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 림프구 발달 10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B 림프구 발달 10"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B 림프구 발달

 조혈장소

 골수에서의 B 림프구 발달

 B-1 림프구 및 가장자리 구역 B 림프구의 발달

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발달 비교

10

(2)

서론 (315)

 B 림프구의 발달은 골수에서 시작됨

 분화가 진행되면서 발달단계의 B 림프구는 세포 표면 수용체와 부착소 분자를 발현함 (10.1)

 성숙한 B 림프구는 골수를 빠져나가 말초조직에 분포 함

 골수에서 발달 단계의 B 림프구에서 일어나는 중 요한 사건

 광범위한 종류의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항원수용체의 레퍼토리를 생성함

 자기반응성 B 림프구를 제거함

(3)
(4)

10-1 조혈장소 (316)

 골수의 조혈모세포로부터 모든 혈액세포가 생성 됨

 골수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비조혈세포(기질세포)는 조혈세포의 성장을 유도하는 세포 표면분자를 발현하 고 호르몬을 분비함

 림프구는 성장 과정 중에 골수 내에서 이동하면서 각 단계별로 다른 세포 및 신호들과 상호작용함

(5)

1. B 림프구 생성장소는 임신기간 동안 달라진다 (316)

 태아의 발달과정에서 골수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나 타남

혈액세포 생성의 전 과정은 최종적으로 골수로 이동하기 전까지 여러 차례 위치를 달리하면서 이루어짐

 배아의 초기 발달에 산소를 공급하는 적혈구계 세포를 형 성할 전구세포가 난황낭에서 분화를 시작함 (10.2)

 태아의 조혈모세포는 심장박동이 시작되는 시기(임신 5주) 에 대동맥-생식선-중신(AGM) 발생 부위에 존재함

 조혈모세포는 이후에 태반 → 간과 비장(임신 3개월)에서 발 견됨 (a)

 골수가 형성되면(임신 7개월) 조혈은 골수에서 이루어짐

출생 이후에 조혈은 골수에서만 이루어짐

(6)
(7)

(a)

(8)

2. 태아 간에서의 조혈은 성인 골수에서의 조혈과 다르다 (318)

 태아 간에서의 B 림프구의 발달은 성인 골수에서 와 차이가 있음

 태아에서 간은 B 림프구 생성의 주요 기관임

조혈모세와 딸세포는 급속하게 증식하고 여러 차례의 분열을 거침

태아 간에서 생성된 B 림프구는 주로 B-1 B 림프구임

B-1 B 림프구는 체강에 분포함

 성인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는 상대적으로 정적인 상태 를 유지함

뼈의 일부에서만 조혈기능이 있음 (척추, 늑골, 흉골, 머리뼈, 골반뼈, 그리고 상환골과 대퇴골의 일부)

골수에서 생성되는 B 림프구는 주로 B-2 B 림프구임

(9)

10-2 골수에서의 B 림프구 발달 (318)

 골수의 미세환경은 각 세포집단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별개의 세포발육 적소

(cellular niche)

를 가지 는 복잡한 3차원 구조로 되어있음

 투과성이 있는 얇은 벽의 혈관이 치밀한 네트워크를 이 루고 있는 동양혈관이 골수 내에 자리잡음 → 새로 형 성된 혈액세포들이 말초 혈관으로 이동할 수 있음

 골수의 기질세포들은 조혈모세포와 전구세포의 표면 에 존재하는 부착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 중인 세포집단이 발육에 필요한 분자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세포발육 적소에 위치함

 골수의 기질세포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발현함

발달 중인 B 림프구는 특정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기질세포 와 상호작용하면서 골수 내의 여러 곳을 이동함 (10.3)

(10)
(11)

1. 조혈단계의 정의 (320)

 조혈단계는 세포 표면 표지자, 전사인자 발현, 면 역글로불린 유전자 재배열에 의해 정의됨

 케모카인과 사이토카인에 대한 수용체, 세포표면 항원, 세포부착분자 등을 포함하는 세포 표면 분자들이 세포 분화의 특정 단계를 특정지음

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세포분화의 특정 단계를 특정지 음

 면역글로불린의 중쇄와 경쇄 유전자의 재배열 상태는 B 림프구 분화의 특정 단계를 특정지음

(12)

2. 림프구 분화의 가장 초기 단계 (322)

 림프구 분화의 가장 초기 단계는 공통 림프계 전구세포의 생성 으로 끝남 (10.5)

① 조혈모세포는 혈액 내의 모든 세포를 생성함

B 림프구로 운명이 정해진 조혈모세포에는 전사인자 Ikaros, PU.1, E2A 등이 작용함

조혈모세포는 줄기세포인자(SCF)의 수용체 c-Kit을 발현함 (다능성 전 구세포 발달에 필수적임)

조혈모세포는 줄기세포-연관항원(Sca-1)을 발현함 (초기 전구세포에 발현됨)

② CD34와 CXCR4를 발현함 (다능성 전구세포; MPP)

③ flt-3을 발현함 → 골수 기질세포의 flt-3 리간드에 결합하여 IL- 7R 합성을 시작함 (림프계 다능성 전구세포; LMPP)

④ 림프구로 운명이 정해진 세포가 효소 RAG1/2와 TdT를 발현 함 (초기 림프계 전구세포: ELP)

⑤ IL-7R의 양이 증가하고 c-Kit과 Sca-1이 감소함에 따라 ELP는 공통 림프계 전구세포(CLP)로 발달함

pre-pro B 림프구로의 비가역적 결정이 정해지는 시점에 접근함

(13)
(14)

3. B 림프구 발달의 후기 단계 (324)

 B 림프구 발달의 후기 단계는 pre-pro B 림프구 발달 단계 로부터 시작됨 (10.6)

pre-pro B 림프구 → pro-B 림프구 → pre-B 림프구 → immature B 림프구

① B 림프구 계열 특이 표지자 B220(CD45R)을 생성하고 전사인자 EBF1 발현이 증가하면서 pre-pro B 림프구 단 계로 들어감

② EBF1에 의하여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의 재조합이 시작됨 (pro-B 림프구) (10.7)

Pro-B 림프구가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 재조합을 완성하고 Igα/Igβ를 발현함

③ 중쇄와 대리경쇄(VpreB/λ5)로 이루어진 pre-BCR을 발 현함 (pre-B 림프구)

④ 경쇄 유전자가 발현되고 대리경쇄가 감소하여 BCR(IgM) 이 발현됨 (숫 B 림프구)

숫 B 림프구의 BCR은 항원을 인식할 수 있음

(15)
(16)
(17)

4. 골수 내의 숫 B 림프구는 관용유도에 매우 민감하다 (327)

 자기반응성 숫 B 림프구는 골수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 록 검사를 거침

 자기반응성 B 림프구의 운명

골수에서 BCR로 자기항원을 인식한 B 림프구의 일부는 세포자멸 사 과정에 의하여 제거됨 (중추면역관용)

골수에서 BCR로 자기항원을 인식한 B 림프구의 또 다른 일부는 경쇄 수용체 편집을 통해 음성선택을 회피함

자기항원을 인식하는 BCR을 가진 숫 B 림프구가 골수를 떠날 수 있음 → 항원 자극에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면역무반응(anergy) 태가 됨

 B 림프구의 음성선택은 T 림프구에서보다 덜 엄격함

자기반응성 B-2 B 림프구는 자기반응성 T 림프구의 도움 없이는 항체를 생산하지 못함

B 림프구에는 조직-특이적 항원에 반응하는 가슴샘세포의 음성선 택에 관여하는 자가면역조절자(AIRE)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음

(18)

5. 많은 자기반응성 B 림프구들이 골수 내에서 제거된다 (327)

 많은 자기반응성 B 림프구는 골수 내에서 음성선 택되어 세포자멸사함

(10.8b)

 자기반응성 B 림프구의 일부는 경쇄 수용체 편집

으로 음성선택을 회피함

(10.8c)

(19)
(20)

6. 골수로부터 배출된 B 림프구는 기능적으로 미성숙하다 (328)

 세포막에 IgM을 발현한 B 림프구는 반감기가 매 우 짧음

 항-세포자멸사 분자 Bcl-2와 Bcl-xl 수준이 매우 낮음

 Fas 분자는 높은 수준으로 발현함

 골수에서 숫 B 림프구는 T1 이행 B 림프구로 말 초 조직으로 빠져 나감

 말초 조직에서 T1 이행 B 림프구는 T2 이행 B 림프구 로 분화함

(21)

1) T1 이행 B 림프구와 T2 이행 B 림프구 (329)

 말초조직에서 T1 이행 B 림프구는 T2 이행 B 림 프구로 분화함

(표10.32, 10.9)

 IgD, 보조수용체(CD21), 생존인자 수용체(BAFF-R)를 발현 함

 말초에서 자기반응성 T1 이행 B 림프구는 (T 림 프구 지역에 스며들어 통과하면서) 음성선택되어 세포자멸사함

(10.10)

 음성선택되지 않은 T1 이행 B 림프구는 소포로 가서 T2 이행 B 림프구로 분화함

 BCR이 항원과 반응하고 BAFF-R를 발현하여 생존신 호를 받음 (양성선택)

(22)
(23)
(24)
(25)

2) T3 B 림프구는 자기반응성이고 면역무반응성이다 (332)

 T3 B 림프구의 특징

 mIgM 수준이 낮음(CD23+, CD93+)

 면역무반응성 세포는 항원 접촉에 의해 활성화되 지 않고 분열, 분화, 항체 생산에 실패함

 항원 인식 후 단시간 내에 죽음

 면역무반응성 세포의 기능

 과도한 자가항원을 흡수함 → 자가면역반응을 감소시 킴

(26)

7. 성숙한 1차 B-2 B 림프구는 림프구 소포로 이동한다 (334)

 완전히 성숙한 B 림프구의 특징

 IgD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고 IgM을 중간 수준으로 발현함

 성숙한 B 림프구는 (혈액과 림프기관 사이를 재순 환하면서) 말초림프기관(림프절, 비장)의 B 림프 구 소포로 들어감

 B 림프구는 소포에서 항원을 접촉하고 T 림프구의 도 움을 받아 항체를 생산함

 골수에서 생성된 B 림프구의 10% 정도가 말초조 직에 존재함

 1~3%만이 재순환하는 소포성 B 림프구 집단에 들어감

(27)

10-3 B-1 림프구 및 가장자리 구역 B 림프구의 발달 (334)

 성숙한 B-2 B 림프구는 혈액과 림프기관 사이를 재순 환하면서 림프절과 비장의 B 림프구 소포에 분포함

항원 자극에 반응하여 항체를 생산함

 B-1 B 림프구는 체강에 존재함

항원 자극 없이도 자연적인 항체(IgM)를 생산함

다양한 미생물 종의 체내 침입에 대한 1차 방어선임

 가장자리구역 B 림프구는 비장의 백색겉질의 가장자 리 구역에 분포함

IgM 클래스의 광범위 교차반응성 항체를 생산함

 B-1 B 림프구와 가장자리구역 B 림프구는 조력 T 림

프구의 도움 없이 항체를 생산할 수 있고, 말초에서

지속적으로 재생됨

(28)

1. B-1 B 림프구는 별도의 발달계통으로부터 유래된다 (334)

 체강에 분포함

 BCR 레퍼토리가 제한적임

 다양한 세균 종들이 공유하는 탄수화물 항원에 대 한 항체를 생산함

 미생물의 체내 침입에 대한 1차 방어선을 담당하는 항 체 IgM을 생산함

 조력 T 림프구의 도움 없이 항체를 생산할 수 있음

 항원 자극이 없는 경우에도 항체(자연적인 항체)

를 생산함

(29)

2. 가장자리 구역 B 림프구 (336)

 비장의 백색겉질 바깥 영역의 가장자리 구역(marginal zone)

에 자리잡음 (10.13)

 비장으로 들어가는 혈액-매개 항원과 만나는 첫 번째 B 림 프구임

 IgM 클래스의 광범위 교차반응성 항체을 생산함

(30)

10-4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발달 비교 (336)

참조

관련 문서

망각곡선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상이 줄어듬(기억의 일시성, 기억은 영원하지 않다), 그러나 잊고 싶지만 잊지 못하는 지속적 기억도 있음(부정적 기억은

조합공동사업법인의 업무용 건축물의

A smaller value of the starting relaxation order ω = ω max given by (17) for the sparse PSDP formulation (7) than the sparse POP formulation (3), as shown in Section 4, does

We present numerical methods, including the bisection and projection method [19], for solving the the Lagrangian-conic relaxation and its dual (7) and (8) in Section 4, and

생업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지식뿐만 아니라 강원대학교 시설농업학과에서 배운 전문적인 지식을 통해 저는 더욱 더 발전한 저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 세포들은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여 발 달 중인 가슴샘세포의 TCR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함.  세포들은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 Sulfonate Anion : 매우 약염기, 안정된 음이온 → 좋은 이탈기.  O─H 결합의 끊어짐이 발생하나 C─O 결합에는 영향이 없음

발달 단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