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학연 협력과 혁신도시의 발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산학연 협력과 혁신도시의 발전"

Copied!
1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산학연 협력과 혁신도시의 발전

남기범(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는 혁신은 기업, 산업, 지역, 그리고 국가 경쟁력의 중요 한 원천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지역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서는 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초과학의 연구와 교육기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OECD, 2002). 기존의 혁신이론에서는 이론적 발견을 중심으로 하 는 기초연구(basic research), 이를 구체화하는 응용연구(applied research), 검증 하는 개발연구(development research), 그리고 기업의 혁신을 통해 상품화하는 일련의 선형모형(linear model)이 기본적인 틀이었다(Dodgson and Rothwell, 1994). 하지만 최근에는 지식생산주체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환류작용이 혁 신의 과정과 방향설정에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학제간의 연구와 종합연구의 중요성이 되고 있다(Dasgupta and David, 1994). 여기에 산학연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나아가 불투명성이 높고, 거래비용이 높은 지식시 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산학연 협력과 상호연계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다 (Lundvall, 1992).

따라서 산학연 협력은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간의 연구개발정보, 비공식적 정 보의 비시장적 상호의존(untraded interdependency)과 공식적 정보, 연구장비 및 자원을 공유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발전하는 인적·물적 정보네트워크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산학연 협력을 통해 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은 상호학습효 과, 인적교류, 암묵지와 명시지의 이전, 외부경제효과를 통한 지식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2)

<그림 1> 산학연 협력의 인센티브 효과

출처: 홍형득, 2003: 6.

산학연 협력의 장애요인으로는, 지식시장의 정보불균형과 시장 불투명성, 기 업과 대학의 목표와 문화의 차이, 높은 교류비용과 재정부족, 결과의 불확실성 과 효과의 장기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2> 산학연 협력의 장애요인

출처: 홍형득, 2003: 7.

혁신 클러스터란 같은 업종이나 연관 및 보완관계에 있는 기업과 관련기관의 공간적인 집적을 의미한다. OECD는 혁신 클러스터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3)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생산기관(대학, 연구기관, 지 식제공 기업 등),연계조직(지식집약 사업서비스, 중개기관, 자문 등) 및 고객의 네트워크 ”로 정의하고 있다. 혁신 클러스터는 한 지역이나 국가가 경쟁우위가 있는 부문의 우위를 바탕으로 관련 산업들이 한정된 지역에 집적하면서 형성 된다. 혁신 클러스터에 속해 있는 기업은 상호 마케팅, 정보 및 의견교환 채널 을 가지고 혁신 클러스터내의 특화된 서비스활동, 노동시장 및 사업서비스 등 을 공유하고 공통된 발전의 비전과 전략을 공유한다.

이러한 혁신 클러스터는 기업뿐만 아니라 고객, 공급자, 기업서비스활동, 제도 등도 포함하는 기업과 제도간의 지역적 네트워킹 시스템으로 이해된다. 따라 서 상호연관된 클러스터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인 경쟁자가 아니라 필요 요건와 제약조건을 공유하는 집단인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면 혁신 클 러스터란 ‘지리적으로 인접한 기업이 상호 협력과 경쟁의 기반위에 산업발전 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며 기업지원의 기반이 풍부한 환경속에서 수직적, 수평 적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Cooke, 2002)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혁신 클러스터는 효율적 네트워킹, 생산성 향상, 빠르고 쉬 운 접근성, 비용절감, 품질향상, 기업간 제휴, 네트워킹의 기회가 다양해지는 하드웨어적인 이점과 공동의 비전을 공유하며, 상호의존성을 강화하고 대학, 연구기관과 기업간 협력과 네트워크 형성, 기술이전과 혁신이 활발해지며, 암 묵지와 노하우가 풍부해지고, 효율성이 향상되어 기술혁신, 제품혁신, 공정혁신 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즉,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에는 효율적이고 상호의존적 인 산학연 협력이 그 중심에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산학연 협력의 발전과 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문제와 대안,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 의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4)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1.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s)

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계획적으로 조성한 지역이 사이언스 파크이다. 산·

학·연·관의 기술혁신역량을 집적시켜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해외의 사이언스 파크들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경쟁우위자원을 바탕으로 혁신 클러스터를 형성 하고 있다. 실리콘밸리는 스탠포드대학의 연구능력과 서부지역의 벤처문화를 결합하여 IT혁명을 이끌었고, 도요타시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부지와 풍부한 노 동력 및 충성심이 강한 지역문화를 활용하였다. 중관촌은 베이징대학과 칭화 대학 등 중국의 인재와 외자유치를 통해 중국의 실리콘밸리를 지향하고 있고, 시스타는 스톡홀름에 인접한 지리적 위치와 편리한 교통을 활용하였다. 현재 미국에는 스탠포드 리서치파크 등 144개, 독일은 베를린기술단지 등 160개, 핀 란드는 오울루테크노폴리스등 10개, 영국은 캠브리지사이언스파크 등 52개 정 도가 조성되었다.

사이언스 파크는, 단순한 산업집적지에 사업지원기능이 부가된 산업집적지 (Industrial Agglomeration)에서 시작하여, 기업간 연계와 협력이 강화된 공업 단지(Industrial Park), 산학연계와 비공식적 협력, 회의, 포럼 등을 통해 궁극 적으로 대학·연구소에서 새로운 기업이 창출되는 스핀옾(Spin-offs)을 지향하는 연구단지(Research Park), 다양한 산학연 협력, 즉 연수/재교육 프로그램과 세 미나, 컨퍼런스, 엑스포 등의 복합기능이 추가되는 테크노파크(Techno Park) 의 단계를 거쳐, 집단학습(collaborative learning), 제도화 등을 통해 혁신 클러 스터를 지향하는 과학도시(Science Park)로 진화한다.

(5)

<표 1> 사이언스 파크의 진화단계

유형 주요 요소

산업집적지 (Industrial Agglomeration)

- 기반시설

- 사업지원기능 (관리, 마케팅, 정보, 법무·회계·컨설팅 등)

공업단지 (Industrial Park)

- 기업간 연계 - 기업간 협력

연구단지 (Research Park)

- 산학연계

- 비공식적 협력, 회의, 포럼 등 - Spin-offs, 기술이전

테크노파크 (Techno Park)

- 산학협력연계

- 연수/재교육 프로그램

- 세미나, 컨퍼런스, 엑스포 등

과학도시 (Science Park)

- 집단학습

- 테크노마트(technology transfers) - 제도화(규범공유, 신뢰, 협력적 문화) - 벤처인큐베이터

출처: Luger, 2001; Nahm, 2000

(6)

Industrial Agglomeration

Industrial Park

Reseach Park

Techno Park

Science Town

Yes

Industrial Linkages/

Cultural & Organizational Proximity

Yes

University Linkages/

Spin-offs & transfers

Yes

Collaborative Linkages/

Innovative synergies

Yes

Collective Learning/

Institutionalization

Large Metropolitan Area Second-tier Cities

Urban Corridor

University Town Non-Metropolitan Area

Remote Area

<그림 3> 사이언스 파크의 단계별 진화

출처: Capello (1999)에 수정보완.

(7)

과학도시가 혁신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데에 핵심적인 전략은 연계(connect) 다. 지역내 기업과 기관들은 연계를 통해 부족한 기술혁신능력과 비용을 분담 하고 개발속도를 높이며 클러스터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기업과 대 학 및 연구소 등이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을 상업화하기 위해서는 금융과 창업보육, 기업지원서비스 등 갖추어야 할 지원인프라가 중요하다. 즉, 과학도 시는 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기업을 유치하거나 대행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기에 모인 구성주체들이 연구개발과 생산 활동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2. 기업-대학의 연계(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1) 혁신 클러스터에서 대학연구의 역할

혁신 클러스터에 있어 대학의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은 갈수록 증대하고 있다.

사회와 경제의 진보, 그리고 국가경쟁력이 지식의 축적과 확산에 좌우되는 지 식기반사회에서는 기술혁신의 창출과 확산의 주체인 대학의 역할이 증대되면 서 연구과 교육기능으로서 대학의 존재와 위상이 부각되고 있다. 지식이 모든 혁신활동의 기반이 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창출을 위한 대학의 기능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혁신 클러스터의 핵심 성공요인인 지식의 네트 워킹과 확산(spill-over)1),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신기업의 창출(spin-off)2)을 위 해서는, 물리적, 기능적으로 근접한 공간내에서 대학과 기업이 상호작용을 하 여야 한다.

물론 최근의 혁신 클러스터 연구에 의하면, 기업의 점진적인 혁신보다는 근본

1)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개념, 기술, 지식 등이 기업으로 이전되는 공식·비 공식 과정을 포괄하는 용어(Jaffe, 1989).

2) 대학 구성원이나 기업의 연구인력이 창업한 신기업(Lambooy, 2004)

(8)

적인 혁신이 더욱 중요하며, 근본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대학연구와의 연계가 무척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전반적으로 보아서 제품혁신에는 기업내의 연구 가 대학연구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MacPherson, 2002).

또한 혁신 클러스터의 대표적 사례이며 스탠포드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알 려진 실리콘밸리의 경우, 대학연구의 확산과 신기업의 창출보다는 연방정부 주도의 국방연구와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연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Markusen, 2003). 하지만 영국 케임브리지 사이언스 파크, 서리대학 리서치 파크, 미국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스웨덴 룬트대학교, 중국의 칭화대학과 중관 촌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학의 연구개발, 기술이전, 기업지원 등의 기능이 체계적으로 지원되는 산학연 네트워크 형성이 혁신 클러스터의 핵심 성공요인 이라는 것은 부인하기가 어렵다(남기범, 2004a).

2)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의 유형과 심화과정

혁신 클러스터에서 대학과 기업의 지식교류는 주로 신뢰에 기반한 사회자본 이 형성된 공간내에서 암묵지의 교류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 유형과 양상 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대학연구의 기업 에서의 이용, 대학 특허나 논문의 구입과 인용, 대학과 기업의 공동출판, 대학 구성원의 신기업 창업, 대학과 기업간 인적 교류 등의 대체변수를 이용해 분석 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종합하면, 대학과 기업의 지식교류는 크게 인적교류 (대면접촉), 암묵지의 전파, 지식교류의 제도화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적교류(대면접촉)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회자본을 형성하여 정보와 지식 을 교환하고 전파하는 것으로 주로 학회, 세미나 등에 참여, 대학의 기업 연구 인력의 교육과 재교육, 대학과 기업간 연구인력의 이동, 대학 구성원의 안식년 기간동안 기업에서 연구, 합동, 협동연구 프로젝트 참여,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의, 특강, 수탁연구 및 연구자문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9)

암묵지의 전파는 대화, 시범, 모방 등을 통해 지식이 상호작용하여 재구성되 고 확산되는 것으로, 대학 졸업생의 취업, 대학 구성원의 창업, 대학과 기업의 공동논문 작성, 비공식 모임, 회의, 대화, 대학과 기업간 연구인력의 이동, 대학 구성원의 안식년기간동안 기업에서 연구, 합동, 협동연구 프로젝트 참여 등의 양태로 실현된다.

지식교류의 제도화는 신뢰가 충분히 쌓인 단계에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 하여 대학과 기업간 공식적인 제도화를 통해 교류를 상시화하는 것으로, 대학 구성원의 창업, 대학과 기업간 연구인력의 이동, 대학 구성원의 안식년기간동 안 기업에서 연구, 합동, 협동연구 프로젝트 참여,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의, 특강, 수탁연구 및 연구자문, 기업의 대학 연구시설 이용, 기업의 대학특허 사 용 및 라이센싱, 대학이 개발한 시제품 구입 등의 유형으로 구체화 된다.

(10)

<표 2> 혁신 클러스터내 대학과 기업간의 지식교류의 유형

지식교류의 유형 지식교류의

제도화 암묵지의

전파 대면접촉

대학 졸업생의 취업 +/- + -

대학과 기업이 참여하는 학회, 세미나 - +/- +

대학 구성원의 창업 + + +/-

대학과 기업의 공동논문 작성 - + +

비공식 모임, 회의, 대화 - + +

석·박사 논문심사에 기업의 참여 +/- +/- +/-

대학의 기업 연구인력의 교육과 재교육 +/- +/- +

대학과 기업간 연구인력의 이동 + + +

대학 구성원의 안식년기간동안 기업에서 연구 + + +

합동, 협동연구 프로젝트 참여 + + +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의, 특강 + +/- +

수탁연구 및 연구자문 + +/- +

기업의 대학 연구시설 이용 + - -

기업의 대학특허 사용 및 라이센싱 + - -

대학이 개발한 시제품 구입 + - -

논문, 특허 등의 연구 - - -

출처: Schartinger, et al., 2002

주) +: 지식의 확산과 교류가 활발함, +/-: 지식의 확산과 교류가 어느 정도 있음. -: 지식의 확산과 교류가 없음.

(11)

이러한 지식교류의 유형을 상호작용의 심화단계별로 모형화하여 표시하면

<표 3>과 같다. 첫째 행에는 지식교류의 유형이 나타나 있다. 유형 1에서 유형 5까지는 주로 비정기적인 개인적 교류이며, 유형 6에서 유형 16까지는 대학과 기업간의 협동작업의 유형이다. 특히 ‘유형 15: 대학의 수탁연구’와 ‘유형 16:

공동 연구수행’은 전형적인 연구개발협력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유형 17: 대 학과 기업간 정기적인 지식교류’와 ‘유형 18: 대학의 신규창업을 통한 지식교 류’는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가 제도화되어 인력과 지식이 상시적으로 이동 하고 지식의 수직적 흐름만이 아니라 수평적 교류와 확산을 통해 확대 재생산 되는 제도의 정착을 의미한다.

초기의 다섯 가지 유형,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컨설팅,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연, 대학 구성원의 기업 강연, 심포지엄, 세미나에서 기업과 대학의 토의, 대 학 연구결과의 비정기적 구입 등의 단계에서는 혁신 클러스터의 주요 구성체 인 대학, 기업, 정부간 연계가 형성되지 않고 서로 고립된 상태로 병존한다. 점 차 유형 6에서 유형 11(대학 구성원의 고용, 대학 구성원의 기업 연구인력 지 도, 대학의 기업 연구인력 훈련, 대학과 기업의 공동출판, 대학과 기업의 석·박 사 공동지도, 대학과 기업의 지적재산권 공동소유 등)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적 연계가 형성되고, 유형 12에서 유형 14 (연구시설·장비의 공동이용, 기업의 대 학 연구시설투자, 대학 연구결과의 정기적 구입 등) 의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상호작용이 증가한다. 유형 15이후에서는 대학-기업-정부간 상호의존적인 지식 의 교류가 있는 3중 나선구조(triple helix)의 혁신체제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 다. 이 최종형태에서는 지식의 생산주체인 대학과 연구·훈련기관, 기업, 공공기 관 등이 수직, 수평, 혹은 대각선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식 정보교환, 인적 교류를 통해 혁신 클러스터는 3중 나선구조형 진화적 학습지역을 형성하게 된 다.

(12)

지식교류의 유형 지식교류의

대상 지식교류의

패턴

1.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컨설팅 인적교류 연계없음(1-5)

2.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연

3. 대학 구성원의 기업 강연

4. 심포지엄, 세미나에서 기업과 대학의 토의

5. 대학 연구결과의 비정기적 구입 인적교류/

제도화

6. 대학 구성원의 고용 수직적 연계

7. 대학 구성원의 기업 연구인력 지도

8. 대학의 기업 연구인력 훈련

9. 대학과 기업의 공동출판

10. 대학과 기업의 석·박사 공동지도

11. 대학과 기업의 지적재산권 공동소유

상호작용

12. 연구시설·장비의 공동이용 제도화 3중 나선구조

형성

13. 기업의 대학 연구시설투자

14. 대학 연구결과의 정기적 구입

15. 연구개발협력: 대학의 수탁연구

16. 연구개발협력: 공동 연구수행

17. 대학과 기업간 정기적인 지식교류

18. 대학의 신규창업(spin-offs)을 통한 지식교류

<표 3> 대학과 기업간의 지식교류의 심화과정

출처: Inzelt, A., 2004

주: U: 대학, I: 기업, G: 정부

(13)

3. 산․학․연․관의 협력(Triple Helix Model)

산학연관의 협력은 기술혁신에 있어서 혁신을 지식상품화하는 과정에서 산학 연관(특히 지방정부)의 주체간의 복합적인 상호관계의 발전을 나선형의 동적 발전과정으로 본다(Etzkowitz and Leydesdorff, 2000). 대학이 교육기관에서 교 육과 연구를 겸하는 기관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앞서 지적한데로 선형발전모 형이 쇠퇴하면서 기초연구와 응용·발전연구간의 구분이 모호해 질수록, 대학과 연구기관이 상업적인 지식의 원천역할을 더욱 더 많이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지방자치제도가 자리를 잡을수록 지방정부의 산학연계 지원·유도정책과 다양 한 프로그램지원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지식의 생산이 산학관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환류작용의 산물이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대학-기업-정부(산학연관)의 삼중 나선구조는 지역혁신클러 스터에서 대학과 연구기관의 지식과 혁신의 확산과 파급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학연·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 과와 인력자원, 교육·훈련기능이 기업으로 상시적으로 교호하고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혁신클러스터에 정착됨으로서, 혁신네트워크 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learning region)으로 발전하는 모 형을 의미한다(Etzkowitz and Leydesdorff, 2000).

<그림 4> 대학-기업-정부(산학연관)의 삼중나선구조

출처: Etzkowitz and Leydesdorff, 2000.

(14)

<그림 5> 대학-기업-정부(산학연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 혁신지역

(15)

III.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과제

우리나라의 산학연 협력정책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 청, 건설교통부 등 각 부처에서 연구개발사업, 기반조성사업, 지원체제 조성사 업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중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창업지원, 공동연구센 터, 기술지도 및 연수, 정보체제의 정비, 연구시설 공동이용 등이 대표적이다.

산학연 협력정책의 기본 전략은 광의의 기술시장과 자금시장의 활성화, 연계 체제의 구축을 통한 연계활성화, SRC, ERC, RRC, TIC, TBI 등의 연계거점 육 성사업 등으로 볼 수 있다(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이러한 정책은 집중적 지원보다는 다양한 기관을 통한 전국 각 지역에 분산지원과 주로 양적인 지원 에 초점을 두고 있다(홍형득, 2003).

<표 4> 우리나라의 산학연 협력정책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홍형득, 2003에서 재인용.

(16)

하지만 모든 지역이나 국가가 이처럼 공고한 대학-기업간의 연계를 통한 학 습지역으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지역의 한계점을 지적할 수 있다. 지 역내의 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연계가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하고, 특히 세계화경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도기업의 연구성과, 시 장트랜드 등을 계속적으로 벤치마킹해야한다. 하지만 외부와의 접촉이 적은 지역은 지역경계내에 학습활동을 한정짓기 때문에 경쟁력을 갖추기가 힘들다.

이러한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regional insularity and lock-in)은 혁신 클러스터 지역내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킹의 활성화에만 집중하여, 기술적 획일성과 고착화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의 상태에 안주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Swann, 2002; Vilanova, and Leydesdorff, 200; 남 기범, 2004b).

두 번째로 패러다임의 변화에 둔감하여 발전이 지체될 수 있다. 지역내의 기 업은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발전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외부로부터의 급격한 기술변화와 상품변화에 둔감하여 토머스 쿤이 제 시한 과학기술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혁명적 변화에는 어두울 위험성이 있 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혁신은 산업이 특화되어있을 때 보다는 산업이 다양 할 때 더 많아진다는 보고도 있다(Duranton and Puga, 2000).

세 번째로 인터넷 경제의 경시로 인한 발전지체이다. 지식기반경제의 성숙과 인터넷 경제의 발전으로 인하여 기업과 지식의 군집은 공간적인 현상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 군집(virtual clustering)으로도 나타난다. 특히 대 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은 전자상거래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이용 하여 공간마찰을 극복하고 있는 사례가 많으며, 대학연구의 성과와 지식의 교 류도 한정된 지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기업과 다국적 기 업에 역할에 대한 저평가와 성공모형에 대한 일방적인 모방은 위험할 수 있다.

혁신 클러스터 정책은 일반적으로 특화된 중소기업지원정책이다. 성공적인 혁 신 클러스터 형성을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업간 신뢰와 협동작업이

(17)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이와 연계된 대학연구에 대한 지원이 클러 스터 정책의 핵심이 된다. 이는 현실적으로 실물경제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는 대기업과 다국적 기업에 역할에 대한 저평가와 관심저하로 이어지고, 주로 첨 단산업에 집중하고 클러스터로 정책실행으로 인한 경제성장을 과잉 예측하여 결 과를 초래해 경제현실을 외면하는 비현실적인 정책이 될 수 있다(Radosevic, 2002).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과학기술연구비중 사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4.9%이며, , 대학의 연구비 비중은 10.4%이다. 이는 OECD국가와 비교했을 때 사기업의 연구비 비중은 과도하게 높고 대학과 공공기관의 연구비 비중은 상당히 미약한 편이다.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대학의존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과학기술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대학 과 기업간의 지식교류에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현재 진행중에 있 는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국가연구센터 (NRL), 공공기술이전거래기구((TLO) 등은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그 효과가 미 미하며, 누리사업(NURI)을 통해 지역의 혁신 클러스터의 연구 인프라와 지역 대학간의 연구협력 활성화, 지역 대학의 연구인력확충과 전문인력 양성 등을 꾀하고 있으나 그 효과를 쉽게 예측하기가 어렵다.

(18)

<그림 6> 연구주체별 사용연구비의 비중 국가별 비교

출처: 과학기술부, 2003, 2003년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 조사

근본적으로 지역에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은 ‘저발전지역의 혁신역량을 증대시키는 것’과 이러한 지역은 발전된 지역에 비해 잠재력이 낮아 공공투자 를 흡수하여 ‘비용대비 편익이 낮아지는 모순’이 있다. 1999년 유럽연합의 자 료를 보면 연구개발 집중도, 혁신활동, 경제성장은 상당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지만, 인구당 정부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 집중도, 혁신활동은 상관계가 낮게 나타나 정부의 연구개발활동 지원이 혁신활동으로 이어지기 까지는 상당한 어 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Oughton, et al., 2002).

(19)

R&D/GDP 인구당특 허수

공공부문R

&D/GDP

기업R&D /GDP

교육R&D /GDP

인구당 GDP

R&D/GDP 1

인구당특허수 0.67 1

공공부문R&D

/GDP - 0.17 1

기업R&D

/GDP - 0.75 0.44 1

교육R&D

/GDP - 0.25 0.41 0.29 1

인구당 GDP 0.52 0.54 0.18 0.63 0.27 1

<표 5> 유럽국가의 R&D지출과 경쟁력의 상관관계

출처: Oughton, et al., 2002

(20)

IV.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혁신도시는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산·학·연이 유기적 네 트워크를 형성해 지역의 혁신창출능력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지역발전의 역 량을 강화시키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제까지의 신도시 혹은 도심재활성화 사 업의 성격이 주거기능이나, 생산단지, 연구단지 등 주로 단일기능을 중심으로 특화된 단지(complex)를 형성하는 것이었다면, 혁신도시 조성사업은 주요 공공 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 기능이 개방적이고 협력적으로 복합되어 있어, 혁신 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를 지향하 고 있다(국가균형발전위원회·건설교통부, 2004).

혁신도시 건설의 핵심적인 목표는 수도권에 집중된 자원과 인력, 지식과 정보를 지 방에 정착하게 하여 지속적인 혁신 잠재력을 가지고 성장하는 도시를 구축하는 것 이다. 혁신도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시내 기업이 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지역 적 제도를 통해 정보, 기술, 중개, 교육 및 훈련 등의 서비스를 네트워킹하도록 여건 이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지역 여건은, 물리적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연구의 성과를 상업화하기 위해서는 자원과 자본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기술하 부구조가 취약성해 원활한 네트워킹에 장애가 된다(남기범, 2004).

이러한 어려움의 타개를 위해서는 지원과 정책의 양적 확대 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여건을 확충하고, 단기간의 성과보다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일관된 투자 와 노력이 필요하다. 현대의 지역의 공간경제에 대한 연구는 도시경제의 사회·

문화적인 차원을 가장 중요시한다. 특히 경제활동의 사회·문화적 뿌리내림 (embeddedness)과 이로 인한 공간경제활동의 역동성이 지역의 경쟁력에 핵심 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혁신 클러스터인 실리콘 밸리의 경우, 이방인의 세계이며, 가족적 유대도 역사적 전통도 공동체의 형성

(21)

도 매우 미약하다. 오히려 합리적인 선택에 근거한 전략적 제휴와 연합, 파트 너십, 경쟁과 협력의 구조가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Cohen and Fields, 1999).

현대 산업경쟁사회에서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은 ‘윤리적 자원’도 '시민참여'도 '깊은 신뢰'이기보다는 혁신도시에서 자원을 공유하고 정보를 교 환함으로서 얻어지는 경제적 이득의 원천이 되는 사회제도간의 생산적 상호작 용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의 문화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은 소위 ‘성숙한 시민의식에 바탕을 둔 공동간의 신뢰나 묵시적 규약의 네트워크’

이기보다는, 개인과 기업들의 합리적 선택에 의한 사회제도의 생산적 상호작 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의 혁신도시에서 혁신의 확산과 지식의 학습을 통한 공생의 네트워크이며, 이를 지원하는 제도의 두터움이 성패를 좌우한다 고 할 수 있다. 혁신도시에서의 신뢰는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공동체로부터 발 원하는 것이기보다는 보다 개방적인 경쟁력과 수행력을 통해 공고해 진다.

<표 6> 혁신클러스터 내 사회적 자본의 특성

일반적인 사회적 자본 클러스터의 사회적 자본

• 커뮤니티의 발전과 통합의 근원, 성숙사회를 위한 성장기제

• 이방인의 사회, 약한 결속, 취약한 역사적 전통, 약한 커뮤니티 형성, 합리적 선택, 전략적 제휴, 연합, 경 쟁과 협력

• 윤리적 자원, 시민참여, 깊은 신뢰 • 자원과 정보의 공유와 교환으로 인 한 경제적 이익의 근원

• 성숙한 시민사회에 근거한 공통의 신뢰와 암묵적 규범의 네트워크

• 노하우, 장소지식, 특화 생산양식, 혁신, 프론티어 정신 등의 암묵적 지 식의 확산 네트워크

• 폐쇄성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 개방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과 수행

출처: 남기범, 2003

(22)

혁신도시의 문화경제의 발전과 확산의 기반이 되는 사회적 자본은 ‘성숙한 시민사회를 기반으로 한 신뢰의 네트워크와 암묵적 규범, 폐쇄적인 커뮤니티’

에서 발현되는 것이기 보다는, ‘노하우, 장소지식, 특화 생산양식, 혁신, 프런티 어 정신’ 등의 암묵적 정보의 개방적 확산네트워크와 경쟁과 수행력에 의해 강화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혁신 클러스터 정책수행을 위해서는 물리적 투자와 자본투자에 우선하여 클러스터 안에서 원활한 지식흐름 즉, 지 식공유(knowledge sharing)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인적교류활동 등을 통해 지식이 교환되고, 혁 신적인 아이디어가 창출될 수 있도록 혁신도시에서 지역내의 공급업자, 구매 자협회, 교육기관, 관련 및 지원산업 등의 네트워크형성이 사회적 자본이 주요 요소이므로 미팅, 포럼, 세미나 등을 통해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 되어야 하며, 잦은 이직과 창업을 용인하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여건이 조성되 어야 한다.

(23)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직웨어

물질적 접근 인적 접근 조직적 접근

지역혁신체제 성공의 핵심요인

물적 자본 인적 자본 사회자본

·기반시설 ·숙련 노동력 ·규범/제도

·연구개발투자 ·지식 ·문화/관습

·자본 ·노하우 ·네트워크

·기술 ·정보 ·전략

··· ··· ···

󰀹 가시적 효과 --- 계량화 --- 효과의 신속성 증대 󰀹

지역혁신체제 성공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자원제공자 촉진자 파트너

➡ 기업활동의 자율성 증대 ➡

<표 7> 지역혁신체제 성공의 핵심요인 변천

현대의 지역혁신체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지원기능이 존재하는 공원 (Park)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24시간 일상활동이 있는 도시(city)의 개념으로 전 환하여야 한다. 나아가 기존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지역과 도시의 제도를 육성하는 조직웨어(Orgware)를 잘 구성하여야 한다. 또 한 기존의 양적 개념과 하향식 개념인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육성에서 나 아가 사회자본의 형성을 지원하여야 한다. 특히 산학연관의 협력의 추진주체 가 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관리자나 촉진자이기 보다는 파트너로서 기업 과 연구활동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24)

참고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건설교통부, 2004,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방안. p. 42.

남기범, 2003, “서울 신산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벨리의 산업집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남기범, 2004a, "혁신클러스터와 대학연구의 역할: 이론과 현실,”「산업입지」, vol. 15: 2-9.

남기범, 2004b, "클러스터 정책실패의 교훈,"「한국경제지리학회지」, 7.3: 407-432.

남기범, 2006, "해외혁신도시 유사사례와 정책적 시사점”「국토」, 2006년 7월호: 29-38.

박종복·양형봉, 2005, “홍릉벤처밸리 입주기업의 실태분석 및 육성방안,”「벤처경영연구」, 8.3: 157-17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기술혁신촉진을 위한 산학연연계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홍형득, 2003,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계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 산업대학의 역할모 형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1: 1-24.

Capello, R., 1999,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learning versu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Vol. 33.4, pp. 353-65.

Cohen, S. and Fields, G., 1999, "Social capital and capital gains in silicon valle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1.2: 108-130.

Cooke, P., 200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general findings and some new evidence from biotechnology clusters,''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 133-145.

Dasgupta, P. and David, P., 1994, "Toward a new economics of science," Research Policy, 23: 477-486.

Dodgson, M. and Rothwell, R., eds., 1994, The Handbook of Industrial Innovation, Edward Elgar.

Duranton, G. and Puga, D., 2000, “Diversity and specialisation in cities: why, where and when does it matter?" Urban Studies, 37,3: 533-555.

Etzkowitz, H. and Leydesdorff, L., 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 109-123.

Inzelt, A., 2004, "The evolution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hips during transition," Research Policy, 33: 978.

Jaffe, 1989, “Real effects of academic research,” American Economic Review, 79: 957-970 Lambooy, J.G,, 2004,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emerging networks,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 evolutionary approach," European Planning Studies, 12.5: 643-657

(25)

Luger, M., 2001,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at the Millennium: Concept, History, and Metrics,"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Songdo Techno Park International Symposium, Technopark, Innov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chon, Korea, March 30, 2001.

Lundvall, B., ed., 1992,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 London: Pinter.

MacPherson, A., 2002, "The contribution of academic-industry interaction to product innovation: the case of New York State's medical devices sector," Papers in Regional Science, 81.1: 121-129.

Markusen, A., 2003, “Fuzzy concepts, scanty evidence, policy distance: the case for rigor and policy relevance in critical regional studies." Regional Studies, 37.6/7: 699-715.

Marques, J.P.C., et al., 2006, "How can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teractions change the innovation scenario in Portugal?" Technovision, 26.5: 276-291.

Nahm, Kee-bom, 2000, "The evolution of science parks and metropolitan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4.1: 81-95.

OECD, 2002, Benchmarking Industry-Science Relationship, Paris: OECD.

Oughton, C. et al., 2002,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ox: innovation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 97-110.

Radosevic, S., 200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determinants, organizers and alignments,"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 87-96.

Schartinger, D. et al., 2002, "Knowledge interac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y in Austria: sectoral patterns and determinants," Research Policy, 31: 305.

Swann, G.M.P., 2002, " The implications of clusters: some reflections," Paper presented at the Clusters Conference, Manchester Business School, 18 April.

Vilanova, M.R. and Leydesforff, L., 2001, "Why Catalonia cannot be considered as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Ecientometrics, 50.2: 215-240.

(26)

2006.12. 4.

산학연 협력과 혁신도시의 발전

산학연 협력과 혁신도시의 발전

(27)

목차

1.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2.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3.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과제

4.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5. 결론

(28)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29)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혁신의 혁신의 비선형모형과 비선형모형과 산학연 산학연 협력 협력

z 기존 혁신이론: 선형모형(linear model)

z 이론적 발견을 중심으로 하는 기초연구(basic research), 이를 구체화하는 응용연 구(applied research), 검증하는 개발연구(development research), 그리고 기업의 혁 신을 통해 상품화

z 현대 혁신 이론:

z 지식생산주체간의 지속적인 상호, 환류작용이 혁신의 과정, 방향설정에 중요.

z 학제간의 연구와 종합연구의 중요성 강조

z 지식시장의 특성: 불투명성이 높고, 거래비용이 높음.

Æ 산학연 협력의 필요성

혁신의 혁신의 비선형모형 비선형모형

z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간의 연구개발정보, 비공식적 정보의 비시장적 상호의존

(untraded interdependency)과 공식적 정보, 연구장비 및 자원을 공유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발전하는 인적·물적 정보네트워크

산학연 산학연

협력 협력

(30)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산학연 산학연 협력의 협력의 인센티브 인센티브 효과 효과

(31)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산학연 산학연 협력의 협력의 장애요인 장애요인

(32)

산학연 산학연 협력과 협력과 혁신 혁신 클러스터 클러스터

산학연 산학연 협력 협력

z 지리적으로 인접한 기업이 상호 협력과 경쟁의 기반위에 산업발전에 대한 비전을 공 유하며 기업지원의 기반이 풍부한 환경속에서 수직적, 수평적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

z 기업은 상호 마케팅, 정보 및 의견교환 채널을 가지고 클러스터내의 특화된 서비스활 동, 노동시장 및 사업서비스 등을 공유, 발전의 비전과 전략 공유

Æ 혁신은 기술적 과정일 뿐 아니라 사회의 제도적 및 문화적 맥락과 독립적으로 이해될 수 없는 사회 문화적 과정.

혁신 혁신 클러스터 클러스터

z 성공적인 혁신 클러스터:

z 효율적 네트워킹, 생산성 향상, 빠르고 쉬운 접근성, 비용절감, 품질향상, 기업간 제휴, 네트워킹의 기회가 다양해지는 하드웨어적인 이점

z 공동의 비전을 공유하며, 상호의존성을 강화하고 대학, 연구기관과 기업간 협력 과 네트워크 형성, 기술이전과 혁신이 활발해지며, 암묵지와 노하우가 풍부해지 고, 효율성이 향상되어 기술혁신, 제품혁신, 공정혁신을 촉진

Æ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에는 효율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산학연 협력이 중심에 있음.

I. 산학연 협력과 혁신 클러스터

(33)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34)

산학연 산학연 협력과 협력과 혁신 혁신 클러스터 클러스터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Industrial Complex

2002 2003

과학도시 혁신도시 과학도시 테크노 혁신도시

파크 테크노

연구 파크

단지 연구

산업 단지

단지 산업 단지

2005

• 산학협력연계

• 연수/재교육 프로그램

• 세미나, 컨퍼런스, 엑스포 등

• 기반시설

• 사업지원기능 (관 리, 마케팅, 정보, 법 무·회계·컨설팅 등)

• 기업간 연계

• 기업간 협력

• 산학연계

• 비공식적 협력, 회의, 포럼 등

• Spin-offs, 기술이전

Research Park Techno Park

• 집단학습

• 테크노마트(technology transfers)

• 제도화(규범공유, 신뢰, 협력적 문화)

• 벤처인큐베이터 Science Park/

Innovative city 산업

집적 산업 집적

(35)

1 2 3

산 ·학·연·관의 기술혁신역량

집적 산 ·학·연·관의 기술혁신역량

집적

z 지역이 가지고 있는 경쟁우위자원을 바탕으로 혁신 클러스터를 형성.

z 미국:스탠포드 리서치파크 등 144개, 독일은 베를린기술단지 등 160개, 핀란드는 오울루테크노폴리스등 10개, 영국은 캠브리지 사이언스파크 등 52개 정도가 조성.

z 혁신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데에 핵심적인 전략은 연계(connect).

z 지역내 기업과 기관들은 연계를 통해 부족한 기술혁신능력과 비용 분담, 개발속도를 높이며 클러스터의 정체성을 확립

z 금융과 창업보육, 기업지원서비스 등 갖추어야 할 지원인프라가 중요.

4

z 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기업을 유치하거나 대행하는 역할수행

z 구성주체들이 연구개발과 생산 활동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도와줌.

연계(connect) 전략 연계(connect)

전략

기술개발과 기술상업화 기술개발과 기술상업화

사이언스 파크의 산학연

협력 사이언스 파크의 산학연

협력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1)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s)

(36)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1)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s)

(37)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2) 기업-대학의 연계(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성공사례 문제점

혁신 클러스터에서 연구`교육의 역할

• 혁신 클러스터의 핵심 성공요인인 지식의 네트워킹과 확산(spill-over),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신기업의 창출(spin-off)을 위해서는, 물리적, 기능적으로 근접한 공간내에서 대학과 기업이 상호작용을 하여야 함.

• 제품혁신에는 기업내의 연구가 대학연구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연구가

• 실리콘밸리의 경우, 대학연구의 확산과 신기업의 창출보다는 연방정부보고됨.

주도의 국방연구와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

• 대학의 연구개발, 기술이전, 기업지원 등의 기능이 체계적으로 지원되는 산학연 네트워크 형성이 혁신 클러스터의 핵심 성공요인.

• 영국 케임브리지 사이언스 파크, 서리대학 리서치 파크, 미국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스웨덴 룬트대학교, 중국의 칭화대학과

중관촌 등의 사례

혁신 클러스터에서 연구`교육의 역할

혁신 클러스터에서 연구`교육의 역할

(38)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2) 기업-대학의 연계(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대학과 기업의 지식교류

• 신뢰에 기반한 사회자본이 형성된 공간내에서 암묵지의 교류형태로

• 대학과 기업의 지식교류는 크게 인적교류(대면접촉), 암묵지의 전파, 나타남.

지식교류의 제도화 등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의 유형과 심화과정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의 유형과 심화과정

- -

+ 기업의 대학 연구시설 이용

+ +/-

+ 수탁연구 및 연구자문

+ +/-

+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의, 특강

+ +

+ 합동, 협동연구 프로젝트 참여

+ +

+ 대학 구성원의 안식년기간동안 기업에서 연구

+ +

+ 대학과 기업간 연구인력의 이동

+ +/-

+/- 대학의 기업 연구인력의 교육과 재교육

+/- +/-

석·박사 논문심사에 기업의 참여 +/-

+ +

- 비공식 모임, 회의, 대화

+ +

- 대학과 기업의 공동논문 작성

+/- +

+ 대학 구성원의 창업

+ +/-

- 대학과 기업이 참여하는 학회, 세미나

- +

+/- 대학 졸업생의 취업

대면접촉 암묵지의 전파

지식교류의 제도화 지식교류의 유형

(39)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2) 기업-대학의 연계(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의 유형과 심화과정

대학과 기업간 지식교류의 유형과 심화과정

17. 대학과 기업간 정기적인 지식교류 16. 연구개발협력: 공동 연구수행 15. 연구개발협력: 대학의 수탁연구 14. 대학 연구결과의 정기적 구입 13. 기업의 대학 연구시설투자

3중 나선구조 형성 12. 연구시설·장비의 공동이용 제도화

상호작용 11. 대학과 기업의 지적재산권 공동소유

10. 대학과 기업의 석·박사 공동지도 9. 대학과 기업의 공동출판

8. 대학의 기업 연구인력 훈련 7. 대학 구성원의 기업 연구인력 지도

수직적 연계 6. 대학 구성원의 고용

인적교류/

5. 대학 연구결과의 비정기적 구입 제도화

4. 심포지엄, 세미나에서 기업과 대학의 토의 3. 대학 구성원의 기업 강연

2.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강연

연계없음(1-5) 1. 기업 연구인력의 대학 컨설팅 인적교류

지식교류의 패턴 지식교류의 대상

지식교류의 유형

(40)

II. 산학연 협력의 모형과 발전

3) 산ㆍ학ㆍ연ㆍ관의 협력(Triple Helix Model)

Triple Helix

• 지방정부의 산학연계 지원·유도정책, 다양한 프로그램지원을 기반, 새로운 지식의 생산이 산학관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환류작용의 산물.

• 대학과 연구기관의 지식과 혁신의 확산과 파급을 강조하는 이론, 학연·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구성,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훈련기능이 기업으로 상시적으로 교호,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혁신클러스터에 정착Æ 혁신네트워크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learning region)으로 발전하는 모형

(41)

III.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과제

(42)

연구개발사업, 기반조성사업, 지원체제 조성 연구개발사업, 기반조성사업, 지원체제 조성

z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 건설교통부 등.

z 국가연구개발사업, 창업지원, 공동연구센터, 기술지도 및 연수, 정보 체제의 정비, 연구시설 공동이용 등이 대표적임. + 서울시 산학연, 누리 z 전략: 기술시장과 자금시장의 활성화, 연계체제의 구축을 통한

연계활성화, SRC, ERC, RRC, TIC, TBI 등의 연계거점 육성사업 등

III.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과제

1) 우리나라의 산학연 협력정책

1) 우리나라의 산학연 협력정책

(43)

III.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의 과제

2) 우리나라 지역의 산학연 협력의 문제 2) 우리나라 지역의 산학연 협력의 문제

대학의 연구비중 발전지체 패러다임의 변화에 둔감 지역의 한계점

•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과학기술연구비중 사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4.9%이며, 대학의 연구비 비중은 10.4%. Æ 미약함. 과학기술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대학과 기업간의 지식교류에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

• 대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은 전자상거래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이용하여 공간마찰을 극복, 대학연구의 성과와 지식의 교류도 한정된

지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

•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과 이와 연계된 대학연구에 대한 지원이 클러스터 정책의 핵심.

• 모든 지역이나 국가가 이처럼 공고한 대학-기업간의 연계를 통한 학습지역으로 성장하는 것은 아님.

• 외부와의 접촉이 적은 지역은 지역경계내에 학습활동을 한정짓기 때문에 경쟁력을 갖추기가 힘듦. Æ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

• 외부로부터의 급격한 기술변화와 상품변화에 둔감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혁명적 변화에는 어두울 위험성.

• 혁신은 산업이 특화되어있을 때 보다는 산업이 다양할 때 더 많아짐.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국가연구센터(NRL), 공공기술이전거래기구 (TLO) 등은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그 효과가 약함.

•누리사업(NURI)을 통해 지역의 혁신 클러스터의 연구 인프라와 지역대학간의 연구협력 활성화, 지역

(44)

IV.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45)

IV.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혁신도시와

혁신도시와 산학연 산학연 협력 협력

z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산·학·연이 유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역의 혁신창출능력을 향상

z 장기적인 지역발전의 역량을 강화

z 주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 기능이 개방적이고 협력적으로 복합

z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를 지향

혁신도시 혁신도시

z 도시내 기업이 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지역적 제도를 통해 정보, 기술, 중개, 교육 및 훈련 등의 서비스를 네트워킹

z 지원과 정책의 양적 확대 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여건을 확충하고, 단기간의 성과보다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일관된 투자와 노력이 필요

z 물리적 투자와 자본투자에 우선하여 클러스터 안에서 원활한 지식흐름 즉, 지식공유 (knowledge sharing)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함.

z 미팅, 포럼, 세미나 등을 통해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하며, 잦은 이직과 창업을 용인하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함.

혁신도시 혁신도시

성공요인 성공요인

(46)

IV.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지역혁신체제

지역혁신체제 성공요인의 성공요인의 변천 변천

(47)

IV. 혁신도시와 산학연 협력의 발전방안

혁신도시와

혁신도시와 성공요소 성공요소

지방정부와 대학의 역할

뿌리내림 Park에서 City로

• 산업과 지원기능이 존재하는 공원(Park)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24시간 일상활동이 있는 도시(city)의 개념으로 전환. Æ 혁신도시의 강점

• 모도시, 주변도시와의 연계강화로 실질적 도시기능의 수행

• 외생 혁신주체들이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과 교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방 산업조직 및 혁신 네트워크 속으로 들어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기능해야 함 Æ 지역의 개방성과 포용성 강화

• 빨대효과, virtual agglomeration효과 최소화, 지역내에서 인력의 순환이 자유로운 인력시장의 유연성을 확보 Æ고급인력의 정착.

• 대학의 수도권과의 연계집착의완화

• 지방정부 구성원의 의식전환, 자부심과 실력향상 필요

• 실천가능한 주제에서 시작: 원천기술도 중요하지만, 생산적용 기술의 상용화, Test bed 등 현실적인목표에서 시작

• 장기: 고급인력의 양성과 정착, 단기: 중급기술인력의 양성과 정착

(48)

혁신도시내

혁신도시내 산 산 · · 학 학 · · 연 연 유치 유치 및 및 협력방안 협력방안

국 토 연 구 원

하 성 덕

2006. 12

(49)

차 차 례 례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 혁신도시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산학연클러스터 구축의 구축의 필요성 필요성

Ⅰ.

Ⅰ Ⅰ . .

Ⅴ.

Ⅴ Ⅴ . . 산학연 산학연 유치 및 협력사례-국내 산학연 유치 유치 및 및 협력사례- 협력사례 -국내 국내

Ⅵ.

Ⅵ. Ⅵ . 혁신도시 혁신도시 산학연 네크워크 구축방향 혁신도시 산학연 산학연 네크워크 네크워크 구축방향 구축방향

Ⅱ.

Ⅱ Ⅱ . . 혁신도시 혁신도시 개요와 추진현황 혁신도시 개요와 개요와 추진현황 추진현황

Ⅳ. Ⅳ

Ⅳ. . 산학연 산학연 유치 및 협력사례-해외 산학연 유치 유치 및 및 협력사례- 협력사례 -해외 해외

Ⅲ.

Ⅲ Ⅲ . . 산학연협력의 산학연협력의 기본개념 및 관련정책동향 산학연협력의 기본개념 기본개념 및 및 관련정책동향 관련정책동향

Ⅶ.

Ⅶ Ⅶ . . 혁신도시 혁신도시 산학연 유치 및 협력방안 혁신도시 산학연 산학연 유치 유치 및 및 협력방안 협력방안

(50)

Ⅰ.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

Ⅰ Ⅰ . . 혁신도시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산학연클러스터 구축의 구축의 필요성 필요성

1. 1. 배경 배경 및 및 필요성 필요성

2. 2. 목적 목적

(51)

zz 목적목적

• • 이전공공기관 이전공공기관 및 및 지역전략산업과 지역전략산업과 기능적으로 기능적으로 연관성이 연관성이 있고, 있고 , 동반 동반 이전시 이전시 시너지 시너지 효과를 효과를 낼 낼 수 수 있는 있는 산 산

·학·

·연·

연 기관의 기관의 혁신도시 혁신도시 내 내 유치 유치 방안 방안 마련 마련

• • 이전 이전 공공기관 공공기관 및 및 유관 유관 산 산

·학·

·연간의·

연간의 협력방안 협력방안 마련 마련

zz 배경배경 및및 필요성필요성

• • 공공기관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지방이전과 연계한 연계한 10개 10 개 혁신도시 혁신도시 건설 건설 본격 본격 추진 추진

• • 이전공공기관만으로는 이전공공기관만으로는 산업연계 산업연계 및 및 자족적 자족적 도시로의 도시로의 성장 성장 한계 한계

• • 혁신도시의 혁신도시의 성장기반 성장기반 마련 마련 및 및 인접지역과 인접지역과 성과 성과 공유 공유

1. 혁신도시 1.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산학연클러스터 구축의 구축의 필요성 필요성 Ⅰ. . 연구개요 연구개요

(52)

1. 1. 혁신도시 혁신도시 미래상 미래상 및 및 성공요소 성공요소 2. 2. 추진현황 추진현황 및 및 계획 계획

3. 3. 혁신도시별 혁신도시별 개발지표 개발지표

Ⅱ. 혁신도시 개요와 추진현황

Ⅱ Ⅱ . . 혁신도시 혁신도시 개요와 개요와 추진현황 추진현황

(53)

1. 혁신도시 1. 혁신도시 미래상 미래상 및 및 성공요소 성공요소

zz 혁신도시혁신도시 미래상미래상

21

21

세기

세기

혁신도시

혁신도시

지역별 테마를 가진

개성있는 특성화 도시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활발한

교육·문화도시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거점도시

누구나 살고싶은

친환경 도시

Ⅱ. Ⅱ . 혁신도시 혁신도시 개요와 개요와 추진현황 추진현황

(54)

1. 혁신도시 1. 혁신도시 미래상 미래상 및 및 성공요소 성공요소

zz 혁신도시혁신도시 목표와목표와 성공요소성공요소

• 교육, 주거, 문화환경 조성

• 혁신도시계획기준에 따른 도시개발

• 지식기반 일자리 창출 - 공공기관의 이전과 정착 - 지식기반 전략사업 유치

• 산학연 교류 촉진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살기좋은도시개발

지방의 자립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에 기여 지방의

지방의

자립화를

자립화를

통한

통한

국가균형발전에

국가균형발전에

기여

기여

산학연클러스터구축

Ⅱ. Ⅱ . 혁신도시 혁신도시 개요와 개요와 추진현황 추진현황

(55)

zz 혁신도시혁신도시 건설건설

2005. 12 : 혁신도시 2005. 12 : 혁신도시 입지선정 입지선정 및 및 이전공공기관 이전공공기관 확정 확정

• • 2006. 11 : 혁신도시지구지정 2006. 11 : 혁신도시지구지정

• • 2007년 2007 년 상반기 상반기 : 개발계획 : 개발계획 및 및 실시계획 실시계획 수립 수립

zz 공공기관공공기관 지방이전지방이전

• • 2010년 2010 년 : 선발 : 선발 이전기관 이전기관 입주 입주

• • 2012년 2012 년 : 공공기관 : 공공기관 지방이전 지방이전

2008년 2008

~ ~ 2020년 2020 년

기업 기업 및 및 연구소, 연구소 , 협력기관 협력기관 유치 유치 : :

산학연 산학연 협력체계 협력체계 증진 증진

3. 3. 추진현황 추진현황 및 및 계획 계획 Ⅱ. . 혁신도시 혁신도시 개요와 개요와 추진현황 추진현황

zz 산학연산학연 유치유치

참조

관련 문서

- 개념과 내용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자유스럽게 제시되고 받아들여진다 - 학습자들 간의 토론/대화/상호작용을

David Teece &amp; Gary Pisano’s framework : 다이나믹한 변화와 기업 학습에 중요한 dynamic capability(여러 혁신 전략 요소들을 통합시켜줌) 를

농업기술 혁신・보급체계 구축, 농업기계화 추진 강화, 농업과 IT기술의 융합 강화 등을 통해 스마트농업의... 2015년에는 ‘농업농촌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

(한국의 역할) 글로벌 차원에서 지역간 동반성장을 위해 선진국과 개도국의 연계와 협력의 촉진자로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에 공감. (지역간 협력 활성화)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기상기술 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이전센터(TLO)

현재까지 개발된 염분차 발전 기술에는 압력지연삼투(Pressure-retarded osmosis) 발전, 역전기 투석(Reverse electrodialysis) 발전, 증기압축(Vapor

이 문제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개괄주의나 열거주의의 입법례로 구분되어 논의 되고 있는데, 전자는 대륙법계의 영향을 받아 자치단체의 일반사무에 대해 의회의 의결을 거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