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 료 대 응 방 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의 료 대 응 방 안"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의 료 대 응 방 안

2022. 7. 13.

중 앙 사 고 수 습 본 부

(2)

목 차

Ⅰ. 추진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지난 3년 간 대응 경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Ⅲ. 기본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Ⅳ.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의료대응 방안 · · · · · · · · · · · · · · · · · · · 5

1. 【

유증상자

】 동네 병‧의원 중심의 진료서비스 신속 제공 ··· 5

2. 【일반환자】 중증도별 맞춤형 치료 제공 ··· 6

3. 【

특수‧응급환자

】 충분한 병상확보 및 신속 대응체계 구축 ··· 8

4. 【

의료인력

】 현장대응 의료인력의 적시 투입 및 양성 ··· 9

5. 【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계층 대상 선제적 의료대응 ··· 1

0

(3)

Ⅰ. 추진배경

◈ 현재의 양상을 반영, 재유행 상황이 유동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의료체계 전반의 대응계획 마련

 확진자 증가세로의 전환 및 재유행 가능성

○ ’22.3월 오미크론 유행 정점 이후, 15주 만에 확진자 규모가 반등, 감염력 높은 변이 바이러스 유입‧국민의 면역력 감소 등이 우려되는 상황

*【재감염 추정비율】(6월1주) 1.22 →(6월3주) 2.66 → (6월5주) 2.87

○ 또한, 최근 일부 국가(남아공‧독일 등)에서 재유행을 견인한 오미크론 하위변이(B.A.5) 국내 확산*으로, 여름철 재유행 가능성 상승

*【비중】(국내) 6월2주 0.9%→7월1주 23.7%, (국외) 6월2주 23.1% → 6월5주 51.7%

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서 안정적인 의료대응 유지 중

○ 입원치료는 질환 중증도를 기준으로, 중증‧준중증‧중등증병상으로 구분·배정하여 안정적으로 환자 관리 중(총 5,703병상, 가동률 15.8%)

< 입원 치료병상 운영 현황(7.13일 기준) >

병상합계(가동률) 중증 병상 준-중증 병상 중등증 병상

보유 사용 % 가용 보유 사용 % 가용 보유 사용 % 가용

5,703(15.8%) 1,466 146 10.0 1,320 2,291 454 19.8 1,837 1,946 304 15.6 1,642

○ 무증상‧경증 환자는 재택치료체계로 관리 중으로, 증상이 있을 경우, 대면‧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이용하여 치료 가능

< 재택치료 관리 현황(7.13일 기준) >

유형 신규 관리현원 누적 이용자(’20.12~)

인원 수 39,420명 137,211명 17,385,438명

 감염력 높은 변이바이러스(BA.5) 특성을 감안, 의료대응 대비 필요

○ 과거 유행 시기와 비교할 때, 최근 확진자 증가 속도가 빠르며, 고령층의 비중은 여전히 높고, 비수도권 발생 비중이 증가

○ 우세종화가 예측되는 오미크론 하위변이(BA.5)는 기존 변이 대비 전파력이 강하고, 면역회피성이 높아 확산세가 가속화될 우려

(4)

Ⅱ. 지난 3년간 대응 경과

구분 ’20.7.13일(알파) ’21.7.13일(델타) ’22.7.13일(오미크론) 누적 확진자 13,479명 170,294명 18,602,109명(전국민 대비 36%)

신규 확진자 62명 1,150명 40,266명

PCR 검사 6,168명 139,997명 161,301명

백신

(접종률) -

1차 30.6%

2차 11.8%

1차 접종률 87.8%, 2차 접종률 87%

3차 접종률 65.1%,

4차 접종률 32%(60세 이상)

치료제 - - 28만명분 사용(78만명분 보유)

거리두기 ∘(교회) 정규예배 외

∘(스포츠) 관중 수 제한모임금지

∘(수도권) 5인 이상 집합금지 -식당‧카페 등 22시 영업제한

-유흥시설(5종) 집합금지 거리두기 해제(4.18)

병상 등 의료자원

∘(생활치료) 3038병상

∘(전담병상) 2,939병상

∘(중증병상) 127병상

∘(생활치료) 9097병상(74.8%)

∘(전담병상) 7639병상(54.5%)

∘(중증병상) 1,218병상(39.2%)

(생치) 116병상(13.8%)

(재택치료) 137,211명

(호흡기환자진료센터) 12,954개소

(전담병상) 1,946병상(15.6%)

(중증병상) 3,757병상(16%)

지역별 비중 수도권 : 비수도권 43.5% : 56.5%

수도권 : 비수도권 70.1% : 29.9%

수도권 : 비수도권 56.4% : 43.6%

연령별 비중 39세 이하 : 60세 이상 64.5% : 13.8%

39세 이하 : 60세 이상 60.3% : 6.5%

39세 이하 : 60세 이상 60.5% : 12.5%

위중증 비중 치명률 0.7% 중증화율 1.42%(60세 이상 6.88%) 중증화율 0.13%(60세 이상 0.71%)

< 최근 3개년 비교·분석 >

(5)

코로나19 대응 체계도

(6)

. 기본 방향

목표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해 코로나 환자를 신속‧안전하게 치료

대응 전략

v 진단부터 치료까지, 확진자 중증도별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v 일반의료체계에서 보호가 어려운 특수‧응급환자는 특별 관리 v 감염취약계층은 선제 예방에 집중, 확진자는 신속 치료

대응 방향

1.

[유증상자] 진단검사, 진료서비스 신속 제공

동네 병‧의원 중심 진단‧검사체계 운영해 진료 접근성 확보

▪ 진단‧검사 시행 의료기관을 지속 확충해 진료 편의성 제고

고위험군은 패스트트랙으로 별도 관리, 먹는 치료제는 처방 확대

2.

[일반환자] 중증도별 맞춤형 치료 제공

▪ [무증상‧경증] 가정에서도 안전한 재택치료체계 구축

▪ (재택‧병상연계) 확진자 급증 시 생활치료센터 운영

▪ (치료병상 운영) 병상배정 및 의료자원 운영 효율화

▪ (예비병상 확보) 재유행(20만) 등에 대비해 병상 재가동 준비

3.

[특수‧응급환자]

충분한 병상 확보 및 신속 대응체계 구축

▪ [특수치료] 상시 치료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병상확보 및 이송체계 구축

▪ (응급환자) 응급실 기능 유지하면서, 24시간 이송‧진료 대응

4.

[의료인력] 현장대응 의료인력의 적시 투입 및 양성

▪ [인력지원] 코로나19 대응 현장 의료인력 투입

▪ [인력양성]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

5.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계층 대상 선제적 의료대응

▪ [예방‧검사] 선제검사 실시 등 외부 감염요인 차단

▪ [신속치료] 확진자 대상 신속한 의료지원 조치

▪ [대응역량 강화] 감염병 대응체계 정비 및 종사자 교육 강화

기반 코로나19 재유행 대응 경험과 선제적 의료인프라 확충

(7)

.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의료대응 방안

1

【유증상자】진단‧검사, 진료서비스 신속 제공

◈ (진단검사) 유증상 시 보건소 외에 동네병의원을 이용한 코로나19 검사

◈ (진료·약처방) 원스톱진료기관에서 검사·처방 등 제공, 고위험군은 신속트랙 이용

 동네 병‧의원 중심 진단‧검사체계 운영으로 진료 접근성 확보

○ (동네 병‧의원 검사) 동네 병‧의원 등 지역 의료기관 중심으로 진단‧검사체계를 운영하여, 유증상자의 진료 접근성 향상

- 보건소(선별진료소) 등 공공검사체계는 고위험군* 진단‧검사 집중

* 60세 이상, 해외입국자 등 역학적 연관자 대상으로 무료 PCR검사 실시

○ (신속항원검사 인정) 유증상자가 검사결과 바로 확인 및 처방을 받도록, 동네 병의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확진 인정 지속

 진단‧검사 가능 의료기관을 확충해 진료 편의성 제고

○ (임시선별진료소) 재유행 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에 맞추어 지자체별 선별검사소 확충 및 필요 인력‧장비 등 점검‧지원

○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유증상자가 검사‧진료를 받는 지정의료기관 명칭을 호흡기환자진료센터로 일원화*(7.1~)하고, 향후 지속 확충

* 호흡기전담클리닉,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전화상담 병‧의원

○ (원스톱진료기관)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중 검사‧진료‧치료제 처방까지 한번에 가능한 ‘원스톱진료기관’을 지속 확대(1만개소, 7월 말)

* 호흡기환자진료센터 12,954개소, 이 중 원스톱 진료기관 6,353개소(7.13)

 고위험군은 패스트트랙으로 별도 관리, 먹는 치료제는 처방 확대

○ (패스트트랙 관리) 중증화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60세 이상 등)은 진료 당일에 치료제 처방까지 이행하고, 필요 시 신속 입원 연계

○ (먹는치료제 처방) 재유행에 대비해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고, 처방 가능 기관을 확대하여 고위험군이 신속하게 복용토록 지원

(8)

2

【일반환자】중증도별 맞춤형 치료 제공

◈ (무증상‧경증) 재택치료 중심 관리, 필요 시 일반 의료기관 이용 치료

◈ (위중증) 정부에서 지정한 중증, 준‧중증 치료병상에서 입원 치료

 (무증상·경증) 가정에서도 안전한 재택치료체계 구축

○ (재택치료) 증상 발현 시 대면진료를 통해 조기치료하고, 야간‧

응급 상황에도 24시간 대응 가능한 재택치료체계 구축

- (대면진료) 재택 격리 중 증상이 있을 경우, 원스톱진료기관에 방문해 신속히 진료받고, 필요 시 치료제를 활용하도록 안내

- (24시간 대응) 재택치료 대상자가 24시간 전화 문의가 가능한 의료 상담센터(206개, 7.12) 및 행정안내센터(212개, 7.12) 지속 운영

* 고위험군 환자는 응급‧24시간 대응체계 통해 신속히 입원하도록 상시 협조체계 구축 (호흡기환자진료센터, 보건소, 재택치료추진단, 시·도119 간 상황 공유)

의료기관 구분 개소수 호흡기 환자진료

코로나19 진단검사

먹는치료제 처방

확진자 진료

대면 비대면

합 계 12,954 11,808 11,062 7,402 9,524 9,507

원스톱진료기관 外 6,601 5,455 4,709 1,049 3,171 5,068

원스톱진료기관 6,353

< 코로나19 진료 의료기관 현황(7.13일 기준) >

- (신속치료 유도) 진료 인프라와 먹는 치료제 처방 확대 등에 따라, 증상이 있으면 신속히 대면진료받도록, 집중/일반관리군* 구분 폐지(8.1~)

* (그간 60세 이상 확진자 배정) 동네병의원 검사(RAT) 결과 확진자는 일반 관리군으로, 보건소 검사(PCR) 결과 확진자는 집중관리군으로 배정

∘집중관리군은 1일 1회 유선 모니터링 실시하나, 치료제 투약 등 적정 치료시기를 놓쳐 중증으로 악화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동네 병‧의원에서 대면 조기 치료 중요(’22.4)

∘병이 나면 의사를 만나는 기본원칙을 지키고, 조기진단·조기치료 등으로 이어지는 패스트트랙 등 제도 정비 필요(’22.7)

< 대면진료 관련 전문가 주요의견 >

(9)

 (재택·병상연계) 확진자 급증 시 생활치료센터 운영

○ (자가격리 곤란 환자) 무증상‧경증은 재택치료 이용*이 원칙이나, 자가격리 곤란 사유 시 입소 가능한 생활치료센터 운영 추진

* 재택치료가 어려운 해외입국 외국인 전용 생활치료센터 1개소 운영 중(인천 ORA호텔)

○ (단계적 가동) 확진자 10만명 이상 시 유행지역 센터 개소, 20만명 이상 시 치료병상 부담(병상가동률) 등을 고려해 가동명령 개시

○ (예비시설 준비) 재유행 대비 시‧도별 1개소(서울·경기·인천 2개소) 등 거점 단위에서 즉시 생활치료센터 설치(총 21개소)하도록 예비시설 준비

* 7.13일 기준 16개 시‧도에서 16개소 3,340병상 예비시설 확보 완료

 (치료병상 운영) 병상배정 및 입원병상 운영 효율화

○ (권역별 병상 공동활용) 전국 7개 권역별* 공동대응상황실 운영을 통해 유휴병상을 공동 활용하여 꼭 필요한 환자에 병상배정

*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 호남권(광주・전북・전남), 경북권(대구・경북), 경남권(부산・울산・경남), 강원권, 제주권

○ (병원 간 병상조정) 중소병원 중심인 거점병원 병상수를 일부 조정 하여, 위중증 치료역량이 높은 3차 의료기관의 병상을 확보

○ (재원관리 강화) 병원 자체수용* 환자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중환자실 입원 필요환자에게 중증병상이 배정되도록 재원 적정성 평가

* 공적 배정절차 없이, 환자가 직접 외래진료‧응급실 통해 병원 방문하여 입원

 (예비병상 확보) 재유행(20만) 등에 대비해 병상 재가동 준비

○ (보유수준 진단) 現 확보병상으로 일 확진자 14.6만명까지 대응 가능 - 확진자 20만 가정 시, 총 1,411병상(중증 435, 준중증 970) 재가동 필요

○ (병상 재가동계획) 과거 코로나 전담병상 운영경험이 있는 의료 기관 대상으로, 유사 시 병상 비우기를 통해 추가 병상 확보

- (사전 현장점검) 7월 중 중증병상 운영 의료기관 중심으로, 재유행에 대비한 병원 재가동 준비 실태 및 인력‧장비 현황 점검 실시

(10)

∘(점검대상) 지정해제 위중증(중증+준중증) 병상 및 현재 확보중인 위중증 병상

∘(점검기간) ‘22.7.12.(화) ~ ‘22.7.15.(금) / (점검) 중수본 및 지자체 담당자 등

∘(점검내용) 병상 가용여력 및 재가동 준비 실태, 인력·장비 현황 점검

< 위중증병상 재가동 준비상황 확인 등 현장점검계획 >

- (가동계획 수립) 현장점검 결과를 반영해, 코로나 전담병상 재지정 목록을 마련(7월 말)하고, 유사시 지정 치료병상 재가동 명령 개시

* 일 10만명 확진자 발생 즉시, 1,000병상 우선 재가동 명령 사전 발동

3

【특수‧응급환자】충분한 병상 확보 및 신속 대응체계 구축

◈ (특수치료) 일반의료체계에서 치료가 어려운 투석·분만·소아환자 보호

◈ (응급환자) 응급실 병상 확보 및 24시간 이송‧진료 대응체계 구축

(특수치료) 상시 치료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병상확보 및 이송체계 구축

○ (병상확보‧수가지원) 기존 특수치료병상 外 음압병상을 추가 확보하고, 상시 치료수요에 즉각 대응하도록 진료 인프라 유지 및 수가 지원 - (투석) 외래진료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별 외래투석센터 관리

및 가산수가(기존 수가 대비 +200%) 지급해 진료 인프라 확보

- (분만) 권역별(수도권, 호남권, 경상권) 분만특화 거점전담병원 운영 및 가산수가(기존 수가 대비 +300%) 지급을 통해 일반병상 확보 - (소아) 소아전담병상 지정‧운영 및 중증도에 따른 소아 응급상황 대응

○ (이송‧입원연계) 특수환자의 적시진료를 위한 신속 입원연계체계 마련 - (핫라인 운영) 구급대-응급실-입원병동-병상배정반 간 연락망을

상시 운영하여, 특수 응급환자의 신속 이송‧입원 연계

* 특수 응급환자의 경우, 공적 병상배정 절차 없이 자체입원이 가능하도록 기준 안내

(응급환자) 응급실 기능 유지하면서, 24시간 이송‧진료 대응

○ (24시간 대응) 재유행 시에도 응급실 기능 중단 없이, 코로나·非코로나 응급환자 모두 24시간 이송·진료가 가능하도록 대응체계 구축

(11)

- 응급실 병상현황을 구급대가 실시간 활용*하도록 시스템 개선, 일반격리실·코호트격리구역 등에 확진자 수용 가능토록 지침 개정(7월)

* 응급자원정보시스템에서 가용가능한 병상을 종합상황판에 실시간 반영

< 응급실 종합상황판(구급대원 이용화면) >

○ (응급상황실 비상운영)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코로나 응급환자 전원 업무지원을 위한 지역상황실 운영지침 마련(7월) 및 필요시 가동 - 지자체는 시‧도 단위 응급대응협의체*를 구성해 확진자 이송‧

응급실 진료‧입원(자율입원·병상배정)간 신속 대응체계 마련

* 시‧도 단위 소방본부, 응급의료부서, 병상배정반, 재택치료관리반 간 협의체 운영

4

【의료인력】현장대응 의료인력의 적시 투입 및 양성

◈ (인력지원) 재유행 시 즉시 파견가능토록 대기인력 및 공보의 등 배치 방안 마련

◈ (양성·관리) 현장에서 중요한 중환자 전담인력 사전 양성 및 자체 채용 장려

 (인력지원) 코로나19 대응 현장 의료인력 투입

○ (인력계획 점검) 코로나 병상 운영 병원의 자체인력 현황 점검 - 현재 병상가동률이 낮아 타 병동에 인력을 전환 배치하거나, 자체

인력 확보가 미흡한 의료기관 대상 점검 및 인력확보 독려

○ (대기인력 활용) 파견신청자 약 1만명(7.13일 기준)*이 대기 중으로, 확진자 수 증가로 인한 현장의 인력 수요에 즉각 대응

* 간호사(7,969명), 임상병리사(828명), 간호조무사(551명), 의사(40명) 등

(12)

○ (공보의·군의관 투입) 공중보건의사* 차출대상을 확대하여 우선 지원하고, 추가적인 인력 필요시 국방부 협조를 통해 군의관 배치

* 보건지소 배치인력(의과) : 1,140명, 현재 병상배정차출 : 14명

⚪ 병원, 선별진료소 등 코로나19 환자치료 현장의 긴급상황 대응을 위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력의 단기파견 지원

* 병원(54.5%), 임시선별검사소(13.3%), 생활치료센터(12.7%) 등, 간호사(48.9%), 의사(25.9%), 임상병리사(8.9%), 간호조무사(8.8%) 등

⚪ ’20년 1월부터 총 24,659명 지원(7.6일 기준), 오미크론 정점기(’22.3월) 최대 4,790명 지원 후, 확진자 규모를 감안해 감소 운영 중

* (월평균인원) (’21.1) 2,070명 → (’21.9) 2,861명 → (’22.3) 4,564명 → (’22.6) 296명

< 의료진 현장 지원 현황 >

 (인력양성) 중환자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

○ (전담간호사 양성) 중증환자 전담간호사 양성사업으로 교육 중인 430명(~’22.10월)을 개인별 2~6주 교육완료 즉시 중환자실 배치

* 연도별 교육 수료자 수 : ’20년 620명, ’21년 320명, ’22년 목표 430명

○ (의료기관 인력관리) 파견인력(의사‧간호사)의 기간 종료(2개월 이상) 후 의료기관 채용 시 인건비를 지원하여, 자체 채용 유도

5

【요양병원‧시설 등*】감염취약계층 대상 선제적 의료대응

※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 (예방‧검사) 종사자‧신규입소자 선제검사 실시로 외부 감염요인 차단

◈ (치료) 무증상‧경증은 시설 내 즉시 치료지원 , 중증은 거점전담병원 병상 우선 배정

(예방‧검사) 선제검사 실시 등 외부 감염요인 차단

○ (종사자 선제검사) 요양병원‧시설 종사자 대상 선제검사 실시 중 으로, 향후 재유행 규모 고려해 검사주기 단축 시행

* (現) 주1회 PCR검사 실시(4차접종자 제외) → (10만) 주1회 PCR + 주1회 RAT 검사 실시(전체)

○ (입소자 선제검사) 요양병원‧시설 신규 입소자의 경우, 입소 시 PCR검사 시행 중으로, 재유행 시 검사 추가실시 및 별도격리 실시

(13)

○ (방역수칙 조정) 재유행 시, 입소자 대면 면회 및 외출‧외박을 제한하는 등 감염 전파 차단을 위해 방역수칙 강화

* (現) 접촉면회, 외출‧외박허용 → (재유행) 비접촉 면회, 외출‧외박 제한 허용(외래진료)

 (신속치료) 확진자 대상 신속한 의료지원 조치

○ (원내 치료지원) 집단감염 발생 즉시 먹는 치료제 및 방역물품을 신속하게 지원하여 기관 내 치료, 경증환자의 위중증화 방지

○ (병상 우선 배정) 중증화 가능성 높은 고위험군 확진자는 전담 병원을 활용해 치료 병상을 우선 배정하도록 조치

○ (의료기동전담반) 의사가 상주하지 않는 요양시설 내 확진자의 진료를 위한 ‘의료기동전담반’ 운영상황 점검, 필요시 지원 연장 - 전문 의료진의 신속한 진료를 통해 먹는 치료제 등 처방

< 의료기동 전담반 운영 현황(7.11 기준) >

∘(지원내용) 코로나 진료경험이 많은 의료팀(의사1‧간호사1명 이상)이 요양시설에 방문하여 코로나 및 非코로나 질환에 대해 대면진료 실시 중(4.5~)

∘(지원현황) 16개 시‧도(세종 제외) 150개 기관에서 196개 팀 운영 중*

* 1,810명 진료‧129명 입원, 1,573건 처치(먹는 치료제 처방 265건)

 (대응역량 강화) 감염병 대응체계 정비 및 종사자 교육 강화

○ (전담병원 확대) 확진자 급증 시, 전담요양병원‧전담정신병원을 신속하게 재지정‧확대하여 의료대응 역량 강화

○ (지자체 전담관리)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지자체 1:1 전담관리* 로 방역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필요시 현장점검 및 조치 시행

* 병원·시설과 지자체 공무원을 매칭하여 유증상 점검, 선제검사 실적 등 모니터링

○ (종사자 교육 강화) 종사자 감염관리 강의 및 현장교육* 시행, 지자체별 대응훈련 실시 적극 권장(질병관리청)

* 요양‧정신시설 종사자, 요양병원 간병인 대상 감염관리 교육 진행(6.29~8월)

현장 미비사례

조치사항

∘입소자 마스크 미착용

∘방역수칙‧비상연락망 현행화 미실시

∘면회‧보호장구 착용 등 독립공간 미확보

∘환기시설(공조시설‧창문) 미비

∘감염관리위원회‧감염관리실 미설치

∘(현장조치) 마스크 착용 지도, 방역수칙·비상 연락망 현행화 조치

∘(사후관리) 독립공간·환기시설 등 즉시 설치가 곤란한 사안은 지자체 사후관리 중

< 현장점검(중수본-지자체 6.29~7.14) 시 미비사례 및 조치사항 >

참조

관련 문서

뛰어난 궁술 실력을 지닌 로빈 후드(러셀 크로)는 리처드 왕의 용병으로 프랑스 전투 에서 대활약을 펼친다.. 존 왕의 최측근인 고프리(마크

④ 종합편성 또는 보도에 관한 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사 업자는 방송프로그램제작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취재 및 제작 종사자의 의견을 들어

치바현 농업시험장은 수목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검역 대 응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토양 선충처리 약제 시험을 진행하는데, 유럽으로 수출하 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Fresh snow cover at each station by the time series on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0UTC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9UTC 28 Dec. Wind rose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영어․수학 교과에 있어서는 해당 단 계의 학습목표에 대한 일정 성취 기준을 고려하여 차상급 단계의 진급을 위 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국내외 가스전문가들은 이번에 발표된 장기 가스부문 발전계획(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Gazprom은 그동안

김정희(1999)의 초등학생의 월경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에 의하면 월경경험 유 형은 4가지로 분류된다.제 1유형은 ‘ 개방형’ 으로 월경은 여성으로서 중요하고

이러 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UN 기후정상회의, IPCC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 응 방안 논의 확산과 생존을 위한 지구인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