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2 0 년 8 월 석 사 학 위 논 문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 “광 주 폴 리 ”를 중 심 으 로 -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최 정 오

(3)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 “광 주 폴 리 ”를 중 심 으 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Tourism and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Focus on the Gwangju Folly

2020년 8월 28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최 정 오

(4)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 “광 주 폴 리 ”를 중 심 으 로 - 지도교수 : 이 승 권

이 논 문을 문 화학 석 사학위 청구논 문으로 제출함 .

2020년 5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 화 학 과

최 정 오

(5)

최정오의 석사학위 논문올 언준함 .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박 경 표像옳£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한 종 완 鍵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승 권 鍵

2020년 6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 ⅴ 그림 목차 ··· ⅵ Abstract ··· ⅶ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 범위 ··· 3

2. 연구 방법 ··· 3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문화적 도시재생 배경과 문화관광··· 5

1. 문화적 도시재생 배경 ··· 5

2.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 7

3.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국내·외 흐름 ···· 10

제3장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사례 제1절 해외사례 ··· 13

1. 프랑스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 ··· 13

2. 영국의 글래스고 ··· 17

3. 일본의 나오시마(直島) ··· 23

제2절 광주폴리 ··· 29

(7)

1. 광주폴리의 추진 배경 ··· 29

2. 1차 광주폴리 ··· 32

3. 2차 광주폴리 ··· 39

4. 3차 광주폴리 ··· 44

5. 4차 광주폴리 ··· 50

6. 광주폴리와 문화관광 활성화 현황 ··· 52

제4장 사례비교를 통해서 본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제1절 해외사례와 광주폴리 비교 및 시사점 ··· 54

1. 라 빌레뜨 공원과 광주폴리 ··· 54

2. 글래스고와 광주폴리 ··· 55

3. 나오시마와 광주폴리 ··· 56

제2절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 59

1. 라 빌레뜨공원 ··· 60

2. 글래스고 ··· 61

3. 나오시마 ··· 62

4. 광주폴리 ··· 62

제3절 광주폴리와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 64

1. 광주폴리와 문화적 도시재생의 한계점 ··· 64

2. 광주폴리와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 66

제5장 결론 ··· 74

참고문헌 ··· 76

(8)

표 목 차

<표 2-1-1>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6

<표 2-1-2> 프리스의 유형 ··· 8

<표 2-1-3> 빈스의 유형 ··· 9

<표 2-1-4> 문화적 도시재생의 범주별 사례 ··· 9

<표 3-1-1> 라 빌레뜨 공원의 특징 ··· 15

<표 3-1-2> 나오시마 도시재생 연혁 ··· 25

<표 3-1-3> 나오시마 미술관의 특징 ··· 26

<표 3-2-1> 광주광역시 도시변화와 도심쇠퇴의 원인 ··· 29

<표 3-2-2> 광주 구도심의 문화적 도시재생 연혁 ··· 31

<표 3-2-3> 도시재생 참여집단의 구분 ··· 32

<표 3-2-4> 광주폴리 1차 추진과정 ··· 33

<표 3-2-5> 1차 폴리 작품별 분석표 ··· 39

<표 3-2-6> 2차 폴리 작품별 분석표 ··· 44

<표 3-2-7> 3차 폴리 작품별 분석표 ··· 49

<표 3-2-8> 광주폴리 방문객 현황 ··· 52

<표 4-2-1> 2018년 광주광역시 주요관광지 누적 수 현황 ··· 63

<표 4-2-2> 2018년 광주광역시 주요관광지점 분류 현황 ··· 63

(9)

그 림 목 차

<그림 3-1-1> 창조산업 구성에 따른 도시 간 고용 비율 ··· 21

<그림 3-1-2> 글래스고 과학센터 ··· 21

<그림 3-1-3> 글래스고 주요지점 방문객 현황 ··· 23

<그림 3-1-4> 나오시마 관광객 현황 ··· 28

<그림 3-2-1> 폴리 1차 작품의 위치 및 지도 ··· 34

<그림 3-2-2> 폴리 2차 작품의 위치 및 지도 ··· 40

<그림 3-2-3> 폴리 3차 작품의 위치 및 지도 ··· 45

<그림 3-2-4> 폴리 4차 관문형 폴리 “무등의 빛” ··· 51

<그림 4-3-1> 주민중심 도시재생 ··· 69

<그림 4-3-2> 광주광역시 7대 문화 권역별 조성방안 ··· 71

<그림 4-3-3> 문화 데이터 ··· 73

(10)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Tourism and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Focus on the Gwangju Folly

Choi Jeong-O Advisor: Prof. Lee Seungkwon Department of Culture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eodore Paul Kim's 『Ville Clinique』, he pointed out that the city' s innovation policy pursuing the future is not to make the city that people want to visit, but its ultimate goal is to make the city where people want to live. Korea's urban development policy was made as if the entire cities were competing under the slogan of culture city, eco-city, high-tech science city,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ew city, corporate city and international city. How many cities do you want to live in, and not a city you want to visit among these irrational cities? Today, we have to think about what is a beautiful city we really want to pursue and how we plan to cultivate it.

Therefore, this stud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tourism with an interest in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brought from cultural touris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research looks into "Gwangju Folly" which is a part of urban regeneratio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Parc de La Villette, Glasgow, and the art museum which is important key of urban revitalization and led success to small island Naoshima which is reborn as a paradise of architecture and art from a garbage island in Japa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ourism by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se cases and tries to clarify the

(11)

difference betwee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n Gwangju and foreign case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mpar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the aim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cultural tourism pursued by the four cities.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draw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tourism.

Finally, this paper has a meaningful implication, which suggests the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authenticity of in this cultural tourism and what true cities we are pursuing.

Keyword : Cultural Urban Regeneration, Cultural Tourism, Parc de La Villette, Glasgow, Naoshima(なおしま, 直島), Gwangju Folly.

(12)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인간이 만든 도시는 발전을 거듭하며 끊임없이 변형됐다. 계절에 따라 인간의 옷이 달라지듯 도시도 시대와 시민의 삶에 따라 도시만의 특색을 지닌 공간이 되기도 하고, 자본의 논리에 따른 공간으로 변하기도 한다. 근대도시는 산업화 과정에서 자본주의 논리가 반영된 기능 중심도시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심의 주요 기능 또한 분산되었다. 도심 기능의 분산은 도심 공동화 현상을 초래하였고 시민들과 도시공간을 연결하는 유기체적 요소가 작동하지 않으면서 도심은 쇠퇴 하였다. 쇠퇴한 도시들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도시재건전략을 수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등장한 도시 재생전략은 무분별한 재개발 중심의 도시 재생이었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탈산업사회에 적합한 사회·문화적 접근방식의 도시재생, 문화적 가치를 부여한 문화적 도시재생(Cultural Regeneration)이 1990년대에 새 로운 도시재생의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문화적 도시재생은 대부분 공공미술이나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 방식으로 문화관광(Cultural Tourism) 측면에서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어 냈다. 도시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해서 이야기가 있는 도시로 재탄생되었고 문화를 즐기는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였다. 문화적 도시재 생을 통해 주민의 삶을 변화시키고 도시문화를 체험하는 문화관광객의 증가를 통해 도시경쟁력 향상에 성공한 사례가 등장하자 많은 도시가 문화적 도시재생 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문화적 도시재생이 성공하여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문화관광 활성화 를 유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미흡한 운영으로 기대하는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 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문화적 도시재생이 문화관광 활성화에 가장 크게 작용하 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문화적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 본 논문은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 성을 확인하고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연결 요소를 구체화하여 도시경쟁

(13)

력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문화적 도시재생 사례는 광주광역시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인 광주 폴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광주광역시가 도시재생사업의 하나로 시도한 광주폴리 프로젝트의 전 과정(1차부터 4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광주폴리 프로젝트가 도심 활성화와 문화관광객 증대에 기여한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광주폴리 프로젝트가 독자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 해외사례를 모방하여 이루 어진 사업이기 때문에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광주폴리 프로 젝트를 설명하였다. 광주폴리와 해외사례의 비교를 통해서 문화적 도시재생의 효 과를 가감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도 살펴볼 것이다. 성공한 해외사례가 제시하는 시사점을 광주폴리 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가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인,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재생의 결과가 도시와 지역민에게 주는 영향과 외부 방문객에 주는 도시 이미지의 영향 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 광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시민을 위한 진정한 도시재생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 다.

(1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방식 의 문화적 도시재생 중, 공공미술을 매개로 한 문화적 도시재생에 집중하였다.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받는 프랑스 라 빌레뜨 공원(Parc de La Villette)과 영국의 글래스고(Glasgow), 일본의 나오시마(なおしま, 直島) 등,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세계적 관심을 이끈 동서양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프랑스 라 빌레뜨 공원에서 제시된 베르나르 추미(Bernard Tchumi)의 폴리 (Folly) 개념을 바탕으로 광주폴리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연구하였다. 두 지역이 대상이나 공간의 의미는 다르지만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 활성화라는 목 표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광주광역시 도시재생 프로젝트인 광주폴리(Gwangju Folly)를 검증하기 위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광주폴리 프로젝트는 1차에서 4차까 지 매회 주제나 장소가 다르게 진행된 프로젝트로 타 도시와 구별되는 광주만의 사업이다. 본 연구가 광주폴리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해외사례에서도 모범적 사례만을 수용할 것이며 광주가 시도한 도시재생 방식을 발전시키기 위 한 사례에 한정할 것이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공공미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서 문화적 도시재생의 의미를 정의하고 성공적인 문 화적 도시재생 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광주폴리 프로젝트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체계적 연구에 한계는 있었지만 도시재생에 관한 선행연구나 광주폴리 홈페이지, 광주광역시 도 시재생 계획안 등을 분석해서 최선의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광주 폴리 프로젝트”가 매회 다르게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작품의 지리적, 공간적 위

(15)

치를 분석해 보고, 작품이 놓인 지리적, 공간적 위치에 따른 도시재생의 의미와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다시 말해, 광주 도시재생사업의 기함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광주폴리 프로젝트”를 매개로 한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전개하였다.

먼저, 서론, 1장, 2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연구대상 을 기술하고, 문헌연구를 통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문화적 도시재생의 배경과 문 화적 도시재생의 국내·외 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3장 1절 1항에서는, 광주폴리의 모델인 프랑스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가 갖 는 의미와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문화적 도시재생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로 볼 수 있다.

3장 1절 2항과 3항에서는, 공공미술을 기반으로 시도된 문화적 도시재생의 초 기 모델로 평가받는 영국 글래스고와 일본 나오시마 섬의 재생사례를 분석하여 문화적 도시재생 정책이 지역 활성화와 문화관광 활성화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았다.

3장 2절에서는,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인 광주폴리 프로젝트와 문화적 도시 재생 및 문화관광 활성화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4장 1절과 2절에서는, 해외사례와 광주폴리 프로젝트의 비교를 통해서 문화관 광과 도시재생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사례별로 시도하였다.

4장 3절은 광주폴리의 활성화 방향을 선행 논문의 분석을 통해서 제시하고, 광 주폴리에 적용이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5장은, 결론으로, 전체 연구의 결과,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바람직 한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하였다.

(16)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문화적 도시재생 배경과 문화관광

1. 문화적 도시재생 배경

문화적 도시재생은 역사유물이나 공공미술 등의 문화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도시재생의 일환이다. 도시재생 초기인 1950~1970년대에는 도시쇄신 (Urban Renovation)과, 도시재정비 (Urban Renewal) 차원에서 도시재생을 진행했고, 1980년대의 도시 재개발(Urban Redevelopment) 단계를 거쳐 1990년대 이후 도 시 활성화 정책인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의 일환으로 문화적 도시재생이 진행되었다.1) 시대에 따른 도시재생 변화의 원인은 도시의 공간 기능 분활에 따 른 것으로, 도시의 공간은 고정불변의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닌 산업구조 개편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유동적 속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산업화로 도시가 발달하여 도심 중심부로 행정구역이나 각종 기반시설이 늘어 나게 되면서 인구가 과밀화되고 임대료가 상승하게 되었다. 여기에 교통 및 환경 문제까지 심각해지자 도심에 위치했던 산업시설들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도심의 산업구조에 변화를 주었다. 변화된 도심의 산업구조는 도심 공동화를 유 발시켜 기반시설의 노후와 및 상업기능의 쇠퇴로 이어졌으며 도심은 기능을 상 실한 채 서서히 쇠퇴해지며 도심 전체의 침체를 이끌었다.2)

도시를 침체에서 벗어나게 하고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주기 위해 제시된 도 시기능 회복 방안이 도시재생이며, 문화적 도시재생은 도시를 문화공간 중심으로 재정비하여 문화관광 수요를 끌어들이는데 주안점을 둔 재생방식이다.

1) 김우영(2010), “후기 산업시대 문화기반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랜드 마크를 활용한 도 시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한국도시설계학회, 통권 제54호, p.5-23.

2) 강준모·박정민(2008), “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 한토목학회, 28권 1호, pp.137-145.

(17)

<표 2-1-1>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3)

3) 윤현석(2011), “문화적 도시재생전략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 논문, p.21.

시기 1950 1960 1970 1980 1990

도시재생 변화

▹urban ren ovation

▹urban recon struction

▹urban revit alization

▹urban ren ewal

▹urban rede velopment

▹urban rege neration

정책변화 ▹노후된 기존 도시 재건축

▹1950년대의 특성 유지

▹도시 재활성화 시도

▹도시 재개발

▹녹색 공간계획

▹구도심 중심부 개발

▹대규모도시 개발 프로 젝트 계획

▹종합적, 통합 적인 도시개발 진행

추진체

▹중앙 집권적 운영

▹민간 도급업 자가 개발 담당

▹공공 기관과 지역 민간 협 업에 의한 개발

▹지역 민관 기관 강화

▹중앙정부와 지 방정부의 분리

▹정부의 특별 기관 운영

▹지역 민관기 관과 특별기 관의 협력

▹지역 협력 중 요성 강조

공간적 유형

▹한정 부지만 강조

▹도시 중심부 복원 착수

▹지역적 특색 에 맞게 개발 추진

▹전체 부지로 강화

▹전체로 확대 차원

▹지역 주체로 확대

경제 지원적 측면

▹일부 민간투 자와 공공의 통합

▹민간 기관 영향력 향상

▹중앙정부의 재정 약화

▹민간투자 증가 양상

▹선별적 민간 투자기관

▹공공자금을 통 한 민관기관 주도 양상

▹민관과 공공의 협력적 균형

사회적, 물리적 측면

▹주거개선효 과 보임

▹도심 외곽 개발 진행

▹지역사회 복 지 향상

▹도심 중심부 재건

▹도심 외곽 개발

▹지역 중심 의견 반영

▹오래된 도심 지역 재생 확대

▹국가 지원적 지역 커뮤니 티를 통한 개발

▹대규모 신개 발 프로젝트

▹지역 커뮤니 티 중요성 강 조

▹문화, 유산 보존 및 종 합적 개발

환경 접근적 특성

▹도시 주변의 경관을 위한 도시 환경 개선

▹중앙정부의 지정 지역 한정

▹경제적 이익 을 남기지 않는 봉사적 차원의 환경 개선

▹환경 문제에 관한 관심 대두

▹환경적 도시 재생 접근

▹지속적인 자 연환경 보존 개념 도입

(18)

1990년대 이후 국내·외 도시재생 동향은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을 추진하여 문화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비(Harvey) 는 “도시는 예로부터 문화적 생산 및 혁신의 중심으로 탈산업화 사회를 맞이하 여 이와 같은 문화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며,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도시 들은 문화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라고 하 였다. 쥬킨(Zukin)은 문화가 도시 성장 및 통제정책의 수단으로 활용되리라 전망 하였다.4)

기존의 도시재생이 도시재건이나 도심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면 문화적 도시재생은 지역의 역사, 문화, 공공미술을 기반으로 도시 전체를 문 화공간으로 만드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적 도시재생은 후기산업사회의 특징으로 국내·외에서 많이 진행되어왔다. 현재 진행되는 도시재생은 대부분 문 화적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테오도르 폴 김은 『도시 클리닉』에서 “인류 는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과거의 문화를 귀하게 보존하고 현재의 문화를 지속적 으로 창조했는데, 그 문화를 만드는 장소가 바로 도시이다.”5) 라고 언급했다. 이 러한 주장은 진정한 도시재생의 의미는 물리적 편리함보다는 건전한 삶을 영위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지속적 창조가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문화적 도시재 생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2. 문화적 도시재생(Cultural Regeneration)과 문화관광

문화적 도시재생을 시작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다수 도시는 로 마나 중국처럼 역사적 유물이 풍부하거나, 아프리카나 태평양의 섬처럼 천혜의 자연환경을 간직한 나라와는 다르다. 따라서 특별한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도시 방문객을 유치해야 한다. 이는 도시여행의 흐름이 이전 역사적 유물이나 천혜의 자연환경을 찾아 나서기보다는 도시만의 독특한 매력을 선호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것이다. 젊은 여행자들이 지역 맛집 앞에서 텐트를 치며 밤을 새우는 것을 주저하지 않고,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업로드를 위해 인스타 4) 김혜진(2013), “상하이의 산업유산을 통한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 연구-M50 창의 산업 원구

를 중심으로”,『중국학 연구』, 중국학회, 제65집, pp.321-347 재인용.

5) 테오드르드 폴 김(2001), 『도시 클리닉』, 시대의 창, p.49.

(19)

(Instagram)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모습은 흔한 광경이다. 이와같이 현대의 도시 들은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해서 더욱 매력적인 도시로 재탄생시켜 도시의 기능 을 유지해 간다.

문화적 도시재생을 유형별로 분류한 프리스(Frith.S)와 빈스(Binns)의 구분을 살펴보면, 프리스는 산업성(Industrial Cultural Policy), 산업 관광성(Tourist Cultural Policy), 치장성 문화정책(Cosmetic Cultural Policy)으로, 빈스는 문화산 업 조성유형, 문화소비 유도전략, 지역참여 지원유형으로 등으로 도시의 재생방 식을 분석하였다.6)

정책 유형 사례 도시 도시재생방법

치장적 문화정책

▹부뤼셀 에스페이스 레오폴드 / 유럽연합(Espace Leopoid/EU District)

▹지역 환경개선으로 도시기능 회복, 지역 가치를 상승을 통한 지역 문화재생 정책

관광적

문화정책 ▹한국 춘천(남이섬)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한 마케팅개념도입, 해외관광객 유치의 관광 문화정책 산업적

문화정책 ▹독일 베를린 에드럴 쇼프(Adlershof)

▹지역의 콘텐츠를 도입해 지역 경제를 끌어올리려는 경제 재생의 산업형 문화재생

<표 2-1-2> 프리스의 유형7)

프리스의 유형은 문화정책에 있어서 지역의 산업과 문화의 특색을 잘 반영한 서구 도시의 문화정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문화행사를 유치하여 문화관광객들 의 도시 유입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빈스의 문화적 도시재생 유 형은 국가적 도시계획의 중요성과 협업 주체인 지역민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점 을 강조한 도시재생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도시재생의 범주를 김우영의 연구에서 제시된 문화적 도시재생의 범주별 사례(개발형, 수복형)8)를 참고하여 <표 2-1-4>로 정리하였 다.

6) Frith. S,「Knowing one's place: the culture of cultural industries」, Cultural Studies From Birmingham, 1991, 윤현석(2011), p.33 재인용.

7) 윤현석(2011), 앞의 책 p.32.

8) 김우영(2012), 앞의 책, pp.5-23.

(20)

<표 2-1-3> 빈스의 유형9)

<표 2-1-4> 문화적 도시재생의 범주별 사례 9) 윤현석(2011), 앞의 책 p.33.

도시 도시재생의

지역적 특성 개발형태 문화적 도시재생 문화관광 활성화 파리

라빌레뜨 (Parc de La Villette)

▹공원 부지의 도 시재생

▹수복형-집단론

▹개발형-도구론

▹도시지역 활성 화 및 환경개선

▹지역 재개발

▹폴리 개념의 콘 텐츠 도입

▹근대정원 디자 인 수법에서 건 축 기법의 전환

▹21세기 새로운 도시형 공원

글래스고 (Glasgow)

▹항구도시, 도시

전체 재생 ▹수복형-보존론

▹지역 커뮤니티 정체성 계승

▹지역 역사문화 보존 및 정비

▹글래스고 유럽 문화 도시

광주광역시 폴리 (Gwangju Folly)

▹구도심 도시재생 ▹개발형-도구론

▹경제적 재생을 위한 문화 도입

▹도시 문화 컨텐츠 도입

▹광주폴리 브랜드화

나오시마 (なおしま, 直島)

▹섬 전체

도시재생 ▹개발형-신화론

▹섬 개발

▹예술의 섬으로 창 조 이미지 상징화

▹Conde Nast Tr aveler 2006 세 계 7개 장소로 선정

정책 유형 사례 도시 도시재생의 방법

문화산업조성유형 ▹한국 광주광역시

▹ 지역의 역사적 사건과 지역 문화 이벤트를 살린

문화산업육성의 문화정책

문화 소비유도전략

▹영국 그레스 고 유럽문화 도시(European City of Culture in Glasgow)

▹역사문화 유산과 문화적 이벤트개최로 문화 소비를 유도하는 문화 소비 유도 문화재생

지역참여 지원유형 ▹일본 나오시마 집(家) 프로젝트

▹지역민의 집을 활용, 지역민의 참여와 지원을 바탕으로 하는 지역참여 지원유형의 문화적 도시재생

(21)

3.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국내외 흐름

문화적 도시재생은 도시 경관을 디자인하여 랜드마크를 조성하거나 역사적인 사건이나 지역 문화를 브랜드화하여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회, 문화 등 문화 전반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문화적 도시재생은 도시에 활력을 주는 것만이 아니라 문화관광과 연계하여 도시의 인적 자원, 즉, 우수 인재를 발 굴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적 도시재생의 흐름은 문화 적 도시재생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최근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1970~80년대 도시 의 물리적 환경개선인 도시재개발(Urban Redevelopment)정책과 유사점이 있지 만 나아가 사회 경제적으로 전반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역주민의 삶을 향상 하는데 더 큰 목표를 둔다.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유명한 프랑스 파리의 도시계획은 195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15년에 발표된 “라 데팡스 2015-미래의 감각”

프로젝트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기능을 재편하고 관광 활성화를 이끌었 다. 산업혁명의 나라 영국은 1980년대부터 외곽의 신규개발을 장려하며 구시가지 의 도시재생을 촉진하는 내부도시재생(Inner-city Regeneration)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지방정부가 주관하면서도 다양한 지역 기업의 참여를 확대했으며 도시재생 기구(Urban Regeneration Companies, URCs)의 설립으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 램을 운영하였다.10)

산업과 금융을 대표하는 미국의 경우는, 199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사업이 실시되어 도심을 활성화 하였다. 특히, 신산업지구는 첨단산업 분야 외에도 전통 적인 산업과 문화산업 영역에서 도시재생이 두드러지고 있다.11) 또한, 도시 성장 을 지속하되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개념이 도입하 여, 볼티모어의 이너하버(Inner Harbor), 보스턴의 퀸시 마켓(Quincy Market) 등, 항구를 끼고 있던 구시가지의 수변공간을 재개발하였고, 영화 등의 문화적 요소 를 활용한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대중문화 성지로 부상하였다.12)

10) 신윤재‧이소연(2016) “국내와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 회지』한국공간디자인학회, 통권 42호, pp.157-172.

11) 김혜진(2013), 앞의 책, pp.321-347.

12) 신윤재‧이소연(2016), 앞의 책 pp.157-172.

(22)

우리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일본은 2001년 도시재생본부를 중심으로 도 시재생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도시재생본부는 전국의 지방공공단체와 민 간사업자로부터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접수하여 도시재생 특별지구를 선정하고, 지정된 지구에 대해서는 각종 규제의 완화와 금융 및 행정지원 등을 실시하였 다.13) 일본의 도시재생은 중앙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계획된 문화도시 정책으로 문화관광 활성화를 이룩하였다.

한국의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은 1995년에 시작되었으나 문화를 도시재생의 주요 변수로 인식한 것은 2000년 전후이다.14) 초기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관이 주 도하는 방식이었다. 운영체계가 강력한 정부 중심의 문화적 도시재생이 이루어져 랜드마크형 문화공간이 설립되고 대규모 문화행사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지역 고 유의 문화를 배제한 문화공간과 특색 없는 지역 축제로는 외부 방문객을 유도할 수 없다. 문화적 도시재생의 방향이 도시의 역사나 지역 문화를 중심으로 전개되 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대두되며 새로운 방향이 필요하게 되었다.

2013년 도시재생 특별법 제정 당시 한국은 각종 산업기반이 도시에 집중되었 고, 전체 인구의 91%가 도시에 살았다. 따라서 도시의 주거‧경제‧사회‧문화‧환 경의 종합적 도시재생 법안이 요구되었다.15) 새로운 방안의 확립으로 물리적‧비 물리적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16) 2018년 이후 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중심으로 사업이 전개되면서 본격적으로 문화적 도시재생 이 진행되었다. 총 100곳 이상의 지역이 선정되었으며 문체부와 지역이 협업을 통해 역사·문화 기반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하였다.17) 이러한 접근은 미래도시가 도시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를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는 인식과 지역의 고유문화 발굴을 위한 인적역량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공감의 결과이다.

2018년 3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서는 문화적 도시재 생을 위한 다각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2022년까지 200곳 이상의 지역에

13) 김혜진(2013), 앞의 책 pp.321-347.

14) 이호상(2013), “문화를 매 계로 한 도시재생연구: 안동문화권의 지역성을 살린 커뮤니티 퍼니쳐를 중심으로”, 서울 과학 기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p.22-27.

15) 이경진‧안지현(2018), “도시재생사업의 문화 영향평가 타당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소고

”, 『한국지적정보학회지』, 한국지적정보학회, 제20권 2호, pp.31-49.

16) 이호상(2013), 앞의 책, pp.22-27.

17) http://www.molit.go.kr/portal.do, 2018, 3, 2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3)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지역주민의 역량을 높이고 전국 250곳 규모 의 청년 혁신공간의 조성과 전문 인력양성을 통해서 지역문화 발전에 활력을 주 는 정책이다.18)

2020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New Deal)은 국토교통부 중심으로 지방자치단 체와 주민의 협업을 통해 도시를 제대로 진단하여 환경개선을 시도할 뿐만 아니 라 주민의 역량강화를 통해서 도시를 ‘종합적으로 재생’하는 도시재생 모델을 지 향하고 있다.19) 특히, 최근에는 환경 중심의 그린 도시정책이 세계 여러 도시에 서 제시되고 있는데,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적용된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같은 미래형 도시에 맞는 도시재생도 문화관광 측면에서 반드시 고려 되어야 할 부분이다.

18) http://www.molit.go.kr/portal.do 19) http://www.molit.go.kr/portal.do

(24)

제3장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사례 제1절 해외사례

1. 프랑스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

20)

가. 폴리 개념과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

폴리(Folly)는 전통적으로 조경 영역인 정원 디자인 프로그램 하나로 의미 없 는 특이한 형태의 작은 집을 나타내는 단어였으나 탈산업화로 건축의 고정적 관 념이 시공간으로 확산되면서 폴리의 의미 또한 변화되고 확장되었다.21)

특히. 20세기 말, 정보화로 사회는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며 폴리의 의미도 건축적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당시 건축가들은 불확정적이고 다층적인 복합 현상 의 사회를 반영하는 건축기법으로 폴리의 이중적 개념을 수용했으며 대표적인 사례가 베르나르 츄미(Bernard Tchumi)의 라 빌레뜨 공원(Parc de la Villette, 1983)의 폴리다.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Folly)는 예술적 폴리의 의미를 건축 개 념으로 재해석하여 21세기형 공원의 건축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는 41개의 건축구조물로 점, 선, 면의 세 가지 체계를 바탕으로 한다. 점은 10m×10m×10m 입방체를 중심으로 공원 안에 120m 간격으 로 반복하여 설치되어 서로 관계를 맺지만, 통합적으로 일관된 체계를 가진 것은 아니다. 이들은 언제나 변경 가능하며, 서로를 통합시키는 대신에 서로를 왜곡시 키고 상호 충돌하며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22) 결국, 각각의 풀리는 상호 독립적 이며 자율적인 체계이기 때문에 다른 폴리들과 결합하고 대체될 수 있는 유연성 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폴리의 가변적 속성은 라 빌레뜨 공원을 하나의 통합적 20) BRITANICA영어 원문 인용.

21) 강효정(2014), “라 빌레뜨 이후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폴리 프로젝트 사례 연구”, 『한국실 내디자인학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3권 3호, pp.144-152.

22) 허정아(2004), “베르나르 츄미의 해체주의 건축미학: 라 빌레뜨 공원에서의 건축과 철학의 만남”,『한국 미학 학회지』, 한국 미학회, 제38집, pp.263-289.

(25)

이고 경직된 구조물이 장식된 공원이 아니라 불연속적이고 산발적인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공원의 중심에 설치된 폴리는 4가지의 속성(불일치성, 가변성, 모순 성, 이중성)이 상호작용하며 공원의 프로그램이 발생시키는 모든 이벤트의 교집 합인 동시에 라 빌레뜨 전체의 불변적인 기준점이 된다.23)

나. 라 빌레뜨 공원의 문화적 도시재생

라 빌레뜨 공원은 프랑스 파리 동북쪽 19구에 위치한 도시문화 공원이다. 공원 이 도시문화 공간으로 재 탄생하기전 라 빌레뜨 지구는 대규모의 우시장과 도축 장이었다. 이로 인해 라 빌레뜨 지구는 심한 악취와 오염에 시달렸다. 오염의 심 각성을 더욱 악화시킨 부분은 라 빌레뜨 지구가 1812년 파리의 모든 공원에 조 성할 물을 공급하기 위해 파놓은 운하 때문이었다. 운하와 연결된 강의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라 빌레뜨 전역으로 오염이 확산되었다. 오염은 1974년에 더욱 악 화되었고 결국 도시 미관 문제가 제기되어 공원이 폐쇄되는 사태에 이르렀다.

1982년 라 빌레뜨 공원의 도시재생은 파리의 전반적인 도시재생 정책 중 하나로 공모를 통한 혁신적인 공원 프로젝트였다. 라 빌레뜨 공원의 본격적인 프로젝트 는 1983년 베르나르 츄미가 공모전에서 공원 설계자로 당선되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폴리라는 낯선 명칭의 등장과 함께 주목을 받으며 진행되었다. 베르나르 츄 미의 공모 당선은 단지 당선자가 아닌 건축가의 참여로 단순한 공원 조성에서 벗어난 건축적 도시재생이 진행되었다. 근대적 공원 조성의 형식과는 다른 새로 운 패러다임의 건축설계로 125에이커의 도살장 부지를 ‘21세기 공원’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라 빌레뜨 공원은 도살장의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였다.24)

츄미는 공원의 공간에 빨간 철 구조물(Folly)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각각의 폴리가 상호작용하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은 보편 적인 개념인 자연 위주의 설계보다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포인트의 그리드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또한, 폴리 구조물을 통해서 공원 외부 도시와 공원 내부 23) 옥승원‧조종수(2011), “폴리(Poly) 개념을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31권 제1호(통권 제55집), pp.101-102.

24) 박대한(2013), “서울시 대한항공부지 공원화 설계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논문, p.29.

(26)

를 연결시키며 도시와 공원의 비연속성을 연속적 도시공원으로 개념을 확장하였 다. 따라서 공원 내부 폴리는 공원 밖 도시민들이 공원 내부로 자연스럽게 들어 오도록 유도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공원을 방문한 방문객들에게 규정되지 않고 의도치 않은 다양하고 풍성한 이벤트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현대도시에서 예측 불가능한 일상의 탈출 장소를 제공한다. 공원 내의 모든 이벤트를 발생시키 는 폴리의 속성은 중첩을 통해 작동하며 폴리의 작동 또한 고정적인 설계자에 의해서가 아닌 비 고정적인 불특정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도록 의도하였다.25)

공간체계 특징 전략적 특징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

▹중첩을 통한 점, 선, 면 구조

▹공원 방문자의 용도에 따라 장소의 특성이 선택되도록 구성

▹다양한 복합기능 공간 구성을 위해 빈공간 구성

▹ 전통 조경적 공원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도시공원 도시 건축물을 포함한

▹공원의 혼성(Hybrid)

▹도시 기능 도입(박물관, 과학관, 카페 등)

라 빌레뜨 공원의 폴리26)

▹도시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도입, 도시와 공원 기능 포괄

▹도시형 공간

▹ 규정되지 않고 의도치 않은 다양하고 풍성한 이벤트 발생

▹현대도시에서 예측

불가능한 일상 탈출 장소로 구성

라 빌레뜨 공원27)

<표 3-1-1> 라 빌레뜨 공원의 특징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은 복잡한 도시 안에서 자연스러운 쉼터를 제공한다. 이 는 예측하지 못한 이벤트 구성과 예술적 구성으로 공원과 도시의 경계를 허물고 공원을 통해 도시의 기반시설(Infrastructure)을 수용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도 시 브랜드 향상에 기여하였다. 특히, 이질성에 의해 생성된 불연속성은 예측하지

25) 김승현(2006) “도시 내 대규모 공원설계의 건축적 해석-베르나르 츄미와 램 콜하우스의 라 빌레뜨 공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55-66.

26) https://en.lavillette.com 27) https://en.lavillette.com

(27)

못한 이벤트를 만들어 내며 건축과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28)

다. 파리의 도시재생과 라 빌레뜨 공원의 문화관광 활성화

파리는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보다는 도시 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건축물로 유명하며 도시 자체가 박물관 같은 건축물로 이루어진 도시이다. 파리의 면적은 프랑스 면적의 0.25%이고 프랑스 인구의 1/6이 집중되어 인구 밀집이 세계 4위 다. 이러한 파리가 역사적, 시대적 건축물을 간직하고 유지해온 것은 프랑스 도 시정책에 의한 것이다. 프랑스 도시계획은 파리를 계획적으로 성장시키면서도 전 통의 보존과 현대와의 조화를 중시한다. 프랑스의 대표적 도시재생 프로젝트는 그랑 프로제(Grand Project)로 이는 파리 중심부와 외곽 신도시인 라 데팡스를 조성하고 연결하는 도시계획 사업으로 라데팡스 개발청의 준비 및 설립으로 이 루어졌다. 라 빌레뜨 공원 또한 미테랑 대통령 시절에 국책사업으로 진행된 10개 의 사업 중 하나로 프랑스혁명 200주년을 기념하여 시행되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루브르 유리 피라미드(I.M.Pei)를 비롯해 아랍문화원(Jean Nouvel), 국립도서관:(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BnFlt), 라 빌레뜨 공원 등 굵직한 건축 프로젝트가 당시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파리의 도시재생은 전통 과 새로움의 조화를 강조한다.

공모 당시, 라 빌레뜨 측은 파리의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기존 건물과 상 층 되지 않는 독특함과 디즈니랜드식 공원이 아닌 자연, 음악, 교육 등 다양한 시민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을 수용하고 독창성을 담을 수 있는 아이디어 를 지침으로 제시했다.29)

라 빌레뜨 공원은 자연을 배경으로 연출한 과거의 공원이 아닌 일상의 탈출 을 위한, 미래를 위한, 다목적 도시문화공원으로 재탄생되었다. 공원의 구성 요소 로는 공해 치유와 회복을 위한 자연의 역할은 물론 복합적 문화 시설을 갖춘 문 화공간, 공공이벤트 공간, 그리고 탈산업사회에 필요한 공간 등, 인문, 사회, 과

28) 장용순(2010), “츄미, 콜하스, MVRDV에 나타난 프로그램적 이질성과 이접에 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 건축학회, 계획계 26권 6호, pp.151-158.

29) 박대한(2013), 앞의 책 pp.13-29.

(28)

학, 문화, 예술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국제 설계 공모 지침 안으로 제시된 음악만을 위한 대규모 전용관과 국립과학기술관 등을 건립하여 모두에게 개방되 는 문화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라 빌레뜨 공원은 방문객들에게 공원의 생태적인 자연뿐만 아니라 예술 공간과 과학관 등을 갖춘 어린이 교육 장소로도 기능하게 만들어졌다. 도시의 기반 건축물을 포함한 공원의 혼성(Hybrid) 기능, 즉 도시의 기반시설(Infrastructure)로 기능하면서 문화예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이 다. 이러한 구조는 방문객에게 환경의 중요성과 사회적 공간의 필요성을 인식시 켜 주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와 도시의 브랜드화는 물론, 파리의 관광 산업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하였다. 또한, 폴리라는 생소한 개념을 활용한 라 빌레뜨 공원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파리 시민들뿐만 아니라 세계의 도시기획가에게도 벤치마킹 의 대상이 되었다. 라 빌레뜨 공원이 만들어진 이후의 공원은 이전의 공원설계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LA의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 (Orange county Great Park), 뉴욕 스테이튼 아일랜드의 프레쉬 킬스 매립지 (Fresh killsLandfill), 토론토의 다운스뷰파크(Downsview Park)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30)

2. 영국의 글래스고

가. 영국의 도시재생정책과 글래스고 문화적 도시재생 배경

창조적 도시재생의 선두주자인 영국의 도시재생도 시작부터 순탄한 것만은 아 니었다. 1970년대 영국은 지속적인 임금상승과 생산성의 저하로 경제가 전반적으 로 침체하며 사회적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결국, 1976년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지원을 받는 상황까지 이르게 되면서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 복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시작된 대처 정 부는 경제 위기의 극복 측면에서 도시재생을 시작했으며 대처 정부 후반기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광범위한 도시재생이 진행되었다.31) 당시 대처 정부의 정책은, 30) 옥승원‧조종수(2011), 앞의 책, pp.101-102.

31) 조관연‧공윤경(2013), “영국 글래스고에서의 도시재생과 창조산업”,『인문콘텐츠』, 인문콘

(29)

정부가 도시 침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민간의 창의력과 활력을 이용하여 공공재원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자유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하였다. 대처리즘으로 무장한 대처 정부는 1980년에 중앙정부와 민간자본을 중심 으로 민관 파트너쉽(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의 특수목적법인(Special Purpose Vehicle)인 도시개발공사(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UDC)를 설 립하여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와 별도로 도시재생을 주도하였다. 하지만 정부의 민 간 위주 개발방식이 공적인 이익 보다 민간의 개발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대처 정부 이후, 2008년 노동당의 고든 정권은 개발기구(RDA)의 역할을 광역 차원으로 확대하였고 잉글리쉬 파트너쉽을 주택커뮤니티기구(HCA)로 흡수, 통합시켜 지역사회(Community)를 중심으로 재편하였다.32) 현재는 지역사회의 중 요성을 강조하며 대처 정부의 민간자본 활용 정책과 지방자치만의 특색 있는 도 시개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글래스고의 도시재생은 대처 정부의 자산주도형(Poperty-led) 도심 활성화 사 업으로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재생 초기 단계에 시작되었다. 대처 정부 의 도시재생 활성화 정책이 확립된 체계를 갖추지 못한 시기에 글래스고는 도시 정책을 추진한 것이다. 당시, 대처 정부의 도시계획은 지역 고유의 환경, 교육, 문화, 지역 커뮤니티 등이 배제된 정부의 획일적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정부의 획일적 정책은 지역 간 불균형으로 이어졌고 경제적 상황이 타 도시에 비해 나은 런던과는 달리 다른 도시들은 도시 활성화를 위한 운용자금의 비효율 성 문제로 지역의 활성화보다는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침체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글래스고는 20세기 초만 해도 스코틀랜드 중심도시로 조선업과 철강 산 업이 발달했다. 특히, 17세기에는 북미대륙과의 교역(담배, 설탕, 면 등)이 독점적 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19세기는 지역 기반산업인 종이, 섬유 화학, 유리 등의 경 공업이 서인도제도로 확대되어 도시가 부흥하였다. 산업의 부흥은 주변 도시로부 터 많은 노동력의 유입을 가져와 글래스고는 인구증가와 함께 런던, 버밍엄 등과 대등하게 성장하는 도시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에도 1960년대 이후에 제 조업이 쇠퇴하면서 도시가 침체되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최초의 산업 쓰레기 도시(The First City of Industrial Waste)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33)

텐츠학회, 제28호, p.95.

32) www.culturalaction.org

(30)

글래스고가 경제적 불황을 겪은 직접적 원인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지역산업 후퇴와 경제 침체로 인한 인구감소 때문이었다. 1939년에 112만 명에서 61만 명 까지 감소하자 도시는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위기를 극복 하기 위해 글래스고는 1970년대부터 환경 정비 및 개선을 시작으로 도시재생을 시작하게 되었다.

영국의 대표적 도시인 런던은 브로드게이트 재생사업으로 세계금융산업의 허 브로 거듭나면서 도시경쟁력을 성장시켰지만, 글래스고는 대규모 도시재생 프로 젝트를 추진하기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글래스고는 런던과 차별화 된 도시재생을 시작해야만 했다. 그것은 고유의 문화와 예술 자원을 활용한 문화 적 도시재생 전략이었다. 글래스고는 전통의 글래스고 대학(University of Glasgow)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 왕립예술원(Royal Conservatoire of Scotland) 등이 보유한 예술품, 1983년 백만장자 버렐(Burrell) 가문이 80년간 이집트와 동 양의 예술품을 수집하여 기증한 캘빈 글로브 미술박물관(Kelvingrove Art Galleryand Museum)과 같은 풍부한 교육과 문화예술자원을 지닌 도시였다.34) 이러한 풍부한 문화적 자산과 우수 인재를 활용하여 런던에 버금가는 문화적 도 시재생을 시작하였다.

나. 글래스고의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활성화

글래스고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도심 주거지 생활 환경개선 프로젝트부터 전개 되었다. 이는 도시재생 과정에서 지역의 낙후된 생활환경의 개선을 가장 먼저 이 루어지게 함으로써 도시재생 필요성에 대한 지역민의 공감대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먼저 글래스고의 산업기반이었던 메첸시티 지역이 산업의 몰락으로 교통시스템이 마비되고 교통체증이 유발되고 있는 도심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서 메첸시티 특별계획지구(Special Project Area)로 1981년에 기획하여 도시 활 성화를 시작했다. 한편으로는 비영리단체인 글래스고 액션(Glasgow Action)을 설립하여 글래스고 중심부의 낙후된 중공업 건물들을 제거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33) 윤현석(2011), 앞의 책 pp. 51-56.

34) 조관연‧공윤경(2013), 앞의 책 p.98.

(31)

1988년까지 1,964채의 주택을 공급하여 도시에 방치되었던 건물을 주택으로 개조 하는 사업과 도심 환경개선을 위한 도로 시스템을 정비했다. 도심 환경개선 이후 에 문화예술 관련 시설들(The Gallery of Modern Art, The Glasgow Royal Concert Hall, The Museum of Transport)의 건립과 예술축제를 개최하기 위한 민관합작기관 운영(Glasgow Action)으로 문화를 통한 도심 활성화 정책을 추진 하는 반면, 글래스고 살리기(Glasgow's alive)를 홍보하여 관광, 금융, 쇼핑 등 서비스업 중심지로 도시를 브랜드화하였다.35)

글래스고가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성공하게 된 것은 산업만이 아니라 풍부한 경제력과 문화적 자산의 토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글래스고 대학은 애덤 스미스 가 경제학을 가르쳤던 곳이다. 이러한 글래스고의 경제적 규모와 박물관 등의 문 화적 자산은 지역 산업계와의 협력으로 이어져 새로운 기업을 유치하는 동력으 로 작용하였다. 이로 인해 산업이 다양해졌으며 문화의 성장 또한 컴퓨터 소프트 웨어는 물론 영화산업, 음악, 문화, 디자인 등 다양한 문화산업의 성장으로 이어 졌다. 이러한 성공적인 문화도시 정책은 도심은 물론 도시 전체로 확대되어 한때 심각한 감소 위기에 처한 인구를 20세기 초반에는 1백 60만에 이르는 거대도시 로 성장시켰다. 글래스고는 도시 활성화 정책을 꾸준히 진행하여 통신 및 금융을 비롯한 서비스 산업, 첨단산업, 생명과학 분야 산업을 유치하였다. 아래의 도표가 보여주듯이, 창조산업 구성에 따른 도시 간 창조산업 종사자가 스코틀랜드의 20%로 차지할 정도로 높아서 버밍엄보다는 다소 작지만 애든버러, 맨체스터, 카 디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 정부가 문화적 도시재생 정책을 통해서 글래스고를 영국 내에서 런던 다음으로 중요한 문화도시로 성공시키겠다는 의지 를 실천한 결과이다.36)

35) 윤현석(2011), 앞의 책 pp.51-56.

36) 조관연‧공윤경(2013), 앞의 책 p.110.

(32)

<그림 3-1-1> 창조산업 구성에 따른 도시 간 고용 비율37) 글래스고 과학센터38)

<그림 3-1-2> 글래스고 과학센터 37) Scottish Enterprise Glasgow, Annual Business Inquiry, 2007.

38) http://www.glasgowguide.co.uk

(33)

글래스고는 유럽문화 도시로 지정된 1990년 6백 59만의 방문객을 유치하여 문 화관광 도시로 성장하였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방문객 증가로 문화관광 산업이 부흥하게 되었다. 게다가 방문객의 대부분이 박물관 중심의 방문객이라는 점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이 성공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 전시프 로그램이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상설로 개최되었으며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운 영되어 도시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이 도시 안에서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도록 하 였다. 글래스고의 관광 활성화 전략은 관광상품 개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관 광상품의 개발도 새로운 관광상품을 찾기보다는 기존의 가치를 살리는 관광상품 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글래스고 콘서트홀(Glasgow Royal Concert Hall)은 연 중 다양한 문화행사로 도시 방문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으며 화려한 뷰케넌 쇼 핑센터(Buchanan Galleries Ceenter)의 건설은 그레스고를 상징하는 또 하나의 랜드마크로 21세기의 글래스고를 상징하는 새로운 관광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글래스고는 문화관광산업을 집중시키기 위해 글래스고 개발청(GDA, Glasgow Development Agency)을 설립하여 지역인재 육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특히, 다양 한 예술행사를 민관 합작으로 개최하였으며 재즈, 무용 등의 예술제와 음악 행사 인 합창제 등을 지역 특성과 결합하여 개최하였다. 글래스고 오월 축제가 대표적 이다.

또한, 1987년 문화축제 추진을 위한 축제전담부서(Festival Unit)를 조직하고, 1988년 정원축제(National Garden Festival)와 국제적인 스포츠 이벤트 개최, 쇼 핑센터(Prince Square Shopping Center, 1989) 개관, 교통박물관(New Museum of Transport, 1989)과 미술관을 쇼핑센터 근처로 이전하여 문화관광산업 활성화 를 꾀했다.39) 이로 인해 1995년과 2005년에 개최된 세계 공상과학 컨벤션(The World Science Fiction Convention)에는 약 4,000명이 참가하였고 1999년에는 영 국건축 및 설계의 도시(City of Architecture and Design)로, 2003년에는 유럽스 포츠 수도(European Capital of Sport), 2008년 유네스코 음악 분야 창조도시 UNESCO the Creative Cities)로 선정되는 결과를 얻었다.40) 글래스고는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통해서 쇠락한 산업도시에서 문화도시로 탈바꿈하였다.

39) 조관연‧공윤경(2013), 앞의 책 p.98.

40) 조관연‧공윤경(2013), 앞의 책 p.109.

(34)

<그림 3-1-3> 글래스고 주요지점 방문객 현황41)

3. 일본의 나오시마(直島) 가. 나오시마의 도시재생 개요

일본 세토내해(瀬戸内海)에 위치한 둘레 16km 작은 섬 나오시마는 미술과 건 축을 접목한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낙후된 섬을 예술의 섬으로 재탄생시키며 문 화관광을 성공적으로 이끈 문화적 도시재생의 대표적 사례이다. 섬 재생 프로젝 트가 시작되기 전 나오시마는 과거 구리 제련소가 있었던 곳으로 제련소가 폐쇄 된 후 인구가 절반 이상이 줄고 산업 폐기물의 공해가 심각해졌다. 나오시마 프 로젝트는 일본의 대표적인 교육기업 “베네세” 재단이 섬을 살리기 위해 1987년 부터 섬에 미술관을 세우고 세계적인 미술 작품을 모으며 시작되었다. 베네세 그 룹은 교육사업으로 유명하다. 후쿠다케 소이치로 회장 또한 가업에 따라 나오시 41) ASVA, 2015; Moffaf Centre, 2010, 대한민국 도지사 협의회(2017),『글라스고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35)

마에 교육 관련 캠프장을 건설을 위해 방문했다. 하지만 폐쇄된 산업 폐기물로 죽어가는 섬에 강한 분노를 느끼고 섬의 빈 공간을 리노베이션 하는 것보다 세 계적 작품을 모아 전시하는 것으로 국가에 대한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다.42) 그는 섬 전체의 설계를 일본의 유명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게 위임하였고 미술관 의 건립과 모네(Oscar-Claude Monet)와 같은 세계적인 작가의 작품을 꾸준히 전시하는 전략으로 나오시마를 짧은 기간 내에 예술의 섬으로 변화시켰다.

나. 나오시마의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활성화

나오시마 프로젝트는 나오시마 미술관과 나오시마 집(家) 프로젝트 그리고 세 토우치 국제예술제를 매개로 한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요약할 수 있다.

나오시마 문화적 도시재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술관의 가장 큰 특징은 장소 맞춤형(site specific) 전시이다. 즉, 나오시마 미술관에 전시된 작 품은 도쿄나 다른 도시에서 볼 수 없는 오직 나오시마 섬에 가서 볼 수 있는 작 품으로 고유성을 가진다. 또한, 전시작품들은 미술관 내 설치작품뿐 아니라 해안 이나 숲속 등 미술관 외부에도 설치 및 전시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쿠사마 야요 이(くさまやよい | 草間彌生 | Kusama Yayoi)의 “호박”은 섬 전체를 아우르는 랜드마크로 대표적 야외 설치작품이다. 그 외의 야외 작품으로는 스기모토 히로 시의 고오신사(집 프로젝트),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Cat, Le Banc 등은 섬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또 하나의 자연 미술관을 형성하고 있다.

42) 이호상(2013), 앞의 책, pp.43-55.

(36)

<표 3-1-2> 나오시마 도시재생 연혁43)

미술관별 특징으로 베네세 하우스는 설계부터 미술관 공간과 전시작품은 물론 소장까지도 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전시작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현대 적 미술관 내부는 레스토랑과 숙소의 기능적 역할을 겸하는 체류형 미술관의 특 징을 보여준다. 베네세 하우스의 전시작품은 미술관 내부에 베니스 비엔날레 황 금사자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세계적 작품을 전시하겠다는 베네세 재단 회장의 의지를 나타내 주는 부분이다.

지중미술관은 건축물을 땅속에 묻음으로써 주변 섬의 능선과 스카이라인을 보 존하여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 건축적 볼륨이 미술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돔 형식을 가지고 있다. 작품으로는 클로드 모네를 비롯한 제임스 터렐과 빌터 드 마리아의 작품을 영구 설치하는 차별적 전략으로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43) http://www.naoshima.net

시기 내용

1987-1989

▹나오시마 섬 토지매입

(당시 약 10억엔 -경제적인 면에서의 혁신적 전략)

▹국제 캠핑장 건립

1992-1995 ▹1992, 안도 다다오 설계로 베네세 하우스 조성과 개관

▹1995, 베네스 하우스 별관인 산 정상에 자리, 현 오벌(Oval)호텔 개관

1998 ▹유명예술가들의 폐가를 활용한 예술작품 빈집 프로젝트 시작 후 집 프로젝트 상시진행 상설전시장으로 운영

2004 ▹안도 다다오 설계로 지중미술관 건립, 지중미술관 개관 연간 방문객이 두 배로 늘어남

2009 ▹나오시마 지역 목욕탕을 이용한 미술 전시 프로젝트인 나오시마 목욕탕 프로젝트 시작

2010

▹안도 다다오 설계로 한국 미술작가 이우환 미술관 건립

▹세토우치 국제 예술축제 시작

▹나오시마 인근 6개 섬

2013 ▹세토우치 국제예술제 (3년마다 개최)

▹안도 뮤지엄 개관

(37)

특징을 보여준다. 세 번째로 개관한 미술관은 한국 예술가인 이우환 미술관이다.

이우환 미술관 역시 안도 다다오 설계로 자연, 건물 그리고 작품의 3요소가 조화 를 이루고 바다와 산에 둘러싸인 골짜기에 있다. 전시작품은 이우환의 연작시리 즈가 제작 시기에 따라 전시되어 있다.

<표 3-1-3> 나오시마 미술관 특징

나오시마 프로젝트 중 ‘집(家) 프로젝트’는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지역 공간의 조화를 잘 보여준 부분으로 1997년 시작되어 1998년 혼무라(本村) 지역에서 본격 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진행은 예술가가 직접 지역민의 생활공간으로 들어 가 주민들의 능동적 참여를 자극하고 지원하는 것이었다. 당시 혼무라는 빈집이 44) http://benesse-artsite.jp

미술관 베네세 하우스 지중미술관 이우환 미술관

특징

▹체류형 미술관, 현대미술관 과 호텔의 기능 겸비

▹미술관의 공간, 전시작품이 설계 시작부터 전시작가와 건설자의 협의로 설계

▹작품들은 미술관 내 작품설 치뿐 아니라, 해안이나 숲 속 등 미술관 외부도 설치, 전시되어 있음

▹건축물을 땅속에 묻음

▹주변 섬의 능선과 스 카이라인 보존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기 위한 전략

▹나오시마 미술관중 세 번째로 개관한 유일한 한국작가 미술관

▹긴 복도형의 콘크리트 구조 (나오시마 미술관 의 전형적 구조)

▹각 전시실에 한 점의 현대 설치미술 전시

전시 작품

▹미술관 내부: 황금사자상 을 수상한 작품전시(안토 니 곰리, 브루스 나우만, 잭 슨 폴록, 조나단 보롭스키)

▹야외: 쿠사마 야요이의 호 박, 스기모토 히로시의 사진, 니키 드 생팔

▹클로드 모네를 비롯 한 제임스 터렐 과 빌터 드 마리아의 세 명의 작가의 작품을 영구설치

▹설립 이전부터 구상

▹1970~2009년대 대표적 이우환 회화 작품 ▹2010 이우환의 70년

대에서 현재까지 그림 과 조각 전시

미술관 사진44)

(38)

늘어났고, 신사와 같은 공공의 장소나 작품의 분위기를 살리기에 적합한 고즈넉 한 풍경의 절이 많이 있었다. 지역의 오래된 공간은 지나간 시간의 추억을 불러 일으키는 장소성으로 인해서 지역민의 공감을 얻어 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였 다. 이러한 생활공간에 상설 작품을 전시하는 것은 장소 맞춤형(Site-Specific) 전시 전략으로 지역민의 애향심과 자부심을 부추기어 예술가와 자연스럽게 공감 대를 형성하게 하였다.

주민들은 작품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관광 안내 및 작품 관리 등, 능 동적인 참여로 주민 스스로 프로젝트의 주체자가 되었다. 집(家) 프로젝트 ‘sea of time 98’ 은 인생 여정을 표현한 설치작품인데, 주민들 스스로 작품을 직접 세 팅하고 가옥 내부에 전시하여 예술과 주민들의 삶이 일치된 모습을 보여줌으로 써 섬 관광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2010년 베네세 재단을 중심으로 추진된 세토우치 국제예술제는 나오시마 아트 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한 프로젝트였다. 축제의 시작은 75개 조의 아티스트로 구 성되었고 18개국 16개 지역에서 참가했다. 나오시마 베네세 하우스 미술관을 중 심으로 작은 섬들의 예술을 연결하는 의미에서 출발했다. 축제의 핵심은 나오시 마의 ‘家 프로젝트’이며, 그 외 쇼도시마(전통 마쓰리 축제)와 농부 가부키와 같 은 주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축제가 개최됐다. 이외에도 지역의 돌로 골목을 구 성한 작품과 주민들이 생활하는 집 내부나 유모차 등 생활용품과 같은 소소한 작품들로 구성된 특색 있는 문화축제가 개최되었다.

나오시마는 문화적 도시재생이 성공하여 관광 활성화로 이어진 대표적 사례이 다. 그 중심에 베네세 기업의 환경과 재생 그리고 문화예술을 융합시키는 정책이 있었다. 지역민과 지자체의 능동적이고 긴밀한 협업은 섬의 활성화를 넘어서 나 오시마를 문화예술 관광 섬으로 각인시켰다. 이들의 성공은 나오시마 미술관뿐만 아니라 타카마쓰항을 중심으로 한 7개 섬 예술 프로젝트로 확대되었다. 이것은 나오시마 프로젝트 성공이 단순한 미술관만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섬 전체를 전시 공간으로 기획한 전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외부 방문객이 섬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미술품을 전시하거나 소규모 이벤트를 통해 섬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섬 전체를 하나의 전시장으로 연출하여 각종 이벤트 에 주민들이 참여하게 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참조

관련 문서

넷째, 고객 유형별 세분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통한 판로개척 및 소비 자 팸투어, 생산농가 방문 등 소비자와 생산자간 유대를 형성할 수

460nm크기의 회합체를 이루는데 그 크기는 산 작용기 농도의 영향을 그리 크게 받지 않는다.반면 산 작용기를 중화한 P(S-co-MANa)아이오노머의

적정기술 은 이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한 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선정하고, 해결 방안에 대한 기술 조사를 실시하여 기술을 선택하며

그러나 국가적 차원의 평생학습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기 위해서 는 평생학습의 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것을 토대로 한 미래의 예측 이 전제되어야만

기준에 따라 선정한 한국 중소기업과 해외 중소기업의 글로벌 성장전략 현황을 살펴보고 , 사례를 분석하여 성장 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통해 한국 중소기업의 글 로벌 성장방향을

대상자들의 통증관리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3. 26 점으로 통증관리에 대해 중간 정도로 만족한다고 나타났다.통증관리 만족도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

쿠빈이 일생동안 보여주었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에 대한 연구자의 궁금증과 호기심 은 쿠빈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죽음 충동, 거세공포, 언캐니

폴리우레탄은 모두 우레탄 결합이라는 대표 결합을 갖지만 수산기 화합물의 종류나 폴리 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 발포제의 양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