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9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김 영 주

(3)

년 월 2010 8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김 영 주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연구

(4)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연구

지도교수 김 혜 영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국어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 )

.

년 월

2010 4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김 영 주

(5)

김영주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6)
(7)
(8)
(9)

정보의 전달이 빠르고 다양하며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21세기 정보화 사회 에서 읽기 과정을 통해 텍스트의 내용들 중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내용들을 찾, 는 요약하기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요약하기 지도는 과거의 지. 도 방법들인 교사나 학습자들의 직관에 의존하는 수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요약하기는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들을 통해 주제를 찾는 데 있다 요약을 잘했다. 는 것은 결국 텍스트 전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텍스트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도 파악하기 힘들어 하는 학습자 들에게 피상적인 요약하기 전략을 가르치기 보다는 사실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전략을 가르쳐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에서는 학습자들이 요약하기를 어려워하는 원인이 학습자 개개인에게 있기 보

(10)

다는 요약에 쓰이는 용어의 불확실성과 현행 요약하기 전략들의 적용의 문제적 상, 황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현재 요약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 하고 현행 요약하기에 적용되는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텍스트 내에서 중요한 내, , 용의 기준이 주제 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

중심내용 요지 줄거리 중심생각 은 모두 텍스트를 기반으로 그 텍스트에 가시

‘ , , , ’ ,

적으로 드러난 중요한 내용들을 의미하는 용어임에 반해, ‘주제 는 이러한 가시적인’ 중요한 내용들 뿐만 아니라 글이 설명하는 세상이나 삶‘ ’, ‘작가의 의도나 세계관’ 같은 텍스트에 내포된 중요한 내용까지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모든 텍스트를 읽. 고 이해했다는 것은 바로 주제를 파악했다는 의미와 동일하다고 정의되어진다 이, . 를 통해 텍스트 내에 중요한 내용들은 주제 가 그 기준이 됨을 알 수 있다 결론적‘ ’ . 으로 요약이란 텍스트를 기반으로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들을 추려‘ , 내어 정리한 것이다 로 정의할 수 있겠다.’ .

이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중심으로 중요한 내용과 덜 중요한 내용을 구분하, 고 그때 쓰인 전략을 모델링하여 학습자들에게 보여줄 때 비로소 효과적으로 요약, 하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배경적 지식이 마련될 수 있을 것임을 밝히었다.

에서는 고등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 종류에 따라 요약하기 전략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 , 음을 확인하였고 몇 가지로 그 내용을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첫째 설명문과 논설문의 요약 과정을 통해 실제로 학습자들이 전체 주제 찾기, ‘ ’ 전략, ‘핵심어 찾기 전략’ , ‘주제문 찾기 전략’ , ‘문단별 주제 찾기 전략이라는’ 4가지 전략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요약하기를 실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설명문에 있어서는 전체 주제 찾기 전략이 주로 사용되었고 논설문에서는, ‘ ’ , 전체 주제 찾기 전략과 주제문 찾기 전략이 비슷한 비율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 ’ ‘ ’

있었다 이는 글의 특성에 따른 차이로 인식할 수 있겠다. .

셋째 서사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이야기의 구성 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이 어우러, , , 져 만들어지는 줄거리 중심 전략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서사문을 읽고‘ ’ . 이해해가는 과정에서 이야기 구성 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다른 요소로 인식하, , ,

(11)

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읽고 판단하여 줄거리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넷째 설명문과 논설문 그리고 서사문에서 가장 많이 쓰인 전략들의 공통점은, , 바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텍스트를 바라보며 요약하기가 이루어지는 전략이 압도적 으로 우세하다는 것이다. ‘전체 주제 찾기 전략과 줄거리 중심 전략 모두 텍스트’ ‘ ’ 전체의 의도와 목적 즉 주제에 비추어 내용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요약하기를 한다, 는 것이다 이는 내용의 중요성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일종의 기준점 이 바. ‘ ’ 로 주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에서는 에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들이 텍스트 종류에 따라 새로,

Ⅳ Ⅲ

운 요약하기 전략을 사용하여 요약문을 작성해봄으로써 요약 능력 변화를 분석하 였다 그 결과 기존의 요약하기 전략들을 어려워하는 학습자들에게 좀 더 쉬우면. , , 서도 명확한 전략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요약하는 순서. , 는 물론 각각의 순서에 맞게 해야 할 사항들을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요약하기, 의 부담감을 덜어주고 단순하지만 명료하게 중요한 내용들을 선택하게 하여 상위, 수준의 요약문을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약하기 과제에 대해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찾 아보고 실제 학습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을 모색, 하여 흥미롭고 유용한 요약하기 전략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요. , 약하기 실태 분석과 새로운 요약하기 전략 적용을 통한 요약 능력 향상 분석을 통 해 얻은 수치들을 질적 양적 연구와 결합하지 못하였다 즉 일부 참여자들을 분석․ . , 하여 요약하기의 한 전략을 보여주었을 뿐 그 전략들을 정확히 검증해 내지는 못, 했다 이는 후속 연구과제로 남게 되겠다 하지만 본 연구가 다양한 요약하기 전략. . 개발에 있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12)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here the information delivery is so fast and diverse and is done at the large quantity, The Summary Strategies is necessary(needed) to find the most basic(general) and important one among the contents of the text through the reading process. However, the summary instruction of the academic field has not been broken away from the conventional class that depends on the intuition of tutors and learners. The summary is to find the subject through the critical contents of the text.

Doing summary well will be understood as grasping the whole contents of the text perfectly. Teaching the superficial summary strategy to the learners who feel difficult to know what is important in the text is not effective.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entually improve the learner's comprehensive ability to think, as teaching the strategy which can help the realistic understanding.

In section Ⅱ, I have tried to clarify the reasons which the learner feel

(13)

difficult to summarize the text through the uncertainty of the terms used in summarizing and the bad situation to apply the conventional summary strategies. As reviewing the strategies applied the conventional summary strategies and sorting the terms used as similar meaning with the term 'summary', we can see the criteria of the critical contents in the text is the 'subject'. 'The main contents, gist, plot and main idea' are based on the text. And those are terms which mean the main contents exposed visibly.

But 'subject' is a term which includes not only visible important contents above but also the important contents implied in the text like 'world and life explained by the text' and 'aim and view of the world of author'. And reading and understanding all text is the same as the meaning of getting the point of the subject perfectly. So, we can see the 'subject' is the basis(criteria) of the critical contents in the text. As a result, the Summary can be defined as a sentence 'sorting and organizing the important contents which can recognize the subject based on the text.'

Based on the definition above, after distinguishing between more important contents and the others from the subject and modeling this strategy, when showing the strategy,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is prepared to do summarizing effectively.

In section Ⅲ, I conducted aspect of the summary strategy among the text type of 134 highschool students. As this result, I confirmed that the summary strategy is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xt type and it could be sorted to several methods.

First of all, we can see the fact that the learner do summarize commonly using 4 strategies, 'the finding whole subject', 'the finding keyword', 'the finding topic sentence' and 'the finding the subject at each paragraph', in the process to summarize the expository writing and the argumentative

(14)

writing.

Secondly, in the case of the expository writing, the finding whole subject strategy is used in the main. in the case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the finding whole subject strategy and the finding topic sentence strategy is used in the same ratio, respectively. This result can be recognized as the difference by the property of text.

Thirdly,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the plot centered strategy that components of the story, 'person', 'event', 'background', are in harmony is mainly used.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learner doesn't recognize components of the story as each different componen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synthetically read and judge the components of the story and then compose the plot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a description.

Finally, a common point of the strategy used in the expository text, the argumentative writing and a description is that the strategy summarizing in macroscopic view is superior overwhelmingly.

Both 'the finding whole subject' and 'the plot centered' strategies do summarize after judg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subject, i.e.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whole text.

This result implies a kind of criteria which can judge whether the contents is important or not easily can be a subject.

In section Ⅳ, based on the section Ⅲ, as the learners make out a summary using new summary strategy according to the text type in practice, we analyzed changes of the summary ability. as a result, We confirmed serving easier and more specific strategies to the learners who felt the conventional summary strategies was so difficult. In other words, as showing visibly procedure to summarize as well as facts to do according to

(15)

procedure, the learners can be relieved from the burden to summarize. And the new strategy proposed can help the learners to make a high level summary as the learners can choose important contents clearly.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realize the interesting and useful summary strategy seeking summary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ext type through the voice(need) of the real learners.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combin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with figures from analyzing the summary ability improvement by summary real condition analysis and strategy application. In other words, even if a strategy of summary is shown by analyzing some participants, the strategy is not analyzed exactly. this problem will be next research. but this study is so valuable in several strategy improvements as suggesting new standard.

(16)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국어과의 교육 영역은 5차 교육과정 이후 말하기‘ ’, ‘듣기’, ‘쓰기’, ‘읽기 가 포함’ 된 영역으로 체계를 갖추었는데 이는 국어과에서 언어사용 능력에 비중을 두기 시, 작했음을 의미한다 그중에서도 읽기 는 국어과 전반적인 학습에 있어서 시간이나. ‘ ’ 비중 면에서도 가장 중요시되어 왔다 국어교육 그 중에서도 읽기 교육의 중요성. , ‘ ’ 이 날로 늘어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분위기일 것이다.

우리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정보의 전달이 빠르고 다양하며 대량으로 이루, 어지고 있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다 예전에는 얼마나 많은 것을 알고. 있는가가 중요했지만 오늘날은 필요한 자료에서 중요한 내용들을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하는가가 중요하게 되었다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수. 용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편승하여 효과적으로 읽는 능력에 대한 관심, 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읽기는 일. 상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읽기의 궁극적인 목표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해한다는 것은 글에 제시. 된 중심내용들을 찾아내어 구조화하여 요약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읽어 나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내용들을 발견하여 연결해야만 글의 주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다 그러나 이런 읽기 영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중심내용을 찾는 전략. 지도는 학습자 스스로 찾는 습관을 만들어 주기보다는 교사가 학습할 내용을 알려, 주고 암기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은 크게 두 가지로 단순화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교육은 학습자들이 알아. 야 할 것을 알게 하고 해야 할 것을, 하게 하는 것이다 즉 아는 것 과 하는 것 으. ‘ ’ ‘ ’ 로 구분된다.1)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주어진 텍스트에서 중심내용을 찾을 수는

1) 최영환(1999),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의 체계화 방안․ 」 『, 국어교육학연구』 제 집 국어교육학회9 , . p.

181.

(17)

있으나 중심내용을 어떻게 찾았는지 그 원리나 방법을 설명해 내지 못한다면 즉, ,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고 중심내용을 찾는다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해내 리라는 보장이 없게 되는 것이다.

텍스트의 종류나 목적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중심내용을 찾을 수 있는 원리가 정 립되어야 다른 문제들에 대해서도 일관된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이다 그렇게 되어야 중심내용을 찾는 능력이 길러졌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이 학계와 학교 현장에서 공감대를 얻고 있으며 특히 요즘처럼 통, 합교과 형태의 논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텍스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요약적으로 구성 표현하는 능력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름에· 따라 읽기교육에서의 요약하기 에 대한 필요가 절실해졌다, ‘ ’ .

요약하기는 텍스트의 내용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정보를 추출해내는 과정이다.

요약을 잘 한다는 것은 결국 텍스트 전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다는 뜻이다.

이런 요약하기를 학습하거나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잘못된 것이 요약하기를 막무가내로 분량을 줄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분량을 줄이되 텍스트 전. 체의 주제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들을 가려내는 과정이 바로 요약하기 이다 그 다음에 그것들을 일반화 시키고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런 요약하기를 할 때 일반적으로 쓰이는 요약규칙, ‘ ’2)을 활용함에 있어 서 학습자들은 무엇을 삭제하고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어려움을 느낀다 즉. 텍스트 내에서 중심내용들을 찾아내어야 하는데 사실적 이해도 제대로 하지 못하, 는 학습자들에게 일반화 규칙이나 구성 규칙을 통해 비판적 창의적 이해와 표현을· 요구하는 현재의 요약하기 교육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 서의 읽기 지도 그 중에서도 요약하기 지도는 과거의 지도 방법들인 교사나 학습, 자들의 직관에 의존하는 수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 정시호 역(1995)에 따르면 여기서 말하는 요약규칙은 일반적으로, Kintsch & van Dijk(1978)가 적용한 거시규칙 을 의미한다 이는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거시구조 측면에서 접근하여 텍스트의 처리의 심리

‘ ’ .

적 과정에 입각한 요약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크게 생략, ‘ (deletion rule)’, ‘선택(selection rule)', '일 반화(generalization rule)', '구성(construction rule)'이 있다.

(18)

과거의 읽기는 작가의 사상이나 감정들이 문자를 통해 독자들에게 단선적으로 전달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 읽기를 독자의 능동적. ‘ 인 의미 재구성의 과정 으로 보는 새로운 해석이 시작되었고 이에 따라 읽기 지도’ , 내용이나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들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3) 그래서 최근 요 약하기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요약하기 전략과 훈련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요약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대부분 양적인 연, 구방법에 집중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또한 텍스. 트의 구조 분석을 통해 문장과 문장 문단과 문단 혹은 내용과 내용과의 관계성에, 집중하여 요약하기를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런 연. 구들 역시 학습자들의 솔직하고 개별적인 언어들 즉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 는 요약하기 전략을 반영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직관에 의존하는 과거의 방법에서 크게 벗어났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요약하기는 글의 중심내용들을 통해 주제를 찾는 데 있다 요약을 잘한다는 것은. 결국 글 전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텍스트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도 파악하기 힘들어 하는 학습자들에게 피상 적인 요약하기 규칙을 가르치기 보다는 사실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원리와 전략, 을 가르쳐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 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요약하기 학습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요약에 대한 개념 정의 가 분명하지 않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요약에 대한 개념을 요약과 비. , 슷한 의미로 쓰이는 용어들과의 비교를 통해 정의해 보고 기존의 요약하기 전략의, 비판을 통해 새로운 요약하기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학습자들의. 요약하기에 대한 인식과 전략을 설문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교과과정 속에 제시되,

3) 읽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수용론과 구성주의를 통해 다양하게 연구되어 지고 있 다.

인지는 독자가 글을 읽고 이해하기 위해 거치는 다양한 정신적 과정들을 의미한다 인지이론에서는 독. 자는 수동적이지 않고 능동적인 존재로서 자신의 인지를 통해 글의 내용을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읽기 또한 그러한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용론과 구성주의는 이러한 인지이론을 바탕으. 로 하는데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할 때는 자신의 기억과 경험에서 얻는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을 하는 것, 같이 독자도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구성하는 것 역시 자신의 인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

(19)

고 있는 요약하기 전략과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요약하기 전략의 차이가 무엇 인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 전략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새로운 요약하기 전략을 모. · 색해보고 또한 기존의 설명문에 편중되어 있던 요약하기 전략 훈련들을 논설문과, 서사문까지 확대시켜 텍스트 종류별로 적용 가능한 요약하기 전략을 제시할 수 있, 는지 연구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검토 2.

기존의 요약하기 선행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요약하기 전략을 소개하여 적용하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학습자들의 요약하기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요약을 할 때, 왜 미숙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주지는 못했다.4)

또한 최근의 연구는 텍스트 구조 분석을 통한 구조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요한 내용들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내용의 구조 파악을 통해 중심내용을 선정하는 단서 를 찾아 적용하고자 하는, ‘ ’ 의도로 보이지만 그 단서들을 실제 텍스트에 적용하여 요약하기를 실행하는 과정, 과 실제 학습자들의 요약하기 양상의 변화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교육학의 차원에서 요약하기 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 1980년대 후반으로 볼 수 있다 임두순. (1989)에서 교육학적 차원에서 요약하기 영역이 연‘ ’ 구되었는데 중심내용 파악 전략과 정교화 전략의 학습에 대한 효과를 비교 검토하, · 였다 그는 중심내용 찾기 전략으로 간단한 문장에서부터 비교적 긴 글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글들의 외현적이거나 내재적인 중심내용 찾기를 실시하고 정교화 전략, 으로 관련 설명문을 읽고 그 내용과 관련되는 개념이나 의미를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게 수정 삭제 첨가 재구조화 등의 방법으로 정교화 시켜 실시하였다 임두순은, , , . 정교화 전략이 중심내용 파악 전략보다 독해에 있어서 유용한 전략임을 밝히고 있

4) 장철순(2008), 「요약하기 실태 분석과 교수학습 방안․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4.

(20)

다.

김봉순(1991)에서는 읽기 를 중심으로 올바른 평가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 읽기능력이란 어떤 성격을 지녔으며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에 대해 언 급하고 있다 읽기능력은 독자의 인지적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되. 는 총체적인 정신능력이므로 읽기능력을 지도하거나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위 기, ‘ 능 보다는 전략 개념이 더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전략은 인지 조건이나 상황에 따’ ‘ ’ . 라 변형되는 유동적인 읽기능력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라서 하나의 읽기 과제 수, . 행에서 실패하였을 때 그 원인은 특정 기능의 결손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인 지적 수준 및 상황의 변수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서혁(1991)에서는 텍스트 구조 분석 이론과 요약 규칙의 검토를 통해 양자의 관 계를 살펴 효과적인 독해 지도를 위한 연구를 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를. 7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단락과 문장의 중요도 평정 단락별 주제문 작성 과제는 요약하기에 영향을

(1) ,

미친다 이 중에서 특히 단락별 주제문 작성이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갖는다. . 능숙한 독자일수록 단락별 주제문 작성의 결과를 텍스트 요약에 효과적으로 (2)

활용하고 있다.

요약 능력은 국어 작문 성적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3) , .

미숙한 독자일수록 텍스트의 제목이 주는 거시구조적 단서를 활용하지 못한 (4)

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요약하기에 있어서 삭제 복사 규칙을 잘 사용하지만 미

(5) ․

숙한 독자일수록 그 효과적인 통합에는 실패하고 있다.

미숙한 독자일수록 주제문과 그 세부 지시 사항 보조 문장 에 대한 구분 능

(6) ( )

력의 부족으로 중요도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글의 수사적 구. 조 정의 비교 대조 원인과 결과 예시나 인용 문제해결 기술 집합 등 에 대( , · , , , , ) 한 지도가 필요하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주제 창출 능력이 부족하다 이와 관련하여 요약지도는

(7) .

쓰기 지도와 관련하여 병행되어야 한다.

(21)

서혁은 요약 능력은 제목을 통한 거시구조적 단서와 단락의 처리를 중심으로 하 여 요약 규칙을 연습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수자(1993)는 종전의 읽기 기능이나 읽기 활동 중심의 읽기 지도교재 가 읽기‘ ’ 지도 목표와 읽기 지도 내용 구성상 학생들의 읽기 능력 증진보다는 글 이해 결, ‘ 과 위주의 읽기 지도 나 글 내용 학습 지도 의 성격을 보인 점을 비판하면서 전략’ ‘ ’ 중심의 읽기 지도를 내세우며 그에 알맞은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전략 중심의 읽기 지도는 기능 중심의 지도와 같이 수업을 단계적으로 구성하기는 하지만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 속에서 교사가 시범과 피드백을 통해 학생의 읽, 기전략의 학습과 그 학습 과정에 대한 초인지적 의식을 고양시켜 점차적으로 학생 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보았다 전략 중심 읽기 지도는 수업 모형에 따른. 교재는 읽기 전 단계 사고 활성화‘ ( )’ → ‘읽는 동안 단계 읽기 과정을 통해 읽기 전( 략의 획득)’ → ‘읽은 후 단계 독자적인 학습( - 학년별 개인별 지도 초점의 적용, )’

로 구성되어 중학교 읽기 지도의 방법론 개발에 기여하고 학생 중심의 학습과 과‘ 정 중심의 학습 의 구체적인 예를 보이며 학생이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의 발생 조건을 최대화해 준다는 면에서 개별 학습이 보장된 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삼형(1994)은 기존의 독해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내용 구조 분석 방법이 나 분석 결과의 교육적 적용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반부에서는 텍스트 내용 구조 분석의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이때 텍스트 자질에 지금까지 밝혀진 응결성, (coherence)에 구조성 을 추가하여 관계성과 관계 구조의 설정을 통해 내용 구조 분석에서 두 측면을 포 괄하고자 하였다 관계 구조는 수형도를 통해 보여 주었고 관계 단위들이 이루는. , 유형으로 수집 부가 공제 인과 이유 비교 대조 문제 해결 상세화 초담화 등을, , , , , ․ , ․ , , 제시하였다.

후반부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의 교육적 적용은 수형도의 위계적 구조제시를 통 해 상위 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하여 요약하기에서 그 상위 정보를 중심으, 로 추출하는 것이 타당함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 방법을 학생들이 작문 분.

(22)

석에도 적용하여 학생들의 작문 지도에서 문장 수준보다 내용 구조의 바탕이 되는 문장들 간의 연결에 주안을 두어 글 전체의 조직이나 전개의 측면은 강조할 필요 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김재봉(1995)은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인 처리 방식과 요약 그리고 거시규칙의, 상관성을 정보 처리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문 주제에 대한 분석 방법을 살핀 후, , 문 주제 분석을 토대로 거시규칙을 적용하여 설명적 텍스트를 실제로 요약하는 과 정을 보여주었다.

김재봉(1997)에서는 요약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에 따른 필자의 요약문을 상 중· · 하 수준으로 제시한 다음 전략을 적용한 대상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 집단 사, 이의 요약문의 차이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여 요약 전략 적용의 효용성을 검증하였 다.

임은섭(2001)은 설명적 텍스트에 있어서 요약하기 전략으로 문단별 주제문 작성 전략과 도식조직자 전략의 효용성 비교 연구를 통해 실제 학습 현장에 적절히 적 용될 수 있는 요약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학습자들의 수준 및 상황에 따른. 텍스트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학습자들에게 요약하기 전략을 투입하여 결과 값을 도출한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겠다.

서종훈(2003)은 학습자들이 기본의 형식 단락과 달리 텍스트 처리 과정에서 새 롭게 의미 단락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텍스트에서 단락에 대한, 재인식을 전제로 전체글 이해의 바탕으로 단락 재구성과 중심의미 정리를 주안 절 차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능동적인 의미 문단 구성이 유형이 있음을 학. 생들의 요약자료와 담화연결표지 사용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이선희(2003)는 중심내용의 개념과 중심 내용 찾기의 단계를 재검토하면서 명제 단위 문장단위 문단단위분석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미시적 접근의 한계를 밝혔, , 다 텍스트 구조의 단서 즉 거시단서 개관단서 열거단서 등을 활용하여 중심내용. , , , 을 효율적으로 찾고자 하는 의미있는 접근을 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요약하기. 의 미숙함을 보이는 경우 왜 텍스트 구조 단서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박시현(2004)은 텍스트의 의미 즉 일관성을 위하여 요약의 단위를 문장으로 보,

(23)

고 요약문을 추출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요한 문장의 여부는 텍스. ‘ 트의 구조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라는 가정을 고려하여 수사구조를 이용한 텍스트.’

의 요약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김현연(2005)은 텍스트 구조를 지도했을 때 학습자는 읽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텍스트 구조 지도가 읽기에 유의미함을 실험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또 텍스트 구조 지도는 읽기에 능숙한 학습자보다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에서 더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능숙한 학습자는 텍스트 구조를 읽. 기에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윤미(2006)에서는 두 단락으로 구성된 전기문의 일부를 대상으로 Kinstch &

의 거시규칙을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텍스트 요약 실태를 분석하였다 중학

Van dijk .

생들에게서 발견되는 거시규칙은 생략 과 선택 규칙이 대부분이고‘ ’ ‘ ’ , ‘일반화 나 구’ ‘ 성 규칙은 적은 빈도로 나타남을 밝히었다’ .

류옥경(2007)은 요약하기의 학문적 지식이 변환과정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먼저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로 범주화하고 각 요인들이 요약하기의 학문적 지식의 추상, , , 적 수준에서 실제적 수준까지의 변환과정에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요약하기를 내용적 지식의 생성부터 교육과정에 이르는 전 과정의 변환인 추 상적 수준의 거시적 변환과 교수 학습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실제적 수준의 미시적· 변환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류옥경의 연구는 요약하기가 교육.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고 적용되는가를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실, 제 요약문을 작성하는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요약하기· , 지식의 변환과정의 세 가지 요인에 관하여 왜 학습자들이 요약하기를 어려워하는 지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이상으로 요약하기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여 보았다 전반적으로 요약하. 기에 나타난 전략과 양상 및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지만 문헌이나 양적· , 연구에 집중하였고 단순한 요약하기 전략과 훈련 그리고 그 효과 검증에 관한 연, 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인지적인 연구에만 집중하였을 뿐 학습자. , 들의 요약하기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으로 학습자들이 어떤 요약하기

(24)

단계를 설정하는지 요약을 할 때 왜 미숙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과, 정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그리고 설명적 텍스트에만 국한된 요약하기 전략 연구로. 인해 다른 영역별 텍스트에 대한 전략 연구는 부진한 상태이다, .

즉 요약하기 전략이 요약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전, , 략들이 실제 수업과 실제 요약하기에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 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그리고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요약하기 전략에 대. 한 고찰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요약규칙을 적용 그 효용성을 밝히는, 데만 집중하고 있다 또한 설명문에 집중한 나머지 기타 종류의 글들에 기존의 요. , 약규칙이 적용 가능한 지에 대한 분석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요약하기 전략을 실태 분석을 통해 알아보겠다 또한 설명문과 논설문 서사문으로 구분하여 각 텍. , 스트 종류별로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요약하기 전략을 알아보고 그 중 가장, 효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요약하기 전략을 추출하여 실제 다른 학습자들에게 적 용해 보겠다 이를 통해 실제 유능한 학습자들의 요약하기 전략이 다른 학습자들에. 게도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 요약하기 전략인지를 변화 양상의 관찰을 통해 알아보 도록 하겠다.

연구 방법 3.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요약을 위한 전략을 적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가 요약 이란 용어의 불확실성에 기인한다고 판단한다 즉 학습자들이 요약하‘ ’ . , 기에 관한 학습을 시행함에 있어서 요약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리 없이 이와 유사, 한 용어들을 혼동에서 사용하는 것이 요약하기를 어렵게 만드는 첫 원인이라고 본 다 그러므로 요약에 대한 개념 정리를 통해 이와 유사한 용어들과의 차이점을 파. 악하고 요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를 탐구해 볼 것이다 그 내용을 바탕으로, . 실태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이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요약하기 의 전략을 조사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텍스트의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25)

이 상이할 거라는 가정 하에 설명문과 논설문 서사문의 요약하기 전략을 분석할, , 것이다 그것을 토대로 텍스트의 종류별로 적절한 요약하기 전략을 탐구하여 학습. 자들에게 유용한 전략을 적용하여 그 변화를 관찰 그 전략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입증하고자 한다.

에서는 학습자들이 요약하기를 어려워하는 원인이 학습자 개개인에게 있기 보

다는 요약에 쓰이는 용어의 불확실성과 현행 요약규칙의 적용의 문제적 상황을 밝, 혀보고자 한다 현재 요약하기와 관련된 사용되는 용어들을 국어교육학사전. , (1999) 을 바탕으로 개념들을 정리하겠다 그런 다음 현행 요약하기에 적용되는 요약규칙. 들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밝힌 뒤 새로운 요약하기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에서는 의 분석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요약하

Ⅲ Ⅱ

기에 대한 실태 조사를 실시해 실제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요약하기 전략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내용에 나타난 요약하기 전략과 실제 학습자들이. , 사용하는 요약하기 전략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밝혀 텍스트를 읽고 요약하기를, 실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설명문 논설문 서사문으로 분류하, , 여 알아보고자 한다.

에서는 에서 확인된 요약하기 전략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Ⅳ Ⅲ

적용하여 요약하기 전략 적용에 따른 요약 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이를, . 통해 실제 학습자들이 두루 사용하고 있는 전략이 어떤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를 확인해 볼 것이며 요약하기 전략 적용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지를 조사를 통해 밝, 힐 것이다.

(26)

요약하기의 이론적 배경 .

요약 과 관련하여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굉장히 많은데 그 용어들이

‘ ’ ,

동일한 의미로 구분 없이 사용되거나 비슷한 의미로 쓰여 학습자들이나 연구자들 에게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용어들로 중심내용 중심생각 요지 줄. ‘ , , , 거리 주제 등이 있는데 이 용어들은 요약과 관련된 연구들이나 교육과정 속에서, ’ , 제시되고 있는 개념들로 일정한 기준 없이 혼란된 양상으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 현상의 이유는 현재 요약 자체의 의미를 분명히 정립하지 않았으며 다른 용어들과, 유사한 의미로 구분 없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적 상황 때문에 요약에. 관한 설명이 불분명해지고 그에 따라 요약하기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접근과 전략, 연구가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요약하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먼저.

요약 의 개념이 확실히 정립된 상태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 .

본 장에서는 우선 요약의 개념을 이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용어들을 함께 살 펴봄으로써 정의를 내려 보고 요약하기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략들과 그, 문제점을 짚어보겠다 이 두 가지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요약하기 전략을 세워. , 보도록 하겠다.

요약의 개념

1.

5)

요약은 여러 연구에서 많이 논의되었고 있으나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논의를 펼, 치고 있다 또한 다른 유사한 용어들과 구분없이 요약을 정의하고 있으므로 그 정. , 확한 정의가 쉽지는 않다 그래서 여기서는 국어교육학사전. (1999)의 정의를 기준 으로 하여 요약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요약 은 일반적인 사전들에서 텍스트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간추린 것 이라고

‘ ’ ‘ ’

5) 요약‘ (summary)’과 요약하기(summarizing)'는 분명히 다른 용어이다 하지만 현재 학자들의 논의나 사. 전들을 보았을 때 그 의미가 분명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요약 은 중요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고 요, . ‘ ’ , ‘ 약하기 는 중요한 내용을 찾아 정리하는 것 즉 요약을 하는 행위에 초점을 둔 용어이다 본고에서는 개’ , . 념에 관한 정리에서는 요약 을 이를 제외한 나머지 상황에서는 요약하기 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 ’ , ‘ ’ .

(27)

정의하고 있다 텍스트를 기준으로 중요한 내용을 뽑아 그 양을 줄인 것을 의미한. 다 그러나 중요한 내용이 무엇이고 덜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의. 미는 알 수 없다 이를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학사전. (1999)6)을 기준 으로 요약의 개념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국어교육학사전(1999)에서는 요약 의 의미를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7)

1 요약은 글 작품 의( ) 지시적 의미를 훨씬 더 적은 말을 사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말한 다 요약은 바꾸어 쓰기. (paraphrase)의 늘이기와 줄이기 중 줄이기에 해당한다. (중략)

줄이기는 개요 만들기와 요약하기가 있다. 개요 만들기는 번호를 붙이며 줄이는 것이 다 다른 진술의 의미를 포함하는 진술에는 상위번호를 매기고 다른 진술의 의미에 포. , 함되는 진술에는 하위번호를 매기면서 개요를 작성하면 진술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다. 작성된 개요의 번호를 없애고 알맞은 접속사를 덧붙이면서 문장을 연결하면 요약 이 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요약을 하려면 먼저 개요를 작성해야 한다.

2 요약이란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만을 추려내는 것을 말한다 실용적인. 텍스트의 경우도 내용의 중요한 부분을 추려 내어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정리하 는 일을 뜻한다.8)

의미 1에 의하면 요약은 글 작품 의 지시적 의미를 훨씬 적은 말을 사용하여 나‘ ( ) 타내는 것 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요약 의 의미는 텍스트에서 말해진 중요한 내용’ , ‘ ’ 을 의미한다 즉 요약이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이. , , 요약의 전제가 됨을 뜻한다 그리고 글 작품 을 대상으로 함으로 모든 텍스트에서. ‘ ( )’

요약을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요약할 때 중요한 내용 에 대한 기준이 명. ‘ ’ 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의미 2에서의 요약은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만을 추려내는 것 으로‘ ’ 나타나 있는데 의미, 1에서는 나와 있지 않았던 중요한 내용 의 기준이 제시되어‘ ’ 있다.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정리하는 일 이라는 구절을 통해 요약을 할 때’ , 6) 요약 이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사전들 중 요약에 대한 개념 정의를‘ ’ ,

하고 있는 사전은 국어교육학사전(1999)뿐이다.

7) 밑줄은 연구자가 논의를 강조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표시한 것임.

8)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p.564~565.

(28)

중요한 내용을 추려 정리하되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있는 내용들로 정리해야 한다, 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제시된 요약의 의미는 모든 텍스트가 아닌 문학 작품. , 즉 서사적 텍스트에 해당되는 의미이다 즉 의미. , 1이 모든 텍스트를 일컫는 반면, 의미2는 서사적 텍스트로 요약의 의미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의미 1과 의미2를 보았을 때 요약을 텍스트의 종류별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으, 로 보이기는 하나 결과적으론 모든 요약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요약이 의미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미. 1에서의 요약은 텍스트 중심의 요약 이 전제가 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으면 의미, 2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요약이 중 요하되 그 내용 선별 기준은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있는 내용들이어야 한다는 것이, 다.

두 의미를 종합할 때 요약의 정의는 일단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다, .

위 정의는 두 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이다 요약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그것은 요약이 텍스트를 읽지, . . 않고는 일어날 수 없으며 텍스트로부터 정보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요약은 텍스트, . 에 대한 내용 이해를 전제로 하며 텍스트 내에서 내용이 선택되고 텍스트 외의, , 내용이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행위이다.9)

둘째 전체의 의미이다 요약은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들의 집합으로 중요한 내용, . , 들이 빠짐없이 들어가는 것이다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이 빠져있다는 것은 텍스트. 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며 그런 요약은 그것을 읽는 독자들에게 텍스트, 전체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지 못한다 즉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내용들만이 요약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요약의 개념을 정의해 봄으로써 요약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텍스트 전,

9) 이수희(2005), 「독자의 목적에 따른 요약하기 체계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40.

요약이란 텍스트를 기반으로,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내용들을 추려내어 정리한 것이다.

(29)

체의 의미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선택하여 조직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요약에 있어서 텍스트의 내용들 중 전체의 의미를 포괄할 수 있는 내용들이 선택되고 조직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위의 정의 또한 요약의 개념을 완벽하게 정의하고 있지는 못하다. ‘전체 의 의미 라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다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들을 포괄할 수’ . 있는 전체의 의미 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 .

요약에 대한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요약 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 ’ 는 용어들을 정의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에서 말해진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는 중심내용‘ , 요지 줄거리 중심생각 주제 가 있다 국어교육학사전, , , ’ . (1999)을 중심으로 용어들에 대한 논의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10)

중심내용 은 국어교육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지만 요약과

' (central thought)' ,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중심내용과 요약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심내용을 국어교육학사전. (1999)의 정의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심 내용은 글 전체의 내용을 포괄하여 중심이 되는 내용을 말한다 글의 중요한. 정보를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용어로는 중심 내용 이외에 요지 주제 요약 등이 있는, , 데, 이들 용어간의 명확한 개념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11)

위 정의에 따르면 중심내용은 글 전체 내용을 포괄하여 중심이 되는 내용 이지, ‘ ’ 만 유사한 용어가 다양하고 명확한 개념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 다 중심내용은 텍스트에 의존하고 있으며 텍스트에서 말해진 중요한 내용을 가리. , 킨다는 점에서 앞 절에서 정리한 요약의 의미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중심내용은 개념 구분 없이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데, '요지(main 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요지의 개념이 혼동되어 쓰이고 있

idea)' .

음을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다.

10) 이수희(2005), 「독자의 목적에 따른 요약하기 체계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을 참조하여 재구성하였음

11~30 .

11)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대교출판, p. 700.

(30)

요지는 작품의 중심적인 생각을 뜻한다 요지와 같은 뜻을 가리키는 말에 요점 대. , 의 주제가 있다 요지 요점 주제는 각각, . , , ‘main idea’, ‘main point’, ‘theme’ 을 번역 한 말이다 영어에서도 이 말들은 서로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요지는 동의어 중에는. .

중심생각 이 있다 중심생각은 의 번역어이다 중략

‘ ’ . ‘central thought’ . ( )

요지는 요점이나 대의와 함께 정확한 정의 없이 상투적으로 사용되는 말에 속한다.

앞으로는 이 말을 사용하지 말고 주제라는 말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주제라는 말이 어렵게 느껴지는 수준에서는 주제 대신에 중심생각이라는 말을 사용하 는 것이 좋을 것이다.12)

국어교육학사전(1999)에 의하면 요지는 작품의 중심적인 생각을 뜻하는 것 으, ‘ ’ 로 문학 작품인 서사적 텍스트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정확한 정의가 없. 이 상투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의미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지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말 것을 제안하고 있다 요지에 대한 정의를 살. 펴보면 이 역시 요약 이라는 단어와 구분없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

텍스트에서 중요한 내용을 의미하는 용어에는 줄거리' (story)'도 있다.

소설이나 희곡 속의 연속으로 일어난 사건의 집합이다 줄거리와 비슷한 말에 플롯. 이 있다 플롯은 작품에 표현된 사건의 집합이다 줄거리와 플롯은 일치할 수도

(plot) . .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작품에서 사건이 일어난 순서대로 표현되면 줄거리와. 플롯이 일치한다. (중략)

줄거리는 작품에 표현된 사건의 개요를 작성하거나 사건을 요약해야 분명하게 드러 난다. 줄거리와 플롯이 일치하지 않는 작품은 먼저 플롯 개요를 작성하고 다음에 시간, 적 순서와 어긋나는 사건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재배치해야 줄거리가 분명하게 드러난 다. (중략)

줄거리 개요 작성 능력의 학습은 사건 중심의 문학 작품 분석 교육의 중요한 기초 학습이 된다.13)

위의 정의에 따르면 줄거리는 소설이나 희곡에서 연속적인 사건의 집합 으로 서‘ ’ , 사적 텍스트라는 한정된 텍스트 유형에서 사용한다 줄거리는 텍스트 속의 사건을. 선택하여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정리하는 것으로서 소설이나 희곡과 같은 서사적, 12)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국어교육학사전』,대교출판, p. 565~566.

13)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대교출판, p. 697~698.

(31)

텍스트는 사건을 중심으로 흐르기 때문에 연속된 사건들을 나열하는 것이 바로 텍, 스트에서 말해진 중요한 내용을 의미하게 된다 즉 줄거리는 텍스트에서 말해진. , 중요한 내용 중에서 사건들을 시간 순서로 나열한 것이기에 이 또한 텍스트 중심, 의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줄거리 또한 중요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요약의 의미와 별반 차이가 없다 다만 서사적 텍스트만이 갖는 사건 의 연속이라. , ‘ ’ 는 특징을 간과해서는 안 되겠다 이는 이후에 텍스트별로 요약하기 전략을 정립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요약 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용어로는 중심생각 도 있다 중심생각은

‘ ’ ‘ ’ .

국어교육학사전(1999)에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요지의 용어 설명 속에서 의 번역어 즉 중심내용과 같은 의미로 설명되어지고 있다 이 또

‘central thought’ , .

한 앞서 제시한 용어들과 큰 의미 차이는 보이지 않는 용어이다.

주제 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삶에 대한 일반화의 개념으로 논의되고 ' (theme)'

있다 주제에 대한 개념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글의 중심적인 내용이나 중심생각 또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나 세계관의 반 영체 작품에 반영된 중심사상, 을 말한다 주제는 보통. 글의 내용을 통합하는 중심의미 이며, 전체 글의 함의 혹은 그 글이 설명하는 세상이나 삶에 대한 일반화라 할 수 있 다. (중략)

흔히 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인 담화나 텍스트 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 주제 파악, 을 글의 이해과정의 최종 단계로 설정하고 있다. (중략)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주제 진술에 관한 지도 방법으로는 ① 표현 훈련, ② 텍스트의 위계적 구조 파악과 재배열 훈련, ③ 요약 훈련 등이 있다.14)

위의 정의에서는 주제를 중심내용 중심생각 의도 중심사상 등 텍스트의 중요‘ , , , ’ 한 내용을 의미하는 표현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글이 설명하는 세상이나 삶에 대한 일반화 이며’ ,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나 세계관의 반영 체 라는 표현을 볼 때 주제는 텍스트에서 말해진 것 뿐만 아니라 필자의 의도까지’ , 포함하여 글의 중심적인 개념들을 정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용.

14)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국어교육학사전』,대교출판, p. 692~693.

(32)

어들 중 가장 의미의 범위가 넓게 정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즉 텍스트 내의 중. , 요한 내용들에 필자의 의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텍스트에 가시적으로 드러, 나 있지 않은 중요한 내용까지 요약에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일반적. ‘ 인 담화나 텍스트 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 주제 파악을 글의 이해과정의 최종 단계, 로 설정 이라는 구절을 통해 주제 파악이 모든 텍스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 이자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살펴보면 중심내용과 요지 줄거리 중심생각 주제는 사용되, , , 는 텍스트의 유형만 다를 뿐 텍스트 중심 개념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텍스트에, , 서 드러난 내용을 진술하였으며 텍스트에서 말해진 중요한 내용들을 선택하여 작, 성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동일한 의미를 가진 이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 , 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그 의미들이 모두 요약 과 별반 차이. ‘ ’ 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위 논의를 바탕으로 종합해 보았을 때 텍스트 내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은 주제 임을 알 수 있다‘ ’ . ‘중심내용 요지 줄거리 중심생각 은 모두 텍스트를 기, , , ’ 반으로 그 텍스트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중요한 내용들을 의미하는데 반해, , ‘주제’ 는 이러한 가시적으로 드러난 중요한 내용들 뿐만 아니라 글이 설명하는 세상이나‘ 삶’, ‘작가의 의도나 세계관 같은 텍스트에 내포된 중요한 내용까지 포함한 개념이’ 다 또한 모든 텍스트를 읽고 이해했다는 것은 바로 주제를 파악했다는 의미와 동. , 일하다고 정의한다 이를 통해 텍스트 내에 중요한 내용들은 주제 가 그 기준이. , ‘ ’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요약의 의미를 최종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2. 요약하기 일반 전략

요약이란 텍스트를 기반으로,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

들을 추려내어 정리한 것이다.

(33)

요약하기는 텍스트의 내용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정보 즉 주제를 추출해내는, 과정이다 요약을 잘 한다는 것은 결국 글 전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고 주제. 를 정확히 찾아냈다는 뜻이다 이런 요약하기를 학습하거나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잘못된 것이 요약하기를 막무가내로 분량을 줄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것 이다 국어교육학사전. (1999)을 바탕으로 정의를 내린 것과 같이 요약은 텍스트의, 분량을 줄이되 글 전체의 주제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중심적인 내용들을 가려내고 반영한 결과물이 바로 요약하기이다 그 다음에 그것들을 일반화 시키고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런 요약하기를 할 때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 바로 미시적인 관점에, 서 문장이나 문단 단위에서 요약하기를 실시하거나, ‘요약규칙 을 활용하여 요약을’ 하는 것이다 이에 학습자들은 무엇을 삭제하고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어려. 움을 느낀다 즉 텍스트 내에서 일단 주제들을 찾아내어 그와 관련된 문장이나 문. 단들을 찾아내어야 하는데 사실적 이해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학습자들이 텍스트, 내에서 중요한 문장이나 문단을 찾아내거나 요약규칙을 이용하여 중요한 내용을, 찾아내는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일반화 규칙이나 구성 규칙을 통해 비판. 적 창의적 이해와 표현을 요구하는 현재의 요약하기 교육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 다.

문장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텍스트의 내용 구조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마련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한 연구에는 이삼, 형(1994)이 있다 그는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은 문장들의 인접된 의미결속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의 내용을 하나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는 분석 방법을 고안 하였다 내용 구조의 종류는 총 아홉 가지로 나누었는데 논의 중에 텍스트의 의미. , ‘ 결속을 형성하는 관계 의미의 종류는 관점에 따라서 무한에 가까울 수 있다 이삼( 형, 1994 : 62)’라는 진술을 통해서 이러한 종류의 구분이 타당하지 않다는 허점을 보여주고 있다 무한한 구조들 중에서 아홉 가지를 선정한 것에 불과하며 동일한. , 층위에서 단순히 그 종류를 나열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관계를 이루는 문장들. 의 의미가 대등하게 관계를 맺는 경우와 종속적으로 관계를 맺는 경우 등으로 유

(34)

형화하여 문장 단위의 분석 방법을 단순하게 제시했어야 하는 문제점을 보여준 다.15)

문단을 텍스트 분석 단위로 사용한 조혜선(1995)은 문장을 분석 단위로 사용했 을 때의 문제점을 밝혔다 그러나 관계를 이루는 문단들의 의미가 대등한가 종속. , 적인가에 따라서 관계 구조의 표현이 달라지는 것을 언급하였지만, ‘기능 문단 내, 용 문단 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구조를 동일한 층위에서 나열하였다’ . ‘기능 문단 에서’ 는 도입 구조와 요약 정리 구조가 있으며· , ‘내용 문단 에는 문제 해결 구조 비교 대’ ․ , ․ 조 구조 인과 구조 열거 구조 기술 구조가 있다고 제시했다 텍스트를 의미관계, , , . 에 따라서 분석한 것이 아니라 처음 가운데 끝 의 형식적인 면을 중시해 텍스트‘ , , ’ 를 분석하였다 이는 형식적 구분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텍스트는 분석하기 어렵다. 는 문제점을 보여준다.16)

텍스트 분석 연구에서 중심생각 찾기 또는 요약하기를 규칙화한 대표적인 연구 자로는 Kintsch & van Dijk(1978), Brown & Day(1983), Hahn &

등이 있다

Goldman(1983) .17) 텍스트의 구조 분석 이론들이 텍스트와 독자의 기억 간에 일어나는 자동적인 정보 처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라면 요약규칙은 이, 를 구체화하여 의식적인 과정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읽기 와 중심생각 찾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가시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18) 그 중 현 행 요약하기의 원리를 제시한 대표적 연구로는 Kintsch & van Dijk(1978)의 요약 규칙이 있다 이 요약규칙은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거시구조 측면에서 접근하여 텍. 스트 처리의 심리적 과정에 입각한 요약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van Dijk가 적용한

거시규칙 은 다음과 같다

‘ ’ .19)

생략(deletion rule) : 텍스트 안에 있는 여러 명제 중 잉여적이거나 핵심적이지

15) 이선희(2003), 「텍스트 구조 단서를 활용한 중심내용 찾기의 효율성 제고 방안」, 인천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5.

16) 이선희(2003), 「텍스트 구조 단서를 활용한 중심내용 찾기의 효율성 제고 방안」, 인천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6.

17) 서혁(1994), 『요약능력과 요약규칙』,국어교육학연구 제 집 국어교육학회4 , , p. 127에서 재인용. 18) 서혁(1994), 『요약능력과 요약규칙』, 국어교육학연구 제 집 국어교육학회4 , , p. 127~130을 참조하여

정리함.

19) Van Dijk, T. A. 정시호 역(1995). 텍스트학 아르케. . p. 80~87을 참조하여 재구성함.

(35)

않은 정보는 제거될 수 있다.

선택(selection rule) : 다른 명제를 조건 전제 결과 등으로 함의하는 명제는, ,

생략되지 않고 선택된다.

일반화(generalization rule) : 핵심적 정보도 삭제하여 어떤 명제를 새로운 명

제로 대체함으로써 본질적 구성 부분이라도 생략할 수 있다

구성 (construction rule) : 여러 명제들을 어떤 상태 사건 과정 보통조건 상, , , ,

황 요소 결과와 같은 총괄적이고 통합된 표현으로 대체할 수 있다, , . 이런 요약규칙을 적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20)

첫째 텍스트의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요약규칙을 사용하고 있다, . 그러나 요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텍스트의 거시 구조를 분석하는 것과 유사하며, 요약규칙의 적용에 대한 진술이 명확하지 않다 요약하기는 텍스트 구조 분석을 바. 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텍스트 구조 분석과 명확히 구분하여 요약하기 전략이. 사용되는 부분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요약규칙이 사용되는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였다 문장에서는 어, . 떤 요약규칙이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지만 문단 이상의 텍스트로 확대되면 어떻게, 요약규칙이 사용되는지 제대로 알 수 없다.

셋째 단계가 설정되지 않아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요약하기는 주, . 제 찾기와 마찬가지로 고등한 수준의 능력이다 여러 가지 하위기능이 존재하며 하. 위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단계를 설정하여 어느 단계에 어떤 규칙이 사용되는지 자세하게 설명해야 한다.

서혁(1994)은 문장과 문단 단위의 분석을 포함하여 요약규칙을 통한 텍스트 분, 석을 보여주었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요약하기는 텍스트를 이해 정리 및 확인하. , , 는 데에 필수적인 전략의 하나이며 텍스트의 내용과 짜임을 분석 종합 이해하는, , , 것과 관련된 종합적 행위로서 비판적 읽기의 기본이 된다고 하였다 요약능력은 제. 목을 통한 거시구조적 단서와 문단의 처리를 중심으로 하여 요약규칙을 연습함으 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며 상위어로의 대치 훈련 중심내용과, , 20) 이선희(2003), 「텍스트 구조 단서를 활용한 중심내용 찾기의 효율성 제고 방안」, 인천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4.

(36)

필자의 의도 파악 화제문의 결합 등을 통한 다시쓰기 훈련 주제문 생성 훈련이, , 교수 학습 내용으로 병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요약하기를 하는 과· . 정은 텍스트 구조 분석하는 과정이나 중심내용 찾는 방법과 큰 차이가 없게 제시 되었다 학습자는 전체 텍스트를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내용을 파악하여 요약.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세한 과정이 제시되지 않았다 요약규칙이 어느, .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21)

위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기존의 요약하기 전략들은 텍스트의 구조를 문장이나, 문단 단위로 보고 그 구조를 파악하는 과정이 요약과 직결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 이런 구조 파악을 바탕으로 요약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요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어떻게 구조를 파악하는지 어떠. , 한 과정과 방법을 통해 요약이 이루어지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모습은 보여주지 못 한다 학습자들에게 요약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략이나 방법만을. 나열해 줄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모형과 과정을 보여주는 일이 중요하다 할 수 있, 겠다.

3. 주제중심 요약하기 전략

요약하기는 텍스트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전략으로서 이를 통해 학습자의 비가, 시적인 읽기 과정을 어느 정도 추론할 수 있고 텍스트 내용을 확인함과 동시에 학, 습자의 수용 정도를 확인해 볼 수도 있으며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찾아낸 중심, 내용들을 심화 발전시킬 수도 있다· .22) 그러므로 요약하기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학습자의 정보 수용 능력뿐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적인 활동을 원활하게 영위할 수, 있는 언어사용 능력 향상이라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교. 육현장에서 나타나는 요약하기 규칙에 의한 요약하기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보인다.

21) 이선희(2003), 「텍스트 구조 단서를 활용한 중심내용 찾기의 효율성 제고 방안」, 인천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0.

22) 권희선(2001),「텍스트 요약하기 전략 연구」, 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

(37)

현재 중등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요약 규칙에 따른 요약하기는 문단별로 중심 문장과 세부 문장을 구분하여 그중에서 중심 문장을 선택하게 하거나 핵심어를 찾, 아 그와 관련된 문장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삭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더불어. 중심내용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 상위 용어나 문장으로 대치하거나 새로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23) 즉 요약규칙 중 삭제 와 선택 의 방법이 요약하기에 있, ‘ ’ ‘ ’ 어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화 와 구성 규칙이 부분적으로 제’ ‘ ’ 시되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의 사실적 이해도 힘들어 하는 학습자들에게 정보의 중요도를 판, 정하게 하는 선택이나 삭제 규칙은 미숙한 학습자들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든다 또. 한 일반화나 구성규칙 또한 미숙한 학습자들에게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 미숙. 한 학습자들에게 선택과 삭제의 방식은 정보들 간의 관계나 내용의 흐름보다는 중 심문장이나 핵심어만을 찾게 하여 오히려 선택되지 못한 정보를 소홀히 함으로써 효율적인 요약하기를 끌어내지 못하게 하며 무엇을 삭제할 것이고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모호하다는 것이다.24) 그리고 주어진 단서들을 일반화하거나 구성하는 규 칙 역시 미숙한 독자들에게 대단히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결과가 생긴 이유는 교육과정을 통해 요약하기의 규칙들을 기능중심으로, 그리고 단편적으로 학습한 결과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학년에 따라 요약하기와. 관련된 내용들을 학습하되 전 학년에 걸쳐 연계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결국 요약하기 능력 향상이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기능의 반복과 열거를 통해 학습자들은 스스로 요약하기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 움을 느끼게 된다.25)

23) 정시호 역(1995)에서 현행 요약하기에 대한 교육은 킨치와 반다이크, (Kintsch & van dijk, 1978)의 요약규칙과 이를 발전시킨 브라운과 데이(Brown & Day, 1983)의 요약규칙이 제시하는 중심문장이나, 핵심어를 찾아 선택하게 하는 원리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고 제시한다.

24) 권희선(2001),「텍스트 요약하기 전략 연구」, 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7.

25) 제 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요약하기와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7 . 첫째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중 읽기 영역에서 담당해야 할 요약하기에 대한 단원은 보이지 않는다, . 문단 나누기나 글의 짜임 파악하기 등의 읽기 내용들은 요약하기와 많은 부분에서 연관되어 있어 보이 기는 하나 이것들이 순차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단원 속에 포함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 전 과정에 걸쳐 요약하기 학습의 연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 요약하기와 관련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단원에서도 요약하기의 전략과 절차에 관한 내용이 아, 닌 요약하기를 위해 선행되어지는 하위 활동들 즉 주어진 자료를 읽고 대강의 내용 간추리기나 문단의, ,

참조

관련 문서

• CLEs 모형의 주요 원리와 요소를 이해하고 수업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4CID 모형의 주요 원리와 요소를 이해하고 수업설계에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때는 아이가 원하는 책을 꺼내오도록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조금씩 읽어주는 분량을 늘 리면서

3.3. 세계 빈곤층의 75%가 농촌에 거주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농촌개발과 개발 혜택을 폭 넓게 공유하는 것이 가난과 식량 부족의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③ 연구에 의하면 노화현상의 가장 명백한 사실로 나타나는 신체 작업능력의 감소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들에게는 잘 나타나지

별의별 사람들이 다 모여 사는 이 마을에서는 당신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일,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주는 일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일들을 안다는

텍스트 표층에서 문법적·구문적 연 계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독자로 하여금 이 소설 특유의 반복되는 표현이나 패턴에 익숙하게 만드는

첫째, 이들 자질로는 충분히 설명될 수 없는 다양한 텍스트 유형이 존재 둘째, 일부 텍스트 유형들은 이들 자질에 기대면 여러 가지 텍스트 집단 에 속할

•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가장 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