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Copied!
2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A StudyontheVocabul aryi nKoreanTextbooks ofJuni orHi ghSchool si nnorthKorea

2007년 2월 23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정 옥 란

(2)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지도교수 이 성 연

이 논문을 국문학 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10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정 옥 란

(3)

정옥란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문학박사 위 원 목포대학교 교수 문학박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학박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학박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학박사

2006년 12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4)

- i -

목 목

목 차 차 차

표 목 차 ···ⅲ Abctract···ⅶ

제1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연구 목적과 의의 ···1

1.2.연구 방법과 내용 ···4

1.3.선행 연구 ···8

제2장 북한의 언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2.1.북한의 언어 정책 ···11

2.2.북한의 국어 교육 정책 ···18

2.3.고등중학교 국어 교육 ···21

제3장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포 양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3.1빈도별 분포 ···35

3.2.품사별 분포 ···41

3.3어종별 분포 ···44

3.4.고빈도어 분포 ···59

제4장 남북한 교과서의 어휘 차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4.1표기법에 의한 차이 ···109

4.2.합성어 조어법에 의한 차이 ···114

(5)

- ii -

4.3.어휘 정리와 단어 만들기에 의한 차이 ···120

4.4.사회 체제에 의한 차이 ···122

제5장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5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2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7

(6)

- iii -

표 표 표 목 목 목 차 차 차

<표 1> 사회주의 교육 목적 ···22

<표 2> 국어 교육 목적 ···23

<표 3> 남북한 국어 교육 목표의 공통점과 차이점 ···24

<표 4> 고등중학교 1~3학년 단원별 정치적 주요 인물 ···28

<표 5> 학년 단원별 인물별 내용별 분류 ···33

<표 6> 학년별 어휘량 ···36

<표 7> 1~3학년 국어 교과서 어휘 빈도별 분포 ···37

<표 8>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 빈도 분포 ···38

<표 9> 1학년 저빈도어 품사별 분포 ···39

<표 10> 2학년 저빈도어 품사별 분포 ···39

<표 11> 3학년 저빈도어 품사별 분포 ···40

<표 12> 1~3학년 저빈도어 품사별 분포 ···41

<표 13> 1~3학년 품사 분포 ···42

<표 14> 1학년 품사별 분포 ···43

<표 15> 2학년 품사별 분포 ···43

<표 16> 3학년 품사별 분포 ···44

<표 17> 학년별 고유어 분포 ···45

<표 18> 학년별 한자어 분포 ···46

<표 19> 학년별 외래어 분포 ···47

<표 20> 외래어 어휘 목록 ···47

<표 21> 남한 중1국어 교과서 외래어 목록 ···48

<표 22> 남한 중2국어 교과서 외래어 목록 ···49

<표 23> 남한 중3국어 교과서 외래어 목록 ···50

<표 24> 남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외래어 목록 ···52

(7)

- iv -

<표 25> 학년별 혼종어 분포 ···55

<표 26> 1~3학년 어종별 분포 ···55

<표 27> 1학년 품사・어종별 분포 ···56

<표 28> 2학년 품사․어종별 분포 ···57

<표 29> 3학년 품사․어종별 분류 ···58

<표 30> 1~3학년 품사․어종별 분류 ···58

<표 31> 고빈도 명사 어휘 목록 ···59

<표 32> 고빈도 의존명사 어휘 목록 ···62

<표 33> 고빈도 대명사 어휘 목록 ···62

<표 34> 고빈도 수사 어휘 목록 ···63

<표 35> 고빈도 동사 어휘 목록 ···65

<표 36> 고빈도 보조동사 어휘 목록 ···66

<표 37> 고빈도 형용사 어휘 목록 ···66

<표 38> 고빈도 보조형용사 어휘 목록 ···67

<표 39> 고빈도 관형사 어휘 목록 ···68

<표 40> 고빈도 부사 어휘 목록 ···69

<표 41> 고빈도 감탄사 어휘 목록 ···70

<표 42> 조선어 빈도수 사전의 빈도 30위 어휘 ···71

<표 43> 품사별 고빈도어 분포 양상 ···72

<표 44> 고빈도 명사 어휘 목록 ···74

<표 45> 고빈도 의존명사 어휘 목록 ···77

<표 46> 고빈도 대명사 어휘 목록 ···78

<표 47> 고빈도 수사 어휘 목록 ···79

<표 48> 고빈도 동사 어휘 목록 ···81

<표 49> 고빈도 보조동사 어휘 목록 ···81

<표 50> 고빈도 형용사 어휘 목록 ···82

(8)

- v -

<표 51> 고빈도 보조형용사 어휘 목록 ···83

<표 52> 고빈도 관형사 어휘 목록 ···83

<표 53> 고빈도 부사 어휘 목록 ···84

<표 54> 고빈도 감탄사 어휘 목록 ···85

<표 55> 품사별 고빈도어 분포 양상 ···86

<표 56> 고빈도 명사 어휘 목록 ···88

<표 57> 고빈도 의존명사 어휘 목록 ···90

<표 58> 고빈도 대명사 어휘 목록 ···91

<표 59> 고빈도 수사 어휘 목록 ···92

<표 60> 고빈도 동사 어휘 목록 ···92

<표 61> 고빈도 보조동사 어휘 목록 ···94

<표 62> 고빈도 형용사 어휘 목록 ···95

<표 63> 고빈도 보조형용사 어휘 목록 ···96

<표 64> 고빈도 관형사 어휘 목록 ···96

<표 65> 고빈도 부사 어휘 목록 ···97

<표 66> 고빈도 감탄사 어휘 목록 ···97

<표 67> 품사별 고빈도어 분포 양상 ···98

<표 68> 학년별 품사별 최고빈도 어휘 목록 ···100

<표 69> 김일성 부자 이름 및 호칭・지칭어 빈도 ···101

<표 70> 1~3학년 빈도수 10회 이상 어휘 본포 ···102

<표 71> 전 학년 빈도 50회 이상 어휘의 품사별 분포 ···103

<표 72> 품사별 개별어휘 분포 ···104

<표 73> 남북한 빈도순 100위의 어휘 목록 ···107

<표 74> 남북한 고빈도 100위 어휘의 어종별 비교 ···107

<표 75> 남북한 고빈도 100위 어휘의 품사별 비교 ···108

(9)
(10)

- vii -

Abstract

A StudyontheVocabul aryi nKoreanTextbooks ofJuni orHi ghSchool si nNorthKorea

JeongOk-ran

Advisor:Prof.LeeSeong-yeon

Dept.ofKoreanLanguage& Literrature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As the period of national division lasts, differences in languag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found mainly in vocabulary.

Firstandforemost,NorthKoreafocusesonaninstrumentalfunction ofits languageasa powerfulweapon to constructsocialism.According to such differences in recognition,South Korea created new words based on the vocabulary thatcomply with tradition and convention ofoursociety while North Koreacreated new vocabulary thatfitfortheirpoliticalsystem and activelyreflectedthem initsKoreantextbook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system of vocabulary through a review of basic vocabulary and its generaldistributive aspect.For the purpose,this study conducts measurable examination ofvocabulary from Korean textbooks forjuniorhigh schoolstudents in North Korea and an analysisofthecurrentstatus.

Therefore,thisstudyfocusesonthedistributionofvocabularyinKoran textbooks,thatis,' measurementand system ofvocabulary' For the

(11)

- viii -

measurement of vocabulary, it examines numerical aspects such as frequency lexeme appears and use rate.Forthe system ofvocabulary,it examines a distributive aspectofvocabulary investigated to identify and describeitssystem basedon classification ofpartsofspeech andkindsof vocabulary.

Theresultsofthisstudyaresummarizedasfollows:

Chapter2examinesthelinguisticview and policy ofNorth Korea asthe linguistic policy is closely involved in the linguistic view. It reviews influenceofRussian linguistictheory on linguistictheory ofNorth Korea, Kim Il-sung's linguistic theory and policy and Kim Jung-il's linguistic theoryandpolicy.

North Koreaintroduced Stalin'slinguistictheory and adapted itto their socialsystem.Stalin considers language as a mean ofpersonalexchange whileKim Il-s대ng interpreted itasa powerfulweapon to emphasizehis independentlinguisticthoughts.Therefore,ashethoughtnationallanguage isapowerfulweapon,heresisted againstbourgeoisand reactiveelements permeated into nationallinguistic life and tried to develop revolutionary languagebased on speech used by laborersand farmers.So hedeveloped independentlinguistictheory based on theinstrumental view oflanguage andimplementedthelinguisticpolicyadaptedtothetheory.

TheultimategoalsoflinguisticpolicyofNorthKoreaare:first,torealize independency of the great leader completely;second,to develop Joseon language more revolutionary;and third,to contribute to revolution and constructionasapowerfulweapon.

Chapter 3 examines the distributive aspect of vocabulary.It analyses

(12)

- ix -

measurement of vocabulary followed by review of distributive aspect according to frequencies, parts of speech and kinds of language, characteristicsofhigh-frequencyvocabularyanddistributionsofvocabulary association.

Thistablepresentskindsofwordsandclassification according toparts ofspeechinKoreantextbooks.

parts of speech

kinds native Chinese loanwords

hybrid

subtotal total native+ch

inese

chinese + native

loan+

nativ e

loan+

chinese

noun

independent 1,737

(23,686) 2,617 (10,736) 31

(101) 98

(284) 286 (1,869) 6

(38) 5

(16) (26,4,780730) 4,868 (28,776)

dependent 62

(1,818) 26

(228) 88

(2,046)

pronoun 45

(2,819) 1

(32) 46

(2,851) 46 (2,851)

numerical 18

(150) 26

(84) 44

(124) 44 (234)

verb

main 1,668

(15,847) 463

(1,973) 2,131

(17,820) 2,177 (19,597)

prolative 45

1775 1

(2) 46

(1,777)

adjective

main 430

(3950) 1

(1) 299

(1035) 730

(4,986) 734 (5,012)

prolative 4

(26) 4

(26)

pre-noun 42

(1592) 6

(156) 48

(1,748) 48 (1,748)

adverb 770

(4,193) 30

(143) 4

(6) 95

(321) 899

(4,663) 899 (4,663)

exclamation 91

(477) 91

(477) 91 (477)

total 4,912

(46,333) 2,706 (11,379) 31

(101) 103

(291) 1,144 (5,200) 6

(38) 5

(16) 8,907

(63,358) 8,907 (63,358)

This study divides words into native languag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loan words,and hybrid forclassification according to

(13)

- x -

kinds of words. The hybrid is divided into native+Chinese’,

‘Chinese+native’,‘loan+native’,and‘loan+Chinese’.

In particular,the loan words include 34 unit words and 100 yearly words.According to grades,there are 8 for1stgrade,12 for2nd grade and 14for3rd grade.Themostfrequently appearing word is'Bus'and it appears21times.Necktieappears6timesand 'Apartment'appearsthree times. Therearefivewhich appeartwotimesandtherestofthewords appearonce.Thefrequencyofunitwordsisnotveryhighexcept'Bus'.

For the loan words used in Korean textbooks of middle schools in SouthKorea, thereare89unitwordsfor1stgrade,64for2ndgradeand 112for3rd grade.Fortheyearly words,thereare221for1stgrade,138 for2ndgradeand325for3rdgrade.Theunitwordsfortheentiregrades are219andyearlywordsare6254.

ThefrequencyofunitwordsismuchlowercomparedwiththatofSouth Korea,which results from the linguistic policy led by Kim Il-Sung's independentlinguisticview.

Chapter4speculatesdifferencesin vocabulary used in Korean textbook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The differences are divided into

‘difference by language regulations’,‘difference due to compound words’,

‘differenceduetoorganizationofvocabulary’and‘difference duetosocial systems’.

Thedifferencedueto languageregulationsisdivided into differencesin

‘listing consonants and vowels’,‘listing combined words’,‘listing words written in Chinesecharacters’,‘notation ofloan words’.Thedifferencedue to compound words is categorized into differences in ‘compound nouns’,

(14)

- xi -

‘compound verbs’and ‘compound adjectives’.Thedifferencein organization of vocabulary is categorized into differences in ‘culturalelevation’and

‘makingwor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ocabulary policy after the unification should accommodate the vocabulary elaborated by North Korea as plural standard language based on language enrichment policy in terms of inheritanceofnationaltongue.

(15)
(16)

제 제

제1 1 1장 장 장 서 서 서론 론 론

1 1 1. . . 1 1 1. . .연 연 연구 구 구 목 목 목적 적 적과 과 과 의 의 의의 의 의

남한과 북한은 분단 역사가 반세기를 넘어서는 동안 서로 다른 사회 체제 를 유지하여 오면서 국어의 음운・어휘・문법 면에서 상당히 많은 이질화 현상 이 일어났는데,그 중에서도 특히 어휘1)의 이질화 현상은 심각하게 나타났다.

북한은 사회 체제의 특성상 언어를 ‘인간 생활의 힘 있는 수단과 사회주의 건설의 힘 있는 무기로서,또 인민들의 자주성을 실현시켜주며,민족성을 지 켜주고 발전시켜주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중요시하였다.이처럼 언어의 도구 적 기능을 중시하였기 때문에,언어 정책적 차원에서,‘혁명 사업 고취,사회 체제의 미화와 강화,지도자 우상화’등을 위한 어휘를 새로 만들거나 다듬어 국어 교과서를 통해 가르침으로써 남한과 다른 기본 어휘들이 많아졌다.

무엇보다도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결정적인 분수령이 된 것은 북한에서 언 어 정책 제3기2)에 서울 중심의 표준어에서 평양 중심의 표준어로 ‘표준어 정 책’이 바뀌고,표준어 대신 ‘문화어’로 용어까지 바뀌면서부터이다.이 시기에 북한은 ‘어휘 정리’와 ‘단어 만들기’사업을 전개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어휘의 양적․질적 변화를 가져왔다.문화어,어휘 정리,단어 만들기 등의 세 가지 중점 사항은 1966년 김일성의 담화문 교시에서 제시되었는데3),필요성과 원 1)단어가 언어 구조의 단순한 형태 단위라면,어휘는 낱말들이 모인 일정한 체계상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2)고영근(1999:27)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제1기(1946~1950):소련 언어학자 마르(N.Ya.Marr)의 언어 이론 수용과 북한 언어 학 형성

제2기(1950~1966):스탈린의 언어 이론 수용과 북한 언어학의 발달 제3기(1966~현재):주체언어이론의 형성과 발전

3)담화문 제목은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에 대하여”이다.

(17)

칙까지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4)

이 기간 동안 북한은 체제 이데올로기에 따라 ‘어휘 정리 사업,단어 만들 기,문화어 보급’등의 언어 정책을 의도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어휘 확장이 폭 넓게 이루어졌다.그리고 이들 어휘는 학교 교육에 반영되었으며 국어 교과 서를 통해 실현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보면,북한은 정치 사회 체제에 적합한 언어 정책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시행해 나갔으며,언어문제 해결을 위한 언어 정책의 유 형5)으로는 ‘정책 접근법(policy approach)’을 채택했음을 알 수 있다.이것은 남한의 입장에서 볼 때 언어 이질화의 주된 동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한의 언어가 심재기(2000:13)에서 언급한 것처럼 민족어로서 다음과 같은 어휘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통일 후 어휘 정책을 위한 긍정적인 면이기도 하다.

( (

(111)))ㄱ.우리말 어휘는 고유어를 중심 어휘군(lexicalset)으로 하고 한자어 와 외 래어를 보조 어휘군으로 하는 3중 체계를 이룬다.

ㄴ.우리말 어휘는 음절 단위로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다.

ㄷ.고유어는 유연성이 강한 어휘로 음운 교체성과 형태 첨가의 두 가 지 특 성을 나타낸다.

ㄹ.외래어는 국어 어휘 체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제3의 어휘 군이지 만 고유어와 한자어가 구성하는 단단한 구조에 맞서는 존 재가 아니다.

4)필요성은 ‘첫째,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가 전진하기 때문임.둘째,한자말과 외래어를 목적 의식적으로 다듬기 위함’이었다.원칙은 ‘첫째,민족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릴 것.둘째,고유 어의 합법칙적 요구를 정확히 반영할 것.셋째,획기적인 전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넷째, 실현 가능성이 고려된 과학적인 방법일 것’등이었다.

5)Rubin(1973)은 언어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의 유형으로,정책 접근법(policyapproach)과 문화 접근 법(cultivationapproach)을 제시했다.전자는 국어의 표준화,정서법 등 언어문제들을 국가에서 주관하거나 의도적으로 변경을 시도한다.후자는 언어문제들을 어느 정도 언중의 언어 사용 흐 름에 맡기거나 민간 학술단체의 의견을 수용하는 입장을 취한다(이성연 1993:127).

(18)

이처럼 남북의 어휘가 구조와 체계 면에서는 동질적인 요소가 많다고 하더 라도 어휘의 양적인 면에서의 차이는 민족의 동질성 극복을 위해서 넘어야 할 또 다른 장애물이다.

지금은 남북 협력 관계가 경제 등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면서 통일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따라서 통일 후 국어 문제의 대비와 더 나아 가 국어의 체계를 위한 어휘 연구는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더하게 된다.그 래서 북한의 국어 교과서에 대한 어휘 연구가 차지하는 필요성의 비중도 높 을 수밖에 없다.

어휘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어휘 선정(vocabularyselection)이 필수 조 건이다.어휘 선정이란 전체 어휘 중에서 어떤 수의 가장 기본적인 어휘를 가려내어 그것을 그 해당 언어의 교수․학습에 이용하려고 하는 시도를 말한 다.통일 후 국어의 어휘 정책을 수립하려면 국어 교과서에 반영될 기본 어 휘의 선정을 위해 북한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포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이러한 어휘 분포의 하위 범주에는 당연히 어휘의 계량과 체계가 포함 된다.

계량적인 어휘론에서는 ‘계량의 대상이 되는 단위를 요소로 하는 집합’을 어휘로 보는데,계량이 되는 어휘군은 두 가지 목적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 다.순수한 언어 연구를 위한 목적과 실용적인 목적이 있는데 전자는 언어를 중심으로 그것의 발생에 따라 밝혀지는 어휘군에 관한 계량이 되며,후자는 주로 언어 정책이나 사회적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될 것을 목적으로 선택되어 계량되는 것이다.본 논문은 후자의 입장을 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북한의 고등중학교(남한의 교육 편제상 중학교)1, 2,3학년 국어 교과서6)어휘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통해 북한의 기본 어휘 양상과 전체적인 분포 및 어휘 체계를 파악하고 남북한 중학교 어휘 차이도 6)남한의 학제는 중등교육이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의 이원적 편제이지만,북한은 중등교육이 고 등중학교 6년의 일원적 편제이다.본고에서 1,2,3학년 국어 교과서 어휘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 것은 남한의 중학교 3년과 수업 연한을 산술적으로 맞추기 위함이다.

(19)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일 후,국어의 이질화 극복을 위한 언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1 1. . . 2 2 2. . .연 연 연구 구 구 방 방 방법 법 법과 과 과 내 내 내용 용 용

앞으로 이루어질 남북한의 통일은 국어학사 시대 구분의 전환점7)이 되리라 생각한다.국어학사의 시대 구분은 학자들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8),‘남북한 통일’을 또 하나의 전환점으로 설정하면,‘분단 시대 국어학’과 ‘통일 시대 국 어학’으로 현대국어학은 그 시대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9)

남북한 통일 이전까지는 ‘분단 시대 국어학’시대가 되는데,이 동안의 국어 연구는,첫째는 남북한 각각의 국어 연구,둘째는 남북한의 상대방 국어 연 구,셋째는 통일 대비 국어 연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의 국어학사적 연구 위치는 남북한 분단의 국어학 시대에 통일 후 의 국어학 시대를 위한 북한의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다.

어휘 연구의 하위 영역 설정10)은 연구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지만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중위 분류와 일곱 개의 하위 분류로 나눈 김광해(1993:26)의 7)국어학사의 시대 구분에서 기준이 되는 것은 시대와 시대의 분수령이 되는 전환점이다.한 시대 의 학문은 어느 각도로나 공통되는 특성이 있어야 하므로 학문상의 전환점은 과거의 업적이 한 시대로 묶이는 처음과 끝이어야 한다.물론,시대 구분은 그 역사적 발전 과정에 근거한 것이므 로 그 특성을 파악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김민수 1990:12)

8)이성연(1997:108)에서는 김민수(1990:13)의 시대 구분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전통국어학:삼국시대 ~ 갑오경장

1)고 대:삼국시대 ~ 고려통일 2)중세전기 ···고려통일 ~ 훈민정음 3)중세후기:훈민정음 ~ 임진왜란 4)근 세 ···임진왜란 ~ 갑오경장 2.근대국어학:갑오경장 ~ 조국광복

3.현대국어학:조국광복 ~ 현 재 1)분단 국어학:조국분단 ~ 조국통일

① 남한 국어학 ② 북한 국어학 2)통일 국어학:남북한 통일 ~ 현 재

9)현대국어학 시대를 ‘분단 시대 국어학’과 ‘통일 시대 국어학’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명칭은 필 자에 의한 임의적인 것이다.

10)어휘론의 하위 영역 설정은 ‘여러 가지 특성의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어휘 연구 분 야들이 존재하는 체계를 가진다’는 전제 하에서 이루어진다.

(20)

방법을 따르기로 한다.

( (

(222)))ㄱ.분포 연구: ① 어휘의 계량

② 어휘의 체계

③ 어휘의 위상적 양상

④ 어휘의 화용적 양상 ㄴ.관계 연구: ① 어휘소의 공시적 관계

② 어휘소의 통시적 관계 ㄷ.정책 연구: ① 어휘소의 교육과 정책

위와 같은 어휘 연구 중에서 본 논문은 (2)의 ㄱ ‘분포 연구’의 ① ‘어휘의 계량’과 ② ‘어휘의 체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어휘의 계량에 관한 연구는 어휘소들이 등장하는 빈도와 사용률 등 수량적인 면이 연구의 중심 대상이 된다.그리고 어휘의 체계에 관한 연구는 조사된 어휘의 전체적인 분포 양상 을 통해 그 체계를 파악하고 기술하는 연구로 어휘 항목들의 품사나 어종 등 의 분류를 기반으로 한 체계 파악인 것이다.

어휘는 그 체계에 따라 질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양적인 면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11)어휘를 수량적인 구성으로 보는 계량적 어휘론에서는 어휘소 간의 의미 관계나 체계적 조직은 분석에서 배제되며,실질 형태소인 단어로 대상이 한정된다.그러나 연구 목적에 따라서 계량 단위가 다양해지 기도 한다.구문 해독 및 정보 검색의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대상의 폭이 넓 어져서 단어(실질 형태소,lexicalmorpheme)외에 조사,어미,마침표,쉼표, 공백,괄호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계량적인 어휘론에서는 ‘계량의 대상이 되는 단위를 요 소로 하는 집합’을 어휘로 보기 때문에 ‘첫째,어휘의 수량적인 크기,둘째,어

11)일상생활에 필요한 국어의 단어는 몇 개 정도나 되는가의 논의에서 ‘일생생활에 필요한 어휘’는 질적인 면에 관한 것이며,‘몇 개 정도나’는 수량적인 면에 관한 것이 된다.

(21)

휘의 수량적인 구성,셋째,기초 어휘나 기본 어휘의 통계적 선정,넷째,어휘 의 통계적 조사에 관한 이론과 방법’등을 연구하게 된다(김광해 1993:69).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 연구 대상 중 ‘어휘 수량적인 크기’와 ‘어휘의 수량적인 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그리고 이는 세 번째 대상인 ‘기초 어휘나 기본 어휘의 통계적 선정’을 위한 전 단계적 연구가 되겠다.

통일 후,국어 교과서에서 기초 어휘나 기본 어휘를 교수․학습하기 위해 서는 북한의 국어 교과서의 어휘에 대한 계량적・체계적 연구가 먼저 필요하 다.어휘의 빈도와 분포 영역을 적절히 종합해서 각 어휘의 가치 순위가 결 정되어야 이것을 어휘 선정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으며,체계적인 연구를 통 해서 품사론과 형태론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고등중학교 1,2,3학년 국어 교과서(2002)의 어휘를 분석하는데,전체 어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하여 먼저 개별 어휘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과목의 명칭은 1~3학년까지는 ‘국어’,4~6학년에서 는 ‘국어문학’으로 되어 있다.학제는 6년으로서 남한의 중등교육 기관인 중・

고등학교에 해당되므로 남한의 학제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과목의 하위 명칭 ‘국어’를 기준으로 하여 1~3학년 교과서의 어 휘를 분석하기로 한다.

어휘 계량의 방법에서 어휘 선정의 일반 원리는 ‘객관적 방법,주관적 방법, 절충적 방법’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 방법12)을 택하였다.

각 단어의 추출은 북한의《조선말 규범집》(1988)의 맞춤법 규정을 적용했 다.그리고 학년별 ‘가나다순’과 ‘빈도순’으로 각각 정리한 다음 종합하였다.13)

본 논문의 어휘 조사 방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2)객관적 방법은 어휘 선정의 기준을 전적으로 통계 수치에 두기 때문에 구체적인 언어 자료의 빈도수를 조사한다.빈도수는 개별 단어의 출현 횟수의 합계를 의미하고 사용률의 산출 공식은

‘P=빈도수/연어휘×100%’이다.그리고 누적 사용률의 산출 공식은 ‘∑P=누적빈도수/연어휘수

×100%’이다.

13)전체 학년의 어휘 빈도순 통계는 <깜짝새>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하였는데 부록에서는 학년별 자료만 첨부하기로 한다.

(22)

( (

(333)))ㄱ.모든 단어는 기본형을 밝혀 조사한다.

ㄴ.품사 분류는 남한의 9품사 체계를 따른다.

ㄷ.합성어(compoundword)는《조선말대사전》(1992)의 올림말을 기준

으로 한다.

ㄹ.동일 어휘의 표기가 다른 것은 각각 다른 표제어로 처리한다.

ㅁ.동음이의어는 한자나 풀이말 등을 병기하여 각각 별개의 단어로

처리한 다.

ㅂ.보조용언의 경우,합성어로 굳어져 사전에 올림말로 실렸으면 하나 의 단어로 계량하고,그렇지 않으면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분리 하여 계량하 되 각각 동사나 형용사에 포함시킨다.

ㅅ.내용어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기능어(조사)는 제외한다.

ㅇ.남한과 다른 두음 법칙이나 외래어 표기는 북한의 표기법에 의한 다.

ㅈ.접미사 ‘님’이 붙은 말 중 올림말은 아니지만 ‘원수님’,‘대원수님’,

‘간첩 놈’등처럼 언제나 결합하여 쓰이는 것은 어휘 계량에 포함 한다.

ㅊ.아리비아 숫자는 연도나 기타 북한에서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 외 에 단 순히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제외한다.14)

본 논문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북한의 언어 정책(국어정책)15)과 국어 교육 정책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국가의 어문 문제에 관한 언어 정책은 취하고 있는 언어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아울러 남한의 언어관과 언어 정책에 대한 비교

14)김광해(1993:73),남인영(2000:21)과 방향옥(2006:7)참고.

15)김민수(1985)에서는 북한의 ‘국어정책’을 북한의 ‘언어정책’이란 용어로 사용하였는데,본고에서 도 그와 같이 사용하기로 한다.

(23)

검토를 하겠다.

제3장에서는 어휘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이것은 어휘의 계량적 연구및 체계적인 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먼저 어휘의 계량을 분석한 다음, 빈도별 분포 양상,품사별 분포 양상,어종별 분포 양상,고빈도 어휘 양상의 순서로 고찰하겠다.

제4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 어휘 차이를 표기법에 의한 차 이와 언어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전자는 “사잇소리 현상 의 표기에 의한 것,두음법칙의 표기에 의한 것,모음어미 ‘여’의 표기에 의한 것,기타 어미 형태의 표기에 의한 것”등으로 그 원인이 나뉜다.그리고 후 자는 합성법,어휘 정리,사회 체제 등의 차이로 나뉜다.

제5장에서는 전체적인 논의의 결과를 요약,정리하고 통일 후의 어휘 정책 방향에 대해 간략한 방향 제시를 하기로 한다.

1 1 1. . . 3 3 3. . .선 선 선행 행 행 연 연 연구 구 구

북한의 국어에 대한 연구는 김민수(1985)의 종합적인 고찰 이후 많은 업적 들이 나왔다.16)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연구 성과들을 몇 가지 분 야로 구분해보면,‘북한의 문법에 대한 연구, 북한의 언어 정책에 대한 연 구,어문 규정에 대한 연구,남북 언어의 이질화에 대한 연구,통일 후의 어 문 문제에 대한 연구,국어 교과서 어휘에 대한 연구’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북한의 문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신창순(1986)은 북한의 문화어 문법 을 개관했고,김영아(1989)는 토(조사)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이은정(1989)은 문법 체계를 주로 다루었다.임홍빈(1989)과 심재기(1990)는 문화어 규범의 측면에서 문법을 분석하였고,신현숙(1990)은 형태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서정곤(1991)은 형태론을 전반적으로 개관하였고,이성연(1992)은 조어법의 16)김민수(1985)에서는 음운,형태,품사,문장(통사),언어 정책 등 전반적인 고찰을 하였다.자하어 문학회(1990)는 음운학,형태론,조어론,어휘론,통사론,문체론,사전학 등의 분야를 다루었다.

(24)

특징과 문제점을 다루었다.성광수(1993)는 통사론을,하치근(1993)은 남북한 의 문법 비교를,임홍빈(1997)은 형태론과 통사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구 본관(2003)과 이광정(2003)은 품사론을 다루었다.

북한의 언어 정책(국어정책)에 대한 연구를 알아보면,김민수(1985)는 마르 크스와 스탈린의 언어관과 함께 북한의 언어관을 다루었고,공산권의 언어 정책과 함께 북한의 언어 정책을 제3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고찰하였다.서태 길(1989)과 심상용(1989)은 언어 정책을 수평적으로 비교하였고,이성연(1991) 은《조선문화어사전》의 예문 분석을 통해 북한 언어 정책의 특징을 살펴보 았다.정도복(1989)은 남북한의 국어 정책을 비교하면서 북한의 언어관도 함 께 다루었는데 국어 계획 기관까지 고찰하였다.고영근(1999)은 주체 언어이 론,북한 언어 정책의 역사와 북한 노동당의 언어 정책,소련 언어이론의 수 용과 적용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남북한 언어 이질화 현상 및 국어 통일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보면 박영규(1993)는 교과서가 아닌 단어들의 어휘 차이,즉 북한에서 새로 만들 어진 어휘와 형태는 같은데 뜻이 달라진 말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박영 순(1994),신현숙(1994),이성연(1996),고영근(1998)등은 통일 후의 언어의 혼란을 극복하고 한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북한의 어문 규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비교 분석 위주로 접근한 전수 태(2004),송기중(1991),장영자(1991),안병희(1992),이석주(1993),이주행 (1994)등이 있으며 남북한 언어 규범의 차이와 통일 방안을 함께 다룬 조재 수(2001),정훈탁(2002)등이 있다.

통일 후의 어문 문제는 ‘맞춤법,띄어쓰기,문장부호’를 중심으로 송기중 (1990), 고영근(1994), 조오현(1997), 박갑수(1998, 1999), 홍종선․최호철 (1998),최호철(2000)등에서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북한의 국어 교과서 어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먼저 전수태(1992)는 북한의 인민학교 1학년과 남한의 초등학교 1학년의 국어 교과서를 주제와 어휘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국립국어연구원(1992)은 ‘5장 북한의 교과서

(25)

분석’에서 남북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전반적인 내용과 함께 어휘의 주제별 분류와 빈도수를 조사하였다.최 현섭 외(1996)는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의 수록 어휘를 교과서의 내용과 특색 을 밝히기 위한 차원에서 전체적으로 인상적인 어휘 위주로 접근하였다.

한철우(1998)는 북한의 고등중학교 1,2,3학년 교과서와 남한의 중학교 교 과서를 비교하면서 우상화를 위해 언어가 동원되고 있음을 밝혔다.17)이성연 (1999)은 고빈도어를 중심으로 어휘 체계와 양상을 다루었다.박관우(2002)는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 1,2,3권을 분석하였는데 어휘 계량적 분석이 아닌 어휘의 특징 즉 ‘소리 같은 말,뜻 같은 말,다의어,북한에만 있는 말, 속어 및 비어,전투적인 어휘’등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남인영(2002)은 북한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 1~4학년의 어휘를 계량적으로 고찰하였는데 빈도별, 품사별,어종별로 분석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의 성과에 의하면 북한의 국어 교과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 내용이나 학습 시간,그리고 형태면에서 차이가 있 는 어휘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하거나 남한의 국어 교과서와의 비교에 초점 을 맞추었다.어휘에 관한 연구도 북한 인민학교(한국의 초등학교)의 국어 교과서의 체계적인 계량적 어휘 연구(남인영 2002)는 있지만 북한의 고등중 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에 대한 체계적인 계량적 어휘 연구는 보이지 않 는다.대부분 ‘국어’교과서를 1차 자료로 활용한 분석적 연구에 지나지 않으 며,분석 교과서 또한 현재의 개정판이 아닌 2000년 이전에 출판된 것을 대 상으로 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 이후의 개정판 고등중학교 1~3 학년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어휘 연구라는 점에서 이전의 연구와 구별 된다고 하겠다.

17)남인영(2002:5),박관우(2002:6)를 참고하였음.

(26)
(27)

제 제

제2 2 2장 장 장 북 북 북한 한 한의 의 의 언 언 언어 어 어 정 정 정책 책 책과 과 과 국 국 국어 어 어 교 교 교육 육 육 정 정 정책 책 책

2 2 2. . . 1 1 1. . .북 북 북한 한 한의 의 의 언 언 언어 어 어 정 정 정책 책 책

한 나라의 언어 정책은 일반적으로 자국어 정책과 외국어 정책으로 대별 된다.전자는 국어 정책(nationallanguagepolicy)이란 말로 통용되는데,국어 정책이란 국가 공용어(officiallanguage)에 관한 국가나 정부의 계획 또는 기 본 방책을 뜻한다.

언어 정책은 국가에서 택하는 언어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언어관은 언 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다.언어관이란 언어의 본질을 보는 관점 을 뜻하며,언어 연구의 성격을 규정하는 바탕이 된다.언어관에 대한 견해는 언어의 본질을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를 통하여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언어 가 사고의 도구라고 생각하는 이원론’과 ‘사고가 곧 언어라고 보는 일체관’18) 의 두 가지 흐름이 있다(김민수 1973:366).

언어 도구관은,언어가 사회적 교섭을 위한 사고의 도구로 보기 때문에 사 고와 언어는 이원적 존재로서 표현보다 사고가 먼저라고 생각한다.따라서 실제로 나타나는 표면적인 언어 수행이 언어의 본질이라는 것이다.(허만길 1994:22).도구관에서는 언어란 편의적 도구이므로 언어를 사고의 표현에 맞 게 인위적으로 고쳐 나가야 한다고 보는데,김일성과 김정일의 언어관은 바 로 언어 도구관에 바탕을 두었다.

북한의 언어 정책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언어관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 쳤기 때문에 북한의 언어 정책을 고찰하기 위해 김일성의 언어관과 김정일의 언어관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18) 언어 사상 일체관에서는 사고와 언어가 일원적(monistic)존재로서 사고가 곧 언어라고 생각한 다.

(28)

2 2

2. . . 1 1 1. . . 1 1 1. . .김 김 김일 일 일성 성 성의 의 의 언 언 언어 어 어관 관 관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김일성의 견해를 반영한 것 인데,김일성은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다음의 세 가지 사회적 관점에 두었다(김민수 1985:110).19)

( (

(444)))ㄱ.언어는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다.

ㄴ.언어는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 있는 무기다.

ㄷ.언어는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이러한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김일성 본인의 언어관에서 비롯되는데, 그의 언어관은 처음엔 소련의 언어 이론에 영향을 받았지만 나중에는 주체언 어관으로 정립되었다.

소련의 언어 이론은 1929년 이후 레닌에 의해 확립되었다.레닌은 언어가 인류의 출현과 함께 하였으며,언어는 인간 교제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유물론적 관점에서의 접근이었다.이러한 레닌의 견해는 그 가 프롤레타리아 국제어 건설을 위한 언어 도구관의 관점에서 언어를 이해하였 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1950년대에 이르러 스탈린(I.V.Stalin)은 유물사관적인 관점에서 언어에 이데올로기와 계급이 없으며 민족어를 함께 향상・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그리고 ‘언어는 인간 교제의 수단이며 생산력의 도구’라고 하면서 언어 를 물질적 생산력에 결부시켰는데20),이것은 언어 도구관의 입장에서였다(김

19)‘언어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의 표현이고,인간과 인간 사이의 의사주요 목적이다’는 남한의 언어 본질에 대한 이해와는 매우 다르다.

20)레닌(V.I.Lenin)은 ‘언어는 사람들이 서로 교제하고 사상을 교환하여 상호간의 이해를 달성하 는 수단이며 도구이다.사상을 교환하는 것은 항시적이며 사활적인 필수 조건이다.그것은 사상 교환이 없이는 자연력과의 투쟁에서나 필요한 물질적 부를 생산하는 투쟁에서 사람들의 협동 동 작을 조작할 수 없고 사회의 생산 활동에서 성과를 달성 수 없다.결국은 사회적 생산의 존재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인 것이다.’고 했다.

(29)

민수 1985:68,정도복 1989:19).스탈린의 언어 이론은 ‘언어 도구관,언어의 비계급성,국제어 합류설’21)등을 통해 완성되었다.

스탈린의 언어 이론은 김일성에게 영향을 끼쳤다.1964년 1월 3일 언어와 관련된 김일성의 교시에서,‘문자 개혁,한자어․외래어 문제,단어 형태 표시 문제,어휘 정리 문제,언어생활 문제,언어 교육 문제’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북한은 소련의 언어 도구관을 받아들이되 북한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여

‘도구’를 ‘힘 있는 무기’로 대체하였다.그리고 언어 발전의 중요한 세 가지 요인22)으로는 ‘인민 대중,언어 발전의 합법칙적 과정을 제약하는 객관적 조 건,인민 대중의 목적의식적 작용’을 들었다.이러한 수정을 통해 주체언어관 을 확립하게 되었는데 1966년 5월 14일의 김일성 담화문의 언어 관련 교시에 나타나 있다.즉,언어는 무기이기 때문에 손질해야 하며 사회주의 건설 시기 에 새말을 만들거나 다듬어서 민족어를 주체성 있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이론 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김일성 담화문의 제목은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나갈 데 대하 여’인데 요지는 다음과 같다.

( (

(555)))ㄱ.우리나라는 정치․경제․문화의 교류로 외래 요소가 많이 들어왔 다.언어도 서양의 외래어,중국의 한자어,일본어가 많이 쓰인다.

특히 남한어의 서양화,일본화,한자화는 심각하여 민족적 특성을 상실할 위험에 놓여 있다.따라서 더 늦기 전에 북한에서만이라도 한자어와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치고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외래어는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제 때에 새말을 만들어 보급해 21)언어는 교제의 도구인 동시에 투쟁과 사회 발전의 도구이다.언어는 계급성이 없고 전 인민적인 것이다.수많은 민족어에서 분리해 나온 가장 풍부하고 유일한 지대어가 하나의 공통적인 국제 어로 합류한다.

22)첫째,언어를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인민 대중.둘째,시대와 사회의 발전은 언어 발전의 합 법칙적 과정을 제약하는 주되는 객관적인 조건.셋째, 언어에 대한 인민 대중의 목적의식적 작 용은 사회주의 사회에서 언어의 발전을 다그치는 힘 있는 추동력(최정후 외 1999:108)등이 그것 이다.

(30)

야 하고 한자어를 고칠 때에는 ‘그대로 두고 사용할 것,뜻폭이 같 지 않은 것은 조심해서 고쳐 나갈 것,단어의 결합 관계도 고려하여 고쳐 나갈 것’등을 유념해야 한다.

ㄴ.문화어를 선정하여 북한의 언어를 민족 특성이 살아 있는 언어로 발전 시켜야 한다.

ㄷ.말다듬기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실천 사항을 통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① 말다듬기의 재료를 신문 같은 곳에 실어 대중의 평가를 받도록 하여 야 한다.

② 서둘지 말고 오랫동안에 걸쳐 하나하나 차분히 해나가야 한다.

③ 교육시간,언론 매체를 통해 자연스럽게 진행시킨다.

④ 옛날 책 번역에 힘쓰되 한자어는 안 쓰도록 해야 한다.

⑤ 한자어는 가급적 쓰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학생들에게 필요한 한자 는 가르쳐야 한다.

ㄹ.글자개혁 준비는 서서히 진행하여야 한다.한편,띄어쓰기도 좀 더 잘 고치도록 하고 ‘조선말규범집’은 우선 시행하는 것이 좋다.

위의 담화문 교시에서 제시한 문화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선정 이 유까지 밝혔다(남기심・김하수 1989:89).

(((666)))ㄱ.우리는 우리 혁명의 참모부가 있고 정치,경제,문화,군사의 모 든 방 면에 걸치는 우리 혁명의 전반적 전략과 전술이 세워지는 혁명의 수도이며 요람지인 평양을 중심으로 하고 평양말을 기준으 로 하여 언어의 민족적 특성을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여야 겠습니다.그런데 <표준어>란 말을 다른 말로 바꾸어야 하겠습니 다.<표준어>라고 하면 마치 서울말을 표준으로 하는 것으로 그릇 되게 리해될 수 있으므로 그대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31)

ㄴ.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있는 우리가 혁명의 수도인 평양말을 기준으 로 하여 발전시킨 우리말을 표준어라고 하는 것보다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좋습니다.<문화어>라는 말도 그리 좋은 것은 못되지 만 그래도 그렇게 고쳐 쓰는 것이 낫습니다.

(6)의 에서는,김일성은 혁명의 수도인 평양말을 표준어로 삼되,(6)의 에서는,명칭은 서울말 표준어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문화어’로 바꿀 것 을 제시한 것이다.담화문을 통해 남한 표준어와의 차별화를 선언한 것이지 만 김일성의 ‘문화어’에 대한 제안은 북한의 언어 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 를 갖게 되었다.

이 외에도 김일성 담화문은 북한의 언어 정책에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중요 한 영향을 미쳤다.

첫째,언어는 의식적으로 발전될 수도 있다고 봄으로써 ‘정책 접근법’의 언 어 정 책 유형을 채택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언어가 노동의 산물로서 사회생활에 반영되기 때문에 시대와 사회가 발전 하면 어휘가 풍부해진다고 봄으로써 어휘 풍부화를 통해 사회 의 발전을 입증하려는 어휘 만들기 사업을 펼치는 근거를 마련하 였다.

셋째,인민 대중만이 언어에 대한 참다운 주인이 될 수 있어서 자본주의 사회보 다 우월하다고 봄으로써 어휘 정리 사업을 펼치는 근거로 삼았다.

따라서 북한은 담화문에 담겨진 김일성의 주체적 언어 사상과 주체적 언어 이론에 의해 언어 사상과 언어 이론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그리고 이것은 언어 정책에도 반영되었다.

주체적 언어 사상은 한마디로 민족어의 주체성을 세우자는 사상을 말한다.

(32)

주체적 언어 이론은 언어(민족어)가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이기 때문에, 민족어 안에 들어와 있는 사대주의적 요소를 배격하여 언어의 자주성을 살리 며 나아가 인민대중의 창조적 지혜를 발휘하여 민족어를 혁명 발전의 새로운 요구에 알맞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이론을 말한다.

소련은 언어를 인간 교제의 수단으로 보았지만,북한은 김일성의 주체적 언어 사상을 강조하기 위해 언어를 힘 있는 무기로 보았다.따라서 민족어가 힘 있는 무기이기 때문에 언어생활에서 부르주아적 요소와 복고주의적 낡은 요소가 스며드는 것을 반대하고 투쟁하며 노동자,농민이 늘 사용하는 말을 기본으로 발전시키며 혁명적으로 세련시켜야 한다고 했다(김영국 2001:36).

이처럼 북한은 언어 도구관에 입각하여 주체적 언어 사상과 주체적 언어 이론을 정립하고 이의 추진을 위한 언어 정책을 시행하였는데,언어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수령의 위대한 주체성을 철저히 구현해야 한다.

둘째,조선말을 더욱 혁명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로서 기여해야 한다.

2 2

2. . . 1 1 1. . . 2 2 2. . .김 김 김정 정 정일 일 일의 의 의 언 언 언어 어 어관 관 관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김정일의 언어관이 북한 언어 정책에 영향을 끼 치기 시작하였는데,1990년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언어 정책의 방향을 결정 하게 되었다.김정일의 언어관은 본질적으로는 김일성의 언어관과 같지만 언 어의 사회적 기능을 훨씬 중시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일성은 언어가 가지는 사회적 본질을 ‘민족,과학기술,문화어’와의 관계 속에서 인식했는데,김정일은 언어는 그러한 기능 외에 ‘민족 해방,계급 해 방,인민 대중의 사회 정치적 자주성을 실현하기 위한 무기’의 기능과 함께

(33)

‘사회 개조,자연 개조,인간 개조에 관한 투쟁을 실천하는 필수적인 수단이자 무기’의 기능도 가진다고 하였다.

문화어의 세 가지 특성에 대해서는,문화어는 인민 대중의 지향과 요구에 맞게 발전시켜온 언어이므로 ‘혁명적’이고,인민 대중의 이익에 부합되는 언어 이므로 ‘인민적’이며,가장 문화적인 계층인 노동자,농민들이 사용하는 언어 이므로 ‘문화적’이라고 말했다.

김정일의 언어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민족어인 문화어의 주체적 발전에 관한 것이다.김정일은 문화어 건설과 특징에 대해 김일성보다 훨씬 구체적인 내용까지 나아갔다.“문화어를 건설하려면 언어생활에 침투한 한자 어와 일본말의 찌꺼기를 청산하고,영어,일본어,한자어에 오염되어 있는 남 한의 언어를 극복해야 한다.민족어 발전도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을 중심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김정일은 문화어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제시했다.

( (

(777)))ㄱ.문화어는 전투적이고 아름답고 새 시대에 알맞은 말이며,전투성과 호소성이 높아서 사람들을 혁명 투쟁과 건설 사업으로 적극 불러일 으키는 힘있는 무기이다.또한 대중의 사상 감정과 정서를 가장 섬세 하고 풍부하게,정확하고 생동감 있게 나타낼 수 있는 좋은 말이다.

노동자 농민들이 이를 사용함으로써 민족어를 발전시키고 세련시킬 수 있는 담보가 되며 인민 대중의 자주성을 실현하고 옹호하기 위한 투쟁에 적극 복무할 수 있는 말이다.

ㄴ.문화어는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교양과 공산주의적 도덕 교양에 이 바지하는 말이다.

북한 언어 정책과 언어 교육은 198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김일성의 언어 이론에 의해,그 이후로는 김정일의 언어 이론에 의해 변화를 가져왔다.즉 두 사람의 언어 이론인 ‘언어 도구관’과 ‘주체적 언어 이론’에 의해 그 방향과

(34)

내용이 결정되어 왔다.

결국,북한 정치 사회 체제에 적합한 언어 정책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시행 하게 되었는데,언어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적 유형인 ‘정책 접근법(policy approach)'을 채택했다.정책 접근법은 국어의 표준화,정서법 등 많은 언어 문제들을 국가에서 주관하거나 의도적으로 변경을 꾀하는 정책이기 때문이 다.대부분의 국가들이 처음에는 ‘정책 접근법’에서 출발하지만 나중에는 ‘문 화 접근법’으로 이동해간다.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정책 접근법’에 머물러 있 다.

2 2 2. . . 2 2 2. . .북 북 북한 한 한의 의 의 국 국 국어 어 어 교 교 교육 육 육 정 정 정책 책 책

북한의 국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려면 먼저 교육 목적부터 알아보기로 한 다.교육 정책은 교육 목적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 목적이란 교육 이념과 교육 목표의 조화 속에 인간다운 사람을 형성 하는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개체의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교육 목적은 교육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 과 교육 평가의 기준을 제공한다.또한 교육 활동을 국가가 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동기 유발의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교육 목적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학생,사회,철학,학습 심리,전문가 등의 하위 변인이 있다.이 중에서 어떠한 변인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목적이 달라진다(이대기 1993). 북한의 교육은 교육 목적을 구성하는 여 러 가지 변인 중에서 ‘사회적 요구’를 강조하기 때문에 사회주의식 교육을 지 향하게 된다.‘민주주의 교육 원리인 가치 중립,개인의 존엄성과 개성 존중,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남한과는 다르다(김영국 2001:51).

북한은 교육 목적을 사회 발전과 혁명,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사업에 기여 하는 데 두고 있다.즉 당과 수령에 대해 끝없이 충성하며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투쟁할 수 있는 혁명 인재 양성에 두었다.

(35)

북한의 교육 정책은 마찬가지로 교육 목적의 틀 안에서 실시해 왔는데 남 북 분단 이후 어문정책 변화와 관련된 사건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나누면 다 음과 같다(최용기 2003:181).

( (

(888)))ㄱ.제1기:1945년 ~ 1959년 ㄴ.제2기:김일성 교시 ~ 1969년 ㄷ.제3기: 문화어 보급 ~ 1979년 ㄹ.제4기:1980년 이후 ~ 현재

제1기에서는 인민학교 교육과정 편제와 국어 과목 배당 지시,수업 연한, 학제 개편 등이 이루어졌다.그리고 김일성의 모국어 교육 강화 방침에 따라 우리말을 더욱 주체성 있게 지켜내기 위해 한자 사용 폐지를 단행하였다.이 시기의 중등 교육은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로 구분되는데 국어 과목은 전 자에서는 ‘국문’이 후자에서는 ‘문학’이 이수 과목으로 부과되었다.

제2기에서는 두 차례 발표된 김일성의 담화문 발표가 있었다.‘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와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이었는데,전자의 담화문 교시에서는 ‘문자 개혁,한자 문제,언어 발전 문제’등을 언급하였다23).그리고 후자에서는 평양 중심의 문화어로 표준어 정책을 바꾸고,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쳐 우리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 시기의 국어 교육 정책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특히 어휘 정책과 관련하여 다듬은 말을 빨리 보급하기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에서부터 시작하였고, 교과서의 용어도 몇 해에 한번씩 고쳐나가도록 하였다.그리고 독서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띄어쓰기 규정을 손질하였다.

제3기에는 문화어 보급이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지역과 계층에 관계없이 23)언어 발전에 대해서는,언어가 사회 모든 분야의 발전과 사회주의 건설에서 힘 있는 무기가 되 기 위해서는 조선어의 부족한 점들을 고쳐 발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그래서 교시에서 제시한 대로 어문학 연구소에서 우리말 정리와 새말 만들기 사업을 총괄하게 되었고,학교 교육에서 조 선 교육을 강화하고 모든 기관에서 국어 학습의 제도화,조선말 사전의 개정,교과서에 나온 말 과 글을 정리하게 되었다.

(36)

모든 사람이 문화어를 사용하도록 강력한 정책을 시행한 것이다.특히 1970 년대 초에는 학생들이 당의 유일사상 체계로 무장할 수 있도록 국어과 교육 의 내용을 개선하였다.따라서 하나의 어휘,문장,문법 규범을 가르치거나 예문의 경우에도 김일성의 혁명 사상과 영도의 혁명성,김일성에게 충성을 다하였던 항일 혁명 투사들의 산 모범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국어 교육 목적의 근거가 되는 김일성의 두 가지 교시가 발표되었 다.근거가 되는 두 가지 교시24)는 (9)와 같은데 교육의 목적과 학교 교육의 목적에 관한 것이다(최현섭 1993:170).

( (

(999)))ㄱ.교육의 목적에 관한 교시:사회주의 사회에서 교육의 목적은 ‘하나 는 전체를 위하여,전체는 하나를 위하여’라는 공산주의적 원칙을 실 현하기 위하여 투쟁하는 혁명가들,다시 말하면 착취와 압박을 반대하 고 사회와 인민을 위하여,로동계급을 위하여 투쟁하는 공산주의자들 을 키워 내는 데 있습니다(<사회과학의 임무에 대하여>,502쪽).

ㄴ.학교 교육의 목적에 관한 교시:우리의 학교 교육의 목적은 공산주 의 사상으로 무장되고 새 사회 건설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가진 공 산주의 건설자를 키워 내는 데 있습니다.공산주의 사상과 결부되지 않은 지식은 우리에게 쓸모가 없습니다(《김일성 저작 선집》제3권 55쪽).

제4기에는 언어생활의 개조를 통한 혁명적 언어생활의 기풍 확립 및 어휘 정리 사업의 가속화가 적극 추진되었다.이 시기에 1983년과 1986년에 걸쳐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국어과에 배당한 시수가 인민학교는 31.6%,고등중학 교는 11.6%로 앞 시기에 비해 하향 조정되었다.그러나 1992년에는 인민학교 24)다음과 같은 북한 인민학교(남한의 초등학교에 해당)국어교육 목적도 이러한 두 가지 교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민학교 국어교육의 목적은 국어 교재들을 통하여 학생들을 당의 유일사상,경애하는 수령 김 일성 원수님의 위대한 혁명 사상으로 튼튼히 무장시키고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인 우리말과 글의 지식 기능을 확고히 다져 줌으로써 우리의 후대들을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 원수님께 무한 히 충직한 열렬한 조선의 혁명가로 준비시키는 데 있다.”

(37)

의 경우 국어과 배당 시수가 29.9%로 다시 축소되었다.이것은 김정일 시대 를 준비하기 위하여 김정일에 대한 교과인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원수님의 어린 시절》25)을 신설하고《공산주의 도덕》과목을 부활시켰기 때문으로 생 각된다(김영국 2001:28).

한 나라의 어휘 교육은 그 나라의 국어과 교육 정책이 반영되고,국어과 교육 정책은 그 나라의 ‘교육 목적’이 반영되기 마련인데 북한의 교육 목적은 다음과 같이 헌법 39조에 나타나 있다.

( (

(111000)))국가는 사회주의 교육의 원리를 구현하여 후대들을 사회와 인민을 위 하 여 투쟁하는 혁명가로 지・덕・체를 갖춘 공산주의적 새 인간으 로 키운다 (헌법 제39조).

북한의 교육 목적은 (10)처럼 헌법 제39조에 나타나 있는데,사회와 인민 을 위하여 투쟁하는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남한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민주국가 발전과 인류공영 이상 실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교육기본법 제2조)”는 남한 의 교육 목적과 는 많은 차이가 있다.이상으로 북한의 어문정책 변화와 관 련하여 국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았다.북한은 교육 목적은 물론 국어 교육에 서도 통치 이데올로기가 그대로 반영되는데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에서도 마 찬가지이다.

2 2 2. . . 3 3 3. . .고 고 고등 등 등중 중 중학 학 학교 교 교 국 국 국어 어 어 교 교 교육 육 육

북한 고등중학교의 국어 교육에 대해서는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 목적,국 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업,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등과 그 외 에 어휘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26)

25)이전에는 지도자를 배우는 과목으로는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 대원수님의 혁명력사>만 있었다.

(38)

2 2

2. . . 3 3 3. . . 1 1 1. . .국 국 국어 어 어 교 교 교육 육 육 목 목 목적 적 적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 목적은 다음과 같은 김일성의 교시 ‘사회주의 교육 목적’을 근거로 설정하게 되었다.

( (

(111111)))사회주의 교육의 목적은 사람들을 자주성과 창조성을 가진 공산주의 적 혁명 인재로 키우는 것이다.사회주의 교육은 사람들을 사회와 인민 을 위하여,사회주의,공산주의를 위하여 몸 바쳐 투쟁하는 공산주의적 혁명인재로 키움으로써 사회주의 제도를 위하여 복무하며 로동계급의 혁명 위업에 이바지하여야 한다(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 1984:3).

위의 교시에 따르면 사회주의 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상위 목적과 하 위 목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주의 교육 목적

상위 목적 하위 목적

공산주의적 혁명인재 양성 1.사회주의 제도에 복무함.

2.로동계급의 혁명 위업에 이바지함.

<표 1> 사회주의 교육 목적

위에서,상위 목적이 좀더 추상적이라고 한다면 하위 목적은 보다 구체적 인 내용이라고 하겠다.북한은 이러한 교육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 은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 목적이 설정되었다(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 1984:

3).

26) 북한의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에 대해서는 참고 자료가 부족하여 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에서 출판한 고등중학교(1~3학년)용《교수요강》(1984)에 기대기로 한다.

(39)

( (

(111222)))고등중학교 국어 교육의 목적은 우리말과 글을 통하여 학생들을 경애 하는 수령 김일성 동지의 위대한 혁명사상,주체사상으로 튼튼히 무장시 키고 그들에게 우리말과 글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기능을 갖추어 주고 혁명적 정서와 사고력을 키워줌으로써 그들을 자주성과 창조성을 가진 공산주의적 혁명인재,위대한 수령 김일성 원수님과 친애하는 지도자 김 정일 선생님께 끝없이 충직한 혁명전사로 키우는 데 있다.

위에서처럼 고등중학교 국어 교육 목적은 두 가지인데,사회주의 교육의 상위 목적인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 양성’외에 ‘김일성과 김정일의 충직한 혁 명전사 양성’을 더한 것이다.(12)의 국어 교육 목적을 상위 목적과 하위 목 적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국어 교육 목적

상위 목적 하위 목적

1.공산주의적 혁명인재 양성

2.김일성・김정일의 충직한 혁명전사 양성

1.김일성의 혁명사상과 주체사상으로 무장시킴 2.혁명적 정서와 사고력을 키움

<표 2> 국어 교육 목적

위의 교육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조선말과 글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기 능을 갖추어 준다고 하였는데,이것은 국어 교육에 반영되었다.따라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은 김일성의 혁명 사상,주체사상,주체적 언어 문예사상과 김 정일의 언어 문예방침과 관련된 것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남한의 경우,교육과정에서 국어 교육 ‘목적’은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목표’를 제시하였다.제7차 교육과정에서는,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인 초 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국어 학습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지 향점으로서의 국어과의 교육 목표를 일원화하여 (13)처럼 ‘전문’과 ‘하위 목 표’로 제시하였다(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1999:15).

( (

(111333)))언어활동과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언어활동의

(40)

맥락과 목적과 대상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어를 정확하 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며,국어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국어의 발전 과 민족의 언어 문화에 창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ㄱ.언어 활동과 언어와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혀,이를 다양한 국어사용 상황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ㄴ.정확하고 효과적인 국어사용의 원리와 작용 양상을 익혀,다양 한 유형의 국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사상과 정서를 창의 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ㄷ.국어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언어 현상을 계속적으로 탐구하여, 국어의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위에서처럼,국어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지만 ‘목적’에 대한 명 시적 언급은 보이지 않는다.남한에서는 학자들에 따라 국어 교육의 ‘목적’이 나 ‘목표’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며27)‘목표’를 원용하여 ‘목적’의 의미로 사용 한다.그리고 북한의 국어 교육 목적과 남한의 국어과 교육 목표를 나란히 비교하기도 한다(최현섭 1993:172).

남북한 국어 교육 목표의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박창옥 2000:17참고).

27)이대규(1999:3)에서는 “국어교육의 중심적인 목표는 독서 능력과 작문 능력의 발달이며,학문적 지식은 그러한 능력 발달의 수단으로서 종속적인 목표가 된다.대조적으로 국어 교과 교육의 중 심적인 목표는 수사학・문학 이론・언어학의 체계적 지식을 습득하고 이 지식을 사용하여,주어진 비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며,언어 현사의 본질과 구조와 규칙을 설명하는 능력 을 발달시키는 것이다.국어 교과 교육에서도 국어교육에서 강조되는 목표가 포함도리 수 있으 나,이것은 종속적인 위치에 있다.국어교육은 사회과 교육이나 과학과 교육의 기초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어과 교육의 기초가 된다.”고 구별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 Goddard, C.(2005),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n Introduction, OUP...

② 한국어는 대명사의 사용이 제한된 언어, 대명사가가 발달하 지 않은 언어. 예) 우리 아버지는 강원도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인류학의 하위 분과로서 의 언어인류학은 ‘문화로서의 언어 연구’ 또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인류 학적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미국 인류학의 전통에서

그 리고 세계의 여러 언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또는 그렇 다고 여기는) 법칙을 언어보편성(linguistic universals)이 라고 한다. 세계의 여러 언어를 대조함으로써

이시다 사키(2012)는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연구(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 비교를 중 심으로)에서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 아이들은 어떠한 특별한 도움없이도 그들이 노출되는 언어 자극을 뛰어넘어 복잡한 문법을 습득함.. •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UG를 활용할 수 있는

사춘기 이후에 여러 형태의 언어 발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