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광주폴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75)

<그림 3-2-4> 폴리 4차 관문형 폴리 “무등의 빛”

나. 4차 광주폴리와 문화적 도시재생

4차 광주폴리는 “무등의 빛”을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 작품이다. 광주톨게이트 일원에 설치된 설치작품으로 외부에서 광주를 방문하는 외지인에게 폴리를 알리 기에 적합한 위치로 톨게이트가 선정되었고 남도의 예술적 요소를 갖춘 랜드마 크로 기획되어 문화관광 활성화를 기대하는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또한, 미디어 아트는 다변화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광 주가 세계를 선도할 문화도시가 되기를 희망하는 미래지향적 광주의 에너지를 폴리를 통해서 표현하였다.65)

65) 광주폴리 내부자료.

6. 광주폴리와 문화관광 활성화 현황

광주폴리 프로젝트의 최종목표는 ‘광주폴리’를 브랜드화하여 광주를 문화관광 도시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다소 생소한 폴리 개념을 도시 공공 디자인 과 결합하여 도시(Place)의 역사적·문화적 맥락과 연결한 광주폴리는 도시재생을 통해서 구체화 된 구조물이었지만 도시의 활성화나 문화관광의 측면에서는 많은 아쉬움을 주고 있다.

광주폴리 프로젝트의 시행 결과가 해외사례와 비교하여 관광객의 증가에 현저 하게 기여하지는 못했다고 할 수 있지만, 투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도시의 새로운 멋을 전파하고 지역 청소년과 문화예술단체가 동행하는 등 참여 범위를 확대하 며 활성화되고 있다. 폴리의 대중화를 위해서 시민교육을 통해서 시민들이 자연 스럽게 폴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특히 인권을 주제로 한 2차 폴리는 광주 시민뿐만 아니라 인권에 관심 있는 외부 인사의 방문을 이끌며 다양한 변 화를 가져왔다.

시행 연도 폴리 투어 진행횟수

투어

참여인원 투어 유형

2013 19 565 종합, 미션 투어

2014 60 1,175 상시, 야간, 미션 투어,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2015 56 1,091 상시, 야간, 미션 투어,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2016 50 911 상시, 야간, 미션 투어,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2017 58 2,474 맞춤형 상시 투어,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2018 62 1,991 맞춤형 상시투어,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시티투어, 바이크투어

<표 3-2-8> 광주폴리 방문객 현황 66)

작품《투표》와《틈새 호텔》은 2차 광주폴리 프로젝트 작품 중에서 광주를 방문하는 외부의 젊은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다. 낯설게 느껴지는《틈새 66) 광주폴리 내부자료.

호텔》은 “In Between Hotel Supporter’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호텔 기능의 숙소 이지만 한곳에 정착되어 있지 않은 캠핑카 형식이다. 작품은 이동식으로 되어 있 고 편의 시설이 500m 이내에 위치한 도시의 틈새를 이용한 것으로 호텔형 폴리 를 통해서 도시의 풍경과 역사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한 폴리이다.

틈새 호텔 폴리는 무료로 이동식 호텔을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매우 인 상적인 작품으로 젊은 도시 여행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폴리를 통한 관광 활 성화 부분에서 3차 폴리가 1, 2차 폴리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먼저 쿡 폴리(Cook Folly) 2점은 빈집을 활용했다는 부분에서 도시기획가들의 방문이 이어졌고, 광주의 맛을 찾는 도시의 방문객에게는 폴리라는 이색적 장소 에서 음식을 먹는다는 점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프로젝트를 위해 빈 집을 시가 매입하고 비엔날레와 지역의 청년 창업 인재들과 함께 시도한 프로젝 트라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시와 재단이 지역민과의 협업으로 진행된 부분은 기존의 시도에서 볼 수 없었던 정책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또한, 스몰 어바 니즘(Small Urbanism)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쿡 폴리 레스토랑 청미 장과 카페 콩집은 지역 청년 협동조합에서 운영하였고, 수입금의 일부를 폴리 운 영 주체에 기부함으로써 폴리의 활성화와 청년 취업이 결합하는 새로운 유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도시재생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았다. 도시 활성화 장치로 제시된 《아이 러브 스트리트》와《뷰》폴리는 광주의 미래를 담 을 장소로 각인되고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포토존으로 인식되어 도시관광에 활 력을 주는 장소로 부각되었다.

광주폴리는 3차에 걸친 진행으로 폴리의 브랜드화를 이루었다. 그 결과 국내외 도시전문가들의 방문이 꾸준히 이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미미하지만 광주폴리가 문화관광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제4장 사례 비교를 통해서 본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제1절 해외사례와 광주폴리 비교 및 시사점

1. 라 빌레뜨 공원과 광주폴리

광주폴리와 라 빌레뜨 공원의 문화적 도시재생에서 가장 큰 특징은 공간의 차 이라고 할 수 있다. 라 빌레뜨는 공원은 사람들이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도 심의 번화한 거리보다는 좀 더 자유롭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입지이다.

따라서 공공미술을 이용한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장애물이 없이 휴식 의 자연 공간과 여가의 도시문화 기능을 복합시킨 새로운 공원의 모델로 제시되 었다. 따라서 도시재생과 관광 활성화의 두 가지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라 빌레뜨 공원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모델로 한 광주폴리는 번화한 도 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광주폴리가 설치된 공간이 도심의 상가나, 보행 자가 빈번한 장소로 라 빌레뜨 공원에서는 일어날 수 없었던 주변과의 마찰이 일어났다. 주변과의 부조화로 인해서 폴리가 미완성 형태로 된 부분(1차 폴리의 99칸)도 있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이나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광주폴리는 도시재생과 문화관광 활성화 측면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 다.

파리는 옛 모습을 보존하며 끊임없이 새로움을 창조해 가는 도시로 역사, 문 화, 예술 분야에서 신구의 조화를 통해 발전해가는 도시이다. 라 빌레뜨 공원의 프로젝트도 예외가 아니었다. 라 빌레뜨 공원의 프로젝트는 파리의 기존 역사물 과 중복되지 않는 독창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면서도 파리의 역사와 문화, 미래를 담았다. 게다가 오락 중심의 테마파크형 공원이 아니라 방문객의 개성에 따라 다 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공원의 기능을 수용하였다.

“라 빌레뜨” 프로젝트를 통해 시도된 폴리는 파리 시민들에게 자연과 함께 음

악, 과학, 교육 기능을 갖춘 여유로운 정원을 제공하였다. 외부 방문객에게는 파 리 사람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던 장소에서 파리만이 가질 수 있는 디자인과 색 채로 프랑스가 추구하는 과학과 예술의 저력을 느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라 빌레뜨 공원은 21세기형 도시공원의 모델로 각인되었다.67)

라 빌레뜨 공원 프로젝트는 도시의 주인으로 살아갈 주체인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 도시디자인의 표본을 보여주었다. 모든 시민이 함께 영위할 수 있는 도시 를 계획하고 장소와 공간, 공공조형물의 선택과 스토리, 사람들의 인식에 내재한 전통을 고려한 파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광주폴리는 주목해야 한다.

2. 글래스고와 광주폴리

광주폴리와 글래스고 프로젝트는 도심 공동화와 도심의 침체 원인을 치유하기 위한 도시재생, 즉 문화적 도시재생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글래스 고와 광주폴리 프로젝트는 추진과정에서 전략적 차이를 보여준다. 광주폴리는 디 자인비엔날레의 한 사업으로 광주 읍성 자리를 복원하기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으로 시작하였지만, 글래스고 프로젝트는 슬럼화된 도시 이미지를 전환하기 위해 시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반면, 광주폴리는 침체된 도심을 살리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글래스고 만큼 시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도된 프로 젝트는 아니었다. 글래스고 프로젝트가 광주폴리 프로젝트와 가장 크게 다른 점 은 치안 확보를 위해 교통 및 도로시스템을 먼저 개선한 부분이다. 환경개선을 실행한 후에,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문화적 도시재생을 진행하여 문화예술 도시 의 이미지를 얻고자 하는 광범위한 정책들은 성공적이었다. 반면에 광주폴리는 단순한 공공 건축물을 도심을 가로질러 세움으로써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못했 고, 도심 전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미비함을 보여주었다. 역사적 문화 재인 읍성 터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지역 상황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부분은 도 시환경을 무엇보다도 먼저 개선하고자 했던 글래스고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아쉬 움이 매우 크다.

지역주민들의 삶을 바탕으로 한 통합적인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문화관광을 67) 김덕중(2008),『유럽의 공공디자인』, 가인, p.259.

“나오시마”와 “광주폴리”가 보여주는 사례를 비교해 보면, 두 지역의 시도는 공공미술을 도시재생에 활용한 프로젝트로 지역의 공간을 활용한 부분이 공통점 이다. 예를 들어, 3차의 광주폴리에서 “미디어 월”과 기존 건물의 옥상을 활용한

“뷰 폴리”가 있다면, 나오시마는 빈집을 활용한 “집 프로젝트”가 있다. 이것은 미 술의 역할이 단순히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공간을 활용 하여 사람과 소통하려는 시도로 두 사례의 공통점이다. 하지만 문화관광 활성화 측면에서 나오시마와 광주폴리는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나오시마의 성공은 국제 적인 행사를 섬 주최로 개최할 정도로 성공하여 해마다 방문객이 증가하여 나오 시마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광주폴리의 경우에는, 현대미술과 역사적 요소를 도입한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지만 도시나 문화관광 활성화 에 공헌한 점에서는 성공한 모델로 평가받기 어렵다. 그러한 이유는 프로젝트 진 행 과정에서 시민들과의 문화적 소통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광주폴리가 처음 추진할 때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이 부재했다면 나오시마 경우는 글래스고 경우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