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관사체계 습득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관사체계 습득에 관한 연구"

Copied!
10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6년 8월 박사학위 논문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관사체계 습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김 경 훈

(2)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관사체계 습득에 관한 연구

A StudyontheAcquisitionoftheEnglishArticleSystem byKoreanHighSchoolStudents

2006년 8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김 경 훈

(3)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관사체계 습득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김 귀 석

이 논문을 문 학 박사 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4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김 경 훈

(4)

김경훈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전남대학교 교수 인 위원 원광대학교 교수 인 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2006년 6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5)

목 목 목 차 차 차

표표표 목목목 차차차 ···iii

AAAbbbssstttrrraaacccttt···v

제제제 111장장장 서서서 론론론 ·······················································································································1

1.1연구의 필요성 ·············································································································1

1.2연구의 목적 ··················································································································3

1.3연구 문제························································································································4

1.4연구의 제한점 ·············································································································4

제제제 222장장장 이이이론론론적적적 배배배경경경 ·······································································································6

2.1한정사의 정의 ·············································································································6

2.2영어 관사의 체계 ·······································································································8

2.2.1부정관사의 체계 ···························································································10

2.2.2정관사의 체계 ·······························································································17

2.2.3무관사의 체계 ·······························································································22

2.3영어 관사의 총칭적 용법 ·····················································································27

2.3.1부정관사의 총칭적 용법 ············································································28

2.3.2정관사의 총칭적 용법 ················································································31

2.3.3무관사의 총칭적 용법··················································································33

2.4영어 관사 습득 ·········································································································37

2.4.1모국어로서의 영어 관사 습득 ·································································37

(6)

2.4.2외국어로서의 영어 관사 습득···································································40

2.4.3영어 관사 사용에서의 오류·······································································44

제제제 333장장장 연연연구구구 설설설계계계 ···········································································································50

3.1실험대상 및 도구 ·····································································································50

3.2자료 분석 ····················································································································51

제제제 444장장장 결결결과과과 분분분석석석 ···········································································································53

4.1일반 영어능력과 영어 관사 습득과의 상관관계 ··········································53

4.2영어 능숙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차이 ················································55

4.3성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차이 ································································63

4.4영어 능숙도와 성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상호작용 효과 ·············66

제제제 555장장장 효효효과과과적적적인인인 영영영어어어 관관관사사사 지지지도도도 방방방안안안 ·······················································68

5.1영어 관사 지도상의 문제점 ·················································································68

5.2규칙성을 통한 영어 관사 지도 방안··································································69

5.3문장을 통한 영어 관사 지도 방안 ····································································75

5.4독해 지문을 통한 영어 관사 지도 방안 ·························································79

제제제 666장장장 결결결론론론 및및및 제제제언언언 ··································································································83

참참참고고고문문문헌헌헌 ···································································································································85

부부부록록록 ···92

(7)

표 표

표 목 목 목 차 차 차

<표 1> 명사구의 형태 ···28

<표 2> 실험 대상 ···50

<표 3> 실험 도구 ···51

<표 4> 기술통계 ···53

<표 5> 상관분석 결과 ···54

<표 6> 영어 능숙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 ···55

<표 7> 영어 능숙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56

<표 8> 영어 능숙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사후 다중 비교 검증 ···57

<표 9> 영어 능숙도에 따른 각각의 영어 관사 체계 습득 ···58

<표 10> 영어 능숙도에 따른 정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59

<표 11> 영어 능숙도에 따른 정관사 습득의 사후 다중 비교 검증 ···59

<표 12> 영어 능숙도에 따른 부정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0

<표 13> 영어 능숙도에 따른 부정관사 습득의 사후 다중 비교 검증 ···61

<표 14> 영어 능숙도에 따른 무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1

<표 15> 영어 능숙도에 따른 무관사 습득의 사후 다중 비교 검증 ···62

<표 16> 성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 ···63

<표 17> 성별에 따른 영어 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3

<표 18> 성별에 따른 각각의 영어 관사 체계 습득 ···64

<표 19> 성별에 따른 정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5

(8)

<표 20> 성별에 따른 부정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5

<표 21> 성별에 따른 무관사 습득의 집단별 일원 분산 분석 ···66

<표 22> 이원 분산 분석 ···67

(9)

A A AB B BS S ST T TR R RA A AC C CT T T

AAA SSStttuuudddyyyooonnnttthhheeeAAAcccqqquuuiiisssiiitttiiiooonnnooofffttthhheeeEEEnnngggllliiissshhhAAArrrtttiiicccllleee S

S

Syyysssttteeemmm bbbyyyKKKooorrreeeaaannnHHHiiiggghhhSSSccchhhoooooolllSSStttuuudddeeennntttsss

K K

Kiiimmm,,,KKKyyyuuunnnggghhhoooooonnn A

A

Adddvvviiisssooorrr:::PPPrrrooofff...KKKiiimmm,,,GGGuuuiiissseeeoookkk,,,PPPhhh...DDD... D

D

Deeepppttt...ooofffEEEnnngggllliiissshhhLLLaaannnggguuuaaagggeee&&& LLLiiittteeerrraaatttuuurrreee G

G

GrrraaaddduuuaaattteeeSSSccchhhoooooolllooofffCCChhhooosssuuunnnUUUnnniiivvveeerrrsssiiitttyyy

Thisstudy istodevelopeffectiveplansfortheacquisition andcorrection ofEnglisharticlesbasedonatestoflearnerswhouseEnglishasaforeign language.Forthe purpose,this study targeted a totalof200 high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100 males and 100 females living in Gwangju.Of thosetargeted,itselectedatotalof60studentsconsisting of30malesand 30femaleswhoansweredfaithfullytothequestions.

For this study,a questionnaire which can measure large-sized groups witheaseandinquantitywaspreparedfordatacollection.Itwascomposed ofa totalof140articlequestionsasfollows:80questionsforthedefinite articles,33forindefinitearticles,and 27with zero articles.Theresultsof thestudy wasanalysed with theuseofOne-way ANOVA and Two-way

(10)

ANOVA inSPSS 12.0statisticsprogram.

Forthisstudy,thefollowingfourquestionswerepresented:

First,whatcorrelationsexistsbetweengeneralEnglishabilityandEnglish articleacquisition?

Second,whatdifferenceisthereinEnglisharticleacquisitionaccordingto Englishproficiency?

Third,whatdifferenceistherein English articleacquisition according to gender?

Fourth,what interactive effect is there in English article acquisition accordingtoEnglishproficiencyandgender?

Whentheresultsofthequestionswereanalysed,therewasnosignificant differenceinEnglisharticleacquisitionaccordingtogender,butaccordingto English proficiency,English article acquisition was different:advanced- , intermediate-andlow group.

Basedon theresults,thisstudy presentsthreeEnglish articleinstructive methods:

First,letthestudentsin thelow group know thatthereisregularity in Englisharticlesandtheycanlearnthem throughregularity.

Second,forthose in the intermediate group who understand the article system somewhat,help them participate in article learning actively and apply the system acquired for sentences beyond superficialinstruction of articles,whichleadstoeffectivelearningofarticles.

(11)

Finally,forthoseintheadvancedgroupwhohavetheirestablishedarticle system,lead them to learn articles through reading,which is one ofthe mostdifficultproblemsinlearningarticles.

This study speculated English article acquisition ofKorean high school studentsandbasedontheresults,presentseffectiveinstructivemethods.In the future,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English articles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which are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articlelearning.

(12)

제 제

제 1 1 1장 장 장 서 서 서 론 론 론

111...111연연연구구구의의의 필필필요요요성성성

외국어로서 영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은 영어 관사를 어렵지도 중요하지도 않 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왜냐 하면 영어 관사는 시험에도 잘 출제되지 않고 우리 나라의 영어 교과과정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박재곤(1993:1)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 교사가 관사의 중요성을 늘 강조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7%,관사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은 30%에 지나지 않는다며 교사와 학생 모두가 관사학습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그러나 영어를 외국어로서 공부한 학습자들 특히 번역을 많이 경험 한 학습자들은 관사의 중요성이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

Whitman(1974:253)은 영어의 관사는 외국인에게 문법을 가르칠 때 가장 극복 하기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이며 관사 사용의 오류는 그 사람이 모국어 화자가 아니라는 가장 명백한 문법적 증거라고 언급하고 있다.이에 반해 외국어가 아닌 모국어로서 영어 관사 습득에 대해서 Scollon(1976:25)은 영어를 모국어로 습득 하는 화자는 2세쯤부터 a/an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3세쯤 되면 관사를 별다른 어 려움 없이 활용하게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이와 같이 모국어로서 영어를 습득하 는 학습자들은 어려움 없이 관사를 습득하게 되지만 외국어로서 영어를 습득하는 학습자들은 관사를 습득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과정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면 한국인 학습자들의 관사 습득은 어떠한가?한국인의 영어 관사 습득도 에 대해서 신용진(1980:28)은 고급수준에 이른 학습자들까지도 관사의 활용에

(13)

자신이 없고 실제 사용에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한국인들의 관 사 사용에서 오류발생 빈도가 9개 항목 중 2위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여기 에서 말한 9개 항목은 형태,서법동사,시제,관사,어순,통사,전치사,어휘,구조 이며 그의 조사에서 형태 다음으로 관사의 오류 빈도가 잦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 다.김학엽(1991:46)은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능력에 따라 1등급 에서 4등급까지의 4단계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영어 능력이 가장 낮 은 1등급 학생들은 오답률이 70%를 상회하였고 영어 능력이 가장 높은 4등급 학 생들은 오답률이 10% 정도였다고 언급하고 있다.박기화(1994:92-93)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는데 그 결과 영어 관사 의 전체 오답률이 40-50%였고, 중3과 고1의 오답률은 각각 중3은 50-60%정도 이고 고1은 30-40%였다고 했으며,김영숙(1986:74)도 한국학생의 관사에 대한 오답률이 40%정도가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학생들이 영어 관사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 중의 하나는 한 국어에는 관사의 체계가 없기 때문이다.Master(1987:21)는 모국어에 관사체계 가 없는 중국,일본,러시아의 영어학습자와 모국어에 관사 체계가 있는 독일,스 페인의 학습자 각 4명씩을 선정하여 비공식적인 면담을 통해 관사의 사용을 조사 하였다.그 결과 모국어에 관사체계가 없는 집단의 관사 사용의 정확도가 모국어 에 관사체계가 있는 집단의 정확도 보다 크게 뒤떨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또 박기화(1994:76-78)의 연구에서도 모국어에 관사체계가 있는 프랑스,독일 학생 들과 모국어에 관사체계가 없는 한국,일본,학습자들의 영어 관사 습득정도를 비 교하였는데 프랑스와 독일 학습자들의 경우는 79.6%와 80.2%로,한국과 일본 학 습자들의 50%와 40.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고 언급하고 있다.그리고 한학성

(14)

(1996:14)은 한국인들의 영어 작문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오류 중의 하나 가 바로 관사와 관련된 것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자신들이 관 사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인 학습자가 외국어로서 영어 관사를 습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다.그러므로 영어 관사의 체계를 정리하여 상황이나 문맥에 맞게 학습하게 하여 효과적으로 관사를 습득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111...222연연연구구구의의의 목목목적적적

영어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 영어 관사의 습득과 활용은 영 어 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그러나 영어 관사의 습득을 기계 적인 암기식으로 학습한다면 관사 습득이라는 목적을 이루기는 어렵다.지금까지 의 기계적인 암기식 영어 학습에서 탈피하여 관사의 기본적인 체계를 바탕으로 상황이나 문맥에 맞는 문장들을 학습하고 이해함으로써 관사의 체계를 효과적으 로 습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외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을 실험해 봄으로서 영어 관 사의 습득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기본적인 영어 관사의 체계를 정립하여 효과 적으로 교정하고 습득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15)

111...333연연연구구구문문문제제제

연구문제 1:일반 영어능력과 관사 습득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영어 능숙도에 따라 관사 습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성별에 따라 관사 습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영어 능숙도와 성별에 따라 관사 습득에는 어떤 상호작용 효과가 있 는가?

111...444연연연구구구의의의 제제제한한한점점점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영어 관사의 습득을 점검하기 위하여 필답고사 1회를 실시하여 실험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영어 관사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따라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사립 남자고등학교와 여자 고등학교 200명의 학생 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응답하게 하였다.그러므로 조사 대상 및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 지역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려우며,이 연구의 결과를 고등학생들의 영어 관사 습득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조사 내용의 문항 수가 140문항으로 제한되어 있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 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이 연구에 투입된 설문지는 표준화된 검사지가 아니라 연구자가 교과서 에서 직접 발췌하거나 그 수준에 준한 참고서적을 기초로 하여 만든 설문지이기

(16)

때문에 이를 척도화 하거나 표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따라서 다른 설문지를 사 용하는 경우와 척도가 다를 수 있고,학생들의 영어 관사 습득에 대한 다양한 변 인들을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17)

제 제

제 2 2 2장 장 장 이 이 이론 론 론적 적 적 배 배 배경 경 경

222...111한한한정정정사사사의의의 정정정의의의

한정사는 구조주의 문법에서 명사를 구별하는 표지로 설정된 어류로서,한정 (예:theboy)또는 비한정(예:aboy)의 지시를 하거나 또는 수량을 가리키는 (예:manyboys)따위의 방법으로 중심어(headword)가 언급하는 범위를 한정 해주는 역할을 한다.

Bloomfield(1967:203)는 어떤 유형의 명사표현도 항상 어떤 한정사를 수반하 고 있다는 점에서 한정사를 정의하고 있다.그는 한정사를 ‘정한정사’(definite determiner)와 ‘비한정사’(indefinitedeterminer)로 분류하여 설명하였고 한정사 를 불규칙적인 형식어군으로 정의하였다.그가 말하는 정한정사는 ‘식별된 표 본’(identified specimen)을 가리키는 것으로,모든 소유형용사와 그 밖의 this, that,및 정관사 the가 이에 속한다.그리고 비한정사는 ‘식별되지 않은 표본 '(unidentifiedspecimen)을 가리키는 것으로서,부정관사 a(n)를 비롯하여 any, each,either,every,neither,no,one,some,what,whatever,which,whichever 와 그 밖의 구로된 many a,such a,whata 가 이에 속한다.Roberts(1964:

16-17)는 영어의 명사구는 한정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되어 있는데 모든 명사 앞에는 적어도 하나의 한정사를 포함하고 있다.그러므로 한정사가 보이지 않 는 문장 즉 “Men passed by."에서도 men을 ∅ + N으로 보아야하며 ∅역시 한정사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관사로 보아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18)

Fries(1952:89)는 유어(class word)에 속하지 않은 단어를 기능어(function word)라 부르고,기능어를 A 군에서 O군까지 15개 군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 중 Theconcertwasgood.같은 문에서 the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모든 단어가 A군에 속하는 것으로서,이를 가리켜 한정사라고 언급하고 있다.여기 에는 the,an,every,no,my,our,your,her,his,their,each,all,both,some, any,few,more,most,much,many,its,John’s,this,that,one,two등이 포함 된다.그 후 한정사라는 명칭을 택하는 학자들이 더욱 많아져 널리 사용되었으 며,한정사에 어떤 단어들이 포함되느냐 하는 문제는 문법학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현재 전형적인 것으로 Quirk,Greenbaum,Leech & Svartvik(1985:

253)의 분류를 들고 있다.이들의 분류에 따르면 동일 중심어를 기술형용사와 함께 수식할 경우는 ‘한정사 + 기술형용사 + 중심어’의 어순을 취하게 마련인 데,한정사는 각기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전치한정사(predeterminer),중심한정 사(centraldeterminer),후치한정사(postdeterminer)로 3분된다.전치한정사에 는 all,both,half;double,twice등의 곱수;one-third등의 분수;what,such등의 정도어(degreeword)가 포함된다.중심 한정어는 관사;this,that등의 지시사;

my,John's등의 소유형용사; some,any,no,every,each,either,neither, enough,much등의 양화사;what(ever),which(ever),who(ever),whose등의 한 정사가 포함된다.그리고 후치한정사에는 one,two등의 기수;first,second등의 서수;next,last,other등 일반서수;many,few,several,more,less등의 양화사 가 포함된다.지금까지 언급한 한정사의 특징을 정리하면,첫째,중심어(head word)는 물론이며 그 앞에 올 기술 형용사 보다 앞에 위치한다.둘째,그 중 대다수는 서로 배타적이어서 공기제한(co-occurrencerestriction)을 가지고 있

(19)

다.셋째,much,many,few,little을 제외하고는 비교변화형을 가지고 있지 않 다.넷째,기술 형용사와는 달리 한정적 용법으로만 쓰일 뿐 서술적으로 쓰이는 일은 드물고 또 다른 단어에 의해 수식되는 일도 드물다.다섯째,많은 한정사 가 형용사 용법과 대명사용법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한정사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첫째,한정사 대부분의 구조적인 위치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명사와 함께 문형을 형성하는 기능어의 집단이다.

둘째,한정사의 주된 문법적인 기능은 명사가 뒤따른다는 것을 예시하는 가 장 확실한 신호이다.셋째,대부분의 한정사는 서술적인 위치에는 올 수 없으 며,어미를 첨가하여 형태가 변하는 일이 없고 대다수의 한정사는 뒤에 오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즉 한정어는 명사구를 이루는 전치수식어 의 일종으로 동일한 명사구 안에서 중심어를 지시,한정하는 말이다.이 연구에 서는 이런 한정사들 가운데 영어 관사체계에 대해서만 한국의 고등학생들을 대 상으로 연구 하였다.

222...222영영영어어어 관관관사사사의의의 체체체계계계

관사는 명사의 앞에 위치하여 명사의 의미를 한정한다.그러므로 관사는 명사 의 의미와 쓰임에 따라 부정관사(a/an),정관사(the),무관사(∅)로 나뉘어 쓰인다.

이때 관사의 의미와 쓰임은 뒤에 오는 명사가 단수(singular)인지 복수(plural) 인지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noun)인지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noun) 인지와 관련이 있다.

부정관사와 정관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명사의 가산성(countability)과 한정성

(20)

(definiteness)에 있다.즉 부정관사는 수의 개념을 내포하지만 정관사는 화자나 청자가 모두 알고 있는 사물을 내포한다.부정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이면서 단 수일 경우에만 사용되지만 정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단 복수형 및 셀 수 없 는 명사에도 사용될 수 있다.그리고 무관사는 셀 수 없는 명사(추상명사,물질명 사,고유명사)와 복수 명사와 함께 쓰인다.또 총칭적 용법(전체를 대표하는 용 법)은 셀 수 있는 명사의 경우 부정관사(a/an)+단수명사,정관사(the)+단수명 사,무관사 +복수명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무관 사 +복수명사 이고 셀 수 없는 명사일 경우에는 무관사 +단수명사를 사용한다.

Jespersen(1949:417-424)은 Christophersen(1939:63-73)의 친숙도의 원리 (theoryoffamiliarity)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완전히 생소한 단계’(completeunfamiliarity)로 이 경우에는 부 정관사나 무관사가 사용된다고 했고 두 번째 단계는 ‘거의 완전히 친숙한 단 계’(nearlycompletefamiliarity)로 정관사 the를 사용하며 세 번째 단계는 ‘완전 히 친숙한 단계’(completefamiliarity)로 무관사를 사용하여 본질적인 의미를 지 시한다고 언급하고 있다.Fries(1952:89-101)는 관사를 한정사의 일부로 보았으 며,관사처럼 내용적인 뜻보다는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 어휘를 기능어라고 언 급하고 있다.Hill(1958:176)은 명사구를 확장하여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설명 하고 있다.그는 명사에 가까이 올 수 있는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여 all(VI) the(V)ten(IV)fine(III)old(II)houses와 같이 표현했지만 정관사 'the'가 나타나 는 (V)위치에 this(these),that(those)가 올 수 있으며 또한 정관사 the가 나타나는 (V)위치에 소유격도 나타날 수 있다.따라서 의미보다는 구조만을 언급했기 때문 에 의미 전달의 기능은 무시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그러나 이런 기본적인

참조

관련 문서

Answers Answers 올인

첫 번째 worker 함수 호출 10번 결과를 출력. 두 번째 worker 함수 호출

본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과 영어 학습 성취도의 관계를 연구하여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청해 전략의 사용이 영어 청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에 대해서는, 상위인지 전략,인지전략,사회 정의적 전략 모두 다 통계적으로

둘째 영어 동화 활용 수업을 통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 , 다 영어 동화 속의 다양한 문화와 주제는 학습자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며..

This study researches the effectiveness of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for teaching grammar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 Eighty-four third-year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동기와 영어 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 영어를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는 많은 호기심과 의욕을 가지고 영어 학습에 임하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디포넥틴 수준의 첫 번째 사분위를 기준으로 두 번째 세 번 째 네 번째 사분위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비차비를 가지 모델을 제시하여 비교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