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국내 총수출 및 대미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

▶ <그림 11>은 연방기금금리가 1%p

16)

크기로 상승할 경우, 국내 총수출량에 미치 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SVAR모형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 <그림 11>은 금리인상 충격이 발생한 직후 4분기 동안 <표 5>의 부호제약을 충족시 키는 10,000개의 충격벡터(impulse vector)를 생성하는 몬테칼로 모의실험(Monte Carlo simultion)에 의해 생성된 충격반응함수의 사후분포를 의미

⦁<그림 11>의 굵은 실선은 충격반응함수의 중위값을 의미하며, 오차범위는 68% 분위구간 (14~86%)을 의미

- <그림 11>를 살펴보면 <표 5>의 부호제약에 의해 미국 소비자물가수준과 전세계 산 출량을 의미하는 OECD 실질GDP는 금리인상 충격이후 감소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격의 효과가 점차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변수인 콜금리와 실질실효환율 역시 <표 5>의 부호제약에 의해 금리인상 충 격 직후 상승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충격의 효과가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표 5>에서 부호제약을 부과하지 않는 국내 총수출량은 중위값 기준으로는 충 격발생 직후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오차범위까지 고려 할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16) 연리 1%p 인상을 의미

IV. 추정결과 31

0 5 10 15 20

0 5 10 15 20

0 5 10 15 20

0 5 10 15 20

0 5 10 15 20

0.1

0

-0.1

0.1

0

-0.1

0.5

0

-0.5

0.1

0.05

0

-0.05 2

1

0

-1

Exports

Call Rate Exchange Rate

OECD GDP US CPI

<그림 11> 미국 금리인상충격이 국내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

(단위: %p)

▶ <그림 12>은 연방기금금리가 1%p

17)

크기로 상승할 경우, 국내 대미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SVAR모형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 <그림 12> 역시 금리인상 충격이 발생한 직후 4분기 동안 <표 5>의 부호제약을 충족 시키는 10,000개의 충격벡터(impulse vector)를 생성하는 몬테칼로 모의실험(Monte Carlo simultion)에 의해 생성된 충격반응함수의 사후분포 의미

⦁<그림 12>에 나타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실질GDP, 대미실질환율, 콜금리의 충격반 응함수들은 <그림 11>의 반응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짐.

⦁대미 총수출액 역시 <그림 11>와 같이 중위값 기준 충격반응함수는 충격발생 직후 상승한 후 감소했다가 충격의 효과가 점차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차범위까지 고려할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17) 연리 1%p 인상을 의미

0 5 10 15 20 0.05

0

-0.05

US CPI

0 5 10 15 20

0.1

0

-0.1

US GDP

0 5 10 15 20

0.1

0.05

0

Exchange Rate

0 5 10 15 20

2

1

0

-1

Call Rate

<그림 12> 미국 금리인상충격이 대미 총수출량에 미치는 효과

(단위: %p)

나. 산업별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

▶ <그림 13>~<그림 15>은 연방기금금리가 1%p

18)

크기로 상승할 경우, 산업별 총 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소비재산업, 기초소재산업, 및 조립가공산업 등 세 종류 산업으로 분류하여 나타냄.

▶ <그림 13>은 소비재산업인 섬유사 및 직물, 섬유 및 의복제품, 가죽제품, 펄프 및 종이제품 그리고 기타제조업 제품 등 5개 산업의 총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 내고 있음.

18) 연리 1%p 인상을 의미

IV. 추정결과 33

0 5 10 15 20

0.5

0

-0.5

-1

0.5

0

-0.5

-1

-1

-2 0 1

0.5

0

-0.5

-1 섬유사 및 직물

0 5 10 15 20

섬유 및 의복제품

0 5 10 15 20

1

0

-1

펄프 및 종이제품

0 5 10 15 20

가죽제품

0 5 10 15 20

기타 제조업 제품

<그림 13>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단위: %p)

- 소비재산업에서는 섬유사 및 직물, 가죽제품 그리고 기타제조업 제품의 총수출량이 금리인상 충격 직후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리인상 충격은 전세계 산출량 수준을 감소시켜 국내 수출 품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는 소득효과를 유발

⦁또한 금리인상충격은 실질실효환율의 절하(인상)를 통한 수출 상대가격의 하락을 초래하여 국내 수출품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는 가격효과를 유발

⦁따라서 이들 산업들의 총수출액이 감소했다는 것은 소득효과가 가격효과보다 더 크게 작용 했음을 의미

- 그러나 섬유사 및 직물제품의 충격반응함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리인상 직후 감소 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6분기 이후부터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며 증가하는 형태를 보임.

0 2 0

- 2

5 10 15 20

화학섬유

0 5 10 15 20

플라스틱 제품

0 2 0

- 2

5 10 15 20

비금속광물제품

0 2 0

- 2

5 10 15 20

금속제품

0 0.5

0

- 0.5

5 10 15 20

제 1차 금 속 제 품

0 5 10 15 20

고무제품

0 5 10 15 20

기타 최종화학제품 0

0.5 0

- 0.5

5 10 15 20

합 성 수 지 및 합 성 고 무 0

1 0 - 1

1 0 - 1

1 0 - 1

1 0 - 1

5 10 15 20

석유제품

0 1 0

- 1

5 10 15 20

기초 화학제품

<그림 14>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기초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단위: %p)

⦁이는 금리인상 충격이 유발하는 소득효과는 중단기적으로 섬유사 및 직물제품의 수출량을 감소시키나, 중장기 이후로는 가격효과로 인해 수출량이 증가함을 의미

- 펄프 및 종이제품은 금리인상 직후부터 6분기까지 충격반응함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적인 양의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미국금리인상에 따른 가격효과가 소득효과를 중단기적으로 압도하는 산업임을 의미 - 마지막으로 섬유 및 의복제품은 미국 금리인상충격에 대한 충격반응함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림 14>는 기초소비재산업인 석유제품, 기초 화학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화학섬유, 기타 최종화학제품, 플라스틱제품, 고무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제1차 금속

제품 그리고 금속제품 등 10개 산업 총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IV. 추정결과 35 - 기초소비재산업에서는 비금속광물제품의 충격반응함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음 (-)의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리인상 충격 직후인 최초 1분기에만 유의 성을 가짐.

⦁플라스틱제품과 고무제품의 충격반응함수는 중위값 기준으로는 금리인상충격에 대해 음의 반응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는 못함.

- 반면, 석유제품, 기초 화학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기타 최종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그리고 제1차 금속제품의 충격반응함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반응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

⦁화학섬유 및 금속제품의 충격반응함수는 중위값 기준으로는 금리인상충격에 대해 양(+)의 반응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는 못함.

⦁플라스틱제품의 충격반응함수는 금리인상 발생초기에는 중위값 기준으로 음(-)의 반응을 보이나,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함.

⦁그러나 플라스틱 제품의 충격반응함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5~9분기 중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양의 반응을 보여, 가격효과가 소득효과를 중장기적으로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림 15>는 조립가공산업에 속하는 일반목적용기계 및 장비, 특수 목적용기계 및 장비, 발전기, 전동기 및 전기변환장치, 기타 전기장치,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 컴 퓨터 및 전자표시장치, 컴퓨터 및 주변기기,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의료 및 측정기기, 기타 정밀기기, 자동차 그리고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 등 12 개 산업 총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 조립가공산업의 경우,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와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의 총수출 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특수 목적용기계 및 장비,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자동차, 자동차 엔진 및 부분품의 총수출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자동차 엔진 및 부분품의 총수출은 금리인상 충격 초기(1~2분기)에는 음의 충격반응을 보 인 후, 중장기적(6~7분기)으로는 양의 반응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자동차 엔진 및 부분품 산업의 총수출은 금리인상 충격 초기에는 소득효과의 영향을 크게 받으나, 중장기적으로 가격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마지막으로 일반 목적용기계 및 장비, 발전기, 전동기 및 전기변환장치, 기타 전기장 치, 컴퓨터 및 주변기기, 의료 및 측정기기 그리고 기타 정밀기기는 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총수출의 반응이 미미할 뿐 아니라, 충격반응함수가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갖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0 1 0

-1 5 10 15 20 0

1 0

-1 5 10 15 20

0 1 0

-1 5 10 15 20

0 0.5

0

-0.5

5 10 15 20

0 5 10 15 20

0 1 0

-1 5 10 15 20

0 5 10 15 20 0

5

0

-5

5 10 15 20

0 5

0

-5 5 10 15 20

0 5 10 15 20

0 5 10 15 20

0 2

0

-2

2 0

-2

2

0

-2

2 0

-2 2

0

-2

5 10 15 20

<그림 15>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조립가공산업의 충격반응함수

(단위: %p)

다. 산업별 대미수출에 미치는 효과

▶ <그림 16>~<그림 18>은 연방기금금리가 1%p

19)

크기로 상승할 경우, 산업별 대 미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소비재산업, 기초소재산업 및 조립가공산업 등 세 종류

19) 연리 1%p 인상을 의미

IV. 추정결과 37

0 5 10 15 20

1

0.5

-0.5 0

-1 0.5

-0.5 0 섬유사 및 직물

0 5 10 15 20

섬유 및 의복제품

0 5 10 15 20

1

0

-1

-2

펄프 및 종이제품

0 5 10 15 20

2

0

-2

가죽제품

0 5 10 15 20

0.5

0

-0.5

-1

기타 제조업 제품

산업으로 분류하여 나타내고 있음.

▶ <그림 16>은 소비재산업에 속하는 섬유사 및 직물, 섬유 및 의복제품, 가죽제품, 펄프 및 종이제품 그리고 기타제조업 제품 등 5개 산업의 대미추출량의 충격반응함 수를 나타내고 있음.

- 소비재산업에서는 펄프 및 종이제품의 대미수출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반응을 보였으며, 기타 제조업 제품의 경우는 음의 반응을 보임.

⦁섬유사 및 직물과 섬유 및 의복제품의 중위값 기준 충격반응함수는 음의 반응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는 못함.

⦁가죽제품은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미한 반응을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함.

<그림 16> 미국 기준금리인상 충격에 대한 소비재산업의 충격반응함수

(단위: %p)

▶ <그림 17>는 기초소비재산업에 속하는 석유제품, 기초 화학제품, 합성수지 및 합 성고무, 화학섬유, 기타 최종화학제품, 플라스틱제품, 고무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제 1차 금속제품 그리고 금속제품 등 10개 산업 대미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 고 있음.

- 기초소비재산업에서는 화학섬유와 기타 최종화학제품의 수출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 인 양의 반응을 보임.

⦁기타 최종화학제품의 대미수출은 금리인상 충격 직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5~6분기에 통계 적으로 유의성을 가지며, 화학섬유는 중장기(5~20분기)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남.

- 반면, 기초 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비금속 광물제품, 제1차 금속제품의 대미수출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음의 반응을 보임.

⦁기초 화학제품(5분기), 플라스틱 제품(2분기) 그리고 제1차 금속제품(1분기) 등은 금리인상 충격 이후 단기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나, 비금속 광물제품은 중단기(1~13분기)에 거쳐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마지막으로 석유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고무제품, 그리고 금속제품의 수출량은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림 18>은 조립가공산업에 속하는 일반목적용기계 및 장비, 특수 목적용기계 및 장비, 발전기, 전동기 및 전기변환장치, 기타 전기장치,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 컴 퓨터 및 전자표시장치, 컴퓨터 및 주변기기,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의료 및 측정기기, 기타 정밀기기, 자동차 그리고 자동차용 엔진 및 부분품 등 12 개 산업 대미수출량의 충격반응함수를 나타내고 있음.

- 조립가공산업에서는 반도체 및 전자표시장치의 대미수출만이 금리인상 충격발생 직 후 1~2분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세를 보임.

- 반면, 특수 목적용기계 및 장비(3분기)와 자동차 엔진 및 부분품(1~2분기)의 대미수출 역시 단기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산업들의 대미수출은 반응자체도 미미할 뿐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