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배변 실신 또는 실신 전단계 환자의 임상적 특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배변 실신 또는 실신 전단계 환자의 임상적 특징"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4:601 - 608

5)

접수: 1999년 3월 16일, 승인: 1999년 8월 12일

연락처: 김준수, 135-710,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5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Tel: (02) 3410-3414, Fax: (02) 3410-3417, E-mail: juneskim@smc.samsung.co.kr

배변 실신 또는 실신 전단계 환자의 임상적 특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심혈관센터 순환기내과*

박상종・김준수*・이풍렬・김영호・손희정・김재준・고광철 백 승 운・이 종 철・최 규 완・정 진 옥*・서 정 돈*・이 원 로*

Cli n i c a l C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P a t i e n t s w i t h D e fe c a t i o n S y n c o p e o r P r e s y n c o p e

S a n g -J on g P a rk , M.D., J u n e S o o Ki m , M.D.*, P oo n g -Ly u l Rh e e , M.D., Yo u n g H o Ki m , M.D., H e e J u n g S o n , M.D., J a e J u n Kim , M.D.,

Kw a n g Ch e ol Ko h , M.D., S e u n g Woo n P a i k , M.D., J o n g Ch e o l R h e e , M.D., Ky o o-Wa n Ch o i, M.D.,

J i n Ok J e on g , M.D.*, J u n g D o n S e o , M.D.*

a nd Wo n Ro Le e , M.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and Division of Cardiology, Cardiac and Vascular Center*,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Defecation syncope is a subgroup of neurocardiogenic syncope which occurs

during or immediately after defe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fecation syncope and the usefulness of head-up tilt test (HUT) in diagnosing the defecation syncope. Methods: Forty-five patients who had a history of defecation syncope or presyncope were selected from 454 patients who underwent HUT from Oct, 1994 to Jan 1998.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UT resul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wenty-one subjects with positive HUT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bout the recurrence of symptoms after diagnosis. Results: Median frequency of defecation syncope or presyncope was 4 (range; 1-30) and 34 subjects (75.6%) out of 45 patients were females. Injury due to the events occurred in 9 subject (20%). In 16 cases (35.6%), syncope or presyncope occurred under situations other than bowe activity. Majority of the patients (40 cases, 88.9%) had prodromal symptoms. The result of HUT wa positive in 29 subjects (64.4%).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nd results of HUT. Conclusions: Defecation syncope is a subgroup of neurocardiogenic syncope and the head-up tilt test can be a useful tool in diagnosing the defecation syncope or presyncope. (Kor J Gastroenterol 1999;34:601 - 608)

Key Words: Defecation syncope, Head-up tilt test, Neurocardiogenic syncope

(2)

60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5 호 1999

서 론

배변 실신(defecation syncope)은 기침, 배뇨 등과 같은 특정한 유발 요인이나 상황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황성 실신(situational syncope)의 한 형태로1 배변 중이나 배변 직후에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지 는 것이 특징적인 소견이다.2 전체 실신 중 상황성 실신은 1-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3-8 배변 실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전 체 실신의 4.6-6.2%가 배변 실신이라는 보고가 있 다.3,9 배변 실신은 배변 행위시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vasovagal syncope)과 마찬가지로 혈압과 심박동수 의 변화를 조절하는 자율신경계가 부적절하게 반응 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1,10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외상을 입을 수 있고, 재발이 흔하 여9 환자와 가족들이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기립경 사검사(head-up tilt test, HUT)가 원인 불명의 실신 환자에서 심장신경성 실신(neurocardiogenic syncope) 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며, 재발이 빈번하거나 외상의 위험이 높은 심장신경성 실신의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atenolol과 같은 베타차단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1,4,10-12

국내에서는 배변 실신에 국한된 연구는 없으나, 실신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의 약 7%가 배변 실 신을 포함하는 상황성 실신이라는 보고가 있으며,13 원인 불명의 실신으로 기립경사검사를 받은 환자 중 약 7%가 배변 실신인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이에 저 자 등은 원인 불명의 실신으로 기립경사검사를 받은 환자들 중 배변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이 있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적 검사로서 기립경사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4년 10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으로 삼성서울병원에서 기립경사검사를 받은 454명 중 실신의 뚜렷한 원인이 없고 병력에서

배변시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의 경험이 있는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명(24.4%)이었 고, 여자는 34명(75.6%)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3.2

±11.3세였다.

2. 방 법

기립경사검사와 심초음파검사, 24시간 활동중 심 전도검사, 운동부하검사, 뇌 자기공명영상검사, 뇌파 검사 등의 결과 및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배변 실신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성별과 기립경사 결과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기립경사검사 양성자 중 전화 설문이 가능하였던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9년 1월까지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의 재발 유무 및 재발 방지를 위해 처방된 베타차단제 복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1) 기립경사검사 방법

자정 이후 금식한 상태에서 오전에 검사를 실시 하였다. 누운 상태에서 기저 혈압과 맥박을 측정한 후 환자를 70도 경사로 세우고 30분 동안 혈압과 심 전도를 관찰하였다. 30분 후에도 결과가 음성이면 경사 테이블의 각도를 계속 70도로 유지하면서 iso- proterenol을 1 μg/min의 속도로 정주하기 시작하여 매 3분마다 1 μg/min씩 증량하여 최고 5 μg/min까 지 증량하면서 혈압과 심박동수를 관찰하였다.

(1) 양성 판정 및 분류의 기준

검사 중 수축기 혈압이 80 mmHg 이하로 저하되 거나(혈관운동억제형), 환자의 심박동수가 분당 45 회 이하(isoproterenol 정주시는 분당 60회 이하)로 되거나, 3초 이상의 심정지가 발생하거나(심장기능 억제형), 혈압과 심박동수가 동시에 저하되면서(혼 합형)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이 유발되면 양성 반응으로 정의하였다.

(2) 검사의 중단 기준

검사시 양성 반응이 나타나거나, 환자가 isopro- terenol 정주를 견디지 못하거나, 심박동수가 분당 150회 이상에 도달되거나, isoproterenol 정주 속도가 5 μg/min에 도달하면 검사를 중단하였다.

(3)

박상종 외 12인. 배변 실신 또는 실신 전단계 환자의 임상적 특징 603

(3) 기립경사검사로 평가한 베타차단제의 효과 기립경사검사 양성자에게 atenolol을 하루 25-50 mg을 경구 투약하면서 다시 기립경사검사를 시행하 여 양성 반응 억제 효과 유무를 평가하였다.

3. 통계 분석

SPSS for windows 7.5 통계 프로그램의 χ2-test와 Student' 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비모수적 검정법으 로는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Wallis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p value의 기준은 0.05 미만인 경우로 하였다.

결 과

실신과 실신 전단계 증상은 1-30회에서 있었으며, 총 발병 횟수의 중앙값은 4회였고, 실신 횟수의 중 앙값은 2회(범위; 0-30회)였다. 복통이나 어지러움, 시력의 혼탁, 오심, 구토 등의 전구 증상은 40예 (88.9%)에서 나타났으며, 실신으로 외상을 입은 환 자는 9예(20%)였다(Table 1). 대상자 45예 중 16예 (35.6%)에서는 배변 행위 이외의 다른 상황에서도 실신이 발생하였는데, 16예 중 9예(56.3%)에서는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도 실신이 발생하였으며, 소변을 보는 중에도 증상이 나타났던 경우가 1예 (6.3%) 있었고, 6예(37.5%)는 배변 행위를 포함하여 3가지 이상의 상황에서 실신이 발생하였다(Table 2).

동반 질환은 9예(20%)에서 있었으며 이 중 고혈압 이 7예로 가장 많았다(Table 3).

기립경사검사 양성 반응은 29예(64.4%)에서 나타 났는데, 혈관억제형과 혼합형이 각각 18예(62.1%)과 11예(37.9%)였으며 심장기능억제형은 관찰되지 않 았다. 9예의 환자에서는 atenolol을 복용한 후에 추 적 기립경사검사를 받았는데 1예을 제외한 모두에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or Presyncope (n=45)

Male/Female Age (mean±SD) Frequency (median)

Both syncope & presyncope Syncope alone

Presence of prodromal symptoms Age of onset (mean±SD) Injury

11/34 43.2±11.3

4 (1-30) 2 (0-30) 40 (88.9%)

34.4±13.0 9 ( 20%)

Table 2. Associated Situations in Sub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Associated situations Number (%) Defecation alone

Defecation+other situations Standing or sitting Micturition

Standing+micturition Standing+others*

Micturition+others

29 (64.4) 16 (35.6) 9 (20) 1 (2.2) 2 (4.4) 3 (6.7) 1 (2.2)

* during singing, shower, speaking or Valsalva maneuver.

Table 3. Underlying Problems in Sub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Underlying problems Number (%)

None

Presence of underlying problems Hypertension

Atrial septal defect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Angina+hypertension

Ddiabetes mellitus+hypertension AV block (Morbitz I)+hypertension

36 (80) 9 (20) 4 (8.9) 1 (2.2) 1 (2.2) 1 (2.2) 1 (2.2) 1 (2.2)

(4)

60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5, 1999

서 음성 반응이 관찰되었다(Table 4). 기립경사검사 양성자 29예 중 19예(65.5%)는 atenolol을 복용하도 록 처방되었으며, 나머지 10예(34.5%)는 투약 없이 경과를 관찰하기로 결정되었다. 증상의 재발 유무와 약물 복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던 전화 설문에서 설문이 가능하였던 환자는 21예였다. 약물 복용이 처방된 19예 중 14예에서 설문이 가능하였 는데, 이 중 4예만이 계속 atenolol을 복용하고 있었 으며, 10예는 약물 복용을 중단하였다. 투약 없이 관찰만 하기로 하였던 10예 중에서는 7예와 전화 설문이 가능하였다(Fig. 1). 처음 기립경사검사를 받 은 시점에서부터 전화 설문까지의 기간은 지속적으 로 atenolol을 복용한 군은 중앙값이 35.5개월(범위;

31-35개월)이었고, 복용을 중단한 군은 36.5개월(범 위; 20-48개월), 경과 관찰만 하기로 하였던 군은 20 개월(범위; 13-43개월)이었다. 증상의 재발을 살펴보

면, 지속적으로 atenolol을 복용하였던 4예에서는 증 상이 재발하지 않았으며, 복용을 중단하였던 10예 중 2예(20%)에서 증상이 재발하였고, 경과 관찰만 하기로 하였던 7예 중에서는 1예(14.3%)에서 증상이 재발하였으나 치료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Fig. 1. Follow-up outcome of Sub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Head-up tilt test was positive in 29 of 45 sub- 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19 subjects with positive test were recommended to take atenolol for prophylaxis.

Only 4 out of these subjects continued to take atenolol.

Table 4. Results of Initial HUT and Repeated HUT with Atenolol

Results Number (%)

Negative HUT Positive HUT Vasodepressive Cardioinhibitory Mixed

Positive repeated HUT (n=9)

16 (35.6) 29 (64.4) 18 (40 ) 0 ( 0 ) 11 (24.4) 1 (11.1) HUT, head-up tilt test.

Table 5. Comparison of Recurrence Rate Obtained by Telephone Interview between Three Groups (n=21)

Continue medication (n=4)

Discontinue medication (n=10)

Observation

(n=7) p value Age (mean±SD)

Male/Female

Duration (mean±SD, months)*

Previous frequency (median)†

Recurrence (%)

Recent frequency (median)

50.0±13.9 2/2 36.8±6.2 4 (1±25) 0 (0) 0 (0±0)

47.4±13.6 1/9 34.5±9.9 6 (2±30) 2 (20) 0 (0±4)

43.9±12.3 1/6 22.3±11.6

4 (1±25) 1 (14.3) 0 (0±1)

NS NS NS NS NS NS

* Duration from initial HUT to telephone interview.

†Frequency of both syncope and presyncope before initial HUT.

Frequency of both syncope and presyncope after initial HUT.

(5)

Park,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fecation Syncope or Presyncope 605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각 군에서 연령과 성별 구성, 추적 기간, 진단 전의 증상의 횟수, 진단 후에 재발 한 증상의 횟수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5).

성별에 따른 연령이나 실신 횟수, 전구 증상 유무, 기립경사검사 양성률의 차이는 없었으며(Table 6), 연령과 성별, 실신 횟수, 전구 증상의 동반 유무, 실 신을 유발하는 다른 상황의 유무 그리고 동반 질환 의 유무 등의 임상적 특징들에 따른 기립경사 검사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Table 7).

고 찰

본 연구에서 뚜렷한 원인이 없이 발생한 실신이 나 실신 전단계 증상으로 기립경사검사를 받은 환자 중 10.1%에서 배변 실신의 경험이 있었다. 배변 실 신에서는 복통과 배변욕으로 자극된 장 벽의 기계적 수용체로부터 구심성 신경 신호가 뇌간의 연수로 전

달되어 교감신경계의 활성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혈 관미주신경성 실신 발생에서처럼 부적절한 자율신 경계의 반응이 나타나 오심, 창백, 발한, 어지러움, 시야의 혼탁과 같은 전구 증상에 이어 실신이 일어 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도 88.9%의 환자에서 실신 전에 복통을 포함한 전구 증상을 호소하였다. 그러 나 배변 실신의 발생에는 다른 요인도 관여할 것으 로 생각되는데, 배변 실신 환자에서 변비가 흔하게 동반되었다는 보고들도 있다.3,15 변비와의 연관성을 특별이 언급하지 않은 다른 보고들과 종합하여 볼 때 변비가 배변 실신의 주된 원인은 아니겠지만, 변 비 환자에서 배변 행위 중 증가된 흉곽내압과 복압 으로 정맥혈 유입이 감소하여 저혈압이 발생하는 것도 배변 실신을 일으키는 기전 중의 하나로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1,13,16

한편 다른 뚜렷한 원인이 없고 병력에서 혈관미 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실신 환자에서 다른 실신 의 유발 상황을 가질 수 있는데,14 배변 실신 환자에 서도 60% 정도가 배변 이외의 유발 상황에서 실신 Table 6.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Male (n=11) Female (n=34) p-value Age (mean±SD)

Age of onset (mean±SD) Frequency (median)

Both syncope & presyncope Syncope alone

Presence of another associated situations (%) Positive HUT (%)

41.1±7.3 31.1±9.9 5 (1-25) 4 (1-10) 4 (36.4) 7 (63.6)

43.9±12.3 35.4±13.8 3 (1-30) 2 (0-30) 12 (35.3) 22 (64.7)

NS NS NS NS NS NS

Table 7.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of HUT

Characteristics Positive (n=29) Negative (n=16) p-value Male/Female

Age (mean±SD) Frequency (median)

Both syncope & presyncope Syncope alone

Presence of prodromal symptoms (%) Presence of underlying problems (%) Presence of another associated situations (%)

7/22 43.9±12.6

4 (1-30) 3 (0±30) 26 (89.7) 4 (13.8) 11 (37.9)

4/12 41.9±8.7 3.5 (1-11) 2 (0±10) 14 (87.5) 5 (31.3) 5 (31.3)

NS NS NS NS NS NS NS

(6)

606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5 호 1999

이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있다.7 본 연구에서도 배변 실신 환자 중 35.6%가 기립이나 앉은 자세, 배뇨 그 리고 노래를 부르거나 기지개를 켜는 등의 다른 상 황에서도 실신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이처럼 배변 실신 환자가 배변 이외의 다양한 상황에서도 실신 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변 실신은 독립된 하나의 질 환이라기보다는 자율신경계의 자극에 대한 부적절 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심장신경성 실신의 한 형태 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배뇨 실신의 발생기전이 혈관미주신경성 실신과 유사한 점을 고려하면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의 진단 에 이용되는 기립경사검사가 그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4,10,12,17,18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기립경사검사 결과에 따라 저혈압을 특징으 로 하는 혈관운동억제형과 서맥으로 나타나는 심장 기능억제형, 그리고 양자가 혼합된 혼합형으로 나누 게 된다.10 기립경사검사의 양성률과 위양성률은 경 사 각도나 시간, isoproterenol 정주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진다. 정상인에서 단순 기립경사 검사는 약 4-15%의 위양성률을 보이며,14 isoproter- enol을 사용할 경우 원인 불명의 실신에서 약 39- 87%가 양성 반응을 보여 검사의 민감도가 높아지는 데,18 국내에서는 원인 불명의 실신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isoproterenol을 이용하여 68%의 기립경사 검사 양성률을 보고하였다.14 그러나 배변 실신 환자 를 대상으로 한 기립경사검사 양성률에 대한 보고는 찾기 어려운 편인데, 본 연구에서 배변 실신 환자의 기립경사검사 양성률이 64.4%로 이의 진단에도 기립 경사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병력 청취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인 실신의 재발 빈도, 전구 증상의 유무, 기저 질환의 유무나 실신의 기타 유발 상황과의 동반 유무 등은 기립경사검사의 결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 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원인 불명의 실신을 대상 으로 한 국내외의 연구14,19와 일치하는 소견이다.

그런데 배변 행위와 연관되어 실신이 발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심장신경성 기전 외 에 다른 실신의 원인들도 반드시 감별 진단에 포함 되어야 하는데, 일부에서 Meckel씨 게실이나 충수돌 기의 파열이 배변 실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예가 있었고, 부정맥이나 뇌혈관질환이 배변 행위 중에 발생하여 실신이 나타난 경우도 있었다.9 또한 배변 행위시 폐색전증이 발생하여 실신이 생길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2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배변 실신의 기질적인 원인이 발견된 예는 없었다.

배변 실신 환자에서 실신의 횟수는 2회 이상이 약 50%를 차지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9 본 연구에서 도 중앙값이 4회(범위; 1-30회)로 재발이 흔하게 관 찰되었다. 배변 실신의 전구 증상으로는 구역, 어지 러움, 시력의 혼탁과 함께 긴급한 배변욕과 복통을 느끼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 서 실신으로 외상을 입은 경우가 20%에서 관찰되었 는데, 재발이 흔한 배변 실신 환자에서 전구 증상의 기간이 비교적 긴 경우 이러한 전구 증상으로 실신 의 발생을 예측하여 외상이나 사고를 미리 피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11,12 일반적으로 심장 신경성 실신 환자에서 실신의 재발이 잦거나 사고의 위험이 높을 경우 재발의 예방을 위해 주로 atenolol 과 같은 베타차단제가 사용되며 그 외 fludrocorti- sone, disopyramide 등도 사용되고 있다.1,4,10,16 본 연 구에서는 기립경사검사 양성인 29예 중 19예(65.5%) 가 atenolol을 복용하도록 처방받았으며 이 중 지속 적으로 약을 복용한 4예에서는 증상이 재발하지는 않았지만, 계속 복용군과 복용 중단군 그리고 경과 관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이들 환자의 치료에서 atenolol의 유용성을 판단함에 있어 원인 불명의 실신 환자 중 기립경사 검사 양성자를 대상으로 atenolol 투여 후 시행한 추 적 기립경사검사에서 79%의 검사 음성률을 얻은 기 존의 보고21를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배변 실신은 하나의 독립된 질환이라 기보다는 자율신경계의 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으로 발생하는 심장신경성 실신의 발현 양상 중의 한 형태로 생각되며, 배변 실신의 진단에도 기립경 사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 변 실신으로 인한 외상이나 실신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교육이 필요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 atenolol과 같은 베타차단제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되지만 여기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7)

박상종 외 12인. 배변 실신 또는 실신 전단계 환자의 임상적 특징 607

요 약

목적: 상황성 실신의 일종인 배변 실신은 배변 행위와 연관되어 배변 중이나 직후에 발생하는 실신 으로 자율신경계의 부적절한 조절로 인한 심장신경 성 기전으로 발생한다. 저자들은 배변 실신을 경험 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적 검사로서 기립경 사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 다. 대상 및 방법: 뚜렷한 원인이 없는 실신이나 실 신 전단계 증상으로 1994년 10월부터 1998년 1월까 지 기립경사검사를 받은 454예의 환자 중 45예의 배 변 실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증상의 빈도, 동반된 기타 유발 상황 등의 임상적 특징을 의무기록을 통 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1999년 1월 현재 전화 통화가 가능했던 21예에서 증상의 재발과 지속적인 atenolol 복용 여부를 문의하였다. 결과: 뚜렷한 원 인이 없는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으로 기립경사 검사를 받은 454예의 환자 중 45예(10.1%)에서 배변 실신을 경험하였다. 증상의 중앙 횟수는 4예(범위;

1-30회)였으며, 34예(75.6%)로 여자가 더 많았고, 9 예(20%)에서는 실신으로 인한 외상을 경험하였다.

16예(35.6%)에서 배변 행위 외에 기립 자세나 배뇨 등 실신을 유발하는 다른 상황이 있었으며, 환자의 대부분이 어지러움, 오심, 복통 등의 전구 증상을 호 소하였다. 기립경사검사 양성은 29예(64.4%)였다.

배변 실신 환자에서 성별과 기립경사 결과에 따른 연령, 실신 횟수, 동반된 유발 상황, 전구 증상 유무, 기저 질환 유무 등의 임상적 특징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배변 실신은 배변 행위 시에 발생하는 상황성 실신으로 흔히 배변 이외의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하 고 그 빈도가 잦으며 또한 기립경사검사가 진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고,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하여 베타차단제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배변 실신, 기립경사검사, 심장신경성 실신

감사의 글

기립경사검사실의 홍선희 간호사의 적극적인 협

조에 감사드립니다.

참 고 문 헌

1. Lazarus JC, Mauro VF. Syncop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pharmacotherapy. Ann Pharmacother 1996;30:994-1005.

2. Pathy MS. Defecation syncope. Age Ageing 1998 7:233-236.

3. Lipsitz LA, Pluchino FC, Wei JY, Rowe JW. Syn cope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the impact of multiple pathological conditions and situational stress. J Chron Dis 1986;39:619-630.

4. Kapoor WN. Workup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yncope. Med Clin North Am 1995;79:1153- 1170.

5. Gendelman HE, Linzer M, Gabelman M, Smoller S Scheuer J. Syncope in a general hospital patien population: usefulness of the radionuclide brain scan electroencephalogram and 24-hour Holter moni toring. NY State J Med 1983;83:1161-1165.

6. Day SC, Cook EF, Funkenstein H, Goldman L Evaluation and outcome of emergency room patients with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Am J Med 1982;73:15-23.

7. Kapoor WN. Evaluation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syncope. Medicine 1990;69:160-175.

8. Kapoor WN, Karpf M, Wieand S, Peterson JR, Le vey GS. A prospective evaluation and follow-up o patients with syncope. N Eng J Med 1983;309:197 204.

9. Kapoor WN, Peterson J, Karpf M. Defecation syncope: a symptom with multiple etiologies. Arch Intern Med 1986;146:2377-2379.

10. Henderson MC, Prabhu SD. Syncope: current dia gnosis and treatment. Curr Probl Cardiol 1997;22 243-296.

11. Wolff GS. Unexplained syncope: clinical manage ment. PACE 1997;20:2043-2047.

12. Wolfe DA, Grubb BP, Kimmel SR. Head-upright til test: a new method of evaluating syncope. Am Fam Physic 1993;47:149-159.

(8)

60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5, 1999

13. 배성만, 박정배, 김상은, 정호성, 박철완, 이 근. 실 신을 주소로 응급의학센터에 내원한 환자에 대한 임 상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995;6:113-121.

14. 김준수, 류재춘, 주신배 등. 원인불명의 실신이나 실신 전단계 증상을 경험한 환자에서 기립경사 검사의 유 용성. 순환기 1996;26:855-864.

15. Grubb BP, Kosinski D. Dysautonomic and reflex syncope syndromes. Cardiol Clin 1997;15:257-268.

16. Kaufmann H. Neurally mediated syncope and syn cope due to autonomic failu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J Clin Neurophysiol 1997;14:183-196.

17. Raviele A, Gasparini G, Pede FD, Delise P, Bonso A, Piccolo E. Usefulness of head-up tilt test in evaluating patients with syncope of unknown origin and negative electrophysiologic study. Am J Cardio 1990;65:1322-1327.

18. Kapoor WN, Smith MA, Miller NL. Upright tilt testing in evaluating syncope: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m J Med 1994;97:78-88.

19. Brignole M, Menozzi C, Gianfranchi L, Oddone D Lolli G, Bertulla A. Carotid sinus massage, eyebal compression, and head-up tilt test in patients with syncope of uncertain origin and in healthy contro subjects. Am Heart J 1991;122:1644-1651.

20. Kollef MH, Schachter DT. Acute pulmonary em bolism triggered by the act of defecation. Ches 1991;99:373-376.

21. 김준수, 류재춘, 주신배 등.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혹은 실신 전단계 증상을 경험한 환자에서 기립경사 검사 로 평가한 베타-차단제의 효과. 순환기 1997;27:171- 179.

수치

Table 3. Underlying Problems in Subjects with Defecation Syncope
Table 5. Comparison of Recurrence Rate Obtained by Telephone Interview between Three Groups (n=21)
Table 7.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of HUT

참조

관련 문서

저스틴; 유스티누스(St. Justinus Martyr; Iustinus Martyr; 103-165).. • 그가 저자로 명기되어 있고 오늘날에도 그의 작품으로 평가받는 책들 가운 데는

고령의 환자에서 동반질환으로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물에 의해 기립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항고혈압약제, 혈관확장제, 이뇨제, 안정제를

내과적, 외과적 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 가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스트레스

[r]

Head-up tilt test is an effective diagnostic test in noncardiac syncope and EEG is a valuable test in neuropychiatric syncope, especially in seizure.. Key words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가철성 국소의치는 고정성 국소의치나 임플란트로 치료할 수 없는 환자에서 많 이 사용되어지는 보철 술식으로 그 종류와 설계가 환자의 상태나 술자의 치료계획

이에 저자는 Mul ti l ock대퇴스템을 이용하여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중 최소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의 임상적,방사선학적 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