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 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요 약"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 S ․ U ․ M ․ M ․ A ․ R ․ Y

요 약

본 연구는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 내용 및 절차 등 연구개요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융합시대에 걸맞은 국 토지능화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유비쿼터스공간의 선행사례를 검토하고 유비 쿼터스정보기술(U-IT) 적용에 의한 공간활용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발전 단 계에 따른 공간개념의 패러다임 변모양상과 분야별 유비쿼터스 공간구현의 현황 에 따른 국토 지능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고찰해보았다. 3장에서는 선행연구 와 사례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을 정의하고 필요성, 구성요 소, 공간분류별 특성을 통해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를 수립하였다. 디지털 통합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개념정립 과정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비전과 목표를 통해 기본방향을 세우고 공간구현을 위 한 세부적인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법과 정책지원, 모델표준화, 융합콘텐츠 구 상, 기기간 융합 및 기능구현과 계획부문별 추진전략을 통해 각 단계를 제시하였 다. 5장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실험사업의 개요 및 내용 과 구현 프로세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축 및 실험운영을 사례화하였다. 6장에 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과 관련하여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과 관련 정책지 원방안을 제시하였다. 7장에서는 본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특징 및 한계, 정책 건의 및 향후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2)

vi

제1장 서론

본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연구의 방법, 연구의 주요 내용, 연구의 절차 등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융합의 시대가 도래하여 공간정보의 융합적 활용 및 산업화 지원 등의 요구가 많아졌고, 최근 국토관리 및 활용 패러다임에 변화에 따른 국토 유비쿼터 스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1995년부터 시작된 국토정보화사업은 공간정 보기반을 구축하고 공공부문의 다양한 활용체계구축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제4 차 국토종합계획』및 『제3차 국가 GIS계획』이 수정되는 시점이다. 또 2008년 부터 각 지자체별로 추진되어온 U-City사업의 표준화 및 지원정책 마련의 일환 으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그리고 각종 관련 지침들 을 제시되는 실정이며 첨단국토 및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국토 유비쿼터스 화의 실행을 위한 부처 간 협력추진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국토의 유비쿼터스화를 명제로 신 국토공간의 패 러다임인 ‘디지털통합공간’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국토공간 첨단화, 공간정 보의 역할정립 및 활용 고도화가 요구되고 국토첨단화 기반기술 발굴 및 활성화 와 표준화가 시급한 큰 그림의 필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시간적으로 2011년부터 2020년, 공간적으로 국토 전역 의 지상․지하․해양․공중 등을 포괄한다. 당해 연도의 내용적 범위는 디지털 통합공간의 개념을 수립, 기본구상 및 실현구축방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간정보 관련제도, 해외 첨단공간서 비스 현황조사, 디지털통합공간 경제성 분석 등에 관해 국내외 관계 전문가등 관 산학연과 협동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통합공간의 모델링을 공동 추진하였다.

또한 현실과 가상공간의 융합적인 기본구상과 실험연구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공간 구현을 위한 계획단위 유비쿼터스 공간으로서 디지 털통합공간 구축을 위한 개념정립과 세부추진모델을 제시하며 관련 연구 및 사 업 추진에 기여하여 ‘유비쿼터스 국토건설’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국민삶이 질을 높이며 혁신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의 융합서비스사업을 도 출하여 신산업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하고 있다.

(3)

vii

제2장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이 장에서는 21세기 다양한 첨단기술에 의해 발전하는 디지털 융합시대의 흐 름에 따라 국토 지능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국토제반의 공간정보 분 야에서도 다른 산업과의 융합의 추세로 이어짐에 있어 국토 지능화의 필요성과 관련성을 살펴보고 대표적 첨단공간개념에 해당하는 유비쿼터스 공간의 구현 현 황을 분야별로 개관하고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토 지능화의 문제점을 종합정리하고 그 개선을 위한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 발전에 의한 인간의 컴퓨터 활용 특성을 시대적으로 구분해보면 제

3기까지 구분한다. 이러한 발전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은 디지털융합 현상을 가속

하고 이제까지의 정보‧콘텐츠 및 기기 그리고 그들 상호간 융합현상에서 더 나 이가 U-IT기술과 만나면서 인간‧사물‧공간 간 융합으로 진화되어간다. 유비쿼터 스 정보기술(U-IT)의 적용에 의한 디지털융합의 영역확대는 국토 공간정보와 그 기반기술의 중핵적 역할에 더욱 의존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국토공간 정 보화 및 지능화 기술의 발전은 국토공간 첨단화를 촉진하여 국가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공간정보기반 디지털융합의 핵심기술 개발로 신산업의 부 가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IT기반 첨단기술이 발전하며 국토공간 개념이 진화하는데 단계적으로 보면 물 리공간으로서 도시공간, 전자공간, 유비쿼터스 공간으로 나뉘어볼 수 있고 물리 공간과 전자공간이 융합된 새로운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공간인 유비쿼터스 공간 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또한 국토지능화를 위한 공간 유비쿼터스화의 기본개념에 해당하는 유비쿼터 스공간의 개념정의 및 실제 구현현황을 관(官)계, 산업계, 학술․연구계 및 시 사․언론부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국토공간의 지능화를 위한 기초 공간개 념으로서 유비쿼터스공간의 개념, 조직구성 및 활용의 기초개념체계가 부재하고 각 분야에서 서비스 접근방식이 전자공간 중심의 사고방식에 머물러 있으며 GIS 의 역할정립 및 U-IT와의 유기적 기술융합을 위한 방향제시 미흡하다고 문제점 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토지능화의 개선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 였다.

(4)

viii

제3장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 수립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융합시대에 현실적용 가능한 기술기반의 유비쿼터스공 간의 계획단위 개념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를 제시한다. 유비쿼터스 공간은 유비쿼터스공간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구축되고 무단절, 개별사용자 중심성, 비가시성 및 정숙성 등의 대표적 특성을 지향하기에 이를 살펴보며, 유 비쿼터스공간 구현을 위한 한계가 있으므로 구현 가능한 서비스 실현을 위해 차 선의 공간개념 및 구현체계로 ‘디지털통합공간(Digital Convergence Space)’를 제 안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적 정의와 운영적 정의를 통해 여러 특징들을 살펴본 다. 디지털통합공간은 공간 유비쿼터스화가 요구되는 특정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서비스 제공이 해당공간에 국한되며 유비쿼터스공간 기반기술의 발전에 따른 단 계적 첨단공간 구현에 적합하다.

디지털통합공간은 유비쿼터스공간의 개념체계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유사 유 비쿼터스공간의 개념체계,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공진화 및 논리적 연계를 위 한 균형 있는 기술개발 및 현실세계에 응용방안,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적용 및 현실화 등 세 측면에서의 디지털통합공간의 필요성을 말하며 구현요소를 크게 정보․콘텐츠, 통신망, 기기, 계획관리시스템 4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의 구성요소 및 상관관계

(5)

ix

구현과정에 있어 전자공간영역, 물리공간영역 그리고 전자․물리공간간 연계 등에 관한 각각의 세부 구현과정을 포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통합공간 구 현 프로세스와 목표서비스 구현을 위한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 (DCS-MS, Digital Convergence Space Planing & Management System)을 제시하였 다. 디지털통합공간의 차별성은 기존 전자공간 중심의 유비쿼터스서비스 지향에 따른 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물리공간에 대한 GIS 공간분석 및 각 단계적 공간지 능화의 접근방식에 있기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세부구현과정을 각 항목별로 제 시하며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과정은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 프로세스

유비쿼터스공간화를 분류하고 분류별 특성은 목표서비스 분류, 현장․휴대기 기 사용여부, 실내․외부 서비스제공 여부, 공간지능화 요소기술 활용수준, 공간 의 물리적 특성, LBS서비스 구현여부, 공간활용 복합성 여부 등 세부 항목에 따 라 분류하였다.

(6)

x

제4장 공간구현의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이 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계념체계를 바탕으로 4대 구현요소인 통신망, 서 비스관리시스템, 현장입출력장치 및 정보콘텐츠 등을 규정하고 각각의 요소별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향후 공간의 실제 구현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에 앞서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기본방향 수립 및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세부 추진전략 별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간구현에 있어 3대 비전으로서 인본공간, 첨단공간, 창조공간을 설정하고 이에 조화하는 세부 목표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창조적 융복합 공간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시민생활을 추구하는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비쿼터스정보기술을 핵심으로 공간정보기반 융합콘텐츠의 국민수요를 극대화하여 다양한 융․복합 신산업을 창출하며 국토공간관리 기반 기술을 고도화하고 결과적으로 효율적 국토공간관리에 이바지에 초점을 둔다.

<그림> 디지털 통합국토 구현의 목표

공간구현의 기본 방향은 ‘디지털통합공간’ 신개념을 통해 새롭게 정립 및 제도 화하여 전 국토 유비쿼터스화의 실제수행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공간 화의 핵심기술 요소로서 USN 인프라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 GIS를 유비쿼터스 공간 구현과정 상 주요 핵심 기반기술로 하여 기 국축된 국가공간정보 인프라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부흥에 적극 기여해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국토첨단화의

(7)

xi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접근방법

신기술을 발굴 활성화하고 물리공간, 전자공간의 공진화 및 효율적 연계를 위해 유비쿼터스공간 개념 및 구현절차를 표준화 및 제도화해야하며 마지막으로 국토 의 유비쿼터스공간화를 기반으로 하향식(top-down) 공간정보 서비스로부터 상향 식(bottom-up) 대국민 첨단공간 서비스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세부 추진전략으로 디지털통합공간의 표준모델을 제도화하 기 위해서는 디지털통합공간 모델의 개념정의 및 다양한 공간별 차별화를 이루 고 디지털콘텐츠들의 공간정보기반 신 융합콘텐츠화, 기기간 융합화를 구상으로 콘텐츠별 기기별 상호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능구현 부문, 계 획부문별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디지털통합공간 추진체계를 아래 그림과 같은 방 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계획, 구축 및 운영관리 전반에 연계된 기존의 법제도 정비 가 선행되며 융합콘텐츠 및 융합기기의 개발 및 활용에 따른 혼돈과 지연을 막기 위한 해당 분야별 법제도 정비방안 등이 정리․보완되어야 한다.

(8)

xii

<그림>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실험구축 제5장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이장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연구의 실험 모델로 진행한 실험 시스템 구 축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 10대 브랜드사업 내용 중 문화복 지 분야의 하나인 ‘지능형 문화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서비스모델로 ‘안양예 술공원 안내 서비스’와 ‘문화해설공간 나래터’를 실험 구축하여 디지털통합공간 의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안양예술공원 안내 서비스’는 현실공간에서의 모델로, 현실공간을 센서 네트

워크화하고 사용자 단말기용 UI를 제공함으로써 현실공간 내에서 길안내, 정보 조회 및 정보수신, 미아찾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성된다.

‘문화해설공간 나래터’는 가상공간에서의 모델로, 문화콘텐츠에 해당하는 역

사,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문화 소재들과 실제 좌표를 이용하여 공간정보화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 내 동선을 따라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내레이션)를 보 고, 듣고, 직접 창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두 가지 서비스모델 사례를 통해 디지털통합공간에서 좀 더 구체적으 로 다루어야 할 연구 핵심사항을 도출하여 반영하며, 향후 추진 및 실현방향 수 립 등의 연구에 참조하였다.

(9)

xiii

제6장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이 장에서는 5장이 제시한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을 바 탕으로 실제 실현을 위한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크게 관계 법제도 정비방안 및 정책지원방안 등 2개 부문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관계 법제도 정비방안에 있어 서는 디지털통합공간 표준모델 제도화 방안, GIS기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 시스템 제도화 방안 및 디지털통합공간 표준 계획체계 제도화 및 관련계획간 연 계방안으로 나눠 정리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 표준모델 제도화 방안은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1)구성 요소, 2)계획프로세스 및 3)운영관리 등 세 부분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표준모델을 기존 관련법 체계와 연계하여 장기적 정비의 절차를 밟아야한다.

GIS기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 제도화 방안은 유비쿼터스공간 분류 에 따른 DCS-MS의 목표, 기능 및 구조 등이 점진적으로 세분화되어야한다. 디지 털통합공간 표준 계획체계 제도화 및 관련계획간 연계방안은 국가․지자체 정보 화계획, 국토계획법 및 U-City법 등 유사관계법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디지털통 합공간 표준체계의 법제도기반 역할을 규명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표준체계 제도화(안)

(10)

xiv

한편 관련 정책지원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는 공공주도의 초기 기반인프라 구 축 방안, 디지털통합공간 10대 브랜드사업화 지원방안, 사업 추진체계 제도화 및 중장기 정책지원 로드맵 구축 및 실행가능 재원조달 방안, 수행주체별 역할 분담 등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관련 계획부문

(11)

xv

제7장 결론 및 정책건의

유비쿼터스공간 개념의 미래지향적 비현실성을 감안하여 현실 구현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U-IT)을 적용하여 ‘계획단위 유비쿼터스공간’ 즉, 디지털 통합 공간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한다. 국토 또는 지자체 관할 구역 전체의 유비쿼터스 공간화는 계획단위 유비쿼터스공간의 확산 적용에 의해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통합 공간의 운영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즉, 인간의 요구에 따라 현실 및 가상공간을 넘나들며 안전과 편안한 삶을 누리기 위해 물리공간을 유비 쿼터스 공간화를 위한 계획단위 단위 공간으로 정의하고,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을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 기기 및 통신망 등을 융합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서비 스(U-서비스)를 발굴하고 실험하였다.

디지털 통합 공간의 구현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즉 전자공간 인프라 구축 프 로세스, GIS 기반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DCS-MS) 구축 프로세스, 디지털 통합 공간 부분별 계획 수립, 디지털 통합 공간 구축 사업 프로세스, 디지 털 통합 공간 서비스 운영 인프라 관리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세부 프 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공간의 대구분을 인간 중심의 살기 좋은 국토공간인 인본공간, 유비쿼터스 기 반의 첨단 국토공간인 첨단공간, 융합 정보 기반 창조적 국토공간인 창조 공간으 로 구분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법제도 정비 및 정책지원 전 략, 디지털 통합 공간 모델 표준화 전략, 공간정보 기반 융합 콘텐츠 구상 전략, 기기(네트워크 포함)간 융합화 전략, 유비쿼터스 기능 구현 전략, 디지털 통합공 간 계획 부문별 추진 전략, 디지털 통합 공간 추진 체계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현재 유비쿼터스공간 실현의 시도는 u-City, u-IT 사업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해당 현실공간의 유비쿼터스공간의 필요성을 과학적으로 이끌어낸 후의 공간 실 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과학적 공간 계획에 입각한 유비쿼터스공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명제 및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이 기존 연구 및 사업과 개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참조

관련 문서

소득은 중산층으로 분류되면서 행복체감도는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인식이 있어 관련 지표를 개 발하고 있다.(조선일보.. 및 정책수립에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고양시의 고양, 일산공단 등 2개 무허가공장 입지지역에 대한 합리적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둘째, 필요한 경우 새로운 산업입지를 위한

11 APC 851490 Parts ofindustrial or laboratory electric furnaces and ovens other laboratory induction or dielectric heating equipment. Parts of

[r]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적 대응 방안으로 국제에너지기구에서는 온실가스 포집 및 전환(CCUS)기술 이 약 1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 따라서 한국은 이미 세계 IT산업의 강자로 부상한 대만 IT기업의 강·약점 분석을 통해 국내 주력산업의 잠식을 최소화하고, 대만과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는 방안을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는 은행의 부동산 PF보다 위험이 클 수 있는 바, 향후 저축은행은 시공사 신용을 바 탕으로 대출하던 기존의 PF 방식을 지양하고 프로젝트 자체의

요 약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에 대한 관련 연구의 고찰 및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간호대학 생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