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커피전문점 현황 및 시장여건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커피전문점 현황 및 시장여건 분석"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B연구보고서

2019-29호

KB 자영업 분석 보고서 ③

커피전문점 현황 및 시장여건 분석

2019. 11.6

연구위원 김태환

Ⅰ. 우리나라의 커피 소비

Ⅱ. 커피전문점 현황 및 영업특성

Ⅲ.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

Ⅳ. 커피수요의 특징

Ⅴ. 커피전문점 시장여건 진단

(2)

[ Executive Summary ]

우리나라의 커피 소비

 커피 소비가 대중화되면서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8년 기준 연 간 353잔 수준으로 세계 평균 소비량을 크게 상회

 2018년 가구의 커피 관련 평균 소비지출은 월 15,815원으로 지난 5년간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매출액 기준 전체 시장의 62.5%는 커피전문점 매출이 차지

커피전문점 현황 및 영업특성

 2019년 7월 현재 전국에서 7.1만개의 커피전문점이 영업중이며 전체 매장의 41.2%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집중

 시군구별로 커피전문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이며 인구 대비 매장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중구

 2018년 커피전문점 창업은 1.4만개, 폐업은 9천개 수준으로 폐업보다 창업이 많 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소규모 매장 창업이 증가

 커피전문점은 음식점 대비 단독 운영 매장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영업시간이 길며 흑자 매장의 영업이익률이 음식점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

 2018년 현재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수는 1.5만개로 외식 프랜차이즈 중 3번째로 많은 수준이며 매장수 증가세가 지속

 폐점 대비 신규 개점 매장수가 많지만 최근 신규 개점은 정체된 가운데 폐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2015년 이후 감소세

커피수요의 특징

 커피에 대한 선호는 30~40대에서 높게 나타나며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습관 처 럼 커피를 마시고 있는 것으로 조사

 집과 커피전문점이 주로 커피를 마시는 장소로 소형 커피전문점 이용 빈도가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의 맛과 접근성이 커피전문점 선택의 핵심 요인

커피전문점 시장여건 진단

 커피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향후 커피전문점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저가 시장과 함께 스페셜티 등 고가 사장도 확대

 양호한 수요여건에도 매장수가 빠르게 증가하며 경쟁이 심화되고 동일 상권 내에 서도 매장별 매출이 큰 차이를 보이는 점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창업 시 상권과 입지, 수요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

(3)

I. 우리나라의 커피 소비

 개화기 일부 상류층을 중심으로 소비되었던 커피가 대중화되면서 현재 우리나라 커피 소비량은 세계 평균 소비량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까지 성장

 2018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이 가장 선호하는 음료는 커피가 39.6%(인 스턴드, 원두 등 커피 26.9%, 커피전문점 등의 커피 12.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8년 기준 연간 353잔 수준으로 세계 평균 소 비량 132잔의 약 2.7배 수준

[그림 1] 가장 선호하는 음료 [그림 2]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주1: 1인당 소비량 = 원두 소비량 / 20세 이상 인구 주2: 10g을 커피 한잔으로 계산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 커피소비가 늘어나면서 커피 수입도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커피 관련 소비지출 액은 5년동안 2배 이상 증가

 커피소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원두를 포함한 볶은 커피 수입량은 2012년 5.4천톤에서 2018년 13.3천톤으로 증가하였으며 2012년 이후 매년 전년 대비 13% 이상 증가

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커피 관련 지출은 2014년 월 7,597원에서 2018년 월 15,815 원으로 5년간 108.2%가 증가

(4)

[그림 3] 볶은 커피 수입량 [그림 4] 커피 및 차 관련 월평균 소비지출액

주: 볶은 커피는 원두와 캡슐커피로 구성 자료: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주: 커피 및 차 관련 소비지출이 없는 가구는 제외 자료: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 커피전문점은 우리나라 커피 관련 매출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는 주요 시장이며 총 매 출규모도 세계 최상위권

 커피시장은 커피제조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도소매점을 통해 유통하는 시장과 커피전문 점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매출액 기준 각 시장의 비중은 37.5%와 62.5% 수준

 우리나라 커피전문점 매출액은 2007년 6억달러에서 2018년 43억달러로 증가하였으 며 매출액 규모는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분석

[그림 5] 커피 유통구조와 채널별 매출 비중 [그림 6]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6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주: 매출액 기준 자료: 유로모니터

(5)

II. 커피전문점 현황

1

및 영업특성

 2019년 7월 현재 전국에서 약 7.1만개의 커피전문점이 영업 중에 있으며 10개 중 4개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영업 중인 매장

 전국 커피전문점수는 2011년에서 2016년까지 매년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하였으 며 2017년 증가세가 둔화된 이후에도 약 8%의 증가율을 지속

 지역별 매장수는 경기(1.5만개)와 서울(1.4만개)이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아 두 지역이 전체 커피전문점 매장수의 41.2%를 차지

[그림 7] 커피전문점수 추이 [그림 8] 지역별 커피전문점 매장수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주: 2019년 7월 기준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 시군구별로는 커피전문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강남구이며, 인구 대비 커피전문 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중구

 2019년 7월 기준 커피전문점수는 서울 강남구가 1,739개로 가장 많고 창원 1,420개, 수원 1,321개, 성남 1,278개 순이며 상위 10개 지역 중 6곳이 서울과 경기지역

 인구 천명당 커피전문점수가 많은 곳은 서울 중구(8.80개), 대구 중구(7.68개), 부산 중구(6.30개), 서울 종로구(5.93개) 순

- 경북의 군지역 중 청송군, 청도군 등은 커피전문점 자체는 많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 어 상위 지역에 포함

1 지방행정 인허가데이터 개방 시스템(www.localdata.kr)에서 제공하는 2019년 7월 기준 음식업 인허가 자료 중 업태가 ‘다방’, ‘카페’, ‘커피숍’으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

(6)

[그림 9] 지자체별 커피전문점수 상위 지역 [그림 10] 지자체별 천명당 커피전문점수 상위 지역

주: 2019년 7월 기준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주1: 2019년 7월 기준

주2: 지역별 인구는 주민등록인구 기준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통계청, 주민등록인구 통계

 서울과 광역시 등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커피전문점 분포지역이 크게 확대

 수도권 지역 커피전문점의 매장수와 분포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으며 부산, 울산, 대구 등 광역시에서도 커피전문점이 크게 증가

- 기타지역 중에서는 관광객 수요가 많은 제주와 강릉지역에서 커피전문점이 크게 증가

[그림 11] 커피전문점 분포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7)

 2009년 이후 커피전문점 창업이 폐업보다 많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창업률은 하락하고 폐업률은 상승

 2008년 3천개가 넘지 않았던 커피전문점 창업은 2018년 1.4만개 수준으로 증가하였 으며 같은 기간 폐업은 약 4천개에서 9천개 수준으로 증가

- 커피전문점 창업률은 2014년 26.9%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22.0%로 하락하였으며 같은 기간 폐업률은 11.0%에서 14.1%로 상승

[그림 12] 커피전문점 창업 및 폐업 매장수 추이 [그림 13] 커피전문점 창업률과 폐업률 추이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주: 창업(폐업)률=당해 창업(폐업)매장수/전년 총매장수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 전국 평균 대비 서울과 경기지역은 폐업률이 높은 편

 서울지역 폐업률은 2015년부터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경기지역은 창업률과 폐 업률이 모두 전국 평균 대비 높은 편

[그림 14] 서울 및 경기 지역 창업률 [그림 15] 서울 및 경기 지역 폐업률

주: 창업(폐업)률=당해 창업(폐업)매장수/전년 총매장수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주: 창업(폐업)률=당해 창업(폐업)매장수/전년 총매장수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8)

 소규모 매장 창업이 늘어나면서 창업 매장의 평균 면적은 2013년을 고점으로 감소

 창업 매장의 평균 면적은 2009년 66.9㎡에서 2013년 81.6㎡까지 증가하였으나 이 후 급격히 감소하며 2016년 65.1㎡를 기록

- 2016년 이후 창업 매장 평균 면적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고점 대비로는 여전히 낮 은 수준

 창업 매장 평균 면적 감소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매장의 창업이 늘어 났기 때문 - 20㎡미만 매장 창업은 2009년 424개에서 2016년 1,719개로, 20~40㎡ 규모의 매장 창업

은 같은 기간 977개에서 1,719개로 증가

[그림 16] 창업 및 폐업 매장 평균 규모 추이 [그림 17] 소규모 창업 매장수 추이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 창업 후 단기간에 폐업하는 매장이 크게 증가하면서 2018년 현재 전체 폐업매장의 절반 이상은 영업기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폐업

 영업기간이 3년 미만인 폐업 매장수는 2013년 1,924개에서 2018년 4,574개로 약 2.4배 증가하였으며 2018년 기준 전체 폐업 매장의 52.6%는 영업기간이 3년 미만

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영업기간 3년 미만 폐업 비중은 제주가 62.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세종(59.3%), 광주(58.6%), 인천(57.9%) 순

- 영업기간 3년 미만 폐업 매장 비중은 서울이 55.6%, 경기가 54.0%로 17개 시도 중 각각 6 번째와 8번째로 높은 비중을 보인 것으로 분석

(9)

[그림 18] 폐업매장의 영업기간 [그림 19] 지역별 영업기간 3년 미만 폐업 비중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자료: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폐업매장 기준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 커피전문점은 단독 운영 매장의 비중이 높고 영업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분석

 커피전문점 중 고용원 없이 단독으로 매장을 운영하는 비중은 22.6%로 음식점 12.5%

에 비해 높은 수준

- 한편, 고용원이 있는 매장의 비중도 커피전문점이 69.0%로 음식점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커피전문점 영업시간은 12시간 이상이 40.6%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10~12시 간은 33.7%, 10시간 미만은 25.7%로 조사

- 음식점의 경우 영업시간이 12시간 이상인 매장의 비중이 23.2% 수준임을 감안할 때 커피전 문점 영업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분석

[그림 20] 매장운영 형태 [그림 21] 영업시간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2017)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2017)

(10)

 커피전문점의 대부분은 임차매장이며 주요 자영업 업종 중 하나인 음식점 대비 규모 가 작은 매장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커피전문점 중 임차매장 비중은 84.5%로 나타났으며 매장규모는 60~150㎡가 38.1%

로 가장 많고 30~60㎡ 27.3%, 150㎡ 초과 21.8% 수준

- 음식점과 비교해 임차매장 비중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매장 규모는 60㎡ 이하 매장의 비중 이 40.0%로 음식점 36.4%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

[그림 22] 매장 점유형태 [그림 23] 매장규모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2017)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2017)

 2017년 기준 커피전문점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1%가 증가하였으나 업체당 영업이 익은 1.9%가 감소하였고 전체 매장의 11.0%는 적자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커피전문점 총매출은 2016년 7.1조원에서 2017년 7.9조원으로 증가하였으나 매장수 와 영업비용이 증가하면서 업체당 영업이익은 11.8백만원에서 10.5백만원으로 감소 - 매출액 보다 영업 비용이 커 적자로 운영 중인 커피전문점의 비중은 11.0%로 음식점 4.8%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

 적자 운영 매장을 제외한 커피전문점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율(영업이익률)은 커피전 문점이 19.3%로 음식점이 17.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

- 자가 매장의 영업이익률은 커피전문점이 26.0%로 음식점(20.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 전문점의 경우 규모가 작을수록 영업이익률이 높게 나타남

(11)

[그림 24] 커피전문점 매출 및 영업이익 [그림 25] 커피전문점 영업이익률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 주: 영업이익률 산정 시 적자 운영매장 제외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조사(2017)

 KB부동산 리브온 상권분석결과2에 따르면 상권별로 커피전문점 영업여건이 다르고 같은 상권 내에서도 매출액 상위 매장과 하위 매장의 차이가 크게 발생

 주요 상권 6곳의 커피전문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9년 7월을 기준으로 용인 보정 동 카페거리를 제외한 모든 상권에서 커피전문점 매장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수요 변동 요인 없이 매장수가 증가한 강남역(메가박스 방향) 상권과 수요 감소, 매장수 증가,

경쟁 상권 등장 등으로 영업여건이 악화된 용인 보정동, 강릉 안목해변, 제주 용두암 해변도로 카페거리의 경우 매장당 월 평균 매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

- 반면, 배후수요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수원 광교신도시 카페거리와 특색있는 카페와 블루보 틀 개점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성수동의 경우 월 평균 매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

[그림 26] 매장수 변동 [그림 27] 월 평균 매출액 변동률

자료: KB부동산 리브온, 상권분석 서비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 상권분석 서비스

2 강남역(메가박스 방향) 상권, 성수동1가 656-302,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1306-11, 용인시 보정동 1184-1, 강릉시 견소동 283 반경 300m 상권, 제 주시 용담삼동 2355-1 반경 500m 상권을 분석

(12)

 매출액 기준 상위 20% 매장과 하위 20% 매장의 월 매출액을 비교해보면, 같은 상권 이라도 매출액 변동률에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

- 강남역 상권과 제주 용두암 해변도로 카페거리의 경우 매출액 상위 매장에 비해 하위 매장의 매출액 감소가 큰 것 으로 나타났으며 성수동과 광교신도시 의 경우 상위 매장 매출액은 증가한 반 면, 하위 매장 매출액은 감소

- 용인 보정동과 강릉 안목해변 카페거리 의 경우 상위 매장 매출액은 감소하고 하위 매장 매출액은 증가

III.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

3

 2018년 현재 커피프랜차이즈 매장수는 1.5만개로 외식 업종 중 한식, 치킨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매장수를 보유

 업종별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수는 한식이 1.8만개로 가장 많고 치킨이 1.7만개, 커피 가 1.5만개 수준이며 전체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 중 커피 프랜차이즈 비중은 15.4%

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수 기준 상위 5개 업종 대부분은 매장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수는 2014년 1.1만개에서 2018년 1.5만개로 43.8% 증가

[그림 29] 업종별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수 [그림 30] 업종별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수 추이

주: 2018년 기준, 가맹점 및 직영점 포함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2019년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주: 가맹점 및 직영점 포함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3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은 가맹사업을 하고 있는 브랜드 매장을 분석한 결과로 직영점만 운영하는 스타벅스, 커피빈 등은 분석에서 제외

[그림 28] 매출액 상하위 20% 매장의 매출액 변동

자료: KB부동산 리브온, 상권분석 서비스

(13)

 매장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커피프랜차 이즈 브랜드수는 전년 대비 감소

 2018년 커피프랜차이즈 브랜드수는 334개로 전년 대비 9개가 감소

- 2017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던 브랜드수 는 2018년 들어 감소

- 외식 프랜차이즈 주요 업종 중 하나인 치킨의 경우 브랜드수가 꾸준히 증가하 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

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 신규 개점은 정체, 폐점은 증가

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 신규 개점은 2015년 3,227개를 기록한 이후 2천7백개에서 3천개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

- 반면, 폐점은 2014년 752개에서 2018년 1,705개로 꾸준히 증가

 전체 커피전문점 매장 중 프랜차이즈 매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4.2%에서 2018년 23.3% 수준으로 소폭 감소

[그림 32] 커피 프랜차이즈 신규 개점 및 폐점 추이 [그림 33] 커피전문점 중 프랜차이즈 매장 비중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주: 가맹점 및 직영점 포함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그림 31] 커피프랜차이즈 브랜드수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14)

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중 가맹점수가 가장 많은 브랜드는 ‘이디야커피’로 2015년 이 후 4년 연속 가맹점수 1위를 유지

 2018년 기준 가맹점수는 ‘이디야커피’가 2,399개로 가장 많고 ‘투썸플레이스’(1,001 개), ‘요거프레소’(705개), ‘커피에 반하다’(589개), ‘빽다방’(571개) 순

 2015년 상위권에 있던 ‘카페베네’와 ‘엔제리너스’는 가맹점수가 크게 감소하며 순위가 하락하였으며 ‘요거프레소’, ‘커피에 반하다’, ‘빽다방’ 등은 순위가 크게 상승

- 전반적으로 커피 가격대가 높은 ‘엔제리너스’, ‘파스쿠찌’, ‘할리스커피’ 등은 가맹점수 기준 순 위가 하락하고 가격대가 낮은 브랜드들의 순위가 상승

[표 1] 연도별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수 상위 10개 브랜드

순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주)

브랜드명 가맹점수 브랜드명 가맹점수 브랜드명 가맹점수 브랜드명 가맹점수

1 이디야커피 1,577 이디야커피 1,865 이디야커피 2,142 이디야커피 2,399

2 카페베네 821 요거프레소 792 투썸플레이스 887 투썸플레이스 1,001

3 엔제리너스 813 투썸플레이스 749 요거프레소 755 요거프레소 705

4 요거프레소 768 엔제리너스 744 엔제리너스 647 커피에반하다 589

5 투썸플레이스 633 카페베네 681 빽다방 539 빽다방 571

6 커피베이 415 빽다방 522 카페베네 523 엔제리너스 554

7 빽다방 412 커피베이 428 커피베이 471 커피베이 539

8 할리스커피 361 할리스커피 385 커피에반하다 457 메가엠지씨커피 403

9 탐앤탐스커피 357 파스쿠찌 376 파스쿠찌 408 카페베네 354

10 파스쿠찌 353 커피에반하다 370 할리스커피 405 더밴티 282

주: 2019년 정보공개서가 등록되지 않은 할리스커피와 파스쿠찌는 2018년 현황에서 제외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 직영점만 운영하고 있는 ‘스타벅스’ 매 장수는 2015년 869개에서 2018년 1,262개로 증가하였으며 ‘이디야커피’

다음으로 많은 매장을 보유

- 2018년 기준 매장수 상위 4개 프랜차 이즈 중 ‘이디야커피’, ‘투썸플레이스’,

‘커피에 반하다’ 등은 매장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요거프레소’ 매장수는 감소세

[그림 34] 브랜드별 매장수 추이

자료: 스타벅스 코리아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15)

 가맹점수 상위 브랜드의 지역별 매장수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디야커피’,

‘투썸플레이스’, ‘엔제리너스’, ‘요거프레소’ 등이 상위권

 ‘커피에 반하다’는 인천과 경기 지역에서 두번째로 매장수가 많은 브랜드로 나타났으며

‘빽다방’은 서울과 대전에서 각각 세번째와 두번째로 매장수가 많은 브랜드로 분석

[표 2] 지역별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수 상위 브랜드

지역 1위 2위 3위

서울 이디야커피(643개) 투썸플레이스(277개) 빽다방(146개)

부산 이디야커피 (208개) 투썸플레이스(65개) 엔제리너스(57개)

대구 투썸플레이스(67개) 이디야커피 (48개) 엔제리너스(41개)

인천 이디야커피 (173개) 커피에 반하다(78개) 투썸플레이스(67개)

광주 이디야커피 (45개) 투썸플레이스(32개) 엔저리너스(31개)

대전 투썸플레이스(44개) 빽다방(33개) 이디야커피 (26개)

울산 이디야커피 (74개) 엔제리너스(32개) 투썸플레이스(23개)

세종 이디야커피 (11개) 투썸플레이스(5개) 요거프레소, 엔제리너스, 빽다방(3개)

경기 이디야커피 (615개) 커피에 반하다(327개) 요거프레소(226개)

강원 이디야커피 (75개) 투썸플레이스(33개) 요거프레소(24개)

충북 이디야커피 (58개) 투썸플레이스(29개) 엔제리너스(24개)

충남 이디야커피 (57개) 투썸플레이스(44개) 요거프레소, 엔제리너스(30개)

전북 이디야커피 (90개) 투썸플레이스(28개) 엔제리너스(27개)

전남 이디야커피 (54개) 요거프레소(50개) 투썸플레이스, 커피베이(26개)

경북 이디야커피 (80개) 투썸플레이스(47개) 요거프레소(43개)

경남 이디야커피 (136개) 엔제리너스(82개) 투썸플레이스(52개)

제주 투썸플레이스(18개) 이디야커피 (18개) 엔제리너스(11개)

주: 매장수에는 가맹점 및 직영점 포함, 전체 매장수 상위 10개 브랜드 기준 순위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2019년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 매출액 은 2015년을 고점으로 감소세가 지속

 커피 프랜차이즈 매출 총액은 2017년 2.2조원으로 2014년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증가율은 둔화

- 가맹점 평균 매출액의 경우 2015년 1.7억원을 고점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2018년 매출액은 1.6억원으로 고점 대비 8.8%가 감소

[그림 35] 커피 프랜차이즈 매출액 추이

주: 할리스커피, 파스쿠찌 등의 정보공개서가 등록되지 않은 2018년 매출액 현황은 제외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16)

[국내 주요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스타벅스 현황 비교]

 2019년 한국 진출 20주년을 맞은 스타벅스는 국내 커피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브 랜드 파워를 가진 기업으로 성장

- 2000년 86억원이던 매출은 2018년 1조 5,223억원으로 성장하였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 익은 4억원에서 1,428억원으로 증가

- 2005년 14.4%를 고점으로 2016년 6.0%까지 감소하였던 영업이익률도 2018년 9.3%를 기록하며 회복세

[그림 36] 스타벅스 매출액 추이 [그림 37] 스타벅스 영업이익 추이

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1999년 국내 1호점(이대점)을 오픈한 스타벅스는 2018년 현재 1,262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임직원수는 약 1만 5천명 수준

- 2018년 기준 스타벅스의 연간 매출액(1조 5,223억원)은 가맹점수 상위 5개 국내 커피 프 랜차이즈의 가맹점 추정 매출액의 합(1조 3,547억원)을 상회

[그림 38] 스타벅스와 주요 브랜드 가맹점수(’18) [그림 39] 스타벅스와 주요 브랜드 매출액(’18)

자료: 스타벅스 코리아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등록자료

주: 추정 매출액=가맹점수*가맹점당 평균 매출액 자료: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17)

 스타벅스 매장 평균 규모는 268.8㎡로 국내 주요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 대비 넓 고 강남구, 종로구, 중구 등 주요 지역 매장 비중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

[그림 40] 매장 평균 규모(’18) [그림 41] 서울 및 주요지역 매장 비중(’18)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 강남구 스타벅스 입지 분석결과,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역세 권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

[그림 42] 강남구 주요 커피 브랜드 매장 분포(2019.7 기준)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18)

IV. 커피수요의 특징

 커피에 대한 선호는 남성과 여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대별로는 30~40 대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 커피를 가장 선호한다는 사람의 비중은 남성이 39.5%, 여성이 39.8%로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와 40대가 각 44.9%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

 한편 일주일간 마시는 커피의 양은 남성이 9.56잔으로 여성 9.04잔 보다 많았으며 연 령별로는 40대(10.23잔), 50대(9.82잔), 30대(9.66잔), 20대(6.72잔) 순

[그림 43] 성별 연령별 커피 선호도 [그림 44] 성별 연령별 주간 커피소비량

주: 가장 선호하는 음료로 커피 또는 테이크아웃 커피 를 응답한 비중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 닐슨코리아, 커피 소비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조 사(2018)

 커피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습관처럼 커피를 마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오 전 및 낮 시간에 집과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남

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53.5%는 습관처럼 커피를 마신다고 응답하였으며 커피를 마시 는 시간은 오전 9시~낮 12시(45.2%), 낮 12시~오후 2시(38.1%)가 높은 비중

 주로 커피를 마시는 장소는 집이라는 응답이 30.9%로 가장 많았으며 커피전문점 27.9%, 자판기ㆍ회사 등 27.1%, 편의점ㆍ마트 14.1% 순

- 2014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집이라는 응답은 4.1%p, 커피전문점이라는 응답은 1.9%p 증가 한 반면, 회사, 편의점, 마트 등의 비중은 감소

(19)

[그림 45] 주로 커피는 마시는 시간대 [그림 46] 주로 커피를 마시는 장소

주: 복수응답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주: 최근 3개월 기준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 과거 대비 대형 커피전문점 이용은 감 소하고 소형 커피전문점 이용은 증가

 과거 대비 커피전문점 이용 빈도의 변 화에 대한 질문에 대형 커피전문점은 이용 빈도가 증가했다는 응답보다 감 소했다는 응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반면, 소형 커피전문점의 경우 이용 빈

도가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41.3%로 변 화가 없거나 감소했다는 응답보다 높은 비중을 보임

 커피전문점 방문 시 커피의 맛과 매장의 접근성, 커피가격을 가장 중요시하며 10명 중 6명은 선호하는 커피브랜드 매장이 있는 것으로 조사

 커피전문점 방문시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커피의 맛(65.2%)과 접근성 (51.2%)으로 조사되었으며 커피 브랜드, 메뉴의 다양성, 사이드 메뉴 등을 고려하는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남성 보다 여성, 20대와 30대가 선호하는 커피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으로 조사

[그림 47] 규모별 커피전문점 이용빈도 변화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20)

[그림 48] 커피전문점 방문 시 고려사항 [그림 49] 선호하는 커피브랜드 매장 유무

주: 복수응답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자료: 닐슨코리아, 커피 소비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조 사(2018)

 커피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들 은 음식의 맛을 중요시하며 비싼 가격 에 대한 지불용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식생활 관련 라이프스타일 조사 결과, 커피 선호 계층의 경우 맛집을 찾아 다니거나, 음식 선택 시 맛을 중시한다 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또한, 새로운 음식을 먹어보는 것을 좋 아하며 이름 있는 브랜드의 비싼 식품 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 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

 1인가구의 커피 관련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1인가구 중에서도 여성과 50대 의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남

 1인가구의 커피 관련 소비지출액은 2014년 월 4,473원에서 2018년 13,012원으로 약 3배 정도 증가하여 가구원수별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

- 1인가구 중에서도 여성, 50대와 60대 이상의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가장 지출이 많은 연령층이 2014년 40대에서 2018년 50대로 변화

[그림 50] 커피 선호 계층의 식생활 관련 특성

주: 커피전문점 등의 테이크아웃 커피를 선호한다고 응 답한 사람 중 각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한 비중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

(21)

[그림 51] 가구원수별 커피 관련 소비지출 변화 [그림 52] 1인가구 특성별 커피 관련 소비지출

주: 커피 및 차 관련 소비지출이 없는 가구는 제외 자료: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주: 커피 및 차 관련 소비지출이 없는 가구는 제외 자료: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V. 커피전문점 시장여건 진단

 향후 커피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소매시장 보다 커피전문점 시장의 성장 세가 클 것으로 전망

 국내 커피시장의 규모는 2016년 5.9조원에서 2018년 6.8조원 수준으로 성장한 것으 로 추정되며 2023년에는 8.6조원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 특히, 소매시장 규모는 2016년 이후 2.4조원에서 정체된 반면, 커피전문점의 시장규모는 2016년 3.5조원에서 2018년 4.3조원으로 증가해 향후 커피전문점 중심의 시장 성장이 예상

 커피 관련 소비지출은 2014년 이후 연평균 20.1%(CAGR 기준)씩 증가하였지만 지출 수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양호한 수준인 것도 향후 시장 성장에 긍정적 요인

[그림 53] 국내 커피산업 성장 전망 [그림 54] 현재 커피 관련 소비지출에 대한 인식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자료: 소비자공익네트워크(2019.3)

(22)

 홈카페 시장의 성장과 베이커리 등 커피를 판매하는 매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커피전 문점에 대한 수요는 지속될 것

 집에서 직접 커피를 내려 마시는 홈카페 트랜드가 확산되면서 믹스커피나 인스턴트 커 피 소비는 감소하고 커피머신기로 직접 커피를 내려 먹는 소비자가 증가

- 그러나 커피를 마시는 장소로 집과 커피전문점의 비중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홈카페는 회사나 편의점 등에서 소비하는 커피를 대체하는 성격이 강한 것으로 판단

 최근 베이커리, 패스트푸드점 등 커피전문점이 아닌 곳에서 커피를 판매하는 경우가 늘 어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커피전문점을 선호

[그림 55] 집에서 마신 커피의 종류 [그림 56] 주로 커피를 마시는 장소

주: 복수응답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주: 복수응답

자료: 마크로밀엠브레인,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2017)

 커피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커피전문점이 늘어나는 동시에 고급 커피 수요 증가에 맞춘 스페셜티 시장도 확대

 최근 저가 전략을 채택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아메 리카노 기준 900원대에 커피를 판매하는 프랜차이즈도 등장

 그러나 한편에서는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이 증가하고 스페셜티4로 유명한 블루보틀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등 고급커피 시장도 확대

4 스페셜티 커피는 스페셜티 커피 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 평가에서 100점 중 80점 이상을 획득한 커피(위키백과)

(23)

[그림 57] 주요 커피 브랜드의 아메리카노 가격

[표 3] 스테셜티커피 전문 매장

브랜드명 매장수

블루보틀 2020년까지 5곳 오픈예정 스타벅스 리저브 한국 매장 47곳, 세계최다 테라로사 광화문, 여의도 등 18곳 커피앳웍스 SPC그룹 총 12곳 운영 엔터러사이트 제주점, 연희점 등 6곳

커피리브레 연남점, 타임스퀘어점 등 4곳 프릳츠커피컴퍼니 마포도화점, 양재점 등 3곳

어니언 미아점, 안국점 등 3곳

펠트커피 광화문점 등 2곳

자료: 각사 자료 자료: 한국경제(2019.5.4)

 전반적으로 커피전문점의 수요 여건은 양호하나 매장수가 빠르게 늘어나며 경쟁이 심 화되고 있는 상황은 부담요인

 최근 창업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폐업 대비 창업이 많아 시장 내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

- 특히, 커피 프랜차이즈의 경우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매장 운영이 가능하고 음식점 등에 비해 영업이익률도 높아 신규 창업수요가 꾸준히 유입될 것

- 고급 커피시장에서 스타벅스 등 대형 브랜드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개인 창업의 경우 테이크아 웃 중심의 저가 브랜드로 집중되며 해당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

 커피의 맛과 매장 접근성, 가격이 핵심 경쟁력으로 동일 상권이라도 매장별 매출 등 에 차이가 커 창업 시 상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

 커피전문점은 브랜드나 메뉴의 다양성 보다 커피의 맛이나 접근성, 가격 등에 대한 소 비자 선호가 높아 소형 매장과 비 프랜차이즈 매장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업종

 다만, 신규 매장의 진입 장벽이 낮고 동일 상권 내에서도 장사가 잘되는 매장과 그렇지 않은 매장의 차이가 커 상권과 입지, 수요의 특성 등에 대한 분석이 중요

연구위원 김태환 (taehwankim@kbfg.com, 2073-5786)

참조

관련 문서

연도별 환경부문 사업체 현황... 환경산업별 매출분포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미국은 남부지역 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남미국가에 PNG로 수출하는 한편, 캐나다 천연가스 를 PNG로 수입하여 내수에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디지털화 현황 및 활용 방안7. 로봇스캐너를

•웹사이트의 페이지뷰, 사용자별 페이지뷰, 접속장소 및 방식, 시간별 페이지뷰, 방문자수 등에 대한 현황 및 추세 분석... 

기술을 부여 받아 다른 지역에서 판매하는 가맹점으로 구성. • 체인점: 가맹점--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전문점 Franchisor -

사업수행에 필요한 적정 자본금 규모 분석 및 근거 공동사업자의 경우 지분출자에 대한 적정성 분석 및 근거 현물출자의 적정성 검토 (수익․처분가능성,

컨설팅 착수, 산업환경분석, 시장환경 분석 → 산업 및 시장에 대해 초점 현재단원은 낮은 수준인 제품 및 서비스 분석 초점.. 예) 은행산업의 신용대출 시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