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 림프구 발달 0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 림프구 발달 09"

Copied!
4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 림프구 발달

 초기 가슴샘세포의 발달

 양성선택과 음성선택

 계통 결정

 가슴샘으로부터의 퇴장과 최종 성숙

 자기관용을 유지하는 기타 방법

 세포자멸사

09

(2)

서론 (283)

 다양한 TCR 레퍼토리를 가진 T 림프구는 가슴샘에서 생성됨

 가슴샘을 빠져나가는 성숙한 T 림프구의 특성

수용체의 항원특이성을 가짐(다양한 레퍼토리)

자기관용적임

자기-MHC 제한을 받음

 가슴샘에서 미성숙 T 림프구는 초기 발달과정에서 수용체의 항 원특이성의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지게 됨 (9.1)

 가슴샘의 기질세포와의 상호작용(선택과정)을 통해 자기제한 적이고 자기관용적인 T 림프구들만이 말초로 빠져나감

자기-MHC 분자에 반응하는 TCR을 가진 세포를 선택함 (양성선택)

자기-펩티드/MHC 복합체에 강하게 반응하는 TCR를 가진 세포는 선 택하지 않음 (음성선택)

(3)

(Pre-Tα)

(4)

10-1 초기 가슴샘세포의 발달 (285)

 골수에서 가슴샘으로 이동한 T 림프구 전구세포 가 이중음성 단계2

(DN2)

에서 T 림프구 계통이 됨

(9.1)

 가슴샘세포에서 Notch 리간드가 발현될 때 T 림 프구로의 분화가 결정됨

(9.2)

전사인자 GATA-3가 Notch-매개성 T 림프구 결정에 중 요한 요인임

(5)
(6)

1. 가슴샘세포는 4개의 이중음성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285)

 T 림프구 발달은 시·공간적으로 섬세하게 이루어짐

서로 다른 T 림프구 발달 단계는 막결합 신호나 수용성 신호를 제공 하는 특정적인 미세환경에서 이루어짐

 가슴샘에서 처음 출현하는 T 림프구는 CD4와 CD8을 발현하지 않음 [이중음성(double-negative, DN) 세포]

 DN T 림프구는 세포막에 발현되는 분자들에 따라 4개의 아집 (DN1~DN4)으로 세분됨 (표9.1)

DN1 세포는 가슴샘으로 들어가 증식하여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분화 할 수 있음

DN2 세포는 TCR β, γ, δ 사슬 유전자를 재배열함 (T 림프구 계열 확 립)

DN3 세포는 TCRγδ T 림프구 계통과 TCRαβ T 림프구 계통을 결정함

DN4 세포는 TCRα 사슬 유전자를 재배열함

 DN4 세포는 CD4와 CD8을 발현한 이중양성(DP) 가슴샘세포 로 성숙함

(7)
(8)

2. 가슴샘세포는 TCRαβ나 TCRγδ을 발현할 수 있다 (286)

 가슴샘에서 T 림프구는 크게 2종류가 생성됨

TCRαβ T 림프구는 적응면역반응 대부분에 참여함

TCRγδ T 림프구는 점막과 피부의 감염에 대한 방어에 중요

 성숙한 가슴샘세포의 대부분

(99.5%)

은 αβ T 림프구임

γδ T 림프구는 태아 발달에서 먼저 생산되고 출생 이후에 생산이 감소함 (9.3)

 4종류의 TCR 사슬의 각 유전자의 생산적 재배열에 따라 γδ T 림프구나 αβ T 림프구가 될지 결정됨

β, γ, δ 유전자 자리의 재배열은 DN2 단계에서 시작됨 (9.1)

(9)
(10)

3. DN 가슴샘세포는 β-선택을 거쳐 증식하고 분화한다 (284)

 TCR β 사슬의 생산적 재배열을 마친 DN 가슴샘세포는 β- 선택 과정에 의해 식별되어 증식함

 이 단계에서 (TCRα 사슬의 대리 역할을 하는) Pre-Tα 사슬이 발 현되어 β 사슬, CD3 복합체와 함께 조립됨 (Pre-TCR)

 Pre-TCR을 통한 신호로 가슴샘세포에서 일련의 반응들 이 일어남 (9.4a)

 DN4 단계로 성숙함

 가슴샘의 피막하겉질에서 빠르게 증식함

 TCRβ 사슬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배제가 일어남

 CD4+CD8+ 이중양성(DP) 단계로 발달함

 DP 세포의 증식 정지

 TCRα 사슬의 재배열

 TCR 사슬이 생산적 재배열되어 pre-Tα을 대치함 (TCR)

 DP TCRαβ T 림프구는 두 번째 성숙 단계(가슴샘선택)를 거침

(11)
(12)

10-2 양성선택과 음성선택 (288)

 TCRαβ/CD3를 발현한 DP T 림프구는 가슴샘선택 과정에 의해 TCR 레퍼토리를 형성함

 가슴샘의 기질세포들은 돌기를 많이 가지며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함 (9.5)

 가슴샘세포들의 TCR과 가슴샘겉질의 기질세포 표면에 제시된 펩티드-MHC와의 친화력에 따라 TCR 레퍼토리가 결정됨 (9.4b)

 자기 MHC 분자에 낮은 친화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 진 가슴샘세포들은 양성선택되어 생존함 (MHC 제한이 생김)

 양성선택되지 않은 세포는 세포자멸사함

 자기 MHC-펩티드 복합체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 용체를 가진 가슴샘세포들은 음성선택되어 세포자멸사함 (자기관 용이 생김)

 2~5%의 가슴샘세포만이 성숙 T 림프구로서 가슴샘을 빠 져나감

(13)
(14)

1. 가슴샘세포는 가슴샘에서 MHC 제한을 배운다 (290)

 T 림프구 레퍼토리 선택과정에서 가슴샘의 역할 에 대한 실험적 증거

(Zinkernagel 팀의 실험)

가슴샘의 MHC 일배체형과 동일한 (LCMV 바이러스에 감염 된) 표적세포를 인식하여 살해함 (9.6)

 가슴샘의 MHC 일배체형이 T 림프구의 MHC 제

한을 결정함

(15)
(16)

2. T 림프구는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을 거친다 (290)

 가슴샘 기질세포들의 특징

 세포들은 돌기를 많이 가져 발달 중인 가슴샘세포들이 접촉할 수 있게 함

 세포들은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여 발 달 중인 가슴샘세포의 TCR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함

 세포들은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통해 세포 내·외에서 얻은 자기-펩 티드를 제시함

 가슴샘세포는 가슴샘의 겉질을 통과하면서 기질세포들과 의 접촉을 통해 기질세포들 표면의 서로 다른 펩티드-

MHC 복합체를 TCR의 다양한 친화력으로 인식함

 TCR이 기질세포의 펩티드-MHC 복합체를 인식하지 못한 가슴샘 세포는 사멸함

 TCR이 기질세포의 펩티드-MHC 복합체를 강하게 결합한 가슴샘 세포는 음성선택되어 사멸함

 TCR이 기질세포의 펩티드-MHC 복합체를 약하게 결합한 가슴샘 세포는 양성선택되어 단일양성(SP) 세포로 성숙함

(17)

3. 양성선택은 MHC 제한을 보장한다 (291)

 새로 생성된 가슴샘세포가 자신의 TCR로 기질세 포의 펩티드-MHC 복합체를 결합하지 못하면 양 성선택을 통과하지 못하고 3~4일 내에 사멸함

기능적 TCRαβ를 만들어내지 못한 경우

TCRαβ의 친화력이 너무 작은 경우

 양성선택을 통과한 가슴샘세포의 TCR 친화력은 적당함

세포의 사멸을 방지하는 신호를 받게 됨(?)

(18)

4. 음성선택은 자기관용을 보장한다 (292)

 자기-MHC/자기-펩티드 조합에 높은 친화력을 가 지는 자기반응성 DP 가슴샘세포는 음성선택을 통해 죽음

자기반응성 클론의 레퍼토리를 제거하여

중추면역관

을 만들어냄

(19)

1) 조직 특이적 항원에 반응하는 가슴샘세포의 제거 (292)

 조직 특이적 항원에 자기반응을 하는 T 림프구를 제거하는 기전

가슴샘은 전신 세포에 걸친 단백질을 발현하고 처리하 여 제시하는 능력을 가짐

 가슴샘의 속질상피세포는 자가면역조절자

(autoimmune regulator; AIRE)

단백질을 발현함

AIRE 단백질은 전사인자의 특징을 가짐

AIRE 단백질이 특정 장기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을 발 현하고 처리하여 제시함

(20)

2) 중추면역관용의 다른 기전 (293)

 가슴샘에서 세포사멸이 동반되지 않는 음성선택 이 있음

자기반응 TCR을 발현하는 가슴샘세포의 성숙을 막음 (클론 정지)

자기반응 세포가 불활성화됨 (클론면역무반응)

자기반응 세포가 두 번째나 세 번째 TCRα 유전자를 재 배열함 (클론편집)

(21)

3) 초항원 (293)

 초항원

(superantigen)

T 림프구의 TCR의 Vβ 영역과 항원전달세포의 제2형 MHC 분자의 α 사슬에 동시에 결합하는 바이러스나 세 균의 단백질 (a)

 초항원의 기능

T 림프구의 활성화를 유도함

DP 가슴샘세포의 음성선택을 유도함

(22)

(a)

(23)

5. 선택역설: 왜 양성선택된 모든 세포를 없애지 않는가? (293)

 MHC-의존적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의 역설

양성선택은 자기 MHC 분자와 반응하는 가슴샘세포만 생존하게 함

음성선택은 자기 MHC 분자와 반응하는 가슴샘세포를 제거함

 선택 역설을 설명하는 모델 (친화력 가설) (9.7)

약한 친화력 신호를 받는 DP 가슴샘세포는 양성선택 되어 생존함

높은 친화력 신호를 받는 DP 가슴샘세포는 음성선택 되어 제거됨

신호를 받지 않는 DP 가슴샘세포는 무시에 의해 사멸 됨

(24)
(25)

친화력 가설의 실험적 증거 (293)

 Hogquist가 친화력 가설에 관한 실험적 증거를 제 시함

(9.8)

TAP 단백질이 결손된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가슴샘을 얻어 기관배양함 (제1형 MHC 분자의 결합틈새는 비 어있음)

친화력이 서로 다른 ovalbumin 펩티드를 배양액에 함께 첨가하여 MHC 분자에 결합시킴

ovalbumin 펩티드를 인식하는 형질전환 TCR을 가진 CD8+ T 림프구를 배양 중인 가슴샘과 반응시켜 T 림 프구의 선택을 확인함

TCR/MHC/펩티드 상호작용의 강도가 세포의 운명에

영향을 줌

(26)
(27)

6. 대안 모델로 가슴샘 선택역설을 설명할 수 있다 (296)

 Marrack과 Kappler가 선택역설에 대한 대안적 가 설을 제시함 (변환 펩티드 모델)

양성선택을 일으키는 겉질 상피세포가 생산하는 고유 의 펩티드는 음성선택을 일으키는 (속질) 상피세포가 생산하는 펩티드와는 다름

고유한 펩티드/MHC에 양성선택된 가슴샘세포가 (속 질에서) 음성선택되는 것을 방지함

(28)

7.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의 시기 (296)

 가슴샘세포는 겉질에서 양성선택을 겪음

 양성선택된 가슴샘세포는 DP에서 SP으로의 변

화단계에 있는 “반-성숙” 가슴샘세포에서 속질에

서 조직특이적 항원에 대한 음성선택을 겪음

(29)

10-3 계통 결정 (296)

 가슴샘세포는 자기항원에 대한 TCR 친화력에 기 초하여 선택됨에 따라 세포계통결정으로 이어짐

 양성선택된 DP 가슴샘세포는 CD8

+

세포독성 T 림프구 계통이나 CD4

+

조력 T 림프구 계통으로 결정됨

 계통결정에 필요한 변화

한 보조수용체의 억제(CD4 또는 CD8)

특정계통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30)

1. 계통결정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모델이 제시되었다 (296)

 보조수용체(CD4, CD8)와 TCR 선호도를 맞추는 기전을 시험하는 2가지 모델이 제시됨

 교육 모델, 확률 모델

 TCR/CD4와 TCR/CD8의 결합이 고유한 발달단계를 시작 하는 특정 신호를 생성함 (교육 모델; instructive model) (9.9a)

 가슴샘세포가 무작위로 제1형 MHC 분자에 대한 친화력을 갖는 TCR을 만들었다면 TCR과 CD8이 함께 제1형 MHC 분자에 결합 하여 CD4의 발현을 억제하는 신호를 발생함 → CD8 T 림프구

 가슴샘세포가 무작위로 제2형 MHC 분자에 대한 친화력을 갖는 TCR을 만들었다면 TCR과 CD4가 함께 제2형 MHC 분자에 결합 하여 CD8의 발현을 억제하는 신호를 발생함 → CD4 T 림프구

 양성선택된 가슴샘세포가 무작위로 CD4나 CD8의 발현 을 저하시킴 (확률 모델; stochastic model) (9.9b)

(31)
(32)

역동 신호모델 (296)

 가슴샘세포가 받는 TCR과 보조수용체 신호의 강 도와 길이가 (MHC에 대한 특이성보다) 세포의 운 명 결정에 영향이 더 있음을 확인함

 역동신호 모델

(kinetic signaling model)

CD4나 CD8 계통결정은 가슴샘세포가 받는 TCR 신호 의 지속성에 기초함 (9.9c)

양성선택된 가슴샘세포는 CD8 발현을 감소시킴

TCR/CD4/제2형 MHC 상호작용 신호가 지속되면 CD4 T 림프구로 발달함

TCR/CD4/제2형 MHC 상호작용 신호가 방해되면 IL-7 신호에 의해 CD4 T 림프구로 발달함

(33)

2. DP 가슴샘세포는 다른 종류의 세포로 결정될 수 있다 (298)

 소수의 DP 가슴샘세포가 다른 종류의 세포로 결정될 수 있음

NKT 세포, 상피내림프구, 조절 T 림프구

 NKT 세포

불변 TCRα 사슬을 발현함 (7.18)

불변 TCR은 CD1 분자와 상호작용함

 상피내 림프구

대부분 CD8+ T 림프구임

점막을 돌아다님

 조절 T 림프구

자가면역반응을 억제함

(34)
(35)

10-4 가슴샘으로부터의 퇴장과 최종 성숙 (298)

 선택과정을 통과하고 계통이 결정된 가슴샘세포 는 휴지기로 들어가 가슴샘을 빠져 나감

 TCR의 양성선택이 전사인자 Foxo1을 상향조절 함 → Foxo1은 IL-7R와 CCR7을 상향조절함

IL-7R은 T 림프구의 생존을 유지함

CCR7은 성숙한 T 림프구의 림프절로의 이동을 유도 함

 최근 가슴샘이주세포

(recent thymic emigrant; RTE)

가슴샘을 빠져나간 성숙한 T 림프구

(36)

10-5 자기관용을 유지하는 기타 방법 (299)

 가슴샘세포의 음성선택은 자기항원과 자가면역 조절자 단백질

(AIRE)

에 의한 조직특이 항원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T 림프구를 제거함

가슴샘에서의 음성선택은 완전하지 않음 → 자기반응 T 림프구가 음성선택을 회피할 수 있음

 말초에서 조절 T 림프구가 자가면역을 회피할 수

있음

(37)

1. 조절 T 림프구는 면역반응을 억제하도록 조절한다 (299)

 조절 T 림프구(TREG cell)의 특징

다른 T 림프구 집단의 증식을 억제함

세포 표면에 IL-2 수용체의 α 사슬(CD25, CD4)을 발현함

가슴샘에서 전사조절자 FoxP3에 의하여 전구세포로부터 발달하여 말초에 분포함

 조절 T 림프구는 말초에서 자기반응성 T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 응을 억제함 (9.10)

APC 세포가 T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억제함

직접 T 림프구를 사멸시킴

국소환경에서 사이토카인(IL-2)을 제거함

사이토카인(IL-10, TGF-β)을 분비하여 T 림프구의 활성을 억제함

 조절 T 림프구의 임상적 의미

조절 T 림프구의 활성을 억제하여 백신에 의한 면역반응을 강화하는 데 유용함

조절 T 림프구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하는 데 유용함

(38)
(39)

2. 말초면역관용 (300)

 말초에서의 면역관용도 자기반응 가슴샘세포로 부터 자신을 보호함

 말초에서 일부의 APC 세포만이 면역반응을 개시 하는 데 필요한 보조자극분자를 발현함

 말초

(예; 신장)

에서 비전문 항원전달세포는 보조자 극신호 리간드를 발현하지 않음

비전문 항원전달세포에 있는 MHC/자기 펩티드 조합을 만나는 자기반응 숫 T 림프구는 정확한 보조자극신호 를 받지 못하여 분열과 분화를 하지 못함

신장세포는 CD4+ T 림프구나 CD8+ T 림프구의 활성화 에 필요한 보조자극신호 리간드를 발현하지 않음

(40)

10-6 세포자멸사(세포예정사) (300)

 T 림프구와 B 림프구의 발달 동안에 일어나는 두 드러진 특징임

항원수용체 유전자의 재배열이 비생산적으로 일어난 경우 → 항원수용체를 가진 림프구만 생산됨

자기항원에 반응하는 항원수용체게 생산된 경우 → 자 가면역반응을 억제함

 면역세포의 항상성 조절에 기여함

감염되어 림프구가 확산된 경우에 림프구의 수준을 적 절하게 유지함

 세포독성 T 림프구나 NK 세포가 표적세포를 살해

하는 방법임

(41)

1. 세포자멸사는 염증반응 유발없이 세포를 사멸시킨다 (301)

 세포자멸사는 세포 자신의 소멸을 이끄는 에너지 -의존적인 과정임

손상이나 독성으로 인해 세포가 사멸하는 세포괴사와 다름 (9.11)

세포막 파괴가 없이 세포 내용물을 해체함 → 염증반응 을 유발하지 않음

 세포자멸사의 형태학적 특징

세포부피가 감소함

세포골격의 변형으로 세포막의 물집형성

염색질의 농축

DNA 분해와 파편화

(42)
(43)

2. 세포자멸사 개시 자극들은 카스페이즈를 활성화한다 (301)

 림프구를 사멸시키는 다양한 신호들은 모두 caspase를 활성화시킴

 세포사멸 경로에는 2종류의 caspase가 포함됨

 개시 카스페이즈(initator caspase), 작동 카스페이즈(effector caspase)

 세포사멸 프로그램

 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결정적인 표적(예: 세포골격 단백질)을 분해함

 세포 분해를 수행하는 다른 효소들을 활성화시킴

 작동 caspase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 경로로 구별 됨

 내인성 경로

 외인성 경로

(44)

3. 말초 T 림프구를 세포자멸사 시키는 외인성 경로 (301)

 가슴샘 밖의 말초에서 대부분의 성숙한 T 림프구 는 세포막에 연관된 사멸수용체(Fas)를 통해서 유도됨 [외인성(Fas) 경로]

TCR을 통한 말초 T 림프구의 자극이 반복되거나 지 속되는 경우에 T 림프구에 Fas와 Fas 리간드(FasL) 가 발현됨 (9.12a)

FasL와 상호작용한 Fas에 의해 개시되는 연쇄반응이 개시 카스페이즈(caspase-8)를 활성화시킴

활성화된 caspase-8에 의해 궁극적으로 작동 카스페 이즈(caspase-3)가 활성화되어 세포자멸사를 유도함

 Fas/fasL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멸사는 2~4시간

소요됨

(45)

45

(46)

4. 가슴샘의 T 림프구를 세포자멸사 시키는 내인성 경로 (303)

 가슴샘에서 일어나는 TCR-매개 음성선택의 신호는 미토콘드리아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자멸사를 유도함 [내인성(미토콘드리아-매개) 경로]

정상적으로 미토콘드리아 내막과 외막 사이에 존재하는 cytochrome c가 음성선택 신호에 의하여 세포질로 유리되 어 세포자멸사를 유도함 (9.12b)

세포질에서 cytochrome c는 Apa-1(apoptotic proteae-activating

factor-1) 단백질에 결합함

Apa-1이 개시 카스페이즈(caspase-9)을 활성화시킴

cytochrome c/Apa-1/caspase-9 복합체(세포자멸소체)가 작 동 케스페이즈(caspase-3)을 활성화하여 세포사멸사를 유 도함

 TCR 매개 음성선택에 의한 세포자멸사는 8~10시간

소요됨

(47)

5. Bcl-2군은 세포자멸사를 조절한다 (304)

 cytochrome c의 방출을 조절하는 Bcl-2 단백질 군

Bcl-2와 Bcl-XL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여 cytochrome c의 방출을 억제함

TCR 매개 음성선택은 Bcl-2군 단백질 Bim을 활성화시킴 → 활성화된 Bim이 Bcl-2를 억제하여 미토콘드리아에서

cytochrome c를 방출시킴 (9.12b)

Fas 경로를 통해서 활성화된 caspase-8은 Bcl-2군 단백질 Bid를 잘라 활성화시킴 → 활성화된 Bid가 미토콘드리아에 서 cytochrome c를 방출시킴

 Bcl-2 발현 수준은 림프구를 비롯한 다양한 조혈계통 의 세포에서 정상적인 수명을 조절하는 데 중요함

항원의 위협이 사라지면 활성화된 림프구에서 Bcl-2가 낮은 수준으로 발현됨 → 세포자멸사가 유도되기 쉬움

림프구가 항원에 의해 계속 활성화되면 이 과정에서받는 신 호에 의하여 세포자멸사가 억제됨

(48)

CTL 와 NK 세포의 표적 세포자멸사 유도

 표적세포를 인지한 CTL 세포나 NK 세포는 과립을 표적세포에 방출함 (13.13b)

 그랜자임 B가 caspase3을 활성 화함

 그랜자임 B가 Bid를 활성화함 → Bid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cytochrome c를 방출시킴 → cytochrome c가 Apaf-1과 결합 하여 caspase9을 활성화함 → caspase9이 caspase3을 활성화 함

(13.13)

참조

관련 문서

인간은 발육, 발달의 변화가 풍부한 존재이다. 복잡다단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전 생애 발달적 조망에서 인간 발달을

 신체 활동을 통한 체력강화는 몸과 마 음을 길러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체력의

교사는 주제와 적합한 내용, 영유아의 흥미와 발달 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활동과 교재·교구를 마련하고, 수시로 보완하거나 교체하여 흥미를 지속

전기공학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려 놓은 Steinmetz.. Marconi 와의 만남 - 무선전신의 발명..

•문법에 대한 규칙을 이해하고 적용할

망각곡선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상이 줄어듬(기억의 일시성, 기억은 영원하지 않다), 그러나 잊고 싶지만 잊지 못하는 지속적 기억도 있음(부정적 기억은

자극적인 환경에서 자란 경우 최대한으로 지적 발달을 하는 반면 결핍된 환경에서 자 라는 경우 지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달 시키지 못함.. • 정상적인

이 실험들은 세포성 단 백질에서 AChE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생쥐의 혈청 내 glucos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며, uric acid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