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8장시장실패와정부의역할제18장시장실패와정부의역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18장시장실패와정부의역할제18장시장실패와정부의역할"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8장 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제18장 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이 기 성

이 기 성

(2)

l 시장실패의 의미 l 시장실패의 의미

u 시장실패 (market failure) u 시장실패 (market failure)

è 시장이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è 즉, 시장이 경쟁을 통해 파레토최적(Pareto optimum)을 위한 세 가지 한계조건인 MRSXYA=MRSXYB,

MRTSLKX=MRTSLKY, MRTXY=MRSXYA=MRSXYB

충족되지 못하면 시장실패가 나타나고 경제적 효율성이 달성되지 못함.

è 결국 시장실패란 이와 같은 요인 때문에 시장기구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실패하게 되는 현상 è 시장이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è 즉, 시장이 경쟁을 통해 파레토최적(Pareto optimum)을 위한 세 가지 한계조건인 MRSXYA=MRSXYB,

MRTSLKX=MRTSLKY, MRTXY=MRSXYA=MRSXYB

충족되지 못하면 시장실패가 나타나고 경제적 효율성이 달성되지 못함.

è 결국 시장실패란 이와 같은 요인 때문에 시장기구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실패하게 되는 현상

(3)

l 시장실패의 의미 l 시장실패의 의미

u 시장실패의 요인과 정부의 역할 u 시장실패의 요인과 정부의 역할

è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요인 : - 불완전경쟁(독점, 가격차별) - 외부효과(externalities)

- 공공재(public goods)

- 불완전한 정보(정보의 비대칭성 : asymmetric information)

è 시장실패가 발생하면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함.

- 시장실패 ® 비효율성 초래 ® 정부의 적절한 개입 - 정부의 개입이 반드시 비효율성을 제거한다고 볼

수 없음 ® 정부실패(government failure) è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요인 :

- 불완전경쟁(독점, 가격차별) - 외부효과(externalities)

- 공공재(public goods)

- 불완전한 정보(정보의 비대칭성 : asymmetric information)

è 시장실패가 발생하면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함.

- 시장실패 ® 비효율성 초래 ® 정부의 적절한 개입 - 정부의 개입이 반드시 비효율성을 제거한다고 볼

수 없음 ® 정부실패(government failure)

(4)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외부효과 (=외부성)의 정의 u 외부효과 (=외부성)의 정의

è 어떤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시장기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다른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경우

è 시장에서는 대가를 주고받지만, 대가를 주고받지 않기 때문에 시장 밖에서 존재하는 현상과 같다는 의미 è 외부효과가 해악(harmful)이 될 때 이것을 외부비용

(external costs)이라 하고, 혜택(beneficial)이 될 때 이것을 외부편익(external benefit)이라 함.

è 외부효과는 외부불경제(external diseconomy)와 외부경제(external economy)로 구분

è 어떤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시장기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다른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경우

è 시장에서는 대가를 주고받지만, 대가를 주고받지 않기 때문에 시장 밖에서 존재하는 현상과 같다는 의미 è 외부효과가 해악(harmful)이 될 때 이것을 외부비용

(external costs)이라 하고, 혜택(beneficial)이 될 때 이것을 외부편익(external benefit)이라 함.

è 외부효과는 외부불경제(external diseconomy)와 외부경제(external economy)로 구분

(5)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è 완전경쟁은 경제적 효율성과 파레토최적이 자동으로 달성됨.

è 이 경우는 다음과 같음.

사적 비용(PC)=사회적 비용(SC) 사적 편익(PB)=사회적 편익(SB)

è 즉, 외부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완전경쟁이면 파레토최적 달성

è 완전경쟁은 경제적 효율성과 파레토최적이 자동으로 달성됨.

è 이 경우는 다음과 같음.

사적 비용(PC)=사회적 비용(SC) 사적 편익(PB)=사회적 편익(SB)

è 즉, 외부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완전경쟁이면 파레토최적 달성

(6)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è 외부효과는 사회적 비용이나 사회적 편익에는 포함 되는데 이 부분은 시장에서 가격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사적 비용이나 사적 편익에는 포함되지 않음. è 따라서 외부효과가 존재하면 다음과 같음.

사적 비용≠사회적 비용 사적 편익≠사회적 편익

è 외부효과는 사회적 비용이나 사회적 편익에는 포함 되는데 이 부분은 시장에서 가격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사적 비용이나 사적 편익에는 포함되지 않음. è 따라서 외부효과가 존재하면 다음과 같음.

사적 비용≠사회적 비용 사적 편익≠사회적 편익

(7)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u 외부효과와 시장실패

è 외부효과는 시장에서 가격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경쟁일지라도 시장균형은 E점이 되면서 파레토 최적은 달성되지 않음.

è 외부효과는 시장에서 가격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경쟁일지라도 시장균형은 E점이 되면서 파레토 최적은 달성되지 않음.

(8)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외부효과에 의한 시장실패의 교정 u 외부효과에 의한 시장실패의 교정

è 외부불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자(또는 소비자)는 그 재화의 가격이 사회적 한계비용만큼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재화를 과잉생산(또는 소비)함.

® 따라서 이 경우에는 그 재화에 조세를 부과해야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è 외부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자(또는 소비자)는 그 재화의 가격이 사회적 한계비용보다 높기 때문에 그 재화를 과소생산(또는 소비)함.

® 따라서 이 경우에는 그 재화에 보조금을 지불해야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è 외부불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자(또는 소비자)는 그 재화의 가격이 사회적 한계비용만큼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재화를 과잉생산(또는 소비)함.

® 따라서 이 경우에는 그 재화에 조세를 부과해야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è 외부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자(또는 소비자)는 그 재화의 가격이 사회적 한계비용보다 높기 때문에 그 재화를 과소생산(또는 소비)함.

® 따라서 이 경우에는 그 재화에 보조금을 지불해야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9)

l 외부효과(externalities) l 외부효과(externalities)

u 코즈정리 (Coase theorem): 자발적 협상 u 코즈정리 (Coase theorem): 자발적 협상

è R. Coase는 외부효과가 존재한다고 해서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è 만일 외부효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당사자

들이 자유로운 협상을 통해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면 정부의 개입 없이도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달성될 수 있음(® 정부의 개입을 불원).

è 한계점 :

- 협상과정에서 거래비용이 매우 작아야 함.

- 이해당사자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려움.

- 이해당사자의 수가 많지 않아야 함.

è R. Coase는 외부효과가 존재한다고 해서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è 만일 외부효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당사자

들이 자유로운 협상을 통해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면 정부의 개입 없이도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달성될 수 있음(® 정부의 개입을 불원).

è 한계점 :

- 협상과정에서 거래비용이 매우 작아야 함.

- 이해당사자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려움.

- 이해당사자의 수가 많지 않아야 함.

(10)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정의 u 공공재의 정의

è 공공재란 여러 사람이 공동소비를 위해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말함.

è 공공재의 기본 특성

- 소비의 비경합성(non-rivalry) :

어떤 사람이 한 재화의 소비에 추가적으로 참여 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소비가능성이 줄어들지 않음(한계비용=0).

- 소비의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

대가를 치르지 않고 그것을 소비하려는 사람을 배제할 수 없음(+가격을 부과할 수 없음).

è 공공재란 여러 사람이 공동소비를 위해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말함.

è 공공재의 기본 특성

- 소비의 비경합성(non-rivalry) :

어떤 사람이 한 재화의 소비에 추가적으로 참여 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소비가능성이 줄어들지 않음(한계비용=0).

- 소비의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

대가를 치르지 않고 그것을 소비하려는 사람을 배제할 수 없음(+가격을 부과할 수 없음).

(11)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소비량과 가격 u 공공재의 소비량과 가격

è 공공재는 소비의 비경합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재화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비 가능

è 사적재(private goods)의 경우 시장소비량은 개별 소비량을 수평으로 합계함. 단 모든 사람은 동일한 가격에 직면하고 개별소비량은 서로 다름.

è 사적재의 경우 개별수요곡선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시장수요곡선 도출

è 공공재는 소비의 비경합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재화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비 가능

è 사적재(private goods)의 경우 시장소비량은 개별 소비량을 수평으로 합계함. 단 모든 사람은 동일한 가격에 직면하고 개별소비량은 서로 다름.

è 사적재의 경우 개별수요곡선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시장수요곡선 도출

(12)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소비량과 가격 u 공공재의 소비량과 가격

è 공공재(public goods)의 경우 시장소비량은 개별 소비량을 수직으로 합계함. 단 모든 사람은 동일한 공공재의 소비량을 소비하는 반면 이에 대한 가격 (조세)은 서로 다름.

è 공공재의 경우 개별수요곡선을 수직으로 합계하여 시장수요곡선 도출

è 개별수요곡선의 높이는 각 수준의 공공재에 대해서 개인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을 의미하므로

시장수요곡선의 높이는 각 수준에 대해 그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을 의미함. è 공공재(public goods)의 경우 시장소비량은 개별

소비량을 수직으로 합계함. 단 모든 사람은 동일한 공공재의 소비량을 소비하는 반면 이에 대한 가격 (조세)은 서로 다름.

è 공공재의 경우 개별수요곡선을 수직으로 합계하여 시장수요곡선 도출

è 개별수요곡선의 높이는 각 수준의 공공재에 대해서 개인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을 의미하므로

시장수요곡선의 높이는 각 수준에 대해 그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을 의미함.

(13)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균형 (적정배분의 조건) u 공공재의 균형 (적정배분의 조건)

è Sm과 Dm이 교차하는 E점에서 균형이 달성되고,

사회적 한계비용(TE)은 각 개인의 한계편익을 합한 값(TA+TB)과 일치

è Sm과 Dm이 교차하는 E점에서 균형이 달성되고,

사회적 한계비용(TE)은 각 개인의 한계편익을 합한 값(TA+TB)과 일치

(14)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è 균형점인 E점은 완전경쟁일지라도 시장에서는 자동적으로 달성되지 않음.

è 공공재의 공급을 시장에 맡겨두면 a점이나 b점 등 어느 한 개인의 사적 한계편익과 사회적 한계편익이 일치하는 점에서 공공재의 공급이 이루어짐.

è 균형점인 E점은 완전경쟁일지라도 시장에서는 자동적으로 달성되지 않음.

è 공공재의 공급을 시장에 맡겨두면 a점이나 b점 등 어느 한 개인의 사적 한계편익과 사회적 한계편익이 일치하는 점에서 공공재의 공급이 이루어짐.

(15)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è 또는 시장에 맡겨두면 이 재화의 공급은 이루어질 수 없을 수도 있음.

è 왜냐하면 공공재의 특성상 비배제성 때문에 어느 누군가가 먼저 대가를 지불하여 소비하면 이후에 다른 사람들은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소비하려는 무임승차문제(free rider problem)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먼저 이 재화를 구매하려 하지 않을 것임.

è 따라서 공공재는 완전경쟁하에서도 적정생산량

보다는 적게 생산되고 파레토최적은 달성될 수 없음. è 또는 시장에 맡겨두면 이 재화의 공급은 이루어질 수

없을 수도 있음.

è 왜냐하면 공공재의 특성상 비배제성 때문에 어느 누군가가 먼저 대가를 지불하여 소비하면 이후에 다른 사람들은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소비하려는 무임승차문제(free rider problem)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먼저 이 재화를 구매하려 하지 않을 것임.

è 따라서 공공재는 완전경쟁하에서도 적정생산량

보다는 적게 생산되고 파레토최적은 달성될 수 없음.

(16)

l 공공재(public goods) l 공공재(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u 공공재의 공급 (supply of public goods)

è 그러나 정부가 개입하여 무임승차자에게 조세의 부과 등을 통해 적정 비용을 부담시키면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è 그런데 무임승차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따름. è 왜냐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소비자에게

사적 편익만큼 비용을 부담시켜야 하는데

개별소비자는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사적 편익의 크기를 정확히 표현하지 않을 것임.

è 그러므로 공공재에 대해서는 정부의 개입도 불완전할 수밖에 없음.

è 그러나 정부가 개입하여 무임승차자에게 조세의 부과 등을 통해 적정 비용을 부담시키면 파레토최적이

달성됨.

è 그런데 무임승차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따름. è 왜냐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소비자에게

사적 편익만큼 비용을 부담시켜야 하는데

개별소비자는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사적 편익의 크기를 정확히 표현하지 않을 것임.

è 그러므로 공공재에 대해서는 정부의 개입도 불완전할 수밖에 없음.

(17)

l 정부의 역할 l 정부의 역할

u 정부개입의 당위성 u 정부개입의 당위성

è 시장실패를 야기시키는 시장의 불완전성 때문에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불가피함.

è 정부의 개입 취지는 공공재의 공급, 소득재분배정책의 추진, 독과점의 규제, 공해의 규제 등 시장의 불완전성을 시정 보완하는 것임.

è 시장실패를 야기시키는 시장의 불완전성 때문에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불가피함.

è 정부의 개입 취지는 공공재의 공급, 소득재분배정책의 추진, 독과점의 규제, 공해의 규제 등 시장의 불완전성을 시정 보완하는 것임.

u 비용 -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u 비용 -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è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그 개입행위가 사회에 주는 편익(benefit)과 그 개입행위에 따른 비용 (cost)을 비교해야 함.

è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그 개입행위가 사회에 주는 편익(benefit)과 그 개입행위에 따른 비용 (cost)을 비교해야 함.

(18)

l 정부의 역할 l 정부의 역할

u 공공선택이론 (theory of public choice) u 공공선택이론 (theory of public choice)

è 공공선택이론이란 정부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것을 어떻게 시행하는지에 대한 연구분야

è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각 이해관계자의 행동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정부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각 이해 관계자의 행동이 어떻게 조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

- 여기서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는 유권자 (voters), 정치인(politicians), 압력단체(special

interest groups), 관료(bureaucrats)로 구분

è 공공선택이론이란 정부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것을 어떻게 시행하는지에 대한 연구분야

è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각 이해관계자의 행동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정부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각 이해 관계자의 행동이 어떻게 조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

- 여기서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는 유권자 (voters), 정치인(politicians), 압력단체(special

interest groups), 관료(bureaucrats)로 구분

참조

관련 문서

아울러 해외현지법인에 투자하거나 해외개인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해외현지 기업 관련서류(해외현지법인명세서, 해외현지법인재무상황표, 해외지사명세서)

개인의 발전도 스스로의 자아갈등에서 시작한다.. 사회적

[r]

[r]

그리고 자유시장경제질서와 사적 자치의 원칙과 같 은 헌법상의 기본적 가치들에 대한 희생을 무릅쓰면 서까지 사적 자치를 제한해야 할 공공의

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환경규제와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증가시키며 연구개발투자의 사회적 수익률이 사적 수익률 보다 큰 것으로

할당이 일어나면 공공재의 핵심요소인 비경합성(non-rivalry), 비배재성(non-excludability)이 성립 하지

사적 부패 (private corruption or non-political corruption)는 부정적 이웃효과(negative externality)인 사회적 비용이 크지 않거나 당사자 간에 해결될 여지가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