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VOL. 265

(2)
(3)

|제265호 2020. 12. 30.|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안형준 · 박현준 · 이혁 · 김은정

목차

| 요 약 |

Ⅰ. 뉴스페이스와 우주산업 생태계 변화

07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11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18

Ⅳ. 위성분야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정책제안

26

(4)

뉴스페이스의 등장 배경과 동인

 뉴스페이스는 “정부가 우주개발의 주된 자금 공급원이 되어 민간 대형 업체가 개발한 하드웨어를 구매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던 기존의 산업생태계가 새로운 민간 투자 파트너와 기업가적 활동(entrepreneurial activity) 모델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기업 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민간 주도로 변화되는 양상”을 뜻함 (안형준 외, 2018) - 구소련이 붕괴되고 냉전의 체제 경쟁을 위한 우주 개발의 막이 내린 1980년대

우주의 상업화가 심화되면서 2000년대 들어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이 민간 주도로 변화하기 시작

- 재사용 로켓과 초소형위성 등의 기술혁신으로 우주수송과 위성 생산 비용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기업들의 우주산업 진입 장벽이 낮아짐

- 4차산업혁명 기술(IoT, Cloud, Big Data, Mobile)과 기존 우주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상업적 목적의 우주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의 투자가 급증

- 우주식민지건설(Space Colonization), 우주자원체굴(Space Mining), 우주공장 (Space Factory) 등 장기적이고 불확실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탐사와 개발이 혼재된 우주개발 투자 역시 확대되는 양상

정부에서도 향후 5년간 위성산업 육성에 본격적 지원방안 발표(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2020)

 지난 30년간 축적된 위성기술에 비해 저조한 수출실적 향상을 위한 위성산업 지원 - 정부는 지난 30년간 위성기술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위성기술에 비해

수출실적은 매우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5년간 우주개발기반조성, 위성수출 활성화 지원 등 2020년부터 40억을 지원하며, 향후 5년간 약 200억 원 규모의 사업비 지원 예정

 정부 중심의 우주개발에서 상업적 이익 창출에는 한계가 있었음

- 정부 간 포럼, 정보수집, 대상국의 초청연수 프로그램 등 해외 위성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기업의 판로개척을 지원할 예정

- 국내 위성의 경쟁력을 고려하여 중동, 동남아 남미 등 후발국에 집중할 예정

(5)

| 요 약 |

뉴스페이스 기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이 관건

 그동안 일부 선진국의 우주기관과 소수 국방우주 기업들이 점유해 왔던 우주산업은 위성 데이터의 상업적 활용 증가, 타 국가와의 기술 교류 확대, 이로 인한 우주투자 국가 수의 증가 등을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대되고 있음.

- 가치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문은 저비용, 대량 생산, 상용 부품 사용이 증가 하면서 세부 분야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형성되고 있는 것은 국내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 할 수 있음

 위성산업의 가치사슬에 세부 분야 특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여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형성되고 있음

- 위성제조(서브시스템, 총조립), 발사, 위성운영, 위성서비스 등 4개의 가치사슬 및 가치사슬 내부에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음

- 기업이 특정 기술을 갖추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한다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 도래

위성산업 육성을 위한 글로벌 위성산업의 시장구조와 주요 기업, 국내 거래망 파악 필요

 글로벌 가치사슬에 진입하기 위한 국내 우주산업의 현황과 국내 우주기업의 거래구조 파악을 위한 자료는 전무

- 현재까지 우주산업에 대한 자료는 시장규모, 전망, 기업의 수 등 산업현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의 변화에 대한 논의 부재

 글로벌 시장의 가치사슬 변화에 대한 분석과 국내 우주기업의 현황에 대한 분석 부재 - 뉴스페이스 시대의 시작과 글로벌 시장의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파악 필요 - 글로벌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에 대한 분석 부재

- 국내 우주기업의 현황과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경로 및 가능성에 대한 분석 부재

 가치사슬별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 접근 경로 파악

- 우주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여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글로벌시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

(6)

과제 1.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을 위한 Alliance Pool 구축

 국내 위성산업 거래구조를 파악한 결과 글로벌 가치 사슬에 편입되어 있는 기업들은 10개 남짓으로 파악됨

- 국내 위성체 제조산업은 국내 주요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체계종합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국내 기업은 4개에 불과

- 위성정보활용 분야에서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전역과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나 11개 기업 수준으로 파악됨

 우주 분야에 투자 또는 거래가 형성된 국가 및 기업을 중심으로 Alliance Pool 구축 - 글로벌 거래가 축적되고 있는 우주정보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우주분야 협력 Pool을

선제적으로 구축할 필요

- 구축된 협력 Pool을 중심으로 우주분야 수출 및 글로벌 시장 참여를 위한 기업컨설팅 등 기업지원전략수립 필요

과제 2.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및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각적 지원

 정부 사업에 참여를 주로 하고 있는 국내 선도기업의 글로벌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 마련 필요

- 현재 정부 주도로 개발되고 있는 위성, 발사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이 뉴스 페이스 회사들과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 예를 들어 차세대중형위성과 차세대소형위성 사업에는 뉴스페이스 스타트업들에서 적용하고 있는 비우주용부품 채용, 별도의 품질인증 체계 도입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에 기초한 임무설정 등

 초소형위성은 우주부품보다 상용부품의 사용 비중이 높아 부품 검증 필요성이 높아 성능과 시험을 담당할 적정 체계 마련이 시급함

- 2020년 2월 경남 진주에 우주부품시험센터가 개소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초소형위성의 특성을 고려한 시험규격이 전무한 상태임1)

1) https://www.ktl.re.kr/webzine/18/sub06_01.jsp(검색일: 2020년 2월 10일)

(7)

| 요 약 |

- 지구관측 서비스영역이 세분화되고 초소형 위성이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위성 부품에 대한 성능과 시험을 담당할 적정 체계 마련 및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육성 정책과 연계할 필요

- 일본의 경우 경제산업성 중심으로 상용 부품의 우주급 검증을 위한 위성플랫폼을 개발해 오고 있음

과제 3. 위성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 투자 및 기업육성

 뉴스페이스 시대에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쉽게 갖출 수 있는 분야는 위성정보 활용 분야임

- 위성에서 발생한 위성정보의 가공 수준에 따라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고 있으며, 위성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의 증가는 위성정보 활용분야 기업 진출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특히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위성영상분석서비스 분야는 해외 기업과 충분히 경쟁 할만한 사업 분야로서, 특히 우리는 아리랑위성 영상을 국가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기업들에게 시장진입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 위성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필요

- Google, Apple, Facebook 등 주요 글로벌 IT기업은 위성 이미지를 축적할 뿐만 아니라 분석 소프트웨어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국내 IT 기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위성 이미지를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 웨어에 투자하고, 빅데이터 정책과 연계하여 위성정보 활용분야로 기업이 창업할 수 있도록 전략적 연계 필요

과제 4. 국가 간 협력 경험에 기초한 시장 확대

 지구관측 분야 거래관계가 활성화되고 있는 아시아시장의 협력 강화 필요

- 위성정보 활용분야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분야는 지구관측 및 분석서비스이며, 국내 기업은 아시아시장에서 거래경험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아시아시장은 정부(공공)기관과의 거래가 주로 나타나고 있어 정부 간 협력을 통해 민간기업의 글로벌 시장개척의 기회를 넓혀줄 필요

(8)

- 특히 위성체 제조분야 지원에 정부 간 협력을 중심으로 기업지원 방안을 수립할 필요

 위성정보 활용분야를 과학기술협력(ODA 등)의 한 분야로 접근

- 필리핀, 몽골, 카메룬 등 개발도상국 정부기관에 위성정보 서비스(수자원 분야)를 제공 거래가 나타났으며, 개발도상국에서도 우주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 개발도상국과 과학기술협력의 일환으로 위성정보 활용을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9)

ST E P I In sig h t |

Ⅰ. 뉴스페이스와 우주산업 생태계 변화

I. 뉴스페이스와 우주산업 생태계 변화 2)

1. 뉴스페이스 시대의 도래

뉴스페이스의 등장 배경과 동인

 뉴스페이스는 “정부가 우주개발의 주된 자금 공급원이 되어 민간 대형 업체가 개발한 하드 웨어를 구매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던 기존의 산업생태계가 새로운 민간 투자 파트너와 기업 가적 활동(entrepreneurial activity) 모델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기업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민간 주도로 변화되는 양상”을 뜻함 (안형준 외, 2018)

- 구소련이 붕괴되고 냉전의 체제 경쟁을 위한 우주개발의 막이 내린 1980년대 우주의 상업화가 심화되면서, 2000년대 들어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이 민간 주도로 변화하기 시작 - 재사용 로켓과 초소형위성 등의 기술혁신으로 우주수송과 위성 생산 비용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기업들의 우주산업 진입 장벽이 낮아짐

- 4차산업혁명 기술(IoT, Cloud, Big Data, Mobile, AI)과 기존 우주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상업적 목적의 우주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음 - 수요기반 시장기회 파악은 민간 투자의 증가로 연결되고 있으며, 초소형위성기술에

바탕을 둔 위성제작비용의 감소, 재사용 로켓으로 인한 발사비용 감소는 상승효과로 이어지고 있음

- 우주식민지건설(Space Colonization), 우주자원체굴(Space Mining), 우주공장 (Space Factory) 등 장기적이고 불확실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탐사와 개발이 혼재된 우주 개발 투자 역시 확대되는 양상임

최근 국내에도 우주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격하게 증가

 글로벌 우주분야 투자회사인 미국의 스페이스 엔젤스의 최근 글로벌 뉴스페이스 투자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09년 이후 2020년 3분기 현재까지 1,128개의 우주기업이 총 누적액 1,660억 달러(약 199조 원)의 민간투자 유치함

- 2015년 이후 크게 증가한 투자 규모는 올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상반기 주춤했지만 3분기 이후 반등하고 있음

2) 이 원고는 안형준 외(2019),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우주산업 현황 진단과 정책대응」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함

(10)

- GPS와 지리공간정보, 지구관측 등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대한 투자가 늘어 20%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의 경우 2016년부터 우주기업에 대한 민간투자가 급증하는 추세임 - 2005년 쎄트렉아이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3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였음

- 2016년부터는 인텔리안테크놀로지, AP위성이 IPO단계를 거치면서 우주기업에 대한 민간투자가 급증하기 시작하였음

 투자받는 기업의 수와 기업의 성장단계별 투자가 다양화되는 추세

- 2016년까지는 2~3개의 기업이 IPO를 통해 자금을 공모하는 구조였으나 2017년부터는 투자유치 성공기업이 총 12개 기업으로 증가하였음3)

-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투자유치도 Seed단계부터 Pre-A, Series-A, Series-B까지 IPO 이전 단계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음

자료: thevc, www.thevc.kr

3) 투자금액과 현황은 www.thevc.kr의 자료를 참조

[그림 1] 2005년 이후 투자자 유형별 투자현황

(단위: 억원)

(11)

ST E P I In sig h t |

Ⅰ. 뉴스페이스와 우주산업 생태계 변화

정부에서도 향후 5년간 위성산업 육성에 본격적 지원방안 발표(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 자료, 2020)

 지난 30년간 축적된 위성기술에 비해 저조한 수출실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성산업 지원 - 정부는 지난 30년간 위성기술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정부투자규모에 비해

경제적 기여(수출)는 매우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5년간 우주개발기반조성, 위성수출 활성화 지원 등 2020년 부터 40억을 지원하며 향후 5년간 약 20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임

 정부 중심의 우주개발에서 상업적 이익 창출에는 한계가 있었음

- 정부 간 포럼, 정보수집, 대상국의 초청연수 프로그램 등 해외 위성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기업의 판로개척을 지원할 예정임

- 국내 위성의 경쟁력을 고려하여 중동, 동남아, 남미 등 후발국에 집중할 예정

뉴스페이스 기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이 관건

 그동안 일부 선진국의 우주기관과 소수 국방우주 기업들이 점유해 왔던 우주산업은 위성 데이터의 상업적 활용 증가, 타 국가와의 기술 교류 확대, 이로 인한 우주투자 국가 수의 증가 등을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대되고 있음.

- 가치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문은 저비용, 대량 생산, 상용 부품 사용이 증가하면서 세부 분야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형성되고 있는 것은 국내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 위성산업의 가치사슬에 세부 분야 특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여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형성되고 있음

- 위성제조(서브시스템, 총조립), 발사, 위성운영, 위성서비스 등 4개의 가치사슬 및 가치 사슬 내부에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음

- 기업이 특정 기술을 갖추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한다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 도래

위성산업 육성을 위한 글로벌 위성산업의 시장구조와 주요 기업, 국내 거래망 파악 필요

 글로벌 가치사슬에 진입하기 위한 국내 우주산업의 현황과 국내 우주기업의 거래구조 파악을 위한 자료는 전무

(12)

- 현재까지 우주산업에 대한 자료는 시장규모, 전망, 기업의 수 등 산업현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의 변화에 대한 논의 부재

 글로벌 시장의 가치사슬 변화에 대한 분석과 국내 우주기업의 현황에 대한 분석 부재 - 뉴스페이스 시대의 시작과 글로벌 시장의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파악 필요 - 글로벌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에 대한 분석 부재

- 국내 우주기업의 현황과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경로 및 가능성에 대한 분석 부재

 가치사슬별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 접근 경로 파악

- 우주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여,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시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

(13)

ST E P I In sig h t |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1.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

저비용, 대량생산, 상용 부품 사용의 증가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등장을 이끌고 있으며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형성됨

 우주산업은 크게 위성제조(서브시스템, 총조립)-발사-위성운영-위성서비스 영역으로 구성 - 일반적으로 우주시스템의 제조와 생산부분을 upstream으로 위성 데이터와 신호를 활용

하는 부분을 downstream으로 구분

- downstream 영역에서 우주기술에서 파급된 제품이나 서비스라도 기능 수행에 있어 우주 기술에만 의존하지 않는 활동은 우주산업에서 제외됨

[그림 2] 우주산업 가치사슬(세부영역)

위 성 서 비 스

자료: Small Satellite Value Chain Assessment, Frost & Sullivan(2017) 자료 가공

 서브시스템, 조립, 발사, 운영 등 다양한 세부 항목으로 서비스가 분화 발전함

- 기존에는 국가기관과 소수의 대기업이 우주개발의 전 과정을 담당하였으나 저비용, 대량 생산, 상용부품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각 분야별 세분화가 진행됨

(14)

- 위성서브시스템, 위성 또는 발사체 제작/조립, 발사, 위성운영 등으로 가치사슬이 세분화 되었음

위성체계 종합, Tier 1~3의 공급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브시스템은 자회사로 운영하는 경향이 있음

 무게 50㎏이상 기준, 세계적으로 위성 체계종합 업체는 약 30개로 파악

- 저궤도와 정지궤도 위성 분야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기업은 약 10개사로 파악됨 - 저궤도 위성 글로벌 기업은 3개사이고, 나머지 기업은 자국시장에만 진출함

[그림 3] 위성제조 글로벌 기업

자료: Satellites to Be Built and Launched By 2027 World Market Survey (Euroconsult, 2018)

 서브시스템의 경우 위성 체계종합업체가 자회사를 두고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 영업이익이 크지 않고 경쟁이 심해 성장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Airbus, Thales, OHB 등 체계종합업체는 장비 공급업체를 자회사 또는 사업단으로 운영

- 유럽의 경우에는 ‘비용분담 → 작업 분담’ 원칙에 따라 각 국가별로 Tier 1, Tier 2 기업이 나타나고 있음

(15)

ST E P I In sig h t |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상업위성운영 시장은 투자국의 경제상황, 정부규제, 기술발전에 의존

 민간 자금으로 개발한 상업용 위성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약 38개 기업이 활동 - 통신/방송 분야 33개, 지구관측 위성 분야 5개 기업이 활동 중임

- 상업위성운영 시장은 투자국의 경제상황과 수요의 글로벌화 수준 등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통신/방송분야는 정부규제에 영향을 받고 있음

[그림 4] 위성운영 글로벌 기업

자료: Satellites to Be Built and Launched By 2027 World Market Survey (Euroconsult, 2018)

 상업위성운영의 대다수의 기업은 정지궤도(중궤도) 분야에 집중되어 있음

- 정지궤도 통신위성에 30개 기업이 집중되어 있으며, 저궤도 위성에는 Globalstar, Indium, Orbcomm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Starlink, Oneweb 등의 기업이 참여 - 지구관측분야는 정지궤도(중궤도) 분야에서 기업의 활동은 파악되지 않으며, 저궤도 위성

으로 소수의 기업이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됨

저궤도 위성인터넷 등 위성서비스가 분화되고 있으며, 우주산업 전반에 변화를 촉진함

 위성 데이터의 가공 수준, 분석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수준에 따라 sector가 구분 - 활용 분야에 따라서 안보(Defence and Intelligence), 사회인프라(SOC), 농업, 에너지

등으로 구분되며 관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광학, SAR, 초분광(Hyperspectral) 등으로 구분됨

(16)

- 데이터 가공 수준에 따라 원시데이터, 가공데이터, 분석정보, 예측정보로 구분하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위성정보 서비스 개발로 우주산업 전반에 걸쳐 변화를 촉진하고 있음

[그림 5] 데이터 가공 수준과 위성정보 서비스 구분

자료: Satellites to Be Built and Launched By 2027 World Market Survey (Euroconsult, 2018)

2. 글로벌 위성기업들의 뉴스페이스 대응 동향

글로벌 우주기업의 소형위성 시장 진출

 전통적 우주기업들은 새로운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형 위성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 복잡한 제조공정을 신속하고 단순한 체계로 전환하고 있음

- 소형위성의 특정모델생산(serial production) 확대 전망에 따라 3D프린팅 기술 적용 확대가 예상됨

(17)

ST E P I In sig h t |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표 1> 전통적 우주기업들의 위성제작 전략

자료: 안형준 외(2019)

상용 부품의 사용과 3D프린팅 관련 뉴스페이스 기업 증가

 비우주급 부품이 일정 검증을 거쳐 활용될 수 있도록 부품 공급의 변화 촉진

- 소형화되고 성능이 향상된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는 통신과 센서기능의 결합으로 가격대비 성능이 향상됨

- 표준화된 시스템 단위의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으며, 무게별 표준 위성버스가 개발되고 있고 부품 소형화를 위해 통합 솔루션 개발에 투자함

 시제품의 신속한 제작, 수리와 보수의 용이성 제고를 위한 3D프린팅 기술 적용 - 우주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3D프린팅 기술에 적극적 투자

- 3D적층기술의 활용은 우주시스템의 아키텍처의 완전한 재설계까지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측되어 선진국은 3D프린팅 기술 활용에 적극적 투자를 하고 있음

- 이외에도 우주시스템 총무게의 20~30%를 차지하고 있는 전력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태양 전지 등의 효율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

- NASA에서도 미국우주기업인 Relativity Space에서 3D프린터로 제작한 발사체를 2021년 발사할 예정임4)

부문 전통적인 위성 제작 기업들의 전략

Lockheed Martin

 위성 생산 효율화를 위해 2020년에 완공 예정인 제조라인은 디지털 기반, 가상 현실 및 3-D 프린팅, 신속한 재구성 가능한 공정 방식. 다양한 크기의 위성을 신속하고 신뢰성 있으면서 낮은 비용으로 제작하기 위해 공통 부품 사용

SSL (Maxar)

 내부 프로세스 슬림화 및 비용 통제에 초점. 시설 자동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온 결과 일정 통합 관리 및 위성의 조기 또는 적기 납기 가능. 위성 버스는 표준화를 극대화하고 탑재체는 다양화하는 전략 추진

Boeing  정지궤도 위성과 비정지궤도 위성간 공통 개발 범위를 확대

 자가 테스트(built-in-testing)가 가능한 디지털 탑재체 Northrop

Grumman

 해외 하드웨어 수입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해외무역존(Foreign Trade Zone)을 설치하였고 위성 제조라인을 전반적으로 표준화시킴

Airbus  2014년에 우주부문을 통합하여 Defense and Space 부문 신설하면서 R&D 강화

 8개 위성까지 동시 제작 가능하도록 2017년부터 새로운 통합기술센터를 구축 착수 Thales Alenia

Space

 생산과정 합리화의 노력 결과 2014년부터 위성개발 비용이 10% 절감됨

 위성 생산공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 로봇, 3-D 적층기술 활용 중

(18)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시장 확대

 IT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에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짐

-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의 IT대기업은 기계학습(machine-learning)기반 이미지 인식 자동화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클라우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우주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상업화 촉진에 기여함

- 대용량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이 포함된 클라우드 컴퓨터에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실시간 저장-처리-분석 등 사용자 친화적 기술이 적용되고 있음

<표 2> 소형위성 제조 및 운영 기업 전략

부문 변화

위성 제작

 다양한 표준화된 시스템 단위의 통합 솔루션 등장 → 신규 기업 진입 장벽 낮아지고 있음

 무게별 표준 위성버스 개발 (소형위성 개발 업체 중 약 50%는 수익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무게의 위성 개발)

서브시스템  표준화 및 serial production 확대

 효율적인 대량 생산을 위해 시스템 통합 & 테스트 소요시간 감소 신기술 적용

부품

 부품 수요 증가 대응 필요 (radiation-hardened COTS 부품)

 시스템 소형화 및 비용 절감 요구에 대응 상용 부품 사용 증가

 부품 소형화를 위해 통합 솔루션 개발에 투자

 3-D 프린팅, IoT 적용

운영

 소형위성군의 실시간 연결 구현을 위해 지상국 투자 확대 - 성능 향상(capacity expansion), 자동화

- 플랫폼(aggregator platform) 개념 도입

 Uberization of private ground stations 자료: 안형준 외(2019)

Convergence와 플랫폼 비즈니스의 출현

 과거에는 위성부품 제조, 위성체 체계 제조, 서비스, 단말기 등의 시장 별 주요 기업의 구분이 명확했지만, 최종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뉴스페이스 기업이 제조부터 서비스까지 통합하는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의 경향성이 커지고 있음.

- SpaceX는 우주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가치사슬 간 분리와 재 통합을 의미하는 컨버젼스 전략을 추진함(안형준 외, 2019)

4) 황민규(2020.11.24.)

(19)

ST E P I In sig h t |

Ⅱ.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 발사체 제작/서비스기업인 SpaceX는 발사체 분야의 수직적 연계와 동시에 위성인터넷 서비스 분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

 아마존과 ESA는 플랫폼 사업으로 진출

- 플랫폼 비즈니스는 다수의 참여자가 공통 사양 또는 규칙에 따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토대를 의미함(홍영표 외, 2016)

- 아마존은 AWS(Amazon Web Service)를 통해 지상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ESA는 Copernicus 데이터의 검색, 처리, 다운로드 및 비우주 데이터까지 다룰 수 있는 DIAS 플랫폼을 제공함

- 최근에는 MS Azure5)도 인공위성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발표(뉴시스, 2020.10.27.)

[그림 6] 우주산업의 플랫폼 비즈니스 사례

자료: aws.amaxon.com 및 www.copernicus.eu 안형준 외(2019)에서 재인용

 우주개발을 위한 Space Alliance체계 구축

- 2017년에는 Thales Alenia Space와 Spaceflight Industries는 ① 60개 소형위성 제작,

② 소형위성 제작을 위한 Joint Venture 설립, ③ 공동 협력과 마케팅 실시에 대한 내용을 골자로 한 파트너십을 체결하였음6)

- Raytheon Intelligence & Space는 위성과 우주선 부품제조업체인 Blue Canyon Technologies를 2020년 11월에 인수하였음(S. Erwin, 2020)

5) Microsoft는 SpaceX 등과 파트너십을 통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발표하였음 6) Thelespazio(2017)

(20)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1. 국내 우주산업 분석 개요

분석목적

 국내 소재 우주기업의 거래구조를 파악하여, 국내 우주시장 및 글로벌 우주시장 진출 가능성 진단

- 기업의 거래정보를 기초로 행위자 간 관계망 구조특성을 그래프 이론에 의하여 규명하는 방법론인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수행(Cho et. al., 2015)

- 분석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우주산업 세부분야별 주요 기업과 국가 파악

분석대상

 「우주산업실태조사」디렉토리북에 제시된 우주기업의 주요 고객사 정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우주산업실태조사」의 디렉토리북에서는 개별 국내 우주기업에 대한 소개와 주요 고객사 정보를 제공

- 디렉토리북에서는 위성체, 발사체 제작, 지상장비, 위성정보 활용, 과학연구 등 6개 세부 분야로 구분

 65개 우주기업으로부터 504개 거래정보를 추출

- 2018년 기준 「우주산업실태조사」 디렉토리북에는 65개 우주기업과 주요 고객사에 대한 정보를 수록

- 우주산업의 세부분야별로 구분하고, 기업의 504개 거래정보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시각화하였음

<표 3> 2018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디렉토리북의 거래정보 제공 기업

(단위: 개)

위성산업 세부분야 기업 수 거래정보

제조 위성체 제작 15 231

운영 및 서비스 위성정보 활용 50 273

합 계 65 504

(21)

ST E P I In sig h t |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2.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가. 위성체 제작

수요측면 : 국내 대기업, 정부기관, 연구부문 중심의 거래구조 형성

 위성체 제작분야는 국내 주요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체계종합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남

- 주요기업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nex1, 쎄트렉아이가 다수의 기업에 대한 주요 수요자로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은 국내에서 체계종합을 담당하고 있음

- 정부기관에서는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등의 기관에서 위성체 제작 기업과 거래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됨

- 연구부문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홍익대학교 등과 거래가 나타남

- 한국항공우주산업은 31개 기업, 국방과학연구소는 23개 기업, 쎄트렉아이는 10개 기업 또는 기관의 수요자로 역할

공급측면 : 소수의 기업이 다수의 기업에 공급

 소수의 기업이 위성체 제작분야 거래구조의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음

- 성원포밍, 쎄트렉아이, 모아소프트 등 소수의 기업이 다수의 기업에 공급자 역할을 수행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원방안 마련 필요

- 소수의 기업이 다수의 기업에 대한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공급역할을 담당 하고 있는 기업이 위성체 제작에 필요한 주요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 - 공급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위성체 제작분야 거래구조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모니터링과 기업의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함

(22)

[그림 7] 국내 위성체 제작분야 기업의 거래구조

주: →는 거래상대방에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한 것을 의미함

※ 동 거래관계망은 우주산업실태조사 디렉토리북에 기재된 주요고객사 정보에 기초하고 있어, 실제 거래관계와 상이할 수 있음

(23)

ST E P I In sig h t |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글로벌 시장

 위성체 제작분야는 국내 일부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다수의 국가와 거래관계를 형성 -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기업은 쎄트렉아이, 브로던, 이오에스, 킴, 큐니온 등 4개 기업으로

조사되었음

- 아시아에서는 주로 동남아시아와 거래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중동 3개국, 유럽 3개국, 아메리카에서 2개국과 거래관계가 형성됨

 아시아에서는 정부(연구)기관과의 협력, 중동과 유럽에서는 체계종합 업체와 협력

-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4개국의 정부(연구)기관과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주시장 초기단계인 국가와는 정부(연구)기관과 협력이 중심이 되고 있어 아시아 국가 간에는 정부 간 협력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 CONAE, Airbus와 협력은 위성활용 촉진기반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바 있음 (관계부처합동, 2019)

- 우주기술이 발전한 유럽과 중동에서는 위성체 체계종합 업체와 거래구조가 형성되는 것 으로 나타나 유럽과 중동 국가 간에는 민간기업의 역량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구분 국가 정부(연구)기관 부품 또는

서브시스템 체계종합

아시아

말레이시아 Astronautic Technology (M) Sdn Bhd (ATSB) 싱가포르 DSO National Laboratories

태국 GISTDA

필리핀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STI)

일본 IHI

중동

UAE MBRSC

이스라엘 ELTA IAI

터키 TUBITAK UZAY Turkish Aerospace

Industries, Roketsan

유럽

프랑스 Airbus, Thales

Alenia Space

스페인 elecnor-demios

우크라이나 YUZHNOYE

아메리카 미국 LOFT ORBITAL

아르헨티나 CONAE

<표 4> 국내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거래 관계

(24)

나. 위성정보 활용

해외 공공기관과 정부, 자동차 관련 시장에 진출

 해외 공공분야에 위성을 활용한 분석, 위치정보 서비스에 진출하고 있음

- 필리핀, 몽골, 카메룬 등의 해외 정부 및 공공기관에 위성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음 - 수자원, 지적 등의 분석에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을 위한 지리정보 중심으로 자동차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 위성 위치정보, 자율주행 등을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요 자동차 기업에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국내에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ICT 등의 분야와 거래관계를 형성

 공공분야와 민간 ICT 업종을 중심으로 거래가 나타나고 있음

- GIS 국토지리정보망 구축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위성정보 수요가 증가 - 내비게이션 적용을 위한 자동차, IT 기업을 중심으로 거래구조 형성

<표 5> 위성정보 활용분야의 주요 거래기업

구분 기관명

국내 공공분야

중앙정부 국민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지자체 경기도, 경상남도, 안양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영암군, 대구광역시 등 공공기관 국토연구원, 서울중앙방재센터, 국립수산과학원, 소방항공대, 국토지리정보원 등

공기업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가스공사, K-water 등

해외 공공분야

Nation Water Resources Board(Philippines), Mongolia Administration of Land Affairs, Property Relations Department of Capital City(Mongolia), Ministry of Water Resources & Energy(Cameroon) 등

민간

자동차 Nissan, Toyota, Jaguar, Honda, Mahindra & Mahindra, Infiniti 등 방송통신 SK텔레콤, YTN, KBS 등

IT Naver, KAKAO, 현대 MnSoft, Trip advisor, fine digital 등 자료: 안형준 외(2019)

(25)

ST E P I In sig h t |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그림 8] 국내 위성정보 활용 분야 거래구조

주: →는 거래상대방에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한 것을 의미함

※ 동 거래관계망은 우주산업실태조사 디렉토리북에 기재된 주요고객사 정보에 기초하고 있어, 실제 거래관계와 상이할 수 있음

(26)

글로벌 시장

 위성정보활용 분야에서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전역과 거래관계가 형성됨

- 중동 2개국, 유럽 7개국, 아시아 7개국, 아프리카 1개국, 아메리카 2개국과 거래관계가 형성되고 있음

-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국내기업은 11개로 AP위성, 맵퍼스, 인스페이스, 지오스토리, 지오 씨앤아이, 아리온통신, 사라콤, 지앰티, 디지털컴, 제노코, 제이비티 등임

 중동 기업과는 통신분야 중심으로 거래관계가 나타남

- UAE와 이스라엘과 거래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위성을 이용한 통신서비스임

 유럽 기업과는 위치정보와 통신분야 중심으로 거래관계가 나타남

- 네덜란드, 독일,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핀란드 등은 위성항법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관련 거래임

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는 자동차산업, 정부(공공)기관과의 거래가 나타나고 있음

- 일본과 인도는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과 거래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카자흐 스탄, 몽골, 필리핀, 카메룬 등의 국가는 정부(공공)기관과의 거래관계가 형성

- 일본 자동차산업에 위치정보활용 사례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내비게이션 탑재와 관련이 높으며 카자흐스탄, 몽골, 필리핀, 카메룬 등은 국가 내 지역관측과 관련이 있음

구분 국가 지구관측 위치정보 통신 기타

중동

UAE

Thuraya Telecommunications

Company 이스라엘

ISRAEL AEROSPACE INDUSTRIES

유럽

네덜란드 TOMTOM

독일 Leica

영국 Jaguar Inmarsat

프랑스 RAFAEL

스웨덴 Port of Goteborg

노르웨이 KONGSVERG

핀란드 NOKIA

<표 6> 국내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거래 관계

(27)

ST E P I In sig h t |

Ⅲ.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 아메리카에서는 지구관측, 위성통신 등에서 거래관계가 나타남

- 지구관측분야에서는 해당 기업의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생태, 수자원 등 분야에서 국내 관측·분석연구 목적이 있었음

- 통신 분야에서 미국, 캐나다, 영국, 한국 기업이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전화, 인터넷 등을 공동서비스를 하고 있음

구분 국가 지구관측 위치정보 통신 기타

아시아

싱가포르 SHIPMATIC

SINGAPORE 일본 Asia Air Survey Infiniti, Honda,

Toyota, Nissan

인도 Mahindra &

Mahindra, TATA HoneyComb

인도네시아 Professtama

카자흐스탄

State Registration Service Under the Government of Kyrgyz

republic, Department on Cadaster &

Registration of rights to immovable property 몽골 Mongolia Administration

of Land Affairs, Geodesy &

Cartography, Property Relations Department

of Capital City Philippines Coast Guard, Nation Water

Resources Board Ministry of Water Resources & Energy

JALBTCX optech, ITRES

Research Ltd 필리핀

아프리카 카메룬

아메리카

미국 Iridium, Globalstar Trip advisor

캐나다

(28)

Ⅳ. 위성분야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정책제안

과제 1.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을 위한 Alliance Pool 구축

 국내 위성산업 거래구조를 파악한 결과 글로벌 가치 사슬에 편입되어 있는 기업들은 10개 남짓으로 파악됨

- 국내 위성체 제조산업은 국내 주요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체계종합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국내 기업은 4개에 불과

- 위성정보활용 분야에서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전역과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나 11개 기업 수준으로 파악됨

 우주 분야에 투자 또는 거래가 형성된 국가 및 기업을 중심으로 Alliance Pool 구축 - 글로벌 거래가 축적되고 있는 우주정보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우주분야 협력 Pool을

선제적으로 구축할 필요

- 구축된 협력 Pool을 중심으로 우주분야 수출 및 글로벌 시장 참여를 위한 기업컨설팅 등 기업지원전략수립 필요

과제 2.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및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각적 지원 필요

 정부 사업에 참여를 주로 하고 있는 국내 선도기업의 글로벌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 마련 필요

- 현재 정부 주도로 개발되고 있는 위성, 발사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이 뉴스페이스 회사들과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 예를 들어 차세대중형위성과 차세대소형위성 사업에는 뉴스페이스 스타트업들에서 적용

하고 있는 비우주용부품 채용, 별도의 품질인증 체계 도입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그리 고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한 임무설정 등

 초소형위성은 우주부품보다 상용부품의 사용 비중이 높아 부품 검증 필요성이 높아 성능과 시험을 담당할 적정 체계 마련이 시급함

- 2020년 2월 경남 진주에 우주부품시험센터가 개소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초소형위성의 특성을 고려한 시험규격이 전무한 상태임7)

(29)

ST E P I In sig h t |

Ⅳ. 위성분야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정책제안

- 지구관측 서비스영역이 세분화되고 초소형 위성이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위성 부품에 대한 성능과 시험을 담당할 적정 체계 마련 및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육성정책과 연계할 필요

- 일본의 경우 경제산업성 중심으로 상용 부품의 우주급 검증을 위한 위성플랫폼을 개발해 오고 있음

과제 3. 위성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 투자 및 기업육성

 뉴스페이스 시대에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쉽게 갖출 수 있는 분야는 위성정보 활용 분야임

- 위성에서 발생한 위성정보의 가공 수준에 따라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고 있으며, 위성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의 증가는 위성정보 활용분야 기업 진출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특히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위성영상분석서비스 분야는 해외 기업과 충분히 경쟁할 만한 사업 분야로서, 특히 우리는 아리랑위성 영상을 국가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에게 시장진입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 위성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필요

- Google, Apple, Facebook 등 주요 글로벌 IT기업은 위성 이미지를 축적할 뿐만 아니라 분석 소프트웨어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국내 IT 기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위성 이미지를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투자하고, 빅데이터 정책과 연계하여 위성정보 활용분야로 기업이 창업할 수 있도록 전략적 연계 필요

과제 4.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

 지구관측 분야 거래관계가 활성화되고 있는 아시아시장의 협력 강화 필요

- 위성정보 활용분야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분야는 지구관측 및 분석서비스이며, 국내 기업은 아시아시장에서 거래경험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7) https://www.ktl.re.kr/webzine/18/sub06_01.jsp(검색일: 2020년 2월 10일)

(30)

- 아시아시장은 정부(공공)기관과의 거래가 주로 나타나고 있어, 정부 간 협력을 통해 민간 기업의 글로벌 시장개척의 기회를 넓혀줄 필요

- 특히 위성체 제조분야 지원에 정부 간 협력을 중심으로 기업지원 방안을 수립할 필요

 위성정보 활용분야를 과학기술협력(ODA 등) 의 한 분야로 접근

- 필리핀, 몽골, 카메룬 등 개발도상국 정부기관에 위성정보 서비스(수자원 분야)를 제공 거래가 나타났으며, 개발도상국에서도 우주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 개발도상국과 과학기술협력의 일환으로 위성정보 활용을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31)

ST E P I In sig h t |

참고문헌

참고문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2020.03.17.), 「과기정통부, 우주산업 생태계 육성 본격 추진」.

관계부처합동(2019),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2018-2040) 2019년도 우주개발 진흥 시행계획」.

뉴시스(2020.10.27.), 「MS, 스페이스X와 우주 클라우드 사업 확대한다」.

안형준·최종화·이윤준·정미애(2018), 「우주항공 기술강국을 향한 전략과제」, STEPI Insight , 226,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윤용식·민경주(2016), 「나노/초소형위성 산업 동향과 개발 현황,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14(1), 18-25.

한국연구재단(2018), 「우주경제 시대를 대비한 전략적 우주개발의 필요성」, NRF Issue Report , 2018-3호, 한국연구재단.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2018), 「2018 우주산업실태조사 디렉토리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홍영표·오승훈·양상근(2016), 「기술, 경영을 만나다(기술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의 정석)」, 에이콘출판.

황민규(2020.11.24.), 「이제 달·화성가는 로켓도 3D프린터로 만든다. 각국 우주 3D프린팅 스타트업에 수천억원 뭉칫돈 몰려」, 조선비즈 .

Cho, Y., Kim, E., & Kim, W.(2015), Strategy transformation under technological convergence:

evidence from the printed electronics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67(2-4), 106-131.

Euroconsult(2018), Satellites to Be Built and Launched By 2027 World Market Survey Frost & Sullivan(2017), Small Satellite Value Chain Assessment

Sandra Erwin(2020), Raytheon to acquire small satellite manufacturer Blue Canyon Technologies, SPACE NEWS, 2020.11.10.

Telespazio(2017), Partnership agreement between Telespazio, Thales Alenia Space and Spaceflight Industr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Blacksky constellation

(https://www.telespazio.com/en/news-and-stories-detail/-/detail/150917-partnership-agr eement-between-telespazio-thales-alenia-space-and-spaceflight-industries-for-the-devel opment-of-the-blacksky-constellati-1, 검색일: 2020. 12. 28.)

aws.amazon.com www.copernicus.eu www.thevc.kr

(32)

STEPI Insight 발간 현황

2020년

제265호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2020.12.30.

제264호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대외 환경변화에 대비하는 국가 전략 2020.12.23.

제263호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과학기술혁신정책 기조 전망과 대응 전략 2020.12.17.

제262호 사이버안보 이슈의 글로벌 쟁점과 전략적 시사점 2020.11.17.

제261호 중고등 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정보의 생성·지원 체계화 방안 2020.11.10.

제260호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진단: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를 중심으로 2020.10.30.

제259호 혁신친화형 가업승계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2020.09.23.

제258호 벤처기업의 스케일업 방안 2020.08.10.

제257호 과학기술분야 출연(연)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정책 제언 2020.07.10.

제256호 산업기술안보 관점의 국가 전략목적기술(CPT) 도입과 정책방향 2020.06.15.

제255호 생명안보 관점의 감염병 상시 대비․대응 과학기술혁신전략 2020.05.25.

제254호 실증연구 없는 기술사업화는 가능한가 2020.05.11.

제253호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규모와 특성 2020.04.20.

제252호 공공연구기관 R&D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주요 혁신방안 2020.04.10.

제251호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국제논의 동향과 정책제언

- 과학기술혁신 국제협력정책을 중심으로 - 2020.04.01.

제250호 융합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제 정비방안 2020.03.16.

제249호 혁신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지원 개선방안 2020.03.05.

제248호 데이터 산업의 이해관계자 기반 규제 이슈 분석 및 대응방안 2020.02.20.

제247호 중국의 혁신성장과 한국의 대응 전략 2020.02.10.

제246호 디지털 경제와 소비자 후생의 측정: GDP-B 2020.01.30.

제245호 지역 위기 극복과 새로운 성장을 위한 혁신플랫폼의 과제 2020.01.15.

2019년

제244호 기술규제 이슈의 변화 특성과 대응방안 2019.12.30.

제243호 시험인증기관 발전경로 분석 및 고도화 방안 2019.12.20.

제242호 진짜 유니콘을 키우자! 2019.11.20.

제241호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③ 중국의 로봇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2019.10.15.

제240호 과학기술 분야 출연(연) 부설연구소 쟁점과 대응방안 2019.09.18.

제239호 기술사업화 효율화를 위한 기술금융 제안 2019.09.04.

제238호 생태계 관점에서 본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2019.08.28.

제237호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② 중국의 3D 프린팅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2019.08.08.

제236호 정부 R&D 예산시스템 진단: 사업구조의 적정성 분석 2019.07.15.

제235호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① 중국의 드론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2019.06.28.

제234호 2019 CES와 MWC의 디지털 혁신 트렌드와 정책 제언 2019.05.30.

제233호 유럽 개인정보보호법(GDPR)의 산업적 파급효과와 혁신기술 이슈 분석 2019.04.29.

(33)

ST E P I In sig h t |

STEPI Insight 발간 현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와 스마트 폰(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문과 발간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

제232호 산업기술 R&D의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및 제고 방안 2019.03.29.

제231호 한국과 미국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제도 비교와 시사점 2019.02.12.

제230호 북한의 과학기술분야 신년사 분석과 남북 협력에 대한 제언 2019.01.15.

2017년

제220호 [중소기업 R&D 정책 특집 시리즈 ④] 중소기업 R&D 지원 확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와 과제 2017.12.21.

제219호 기초연구지원 확대의 쟁점과 과제 2017.11.07.

제218호 [제4차 산업혁명 특별기획 ③]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가정신의 의의와 방향 2017.09.11.

제217호 북한의 핵 위협 증가에 대응하는 핵방호 및 민방위체제 개선방안 2017.08.24.

제216호 오픈사이언스정책의 확산과 시사점 2017.08.08.

제215호 [제4차 산업혁명 특별기획 ②] 제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국가전략의 주요 의제 2017.06.30.

제214호 [중소기업 R&D 정책 특집 시리즈 ③] 해외 주요국의 중소기업 R&D 지원 정책과 시사점 2017.06.29.

제213호 [중소기업 R&D 정책 특집 시리즈 ②] 중소기업의 협력 R&D 수행 현황과 네트워크 효과 2017.05.30.

제212호 중국과 북한의 고체추진제 잠대지미사일(SLBM) 개발경과와 정책적 대응방안 2017.05.22.

제211호 [중소기업 R&D 정책 특집 시리즈 ①] 중소기업 R&D 지원의 현황과 성과분석 2017.05.02.

제210호 정부 연구성과 실증사업의 유형과 추진전략 2017.04.27.

제209호 2017 민간 R&D 투자 전망: “전망은 밝지 않으나, R&D 투자 의지는 살아있다.” 2017.03.01.

제208호 리빙랩 방법론: 현황과 과제 2017.02.15.

제207호 [제4차 산업혁명 특별기획 ①] 역사에서 배우는 산업혁명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2017.02.01.

제206호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업가정신 - 한·미·일·중 4개국 비교 - 2017.01.15.

제205호 여성 기업가정신 증진 및 창업 활성화 방안 2017.01.01.

2018년

제229호 한국의 과학기술혁신 역량 진단 및 평가: 생태계 모형을 중심으로 2018.12.31.

제228호 지역 중소기업 중심 혁신네트워크 재구조화 방안 2018.12.27.

제227호 유럽 개인정보보호법(GDPR)과 국내 데이터 제도 개선방안 2018.12.21.

제226호 우주항공 기술강국을 향한 비전과 전략과제 2018.11.20.

제225호 스케일업을 통한 지역 중소도시 혁신 방안 2018.08.20.

제224호 중소기업 R&D 지원의 성과와 방향 2018.07.23.

제223호 국방기술 기획체계 발전 방안 2018.05.03.

제222호 에너지 블록체인 도입방안 연구 2018.04.09.

제221호 Post-PBS 시대의 새로운 연구개발정책 방향과 과제 2018.02.05.

(34)

∙ 2015 –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2020 – 현재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민간위원

∙ 2016 – 2017 과학기술전략회의지원단 전문위원

|주요연구실적|

∙ AN, Hyoung Joon(2020), “South Korea's Space Program: Activities and Ambitions,” Asia Policy, Volume 15, Number 2. pp. 34-42.

∙ 안형준 외(2019),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 국내 우주산업현황과 정책대응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안 형 준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시스템연구본부 연구원 (email: hjpark@stepi.re.kr / Tel: 044-287-2236)

|주요경력|

∙ 2017 -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 2016 - 2017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연구원

|주요연구실적|

∙ 박현준·김영수·안형준(2020), 「DEA-SBM을 이용한 국내 우주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발사체」, 산업혁신 연구 , 36(1), pp. 1-17.

∙ 박현준·임륭혁·조용래(2020), 「COVID-19 확진자 이동경로의 특성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 3(2), pp. 67-95.

박 현 준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 부연구위원 (email: hlee@stepi.re.kr / Tel: 044-287-2203)

|주요경력|

∙ 2019 -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주요연구실적|

∙ 이혁·강희종·서현정(2020),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진단: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를 중심으로」, STEPI Insight 제260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강희종·김기국·이혁(2019), 과학·기술·혁신 스코어보드 구축 방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Lee, H., & Kim. Y. K.(2018), The effects of external shcoks on the Korean economy: CGE model-based analysis, Journal of Economic Structure, 7(1), 16.

이 혁

(現)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혁신팀 팀장

(email: ejkim@kari.re.kr / Tel: 042-870-3667)

|주요경력|

∙ 2011 -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임종빈 외(2020),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조사분석(정책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준 외(2020), 「우주개발전문기관 역할 수행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 은 정

(35)

STEPI Insight

| 제265호

발행인 발행일 발행처 주소

문의 FAX 인쇄처

조황희

2020년 12월 30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 5-7층 전략기획실 연구관리팀(044-287-2035) 044-287-2067

미래미디어(02-815-0407)

(36)

참조

관련 문서

본고는 2000~2011년 현대자동차 협력업 체의 국내고용자료 및 OECD-WTO의 산업별 글로벌 부가가치 수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대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확장이 협력업체의

▶ (글로벌 가치사슬의 수출낙수효과)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확대 에 따른 생산가능지식 확충 및 기업의 생산성 증가는 산업 내 중소기업의 수출과 내수판매 확대에

탁승제 교수는 현재 대한순환기학회 및 심혈관질환연구재단의 이사로 국내 심장혈관중재시술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

 이러한 믿음 하에 , 국내 어학연수 준비를 하는 학생들에게 글로벌 No.1 뷰티 마켓인 미국 의 산업현장에서 실용적인 OJT(On the Job Training) 프로그램과 어학연수를 동시에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과세 정책 트렌 드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외국 수익을 국내로 유입시켜 국내 투자를 이끌 수 있는 유인책의 하나로서

글로벌한 콘텐츠를 제작 경험 필요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은 글로벌 및 로컬 차원의 농업·농촌, 농식품, 환경·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학습하는 학과로서 국가의 농업·식품·환경 분야에서

(오랫동안 학문분야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