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MF 경제위기 이후의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 실태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IMF 경제위기 이후의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 실태분석"

Copied!
2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MF 경제위기 이후의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 실태분석

1999.12.

한국경제연구원

(2)

< 연 구 진 >

총괄 및 집필: 이병기 전문위원 연 구 조 정: 박승록 연구위원 집 필: 전인우 선임연구원

조동호 선임연구원

최성수 선임연구원

김주호 선임연구원

김창배 선임연구원

한선옥 선임연구원

서준석 선임연구원

자료문의: 전화 3771-0026

(3)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2장 IMF 경제위기 전후기간의 산업기반 변화 ··· 3

1. 산업기반 변화의 파급효과 ··· 3

2. 실물생산 ··· 3

가. 산업생산 ··· 3

(1) GDP 증가율 ··· 3

(2) 가동율 및 부도율 ··· 4

(3) IMF이후 산업간 생산격차의 심화 ··· 4

나. 기업체 수 및 고용 ··· 6

다. 투자 ··· 7

3. 기술개발 ··· 8

가. 연구개발 투자 ··· 8

나. 연구개발 인력 ··· 8

다. 연구개발과 성장잠재력 ··· 9

4. 구조조정과 경영성과 ··· 9

가. 구조조정 추진 ··· 9

나. 경영성과 ··· 10

제3장 IMF 경제위기 이후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 ··· 12

1. IMF 경제위기 이후의 기업애로요인 ··· 12

2. 산업기반 및 기업구조조정 실태 ··· 13

가. 조사방법 및 조사업체현황 ··· 13

(1) 조사개요 ··· 13

(2) 조사업체현황 ··· 13

나. 조사결과분석 ··· 14

(1) 실물생산기반 ··· 14

(2) 기술개발기반 ··· 24

(3) 경영영업기반 ··· 28

(4) 기업구조조정 추진실태 ··· 30

(5) 사업 및 조직 구조조정 ··· 33

(6) 재무구조 조정 ··· 36

(7) 구조조정의 방향 ··· 38

(4)

(8) 산업기반 확충 및 구조조정 지원과제 ··· 39

제4장 주요산업별․공단별 산업기반 및 구조조정 실태분석 ··· 42

1. 조사의 개요 ··· 42

2. 주요산업별 분석결과 ··· 42

가. 중화학공업 ··· 42

(1) 석유화학산업 ··· 43

(2) 철강산업 ··· 53

(3) 기계산업 ··· 63

(4) 자동차산업 ··· 71

(5) 반도체산업 ··· 81

나. 경공업 ··· 89

(1) 음식료품산업 ··· 89

(2) 섬유산업 ··· 99

다. 산업별 분석결과 요약 ··· 109

3. 주요공단별 분석결과 ··· 113

가. 서울․경기 지역 ··· 113

(1) 구로/부평 ··· 113

(2) 주안/남동 ··· 119

(3) 반월/시화 ··· 130

나. 경남북 지역 ··· 138

(1) 구미/창원 ··· 138

(2) 울산/온산 ··· 150

다. 전라․충청지역 ··· 159

(1) 여천/광양 ··· 159

(2) 천안/청주 ··· 163

라. 공단별 분석결과 요약 ··· 173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177

참고문헌 ··· 183

부 록 ··· 187

(5)

<표차례>

<표1.1> 경제위기 전후의 실물지표 변화추이 ··· 1

<표2.2.1> 기업가동률과 부도율 ··· 4

<표2.2.2> 고성장산업 vs. 저성장산업 : 산출증가율 ··· 5

<표2.2.3> 연도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수 ··· 7

<표2.3.1> IMF이후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투자 변화 ··· 8

<표2.3.2> IMF이후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인력 변화 ··· 9

<표2.4.1> 제조업 경영분석 ··· 11

<표3.1.1> IMF이후 산업기반상의 문제점 ··· 12

<표3.1.2> IMF이후 기업구조조정의 추진 ··· 13

<표3.2.1> 조사대상기업의 특성 ··· 14

<표3.2.2> 공장가동률과 IMF이후 최저공장가동률 ··· 16

<표3.2.3> 기업규모별 연구개발비와 비율 추이 ··· 25

<표4.2.1> 석유화학산업의 생산액 비중 ··· 44

<표4.2.2> 석유화학 산업의 수급 실적 ··· 44

<표4.2.3> 석유화학 산업의 가동률․생산능력․생산 현황 ··· 45

<표4.2.4> 석유화학업종의 동기별 설비투자 동향 ··· 46

<표4.2.5> 설비투자의 중점투자 부문 ··· 47

<표4.2.6> 설비투자의 감소이유 ··· 47

<표4.2.7> 인력수요의 유형 ··· 48

<표4.2.8> 신규인력 채용이유 ··· 49

<표4.2.9> 신규인력채용 미실시 이유 ··· 49

<표4.2.10> 석유화학업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 ··· 50

<표4.2.11> 석유화학업종의 연구인력 보유 동향 ··· 50

<표4.2.12> 석유화학산업의 재무구조와 경영성과 ··· 51

<표4.2.13>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조정 현황 ··· 52

<표4.2.14> 철강산업 수급동향 변화추이 ··· 54

<표4.2.15> 철강업체의 영업환경 변화추이 ··· 55

<표4.2.16> 전세계 철강수출 중 우리 나라의 비중 ··· 55

<표4.2.17> 세계 주요 철강생산국 (’98) ··· 56

<표4.2.18> 철강업체의 조강설비 / 가동율 변화추이 ··· 56

<표4.2.19> 철강업체의 신규시설투자액 변화추이 ··· 57

<표4.2.20> 철강업체의 기계설비매각 변화추이 ··· 58

(6)

<표4.2.21> 철강업체의 공장폐쇄 변화추이 ··· 58

<표4.2.22> 주요국의 철강 제조원가 비교 ··· 59

<표4.2.23> 철강산업의 경영실적 변화추이 ··· 60

<표4.2.24> 철강업체의 이윤율, 부채비율 변화추이 ··· 60

<표4.2.25> 철강업체의 부도 변화추이 ··· 61

<표4.2.26> 기계산업의 비중 ··· 63

<표4.2.27> 기계산업 설비투자 현황 및 전망 ··· 64

<표4.2.28> 기계산업의 가동률 추이 ··· 65

<표4.2.29> 기계업체의 부도추이 ··· 65

<표4.2.30> 기계산업의 기술수준 비교 ··· 66

<표4.2.31> 기계산업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 및 추이 ··· 67

<표4.2.32> 일반기계산업의 주요 경영지표 ··· 68

<표4.2.33> 구조조정 실시 및 내역 ··· 69

<표4.2.34> 연도별 자동차 생산 추이 ··· 73

<표4.2.35> 연도별 자동차 판매 추이 ··· 73

<표4.2.36> 완성차업계의 가동률 추이 ··· 74

<표4.2.37> 투자동기별 투자규모 추이 ··· 75

<표4.2.38> 연도별 완성차업체 고용 추이 ··· 75

<표4.2.39> 자동차분야 특허 및 실용신안 동향 ··· 76

<표4.2.40> 기아자동차 부도유예 이후 부품업체 부도 추이 ··· 77

<표4.2.41> 외국 자동차부품업체의 자본투자 추이 ··· 78

<표4.2.42> 1998년중 완성차업체 임금협상 내역 ··· 79

<표4.2.43> 국내 자동차부품업체와 해외업체간 주요 M&A 사례 ··· 79

<표4.2.44> 반도체업체 현황 ··· 81

<표4.2.45> 세계시장 점유율 ··· 82

<표4.2.46> 반도체 수출 추이 ··· 82

<표4.2.47> 반도체산업의 비중 ··· 83

<표4.2.48> 주요국별 반도체 생산구조 ··· 83

<표4.2.49> 반도체 품목별 수출 추이 ··· 84

<표4.2.50> 반도체 장비 및 재료의 국산화율 ··· 84

<표4.2.51> D램 반도체 제조원가 ··· 85

<표4.2.52> 반도체 기술수준 ··· 85

<표4.2.53> 국내 반도체업체들의 설비투자 ··· 86

(7)

<표4.2.55> 국내 반도체산업의 구조조정 내용 ··· 87

<표4.2.56> D램 반도체 매출 순위 ··· 88

<표4.2.57> 국내 반도체 2사의 부채비율 ··· 88

<표4.2.58> 음식료품산업의 제조업상 비중 ··· 90

<표4.2.59> 음식료품산업의 수급현황 및 전망 ··· 90

<표4.2.60> 음식료품산업의 생산능력지수 ··· 91

<표4.2.61> 음식료품산업의 가동율 ··· 92

<표4.2.62> 설비투자 전망 ··· 93

<표4.2.63> 국내식품산업의 연구개발투자 ··· 94

<표4.2.64> 연도별 식품산업의 기술료 지급현황 ··· 94

<표4.2.65> 주요 식품업체들의 신규사업 진출형태 ··· 97

<표4.2.66> 음식료품산업의 주요 경영지 ··· 97

<표4.2.67> 섬유류 수급 ··· 100

<표4.2.68> 섬유류 수출입동향 ··· 101

<표4.2.69> 섬유제품의 생산관련지수 변화 ··· 101

<표4.2.70> 섬유업체수와 고용 추이 ··· 103

<표4.2.71> 섬유산업의 부문별 설비투자 동향 ··· 103

<표4.2.72> 섬유제조업의 경영분석 추이 ··· 104

<표4.2.73> 연도별 해외투자현황 ··· 106

<표4.3.1> 규모 면에서 본 구로 및 부평공단의 현황 ··· 113

<표4.3.2> 구로 및 부평공단의 업종별 분포 ··· 114

<표4.3.3> 구로 및 부평공단의 생산 추이 ··· 114

<표4.3.4> 구로 및 부평공단의 수출 추이 ··· 114

<표4.3.5> 구로 및 부평공단의 입주업체의 가동추이 ··· 115

<표4.3.6> 설비투자의 중점투자 부문 ··· 117

<표4.3.7> 구로 및 부평공단의 고용 추이 ··· 118

<표4.3.8> 구로 및 부평공단의 구조조정 형태 ··· 118

<표4.3.9> 주안․남동산업단지의 현황 ··· 121

<표4.3.10> 주안․남동단지의 산업비중 추이 ··· 123

<표4.3.11> 주안산단의 경기추이 ··· 124

<표4.3.12> 남동산단의 경기추이 ··· 124

<표4.3.13> 가동률 추이 ··· 125

<표4.3.14> 단지별 업체 가동 현황 ··· 125

<표4.3.15> 설비투자 추이 ··· 126

(8)

<표4.3.16> 산업단지별 고용변동 추이 ··· 126

<표4.3.17> 업종별 고용증감 ··· 127

<표4.3.18> 노조결성 현황 ··· 127

<표4.3.19> 구조조정의 필요성 및 형태 ··· 128

<표4.3.20> 규모면에서 본 반월 및 시화공단의 현황 ··· 130

<표4.3.21> 반월 및 시화공단의 업종별 분포 ··· 131

<표4.3.22> 반월 및 시화공단의 생산 추이 ··· 131

<표4.3.23> 반월 및 시화공단의 수출 추이 ··· 132

<표4.3.24> 반월 및 시화공단의 공장가동률 추이 ··· 133

<표4.3.25> 설비투자의 중점투자 부문 ··· 133

<표4.3.26> 반월 및 시화공단의 고용 추이 ··· 134

<표4.3.27> 인력수요의 유형 ··· 135

<표4.3.28> 반월 및 시화공단의 구조조정 형태 ··· 136

<표4.3.29> 구미공단 입주업체현황 ··· 139

<표4.3.30> 구미공단 업종별 생산, 수출, 고용 ··· 140

<표4.3.31> 구미공단의 고용사정 추이 ··· 141

<표4.3.32> 입주업체, 가동업체, 휴폐업업체 추이 ··· 142

<표4.3.33> 구미공단의 구조조정 형태 ··· 143

<표4.3.34> 창원공단 입주업체현황 ··· 145

<표4.3.35> 창원공단 업종별 생산, 수출, 고용 ··· 146

<표4.3.36> 창원공단의 고용사정 추이 ··· 147

<표4.3.37> 입주업체, 가동업체, 휴폐업업체 추이 ··· 148

<표4.3.38> 창원 구조조정 형태 ··· 149

<표4.3.39> 울산 및 온산공단의 생산 추이 ··· 151

<표4.3.40> 울산 및 온산공단내 입주업체의 가동추이 ··· 152

<표4.3.41> 설비투자의 중점투자 부문 ··· 154

<표4.3.42> 인력수요의 유형 ··· 155

<표4.3.43> 신규인력 채용이유 ··· 156

<표4.3.44> 신규인력 채용 미실시 이유 ··· 156

<표4.3.45> 울산 및 온산공단의 구조조정 형태 ··· 157

<표4.3.46> 여천공단의 입주업체 현황 ··· 160

<표4.3.47> 여천공단의 생산액과 수출액 변화추이 ··· 160

<표4.3.48> 1997. 12 현재 여천공단의 주요 산업별 생산현황 ··· 161

(9)

<표4.3.50> 여천공단의 근로자수 변화추이 ··· 162

<표4.3.51> 여천공단 기업들의 임금인상률 변화추이 ··· 162

<표4.3.52> 광양공단 기업들의 공장가동율 변화추이 ··· 162

<표4.3.53> 여천공단 기업들의 공장폐쇄 변화추이 ··· 163

<표4.3.54> 천안․청주지방산업단지의 개요 ··· 163

<표4.3.55> 산업단지의 업종별 분포 ··· 164

<표4.3.56> 천안 및 청주산업단지의 생산추이 ··· 164

<표4.3.57> 천안 및 청주산업단지의 수출추이 ··· 165

<표4.3.58> 천안 및 청주산업단의 공장가동율 추이 ··· 167

<표4.3.59> 단지내 고용인원의 추이 ··· 168

<표5.1> 제조업의 산업기반 변화 및 기업구조조정 실태 ··· 178

<표5.2> 주요산업의 산업기반변화 및 구조조정 ··· 179

<표5.3> 주요공단의 산업기반 및 구조조정 ··· 180

(10)

<그림차례>

<그림2.2.1> 분기별 성장률 추이 ··· 4

<그림2.2.2> 제조업전체와 호황산업의 생산증가율 추이 ··· 5

<그림2.2.3> 설비투자 증가율 ··· 7

<그림3.2.1> IMF전후 공장가동율 변화 ··· 15

<그림3.2.2> 투자증가율 ··· 17

<그림3.2.3> 고정자산투자 감소이유 ··· 17

<그림3.2.4> 부도(위험)경험여부 ··· 19

<그림3.2.5> 부도원인 ··· 20

<그림3.2.6> 기업자산의 변화 ··· 21

<그림3.2.7> 인력조정 ··· 22

<그림3.2.8> 업체당 평균 종업원수의 변화 ··· 23

<그림3.2.9> 인력조정 부문 ··· 23

<그림3.2.10> 인력구조조정 직급 ··· 24

<그림3.2.11> 연구개발 투자비율 ··· 25

<그림3.2.12> 연구개발인력의 변화 ··· 26

<그림3.2.13> 기업 연구부서의 변화 ··· 27

<그림3.2.14> 연구개발부문의 조정 ··· 27

<그림3.2.15> IMF이후 영업망 변화 ··· 28

<그림3.2.16> 수위탁 거래관계의 변화 ··· 29

<그림3.2.17> IMF이후 노사관계 ··· 30

<그림3.2.18> 구조조정 추진여부 ··· 31

<그림3.2.19> 구조조정 추진형태 ··· 32

<그림3.2.20> 구조조정 성과 ··· 33

<그림3.2.21> IMF 경제위기 이후 사업영역변경 ··· 33

<그림3.2.22> 사업영역 조정 형태 ··· 34

<그림3.2.23> 내부조직의 개편 ··· 35

<그림3.2.24> 내부조직개편의 형태 ··· 36

<그림3.2.25> 재무구조 건전화 노력 ··· 36

<그림3.2.26> 부채비율의 변화 ··· 37

<그림3.2.27> 자금조달경로 ··· 38

<그림3.2.28> 구조조정 방향 ··· 39

(11)

<그림3.2.30> 기술개발지원의 방향 ··· 40

<그림3.2.31> 관련제도의 개선 ··· 41

<그림4.2.1>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비중 ··· 43

<그림4.2.2> 석유화학 산업의 가동률․생산능력․생산 현황 ··· 45

<그림4.2.3> 석유화학산업의 고용 추이 ··· 48

<그림4.2.4> 섬유산업의 국민경제 비중 추이 ··· 100

<그림4.3.1> 구로 및 부평공단의 공장가동률 추이 ··· 116

<그림4.3.2> 주안공단 산업기반 추이 ··· 122

<그림4.3.3> 남동공단 산업기반 추이 ··· 123

<그림4.3.4> 구미공단의 분기별 실물생산기반 추이 ··· 141

<그림4.3.5> 설비투자 BSI(구미공단) ··· 143

<그림4.3.6> 창원공단의 분기별 실물생산기반 추이 ··· 147

<그림4.3.7> 설비투자 BSI(창원공단) ··· 148

<그림4.3.8> 울산 및 온산공단의 공장가동률 추이 ··· 153

<그림4.3.9> 울산 및 온산공단의 고용 추이 ··· 155

(12)

제1장 서론

○ IMF 경제위기이후 악화되던 한국경제는 최근 빠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음.

- 경제성장률은 급반등, 실업률은 하락.

- 수출의 증가와 가동율의 증가.

<표1.1> 경제위기 전후의 실물지표 변화추이

경제성장율 설비투자증가율 수출증가율 가동율 실업률

1996 6.8 9.1 3.7 80.9 2.0

1997 5.0 -8.7 5.0 79.0 2.6

1998 -5.8 -38.5 -2.8 68.1 6.8

1999. 1-9월 7.31) 24.81) 3.7 75.9 6.8 주) 1) 경제성장률, 설비투자증가율은 1∼6월기간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임.

2) 수출증가율, 가동률, 실업률은 1999년도 1∼9월기간의 수치임.

자료) 통계청,『산업활동동향』, 한국은행,『국민계정』, 관세청,『수출입동향』

○ 일부산업은 호황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산업에서는 구조조정이 지속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

- 일부에서는 반도체 호황에 따른 경제착시현상을 우려.

○ 경제지표상으로 IMF 경제위기를 잘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IMF 경제위기이후 산업기반은 많은 변화를 보였으며 은행과 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구조조정이 단행된 바 있으며, 경기위축과 함께 많은 기업의 도산과 퇴출이 있었고 기존기업의 내부구조조정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과정에서 실물생산, 기술개발, 영업기반 등을 중심으로 한 산업기반이 많이 변화하였을 것으로 보임. 이러한 산업기반의 변화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13)

보임.

-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중 일부는 순환적인 경제위기에 빠지는 문제점을 보여주 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산업기반의 변화와 구조조정의 문제는 매우 중요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IMF 전후기간의 경제전반에 대한 산업기반 실태 분석

- IMF이후 전개된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실태 분석.

- 주요 산업별․공단별 산업기반 변화와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IMF이후 산업기반의 변화 및 기업구조조정 과정에 서 나타난 문제점 및 정책과제가 무엇인가를 조사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제1장의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IMF 전후 기간의 산업기반 변화추이를 실물생산, 기술개발,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거시자 료를 이용하여 분석함. 제3장에서는 IMF 이후 전개된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 정 실태를 실물생산기반, 기술개발기반, 경영영업기반 등으로 나누어 기업수준 에서 조사함. 제4장에서는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의 실태를 주요산업별, 주 요공단별로 나누어 심층분석하며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정책적 시사 점을 제시함.

(14)

제2장 IMF 경제위기 전후기간의 산업기반 변화

1. 산업기반 변화의 파급효과

○ 산업기반(industrial fundamentals)은 경제의 실물생산, 기술개발, 경영 및 영업 등 산업전반의 능력을 의미.

- 실물생산 능력; 자본, 노동

- 기술적인 능력; 연구개발 투자, 연구인력, 연구조직

- 기업경영 능력; 판매망, 산업네트워크

○ 산업기반 변화의 파급효과

- 부정적 측면; 산업기반의 유실 → 경제성장률 저하, 성장잠재력 저하

- 긍정적 측면; 산업 및 기업의 구조조정 → 단기경제성장률 둔화, 장기경제성장 률 증가

2. 실물생산

가. 산업생산

(1) GDP 증가율

(15)

있음.

<그림2.2.1> 분기별 성장률 추이

(2) 가동율 및 부도율

○ IMF이후 기업가동률의 저하, 기업부도율의 증가가 뚜렷이 나타남.

∙ 가동률의 최저점은 1998년 3/4분기의 66.7%

∙ 부도율의 최고점은 1998년 1/4분기의 0.20%

<표2.2.1> 기업가동률과 부도율 -15

-10 -5 0 5 10 15 20 25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GDP 제조업

(16)

(단위: %)

1996 1997 1998 1999

III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평균가동률 80.3 78.6 80.1 80.1 77.4 68.8. 67.0 66.7 69.9 71.3 76.8 79.5

부도율 0.08 0.09 0.10 0.10 0.12 0.20 0.17 0.11 0.07 0.04 0.04 -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한국은행, 『지역긍뮴통계』

(3) IMF이후 산업간 생산격차의 심화

○ IMF이후 나타난 현상중의 하나는 산업간 성장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임.

○ 최근에는 1995년 보다도 경제내의 반도체 등 전기전자산업의 산업내 비중이 더 욱 높아짐.

- 반도체, 음향통신기기, 자동차산업의 1999.1~9월간의 생산증가율은 각각 92.2%, 41.3%, 55.4%를 나타냄.

- 반면에 가죽․가방․신발산업, 인쇄․출판산업, 의복․모피산업은 각각 동기간 중 -0.9%, -7.2%, 2.2%를 나타냄.

<표2.2.2> 고성장산업 vs. 저성장산업 : 산출증가율

(단위: %)

고성장산업 저성장산업

사무․계산․회계용기계 92.2 가죽․가방․신발 -0.9

영상․음향․통신용기계 41.3 인쇄․출판 -7.2

자동차 및 트레일러 55.4 의복․모피․제품 2.2

목재․나무제품 27.4 비금속광물 3.9

주) 1999년 1∼9월 누계기준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 반도체 경기가 문제가 되었던 1995년 반도체 경기보다도 1999년의 경우 산업간 경기양극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그림2.2.2> 제조업전체와 호황산업의 생산증가율 추이

(17)

산업별 수출통계를 보면 수출이 잘 되는 품목은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자동차 등임.

- 1999년 1~9월 기간에 수출증가율은 경공업 -10.8%, 중화학공업 10.5%로 나타 났음.

∙ 수출감소산업 : 섬유사(-12.8%), 직물(-5.3%), 고무타이어튜브(-5.1), 철강금속제 품(-11.8%)

∙ 수출증가산업 : 정보통신기기(63.7%), 반도체(13.1), 승용자동차(23.6%)

- 이들 주요산업의 산업내 비중 및 수출비중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반도체산업의 제조업내비중 : 1995년 8.6%, 1997년 13.6%, 1999년 25.5%

∙ 전기전자제품의 수출산업내 비중(1999년1~9월) : 31.05%

나. 기업체 수 및 고용

○ 1998년 우리나라 사업체 수는 전년대비 2.5%감소

- 사업체수의 비중은 2차 산업의 비중이 감소추세를 나타낸 반면에 3차 산업은

-60 -40 -20 0 20 40 60 80 100 120 140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분기 전년 동분기 대비(%)

제조업 사무,계산 및 회계용기계

영상, 음향 및 통신기계 자동차 및 트레일러

1995 1996 1997 1998 1999

(18)

꾸준히 증가.

∙ 1993년∼1998년 기간중 2차 산업의 사업체비중은 14.6%→12.5%, 3차 산업의 비중은 85.3%→87.3%로 변화.

○ 1998년도 종사자수는 전년대비 7.7%나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1997년 이후 연 속 감소한 것임.

- 경제위기 이후 불황 및 구조조정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고용 감소.

∙ 건설업 : -27.7%, 제조업 : -10.2%, 금융업 : -10.0%

<표2.2.3> 연도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수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사업체수(천개) 2304

(-)

2518 (9.3)

2771 (10.0)

2808 (1.3)

2854 (1.6)

2782 (-2.5) 종사자수(천명) 12245

(-)

12584 (2.8)

13634 (8.3)

14007 (2.7)

13470 (-3.8)

12433 (-7.7)

주) * : 자영주 및 무급가족, 상용종사자, 임시직 및 일일종사자, 무급종사자 포함.

자료) 통계청, 『사업체 기초통계조사보고서』,1999.9.

○ IMF 경제위기 이후 사업체수, 고용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다. 투자

○ IMF직후부터 투자증가율은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함.

- 1997년 3/4분기 이후 설비투자 증가율은 감소하기 시작.

∙ 1998년도 2/4분기에 -48.6%의 설비투자증가율을 나타낸 이후 감소율 둔화

∙ 1999년부터 설비투자가 증가하기 시작

<그림2.2.3> 설비투자 증가율

(19)

-60 -40 -20 0 20 40 60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IV I II III

설비투자증가율

1996 1997 1998 1999

(20)

3. 기술개발

가. 연구개발 투자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액은 1996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상태에 있음.

- 1996 : 2.96%, 1997년 : 2.77%, 1998년 : 2.44%

○ IMF이후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투자 일시 감소, 1999년 R&D 투자증가 예상.

- 연구개발투자는 1998년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1999년의 연구개 발투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대기업의 연구개발투자액은 1998년에 감소하다가 1999년에 증가할 것으로 전망.

∙ IMF 경제위기 이후 기간에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

<표2.3.1> IMF이후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투자 변화

1997년 실적 98년예상 99년전망

연구개발투자 (10억원)

10,068 8,931(-11.3) 10,239(14.6) 대기업 8,853 7,536(-14.9) 8,281(9.9) 중소기업 1,215 1,395(14.8) 1,958(40.3) 주) ( )은 전년대비 증가율

자료) 산기협(1999)

나. 연구개발 인력

○ 연구개발 인력도 역시 IMF이후 감소현상을 지속.

-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인력은 1997년에는 전년과 거의 유사하였지만 1999년에 는 전년대비 10.1%증가 전망.

∙ 대기업의 연구개발인력은 1998년도 -4.8% 감소하였으나 1999년에 증가 예상.

(21)

<표2.3.2> IMF이후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인력 변화 1997년 실적 98년예상 99년전망 연구인력

(명)

84,618 84,581(-0.0) 93,124(10.1) 대기업 60,791 57,882(-4.8) 63,554(9.8) 중소기업 23,827 26,699(12.1) 29,570(10.8) 주) ( )은 전년대비 증가율

자료) 산기협(1999)

다. 연구개발과 성장잠재력

○ 연구개발활동의 위축은 장기적인 국내기업의 경쟁력 및 성장잠재력의 저하를 초래.

- 연구개발투자의 위축과 연구개발인력의 감축은 장래의 성장잠재력 약화로 귀 결될 수 밖에 없음.

○ 연구개발활동 활성화를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임.

4. 구조조정과 경영성과

가. 구조조정 추진

○ 구조조정 5개항에 나타난 기업구조조정의 방향.

- IMF직후인 1998년 1월 정부와 5개 기업집단간의 합의 사항.

- 기업경영투명성 제고.

- 상호지급보증의 해소.

(22)

- 재무구조의 획기적 개선.

- 핵심부문의 설정과 중소기업 협력강화.

- 지배주주 및 경영진의 책임강화.

○ 부실기업 및 은행의 퇴출.

- 1998년 5월 : 기업부실판정위원회는 5대 기업집단소속 20개 기업 등 55개 퇴 출기업을 선정 발표.

- 1998년 6월 : 금융감독위원회는 BIS비율 8%미만인 12개 부실은행중 7개은행에 대해서는 경영정상화계획을 조건부승인하고 5개은행을 퇴출.

∙ 조건부승인 은행 : 조흥은행, 상업은행, 한일은행, 외환은행, 평화은행, 강원 은행, 충북은행

∙ 은행퇴출 : 대동은행(국민은행), 동남은행(주택은행), 동화은행(신한은행), 경 기은행(한미은행), 충청은행(하나은행)

※( )은 인수은행임.

○ 기업개선작업 실시.

-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개선작업을 실시.

○ 대규모기업집단의 사업교환.

- 중복투자 및 과잉설비를 해소하고 규모의 경제등을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기 업집단 소속의 일부사업을 상호교환.

- 대상산업 : 석유화학, 항공기, 철도차량, 선박용 엔진, 발전설비, 반도체, 정유

(23)

○ IMF이후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등 모든 면에서 기업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수익성 : 1995→1998년 기간중 총자산경상이익률은 3.59%→-1.52%로 하락.

- 안정성 : 1995→1997→1998년기간중 부채비율은 286.8%→396.3%→303.0%로 변화.

- 성장성 : 매출액증가율은 1995년→1998년기간에 20.44%→0.71%로 격감.

<표2.4.1> 제조업 경영분석

1995 1996 1997 1998 수익성

매출액영업이익률 8.33 6.54 8.25 6.11

매출액경상이익률 3.60 0.99 -0.34 -1.84 총자산경상이익률 3.59 0.93 -0.30 -1.52

안정성 자기자본비율 25.86 23.97 20.15 24.81

부채비율 286.75 317.11 396.25 303.02

성장성 매출액증가율 20.44 10.26 11.02 0.71

총자산증가율 19.32 15.01 22.39 3.47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 1999년이후 기업의 수익성 및 성장성은 회복될 것으로 전망.

(24)

제3장 IMF 경제위기 이후 산업기반 변화와 구조조정

1. IMF 경제위기 이후의 기업애로요인

○ IMF 경제위기 이후 나타난 산업기반상 문제점.

- IMF전후 기간에 국내기업의 생산, 설비능력, 판매, 연구개발, 인력, 기업경영, 산업네트워크 등 여러 측면에서 에서 산업기반의 변화초래.

<표3.1.1> IMF이후 산업기반상의 문제점

구분 산업기반상의 문제점

실물생산기반

ꠏ 공장가동률 저하 ꠏ 고정자산투자 축소 ꠏ 부도위험 증가 ꠏ 기업자산의 변화 ꠏ 기업내 인력조정

기술개발기반

ꠏ 연구개발투자 감소 ꠏ 연구개발인력의 축소 ꠏ 연구개발부서 축소 ꠏ 연구개발과제의 중단

경영영업기반

ꠏ 기업영업망 유실

ꠏ 기업간 수위탁거래 관계의 변화 ꠏ 노사관계의 변화

ꠏ 산업네트워크의 상실

○ IMF 경제위기 이후 많은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착수.

- 인력조정, 조직개편, 계열회사정리등 구조조정의 착수와 함께 사업 및 조직구 조조정, 재무구조정을 단행한 기업이 많음.

(25)

<표3.1.2> IMF이후 기업구조조정의 추진

구분 기업의 구조조정 추진

사업구조조정 ꠏ 사업영역의 변화

ꠏ 핵심사업 강화/한계사업 철수 조직구조조정

ꠏ 기업내부조직의 개편 ꠏ 사업부서 통폐합 ꠏ 계층조직 단순화 재무구조조정

ꠏ 재무구조 건전화 노력 ꠏ 부채비율 축소

ꠏ 자금조달경로의 변화

2. 산업기반 및 기업구조조정 실태

가. 조사방법 및 조사업체현황

(1) 조사개요

○ 이번 조사는 1999.10.1∼1999.10.30일까지 기간에 전국의 중소기업 및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함.

○ 전국(제주도제외)의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종업원 규모별, 지역별로 나누어 311개 기업체에 대해 조사하였음.

- 조사대상업체는 IMF 경제위기를 넘긴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소 의 통계적인 편의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2) 조사업체현황

○ 전체조사대상기업의 기업규모별, 산업별, 지역별 분포.

- 전체 311개 기업의 기업은 종업원규모별로 볼 때, 종업원규모 5∼49인인 영세 기업은 전체조사대상기업의 33.8%를 차지하는 105개 기업, 50∼299인의 중견 기업은 전체의 35.7%를 차지하는 111개 기업, 300인 이상인 대기업은 전체의

(26)

30.5%를 차지하는 95개 기업으로 구성됨.

- 매출액중 수출의 비중이 50%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으로 분류할 때 수출기업 은 전체기업의 약 23.6%, 내수기업은 76.4%를 차지하고 있음.

○ 전체조사대상 기업의 업종은 음식료품, 섬유․의복․가죽, 목재․펄프․종이, 석 유화학․고무제품, 비금속광물․철강, 조립금속․기계, 영상․음향․의료정밀, 자동차․운송장비 등 8개 산업으로 나누어 분석함.

<표3.2.1> 조사대상기업의 특성

사례수 백분율

종업원규모

5∼49인 50∼299인 300인 이상

105 111 95

33.8 35.7 30.5

업종

음식료품제조

섬유, 의복, 가죽제조 목재, 펄프, 종이제조 석유화학, 고무제조 비금속광물 및 1차금속 조립금속 및 기계제조 영상음향, 의료정밀제조 자동차, 운송장비제조

22 64 33 39 27 87 20 19

7.1 20.6 10.6 12.5 8.7 28.0

6.4 6.1

권역

서울 경기/인천 대전/충청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경남

92 77 27 21 37 57

29.6 24.8 8.7 6.8 11.9 18.3 수출/내수 수출기업

내수기업

69 223

23.6 76.4

나. 조사결과분석

(1) 실물생산기반

(27)

○ IMF 전후의 평균 공장가동률은 1996년 87.5%, 1997년 85.4%, 1998년 74.9%, 1999년(추정치) 83.4%로 1998년을 저점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영세기업은 평균가동률의 저하가 있었음.

- IMF 이전인 1996년에 영세기업의 평균 공장가동률은 88.3%였지만 1998년에는 69.5%로 급격히 하락함.

○ 지역적으로 보면 광주/전라지역의 공장가동률이 급격히 저하함.

- 이 지역의 경우, 1996년 90.8%에서 1998년 68.1%로 하락.

<그림3.2.1> IMF전후 공장가동율 변화

○ IMF이후 공장가동률은 최하 53.3%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세기업의 경우 47.5%, 중견기업은 53.6%, 대기업의 경우 59.8%까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됨.

- 산업별로는 조립금속 및 기계산업이 45.8%로 가장 낮았으며 수출기업보다는 내수기업의 최저 공장가동률이 낮았음. 이것은 IMF이후 수출은 환율의 영향 으로 잘 되었으나 내수시장은 위축된 때문으로 보임.

(28)

<표3.2.2> 공장가동률과 IMF이후 최저공장가동률

(단위: %)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추정치

IMF직후 최저 공장가동율 종업원

규모

5∼49인 50∼299인 300인 이상

88.3 86.8 87.6

83.6 85.3 87.3

69.5 77.5 77.4

80.0 85.4 84.5

47.5 53.6 59.8

업종

음식료품제조

섬유, 의복, 가죽제조 목재, 펄프, 종이제조 석유화학, 고무제조 비금속광물 및 1차금속 조립금속 및 기계제조 영상음향, 의료정밀제조 자동차, 운송장비제조

88.6 91.7 90.3 80.9 79.6 88.7 87.1 88.6

85.5 86.9 89.3 81.0 79.5 86.0 86.7 87.3

81.2 82.5 80.2 74.8 68.3 70.1 75.0 64.8

81.7 85.5 85.1 83.0 80.2 79.9 89.8 89.8

59.6 57.0 58.2 57.2 45.8 48.3 58.3 51.4

지역

서울 경기/인천 대전/충청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경남

87.8 87.3 84.3 90.8 88.0 87.5

86.7 85.3 82.6 84.8 84.8 85.2

77.0 71.3 73.4 68.1 79.8 76.1

83.4 83.4 79.3 81.5 85.7 84.1

57.5 51.7 45.2 54.5 53.8 52.6 시장기반 수출기업

내수기업

88.2 87.3

88.6 84.5

84.0 72.5

85.9 83.0

58.1 53.0

2) 고정자산 투자증가율

○ 고정자산 투자증가율은 1996년 20.8%, 1997년 20.9%, 1998년 13.0%, 1999년(추정 치) 20.9%로 1998년을 저점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9)

<그림3.2.2> 투자증가율

3

) 고정자산 투자율 감소이유

○ IMF이후 고정자산이 감소한 기업 중 고정자산 투자율이 하락한 가장 큰 이유로 는 사업전망 불투명이 39.2%로 가장 높았으며, 내부자금의 부족 32.3%, 유휴시 설의 과잉해소 19.6%, 은행의 대출거부 2.5%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1999년 석유화학, 음식료품 제조업의 고정자산투자율 회복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전망됨.

<그림3.2.3> 고정자산투자 감소이유

(30)

○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경우, 사업전망 불투명, 유휴시설의 과잉해소라는 이유가 많았고, 영세기업의 경우 내부자금 부족 및 사업전망 불투명이라는 지적이 상대 적으로 높았음.

- 비금속광물․1차금속산업의 53.8%는 과잉설비의 해소, 전자 및 자동차는 각각 60.0%, 57.1%가 각각 사업전망의 불투명을 꼽았으며 내부자금이 부족해서라고 응답한 기업은 섬유․의복․가죽산업이 50.0%, 조립금속 및 기계산업이 41.5%

로 나타남.

4) IMF이후 부도위험 경험

○ IMF이후 국내기업은 많은 부도를 경험하였음.

- 이미 부도처리된 기업이나 퇴출된 기업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을 감 안하면 부도나 부도처리된 기업비중은 더 높을 것으로 보임.

○ 조사대상기업중 기업의 부도가 날 뻔했다는 기업이 14.8%, 기업부도후 재기한 업체가 2.3%, 현재 부도위험에 있는 업체가 1.3%, 현재 법정관리 또는 화의 중 이라는 업체가 6.1%로 나타났음. 조사대상기업중 75.6%는 부도위험에 처한 바 없다고 응답함.

- 앞의 제2장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IMF직후 부도율은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 하는 추세를 나타냄. 1998년 1/4분기와 2/4분기의 부도율은 0.20%, 0.17%를 나타냄.

(31)

<그림3.2.4> 부도(위험)경험여부

○ 규모별로는 50∼299인의 중소규모 사업체가 부도위험에 처한 바 없다는 응답이 84.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300인 이상의 대규모 73.7%, 5∼49인의 영세 규모에서는 67.6%로 나타남.

- 영세기업은 부도위험에 처했던 경험이 있는 기업비율이 가장 높은 23.8%였으 며, 대기업의 경우 11.6%의 기업이 법정관리나 화의 상태에 있다고 응답함.

○ 산업별로는 화학산업이 부도위험에 처한 바 없다는 응답이 84.6%로 가장 높았 으며, 음식료품, 목재 등 기타제조업이 67.3%로 가장 낮음.

- 자동차․운송장비제조업의 경우 부도가 나지 않았지만 부도위험에 처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26.3%로 매우 높았음. 이것은 기아자동차 및 삼성자동차 사태 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이들 공장이 있는 경기/인천지역 및 부산/경남지역 의 통계에서도 부도위험을 경험한 기업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5) 부도(위험)의 원인

○ 부도가 났거나 부도위험을 경험한 업체들이든 그 원인은 모기업, 계열사 및 거 래처 등 관련기업의 부도(26.3%), 자금조달 곤란(25.0%) 및 높은 부채비율 (25.0%)로 조사됨. 경쟁력있는 제품 부족을 지적한 기업은 6.6%, 경영능력 부족 을 지적한 기업은 6.6% 등으로 나타났으며, 환차손을 지적한 업체도 6.6%에 달 했음.

(32)

<그림3.2.5> 부도원인

○ 영세기업의 경우 관련기업의 부도가 29.4%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의 경우 자 금조달 곤란(32.0%), 높은 부채비율(28.0%)이라는 응답이 높았음.

○ 섬유․의복․가죽산업의 경우, 부도나 부도위험에 처한 원인으로 경쟁력있는 제 품의 부족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23.5%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들 산업이 집중되 어 있는 대구/경북에서 이러한 응답의 비율이 높았음.

- 관련기업부도가 당해기업의 부도원인이라는 응답은 석유화학산업에서 높았으 며, 높은 부채비율이라는 응답은 섬유산업 등에서 높았음.

6) 기업자산의 변화

○ IMF 경제위기 이후 조사대상기업의 약 35%는 기업자산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 로 나타남.

○ IMF 경제위기 이후 기업자산에 어떤 변화가 있었느냐는 물음에 대해 부동산 처 분이 14.5%, 기계장비 처분이 10.6%, 기업의 해외매각 2.3% 순으로 나타났음.

기업자산에 변화없었다는 사업체는 65.0%였음.

- IMF 경제위기 이후 대체적으로 기업자산의 대량매각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부

(33)

음을 보여줌.

- 기계공업진흥회(1999)에 따르면, IMF이후 기계설비거래의 신청과 거래건수가 증가하였으나 최근 경기회복과 더불어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그림3.2.6> 기업자산의 변화

○ 기업자산의 변화사례중 대기업의 경우 부동산 처분이 23.2%로 매우 높았으며, 41.1%가 기업자산의 감소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남. 중견기업의 경우 35.1%, 영 세규모는 29.50%가 자산의 감소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됨.

-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기계장비를 처분한 기업의 비율이 14.3%로 높게 나타나 고 있음.

○ 비금속광물 및 1차 금속산업의 경우, 기업자산의 변화를 경험한 기업이 48.1%로 높게 나타났고, 영상․음향․의료정밀산업의 자산변화는 상대적으로 낮았던 것 으로 조사됨.

7) 인력의 조정

○ IMF이후 기업들은 생산비용을 낮추고 유휴인력의 조정을 위한 고용조정을 실시 하였음.

○ 기업인력을 대폭 조정한 업체는 21.9%, 일부만을 조정한 업체는 45.0%로 전체조

(34)

사대상기업중 66.9%의 기업이 인력을 조정한 것으로 나타남. 전혀 인력을 조정 하지 않은 기업체는 33.1%로 나타났음.

<그림3.2.7> 인력조정

○ 종업원규모 300인 이상 대기업들중 75.8%의 기업은 인력을 조정하였으며, 중견 기업은 64.0%, 영세기업은 61.9%가 인력을 조정하여 규모가 클수록 인력을 조 정한 기업비율이 높았음.

- 인력을 전혀 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높았음.

5~49인 규모의 기업체는 38.1%, 50~299인 기업체는 36.0%, 300인 이상의 기업 체는 24.2%의 기업이 전혀 인력조정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IMF 경제위기 이전에 대기업은 유휴잉여인력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음을 나 타냄.

○ 업체당 평균종업원수의 규모를 보면 1996년에서 1997년, 1998년까지는 계속 감 소하지만 1999년에는 평균 종업원수가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997년은 전년대비 -5.2%, 1998년 전년대비 -12.7%, 1999년 전년대비 1.6% 증 가로 IMF이후 추진된 인력조정이 마무리되고 다시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조 사됨.

(35)

었으나 1999년에는 평균종업원 수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3.2.8> 업체당 평균 종업원수의 변화

8) 인력조정 분야

○ 인력조정이 있었던 기업중 인력을 가장 많이 조정한 분야로는 사무직이 38.5%, 단순노무직이 37.5%, 모든 직종 감원이 13.9%였으며, 고급기술을 가진 인력 4.3%, 거래선 정보를 가진 인력도 1.0%로 나타났음.

<그림3.2.9> 인력조정 부문

(36)

○ 대규모 기업일수록 사무직 인력조정비율이 높았고,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단순노 무직인력 및 고급기술인력의 조정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산업별로는 인력을 조정한 기업중 음식료품 제조업은 72.7%, 석유화학․고무제 조업은 56.5%, 자동차․수송장비제조업은 50.0%의 기업이 사무직 근로자를 대 상으로 고용조정을 단행한 것으로 나타나며 목재․펄프․종이제조업의 경우 단 순노무직의 조정비율이 높았음.

- 조립금속 및 기계산업, 영상․음향기기산업은 고급기술인력의 조정 비율이 상 대적으로 높았음.

9) 인력조정 직급

○ 고용조정을 단행한 기업중 고용조정을 한 직급은 사원급이 56.5%로 가장 많았 고, 과장급 13.5%, 차부장급 11.1%, 이사급 이상 6.8%순이었음. 모든 직종을 조 정했다는 응답도 12.1%로 나타났음.

<그림3.2.10> 인력구조조정 직급

○ 대기업은 모든 직급의 고용조정을 단행하였으며 중견기업은 사원급(62.0%)의 조 정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37)

1) 연구개발 투자비율 변화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비율은 1996년 3.2%를 나타낸 이후 감소하여 1997년 3.0%, 1998년 3.1%를 나타내었으며 1999년(추정치)에는 3.1%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됨.

<그림3.2.11> 연구개발 투자비율

○ IMF이후 대기업의 매출액대비 연구개발 비율은 1998년까지 증가하다가 1999년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반면에 중견기업은 IMF이후 R&D투자비율을 지속 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영세기업은 IMF이후 계속 줄여오던 연구개발비율을 최근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표3.2.3> 기업규모별 연구개발비와 비율 추이

(단위: %)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추정치

<종업원규모>

5∼49인 50∼299인 300인 이상

5.8 2.1 2.7

4.7 2.3 2.7

3.8 2.6 3.2

4.5 3.0 2.3

(38)

2) 연구개발 인력의 변화

○ 조사대상기업의 연구개발인력 변화중 연구개발 인력이 퇴사했다는 응답이 19.7%, 연구개발 인력의 타부서 전환배치가 6.7%로 전체의 26.4%의 사업체는 연구개발인력을 축소한 것으로 응답함.

- 반면에 연구개발인력을 충원했다는 사업체도 19.7%로 나타났으며, 53.9%의 사 업체는 변화없는 것으로 조사됨.

∙ IMF이후 섬유․의복․가죽제조업, 석유화학, 고무제조업 등은 각각 44.4%, 30.0%의 기업이 연구개발인력을 충원하였다고 응답함.

<그림3.2.12> 연구개발인력의 변화

○ 기업규모별로는 영세기업의 연구개발인력의 축소비율이 33.3%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의 30.3%, 중견기업은 16.6%로 가장 적었음.

- 중견기업의 경우 연구개발인력을 충원했다는 비율이 23.3%로 가장 높았음.

○ 산업별로는 화학산업의 연구개발인력 감축이 30.0%로 가장 높았으며, 섬유산업 의 경우 16.7%로 가장 낮았음.

3) 연구개발 부서의 변화

(39)

○ 연구개발부서를 축소했다는 응답이 11.8%, 타부서와 합병했다는 응답이 7.3%, 폐쇄했다는 응답이 1.7%로 전체의 20.8%가 부서를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반 면에 변화없다는 응답은 79.2%로 나타났음.

<그림3.2.13> 기업 연구부서의 변화

○ 기업규모별로는 영세규모가 축소, 폐쇄, 합병했다는 비율이 38.1%로 가장 높았 고, 대규모는 17.0%, 중소 규모는 13.3%로 가장 적었음.

4) 연구개발 부문의 조정

○ 신규기술개발 과제의 착수 중단이라는 응답이 14.9%, 기존 연구개발의 중단이 10.9%, 연구기자재 매각이 0.6%로 나타났음.

<그림3.2.14> 연구개발부문의 조정

(40)

○ 영세규모의 경우 기존연구를 중단한 경우가 25.0%, 신규개발 착수중단이 15.0%

로 조정이 가장 컸음. 대규모의 경우 신규개발 중단이 18.7%, 기존연구 중단이 8.0%였으며, 중소규모의 경우 신규개발중단이 10.2%, 기존연구 중단이 5.1%였음.

(3) 경영영업기반

1) IMF 경제위기 직후 영업망의 변화

○ IMF 경제위기 이후 기업의 산업네트워크상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조사함.

○ IMF 경제위기 이후 기존 영업망이 유실된 경우가 15.1%로 나타난 반면, 신규국 내 거래선 확충(8.4%), 신규 해외시장 개척(18.6%) 등 신규시장개척이 27.0%로 나타났음.

- 기존 영업망을 유지한 경우는 57.9%였음.

<그림3.2.15> IMF이후 영업망 변화

○ 영세기업에서 영업망이 유실된 비율이 23.8%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에서는 신 규 국내거래선 확충(10.5%), 해외시장 개척(23.2%)등 신규시장을 개척한 기업의

(41)

○ 산업별로는 조립금속 및 기계산업과 자동차․운송장비산업에서 각각 28.7%, 26.3%의 기업이 해외시장 개척이라고 응답함.

2) 수위탁 관계의 변화

○ IMF이후 한편으로는 안정․전속적인 거래관계로 진행하는 한편 개방적인 거래 관계를 형성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개방적인 수위탁거래 관계로 전환되었다는 응답은 30.7%로 나타나고 있으며 수위탁 거래관계가 안정적으로 전환되었다는 응답과 전속적인 수위탁거래관계 의 심화라는 응답이 각각 30.1%, 25.3%로 나타나고 있음.

- 수급관계가 단절되었다는 응답이 6.8%로 나타났으며 수위탁거래 관계에 변화 가 없다는 응답은 7.1%로 나타났음.

<그림3.2.16> 수위탁 거래관계의 변화

○ 영세기업의 경우 기업간 수위탁 거래관계가 단절되었다는 응답이 14.7%로 상대 적으로 높았음.

3) IMF 경제위기 직후 노사관계의 변화

○ IMF 경제위기 이후 노사관계는 매우 안정화된 것으로 조사됨.

(42)

- 매우 협력적 관계 형성(29.5%), 협력관계로 변화(58.7%) 등 협력관계로 변화가 88.2%로 압도적이었음.

- 대립적 관계로 변화 7.5%, 매우 대립적 1.6%, 변화없음 2.6%로 조사됨.

<그림3.2.17> IMF이후 노사관계

○ 대기업의 경우 IMF 경제위기 이후 노사관계가 협력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다는 응답이 92.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세기업은 89.3%, 중견기업의 경우 83.2%가 협력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했음.

- 수출기업의 경우 IMF이후 협력적인 관계로 전환되었다는 기업비율이 매우 높 게 나오고 있음.

(4) 기업구조조정 추진실태

1) 기업구조조정 추진여부

○ IMF 경제위기 이후 많은 기업이 기업구조조정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남.

- 기업구조조정위원회에 의한 은행 및 대기업 중소기업의 퇴출 등은 기업구조조

(43)

○ 기업구조조정을 완료한 기업은 34.4%, 기업구조조정을 추진중인 기업은 19.0%로 53.4%가 구조조정을 추진 또는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향후 추진필요성 이 있다는 기업은 14.5%,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32.2%로 나타났음.

<그림3.2.18> 구조조정 추진여부

○ 기업규모가 클수록 기업구조조정 추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대규모의 경우 구조조정을 완료했다는 응답은 35.8%, 추진중 29.5%로 65.3%가 구조조정을 실행하였고, 중소규모의 경우 구조조정을 완료 38.7%, 추진중 14.4%로 53.1%가 실행함.

- 영세규모의 경우 구조조정을 완료한 기업은 28.6%, 추진중인 기업은 14.3%로 42.9%으로 나타남.

○ 산업별로는 조립금속 및 기계산업중 57.4%의 기업이 기업구조조정을 추진한 바 있으며 목재․펄프․종이산업중 57.6%의 기업이 기업구조조정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남.

2) 구조조정 추진형태

○ 기업구조조정의 형태로는 인력조정이 가장 많았음.

- 기업구조조정의 형태로는 인력조정이 4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재무구조 개선 21.7%, 조직개편 20.4%, 생산품목 조정 7.7%, 계열사 정리 4.7%, 소유구

(44)

조 개편 2.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음.

<그림3.2.19> 구조조정 추진형태

○ 기업규모가 작은 기업은 인력조정을 한 비율이 높았고 기업규모가 큰 기업은 재무구조를 조정하였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3) 구조조정의 성과

○ 기업구조조정을 실시한 기업의 기업성과(생산성, 이윤성 등)가 매우 개선되었다 는 응답은 19.3%, 다소 개선되었다는 응답은 64.5%로 IMF이후에 실시된 기업구 조조정이후에 기업성과가 개선되었다는 응답이 83.8%로 나타남.

- 반면에 기업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가 악화되었다는 응답은 12.0%, 크게 악화되었다는 기업의 비율도 3.6%로 나타남.

(45)

<그림3.2.20> 구조조정 성과

○ 모든 기업규모에서 기업구조조정이후 기업성과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대기업의 경우 기업성과가 개선되었다는 응답이 93.6%로 가장 높았으며, 중견 기업은 83.0%, 영세기업은 71.1%의 순이었음.

- 비금속광물․1차철강산업 구조조정은 성과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됨.

(5) 사업 및 조직 구조조정 1) 사업영역 변화실태

○ 사업영역을 일부 변경한 경우가 28.0%, 사업영역을 대폭 조정한 경우가 5.5%로 33.5%가 사업영역을 조정한 것으로 조사됨.

<그림3.2.21> IMF 경제위기 이후 사업영역변경

(46)

○ 영세기업의 37.2%, 대기업의 35.8%, 중견기업의 27.9%가 사업영역을 변경한 것 으로 조사됨.

○ 조립 및 기계산업의 경우 47.1%의 기업이 사업영역을 대폭 또는 일부 조정.

2) 사업영역 조정 형태

○ 각 기업은 IMF 경제위기 이후 새로운 사업진출과 함께 한계사업철수, 핵심사업 강화, 사업매각 등 「선택과 집중」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나타남.

- 사업영역을 조정한 기업의 경우 사업영역조정 형태로는 신규사업 진출이 33.7%로 가장 많았고, 한계산업 철수 30.8%, 핵심사업 강화 29.8%, 일부사업 해외매각 5.8%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3.2.22> 사업영역 조정 형태

○ 대기업의 경우 한계사업 철수(38.2%), 일부사업 해외매각(14.7%) 비율이 높았으 며, 중견기업은 신규사업 진출(38.7%), 핵심사업 강화(35.5%)라는 응답비율이 높 았음.

- 영세기업의 경우 신규사업 진출이라는 응답이 46.2%로 가장 높았음.

3) 기업 내부조직 개편

(47)

○ 기업내부의 조직 및 기능을 대폭 개편한 경우가 10.3%, 일부 개편한 경우가 45.7%로 조사대상기업의 56.0%가 기업조직을 개편한 것으로 조사됨.

<그림3.2.23> 내부조직의 개편

○ 대기업의 경우 73.7%가 개편했으며, 중견기업은 53.2%, 영세기업은 42.9%가 기 업조직을 개편하여 기업규모가 클수록 기업내부조직의 개편비율이 높았음.

- 대기업의 경우, 조직비대화가 심각했던 것이 원인중의 하나로 보임.

○ 음식료품산업, 섬유․의복․가죽산업 등 경공업보다는 영상․음향산업, 자동 차․운송기계산업 등 중공업일수록 조직개편의 비율이 매우 높음.

4) 기업 내부조직 개편형태

○ 기업내부조직을 개편한 기업중 그 형태는 사업부서 통폐합이 48.9%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 계층조직 단순화 24.7%, 사업부제 실시 16.7%, 분사화 단행 6.3% 등의 순으로 나타남.

(48)

<그림3.2.24> 내부조직개편의 형태

○ 대기업의 경우 사업부제 실시(25.7%)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견기업 (27.1%), 영세기업(33.3%)은 계층조직 단순화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내수기업의 경우 사업부서 통폐합이라는 응답은 51.7%를 나타냄.

(6) 재무구조 조정

1) 재무구조 건전화 노력

○ 기업의 재무구조 건전화 노력중에서 생산코스트 절감은 전체조사대상 기업의 39.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접대비, 광고비 등 불필요경비 절감(30.1%), 부 채비율 축소(26.4%), 지급보증 해소(4.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2.25> 재무구조 건전화 노력

(49)

○ 모든 기업규모에서 생산코스트 절감이라는 응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대기업은 부채비율 축소, 중견기업과 영세기업은 불필요 경비절감 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한편 부채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부채비율은 1996년의 366.4%, 1998년에는 240.6%였으나 1999년에는 213.1%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됨.

<그림3.2.26> 부채비율의 변화

2) 기업자금 조달 경로

○ 기업자금의 주된 조달경로로는 일반은행융자가 47.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체 사내유보 34.8%, 증자실시 6.3%, 회사채발행 5.7%, 사채 3.3%, 외자유치 2.8% 등의 순으로 나타남.

(50)

<그림3.2.27> 자금조달경로

○ 대기업의 경우 중견기업이나 영세기업에 비해 회사채발행(16.6%), 외자유치 (4.6%)를 통한 자금조달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견기업은 자체 사내유보 (40.1%), 영세기업은 은행융자(54.9%)와 사채(4.9%)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남.

(7) 구조조정의 방향

○ 향후 기업구조조정의 방향에 대해 7개 항목에 대해 질문한 결과, ① 핵심사업 확충(74.6%) ② 부채비율 축소(71.7%) ③ 비주력사업 축소(50.5%) ④ 계층조직 단순화(47.9%) ⑤ 지급보증 해소(47.6%) ⑥ 부서 통폐합(30.9%) ⑦ 인력감축 (28.9%) 등 순서로 조사됨.

(51)

<그림3.2.28> 구조조정 방향

○ 향후 사업구조조정이 필요

- 핵심사업 확충과 비주력사업 축소 등 사업영역의 조정이 가장 필요하고, 다음 으로 재무구조의 개선을 중요시하고 있음.

- 이미 상당부분 진행된 인력 및 조직의 개편의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대규모 기업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높게 응답했음.

(8) 산업기반 확충 및 구조조정 지원과제

1) 향후 투자계획 분야

○ 향후 투자계획순서는 ① 신제품 생산을 위한 시설투자(28.7%), ② 시설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투자(16.9%), ③ 연구개발 투자(14.6%), ④ 기존시설의 확장을 위한 투자(14.4%), ⑤ 자동화․성력화 투자(13.2%), ⑥ 타업종 진출을 위한 투자 (14.4%), ⑦ 물류관련투자(3.0%), ⑧ 에너지절약 및 공해방지투자 등의 순으로 나타남.

참조

관련 문서

(financial restructuring), 포트폴 리오 구조조정 (portfolio restructuring), 조직 구조조정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보다 높은 법인세 부분은 낮추고 , 낮은 소득세와 소 비세 부분은 높이는 다음과 같은 조세상 구조조정 을 하되 전체적인 세수입은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 다. 두 번째 ,

[r]

— Withou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foreign currency crisis, the IMF reduced government intervention and tried to implement a policy that relied on

수험 부정행위자는 부정행위 이후의

수험 부정행위자는 부정행위 이후의

이후 IMF 경제위기를 거치고 삼성이 1위의 자리를 확고히 할 때에도 이학수는 구조조정 본부장의 역할, 이건희 회장의 총체적 2인자 역할 수행 이학수는

델타 발 수요 위축과 공급 차질 우려 점진적 해소 - 공급부족은 재정 부양과 우호적 경영환경으로 투자 확대, 재고 확충을 지지 - 빠른 경기 복원에도 내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