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과성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과성장"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소아에서 발생한 경골 간부 골절은 적응증에 따라 관 혈적 혹은 비관혈적 방법으로 정복을 한 후 장하지 석 고 붕대, 내고정술 혹은 외고정술 등의 여러 가지 방법 으로 치료되고 있다. 소아 경골 골절은 성인 골절에 비 하여, 합병증이 적고, 더 빨리 치유되며, 장기간 추시 시 합병증은 흔치 않다고 알려져 있다. Balthazar3)는 소아 경골 골절의 치료 후에 외반 변형이 올 수 있음을 발표하였고, 그 후 여러 저자들은 외반 변형, 과성장 등 을 합병증으로 보고한 바 있다1,5,7,9,11)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이환된 경골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경골 골절 이 환측 대퇴골이나, 나아가서 반대측 대퇴골과 경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조사는 없었다. 본 연구 는 소아 경골 골절 후 하지 4개 장골의 상대적 성장 정 도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서 이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5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본 정형외과학교실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과성장

김하용․나규현․고준혁․김갑중․안재훈․최원식

을지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

Overgrowth Following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Hayong Kim, M.D., Kyu Hyun Na, M.D., Joon Hyuk Ko, M.D., Kap Jung Kim, M.D., Jae Hoon Ahn, M.D., and Won Sik Choi,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jeon, Korea

P u rp o s e : To assess the comparative growth of the four long bones of the lower extremities after the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M a te ria ls a n d M e th o d s : Thirty-eight children (age, 8.2±2.6) with tibial shaft fractures treated with a closed reduction and a long leg cas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 ean follow -up w as 54.4 m onths (range, 24-96). The m edical records and Bell-Thom pson im ages w ere retrospectively re- viewed.

R e s u lts : The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all cases. The fractured tibia showed overgrowth (4.4±3.3 m m ) com pared with the contralateral side. The ipsilateral fem ur show ed m ild over- grow th (0.9 m m ±3.7), and the final leg length discrepancy w as 5.3 m m ±5.4. Four ipsilateral fem urs showed overgrowth >10 m m . Gender, the level of the fractures and associated fibular fractures did not affect the overgrow th of the fractured tibia (p>0.05). However, age m ight affect the am ount of overgrowth (p=0.005).

C o n c lu s io n :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with a long leg cast showed variable overgrowth. The final leg length discrepancy w as influenced by the overgrow th of the ipsilateral fem ur as w ell as by overgrow th of the tibia.

K e y W o rd s : Tibial shaft fracture, Overgrowth, Children

통신저자:안 재 훈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306 을지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

TEL: 042-611-3267․FAX: 042-259-1289 E-mail: jhahn@eulji.ac.kr

*본 논문의 요지는 2004년도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ae Hoon Ah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306, Dunsan-dong, Seo-gu, Daejeon 302-799, Korea

Tel: +82.42-611-3267, Fax: +82.42-259-1289 E-mail: jhahn@eulji.ac.kr

(2)

에서 치료한 3세에서 12세까지의 경골 간부 골절 환아 중, 도수 정복 후장하지 석고붕대 고정으로 치료하였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단순 경골 골절 이외의 다른 생물학적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첫째, 분쇄 골절과 개방성 골절의 환아, 둘째, 하지 부동을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진 신경 섬유종증, 동정맥 이상, 연소성 류마티스양 관절염, 지방종 등의 병력을 가 진 환아, 셋째, 과거 대퇴골이나 경골 등의 하지 장골의

골절력을 가진 환아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 환아의 연령은 평균 8.2±2.6세(3-12세)였고, 남아 26 예, 여아 12예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54.4개월(24-96 개월)이었다. 손상 기전으로는 교통사고 34예, 추락 1예, 넘어짐 3예였다. 골절 부위는 근위 1/3 위치에서의 골절 이 12예, 중간 1/3 위치가 10예, 원위 1/3 위치가 16예였 다(Table 1, 2).

Table 1. Results of the Radiological Measurement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Bone Length (m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iscrapancy (mm)

Age/Sex F/U Fx Fibular

No (at injury) (month) Level Fx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Ipsilater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ontralater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Tibia Femur LLD

Tibia Femur Tibia Femur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3y 4m / M 48 D O 245 310 237 310 8 0 8

2 4y 8m / F 55 M O 254 298 248 298 6 0 6

3 5y 2m / M 46 M O 266 340 267 342 -1 -2 -3

4 5y 3m / M 43 D O 324 412 316 412 8 0 8

5 5y 8m / M 79 M X 301 352 293 353 8 -1 7

6 5y 9m / M 59 D X 312 371 302 373 10 -2 8

7 5y 11m/ M 25 D X 324 362 318 364 6 -2 4

8 6y 2m / M 90 M X 301 352 293 353 8 -1 7

9 6y 2m / F 55 M O 254 298 248 298 6 0 6

10 6y 7m / F 96 P O 275 310 268 300 7 10 17

11 6y 8m / F 92 P O 292 363 285 350 7 13 20

12 6y 9m / M 47 M O 321 391 325 394 -4 -3 7

13 7y 2m / M 31 D O 362 430 357 429 5 1 6

14 7y 4m / F 60 P O 324 396 318 396 6 0 6

15 7y 7m / M 28 P O 291 381 288 381 3 0 3

16 7y 7m / F 49 M O 278 315 272 315 6 0 6

17 7y 8m / M 72 M O 297 372 291 373 6 -1 5

18 7y 11m/ F 61 M O 278 315 272 315 6 0 6

19 8y 2m / M 33 P O 332 394 329 394 3 0 3

20 8y 5m / F 27 P O 321 384 315 384 6 0 6

21 9y 2m / M 26 P O 301 357 296 357 5 0 5

22 9y 3m / M 76 P O 316 361 310 360 6 1 7

23 9y 3m / M 53 P O 301 357 296 357 5 0 5

24 9y 4m / M 53 D X 310 351 307 351 3 0 3

25 9y 4m / M 86 D O 362 430 357 429 5 1 6

26 9y 6m / M 34 P O 316 361 310 360 6 1 7

27 9y 11m/ M 92 M O 352 431 350 432 2 -1 1

28 9y 11m/ M 24 D X 310 361 307 361 3 0 3

29 10y 3m/ M 31 D O 288 355 284 355 4 0 4

30 10y11m/ M 35 P X 378 442 378 442 0 0 0

31 11y 3m/ F 36 D O 327 403 323 403 4 0 4

32 11y 4m/ M 47 D O 365 435 367 435 -2 0 -2

33 12y 1m/ F 84 D X 351 445 345 434 6 11 17

34 12y 2m/ M 57 P X 378 442 376 442 2 0 2

35 12y 5m/ M 36 D O 343 412 339 412 4 0 4

36 12y 5m/ F 96 D O 327 403 323 403 4 0 4

37 12y 9m/ F 84 D X 351 425 345 415 6 10 16

38 12y10m/ M 29 D O 365 435 369 435 -4 0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 proximal; M, middle; D, distal.

(3)

2. 치료 방법

골절된 경골은 수상 3-4일 경에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 하여 도수 정복하였다. 정복은 단단 정렬(end-to-end) 로 정복하여 치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최초 하지 부동 을 최소화하였으며, 경골 단독 골절은 10도 미만의 외반 을, 비골 골절이 동반된 골절은 10도 미만의 내반을 허용 하여, 장하지 석고 붕대를 감았다. 슬관절은 30도 굴곡위 치로 하였고, 족관절은 정복이 잘되는 위치로 10-20도 까지는 족저 굴곡을 허용하였다. 추시 도중 방사선 사진 에서 석고 붕대에 쐐기를 주어 재교정이 필요할 정도의 각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첫 석고 붕대 고정 3주 후 족 관절 중립 위치로 석고 붕대를 교체하기도 하였다. 방사 선학적 골 유합이 일어났을 때 석고 붕대를 제거하였고, 추시는 골 유합 후 6개월 간격으로 하였고, 하지 전장의 전후면 Bell-Thompson상을 촬영하였다.

3. 임상적 평가

임상적 평가는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골 유 합 시기와 단기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최종 추시 시 동통 의 정도(10점 동통 점수 평가법), 기능 평가(Score scale for subjective & functional follow-up evaluation, after ankle injury10)),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등을 조사 하였다.

4. 방사선학적 평가

방사선학적 평가를 위하여 하지 전장의 전후면 Bell- Thompson 사진과 환측 경골 측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대퇴골의 길이는 대퇴 골두의 상위점부터 원위 대퇴골 내

과의 하위점까지의 길이로 정하였고, 경골의 길이는 경골 내과의 상위점과 거골의 경거골 관절면의 중간점까지의 거리로 정하였다. 과성장의 정도는 환측 장골(long bone) 의 길이와 건측 장골의 길이 차로 정하였다. 각변형의 측 정은 골절 근위 간부의 임의의 두 위치에서의 내측 피질 의 중간점의 연장선과 경골 원위 성장판의 수선이 이루는 각을 측정하였다(Fig. 1)12).

5. 분류

대상 환아는 나이(3-6세, 7-9세, 10-12세), 성별(남 아, 여아), 골절 위치(근위부, 중간부, 원위부), 동반된 비 골 골절의 여부, 그리고 추시 기간(24-36개월, 37-48개 월, 49-60개월, 60-96개월)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SPSS 11.0 (Statis- 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Inc., IL)을 사용하였고, 유의 확률(p-value)이 0.05보다 작을 때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판정하였다.

결 과

1. 임상적 평가

골절 유합 기간은 평균 8.3주였으며 석고 붕대 고정 후 Table 2. Results of Statistic Analysi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actor Group Average overgrowth p-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3-6 (n=12) 5.7±4.1 mm

7-9 (n=16) 4.8±1.4 mm 0.005*

10-12 (n=10) 2.4±3.4 mm

Sex M (n=26) 3.8±3.7 mm 0.068

F (n=12) 5.8±0.9 mm

Level Proximal (n=12) 4.7±2.2 mm

Middle (n=10) 4.3±4.2 mm 0.867*

Distal (n=16) 4.4±3.1 mm

Fibular O (n=28) 4.1±4.1 mm 0.905

Fracture X (n=10) 5.2±3.1 m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and level, Kruskal-Wallis test, Sex and fibular fracture, In- dependent samples T-test.

Fig. 1. Measurement of the fracture angulation. For the angula- tion (α) in the coronal plane,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ximal shaft, and the perpendicular line form the distal physis was measured on the anteroposterior view. The angulation in Saggital plane (β) was defined as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ximal shaft and the perpendicular line of the distal physis on the lateral view.

α β

(4)

욕창, 구획 증후군, 신경증 등의 단기 합병증은 없었다.

통증 지수(10 point pain scale)는 0.1±0.4점로 심한 운 동 후 불편감을 호소하는 아동이 2예 있었다. 100점 만점 의 기능 평가(score scale for subjective & functional follow-up evaluation, after ankle injury10))상 평균 98.7±5.6점으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족관절 관 절 운동 범위의 감소는 없었고, 파행을 호소하는 아동은 없었다.

2. 방사선학적 평가(Table 1, 2)

환측 경골은 평균 4.4±3.3 mm (-3-10)의 과성장이 관찰되었다. 연령에 따른 과성장은, 3-6세에 평균 5.7±

4.2 mm로 가장 컸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0.005).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위치에 따라서는 근위 간부에 골절이 일어난 경우에 더 큰 과성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비골 골절의 유무에 따라서 과성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Table 2). 추시 기간에 따라서는 48개월 이상인 군 에서 경골과 동측 하지의 과성장이 48개월 미만인 군보 다 컸다(p=0.004, Table 3).

환측 대퇴골은 평균 0.9±3.7 mm (-3-13)의 과성장 을 보였다(p=0.140). 4예에서 10 mm 이상의 과성장을 보였으며, 이들 4예의 환아는 경골에서 평균 6.5±0.6 mm 의 과성장을, 대퇴골에서는 11±1.4 mm의 과성장을 보 여, 대퇴골의 과성장이 더 많았다(Fig. 2).

하지 전장 길이는 평균 5.3±5.4 mm (-5-19)의 과성 장이 있었다(p<0.001). 석고 붕대 제거 직후에 촬영한 방사선 사진상에서 골절부는 평균 내반 3.2±6.2o, 평균 후방 각형성 1.2±4.6o이었고,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내 반 1.4±3.4o, 평균 후방 각형성 0.1±5.7o을 보였다.

고 찰

소아 경골 골절은 기능적으로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잘 치유된다. 본 연구에서도 최종 추시 시 15 mm 이상의 양 하지 길이 차이를 보이는 예에서도 기능적인 문제점을 호소하는 아동은 없었다.

소아 경골 골절 후의 과성장은 여러 저자들에 의해 평 균 약 5 mm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대퇴골의 골절에 비 해 임상적 의의는 적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2,4,6,8). 본 연구에서도 환측 경골의 과성장은 평균 4.4 mm로 기 존의 연구와 비슷하였다9,10,12). 또한 본 연구에서 경골의 과성장은 성별과 비골 골절 유무와는 무관하였는데, 이는 Greiff와 finn7)의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Jung 등9)은 여러 방법으로 치료한 소아 경골 골절 조 사에서 소아 근위부 경골 골절 후에 과성장이 가장 많이 일어나고, 중간부, 원위부의 순으로 과성장이 일어난다 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골절 위치에 따른 과성 장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Jawish 등8)은 3-7세의 환아에서 과성장의 정도가 의 Table 3. Discrepancy by according to the Follow-up Dura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iscrapancy

Follow-up Tibia femur LLD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24-36 month (n=10) 2.7±3.7 -0.4±1.2 3.1±3.7 37-48 month (n=8) 4.4±4.0 -0.3±0.9 4.1±4.4 49-60 month (n=9) 5.5±2.2 -0.2±0.7 5.3±1.8 61-96 month (n=11) 5.2±2.4 0.9±3.6 5.6±5.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value* 0.189 0.272 0.13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ruskal-Wallis test.

Fig. 2. A 6-year old boy (case number 11) had suffered a tibial shaft fracture as a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A, B). The fractured bone was closely reduced and a long leg cast was applied (C, D). The Bell-Thompson film obtained 96 months after injury showed 7 mm of tibial overgrowth and 13 mm of femoral over- growth compared with the opposite limb (E).

A B

C D E

(5)

의 있게 크다고 하였으며, Greiff와 finn7)은 3-5세 이후 부터 점점 과성장의 정도가 감소한다고 하고, 12세 이후 에는 오히려 저성장이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3-6세의 소아에서 과성장이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이들의 보고와 비 슷한 결과를 보였다. 즉, 본 연구는 경골 자체의 과성장의 정도, 그리고 성별, 나이, 골절 부위 등이 과성장에 미치 는 영향에 있어서 기존의 많은 논문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첫째는 경골 골절 후 과성장은 대체로 수상 후 2년이 경과하면 안정화되지만, 일부에서는 2년이 경과하여도 과성장이 지속된다는 점이다. Shapiro13)는 소아에서 대 퇴골 골절 후 16개월경과 시점에서 단지 12%만이 과성 장 현상이 안정화되고, 3년 6개월에는 85%에서 안정화 되며, 9%에서는 성장 종료까지 계속해서 양 하지 길이 차가 증가하여(Shapiro 성장 곡선 제 2형) 과성장 현상이 지속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성장 종료까지 추시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경골 골절에서도 Shapiro13)가 보고한 대퇴골에서의 과성장 유형이 유사하게 일어남을 보여주었다.

둘째로는, 4예에서 대퇴골이 10 mm 이상의 과성장을 보였다는 사실이다. Staheli14)는 소아 대퇴골 골절 후 경 골에서도 과성장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 구에서도 경골 골절 후에 동측 대퇴골에 통계학적으로 유 의하지는 않았으나 평균 0.9 mm의 과성장(p=0.140)이 있었고 개인 차이가 컸다. 특히, 15 mm 이상의 양 하지 길이 차이를 보였던 4명의 소아에서는 경골 자체의 과성 장뿐 아니라 대퇴골의 과성장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비 록 이들 4명의 소아가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 만, 계속적인 추시 및 하지 부동에 대한 치료가 종국에서 는 필요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결 론

소아 경골 골절은 임상적으로 후유증이 없이 잘 치료 되는 골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록 소 아에서의 경골 골절이 대퇴골 골절에 비해 과성장의 정도 는 작지만, 소아에 따라 다양한 과성장의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임상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정도 의 과성장은 경골 자체의 과성장뿐 아니라, 환측 대퇴골

의 과성장도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1. Ahn JI, Kim TS, Lee KI: Valgus deformity after non- displaced fracture of the proximal tibia in children. J Korean Orthop Assoc, 20: 501-506, 1985.

2. Aitken AP, Blackett CW, Cincotti JJ: Overgrowth of the femoral shaft following fracture in childhood. J Bone Joint Surg, 21-A: 334-338, 1939.

3. Balthazar DA, Pappas AM: Acquired valgus deformity of the tibia in children. J Pediatr Opthop, 4: 538-541, 1984.

4. Barford B, Christensen J: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in children with special reference to subsequent overgrowth. Acta Chir Scand, 116: 235-250, 1959.

5. Cozen L: Fracture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tibia in children followed by valgus deformity. Surg Gynecol Obstet, 97: 183-188, 1953.

6. Edvardsen P, Syversen SM: Overgrowth of the femur after fracture of the shaft in childhood. J Bong Joint Surg, 58-B:

339-342, 1976.

7. Greiff J, Bergmann F: Growth disturbance following fracture of the tibia in children. Acta Orthop Scand, 51: 315-320, 1980.

8. Jawish R, Kahwaji A, Dagher G: Overgrowth of femoral fractures in childhood. Rev Chir Orthop Reparatrice Appar Mot, 89: 404-406, 2003.

9. Jung YK, Yoo JH, Lee DH: Overgrowth of the tibial shaft following fracture in children. J Korean Orthop Assoc, 25:

787-793, 1990.

10. Kaikkonen A, Kannus P, Jarvinen M: A performance test protocol and scoring scale for the evaluation of ankle injuries.

Am J Sports Med, 22: 426-429, 1994.

11. Reynolds DA: Growth changes in fractured long-bones: a study of 126 children. J Bone Joint Surg, 63-B: 83-88, 1981.

12. Rockwood CA, Wilkins KE, Beaty JH: Fractures in children.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Publisher:

1338, 1996.

13. Shapiro F: Fractures of the femoral shaft in children. The overgrowth phenomenon. Acta Orthop Scand, 52: 649-655, 1981.

14. Staheli LT: Femoral and tibial growth following femoral shaft fracture in childhood. Clin Orthop Relat Res, 55: 159-163, 1967.

(6)

= 국문초록 =

목 적: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하지 4 장골의 상대적 성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환자 중 도수 정복 후 장하지 석고 붕대 고정으로 치료받았던 38예의 의무 기록과 Bell-Thmpson 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4.4개월(24-96개월)이었다.

결 과: 전예에서 임상적으로는 우수하였다. 환측 경골의 과성장은 4.4±3.3 mm이었다. 환측 대퇴골은 평균 0.9

±3.7 mm의 과성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환측 하지는 5.3±5.4 mm의 과성장을 보였다. 성별, 골절 부위와 비골 골절 유무는 과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상 당시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과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4예에서 환측 대퇴골이 10 mm 이상의 과성장을 보였다.

결 론: 소아의 하지 장골은, 경골 골절로 치료 받은 후, 다양한 성장을 보였다. 최종 하지 길이의 차는 골절된 경골뿐 아니라, 환측 대퇴골의 과성장도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색인 단어: 과성장, 경골 골절, 소아

수치

Table 1. Results  of  the  Radiological  Measurements
Fig. 1. Measurement of the fracture angulation. For the angula- angula-tion  (α)  in  the  coronal  plane,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roximal  shaft,  and  the  perpendicular  line  form  the  distal  physis  was  measured  on
Fig. 2. A  6-year old  boy  (case  number  11)  had  suffered  a tibial shaft fracture as a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A,  B)

참조

관련 문서

골다공증 또한 이러한 질환 중 하나 로 골다공증은 골절이 발생하기 전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 지는 않지만, 골절 등이 발생할 경우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많은

49개로 나타났다.우식치지수에서는 광주․전남 지역별로 비교시에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 58개로 광주지역이 전남지역에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그림 3-19각 건설관련자별 건설클레임 인식수준(공정 관련) 무리한 단축공기 제시는 각 건설관련자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학/연계가

또한 석유정보청(Petroleum Information Agency) 관계자의 평가에 따르면, Imperial Energy사 소유의 매장지들은 서로 너무 떨어져 있는 데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악골은 하악 우각부(mandi bul arangl e ) ,하악 과두( mandi bul ar condyl e )및 정중부( s ymphys i s ) 를 비롯한 기계적으로 약한 부위가 존재한다 4 .하악골

조사 결과 소아 및 청소년 환아에서 치과 치료 및 러버댐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 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성별,치료 내용,마취 여부 및 종류,치료 시간,치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는 전통적으로 보존적 치료가 일차적 치료이다. 대부분 골절부의 혈행이 좋고 골절부의 신연보다는 단축 소견이 많기 때문에 골 접촉면이 넓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