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류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형태는 著書型과 시문선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류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형태는 著書型과 시문선집"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상소문의 문체이해와 발생기 전환기의 문체분류

지우(卒年; 311)의 文章流別論』 : 발생기 자료이면서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시도.

→ 『文章流別集』 은 『文選』 과 같은 선문학형의 자료형태의 시초 → 『文章流別論』 은 『文心雕龍』 과 같은 저서형 문체론의 단 → 『文章流別集』 과 『文章流別論』의 合集은 『文章辨體』 와

『文體明 辨』 같은 총집형 자료형태의 모태가 되었다.

→ 발생기의 단층형 분류체계를 극복, 선문층차분류체계 최 초제시

(2)

◆ 『문장류별론』은 문체 분류 자료 중에서 시문의 선집과 문체론을 함께 묶은 최초의 總集 型 문체 분 류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형태는 著書型과 시문선집 형태의 자료, 總集型 문체 분류 자료들의 형태적 전 형을 제시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시문선집 형태의 문체 분류자료인『문선』은 문장을 선집한『문 장류별집』의 영향을 받은 형태이다. 저서형 문 체분 류 자료인『문심조룡』은 문체에 대하여 논의한『문장 유별론』의 형태에 영향을 받은 자료이다.

(3)

◆당시 자료로서『문장류별론』과 같은 형태를 지닌 자료로는 중국 서적의 經史子集 분류 체계를 세운 李充(東晉:?-?)의『翰林論』을 살필 수 있다. 이 자료 또한 원본이 소실되면 서 총집부분은 없어지고, 평 론의 일부분만『全晉文』『太平御覽』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문체를 제시하고 문체의 기원, 작법, 대표작가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현 존하는 자 료만으로 볼 때 다소 소략하기는 하나 그 형식은

『문장류별론』과 같다.

(4)

後世之爲詩者多 其功德者謂之頌 其餘則總謂之詩 頌 詩之美者也 古者聖帝明王 功成治定 而 頌聲興 于是 史錄其篇 工歌其章 以奏于宗廟 告于鬼神 故頌之所 美者 聖王之德也 則以爲律 呂 或以頌形 或以頌聲 其 細已甚 非古頌之意 昔班固爲安豊戴侯頌 史岑爲出師 頌 和熹鄧后頌 與魯頌體意相類 而文辭之異 古今之 變也 揚雄趙忠國頌 頌而似雅 傳毅顯宗頌 文與周頌 相似 而雜以風雅之意 若馬融廣成 上林之屬 純爲今 賦之體 而爲之頌 失之遠矣

다음은 『문장류별론』에 제시된 頌에 대한 내용이다.

(5)

번역 : 후세에 와서는 詩라고 일컫는 것이 많아지니, 공덕을 찬미하는 것을 頌이라 이르고, 그 나머지는 모두 詩라고 한다. 頌은 詩 가운데 讚美하는 것이다.

옛날 성스러운 明王이 공을 이루고 정치가 평정되니 명성에 대한 칭송이 일어났다. 이에 史官은 그 시편 을 기록하고, 樂工은 그 章을 노래하여서 종묘에서도 연주하고 귀신에게도 고해 바쳤으니, 그러므로 頌에 서 찬미한 것은 곧 성스러운 왕의 덕이다. 이에 가락 을 지어 혹은 모습을 찬양하고, 혹은 명성을 찬송해 서 심하게 세분되었으니, 옛날 頌의 뜻은 아니다.

(6)

옛날 班固가 지은 <안풍대후송>과 사잠이 지은 <출 사송>과 화희가 지은 <등후송>은 노송과 뜻은 서로 같으나, 文辭가 다른 것은 古今이 다르기 때문이다.

양웅의 <조충국송>은 頌이지만 雅와 같고, 전의의

<현종송>은 글은 주송과 서로 같으나 風과 雅의 意 를 섞고 있다. 마융의 <광성송>, <상림송> 따위는 순전히 今賦의 體이나 頌이라고 이르는 것은 잘못 됨이 많다.

(7)

◆지우는 위의 논의에서 頌과 詩를 먼저 장르적으로 구별한다. 다음은 頌의 개념을 정의하고 頌의 演變을 설명하고, 漢代 頌의 작가와 작품을 평하고 있다. 이 와 같이 지우는 이전의 자료와는 완전히 달라진 모 습으로 12가지 문체의 기원, 변이양상, 개념정의. 문 체의 특성과 작품 평에 이르기까지 본격적인 문체비 평을 하고 있다. 특히 문체 분류에 있어서는 1차로 문체를 제시한 다음 2차로 문체비평을 가하고 3차로 선발된 시문을 싣는 총집형 자료형태로서 層次 분류 체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문장류별론』은 이와 같이 고대 발생기의 문체 비평을 발전시키는 동시에 문체 분류에 있어서는 최초로 층차 분류체계를 제시 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자료이다.

(8)

◆상소문의 문체 이해

上書의 개념 :

按字書云 『書者 舒也 舒布其言而陳之簡牘也』 古人敷 奏諫說(音稅)之辭 見於尙書 春秋內外傳者詳矣 然皆矢 口陳言 不立篇目 故伊訓 無逸等篇 隨意命名 莫協於一 然亦出自史臣之手 劉勰所謂 『言筆未分』 此其時也

上書의 개념 :

降及七國 未變古式 言事於王 皆稱上書 秦漢而下 雖代 有更革 而古制猶存 故往往見於諸集之中 蕭統文選欲 其別於臣下之書也 故自爲一類 而以 『上書』 稱之 今從 其例 歷採前代諸臣上告天子之書以爲式 而列國之臣上 其君者亦以類次雜於其中 其他章表奏疏之屬 則別以類 列云

참조

관련 문서

Atrophied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is divided to: Yinjiacun Culture( 尹家村類型 ) of Liaodong Peninsula, Shangbu Culture( 上堡類 型 ) of southern Jilin –

09 아인은 옥림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도움을 주고자 하지만, 옥림은 아인이 자신의 말에 공감하기를 바라고 있으므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05 도영의 여자

② 인사위원회가 학교법인신동아학원정관 제43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임용기간이 만료되는 교원 에 대하여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임용동의를 함에 있어서는 전 임용기간 중의 다음 각

이런 사실은 후발국이 학습기 간 동안에는 창조적 기술혁신(cre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과는 다른 성장원 천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余嘗從燕巖朴美仲 會山如碧梧桐亭館 靑莊李懋官貞蕤朴次修 皆在 時夜月明 燕巖曼聲讀其所自著熱河記 懋官次修環坐聽之 山如謂燕巖曰 先生文章雖工 好稗官奇書 恐自此古文不興

특히 간 절제술과 간이식을 맡고 있는 외과 왕희정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혈액형이 다른 간이식을 성공한 데 이어 간이식 수술을 통해 혈우병과 간암을 동시 치

이상으로 식민지 조선의 조선문 검열에 있어서 “염라대왕”과 같은 존 재였던 검열관 니시무라 신타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시대를 살았던 피검열자의 회고에 따르면,

 총계정원장 (general ledger) 은 이와 같은 개별 계정을 집합해 놓은 장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