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총명탕에 대한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총명탕에 대한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0 1 2 년

2 월 석 사 학 위 논 문 총 명 탕 에 대 한 문 헌 고 찰 및 연 구 동 향

이 제 호

2012년 2월 석사학위논문

총명탕에 대한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제 호

(2)

총명탕에 대한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Evaluation of Chongmyungtang

2012년 2월 24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제 호

(3)

총명탕에 대한 문헌고찰 및 연구동향

지도교수 문 경 래

이 논문을 대체의학 석사학위 신청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10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제 호

(4)

이제호의 대체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서 재 홍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상 학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 경 래 (인)

2011년 11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5)

목 차

표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조사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자료수집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자료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Ⅲ. 결 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가. 문 헌 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총명탕의 정의 및 유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총명탕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총명탕의 유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문헌에서 보이는 총명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총명탕 기본구성 약재에 대한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 원지(遠志)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2) 백복신(白茯神)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 석창포(石菖蒲)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6)

2. 한방에서 뇌의 기능에 관한 문헌적 근거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1) 한방에서의 뇌(腦:brain)의 정의(定意) · · · · · · · · · · · · · · · · · · · · · · · · 14

2) 각 경락 및 장부와 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 총명탕의 주치와 관련 경락에 따른 문헌 고찰 · · · · · · · · · · · · · · · · 25

나. 실험연구논문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1. 연도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2. 학교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 전공 분야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4. 실험 방법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5. 약리 효능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6. 시험 내역별 연구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1) 학습과 기억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2) 뇌신경보호 효과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3) 뇌혈류량 증가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4) 항 치매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5) 식품 가미총명탕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4) 기 타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Ⅳ. 고 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Ⅴ.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국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7)

표 목 차

표 1. 총명탕 처방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표 2. 연도별 연구 현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3. 학교별 연구 현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4. 전공 분야별 연구 현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5. 실험 방법별 연구 현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6. 약리 효능별 연구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7-1. 학습과 기억 시험 연구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7-2. 뇌신경 보호 효과 시험 연구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7 -3. 뇌혈류량 증가 시험 연구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7-4. 항 치매 시험 연구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7-5. 식품가미 총명탕 시험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7-6. 기타 시험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8)

ABSTRACT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Evaluation of Chongmyungtang

Lee, Je-Ho

Advisior : Prof. Moon, Kyung-Rye, M.D., Ph.D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Recently, there is a emergency of adverse effect caused by toxicity in energy drink that are advertised as "concentration boosters". and It is critical to examine the medicinal value of one particular drink, Chongmyungtang.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research and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Chongmyungtang.

In terms of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every graduate dissertation and scientific treatise on Chonmyungtang in Korea was gather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hongmyungtang may have effects in preventing dementia. Also, Chongmyungtang added with other products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drinks in the control group.

Chongmyungtang significantly inhibited AChE activity in cellular protein and increased the level of glucose in the serum of memory failing rats that had been induced with scopolamine. moreover, it significantly reduced uric acid, and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memory and studying in vivo examination.

(9)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Chongmyungtang was more benefitable than other beverages for concentration and memory enhancement at all aspects of research, animal testing and clinical examination, especially.

This study concluded Chongmyungtang and Chongmyungtang added with other products were proven, effective, and it could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beverage to prevent dementia.

In addition, Chongmyungtang is in need of a complete medical assessment.

(10)

Ⅰ. 서 론

머리를 맑게 하여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약초와 이와 관련한 처방들 의 관심은 동서고금이 다르지 않을 것이다. 특히, 밀레니엄시대의 진입이후, 지식기반 산업이 점차 가속화됨에 따라 지구촌 도처에서는 국가의 경쟁력으로 두뇌강국1)2)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두뇌건강에 따른 두뇌영양 또는 머리 를 좋게 하는 약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청소년들이 시험기간에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에너지음 료’를 습관적으로 마시고 있어 중독성과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외국 에서는 ADHD치료약이 일명‘스마트 드러그’로 오․남용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 가 되고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총명해지고 치매도 예방하기를 원한다. 특히, 학생들은 성적 향상을 갈망하고 있다.

이 같은 사회 환경에서 한방분야에서는 총명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총명탕은 구복능일송천언(久服能日誦千言)이라 하여

‘오랫동안 복용을 하면 하루에 천 마디의 말을 암송할 수 있게 된다.’고 기 록되어 있다. 총명탕의 그 효능은 원지, 백복신, 석창포의 약성의 구성 원리에 서 비롯된 것이다. 총명탕의 처방은 동의보감에서 원지(polygalae Radix), 석 창포(Acori Gramini Rhizoma), 백복신(Hoelen)을 각각 동일한 분량으로 섞어 한번에 12g씩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8g씩 물에 타서 하루 3번 먹는 것으로 되어 있다. 총명탕은 심(心)을 보함으로서 놀람, 황홀함, 성냄을 진정시켜주고

1) 김영용, ‘두뇌 강국과 대학 개혁’,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0일.

2) 매일경제지식프로젝트팀 편, ‘두뇌강국보고서’ 매일경제신문사. 1999년:1996년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가 산업사회 이후 새롭게 전개되는 사회구조에 대해 지식기반 경제(knowledge based economy)라고 지칭하면서 하면서 본격화 됐다.

(11)

마음을 아주 평온하게 해준다고 했고 특히, 총명탕의 약재인 석창포는 마음으 로 통하는 구멍 즉 심규(心窺) 혹은 심공(心孔)을 활짝 열어주며, 마음 구멍에 쌓인 담연(痰涎)을 말끔히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3) 또한, 총명탕에 대 한 실험연구에 의하면, 원지와 석창포 혼합추출액은 CT105에 의한 세포사 유 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CT105에 의한 신경세포의 NO생성도 억제하 며, 신경세포 중요 영양인자인 BDNF와 신경 전달인자로 수송에 관여하는 kinesin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iNOS, calpain, APP의 CT105의 발현량은 감소하는4) 등의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지난 2008년 의협산하 의료일원화 특별위원회에서는 총명탕의 그 효과 성에 대해 비과학성과 과장 광고라는 비판에 따른 논란이 있었다.

한편, 일부에서는 총명탕이 수백 년 동안 생활문화 속에서 전수되어 오는 과정 에서 플라시보의 효과5)라는 의견들도 있었다.

이런 상황들은 다음 2가지를 시사하고 있다. 첫째, 총명탕의 효과성 여부를 파 악하기 위해서는 연구동향과 그 내용을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며 둘째, 작금의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에너지 음료나 스마트 드러그(smart drug)류의 대안식품 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과 연구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총명탕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연구해 온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검증으 로 축적된 연구논문들의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3) 권영이,‘가상 검색 및 시험관 시험을 이용한 총명탕 중 주성분들에 대한 약물작용 및 대사 예측’, 대 한약학회지,1987, (pp.463-468).

4) 이성률, ‘遠志와 石菖蒲 混合推出液의 pCT105로 유도된 신경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항치매 효과’,學位論 文(博士) 圓光大學校 大學院 : 韓醫學科 2002.

5) 앨랜C로건, '브레인다이어트’, 수북 2007. p.182:오늘날 과학은 플라시보의 효과도 심리적인 것만이 아 니라는 증거를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토론토 대학의 연구진은 플라시보가 두뇌의 생리에 실 제로 영양물질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02년「미국 정신과학 저널」에 ‘플라시보는 약이다’라는 실험논문이 실렸다. 이 연구에서는 우울증 환자에게 스스로가 효과가 큰 우울증 치료제를 먹고 있다고 믿게 하고 실제로는 플라시보를 먹였더니 그 증상이 개선을 보였는데 이 결과는 두뇌의 글루코오스 대 사에 변화가 생겨서 나타난 것이다.

(12)

따라서 본 논문은 주요 고문헌을 비롯해서 지금까지 등재된 총명탕과 관련한 문헌들과 실험연구 논문들의 동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총명탕이 식약동원(食藥同源)의 원리에 비추어 보아 대안식품(代案食品) 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그 연구동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13)

Ⅱ.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총명탕의 개념에 대한 참고문헌자료는 한국과 중국의 한방관련서적을 중심으 로 하며, 연구동향은 국내 대학 및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총명탕 및 가미총명 탕’을 주제로 한 국내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2. 자료수집 방법

1) 검색어 : 총명탕, 가미총명탕, 석창포, 원지, 백복신(학습과 기억 항치매 관련) 등.

2) 검색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지식포탈사이트, 한국학술정보, 한국의 학논문 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조선대중앙도서관 등의 web site에서 검색하여 논문제목을 기준으로 list를 작성한다.(64편) 그 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종합정보시스템, 연구용역 시스 템 통합관리시스템,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통 약물데이터베이스,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 보건 복지부 등 기관 자료실을 참고한다.

3) 1차 분류 : 리스트를 정렬하여 중복 자료를 제외하고, 국내학위논문, 학술 지논문, 논문집 등 을 우선순위로 정한다.(59편)

4) 2차 분류 : 1차 분류 list에서 ‘총명탕과 가미총명탕’을 중심으로 선정한 다.(57편)

(14)

5) 자료 수집: 2차 분류된 자료를 원문보기 또는 원문복사 신청의 방법으로 최 종 55편의 논문을 확보하여 본 연구대상으로 했다.

3. 자료 분석 방법

1) 55편의 논문에 대한 연도별, 학교별, 전공분야별, 실험방법별, 약리효능 별 연구 동향을 파악한 후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2) 약리효능은 학습과 기억개선효과, 뇌신경보호효과, 뇌혈류량 증가, 항치 매 효과, 식품가미 총명탕, 기타 약성 등의 6개 분야로 구분한다. 각 연구논문 의 저자가 밝히는 효능에 대해 그대로 분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기서 약리효능에 관한 참고한 문헌논문들은 참고문헌에서 별도로 실험연구논문으로 구분하여 번호 1~ 55 까지 정리하여 표에서 색인할 수 있도록 한다.

3) 이상의 내용을 표로 표기하여 유형별로 분류하여 용이하게 활용하였다.

(15)

Ⅲ. 결 과

본 연구는 총명탕의 개념에 대한 문헌자료로 한국과 중국의 한방관련서적을 중심으로 참고하였으며, 연구동향은 국내 대학 및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총명 탕 및 가미총명탕’을 주제로 한 국내논문 55편을 연구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총명탕에 대해 보다 분명한 정의와 그동안의 논란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들을 구할 수 있었다.

가. 문헌 연구 결과

동의보감 및 황제내경 등에 소개된 총명탕의 원리를 고찰하고 총명탕과 관련 한 과학적인 실험연구의 동향에 대해서는 한의학 학회, 학술지 등에 발표된 실 험논문을 중심으로 그 약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와 관련한 참고 문헌과 한 약재 관련한 주요 문헌 목록은 다음과 같다.

본초강목(本草綱目), 중의학질병예측학(中醫學疾病豫測學), 동의생리학(東醫生 理學), 한약약리학(韓藥藥理學), 중국사전(中國辭典), 중약대사전(中藥大辭 典), 한방의약대사전(韓方醫藥大辭典), 본초학(本草學), 동의정신의학(東醫精 神醫學), 한약임상응용(漢藥臨床應用), 신씨본초학(申氏本草學), 한약학(韓藥 學), 약의 역사(藥의 歷史)등을 참고하였다. 또한‘한방(韓方)으로 총명한 두 뇌 만들기’6), ‘뇌는 답을 알고 있다’7), ‘브레인 다이어트’8), ‘신경과 학’9) 등의 서적도 참고했다.

고문헌 연구결과, 의식활동(意識活動)을 말하는 신(神)의 개념을 언급하고 그

6) 박기원, ‘총명한 두뇌 만들기’, 한방미디어 1999.

7) 대니얼 에이멘, ‘뇌는 답을 알고 있다’ 부키출판사, 2010.

8) 앨랜C로건, '브레인다이어트’, 수북 2007.

9) Laurie Lundy-Ekman, 김종만 역, ‘신경과학’, 2009.

(16)

와 연관하여 그 정신활동에 도움을 주는 식음물질(食飮物質)에 대한 근거문헌 으로서는 영추(靈樞)의 본신편(本神篇), 천년편(千年扁)을 비롯해서 성혜방(聖 惠方)에서 기록을 확인했다. 이 문헌들에서는 사상의식(思想意識) 및 생명활동 의 근본이 되는 신(神)의 원리와 그 기능을 하는‘신(神)도 자양(滋養)을 받아 야 한다.’는 기록이다.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에‘생지래위지정(生之來謂之精) 양정상박위지신(兩 精相搏謂之神)’이라 하였고, 천년편(千年扁)에는‘이모위기(以母爲基) 이부위 순(以父爲楯) 실신자사(失神者死) 득신자생야(得神者生也)’하였으며, 성혜방 (聖惠方)에서는‘천지지정기화만물지형(天地之精氣化萬物之形) 부지정(父之精) 기위혼(氣爲魂) 모지정기위혼(母之精氣爲魄)’이라 하였다. 이는 곧 신(神)이 생명체(生命體)의 시생(始生)과 더불어 깃든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 된다. 출생 후에는 음식물을 섭취(攝取)하는 것에 의하여 신(神)도 자양(滋養)을 받아 무 궁한 활동을 계속하게 된다는 것이다.10)

따라서 두뇌가 총명해지기 위해서는 '총명탕'과 같은 자양의 도움을 받을 경우 는 더욱 효과적인 사상의식(思想意識) 즉, 정신(精神)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 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문헌적인 근거이다.

1. 총명탕의 정의 및 유래

총명탕과 가미총명탕11)을 비롯해서, 장원환(壯元丸), 주자독서환(朱子讀書 丸),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또는 귀비탕, 건뇌차(健腦茶) 등은 중국 에서 오랫동안 머리를 맑게 하고 건망증(健忘症)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사용되 어 왔다. 이 같은 문헌에 따르면, 총명탕의 주치는 건망증이다. 기본적으로 그 총명탕의 기본 한약재인 원지, 석창포, 백복신 등 3가지 약재를 중심으로 증상 에 따라 각 약재들의 가감과 첨삭 등으로 복합 처방을 한다.

10)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87, p.54.

11) 가미총명탕(加味聰明湯); 총명탕의 기본 약재 외에 다른 약재나 식품을 가미(加味)한 총명탕이다.

(17)

1) 총명탕의 정의

총명탕은‘뇌를 건강하게 하는 약’이다. 기(氣)와 혈(血)을 원활하게 하여 뇌 세포의 신진대사가 활성화됨에 따라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집중력을 향상시 키는 보약(補藥)을 의미한다. 물론, 체질과 증상에 따른 처방으로 가미총명탕 을 포함한다.‘동의보감’에서는 총명탕은 건망증(多忘)을 주치하는 것이라고 명시12)하고 있다.‘의부전록(醫部全錄)’13)에는“불선기이다망자(不善記而多 忘者)”를 치료한다는 처방으로, 역대의가들은 총명탕을 이용하여 기억력 감 퇴, 건망 등의 병증을 치료하는데 활용해 왔다.14)

한방에서는 총명하게 하는 요체는 심경(心經)과 비경(脾經), 신경(腎經)을 주 요 경락으로 보고 있고 특히, 심경(心經)을 그 중심에 두고 사고(思考)하는 기 능을 갖고 있는 비경(脾經)과 신경(腎經)의 두 경락의 조화에 의해서 좌우된다 고 본다. 두려움이나 근심, 걱정이 지나치게 되면 심경(心經)과 비경(脾經)의 기능이 약화되고 음양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뇌에도 그 영향으로 건망증(多忘) 의 여러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명탕과 가미총명탕은 심신불교(心腎不交), 심비양허(心脾兩虛), 신정 허손(腎精虛損)등을 회복하고 다른 질병의 결과인 어혈(瘀血), 담음(痰飮)등에 의해서 생기는 건망 증상을 가려서 적절히 치유하는 방제(方劑)이다.

동의보감에서 총명탕의 기본 약재로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백복신(白茯 神)을 각각 같은 양으로 처방하며 이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하루 세 번 먹는다.[종행선방]

총명탕에 대한 처방전을 보면 다음과 같다.15) (표 1)

12) 許浚, ‘東醫寶鑑’ 內景篇, 서울, 南山堂, 1987, pp.98-99.

13) 陳羅雷等, ‘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제7책), 북경, 인민위생출판사, 1983, p.2150, 14) 彭流仁, ‘中華名醫方劑大全’, 北京, 金盾出版社,

15) 한국특허청 ,www.kipo.go.kr

(18)

표 1. 총명탕 처방전

분 류 내 용

처 방 명 총명탕(聰明湯)

구성 약재

총3건 백복신(白茯神)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석창포(石菖蒲)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원지(遠志)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감초물에 담 근 후 뼈를 제거하고 강즙으로 포제한다.

조제 용법 약재들을 썰어서 한번에 11.25g씩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한 번에 7.5g씩 찻물에 타서 하루 세 번 먹는다.

주치 병증 건망(健忘)

출 전 동의보감(東醫寶鑑) 1613

한국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탈

2) 총명탕의 유래

총명탕은 중국 명나라 때 태의원 의관인 “공정현(龔廷賢)”(1522~1619)이 창안한 처방이다. 그의 아버지“공신(龔信)”도 태의원(太醫院) 의관(醫官)으 로 지냈다고 하며, 그는 만병회춘(萬病回春), 수세보원(壽世保元), 제세전서 (濟世全書), 고금의감(古今醫鑑), 운림신각(雲林神殼), 본초포제약성부정형(本 草炮製藥性賦定衡), 종행선방(種杏仙方), 노부금방(魯府禁方) 등과 같은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총명탕이라는 처방은 그의 책 중에서 1581년에 간행된 '종행선방(種杏仙方)'에 수록되어 있다.16)

3) 문헌에서 보이는 총명탕

동의보감(東醫寶鑑) 신(神)편의‘건망문(健忘門)’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 되 어 있다.

16) 허준, ‘동의보감’ 종행선방 1613.

(19)

“治多忘久服能日誦千言白茯神遠志以甘草水泡去骨薑汁製石菖蒲各等分右剉每三 錢水煎服或爲末每二錢茶湯點服日三<種杏>”이라 하였다.17)

해석하면, 총명탕은 건망증을 치료하며, 오래 복용하면 하루에 천 마디 말을 외울 수 있다. 백복신, 원지 - 감초 물에 담군 다음 심을 제거한 후 생강즙에 법제한다, 석창포를 등분하여 썰어서 매 3돈씩 끓여서 복용하거나 갈아서 2돈 씩 차와 같이 복용하는 것을 하루 3회한다.

따라서 총명탕은 건망증을 치료한다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면,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집중력과 기억력을 회복하는 보약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총명탕 기본구성 약재에 대한 문헌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백복신(白茯神)은 모두 무독(無毒)하고 상약 (上藥)에 속한다. 중국 양나라‘도홍경(陶弘景)’과 위나라의‘오보(五父)’가 저술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상약(上藥), 중약(中藥), 하약(下藥)으로 구 분18)하고 오래 먹어도 좋은 약을 상약(上藥)으로 정하여 방제의 기준을 삼았 다.19)

원지(遠志)의 소산기체(疏散氣滯) 및 거담작용(祛痰作用)과 석창포(石菖蒲)의 개 규성신작용(開竅醒神作用)이 배합되어 심규(心窺)를 통리(通利)하고 심기(心氣) 의 울체(鬱滯)를 산(散)하게 하여 뇌(腦)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의식장애를 제거할 목적으로 다양한 뇌질환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약재들이다. 20)

정리하면, 원지(遠志)는 심신(心神)안정을 주도하고, 석창포(石菖蒲)는 체내의

17) 허준, ‘ 동의보감’ 종행선방, 1613.

18) 한약연구소위원회 編慕, ‘한약학‘ 대한약사회, 1986.

19) 한약연구소위원회 編慕, ‘한약학’ 대한약사회, 1986.

20) 全國韓醫科大學 本草學 敎材共編著, ‘本草學’, 서울, 永林社, 1991, pp.496~497, 523~524.

(20)

담(痰)을 풀어 기혈(氣血)의 순환을 도우며, 백복신(白茯神)은 생리과정의 습 (濕)을 체외로 빼주는 역할을 한다. 수백 년 동안 총명탕이 유지해 온 3가지의 최소단위로 구성한 기본처방으로서 손색없는 조합이다.

(1) 원지(遠志)

원지(Polygae Radix)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한 원지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의 뿌리이다.21) 신농본초경에는22) 무독성으로 장기 복용 할 수 있는 상품에 배속하고 일명 극원(棘蒬), 세초(細草), 생천곡(生川谷)이라 고 기록되어 있다. 그 이래로 원지는 전통적으로 진정제(鎭靜劑), 항염증제(抗 炎症劑)로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23)

원지(遠志)는 성온미고무독(性溫味苦無毒) 익지혜(益智慧) 영이목총명(令耳目 聰明) 불망강지(不忘强志)라 하여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으며 지 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을 없애며 의지를 강하게 한다. 기온(氣 溫)하며 무독(無毒)하고 침강(沈降)하는 성질이 있는 양성(陽性)의 약초이다.

경계(驚悸)를 다스리고 안신진심(安神鎭心)하고 그 밖에 신정(腎精)을 더하여 중허(中虛)를 보하고 높은 의지를 갖게 한다. 구규(九竅)를 통리(通利)시키고 애기(曖氣)와 해역(咳逆)을 제거하며 건망(健忘), 몽사(夢邪), 유정(遺精)을 진정시킨다.24)

또한, 원지는 신고(辛苦) 온조(溫燥)하여 선설(宣泄)하는 성질이 있고, 심신경 (心腎經)으로 들어간다. 심기를 도와 심울(心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 신기 (腎氣)를 심(心)에 상달케 하여 수화상제(水火相濟)로 심신을 교통케 하므로 영심안신(寧心安神)하는 효능이 있다.25)‘견권(甄權)’에서는 원지가 건망증

21) 지형준, 이상인, 안덕균, 이경순, 이숙연, 이영종, ‘대한약전 및 대한약전회 한약규격주해’ 제2개정. 서 울: 한국메티칼인텍스사. 1998, p.473~4.

22) 吳普, ‘神農本草經’, 서울, 翰林社. 1976, p.19.

23) 김호철, ‘한약약리학’. 서울, 집문당. 2001, p.379-81.

24)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성보사, 1998, pp.153~535,585,595.

25) 신천호, ‘문답식본초학’, p.254.

(21)

을 치료하고 혼백(魂魄)을 안정시키고 사람이 혼미하게 되는 것을 막고 음경 (陰莖)을 튼튼히 한다. 뿌리는 식용으로도 쓰인다. 원지는 식품공전에서 부 원 료로서 최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원료로 되어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원지는 그 효능은 영심안신(寧心安神)이고 주치병증은 건 망경계(健忘驚悸), 신지황홀(神志恍惚), 실면다몽(失眠多夢), 유방종통(乳房腫 痛), 심신불안(心神不安), 창양종독(瘡瘍腫毒), 해담불상(咳痰不爽)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귀경(歸經)은 신(腎), 심 (心), 폐(肺)이다. 금기로는 심신유화 (心腎有火), 음허양항(陰虛陽亢)의 경우에는 기(忌)하며 궤양병(潰瘍病)과 위염 (胃炎)에는 신용(愼用)한다.

(2) 백복신(白茯神)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신목(神木)은 심목(心木)인데 이름은 황송절(黃松 節)이며 편풍, 각기, 근육경련을 다스린다고 했다. 백복신은 소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는 다공균과(Polyporaceae) 복령균(茯岺菌)Poria cocos Wolf(Schw.)의 균핵을 건조한 것으로 대부분 송근(松根)에 부착하여 생장한다. 진정과 정신안 정의 작용이 있어 동물실험에 의하면 중등도의 진정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 다.26)

백복신(白茯神:Pachyma hoelen Rumph)은 성평미감무독(性平味甘無毒) 요풍 현풍허(療風眩風虛) 지경계(止驚悸) 치건망(治健忘)한다. 그 뜻은 성질이 평하 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풍(風)으로 생긴 현훈(眩暈)과 풍으로 생긴 허증(虛 症)을 치료하며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그치게 하며 건망증을 치료한 다.27)

26) 이상인 등, 한약임상응용, 서울, 성보사, 1998, pp.153, 427.

27)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성보사, 1998, pp.153~535,585,595.

(22)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백복신은 그 효능으로는 건비(健脾), 영심(寧心), 이습 (利濕), 익지(益智), 벽불상(辟不祥), 안혼백(安魂魄)이 있고, 주치병증은 건 망(健忘), 경간(驚癇), 실면(失眠), 소변불리(小便不利), 심허경계(心虛驚悸) 가 있다. 귀경(歸經)은 비(脾), 심(心)이다. 금기로는 허한(虛寒)으로 인(因)한 유정(遺精), 기허하함(氣虛下陷)으로 인한 뇨의빈삭(尿意頻數)에는 복용(服用) 을 금(忌)한다.28)

(3) 석창포(石菖蒲)

이시진(李時珍)은 창포(菖蒲)는 포(蒲)의 종류 중에 무성하고 큰 것이기 때 문에 창포(菖蒲)라고 한다. 또한 여씨춘추(呂氏春秋)에서는 동지(冬至) 이후 57일이 되면 창포(菖蒲)가 자라기 시작한다. 창포(菖蒲)는 모든 풀보다 먼저 자라기 때문에 이때부터 밭을 갈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즉 창포(菖蒲)는 양기 (陽氣)가 무성하다는 뜻을 취하여 붙여진 것이다.

석창포(石菖蒲: Acorus gramineus Sol. ex Aiton)는 성평미신무독(性平味辛無 毒) 명이목(明耳目) 뇨다망(療多忘)하다. 즉, 성질은 평하며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귀와 눈을 밝고 맑게 하며 잘 잊어버리는 것을 치료한다. 번민을 제거하 고 해역상기(咳逆上氣), 중악귀기(中惡鬼氣), 심복냉통(心腹冷痛)을 치료하고, 구규(九竅)를 통리하고 명목(明目)하며 이농(耳聾), 두풍(頭風)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오장의 허(虛)를 보(補)하여 장수하게 하며 의지를 높여주고 또 한 남자의 수장(水藏)과 부인의 혈해의 구냉(久冷)을 치료하여 안태(安胎)하며 산후의 하혈불지(下血不止)를 치료한다.29)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석창포는 그 효능으로는 화담개규(化痰開竅)이고 주치병 증은 건망이롱(健忘耳聾), 신혼전간(神昏癲癎), 금구하리(噤口下痢), 완비부기

28) 허준, ‘원본 동의보감’, 1611.

29)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성보사, 1998, pp.153~535,585,595.

(23)

(脘痞不飢)이다. 귀경(歸經)은 간(肝), 심(心), 위(胃)이다. 금기로는 음휴혈허 (陰虧血虛), 음허양항(陰虛陽亢)으로 번조(煩躁), 해수(咳嗽), 토혈(吐血), 정활 (精滑), 다한(多汗) 자는 복용을 삼가한다.

2. 한방에서 뇌의 기능에 관한 문헌적 근거

한방에서 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精), 기(氣), 신(神)의 조화를 숙지해야 한다.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에‘오장주장정야(五臟主藏精也) 불 가상(不可傷) 상즉실수이음허(傷則失守而陰虛) 음허즉무기(陰虛則無氣) 무기즉 사의(無氣則死矣)’라 하였다. 정(精)이란 후천적으로는 수곡정미(水穀精微)한 것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로서 인체활동의 물질적 기초가 되는 것이고, 기(氣) 는 수곡의 정기가 천공(天空)의 기(氣)와 합쳐져서 생리작용의 추동력을 발휘 케 하는 주요한 물질이다.

신(神)이란 수곡지미(水穀之味)와 정(精), 기(氣)의 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 로서 인체의 정상적인 사유의식을 총괄하는 것이다.30) 따라서 뇌의 작용은 오 장육부의 각 경락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정(精), 기(氣), 신(神)의 조화의 산물 이다.

총명탕의 기본 약재와 더불어 가미총명탕에서 약재배합이 있는 경우, 머리를 맑게 하는 관련 경락에 대해 기초지식의 이해가 있어야 한다. 그 근거가 되는 중심 문헌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한방에서의 뇌(腦:brain)의 정의(定意)

한방에서는 뇌를 구성하는 물질을 수(髓)로 본다. 황제내경 영추(靈樞)의 해 론(海論)에서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라고 했다. 또한, 뇌는 골수의

30)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 1987.

(24)

바다이므로 모든 골수는 뇌에 속한다. 뇌에서부터 미추에 이르기까지는 모든 정수(精髓)가 오르내리는 길이다.31) 또한, 두뇌의 그 기능에 대해, 황제내경 소문 맥요정미론(脈要精微論)에 보면, “두자(頭者), 정명지부(精明之府), 두 경시심(頭傾視深), 정신장탈의(精神將奪矣).”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석하 면,“인체의 정기는 머리에 모여 있고 신명은 눈에서 나온다. 고로 머리는 정 명의 부(府)이다. 만약 고개를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으면 눈이 움푹 들어가고 눈에서 광채가 나지 않으면 정신이 쇠약해진 상태이다.”는 뜻이다. 머리의 두 뇌가 기억과 사고의 기능을 한다는 의미이다.32)

소문33) 오장별론(素問 五藏別論)에서는 뇌수골맥담여자포(腦髓骨脈膽女子胞) 차육자(此六者) 지기지소생야(地氣之所生也) 개장우음이상우지(皆藏于陰而象于 地) 고장이불사(故藏而不瀉) 명왈기항지부(名曰奇恒之腑)이라 했다. 해석하면, 뇌, 골수, 뼈, 맥, 담, 자궁 이 여섯 가지는 땅기운에 의해 화생한 것으로 모 두가 음을 저장하며 땅을 형상하여 만들어졌으므로 저장만하고 사(瀉)하지 않 으니 이름을 기항지부(奇恒之府)34)라 한다.

또한, 뇌(腦)는 심(心)의 신명기용(神明機龍)이 외부(外部)로 노현전(露現前) 구조물(構造物)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신(腎)의 외신(外腎)과의 관계와 대비하 여 외심(外心)이라 칭할 수 있다.35) 신명기능(神明機能)의 물적(物的) 토대는 심(心)에 있으나 신(神)의 허명지미(虛明至微)한 속성(屬性)에 의해 최상(最 上)의 양위(陽位)인 뇌(腦)로 상행(上行)하여 거처(居處)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36)

31) 국역동의보감 의학입문.

32)이형진, '골수지질세포를 흰쥐 뇌에 이식한 후 이식세포의 생존 및 이동 양상', 학위논문(석사), 카톨릭 대학교 대학원: 신경외과학.

33) 皇帝內徑의 소문(素門)에는 주로 생리, 병의 원인, 이론 등의 기초의학에 해당하는 것과 양생에 관해 기록되어 있다.

34) 기항지부: 조직구성이 장부모두와 다르나 생리기능 면은 오히려 臟이 정기를 저장하는 작용과 유사하 다.

35) 김용훈, 김인락, 지규용, ‘精神機能所在로서의 뇌에 대한 한의학적 해석근거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16권 제5호, 2002, pp.881-887.

36) 박경모, ‘한의지식체계의 설명모델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한방병 리학, 1999.

(25)

뇌의 병리가 한의학적으로는 심화(心火)와 심혈(心血) 및 신정(腎精)과 관련 이 있다. 또한 비위(脾胃), 간폐(肝肺) 등과의 등차적(等差的) 관계성(關聯性) 을 갖고 있고 인간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정신(精神)과 심리방면(心理方面)의 고도로 복잡한 기능작용(機能作用)들을 보다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초가 되고 오장중심이론체계(五臟中心理論體系)와 관계한다.37)

2) 각 경락 및 장부와 뇌

각 경락 및 장부와 뇌를 연관하여 구분하는 것은 난제(難題)일 수 있다. 음 양론, 오행론, 삼음삼양론 등 각 학설과 이론이 다르고 각 문헌들도 산재해 있 다. 본 논문은 이를 통합적으로 보고 뇌와 관련한 경락 및 장부 등에 대해 다 음과 같이 정리하여 문헌 고찰을 했다.

(1) 심장 및 심포와 뇌의 기능38)

한방에서는 심경(心經)이 정서(情緖)를 주관한다. 심경은 기쁨의 감정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감정과 심장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때 오장육부에 영 향을 미친다. 따라서 심경은 군주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서, 두뇌 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장의 생리 기능이 정상이고 기혈(氣血)의 순환이 원활해지면 정신이 맑아져 서 오장육부가 제 기능을 하여 대외적으로 사물과 문제에 대한 인식이 총명해 진다. 심번(心煩)39), 경계(驚悸)40), 불면(不眠), 다몽(多夢)41) 등 심신불령

37) 김용훈, 김인락, 지규용, ‘精神機能所在로서의 뇌에 대한 한의학적 해석근거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2002.

38) 배오성, ‘뇌와 心包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과학학회 제23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5:

심포와 뇌의 관계에 있어 기능적인 일치가 보이는 병리적 기전을 발견하여 본 연구를 착수하였다. 두뇌 신경조직에 스트레스와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의 이상 난조에서 오는 정신분열증을, 편작심서 에서는 칠정과 풍사가 심포락을 침범하여 발생한다고 함으로서, 심포락이 즉 뇌신경계임을 적시하고 있 다.

39) 번열(煩熱)이 나면서 답답한 증상. 번심(煩心)이라고도 함. 대부분 열 때문인데 한으로 생긴 경우도 있 다.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의 여러 가지 병증에서 나타날 수 있다.

40) 경(驚)은 심(心)이 졸동(卒動)하여 편안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계(悸)는 심이 조동하여 놀라는 상태

(26)

(心神不寧)42)의 증상은 심경(心經)의 병변(病變)으로 본다. 심경의 병증이 커 지면, 혼수(昏睡)43), 혼미(昏迷)44) 등 정신의식 활동이 현저하게 감퇴되고 심 하면 상실되는 증상이 나타나며, 또는 치태(癡態)45), 섬망(譫妄)46), 광조(狂 躁)47) 등 정신 실상의 증상도 나타나기도 한다.

보통 뇌는 체중의 2%정도이면서 그 에너지소비량은 신체의 20% 48)를 사용한 다. 심(心)과 뇌(腦)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소문(素問) 이정변기론 (移精變氣論)에“득신자창(得神子昌), 실신자망(失神子亡)”즉, 신(神)을 얻은 자는 살 수 있고 신(神)을 잃은 자는 죽는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신을 얻 었다는 것은 눈이 총총하고 맥이 힘이 있다. 신(神)의 상실은 안광이 없거나 탁하고 맥은 약하다. 장상학설49)에 의하면, 심(心)에 대해 혈육의 심과 신명 (神明)의 심으로 2가지로 구별한다. 혈육의 심은 심장을 말하고 신명의 심은 의식, 사유, 정서 등 정신활동을 진행하는 대뇌의 작용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 라서 정신의 중심에는 심(心)에 있다는 기록이다. 그 기능과 역할은 다음과 같 은 문헌에도 있다.

유경(類經)에“심위장부지주(心爲臟腑之主), 이총통혼백(而總統魂魄), 병해의 지(幷該意志) 고우동우심즉폐응(故憂動于心則肺應) 사동우심즉비응(思動于心則 脾應) 노동우심즉간응(怒動于心則肝應) 공동우심즉신응(恐動于心則腎應) 차소 이오지유심소사야(此所以五志唯心所使也)”라고 되어 있는데 해석하면, 심은

를 말하는 것이다.

41) 꿈이 많아서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시달리거나, 악몽으로 인해 놀라서 잠을 깨게 되어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항상 수면부족감을 느끼고 피로감을 호소하는 수면장애.

42) 몸과 마음이 안절부절못하는 증상.

43) 외계의 자극에 전혀 반응하지 않고, 반사작용도 거의 소실된 의식장애의 최고도의 상태(coma) 44) 정신이 희미해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증상(stupor, Sopor , Torpor)

45) 어리석게 보이는 행동이 나타나는 증상.

46) 외계(外界)에 대한 의식이 흐리고 착각과 망상을 일으키며 헛소리나 잠꼬대, 또는 알아들을 수 없는 말 을 하며, 몹시 흥분했다가 불안해하기도 하고 비애(悲哀)나 고민에 빠지기도 하면서 마침내 마비를 일으 키는 의식 장애.

47) 몸이 괴로워서 어찌할 바를 몰라 미친 듯이 뒤척이는 증상.

48) 근육과 피부가 체중의 1/2이면서 에너지 소비량이 25%인 반면에, 뇌는 체중의 1/50이면서, 에너지 소 비량이 20%:이규희, “두뇌와 총명탕”고시계 2004.1.

49) “장상(藏象)”은 ‘素問 六節藏象論’에서 언급: 장(藏)은 체내에 감춰진 내장을 말하며 상(象)은 외적으로 나타나는 생리, 병리현상을 말한다.

(27)

장부의 대주이고 혼백을 통솔하며, 아울러 의지를 포함하고 있다. 근심은 심에 서 동하고 폐가 반응하며, 사려는 심에서 동하고 비가 반응하며, 분노는 심에서 동하고 간이 반응하며, 두려움은 심에서 동하고 신(腎)이 반응하므로 오지(五 志)는 오로지 심(心)이 관할하는 것이다.50)

소문 23편 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의 오장소장(五臟所藏)에서 심장신(心臟神) 이라 하여 심장은 정신을 간직하고 있다고 했다. 이를 심주신명(心主神明)이라 고도 한다.

소문(素問) 육절장상론(六節藏象論)에서 심자(心者)는 생지본(生之本), 신지처 야(神之處也)라 했다. 즉, 심장은 생의 근본이며 정신이 머무는 곳이다.

소문(素問) 입정신명론(入精神明論)에서는 혈기자(血氣者), 인지신(人之神)이 라고 했다. 즉, 혈과 기는 사람의 정신이라는 뜻이다.

소문(素問)·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서는 재장위심(在臟爲心) 재지위희 (在志爲喜)라 했다. 심경을 담고 있는 감정은 희(喜)라는 뜻이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에서도 희즉기화지달(喜則氣和志達) 영위통리(營衛通利)이라 했 다. 심장은 희(喜)의 경락이므로 기뻐하면 기운도 순조롭고 뜻도 잘 소통된다.

영기와 위기가 순조로이 통리가 된다는 뜻이다.

영추(靈樞) 영위생회(營衛生會)는 혈자(血者), 신기야(神氣也)라 했다. 혈(血) 은 정신의 기(氣)라는 뜻이다.51)

영추(靈樞) 본신(本神)에서는 희락자(喜樂者), 신탄산이부장(神憚散而不臟)이 라고 기록됐다. 요약하면, 너무 즐거워하는 사람은 정신이 너무 흩어져서 저장 이 되지 않으며 감정(感情)이 너무 지나치게 되면 그와 관련된 장기(臟器)가

50) 배병철, ‘기초한의학’ 성보사, 2005, p.130.

51) 손광락, '經脈體系의 形成과 發展에 關한 文獻的 硏究', 학위논문(박사), 東國大學校 大學院: 韓醫學科 1999.

(28)

손상을 입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모든 감정은 심장이 주장하기 때문에 어떠 한 감정이든 과다할 경우에 심장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한편, 우려하는 마음이 심경(心經)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문헌들은 다음과 같 다. 소문(素問) 본병론(本病論)에서는 인(人)은 우추사려즉상심(憂愁思慮則傷 心)이라 했다. 그 뜻은 사람이 근심하고 생각이 너무 많아도 심(心)을 상하게 한다.

영추(靈樞) 사기장부병형(邪氣臟腑病形)에서는 추우공구즉상심(愁憂恐懼則傷 心)이라 했다. 근심하고 두려워하면 심장을 손상시키게 된다는 뜻이다.

영추(靈樞) 본신(本神)에서는 출척사려즉상신(怵惕思慮則傷神)이라 했다. 그 뜻은 두려움이나 생각하는 것이 지나치면 신을 상하게 한다.

영추(靈樞) 구문(口問) 고비애추우즉심동(故悲哀愁憂則心動), 심동즉오장육부 개요(心動則五臟六腑皆搖)라고 했다. 그 뜻은 슬픔과 근심이 지나치면 심장이 동하고, 심장이 동하면 오장육부가 모두 흔들린다.

성제총록(聖濟總錄)52)에는“건망(健忘)의 본(本)은 심허(心虛)이다. 혈기(血 氣)가 쇠소(衰少)하고 정신혼분(精神昏憤)하여 지(志)가 동란(動亂)하여 다망 (多忙)한다. 사허(思虛)하면 상심(傷心)하고 상심(傷心)하면 희망(喜忘)한다.

또한, 영추(靈樞)53) 사객편(邪客篇)에서 "심(心)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대 주(大主)이며 심포(心包)를 범(犯)하는 사(邪)는 용납(容納)할 수 없다. 이를 용납(容納)하면 곧 심(心)을 상(傷)하게 한다. 심(心)이 상(傷)하면 신(神)이 떠나 버리고, 신(神)이 떠나면 인체(人體)는 생명(生命)을 잃고 사(邪)한다.

52) 吳錫璜, ‘聖濟總錄’, 서울, 輔成社, 1978, 권43, p.822.

53) 皇帝內徑의 영추: 의학에 관한 서적으로 내경(內經)구성 부분의 하나임. 원서는 총 9권으로 81편이며, 침경(鍼經)혹은 구권(九卷)이라고도 불림. 소문(素問)에서 논술한 내용과 비슷하며, 특히 경락(經絡)과 침 구(鍼灸)에 대해 꼼꼼히 설명되어 있음.

(29)

고로 제사(諸邪)가 심(心)에 있는 것은 모두 심포락(心包絡)에 있다."고 했다.

이것은 심포락(心包絡)이 심장(心臟)을 수호(守護)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이렇기 때문에 후세(後世)의 의가(醫家)들은 심포락(心包絡)이 심(心) 에 대신해서 사(邪)를 받는 것으로 진단하여 임상적으로 온열병(溫熱病)에 의 식(意識)이 혼미(昏迷)하고 구금불개(口噤不開)하며, 섬어(譫語) 즉, 헛소리하 는 등의 증상이 있으면 "사(邪)가 심포(心包)에 들어왔다."고 해서 치료할 경 우에는 청심설열(淸心泄熱), 또는 청심안신(淸心安神)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 다.54)

(2) 신장과 뇌의 기능

신장(腎臟)은 본래 하나이지만 크게 2개의 기능이 있다. 따라서 왼쪽의 것이 신(腎)이고 오른쪽의 것은 명문(命門)이다. 명문이란 정신이 머물러 있고 원기 (元氣)가 생겨나는 곳이다. 남자는 이곳에 정(精)을 간직하고 여자는 포(胞)가 매달려 있다.

신(腎)은 한 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55) 명문은 기본 장기가 아니며 삼초(三 焦)는 기본 부(府)가 아니다.56)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에는 “신성노이부지(腎盛怒而不止) 즉상지(則傷 志), 지상즉희망기전언(志傷則喜忘其前言)”이라 하였는데 이를 풀어 설명하 면, 노(怒)는 간기(肝氣)의 지(志)이므로 역시 상신(上神)한다는 것이고, 간신 (肝腎)은 자모(子母)로 기(氣)는 상통(上通)하며 신(腎)은 지(志)를 저장하는 곳이므로 지(志)를 상(傷)하면, 의(意)를 실(失)하여 전언(前言)을 희망(喜忘) 한다는 뜻이다.57)

54) 노진우, '靈樞.邪客에 對한 硏究', 학위논문(석사), 우석대학교: 한의학과 1998.

55) 동의보감: 황제내경의 난경.

56) 동의보감: 의학입문.

57) 柳錦龍, 장규태, 김장현, '건망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99, p.2.

(30)

(3) 5장 6부와 뇌의 기능

사람의 정신의식과 그 활동은 대뇌의 기능이지만 한의학에서는 이것을 오장 에 분속시키고 있다. 영추본장(靈樞本藏)에서“오장자(五臟者) 소이장정신혈기 혼백자야(所以藏精神血氣魂魄者也). 육부자(六腑者) 소이화수곡이행진액자야 (所以化水穀而行津液者也)”라고 했다. 해석하면, 오장은 정신, 혈기, 혼백을 저장하고 육부는 음식물을 운화하고 진액을 전신에 퍼뜨린다.

소문(素問) 천원기대론(天元紀大論)에서는 인유오장화오기(人有五臟化五氣), 이생희노사우공(以生喜, 怒, 思, 憂, 恐)이라 했다. 그 뜻은 사람에게는 오장 (五臟)이 있어서 오기(五氣)를 생한다. 오장에서 오장지기(五臟之氣:心-喜, 肝 -怒, 脾-思, 肺-憂, 腎-恐)를 화생(化生)한다.

(4) 구규(九竅)와 뇌의 기능

구규(九竅)는 신체에서 아홉 개의 구멍을 말한다. 이 구멍을 통해서 오장(五 臟)의 기(氣)가 출입하는 통로이다. 정기(精氣)가 모아지는 곳으로 뇌에 미치 는 영향이 매우 크다.58)

동의보감에서 석창포는 심장의 구멍(心孔)을 열어주고 오장(五臟)을 보한다.

구규(九竅: 눈, 귀, 코의 여섯 구멍과 입, 항문, 요도의 세 구멍)를 잘 통하게 한다. 눈과 귀를 밝게 하며, 음성이 잘 나오게 한다. 건망증과 치매를 낫게 하 고 머리를 총명하게 한다.

(5) 의지(意志)와 뇌의 기능

"동의보감 내경 신형(身形) 섭생요결(攝養要訣)에서는“너무 기뻐하는 것, 성내어 의지를 상하는 것, 너무 슬퍼하여 정신을 상하는 것, 부귀영화를 탐내 도덕을 문란 시키는 것, 성생활로 정액을 고갈케 하는 것 등은 양생법(養生法) 을 배움에 있어서 아주 금해야 한다.”고 하였다.

58) 박기원, ‘총명한 두뇌 만들기’, 한방미디어, 1999. p.40.

(31)

진고(眞誥)59)에는“눈은 몸의 거울이며 귀는 몸의 창문과 같다고 했다. 보는 것이 너무 많으면 거울이 희미해지고 여러 가지를 들으면 창문이 닫힌다. 얼굴 은 정신이 노는 곳이고 머리털은 뇌수(腦髓)의 표현이다. 근심하면 얼굴이 수 척해지고 뇌수가 줄면 머리털이 희어진다. 정기는 사람의 신령(神靈)이며 명랑 한 기분은 몸의 보배이다. 지나친 과로는 정기가 흩어지고 하는 일이 복잡하면 명랑한 기분이 사라진다.”라고 씌어 있다.

포박자(抱朴子)60)는“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늘 생각하는 것, 걱정하는 것, 욕심을 내는 것, 일을 하는 것, 말을 하는 것, 웃는 것, 근심하는 것, 좋아하 는 것, 싫어하는 것들을 모두 적게 한다. 이 12가지를 적게 하는 것은 양생하 는 데 총칙으로 된다. 생각을 많이 하면 정신(精神)이 위태롭고 걱정을 많이 하면 의지가 흩어지며 욕심이 많으면 의지가 흐려진다. 또한, 일을 많이 하면 몸이 피로해지고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부족해지며 많이 웃으면 오장(五臟)이 상한다. 그리고 근심이 많으면 마음이 떨리고 즐거워하는 것이 많으면 의지가 넘쳐나고 기쁨이 많으면 정신이 혼란(昏亂)해진다. 성내는 일이 많으면 온갖 맥(脈)이 고르지 못하며 좋아하는 것이 많으면 섞갈려서 사리를 분간하지 못하 고 싫어하는 것이 많으면 몸이 마르고 즐거운 일이 없게 된다. 이 12가지를 흔 히 없애지 않으면 영위(榮衛)가 제대로 돌지 못하고 혈기가 허투루 돌아서 생 명을 잃게 하는 근본으로 된다.”고 하였다.61)

(6) 칠정(七情)의 감정경락과 뇌의 기능62)

59) 양( 梁)나라 때, 도교교단의 최고 지도자인 도홍경(陶弘景.456-536) 불후의 저작인 `진고' (眞誥)를 말 한다.

60) ‘포박자(抱朴子)’는 중국 동진(東晋) 사람인 갈홍(葛洪)이 위백양이 전개한 역(易)의 이론에 신선도(神仙 道)의 이론과 방법을 확립시켜 저술한 책이다. 《포박자》는 내편(內篇) 20권과 외편(外篇) 50권으로 짜 여져 있고 내편은 도교와 깊은 관계가 있으나 외편은 유서(儒書)로서 세간(世間)의 이해득실을 논한 저 술이다.

61) 허준, ‘동의보감, 내경편: 신형.

62) 천년전 송나라의 진언(陣言)은 삼인방(三因方)이라는 책에서 병의 원인을 크게 외인, 내인, 불내외인으 로 구분하였는데, 외인(外因):풍한서습조화라는 자연적 기후에 의한 여섯 가지 기운과 전염병에 의한 외 부적 요인, 내인(內因): 喜怒思憂悲恐驚의 일곱가지 감정의 칠정에 의한 손상인 내부적 요인, 불내외인 (不內外因): 교통사고, 타박상, 음식상, 과로, 색욕의 내인도 외인도 아닌 요인.

(32)

칠정(七情)이란 정신활동의 구체적인 표현으로서, 감정의 변화(變化)를 말 한다. 이것은 희(喜), 노(怒), 우(憂), 사(思), 비(悲), 공(恐), 경(驚)의 7 가지의 감정을 말한다. 칠정은 7가지의 경락과 함께 몸의 상태를 반영한다. 그 몸에 대한 정보는 곧 정신활동으로 반영된다. 동의보감의 외형의 머리 문(門) 에서 기훈(氣暈) 칠정(七情)에 몹시 상하여 기가 몰려서 담연(痰涎)이 생기고 그 담연이 심규(心竅)를 막았기 때문에 생긴 어지럼증이다.63)

첫째, 희(喜)는 심경(心經)으로 기쁨이며 심정이 유쾌함의 표현을 희(喜)라고 한다. 기쁘면 기가 누그럽게 되며 순환이 순조롭게 된다. 의가 온화하고, 기가 순조롭고, 영위가 조화되어 건강 무병하게 된다. 단, 희(喜)가 과도하면 심기 (心氣)가 손상 받는다. 즉 신기(腎氣)를 소모, 분산시키고 불안케 된다.64) 영 추 본신편에서는 희락(喜樂)의 정(精)이 과하면 신(神)이 흩어져 산만해진다.

또는 희락의 정(精)이 지나치면 백(魄)을 상하게 하는데, 백(魄)은 폐지신(肺 之神)이므로 폐(肺)가 상한다.

둘째, 노(怒)는 간경(肝經)의 노여움을 말한다. 여기에 담(膽)도 관여한다. 간 담은 표리관계 뿐만 아니라 담은 결단력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혈은 상초에 기는 하초에 편취되어 있는데 기혈의 순행이 순조롭지 못하면 난조를 이루면서 가슴이 답답해지고 화를 잘 내게 되는데65) 이때 음혈이 소모되면 가 화가 극성해진다. 소문(素問) '사시자역종론편(四時刺逆從論篇)'에 말하기를 혈기역상하면 사람을 잘 노하게 한다고 하였다. 소문 '조경론'에 보면 혈유여 자는 쉽게 노하고, 다혈질자도 쉽게 노한다고 했다. 소문 '음양응상대론'에는 폭노(暴怒)는 음(陰)을 상한다고 했다.66) 즉, 노(怒)로 인해 간(肝), 담(膽), 심(心), 신(腎) 모두가 발병이 되는 것이다.

셋째, 우(憂)는 폐경(肺經)에 속한다. 그러나 심경에 변동이 있어 우정(憂精)

63) 허준, ‘동의보감 원본’, 1611.

64) 배병철,‘기초한의학’ 성보사, 2010. p.635.

65)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87.

66) 황재내경 소문의 음양응상대론.

(33)

이 나오기도 하고 심(心)의 형상(形象)이 소(小)하여 상(傷)하기 쉽고 우(憂) 로서 심(心)을 상하게 한다. 이는 모두 우정(憂精)이 신(神)을 상하게 하므로 상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심, 폐, 간, 비, 사장(四臟)이 모두 우정(憂 精)으로 병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67)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에 보면,‘우 수(憂愁)란 기(氣)가 폐색되어 행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폐(肺)는 기 를 다스리는데 기가 폐색되면 폐가 손상케 된다. 뿐 아니라 영추, 본신편에서 는 '비(脾)가 우수로 풀리지 않으면 의(意)를 상한다'고 하였다. 즉, 근심․걱 정이 많아서 풀어지지 않으면 밥맛이 떨어지고 기가 울체되므로 순환이 잘 되 지 못해 폐도 손상케 된다고 하는 말이다.68)

넷째, 사(思)는 비경(脾經)이다. 이는 중앙토(土)로서 생각을 의미한다, 한 가 지 생각에 골몰하게 되면, 신(神)이 한 곳에 귀착되고 정기(正氣)도 한 곳에 머물러 순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기결(氣結)된다고 하였다.69) 그렇게 되면 심 의 신명작용이 훼손될 것이며 비가 손상될 것이다. 영추 본신편에 보면, "인지 이 존변 위지사(因志而 存變 謂之思)70)"고 하였다. 즉, 의지에 의하여 반복 고려하는 것을 사(思)라고 한다. 지나치게 집중하고 고착된 사고를 가짐으로 불안하고 초조하게 되면 신(神)을 상(傷)하게 한다. 과사(過思)는 상비(傷脾) 한다.

다섯째, 비(悲)는 폐경(肺經)에 배속한다. 비애의 정(情)이 동중(動中)하면 혼 (魂)이 상한다고 했다. 금극목(金克木)이므로 간(肝)이 상한 것이다. 이 처럼 심(心)이 허하면 비(悲)한다든가 신(神)부족하면 비(悲)한다고도 했다. 비애의 정(情)이 태심(太甚)하면 심포락(心包絡)이 절(絶)하여 양기가 내에서만 돌게 되어 심계의 조화가 붕괴되기 때문에 혈뇨를 보게 될 수 도 있다.71)

67) “張氏類經” 情志九氣 원문 해석.

68) 황재내경 영추 본신편.

69) “張氏類經” 情志九氣 원문 해석.

70) 황제내경 영추 본신편, 현대의학적인 의미에서는 스트레스를 사(思) 또는 편집증이라고 한다.

71)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 1987. p.105.

(34)

여섯째, 공(恐)은 신경(腎經)이다. 이는 무서움, 두려움 즉, 공포의 의미로 정 신이 극도로 긴장하는 것에 일어나는 공포의 감정이다. 공정(恐精)은 신(腎)에 배속되었지만 심(心)을 상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신(神)이 상(傷)하면, 역시 공정(恐精)이 떠나지 않는다. 또한, 공정(恐精)이 떠나지 않으면, 비기(脾氣) 가 승(乘)하여 신허(腎虛)해지며 위기(胃氣)도 역상하여 떠나지 않는다.72)

일곱째, 경(驚)은 신경(腎經)이다. 이는 놀람이다. 간(肝)에 병이 발하면 놀람 이 자주일어 난다. 간의 풍(風)은 진동을 상징하므로 정(靜)을 깨고 경악(驚 愕)의 정지는 풍목(風木)의 요동하는 상(狀)과 같기 때문이다. 또한, 양명경 (陽明經)에 병이 심해져도 궐증(厥症)이 오면서 작은 소리에도 잘 놀라게 되는 데 이는 간기(肝氣)가 위(胃)에 승(乘)하여 위기(胃氣)가 허약(虛弱)해 진 탓 이다.73)

유문사친(儒門事親)74)에 말하기를 "경(驚)은 스스로 모르는 것이고 공(恐)은 스스로 아는 것"이라고 비교하여 놓았다. 경(驚)을 일으키면 내부에 심신이 움 직이고 신기가 어지럽혀져 감정이 불안하게 된다. 소문 거통론(擧痛論)75)에 보면 놀라면 심은 둘 곳이 없고, 신은 귀의(歸依)할 곳이 없으며 여(慮)는 정 할 곳이 없다. 그러므로 기는 어지럽혀진다고 하였다.

3. 총명탕의 주치와 관련 경락에 따른 문헌고찰

뇌를 건강하게 보지(保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경락과 연관이 있 을 것으로 보인다. 황제내경소문 오장생성편(五臟生成篇)에는 ”제수자(諸髓 者), 개속어뇌(皆屬於腦).”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석하면 ”뇌는 수해(髓海) 이다. 모든 수(髓)는 뇌에 속한다.”는 뜻이다. 또한, 황제내경 영추 해론(海

72)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 1987. p.106.

73) 黃義完 金知赫, ‘東醫精神醫學’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 1987. p.107.

74) 중국 금나라 장자화(張子和)가 편찬하고 편찬 연도는 미상인 종합 의서임.

75) 黃帝內經 素問 제 11 권 제 39 편 擧痛論.

참조

관련 문서

•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ry)는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지속적으로 동 맥혈의 산소포화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임상적으로 순환계 및 호흡기계

•문법에 대한 규칙을 이해하고 적용할

집중과 끈기 과제에 대한 집중력이 높고 과 제를 끈기 있게 해결하려함.. 과제에 대한 집중력이 낮거나 과 제를 끈기

옛것에 대한 특징과 가치를 생각하며 입체로 표현하는 3D 홀로그램 영상은 문화재를 가 장 현실감 있게 되살리도록 합니다 이러한 문화재 복원에서

○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여가시간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교통이 발달하면 서 쉽게 여행을 다닐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이 프로그램 에서는 관찰을 통해 각각의 특징을 찾아내고, 공통되는 특징을 가진 것 끼리 묶을 수 있도록 분류 기준을 정하고,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 작업을 하게

3장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나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들 이 분류사와 명사의 연관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한국어의

3.성별,연령별 반점치유병율에 관한 유의성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NorthAmerica의 dentalfluorosis유병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