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 20~30대 진료경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최근 5년간 우리나라 20~30대 진료경향 분석"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진료경향분석

1. 들어가며

최근 고령화 사회 진입, 저출산 문제 등으로 인해 노인 진료비, 영·유아 진료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20~30대 인구에 대한 관심은 적어지고 있다. 20~30대는 다른 연

령대에 비해 건강하여 의료비의 지출은 적은 편이지만 가정에서 나와 독립이 이루어지거나 새

로운 가정을 이루는 단계에 있어 건강에 관해 습관이 중요한 연령대로 볼 수 있다. 잘못된 생활

습관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중년 이후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예방이 필요한 단

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20~30대의 진료경향을 분석하여 취약한

질병, 의료이용 행태 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2. 분석자료 및 방법

분석 자료는 건강보험청구 심사결정 자료

(2012년 1월 ~ 2016년 12월)

를 이용하였으며, 약국을

제외한 의료기관의 연도별, 연령별 의료이용 실적과 20~30대의 다빈도 상병, 주로 이용하는 의

료기관을 살펴보았다.

20~30대 진료경향 분석

이풍훈

주임연구원 의료정보융합실 의료정보분석부

(2)

정책동향 11권 1호 2017 표 1. 분석 자료 및 분석 내용 구분 내용 기간 심사결정 기준 2012년 1월 ~ 2016년 12월 분석방법 전체 진료비 연령대별 진료비 추이(10세 구간) 다빈도 상병 20~30대 다빈도 질병(진료인원 기준) 의료 이용 20~30대 주이용 요양기관(진료인원 기준)

3. 분석결과

가. 연령대별 진료 실적 현황

2016년 기준 의료기관의 총 진료비는 50조 3,667억원으로 이 중 20대 총 진료비는 2조

7,147억원, 30대 4조 3,057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13.9%

(20대: 5.4%, 30대: 8.5%)

를 차지하였

다. 진료인원은 20대 642만명, 30대 744만명이었으며, 입·내원일수는 20대 6,133만일, 30대

9,215만일로 나타났다.

20, 30대의 1인당 진료비는 각각 42만 3천원, 57만 9천원으로 10대

(33만 2천원)

다음으로

낮았으며, 1인당 입·내원일수 또한 9.56일, 12.39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표 2. 연령대별 진료 현황 (2011년~2016년) (단위: 백만원, 천명, 천일)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총 진료비 0~9세 2,650,657 2,718,122 2,889,389 3,044,674 3,351,776 10~19세 1,581,989 1,583,961 1,687,014 1,714,871 1,773,188 20~29세 2,160,300 2,210,758 2,372,409 2,500,189 2,714,742 30~39세 3,546,284 3,699,740 3,917,947 4,018,756 4,305,673 40~49세 4,679,953 4,874,848 5,194,656 5,360,137 5,768,798 50~59세 6,740,382 7,203,316 7,693,338 8,034,756 8,815,405 60~69세 6,180,857 6,481,624 6,941,417 7,532,704 8,982,471 70~79세 6,021,150 6,710,016 7,334,180 8,044,662 9,093,542 80세 이상 2,847,881 3,391,424 3,997,394 4,671,277 5,561,100 진료 인원 0~9세 5,422 6,583 5,285 5,250 5,196 10~19세 6,096 5,893 5,782 5,544 5,338 20~29세 6,307 6,308 6,348 6,337 6,417 30~39세 7,843 7,810 7,755 7,518 7,439 40~49세 8,312 8,369 8,563 8,447 8,404 50~59세 7,492 7,760 8,073 8,157 8,263 60~69세 4,425 4,511 4,802 5,000 5,314 70~79세 2,878 3,018 3,195 3,176 3,217 80세 이상 1,007 1,097 1,226 1,307 1,415

(3)

진료경향분석 내원 일수 30~39세 95,543 94,126 94,663 91,596 92,145 40~49세 122,629 121,530 123,951 121,729 122,200 50~59세 166,295 169,982 172,999 171,527 174,356 60~69세 145,542 146,708 150,964 155,516 167,234 70~79세 135,632 144,622 150,843 152,109 154,472 80세 이상 52,488 59,164 67,117 74,436 82,862

2016년 전체 진료비의 증가율은 38.3%

(2012년 대비)

인 것에 비해 20, 30대의 증가율은 각각

25.7%, 21.4%로 낮은 편에 속했다.

20, 30대 진료비가 증가한 원인을 찾기 위해 총 진료비를 구성요소별로 나누면

(표 3)

과 같다.

표 3. 20, 30대 총 진료비 구성요소 (2012~2016년) (단위: 백만원, 천명, 일, 원)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총진료비 20대 2,160,300 2,210,758 2,372,409 2,500,189 2,714,742 30대 3,546,284 3,699,740 3,917,947 4,018,756 4,305,673 진료비 구성요소 진료인원 20대 6,307 6,308 6,348 6,337 6,417 30대 7,843 7,810 7,755 7,518 7,439 1인당 입·내원일수 20대 9.61 9.36 9.50 9.45 9.56 30대 12.18 12.05 12.21 12.18 12.39 입·내원일당 진료비 20대 35,643 37,448 39,359 41,730 44,264 30대 37,117 39,306 41,389 43,875 46,727

위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총 진료비를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식을 활용하여 각 항목의 기여도

1)

를 산출해보면 20, 30대 진료비의 증가에 가장 크

게 기여한 항목은 입·내원일당 진료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총 진료비 = 가격부문(입·내원일당 진료비) X 수량부문(진료인원 X 1인당 입·내원일수) 1) 해당 항목이 전체 변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다. 기여도 = ( X 100 ) X 전체증감률해당 항목의 증감분전체의 증감분

(4)

정책동향 11권 1호 2017 표 4. 20, 30대 총진료비 구성요소별 기여도 분석 결과 (2012 대비) (단위: 백만원, 천명, 일, 원, %) 구분 2012년 2016년 증감률 기여도 총진료비 20대 2,160,300 2,714,742 25.7% 25.7% 30대 3,546,284 4,305,673 21.4% 21.4% 진료비 구성요소 진료인원 20대 6,307 6,417 1.7% 1.9% 30대 7,843 7,439 -5.2% -5.8% 1인당 입·내원일수 20대 9.61 9.56 -0.5% -0.6% 30대 12.18 12.39 1.7% 1.8% 입·내원일당 진료비 20대 35,643 44,264 24.2% 24.3% 30대 37,117 46,727 25.9% 25.4%

나. 20~30대 연령구간 질환별 현황

20~30대 연령구간에서 진료인원이 증가한 질환을 살펴보면 2012년에 비해 진료인원이 가

장 많이 증가한 질환은 ‘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으로 2012년에 비해 120만명 이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케일링 건강보험 적용으로 인한 효과로 보이며 실제로 스케일링이 급

여화된 2013년 이후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20~30대 진료인원 증가 질환 순위 (2012년 대비) (단위: 명) 구분 2012년 2016년 증감률 (K00-K14)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 4,297,191 5,498,452 1,201,261 (A00-A09)장 감염 질환 1,090,489 1,363,798 273,309 (J20-J22)기타 급성 하기도감염 3,669,692 3,887,225 217,533 (K55-K64)장의 기타 질환 745,709 877,787 132,078 (M70-M79)기타 연조직장애 1,068,361 1,181,655 113,294 (M50-M54)기타 등병증 1,311,222 1,411,043 99,821 (S90-S99)발목 및 발의 손상 705,076 792,452 87,376 (A50-A64)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감염 176,640 252,741 76,101 (L00-L08)피부 및 피하조직의 감염 928,329 1,003,104 74,775 (H15-H22)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장애 557,009 630,503 73,494 ┆ ┆ ┆ ┆ (M70-M79)기타 연조직장애 602,705 521,111 -81,594 (H00-H06)눈꺼풀, 눈물계통 및 안와의 장애 1,362,206 1,267,562 -94,644

(5)

진료경향분석 (Z30-Z39)생식에 관련된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886,793 755,545 -131,248 (O80-O84)분만 423,630 289,010 -134,620 (K20-K31)식도, 위 및 십이지장의 질환 2,403,679 2,231,101 -172,578 (N70-N77)여성골반내기관의 염증성 질환 1,518,734 1,345,346 -173,388 (I80-I89)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맥, 림프관 및 림프절의 질환 310,733 109,784 -200,949 (J00-J06)급성 상기도감염 5,714,929 5,193,934 -520,995 그림 1. ‘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 진료인원 추이 (2011년~2016년)

다. 20~30대 요양기관 종별 현황

20~30대가 주로 방문한 요양기관은 의원으로 2016년 기준 20대 진료인원 중 43.1%, 30

대 진료인원 중 41.4%가 이용한 것을 나타났다. 의원은 다른 연령대에서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요양기관이지만 20, 3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조금 더 높은 편이며 반대로 상급종합병원, 종

합병원의 이용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5,600,000 5,200,000 4,800,000 4,400,000 4,000,000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4,333,266 4,297,191 4,710,176 5,455,937 5,405,356 5,498,452

(6)

정책동향 11권 1호 2017 표 6. 요양기관종별 진료인원 비중 (2016년) (단위: %) 구분 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80세 이상 상급종합병원 7.0% 4.2% 4.5% 4.7% 5.5% 7.0% 8.7% 9.3% 8.5% 종합병원 12.2% 9.1% 9.2% 9.8% 10.4% 11.5% 12.4% 13.1% 15.5% 병원 15.8% 9.9% 11.7% 13.5% 11.9% 12.0% 11.5% 11.3% 14.9% 의원 39.7% 49.4% 43.1% 41.4% 39.6% 35.5% 32.8% 30.6% 31.6% 치과병원 1.3% 1.3% 2.1% 1.3% 1.1% 1.1% 1.1% 0.8% 0.5% 치과의원 19.7% 19.1% 19.3% 16.3% 17.2% 17.3% 16.3% 14.6% 10.8% 조산원 0.0% 0.0% 0.0% 0.0% 0.0% 0.0% 0.0% 0.0% 0.0% 보건기관 0.5% 0.6% 0.5% 0.6% 0.9% 1.8% 3.7% 6.3% 6.9% 한방병원 0.1% 0.3% 0.6% 0.8% 0.8% 0.8% 0.7% 0.5% 0.4% 한의원 3.7% 6.1% 9.1% 11.6% 12.5% 12.9% 13.0% 13.5% 10.9%

2012년 대비하여 20, 30대 연령구간의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요양기관종별은 치과

의원으로 앞에서 언급한 스케일링의 건강보험 급여화 영향으로 추정된다.

그림 2. 20, 30대 치과 병·의원 진료인원 추이 (2011년~2016년)

다른 연령대에 비해 특이한 점은 20대의 경우 치과병원의 이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다른 연령대에서는 보통 치과병원의 진료인원이 0.5 ~ 1.3%정도이지만 20대는 2.1%로 비

중도 높고, 치과병원 진료인원이 약 27만 4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6년 기준 치과병원을 이

용한 20대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약 12만 7천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매몰치 및 매복치’ 약 8만 3천명, ‘치아우식’ 약 5만 7천명 순이었다.

치과의원 진료인원(명) 3,000,000 2,500,000 2,000,000 1,500,000 1,000,000 500,000 0 치과병원 진료인원(명)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42,531 1,936,371 207,841 160,227 2,286,909 2,085,087 218,789 178,169 2,663,649 2,418,252 246,128 204,545 2,595,762 2,435,741 268,457 211,553 2,611,022 2,516,050 274,452 212,625 치과의원 20대 치과의원 30대 치과병원 20대 치과병원 30대

(7)

진료경향분석 2 K01 매몰치 및 매복치 83,129 11,426 193,529 3 K02 치아우식 56,756 2,962 82,912 4 K04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32,770 4,159 93,526 5 K07 치아얼굴이상[부정교합포함] 25,820 3,135 60,059

4. 나가며

지금까지 최근 5년간 20, 30대의 진료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진료인원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 중 차지하는 비중이 2016년 기준, 13.9%

로 크지는 않지만 꾸준히 증가

(20대: 25.7%, 30대 21.4%)

하고 있으며, 진료비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입·내원일당 진료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년 전

(2012년)

에 비해 20, 30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질환은 ‘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으로 5년간 120만명이 증가하였다. 진료인원이 증가한 시점은 2013년 이후로 스케

일링 급여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셋째, 20~30대 진료인원은 다른 연령대보다 건강하고, 사랑니 발치 등의 연령대의 특성으

로 인해 다른 연령대보다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진료인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대형병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의 이용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20~30대의 전반적인 진료경향에 대한 기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단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과 같은 여러가지

한계점은 존재한다. 추후 데이터 융·복합 등을 통해 외부요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좀 더 세밀

한 분석을 시도한다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경향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참조

관련 문서

그림 6.28 Gavi Wijster

우리나라 제주도와 비슷한 크기의 크레타 섬은 다른 에게 해의 주변의 섬들에 비해 더 크고 남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지중해 중앙에 위치한 독립국가처럼 보인다...

즉, 일반 노인 집단은 고빈도에 비해 저빈도의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느렸으나 20대 성인 집단 은 빈도 간 반응시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저빈도에서

※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주관연구기관(주관연구책임자 포함)의 부적절한 연구비 관리 사용으로 인해 외부기관으로부터 조사, 감사, 자료요구 등의 사안이

광역자치단체별(하위 기초자치단체 포함) 최근 13개 연 도의 패널자료를 분석해 주요 국세 및 지방세 세목별 수입 의 GRDP(지역내총생산) 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일부

• 그때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영화에 대핚 새 로운 시각 등으로 프랑스 영화에 새로운 운동이 시작됨... • 핸드 헬드 카메라

 같은 문자에 대응하는 BigChar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이미 존재하 는 경우에는, 이것을 이용하고 새로운 인스턴스는 만들지 않는다..  지금까지 만들어진

초기 농도에 비해 상대인 해리 양에 대한 가정을 세운다.. 계에서 변화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