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축의 기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건축의 기원-"

Copied!
5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과학과 기술로 본 건축역사(03)

-건축의 기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한 동 수

dsharn@hanyang.ac.kr http://fahl.hanyang.ac.kr

(2)

피난처라는 건축의 출발로부터

*열악한 자연환경에서 안전을 보장 받기 위한 장소의 인식 바람-완화를 위한 수목과 언덕, 분지

강우-상부를 막기 위한 나뭇가지 밑, 동굴, 절벽의 밑 불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장소나 차단막

홍수-보다 높은 고지대, 둔덕, 나무 위

맹수-나무 위, 공간의 연속성이 차단된 고립된 공간 추위-온기를 유지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땅속, 동굴 더위-통풍이 잘 되고 햇빛이 차단된 나무그늘

습기-습기가 올라오지 못하는 지표에서 떨어진 나무 위

(3)

피난처라는 건축의 출발로부터

*열악한 자연환경에서 안전을 향한 개념의 등장 주변의 환경을 살피는 상지(相地)의 개념 대두

일몰과 일출 등을 판단하는 방위, 방향의 개념 대두

*열악한 자연환경에서 안전을 위한 건축개념의 등장 바닥에 대한 필요성-하부

지붕 혹은 천정의 필요성-상부 벽체의 필요성-측부

지지체의 필요성- 기둥

(4)

조지프 갠디(Joseph Gandy), 건축의 기원, Sir John Soane 박물관 소장, 1838년, 105.4cmX70cm

(5)

알타미라 동굴: 선사시대 인류가 야생동물 그림을 통하여 영 적이고도 주술적인 힘들을 동굴에 남겨 후세 예술적 평가까 지 이르는 동굴.

(6)

선돌(Menhir) :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물로 하나의 돌비석 같은 것이 서 있는 형상. 서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까지 다양한 곳에서 발견. 주로 1개의 돌이 세워져 있지만 가끔은 2개가 세워져 있기도 하고, 1-2M에서 크게는 6-7M까지의 돌도 있다.

(7)

고인돌/지석묘(Dolmen) :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로 황해도 은율군 관산리에 있음. 무덤칸의 길이는 3.3m, 너비는 1.4m, 높이는 무덤칸 바닥에서 2.15m.

(8)

고인돌/지석묘(Dolmen) : B.C.4200-2900년경에 만들어진 것 으로 추정되는 고인돌로 아일랜드 클레버 카운티에 있음. 높 이는 무덤칸 바닥에서 1.8m, 무덤칸의 길이는 9m.

(9)

네덜란드/포르투갈/스페인/러시아(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10)

고인돌/지석묘(Dolmen) :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넓게 고인돌 이 군집해 있는 전북 고창, 현재 1000여기의 고인돌이 집중 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11)

암사동 선사주거지 : 수 렵과 채집으로 생활하며 취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는집터. 집터는 둥 근꼴과 말각방형(抹角方 形)으로 된 길이 5∼6m, 깊이 1m 정도의 움집터 로, 가운데에는 주위에 한 줄로 돌을 두른 화덕 자리[爐址]가 있으며 저 장구덩이 시설도 갖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 우고 지붕을 덮어 움집 을 세운 것으로 추정.

(12)

이글루(Igloo) : 눈으로 만든 이뉴잇(Innuit)의 집으로 형태는 반구상(半球狀), 남쪽에 출입구를 내고, 내부는 벽을 따라 빙 설의 대(臺)를 설치, 그 위에 작은 가지로 엮은 깔개를 깔고, 몇 장의 수피(獸皮)를 깔아 침대로 사용.

(13)

촬라안구(撮羅安口) : 혁철족의 주거형식으로 촬라는 뾰족하 다는 의미이고 안구는 천막 또는 텐트를 뜻하는데 촬라자, 촬라앙고, 촬라안구라고도 부르나 모두 동일한 의미, 악륜춘 족은 사인주(斜人住)라고 부름.

(14)
(15)
(16)

악온극족 하영지 장면

(17)

악륜춘족 민가 사인주

(18)

악륜춘족 민가 사인주

(19)

악륜춘족 민가 사인주

(20)

악륜춘족 민가 사인주

(21)

악륜춘족 민가 사인주

(22)

티피(Tipi) : 수렵생활을 하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주거나 집회장으로 애용하는 키가 높은 텐트, 티피는 편안한 집이라 는 의미로 가늘고 긴 나무 기둥을 원추형으로 세우고 들고 가죽을 덮어 만드는 조립식 건축.

(23)

게르(Ger) : 유목민이 옛부터 사용해온 원형설계의 조립가옥 으로 게르는 투르크 어족의 고향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기원 했으며 실제로는 거주지의 뜻을 내포함, 버드나무, 자작나무 가지를 골조로 하여 원추형으로 조립하고 표면은 양모피 또 는 짐승가죽으로 덮은 것. 조립이 쉽고 이동에 적합함.

(24)

淮南子

古者聖人, 爲之築土構木, 以爲宮室

易, 系辭

上古穴居而野處

禮記, 禮運

昔者先王未有宮室, 冬則居營窟, 夏

則居橧巢

(25)
(26)

원시인들이 그린 기호

(27)

8000-5000B.C.

(28)

5000-3000B.C.

(29)

3000-2000B.C.

(30)

2000-1000B.C.

(31)

중국문자고찰의 필요성

•한자의 원시형태 혹은 출발형태를 통해 상고시대 건축 의 구조형식, 발전과정, 건축유형 등을 이해할 수 있음

•한자의 선형도안으로부터 건축형태와 장식이 추구하는 우의적인 의미를 고찰할 수 있음

•실물 또는 유구가 현존하지 않는 시기의 건축 상황 추정

•중국건축의 기원과 인문적인 의의를 파악할 수 있음

•한자의 형성과정은 중국문화와 중국인의 사유방식의 기 본 특징이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음

(32)

중국의 문자

•회의 :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문자를 합하여 하나의 문 자를 만들고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

예(信) : 사람과 말의 뜻을 결합한 글자로 사람의 행동과 말은 일치해 야 함을 나타내서 '믿다'의 뜻이 파생

•지사 : 무형의 추상적인 개념이나 생각을 점이나 선과 같은 기호나 부호 등을 써서 나타낸 글자

예(上) : 싹이 나오는 것을 그려 위쪽이라는 뜻을 표시

(33)

중국의 문자

•형성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나 타내는 것은 회의문자와 같으나 회의문자는 뜻에 따라 합쳐진 것임에 반하여 형성문자는 한쪽이 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뜻을 의미

예(問) : 問 = 門(같은 음) + 口(뜻)

•전주 : 만들어진 글자를 그 본래의 뜻과 연관을 가지면 서 좀더 새로운 뜻으로 전용해서 쓰는 방법이나, 유사한 문자끼리 통용해서 쓰는 방법

예(考) : 늙은이의 뜻인데 '생각하다‘, '어버이'의 뜻으로 전용

(34)

중국의 문자

•가차 : 만들어져 있는 글자 가운데 글자 본래의 의미와 는 상관없이 그 발음이나 모양만 빌어다가 다른 사상(事)을 나타내는 뜻으로 빌어 쓰는 방법

예(捨) : 舍(집 사) → 捨( 버릴 사)

•상형 :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예(水) : 물이 흐르는 모습이나, 물살의 흐름이 빠르고 균일하게 세 개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

(35)

강희자전 내용 중 건축관련 글자

•木字 부수의 글자 1413개 중 직접 건축관련글자 400개

•石字 부수의 글자 496개, 土字 부수의 글자 625개

•竹字 부수의 글자 990개, 穴字 부수의 글자 305개

•邑字 부수의 글자 365개, 瓦字 부수의 글자 174개

이 가운데 건축과 직접, 간접적으로 연관된 글자가 다수

(36)

중국의 상형문자

사물을 모방하여 사물 자체, 그와 관련된 관념을 나타낸 글자

허신이 분류한 육서[회의, 지사, 형성, 전주, 가차, 상형]

의 한 종류

설문해자에 기록된 9353자 가운데 364자가 상형문자 갑골문이나 금문에 상형문자의 형태가 많이 남아 있음

(37)

중국의 상형문자

(38)

남미 마야

중국 운남 동파(東巴) 이집트

(39)

서안 반파촌 원시인 건축평면 유적 투시도(淺穴)

유적의 상황에 의거하여 만든 건축구조 복원도(編樹木也)

유적의 상황에 의거하여 만든 건축외관 복원상상도

(40)

황하유역의 북방계열

장강유역의 남방계열

(41)

高字 (회의문자)의 분석

갑골문으로부터 상대에는 이미 토대 위의 건축이 존재, 土臺建築은 淺穴建築과 구별되는 다른 유형의 건축물

상대에 이미 지붕, 몸체, 기단의 3단구성의 제도가 형성

(42)

亭字 (상형문자)의 분석

으로도 읽으나 정이 합리적, 상부는 高자와 동일하나 하부는 간란건축의 형식

반 실외공간인 木臺建築으로 간란건축의 先型

(43)

宀字 (집면자)의 분석

집면자로 구성된 한자는 대부분 건축과 관련이 있어 서 로 다른 건축유형, 건축공간의 상태, 건축과 관련된 인간 의 어떤 행위방식 등을 표현

건축유형 : 宮, 室, 家, 寮, 寨 등 건축공간 : 寧, 宏, 宇, 寬, 宸 등 기거방식 : 宅, 安, 宋, 宿, 寢 등

(44)

宀字 (집면자)의 분석

갑골문에는 동굴과 같은 원형과 벌집 모양의 지붕에 대 한 표현이 있고 금문에는 담이 분명하게 분리된 집의 모 습이 각기 존재

(45)

宮字 (상형문자)의 분석

두 개의 방을 설계한 도면에 면자가 더해졌다는 해석도 있고 창과 문을 갖춘 집의 형상이라는 해석도 존재

(46)
(47)

이중 기단의 작은 당

봉토를 한 분묘 위의 향당

여러 실내공간이 있는 궁실

지성을 다하는 궁실건축

(48)

瓦字 (상형문자)의 분석

신석기 시대 진흙을 구워 지붕을 만들던 시기에서 진보 된 형태가 기와를 올리는 것으로 두 장의 기와가 서로 결 합되어 연결된 모습

(49)

, 戶字(상형문자)의 분석

문자의 옛모습은 문의 형상으로 집안과 밖을 구분하게 되며 호 역시 문의 형상이기는 하지만 보통 방에 있는 외 작의 문을 지칭, 따라서 문은 호가 두 개 있는 것으로 해 석하기도 함

(50)

園字 (상형문자)의 분석

수목과 물과 산이 한정된 영역 속에 담겨져 있다는 의미 로 중국고대원림의 주요한 구성요소를 모두 개괄하여 내

(51)

國字 (형성문자)의 분석

기본적으로 城池나 국가가 지배하는 영역을 한정하는 부 호에서부터 출발하여 핵심 공간, 군사적인 의미의 개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52)

郭字 (형성문자)의 분석

“築城以衛君, 造郭以守民”이라는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 외곽의 성이라는 의미로 망루가 설치된 성벽의 형

(53)

行字 (상형문자)의 분석

길이라는 의미로 십자로를 가리키는데 화폐, 도량형의 통 일과 더불어 수레의 폭을 규정하여 도로를 정비한 것은 매우 중대한 개혁의 하나

(54)

로지에(Marc-Antoine Laugier, 1713~1769년)가 [건축 에세 이, 1753] 에서 이신교 사상 을 반영해서 18세기의 새로 운 교회유형으로 제창한 원시 오두막 그림. 네 개의 기둥, 바닥, 보, 지붕만으로 이루어 진 가장 단순하고 근원적인 구조체로 ‘숭고한 원시주의’

와 ‘단순한 자연’이라는 낭만 주의 사상과도 맞닿아 있으며 인간의 욕심이 개입하기 이전 의 가장 기본적 원형을 교회 건축의 이상적 모델로 제시

(55)

건축의 기원

*내부공간의 확보를 위한 구축의 논리개발 보 길이를 확보하기 위한 건축재료의 개발

보 길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계산의 발전 공간의 확장을 위한 수직적 발전과 수평적 발전

*중력에 대한 수직적 저항능력의 전개

(56)

건축학회지, 2011년 12월호

참조

관련 문서

개인의 성장에 지장을 주는 장애를 극복하고, 인적 자원을 최적의 상태로 발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 (미국 심리학회의

소송비용 부담 제도의 개요 및 공익소송 등에 대한 감면의

• 부품 입고 출하때도 RFID 리더기로 정보

지방자치단체 농정 관련 기관에서 시행하는 정책에 대한 만족도, 농정 참여 여부 및 필요성,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 및 필요성, 가입한 농업회의소의 운영에 대 한

본 주제는 여름에 숲이나 들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곤충을 살펴보고 곤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특징에 따라 분류해보며, 사라져가는 곤충을 보호하기

 감염병 취약계층 및 지역에 대한 예방 및 관리 강화.. 배경 및 필요성

사회적 접근에 대한 재고찰..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2. 교육현상에 대한 사회적 접근에 대한 재고찰..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

여러 나라에 있는 나무의 경우는 나라마 다 부르는 이름이 다를 수가 있고 사용하 는 언어가 다를 경우는 필연적으로 다름... 학명은 속명과 종명을 붙여 부르는데 뒤에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