을 하고 있 다. 이와 더불어 운동을 통한 성인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원주시민 건

(39)

강체조’를 자체 개발하여 보급하기도 하였다. 시민을 대상으로 실제로 건강체조의 운동효과를 측정·실험한 결과 기초체력이나 신체조성, 심혈기능 향상 등의 변화가 있음을 입증하고 시민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원주시는 매년 5월에 개최하는 ‘시민건강대행진’을 시민 스스로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붐을 일으킬 수 있는 건강축제로 만들어가고 있다.

건강도시 원주시의 또 다른 자부심은 ‘걷기 메카 도시’로서의 자리매김이다. 시민의 건강생활을 위하여 걷기운동을 모든 운동의 중심으로 하고 걷기교실 운영, 걷기 좋은 길 코스 개발, 만보기 보급 및 올바른 걷기 지도를 위한 걷기 지도자 양성 등 걷기운동 실천을 통한 건강도시 만들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로 18회째인 국제걷기대회를 매년 개최하여 시민들의 걷기운동 동기를 부여하고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미래지향적 건강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원주시가 개발한 U-wellness 시스템은 RFID(전자태그)를 발급받은 시민들이 걷기운동 후 개인별 건강상태 체크는 물론 걷기기록까지 관리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그 외 U-걷기 코스 개발, 건강생활정 보 서비스, U-걷기대회 지원 서비스 등을 통해 시민의 건강관리 능력 향상과 건강증진 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제 걷기대회 걷기 지도자 양성, 자격증 수여

<그림 2-9> 걷기운동 실천을 통한 건강도시 만들기 노력

(40)

5) 시민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노력

마지막으로 건강도시의 주요 특징은 시민의 건강수준이 높은 도시다. 건강한 공공정 책과 서비스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 건강조사4)를 통해 본 원주 시민의 건강수준은 현재 만족할 만큼 높은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건강행태 측면에서도 흡연율이나 음주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걷기실천율의 경우에도 오히려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전국 평균에 못 미치고 있다. 이환 및 의료이용을 통해 본 건강수준에서 도 전국 평균과 격차를 나타내며,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측면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 건강이란 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그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원주시의 경우, 지표로 본 건강수준은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 건강수준 향상이라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때까지 한층 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시민건강수준 제고를 위해 지자체와 시민이 함께 꾸준히 노력해나간다면 가까운 미래에 그 효과가 점진적인 시민의 건강수준 향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적 노력과 함께 앞으로 지역적, 계층적 격차 등을 고려한 보다 장기적이고 정교한 건강도시 사업의 추진이 요구된다 하겠다.

3. 맺음말: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원주시는 지속가능한 건강도시로 발전해나가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고 모범적인 사례들과 경험들을 점차 축적해나가고 있다. 먼저, 도시의 브랜드 제고 및 건강증진을 통한 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시정의 주요한 가치로 설정하고 이를 강력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원주시의 리더십과 정책의지가 확인된다. 건강도시전담팀을 설치하여 부서 간 협조와 조정역할을 수행하

4) 2008년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지역별 주민의 건강수준에 대한 조사이다.

(41)

<그림 2-10> 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원주 홍보판 고, 시정의 다양한 시책들을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강도시 추진체계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건강한 도시로 가꾸기 위한 시책에서도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생활 실천사업과 더불어 시민의 건강결정요인 으로서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사업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건강한 도시만들기 가 취약계층을 배제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어 건강한 도시의 사회경제적 기반의 조성도 균형을 맞추고 있다.

원주시 사례는 우리나라의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위한 정책 방향에 많은 시사점 을 제시해준다. ‘건강장수도시’는 그 이름에 걸맞게 모든 공공정책에서 ‘건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보건의료뿐 아니라 도시계획, 교통, 주거, 복지 등 시정의 다양한 분야가 서로 협력하여 건강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 를 유도하여 점진적으로 시 민의 생활양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와 주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지역주민 모두 가 건강한 생활공동체를 만 들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 아야 할 것이다.5)

5) 여기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공공정책적인 차원에 더하여 민간차원에서 진행되는 지역사회의 자발적인 노력도 건강도시 원주를 뒷받침하는 주요한 축이라 할 수 있다. 건강한 먹거리를 위한 ‘친환경급식지원센터’와 로컬푸드시스템 구축 노력, ‘협동조합 병원’의 운영과 같은 생 활협동조합의 활성화 등은 지역공동체 기반을 공고히 하고 실질적 의미로서 건강도시 원주 가 뿌리내리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2)
(43)

chapter 3

자전거 천국 창원, 대한민국

건강도시운동의 발상지

(44)
(45)

C | H | A | P | T | E | R | 0 3

자전거 천국 창원,

대한민국 건강도시운동의 발상지

본 장에서는 건강증진 인프라로서 공공자전거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경남 창원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창원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공공자전거 ‘누비자’를 도입하여 시민의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한 사례이기도 하고, 우리나라 건강도시운동의 발상지 이기도 하다. 탄탄한 제도기반과 함께 공공에서의 물리적 환경조성, 그리고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어우러진 창원시 사례를 통해 타 지자체의 건강장수도시 만들기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1. 건강도시 조성의 배경

서부 경남의 행정과 산업요충지에 위치한 창원시는 정부의 중화학공업 시책에 따라 계획된 공업도시로 이미지가 굳어져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삶의 질 제고와 시민건강 증진 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창원시는

‘살기 좋고 건강한 도시 만들기’를 시정의 주요 목표로 두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보건소를 중심으로 건강도시 사업을 시작했고, 2007년부터는 자전거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시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이제 창원시는 자전거 정책과 건강도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에 힘입어 새로운 도시 이미지 구축에 매진하고 있다. ‘건강도시 창원’, ‘자전거 천국 창원’ 등의 슬로건 아래 도시의 정체성을

(46)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창원시가 건강장수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추진 중인 자전거 활성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후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건강도시 정책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2. 자전거 천국, 창원

1) 자전거도시로의 태동

창원시가 자전거 천국으로 발돋움하게 된 계기는 ‘환경수도 창원’을 선포한 2006년 10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정의 어젠다로 환경을 우선시함으로써 기존 공업도시로서 의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했다. 환경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물과 바람이 순환하는 도시를 조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푸른 하늘과 맑은 공기 확보가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창원시는 녹색교통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창원시의 도시환경은 자전거도시가 될 만한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편평한 분지지형으로 도심 평균 경사도가 3% 이내이며, 연평균 12.9℃의 온난한 기후조건을 갖추고 있다. 계획도시라서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기에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도 창원시 가 자전거도시로 발돋움하기에 좋은 여건이 되었다. 이런 배경하에 2007년 3월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권장을 위해 공무원 자전거출퇴근을 전면 시행하면서 자전거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2) 자전거 타기 편리한 인프라 조성

대한민국의 선도적 자전거 친화도시로서 창원시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우선 자전거 를 타기에 편리한 도시 인프라 조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창원시는 강력한 리더십과 적극적 의지로 자전거 천국을 실현하기 위해 일찍부터 노력해왔다. 우리나라 최초로 자전거 정책과를 신설하여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관련 사업의 협의, 조정 등을 수행하

(47)

도록 하고, 효율적이고 일관된 시민공영자전거 ‘누비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개년 계획인 누비자 사업계획은 총사업비 180억 원을 투자하여 터미널 280개소와 공공자전거인 누비자 6천 대를 도입하는 계획으로, 2012년 1월 현재 터미널(무인대여소) 230개소와 자전거 4천 대를 운영하고 있다.

회원 수는 회원가입 가능연령인 만 15세 이상 인구 88만 명의 16.7%인 14만 7천 명으로 1일 평균 2만 회 이용과 1대당 8회의 높은 회전율을 보이고 있다.

누비자 터미널 누비자 자전거 보관대

<그림 3-1> 창원시 시민공영자전거 ‘누비자’ 인프라

또한 창원시는 자전거 타기 편리한 기반조성을 위해 자전거도로 연계성 확보와 도로다이어트, 자전거 문화센터 운영 등을 통해 공영자전거 시스템 구축을 뒷받침하고 있다. 자전거 연계성 확보를 위한 자전거 인프라로 186개 노선 472.2km에 달하는 자전거도로를 확충했으며, 이 중 자전거전용도로는 18개 노선 100.8km를 조성했다.

그 외 395개소 6,449대에 달하는 자전거 보관대 설치 및 1,933개소에서 보도턱 낮추기 사업을 시행하여 자전거 타기에 편리한 자전거 안전시설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와 관련해서는 대방로 4.3km에서 기존 1개 차로를 축소한 후 자전거 전용도로를 양측에서 2m씩 확보했다. 또한 자전거 문화센터를 창원 경륜공단 일원에 설치하여 자전거 홍보관과 강의장, 주행교육장, 자전거 정비소, 자전거 전시관 등을 운영하면서 전국 최초의 자전거 관련 교육·홍보·체험을 한자리에 서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48)

<그림 3-3> 안민터널 내 자전거도로 다이어트 전

도로다이어트 추진(대방로 4.3km) 다이어트 후(차선 수 4→3차선, 차로 폭 3.5→3.25m)

<그림 3-2> 대방로 도로 다이어트 추진 사업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마산과 진해 지역의 자전거 기반을 확충하기 위 한 노력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세 지역을 통합하는 자전거 기반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진해에서 창원으로 연결되는 안민터널 내 자전거도로 조성 사업은 국내 최초의 장거리 터널 (L=3.6km) 내 자전거도로 조성사례로 기 록되고 있으며, 이는 자전거도시 창원시 가 자전거 연계성 확보를 위해 선도적으 로 노력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다.

(49)

<그림 3-4> 누비자를 즐기는 시민들 3)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대한민국의 선도적 자전거 도시로서 창 원시가 가진 또 다른 특성은 자전거를 편 리하고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제도적 장치 의 마련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07년 2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여 자 전거 정책의 근거를 마련했으며, 2008년 5월에는 전국 최초로 3개 팀(자전거 정책 팀, 시설팀, 문화팀) 12명으로 구성된 ‘자 전거 정책과’를 신설했다. 또한 2008년 9월 22일 전국 최초로 시민 자전거보험에 가입하여 전 시민을 대상으로 자전거 관련 피해자 및 가해자에게 최고 2,900만 원을 보장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의 안정감 부 여와 자전거타기 활성화에 기여했다.

또한 창원시는 시민들이 편리하고 안전 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제도정착에도 힘쓰고 있다. 자전거도로 설치기준 및 자 전거 이용자의 안전운행기준 등 자전거통 행 안전대책 마련과 초·중등학생 및 운수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전거 안전교육을 강 화하고 있으며, 자전거 등록제 시행과 불 법 주·정차 차량 단속을 강화하여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촉진하는 등 불합리한 법·

제도의 지속적인 발굴 및 개선을 위해서도 힘껏 노력하고 있다.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thesis, a methodology using the VISSIM simulation model and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 was utilized to quantify the impacts of the lead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Radiation exposure of barley seeds can improve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이것은 가 위로 유계가 아니라는 문제의 가정에 모순이다... 유리수의

수렴하는

하지만 여기서는 항번호가 자연수인 경우만 증명 하였다... 그러므로

최대정수함수가 극댓값을 갖는 점과 극솟값을 갖는 점을 모두 구하고, 그 점에서 극값을 구하 시오.. 함수가 미분 가능하면 극값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