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상형문자

문서에서 -건축의 기원- (페이지 36-56)

사물을 모방하여 사물 자체, 그와 관련된 관념을 나타낸 글자

허신이 분류한 육서[회의, 지사, 형성, 전주, 가차, 상형]

의 한 종류

설문해자에 기록된 9353자 가운데 364자가 상형문자 갑골문이나 금문에 상형문자의 형태가 많이 남아 있음

중국의 상형문자

남미 마야

중국 운남 동파(東巴) 이집트

서안 반파촌 원시인 건축평면 유적 투시도(淺穴)

유적의 상황에 의거하여 만든 건축구조 복원도(編樹木也)

유적의 상황에 의거하여 만든 건축외관 복원상상도

황하유역의 북방계열

장강유역의 남방계열

高字 (회의문자)의 분석

갑골문으로부터 상대에는 이미 토대 위의 건축이 존재, 土臺建築은 淺穴建築과 구별되는 다른 유형의 건축물

상대에 이미 지붕, 몸체, 기단의 3단구성의 제도가 형성

亭字 (상형문자)의 분석

으로도 읽으나 정이 합리적, 상부는 高자와 동일하나 하부는 간란건축의 형식

반 실외공간인 木臺建築으로 간란건축의 先型

宀字 (집면자)의 분석

집면자로 구성된 한자는 대부분 건축과 관련이 있어 서 로 다른 건축유형, 건축공간의 상태, 건축과 관련된 인간 의 어떤 행위방식 등을 표현

건축유형 : 宮, 室, 家, 寮, 寨 등 건축공간 : 寧, 宏, 宇, 寬, 宸 등 기거방식 : 宅, 安, 宋, 宿, 寢 등

宀字 (집면자)의 분석

갑골문에는 동굴과 같은 원형과 벌집 모양의 지붕에 대 한 표현이 있고 금문에는 담이 분명하게 분리된 집의 모 습이 각기 존재

宮字 (상형문자)의 분석

두 개의 방을 설계한 도면에 면자가 더해졌다는 해석도 있고 창과 문을 갖춘 집의 형상이라는 해석도 존재

이중 기단의 작은 당

봉토를 한 분묘 위의 향당

여러 실내공간이 있는 궁실

지성을 다하는 궁실건축

瓦字 (상형문자)의 분석

신석기 시대 진흙을 구워 지붕을 만들던 시기에서 진보 된 형태가 기와를 올리는 것으로 두 장의 기와가 서로 결 합되어 연결된 모습

, 戶字(상형문자)의 분석

문자의 옛모습은 문의 형상으로 집안과 밖을 구분하게 되며 호 역시 문의 형상이기는 하지만 보통 방에 있는 외 작의 문을 지칭, 따라서 문은 호가 두 개 있는 것으로 해 석하기도 함

園字 (상형문자)의 분석

수목과 물과 산이 한정된 영역 속에 담겨져 있다는 의미 로 중국고대원림의 주요한 구성요소를 모두 개괄하여 내

國字 (형성문자)의 분석

기본적으로 城池나 국가가 지배하는 영역을 한정하는 부 호에서부터 출발하여 핵심 공간, 군사적인 의미의 개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郭字 (형성문자)의 분석

“築城以衛君, 造郭以守民”이라는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 외곽의 성이라는 의미로 망루가 설치된 성벽의 형

行字 (상형문자)의 분석

길이라는 의미로 십자로를 가리키는데 화폐, 도량형의 통 일과 더불어 수레의 폭을 규정하여 도로를 정비한 것은 매우 중대한 개혁의 하나

로지에(Marc-Antoine Laugier, 1713~1769년)가 [건축 에세 이, 1753] 에서 이신교 사상 을 반영해서 18세기의 새로 운 교회유형으로 제창한 원시 오두막 그림. 네 개의 기둥, 바닥, 보, 지붕만으로 이루어 진 가장 단순하고 근원적인 구조체로 ‘숭고한 원시주의’

와 ‘단순한 자연’이라는 낭만 주의 사상과도 맞닿아 있으며 인간의 욕심이 개입하기 이전 의 가장 기본적 원형을 교회 건축의 이상적 모델로 제시

건축의 기원

*내부공간의 확보를 위한 구축의 논리개발 보 길이를 확보하기 위한 건축재료의 개발

보 길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계산의 발전 공간의 확장을 위한 수직적 발전과 수평적 발전

*중력에 대한 수직적 저항능력의 전개

문서에서 -건축의 기원- (페이지 36-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