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이란 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이란 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Copied!
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한·이란 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최남석 정책연구 2016-11

(0732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FKI타워 45층 전화 : (대표)3771-0001 (직통)3771-0060 팩스 : 785-0270~1

www.keri.org

ISBN 978-89-8031-773-8

9 3 3 2 0

7 8 8 9 8 0 3 1 7 7 3 8 9

20 16

|

11

·

(2)

정책연구 16-11

2016. 07

한 이란 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와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최남석

(3)

최남석

전북대학교 교수

미국 콜로라도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도르트 칼리지 경제학 조교수 한국. ,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국제무역이론 통상정책 다국적기, . , , 업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제조업 파급효과 분석, ” 󰡔국제통상연구󰡕, 2015),(

유럽위기에 따른 EU 경제성장률 하락의 한국수출 파급효과분석(

” 󰡔무역학회지󰡕, 2013), Accounting for Quality Differences in 등이 있다 Human Capital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Economic Development, 2015) .

한 이란 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 기업의 대응방안 ・

판 쇄 인쇄

1 1 󰠐2016년 월7 20 판 쇄 발행

1 1 󰠐2016년 월7 28 발행처󰠐한국경제연구원 발행인󰠐권태신 편집인󰠐권태신

등록번호󰠐318 1982 00000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전경련회관

(07320) 24 45

전화02 3771 0001( 대표), 02 3771 0060( 직통)󰠐팩스 02 785 0270 3 www.keri.org

한국경제연구원, 2016

ISBN 978 89 8031 773-8- -

5,000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CIP2016018427)

(4)

CONTENTS

본 문 목 차

요 약 5

문제제기 .

10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Ⅱ 12

한 이란 무역 현황 분석

1. ・ 12

한국 기업의 대이란 현지투자 현황 분석

2. 20

이란 정부의 최근 경제활성화 방안 및 신규 수요 분석 .

Ⅲ 25

한 이란 경제협력에 따른 수출 증대의 경제적 효과 실증분석 .

Ⅳ ・ 29

인프라 플랜트 건설 산업 대이란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

1. ・ , 33

석유화학 산업 대이란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

2. 35

자동차산업 대이란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

3. 36

최종 소비재 백색가전 휴대폰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

4. ( , ) 37

문화콘텐츠 서비스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

5. 39

결론 및 정책시사점 .

Ⅴ 40

한국 기업의 경협확대와 대응방안 .

Ⅵ 43

참고문헌 46

40

(5)

CONTENTS

표 목 차

표 한 이란 상호간 자동차 자동차부품 부문 교역추이

< 1> ・ ・ 12

표 한 이란 자동차 수출 추이 및 대중동지역 수출비중

< 2> ・ 13

표 한 이란 가전 부문 교역추이

< 3> ・ 14

표 한 이란 의료기기 화장품 부문 교역추이

< 4> ・ , 15

표 한 이란 부문 교역추이

< 5> ・ ICT 16

표 석유화학 철강 산업기계 교역추이

< 6> , , 16

표 한 이란 상품 수출입 비중 추이

< 7> ・ 17

표 한 이란 인프라 플랜트 부문 교역추이

< 8> ・ ・ 18

표 한 이란 물산업 수출추이

< 9> ・ 19

표 한 이란 콘텐츠수출입 추이

< 10> ・ 19

표 이란 콘텐츠시장 규모 및 전망

< 11> 20

표 한 이란 해외직접투자 추이

< 12> ・ 20

표 한 이란 제조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3> ・ 21

표 한 이란 자동차 산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4> ・ 22

표 한 이란 서비스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5> ・ 22

표 한 이란 건설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6> ・ 23

표 한 이란 해외직접투자의 대중동지역 해외직접투자 비중

< 17> ・ 24

표 한국과 이란 추이 및 전망

< 18> GDP 25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플랜트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19>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3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건설서비스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0>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4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석유화학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1>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5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자동차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2>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6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백색가전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3>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7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휴대폰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4>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8 표 한 이란 경협에 따른 문화콘텐츠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 25> ・ :

해외투자 연계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 전망- - 39

표 한

< 26> ・이란 경제협력에 따른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2016~2025년 누적) 41

표 한 이란 경협확대 사업 발굴을 위한 수요 선점 경영전략 분석

< 27> ・ 43

그 림 목 차

그림 이란의 증가에 따른 이란의 수입수요변화

< 1> GDP 31

그림 년 년 한 이란 해외투자 연계수출 효과 추정

< 2> 2009 ~2015 ・ - 32

(6)

요 약

5

요 약

▶ 본 연구는 이란 경제성장률 변화에 따른 수입수요 탄력성을 추정하여 2016 년 이란 경 제제재 해제 이후 한 이란 경협확대에 따른 수출 증진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 ・

- 한 이란 경협확대의 결과 이란의 수입수요 변화와 이란 현지투자 확대가 우리나라의・ 대이란 수출증가로 이어질 경우 국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추정

∙1980~2015년 사이 이란의GDP및 수입액 자료를 이용하여 이란의 경제성장률 변화에 따 른 대한국 수입수요 탄력성 추정

- 2009년에서 2015년 사이 이란 경제제재 전후로 △플랜트, △건설, △석유화학제품,

△자동차, △백색가전, △휴대폰, △문화콘텐츠 부문에서 대이란 무역투자 패턴을 분석

∙ 이란 경제제재 해제에 따른 한 이란 경협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산업으로 인프・ 라 플랜트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가전・ , , , , , ICT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산업을 선정,

▶ 연구 분석결과 우리나라와 이란의 경제협력 확대는 2025 년까지 10 년간 최대 845 억 달러 수출 증대 및 68 만 개 신규 국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됨

- 이란 수출과 현지투자를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여 경협을 확대할 경우 인프라 플랜트,・ 건설서비스 부문에서 2016~2025년까지 총수출은 각각 116억 달러, 185억 달러 증가 하고 일자리는 각각 만 천 개2 9 , 28만 개 늘어날 것으로 추정

∙ 석유화학 및 자동차 부문에서 각각 조 원5 , 12조 원의 부가가치 유발

∙ 문화콘텐츠 백색가전 휴대폰 등 고부가가치 부문에서는, , 10년간 총수출액이 각각 11억 달러, 98억 달러, 1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

(7)

한 이란 경제협력에 따른 수출확대의 경제적 효과・ (2016~2025년 누적)

수출액 백만 달러( ) 생산유발액 억 원( ) 부가가치유발액 억 원( ) 취업유발 명( )

플랜트 11,671 196,985 43,863 29,066

건설서비스 18,450 468,657 149,118 288,212

소계 30,121 665,642 192,981 317,278

석유화학 14,802 280,90 53,282 63,671

자동차 17,639 477,826 123,001 153,751

소계 32,441 758,730 176,283 217,422

문화콘텐츠 1,118 23,815 9,939 32,665

백색가전 9,804 206,640 58,152 56,598

휴대폰 11,113 234,243 65,920 64,159

소계 20,917 440,883 124,072 120,757

계 84,597 1,889,070 503,275 688,122

주 수: 출증가율은2021년까지는 이란 GDP 성장에 따른 이란 수입수요 증가율이며, 2022년에서부터는 년 간격 이동평균임5 . 총수출액은 이란 경제성장에 따른 수출증가액과 해외투자연계수출 증가효과의 합 한국은행의. 2013년 산업연관표 연장 표의 기초가격 통합대분류 중 각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및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취업유발계수를 이용하여 추정.

▶ 2 009 년부터 2015 년까지 한국의 전 세계 수출에서 이란이 차지하는 비중은 1% 수준으로 년 이후 비중과 수출입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남

2012

▶ 한편 한국의 중동지역 해외직접투자는 2010 년 이후 등락을 반복하였으나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임

-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해외투자 비중이 경제제재 이전 20% 수준에서 2013년 이후 90%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 반면에 대이란 현지 직접투자는 2012년 경제제재 이후 중단

▶ 한 이란 경협의 경제적 효과는 수출과 현지진출이 함께 이뤄질 때 최적화되므로 현지투 ・ 자와 수출을 상호보완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이란과의 경제협력을 추진해야 함

- 사우디로 몰린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를 이란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할 필요

∙ 사우디와 이란 사이에 현지투자를 적절하게 배분

- 현지투자와 수출을 연계하여 경제협력을 추진할 경우 이란 현지 신시장 개척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임

▶ 특히 한 이란 간 경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이란지역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 기업의 금융조달 능력을 돕기 위해 한 이란 금융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함 ・

- 이를 위해 국내 및 중동 국가들의 금융기관과 국제적인 다자개발금융기관 수출신용, 기관 사이의 금융 지원을 둘러싼 협력관계를 통해 대이란 투자진출에 필요한 기업의 자금조달을 도와야 함

(8)

요 약

7

∙ 아울러 국책은행이 현지투자 및 수출 기업의 자금조달을 직접 도울 수도 있을 것임 - 우리나라의 이란 거대프로젝트 플랜트 건설수주 수요 선점 및 신사업 개발을 위한( ・ )

기업의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만들어야 함

∙ 수출입은행 등 정책 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 통해 공사 참여

∙ 공기업의 이란 가스전 개발사업 참여 및 민간 건설사의 플랜트 공사를 연계하는 투자형 사업 추진

∙ 자본력이 있는 유럽 국가의 기업과 공동사업에 참여

∙ 정책적으로 이란의 석유 가스 등 자원 개발 지분과 시공권을 맞바꾸는 패키지 딜 추진・

▶ 한 이란 경제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테헤란로와 상호연계를 통한 이란의 서울거리 ・ 및 서울공원 개발사업 추진

- 현재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서울로는 고속도로 시내연결 보조도로로 이용 향후 서울- . 문화거리로 조성하여 서울 테헤란로와 같이 문화콘텐츠 중심지로 개발 서울시와 테. 헤란시의 문화교류 자매결연 추진

- 민간부문 양국 간 문화콘텐츠 서비스 교역활성화 전략을 마련

▶ 인프라 플랜트 건설 서비스 등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위해 한 이란 정상외교 성과가 현실화 ・ , ・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됨

▶ 중동시장 제 중동 붐을 도모하기 위해 이란 현지진출을 적극 확대할 필요 2

- 한국의 중동 제 위 현지투자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벤치마킹하여 철도 병원 건설1 , , , 담수화 산업 수주 위해 지사 지점 현지 법인 설립을 선제적으로 확대, ,

∙ 자동차 산업의 경우 이란은 중동지역 현지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생산분업네트워크 요충지

∙ 가전부문 현지 지사 법인을 확장해서 물품배송 시간을 줄이고 현지시장 개척의 교두보로, 이용

- 한 이란 경협확대 위해 강점을 적극 개발하여 기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요 선점 경영・ 전략 추진

∙ 플랜트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등 주요 수출산업의 대이란 경쟁력을 기반으로 대규모 신규, , , 프로젝트 수주 및 신시장 개척을 위해 수요전략 마련

∙ 기계장비 자재 플랜트 엔지니어링 보건의료 바이오 자동차부품 소비재 유통 에너지 환・ , ・ , ・ , , ・ , ・ 경, IT・보안 전기전자 식품 등 이란과의 협력 유망, ,

(9)

한 이란 경협확대 사업 발굴을 위한 수요 선점 경영전략 분석・

도움요인 장애요인

내부요소

플랜트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Strengths) , , , ,

가전 휴대폰 문화콘텐츠 등 주력 수출산업의, , 대이란 수출경쟁력 확보 한국제품 프리미엄 및,

브랜드 파워 존재 이란 내 한류문화, 발전가능성 높음

건설 석유화학 등 (Weaknesses) ,

전통적 주력 수출산업의 국내 성장동력 감퇴, 생산인구 감소 경제성장률 저하,

외부요소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Opportunities) ・

증가 이란 연간, 100만 대 이상 자동차 생산능력 보유 인구 천 만의 내수시장 및, 8

풍부한 천연자원 원유매장량 세계 위( 4 ), 석유화학 자동차 통신 등 주요 생산업체・ ・

민영화 유망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일본 중국

(Threats) EU, ,

등 주요국 기업들의 이란시장 진출적극성 시장선점, 경쟁치열 경제제재 복원 위험성 인프라 및, ,

투자환경 미비

자료: KOTRA (2016), 이란Iran투자실무가이드 참조

▶ 인프라 플랜트 건설 현지 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파트너 발굴 ( ・ , )

1) -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위한 정부 및 기관 관계자 간 네트워크 연결

∙ 한 이란 정부 간 정례적 건설부문 경협 채널 구축 노력과 병행・

∙ 기존 및 신규 거래선 발굴 노력

▶ 석유화학 이란의 민영화 유망분야인 석유화학 원유 및 가스 제외 부문에서 이란 유력 ( ) ( ) 기업과 전략적 제휴 추진

- 대이란 석유화학 제품 수출 확대를 위해 유럽 경쟁기업보다 제품품질 및 신뢰성을 높일 필요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이란 현지 기업과의 기술이전 합작투자도 적극 활용하여 현지 ( ) , 투자 확대하는 한편 시장동향과 현지 상관행 숙지 주요사항의 계약서 명시 현지법규 , , , , 시장현황 모니터링 필요

- 단기적으로 중산 저소득층 대상 모델을 다양화하여 현지시장 공략・

- 중장기적으로는 북경현대차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이란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이란을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지역 현지판매 교두보로 발, , 전시킴

∙ 이란은 중동 최대의 자동차 생산능력 보유국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중동지역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생산분업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임

1) KOTRA (2015), “중앙아시아 이란 진출 설명회 ”, 2015.11.1. 참조

(10)

요 약

9

▶ 가전 휴대폰 가전 휴대폰 등 고부가가치 최종재 상품 수요 선점을 위해 품질 차별화 ( ・ ) , , 가격 경쟁력 제고 선제적 마케팅 및 철저한 사후관리 필요 ,

-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제고 위한 홍보 적극 추진 및 현지 에이전트 계약 활용 이란. 소비층을 소득수준별로 구분하고 제품가격 차별화 추구

- 중국 휴대폰의 현지 시장경쟁력 약진에 대비하여 한국 휴대폰 브랜드 이미지 활용 및 제고위한 마케팅 추진

▶ 문화콘텐츠 방송 게임 분야의 콘텐츠 수출에 집중 중장기적으로 한국산 최종 소비재 ( ) ・ , 와 연계하여 문화콘텐츠 수출 확대

- 한류 콘텐츠 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문화 사회 정치적 환경을 고려한 특화전략 필요・ ・ - 방송 애니메이션 음악 등 이란 내 유통기반과 수익모델 설정할 필요, ,

(11)

Ⅰ. 문제제기

▶ 미국 등 서방 주요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 이후 이란은 높은 성장잠재력과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사우디와 더불어 중동 최대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란 특수가 ,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

- 우리나라의 수출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급감하고 원자재가격이 급변 하는 현 상황에서 수출 증진을 위한 신시장 개척 및 원자재 수입 다변화 필요성 증대

▶ 본 연구에서는 한 이란 경제협력 활성화에 따른 대이란 인프라 플랜트 건설 최종재 수 ・ ・ , , 출증대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고 한국 기업의 신산업 및 신시장 개척 등 경협확대를 위 , 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한 이란 무역 및 투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제재 해제의 대이란 교역 증대효과 추정・ - 한국의 대이란 상품 서비스 수출 및 현지투자 진출 확대 및 금융조달 방안 모색・

▶ 기존 연구의 특성

- 한 이란 무역패턴을 분석하고 새로운 전략시장으로서 이란시장 개척 필요성 제시・ 홍정화 외

( , 2015)

∙ 이란은 우리나라의 중동 상위 위 교역대상국으로 주요 수출입 품목은 원유 석유제품 등임3 , 홍정화 외

( , 2015)

∙ 이란 경제제재 당시 원유수출입 중단이 한국의 대이란 무역수지를 약40억 달러 감소시킬 것으로 추정 허인 외( , 2012)

- 중동지역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금융조달 능력 강화를 위한 한 중동 금융협력 방안・ 제시 이권형 외( , 2014)

∙ 국내 및 중동 국가들의 금융기관과 국제적인 다자개발금융기관 수출신용기관 사이의 금융, 지원을 둘러싼 협력관계를 통한 대중동 투자진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

- 한국의 향후 대이란 경제협력 관계 및 문화 교육 분야의 협력 강화 필요성 제시 최필수・ ( 외, 2013)

∙ 국제사회의 대이란 경제제재 이후 중 이란 간 경제협력 관계를 분석하고 자원조달 다변화・ 등 한 이란 경제협력 시사점 도출・

(12)

문제제기 .

11

∙ 이란의 주요 정파별 경제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이란 시장 진출전략 제시 이권형 외( , 2012)

∙ 이란과 한국의 상호 보완적 경제관계를 중심으로 원유 상품무역 해외직접투자뿐 아니라, , 다양한 경로를 통한 경제협력 필요성 제시 정영규( , 2011)

-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에 따른 한국의 이란 진출 유망분야 소개(KOTRA 외, 2015;

한국무역협회 외, 2015)

∙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제동향을 자동차거래 석유화학제품 귀금속 분야 등 제재 완화분야와, , 에너지분야 조선 해운 항만 석유화학 전략물자 등 제재유지 분야로 나누어 설명, ・ ・ , ,

외 (KOTRA , 2015)

∙2016년 경제제재 해제 시 석유화학 자동차 전기전자 건설 등 주요 산업분야별 이란시장, , , 선점 전략 제시

-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로 국내기업의 이란 현지 진출이 가능해지면서 향후 SOC, 건설, 조선 등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및 수출시장 확대 원유수입 다변화에 기여할 전망, ,

( 교부, 2016)

∙ 플랜트・SOC 개발 사업 분야에서 120 220∼ 조 원 규모 수요 창출 전망

∙ 한국의 이란B2B서비스 시장 진출 기반 확대 및 관련 상품수출 증대 전망 오경일(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동차 자동차부품 가전 ・ , , ICT, 의료기기 석유화학 가전 철강 , , , , 화장품 산업기계 석유화학 등 주요 수출산업 및 인프라 플랜트 건설부문을 중심으로 , , ・ , 한 이란 경제협력의 무역 증진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

- 특히2012년 이란 경제제재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한 이란 경제・ 협력 증진에 따른 수출입 증진 효과를 추정

∙ 이란 경제성장률 변화에 따른 수입수요 탄력성을 추정하여 한국의 대이란 수출 증진의 경 제적 효과 추정

∙1980년에서2015년 사이 이란의GDP자료와 수입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란의 경제성장률 변화에 따른 수입수요 탄력성 추정

∙ 이란의 수입수요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이란 수출 증진 효과와 현지투자 확대에 따른 수출 증대효과를 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추정

- 아울러 인프라 및 최종재 상품 부문에서 이란 정부의 경제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 기업의 전략적 대응방안을 도출한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른 기여도임

(13)

Ⅱ.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한 이란 무역 현황 분석 1.

▶ 제조업 주력 수출상품 ( ) 2009 년에서 2015 년 사이 자동차 자동차부품 가전 ・ , , ICT, 의료 기기 화장품 석유화학 철강 산업기계 석유화학 등 주요 수출산업 부문에서 한국의 , , , , , 대이란 교역패턴 분석

- 대이란 자동차 수출은 2012년 전년 대비 1/10 수준 미만으로 급락한 후 2015년 경제 제재 이전 수준에 근접

∙2011년 자동차 수출 억 달러에서 천 백만 달러로 급락한 후4 2 3 2014년까지 천 만 달러3 수준에 그침

- 2015년 대이란 자동차 수출이 약 억 천 만 달러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란3 9 경제제재 이전 수준인 억 달러 수준에 근접4

- 자동차 부품의 대이란 수출은 자동차 수출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데 감소폭이 상대 적으로 적고 대이란 수출회복속도 역시 상대적으로 늦음

∙ 자동차 부품의 대이란 수출 감소폭은2013년까지 경제제재 이전 대비1/3수준으로 감소하 다가 2015년에는 경제재재 이전 수준으로 회복 추세

∙2011년 억 천 만 달러에서3 8 2012년 억 천 만 달러로 급락했다가2 2 2015년 약 억 달러3 수준으로 회복 추세

< 1> 한 이란 상호간 자동차 자동차부품 부문 교역추이・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741 자동차 ( )

수출 344,094 537,786 408,443 23,908 47,968 31,315 389,909

수입 32 93 290 249 16 20 16

무역수지 344,062 537,693 408,152 23,659 47,952 31,295 389,893

742 자동차부품

( )

수출 299,945 378,641 385,375 220,640 134,312 258,996 296,479

수입 640 330 460 1,156 86 37 60

무역수지 299,304 378,310 384,915 219,484 134,226 258,960 296,420 : MTI 3단위, 742자동차부품741자동차 한국무역협회,

(14)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13

- 한국의 중동지역에 대한 자동차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에 비해 대이란 수출 비중은 최대 5.2%에서 2012년에 0.1%로 급감

∙ 대중동 완성 자동차 수출은 2008년 이후 40만 대에서 2014년 60만 대 수준으로 증가

∙ 대이란 완성 자동차 수출 비중은2007년 중동 수출 대비5.2%를 기록하였다가 경제제재가 본격화된 2012년 0.1%로 급락

∙ 한국의 대이란 완성 자동차 수출은 2010년 최대 만 천 대에서2 2 2012년 589대로 급락 - 2015년 대이란 완성 자동차 수출이 만 천 대 수준으로 급증하면서 이란 경제제재1 4

이전 수준에 근접

- 2015년 대이란 완성자동차 수출 회복 추세는 자동차거래 부문의 대이란 경제제재 완화 및 이란에 존재하는 한국 자동차에 대한 선호 및 프리미엄 때문으로 추정

표 한 이란 자동차 수출 추이 및 대중동지역 수출비중

< 2> ・

단위 대 ( : )

연도 이란(A) 중동(B) 수출비중(A/B)

2000 17 117,228 0.01%

2001 6 84,184 0.01%

2002 90 77,588 0.12%

2003 12 104,199 0.01%

2004 51 205,795 0.02%

2005 1,102 265,658 0.41%

2006 4,207 271,591 1.55%

2007 17,117 329,030 5.20%

2008 17,197 418,786 4.11%

2009 14,247 419,797 3.39%

2010 22,818 586,740 3.89%

2011 13,230 626,046 2.11%

2012 589 614,292 0.10%

2013 1,470 593,643 0.25%

2014 1,737 619,435 0.28%

2015 14,716 542,066 2.71%

2016.3 1,500 82,335 1.82%

총계 110,106 5,958,413 1.85%

자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15)

- 가정용 전자제품의 대이란 수출은2012년 경제제재 이후 년 정도 시차를 두고 수출이2 감소

∙ 세탁기 냉장고, , TV등 가전제품의 대이란 수출은2013년까지9.8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년에는 억 달러로 년 억 달러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

2015 6.1 2012 7.7

∙ 특히 냉장고 대이란 수출이2012년3.1억 달러에서2015년1.4억 달러로 가전제품 중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2014년 이후 대이란 가전제품 수출 감소는 대이란 가전제품에 대한 경제제재 요인 보다는 이란 GDP 감소에 따른 수입가전제품 수요감소 요인 때문으로 추론됨

표 한 이란 가전 부문 교역추이

< 3>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824 가정용 ( 회전기기)

수출 97,069 138,696 176,348 169,017 214,620 165,675 111,302

수입 0 33 2 3 2 3 11

무역수지 97,069 138,663 176,345 169,014 214,618 165,672 111,291

823 냉장고 ( )

수출 208,279 243,920 284,069 310,261 238,781 264,256 140,658

수입 4 2 8 10 12 15 20

무역수지 208,275 243,918 284,061 310,251 238,769 264,241 140,638 821

영상 ( 기기)

수출 63,084 135,873 212,238 259,247 493,327 400,852 332,584

수입 2 34 18 22 2 5 1

무역수지 63,082 135,840 212,220 259,226 493,325 400,847 332,583

82 가정용 ( 전자제품)

수출 397,894 558,172 706,126 775,471 981,805 868,764 613,025

수입 -31 209 -62 790 -62 -74 44

무역수지 397,870 558,098 706,098 775,220 981,708 868,740 612,989 주 가전 부문: MTI 3단위 개 품목8 , 824가정용회전기기 세탁기 에어컨 등( , ), 823 냉장고, 821 영상기기(TV )

- 의료기기의 대이란 교역비중은 대이란 주요 수출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나 년 이후 수출 급증 추세

2012

∙ 의료용전자기기, X선 및 방사선기기의 대이란 수출은2015년 각각 천 백만 달러 천2 9 , 1 백만 달러로 년 대비 약 배 수준으로 증가

7 2012 2

- 화장품 수출은 2011년 천 백만 달러에서1 3 2012년 백만 달러 수준으로 급락한 후5 회복 추세를 보이나 2015년에도 여전히 2012년 경제제재 이전 수준보다 낮음

(16)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15

∙ 이란에서 한국산 수입화장품은 상대적으로 고급 화장품으로 소득탄력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

∙2012년 경제제재 이후 이란의 소득 감소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화장품 수입수요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론됨

< 4> 한 이란 의료기기 화장품 부문 교역추이・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733 의료용 (

기기)

수출 8,838 14,908 20,450 21,251 24,318 27,320 23,130

수입 11 184 31 137 28 60 113

무역수지 8,827 14,723 20,419 21,114 24,290 27,260 23,017 8147

의료용 ( 전자기기)

수출 8,629 9,287 13,621 14,603 18,860 23,479 29,481

수입 41 313 120 4 98 1,669 398

무역수지 8,588 8,974 13,501 14,599 18,763 21,810 29,083 8146

선 및 (X 방사선기기)

수출 2,004 3,510 6,841 9,196 15,457 13,115 17,077

수입 0 46 321 0 1 57 2

무역수지 2,004 3,463 6,520 9,196 15,456 13,058 17,074 2275

화장품 ( )

수출 8,515 10,454 13,617 5,662 5,036 7,970 7,259

수입 11 0 0 0 6 0 0

무역수지 8,505 10,454 13,617 5,662 5,030 7,970 7,259 : MTI 3단위, 733의료용기기, 4단위, 8147의료용전자기기, 8146 X선 및 방사선기기, 2275 화장품 한국무역협회,

- ICT 정보통신기기 중 대이란 휴대폰 수출은 경제제재 이전에 비해 증가 추세

∙2012년 천 백만 달러에서3 4 2015년 천 백만 달러로 대략 배 급증9 8 3

∙ 20 년 약 억 천 만 달러로 증가했다가14 1 4 2015년 감소했으나ICT정보통신기기 부문 중에서 유일하게 2012년 이전에 비해 증가 추세

- 컴퓨터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등은, , 2012년 경제제재 이후 대이란 수출 급감

∙ 특히 2015년 대이란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은 경제제재 이전인 2011년 수준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억 천 만 달러 기록1 2

∙ 평판디스플레이는 대이란ICT품목 중 가장 높은 수출비중을 차지함에도2012년 최대 억3 천 만 달러 수출에서 년 억 천 만 달러로 대략 수준으로 급감

5 2015 1 2 1/3

(17)

표 한 이란 부문 교역추이

< 5> ・ ICT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812 무선통신 (

기기)

수출 11,052 24,012 26,570 34,510 80,538 139,520 98,935

수입 10 28 15 63 326 93 338

무역수지 11,042 23,984 26,555 34,447 80,213 139,427 98,597

813 컴퓨터 ( )

수출 46,165 12,530 6,154 92,455 48,596 53,920 23,498

수입 617 157 132 66 106 41 75

무역수지 45,548 12,373 6,021 92,389 48,489 53,879 23,423

831 반도체 ( )

수출 3,858 3,790 5,932 12,194 9,964 9,731 8,731

수입 33 11 0 284 73 5 155

무역수지 3,825 3,778 5,932 11,910 9,891 9,727 8,576 836

평판디스 (

플레이)

수출 105,630 108,588 185,123 350,041 224,511 210,060 125,303

수입 1 35 45 14 29 34 274

무역수지 105,629 108,553 185,078 350,028 224,482 210,026 125,030 : ICT부문 MTI 3단위, 812무선통신기기, 813컴퓨터, 831반도체, 836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 석유화학제품 철강 산업기, , 계의 대이란 수출은2012년 이후 전반으로 감소 추세를 보임

∙ 철강제품의 대이란 수출 감소폭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석유화학 제품 산업기계 순, - 특히 철강제품은 대이란 수출이 2011년 15.6억 달러에서 2015년 천 백만 달러로4 9

수준으로 급락함 1/3

∙ 이는 대이란 경제제재로 인한 수출중단 요인과 더불어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의 공급과잉으, 로 인한 한국의 철강제품 비교우위 감소에 기인함

표 석유화학 철강 산업기계 교역추이

< 6> ,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1 석유화학 (

제품)

수출 443,650 465,774 656,121 871,918 534,851 551,557 513,901 수입 258,573 333,263 358,238 124,978 17,835 2,739 2,058 무역수지 185,077 132,511 297,883 746,939 517,016 548,818 511,843

61 철강제품

( )

수출 964,393 863,090 1,564,373 1,473,506 624,351 512,556 494,542

수입 1,823 6,177 216 1,422 357 57 124

무역수지 962,570 856,912 1,564,157 1,472,084 623,995 512,499 494,417

(18)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17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72 산업기계

( )

수출 190,231 273,884 280,404 427,812 170,563 146,657 128,489

수입 561 323 903 3,831 224 625 220

무역수지 189,670 273,561 279,501 423,981 170,339 146,032 128,269 71

기초 ( 산업기계)

수출 222,994 197,726 307,236 421,167 190,270 201,179 130,945

수입 76 179 1,546 727 204 22 49

무역수지 222,918 197,547 305,690 420,440 190,066 201,157 130,896 : MTI 2단위, 21석유화학제품, 61철강제품, 72산업기계, 71기초산업기계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원동기 및 펌프 등( , )

- 한국의 전 세계 수출에서 이란이 차지하는 비중은 1% 수준으로 2012년 이후 비중과 규모가 모두 감소 추세

∙ 대이란 수출은2012년 최대62.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경제제재 이후 지속적으로 급감 하여 2015년 37.3억 달러로 대략 절반 수준으로 급락

∙ 대이란 수출에 비해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하여서 전통적인 대이란 무역수지 적자가2015년 에는 무역수지 흑자로 전환

- 한국의 대이란 수출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서 2015년 현재 2009년 수준 보다도 더 낮은 상태

∙2009년 대이란 수출과 수입은 각각39.9억 달러, 57.4억 달러에서2015년 수출수입이 각각 억 달러 억 달러 기록

37.3 , 23.7

표 한 이란 상품 수출입 비중 추이

< 7>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연도 상품 대이란 이란 비중

총수출 총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2009 363,533,561 323,084,521 3,991,897 5,745,749 1.1% 1.8%

2010 466,383,762 425,212,160 4,596,721 6,940,236 1.0% 1.6%

2011 555,213,656 524,413,090 6,068,276 11,358,379 1.1% 2.2%

2012 547,869,792 519,584,473 6,256,525 8,544,429 1.1% 1.6%

2013 559,632,434 515,585,515 4,480,902 5,564,403 0.8% 1.1%

2014 572,664,607 525,514,506 4,162,243 4,578,119 0.7% 0.9%

2015 526,756,503 436,498,973 3,730,938 2,367,368 0.7% 0.5%

자료 한국무역협회:

(19)

▶ 한 이란 플랜트 건설서비스 현황 분석 ・ ,

- 한국의 대이란 건설수출은 2009년 24.9억 달러 수주를 기록하였으나 2014년에는 9.5 백만 달러 수준으로 급락

- 대이란 건설 수주액 감소는 2010년 이후 이란 건설시장 성장률 저하, 2012년 경제제재 이후 건설시장 환경변화에 기인

∙ 경제제재로 인해 이란 내 외국기업의 진출제한

∙ 특히 경제제재 이후 이란의 석유수출입 하락폭이 매우 큼

∙ 이란정부는 석유수익 감소에 따라 발주물량을 줄였으며 재원마련 위해 외국기업 투자를 장려하는 상황

- 대이란 플랜트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은 정유 석유화학 부문이며 산업플랜트 환경플랜트/ , 부문에서 2009년 이후 수주 경험이 있음

∙ 반면에 신재생에너지 전력 등 발전플랜트와 가스플랜트의 수주는, 2009년 이후 나타나지 않음

- 한편 이란의 건설시장은 2015년681억 달러 규모에서2017년에는741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

< 8> 한 이란 인프라 플랜트・ ・ 부문 교역추이

단위 미화 천 달러

( :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건설 수주 2,492,010 -16,755 195 76,338 19,352 9,497 0

플랜트

정유 석유화학/ 1,081,555 523 -453 76,338 0 0 0

산업플랜트 0 0 648 0 19,352 0 0

환경플랜트 1,410,455 -17,278 0 0 0 0 0 합계 2,492,010 -16,755 195 76,338 19,352 0 0

전망 2013 2014 2015.F 2016.F 2017.F

건설시장 규모 억 달러

( ) 551 646 681 679 741

성장률 -23.4 17.2 5.4 -0.3 9.1

주 건설서비스 수출은 토목 건축 산업설비 전기 통신 용역 등 전체공종의 총 해외수주액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 , , , , . 통계

건설시장 전망: Global Insight(‘15.Q1)

(20)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19

▶ 한 이란 물산업 현황 분석 ・

- 한 이란 물산업 수출액은 제조업 장치 부문에서・ 2015년 총 233억 원 기록 표

< 9> 한 이란 물산업 수출・ 추이

단위 백만 원

( : )

구분 품목 2015

제조업

장치 강관 9,140

장치 게이브밸브 4,736

장치 게이트밸브 9,472

합계 23,348

자료 환경부 물산업통계정보시스템:

- 2016년 대이란 물산업 부문 수출은 수자원 담수화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

∙ 실제로 포스코에너지는2016년 월 이란에서 개최된 한국 이란 비즈니스포럼에서 한국2 - 전력 포스코건설 이란 철강기업, , PKP와 함께 500MW 규모의 부생가스발전소 건설 및 담수화사업 추진 양해각서 체결2)

▶ 한 이란 문화콘텐츠 수출 현황 ・

- 한국의 전 세계 콘텐츠 수출 증가 추세에 맞춰 대이란 문화콘텐츠 수출을 추진 중이나 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

2012

∙ 한국의 전 세계 콘텐츠 수출은 2009년 26억 달러에서 2014년 52.7억 달러로 증가 - 대이란 콘텐츠 수출은2012년 천 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가5 2 2014년 천 백만 달러로3 8

감소한 것으로 추정

∙ 대이란 상품수출입 패턴과 유사하게 변화하였다고 가정하고 대이란 콘텐츠 수출액 추정 표 한 이란 콘텐츠수출입 추이

< 10> ・

단위 미화 천 달러

( : )

콘텐츠세계수출 콘텐츠세계수입 이란상품수출비중 이란상품수입비중 대이란콘텐츠수출 대이란콘텐츠수입 2009 2,608,702 1,769,571 1.10% 1.80% 28,646 31,470 2010 3,189,074 1,697,253 1.00% 1.60% 31,432 27,702 2011 4,302,012 1,847,830 1.10% 2.20% 47,019 40,023 2012 4,611,505 1,673,787 1.10% 1.60% 52,662 27,525 2013 4,923,100 1,451,726 0.80% 1.10% 39,419 15,668 2014 5,273,519 1,294,234 0.70% 0.90% 38,329 11,275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수출입액 통계: ,

주 대이란 상품수출입 비중은 한국무역협회자료 이용하여 산정 대이란 콘텐츠 수출자료 부재로 인해 한국의 대이란 콘텐츠: . 수출입액은 대이란 상품수출비중을 원용하여 저자 추정

2) 조선비즈 포스코에너지 이란서 부생가스발전 담수화사업 나선다, “ , ・ ” 2016.02.29.일자

(21)

- 이란 콘텐츠 시장은2007년 20억 달러 규모에서2016에 약80억 달러 수준으로 약 배4 이상 성장할 전망

∙2012년에서 2016년 사이 연평균 약 12%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 표 이란 콘텐츠시장 규모 및 전망

< 11>

단위 십억 달러 ( : , %) 국가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이란 2 2.5 2.7 3.1 4.6 5.2 5.8 6.5 7.3 8.2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중동 아프리카 콘텐츠시장 규모 및 전망

- 이란은 경제제재 해제로 중동 지역에서 콘텐츠산업을 포함한 경제 성장 잠재력이 가 장 큼

∙ 따라서 한류 신흥시장 확보 가능성도 크게 증가됨

- 이란의 콘텐츠산업은 방송 애니메이션 음악 게임 등 퓨전 사극과 가족 드라마 유아・ ・ ・ , 교육 애니메이션 액션 전쟁 온라인게임의 진출 가능성 높음, ・

∙ 반면에 공연 음반 디지털 음원 등의 성공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음, ,

∙ 현지 공연 개최 또는 해외 채널(KBS World,아리랑TV)통한 우회적 진출방법 모색할 필요

한국 기업의 대이란 현지투자 현황 분석 2.

- 2001년 이후 대이란 해외직접투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소하였고 2012년 경제 제제 이후 거의 단절됨

∙1985년에서 2015년까지 누적 현지투자 신고금액은 억 달러1

∙2001년 이후에는 2008년 최대 천 백만 달러 기록 이후 감소함1 6

∙2012년 이후에는 신규법인 수 전무함

표 한 이란 해외직접투자 추이

< 12> ・

단위 개 건 천 달러 ( : , , )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1980~2015 59 26 107,929 49 54,246

2001 1 1 25 1 25

2002 2 2 372 2 372

(22)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21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2003 1 0 0 0 0

2004 6 4 1,366 6 558

2005 0 0 0 1 111

2006 3 2 588 2 158

2007 3 2 780 3 304

2008 7 3 16,240 11 10,487

2009 5 1 6,270 5 7,388

2010 6 2 1,650 5 1,236

2011 1 1 100 1 100

2012 3 0 20 1 15

2015 2 0 15 0 0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현지법인 지점 지사 모두 포함: , , ,

- 제조업 부문의 대이란 해외직접투자액은 1980~2015년 사이 억 달러로 비중이 가장 큼1

∙2012년 만 천 달러 현지투자 기록 후 단절됨1 5

표 한 이란 제조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3> ・

단위 개 건 천 달러 ( : , , )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1980~2015 34 17 100,528 40 47,064

2002 1 1 51 1 51

2004 3 2 1,360 4 552

2005 0 0 0 1 111

2006 2 2 588 2 158

2007 2 2 780 3 304

2008 5 2 16,140 10 10,447

2009 3 1 6,131 5 7,388

2010 5 2 1,650 5 1,236

2012 1 0 15 1 15

2015 1 0 0 0 0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 대이란 제조업 부문 현지투자 중 자동차 산업의 비중이 가장 큼

∙1980~2015년 사이 천 백만 달러 신고금액 기록7 3

∙2012년 만 천 달러 신고 이후 자동차부문 현지투자 중단1 5

(23)

표 한 이란 자동차 산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4> ・

단위 개 건 천 달러 ( : , , )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1980~2015 9 5 73,705 12 26,001

1994 1 1 23,256 1 35

1996 1 0 12,519 0 0

1997 0 0 0 1 12,475

1998 1 0 35,775 1 12,510

2004 3 2 1,360 4 552

2005 0 0 0 1 111

2007 2 2 780 3 304

2012 1 0 15 1 15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 대이란 서비스업 현지투자 금액은 제조업 대비 7% 수준 기록

∙1980~2015년 사이 백만 달러 기록7

∙2012년 서비스업 현지투자 신고금액 천 달러에서5 2015년 만 천 달러 기록1 5 표 한 이란 서비스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5> ・

단위 개 미화 천 달러

( : , )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1980~2015 24 8 7,302 8 7,083

1980 3 1 6,691 1 6,691

1984 1 0 0 0 0

1990 1 0 0 0 0

1993 1 0 0 0 0

1995 2 2 1 2 1

2001 1 1 25 1 25

2002 1 1 321 1 321

2003 1 0 0 0 0

2004 3 2 6 2 6

2006 1 0 0 0 0

2007 1 0 0 0 0

2008 2 1 100 1 40

2009 2 0 139 0 0

2010 1 0 0 0 0

2012 2 0 5 0 0

2015 1 0 15 0 0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서비스업 대이란 실제 해외직접투자가 이뤄진 건설업 도소매 운수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 전문, : , , , , 과학기술서비스 사업시설관리및 사업지원서비스 기타 포함, ,

(24)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 및 현지투자 패턴 분석 .

23

- 대이란 건설서비스업 현지투자가 서비스업 현지투자의 거의 전부에 해당

∙1980~2015년 사이 백만 달러 기록7

∙2004년 천 달러 현지투자 이후 중단되었다가6 2015년 만 천 달러 기록1 5 표 한 이란 건설업 해외직접투자 추이

< 16> ・

단위 개 미화 천 달러

( : , )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8 5 7,033 5 7,018

1980 1 1 6,691 1 6,691

1993 1 0 0 0 0

1995 1 1 0 1 0

2002 1 1 321 1 321

2003 1 0 0 0 0

2004 2 2 6 2 6

2015 1 0 15 0 0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 한국의 중동지역 해외직접투자는 2010년 이후 등락을 반복하였으나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임

-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해외투자비중이 2012년 경제제재 이전 20% 수준에서 년 이후 최대 수준까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2013 90%

∙ 반면 동 기간 대이란 현지직접투자는 중단됨

- 경제제재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로 몰린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를 이란으로 획기적 으로 전환할 필요

∙ 이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를 사우디아라비아 해외직접투자 확대 추세에 맞추어 획기적으 로 확대할 수 있을 것임

(25)

표 한 이란 해외직접투자의 대중동지역 해외직접투자 비중

< 17> ・

단위 개 건 천 달러 ( : , , )

연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중동

신고 건수 (A)

비중 (A/E)

신고금액 (B)

비중 (B/F)

신고 건수 (C)

비중 (C/E)

신고금액 (D)

비중 (D/F)

신고 건수 (E)

신고금액 (F)

합계 40 1.64% 27,425 0.24% 547 22.43% 3,245,211 28.85% 2,439 11,248,200

2001 1 7.69% 25 0.33% 4 30.77% 305 4.16% 13 7,330

2002 2 8.00% 372 0.68% 3 12.00% 1,466 2.68% 25 54,659

2003 1 4.76% 0 0.00% 2 9.52% 0 0.00% 21 4,713

2004 6 20.00% 1,366 2.38% 2 6.67% 170 0.30% 30 57,374

2005 0 0.00% 0 0.00% 7 11.67% 664 0.13% 60 517,321

2006 3 3.06% 588 0.21% 14 14.29% 10,772 3.82% 98 281,825 2007 3 1.45% 780 0.13% 35 16.91% 16,174 2.69% 207 600,711 2008 7 3.10% 16,240 0.37% 26 11.50% 14,863 0.34% 226 4,349,383 2009 5 2.16% 6,270 1.21% 47 20.26% 134,905 25.95% 232 519,790 2010 6 2.28% 1,650 0.48% 53 20.15% 83,428 24.41% 263 341,768 2011 1 0.34% 100 0.02% 101 34.01% 122,881 20.19% 297 608,521 2012 3 1.19% 20 0.00% 74 29.37% 194,872 20.06% 252 971,654 2013 0.00% 0.00% 73 28.52% 338,895 80.44% 256 421,316 2014 0.00% 0.00% 54 23.28% 864,295 89.69% 232 963,610 2015 2 0.88% 15 0.00% 52 22.91% 1,461,519 94.40% 227 1,548,224 자료 해외수출입은행 법인구분은 현지법인 지점 지사 포함: .

(26)

이란 정부의 최근 경제활성화 방안 및 신규 수요 분석 .

25

Ⅲ. 이란 정부의 최근 경제활성화 방안 및 신규 수요 분석

▶ 이란의 경제규모는 2012 년에 5,832 억 달러로 우리나라의 대략 절반 수준까지 미쳤으나 경제제재 이후 2013 년에는 1/3 수준으로 축소

- IMF에 따르면 이란의 경제성장률은 경제 제제 해제 이후 4% 수준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3)

∙ 이란 경제규모는2021년까지 향후 년 안에 경제제재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며 지속적5 으로 성장할 전망

표 한국과 이란 추이 및 전망

< 18> GDP

단위 미화 십억 달러

( : , %)

년도 한국 GDP 한국 성장률 이란 GDP 이란 성장률

2009 901.9 0.7 396.7 2.3

2010 1,094.5 6.5 464.0 6.6

2011 1,202.5 3.7 564.5 3.7

2012 1,222.8 2.3 583.2 -6.6

2013 1,305.6 2.9 380.3 -1.9

2014 1,410.4 3.3 416.5 4.3

2015 1,376.9 2.6 387.6 0.0

2016 1,321.2 2.7 386.1 4.0

2017 1,379.3 2.9 409.3 3.7

2018 1,434.9 3.1 440.0 3.8

2019 1,498.8 3.1 473.4 4.1

2020 1,566.4 3.1 509.3 4.1

2021 1,628.6 3.0 546.8 4.1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6) 주 명목: GDP, Real GDP성장률, 2016년부터는 전망치

3) IMF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6)

(27)

▶ 이란 신규수요 이란 국내 정비에 필요한 도로 철도 항만 댐 병원 등 토목 건축부문의 ( ) ・ ・ ・ ・ ・ 인프라 시설 및 주택 건설 공사에서 대거 해외발주 전망

4)

- 석유화학 플랜트와 SOC 등 사회기반시설 부문에서 약 천억 달러 약1 ( 121조 원 안팎) , 최대 천1 850억 달러 약( 224조 원 시장 형성 전망)

∙ 이란 건설시장 규모는 작년 말 기준461억 달러 약( 55조 천억 원 로 추정하고 올해는8 ) 496억 달러 약( 60조 656억 원 로) 7.6% 성장할 전망

- 철도 댐 병원 플랜트 등 인프라 및 플랜트 건설, , , 2016년 월5 13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수주 전망5)

∙ 대림산업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등 이란 대규모 건설 공사 수주 전망・ ・ ,

∙2016년 월 대통령 이란 순방 시 가계약 양해각서5 ・ (MOU) 체결 최대, 23조 원 수주 전망 - 한국기업 이란 현지투자 사례6)

∙ 대림산업은 철도공사(2016년 월 이란 알와즈와 이스파한 연결5 , 2016년 월 양국 장관 간2 협약 사업 약) 49억 달러 조 천억 원 와 댐 수력발전 플랜트 공사 박티아리 댐 수력발전(5 6 ) ・ ( ・ ) 억 달러 조 천 억 원 규모에 대한 가계약 체결 예정 석유화학플랜트 공사 대략

20 (2 2 800 ) .

조 원 규모 년 월 이란 정부와 양해각서 등 체결 예정

1 2016 5 (MOU)

∙ 현대엔지니어링은 가스 정제 시설 사우스파( (South Pars) 12단계 확장 공사 약) 36억 달러 조

(4 1천억 원 규모에 대한 기본계약) (Framework Agreement)체결 예정 민자발전소 공사; 이란 에너지부 산하기관 발주 이란 잔잔 지역 급 복합화력발전소 건설 건설 투자

( , 500MW ,

자(CI, Construction Investor)로 참여) 5억 달러 천(5 700억 원 규모) MOU보다 구속력이 있는 업무협력 합의각서(HOA, Head of Agreement) 체결 예정

∙ 현대건설과 포스코대우는 병원건립 이란 최고 명문 의대 시라즈의과대학 천 병상 규모( 1 병원 건립 현대건설 병원 건물 건축 공사 포스코대우 병원 의료장비 조달, , ) 2016년 월5 이란 보건부 정식 업무협정 체결 예정

∙ 이외 현재 현대건설, GS건설 포스코건설 등 이란 수주진행 공사 총합하면 최대, 200억 달러 조 천억 원 수주 가능

(22 8 )

▶ 이란 건설시장 2015 년 건설부문 실제 성장률은 1.6%( 전년도 2.8%) 로 전망

7) - 경제재제 해제 이후 년간 건설부문의 실질 성장률이 평균5 3.4%로 상승할 전망

∙ 우리 기업의 이란 건설시장 진출 애로사항은 에너지와 금융제재임

4) 연합뉴스 2016.1.9. “<이란 특수 오나> ①빗장풀린 이란시장 건설사들 잰걸음 참조… ”.

5) 연합뉴스 2016.4.23. “이란서 건설수주 잭팟 터진다 최대‘ ’ … 23兆 수주 임박 참조”

6) 연합뉴스 2016.4.23.일자 참조

7) 자료 해외건설협회:

(28)

이란 정부의 최근 경제활성화 방안 및 신규 수요 분석 .

27

∙ 특히 원화결제 시스템 하에서는 우리 건설기업의 이란 진출은 순탄치 않을 전망

▶ 이란 정부는 투자유치 정책을 통해 외국인 투자 유입을 장려

8)

- 수입대체 사업 석유화학 석유 가스개발 사회간접 자본시설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 , , 장려

∙ 석유 및 가스 분야에서 외국인투자 금지되었으나1996년 이후Buy-Back방식으로 외국인 투자 허용

∙ 수출 목적 외국인 투자는100%로 지분 상향 조정 외국인의 투자 허용분야 역시 모든 산업. 분야로 확대

- 일반적으로 자유무역지대 이외의 내국지역 외국인 투자지분 49%까지 허용

∙ 이란 정부는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외국인 투자분야 및 지분한도 확대

- 자유무역지대 설치 및 Sirjan, Sarakhs, Anzali, Khuzestan 등 16개 경제특구(Special 지정하여 외국기업 유치

Economic Zone)

- 자유무역지대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 수입원자재 관세 면제 기업, 15년간 내국세 면제 투자지분, 100%소유 보장, 100년간 부지 임대 허용

∙FIZ에서 이란 본토로 반입되는 물품의 관세 면제

∙ 외국은행 설립허용

- 저에너지비용 저임금 양질의 노동력 중앙아시아 및 아랍제국 등 주변 잠재시장 보, , 유의 지리적 이점 등이 대이란 외국인 투자의 주요 경쟁력임

▶ 이란 담수화 사업 신규수요 이란 정부는 약 ( ) 200 억 달러 규모의 담수화 사업 예정

9) - 향후 년간 상하수도 인프라 약5 200억 달러 지출 예정, 6억 달러는 민간부문 지출

∙ 이란은 해수 담수화와 첨단 폐수처리 및 재이용을 통해 새로운 수원 발굴

∙ 향후 개년 개발 계획에 따라 거대한 투자 필요5

∙ 이란 물 당국은 국제 투자자와 계약사 및 장비 공급업체의 PPP 프로젝트 참여 기대

∙ 민간 부문이 인프라 자금조달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큼

∙ 이란 국립 상하수도 엔지니어링(NWWEC)은 해외 대출기관을 포함하여 투자원을 발굴하여 자금배분 업무 수행 예정

8)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http://www.icak.or.kr/ 이란 외국 기업 진출 환경 투자여건 참조- 9)물산업팀(2016.1.11.), [해외동향 이란 식수의 미래 환경부 물산업통계정보시스템] “ ”, http://www.wabis.or.kr/foreign_act/14679

참조 이종석 김종욱. ・ (2013)에 따르면 담수화란 해수나 기수에서 염분을 제거하여 생활용수나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담수를 만드는 것

(29)

- 담수화사업은 천연수 이란 식수공급의 대부분을 차지

∙ 물 위기로 인해 새로운 수원으로 담수화 추진 향후 물 수요 충족 수단임, .

∙ 이란 해수 담수화 플랜트 대부분은 민간 부문과의 건축 소유 운영- - (BOO) 방식 통해 조달

∙ 현재 NWWEC는 협상 중인 담수화 및 중금속 제거 프로젝트가 53 ,건 처리용량 의 운영과 건설 조 억 의 투자금액 필요

300,000m3/d , IRR 4.6 ($1.61 )

- 이란 남쪽 해안 지역 산업용 담수화 사업은 내륙지방에 공급할 해수 담수화 용량을 대규모로 증설 예정

∙ 산업 부문 Bandar Abbas 인근에 사코(SAKO) 담수화 프로젝트 계획 중

∙ 이 플랜트는 백만1 m3/d의 담수화 용량과1,000MW의 발전용량 예정 용수를. 760km떨어진 내륙으로 이송하여 산업용 고객 Golgohar 광물산업단지 국영 이란구리산업단지 및,

광산산업단지에게 공급 Chadormalu

∙ 이란 남부의 물 부족 도시 위한 해수 담수화 및 이송 체계 추진

∙NWWEC는 해안지방인Bushehr, Hormozgan, Khuzestan에 급수할 목적으로 대규모 담수화 플랜트 네트워크를 구축 계획

∙ 해안 여러 곳에 총 2.8백만m3/d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

∙ 담수화 용량 확대 및, Gult 만과 Oman 해의 물을 중앙고원 약 4.7천 만 주민 공급

∙Caspian 해 연안의 담수화 해수를 Semnan과 Tehran에 배관 통해 공급 - 이란 하수처리 사업 수요 증대

∙ 인구의 약40%만이 유틸리티가 제공하는 하수 수거 및 처리 서비스를 누리는데 이는 대부, 분 도시에 국한 하수도망과 하수처리시설 정비위한 국내 자본 금융 부족.

∙ 농촌 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은 도시에 비해 낙후 이슬람 개발은행. (Islamic Development 이 지원하는 자금을 통해 북부 지역 시설 지원

Bank)

∙ 약 $30억 규모의 하수 프로젝트가 역구매 계약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 , $70억 규모의 또 다른 프로젝트 예정

▶ 이란은 담수화 금융을 통해 하수도 인프라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

- 경제 제제의 해제 후 이란의 물산업은 국제 금융을 통해 보다 싼 자금 이용을 기대하 고 있음

∙ 이란 정부와NWWEC는 대체 자금원으로 세계은행과 이슬람 개발은행 등 국제개발기관의, 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

∙ 자본조달에 민간 부문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활용

참조

관련 문서

By solving the problem to minimize the sum of compliance costs and administrative costs and introducing a bureaucratic model, it is inferred deductively that

이들 기업집단의 외감법인 전체 자산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를 보면, 외환위기 직전 최대수준에 이르렀던 자산기준 일반집중도가 외 환위기

For the period under study, we find that US R&amp;D investment has higher spillover effect on Korean manufacturing than Japan R&amp;D investment through

따라서 양도소득세는 폐지하되, 근로소득과 마찬가지로 종합소득세의 과세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3주간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간호사의 미래와 발전 방향에 대 해 생각해 볼 수 있었고, 간호대학의 교육과정과 미국 병원에 대한 지식을 넓 혀

시내버스와 지하철의 수요곡선은 모두 우하향하며 공급곡선은

글로벌한 콘텐츠를 제작 경험 필요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M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