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한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한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Copied!
20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중 간 사회·문화 이해증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중점 1

13-01

중국의 중약자원 관리 현황과 세계화 전략

13-02

중국의 사회변동과 가족(Ⅱ)

13-03

한국과 중국의 성평등 현황 및 여성의 복지·고용정책 비교연구

13-04

한·중 청소년 특별교류의 성과와 향후 발전방안 연구

한·중 교육·인적 자원 개발방안 연구 중점 2

13-05

중국의 ECEC 이용 및 운영실태 연구

13-06

중국의 천인계획 연구

13-07

중국의 기업대학 제도 및 운영 현황 분석연구

중국 법·제도 연구 중점 3

13-08

중국 진출기업의 분쟁사례와 법적용에 관한 연구

중국지역발전에 따른 시장진출 전략모색 중점 4

13-09

중국 서부 물류시장 진출전략 수립: 중·동남아시아 국제협력의 활용을 중심으로

13-10

중국 서부지구 지역발전계획의 특성 및 도시경쟁력 분석연구

중국 기술·경제 동향분석 및 협력방안 중점 5

13-11

중국 해외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중 간 해외자원 개발 협력전략

■ 2013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협 동 연 구 총 서 13-45-11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한중간 추진현황과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박용덕 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3-45-11

137-747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46 TEL_ 3460-1223 FAX_ 3460-1212 http://www.kiep.go.kr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3-45-11

박용덕(朴鏞德)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미국 에모리대 경제학 박사

(현)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국제협력본부 본부장

『중국전력안보역량강화관련한중전력시장협력및대중국전력시 장진출방안』경제인문사회연구회협동연구총서(2012)

『녹색성장및에너지안보관련에너지산업의대중국진출전략』경제 인문사회연구회협동연구총서(2011)

ISBN 978-89-322-1498-6 ISBN 978-89-322-1072-8(세트)

·

·

(2)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 ‧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박용덕⋅이현주⋅양광식

2013년 중국 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3-45-11 연구보고서 13-51

(3)

2013 중국 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3-45-11 연구보고서 13-51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 ‧ 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인쇄일 2013년 12월 20일 발행일 2013년 12월 30일 발행인 이 일 형 발행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주 소 137-747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46 전 화 02) 3460-1178, 1179

팩 스 02) 3460-1144

인 쇄 예 원 기 획 ☎ 02-745-8092 등 록 1990년 11월 7일 제16-375호

비매품

ISBN 978-89-322-1498-6 978-89-322-1072-8 (세트)

(4)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13년도 협동연구사업 중국종합연구”

1. 협동연구총서 시리즈

협동연구총서

일련번호 연구보고서명 연구기관

13-45-11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 추진현황과 한중간

해외자원개발 협력전략 에너지경제연구원

2. 참여연구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진

주관연구기관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용덕 이현주

협력연구기관 에듀테인 양광식

(5)

❙ 국문요약 ❙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석유가스 등 에너지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석유의 경우 다칭 유전 등 동북부 지역의 유전이 장기채굴에 의한 자원고갈 과 생산비 증가로 향후 생산량 감소가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석유소비 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대외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천연가스도 현재 는 에너지소비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 서 중국정부가 천연가스의 개발 및 소비확대 정책을 추진하면서 국내소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석유가스의 수요 증가에 따라 중국은 에너지 공급확보를 위해 2000년대 들어 ‘저우추취(走出去: 해외투자)’ 전략을 통해 해외자원개발을 추 진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자원개발은 CNPC, Sinopec, CNOOC 등 3대 국영석유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자원외교, 에너지연계대출, 인수합병 등 방식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업의 대형화, 천연가스 및 LNG 분야의 진출 확대, 비전통자원에 대한 투자 증가, 중·하류 부문으로의 확대, 자원국과의 관계강화, 민간참여의 확대 등과 같은 특징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 특징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중앙아시 아와 러시아의 경우, CNPC를 중심으로 석유가스 파이프라인을 통한 에너지 도입을 위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지역은 ‘중국-아프리카’ 포럼 및 정상외교를 진행함과 동시에, 차관제공,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에너지자원 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유전개발 중심의 상류부문 투자에서 최근에는 하류분야로의 진출도 확대하고 있다. 북미지역의 경우 점차 M&A를 중심으로 비전통자원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급증하 는 국내 에너지 수요에 있어 중국내 셰일가스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인력 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원민족주의가 팽배한

(6)

중남미 지역에서는 대규모 차관을 통해 원유, 광물자원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동지역은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판단하면서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 는 이란과 수단 등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지역별 투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해외자원개발은 사업국 가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리스크의 증가, 국제사회의 중국 ‘신식민지화’에 대 한 비판 등 문제에 직면하는 한편, 사업타당성 평가능력 부족, 현지화 부진 등 기업자체 사업역량의 한계를 보이면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의 해외자원개발의 현황과 특성을 바탕으로 해외자원 개발 에서 실행 가능한 한·중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아 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국기업의 장애요인 해결을 위한 한 ‧ 중간 보완관계의 개발이다.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아프리카 사업 추진과정에 서 현지인이 아닌 중국인에 의한 일자리 선점, 인프라 건설 주체의 독점 등으 로 인해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가 심화되고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중국과 동반 진출을 추진한다면 중국기업에 게는 우리나라의 국가적 브랜드 이미지에 의한 반(反)중국 정서의 완화를 기 대할 수 있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에 있어서는 그동안 진출이 부진했던 아프 리카 등 국가에 대한 정보와 현지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 호 윈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사업성을 중심으로 한 한·중 해외자원개발 협력의 추진이다. 여기 에서는 우선 유망자산에 대한 컨소시엄 참여를 통한 협력을 들 수 있다. 컨소 시엄 형태의 협력방식은 다자간 협력방식으로서 자원개발의 리스크와 비용 을 분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이 이용되는 투자방식이다. 최근 아프리카 모잠비크 사업과 LNG Canada 사업이 컨소시엄 형태의 한·중 주요 협력사례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양자간 협력방식으로 한 ‧ 중간 합작회사를 통한 유망 자산의 확보와 해외기업의 공동인수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7)

축을 위한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간 협력을 추진할 경우 해 외 에너지 자원개발에 있어 또 다른 한 ‧ 중간 협력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있어 한국과 중국 공적 금융기관간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있어서의 금융분야 협력도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리스크를 완화하고 사업안정성 확보와 이윤창출을 위한 여건 조성 측 면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중국 국내 비전통자원개발사업과 석유가스 인프라 건설사업 분야에 서도 사업성을 중심으로 한 한·중 협력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중국은 막 대한 규모의 셰일가스 자원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국가 정책적으로도 자국내 비전통자원의 개발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내 비전통가 스 자원개발을 위한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우리 나라 기업이 중국내 유망한 로컬 협력파트너를 선정하여 지분투자 방식으로 관련 분야 투자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 중국정부는 자국 내 석유가스 공급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대대적으로 수송과 정제관련 산업 을 확대하고 있고 외국기업의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및 비축시설의 건설과 운 영 등 사업에의 투자를 ‘장려’ 분야에 지정하는 등 투자여건이 유리하게 조성 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내 석유가스 중·하류 분야 인프라 사업과 관련해 중 국과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북아 3국간 에너지 협력 증진과 한·중 해외자원개발 공동진출을 위한 대중국 외교방안 모색 등 한·중 양국간 외교부문의 협력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중·일 3국은 모두 에너지자원에 있어 높은 해외의존성을 가지 고 있는 국가로서 에너지 협력을 위한 관련 제도의 정비와 조화를 위한 논의 채널 구축에 있어 우리나라가 가교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교적 역량을 강 화해야 한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해외자원개발 동반 진출을 위한 정부차원 의 대중국 외교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8)

으로 기술과 자원개발 연관산업 그리고 공동운영 사업 등과 같은 협력을 추진 할 수 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발전전략에 있어서 중국과의 협력 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분야는 ‘기술인력 교류’ 분야라고 할 수 있 다. 중국은 국내 육상 석유가스 자원뿐만 아니라 해상유전에서의 매장량 탐사 와 개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년 동안 해외 메이저 기업과의 연 대 및 제휴관계를 통해 개발기술을 축적해 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중 국으로 탐사, 개발 관련 전문 기술인력을 파견하여 현지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관련 기술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또 한 중국현지 또는 해외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중국의 고급기술 인력을 초빙 하여 우리나라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사업도 추진해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자원개발 연관산업의 공동발전 추진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은 상호보완성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건설설계, 플랜 트, 파이프라인 및 LNG 터미널 시공사업 등에서 하부 개별 사업단위의 아웃소 싱과 같은 협력모델을 구축하여 각 자의 우위를 바탕으로 공동 발전하는 방안 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가 보유한 LNG 터미널 관련 기술을 바탕으 로 중국 국내 사업으로의 진출을 확대할 수 있다. 최근 우리기업의 중국내 기 술서비스 부문으로의 투자확대도 주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

중 공동운영사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해외자원 개발 사업은 소규모 지분참여 위주 사업방식을 추진함에 따라 기술, 운영 분야에서 성과가 미미하고 수익창출에 있어서도 큰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차원의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핵심 사업에 대한 운영권 보유를 통해 노하우를 체득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고 하겠다. 한국과 중국은 유사한 동양적 문화, 지리적 인접성, 빈번한 경제사 회적 교류를 바탕으로 해외 광구를 공동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건을 가 지고 있다. 이를 통해 각자가 보유한 운영상의 노하우와 기법을 교류함으로써

(9)

차 례

국문요약 ··· 5

제1장 서론 ··· 17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8

2. 연구 내용 및 방법 ··· 19

3. 기대 효과 ··· 21

제2장 중국의 석유가스 수급 및 정책 ··· 23

1. 중국의 석유 수급 현황 및 정책 ··· 24

가. 중국의 석유 수급 현황 ··· 24

나. 중국의 석유 관련 정책 ··· 30

2. 중국의 가스 수급 현황 및 정책 ··· 35

가. 중국의 가스 수급 현황 ··· 35

나. 중국의 가스 관련 정책 ··· 41

3. 중국의 석유가스 수입다변화 전략 ··· 46

가. 중국의 석유가스 수입다변화 전략의 배경 ··· 46

나. 중국의 석유가스 수입다변화 구축현황 ··· 48

제3장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부문별 사업추진 현황 ··· 57

1.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국내 석유가스 상류부문 개발 및 추진현황 ··· 58

가. 석유가스 상류부문 생산구조 추이 ··· 58

나. 주요 국영석유기업별 최근 석유가스 생산현황 ··· 60

2. 최근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상류부문 개발전략 및 추진현황 ··· 62

가.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상류부문 개발전략 ··· 62

나.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개발 사업추진 현황 ··· 69

(10)

3.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수송인프라 및 정제 ‧ 판매 등

중 ‧ 하류부문 개발현황 ··· 80

가. 석유가스부문 파이프라인 ··· 80

나. LNG 터미널 ··· 85

다. 정제 ‧ 판매 부문 ··· 88

제4장 중국 해외자원개발의 특징과 문제점 ··· 95

1. 중국 해외자원개발 정책과 제도 환경 ··· 96

가. 중국 해외자원개발의 거버넌스 ··· 96

나. 중국 해외자원개발 정책과 제도 ··· 100

다.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기본 현황 ··· 115

라.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진출 현황 ··· 119

2. 중국 국영석유기업 해외 석유가스 개발의 지역별 현황과 특징 ··· 124

가. 지역별 진출현황 ··· 124

나. 지역별 자원개발 특성과 최근 변화추이 ··· 155

3.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자원개발에 있어서의 문제점 ··· 161

가. 해외요인 ··· 161

나. 국내요인 ··· 166

4. 중국정부의 에너지외교 현황과 문제점 ··· 172

가. 에너지외교 현황 ··· 172

나. 중국 에너지외교의 문제점 ··· 175

제5장 중국 해외자원개발 관련 한‧중 협력방안 ··· 179

1. 해외자원개발 부문에서의 한 ‧ 중간 협력 장애요인 ··· 180

가. 해외자원개발에서의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위상 및 경쟁력 제고 ··· 180

나. 자원개발사업에 대한 양국간 제도와 사회적 인식의 차이 ··· 183

(11)

2. 중국 해외자원개발의 지역별 장애요인 해결을 위한 한 ‧ 중간

보완관계 개발 ··· 186

가. 아프리카 에너지자원개발 관련 보완관계 개발 ··· 186

나. 여타지역 에너지자원개발 관련 보완관계 개발 ··· 188

3. 사업성 중심의 한 ‧ 중 해외자원개발 협력방안 ··· 189

가. 제3국 또는 기타지역에서의 협력방안 ··· 189

나. 중국 국내 자원개발 사업에서의 협력방안 ··· 193

4. 에너지외교부문의 한 ‧ 중간 협력방안 ··· 195

가. 동북아 3국간 에너지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한 ‧ 중 협력방안 ··· 195

나. 한 ‧ 중 해외자원개발 공동 진출을 위한 대중국 외교 방안 모색 ··· 195

5. 우리나라의 해외자원 장기적 발전전략과의 연계성 확보 방안 ··· 196

가. 기술인력 교류에 있어서의 한 ‧ 중 협력 ··· 197

나. 자원개발 연관산업의 한 ‧ 중 공동발전 모색 ··· 198

다. 해외자원개발사업에 있어 한 ‧ 중 공동 운영사업 모색 ··· 199

참고문헌 ································································································201

(12)

표 차례

표 2-1 IEA 신정책 시나리오하의 지역별 석유수요 전망(2015-2035년) ··· 29

표 2-2 중국 국내 석유수요 전망(2015년 및 2020년) ··· 30

표 2-3 중국의 해외투자 프로젝트 투자금액별 심의허가 부처 ··· 32

표 2-4 중국의 전략적 석유비축(SPR) 단계별 계획 및 추진현황 ··· 33

표 2-5 중국 석유화학산업 12.5 발전계획의 주요 내용 ··· 35

표 2-6 IEA 신정책 시나리오하의 지역별 가스수요 전망(2015-2035년) ··· 40

표 2-7 IEA 시나리오별 중국 천연가스의 향후 전망(2020년 및 2035년) ···· 41

표 2-8 중국 천연가스 관련 정책 ··· 42

표 2-9 중국 천연가스 발전 12.5계획의 주요 발전목표 ··· 43

표 2-10 중국 12.5기간의 전통가스 개발 목표 ··· 44

표 2-11 중국 12.5기간의 비전통가스 개발 목표 ··· 44

표 3-1 중국 3대 NOC 석유 생산량 및 비중변화 추이 ··· 59

표 3-2 중국 3대 NOC 가스 생산량 및 비중변화 추이 ··· 60

표 3-3 2012년 중국 석유기업별 주요 석유가스 생산프로젝트 현황 ··· 61

표 3-4 중국의 에너지연계대출 현황(2009-2010년) ··· 65

표 3-5 중국 3대 NOC의 주요 비전통자산 확보 현황(2010-2012년) ··· 68

표 3-6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중남미지역 M&A 현황(2009-2011년) ··· 68

표 3-7 최근 CNPC의 M&A 현황(2010-2013년) ··· 72

표 3-8 최근 Sinopec의 M&A 현황(2011-2013년) ··· 74

표 3-9 최근 CNOOC의 M&A 현황(2011-2013년) ··· 77

표 3-10 CNPC의 주변국가간 파이프라인 건설 현황 ··· 84

표 3-11 CNPC의 정제부문 주요 지표 ··· 88

표 3-12 Sinopec 정유부문 생산량 추이 ··· 90

표 3-13 Sinopec 판매부문 변화추이 ··· 91

표 4-1 중국 에너지자원의 해외진출 전략과 정책 변천 ··· 101

(13)

표 4-3 Sinopec의 주요 경영지표(2010-2012년) ··· 117

표 4-4 CNOOC 주요 경영지표 ··· 118

표 4-5 중남미 국가별 진출사례 ··· 139

표 5-1 한 ‧ 중 석유자원개발 재무 분야 성과 비교(2009년) ··· 182

표 5-2 한 ‧ 중 석유자원개발 상류 분야 성과 비교(2009년) ··· 182

표 5-3 한국석유공사(KNOC)의 한 ‧ 중 공동연구 추진실적 ··· 185

표 5-4 한국가스공사(KOGAS)의 중국내 가스 LNG 터미널 관련 협력사업 사례 ··· 198

(14)

그림 차례

그림 2-1 중국 주요 원유 생산지 분포 ··· 26

그림 2-2 중국의 석유 수급 변화 추이(2001-2012년) ··· 27

그림 2-3 중국의 국별 원유 수입비중(2010년) 및 수입 변화추이 (2000-2011년) ··· 28

그림 2-4 중국의 천연가스 수급 변화 추이(2001-2012년) ··· 36

그림 2-5 중국의 용도별 가스 소비구조 변화 전망(2015년 및 2020년) ··· 37

그림 2-6 중국의 가스수입 형태별 및 수입대상국별 현황(2006-2011년) ··· 38

그림 2-7 중국의 셰일가스 분포 지역 및 기술적 회수가능 자원량(TRR) ···· 45

그림 2-8 말라카해협의 원유수송로 ··· 47

그림 2-9 중국의 4대 석유가스 전략적 수입채널 현황 ··· 48

그림 2-10 중국-카자흐스탄 석유 수송 파이프라인 ··· 50

그림 2-11 중국-중앙아시아 가스파이프라인 노선도 ··· 50

그림 2-12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태평양 송유관(ESPO) 노선도 ··· 52

그림 2-13 러시아 가스파이프라인 예상 노선도 ··· 53

그림 2-14 중-미얀마간 석유 ‧ 가스 파이프라인 노선도 ··· 54

그림 2-15 중국의 석유가스 수입채널 현황 ··· 56

그림 3-1 중국-러시아간 에너지연계대출(Loan for Oil) 구조 ··· 66

그림 3-2 중국 NOC의 M&A 규모 및 자원별 M&A 구조 변화 ··· 67

그림 3-3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생산 추이 ··· 69

그림 3-4 CNPC의 해외사업 분포 현황(2012년 말 기준) ··· 71

그림 3-5 CNPC의 해외 3대 석유가스 운영센터 구상도 ··· 73

그림 3-6 CNOOC의 해외사업 분포 현황(2012년 말 기준) ··· 76

그림 3-7 Sinochem의 해외사업 분포 현황(2012년 말 기준) ··· 79

그림 3-8 서기동수 가스 파이프라인(1~3라인) ··· 82

그림 3-9 중국 LNG 인수터미널 현황 ··· 87

그림 3-10 CNPC의 주요 정유공장과 가공량 ··· 89

(15)

그림 3-12 CNOOC의 주요 정유공장과 가공량 ··· 92

그림 3-13 CNOOC 석유제품 판매망도 ··· 93

그림 4-1 해외에너지 자원개발을 위한 분업 체계 ··· 96

그림 4-2 CNPC의 남수단 및 수단의 광구 지분 현황 ··· 141

그림 4-3 앙골라 31광구 위치 ··· 142

그림 4-4 우간다 Albert 분지 유전 및 정유시설 위치 ··· 145

그림 4-5 이라크 West Qurna 유전 ··· 148

그림 4-6 호주 Queensland주 Curtis LNG Plant ··· 153

그림 4-7 중국 주요 해외자원개발 지역의 리스크 현황 ··· 164

그림 5-1 중국 3대 국영석유기업의 판매수입 변화추이(2011~2012년) ··· 180

그림 5-2 모잠비크 Area 4 해상광구 위치 및 개요 ··· 190

그림 5-3 한국 석유가스 해외자원개발 사업수와 자주개발율 변화추이 (2002-2012) ··· 197

(16)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기대 효과

제1장 서 론

(17)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중국의 경제성장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으로서 석유와 가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석유가스의 생산전망이 높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해외자원개발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1인당 석유소비량은 OECD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 준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향후 경제성장에 따라 추가적인 소비증가가 예측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석유소비 증가는 대체가 어렵고 경제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송용 및 산업용 수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 므로 중국의 석유자원 확보노력은 지속적인 경제성장 달성을 위해 계속 강화될 것이다.

중국의 해외자원개발은 CNPC를 비롯한 3대 국영석유회사가 중심이 되 어 추진되고 있는데 개발 초기에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 되었으나 점차 개발범위와 지역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장애요인에 직면하 고 있다.

중국 해외 석유가스 개발의 장애요인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독자적인 개발 추진이 개발당사국에서 반발과 우려를 유발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중국은 해외자원 개발에서 독자적 개발 못지않고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보다 다자적인 해외자원 개발도 추가적 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석유가스의 안정적 공급원 확보를 위해 2000년대에 들어와 적 극적인 해외 석유가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나 기존 메이저기업에 비해 사업 경험과 기술부족으로 인해 기대했던 성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18)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석유가스 기업과 공동으로 해외 에너지자원 개발 을 추진할 수 있다면 상호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양국이 추구하는 보다 효 과적인 해외자원 개발전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해외 석유가스 공동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중국의 석유가스 해외자 원 개발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와의 협력가능성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는 우선 중국석유가스 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개발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관련된 장애요인을 해결하 기 위해 우리나라와 중국이 상호 보완 ‧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발굴하고 자 한다. 또한 중국의 석유가스 기업의 해외자원 개발 현황에 대한 구체 적인 프로젝트 중심의 자료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중국 국영석유가스 기 업의 현황과 향후 추진방향을 전망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상기한 필요성과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보고서는 중국 석유가스 정책 및 수급전망, 중국 국영기업의 부문별 사업추진 현황, 중국 해외자 원 개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중국 해외자원개발 관련 한 ‧ 중간 협력전략의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중국 석유가스 시 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2장에서는 중국 석유가스 수급전망을 살펴보고, 제12차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중국 석유가스정책을 분석할 것이다. 3장 에서는 중국 석유가스부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중 국 국영석유기업의 부문별 사업 추진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국내 석

(19)

유기업의 활동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처럼 중국 석유가 스시장의 상황과 주요 중국 석유가스기업의 활동 상황을 분석한 후에는 이러한 기업들이 국내 석유가스 수급안정을 위해 해외자원을 어떤 방식 으로 개발을 추진하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4장에서는 우 선 중국의 해외자원개발 정책과 제도 환경을 검토한 뒤, 중국 국영석유기 업의 해외 석유가스 개발의 지역별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 으로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해외자원개발이 현재 어떤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해외자원개발 관련 중국의 외교 관련 문제점도 추가 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 국 해외자원개발 부문에서의 한·중 협력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우선 해외자원개발 부문에서의 한 ‧ 중간 협력 장애요인을 밝혀내고, 각종 장 애요인 해결을 위한 한 ‧ 중간 보완관계 개발방안과 사업성 중심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해외자원 장기 개발전략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는 한 ‧ 중간 해외자원 협력방 안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 행시키고자 하는데 우선은 기존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되 국 영석유가스 기업의 1차 자료 확보를 위주로 하되, 자료 확보가 어려운 경우 언론보도 등도 보완적으로 활용할 것이며, 가능한 한 중국 현지자료를 활용함 으로써 중국시장의 보다 정확한 상황을 반영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 연구의 경우, 문헌자료가 구체적인 내용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외 중국 에너지부문 전문가 네트워크 를 활용할 것이다. 중국 현지에서 석유가스 부문 국영기업의 전문가와 국책연 구소 및 에너지관련 대학의 전문가가 함께 논의하는 회의를 개최하여 일반적

(20)

인 문헌에서 얻을 수 없는 민감한 사안에 대한 정책담당자와 기업의 입장에 대한 정보를 얻을 것이다. 국내적으로는 석유가스부문 전문가회의를 개최하 여 중국과의 제3국에의 자원개발시장 진출에 대한 의견 교환 및 동향을 파악 할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해당분야의 전문가를 국내 또는 중국 현재에서 인터뷰를 추진함으로써 문헌자료가 가지고 있는 자료수집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 한다. 이밖에도 필요에 따라 국내외 전문 연구기관과 연구협력활동도 추진 하고자하는데 이는 분야별 전문연구기관을 활용함으로써 특정기관이 가지고 있는 관련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기대 효과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 해외자원 개발에 있어 강력한 경쟁관계로만 인식되 어 왔던 중국기업과의 구체적인 협력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의 효과적인 확대를 모색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로운 시각에서 발 굴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보고서는 중국 석유가스 기업의 국내사업 현황과 해외자원 개 발 현황 관련 자료를 보다 구체적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해외자원 개발기업의 동일 부문의 중국기업에 대한 정보를 심화하여, 향 후 분석대상 기업과의 효과적인 협력 및 경쟁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는 중국 해외자원 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시각의 자료를 제공함 으로써 동 분야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기업이 중국기업의 장단점을 보 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중국과 해외 자원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중국 국

(21)

영기업 특성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국영기업의 행태를 보다 정확히 이해 하고 예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국 국영기업과 협력과 경쟁이라는 양 면적인 관계를 보다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구축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이밖에도 현재 세계에너지시장의 화두로 부상된 셰일가스의 개발에 있어 서도 해외자원개발에서 축적된 우리나라와 중국 석유가스기업과의 협력 경험 을 바탕으로 중국 국내 셰일가스 개발에 있어 일정부문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2)

1. 중국의 석유 수급 현황 및 정책 2. 중국의 가스 수급 현황 및 정책 3. 중국의 석유가스 수입다변화 전략

제2장 중국의 석유가스 수급 및 정책

1)

(23)

1. 중국의 석유 수급 현황 및 정책

가. 중국의 석유 수급 현황 1) 석유수급 현황

1)

중국의 석유 확인매장량(proved reserve)은 2012년 말 기준 173억 배럴(23 억톤)로 세계 석유 확인매장량에서 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확인매장량 은 이미 발견된 유정의 매장량 중에서 현재의 기술과 경제적 여건으로 회수 될 것으로 추정되는 유량이다. BP 세계에너지통계(2013)에 따르면, 탐사설비 기술의 발달로 세계 석유 확인매장량은 2011년 말 기준 1조 6,541억 배럴 에서 2012년 말 1조 6,689억 배럴로 증가한 가운데, 2012년 중국의 석유 확인매장량은 173억 배럴로 전년대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중국의 국내 원유생산량은 2001년 1.6억 톤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 에 최초로 2억 톤을 돌파한 뒤 2012년에 2.07억 톤에 달하였다. 같은 기간 원 유생산 증가율은 2001년 0.6%에서 2004년 3.7%까지 증가한 뒤 둔화 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에는 7.1%까지 급등하였다. 이 후 2011년에 0.1%로 감소 한 뒤, 2012년에는 2.3%로 다시 증가함으로써 전반적으로 큰 변동 추세를 보이 고 있다.

중국의 국내 유전은 현재 20여 곳에 달하며 지리적으로 육상의 동북부 유 전과 중서부 유전, 그리고 해상유전으로 구분된다. 중국은 1960년대 동북부 지역의 다칭(大庆), 셩리(胜利), 라오허(辽河) 등 유전의 발견으로 1980년대 와 1990년대 초반까지 원유의 순수출국으로서 지위를 유지하면서 생산을 꾸

1) 본 장은 이현주 외(2012)의 “한중간 석유가스 중장기 수급안보 및 수입다변화 전략 공조방 안 연구”의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었음.

2) BP(2013), p. 6.

(24)

준히 확대해 왔다. 그러나 경제성장에 따라 원유수요가 증가하면서 급기야 1996년을 기점으로 원유 순수입국으로 전환되었다.

한편, 원유 소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원유생산 중심지역도 기존의 동북부 지역에서 중서부와 해상으로 이동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 다. Guy(2011) 연구에 따르면, 다칭, 셩리, 라오허 등 주요 유전이 밀집해 있 는 중국의 동북부 지역의 석유 생산비중은 1990년 80%에서 2009년 47%로 감 소한 반면, 중서부 지역은 19%에서 36%로, 해상 석유생산도 1%에서 17%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3)

다칭유전의 연간 생산량은 지난 1976년부터 2002년까지 5,000만 톤 이상 을 유지하다가 그 이후 10년간 약 4,000만 톤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2년의 원유와 천연가스의 생산량은 각각 4,000만 톤과 3.3bcm으로 현재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년 동안 다칭 유전의 함수율(含水率)이 90% 이상에 달하는데다가 남 아 있는 석유가 고도로 분산되어 있어 채굴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 서 다칭유전 등 노후화된 동북부 지역의 유전은 장기채굴로 인한 자원고 갈과 생산비용 증가에 따라 장기적으로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향후 신장(新疆), 네이멍구(内蒙古) 등 중서부 지역과 보하이만 (渤海湾)과 남중국해 부근의 해상유전 개발 여건 변화가 중국의 원유 생산여 력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에 중국 국 무원은 보하이 등 중국 주변 해역의 기존 유전의 회수율 증가와 대륙붕 탐사 개발 강화에 관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4) 동 계획에서는 보하이, 동중국해,

3) Guy C. K. Leung, Raymond Li and Melissa Low(2011), pp. 489-491.

4) 国务院(2013), <全国海洋经济发展十二五规划>.

(25)

주강하구, 중국 남해지역의 석유 회수율(Oil Recovery Rate)5) 제고와 대륙붕 지역의 석유가스 탐사개발 강화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2015년 해상 원유와 가스의 신규 확인매장량 목표를 각각 10~12억 톤과 400~500bcm 으로 설정하고 해상 석유가스 생산량도 6,000만 톤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국내 전체 생산량을 일정량 유지하기 위해 향후 중서부 유전과 해상유전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Guy C. K. Leung, Raymond Li and Melissa Low(2011), p. 490.

그림 2-1 중국 주요 원유 생산지 분포

한편, 석유소비량은 경제성장에 따른 석유수요 증가로 2001년 2.2억 톤에 서 연평균 6.7% 증가율로 2012년 4.8억 톤까지 증가하였다. 석유 소비증가율 은 2001년 1.7%에서 2004년 16.9%로 크게 증가한 후 계속 등락을 반복하고

5) 석유 회수율(Oil Recovery Rate)은 석유 부존량에 대한 실제 채취량임.

(26)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세계 석유소비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소비비중 은 11.7%로 미국의 19.8%(8.2억 톤)에 이어 세계 2위의 석유소비국 지위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 석유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중국의 석유수입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1993년과 1996년에 각각 석유 및 원유의 순수입 국으로 전환된 이후 해외로부터 수입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2011년 기준, 중 국은 약 3.1억 톤의 원유를 수입함으로써 원유의 대외의존도가 약 56.5%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 중국에너지통계연감(2012), BP(2013)을 바탕으로 필자작성.

그림 2-2 중국의 석유 수급 변화 추이(2001-2012년)

중국의 원유수입국을 살펴보면, 2011년 기준 중동지역으로부터 수입한 원 유의 비중이 전체 수입에서 50% 이상을 차지함으로써 중동지역에 대한 의존 도가 매우 높다. 원유 수입대상국 상위 5개국은 사우디아라비아(20%), 앙골 라(12%), 이란(11%), 오만(7%) 러시아(7%) 순으로 단일 국가로는 사우디아라 비아가 최대 수입 상대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27)

자료: IEA(2012c), p. 6.

그림 2-3 중국의 국별 원유 수입비중(2010년) 및 수입 변화추이(2000-2011년)

2) 석유수급 전망

중국의 중장기 석유수요 전망에 대해 IEA와 중국 CNPC 소속 경제기술연 구원(CNPC ETRI) 등 중국 국내외 주요 기관은 모두 중장기적으로 석유수요 의 증가를 예측하고 있다. 우선, IEA가 2012년에 발표한 신정책 시나리오6)에 따르면, 중국의 석유수요가 2011년 900만b/d에서 연평균 2.2%씩 증가하여 2035년에는 1,510만b/d를 기록하여 비OECD의 전체 석유수요 증가세를 주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보고서는 향후 중국의 소득수준 제고에 따라 수송 연료에 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중국 CNPC ETRI는 중국의 석유수요가 2010년 4.5억 톤에서 2015 년 5.4억 톤, 2020년 6.2억 톤(GDP 증가율 7.1% 기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휘발유, 등유 및 경유가 전체석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54.5%에서 2015년 58.8%, 2020년 60.2%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으로 예측하였다.

동 기관은 2030년까지 국내 원유생산이 2~2.2억 톤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6) 신정책 시나리오(New Policies Scenario)는 IEA의 에너지관련 핵심시나리오로서 현재의 에너지관 련 정책적 약속이 이행될 것이라는 가정을 기초로 한 시나리오임.

(28)

내다보면서 2020년과 2030년에 원유 수입규모가 각각 4억 톤과 5.1억 톤 규 모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원유의 해외수입 의존도 (Foreign oil dependence rate)도 2020년 67%, 2030년 70%에 각각 이를 것 으로 예측하였다.7)

표 2-1 IEA 신정책 시나리오하의 지역별 석유수요 전망(2015-2035년)

단위: 백만b/d, % 2011 2015 2020 2025 2030 2035 증가율

OECD 42.1 41.2 39.4 37.4 35.2 33.3 -1.0

북미 22.2 22.0 21.2 20.0 18.6 17.5 -1.0

- 미국 17.6 17.5 16.6 15.4 13.9 12.6 -1.4

유럽 12.6 12.0 11.4 10.9 10.4 10.0 -1.0

아시아 7.3 7.2 6.7 6.4 6.1 5.9 -0.9

- 일본 4.3 4.1 3.7 3.5 3.2 3.1 -1.4

OECD 38.4 43.2 47.1 50.5 53.9 57.1 1.7

유럽 4.8 5.0 5.2 5.3 5.5 5.6 0.6

- 러시아 3.1 3.2 3.2 3.3 3.4 3.5 0.5

아시아 18.3 21.3 23.8 26.2 28.6 30.9 2.2

- 중국 9.0 11.0 12.7 13.9 14.7 15.1 2.2

- 인도 3.4 3.8 4.3 5.0 6.2 7.5 3.3

중동 6.8 7.5 8.1 8.6 8.9 9.4 1.4

아프리카 3.1 3.4 3.8 4.0 4.2 4.5 1.6

중남미 5.5 6.0 6.3 6.5 6.6 6.8 0.9

벙커유 6.9 7.2 7.7 8.2 8.7 9.3 1.2

세계 전체 87.4 91.6 94.2 96.1 97.7 99.7 0.6 자료: IEA(2012a), p. 85.

7) Shan Weiguo(2012), KEEI-CNPC ETRI 연구교류 발표자료.

(29)

표 2-2 중국 국내 석유수요 전망(2015년 및 2020년)

단위: 만 톤, %

연도 석유 휘발유 등유 경유

2000 22439 3505(15.6) 870(3.9) 6774(10.2)

2010 44929 7142(15.9) 1756(3.9) 15586(15.0)

2015 54266 9543(17.6) 2357(4.3) 20021(16.9)

2020 S1 62401 11756(18.8) 2920(4.7) 22915(16.6)

S2 63844 11906(18.6) 2953(4.6) 23601(17.0)

주: S1과 S2는 경제성장률 7.1%와 8.0%를 각각 가정한 경우임.

자료: CNPC ETRI(2011), p. 123.

나. 중국의 석유 관련 정책

중국의 석유관련 정책은 크게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해외자원개발(해외 투자)과 국내 석유비축 정책, 그리고 석유제품 고도화 정책 등으로 구분해 살 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에너지 도입의 다변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해외자원개발 정책 은 중국정부의 ‘저우추취(走出去: 해외투자)’ 전략을 배경으로 추진되고 있다. ‘저우추취’ 전략은 ‘인진라이(引进来: 외자유치)’ 전략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시행해 온 외자유치의 성과를 바탕으로 2000년대 들어서부터는 해외진출을 통한 보다 적극적이고 외향적인 대외 개방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저우추취’ 전략은 2001년

<제10차 5개년 계획>에 정식으로 명시되면서부터 중국의 주요 국가정책 이 되었다.

이러한 정책의 추진 배경에는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 외환보유고 가치 하락 리스크, 중국 국내기업의 경쟁력 향상의 필요성 등이 있다. 무엇보 다도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석유의 국내 생산이 더 이상 국내 수요를 충 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에너지 수급안정과 지속적인 경제발

(30)

전을 위해 적극적인 해외투자를 통한 자원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했기 때 문으로 볼 수 있다.8) 1990년대 중반부터 석유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면서

‘석유자급(self-reliance and self-sufficiency)’이라는 기존의 정책방침에서 에너지 공급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를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환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해외자원개발’이 점차 ‘저우추취’ 전략 의 핵심 과제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저우추취’ 전략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제 도도 꾸준히 도입되고 개선되어 왔다. 해외투자 인허가와 관련해 현행 제 도는 3억 달러 이상의 에너지 자원분야 투자 프로젝트는 NDRC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경우, 해당 기업은 사업제안서와 타당성 연구 보고서를 함께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반면, 3억 달러 미만의 에너지 자 원분야 투자 프로젝트의 경우 각 성급 NDRC 관련 부처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다.9) 기존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해당 부처별 개별 동의와 비준을 얻어야 하는 등 절차가 매우 복잡했는데 투자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프로젝트의 경우 심의허가 권한을 하부 부처로 이관시킴으로써 관 련 절차가 간소화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정부는 중국기업의 해외 광산자 원 조사 및 타당성 연구 등 탐사작업 관련 업무지원을 위해 2003년에 전 문기금을 마련하였고 2005년에는 <대외경제 기술협력 전문기금 관리 방 법>을 통해 에너지 자원류의 해외투자를 중점 지원영역으로 포함시키는 등 중국기업의 자원개발을 위한 지원제도를 확대해 나갔다.10)

8) 해외자원개발에 관해서 1987년 중국공산당 30대에서 “국내외 자원의 이용(国内国外两种资源)”

에 관한 개념이 처음 제시되었음.

9) NDRC(2011), <关于做好境外投资项目下放核准权限工作的通知>.

10) 재정부 및 NDRC(2005), <对外经济技术合作专项资金管理办法>.

(31)

표 2-3 중국의 해외투자 프로젝트 투자금액별 심의허가 부처

투자금액 허가 부처

에너지자원 분야 에너지자원 분야

3억 달러 이상 1억달러 이상 NDRC

3억 달러 미만 1억달러 미만 성급 NDRC

자료: NDRC 사이트.

한편, 중국 에너지안보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정부는 국내 전략적 석유비축 에 관한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1993년에 이미 석유순수입국으로 전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서야 전략적 석유비축에 관한 구 체적인 정책검토가 이루어졌다. 석유수입이 해마다 크게 증가하면서 석유 위기 발생 시 국내공급 차질과 이를 통한 에너지 안보 위기의식이 확산되 면서 중국정부가 2001년부터 전략적 석유비축(SPR)을 추진하기 시작한 것 이다.

2011년 중국정부는 <제10차 5개년계획(2001-2005)>을 통해 에너지안보 제 고를 위한 전략적 석유비축 구축에 관한 내용을 명시한데 이어 2004년부터 정식으로 전략적 석유비축에 관한 계획을 마련하고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전략적 석유비축의 단계별 현황에 대해 살펴보면, 1단계 전략 적 석유비축은 2008년까지 전하이(镇海), 저우산(舟山), 황다오(黄岛) 및 다렌(大連) 등 4개 동부 연해지역에 설비규모 1.03억 배럴의 비축이 완료 되었다. 2단계 비축은 2015년까지 2.07억 배럴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2년 상반기에 신장 자치구의 두산즈(独山子)와 간쑤성 란저우(兰州)에 각각 비축작업이 완료되었다. 당초 2단계 비축은 2013년까지 완료할 예 정이었으나 미국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국제유가 하향안정세와 대형 지 하 비축시설 건설에 관한 기술 부족 등의 이유로 완료시점이 2015년으로

(32)

연기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3단계 석유비축 사업은 아직 상세한 계획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2020년까지 1.9억 배럴의 설비를 추가함으로 써 누적 설비규모 5억 배럴에 달하는 비축능력을 확보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표 2-4 중국의 전략적 석유비축(SPR) 단계별 계획 및 추진현황

단위: 백만 배럴

구분 운영기업 위치 용량 비축현황 완공

1

Sinopec 저장성, 전하이(镇海) 32.7 비축완료 2006

Sinochem 저장성, 저우산(舟山) 31.4 비축완료 2007

Sinopec 산둥성, 황다오(黄岛) 20.1 비축완료 2007

CNPC 라오닝성, 다렌(大連) 18.9 비축완료 2008

1단계 103.2 2008

2

CNPC 신장성, 두산즈(獨山子) 18.9 건설완료, 비축준비 2011

CNPC 간쑤성, 란저우(兰州) 18.9 건설완료, 비축준비 2011

CNPC 라오닝성, 진저우(金州) 18.9 건설중

CNOOC 광둥성, 후이저우(惠州) 31.4 계획중

CNPC 장쑤성, 진탄(金坛) 15.7 건설중

Sinopec 광둥성, 잔지앙(湛江) 44.0 계획중

CNPC 신장성, 샨샨(善) 39.0 건설중

Sinopec 텐진(天津) 20.1 건설중 2012

2단계 206.9 2015

3단계 189.9 2020

총 계 500.0

자료: IEA(2012c), p. 12, 언론자료 참조.

한편, 계속 증가하고 있는 석유수입에 따른 석유 대외의존도에 대해서 는 최근 2013년 1월 중국 국무원은 <12차 5개년 계획의 에너지 발전에 관 한 통지(关于印发能源发展十二五规划的通知)>를 통해 석유 대외의존도 를 61% 내외로 통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33)

중국정부는 이와 같이 석유공급 안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중국 국내 석유제품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2년 2월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信息化部)가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12차 5개년 발전계획(石化和化学工业十二五发展规划)>에 따르면, 정부는 내수위주, 구조조정, 기술력 제고, 녹색발전 및 해외진출 등의 기본원칙 을 바탕으로 2015년까지 석유화학 부문의 총 생산액 목표를 14조 위안으 로 설정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2015년까지 전국 정유소의 평균 설비규 모를 연간 600만 톤급 이상으로 확대하는 계획과 함께 석유제품과 석유 화학제품의 품질개선, 에틸렌 원료 도입 다원화율 20% 목표 및 산업배치 조정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산업의 지역배치 분야에서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환보하이 지역에 3~4개의 2,000만 톤급 정유소와 3 개의 200만 톤급 에틸렌 생산기지를 건립함으로써 이 세 지역의 석유화 학 산업의 집중도를 끌어 올릴 방침이다.

한편, 지역간 석유수급 불균형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여건 을 갖춘 대형 석유화학기업을 대상으로 정유능력을 확충하고 정유와 석 유화학 일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물류비용이 저렴하고 석유 하류 부문 시장이 발달한 광둥(广东), 저장(浙江), 장쑤(江苏), 하이난(海南), 텐 진(天津) 등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세계 수준의 석유화학 산업기지를 조성 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서는 또한 12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의 에너지절약 및 오염 물 배출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석유화학산업의 부가가치당 용수량과 에 너지소비량을 각각 30%와 20%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7% 감소 한다는 목표도 제시되어 있다.

(34)

표 2-5 중국 석유화학산업 12.5 발전계획의 주요 내용

구분 주요 내용

설비용량의 대형화

- 2015년까지 정유소 평균 규모를 600만 톤급 이상으로 조정 - 2015년까지 에틸렌설비 평균 규모를 연간 70만 톤 이상으로 조정 원료구조의 개선 - 에틸렌 원료의 도입 다원화율 20% 달성

- 석탄가스화 기술을 통한 질소비료 생산설비 30% 제고 품질의 고도화 - 고급 윤활유, 산업용 석유, 고급 도로포장재의 발전

- 석유화학 제품의 품질 고도화

산업배치의 최적화

- 제품유의 “북쪽의 석유를 남쪽으로 수송(北油南运)”상황 개선 - 장강주강 삼각주 및 환보하이 지역의 석유화학산업 집중도 제고 - 3~4개의 2,000만 톤급 정유소와 3개의 200만 톤급 에틸렌 생산기지 건설 - 전략적 수입채널 건설에 맞게 동북, 서북, 서남지역에 석유화학산업 배치 자료: 공업정보화부(2012), <석유화학산업 12차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필자정리.

2. 중국의 가스 수급 현황 및 정책

가. 중국의 가스 수급 현황 1) 가스 수급 현황

중국의 가스 확인매장량은 2012년 말 기준 3.1tcm으로 세계 가스 확인매 장량(187.3tcm)의 약 1.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1)

중국의 가스 생산은 2001년 30.3bcm에서 연평균 12.2% 증가율로 증가 하여 2012년에는 107.2bcm에 달하였다. 생산증가율은 2006년에 18.9%를 기록한 뒤 둔화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에는 4.4%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천연가스의 소비는 2001년에 27.4bcm에 불과하였으나 그 후 연 평균 16.5% 증가율로 2012년에 143.8bcm에 달하여 5배 이상 증가하였다.

11) BP(2013), 앞의 책, p. 20.

(35)

소비증가율은 2001년 11.8%에서 2007년 25.7%를 기록한 뒤 둔화되었다가 2011년에 21.3%로 크게 증가한 뒤 다시 2012년 10.2%로 떨어졌다.

자료: 중국에너지통계연감(2012), BP(2013)을 바탕으로 필자작성.

그림 2-4 중국의 천연가스 수급 변화 추이(2001-2012년)

이와 같은 중국 천연가스 소비 증가에 따라 전체 에너지 소비구조에서 차지하는 가스의 위상도 점차 제고되고 있다. 2011년 기준, 가스의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2.4%에서 2011년 5%로 크게 확 대되었다.

용도별 가스소비는 2010년을 기준으로 발전용 18.1bcm, 수송부문을 포 함한 도시가스용(city gas) 38.9bcm, 산업연료용(industrial fuel) 31.5bcm, 화학산업용(chemical industry) 19.2bcm이다. 소비구조로 보면 도시가스용 이 전체 가스 소비에서 36.1%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산업연료 용과 발전용은 각각 29.2%와 16.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NPC ETRI는 향후 중국의 도시화와 도시지역 가스화 시설의 확 산으로 2015년과 2020년경 도시가스용 소비비중이 각각 38.8%와 40%로 증가하고 발전용 소비비중도 각각 19.5%와 21.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12)

(36)

자료: Feng Chenyue(2013), KEEI-CNPC ETRI Joint Workshop 발표자료.

그림 2-5 중국의 용도별 가스 소비구조 변화 전망(2015년 및 2020년)

단위: 0.1bcm

이와 같은 가스 소비 증가의 배경에는 중국정부의 정책적인 부분이 크게 차지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제12차 5개년 계획 강요(中华人民共和国国民经 济和社会发展第十二个五年规划纲要)>에서 2015년까지 비화석에너지의 1차 에너지소비 구조에서 점하는 비중을 11.4%까지 확대하는 한편, 단위 GDP당 에너지소비를 2010년 대비 16% 감축 및 단위 GDP당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2010년 대비 17% 감소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같은 에너지정책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청정에너지인 천연가스를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주요 에너지원으로 인식하면서 국내 1차 에너지 소비구조에서 차지하는 가스의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 가스의 국내 개 발 및 소비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정부는 서기동

12) Feng Chenyue(2013), KEEI-CNPC ETRI Joint Workshop 발표자료.

(37)

수 파이프라인을 비롯하여 산시-베이징 파이프라인(陕京线), 서-닝-란 파이프 라인(涩宁蓝输气管道), 중-우 파이프라인(忠武线) 등 전국을 종횡으로 연결하 는 가스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서기동수 2기 파이프라인은 투르크메 니스탄과 신장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14개 성, 시 및 자치구를 거쳐 주강 및 장강 삼각주까지 수송하는 길이 약 8,704km의 세계 최장 가스파이프라인으로 연간 30bcm의 가스를 향후 30년 동안 수송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가스 파이 프라인은 주강 삼각주, 장강 삼각주 및 중남부 지역의 가스불균형을 해소하고 서기동수 1기, 서-닝-란 가스파이프라인, 산시-베이징 2기 파이프라인 등과 연 결되어 중국 천연가스의 주요 수송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은 2006년부터 천연가스를 수입하기 시작한 이래 매년 수입을 증가하 고 있는데 2011년 중국의 가스 수입은 31.2bcm으로 가스 소비량인 130.5bcm 의 약 24%를 차지하였으며 대외의존도도 약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LNG 및 파이프라인 가스수입이 각각 17.0bcm(54.1%)와 14.4bcm (45.9%)으로 파이프라인가스 도입량 증가와 함께 장쑤 LNG 터미널과 다 렌 LNG 터미널의 가동으로 가스 수입규모가 31.2bcm으로 전년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자료: Shan Weiguo(2012) 발표자료; IEA(2012c), p. 15.

그림 2-6 중국의 가스수입 형태별 및 수입대상국별 현황(2006-2011년)

(38)

2) 가스수급 전망

중국의 가스 수요전망에 대해 2012년에 발표된 IEA 신정책시나리오는 2010년 110bcm에서 2020년 304bcm, 2030년 469bcm, 2035년 544bcm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IEA는 비전통가스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같은 해 비전통가스의 개발여건에 따라 Golden Rules Case(낙관적 시나리오)와 Low Unconventional Case(비낙관적 시나리오)로 구분한 장기전망을 발표하 였다. 전자의 경우, 중국의 비전통가스 생산이 2010년 12bcm에서 2020년 112bcm, 2035년 391bcm으로 급증하여 전체 가스생산에서 비전통가스 비중 이 2035년 83%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 한편, 후자의 경우 비전통가스의 생 산이 2020년 37bcm, 2035년 112bcm으로 비전통가스의 비중이 58%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 보고서는 중국 에너지소비구조에서 차지하는 가스 의 비중이 낙관적 시나리오의 경우 2035년 13%에까지 달할 것으로 예측한 반면, 비낙관적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10%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국내 전망으로 중국공정원(中国工程院)의 <중국 에너지 중장기 (2030, 2050) 발전전략 연구>는 2030년 중국국내 천연가스 생산이 300bcm 에 달해 수입량을 합친 총 공급량이 400~500bcm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 다. 이 보고서는 또한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가 2020년 280bcm, 2030년 450bcm, 2050년 500~550bcm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CNPC ETRI는 2020년과 2030년에 국내 가스 생산규모가 각각 220bcm과 300bcm에 이르고, 가스 수입규모도 각각 130bcm과 200bcm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해외 가스수입 의존도(Foreign gas dependence rate)는 2020년 약 31%, 2030년 약 38%로 증가할 것으로

(39)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증가율

OECD 1,597 1,652 1,731 1,796 1,864 1,937 0.8

북미 845 898 940 962 995 1,032 0.8

- 미국 680 712 728 736 749 766 0.5

유럽 569 550 585 619 643 669 0.7

아시아 182 204 206 214 225 236 1.0

- 일본 104 120 115 118 122 123 0.7

OECD 1,710 1,963 2,213 2,472 2,746 3,018 2.3

유럽 692 731 747 777 810 842 0.8

- 러시아 466 488 492 508 530 549 0.7

아시아 393 514 660 801 949 1,111 4.2

- 중국 110 195 304 390 469 544 6.6

- 인도 64 75 92 116 144 178 4.2

중동 376 437 485 538 594 640 2.1

아프리카 103 118 139 153 166 176 2.2

중남미 146 163 182 203 227 249 2.2

세계 전체 3,307 3,616 3,943 4,268 4,610 4,955 1.6 자료: IEA(2012a), p. 128.

예측하였다.13) 동 기관은 특히 가스 수요측면에서 가스 파이프라인을 포 함한 인프라 시설의 확충을 배경으로 향후 천연가스자동차(NGV)의 보급 이 확산되면서 수송부문에서의 가스 이용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14)

표 2-6 IEA 신정책 시나리오하의 지역별 가스수요 전망(2015-2035년)

단위: bcm, %

13) Shan Weiguo(2012), KEEI-CNPC ETRI 연구교류 발표자료.

14) Feng Chenyue(2013), KEEI-CNPC ETRI Joint Workshop 발표자료.

참조

관련 문서

③ 제1항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는 행위로서 정비구역의 지정 및 고시 당시 이미 관계 법령에 따라 행위허가를 받았거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는 행위에 관하여 그

Based on experience in some OECD countries, Korea could reform its existing energy tax system more environmentally-friendly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tax,

그 당시 회화의 大宗을 이루는 산수화에서는 관념적 중국 산수화를 모방 하던 단계를 벗어나 우리나라의 자연 경관을 사생하는 실경,즉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원자력 경제성은 우리나라의 위치 만큼 불변의 고정 상수.. 우리보다 먼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에서 장기간에 걸쳐 상시 채취한 PM 2.5 시료에 대해 탄소에어로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배경대기에서의 대기 입자

우리나라의 경우 KOSPI지 수, KOSDAQ지수가 대표적이다... 미래는 불확실

q 전통적으로 사람이 우리나라의 유일한 부존 자원이었음.. 감사합니다

민주주의의 기본 정신이 적힌 구슬을 모두 뽑은 어린이는 인간의 존엄이 적힌 빨간색 구슬, 자유가 적힌 초록색 구슬, 평등이 적힌 파란색 구슬을 들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