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 에너지수급 현황(2016년) 및 구조변화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세계 에너지수급 현황(2016년) 및 구조변화 분석"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12. 03

세계 에너지수급 현황(2016년) 및 구조변화 분석

제18-2호

(2)
(3)

세계 에너지수급 현황(2016년) 및 구조변화 분석 1)

해외정보분석팀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syang@keei.re.kr), 이서진 부연구위원(sjl@keei.re.kr), 김아름 전문연구원(arkim@keei.re.kr)

목 차

▣ 요약 p.2

1. 세계 총에너지 생산 규모 및 구조 변화 p.5

에너지 생산 규모 및 구조 변화 ···

2. 에너지 수출입 및 구조 변화 p.9

에너지 수출 규모 및 구조 변화 ···

3. 세계 및 권역별 1차에너지 소비 변화 p.13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구조 ···

4. 최종에너지 소비구조 변화 p.19

2016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

5. 세계 전력수급 구조 변화 p.23

2016년 세계 전력 생산 현황 및 구조 변화 ···

6. 천연가스 수급 변화 p.35

2017년 세계 천연가스 생산 현황 ···

7. 신재생에너지 역할 변화 p.47

세계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현황 ···

부록 : 세계 에너지수급 통계 p.59

1) 동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의 주제인 「세계 에너지수급 현황(2016년) 및 구조변화 분석」은 IEA의

“World Energy Balances 2018”을 비롯한 IEA의 에너지원별 수급분석 보고서에 기초하여, 2016년 기준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를 분석하여 집대성한 자료임.

(4)

< 요약 >

▣ 세계 에너지공급 현황 및 구조변화

¡ 세계 에너지생산은 1990년 이후 2016년까지 연평균 1.7% 추세로 증가하여왔으 나, OECD국가의 생산 감소와 非OECD국가의 에너지생산 증가 둔화로 2016년 세계 에너지생산 규모는 전년 대비 0.3% 감소된 13,764Mtoe를 기록하였음.

‒ 2016년 세계 화석에너지 생산은 전년 대비 1.1% 감소하였으며, 세계 에너지생 산에서 화석에너지의 비중은 2015년 81.6%에서 2016년 81.1%로 소폭 감소하 였음.

‒ 2016년 세계 전력생산은 25,082TWh 규모로 1974년(4,298TWh) 이후 연평균 3.3%, 2015년 대비 2.9% 증가하였음. 세계 화력발전(화석연료 및 바이오폐기 물) 의존도는 완만한 감소추세를 시현하였으나, 2016년 67.3%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2016년 세계 에너지수출 규모는 5,617Mtoe로 2015년 대비 3.7% 증가하였으며 그중 非OECD국가의 수출 비중은 2015년 대비 0.21%p 증가하여 非OECD국가 의 에너지수출 역량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었음.

¡ 2016년 세계 에너지수입 규모는 5,506Mtoe로 전년 대비 3.3% 증가하였고, 2016년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입은 전년 대비 5.5% 증가(중국: 15.6% 증가) 하여 세계 에너지수입 규모에서 42.3%를 차지하였음.

‒ 2016년 중국의 에너지생산 감소는 에너지수입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중국의 석탄산업 구조조정이 심화될 경우 에너지수입 규모와 세계 에너 지수입 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됨.

▣ 1차에너지 소비 현황 및 구조 변화

¡ (1차에너지 소비)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0.7% 증가한 13,761Mtoe 규모로, 1990년 이후 연평균 1.8% 증가하였으나, 1990년 이후 세 계 에너지소비의 증가추세는 OECD국가와 非OECD국가에서 모두 둔화되었음.

‒ 2016년 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0.1% 증가에 그쳐 1990~2016년 연평균 0.6% 증가 대비 증가추세가 둔화되었고,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OECD 점유율은 1971년 61%에서 2016년 38%로 감소한 반면, 非 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1990~2016년 연평균 2.7% 증가하였음.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에서 상위 10개국의 점유율은 62% 수준으로, 1971 년 56%에서 크게 확대되어 세계 에너지소비의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었음.

“2016년 세계 에너지생산 규모는 전년 대비 0.3% 감소하였고, 그중 화석에너지 생산 규모는 전년 대비 1.1% 감소”

“2016년 세계 에너지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3.3% 증가하였고, 특히 非OECD의 수입은 전년 대비 5.5% 증가”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증가추세는 OECD국가와 非OECD국가에서 모두 둔화 ”

(5)

¡ (화석에너지 의존도)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1990년 대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 석되었으나, 화석에너지 구성은 석탄 비중이 감소하는 대신 천연가스가 석탄을 대체하는 형태로 구조변화가 시현되었음.

¡ (석탄・석유 수급변화) 세계 석탄소비는 중국의 소비 증가에 기인하여 1990~2016 년 동안 연평균 2.0% 증가한 반면, 2016년 석유소비는 4,390.2Mtoe 규모로 세 계 석유 의존도는 31.9% 수준으로 축소되었음.

¡ (천연가스 수급 변화) 세계 천연가스 생산은 2009년 이후 2017년까지 연평균 2.6% 증가하여 2017년 3,3768.4Bcm을 기록하였고, 그중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 산 증가폭은 49.9Bcm(세계 천연가스 생산 증가분의 37.7%)에 달하여 세계 천연 가스 생산량 증가를 견인하였음.

‒ 2017년 세계 천연가스 수출 규모는 1.2Tcm으로 전년 대비 100Bcm 가량 증가 하였으며, 천연가스 수출에서 LNG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31.7%에서 2017 년 32.9%로 소폭 상승하였음.

‒ 세계 천연가스 소비량은 2008~2017년간 해마다 증가하여 왔으며, 2017년 세계 천연가스 소비는 2016년 대비 3.2% 증가한 3,755.7Bcm를 기록하였음.

‒ 2017년 PNG 수입가격은 2016년 말부터 전개되고 있는 국제유가 반등에 힘입 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였고, 미국 및 EU 국가의 가격 격차는 더 심화 되었음.

¡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1990년 이후 연평균 2.0% 규모 로 증가하여, 1차에너지 소비증가(1.8%)를 상회하는 속도로 성장해왔으며, 2016 년 신재생에너지의 세계 1차에너지 소비 분담률은 13.7%를 차지하였음.

‒ 2016년 현대적 신재생에너지원(태양에너지 및 풍력, 지열 등)의 생산규모는 가 장 빠른 증가를 시현하였으나, 세계 1차에너지 생산 비중은 2%를 하회하였음.

‒ 2016년 OECD국가에서 재생에너지 공급의 절반 이상이 전력・열 생산 등 전환 부문에서 사용되었으나, 非OECD국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주거용 고체 바 이오연료 형태로 사용되었음.

‒ 세계 전력생산에서 재생에너지 전원의 기여율은 1990년 19.4%에서 2016년 23.8%로 증가하여 석탄(39.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음. 그중 수력은 재생에너지전원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전원으로 2016년 세계 전력량 의 16.3%,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68.4%를 차지하였음.

‒ OECD국가의 재생에너지원(양수발전 제외) 전력생산은 2017년 2,731.8TWh로, 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분담률은 1990년 17.3%에서 2017년 24.9%로 증가하여 왔음. 한편, 非OECD국가의 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기여율은 2010년 21.5%, 2015년 22.8%, 2016년 23.8% 등으로 증가하였음.

“세계 천연가스 생산은 2009년~

2017년 연평균 2.6% 증가”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1990년 이후 연평균 2.0%

규모로 증가해 1차에너지 소비 증가속도를 상회”

(6)

▣ 세계 전력 수급 구조변화

¡ 2016년 세계 전력 생산은 25,082TWh 규모로 1974년(4,298TWh) 이후 연평균 3.3%, 2015년 대비 2.9% 증가하였음. 2016년 세계 전력 생산량 중 非OECD국 가의 비중은 56.2%로, 1974년 28.0%에 비해 2배가량 확대되었음.

¡ 2016년 세계 전력 생산의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은 화력 발전 67.3%, 수력(양수 발전 포함) 16.6%, 원전 10.4%, 재생에너지원 5.6% 등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 지하였음. 2016년 기준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일본 등 5개 전력 생산 대국 의 발전량 규모는 전 세계 발전량의 56.5%를 차지하였음.

‒ 2017년 OECD국가의 전력 생산은 11,033TWh 규모로 2016년 11,007TWh 대 비 0.2%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그중 화석연료의 발전량은 6,193.2TWh 로 총 전력생산량(11,033TWh)의 56.1%를 차지하였고, 원전 및 수력의 발전 규모는 각각 1,951TWh(전원비중: 17.7%)와 1,466TWh(13.3%)로 화력발전 다음의 전 원으로 역할 하였음.

¡ 2016년 전력소비는 1974년 이후 연평균 5.1% 증가한 11,315TWh 규모로, 非 OECD국가 중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의 2016년 전력 소비량은 세계 전력 소비량의 36.1%를 차지하였음.

¡ 2017년 OECD국가의 전력 수출량은 495TWh 규모로 전체 발전량의 4.5%에 달 하였으며, 수입 전력량은 474TWh으로 OECD국가의 총 소비 전력의 4.3%를 차 지하였음.

“2016년 세계 전력 생산은 1974년 이후 연평균 3.3%

증가”

“2016년 전원별 발전 비중은 화력 67.3%, 수력 16.6%, 원전 10.4%, 재생에너지 5.6%

등 순”

(7)

1. 세계 총에너지 생산 규모 및 구조 변화

2)

▣ 에너지 생산 규모 및 구조 변화

¡ 2016년 세계 에너지생산 규모는 非OECD국가의 생산증가에도 불구하고, OECD 국가의 생산 감소로 2015년 13,811Mtoe 대비 0.3% 감소된 13,764Mtoe를 기록 하였음.

‒ 세계 에너지생산은 1990년 이후 2016년까지 연평균 1.7% 추세로 증가하여왔으 나, OECD국가의 생산 감소와 非OECD국가의 에너지생산 증가 둔화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음.

¡ (OECD국가) 2016년 OECD국가의 에너지생산은 전년 대비 2.4% 감소하여 4,064Mtoe를 기록하였으며, 세계 에너지생산의 29.5%를 차지하였음.

‒ OECD국가의 전체 에너지생산은 감소되었으나, 35개 OECD국가 중 20개 국가 에서는 에너지생산이 증가하였음.

・ 2016년 미국은 1,915Mtoe 규모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전대대비 큰 규모의 하 락폭(▼5.3%, 107Mtoe)을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OECD국가 중 최대 에너 지 생산국의 자리를 유지하였음.

・ 2016년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는 에너지생산 규모에서 각각 2, 3, 4위를 기 록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에너지생산이 증가했음에도 미국의 생산량 감소분 에는 미치지 못하여 OECD 전체 에너지생산 규모는 감소하였음.

¡ (非OECD국가) 2016년 非OECD국가의 에너지생산은 9,700Mtoe 규모로 2015 년 대비 0.6% 증가하였고, 세계 에너지생산에 차지하던 비중도 1973년 60.4%에 서 2016년 70.5%로 확대되었음.

‒ 2016년 에너지생산은 他에너지원 생산증가(천연가스 ▲1.7%, 수력 ▲4.3%, 원 자력 ▲24.9%, 재생에너지 ▲18.2%)에도 불구하고, 석탄(▼8.7%) 및 원유(▼

6.9%)의 생산 감소로 인해 하락을 기록하였음.

‒ 非OECD 아시아국가(중국 포함)의 에너지생산 규모는 3,881Mtoe로 전년 대비 2.7% 감소하였음.

‒ (중국) 중국의 2016년 에너지생산은 전년 대비 6.1% 하락하여, 인도(▲3.4%), 인도네시아(▲0.8%)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非OECD 아시아 에너지생산 감소를 유발하였음.

・ 중국은 2016년 세계 석탄 생산량의 절반이상, 세계 수력발전량의 29% 이상

2) 본 장은 인사이트 제18-39호(11.5일자) pp.3~15를 인용하였으며, 일부 내용은 수정・보완하였음.

“2016년 세계 에너지생산은 OECD국가의 생산 감소와

非OECD국가의 생산 증가 둔화로 전년 대비 감소”

“세계

에너지생산에서 非OECD국가의 비중은 1973년 60.4%에서 2016년 70.5%로 확대”

(8)

을 차지하는 석탄생산 및 수력발전 대국으로 역할 하였음.

‒ (인도) 2016년 인도의 에너지생산은 전년 대비 3.4% 증가하였으며, 석탄 증산 (▲2.9%) 및 바이오 연료・폐기물(▲6.6%) 생산 증가가 기여하였음.

‒ (중동) 2016년 중동지역 국가들의 에너지생산은 전년 대비 8.4% 증가하여 2,043Mtoe규모에 달하였음.

・ 세계 에너지생산의 중동지역 국가 생산비중은 14.8% 수준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사우디를 포함한 산유국들의 석유생산 능력으로 유지되고 있음.

▣ 화석에너지 생산구조 변화

¡ 2016년 화석에너지의 생산은 2015년 대비 1.1% 감소를 기록하였으며, 에너지 생산에서 화석에너지의 비중은 2015년 81.6%에서 2016년 81.1%로 소폭 감소하 였음.

¡ 화석에너지 생산 중 석유 및 천연가스는 2015년 대비 각각 1.4% 증가를 기록한 반면, 석탄이 2년 연속(2015년 ▼2.3%, 2016년 ▼5.9%) 감소하여, 전체 에너지 생산은 감소하게 되었음.

‒ 세계 에너지생산 대국인 미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3국의 2016년 세계 원유 생산 비중은 40%에 달하였으며, 미국과 러시아 양국은 세계 천연가스 생산의 40%를 차지하였음.

▣ 바이오・폐기물

¡ 2016년 세계 바이오연료・폐기물 에너지생산은 전년 대비 2.5% 증가하여, 에너 지생산에서 바이오・폐기물 에너지원 비중은 9.8% 수준(2015년: 9.5%)으로 화석 에너지 다음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역할 하였음.

‒ 바이오・폐기물 에너지생산 증가는 2014년 0.9% 및 2015년 1.1%에 이어 3년 연속 증가를 기록하였음.

▣ 원자력

¡ 2016년 원자력 발전은 전년 대비 1.4%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에너지생산 중 원전 비중은 4.9%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미국과 프랑스는 2016년 세계 원자력 발전의 50%를 차지하며 원전 주도국 역 할을 유지하였음.

¡ 중국은 2016년 총 7기의 원전 상업가동을 시작하였으며, 원전 전력의 에너지생 산 비중은 2.4%에 달하게 되었음.

‒ 중국의 가동원전의 설비규모(2016년 말 기준)는 33.6GW(총 35기)에 달하였으며,

“2016년 전 세계 화석에너지의 생산은 전년 대비 1.1% 감소”

“세계

에너지생산에서 바이오・폐기물의 비중은 9.8%로 화석에너지 다음의 높은 비중 차지”

“미국과 프랑스는 2016년 세계 원자력 발전의 50%를 차지하며 원전 주도국 역할을 유지”

(9)

원전설비 비중은 2.0%에 도달하였음.

‒ 2016년 중국의 원전 발전량은 2,105억kWh 규모로 전체 전력생산의 3.6%를 차 지하였음.

¡ 2016년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사태이후 가동 중단되었던 원전 중 1기(시코쿠 전력, 이카타원전 3호기, 890MW)를 재가동 전환하였음.

▣ 수력

¡ 2016년 세계 수력발전은 전년 대비 4.0% 증가하였으며, 에너지생산에서 수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5% 수준으로 2015년 2.4%에 비하여 소폭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음.

¡ 2016년 수력발전 증가는 기상조건의 악화로 2015년 발전량이 1989년 이래 처음 으로 감소(▼0.03%)한 바, 이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됨.

▣ 신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 풍력, 조력 등)

¡ 2016년 현대적 신재생에너지원3)(태양에너지 및 풍력, 지열 등)의 생산규모는 가장 빠른 증가를 시현하였으나, 세계 총에너지 생산비중은 2% 수준을 하회하였음.

‒ 현대적인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광 발전은 2016년 31.1%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풍력발전 14.2%, 태양열 3.2%, 지열 4.0% 증가를 시현하였음.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 Overview”

< 세계 에너지원별 생산 변화추이 비교 >

(단위 : 연평균 증가율, %)

3) 본 분석에서 수력, 바이오・폐기물 에너지원 등을 전통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구분하고, 태양에너지, 풍력, 조력 등을 현대적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함.

“2016년 세계 총에너지에서 현대적

신재생에너지원의 생산비중은 2%수준 하회”

(10)

권역/국가

에너지 총생산 (Mtoe)

원별 에너지생산 구조(%)

석탄 원유 천연

가스 원자력 수력 태양/

풍력1)

바이오/

폐기물

2)

전 세계 13,764.0 26.6 32.5 22.0 4.9 2.5 1.6 9.8 0.0

< 주요 권역 >

・ OECD 4,063.5 20.2 26.9 26.9 12.6 3.0 2.9 7.5 0.0

- 미주 2,584.4 15.0 35.2 31.1 9.6 2.4 1.7 5.1 -

- 아시아/

오세아니아 502.1 58.8 4.1 17.3 9.3 2.1 3.2 5.2 0.0

- 유럽 977.1 14.2 16.8 20.5 22.3 5.1 5.9 15.1 0.1

・ 非OECD 9,700.4 29.2 34.8 20.0 1.7 2.4 1.1 10.7 0.0 - 아프리카 1,107.7 13.7 34.1 15.3 0.4 0.9 0.5 35.3 0.0

- 미주 806.3 7.7 49.2 18.5 0.8 7.2 1.0 15.6 0.0

- 아시아

(중국제외) 1,520.1 39.5 11.6 18.0 1.3 2.0 2.3 25.3 -

- 유럽/

유라시아 1,862.4 16.3 37.5 38.9 4.3 1.5 0.1 1.4 0.1

- 중동 2,043.4 0.0 74.9 24.9 0.1 0.1 0.0 0.0 -

< 주요 국가3) >

・ 중국 2,360.5 72.8 8.5 4.9 2.4 4.2 2.5 4.8 -

・ 미국 1,915.7 18.2 29.2 32.8 11.4 1.2 1.9 5.3 -

・ 러시아 1,373.7 15.2 40.1 39.2 3.8 1.2 0.0 0.6 -

・ 인도 670.6 - 88.9 11.1 - - 0.0 - -

・ 캐나다 557.5 48.7 7.4 4.7 1.8 2.1 1.0 34.4 -

・ 인도네시아 475.7 6.3 47.1 30.7 5.5 7.0 0.6 2.7 -

・ 이란 434.3 57.3 9.8 14.9 - 0.4 4.2 13.4 -

・ 호주 391.1 0.2 55.6 43.2 0.4 0.4 0.0 0.1 -

・ 브라질 390.5 74.8 4.5 18.6 - 0.3 0.5 1.3 -

・ 나이지리아 283.3 0.9 47.4 7.1 1.5 11.6 1.3 30.2 0.0

・ UAE 239.8 0.0 38.5 13.7 - 0.2 - 47.6 -

・ 이라크 236.7 - 79.1 20.9 - - 0.0 - -

・ 카타르 233.6 - 97.2 2.7 - 0.1 - 0.0 -

・ 노르웨이 228.4 - 34.2 65.8 - - - - -

・ 멕시코 208.0 0.3 43.9 49.2 - 5.9 0.1 0.6 0.0

・ 쿠웨이트 180.5 3.9 69.1 16.9 1.5 1.5 2.4 4.8 -

・ 베네수엘라 174.5 - 91.9 8.1 - - 0.0 - -

・ 남아공 168.4 0.3 83.1 12.7 - 3.5 - 0.4 -

・ 카자흐스탄 162.9 88.8 0.2 0.6 2.4 0.0 0.5 7.6 -

주 : 1) 태양광(열), 풍력, 지열, 조력, 파력, 해양 및 기타(연료 전지 등) 2) 목재, 목재폐기물, 산업/도시 폐기물, 바이오 가스, 액체 바이오연료 등 3) ‘주요 국가’는 2016년 에너지 생산 기준 상위 10개국으로 함.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를 기초로 저자 재구성

< 2016년 주요 권역 및 국가별 에너지생산 구조 >

(단위 : Mtoe, %)

(11)

2. 에너지 수출입 및 구조 변화

4)

▣ 에너지 수출 규모 및 구조 변화

¡ 2016년 세계 에너지수출 규모는 5,617Mtoe 규모로 2015년 대비 3.7% 증가하였 으며, 1차에너지 소비(13,761Mtoe)의 40.8%에 달하는 규모였음.

‒ 세계 에너지 수출입이 에너지생산 및 1차에너지 소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에너지 생산・공급 국가와 소비국의 자원부존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임.

‒ 한편,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에너지수출 규모가 크게 나타나는 국가(대표적으로 한국)는 수입에너지(예: 원유)를 최종 에너지제 품(예: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여 수출한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됨.

・ 한국은 2016년 310.8Mtoe의 에너지를 수입하여, 세계 에너지수입에서 5.6%를 점유하였으며, 동시에 에너지수출 규모가 64.3Mtoe 규모로 세계 에너지 수출 에서 1.1%를 차지하였음.

¡ (OECD국가) 2016년 OECD국가의 에너지수출 규모는 세계 에너지수출의 32.9%를 차지한 반면, 非OECD국가의 수출비중은 2015년 대비 0.21%p 증가하 여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출 역량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었음.

‒ 2016년 OECD 미주국가의 에너지수출 비중은 12.3%에 달하고 있으며, 미국의 에너지수출 비중이 5.9% 규모로 2015년 대비 0.27%p 증가하였음. 이는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 증가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됨.

‒ 2016년 OECD 유럽 국가의 에너지수출 비중은 13.4%를 점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2015년 대비 0.4%p 감소하였음. 이는 OECD 유럽국가의 2016년 에너 지수입 비중이 전년 대비 0.9%p 감소 결과와 연계해 볼 때, OECD 유럽 국가 들이 자체적으로 에너지수급을 해결하는 구조가 심화되었음을 의미함.

‒ 미국은 세계 2위의 에너지소비 대국인 동시에 에너지수출 규모가 330.8Mtoe 수 준에 달하여 세계 3위의 에너지수출국(세계 점유율: 5.9%) 위상을 차지하였음.

¡ (非OECD국가) 2016년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4%증가 하였으며, 세계 에너지수출 비중은 67.1%에 달하여, 非OECD국가가 세계 에너 지공급에서 주축으로 역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非OECD국가 중, 중동지역 국가의 에너지수출 점유율은 2016년 24.7%에 달하 여, 전년(23.1%)대비 세계 에너지공급 역할이 증가하였음.

4) 본 장은 인사이트 제18-39호(11.5일자) pp.3~15를 인용하였으며, 일부 내용은 수정・보완하였음.

“2016년 세계 총 에너지수출 규모는 5,617Mtoe 규모로 2015년 대비 3.7% 증가”

“2016년 非OECD 수출비중이 2015년 대비 0.21%p 증가하여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출 역량이 확대”

(12)

‒ 또한 유럽・유라시아 국가들의 에너지수출 비중은 2015년 16.5%에서 2016년 15.9%수준으로 소폭 감소하였음.

‒ 한편, 러시아는 2016년 세계 에너지수출의 11.5%를 담당하고 있는 세계 제1의 수출국가 위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사우디가 8.5%의 수출 점유율로 2 위의 에너지수출 국가로 역할 하였음.

▣ 에너지수입 규모 및 구조 변화

¡ 2016년 세계 에너지수입 규모는 5,506Mtoe 규모로 2015년 대비 3.3% 증가하였 음. 2016년 세계 에너지수입 규모는 1차에너지 소비(13,761Mtoe)의 40.0%에 수 준이었음.

‒ 2016년 세계 에너지수입의 57.7%는 OECD국가가 차지한 반면, 非OECD국가 의 에너지수입 비중은 42.3%에 불과하였음.

‒ OECD국가의 2016년 세계 에너지생산 점유율은 29.5%에 불과하였으나, 1차에 너지 소비 비중은 38.3%에 달하는 이유로 OECD국가의 에너지수입 비중 (57.7%)이 非OECD국가의 수입비중(42.3%) 보다 월등이 높은 이유가 되었음.

¡ (OECD국가) 2016년 OECD국가의 에너지수입 규모는 3,177.9Mtoe에 달하였으 며, 세계 에너지수입 비중(57.7%)은 2015년 대비 0.9%p 하락하였음.

‒ 2016년 OECD국가의 에너지수입 비중이 하락한 이유는 OECD국가의 에너지 소비 증가 둔화 및 하락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되고 있음.

‒ 특히, 2016년 OECD 유럽국가의 에너지수입 비중은 2015년 대비 0.9%p 하락 하였으며, 에너지소비 대국인 일본의 에너지수입 규모도 2015년 427.1Mtoe에 서 2016년 1.9% 하락하였음.

‒ 반면, 2016년 미국의 에너지수입은 595.9Mtoe 규모로 전년 대비 6.2% 증가하 였으며, 미국의 세계 에너지수입 비중은 10.8%에 달하였음.

¡ (非OECD국가) 2016년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5.5% 증 가하였으며, 세계 에너지수입 비중은 42.3%에 달하였음.

‒ 특히, 非OECD 아시아지역 국가(중국 제외)의 세계 에너지수입 점유율은 18.0%에 달하여, 아시아 국가들의 에너지자원 부존 빈약도를 반영하고 있음.

‒ 중국은 세계 제1의 에너지소비 대국으로 에너지수입은 2016년 632.5Mtoe 수준 에 달하였으며, 특히 2016년 수입이 전년 대비 15.6%의 증가를 기록하였음.

・ 2016년 중국의 세계 에너지수입 점유율은 11.5%로 2015년 대비 1.2%p 증가 하였고, 중국의 에너지소비 증가 속도는 자국의 에너지생산 증가 속도를 초월 하고 있기에 세계 에너지무역 구조에 가장 큰 변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2016년 세계 총 에너지수입 규모는 5,506Mtoe 규모로 2015년 대비 3.3% 증가”

“2016년

OECD국가의 세계 에너지수입 점유율(57.7%)은 전년 대비 0.9%p 하락”

“2016년 非OECD국가의 에너지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5.5%증가”

(13)

・ 중국의 1차에너지 소비는 1990~2016년 기간 중 연평균 4.8% 증가한 바 있으 며, 2016년 소비는 전년 대비 1.1% 감소하였음.

・ 반면, 에너지생산은 1990~2016년 기간 중 3.9% 증가하였고, 2016년 에너지생 산 규모는 전년 대비 6.1% 감소하였음.

・ 2016년 중국의 에너지생산 감소는 에너지수입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판단되 고 있으며, 중국의 석탄산업 구조조정이 심화될 경우 에너지수입 규모와 세 계 에너지수입 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됨.

권역

수출 수입

2015년 2016년 증감률%

(’16/’15) 2015년 2016년 증감률%

(’16/’15) 전 세계 5,416.2 5,616.9 ▲ 3.7 5,329.4 5,505.5 ▲ 3.3

< 주요 권역 >

・ OECD 1,791.2 1,845.7 ▲ 3.0 3,123.3 3,177.9 ▲ 1.7

- 미주 652.9 691.6 ▲ 5.9 743.6 796.0 ▲ 7.0

- 아시아/

오세아니아 389.4 400.9 ▲ 2.9 806.7 808.3 ▲ 0.2

- 유럽 748.8 753.2 ▲ 0.6 1,573.1 1,573.6 ▲ 0.0

・ 非OECD 3,625.1 3,771.2 ▲ 4.0 2,206.1 2,327.6 ▲ 5.5

- 아프리카 488.8 468.9 ▽ 4.1 176.8 189.3 ▲ 7.1

- 미주 348.4 339.8 ▽ 2.5 180.2 170.7 ▽ 5.3

- 아시아

(중국제외) 586.9 611.2 ▲ 4.1 950.2 989.9 ▲ 4.2

- 유럽/

유라시아 891.8 892.1 ▲ 0.0 189.7 183.0 ▽ 3.5

- 중동 1,250.1 1,385.6 ▲10.8 132.5 131.8 ▽ 0.5

< 주요 국가* >

・ 러시아 631.7 648.0 ▲ 2.6 27.6 23.5 ▽14.7

・ 사우디 453.3 475.8 ▲ 5.0 30.2 28.9 ▽ 4.3

・ 미국 304.3 330.8 ▲ 8.7 560.9 595.9 ▲ 6.2

・ 호주 297.9 308.6 ▲ 3.6 48.3 48.9 ▲ 1.1

・ 캐나다 275.6 284.3 ▲ 3.2 87.0 88.1 ▲ 1.2

・ 중국 58.0 73.2 ▲26.2 547.0 632.5 ▲15.6

・ 일본 19.0 19.2 ▲ 1.0 427.1 418.9 ▽ 1.9

・ 인도 64.5 69.8 ▲ 8.1 373.3 384.4 ▲ 3.0

・ 한국 62.8 64.3 ▲ 2.4 299.8 310.8 ▲ 3.7

주 : *‘주요 국가’는 2016년 에너지수출량 상위 5개국 또는 수입량 상위 5개국으로 함.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를 기초로 저자 재구성

< 주요 권역 및 국가별 에너지수출입 변화(2015~2016년) >

(단위 : Mtoe)

“2016년 중국의 세계 에너지수입 점유율은 11.5%

수준으로 2015년 대비 1.2%p 증가”

(14)
(15)

3. 세계 및 권역별 1차에너지 소비 변화

5)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구조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는 13,761Mtoe 규모로 전년 대비 0.7% 증가하였으 며, 1990년 이후 연평균 1.8% 증가추세를 기록하였음.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석유 의존도는 31.9%에 달하였으며, 석탄 27.1%, 천연가스 22.1%, 바이오・폐기물 9.8%, 원자력 4.9%, 수력 2.5%, 현대적 신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풍력 등) 1.6% 순의 의존도를 기록하였음.

‒ 세계 화석에너지(석탄, 석유, 천연가스) 의존도는 81.1%에 달했으며, 원자력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수력, 태양에너지, 풍력, 바이오・폐기물 등)의 1차에너지 비중은 13.9%에 달하였음.

‒ (석탄) 1990~2016년 기간 동안 세계 석탄소비(1차에너지 소비 기준)는 연평균 2.0% 속도로 성장하였으나, 2016년에는 전년 대비 3.1% 감소한 3,730.9Mtoe 를 기록함.

・ 석탄에너지 소비 감소는 OECD국가에서 두드러져서, 1990년 세계 석탄 소비 의 48.6%를 차지하던 OECD국가의 소비 비중은 2016년 23.9%까지 축소되었 음.

‒ (석유) 2016년 석유소비 규모는 전년 대비 1.0% 증가하여 4,390.2Mtoe를 기록 하였으며, 1차에너지의 석유 비중은 31.9%를 차지하였음.

・ 석유소비는 1990년 이후 2016년까지 연평균 1.2%의 증가율을 시현하였으며, 세계 석유에너지 의존도는 1971년 44%수준에서 12.1%p 축소되었음.

¡ 1990년 이후 세계 에너지소비 변화 특성은 증가는 지속되고 있으나, 증가추세가 OECD국가와 非OECD국가 모두에서 둔화되었으며, 화석에너지 의존도의 구성 이 변화된 반면, 신재생에너지원의 역할이 증대되었다는 점임.

‒ 세계 1차에너지 소비의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1971년 86%에서 2016년 81.1%

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OECD국가의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동기간 크게 감축되 었음.

・ 2016년 OECD국가의 화석에너지 소비규모는 4,500.6Mtoe로 2010년 대비 4%

감소하였으나, 2016년 非OECD국가의 화석에너지 소비규모는 6,644.9Mtoe로 2010년 대비 10.8% 증가하였음.

5) 본 장은 인사이트 제18-41호(11.19일자) pp.3~16를 인용하였으며, 일부 내용은 수정・보완하였음.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의 원별 의존도는 석유 31.9%, 석탄 27.1%, 천연가스 22.1% 등”

“1990년 이후 세계 에너지소비 증가는 지속되고 있으나,

증가추세는 OECD・非OECD국 가 모두 둔화”

(16)

주 : *석탄에 토탄 및 셰일오일 포함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 Overview”

< 에너지원별 1차에너지 소비 구조 변화(1971년, 2016년) >

▣ OECD국가 1차에너지 소비 변화

¡ 2016년 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0.1% 증가하였으며, 1990~

2016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율(0.6%) 대비 증가추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됨.

‒ 2016년 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 중 석유 의존도는 36.0%에 달하였으며, 석탄 16.9%, 천연가스 27.0%, 원자력 9.7%, 바이오・폐기물 5.9%, 수력 2.3%, 현대적 신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풍력 등) 2.2% 순의 의존도를 기록하였음.

‒ OECD국가의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79.8%에 달하는 반면, 非OECD국가의 화 석에너지 의존도는 81.0% 수준으로 1.2%p 차이를 시현하였음.

・ 특히, OECD 유럽국가의 화석에너지 비중은 72.1% 수준으로 非화석에너지화 가 他권역에 비하여 앞서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석탄) 2016년 OECD국가의 석탄 소비규모는 892.9Mtoe로써, 1990~2016년 기 간 동안 연평균 0.7% 감소하여 1990년의 1,078.5Mtoe 대비 82.8%에 수준에 머물렀음.

・ OECD 유럽국가의 석탄 소비는 1990~2016년 동안 연평균 1.9%의 속도로 감 소되었고, OECD 미주 지역도 동기간동안 연평균 1.0%의 감소세를 기록하였 음.

‒ (석유) OECD국가의 석유소비 규모는 2000년 2,116.7Mtoe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로 진입하여 2016년에는 1,896.3Mtoe를 기록하였음.

・ 특히, 석유소비 하락추세는 OECD 유럽국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석유 소비 규모는 1990~2016년 기간 동안 마이너스 성장(-0.3%)을 기록하였음.

“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2016년 0.1%

증가하는 데 그쳐 1990~2016년 기간 대비 증가추세가 둔화”

(17)

‒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OECD국가 점유율은 1971년 61%에서 2016년 38%로 감소하여, 非OECD 아시아국가 비중(35%)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음.

2016년 세계 인구 중 OECD국가 인구 비중은 17% 수준이며, GDP 비중은 45%에 달하고 있음.

・ (OECD 미주) OECD 미주 국가의 2016년 1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0.7%

감소를 기록하여, 1990년 이후 연평균 0.6% 증가 추세에서 하락 반전되는 특성을 시현하였음.

・ (OECD 유럽) 2016년 유럽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0.9% 수준의 증가를 기 록하였으며, 1990년 이후 평균증가 속도(0.2%)를 상회하는 증가추세를 시현 하였음.

・ (OECD 오세아니아・아시아) 2016년 OECD 오세아니아·아시아 국가의 1차에 너지 소비 증가는 1.2% 수준을 기록하여 OECD국가 평균수준을 상회하였으 나, 1990년 이후 평균증가 속도(1.2%)에 비하면, 속도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 되고 있음.

‒ 2017년 OECD국가의 1인당 에너지소비(1차에너지소비/인구)는 4.1toe 수준으 로 전 세계 1인당 소비(1.8toe)에 비해 월등이 높은 소비수준을 기록하였음.

・ OECD국가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높은 소득수준(1인당 GDP) 및 전력화율(≒

100%), 가구당 높은 자동차 보유율, 산업・서비스부문 고도화, 높은 난방도일 등이 집약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음.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 Overview”

< 세계 1차에너지 소비의 권역별 점유율 변화(1971년, 2016년) >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OECD국가의 점유율은 1971년 61%에서 2016년 38%로 감소”

“2017년 OECD국가의 1인당 에너지소비는 4.1toe로 전 세계 (1.8toe)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

(18)

▣ 非OECD국가 1차에너지 소비 변화

¡ 非OECD국가의 2016년 1차에너지 소비는 0.9%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세계 1차 에너지 소비 중 非OECD국가 비중은 1990년 46.0%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하여 2016년 점유율은 58.8%에 달하였음.

‒ 1990~2016년 기간 중 非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2.7%로 증가 하였으나, 2016년 증가율은 1%이내에서 안정화되는 모습이 시현되었음.

‒ 2016년 非OECD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 중 석유 의존도는 25.9%에 달하였으며, 석탄 35.1%, 천연가스 20.0%, 바이오・페기물 12.8%, 수력 2.8%, 원자력 2.1%, 현대적 신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풍력 등) 1.3% 순의 의존도를 기록하였음.

‒ (석탄) 非OECD국가의 1990~2016년 기간 중 석탄소비는 3.6% 증가세를 보였 으나, 2014년부터 소폭의 하향세를 보이며 2016년에는 전년 대비 2.3% 감소한 2,838.0Mtoe를 기록하였음.

・ 2016년 중국은 세계 석탄 소비의 51.4%를 차지한 최대 석탄소비 국가로서, 1 차에너지 소비 중 석탄 비중은 1971년 29%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 년에 71%에 도달한 바 있으며, 이후 감소하여 2016년 64.8% 수준에 머물고 있음.

‒ (석유) 非OECD국가의 석유소비 규모는 1990~2016년 연평균 2.3% 속도로 지 속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2016년에도 전년 대비 1.5% 증가한 2,095.5Mtoe를 기록하였음.

・ 非OECD국가의 석유소비 규모는 1990~2016년 기간 동안 연평균 2.3% 증가 하며, 2016년 1차에너지 소비 중 석유 비중은 1990년의 1.8배에 달하였음.

・ 중국은 1990~2016년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국가로 동기간 연 평균 6.0%씩 증가하였으며, 증가 추세는 2014~2015년 5.8%, 2015~2016년 기 간 중 2.1% 수준으로 둔화되었음.

・ 2016년 중국의 석유소비 규모는 1990년보다 4.5배 이상 증가한 545.0Mtoe를 기록하였고, 미국에 이어 두 번째 석유 다소비 국가 자리를 차지하였음.

¡ (非OECD아시아) 2016년 非OECD 아시아국가(중국 제외)들의 1차에너지 소비 증가는 3.3%에 달하여 他권역의 1차에너지 소비 증가속도를 초월하였음.

‒ 非OECD 아시아국가의 에너지소비는 1971~2016년 기간 동안 7배 증가했고, 동기간 세계 1차에너지 점유율은 3배가량 확대되었음.

¡ (非OECD 유럽・유라시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非OECD 유럽・유라시아 국 가의 2016년 에너지소비 비중은 8%로 1971년 16%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했지 만, 이들 국가들의 1차에너지 소비규모는 1,130Mtoe에 달하였음.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非OECD국가 비중은 1990년 46.0% 에서 2016년 58.8%로 증가”

“2016년 중국제외 非OECD 아시아 국가의 1차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3.3%로 他권역 1차에너지 소비 증가속도를 초월”

(19)

▣ 상위 10개국 및 5개국의 1차에너지 소비 변화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에서 상위 10개국의 점유율은 62% 수준으로, 1971 년 56%에서 크게 확대되어 세계 에너지소비의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었음.

‒ 중국은 인구 비중이 20%, 에너지소비 비중은 22%에 달한 반면, 인도의 인구 비중은 19%에 달하고 있으나, 에너지소비 비중은 6%에 불과하였음.

‒ 반면,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의 미국 점유율은 16%에 달하였으며, 인구 비중은 5% 불과하였음.

¡ 2016년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상위 5개국의 점유율은 52%에 해당하며, 이들 국가의 세계 GDP 비중은 48%, 인구 비중은 44%에 해당하였음.

‒ 인도와 러시아, 일본의 1차에너지 소비는 862Mtoe, 732Mtoe, 426Mtoe 규모로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점유율은 각각 6%, 5%, 3% 수준을 기록하였음.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 Overview”

< 1차에너지 소비 상위 5개국의 인구 및 GDP의 상대적 비중(2016년) >

“상위 10개국의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중 점유율은 2016년 62%로, 1971년 56%에서 크게 확대”

(20)

권역/국가

1차에너지 총 소비

(Mtoe)

원별 비중(%)

석탄 석유 가스 원자력 수력

태양 풍력 기타1)

바이오 폐기물

2)

전력

전 세계 13,761.45 27.1 31.9 22.1 4.9 2.5 1.6 9.8 0.0 0.0

< 주요 권역 >

・ OECD 5,274.78 16.9 36.0 27.0 9.7 2.3 2.2 5.9 0.0 0.0 - 미주 2,669.68 14.2 37.1 30.7 9.3 2.3 1.6 4.9 0.0 - - 아시아/

오세아니아 881.73 27.9 39.2 21.5 5.3 1.2 1.8 3.1 -0.1 0.0 - 유럽 1,723.37 15.6 32.5 24.0 12.6 2.9 3.4 9.0 0.0 0.0

・ 非OECD 8,088.17 35.1 25.9 20.0 2.1 2.8 1.3 12.8 0.0 0.0 - 아프리카 817.82 13.2 22.6 14.1 0.5 1.2 0.6 47.7 0.1 0.0 - 미주 617.06 4.1 41.6 22.3 1.0 9.4 1.3 20.2 0.0 0.0 - 아시아

(중국제외) 1,816.27 31.2 29.3 13.8 1.1 1.7 1.9 21.1 0.1 - - 유럽/

유라시아 1,130.39 18.8 22.7 46.8 7.1 2.4 0.2 2.2 -0.2 0.1

- 중동 734.09 0.4 43.3 55.5 0.2 0.3 0.1 0.1 0.1 -

< 주요 국가3) >

・ 중국 2,958.01 64.8 18.4 5.8 1.9 3.4 2.0 3.8 0.0 -

・ 미국 2,166.62 15.8 36.3 30.1 10.1 1.1 1.6 4.7 0.2 -

・ 인도 862.39 44.0 25.1 5.5 1.2 1.4 0.7 22.2 0.0 -

・ 러시아 732.36 15.5 23.7 50.7 7.0 2.2 0.0 1.1 -0.2 -

・ 일본 425.61 26.9 41.5 23.9 1.1 1.6 1.8 3.3 - -

・ 독일 310.12 24.9 32.7 22.7 7.1 0.6 3.5 9.9 -1.4 0.0

・ 브라질 284.52 5.6 38.4 10.5 1.5 11.5 1.3 30.0 1.2 0.0

・ 한국 282.41 28.9 38.9 14.6 15.0 0.1 0.3 2.3 - 0.0

・ 캐나다 280.10 6.1 35.2 33.8 9.4 11.9 1.1 4.6 -2.0 -

・ 이란 247.66 0.4 31.1 67.2 0.7 0.6 0.0 0.2 -0.1 -

・ 프랑스 244.26 3.5 28.5 15.7 43.0 2.1 1.2 7.4 -1.5 -

・ 인도네시아 230.15 18.8 30.5 17.0 - 0.7 8.0 25.0 0.0 -

・ 사우디 210.43 - 64.8 35.3 - - 0.0 0.0 - -

・ 멕시코 185.16 6.7 47.6 35.7 1.5 1.4 2.3 4.7 0.0 -

・ 영국 178.89 6.6 34.0 38.8 10.5 0.3 2.3 6.8 0.8 -

・ 이탈리아 150.98 7.3 34.1 38.5 - 2.4 6.1 9.5 2.1 -

・ 나이지리아 149.96 0.0 14.3 9.3 - 0.3 - 76.1 - -

・ 남아공 140.45 69.9 15.3 3.2 2.8 0.0 0.6 8.7 -0.4 -

・ 태국 138.53 11.1 40.0 26.7 - 0.4 0.2 20.4 1.1 -

・ 터키 136.72 28.1 30.8 28.0 - 4.2 6.4 2.3 0.3 -

주 : 1) 태양광(열), 풍력, 지열, 조력, 파력, 해양 및 기타(연료 전지 등) 2) 목재, 목재폐기물, 산업/도시폐기물, 바이오가스, 액체 바이오연료 등 3) ‘주요 국가’는 2016년 1차에너지 소비량 기준 상위 20개국으로 함.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s: Overview”를 기초로 저자 재구성

< 2016년 세계 권역 및 주요 국가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구조 >

(단위 : Mtoe, %)

(21)

4. 최종에너지 소비구조 변화

▣ 2016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 2016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는 9,555Mtoe 규모로 전년 대비 1.4% 증가하였고, 1990년 이후 2016년 까지 연평균 1.6% 증가속도로 증가하여 왔음.

‒ 1990~2016년 기간 동안 권역별 최종에너지 소비변화 특성은 OECD국가 및 OECD유럽국가의 소비증가가 각각 0.6% 및 0.3% 소비증가로 매우 안정화되는 모습을 시현하였으나, 非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는 2.4%로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하였음.

‒ 1990년 이래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중 산업부문의 비중 변화는 정체상태를 유 지하였으나, 수송 부문과 가정 부문 비중은 각각 3.7% 증가 및 2.9% 감소를 기 록하여 수송부문의 에너지소비 비중 심화가 나타났음.

‒ 한편, 세계 非에너지 소비(석유화학 산업 feedstock 및 철강 산업 cokes 등)는 연평균 1.5%증가하였으며, 최종에너지 소비 중 非에너지 소비 비중은 7.7%에 서 2016년 9.1%수준으로 확대되었음.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 Overview”

< 세계 권역별 최종에너지 소비변화 추이(1971~2016년) >

(단위 : Mtoe)

¡ 1990년 이후 산업부문은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28%의 소비비중을 차지하고 있 으며, OECD국가 및 非OECD국가별로 다른 변화특성을 시현하였음.

¡ (수송부문) 최종에너지소비 중 수송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25.0%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 28.8% 수준을 차지함.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는 1990~

2016년 연평균 1.6% 증가”

“非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는 2.4%로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

(22)

¡ (가정・상업부문) 가정・상업 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는 1990년 이래 연평균 5.2%

의 감소를 시현하였고, 특히, 가정 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는 2.9% 감소하였음. 이 의 결과로 가정 및 상업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은 1990년 38.6% 수준에서 2016년 21.6%로 하락하였음.

▣ 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변화

¡ 2016년 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2015년 대비 0.6%(37Mtoe) 증가한 3,669Mtoe를 기록하였음.

‒ 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가 낮은 이유는 OECD 역내 국가들이 추진 하고 있는 에너지효율 개선활동의 결과로 판단되고 있음.

¡ 2016년 OECD국가의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는 수송부분(▲19Mtoe)이 견 인하였으며, 반면 산업 부문에서는 5.3%의 소비감축이 시현되었음.

‒ (수송부문) 수송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높은 증가율 로 2016년 최종에너지소비 중 33.7%를 차지하였음.

・ 수송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는 멕시코, 폴란드, 터키, 미국 등에서 크게 신장되 었음.

‒ (산업부문) 2016년 산업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 비중은 21.7%로써, 수송부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음.

자료 : IEA(2018), “World Energy Balance: Overview”

< 2016년 OECD국가의 부문별 최종에너지소비 >

(단위 : 에너지원별 비중, %)

‒ (가정부문) OECD국가의 주거용 에너지소비는 1990년 이후 0.7% 감소추세를 시현하여, 2016년 가정부문의 최종에너지 비중은 1990년 19.4%에서 2016년 18.6%로 소폭 감소하였음.

・ 2016년 가정 및 상업 부문의 에너지소비 중 전력 비중은 각각 27%와 52%를 차지하였음.

“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가 낮은 이유는 OECD국가의 에너지효율 개선활동의 결과”

(23)

▣ 非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변화

¡ (非OECD국가) 1990년 이후 非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산업 및 수송 부문 중심으로 소비구조가 재편되는 구조 조정이 시현되었음. 이 결과 非OECD 국가의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은 1990년 47.2%에서 1990년 57.4%로 증가 하여 OECD국가의 비중과 역전되었음.

‒ 산업 부분은 많은 저개발국 경제의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에너지소비 증가가 수반되어, 1990년 이후 연평균 3% 수준의 소비증가 추세가 유지되었고, 이에 따라 에너지소비 비중은 1990년 32.7%에서 2016년 35.7%로 확대되었음.

‒ 특히, 수송 부문은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물류 수요 증가로 에너지소비는 연 평균 5.8% 증가를 기록하였음. 수송부문의 에너지 소비비중은 1990년 14.5%에 서 2016년 20.3%로 증가하였으나, 동 수송비중은 OECD 비중(33.7%)에 비하 여 아직까지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 (非OECD 아시아) 非OECD 아시아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1971~2016년 기 간 동안 5배 증가하였으며, 특히 산업 부문 에너지소비는 동기간 7배 증가하면 서 2016년 산업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이 30.7%에 달하였음.

‒ 1990~2016년 기간 동안 가정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비중은 44.8%에서 29.7%

로 급감한데 반해, 수송부문의 비중은 12.8%에서 20.3%로 크게 증가하는 구조 변화가 시현되었음.

‒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중 非OECD 아시아국가의 비중은 1990년 8.6%에서 2016년 13.2% 수준으로 증가하였음.

“1990년 이후 非OECD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산업 및 수송부문 중심의 소비구조로 재편”

“특히 非OECD 아시아국가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1971~2016년 기간 5배 증가”

(24)
(25)

5. 세계 전력수급 구조 변화

6)

▣ 2016년 세계 전력 생산 현황 및 구조 변화

¡ 2016년 세계 총 전력 생산은 25,082TWh 규모로 1974년(4,298TWh) 이후 연평균 3.3%, 2015년 대비 2.9% 증가하였음.

‒ 세계 전력 생산은 OECD국가의 경제 위기로 현저히 감소했던 2008~2009년 기간 을 제외하고 1974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시현하였으며, 2016년 발전량 규모 는 1974년 대비 4배가량 증가하였음.

‒ 2016년 세계 전력 생산량 중 非OECD국가의 비중은 56.2%로, 1974년 28.0%에 비해 2배가량 확대되었음.

・ OECD국가와 非OECD국가의 1974~2000년 기간 중 전력 생산 연평균 증가율 은 각각 3.0%, 4.6%를 기록하였으나, 2000~2010년 기간 중에는 非OECD국가 의 연평균 증가율(6.4%)이 OECD국가의 증가율(1.1%)을 압도적으로 능가하였 음.

・ 2010~2016년 기간 중 OECD국가의 전력 생산은 소폭 증가(연평균 0.1% 증 가)한데 반해, 非OECD국가는 연평균 4.8%의 증가세를 기록함에 따라 2011 년부터는 非OECD국가의 전력 생산이 OECD국가의 생산 규모를 추월하였음.

¡ 2016년 세계 전력 생산의 에너지원별 발전비중은 화력발전이 67.3%, 수력(양수 발전 포함) 16.6%, 원전 10.4%, 재생에너지원 5.6% 등이었음.

‒ (화력발전) 세계 전력 생산에서 화석연료 발전량은 16,320TWh(전원비중:

65.1%)에 해당하며, 바이오・폐기물 발전량이 571TWh(2.3%)를 차지하였음.

・ 전 세계 국가의 화력발전(화석연료 및 바이오폐기물) 의존도는 완만한 감소 추세를 시현하였으나, 2016년 전력생산의 화력발전 의존도는 67.3%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OECD국가의 전력생산 화석연료 의존도는 57.1%인 반면, 非OECD국가의 의 존도는 71.3%에 달하였음.

‒ (수력) 2016년 전 세계의 수력 발전 규모는 4,170TWh(전원비중: 16.6%) 수준 으로 수력발전은 화력발전 다음의 전원으로 역할 하였음.

・ OECD국가의 수력발전 의존도는 13.4% 수준인 반면, 非OECD국가의 수력발 전 의존도는 19.1%에 달하였음.

‒ (원전) 2016년 세계 원전 발전 규모는 2,606TWh(전원비중: 10.4%) 수준으로

6) 본 장은 인사이트 제18-36호(10.15일자) pp.3~16를 인용하였으며, 일부 내용은 수정・보완하였음.

“세계 총 전력 생산은 2016년 25,082TWh 규모로 1974년 이후 연평균 3.3%

증가”

“2016년 세계 에너지원별 발전비중에서 화력발전은 6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26)

원전은 3번째 전원으로 역할 하였으며, 전원 비중은 OECD국가와 非OECD국 가 간에 현격한 격차를 시현하였음.

・ 2016년 OECD국가의 원전 전원비중은 17.7%에 달하는 반면, 非OECD국가의 비중은 4.6%에 불과하였음. 이는 프랑스를 비롯한 OECD유럽 일부 국가의 높은 원전 의존도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됨.

2016년 기준 프랑스의 원전 발전량 규모는 403TWh 수준으로 전 세계 원전

발전량(2,606TWh)의 15.5%를 차지하였으며, 프랑스 전력생산의 원전 의존도는 72.5%에 달하였음.

‒ (재생에너지) 2016년 세계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지열) 발전량 규모는 1,416TWh(5.6%) 수준에 달하였으며, 그중 태양광・풍력발전이 1,334TWh 규모 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94.2%를 차지하였음.

・ 2016년 OECD국가의 재생에너지원 전원비중은 9.6%에 달하였으며, 특히 OECD 유럽국가의 전원 비중은 12.2%에 달하였음.

・ 반면, 非OECD국가의 재생에너지 전원 비중은 3.5%에 불과하였음.

자료 : IEA(2018), “Electricity Information: Overview”

< 2016년 세계 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 >

¡ 세계 전력생산 대국별 발전 비중을 살펴보면 2016년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일본 등 5개국의 발전량 규모는 전 세계 발전량의 56.5%를 차지하고 있음.

‒ 2016년 중국의 발전량은 6,218TWh 규모로 세계 발전량의 24.8%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화석연료 발전량은 4,422TWh 규모(전원비중: 71.1%)로 세계 화석연료 발전량의 27.1%를 중국이 홀로 점유하였음.

・ 2016년 중국의 수력 발전량은 1,193TWh 규모(전원 비중: 19.2%)에 달하며, 중국의 세계 수력발전 점유율은 28.6%를 기록하였음.

・ 한편, 중국의 재생에너지 전원 비중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높은 OECD 국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5.0%)에 머물렀음.

‒ 2016년 미국의 발전량 규모는 4,322TWh 수준으로 세계 총 전력 생산량의

“태양광・풍력 발전은 2016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94.2%를 차지”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일본 등 5개국은 2016년 전 세계 발전량의 56.5%를 차지”

(27)

17.2%를 차지하면서 세계 2위의 전력 생산국의 위치를 유지하였음.

자료 : IEA(2018), “Electricity Information: Overview”

< OECD국가의 전원별 분담률 추이(1974~2017년) >

(단위 : %)

자료 : IEA(2018), “Electricity Information: Overview”

< 2016년 OECD 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 >

・ 미국의 화석연료 화력발전 의존도는 64.9% 수준이며, 세계 화석연료 발전량 에서 미국 점유율은 17.2% 수준을 유지하였음.

・ 2016년 미국의 원전 발전량의 규모는 839.9TWh에 달하였으며, 원전 전원비 중은 19.4% 수준으로 전 세계 원전 발전량의 32.2%를 점유하며 세계 1위의 원전 발전국의 위상을 유지하였음.

‒ 2016년 인도의 발전량 규모는 1,478TWh 수준으로 화석연료 의존도가 81.2%

로 전력생산 대국 중에서 가장 높은 화석연료 의존도를 시현하였음.

・ 세계 전력 생산에서 인도의 전력생산 점유율은 5.9%에 해당하나, 높은 화석 연료 의존도로 인해 인도의 세계 화석연료 발전 점유율은 7.4%를 차지하였음.

¡ 2010년 이후 전환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독일과 원전에 크게 의존하는 프랑스는

“2016년 기준 중국과 미국의 세계 발전량 비중은 각각 24.8%, 17.2%를 차지”

“인도는 2016년 총 발전량 중 화석연료 의존도가 81.2%로,

전력생산 대국 중에서 가장 높은 화석연료

의존도를 시현”

참조

관련 문서

매출 낮은 매출 급속한 매출 증가 최고 매출 매출 감소. 비용 고객당 높은 비용 고객당 평균 비용 고객당 낮은 비용

지속적으로 농업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민간 부문 특히 생산자와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간의 공동 협력의 결과로 자금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이 자료에는 화학회사나

한국은 기온이 낮아 사탕수수에 부적합 한 기후대가 분포하고 있어 국내 설탕시장에서는 사탕수수 및 사탕무를 재배하는 국가 에서 원당을 수입하여 이를 가공하여

호주산 우라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호주 정부는 주요 수출에너지원인 우라늄을 단순히 생산된 상태로 수출하는 것보다는 농축(enrichment)과정을 거쳐 보 다 높은

 자원보유국이 필요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개발 경험과 대외경제협력 기금 지원을 통해 win-win 전략 도모.  정책자금과 연계한 은행권의 협조융자 제도와

지난 현안 이슈분석에서는 몽골 남부지역 자원개발에 필요한 기반 시설 구축에 있어, 철도 및 도로 건 설과 발전설비를 중심으로 인프라 현황, 개발 계획 그리고

한편, 현대와 기아차에 더불어 Big 3의 캐나다 판매 확대는 이들 회사에 주로 제품을 납품하는 한국 중소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캐나다 애프터마켓 부품 시장 진출

•웹사이트의 페이지뷰, 사용자별 페이지뷰, 접속장소 및 방식, 시간별 페이지뷰, 방문자수 등에 대한 현황 및 추세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