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리학사 11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리학사 11주"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리학사 11주

담당: 박수경

(2)

지리학사 11주

출석

발표

오늘의 내용: 현대지리학의 대두 및 실증주의 지리학

2

(3)

지리학사 11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지리학

1. 지리학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가지게 됨 2. 영국: 전쟁에서의 공헌-긍정적 평가

3. 미국: 지리학이 전쟁에서 별로 공헌한 것이 없으며, 근본적인 변화 등 은 없다고 피력

4. 독일: 정치, 군사적 활동에 적극적 지원-독일 민족의 생활공간의 확대 및 범게르만 제국의 창설을 지지

(4)

지리학사 11주

지역 개념에 관한 논의

1. 지역지리학의 본질을 둘러싼 두 가지 관점이 존재

- 특정 영역에서 내적 통일성을 창조하는 요인이나 과정이 존재하는가(지 역개체설: 유기체적 존재로 보는 견해)

- 그러한 지역들을 중심으로 경계를 긋는 것이 가능한 문제인가(지역편의 설: 주관적 견해를 견지하는 것)

2. 지역지리학이 당면한 과제

- 언술로서만 지역을 기술한다는 것이 불가 - 일반화에 있어서 문제

- 지역적 통합을 시도할 수 있는 연구들이 부족, 방법론 상에서의 혁신을 끌어내기 어려움

4

(5)

지리학사 11주

하트숀과 셰퍼의 논쟁

1. 셰퍼의 논의-’지리학에서의 예외주의’를 중심으로

- 지리학이 개개의 지역 연구를 하는 것인가 혹은 일반적인 원리를 알아 가는 과정인가에 대한 논의

- 셰퍼의 핵심 논제: 지지연구를 주장하고 있는 견해들을 예외주의라고 비평하고, 지리학에 철학사상을 도입시켜 논리실증주의를 도입하려고 하였음

- 그의 주장은 크게 네 부분으로 정리

(6)

지리학사 11주

1)셰퍼의 논의 중 첫 번째 부분 - 지리학이란 고유한 통합과학

- 지리학자가 알아내려고 하는 것은 현상 자체가 아니라, 현상의 공간 적 배열이라고 주장, 즉 공간관계를 지배하는 법칙을 알아내고, 이를 설명하는 것이 지리학이 과학으로서의 역할이라고 하였음

- 따라서 비공간적 요소로 다뤄지는 학문(지질학, 인류학, 경제학 등)과 는 다르다는 것을 암시하였음

- 계통지리학과 지지와의 관계: 법칙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한 결과는 지역연구로부터 얻음

# 이 부분에서 셰퍼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 음(즉, 헤트너, 하트숀이 지리학의 핵심은 지역이라는 견해와 달리, 지역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회과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견해 라고 언급⇒한 차원 높은 통합적 업무를 이행)

6

(7)

지리학사 11주

2)셰퍼의 논의 중 두 번째 부분 - 예외주의에 대해서 진술

- 지리학이 지역 연구를 한다는 독창성으로 인해서 지리학의 방법론이 일반적인 사회과학방법론과 달라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지리학자들 은 예외주의로 칭함

- 칸트, 헤트너, 하트숀 등의 주장에 대한 반박: 특히, 칸트가 가지고 있 었던 지리학에 대한 견해는 우주론적 사고이지, 과학적인 사고는 아 니라고 비판

(8)

지리학사 11주

3)셰퍼의 논의 중 세 번째 부분

- 칸트의 예외주의 사고를 계승한 헤트너와 하트숀에 대해 비판

- 헤트너가 말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는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 할 수 없고, 결국 이러한 반과학적인 정신은 역사주의라고 비판하였

- 또한 헤트너의 사고를 이어받은 하트숀도 고유성에 대해서 강조하였

- 그렇지만 셰퍼는 사회적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의 법 칙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

8

(9)

지리학사 11주

4)셰퍼의 논의 중 네 번째 부분

- 과학적 접근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 지리학적 당면 과제에 대해서 언

- 통계적 기법

결국, 셰퍼는 법칙추구적 학문으로서의 지리를 강조하면서 1.자연법칙

2.입지법칙

3.과정법칙(공간변수의 중요한 역할)을 분류

(10)

지리학사 11주

2. 셰퍼에 대한 하트숀의 반론

- 셰퍼의 주장은 전체적으로 허위라고 주장

- 과학론적 결정론을 셰퍼가 주장하고 있지만, 이러한 견해는 새로운 것 은 아니라고 반박

- 또한 칸트가 예외주의자의 창시자라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반박

- 그리고 하트숀 자체가 계통지리학과 지지학 사이의 우월성에 대해서 언 급한 바가 없음

- 무엇보다 경관의 변이를 야기시키는 인간의 동기나 내적 의지 등은 법 칙추구를 할 수 없음

- 그렇지만 과학으로서의 지리학에 대한 견해는 동의

10

(11)

지리학사 11주

하트숀과 셰퍼 논쟁의 반응

- 미국 이외에서는 이 둘의 논쟁은 거의 이슈화되지는 못했음

- 그렇지만 과학적 접근방법을 채택하고, 공간적 관점에서 연구해야 하는 지리학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음

- 버제스: 하트숀의 고유성(기술적인 용어의 장소)에 대해서 비판하고, 쉐 퍼의 이론지리학의 정립을 주장

- 그 당시 셰퍼의 견해가 옹호될 수 있었던 것은 경험론적 사고가 후퇴하 고, 이론의 정립과 발달이 강조되었던 철학이 발달하고, 컴퓨터 및 계량 화가 편리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

하트숀 셰퍼

경험적 견해(지리학이란 지리학자

들이 이룩해온 것의 결과) 규범적 견해

(12)

지리학사 11주

지리학의 주요 사고(1759~1950년)의 정리-그림 참조 1. 칸트(1750)

2. 리터(1800) 3. 다윈(1859)

4. 데이비스(1870) 5. 라첼(1880)

6. 비달(1890)

7. 헤트너, 하트숀(1927) 8. 경관지리학(1930) 9. 공간과학(1950)

12

(13)

지리학사 11주

지리학 분야의 발달과정-그림 참조 1. 지리철학: 하트숀

2. 지지(모노그래프): 비달

3. 자연지리학(지형학): 데이비스, 펜크 4. 기후학: 쾌펜

5. 식물지리학 6. 지도투영법

7. 측지학

8. 지도학

9. 인구지리하기 라첼 10. 도시지리학

11. 정치지리학

12. 인관과 경관변화: 쉴뤼터, 사우어 13. 역사지리학

14. 공간구조로: 튀넨, 베버, 크리스탈러, 뢰쉬, 아이사트, 하게스트란드

15. 지역과학, 전파이론 13

(14)

지리학사 11주

실증주의 지리학의 전개 1) 자연지리학과 실증주의

- 지리학은 환경결정론의 전통적 패러다임을 포기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지형학은 그 중요성을 급속도로 잃었음: 주로 지질학 에서 연구가 이루어짐

- 프로세스에 관한 분석: 지형학 연구에 일대 전기를 마련 - 새로운 기법의 개발

- 법칙과 모델의 개발에 대한 관심의 증대

14

(15)

지리학사 11주

실증주의 지리학의 전개

2) 계통적 인문지리학의 공간론 - 주요 학파

아이오와학파: 경제지리학 위스콘신학파: 지도학분야

워싱턴학파: 도시경제지리학, 입지분석, 교통연구 사회물리학파: 거시지리학

영국의 계량학파: 자연, 인문지리학 분야

스웨덴의 룬트학파: 농업지리학 분야

(16)

지리학사 11주

실증주의 지리학의 전개 3) 체계론과 이론지리학 - 논리실증주의

- 신지리학의 등장

하게트

- 신지리학(계량지리학)의 철학적인 기초를 제시하고 신지리학의 방법론과 토대를 구축

- 구체적인 사례를 통계학적인 기법처리를 통해 기하학적인 모델 이나 패러다임을 도출

-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 일반적인 지역을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려고 하였음

16

(17)

지리학사 11주

실증주의 지리학의 한계

1) 실증주의 지리학의 적합성 논쟁

-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에 있어 설명’: 철학과 방법론을 구별하 는 것이 언제나 불가능하다고 지적, 적절한 방법론은 지리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조건을 제공하는 반면, 철학은 충분조건 을 제공한다고 인정하면서 철학적 고려로 돌아갈 것을 결론으로 제시

- 테일러: 지리학의 새로운 방법론과 사고체계의 도입은 또한 세대 적 차원의 성격을 반영

- 맑스주의에 기초한 급진적 논의의 등장

(18)

지리학사 11주

실증주의 지리학의 한계 2) 논리실증주의의 한계

- 공간과학으로서 지리학 출현의 주요한 특징

첫째, 엄정한 토대 위에 지리학을 정립시키려는 새로운 세대의 욕 구 때문에 주로 시작

둘째, 다수의 개념과 방법론은 다른 학문으로부터 수입 내지 차용 된 것

셋째, 설명과 예측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법칙과 이론을 확립

- 인문지리학의 경우에는 과연 인간의 행태나 자극에 대한 반응을 일반화하는 법칙을 수립할 수 있는가? 그러한 법칙을 통해 다양 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고유한 결합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가? 라

는 의문의 제시

18

(19)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1. 행태 지리학의 개념적인 토대 마련

- 커크-자연과 인간성을 하나의 학문 아래 묶는 작업가설 / 행태적 환경 개념을 수립하면서, 인간은 지각된 환경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세계에 대한 개개인의 견해는 실제와는 다르며 이는 특정 한 문화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음

- 로웬탈: 개인지리학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경험과 학습과 상

상의 분리된 인간세계는 반드시 어떤 보편적 담론을 바탕으로 해

야 한다고 논의하면서 지각문제를 제기

(20)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2. 논리실증주의 틀 안에서의 행태

- 인간행태의 공간적 패턴을 설명하는데 있어 그 행태에 깔려있는 인지적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음

- 행태적 변수를 더 첨가시켜 설명적 기틀을 확대

- 귀납적인 방식(엄격한 표본설계 절차와 그에 따른 태도와 행태에 관한 측정 결과에 대한 진술)

- 설명력과 예측력을 개선

- 사회적, 심리적 메커니즘을 분석하려는 데 맞추어져 있음

20

(21)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2. 논리실증주의 틀 안에서의 행태-몇 가지 특성 - 가장 기본적인 특성은 과정지향적이라는 것

- 사람들이 행동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인지는 실제 세계의 본질과 는 크게 다르다는 것

- 개개인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에 반응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

- 사회집단 차원에서 문제를 접근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개개인에

초점

(22)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환경지각

효용성과 의사결정

심상지도: 피터 굴드

22

(23)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3. 시간지리학

- 확산과정과 함께 시, 공간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상황지어져 있 는가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발전

- 인간생활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여덟 가지 주요 조건 사이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지를 검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을

개발

(24)

지리학사 11주

3가지 기본 원칙: 누구나 24시간 이용 가능, 하나의 장소에서만 존재, 이 동할 때에는 이동시간을 소비

3가지 제약: 능력제약, 결합제약, 권위제약

의의

- 공간행동에 대한 과정 중심의 행태적 연구를 촉진

- 개인 행동의 원인에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필요의 두 가지를 결합 - 사회 전반의 거시적 현상과 개인 행태라는 미시적 움직임을 하나의 틀

로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 상황적이고 시계열적인 접근법을 강조

24

(25)

지리학사 11주

행태지리학의 성립

4. 행태지리학의 연구방법론과 비판

- 개인적 행태의 측정이라는 인정된 필요성에 대응하여, 그 어떤

획기적 돌파구도 마련하지 못하였다고 지적: 즉, 확고한 이론적

토대가 부족

(26)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26

참조

관련 문서

속에 설치된 L’vov 시료대는 천천히 가열된 바깥 노벽으로부터의 복사에 의해 균일하 게 가열된다... Graphite Tubes

– 많은 통계량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하는

• 각 활동들이 주요 핵심 역량에 해당하는지 또는 핵심 역량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인지 등을 평가함.. 핵심역량 분석

 영유아게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육의 문제는 영유아가 어떻게 성장하고 발달하는지에 대한 깊이있는

우리는 기대효용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선호체계만을 논의 대상으로 하기 로 한다...

① 전선은 편성물에서 한 올의 코가 풀리면 사다리 꼴로 계속 풀리는 현상을 말한다.. ③ 경편과 양면 편성물에서는 전선현상이

김구 선생이 나와 본관이 같은 안동 김씨라는 점만 강조하셨기 때문이다 (사람은 뿌리를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나는 도대체 족보 같은 그런 것에는 전혀 관 심이

변수 이름 x를 만나면 symtable[]에서 해당 위치를 lookup()해서 찾고 저장되어 있는 값을 사용한다 ... E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