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Copied!
5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50-7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전경련회관 45층

정책연구 2016-05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차경수

2 01 6

|

05

(2)

정책연구 16-05

2016. 04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차경수

(3)

차경수

부산대 교수

미국University of Virgini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주요 연구분야는 거시경제학과 베이지안 계량경제학이 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재직했으며, 전북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를 역임한 후, 현재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예제를 통한 계량경제학(공저, 2013)”,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에너지경제연구, 2016), “유형별 유가충격이 국내산업에 미치는 효 과분석”(경제분석 2015),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유가변동 및 유류세 변화의 파급효과 분석”(에너지경제연구, 2014),

“국내 주택매매가격 변동의 특징과 주요 거시경제변수와의 상호작용”(경제분석, 2013), “한국경제에 대한 요인별 유가 충격의 효과분석: 부호제약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중심으로”(한국경제연구, 2013), “평균-분산모형을 이용한 화석 에너지원 소비조합 구성에 관한 연구”(자원환경경제연구, 2011), “Bayesian Model and Electricity Consumption:

A Two-Stage Approach to Coincident and Leading Indicators”(응용경제연구, 2011), “Dynamic Impact of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 Shocks on Bioethanol and Feedstock Market”(Energy Policy, 2011), “베이지 안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유가충격 및 에너지소비구조 전환의 효과분석”(자원환경경제연구, 2010), “최근 유 가상승요인에 관한 소고”(에너지경제연구, 2008) 등이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1판1쇄 인쇄 󰠐 2016년 4월 25일 1판1쇄 발행 󰠐 2016년 5월 02일 발행처 󰠐 한국경제연구원 발행인 󰠐 권태신 편집인 󰠐 권태신

등록번호 󰠐 제318-1982-000003호

(0732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전경련회관 45층

전화 02-3771-0001(대표), 02-3771-0060(직통) 󰠐 팩스 02-785-0270∼3 www.keri.org

ⓒ 한국경제연구원, 2016

ISBN 978-89-8031-764-6 5,000원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CIP20160011206)

(4)

CONTENTS

본 문 목 차

요 약 5

Ⅰ. 서론 7

Ⅱ.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2

1. 산업구조 및 산업별 수출특성 12

2. 실질실효환율 21

Ⅲ. SVAR모형과 부호제약 25

1. 분석모형, 식별 및 추정방법 25

2. 자료와 추정방법 28

Ⅳ. 추정결과 30

1. 미국 기준금리 충격의 효과 30

2. 누적 충격반응함수(Cumulative Impulse Response Functions) 40

Ⅴ. 결론 46

참고문헌 49

40

(5)

표 목 차

<1> 201512월 권역별 수출 증감률(전년동월 대비) 10

<2> 국내 산업 및 수출구조의 특징 13

<3> 국내 제조업의 구조 및 특성 14

<4> 분석대상 27개 산업의 특성 16

<5> 부호제약(sign restrictions) 28

<6> 총수출량의 누적 충격반응함수 41

<7>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총수출액 변화 43

<8> ()미 수출액의 누적 충격반응함수 45

40 그 림 목 차

<그림 1>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 8

<그림 2> 미국 실업률과 임금상승률 추이 9

<그림 3> 총수출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 변화 17

<그림 4> 총수출 대비 3대 산업 수출구성비 추이 18

<그림 5> 대미 총수출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 변화 19

<그림 6> 대미 총수출 대비 3대 산업 수출구성비 변화 20

<그림 7> 산업별 총수출액 대비 대미수출 비율 변화 21

<그림 8> 교역상대국 수출비중 구성 23

<그림 9> 교역상대국 수출비중 변화추이 23

<그림 10> 실질실효환율 24

<그림 11> 미국 금리인상충격이 국내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 31

<그림 12> 미국 금리인상충격이 대미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 32

<그림 13>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33

<그림 14>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기초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34

<그림 15>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조립가공산업의 충격반응함수 36

<그림 16>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37

<그림 17>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기초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39

<그림 18>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조립가공산업의 충격반응함수 40

40

(6)

요 약 5

요 약

▶ 최근 글로벌 경기는 EU와 일본의 양적완화 및 마이너스 금리 정책, 중국경제 성장 의 둔화,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대외경제환경의 위험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음.

1)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양적완화 등을 통해 경제회복을 추진하여 그 동안 민간소비 및 고용 증가, 그리고 물가상승 예상 등으로 인위적 저금리에서 탈피하여 정상화 추진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경제의 호조와 원/달러 환율 상승을 통해 대미 수출에는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나, 신흥국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쳐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에는 부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이처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원/달러 환율, 국내 금리, 수출 등 거시경제요인과 국내 제조업을 포함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

▶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의 산업 또는 품목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할 것으 로 예상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되었을 시 우리나라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출전망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함.

▶ 미국 기준금리 상승은 소득효과와 가격효과를 통해 국내 산업별 총수출량에 상이한 영향을 미침

▶ 소비재산업 및 기초소재산업에 속하는 산업들의 총수출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야 기하는 가격효과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립가공산업에 속하는 산 업들은 소득효과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 단기적으로는 소득효과에 영향을 받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가격효과에 영향을 받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산업이 존재

1) 이외에도 대외 경제 요인으로 저유가를 들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음

(7)

▶ 미국 기준금리 상승이 산업별 대미수출에 미치는 효과는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에 비해 크지 않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산업의 숫자도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대미수출의 경우, 총수출량의 경우와 달리 대부분 산업의 수출량이 가격효과보다 소 득효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산업별로 수출량에 미치는 효과가 상호 혼합되어 국내 총수 출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나, 크지는 않을 전망

▶ 2000년대 이후 수출비중이 크게 증가하며 높은 산출량 대비 수출률을 갖고 있는

자동차 및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의 수출이 미국 기준금리인상에 큰 영향을 받는

산업들로 추정됨에 따라 이들 산업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이 필요함.

(8)

I. 서론 7

Ⅰ. 서론

▶ 최근 글로벌 경기는 EU와 일본의 양적완화 및 마이너스 금리 정책, 중국경제 성장 의 둔화,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대외경제환경의 위험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음.

2)

- 유럽중앙은행(ECB)은 디플레이션 및 경기모멘텀 악화를 우려하여 양적완화를 추가적 으로 실시

⦁최근 CPI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이는 등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지속적 양적완화로 EU의 경제성장률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으나 유가하락 등으로 물가견인 에 한계가 있음.

- 경제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유럽중앙은행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여 대출을 늘려 경기를 활성화하려 함.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예금에만 적용하여 시중은행의 적극적 대출을 유도하 고자 함.

⦁그러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예대마진의 수익률이 감소하는 금융기관의 기업과 개인 대출운용이 어려워져 의도했던 경기부양효과가 약해짐.

- 한편 일본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전격 도입

⦁지난 1월 일본은행은 기준금리를 –0.1%로 낮춰 기업의 투자와 개인의 소비를 촉진을 유도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증가로 안전자산인 엔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엔화가치가 높 아지는 가운데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정책은 엔화가치를 하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수 출 증가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

- 중국 중산층의 증가로 인하여 내수가 확대될 유인이 있으나 특정 산업의 과잉공급 등 구조적 문제로 인해 전반적으로 경기둔화가 진행됨.3)

⦁최근 수년 동안 도시 중산층 수가 증가로 인한 2015년 중국 내수시장은 15% 증가

⦁그러나 철강, 석탄, 시멘트, 판유리 등 특정 산업부문의 공급이 과도하여 고용 및 구조조정 이 예상

⦁중국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중국경제의 경기부진이 지속되지만 중국정부의 적

2) 이외에도 대외 경제 요인으로 저유가를 들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음. 3) 김건두(2016) 참고

(9)

6.00

5.00

4.00

3.00

2.00

1.00

0.00

2006/01 2006/05 2006/09 2007/01 2007/05 2007/09 2008/01 2008/05 2008/09 2009/01 2009/05 2009/09 2010/01 2010/05 2010/09 2011/01 2011/05 2011/09 2012/01 2012/05 2012/09 2013/01 2013/05 2013/09 2014/01 2014/05 2014/09 2015/01 2015/05 2015/09 2016/01

극 개입으로 경착륙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4)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양적완화 등을 통해 경제회복을 추진하여 그 동안 민간소비 및 고용 증가, 그리고 물가상승 예상 등으로 인위적 저금리에서 탈피하여 정상화 추진

- 미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지속적 금리 인하로 초저금리(0∼0.25%)를 유 지하다가 지난해 말 기준금리를 0.25% 인상5)

<그림 1>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

(단위: %)

자료: 미국 연방준비은행

- 금융위기 이후 양적완화와 초저금리를 오랫동안 지속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 및 자 산시장 거품을 해소하는 등 시장 정상화 및 통화정책 유연성 회복6)

- 최근 미국의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5%대로 접근함으로써 서브프라임 모기 지 사태 이전 수준까지 도달7)

4) 김건두(2016)에서 Robin Wigglesworth, US Markets Editor, The Financial Times의 자료 이용하여 분석 한 내용 중 일부

5) 20079월 미국 금리는 5.25%

6) KOTRA(2015) 2쪽 참고

7) 미국에서는 실업률 5%를 거의 완전고용 수준으로 봄.

(10)

I. 서론 9

12.0

10.0

8.0

6.0

4.0

2.0

0.0 (%)

실업률 임금상승률

2007-03-01 2007-09-01 2008-03-01 2008-09-01 2009-03-01 2009-09-01 2010-03-01 2010-09-01 2011-03-01 2011-09-01 2012-03-01 2012-09-01 2013-03-01 2013-09-01 2014-03-01 2014-09-01 2015-03-01 2015-09-01

⦁2010년 10%대까지 치솟았던 미국의 실업률이 2015년 5%대 자연실업률 수준까지 하락 - 미국의 임금상승률은 노동생산성이 증가되지 못해 2% 수준에서 정체

<그림 2> 미국 실업률과 임금상승률 추이

(단위: %)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연방준비은행의 목표치인 2%에 안착하지는 못함

⦁최근 저유가 지속 등 에너지 가격하락과 수입물가 가격 하락이 물가상승을 억제 - 앞으로 미국은 과거의 금리인상 패턴과 달리 글로벌 경제 상황을 주시하면서 금리 인

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

⦁과거 미국의 금리인상 패턴대로라면 2016년 0.25%씩 3~4회, 2017년 2.50%, 2018년에 3.50%까지 금리 인상 속도를 전망8)

⦁미국의 물가상승 추이, 달러강세, 저유가 맟 유럽·일본·중국의 양적완화 지속 등 글로벌 경제 불안 요인으로 금리 인상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경제의 호조와 원/달러 환율 상승을 통해 대미 수출에는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나, 신흥국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쳐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에는 부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8) 미국 기준금리 인상, 한국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오마이 뉴스 2015. 12. 18. 참고

(11)

권역 미국 중국 EU 일본 아세안 중동 중남미 CIS 증감률 -4.7% -16.7% -7.6% -13.1% -11.1% -14.9% -35.3% -30.5%

▶ 이처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원/달러 환율, 국내 금리, 수출 등 거시경제요인과 국내 제조업을 포함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

- 특히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제조업의 수출환경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줄 것 으로 예상

⦁미국의 금리 인상은 원/달러 환율에 변화를 초래하여 제조업의 수출제품 가격에 영향

⦁또한 달러화의 강세에 따른 소득효과로 미국의 수입(對미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

⦁2015년 한국의 전반적 수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대미수출 감소율은 -4.7%로 여타 지역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표 1> 2015년 12월 권역별 수출 증감률(전년동월 대비)

자료: 한국무역협회

⦁동시에 미국을 제외한 해외 시장에서의 환율 및 가격 변동에 따른 수출입 변화 예상 -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의 금리 인상(시차 고려)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권을 통한 제

조업의 구조조정 및 체질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

⦁기업의 자금조달 금리가 증가할 것이므로 불필요한 자산과 사업 정리를 통한 경영효율을 꾀하려고 할 것임.

⦁특히 금융부채가 많은 기업과 영업이익률이 낮은 기업의 경우에는 금리인상에 따른 추가적 부담으로 경영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

▶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의 산업 또는 품목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할 것으 로 예상

- 미국시장의 수출량이 많고 가격경쟁력이 치열한 산업과 품목의 경우에는 미 금리 인 상의 긍정적 효과 전망

⦁예컨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소득효과는 미국 시장에서 신차수요가 증가하면 대미 자동차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

⦁하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 금리가 높아져 신차 수요가 감소할 수도 있음.

- 그러나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하락을 유도할 경우 기계관련 산업 의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9)

(12)

I. 서론 11

⦁미 금리 인상으로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달러 강세가 나타나면, 주로 달러로 거래되 는 농산물 가격 하락함으로써 농업이 위축되어 관련 기계류 수요가 줄어들 수 있음.

⦁한편, 강 달러로 광물 및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관련 기계류 수요도 감소할 수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되었을 시 우리나라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출전망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함.

- 본 연구에서는 미 기준금리인상이 한국의 금리와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해서 국내 주요 제조업의 수출제품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자 함.

⦁미국의 금리 인상은 원/달러 환율에 변화를 초래하여 제조업의 수출제품 가격에 영향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 제조업의 수출변화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제 언을 도출하고자 함.

9) KOTRA(2015) 17쪽 참고

(13)

Ⅱ.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 산업구조 및 산업별 수출특성

가. 산업연관표 대분류 기준 산업분류에 따른 산업 및 수출구조

▶ 2013년 산업연관표 대분류 기준 산업분류에 기초하여 국내 산업구조

10)

및 산업별 수출특성을 살펴보면 <표 2>와 같음.

- 먼저, 2013년 전산업 총산출액의 산업별 구성비율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48.6%를 차 지하며, 서비스업은 40.7%를 차지하고 있음. 이외에도 농림수산업 1.6%, 광업 0.1%, 전력, 가스 및 증기업 2.9%,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업 0.6%, 그리고 건설업이 5.4%를 차지하고 있음.

⦁2013년 산업연관표 대분류 기준 산업분류는 국내 제조업을 13개 산업으로 분류하고 있음.

⦁이에 기초하여 전 산업 총산출액 기준으로 제조업 구조를 살펴보면 전기 및 전자기기업 10.6%, 화학제품업 7.2%, 그리고 운송장비업이 6.8%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산업의 비중이 2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2013년 산업별 총산출액에서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인 수출률을 살펴보면 제 조업 39.2%, 서비스업 6.5%, 농림수산업 1.3%, 광업 5.4%, 전력, 가스 및 증기업 0.1%,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업 0.2%, 그리고 건설업 0.2%인 것으로 나타남.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업의 수출률은 국내 전산업의 수출률인 21.4%보다 높게 나타나, 제조업의 수출비중이 다른 산업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10) 2013년 산업연관표는 2010년 기준년 상품분류에 따라 국내 산업을 대분류 기준으로 30, 중분류 기준으

82, 그리고 소분류 기준으로 161개로 각각 분류하고 있음.

(14)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3

산업 산출액/총산출액 수출액/산출액 수출액/총수출액

농림수산품 1.6 1.3 0.1

광산품 0.1 5.4 0.0

제조업 48.6 39.2 87.6

음식료품 3.0 6.5 0.9

섬유 및 가죽제품 2.2 37.1 3.8

목재 및 종이, 인쇄 1.1 11.2 0.6

석탄 및 석유제품 4.1 44.5 8.4

화학제품 7.2 35.0 11.5

비금속광물제품 1.0 7.5 0.4

1차 금속제품 4.2 29.1 5.7

금속제품 2.7 15.3 1.9

기계 및 장비 3.4 38.7 6.0

전기 및 전자기기 10.6 59.6 29.1

정밀기기 0.7 42.0 1.4

운송장비 6.8 55.4 17.2

기타제조업 1.7 10.0 0.8

전력, 가스 및 증기 2.9 0.1 0.0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0.6 0.2 0.0

건설 5.4 0.2 0.0

서비스업 40.7 6.5 12.2

도소매서비스 6.6 10.7 3.3

운송서비스 3.8 27.2 4.7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2.8 3.3 0.4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3.3 3.8 0.6

금융 및 보험 서비스 3.9 1.6 0.3

부동산 및 임대 4.5 1.5 0.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3.4 9.8 1.5

사업지원서비스 1.2 17.7 1.0

공공행정 및 국방 3.2 0.1 0.0

교육 서비스 2.9 0.1 0.0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 3.0 0.0 0.0

문화 및 기타 서비스 2.2 1.2 0.1

전산업 100 21.4 100

<표 2> 국내 산업 및 수출구조의 특징

(단위: %)

: 2013년 산업연관표 기초가격 기준

(15)

산업 산출액/

총산출액

산출액/

제조업 산출액

수출액/

산출액

수출액/

총수출액

수출액/

제조업 수출액

소비재산업 7.9 16.3 16.4 6.0 6.8

기초소재산업 19.2 39.5 31.5 27.9 31.8

조립가공산업 21.5 44.2 54.4 53.7 61.4

⦁제조업에 속한 개별 산업들의 수출률을 살펴보면 전기 및 전자기기업 59.6%, 운송장비업 55.4%, 석탄 및 석유제품업 44.5%, 정밀기기업 42.0%, 기계 및 장비업 38.7%, 섬유 및 가죽제품업 37.1%, 그리고 화학제품업 등이 35.0%의 높은 수출률을 보임.

⦁이처럼 제조업 분야의 수출률이 높다는 점은 해당 산업의 산출물이 해외에서 중간재 및 최종재로 수요 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따라서 수출률이 높은 산업들의 경우, 수출량의 변화가 해당 산업의 산출량 변동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라 할 수 있음.

- 국내 총수출액 대비 산업별 수출액 비율을 의미하는 수출구성비를 살펴보면 제조업 과 서비스업이 각각 87.6%과 12.2%를 차지하여, 이들 두 산업군의 제품이 수출품 대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남.

⦁제조업 중 전기 및 전자기기업 29.1%, 운송장비 17.2% 그리고 화학제품업이 11.5%를 차지 하여, 이들 3개 업종이 총수출액의 57.8%를 차지하여 국내 3대 수출산업인 것으로 나타남.

⦁수출구성비는 총수출액 대비 산업별 수출액을 의미하므로 수출구성비가 높은 산업의 수출 량 변동은 국내 총수출액의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음.

- 이상의 결과들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제조업의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경우, 국내 총산출량 및 수출액(혹은 무역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

▶ <표 2>에서 제조업으로 분류된 13개 산업을 소비재산업, 기초소재산업 및 조립가공 산업 등 세 종류의 산업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산업 및 수출구조의 특성은 <표 3>에 나타나 있음.

- 2013년 전산업 총산출액 대비 산업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조립가공산업 21.5%, 기초 소재산업 19.2%, 그리고 소비재산업이 7.9%를 차지하고 있음.

⦁소비재산업은 음식료품업, 섬유 및 가죽제품업, 목재 및 종이, 인쇄업, 그리고 기타 제조업 및 임가공업을 의미

⦁기초소재산업은 석탄 및 석유제품업, 화학제품업, 비금속광물제품업, 1차금속제품업 및 금 속제품업을 의미

⦁조립가공산업은 기계 및 장비업, 전기 및 전자기기업, 정밀기기업 및 운송장비업을 의미

<표 3> 국내 제조업의 구조 및 특성

: 2013년 산업연관표 기초가격 기준

(16)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5 - 세 종류 산업의 수출률을 살펴보면 조립가공산업 54.4%, 기초소재산업 31.5%, 그리 고 소비재산업이 16.4%를 기록했으며, 총수출액 대비 수출구성비는 조립가공산업 53.7%, 기초소재산업 27.9% 그리고 소비재산업 6.0%의 순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국내 제조업의 산출량 및 수출량은 조립가공산업과 기초소재산업의 특성 을 갖는 산업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

나. SITC 분류에 따른 제조업 산업의 구조 및 수출특성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ITC 산업분류에 의거, <표 3>의 세 종류의 산업에 속하는 27개 산업을 분석대상 산업으로 선정하였음.

▶ <표 4>은 산업연관표 소분류 기준 산업분류를 이들 27개 산업에 적용시켜 얻은 산 업구조 및 수출특성과 이들 산업들과 <표 2>의 산업연관표 대분류 기준 산업분류 와의 관계를 나타냄.

- <표 4>에서 소비재산업은 섬유사 및 직물, 섬유 및 의복제품, 가죽제품, 펄프 및 종이 제품 등 총 4개 산업

⦁이들 4개 산업의 산출량은 전산업 총산출액 대비 2.9%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수출액 대비 수출액은 4.3%인 것으로 나타남.

- <표 4>에서 기초소재산업은 석유제품, 기초화학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화학섬 유, 기타 최종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고무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제1차 금속제품 및 금속제품 등 총 10개 산업

⦁이들 10개 산업의 산출량은 전산업 총산출액 대비 18.7%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수출액 대비 수출액은 27.5%인 것으로 나타남.

- <표 4>에서 조립가공산업은 일반목적용기계 및 장비, 특수목적용기계 및 장비, 발전 기, 전동기 및 전기전환장치, 기타 전기장치,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 컴퓨터 및 주 변기기, 통신 및 주변기기,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의료 및 측정기기, 기타 정밀기기, 자동차,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 그리고 기타 제조업 제품 등 총 13 개 산업

⦁이들 10개 산업의 산출량은 전산업 총산출액 대비 25.9%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수출액 대비 수출액은 63.3%인 것으로 나타남.

(17)

산업연관표

대분류 기준 분석대상 산업 산출량/

총산출량

산출량/

대분류산출량

수출량/

산출량

수출품 구성 (총수출)

수출품 구성 (대분류) 섬유 및

가죽제품

섬유사 및 직물 0.5 21.4 36.3 0.8 20.9

섬유 및 의복제품 1.5 67.3 37.4 2.6 67.8

가죽제품 0.3 11.4 37.1 0.4 11.4

펄프 및

종이제품 펄프 및 종이제품 0.7 63.1 16.5 0.5 92.8

석탄 및

석유제품 석유제품 4.1 99.4 44.8 8.4 100

화학제품

기초 화학제품 2.2 30.3 47.2 4.7 40.8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1.3 18.7 49.8 3.1 26.6

화학섬유 0.2 2.2 57.6 0.4 3.6

기타 최종화학제품 0.9 13.1 24.1 1.0 9.0

플라스틱 제품 1.6 22.2 16.7 1.2 10.6

고무제품 0.4 6.0 38.2 0.8 6.5

비금속

광물제품 비금속광물제품 1.0 100.0 7.5 0.4 100

1차

금속제품 제1차 금속제품 4.2 100.0 29.1 5.7 100

금속제품 금속제품 2.7 100.0 15.3 1.9 100

기계장비 일반목적용기계 및 장비 1.8 53.2 35.7 3.0 49.0

특수목적용기계 및 장비 1.6 46.8 42.1 3.1 51.0

전기 및 전자기기

발전기, 전동기 및

전기변환장치 1.1 10.1 36.9 1.8 6.3

기타 전기장치 1.0 9.1 47.4 2.1 7.2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 4.9 46.2 73.2 16.5 56.7

컴퓨터 및 주변기기 0.3 2.7 62.7 0.8 2.9

통신 및 방송장비 1.5 14.2 59.2 4.1 14.1

영상 및 음향기기 0.5 4.5 32.1 0.7 2.4

정밀기기 의료 및 측정기기 0.5 66.7 38.8 0.9 61.6

기타 정밀기기 0.2 33.3 49.1 0.6 39.0

운송장비 자동차 2.4 35.1 62.8 6.8 39.8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 2.6 37.9 32.6 3.8 22.3

기타

제조업 기타 제조업 제품 1.7 100 10.0 0.8 100

<표 4> 분석대상 27개 산업의 특성

(단위: %)

: 2013년 산업연관표 기초가격 기준

(18)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7

▶ <그림 3>은 1991~2015년 중 총수출액 대비 27개 산업의 수출구성 변화를 기간 별로 나타냄.

<그림 3> 총수출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 변화

(단위 : %)

- 섬유사 및 직물, 섬유 및 의복제품, 가죽제품, 펄프 및 종이와 같은 소비재산업의 수 출비중은 1991~2000년에 비해 2001~2015년 중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조립가공산업 중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 그리고 영상 음향기 기의 수출비중은 2000년대 들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자동차 및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의 수출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기초소재산업 대부분은 1991~2000년에 비해 2001~2015년 중 수출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이상의 결과들은 국내 주력수출 산업이 1990년대에는 소비재산업과 반도체 및 컴퓨 터 산업과 같은 전자산업 중심에서 2000년대 이후부터는 기초소재산업과 자동차 산 업을 중심으로 한 조립가공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 <그림 4>는 27개 산업을 소비재산업, 기초소재산업 그리고 조립가공산업으로 분류

하여, 1991~2015년 중 총수출액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변화 추이를 나타내고 있음.

(19)

60

50

40

30

20

10

0

소비재 기초소재 조립가공

<그림 4> 총수출 대비 3대 산업 수출구성비 추이

(단위: %)

- 분석대상 27개 산업을 세 종류의 산업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아도 소비재산업의 수출 비중은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기초소재산업과 조립가공산업의 수출 비중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따라서 국내 총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상승의 효과는 기초소재산업과 조립가공산업 에 속하는 산업들에 미치는 효과에 의존할 것으로 보임.

다. SITC 분류에 기초한 제조업의 대미수출 구조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준 금리 인상이 27개 산업별 총수출량과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함께 분석함.

- <그림 5>는 1991~2015년 중 27개 산업의 대미 총수출량 대비 산업별 수출비중을 기 간별로 나타내고 있음.

- 대미 수출 역시 섬유사 및 직물, 섬유 및 의복제품, 가죽제품과 같은 소비재산업의 수 출비중은 2000년대 들어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한편, 대미수출에서도 조립가공산업의 수출비중은 2000년대 들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특히, 대미수출에서 자동차,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 등의 수출비중은 <그림 3>의 총수출액 대비 수출비중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그러나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 그리고 영상 음향기기의 수출 비중은 <그림 3>과 같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

(20)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19

<그림 5> 대미 총수출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 변화

(단위 : %)

- 또한 대미수출에서도 기초소재산업 대부분의 수출비중은 2000년대 들어 증가하는 추 세를 보임.

- 이상의 결과들은 대미수출 역시 주력수출품이 1990년대 소비재산업 및 반도체 및 컴 퓨터 산업과 같은 전자산업 중심에서 2000년대 들어 기초소재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조립가공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 <그림 6>은 27개 산업을 소비재산업, 기초소재산업 그리고 조립가공산업으로 분류한 후, 1991~2015년 중 대미 총수출액 대비 산업별 수출구성 변화를 나타내고 있음.

- <그림 4>에서 살펴본 총수출액 대비 세 종류 산업의 수출비중 추이와 같이 대미수출 에서도 2000년대 들어 소비재산업의 수출비중은 크게 감소하고 있는 반면, 기초소재 산업과 조립가공산업의 수출비중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21)

80 70 60 50 40 30 20 10 0

소비재 기초소재 조립가공

<그림 6> 대미 총수출 대비 3대 산업 수출구성비 변화

(단위: %)

▶ <그림 7>는 1991~2015년 중 27개 산업별 총수출량 대비 대미수출비중의 변화를 기간별로 나타내고 있음.

- 전 기간 중 산업별 대미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섬유 및 의복제품(35.1%), 컴퓨 터 및 주변기기(30.4%), 자동차(27.8%), 영상 및 음향기기(26.0%), 기타 제조업제품 (25.1%) 등의 순으로 나타남.

⦁1991~2000년 중 대미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컴퓨터 및 주변기기(41.8%), 섬유 및 의복제품(41.2%), 기타제조업제품(31.5%),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30.4%), 영상 및 음향 기기(29.5%)의 순으로 나타남.

⦁2001~2015년 중 대미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섬유 및 의복제품(31.0%), 자동차 (29.9%), 영상 및 음향기기(23.7%), 컴퓨터 및 주변기기(22.8%), 자동차용엔진 및 부분품 (22.3%), 고무제품(22.3%), 통신 및 방송장비(22.3%)의 순으로 나타남.

- 결론적으로 대미수출은 전통적 수출품목인 섬유 및 의복제품, 컴퓨터 및 주변기기,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와 같은 전기자기기 산업의 수출비중이 아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 자동차 및 자동차용엔진 및 부분품과 같은 산업 의 수출비중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음.

(22)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21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그림 7> 산업별 총수출액 대비 대미수출 비율 변화

(단위: %)

2. 실질실효환율 가. 실질실효환율의 정의

▶ 본 연구는 미국의 기준금리인상과 같은 통화정책충격이 국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파급경로를 가격효과와 소득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음.

- 가격효과란 미국 통화정책충격이 산업별 수출가격을 변화시켜 수출량에 영향을 미치 는 경로를 의미

⦁산업별 수출가격의 변화는 교역비중(수출비중)과 물가수준에 따른 수출품의 상대가격을 나 타내는 실질실효환율의 변동을 통해 측정

- 소득효과란 미국 통화정책충격이 미국 및 전세계 산출량을 변화시켜 국내 산업별 수 출량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의미

▶ 일반적으로 실질실효환율은 교역상대국들의 교역비중과 각국의 물가지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해짐.

(23)

실질실효환율 = 

  

(1)

- 식(1)에서 는 국 화폐 한 단위에 대한 원화표시 명목환율, 는 국의 소비자물 가지수,

는 국에 대한 교역비중, 그리고  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를 의미11) - 따라서 식(1)로 정의된 실질실효환율은 국내상품으로 표시한 교역상대국 상품들의 상

대가격을 의미

⦁실질실효환율의 절하(실질실효환율의 상승)은 교역상대국 상품들의 상대가격이 상승했음을 의미하므로 국내 수출품의 가격이 하락했음을 의미

⦁실질실효환율의 절상(실질실효환율의 하락)은 교역상대국 상품들의 상대가격이 하락했음을 의미하므로 국내 수출품의 가격이 상승했음을 의미

- 기존 문헌에서는 산업별 수출가격의 변동을 세분화시키기 위해 산업별 생산자물가지 수와 국별/산업별 교역량을 이용하여 구한 보다 세분화된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이 용하기도 하나, 본 연구는 자료의 가득성(attainability) 및 단순화(simplicity)를 위해 소비자물가지수를 이용한 한 개의 실질실효환율만을 이용하기로 함.

나. 국별 수출구조

▶ 본 연구는 실질실효환율을 구하기 위해 교역상대국들을 우리나라와 교역비중이 높은 미국, 일본, 중국 및 , EU 등 4개국으로 설정한 후, 이로부터 얻어지는 수출비중을 교역비중으로 하여 식(1)을 계산

12)

- <그림 8>은 1991~2015년 중 이들 4개국에 대한 수출비중의 기간별 평균치를 나타내 고 있음.

⦁<그림 8>은 미국, 일본 및 EU로의 수출비중은 2000년대 들어 감소한 반면 중국으로의 수출비중은 크게 증가했음을 나타내고 있음.

⦁1991~2000년 중 대중국 수출비중은 13.5%를 기록하였으나, 2001~2015년 중에는 39.9%로 증가하여 전체 기간 중 29.3%를 기록

⦁반면, 미국은 1991~2000년 중에는 37.1%였으나, 2001~2015년 중에는 24.6%로 감소하 여 전체기간 중 29.6%를 기록

11) 소비자물가지수 대신 생산자물가지수를 이용하기도 함.

12) 4개국으로의 수출량을 이용하여 이들 4개국 수출비중의 합은 1이 되도록 하였음.

(24)

II.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23

45 40 35 30 25 20 15 10 5 0

중국 미국 일본 EU

중국 미국 일본 EU

60 50 40 30 20 10 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4 2013

2015

⦁일본과 EU 역시 1991~2000년 중에는 각각 23.5%와 26.0%를 기록했으나, 2001~2015 년 중에는 13.4%와 22.1%로 감소하여, 전 기간 중 17.4%와 23.7%를 각각 기록

<그림 8> 교역상대국 수출비중 구성

(단위 : %)

- <그림 9>은 1991~2015년 중 나타난 미국, 일본 및 EU로의 수출비중 추이를 나타내 고 있음.

<그림 9> 교역상대국 수출비중 변화추이

(단위 : %)

(25)

다. 실질실효환율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산업별 수출효과를 살펴봄에 있 어, 기준금리 인상이 산업별 총수출량 및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함께 분석함.

- 따라서 산업별 총수출량과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가격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두 종류 의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하였음.

⦁먼저, 산업별 총수출량의 경우, 미국, 일본, 중국 및 EU를 교역상대국으로 한 실질실효환율 을 이용

⦁반면, 산업별 대미수출량의 경우에는 대미실질실효환율을 이용

- <그림 10>은 1991~2015년까지 식(1)을 이용하여 얻은 4개국 대상 실질실효환율과 대 미 실질실효환율, 그리고 대미 원/달러 명목환율의 전분기 대비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10>을 살펴보면 대미 원/달러 명목환율, 4개국 대상 실질실효환율 및 대미 실질실효 환율의 전분기 대비 증가율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변동해 왔음을 나타내고 있음.

<그림 10> 실질실효환율

(단위: %)

(26)

III. SVAR모형과 부호제약 25

Ⅲ. SVAR모형과 부호제약

1. 분석모형, 식별 및 추정방법 가.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SVAR)

▶ 본 연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SVAR)을 이용하였음.

- 상수항 및 기간 추세변수와 같은 결정변수(deterministic variables)를 제외시킬 경우, SVAR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음.

    ∼   ′ (2)

⦁식(2)에서 는  × 벡터이고,   은 시차연산자 에 대한  ×  다항계수행렬이 며,

는  ×  구조적 교란항 벡터를 의미

⦁여기서, 교란항들의 분산은 1로 정규화되어 있으며, 상호 독립적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됨.

- 본 연구에서 식(2)의 벡터 는 다시 두 개의 벡터 와 로 분할되며 와 는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포함하고 있음.

⦁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충격의 식별에 필요한 변수들로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해외 산출량을 포함.

⦁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충격이 국내 산업별 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 한 변수들로 실질실효환율, 콜금리, 그리고 산업수준의 수출량과 같은 국내 변수를 포함.

⦁본 연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충격이 산업별 총수출량 및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함께 추정하였으므로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에는 의 해외 산출량은 전세계 산출량, 의 실질실효환율은 4개 교역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실질실효환율을 포함.

(27)

⦁반면,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에는 의 해외 산출량은 미국의 산출량,

의 실질실효환율은 대미 실질실효환율을 포함.

- 그러나 이 경우, 식(2)의 에 모든 자료를 한 번에 모두 포함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 로 한 번에 한 개의 산업에 대해 미국 금리인상이 산업별 총수출량 및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 방식을 채택

⦁따라서 산업별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 는 연방기금금리, 미국 소비자물 가지수, 전세계 산출량, 4개 교역상대국 대상 실질실효환율, 콜금리, 그리고

   ⋯번째 산업의 총수출량 등 6개의 변수를 포함.

⦁반면, 산업별 대미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 는 연방기금금리,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미국 산출량, 대미실질실효환율, 콜금리, 그리고    ⋯번째 산업의 대미 수출량 등 6개의 변수를 포함.

- 한편, 본 연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27개 제조업 산업의 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함과 동시에 국내 총수출량 및 대미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도 함께 추정하였음.

⦁이 경우 국내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 는 연방기금금리,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전세계 산출량, 4개 교역상대국 대상 실질실효환율, 콜금리, 그리고 국내 총수출량 등 6개의 변수를 포함.

⦁반면, 대미총수출의 경우는 연방기금금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산출량, 대미실질실 효환율, 콜금리 및 대미 총수출량 등 6개의 변수를 포함.

나. 부호제약(sign restrictions)을 이용한 기준금리 인상충격의 식별

▶ 본 연구는 SVAR모형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을 식별하기 위해 Faust(1998), Canova and Pina(1999), Canova and Nicolõ(2002) 및 Uhlig(2005) 등이 제 안한 “부호제약” 방식을 이용

- 부호제약 식별방식이란 구조적 교란항에 대한 충격반응함수의 부호에 경제이론과 부 합되는 부호제약을 일정기간() 동안 부과함으로서 구조적 충격을 식별하는 방식

⦁구체적으로 이를 살펴보면, 식(2)의 양변에 비특이행렬(non-singular matrix)로 가정된 당기 구조계수행렬   의 역행렬 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축약형 VAR모형을 얻게 됨.

   ∼   (3)

(28)

III. SVAR모형과 부호제약 27

⦁구조적 충격의 식별은 식(3)의 축약형 VAR모형으로부터 식(2)의 당기 구조계수행렬

  을 식별해내는 과정을 의미

▶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을 식별하기 위해  기간 동안 충격반응함수에 <표 5>에 있는 부호제약을 부과하였음.

- <표 5>에서 “

” 부호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충격이 발생할 경우, 해당 변수의 충격 반응함수가

기간 동안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

” 부호는 충격반응함수가

기 간 동안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

- 기준금리인상 충격이란 긴축 통화정책(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을 의미하므로 경제이론은 이에 반응하여 물가수준 및 산출량은 하락할 것을 예측하므로 “

”의 부

호제약이 이루어짐.

⦁<표 5>에서 해외 산출량은 전세계 산출량 혹은 미국 산출량을 의미

⦁따라서 산업별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SVAR모형에서는 전 세계 산출량을 의 미하며, 산업별 대미 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SVAR모형에서는 미국 산출량을 의미

- 한편, 우리나라 실질실효환율과 콜금리는 “

”의 부호제약이 이루어짐.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경우, 해외로의 대규모 자금이탈을 막기 위해 국내 에서도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기 때문임.13)

⦁실질실효환율의 상승(절하)은 이처럼 미국 기준금리인상에 대응하여 국내 금리를 인상하더 라도 해외로 일정부분의 자금이 이탈되어 원화의 약세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기 때문임.14)

⦁이와 함께 기존 문헌에서도 Kim(2001), Ma

 

kowiak(2007), Scholl and Uhlig(2008) 등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다른 국가들의 금리와 환율을 전반적으로 상승시켰음을 지적 하고 있음.

⦁또한 Christiano et. al.(1999) 및 Uhlig(2005)를 비롯한 수많은 연구들은 미국의 긴축적 통화정책은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GDP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고 있음.

13) 실제로 “+”의 부호제약을 부과하지 않더라도 미국 기준금리인상충격에 대한 국내 콜금리의 충격반응함수는

“+”의 반응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음.

14) 이 역시 “+”의 부호제약을 부과하지 않더라도 콜금리와 같이 실질실효환율의 충격반응함수는 “+”의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9)

연방기금 금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해외 산출량

실질

실효환율 콜금리 산업 수출량

미국 기준금리 인상

    

<표 5> 부호제약(sign restrictions)

- 마지막으로 <표 5>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산업별 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에는 아무런 부호제약도 부과하지 않았다는 것임.

⦁Uhlig(2005)는 이와 같은 접근방식을 “불가지론 접근법(agnostic approach)”라 칭함.

⦁이는 부호제약 대신 식별된 구조적 충격(미국 기준금리 인상충격)에 대한 산업별 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자료를 통해 직접 살펴봄으로서 관심대상 변수들의 동태적 반응경로를 직 접 확인하기 위한 방법임.

2. 자료와 추정방법 가. 자료

▶ 식(2)의 SVAR모형에 추정에 이용되는 변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먼저, 연방기금금리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로부터 얻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외 산출량은 다음 두 가지 종류의 자료가 이용 되었음.

⦁산업별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 이용되는 전세계 산출량은 OECD의 실질 GDP를 이용했으며,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할 경우에는 미국의 실질 GDP를 이용하였음.

- 실질실효환율의 구축에 이용되는 수출자료, 명목환율 및 소비자물가지수들은 한국은 행 경제통계시스템과 한국무역협회(kita.net)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이용하였음.

- 산업별 수출액 역시 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산업별 수출물가지수로 나누어 수출물량으로 환산하였음.

▶ 마지막으로 식(2)의 SVAR모형은 안정적 시계열(stationary time-series)모형을 가

정하고 있으므로 금리자료를 제외한 모든 수준변수는 로그-차분을 통해 전분기 대비

증가율로 전환시켜 추정에 이용하였음.

(30)

III. SVAR모형과 부호제약 29 - 모든 자료는 1991년 1/4~2015년 4/4분기까지의 분기별 자료로 계절조정된 자료를 이

용하였음.

나. 추정방법

▶ SVAR모형의 추정은 베이지안 추론법(Bayesian inference)을 통해 이루어짐.

- 식(3)의 축약형 VAR모형의 다항계수행렬  과 분산-공분산 행렬 의 사전분포 (prior distribution) 및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는 Uhig(2005)와 같이 정규-위샷 (Normal-Wishart) 분포를 이용하였음.

- 식(2)의 당기 구조계수행렬 는 Rubio-Ramîrez, Waggoner and Zha(2010)의 알고리 듬에 의해 추정됨.

- <표 5>에 나타나 있는 충격반응함수에 부과된 부호제약이 충족되어야 하는 기간 는 4분기로 설정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충격이 발생한 기간을 포함하여 1년 동안 변수들에 부과된

<표 5>의 부호제약들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함을 의미

▶ 전술한 바와 같이 식(2)의

에 모든 변수를 포함시킬 수 없으므로 한 번에 한 개 의 산업에 대해 미국 금리인상이 산업별 총수출량 및 대미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 방식을 채택

- 따라서 각각의 산업별 총수출액 혹은 대미수출액의 충격반응함수 사후분포는 전술한 추정방식을 10,000번 수행하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졌음.15)

- 마지막으로 산업별 SVAR모형의 시차는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기준에 의 해 설정되었음.

15) 이와 관련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의 구체적 실행절차는 Uhlig(2005)Rubio-Ramîrez, Waggoner and Zha(2006)를 참조하기 바람.

(31)

Ⅳ. 추정결과

1. 미국 기준금리 충격의 효과

가. 국내 총수출 및 대미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

▶ <그림 11>은 연방기금금리가 1%p

16)

크기로 상승할 경우, 국내 총수출량에 미치 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SVAR모형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 <그림 11>은 금리인상 충격이 발생한 직후 4분기 동안 <표 5>의 부호제약을 충족시 키는 10,000개의 충격벡터(impulse vector)를 생성하는 몬테칼로 모의실험(Monte Carlo simultion)에 의해 생성된 충격반응함수의 사후분포를 의미

⦁<그림 11>의 굵은 실선은 충격반응함수의 중위값을 의미하며, 오차범위는 68% 분위구간 (14~86%)을 의미

- <그림 11>를 살펴보면 <표 5>의 부호제약에 의해 미국 소비자물가수준과 전세계 산 출량을 의미하는 OECD 실질GDP는 금리인상 충격이후 감소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격의 효과가 점차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변수인 콜금리와 실질실효환율 역시 <표 5>의 부호제약에 의해 금리인상 충 격 직후 상승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충격의 효과가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표 5>에서 부호제약을 부과하지 않는 국내 총수출량은 중위값 기준으로는 충 격발생 직후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오차범위까지 고려 할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16) 연리 1%p 인상을 의미

참조

관련 문서

- 지구관측분야에서는 해당 기업의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생태, 수자원 등 분야에서 국내 관측·분석연구 목적이 있었음. - 통신 분야에서 미국, 캐나다,

최근 미국 농무 부 소속 키토 무역관(FAS Quito)은 에콰도르 식품 제조업체의 판매 전략으로 생산품목 라인 다양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에콰도르 국내 식품

http://www.aphis.usda.gov/newsroom/content/2007/10/content/printable/RiceReport 완역.. 이러한 추세는 남동부지역의 가뭄 때문에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국제곡물 시장에 위기 발생으로 인한 주요 국내 영향은 곡물 미반입에 따른 국내 식량안보 위협과 관련 산업의 경제활동 축소, 곡물 수입단가 상승에 따른 국내 물가

탁승제 교수는 현재 대한순환기학회 및 심혈관질환연구재단의 이사로 국내 심장혈관중재시술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

이에 수급기간 제한이 근 로유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미국 TANF 사례를 통해 우리나 라도 기초수급자 중 근로능력자들의 수급기간을 제한함으로 써 근로소득

- 신용평가기관들이 채권보증회사의 신용등급을 대폭 강등하였을 뿐 아니라 양대 국책 모기지 회사인 패니매와 프레디맥이 파산위기에 처할 정도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 복수학위 취득 - 부산대 글로벌교원교육 전공 석사 및 UNA MAED in Secondary Education. ∙ 미국 교사 자격증 및 OPT(Optional Practical Training)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