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21년 8월 석사학위 논문

BSC기반의 축제평가 연구

-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를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신 수 진

[UCI]I804:24011-200000490953

[UCI]I804:24011-200000490953

[UCI]I804:24011-200000490953

(3)

BSC기반의 축제평가 연구

-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를 중심으로 -

BSC-based Festival Evaluation Study

- Focusing on the Yellow Flower Festival in Jangseong Hwangryong River -

2021년 8월 27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신 수 진

(4)

BSC기반의 축제평가 연구

-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를 중심으로 -

지도교수 이 승 권

이 논문을 문화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4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신 수 진

(5)

신수진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부교수 송 선 기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이 승 권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허 유 성 (인)

2021년 5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 ⅰ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범위 ··· 3

제3절 연구방법 ··· 4

제2장 이론적 고찰 ··· 5

제1절 축제 개념 및 유형 ··· 5

1. 축제 개념 ··· 5

2. 축제 유형 ··· 6

제2절 축제평가 ··· 9

1. 평가의 일반적 개념 ··· 9

2. 평가의 유형에 따른 구분 ··· 10

3. 축제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 11

4. 축제평가의 유형 ··· 12

5. 축제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 13

제3절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평가 현황 ··· 17

제4절 축제평가에서의 BSC 도입의 필요성 ··· 20

1. BSC 개념 ··· 20

2. BSC 관점 ··· 21

3. BSC 도입의 의의와 효율성 제고 ··· 24

4. 축제평가를 위한 BSC적용의 선행연구 ··· 26

가. 성과관점 ··· 26

나. 방문객 관점 ··· 28

(7)

다. 내부프로세스 관점 ··· 30

라. 학습과 성장관점 ··· 31

제3장 연구방법 ··· 34

제1절 연구모형 ··· 34

제2절 조사설계 ··· 36

1. 표본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 36

2. 측정도구 ··· 37

가. 축제의 성과관점 ··· 37

나. 축제의 방문객 관점 ··· 38

다. 축제의 내부프로세스 관점 ··· 39

라. 축제의 학습과 성장관점 ··· 40

제4장 분석결과 ··· 43

제1절 성과관점 ··· 43

제2절 방문객 관점 ··· 44

제3절 내부프로세스 관점 ··· 46

제4절 학습과 성장관점 ··· 47

제5장 결론 ··· 49

[참고문헌] ··· 53

[부 록] ··· 58

(8)

표 목 차

표 2-1 축제 유형에 따른 분류 ··· 8

표 2-2 평가의 유형분류 ··· 11

표 2-3 축제평가 선행연구 ··· 16

표 2-4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체험 및 기타프로그램 만족도 ··· 17

표 2-5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방문객 종합만족도 ··· 18

표 2-6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자체평가 결과 요약 ··· 18

표 2-7 축제분야의 BSC평가 관점 ··· 25

표 2-8 선행연구의 성과관점 지표 ··· 27

표 2-9 선행연구의 방문객관점 지표(1) ··· 29

표 2-10 선행연구의 방문객관점 지표(2) ··· 29

표 2-11 선행연구의 내부프로세스 관점 지표 ··· 31

표 2-12 선행연구의 학습과 성장관점 지표 ··· 33

표 3-1 성과지표 측정항목 ··· 35

표 3-2 인구통계적 특성 분석 결과 ··· 37

표 3-3 측정항목 구성 (1) ··· 41

표 3-4 측정항목 구성 (2) ··· 42

표 4-1 성과관점에 따른 기술통계 및 집단간 차이분석 ··· 44

표 4-2 방문객 관점에 따른 기술통계 및 집단간 차이분석 ··· 45

표 4-3 내부프로세스 관점에 따른 기술통계 및 집단간 차이분석 ··· 46

그 림 목 차

그림 2-1 BSC의 구성체계 ··· 22

그림 2-2 축제분야의 BSC평가 관점 ··· 25

그림 3-1 BSC를 이용한 축제평가 모형 ··· 34

(9)

ABSTRACT

BSC-based Festival Evaluation Study

- Focusing on the Yellow Flower Festival in Jangseong Hwangryong River -

Shin SooJin

Advisor : Prof. LEE Seungkwon, Ph.D.

Department of Cultu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urge in local festivals in the short term, resulting in problems with the maintenance and continuation of the festival.

For a festival to continue developing without its nature being damaged, an objective and efficient evalu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entire process of the festival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ases where those tools were used and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the BSC (Balanced Scoreca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m. BSC consists of four perspectives: finance, customer,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These four perspectives are not independent and closely interrelated, so it is helpful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In order to apply the BSC to the festival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financial perspective was replaced with a 'performanc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regional economic effects and

(10)

socio-cultural benefits. In addition, as the festival should give high satisfaction to visitors, so the customer point of view was replaced with the visitor point of view, and the internal process point of view was applied as it is since the festival organization maintains processes such as planning and operation, just like general companies. Lastly,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as applied as the same because learning for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for regional festivals.

As a result, first, while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 was limited to the quality of the festival,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visitor survey, festival evaluation using BSC expanded the scope with four perspectives on the festival. Second, the four factors of the festival - performance perspective, visitor perspective,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 evaluation results, but can maintain a balance between each other and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in many ways by identifying organic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m. Third, the evaluation point is not limi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ut with the future perspective, the festival can be evaluated comprehensively through the potential of growths and prediction.

However, even if the merits of the BSC are fully utilized and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the festival, it is difficult to expect any positive effect unless the festival's unique motiv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account within the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estival evaluation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festival itself, and for this purpose, the festival itself must be accurately defined and analyzed.

Festival evaluation using BSC has not yet been fully introduced in domestic festival evaluation. However, if the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festival itself can be made in the future, then a new alternative to solve the remaining tasks left by prior researches related to the existing festival evaluation can be suggested.

(11)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대도시 및 중소도시 등을 막론하 고 많은 축제가 개최되었다. 전국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2016년 693개, 2017년 733개, 2018년 886개, 2019년 884개로 조사되었으며, 작은 행사 및 소규모 축 제까지 포함하면 약 6만여 건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축제 개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축제는 지역 관광의 활성화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지역사회의 관광산업을 견인하고, 지역 내 부가가치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문화와 지역경제 발전 의 촉진제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축제의 수가 단기간에 급증하면서 비슷한 양상의 문제점들이 드러 났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과열 경쟁으로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하고 공공재원에만 의존하는 ‘관 주도형’의 보여주기식 축제가 비일비재하다.

둘째, 시기, 소재, 프로그램 내용 및 컨셉 등의 중복으로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이 발생하거나, 셋째, 예산 부족 또는 단체장의 교체로 인해 이유 없이 축제가 폐지되는 등 지속성이 결여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문화체육 관광부, 2019).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체계를 도입하고 그 평가결 과를 바탕으로, 정부나 각 지방자치단체가 사회 및 공익적 목적과 경제, 산업 적 측면에서의 성장을 견인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축제를 육성하고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하는 축제평가가 전국 지역축제 의 전반을 평가하는 체계로 운영되어 와서(류정아, 2007), 각 자치단체에서 개 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축제들의 평가지표로 활용하기에는,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과 특수성이 가지는 가치의 평가 측면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 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지역축제 평가 및 지원체계 연구, 2007). 또, 기존의

(12)

축제평가는 참가자의 동기나 경험, 서비스 지각 및 방문객 만족도와 지역의 경제적인 효과 위주의 평가방식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축제를 기획하고 관리 하는 주최자의 평가는 미흡할 수밖에 없고, 축제의 전 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가 진행되어야 함에도(김철원·이석호, 2001)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즉, 지금까지의 축제평가는 성과 혹은 목표지향 적인 일련의 분석과정으로만 파악되어왔으며, 사업의 결정 과정이나 집행과 정에서의 가치판단을 유보한 채 단순히 결과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수단으 로 활용되어 온 것이다.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종합하였을 때, 기존의 축제평가가 가지고 있는 획 일적이고 단편적인 평가체계에서 벗어나 축제의 전반적인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에 본 연구는 기존의 지역축제 평가에 대한 실효성 문제의 대안으로써, 기업과 산업 및 공공분야에서 경영성과의 평가도구로 개발된 BSC 평가체계를 적용하 여 실제 사례를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축제의 성과결과를 분석하고, 군민과 공무원간의 인식 차이를 통해 평가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13)

제2절 연구범위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범위를 공간적 범위와 내용적 범 위로 구분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한 공간적 범위로는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를 대상으로 하였다. 노란꽃잔치는 2015년 장성공원에서 시작하여 2016년 황 룡강 노란꽃잔치로 개명하고 옐로우시티 도시브랜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황 룡강 르네상스 사업대상지인 황룡강변에서 개최되었다. 노란꽃잔치는 장성군 을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1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대규모 축제로 발전하였 으며, 옐로우시티 장성을 홍보하는 주역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란꽃잔치를 대상으로 BSC 평가지표인 성과관점, 내부프 로세스 관점, 방문객 관점, 성장관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검증을 위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논문의 전체 내용을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필요성 및 목적과 연구 범위 및 연구방법을 제 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축제와 축제평가, 축제평가의 한계, BSC 도입의 필요성과 개념 정리를 위해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본 연구 에서 활용할 BSC 평가척도의 도입과 적용에 대한 타당성의 논리적 근거는 이를 적용하여 평가한 선행연구의 고찰과 검토를 통해 확보하였다.

제3장은 연구방법을 살펴본 단계로,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및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활용한 BSC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연구결과에 관한 내용으로, BSC의 4가지 평가관점에 따른 분석결 과를 기술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14)

제3절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 적 연구에서는 축제와 축제평가, BSC 균형성과평가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고찰과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와 관 련된 문헌연구는 국내·외의 단행본, 연구논문, 정기간행물 등을 수집하고 정 리하였다.

Kaplan & Norton(1992)이 제시한 BSC 균형성과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성과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방문객 관점, 성장관점별로 축제평가지표 를 설계하였으며, 각 관점별로 도출된 평가 결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과 정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요인인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를 대상으로 축제를 충분히 인지 하고 있는 장성군민과 축제 관련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5 월까지 약 한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표본의 일반적 특 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과 선행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BSC 균형성과평가의

‘성과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방문객 관점, 성장관점’별 항목을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인구 통계적 특성을 묻는 항목과 인터뷰조사를 실시한 서술형의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방법은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고, 통계처리는 데이 터 코딩(data coding) 과정을 거쳐,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부항 목별 빈도분석을 진행하였고, 장성군 공무원과 장성군민의 인식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4가지 관점의 세부 항목별로 차이분석(t-test) 등을 진행하였다.

(15)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축제의 개념 및 유형

1. 축제 개념

축제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사건, 종교 및 시대에 따른 트렌드 등이 반영 되어 어느 지역,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는 보편적인 사회문화적 현상이다(이 훈, 2006). 축제를 뜻하는 ‘festivalis’라는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축제의 기원이 종교의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옛 문헌에서 축제를 의미하는 단어를 쉽게 찾기는 어려우나 비슷한 의미로 제의 (祭儀), 제전(祭典), 혹은 축전(祝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왔는데, 이는 우리 나라의 축제 기원 또한 제천의식과 같은 종교적 의례에서 출발했음을 의미하 며, 추모제·산신제·서낭제·별신제·장승제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나 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 내용은 풍요와 안녕을 기원한다(이태희, 2011).

현대사회로 들어오면서 축제는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서 다의적이고 다기 능적인 복합적 요소를 지니게 된다. 과거의 축제가 지역공동체의 단합과 제 의적(祭儀的) 성격이 강조되었다면, 오늘날의 축제는 산업,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지역홍보 등에 이르는 종합적인 문화 활동으로 부각되고 있다(유승우·

박경철, 2004). 또 축제는 지역의 관광과 경제를 활성화하는 대표적인 수단이 자 지역의 이미지 개선과 고용 창출 등의 연관 산업의 파급효과를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한국정보경영평가, 2019)이다. 또 지역이 보유한 고유문화를 국내·외에 알리는 기능을 하며 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정체성을 확립시 켜 대외에 홍보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기능을 수행한다(방기영 외 3인, 2016).

(16)

특히, 4차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 신도시 와의 격차가 발생하면서 낙후되거나 쇠퇴한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축제는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측면에서 구도심의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수단과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최명이, 2020). 이처럼 축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관광의 여건 조성, 전통문화의 보존과 지역주민의 단합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끊임없이 발전 하고 있다(안경모·이광우, 2005).

2. 축제 유형

축제는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문화적·환경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 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단순히 몇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거나 정의할 수 없 으며, 특히 현대적 의미의 축제는 도시의 산업화와 기술의 발전 등 여러 요 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다양한 축제의 유형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대적인 트렌드에 알맞은 방식으로 축제 의 차별화된 특징과 성격을 지속적으로 탐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박미숙(2004)이 제시한 축제의 유형은 1) 축제의 지향성, 2) 축제 운영방식, 3) 축제 개최목적, 4) 축제 소재의 4가지 대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세부 유형을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를 지향성에 따라 분류하면, 축제는 개최목적과 목표 대상에 따 라 지역민의 애향심과 공동체 의식 함양 등을 목적으로 한 내부지향형 축제, 관광객을 유치하여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외부지향형 축제, 내부 지향과 외부지향 모두를 목적으로 하는 쌍방향 축제로 구분한다(한국문화관 광연구원, 2007). 또 축제의 소재나 프로그램 형식에 따라 내향형 전통축제와 내향형 현대축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외부지향형 축제 또한 외향형 전통축 제와 외향형 현대축제로 구분할 수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17)

둘째, 축제를 기획 및 운영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 체가 주도하는 관 중심형 축제, 민간이 주도하는 민간중심형 축제, 지역주민 이 주도하는 주민중심형 축제, 전문대행사에 위탁하여 진행되는 대행사중심 형 축제 및 지역사회(지역주민, 지방자치단체, 대행사 등)가 함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운영하는 네트워크 중심형 축제로 구분할 수 있다(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07).

셋째, 축제를 개최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주민화합형, 산업형, 특수목적형, 교육형, 문화복지형, 관광유도형, 전통계승형, 경연경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박미숙, 2004). 주민화합축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시민 또는 군민의 날과 같은 형태의 축제이며, 산업축제는 지역의 특산물 또는 농림축 산업, 어업, 상업 등 지역산업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축제이다. 특수목적형 축제는 지역의 역사적 인물이나 사실을 추모하기 위한 축제이며, 이 외에도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문화복지형 축제, 지역의 관광홍보를 위한 관광유도형 축제, 지역의 전통을 위한 전통계승형 축제, 체육대회, 경연대회 등 겨루기 중심의 경연경기형 축제가 있다.

넷째, 축제를 특성 및 소재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분류단위가 지나치게 많아 분류체계를 명확히 구분하여 작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생태자연축제, 문화예술축제, 전통문화축제, 지 역특산물축제, 경연·산업축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18)

[표 2-1] 축제의 유형에 따른 분류

자료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지역축제평가 및 지원체계연구, pp.12-16 참조 후 재정리 자료 :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형 축제발전 및 체계적 지원방안 연구, pp.28-36 참조 후 재정리

(19)

제2절 축제평가

1. 평가의 일반적 개념

평가는 정책평가, 사업평가, 프로그램 평가 등 여러 종류의 판단에 적용할 수 있으며(류광훈·심원섭, 2001), 사업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측정 (measurement)으로 규정하고(Suvedi, M, 1999), 수용이 가능한 기준과 부합하 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증거를 수집하여 어떤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가치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하는 것(Andrew, M & werner, W, 1998)이다.

평가의 개념 규정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가진다. 첫째, 평가는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통해 평가대상을 신뢰성과 타당성을 고려하여 측정하고, 이와 함 께 유용성(utility)도 함께 고려한다. 둘째, 평가는 정책과 업무과정의 일부분으 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과정에서 환류(feedback)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 평 가의 유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평가와 관련된 과학적 지식과 함께 평가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정책 및 공공기관과 기업의 경영실적에 대한 평가 등 사회과학 전 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를 활용하고 있다(대구경북연구원, 2007). 특히 평가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정책이나 사업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필요한 정 보를 제공하며, 평가의 결과로 제시되는 업무와 정책의 집행수단 및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업무수행과 정책집행, 경영실적 등에 관한 전 과정에서 매 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예를 들면, 단계, 집행단계, 성과단계의 3가지 단계별 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모든 주요정책과제에 관한 공통기준을 적용하고, 단계별 로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구체적인 평가를 시행한다(류광훈·심원섭, 2001). 공공기관에 관한 평가의 사례를 살펴보면 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실적 평가는 경영전략 및 리더십, 사회적 가치 구현, 조직·인사·재무관리, 보수 및 복리후생 관리, 혁신과 소통, 공공기관의 계량지표 구성의 적정성 및 도전성과 주요사업별 성과관리의 적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기획재정부, 2020).

(20)

2. 평가의 유형에 따른 구분

대체적으로 평가의 유형은 평가주체, 시기, 평가수준, 목적 등에 따라 구 분할 수 있다(한표환·박희정, 1999). 평가를 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사업을 직 접 추진하는 주체가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자체평가와 사업의 집행에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에서 수행하는 내부평가, 사업의 결정과 집행의 담당기관이 아닌 대학, 평가관련 기관, 연구기관 등 제3자인 외부기관에서 수행하는 외부 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평가를 시기에 따라 분류하면 정책사업이 진행되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사 전적 평가, 과정평가, 사후평가로 구분할 수 있고(양지청, 1993), 이러한 평가유 형은 일명 총괄평가라고 한다. 사전평가는 정책이나 사업이 집행되기 전 그 수 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타당성을 분석하는 평가로 사업의 입안단계로 이루어 진다. 과정평가는 정책이나 사업의 집행과정에서 산출된 사업의 목표와 효과 간에 관계를 분석하여 사업내용의 수정이나 중단, 축소, 유지, 확대 여부를 결 정한다. 마지막으로 사후평가는 정책사업의 집행 이후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와 가치, 결함을 평가함으로써 정책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데 활용된다.

평가를 평가수준에 따라 분류하면 과정평가, 산출평가, 영향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Sanderson, 1998). 과정평가는 결과물이 도출되는 집행과정을 평가하 며, 주로 정책사업의 설계 및 집행과정에서 제공되는 조직체계나 조직운영의 효과성 등 조직역량을 평가한다. 산출평가는 정책사업을 추진하면서 실질적 으로 이루어낸 목표와 결과에 대한 성과측정을 토대로 효과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영향평가는 단순히 기술된 사업목표의 성취정도를 떠나 국가 및 지역사회의 후생이 어느 정도 증진되었는가를 평가한다.

이 외에도 평가의 목적에 따라 총괄평가와 과정평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총괄평가는 특정 정책이나 사업의 전반적인 성공 및 실패여부에 관해 결정을 내리는 평가이며, 과정평가는 정책이나 사업의 집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계획, 절차, 투입, 활동 등을 분석하고 정책의 효과 혹은 부작용이 발생한 경로를 밝혀내어 총괄평가를 보조한다.

(21)

[표 2-2] 평가의 유형분류

3. 축제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축제평가란 축제 개최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Gets(1997)는 축제를 평가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평가대상이 지닌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하기 위해 둘째, 관리 개선사항을 발 견하기 위해 셋째, 이벤트나 프로그램의 가치를 결정하기 위해 넷째, 축제의 성공과 실패를 측정하기 위해 다섯째, 비용과 편익을 판단하기 위해 여섯째, 축제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고 파악하기 위해 일곱째, 후원자와 관계 당국을

(22)

만족시키기 위해 여덟째, 축제 스폰서 및 관계 당국의 승인, 신뢰, 지원을 얻 기 위함 등을 들 수 있다(Gets, 1997).

축제평가는 축제 개최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축제가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환경적·문화적 산업으로의 전환이 양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시점 에서 축제에 새로운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지역축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축제평가는 축제의 목 적과 지향점이 축제의 내용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채 외형적인 규모만 증대 하고 있는 실정에서 축제의 목적과 내용의 조화를 유도해주는 역할을 수행하 며, 지나친 공적자금 지원에 따른 축제의 낮은 수준의 재정자립도를 개선하 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4. 축제평가의 유형

지역축제 평가는 평가 범주에 따라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과정평 가(process evaluation), 산출평가(outcome evaluation)로 구분한다(Gets, 1997).

형성평가는 축제가 개최되기 이전에 사업타당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축 제의 개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하는‘사전평가’를 의미한다. 즉, 축제 가 개최될 경우 나타날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평가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판 단하고,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경우 이를 가장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형성평가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축제의 개최 여부를 결정하고, 투자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어 성공적인 축제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 기여하며, 이미 개최되고 있는 지역축제를 평가하는 외부평가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체평가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 일부 축제가 관광객이나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받지 못해 지속적으로 개최되 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축제의 타당성 분석을 위한 형성평가가 제대 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정확한 평가가 진행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제 개최가 결정되면 지역 내 많은 인적 및 물적 자원이 투입되므로 축제가 실패로 나타나는 경우 지역경제에 큰 손실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역 이미지에

(23)

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형성평가는 축제 개최 이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과정평가는 축제 기획, 축제 운영 등 축제 준비과정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평가이다. 축제 기획 및 축제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할 수 있고, 축제 조직체계 및 조직과정의 효과성 등의 조직역량을 파악하며(류광 훈·심원섭, 2001), 축제 준비과정이 결과물인 축제 성과와 인과관계가 있다 는 점에서 축제 성과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산출평가는 축제 개최 이후, 축제 성과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평가로 축제 의 실질적인 효과와 영향, 전반적인 가치와 전체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 및 결함을 평가한다. 산출평가는 축제의 개최 목표가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는 상황, 특히, 목표달성이나 성과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상황에서 그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축제 개최 이후 나타나는 파 급효과의 영향에 대해서도 평가한다. 대부분의 산출평가는 설문 조사를 통한 방문객의 축제 만족도를 측정하며, 평가 범주를 방문객의 축제 만족도뿐만 아니라 축제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동시에 측정해 야 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축제평가는 산출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과정평가의 대상인 축제 준비과정이 무형적이며, 질적 특성을 갖고 있 으므로 평가하기가 쉽지 않고 자료 수집이 용이하지 않으며 평가 기간 및 비 용도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과정평가는 산출평가와 인과관계 를 갖는 평가로 산출평가 결과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제평가 시 산출평가를 포함하는 과정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5. 축제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축제의 평가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지역축 제에 적합한 평가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지표 가 필요하다. 축제의 평가방법, 평가지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24)

Getz(1991)는 축제평가를 구성평가, 과정평가, 누적평가로 구분하였다. 구 성평가는 방문객 조사를 통해 축제·이벤트 기획을 위한 조건(표적시장의 편 익 정의, 새로운 축제·이벤트, 개선안 제안 등)을 평가하고, 과정평가는 조직 구성, 축제 기반시설, 서비스, 방문객 관련 제반 문제점 등의 실행계획에 초 점을 맞추며, 누적평가는 결과평가로서 축제·이벤트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하기 위한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Carlsen 등(2001)은 축제평가연구에서 이벤트 방문객과 관련된 수입승수, 지역주민과 관련된 고용승수, 투자수익률(ROI) 등으로 경제적인 영향평가를 위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백선혜(2006) 연구는 도시문화전략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축제가 가지는 목 표와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 기반한 축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 며, 도시문화전략적 평가항목으로 첫째, 시공간성(시공간적 점유의 타당성), 둘째, 지역성(공동체의식과 지역정체성 고취 및 장소성 형성), 셋째, 문화성 (문화예술적 완성도와 이의 학습 및 창조성), 넷째, 제도화(축제의 콘텐츠를 재생산하고 성과와 노하우를 계승할 수 있는 조직과 프로그램), 다섯째, 경제 성(지역경제의 긍정적 파급효과), 여섯째, 유희성(일상에서 벗어난 일탈의 즐 거움), 일곱째, 전문성(축제 운영의 전문성)을 설정하여 축제의 목표달성 정도 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김일용(2009) 연구는 축제 운영의 효율성 부문에서 주제의 차별성, 방문객 만족도 부문에서 프로그램의 독특성과 다양성 및 홍보와 마케팅, 그리고 지 역발전의 효과 부문에 대한 지표를 설정함으로써 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 하였다.

박석희·박광국(2009)은 의사소통행위론의 관점에서 부천세계무형문화유산 엑스포를 대상으로 방문객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인터뷰를 통한 심층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의사소통행위의 평가요소로, 하드웨어적 측면 (교통 편의성, 안내시설 등의 이용 편의성, 연계관광의 편의성), 콘텐츠 측면 (상품만족도, 재방문의사, 프로그램의 유희성과 참신성), 소프트웨어적 측면(행 사진행 만족도, 문화적 이해에 대한 기여도) 중심의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25)

김기현·윤유식(2015)의 연구에서는 함양산삼축제를 대상으로 홍보안내(행 사장 내 안내시설, 팜플렛, 안내요원 서비스), 행사내용(재미성, 다양성, 만족 성, 이해도, 조직적 운영), 기념품/음식(기념품 및 음식 종류의 다양성, 품질 우수성, 가격의 적정도, 맛의 품질), 편의시설(주차시설 이용 편리, 휴식공간 조성, 화장실 청결), 방문객 만족(전반적 만족도, 지불한 시간과 돈 고려 만족 도, 다른 축제 방문과 비교하여 만족), 충성도(재방문, 타인에게 추천, 긍정적 구전), 이미지 개선(지역 이미지 향상 기여, 매력성, 경쟁력 등)의 문항을 설 정하였고, 평가속성을 이용한 축제 방문객 만족도, 충성도 및 지역 이미지 개 선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박철호·한수정(2014)은 충주세계무술축제를 대상으로 축제 평가속성, 방 문객 만족도, 행동의도 등 방문객 만족도 위주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원형(2016) 또한 지구촌 나눔 한마당축제를 대상으로 축제내용, 축제조화성, 축제다양성 등의 평가를 통해 방문객 만족도와 방문객 행동의도, 도시브랜드 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외국대사관 관여도의 조절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축제 평가방법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학자나 연구대상, 목적에 따라 평 가지표 또는 평가항목, 변수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Gets(1997) 는 구성평가, 과정평가, 누적평가를 통해 축제의 전반적인 과정을 평가하고 있지만, 평가목적이 방문객 평가의 효율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Carsen 등(2001)은 축제의 경제적인 영향평가 위주의 방식에만 집중하였다. 이외 백 선혜(2006), 김일용(2009), 박석희·박광국(2009), 박철호·한수정(2014), 김기 현·윤유식(2015), 이원형(2016) 모두 축제평가시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축제 개최방식의 효율성과 방문객 만족도 분석, 방문객 행동 의도, 축제내용, 축제의 운영성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축제의 결정 과정에서부터 집 행과 결과까지의 총체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시작인 준비과정에 서부터 실행, 축제의 파급효과 등 축제의 전 과정을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26)

[표 2-3] 축제평가 선행연구표

(27)

표 표

제3절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축제평가 현황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는 2015년 장성군 옐로우시티 도시브랜드 구축 사 업의 일환으로 시작하였고 지금까지 옐로우시티 장성을 홍보하는 주역으로 발돋움하면서 장성군을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발전하였다.

2017년도부터 2019년까지 시행되고 있는 축제평가는 설문조사와 참여관찰 방식으로, 대체로 축제 내용 및 프로그램에 관계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태는 백선혜(2006), 김일용(2009), 박석희·박광국(2009), 박철호·한수정 (2014) 등 선행연구자가 제시한 축제평가방식처럼 방문객 종합만족도와 체험 및 프로그램 만족도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결과에 대해 잘된 점과 미비점에 관계된 내용만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4]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체험 및 기타프로그램 만족도

자료 : 장성군 노란꽃잔치 내부자료 인용

(28)

[표 2-5]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방문객 종합만족도

자료 : 장성군 노란꽃잔치 내부자료 인용

[표 2-6] 2017년∼2019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자체평가 결과 요약

자료 : 장성군 노란꽃잔치 내부자료 인용

장성군의 축제평가는 단순히 축제과정의 진척도를 파악하거나 축제 성과 에 대한 사후평가만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축제 전체의 성과 개선이나 축제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성취동기를 부여하는 데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29)

장성군의 기존 축제평가 체계가 가지고 있는 한계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첫째, 축제평가가 축제의 기획단계부터 사후평가단계까지 모든 요인에 대 한 총체적인 과정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개별적인 항목의 평가지표 위주로 구 성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축제의 전략목표, 성과목표, 성과지표를 설정함에 있어 목표체계 및 수준상의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에 대한 평가기준, 평가항목, 평가지표 등을 정립함에 있어 축 제프로그램 만족도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측면이 있다. 이는 단기간에 축 제의 외면적 표현 현상만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것일 뿐 축제의 종합적인 성 격을 정확히 판단 내릴 수는 없다.

셋째, 축제평가 결과가 축제 정책 제도 및 평가시스템의 개선을 위하여 환 류되지 못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전체 만족도의 평균은 증가하였 으나, 그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볼 때, 아직까지 평가 결과의 공개, 공표 등 환류 기능이 취약하여 평가 결과가 제도개선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를 통하여 지역민들의 요구와 기대를 반영할 수 있도 록 모든 성과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평가결과에 대한 환류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장성군의 기존 축제평가시스템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축제 평가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며, 이는 기존의 축제평가를 위한 선행연구의 바탕에서 평가지표의 범위를 확대 하거나 세분화하는 등의 일부 개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축제평가 전반에 대한 새로운 시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30)

제4절 축제평가에서의 BSC 도입의 필요성

1. BSC 개념

기존의 축제평가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합리적 평가의 틀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개선을 추구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에 있어서 기업과 산업 및 공공분야에서 경영성과의 평가도구로 개발된 BSC 평 가체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BSC(Balanced Score Card)는 기존의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평가 를 개선하고 그 외의 것들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이다(Robert Kaplan&David Norton, 1992). 균형(Balance)이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며, 균형적 성과관리란 재무성과평가 중심에서 재무·비재무성과를 모두 고려한 것으로 단기 중심적 인 성과관리에서 장·단기 성과관리를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다(한국지방행정 연구원, 2005).

BSC는 재무적 관점(financial perspective), 고객관점(customer perspective), 내부프로세스 관점(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학습과 성장관점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조직의 성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측정, 분석, 피드백할 수 있는 성과관리시스템으 로 정의한다. 이는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정해진 지표 및 가 중치에 의한 성과평가를 의미한다(박해육·고경훈 외, 2005).

BSC란 재무적 관점의 성과지표와 비재무적 관점의 성과지표를 통한 균형 적인 성과관리 도구로 상호유기적인 인과관계로 연결된 전략관리 시스템이라 고 정의할 수 있다(이용배, 2010).

또, BSC는 조직의 비전과 전략에서 도출된 평가지표들의 조합으로 재무와 비재무, 장기와 단기, 선행과 후행, 내부와 외부, 조직과 개인에 관한 지표가

(31)

균형을 이루었다는 의미로 ‘균형성과표’라고 하며, 이러한 지표들을 통해 조직 내에 전략과 비전이 공유되고, 단기의 성과가 아닌 미래 이익에 선행하 는 비재무적 성과도 중요하게 관리될 수 있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성과평가에 있어 객관성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로, 주관적이거나 합리 적이지 않은 기준은 조직원이 목표를 달성하게 할 수 없다. 따라서 BSC는 각 조직의 개별적인 성과들이 서로 간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게 함으로 써 “책임과 권한을 통한 경영성과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즉 BSC는 조 직원들에게 기업의 전략을 말해주고 기업의 비전을 어떻게 달성하면 되는지 말해주는 나침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Kaplan&Norton, 1996).

BSC의 구성요소로는 비전과 전략, 관점, 핵심 성공 요인, 핵심성과지표, 인과관계, 목표 그리고 피드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허종락, 2002). 이 핵심 요소들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BSC의 4가지 관점과 그 측정지표들은 인과관계의 가치사슬로 이어져 있고 상호 간에 영향 을 주고받음을 설명하고 있다. BSC의 최종 산출물은 전략 체계도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 헥심성과지표)이며, 전략 체계도는 관점, 핵심 성공요 소, 인과관계 등의 구성요소를 가진다(변지석·권혁태, 2006).

2. BSC 관점

BSC의 4가지 균형적 관점에는 첫째, 고객들이 자신의 조직을 어떻게 평가 하고 있는가?(고객의 관점), 둘째,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자신 의 조직은 무엇에서 탁월해야 하는가?(내부 프로세스의 관점), 셋째, 지속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해서 자신의 조직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학습 및 성장의 관점), 넷째, 조직의 이해관계자(stakeholder) 는 자신의 조직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재무적 관점)로 구분할 수 있고 (Kaplan&Norton,1996: 77), 이상의 4가지 관점은 Kaplan과 Norton이 제시하는 BSC의 전략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며, 성과요인 의 틀을 구분하고 있다.

(32)

[그림 2-1] BSC의 구성체계

BSC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 중의 하나인 관점은 기업의 가치 창출 근 원에 대한 시각을 나타낸다. BSC에서 설정한 관점을 통해 그 기업이 추구하 는 가치의 원천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관점은 ‘조직 가치 창출 의 원천’ 혹은 ‘전략적 성과지표들의 묶음’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업 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배용준, 2017). 또, 설정된 관점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상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균 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균형관점 간의 상호작용 결과에 따라 조직의 가치 는 극대화되기 때문이다(Kaplan&Norton, 1996; 유위, 2007: 11).

BSC의 고객관점은 지역주민, 중앙정부, 지방정부의 행정조직 등 조직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며, 고객의 관심사는 시 간, 품질, 성능, 서비스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고객관점에서 기업가치의 출발점은 당연히 고객일 것이다. 모든 고객 에게 똑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럴 필요도 없다 (박중환, 2009). 기업에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고객을 파악해 내고 이들을 위한 고객 지향적 프로세스를 창출하는 것이 고객 관계 관리의 핵심 성공 요 인이다(박무현·박정아, 2004).

(33)

BSC의 내부프로세스 관점은 고객과 궁극적으로는 주주에게 가치를 지속적 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기업이 어떤 프로세스에서 남보다 탁월해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객 만족 등의 기업 비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한 내부 프로세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들을 규정하고, 조직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최적 의 측정지표 또는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Niven, 2002).

학습과 성장관점은 다른 관점에 비해서 가장 미래지향적이며, ‘어떻게 하 면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높이고, 계속하여 혁신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질문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관점은 학습하고 성장하는 조직에 관한 목표와 지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세 가지 관점의 목표달성을 위한 기 초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또,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직원 역량, 정보시스템 역량, 동기부 여와 권한 이양 그리고 직장 분위기 등이 포함된다(윤상은, 2004). 먼저 조직 원에 대한 측정은 직원 만족도, 직원 유지도, 직원 생산성 등에 기초하며 이 를 달성하기 위한 인력의 재숙련은 필수적이다(이선희·이병윤, 1999).

재무관점은 다른 세 가지 관점보다 중심관점으로 간주되며, ‘주어진 재정 지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가’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된다. 재무 관점의 두 가지 역할을 살펴보면, 첫째, 전략에 근거한 재무목표를 정의해야 하며, 둘째, 다른 한편으로 다른 관점의 목표달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 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균형성과표를 구성하는 고객, 내부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지표도 궁극적으로는 재무적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하위 지표 들이다. 재무적 관점은 전략달성이 기업의 이익달성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자 기업의 수익과 직결되는 관점의 측정치로 다른 나머지 운 영관점의 세 가지 성과영역의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Vitale, M & Mavrinac

& Hauser, M, 1994).

(34)

3. BSC 도입의 의의와 효율성 제고

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에 있어서 기업과 산업 및 공공분야에서 경영성과 의 평가도구로 개발된 BSC 평가체계를 축제평가에 도입하려는 이유를 연구 의 목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의 지역축제 평가가 현재 시점에서 방문객 만족도를 중심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미래시점에서의 평가를 통해 지 역축제가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한다. 또, 기존 지역축제 평 가방식에서는 설명이 되지 않는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간의 인과관계를 정립 함으로써 축제의 전체적인 성과관리 및 조직 개인의 학습뿐만 아니라 유기체 로서의 총체적 학습과 축제 담당자의 전략적 업무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축제의 규모, 방문객 수, 생산유발 효과 등 외형적인 측면에서 축제 를 평가하는 과거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축제조직의 내부구조, 축제의 발 전 가능성 등 질적인 면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셋째, BSC는 축제운영의 기획역량을 증대시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예 산의 합리적인 사용을 유도하고, 인과관계를 정교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미래 결과를 예측한다. 성과목표가 재정적인 영향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제의 재원 배분이 단기적인 측면과 아울러 장기적으로 중심이 되는 분야와 일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BSC를 위해 수집된 성과측정 자료들이 여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비교를 통해 새로운 정 책과 전략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넷째, BSC의 주요 구성요소 중의 하나는 환류 과정의 확립이며, 이를 통하 여 축제의 성과목표로부터의 이탈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성과달성의 제고를 위하여 궤도를 수정하거나 성과관리에 관여할 기회를 제공 하기 때문에 매년 개선되고 발전된 모습의 축제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여러 번 의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축제 관련 조직 차원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다섯째, BSC를 구축하는 전 과정 동안 축제조직 구성원의 참여와 커뮤니케 이션이 필수요소이므로 축제조직 구성원들이 전략과 성과지표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공감대 형성을 가능케 한다. 즉, BSC 구축의 전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

(35)

의 의견 개진과 참여는 필수불가결하며, 이 과정에서 구성원 상호간의 의사 소통은 활성화되고, 참여가 촉진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BSC는 원래 기업과 산업 및 공공분야의 성과평가를 위해 개발되었 기 때문에 이를 축제평가에 도입하려면 평가체계를 축제의 특성에 맞게 조정 할 필요가 있다. 먼저 재무적 관점에서 지역축제는 그 목적이 장기적 생존을 위한 수익성 제고가 아니므로 지역의 경제적 효과와 지역의 사회문화적 편익 제고의 달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수준에서 기존의 재무적 관점을 ‘성과관 점’으로 대체하였다. 또 고객관점에서 축제는 방문객의 만족도가 높아야 하 므로 고객관점을 방문객 관점으로 대체하고, 내부프로세스 관점은 축제조직 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기획과 운영 등의 프로세스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내부프로세스 관점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과 성장관점에서 지역축제는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학습효과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학습과 성장관점 역시 그대로 적용하였다.

[표 2-7] 축제분야의 BSC평가 관점

[그림 2-2] 축제분야의 BSC평가 관점

(36)

4. 축제평가를 위한 BSC적용의 선행연구

BSC 균형성과평가를 축제평가에 적용하기에 앞서 BSC 선행연구자들이 제 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BSC 관점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각 관점이 가지고 있는 목적에 부합하는 평가척도를 검토하였다. 그러나 축제분야에서 BSC를 적 용한 사례 또는 연구 자료의 취합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문화관광 분야에서 BSC 를 적용한 연구도 함께 검토하였다.

가. 성과관점

성과관점은 BSC상의 재무적 관점을 축제의 성과관점으로 대체하였으며, 축 제를 둘러싼 사회적·문화적·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파급효과, 관광효과 등 지역축제의 개최목적에 따른 성과와 지역경제파급효과를 측정한다. 본 논문은 성과관점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최덕규 외 2인(2006), 박상범·이문성 (2019), 이종권(2012), 엄대호 외 3인(2006) 연구자들의 지표를 검토하였고, 선 행연구별로 의미가 비슷한 항목의 명칭을 통일시키고, 재분류하였다.

최덕규 외 2인(2006)은 BSC기법상의 재무적 영역을 목적달성(성과)영역으 로 대체하였으며, 크게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사회적 편익의 측정항목은 지역문화 개발, 문화적 체험, 지역이미지 제고 등의 7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사회적 비용의 측정항 목은 자연환경 오염·피해와 교통혼잡·범죄발생의 2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 다. 경제적 파급효과의 측정항목은 축제현장의 상품판매, 주변 음식점 및 숙 박업소 활용도, 주변 문화시설 활용도의 4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박상범·이문성(2019)은 BSC 성과관점으로 경제적 성과에 관한 지표를 설 정하였고, 측정항목은 지역 요식숙박업소 이용증대, 지역 관광문화시설 활용 도 제고, 지역상권 활성화의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이종권(2012)은 BSC 성과관점으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관한 지 표를 설정하였다. 사회적 성과에 대한 측정은 주민화합과 문화체험 증대 효

(37)

과, 지역문화 개발과 계승효과, 지역주민 교육효과, 지역이미지 향상 효과의 4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경제적 성과에 대한 측정은 관광문화시설 활 용도, 축제현장 판매 상품 매출의 2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엄대호 외 3인(2006)은 BSC의 성과관점을 투자효과 관점으로 전환하였으 며, 측정항목으로는 경제효과(예산투입에 의한 수익성), 홍보효과, 인구유입효 과의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표 2-8] 선행연구의 성과관점 지표

(38)

나. 방문객 관점

방문객 관점은 BSC상의 고객관점을 축제를 방문하는 방문객 관점으로 대 체하였으며, 축제프로그램 내용, 행사구성, 편의시설 운영 및 진행, 행사장 환 경, 행사장 내 판매상품의 품질 등 축제 진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프로그램 및 행사장 환경에 대한 방문객 만족도를 측정한다. 본 논문은 방문객 관점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최덕규 외 2인(2006), 박경옥·류지호(2015), 이종권 (2012), 박상범·이문성(2019), 엄대호 외 3인(2006) 연구자들의 지표를 검토하 였고, 선행연구별로 의미가 비슷한 항목의 명칭을 통일시키고, 재분류하였다.

최덕규 외 2인(2006)은 BSC기법상의 방문객관점 영역을 참여자 만족도 영 역으로 대체하였으며, 크게 프로그램 내용, 편의시설, 행사장 환경, 판매상품 품질 등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측정항목은 프로그램의 흥미도, 다양성, 교육성 등 6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편의시설에 관한 측정항목은 주차시설 및 안내, 화장실 및 휴식공간의 2개의 항목으로 분류하 였다. 행사장 환경에 관한 측정항목은 안내요원의 친절도, 축제현장의 청결 도, 접근성·연계교통의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판매상품 품질에 관한 측정항목은 음식의 다양성, 음식물 가격·품질, 기념품 다양성·가격의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박경옥·류지호(2015)는 방문객관점의 지표로 크게 편리성, 환경성, 연결 성, 정보성, 상품성, 만족성을 설정하였다. 편리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숙박시 설과 음식점 이용의 편리성과 청결도 등 4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환경 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주변환경의 청결도와 자연환경 보존 등의 3개의 항목 으로 분류하였다. 연결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관광지간 연계성 등과 관련한 3 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정보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안내책 및 휴식공간 의 이용에 관한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상품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지역 고유 체험, 기념품, 프로그램에 관한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만족성에 관한 측정항목은 재방문 의지, 주변인 추천 등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이종권(2012)은 BSC 방문객관점으로 주차시설과 안내부족에 대한 민원 빈 도, 행사장 접근성에 대한 민원빈도, 음식물 품질, 가격 관련 민원 빈도, 기념 품 품질, 가격 관련 민원 빈도, 음식물, 기념품의 다양성 부족 관련 민원 빈

(39)

도의 5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박상범·이문성(2019)은 BSC 방문객관점으로 방문객의 불만 감소에 관한 지표를 설정하였고, 측정항목은 주차시설 부족관련 민원 감소, 안내요원 불친 절 관련 민원 감소, 행사장 연계교통 불편관련 민원 감소, 음식물 다양성 부 족 관련 민원 감소 등 4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엄대호 외 3인(2006)은 BSC의 방문객관점을 마을경관, 숙박시설, 체험프로 그램, 접객능력, 농산물의 신뢰도, 전체적인 만족도를 지표로 설정하였다. 세 부 측정항목은 환경 청결도, 프로그램 매력성·독창성, 주민의 친절도 등 7개 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표 2-9] 선행연구의 방문객관점 지표(1)

(40)

[표 2-10] 선행연구의 방문객관점 지표(2)

다. 내부프로세스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은 축제 운영에 관계된 축제의 예산과 조직의 효율성, 기획과 운영의 효율성, 지역민 참여와 홍보의 효율성 등에 관한 지표를 측정 한다. 본 논문은 내부프로세스 관점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최덕규 외 2인 (2006), 엄대호 외 3인(2006) 연구자들의 지표를 검토하였고, 선행연구별로 의 미가 비슷한 항목의 명칭을 통일시키고, 재분류하였다.

최덕규 외 2인(2006)은 내부프로세스 영역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차별 성·적절성, 지역주민의 참여비율, 축제의 재정 의존도 등의 7개의 항목을 분 류하였다.

(41)

엄대호 외 3인(2006)은 BSC의 내부프로세스 관점으로 인적요소, 고객관리 및 마케팅 등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인적요소에 관한 측정 항목은 리더의 역 량, 리더의 봉사정신 등 2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고, 고객관리 및 마케팅에 관한 측정항목은 홍보활동, 홈페이지 관리 상태, 재방문율 등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표 2-11] 선행연구의 내부프로세스 관점 지표

라. 학습과 성장관점

학습과 성장관점의 평가지표는 축제가 장기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 는가를 평가하는 영역으로, 현재의 관점을 중심으로 평가하던 기존의 방식에 서 축제조직의 역량 강화와 축제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미래의 관점을 중심 으로 축제를 평가한다.

본 논문은 학습과 성장관점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최덕규 외 2인 (2006), 엄대호 외 3인(2006) 연구자들의 지표를 검토하였고, 선행연구별로 의 미가 비슷한 항목의 명칭을 통일시키고, 재분류하였다.

최덕규 외 2인(2006)은 축제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축제가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측정항목을 축제사무국의 상설화와 축제 담당자의 업 무만족도의 2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42)

이종권(2012)은 학습과 성장관점에서 축제의 궁극적인 목표인 장기적인 성 장과 개선, 가치창조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측정항목은 민간협의체 구성과 협조체계 구축 성과, 축제평가시스템의 활용성과, 조직 내 역할분담의 적절성, 축제사무국의 상설화 성과 등 6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박경옥·류지호(2015)는 미래지향적 측면에서 관광지 내 지역민의 태도, 운영조직과의 관계, 지역경제·사회·문화·환경적 이해 등을 측정변수로 설 정하였고, 학습과 성장관점을 주민관점으로 대체하여 평가하였다. 또, 측정항 목을 운영 전문성, 운영 경영능력, 상품 개발력, 전문가 인력양성 등 1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박상범·이문성(2019)은 학습 성장에 따른 축제조직 강화에 관한 지표를 설정하였고, 측정항목은 축제사무국 상설화, 담당자 역할분담의 적절성 향상, 민간협의체 구성과 협조체계 구축의 3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홍사웅(2006)은 축제 전문가의 사전 토의 과정을 거쳐 중요도가 3.5점 이 상의 지표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 측정항목은 축제 사무국의 상설화, 축제 담 당자의 업무만족도, 축제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축제 담당자의 축제업무 재직기간 등의 4가지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엄대호 외 3인(2006)은 BSC의 학습과 성장관점을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의 주체인 마을주민의 관점으로 전환하여 농촌마을의 사업 영향, 마을주민간 의 관계, 마을주민과 관광객과의 관계, 주민역량 측면으로 접근하여 평가지표 를 설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사업의 이해도, 마을환경 개선 만족도, 주민간 협 력 노력, 수익의 공정한 분배 등의 8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43)

[표 2-12] 선행연구의 학습과 성장관점 지표

(44)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장 타당성이 확보된 BSC 평가지표의 4가지 관점을 축제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성과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방문객 관점, 학 습과 성장관점으로 구분하였다. 바람직한 축제 평가체계의 모형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평가하고자 하는 축제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치·사회·경제·문화의 총 체적인 현상인 축제의 전 과정을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분석해야 하는데, 지역축제의 시작에서 끝에 이르는 주요 사업추진단계와 여러 영역을 주요 조 사관점으로 설정하고, 이들 관점에서 주요 평가항목을 배치하여 조사지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SC 평가관점별로 축제평가에 적 용이 가능한 평가척도를 최덕규 외 2인(2006), 박상범·이문성(2019), 박경 옥·류지호(2015), 이종권(2012), 엄대호 외 3인(2006), 홍사웅(2006) 선행연구 자들의 연구결과를 대별하여 축제평가에 대한 측정지표를 연구의 목적에 맞 게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그림 3-1] BSC를 이용한 축제평가 모형

(45)

[표 3-1] 성과지표 측정항목

(46)

제2절 조사설계

1. 표본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20년 4월부터 5월까지 한 달간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장성군민 및 공무원 총 150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축제 관련 추진위원 및 관계자 1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50부였으며 이중 130부를 회수하였으나 응답에 성의 가 없거나 이중 응답 내용이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일부분만 응답한 설문지 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총 113부의 유효 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1 점)’~‘매우 그렇다(5점)’로 측정하였고, 유효표본의 설문지는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친 후, SPSS 26.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자들의 인구 통계적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4가지의 관점별로 세부 항목에 대한 평균 값을 비교 검토하고,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에 따른 장성군민과 공무원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으로써 t-test를 실시하여 세부 항목간의 차이를 비 교하였다.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주요 인구 통계적 특성치를 살펴보면, 장성군민이 50.4%, 장성군 공무원이 49.6%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별로 살펴보 면 남성이 62.8%, 여성이 37.2%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37.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0대가 28.3%, 50대 가 18.6%, 20대가 8.8%, 60대가 5.3%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의 경우, 장성읍이 61.9%로 나타났으며, 장성군 내 기타지역이 15.0%, 장성군 외 지역이 23.0%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의 직업유형으로는 공무원이 49.6%로 가장 많았으며, 주부가 13.3%, 서비스업이 11.5%, 농·임업 이 10.6%, 상업·제조업이 10.6% 순으로 나타났다.

(47)

[표 3-2] 인구통계적 특성 분석 결과

2. 측정도구

본 연구에 이용한 설문항목은 BSC의 4가지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 통계적 특성을 제외한 평가항목은 4관점, 14지표, 53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세부내용은 성과관점이 총 13항목, 방문객 관점이 총 22항목, 내부프로세스 관점이 9항목, 학습 및 성장관점이 9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가. 축제의 성과관점

축제 성과의 평가지표는 사회적·문화적·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파급효과, 숙박 및 연계 관광으로 분류하였으며, 지표별 세부항목은 다음과 같다.

참조

관련 문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낭만주의자들과 낭만주의자들 양자간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Furst, Romanticism in perspective

the association name, common when drawing a domain model, is often excluded (though still legal) when using class diagrams for a software.. perspective

과 네 가지 기본 관점 재무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 점 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공공부문 평가의 실효성을 강조하기

We need to move away from the discussions over BM pat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llectual property to discussing how competition policy should be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관점(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에서는 조직이 고객을 만족시키고 재무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서 필요한 핵심적인

As far as asset accounts in monetary terms are concerned, the link between the accounts of the Economy and the accounts of Nature which is proposed in Part 1 above is the

 It’s an honor and privilege for me to introduce the moderator for the Chief Information Officer Perspective Leadership Session, the Honorable George Allen, Former Governor

- 그리드를 만든 다음, 왼쪽 상단 네비게이션에서 해당하는 면을 선택하고 도형을 통해, 면을 생성한다.. - 작업이 끝나면, View –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