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과 조정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과 조정 전망"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과 조정 전망

목차

Ⅰ. 미국 가계부채의 현황

Ⅱ.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

Ⅲ. 향후 가계부채 조정에 대한 전망

Ⅳ. 시사점

작성 : 박현수 수석연구원(3780-8251) hspark@seri.org

정형민, 김화년 수석연구원 감수 : 김경원 연구위원(3780-8040)

alexkkim@samsung.com

(2)

《 요 약 》

미국의 가계부채 규모가 경상GDP 수준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다. 2007년말 美 가 계부채는 13.8조달러로 경상GDP의 99.9%에 달한다. 특히 2000년 이후 급증한 모기지론 이 가계부채의 76%를 차지하고 있다. 모기지론 부실화로 서브프라임 사태가 발생했고, 실물경기에도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부동산버블 붕괴로 새로운 수익원을 찾던 글로벌 유동자금이 국제원자재 시장으로 몰려 가격급등을 초래하였다. 경제의 불확실 성이 증폭되는 현 시점에서 미국경제 향방의 관건인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향후 조정완료 시점 등을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계부채가 급증한 직접적 요인은 과잉소비와 주택가격 상승이다. 2000년 이후 미 국경제는 실질 민간소비가 장기균형소비 수준을 약 2% 정도 상회할 정도로 과잉소비 경향이 뚜렷했다. 또한 2002년 이후 주택가격의 급등으로 주택구입자의 자금조달부담 이 가중되고, 투기목적의 주택구입이 확대된 점도 가계부채를 확대시켰다. 이러한 과 잉소비와 주택가격 급등의 이면에는 과도한 저금리정책과 규제완화·금융혁신 등이 자리잡고 있다. IT버블 붕괴 이후 FRB는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2% 이하의 저금 리를 3년간 지속하여 과잉소비를 조장했을 뿐 아니라 주택가격 버블을 초래했다. 또한 모기지론에 대한 금리규제 폐지와 유동화 상품의 확대 등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시 장이 확대된 것도 가계부채 확대에 일조했다. 하지만 FRB가 과잉유동성과 주택가격 버 블에 대응하여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가계의 부채 원리금 상환부 담도 증가하면서 가계의 부실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美 주택가격은 주택수요 위축과 공실률 확대 등으로 2009년까지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기준이 이전보다 강화되고, 금리상승 압력도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과거 가계부채의 조정사이클을 고려할 때, 향후 美 가계부 채는 약 4년의 조정기간을 거치면서 연평균 4% 미만의 증가세에 그칠 전망이다. 2006 년 4/4분기 이후 실질 가계부채증가율이 장기평균 수준을 밑도는 등 가계부채의 조정 과정은 이미 시작되었다. 주택가격과 주가 하락으로 인한 가계의 순자산 감소와 가계 부채 조정에 따른 소비여력 축소 등으로 향후 수년간 미국경제는 저성장 기조를 지속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국경제의 성장둔화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도한 가계부채는 경제전반의 리스크를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美 통화 당국은 가계부채 급증과 주택가격 버블을 사전에 제어하는 데 실패하여 현재의 서브프 라임 사태를 초래했다. 정책 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브프라임 사태로 표면화된 美 가계부채 위기가 조기에 정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도 세계경 기 둔화의 장기화와 국제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3)

Ⅰ. 미국 가계부채의 현황

경상GDP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 미국의 가계부채는 2000년 이후 급증하면서 그 규모가 경상GDP에 육박

- 2007년말 현재 미국의 가계부채는 13.8조달러(경상GDP의 99.9%)로 2000년(경상GDP의 71.4%) 대비 2배 확대

ㆍ가계부채 증가율(연평균) : 1990년대 6.8% → 2000∼06년 10.6%

□ 가계부채는 모기지론, 소비자신용(신용카드, 오토론 등), 기타 대출 (리스, 뱅크론 등)로 구성

- 2000년 이후 모기지론이 연평균 12.1% 증가해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모기지론 비중이 2000년 68.7%에서 2007년 76.0%로 상승

- 소비자신용도 연평균 5.1% 증가했으나 모기지론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가계부채 내 비중은 2000년 24.2%에서 2007년 18.4%로 하락

美 가계부채 규모 및 모기지론 비중

자료: FRB. Flow of Funds Accounts.(http://www.federalreserve.gov/releases/z1/)

(4)

급증한 모기지론이 금융불안을 야기

□ 2006년 하반기부터 모기지론 연체율이 급상승하자, 주택가격 상승기에 모기지론 관련 투자를 확대한 금융기관의 손실이 커지면서 서브프라임 사태가 발생

- 주택모기지에서 시작된 신용경색이 소비자신용 등 他부문으로 확산 주요 가계부채 연체율 변화

자료: FRB(http://www.federalreserve.gov/releases/chargeoff/delallsa.htm)

소비, 투자, 고용 등 실물경기에도 악영향

□ 가계부실로 미국경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둔화되고, 투자위축과 고용감소로 이어지는 등 실물경기에도 악영향

- 민간소비증가율 : 2008년 1/4분기 1.1%(2001년 2/4분기 이후 최저치) 실업률 : 2008년 6월 5.5%(2004년 10월 이래 최고치)

美 민간소비 및 민간투자 증가율 美 실업률 및 非농업부문 취업자 증감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 Department of Labor Statistics

(5)

가계부채 부실화의 또 다른 여파 : 글로벌 인플레이션

□ 부동산버블 붕괴로 새로운 수익원을 찾아서 떠도는 글로벌 유동자금이 국제원자재 시장으로 몰림으로써 원유, 곡물 등의 가격급등을 야기

- 월평균 WTI 油價(달러/배럴) : 67.5(2007년 6월) → 134.2(2008년 6월)

※ 최근 유가상승분의 40.3%는 투기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1)

- 유가와 곡물가격 상승 등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 주요국 소비자물가상승률 변화

(단위: 전년동월 대비, %)

연월 미국 유로지역 중국

2007년 5월 2.7 1.9 3.4

2008년 5월 4.2 3.7 7.7

자료: CEIC DB

美 가계부채 부실화의 영향

美 가계부채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

□ 경제의 불확실성이 날로 증폭되는 현 시점에서 미국경제 향방의 관건인 美 가계부채의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향후 조정완료 시점 등을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

1) 이지훈 외 (2008. 4. 2.). "원자재가격의 급등원인과 전망" (CEO Information 제648호). 삼성경제연구소.

(6)

Ⅱ. 미국 가계부채의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 1. 가계부채의 급증 메커니즘

□ 美 가계부채가 급증한 직접적 요인은 과잉소비와 주택가격 상승이나, 低금리정책, 규제완화와 금융혁신 등이 배경으로 작용

과잉소비 : 2000년 이후 장기균형 수준을 상회

□ 2000년 이후 미국경제는 과잉소비 경향이 뚜렷

- 가계의 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이 1995년 92.0%에서 2000년 93.7%, 2006년 95.8%로 상승

□ 벡터오차수정모형(VECM)2)을 이용해 실질소비, 실질GDP, 가계부채, 주택가격간 장기균형관계식을 추정한 결과, 2000년 이후 미국의 소비는 장기균형소비 수준을 약 2% 정도 상회

- 특히 과잉소비가 9년간 지속되고 있어 과거 과잉소비기였던 1970년대 중반(3년간)과 1980년대 중반(6년간)에 비해서도 장기화

장기균형소비 수준 대비 과잉·과소소비 수준

주: 1. 소비의 장기균형식에서 도출된 오차를 이용해 과잉 및 과소 소비를 추정

2. 동 수치가 正(+)의 값을 가지면 실제소비 수준은 장기균형에 비해 과잉수준이고, 負(-)의 값을 가지면 과소수준이라는 것을 의미

2) 벡터오차수정모형(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은 경제변수들간의 장단기 동태적 조정과정을 동시에 고려하는 모형으로 Johansen이 처음으로 변수들간의 장기균형관계를 추정할 때 사용

(7)

□ 소비, 주택가격 등을 설명변수3)로 하여 가계부채함수를 추정한 결과, 소비가 1%p 증가하면 가계부채는 2분기에 걸쳐 약 0.86%p 증가

- 가계부채를 모기지론, 소비자신용 등으로 대체해도 소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

가계부채, 모기지론 및 소비자신용함수의 추정결과 종속변수

설명변수 가계부채증가율 모기지론증가율 소비자신용증가율

주택가격상승률 0.0140 0.2429 *** -0.3733 주택가격상승률(-1) 0.3751 *** 0.2787 *** 0.5039 **

소비증가율 0.5450 *** 0.4168 *** 1.1198 ***

소비증가율(-1) 0.3109 ** 0.0632 0.7790 **

주: 1. 1975∼2007년 분기별 자료를 사용하였고, 오차항의 AR(1) 효과를 고려해 추정 2. ***, **, * 는 각각 유의수준 1%, 5%,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의미

주택가격 상승 : 2006년초까지 빠르게 상승

□ 주택가격은 2002년부터 2006년초까지 빠르게 상승해 S&P/Case-Shiller 전국주택가격지수4)는 최고점인 2006년 2/4분기에 189.9로 2000년초 대비 89.9% 상승

S&P/Case-Shiller 전국주택가격지수 및 상승률

자료: Datastream

3) 금리, 주택저당채권 발행 등의 설명변수를 검토했으나 주택가격 및 소비 이외는 유의하지 않음

4) 미국의 경제학자 Karl Case와 Robert Shiller가 고안한 방법에 의해 산출하는 미국 주택가격지수로 20개의 대도시지역 지수, 10大 및 20大 도시 종합지수와 전국주택가격지수로 구성

(8)

□ 소득과 자산의 증가속도를 웃도는 주택가격 상승은 주택구입자에게 모기지론 등 차입을 통한 자금조달을 강요

- 가계부채함수의 추정결과, 1분기 전 주택가격이 1%p 증가하면 가계 부채는 2분기에 걸쳐 약 0.38%p 증가(앞의 표 참조)

低금리 정책 : 2% 이하의 低금리를 3년간 지속

□ IT버블의 붕괴 이후 FRB는 경기부양을 위해 低금리를 장기간 유지 - 2000년말 6.5%이었던 연방기금 금리를 2001년말까지 1.75%로 급격히

인하한 후 2003년 6월에는 1%까지 인하

- 비록 과잉유동성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2004년 6월 이후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으나, 2% 이하의 低금리가 2001년 1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무려 3년간 지속

ㆍ이전에는 1990년대 초반 저축대부조합 파산사태로 인해 17개월간 3% 금리가 지속된 것이 最長

□ 低금리는 가계의 과잉소비를 조장했을 뿐만 아니라 주택가격 버블을 초래(서브프라임 사태의 단초 제공)

- 물가안정에도 불구하고 低금리정책으로 인해 2002∼04년간 실질금리 (시장금리-물가상승률)가 마이너스로 하락한 결과, 저축에 대한 유인이 약화되고 실질 차입비용이 감소

시장금리와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 Datastream

(9)

그린스펀의 오판 : 低금리정책의 함정

▷ 그린스펀은 자산가격 상승에는 방관적 태도를 보이다가도 자산가격 하락 시에는 적극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非대칭적 통화정책(일명 '그린스펀 독트린')을 수행

▷ IT버블 붕괴 후 과도한 低금리 정책으로 주택가격 버블을 야기했고,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금리를 낮추겠다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투자자의 도덕적 해이를 조장

(자료: O'Driscoll Jr., G. (2008.5.20.). Asset Bubbles and Their Consequences.

Briefing Papers, 103, CATO Institute.)

- 그린스펀 前 FRB 의장은 금리정책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2004년 이전에는 경기회복 징후가 없었던 데다가 물가도 안정적이어서 금리를 인상할 이유가 없었다."5) 며 당시 금리정책의 정당성을 항변

ㆍ당시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았던 것은 중국産 등 저가품 수입증가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IT화에 진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에 기인6) 규제완화와 금융혁신 : 모기지론의 유동화 증가

□ 규제완화와 금융혁신 등에 힘입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시장이 급성장

- 1980년 3월 '예금기관 규제완화 및 통화규제법'7)의 시행으로 先순위 모기지론에 대한 금리규제가 폐지되자,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高금리 모기지론을 개발(대출 접근성 확대)

- 1980년대 중반 이후 모기지 관련 금융기관은 단기조달과 장기대출의 만기불일치, 금리변동의 위험 등을 회피하고자 모기지론의 유동화를 도모

ㆍ2003년까지 비교적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던 주택 모기지론 유동화 비율이 2004∼06년 사이에 급등(2003년 9.2% → 2006년 20.0%)8)

5) Greenspan, A. (2008. 4. 6.). A Response to My Critics. Financial Times.

6) 수입물가지수: 2000년 100 → 2003년 98.1, 총생산성(실질GDP/총고용)지수: 2000년 100 → 2003년 106.3

7) Depository Institutions Deregulation and Monetary Control Act of 1980

8) 잔액기준(주택 MBS 발행 잔액 / 주택모기지론 잔액)이며, 취급액기준(주택 MBS 신규발행액 / 주택 모기지론 대출액)으로는 2003년 15.0% → 2006년 46.2%

(10)

- 주택저당증권(MBS : Mortgage-Backed Securities)의 발행 증가로, 주택금융시장에 유동성 유입이 늘어나면 모기지론 증가와 주택가격 상승을 유발9)

※유동화는 대출채권 등을 모아 증권화한 후 매각하는 것으로 모든 채권은 유동화가 가능하며, 이 중 모기지론을 증권화한 것이 주택 저당증권

주택 모기지론을 이용한 MBS 발행 잔액과 유동화 비율 추이

자료: FRB, Flow of Funds Accounts

□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시장확대와 더불어 '2차 주택 붐'이 발생하면서 주택 가격이 상승

- '1차 주택 붐(1940∼60년)' 당시에는 신용도가 높은 중산층 이상을 주된 대상10)으로 하는 30년 만기 고정금리 프라임 모기지론에 힘입어 전체 주택보유율이 45%에서 60% 이상으로 급상승

- 1990년대 중반 이후 중산층 이하 계층, 소수인종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이 성장하면서 '2차 주택 붐'이 발생

9) 그랜저 인과관계 검증에서 주택 MBS 발행 증가는 주택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지만, 역의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

10) Gramlich, E. M. (2007). America's Second Housing Boom (Opportunity and Ownership Project No.7). The Urban Institute.

(11)

ㆍ2005년 소득 하위 10% 계층과 次하위 10% 계층의 주택보유율은 각각 43%와 49%로 10년 전에 비해 공히 4%p씩 상승11)

ㆍ그러나 대출을 주선해주고 수수료를 받는 모기지 브로커의 '高금리 대출' 유도, 모기지론 회사들의 '無서류대출', '주택가격 100% 대출' 등 불건전한 대출관행이 성행

2. 가계부채의 부실화 메커니즘

□ 장기간 저금리정책에 따른 과잉유동성과 주택가격 버블에 대한 우려로 FRB는 2004년 6월 이후 17차례에 걸쳐 정책금리를 인상하고, 이에 따라 시장금리도 상승

- 연방기금금리 : 2004년 6월 1% → 2006년 6월 5.25%

- 2004년 4월 4.7%까지 하락했던 조정금리부 모기지론12) 금리는 2006년 8월 6.7%까지 상승

□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주택가격 버블이 붕괴되고, 모기지론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되고 연체율도 급등(가계부실의 본격화)

- S&P/Case-Shiller 전국주택가격지수는 2008년 1/4분기 159.2로서, 최고점인 2006년 2/4분기(189.9)에 비해 16.2% 하락

- 일반주택(Typical Home)의 月 원리금 상환부담은 2006년 7월 1,207달러로 2003년 2월(795달러) 대비 51.8% 상승13)

- 조정금리부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은 2007년 1/4분기 15.9%에서 2007년 4/4분기에는 20.2%까지 급등

11) Gramlich, E. M. (2007)의 전게서

12) 통상 만기 30년 중 초기 2∼3년은 시장금리보다 낮은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27∼28년은 변동금리로 바뀌어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이자를 내는 구조

13) Federal Housing Finance Board(http://www.fhfb.gov)

(12)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복잡해진 금융구조로 인해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

-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 상승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회사의 부실이 본격화(2007년 4월 뉴센추리 파이낸셜 등의 파산 신청)

-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채권에 투자한 금융회사 등의 손실이 급증하고, 채권보증회사(모노라인) 등으로 위기 확산

□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금리는 가계부채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의 핵심적 변수

- 저금리정책은 금리하락, 주택담보대출의 조건완화와 공급확대 등에 영향을 미쳐 과잉소비와 주택가격 상승을 유발

ㆍ규제완화 및 MBS 등 모기지론의 유동화 진전도 주택담보대출 공급 확대를 통해 결국 주택가격 상승에 기여

- 과잉유동성과 주택가격 버블에 대응하기 위한 금리인상이 주택가격 하락과 가계의 부실화를 초래

미국의 가계부채 급증 및 부실화 메커니즘

(13)

Ⅲ. 향후 가계부채 조정에 대한 전망 1. 주택시장 및 금융여건 전망

2009년까지 주택가격 하락세 지속

□ 미국의 주택가격은 2009년까지 조정을 겪을 전망

- 주택공실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등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증대 ㆍ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가 높아 구매수요가 크게 감소한 가운데

주택 유질처분14)도 증가하면서 공실주택 규모가 2008년 1/4분기 228만채에 달하고 주택공실률도 최근 3분기 연속 증가

- 美 주택저당대출기관연합회(MBA : Mortgage Bankers Association)는 주택공급 증가와 주택수요 감소로 인해 2009년까지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15)

미국의 주택 유질처분비율 미국의 공실주택과 주택공실률

주: 1) 공실주택은 매각하기 위해 비어 있는 주택

2) 주택공실률 = 공실주택 / (소유자가 거주하는 주택 + 매각되었으나 아직 입주되지 않은 주택 + 공실주택)

자료: Datastream; U.S. Census Bureau

14)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금융기관이 주택 등 담보물을 압류하는 절차(foreclosure)

15)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2008.6.11.). MBA Mortgage Finance Forecast.

(14)

가계에 대한 자금공급 축소와 금리상승 압력 확대

□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손실 확대와 가계의 신용위험 증가에 대응해 금융기관은 가계대출 기준을 강화하는 등 자금공급을 축소할 듯

- 전체 은행 중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대출기준을 강화한 은행이 77.7%에 이르는 등 모기지론에 대한 신용공급을 억제

ㆍ2004년 4/4분기 이후 대출기준을 완화해오던 신용카드에 대해서도 2007년 4/4분기부터는 대출기준을 강화하기 시작

전체 은행 중 가계에 대한 대출기준을 강화한 은행 비율

(단위: %)

구분 모기지론 소비자신용

프라임 서브프라임 신용카드 기타

2007년

2/4 15.1 56.3 -11.1 7.8

3/4 14.3 56.3 -3.2 12.0

4/4 40.8 55.5 3.2 26.0

2008년 1/4 52.9 71.5 9.7 32.1

2/4 62.3 77.7 32.4 44.4

자료: FRB(http://www.federalreserve.gov/boarddocs/SnLoanSurvey/)

- 서브프라임 사태 등으로 금융기관의 손실이 너무 큰 탓에 과거처럼 공격적으로 신용공급을 확대하기도 어려운 상황

ㆍIMF는 전 세계 금융기관의 잠재적 總손실이 주택 모기지론 손실 5,650억달러를 포함해 9,4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16)

□ 원자재價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시화되면서 금리상승 압력도 증대

- 2008년 5월 미국 도시가계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4.2% 상승 ㆍ특히 에너지가격은 전년 대비 17.4%나 급등

16) IMF (2008. 4.). 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http://www.imf.org/external/pubs/ft/gfsr)

(15)

2. 향후 가계부채 조정에 대한 전망

1952년 이래 美 가계부채는 총 5차례 확장과 조정을 반복

□ 1952년 이래 미국의 가계부채증가율은 장기평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며 확장과 조정사이클을 형성

※가계부채의 확장은 가계부채증가율이 장기평균보다 높은 경우를, 조정은 장기평균보다 낮은 경우로 정의

- 1952∼2007년간 실질 가계부채증가율(전분기 대비 기준)의 장기평균은 1.45%(연율 5.9%)

- 실질 가계부채 증가율의 장기추세선은 거의 수평에 가까웠음17)

ㆍ역사적으로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조정과정을 겪었음을 시사

미국의 가계부채증가율 추이

자료: FRB의 Flow of Funds Accounts에 의거해 작성

17) 1980년대 들어 가계부채가 증가세로 돌아선 1983년 이후부터 2007년까지의 분기별 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55%로 1952∼2007년 평균과 큰 차이가 없으며 추세선도 평탄

(16)

□ 1952년 이후 지금까지 총 6차례의 확장사이클과 5차례의 조정사이클이 발생

- 확장기는 평균 17.2분기, 조정기는 평균 18.4분기

ㆍ예외적으로 지속기간이 짧았던 1970년대 확장기(2회), 1950년대 조정기를 제외하면 확장기는 평균 23.5분기, 조정기는 평균 21.3 분기 동안 지속

- 특히 조정기에 가계부채증가율은 장기평균 수준으로 회귀하기 위해 확장기 때보다 더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되는 경향(조정률(-)의 合 >

확장률(+)의 合)

※조정률과 확장률은 각각 조정기와 확장기의 분기별 가계부채의 '실제증가율 - 장기평균증가율'

- 금번 가계부채의 확장기간은 지속기간(22분기)과 확장률의 合(11.7%)으로 볼 때 1980년대 중반의 확장기와 유사

실질 가계부채 확장기 및 조정기 비교

(단위: 분기, %p)

확장기 조정기

시작 종료 지속기간 확장률의 合 시작 종료 지속기간 조정률의 合

1952.2 1956.4 19 23.6 1957.1 1958.3 7 △3.2 1958.4 1966.1 30 17.2 1966.2 1972.1 26 △21.9 1972.2 1973.1 4 2.0 1973.2 1976.4 15 △15.0 1978.1 1979.1 5 3.8 1980.1 1983.1 13 △19.8 1983.2 1988.4 23 14.6 1990.2 1997.4 31 △15.0

2001.2 2006.3 22 11.7 2006.4 - - -

평균 17.2 12.2 평균 18.4 △15.0

주: 4분기 이상 증가 또는 감소가 이어지면 확장기 또는 조정기로 정의하며, 2분기 이상 증가 또는 감소가 지속되지 않으면 추세가 반전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

(17)

향후 가계부채 조정에는 4년 정도가 소요될 전망

□ 향후 美 가계부채는 약 4년의 조정기간을 거치면서 연평균 4% 미만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실질기준)

- 2006년 4/4분기 이후 실질가계부채증가율이 장기평균 수준을 밑도는 등 가계부채의 조정과정은 이미 시작된 상황

- 금번 확장기와 유사한 1990년대의 조정속도(연간 가계부채증가율 4%

미만)로 조정이 진행될 경우 총 26분기의 조정기간 필요

ㆍ단순히 과거 평균 조정기간(21.3분기)을 적용해도 향후 4년 이상의 추가 조정기간이 필요할 전망

□ 가계부채 조정은 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

- 2006년 조사18)에 의하면, 전체 가구 중 주거 관련 비용이 소득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구가 15.8%로 2001년 대비 2.8%p 증가

- 특히 하위 20% 소득 가구 중 53.7%는 주거 관련 비용이 소득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높아 모기지론 등 가계부채 부담이 큰 실정 ㆍ하위 20% 소득 가구의 동 비율은 2001년 대비 4.5%p 상승

미국 가계의 소득구간별 주거비용 부담수준별 가구 비중

(단위: %) 구분

소득구간

2001년 2006년

부담 없음 보통 심각 부담 없음 보통 심각

하위 10% 19.5 14.1 66.4 17.8 13.1 69.1

하위 20% 28.7 22.1 49.2 25.1 21.1 53.7

상위 25% 94.7 4.8 0.5 90.7 8.2 1.0

전체 70.6 16.4 13.0 65.1 19.0 15.8

주: 1. 소득구간은 세전 소득 기준, 2. '보통'은 주거관련 비용이 소득의 30∼50%, '심각'은 50% 이상 자료: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2008)의 전게서

18)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2008). The State of the Nation's Housing 2008.

(18)

가계부채 조정으로 향후 소비증가세는 미약할 전망

□ 가계부채 조정으로 인해 소비증가세는 2008년에 둔화된 후 2009년부터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실질기준)

- 민간소비증가율 : 2.9%(2007년)→ 2.1%(2008년)→ 2.5%(2009∼11년)19)

- 2008년 민간소비의 경제성장 기여도도 1.45%p로 1991년 이후 가장 낮을 전망(2004∼06년간 연평균 기여도 : 2.3%p)

ㆍ2009년 이후에도 경제성장 기여도는 평균 1.76%p에 머무를 것으로 보여 당분간 소비가 경기회복을 이끌기는 어려울 전망

가계부채증가율 하락에 따른 미국의 민간소비증가율과 경제성장 기여도 (단위: %, %p, 실질기준)

연도 가계부채증가율 민간소비증가율 경제성장 기여도

2006년 7.2 3.1 2.15

2007년 4.1 2.9 2.02

2008년 3.9 2.1 1.45

2009∼11년 3.9 2.5 1.76

주: 1. 소비의 경제성장 기여도(%p)= GDP 증가율 × (소비증감액 / GDP 증감액)

2. 소비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가계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1/4분기 수준 (71.6%)을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산출

□ 美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는 글로벌 임밸런스 문제 완화와 세계경제의 성장동력 약화라는 양면성을 내포

- 소비증가세 둔화로 수입수요도 위축되어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는 2007년 5.6%에서 2010년에는 3.5%까지 감소

- 미국을 대체할 만한 경제권이 아직 없는 상태에서 미국의 수입수요 둔화는 세계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

19) 가계부채증가율 1%p 하락시 가계소비증가율이 0.18%p 하락한다는 추정결과에 근거해 전망

(19)

Ⅳ. 시사점

가계부채 조정 등으로 향후 수년간 미국경제는 저성장 기조 지속

□ 美 통화당국은 가계부채의 급증을 사전에 제어하는 데 실패

- 주택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저금리 기조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가계 부채의 증가를 촉진

ㆍ한때 高성장 덕분에 그린스펀의 통화정책이 극찬을 받기도 했지만, 그 이면에서는 주택시장의 버블 확대와 가계의 부실화가 진행

□ 가계부채 조정이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미국경제는 지난 5년간의 장기호황을 마감하고 저성장 국면에 본격 진입

- 주택가격 하락세가 2009년까지 유지되고, 가계부채 조정에 최소 4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면서 소비둔화가 불가피

ㆍ2007년 4/4분기 가계의 純자산도 주가 및 주택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0.9% 감소(2002년 3/4분기 이후 처음)20)

- 그렇다고 투자나 재정을 통해 미국경제를 견인하기에는 역부족 ㆍ고정투자가 미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16%에 불과

ㆍ막대한 재정적자로 인해 이미 시행한 '경기부양법'에 따른 세금환급21) 이외에, 경기부양을 위한 추가 재정지출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

□ 미국의 경제성장 둔화는 세계경제도 악영향을 초래

20) FRB. Flow of Funds Accounts.

21) 美 정부와 의회는 2008년 2월 세금환급, 투자금액에 대한 세금감면, 주택저당공사의 모기지 매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경기부양법(Economic Stimulus Act of 2008)'을 의결·공포하였으며, 동 법에 따른 세금환급 규모는 총 1,6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

(20)

- IMF는 미국의 경제성장 급락과 금융시장의 위기 확산이 세계경제에도 충격을 가할 것으로 진단22)

- 아시아 신흥국도 미국, 유로지역 등 선진경제권의 성장둔화로 인해 타격이 불가피하겠지만, 선진국보다는 영향이 덜할 전망

ㆍ중국과 인도는 경제성장으로 내수가 확대되고 있고, 중남미, 중동 및 러시아 등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

주요국별 경제성장률 전망(IMF)

(단위: %) 2006년 2007년 2008년(E) 2009년(E)

세계경제 5.0 4.9 3.7 3.8

선진경제권 3.0 2.7 1.3 1.3

(미국) (2.9) (2.2) (0.5) (0.6) (유로지역) (2.8) (2.6) (1.4) (1.2)

아시아 신흥국 8.9 9.1 7.5 7.8

(중국) (11.1) (11.4) (9.3) (9.5)

(인도) 9.7 ( 9.2) (7.9) (8.0)

중동 5.8 5.8 6.1 6.1

자료: IMF (2008. 4.). World Economic Outlook.

국제금융시장의 리스크 재연에 대비

□ 美 금융시장은 FRB의 적극적인 금리인하와 유동성 공급 등에 힘입어 안정을 찾아가는 듯 했으나 최근 불안정성이 재연되는 조짐

- 신용평가기관들이 채권보증회사의 신용등급을 대폭 강등하였을 뿐 아니라 양대 국책 모기지 회사인 패니매와 프레디맥이 파산위기에 처할 정도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여전

ㆍ무디스는 6월 19일 채권보증회사인 MBIA와 Ambac의 신용등급을 각각 5단계(Aaa → A2), 3단계(Aaa → Aa3) 하향 조정

22) IMF (2008. 4.). World Economic Outlook.

(21)

- 그 여파로 2008년 3월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다우존스 주가지수는 11,200포인트 대로 급락하고 VIX23)로 본 주식시장의 변동성도 확대

ㆍ다우존스 주가지수 : 12,638(2008년 5월말) → 11,001(7월 11일) VIX : 17.8(2008년 5월말) → 27.5(7월 11일)

□ 미국 등 국제금융시장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강화

- 과거 수년간 세계에 유동성을 공급해오던 대형 금융기관이 본격적인 유동성 회수에 나설 경우 글로벌 신용경색이 불가피

ㆍ1998년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TCM) 파산으로 큰 손실을 입은 주요 상업은행 및 투자은행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투자회수에 나서면서 남미 경제위기가 발생했던 것이 전형적인 예

-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위기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할 필요

※스트레스 테스트 : 경제 및 금융환경이 급변하는 예외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포트폴리오 등의 손실을 추정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리스크 관리기법

ㆍ대부분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평상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주가, 금리, 환율, 차입자의 신용도 등이 급변하는 극단적 상황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지고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

금융기관 및 가계의 건전성 확보에 주력

□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규제 완화와 금융혁신에 따른 장기적 추세이지만, 과도한 가계부채는 경제전반의 리스크를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23) VIX(Volatility Index)는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가 S&P500지수 옵션가격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발표하고, 계산기준 시점에서부터 향후 30일 동안의 S&P500지수의 예상되는 변동성을 측정 (30 이상이면 시장변동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20 이하면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

(22)

- 적정 이하 수준에 있던 가계부채가 규제완화, 금융혁신 등을 계기로 최적수준으로 옮겨가고24), 적정 수준으로 늘어난 가계부채는 소비의 변동성을 완화시킴으로서 경제전반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기여

- 반면, 가계부채가 과도할 경우 가계의 경제변수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상승하여 거시경제 전반적으로 리스크가 증가25)

□ 2003년 가계신용 위기를 겪은 바 있는 한국도 현재 가계부채 위기에서 안전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가계 및 금융기관의 건전성 유지에 유념할 필요

- 2007년말 기준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809조원으로 경상GDP의 87.6%, 가처분소득의 101.7%에 달할 정도로 높은 수준

ㆍ특히 은행 가계대출의 61%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변동금리형 단기대출이 주를 이루고 있어 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 및 금융기관의 부실이 확대될 우려

- 금융기관은 리스크 관리와 효율적인 자산운용을 통해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신용공급 기능을 수행

- 특히 정부는 규제완화와 금융혁신이 자칫 투기행태에 대한 방임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강화할 필요

CEO

24) Debelle, G. (2004). Household Debt and the Macroeconomy. BIS Quarterly Review, March 2004.

25) Dynan, K., & Kohn, D. (2007). The Rise in U.S. Household Indebtedness: Causes and Consequences. Reserve Bank of Australia Conference 2007.; Calza, A., Monacelli, T., &

Stracca, L. (2007). Mortgage market, Collateral Constraints, and Monetary Policy: Do Institutional Factors Matter? CFS Working Paper 2007/10. Center for Financial Studies.

(23)

【 지표로 보는 경제 Trend 】

< 금융동향 >

7. 8 7. 9 7. 10 7. 11 7. 14

환율 원/달러(종가기준) 엔/달러(뉴욕시장)

1,032.70 107.15

1,004.90 107.47

1,002.90 106.86

1,002.30 107.09

1,004.60 106.39

금리 회사채(3년AA-, %) 국고채(3년, %)

7.00 6.02

6.96 5.99

6.99 6.01

7.14 6.15

7.17 6.17 주가지수(KOSPI, 종가) 1,533.47 1,519.38 1,537.43 1,567.51 1,558.62

< 실물동향 >

(전년동기(월)비, %)

2005년 2006년 2007년 2008.3월 4월 5월 6월

GDP성장률

민간소비 설비투자

4.2 3.6 5.7

5.1 4.5 7.8

5.0 4.5 7.6

..

..

..

..

..

..

..

..

..

..

..

..

산업생산 증가율1) 평균가동률

6.3 79.5

8.3 80.0

6.8 80.4

10.1 81.3

10.4 82.2

8.3 80.3

..

..

실업률 실업자(만명) 전국 어음부도율

3.7 88.7 0.04

3.5 82.7 0.02

3.2 78.3 0.03

3.4 81.0 0.03

3.2 78.4 0.06

3.0 75.3 0.04

..

..

..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2.2 2.5 3.9 4.1 4.9 5.5

수출(억달러, FOB)2) (증감률) 수입(억달러, CIF)

(증감률)

2,844.2 (12.0) 2,612.4 (16.4)

3,254.7 (14.4) 3,093.8 (18.4)

3,714.9 (14.1) 3,568.5 (15.3)

359.9 (18.4) 369.0 (25.9)

378.6 (26.4) 380.8 (28.6)

393.9 (26.9) 384.7 (28.8)

374.3 (17.0) 377.2 (32.3)

경상수지(억달러) 149.8 53.9 59.5 -1.1 -15.6 -3.8 ..

외환보유액(억달러) 2,103.9 2,389.6 2,622.2 2,642.5 2,604.8 2,582.0 2,581.0 총대외지불부담3)

(억달러) 1,879 2,601 3,807 .. .. .. ..

1) 통계청 (2008. 6. 30.) “2008년 5월 산업활동동향” 자료에 의거하여 작성.

2) 지식경제부 (2008. 7. 1.) “2008년 상반기 수출입동향” 자료에 의거하여 작성.

3) IMF, World Bank 등 9개 국제기구가 마련한 새로운 편제기준, 분기별 발표.

참조

관련 문서

주택공급신청자의 세대별 주민등록표등본에 등재된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비속(직계비속의

• 당사에서 당첨자의 자격심사를 위해 원천정보를 보유한 공공기관으로부터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조사대상자 전원의 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집 ․ 조사하여야 하므로

[r]

■ 금회 공급되는 주택은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별표6의2 및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제54조에 따라 과거 재당첨 제한 대상

신혼희망타운 거점홍보관 및 공식홈페이지

• 당사에서 당첨자의 자격심사를 위해 원천정보를 보유한 공공기관으로부터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조사대상자 전원의 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집 ․ 조사하여야 하므로

[r]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