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ethods for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 Finding Ways to Peace and Reconciliation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ethods for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 Finding Ways to Peace and Reconciliation -"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학 교 현 장 에 서 의 통 일 교 육 실 천 방 안

- 평 화 그 리 고 화 합 의 길 찾 기 -

박 찬 석

(춘천교육대학교 강사)

Ⅰ . 들 어 가 며

우리 나라는 분단 이래로 통일교육을 실시하여 왔다. 그 동안 대북 정책이나 통일 정책의 난맥과 혼란으로 통일교육은 일관된 모습으로 통일 지향 적 입장에 주력할 수 없었다. 이제 우리 통일교육 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명실 상부한 통일 지향적인 평화와 화합의 실천을 실시하여야 할 시 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통일 지향적 교육의 변수는 산적해 있 다. 우리의 경우 경제의 어려움과 북한에 대한 일 방적 지원에 대한 반감이 남북한의 신뢰구축 (confidence building m easures )나 북한에 대한 이 해에 있어서 올바른 접근을 하게 하는 데에는 문 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남북 정상과 이산 가족의 상봉 속에서도 여전히 통일교육의 실천은 현실적 인 접근이 한정되어 있고 이상적인 요소가 많이 있다. 이러한 열악한 통일 교육적 상황에서도 이 제 통일에 대한 의미가 더욱 강건하게 평화정착과 민족 화합의 양상으로 기틀을 잡아야 할 것이다.

분명히 남북 분단 문제와 북한 그리고 통일을 보는 시각을 더 이상 대북한 방어 차원이나 북한 에 대한 응징 차원으로 교육되어서는 안 된다. 90 년대 초에 우리 사회를 풍미한 북한 붕괴론의 설 정과 그에 따른 북한의 강경한 태도를 가지고 있 었다. 이러한 그 비현실적인 상황인식으로는 국민 들을 혼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일 문제에 있어 서 우리의 정책이 북한과의 공존 공영을 실질적으 로 인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되어야만 통일 지향 적 의미를 평화와 화합 속에서 갖게 되는 것이다.

평화와 화합의 길은 는 모두를 함께 살게 하는 것이 다. 따라서 평화를 진정한 의미에서 통일교육에 적용하 려면 아직도 우리가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과 생각을 실천하여야 한다.

그래서 학교 통일교육은 바뀌어야 한다. 통일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학생들에게 일상 생활 속에서 평화와 화합을 해치는 것들에 대한 생각과 논의를 통해 출발

하여야 한다. 이는 관성적으로 이루어진 그 동안의 의 견 수렴이나 의사 소통의 수업에서 변해야 한다는 것 이다. 통일교육도 일반 수업과 같이 관심을 갖는 학생 과 관심을 갖지 못하는 학생들이 섞어 존재하고 있는 혼재 속에서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통일에 관심을 가지 고 있다고 해서 더 통일로 지향한다는 수업 활동은 재 고되어야 한다. 즉 통일교육은 교실 속에서 공존을 수 업과 학생활동을 통해 모색될 수 있는 입장을 견지하 는 공간에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평화가 진정 하게 추구하는 사회에서의 인식 정도, 학력 차, 생김새 와 상관없이 하나의 생존으로 평화와 화합을 상정하는 것과 일맥 한다.

이제 통일교육의 실제에서 평화와 화합의 길을 찾는 노력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 과정은 단일 교과에서만 이루어진다는 생각과 동 시에 통합적으로 많은 교과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특히 이 교육은 겨울 방학을 전후한 시기에 통합적으로 통일교육을 한시적으로 실시하 면 그 의의는 상승될 것이다.

Ⅱ . 통 일 교 육 의 문 제 점 및 활 성 화 방 안

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통일관과 북한관에 있어 서 왜 민족 동질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의문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학교 통일교육은 이러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불 식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그 동 안 통일교육은 반공교육과 안보교육에 있어서 남 북한의 정치적, 군사적, 이념적으로 편향된 의식을 파악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는 청소년에게 통일 의 당위성을 느끼고 생각하게 하는 데 한계를 주 었다. 그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객관적이고 사실 적인 북한 이해를 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2)

또한 학생들은 남북한은 한민족이다 라는 당위에 대해 한계를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 특정 교과 에 의해 특수하게 지엽적으로 북한과 통일을 인식 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이제 통일교육은 통합적 접근을 통해 실시되는 노력이 요구된다. 통합적 접근은 단편적인 북한 이해와 통일의 내용을 구체 적으로 도덕, 일반사회・국사・지리, 미술, 음악, 체육에 망라한 사회과 그리고 국어과와 재량시간, 특별활동이나 학생회를 포함한 학교 행사 등에서 통일과 북한 이해를 반영하여 실시하는 것을 의미 한다. 그 자체가 학교 통일교육에서 민족통합의 입장을 강조하는 것이며, 단위학교에서는 양적인 면이나 질적인 면에서 새로운 통일교육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그 동안의 통일교육의 성과로 이루어진 것 이며, 일방적인 통일교육의 목표나 방법에 대한 전향적인 통일교육에 대한 방향정립을 모색한 노 력의 산물인 것이다.

그리고 학교 통일교육은 통일정책에 대한 이해 나 우리의 노력을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인 생활 속에서 남북한 서로에 대해 이해할 수 있 는 목표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그러 한 목표의 시도를 통해 남북한에 살고 있는 우리 의 동포를 이해하고, 그 이해 정도를 통해 민족 동질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 에서 통일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각급학교 에서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교실 사회는 개인적, 사회적, 구조적 모순들 과 그 해결책이 교사와 학생들의 일상적 삶에서 전개 되고 있다. 이러한 삶 속에서 통일교육은 그 내용을 확 대하는 의미에서 분단 의식을 앎으로 출발하여 사회적, 개인적 실천을 타자와의 관계에서 책임을 다하는 공동 체적 목적을 향한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표 1)학교 통일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의 학습 정도

많이 배우고

있다.

약간 배우고

있다.

그저 그렇다

. 거의 배우지 않는다.

전혀 배우지 않았다

사례수 의의도

98 5.6

406 23.3

703 40.3

300 17.2

238 13.6

1745 100%

5.9 5.3

23.1 23.5

37.7 42.9

17.7 16.7

15.6 11.7

863 882

x2=8.533 P=0.074

남자 여자

5.6 5.6

25.6 20.9

37.7 43.2

16.4 17.9

14.7 12.4

905 840

x2=9.874 P=0.043

한국교육개발원, 통일교육 실태조사,1999

또한 <표 1> 에서 볼 때,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 을 이끌어 줄 수 있는 학습의 정도가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배우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설문에 응한 학생들은 28.9%에 해당되나 거의 배 우지 않았다 고 한 경우나 전혀 배우지 않았다 고 설문한 학생들이 30.8%에 해당되는 것을 보아도 통일교육의 관심에 의미부여에 대해 상당한 문제 를 안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통일교육에 대한 관 심의 학습 정도를 그저 그렇다 라고 설문한 학생 들이 40.3%라는 것은 현행 통일교육에 대해서는 학습자인 학생들을 참여한 공동의 통일교육 접근 의 변화와 그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학생들의 문제 의식을 파악하면 학교 현 장의 통일교육은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들 의 진정한 관심으로 강화될 수 있는 활동이 요구 된다. 그 일환으로 학생들은 통합적인 통일교육을 통해 자신의 통일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업을 통해 검증받고 통일로 향하는 일상적인 실천으로 수렴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 스스로 통일교육을 실시 하는 의지가 요구된다. 교육 기관은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진 교사가 학생들에게 객관적인 북 한 이해 교육과 통일 관련 내용을 가르칠 수 있도 록 교육적 환경 조성을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만 들어야 한다. 교사들은 통일에 대한 지향성과 목 표를 가지고 스스로 미래지향적 통일 자세를 갖추 고 있을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궁극적 으로 평화롭고 이상적인 통합사회의 한국을 열어 가는 중요한 교육적 시너지를 갖기 때문이다.

통일 교육에 대한 중요한 관점은 학생들에게 보 다 근원적인 남북한이 한민족임을 보여 주는 길이 다. 이스라엘 민족이 자기 고토에 나라를 세울 수 있었던 것도 그 민족의 가정과 학교에서 민족의식 을 부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요에 의한 교 육을 통한 반공・반북 의식이나 통일 지상주의적 입장은 상당한 문제를 야기한다. 전자의 반공・반 북 의식은 학생들에게 민족의 일부를 타도대상으 로 삼는 경향을 보여 주며, 후자는 통일 지상주의 적 입장은 의식과 존재를 지나치게 협소화 하여 통일을 향한 과정적 사고의 자유로움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통일교육은 일상적인 관심과 지 속적인 비판적인 사고를 배양하는 교육으로 지속 하고, 학생들에게 통일교육이 지향하는 교육적 실

(3)

천과 반성을 가름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Ⅲ . 통 합 교 과 적 통 일 교 육 프 로 그 램 개 발 -북 한 이 해 교 육 을 중 심 으 로

학생들은 남북정상 회담과 이산 가족 상봉 등의 2000년 남북한 관계의 변화에 따라 상당한 정도의 통일 문제에 대한 사고가 배양될 수 있다.

1.프 로그

협 동 학 습 을 통 한 북 한 이 해 교 육 프 로 그 램

2.

목표 기대 효과

○ 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문제를 가정과 연계하여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

○ 통일에 대한 회의감을 희망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 일상 생활에서 평화와 갈등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 학생들이 왜 협동하여야 하는 지를 알 고, 이를 실천할 수 있게 한다 .

○ 학생들이 비관적인 통일관과 적대적인 북한관에서 벗어나 통일과 북한 인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

○ 통일 문제에 대하여 학생들의 명확한 판단이나 가치를 선택하는 데 교과서 내용 을 습득하고 그 내용을 이해시켜 주는 차 원을 강화한다 .

○ 통일 의식을 배양할 수 있는 통합적 학 습의 교수방법을 시도한다 .

3.

수업 안내

○ 6차시 분량

○ 학습 조직은 남녀 합반으로 조별 4명으 로 나누어 실시한다 .

○ 조별 학습으로 학생들의 생각이나 관심 이 고양될 수 있는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

4 . 교 교 과 내 용 재 구

도덕과 사회과 국어과

분단 현실과 통일 필요성 인식

시장의 역할 물자의 유통

작품에서 사건 이 전개되는 과 정을 파악한다 .

1 . 학 습 단 계 의 구 성

구 분 및

차시 주 요 학 습 내 용 활 동

가 . 통일관 련

단원 길잡이

본 수업 을 하는 까닭과 수업 진행 흐름 알기 모둠 편 성하기

학부모의 통일 문제에 대한 말 을 적어 오기 (과제 ) 통일관련 단원 학습 목 표 알기

사회과 : 물자 유통을 통한 남북한 교류 파악하기 도덕과 : 분단된 남북한을 통일로 가는 남북한으로 만드는 노력 이해하기

국어과 (문학 ): 남북한 분단과 통일에 대한 글 읽고 쓰고 이해하기

사 회

・ 도 덕 과

. 물 자 유 통 상 호 의 존

왜 사람 들은 물 자를 유 통시켜야 하나 ? . 시장의 기능

. 교실에서 모의 시장을 만들어 본다 . (학습지 1)

다 . 남 북 공 존 위 한 물 자 교 류

물자 교 류는 함 께 살기 위한 방법

. 서로 남는 것과 모자라는 것은 교환 하면서 더 불 어 살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

우리 나라의 물 자와 북한의 물자를 교 환한 사례 찾아 발표해 보기 . . 우리 나라와 북한은 한민족임 을 알고 함께 살 아가는 길을 배 우기

(학습지 2 )

라 . 도덕 국 어과

분 단의 현 실 파 악

하기

왜 우리 민족은 서 로에게 물 자를 함께 나누어 가지지 못할까 ?

(학습지 3 )

. 북한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나 문제점 발견하기 생활 속에서 북 한에 대한 잘못된 사례 발견하여 말하기

올바른 남북한 관계를 이해하기 . 자기 자신이나 국가를 스스로 보호하기

마 . 국어과 남 북 한 의 평 화 대 해 읽기

남북한 분단 에 대한 글을 통해 북한의 사 정 이 해하기

. 국가 안보나 자신의 보호의 유사성을 찾기 다른 아이들과 차이를 차별 적인 태도로 보는 생 각 고치기

(학습지 4 ) 바 . 마무리

남 북 한 평 화 의 미 파악

사회과의 물자 교류를 이해하면서 모둠별 조사한 남북한 의 분단 과 평화 공존에 대한 조사 발표하기

서로 존중해 주 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해결방안 발표 하기

. 더불어 살기 위한 상 호존중 , 평 화공존의 뜻 알 기 (종합평가지 1, 2 )

2 . 수 업 의 전 개 과 정 과 이 해 가 . 통 일 관 련 단 원 길 잡 이

학생들은 분단의 현실에 대한 긍정도 부정도 하지

(4)

않는 세대이다. 실질적으로 학생들은 그들에게 통일 의 당위성이나 분단의 현실을 보다 통합적인 입장에 서 수업을 전개하는 그 자체가 분단과 통일, 안보와 평화 문제를 파악하게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학생들이 사회과를 통해 물자 교류 를 하는 데 있 어서 왜 물자를 교류하고 나누어 가지는 지의 내용 을 통해 전반적으로 남북한 분단, 남북한 물자 교류 의 현황, 남북한 통일로의 길을 도덕과, 국어과와 병 행하여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학교 통일교육은 교사・학생・학부모들의 민족 통합적 입장을 통해 시도되어야 한다. 그 동안 체제 우월성에 입각한 남 북한간의 이해를 극복하는 과정 역시 전반적으로 변 화되어야 한다.

1) 본 수 업 을 하 는 까 닭 과 수 업 진 행 흐 름 알 기

6차시에 관련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당위를 설명

각 사회과, 도덕과, 국어과를 통합하는 연계 수 업을 전개한다.

2 ) 모 둠 편 성 하 기

학생의 의사를 존중하면서 3- 4명으로 모둠을 편성한다.

단 학생들의 지적 능력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교사가 중심으로 적절한 조별 편성을 유도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3 ) 학 부 모 학 생 의 통 일 문 제 에 대 한 적 어 오 기

통일에 대한 학부모들의 생각을 적어 오기 남북한 통일이 더디게 되는 이유와 남북한 통일 이 안 되는 이유를 적어오기

통일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들어오기.

4 ) 학 생 들 의 관 심 을 유 도 하 기 위 하 여 일 관 련 단 원 학 습 목 표 알 기

사회과: 물자 유통을 통한 남북한 교류 파악하

도덕과: 분단된 남북한을 통일로 가는 남북한으 로 만드는 노력 이해하기

국어과: 남북한 분단과 통일에 대한 글 읽고 쓰 고 이해하기

오늘날 학생들은 현실적이며 물질주의적 입장이

강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생들에게 민족 의식을 심 어 주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로에게 모자라는 것을 보충하는 물자 교류에서 그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 다. 그래서 학생들이 우리 사회가 북한 사회보다 낫 다는 차원을 넘어서 북한 사람들을 우리의 동포 로 보기보다는 우리의 세금을 빼앗아 가는 사람들 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일부 학생들의 잘못된 인 식들은 교정되어야 한다.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보다 보편적이며 대국적인 의미의 통일교육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나 . 물 자 유 통 의 상 호 의 존

1 ) 왜 사 람 들 은 물 자 를 유 통 시 켜 야 하 나 ? 사람들은 소질이 각각 다르다. 서로의 능력도 다르다. 이는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흔히 나타나 는 것이다.

어느 나라에는 풍부한 과일이 많고 쌀이 한 해 에도 두 세 번 씩 생산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또 다른 나라는 과일보다는 쇠고기가 흔한 곳도 있 다. 서로 풍부한 것을 나누어 가지면 상대방이 가 지지 못한 것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물건 이 풍부한 곳에서 부족한 곳으로 나누어지고 바뀌 어서 교환되는 것이 물자 유통이다.

그러면 왜 물자를 유통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자.

2 ) 시 장 의 기 능

이러한 물자 유통은 서로를 믿고 신뢰할 수 있 는 기틀이 된다. 믿지 못하는 사람들과는 계속 거 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시장은 서로 믿음이 있는 사람들간의 계속적인 모임을 보이게 한다. 그러한 노력들이 시장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물건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간의 왕래가 어느 장소를 통해 이루어질 때 그 시장의 의미는 강화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남북한은 이전에는 서로를 못 믿기 때문에 물자가 유통되지도 않는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많은 물건이 북한에서 생산 되어 옵니다. 그리고 우리의 쌀, 비료, 밀가루가 북한으로 간다.

이 속에서 물자 유통을 잘 하는 이유가 무엇인 가 생각해 보자.

3 ) 교 실 에 서 모 의 시 장 열 기

교실에서 모의시장을 열어 보자. 한쪽은 북한의 시장, 한쪽은 우리 나라의 시장을 열어 서로 의견

(5)

을 나누어 보자.

(학습지 1) 남북한의 상황과 시장에 관해 조사 해 오기

농촌에서의 생산되는 것 공장지대에서 생산되는 것

물자를 유통하는 이유는 ?

남북한의 물자 교류 남한에서 잘 만들거나

많이 생산되는 것

북한에서 잘 만들거나 많 이 생산되는 것

1.

2.

3.

4.

5.

남북한이 서로 물자를 교류한 것에 대한 조사해 보자 .

물자를 서로가 나누어 갖기 위해서 필요한 준 비들

1. 서로 믿을 수 있어야 한다 .

2. 좋은 물건을 주려고 노 력하여야 한다

3.

4.

5,

다 . 남 북 한 공 존 을 위 한 물 자 교 류

1 ) 물 자 교 류 는 함 께 살 기 위 한 방 법 물자를 교류하는 것은 서로 협동하는 것이다.

이것은 서로에게 격려하고 인정해 주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안정감을 갖게 되어 사람마다 가질 수 있는 적대감을 버리는 것이다. 학습 동기를 유발 한다. 전반적으로 통일교육은 협동학습을 통해 학 생들이 남북 동질감을 찾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갖는다. 미국의 협동학습의 배경이 다인종 국가의 인종문제에 기인되는 것을 볼 때, 통일교육으로의 협동학습의 활용은 교실에서의 공존의 가치와 능 력을 함양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통일 문제에 남북한 동포 들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기초적인 작업을 실시 하는 것이다.

2 ) 서 로 남 는 것 과 모 자 라 는 것 은 교 환 하 면 서 더 불 어 살 아 가 는 노 력 이 필 요 하 다 .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나누어 갖는 것을 미덕으 로 생각하고 살아 왔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 나 라는 비록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북 한이 어려울 때, 식량이나 비료를 준 적이 있다.

또한 북한도 우리 나라가 수해를 입은 때에 식량 이나 옷감을 준 적이 있다.

이처럼 우리 나라의 물자와 북한의 물자를 교환 하면 서로에게 이익과 희망을 줄 수 있다.

3 ) 남 북 한 물 자 교 류 사 례 찾 아 발 표 해 보 기 .

본 수업은 남북한을 서로 존재함과 동시에 잘 살게 하는 공존 교육 내지 상생 교육 의 틀로 짜 는 것이 중요하다. 통일로 가는 길을 학생들이 확 신을 갖고 있으려면 관련 수업을 통해 통일이라는 추상적인 내용에 매몰되어 있는 인상에서 벗어나 야 한다. 북한의 장마당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사 람들의 표정을 담은 비디오를 구해서 보여 주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우리 학생들은 현실적 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 들에게 풍부하게 사고하는 방향을 통해 실제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야 한다. 우리가 북한과 함께 많은 물건을 가공무역을 하게 되면 우리와 북한에게 많은 이익을 얻게 할 수 있다.

가공 무역은 원자재와 제품의 부속을 우리가 제 공하고 북한이 노동력을 제공하여 서로에게 이익 이 되는 방향을 찾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방법으 로 냉장고, 라디오, 컴퓨터 등을 만들어 내고 있다.

(6)

4 ) 우 리 나 라 와 북 한 은 한 민 족 임 을 알 고 함 께 살 아 가 는 길 을 배 우 기

우리는 한 개인으로 사회에서 공존하는 법을 배 울 수는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학생들은 교실 속 에서의 공존을 실천함으로서 분단이라는 현실을 슬기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교사는 학 생들에게 개인적 문제 인식에서 점차 사회적으로 역사적으로 문제를 넓혀 나가는 방향을 설정할 필 요가 있다. 이는 생활 속에서 자기의 문제를 파악 하고 그것을 남북 문제에 적용하게 하는 것이다.

(학습지 2) 남과 북이 필요로 하는 것 찾기

라 . 분 단 의 현 실 파 악 하 기

1 ) 왜 우 리 민 족 은 서 로 에 게 물 자 를 함 께 나 누 어 가 지 지 못 할 까 ?

북한에는 우리가 가지지 못한 풍부한 자원이 있 다. 그리고 우리는 그에 못지 않는 풍부한 공업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근 50여년 동안 남북한은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물자를 교류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2 ) 북 한 에 대 한 잘 못 된 생 각 이 나 문 제 점 발 견 하 기

학생들이 북한에 대해 생각하는 있는 느낌을 적 어 보게 한다.

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북한 주민에 대한 생각 이나 북한 당국의 생각을 나누어서 생각하게 해 봅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명한 것은 북한 정부 와 북한 주민을 이중적으로 나누어서 생각한다고 해서 북한 주민은 적극 도와주어야 하지만, 북한 당국에 대한 반감을 갖는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납 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북한 주민이나 북한 당국 이 함께 중첩되어 북한을 이해하게 된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주시시킬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북한을 지나치게 비하하거나 호전 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생각이라는 것을 상기해 준다.

3 ) 생 활 속 에 서 북 한 에 대 한 잘 못 된 사 례 발 견 하 여 말 하 기

가정 생활에서 학생들이 북한에 대해 어떻게 이 야기하고 있으며 부모님과의 대화에서는 어떠한 사례로 이야기하는 지를 발표하게 해 본다.

4 ) 올 바 른 남 북 한 관 계 를 이 해 하 기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이 필요하다.

우리 스스로 북한의 변화에 대해서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여야 하지만, 지나치게 북한의 현실을 미화 하거나 호도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북한의 호전 성이나 북한의 편향적 민족주의적 성격에 대해 지 나치게 강조점을 두는 수업을 이끌어 간다면 구체 적으로 남북한 통일을 강조하는 내용을 전개해 나 갈 수 없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내용을 학생들의 토론을 통

내용 남한 에서 필 요한 것 북한에서 필요한 것

에너지 (전력, 물 소 비 등 )

대체 에너지 개발 이 필요하 다 .

식량

쌀 이 외의 다른 작 물은 외국에 서 수 입 하여야 한다 .

경공업 제품

상 당한 양의 제품이 생 산되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 다 .

중공업 제품

남북한에서 공통적 으로 유 명한 지 역분포 찾아 오 기 제품 이나 명소 남한 의 지명 북한의 지명

인삼

사과

유명한 해수욕장

(7)

해 스스로 통일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게 하는 것 이 중요하다. 따라서 각 모둠의 대표들이 자신의 조 의견을 발표할 수 있는 평가지를 구성하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5 ) 평 가 지 작 성 요 령

4명으로 이루어진 학생 모둠에서 모두 참여하게 하여 그들의 의견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는 사람들의 의 견 발표하기- - - 1명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 사람들의 의 견 발표하기- - - 1명

북한에 대해 별로 생각해보지 못한 사람들의 의 견 발표하기- - - 1명

자료 정리자 및 발표- - - 1명

(평가지 1) 학년 반 조 이름: 조원:

마 . 국 어 과 남 북 한 의 평 화 에 대 해 읽 기

1 ) 남 북 한 분 단 에 대 한 글 을 통 해 북 한 의 사 정 이 해 하 기

남북한의 전래 동화를 찾아오게 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분단에 대한 생각을 적게 한다.

학생들 스스로 남북한 분단에 대한 시나 노래 작품을 찾아오게 하여 읽어 준다.

작품을 제시하고 느낌을 발표하게 한다.

협동학습을 전개하여 각 조에서 생각하고 있는 올바른 활동들을 찾게 한다.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글의 예

난 통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나쁜 점도 많겠지만 난 좋은 점이 더 많을 것 같다. 우선 교육제도가 좋아 질 것 같다. 북한과 우리 나라의 국방비 가 반으로 줄게 되니까 여러모로 나라의 사정이 좋아질 것 같다. 그리고 북한에 는 지하자원도 많고 자연 환경도 좋다.

하지만 이와 반면에 북한은 지금 매우 나쁜 상황이다. 식량이 모자란다. 통일이 되면 북한과 남한은 이제까지 매우 다른 환경에서 살아 왔기 때문에 생활 방식도 다를 것이다. 하지만 민족 분단의 아픔 을 생각한다면 또는 이산 가족의 고통을 생각한다면 이런 것 쯤은 강한 의지로써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글의 예

통일은 안되었으면 한다. 북한 ○들!

절대 곱게 통일 안 한다. 통일하자 하면 엄청난 무엇 을 요구하던지 땅을 달라 하던지 한다. 그러나 그전에 전쟁 난다.

북한 ○들 먹을 거 없어지면 못 먹는 밥에 재뿌리자 하고 전쟁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면 핵폭탄 날리고, 유엔군 오 기 전에 다 죽는다. 통일이 안 되었으면 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 안된다.

이러한 극단적인 의견에서 발표를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즉 전쟁이나 공포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 로 물자 교류도 할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을 극복 하였음에도 학생들은 후자의 생각을 가질 수 있 다. 그러한 생각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 자료 : 6.25, 북한의 생활 및 문화, 이산 가족, 실향민, 편지글(이산가족 편지쓰기 등에서

북한 사 람에

대한 생각 내용

~~ 해서 북 사람 들을 싫어 한다 .

~~ 해서 북 사람 들을 좋아 한다 .

~~해서 사람 들에 게 관심이 없 다 .

저희 조는 협 동학습을 해 북한 사람 들을 ~ ~보 게 되 었다 .

(8)

발췌), 분단의 과정 및 관련 이야기, 북한 전래 동 화집 등과 해당 질문지

○ 수업 방법 :

- 적절한 이야기를 골라 재구성하여 OHP나 프 리젠테이션의 자료로 제시하거나 학생 수 만큼 복 사하여 나누어 준다.

- 이야기와 함께 질문지를 인쇄하여 두었다가 이야기를 읽을 때쯤 질문지를 나눠주고 질문에 답하게 한다

- 서로 같거나 다른 의견을 발표하여 각자의 의 견을 점검하고 나누게 한다.

2 ) 국 가 안 보 나 자 신 의 보 호 의 유 사 성 을 찾 기

교사들은 북한 때문에 국방비가 많이 들어가고 북한 때문에 군대에 가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군대는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집단이다. 북 한 때문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학생들 의 생각에서 적극적인 국가 안보는 기대하기 어렵 다. 따라서 자기 자신을 지키는 것에서 통일을 생 각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학생들은 통일이 되면 이라는 문제 에 대해 분단의 이해, 통일의 과정, 통일 이후의 사회에 있어서 분단의 이해의 내용보다는 통일의 과정 이후부터 상정하여 통일 문제를 파악한다.

그들은 이 점에서 전쟁을 경험한 세대, 반공교육 을 받았던 세대보다도 통일문제에 있어서도 일상 적으로 자신이 겪는 어려움보다도 쉽게 생각하거 나 무관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의 학습은 학생들이 그 들 스스로 통일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갖도록 하는 기초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처음에는 학 생들에게 일상적으로 들어 왔던 통일 문제를 민족 문제로 확대하여 인식하게 하여야 한다. 이는 전 반적으로 북한주민에 대한 이해나 객관적으로 남 북한의 분단을 보려는 그들의 의식을 강화한 내용 을 갖고 있다. 이에 통일 교육의 교수학습에서는 분단의 이해, 통일의 과정, 통이 이후의 사회에 대 한 적절한 능동적 학습활동을 고무할 수 있는 내 용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북한에 살고 있는 우리의 동포에 대한 이해이며, 그 이해 정도 를 통해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통일의식을 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통일교육의 내용은 학생들이 북한

에 대해 안정감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 야 한다. 통일 교육은 북한에 대한 위협과 공포를 줄이는 작업인 동시 공존을 인정하면서 북한에 대 한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통일 공포감을 갖지 않도 록 하는 것이다.

3 ) 다 른 아 이 들 과 차 이 를 차 별 적 인 태 도 로 보 는 생 각 고 치 기

통일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수업 준비 는 중요하다. 그러한 준비 속에서 새로운 교사의 시각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국가안보와 평화의 문제이다. 교실에 서 학생들은 이것은 교사들의 기본적인 시각의 변 화가 필요하다. 특히 국가안보에 대한 그릇된 사 고를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국가 안보는 자기 자 신이 주변의 집단 따돌림을 극복하는 것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즉, 어떠한 경우라도 자기 자신을 지 켜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가는 스스로 지켜 나가야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입장에서 교실 속에서의 자기 보호와 학생과의 공존과 화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크게는 국제 질서 속에서의 국가 안보와 상당한 유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4 ) 학 습 지 4

차이를 차별로 느끼는 감정을 협동 학습을 통해 발표하도록 하자.

내용 느낌을 만화로 그려 봅시다 . . 몸이 건강한 학생

들에 대한 느낌 . 몸이 건강하지 못 학생들에 대한 느낌

. 공부를 잘하는 학 생들에 대한 느낌 . 공부를 못하는 아 이들에 대한 느낌 . 선생님께 칭찬받 아이들에 대한 느낌

. 선생님께 꾸중받 아이들에 대한 느낌

차이를 차별로 만든 경우를 적어 봅시 다 .

(9)

마 . 마 무 리

남 북 한 평 화 의 의 미 파 악

전반적으로 6차시에 해당되는 수업을 소화하였 는지를 파악하면서 통일로 가는 마음을 학생들이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1 ) 물 자 교 류 를 이 해 하 면 서 모 둠 별 조 사 한 남 북 한 의 분 단 과 평 화 공 존 에 대 한 조 사 발 표 하 기

이전의 학습지나 평가지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발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2 ) 서 로 존 중 해 주 는 사 회 를 만 들 기 위 해 해 결 방 안 발 표 하 기

물자를 교류하려면 중요한 것은 서로 간의 믿음 이다.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민족이 분열되었지만 북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이나 우리가 느끼는 감 정이 같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협동학습은 이질적인 능력과 배경을 지닌 학생들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상호 협 력을 통해 공동의 과제를 해결해가도록 돕는 공동 체 지향의 수업모형이다.

이는 기존의 학습에서 보여 주었던 학습과정에 서 경쟁적이며 타 학생의 실수나 결점을 통해 자 신의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경향을 벗어나는 것이 다. 남북한과 통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많은 시간 아주 사소한 것이지만 공감을 얻는 데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북한에 대해 통일에 대해 학생들이 협동 학습을 하여 학생 스스로 같은 조원끼리 의견을 나누지 않으면 안되며, 친구의 생각을 알아보게 하는 수업 전략이다. 이러한 통합적 측면에서의 통일교육은 학생 스스로 자기 보호와 안보 그리고 평화의 실천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을 가지게 한다.

3 ) 더 불 어 살 기 위 한 상 호 존 중 , 평 화 공 존 의 뜻 알 기

통일교육은 통일의 학습 목표에 맞추어 학급 구 성원들이 수업을 펼친 결과 최소한 통일은 반대 해서는 안 된다 , 북한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아야 한다 는 생각에 도달하는 데 있다. 막연하게 북한 에 대한 무시나 무관심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 자 신의 우월감을 갖지 않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을 북한과 연결시키는 데에는 여러 제 한적 조건과 능력의 미숙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자체수업을 시도하는 것이 의미 있는 수업의 성격 을 갖기에는 충분하다.

학생들은 서로 대화를 진지하게 나누는 계기가 필요 하다. 그들이 자기의 고민을 친구들과 나눈 적이 별로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화 방법에 대해 습득 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 중 상호 존중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알게 할 필요가 있다.

물자를 교류하는 시장은 5일장, 10일 장이 서던 데 에서 항상 상설 시장, 할인매장, 대규모 쇼핑몰이 있다.

이 속에서 갈등은 늘 거리에 두고 있는 듯 하다. 경쟁 하고는 있지만 서로의 이익을 위하여 거친 논쟁도 한 다. 그러나 시장을 가는 이유는 보다 영리해지기 위해 서 가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자신의 이익과 남의 이익 을 보장해 주는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생각에서 서로 물건을 교환하는 것이다.

남북한은 이제야 서로에게 이익을 찾으려는 노력을 보이고 시작하였고, 북한에 대한 우리의 호의적인 비대 칭적인 남북한 교류가 실행되고 있다. 이제 일상 생활 속에서 북한의 물건을 볼 수 있으며 우리의 물건이 북 한으로 가고 잇는 것이다.

4 ) 우 리 나 라 와 북 한 은 한 민 족 임 을 알 고 함 께 살 아 가 는 길 을 배 우 기

평화교육은 민주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 인데 내용이 그런 만큼 교육하는 방법도 창의력을 키 울 수 있고 민주적이어야 한다. 한 사람이 강의를 하 고 다른 사람은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강의를 들 은 후에 느낌 나누기나 자기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시 간도 함께 넣는 것이 좋다.

작은 공동체로 나누어 작업을 한 후에 다시 큰 공 동체로 모여 발표를 한다. 작은 공동체에서 말한 내 용을 기록하여 말로 표현하는 것 뿐 아니라 그림, 음 악, 촌극, 춤, 마임(Mime), 코메디 등 예술성이 있는 방법으로 표현하게 한다. 교육과정에서 교육을 받는 사람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되면 그만큼 보람을 느끼는 동시에 재미도 함께 느끼게 된다. 그러면서 지성, 감성, 도덕성이 함양된다..이를 가능하게 하는 작업은 평화 포스터를 이용한 학급 활동, 조원이 함께 하는 서로의 이해를 위한 방송 광고, 이질적인 사회, 교실, 남북 관계를 함께 하려는 촌극 발표, 교실 속에 서 인권 및 평화 헌장 제정, 함께 이해하는 우리 나라 와 세계를 생각하는 소집단 활동의 활성화 등으로 모 색될 수 있을 것이다.

(10)

90년대 이후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교수학습 과 정을 통해 학교 통일교육의 내용을 다양하게 전개 하려고 한다. 그러나 통일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은 학생들의 능동적인 활동을 어떻게 자극하는가가 중요한 관건이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통일 교육에 대한 입장이 상당히 회의적인 것에서 벗어 나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으로 연결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학생들은 교수학습 활동의 개선을 통해 스스로 통일문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한 활동은 현재 남북한 상황에 의한 통일정책 만을 강조하는 것으로는 이루어지 기 어렵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에게 북한에 대 한 경각심만이 안정적인 분단상태에서 평화로 파 악하는 성격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통일교육은 북한만을 변화시키거나 이해하게 하는 북한 이해 교육에서 벗어나, 우리도 함께 변하고 우리사회도 이해하는 남북한 이해교육이 실시되는 호혜 평등 의 입장을 심화할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3 . 종 합 평 가 지 활 용

(종 합 평 가 지 1 ) 다 음 을 읽 고 답 하 시 오 .

국경을 맞대고 있는 두 나라가 있었다. 두 나 라는 서로를 나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원 래는 한 나라였기 때문이다. 늘 잡아먹지 못해 으르렁거렸다. 보다못해 다른 나라 사람들이 두 나라 사이에 보이지 않는 선을 그어주고 그 위 에 붉은 벽돌집을 지어주었다. 집안에는 긴 탁 자가 있었고 탁자 가운데로 보이지 않는 선이 지나고 있었다. 두 나라 대표들은 그 선을 밟지 않으려고 조심하면서 탁자 양편에 앉아 이따금 회담을 가졌다.

선 넘어오지 마.

넘어오면 죽일 거야.

너희나 잘해.

그게 수십 년 간 변함없는 회담의 주제였다.

그 집안에서는 개미 한 마리도 그 선을 넘어가 지 못했다.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선을 악착같 이 지켰다. 두 나라의 아이들은 보이지 않는 선 에 대해 배우자마자 그 선을 흉내내서 자기들끼 리 선을 만들었다. 우리 학교로 오지 마. 우리 집에 오지 마. 내 자리에 넘어 들어오지 마. 하 다못해 두 사람이 함께 쓰는 책상에까지 칼로 깊숙이 줄을 긋고 그 줄을 넘어오는 것은 무엇 이든 무자비하게 공격했다. 그렇게 배우고 익힌 아이들이 장차 보이지 않는 선을 지키는 군인이 되고 회담의 대표가 될 것이었다.

보이지 않는 선에 세워진 집 바로 뒤에는 두

나라의 깃발이 펄럭였다. 깃발은 아침해가 뜨면 깃대에 게양되었고 해가 저물면 내려졌다. 그 때마다 두 나라의 장군과 병사들은 깃발을 향해 엄숙히 경례를 했다. 어쩌다 장군끼리 눈이 마 주치기도 했지만 인사 같은 건하지 않았다. 각 자의 나라를 향해 싹 돌아섰다. 그렇게 아무 일 도 없는 세월이 흘러갔다. 수십 년 동안 변함이 없었다.

어느 날 동쪽 나라의 깃대 끝에 달린 깃봉이 세월과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졌다. 동쪽 나라 병사 하나가 그 깃대를 타고 올라갔다. 그 러고 나서 무엇에 홀렸는지 딴전을 피우면서 일 을 했는지는 몰라도 그 전보다 약간 높게 새 깃 봉을 달았다. 그리하여 다음 날 아침 동쪽 나라 의 푸른 깃발이 서쪽 나라의 흰 깃발보다 높아 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를 서쪽 나라 장군이 발견하곤 즉각 참모를 불러 대책을 생각하게 했 다. 참모는 생각 끝에 한 병사를 깃대 위로 올 려보냈다. 병사는 실수인 척 멀쩡한 깃봉을 부 러뜨리고 조금 긴 새 깃봉을 달았다. 그래서 서 쪽 나라 깃발이 동쪽 나라 것보다 약간 높아지 는 사태가 발생했다.

며칠 후 다시 동쪽 나라 장군이 상대방 나라 의 깃발 높이가 달라진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참모의 정강이뼈를 발로 차면서 대책을 강구하 라고 호통을 쳤다. 참모는 제일 마른 병사 하나 를 골라 깃대 위로 올라가게 했다. 그 병사는 원래의 깃봉을 떼어낸 다음 기다란 쇠꼬챙이를 연결해 그 위에 깃봉을 달았다. 그로부터 하루 도 지나지 않아 그보다 조금 더 마르고 날렵한 서쪽 나라의 어느 병사가 자기 나라의 깃대 위 로 올라갔다. 그러자 역시 마르고 사지가 기다 란 동쪽 나라의 한 병사가 또 자기 나라 깃대에 올라가 더 높게 깃발을 달았다.

그로부터 한 시간이 멀다 하고 병사들이 두 나라의 깃대를 오르내렸다. 깃대가 점점 높아지 면서 금방이라도 부러질 듯 휘청거렸다. 기어오 르다가 미끄러지고 떨어져 다치는 병사가 늘어 났다..

- 성석재 지음,『재미나는 인생』참조.

우리는 이 나라들이 어떻게 평화롭게 될 지 적 어 봅시다.

(11)

(종 합 평 가 지 2 )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할 통일교육 프로그램도 종합 평가에 제출하게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부 모 님 과 같 이 가 는 체 험 학 습 현장체험학습 보고서

학습일시 : 학습장소

학교 학년 번호 이름

학습에서 배우고자 한 것 :

활동 내용 (체험한 내용 요약 , 설명 )

체험 활동을 한 후 느낀 점

Ⅳ . 결 론

통일교육은 통일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며, 우리 민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북한이 한 민족 임을 자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제로 학생들은 통일교육을 통해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그리고 평화와 안보에 대해 이해하면서 통일 의지 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모 든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과 교재는 실천적 인 통일교육의 성과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통일교육은 전반적으로 학 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개발에 보다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흥미를 갖게 하면서 통일 문제나 북한 문제를 접근한다는 것은 자칫 교육의 진지성을 잃 을 수도 있다. 학생들은 일상적인 생활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는 내용에 대해 의미를 두는 세대들 이다. 그래서 통일교육 교수 학습 방법에는 학생 들이 우리 민족의 통합역사나 분단역사에 대한 시 사점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의미와 함께 일상적인 관심을 갖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학생들

은 스스로 자신이 생각하는 통일 문제나 북한 이 해를 교정 받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향성 속에서 통일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을 습득한다. 이 과정은 심정적으로 통일을 이루 어야 한다는 것에서 발전된 것이다. 즉, 보다 현실 적인 문제로 통일을 바라보는 눈을 학생들이 갖도 록 하는 것이다. 북한에 대해 사회문화 그리고 교 육에 대해 초보적인 이해를 통해 통일 문제에 대 해 스스로의 생각을 다른 학생과 교류하면서 건전 한 통일 의식을 세워 가는 데 목적을 갖는다. 교 사는 비약되지 않는 북한에 대한 자료를 학생들과 함께 찾아보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학생들은 많은 인터넷 자료를 통해 통일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 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과 민주주의 체제의 긍정적인 면을 이해하게 한다. 민주주의는 실천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다. 학생들은 민주 주의의 이념인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권과 복지를 실천하여 더불어 삶을 나누어 가는 모습을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통일교육은 학생들이 북한 동포 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자신의 올바른 민 주적 태도로 바라 볼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의 학급에서의 평화, 가족 그리고 사회의 평화를 생각하면서 궁극적으로는 한반도의 평화와 인류의 평화로 확산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계기를 통일교육을 통해 배우게 된다.

셋째, 분단의 원인과 과정을 알아보고, 통일이 갖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한다. 한반도의 분쟁은 국제적인 이념의 분쟁으로 발생한 동족 상잔의 비 극이다. 이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분단에 역 시 우리 민족이 책임을 갖는 것이다. 분단 극복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생각하여야 한다. 그러려면 학생들은 분단의 역사 적 맥락에서 민족에 대한 원망이나 갈등을 갖는 일차적인 전쟁 원인 제공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 다. 그러기보다는 학생 스스로 약소민족의 고통을 극복하고 민족의 비극을 극복하는 통일로 향하는 마음을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우리 민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민족의 살 아온 과정을 알아본다. 우리 민족은 1300여 년간 의 통일 국가로 발전하여 왔었다. 그 지나난 역사 가 남북한에 산재되어 있다. 학생들은 우리 역사 의 문화재가 있는 서울과 경주 그리고 부여와 같 은 지역에 있듯이, 북한의 평양과 개성과 많은 문

(12)

화 유산들이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구체적으로 남북에 흩어져 있는 통합 민족으로의 역사적인 문화를 배워야 한다. 그래서 학생들은 자칫 잘못 생각하기 쉬운 분단의 영구성에 대해 스스로 고쳐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에서 한민족으로의 민족 통일이 이산 가족이 사라지는 시점에서 새로운 통 일의 원동력으로 그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학교 통일교육의 실천을 통해 학생 들은 통일 의지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짐과 동시 에 반드시 통일을 이루려는 희망을 갖게 될 것이 다.

분단은 이제 역사적으로 한민족의 공간을 축소 하는 것이다. 분단 구조의 변화를 위해서는 새롭 게 민족 공동체를 정치, 경제, 군사, 사회, 문화, 모든 분야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즉, 개방적인 학생 태도는 스스로 자신을 지키고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는 통일로 향한 마음 으로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정구(1999). 「통일시대의 북한학」. 서울: 당대.

권장희(2000). 대북포용정책의 효과와 역동성 , 한 국국민윤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국민의 정 부출범 이후 남북한 관계의 변화와 통일교육의 방향모색」.

김동규(1999). 「북한학 총론」. 서울:교육과학사.

교육부(1997). 「도덕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 15호(별책 6). 서울:교육부.

민화협정책연구회(1999). 「민족화해와 남남대 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박찬석(1998). 「한국의 통일교육 변천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박찬석(2000). 분단고통, 통일필요성 못 느끼는 통일의 주역들 , 자유총연맹 편, 「자유공론」4 월호

박찬석 외(2000).「통일교육론」. 서울:백의.

백영철(2000), 21세기의 남북관계: 평화・협력・통 합 ,한국정치학회 편 「21세기남북관계론」. 서 울:법문사.

서대숙(2000).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 정일」. 서울: 을유출판사.

이종석(1998). 「분단시대의 통일학」. 서울: 한울

아카데미.

정세구 외(1999). 「통일교육 교수기법」. 통일교 육원.

최완규(2000).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반성과 제 언 한국정치학회 편, 「남북한관계론」. 법문사.

한만길 외(1999). 「통일교육 실태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함택영(1998). 「국가안보의 정치경제학」. 서울:

법문사.

Hw ang Byon g - Moo & H an Yon g - Sup (1996),

K orean s ecurity p olicies toward p eace and un if ication,

Seoul :T he Korean A ssociation of Int ern ational Studies .

Kihl Young Whan (1994), K orea and the world , Oxford: w estview press .

Miller , Lynn H .(1994), Global

Order, Oxford:

W estview Pr ess .

(13)

A B S T R A CT

M e t h o d s f o r Im pro v in g U n if ic at io n E du c at io n in S c h o o l

- F in din g W ay s t o P e ac e an d R e c on c ili ation -

P ark Ch an seok

(Chuncheon N ation al Univ er sity of Education )

It ' s peace an d reconciliation t hat allow all us t o liv e t ogether w ith . In order t o apply peace t o unification education , w e hav e t o know bett er about North Korea , and t o est ablish t he right view of unification . Pract icin g the est ablished ideas on unification is m ore import ant .

T herefore m aj or changes are needed in unification education . W e should st art w ith m aking student s free them selv es from anti- peaceful thought s .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pplied t o their daily liv es . T he ideal unification education class is t o creat e an atm osphere m ore conduciv e t o communicatin g w it h each other freely or collect ing self- evident opinions . In t he curr ent unification education class , w e t each t o v arious student s in the sam e classroom w hose range of int erest in unification

Keyw ords : Unification educat ion , P eace, Reconciliation , "doing t oget her " class activities , Educational obj ectives of en suring hum an e life, Underst anding t he prolon ged division

is much t oo w ide. S o w e hav e t o emphasize m ore "doing t ogether " class act ivities than

"doing respectiv ely ". W e hav e t o t ake a st ance t o search for peaceful co- ex ist ence in the clas sroom t hrough unification educat ion class .

T here are individual, social, or structur al conflict s in the classroom w here t eachers and student s spend tim e t ogether . T he education society is changing against the ideal one. It has t oo m any problem s t o m ake it difficult t o implem ent peace in class . T o impr ov e the situation bett er ,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t o seek right w ay s t o realize educational obj ectiv es of ensurin g hum ane life.

Underst anding the pr olonged division is t he first st ep follow ed by carrying out respon sibility through in dividual and social liv es in action .

참조

관련 문서

It analyzes the 'Unification Attitude Survey 2010' survey dataset culled by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IP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현대 과학기술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은 우리의 생활 모습을 몰라보게 바꾸어 놓았고, 학생들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 제품을 능숙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컴퓨팅 사고력을 바탕으로 하여 음악의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활 속에서 음악을 표현하는 심미적 감성역량을 신장시킬

뿐만 아니라 모둠활동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팝업북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서 타인에 대한 배 려뿐만 아니라 모둠 안에서의 개인적 책무성을 인지하며 협동심을 기를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외계인을 통하여 생활 도구의 기능을 익히고 생활 속에서 도구들의 쓰임을 이해할 수 있다... 눈이 햇님

On the basis of the detailed professional studies on the topic of reconciliation for all times and places, I will vision the unified Korea in peace with

만약 왼쪽창에 MICROBIT가 나타나지 않으면, USB케이블로 MICROBIT를 연결하면 된다... LED표시창에 smartfarm이라는

미국에서 설날에 대해 정식으로 배울 기회가 많지 않아 설날이 중국 명절로 잘못 인식되기도 하는 현 상황 속에서 이번 행사를 통해 시애틀 통합 한국학교 학생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