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연구결과 초청 설명회 자료집 | 2009-6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

(2)

<연구결과 초청 설명회(2009. 4. 20) 자료>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연 구 위 원 김정섭 부연구위원 김광선 전문연구원 박주영 전문연구원

1. 농촌의 현실 진단

□ 살기 좋은 농촌이란

○ 정주에 필요한 시설 및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는 삶터,

○ 고용기회가 풍부하여 경제적 활력이 있는 일터,

○ 아름답고 깨끗한 환경과 경관을

보유하고 매력적인 지역자원이 풍부한 쉼터,

○ 주민 구성이 건강하고 공동체적 유대와 참여의 기회가 다양한 공동체의 터

□ 우리 농촌은 살기 좋은 곳인가?

○ 지역발전지수(RDI)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시, 도농복합시, 군 지역 간 발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원격지 저발전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정책적 배려 필요성을 도출함.

- 지역발전지수는 4대 영역, 20개 지표로 구성

(3)

지역발전지수

생활서비스지수 지역경제력지수 삶의여유공간지수 주민활력지수

󰋯주택여건 󰋯기초생활인프라 󰋯교육여건 󰋯복지여건 󰋯의료여건 󰋯문화체육여건

󰋯산업기반 󰋯주민소득수준 󰋯지자체재정력

󰋯녹색휴양기반 󰋯녹지기반

󰋯인구변화 󰋯인구구조

삶터 일터 쉼터 공공체터

<지역발전지수 구성>

○ 우리의 농촌은 도시․선진국 농촌과 비교하여 아직 살기 좋은 곳이라고 할 수 없음.

- 우리 농촌의 여건을 객관적 통계 지표를 통해 도시 및 선진국의 농촌과 비교한 결과, ‘인구감소와 고령화 ↔ 소득기반 취약 ↔ 문화․교육․의료 등 생활여건 부실’ 등 총체적 어려움에 직면하여 있음을 확인하였음.

< 우리 농촌의 비교 평가 >

주: 선진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을 의미함.

○ 농촌 주민은 ‘일터’로서 농촌 여건에 불만족

- 4개 사례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주만족도 조사에서 소득수준 (69.1%), 고용기회(68.6%), 평생교육기회(56.6%), 문화체육시설(45.5%) 등에 대한 불만족 비율이 높게 나타남.

(4)

- 한편 자연환경쾌적성(92.3%), 자연재해안전(86.0%), 이웃과의 관계 (85.0%)에 대한 만족 비율은 대단히 높은 수치를 보임.

< 농촌 주민들의 정주 부문별 만족 비율 >

38.4

85.0 92.3 81.3 29.7

13.2 12.7

83.8 86.0 28.4

38.4 23.2

27.7 30.9

83.8 54.1

81.5 74.6

81.3 43.1

14.0

9.5 5.0 13.5 32.2

17.7 18.7

7.7 7.7 26.2

25.7 20.2

32.7 36.4

9.5 13.7

9.5 11.7

6.2 25.7

12.5 5.5

2.7 5.2 38.2

69.1 68.6

8.5 6.2 45.4

35.9 56.6

39.7 32.7

6.7 32.2

9.0 13.7

12.5 31.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단체활동 이웃과의관계 자연환경쾌적성 경관 직업만족 소득수준 고용기회 범죄안전 자연재해안전 문화체육시설 의료서비스 평생교육기회 사교육수준 공교육수준 정보통신 교통서비스 도로정비 하수처리 상수도 주택

만족 보통 불만족

주: 증평읍, 덕산면, 진안읍, 서하면 주민 4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임.

2. 농촌의 미래 전망

□ 농촌 주민의 미래 정책 수요 역시 ‘일터’로서 살기 좋은 농촌 만들 기에 집중

○ 지역 특성에 따라 미래 정책 수요가 다양하였으나 공통적으로 일자리 창출이 핵심 정책 수요로 나타남.

○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듯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주민의 정책수요는 고용기회 ⇒ 문화ㆍ여가ㆍ체육시설 ⇒ 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남. 공무원들은 기업유치ㆍ일자리창출, 주민소득증대를 1순위로, 교육ㆍ의료ㆍ복지서비스, 인구증가를 2순위 정책수요로 응답함.

(5)

○ 사례지역 네 곳의 주민들이 공통되게 전망하는 미래의 정책 수요 - 소비자지향적 농업 확산(환경, 식품안전성)을 위한 노력

- 농촌지역사회의 인적 구성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다문화가정 증가,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대 등)에 대한 대응

○ 사례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미래의 정책 수요 - 읍․면의 중심지 기능 변화

- 교통약자 등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 농촌 학교 수 및 규모 축소에 대한 대응

3. 농촌개발정책 추진 실태

□ 기존 농촌개발정책은 지역 특성 및 주민 정책 수요 변화에 능동적 대처 미흡

○ 농촌에 대한 현실 진단, 미래 농촌 전망, 정책 수요 조사 등의 결과는 지역마다 처한 상황이 상이하다는 점과 함께 지역개발정책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함.

○ 하지만 기존 농촌지역개발정책은 ① 소규모 생활환경 정비 치중, ② 마을 단위에 편중된 사업 추진, ③ 중앙정부 중심의 하향식 사업 추진,

④ 지자체의 자율성ㆍ창의성 발휘 미흡, ⑤ 지역 주체의 확립과 운영 문제에 대한 고려 부족 등의 한계를 갖고 있음.

□ 지방자치단체 현장 적용 실태

○ 사업비 규모가 큰 사업이거나 경제적 활력 증대를 위한 세부사업 결정 등에 있어 지역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사업들이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에 기여한다고 평가됨.

(6)

○ 기존 농촌개발정책의 문제점 가운데 특히 단위 사업간 연계 추진 미흡이 주요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 농촌개발정책의 추진 방식에 있어 유사사업 통・폐합과 사업비의 포괄적 지원을 희망함.

□ 지역의 새로운 시도와 노력이 효과를 발휘한 사례 분석

○ 신활력사업으로 ‘브랜드체험관광사업’ 및 ‘브랜드명품화사업’을 추진한 평창군과 ‘장류산업육성’을 추진한 순창군의 사업추진과정을 비교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함.

- 첫째, 정책의 효율적․효과적 집행을 위하여 먼저 지역개발사업을 총괄 추진할 단일 조직과 민간-공공 부문의 실질적인 파트너십이 필요함.

- 둘째, 지방의 여건에 대한 현실적 판단에 기초하여 유연하게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지방의 자율적 능력을 신장시켜야 함. 즉 지역 특성에 적합하게 자원이 집중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함.

- 셋째, 농촌지역개발 정책 참여 주체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입은

‘하향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자발적인 학습조직 결성’ 방식을 채택해야 함.

(7)

평창군: 브랜드체험관광사업 vs 순창군: 장류산업육성

4.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

○ 정책의 목표 설정

-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

○ 정책의 핵심 내용 전환

- 농촌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증대 주력

(8)

- 마을 수준을 넘어서는 고차 서비스의 접근성 제고 - 농촌다움의 자원 발굴과 활용

- 지역의 역량 강화 도모

○ 정책의 추진 방식

- 농촌지역 재정의와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

- 중앙정부 부처별 소규모 유사사업 통폐합 및 정책군화 - 지역통합적 정책 추진을 위한 포괄적 재정지원 방식 도입 - 농촌계획제도 도입 및 평가체계 확립과 관련 법제도 정비 - 정책성과 제고를 위한 주체의 역할 정립과 역량 강화

< 농촌개발정책의 비전과 전략 >

(9)

- 8 -

<

주요 연구 결과 요약 >

참조

관련 문서

근린공동체 매칭펀드의 목표는 살기 좋은 물리적, 사회적 커뮤니티 건설로 마을의 물리적 환경개선, 커뮤니티 정체성 고양을 위해 시민참여를 촉진하 는 것이다..

o 중간보고서의 II장은 녹색성장이해를 위한 광범한 정책 프레임워크, III장은 녹색경제로의 이행과정에서의 다양한 과제, IV장은 녹색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개발의

그리고 또 다른 학술적 성과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SD모형)으로 농촌 모형을 구축하였다는 것이다. 농촌의 구성요소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종합적인

대내외 여건변화가 가져다주고 있는 도전과 기회 속에 서 보다 안전하고 살기 좋은 국토를 만들기 위한 비전과 전략을 도출하는 작업은 2017년 우리에게 주어진 커다

미래 건설 청사진에서 진저우만미개발경제지구는 크게 생태와 교육의 두 가지 주제가 포함되었 는데 한편으로는 살기 좋은 주거지구를 건설하고 생태산업을 발전시키고

⑤ 교섭기술(Negotiation Skills) : 개발부처의 협상담당자들이 개발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협상과정에 대한 경험 및 전술을 구비하여, 신뢰할 만한 증거를 가지고

또한 SDGs는 분야별 사일로(silo) 를 탈피하여 SDGs 이행을 위한 범정부적 접근(whole of government approach)을 통한 통합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촉진 할

□ 이번 회의는 우리정부 6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달성을 위해 외교부가 지역 발전을 더욱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