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

Copied!
1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논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에 교육에 교육에 있어서 교육에 있어서 있어서 있어서 미적 미적 미적

미적 체험 체험 체험 체험, , , , 표현 표현 표현, 표현 , , 감상 , 감상 영역의 감상 감상 영역의 영역의 연계 영역의 연계 연계 연계 수업모형 수업모형 수업모형 연구 수업모형 연구 연구 연구

- - -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미술 미술 교과목을 미술 미술 교과목을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과목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중심으로- - - -

A Study on the Sequence of 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Design Education

Through Class Model

- Focusing on Art Class in High School -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 공예교육 공예교육 공예교육 공예교육 전공 전공 전공 전공 김 김

김 김 선 선 선 선 희 희 희 희

2004 2004

2004 2004

(2)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에 교육에 교육에 있어서 교육에 있어서 있어서 있어서 미적 미적 미적

미적 체험 체험 체험 체험, , , , 표현 표현 표현, 표현 , , 감상 , 감상 영역의 감상 감상 영역의 영역의 연계 영역의 연계 연계 연계 수업모형 수업모형 수업모형 연구 수업모형 연구 연구 연구

- - -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미술 미술 교과목을 미술 미술 교과목을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과목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중심으로- - - -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김 김 김 관 김 관 관 배 관 배 배 배

이 이 이

이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청구논문으로 청구논문으로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제출함 제출함 제출함

2005 2005 2005

2005년 년 년 월 년 월 월 일 월 일 일 일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 공예교육 공예교육 공예교육 전공 공예교육 전공 전공 전공 김 김

김 김 선 선 선 선 희 희 희 희

2004 2004 2004

2004

(3)

김선희의 김선희의 김선희의 김선희의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청구논문을 청구논문을 인준함 청구논문을 인준함 인준함 인준함

2005 2005

2005 2005년 년 년 년 월 월 월 일 월 일 일 일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김 김 김 김 양 양 양 수 양 수 수 수 ((((인 인 인)))) 인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정 정 정 정 지 지 지 지 홍 홍 홍 홍 ((((인 인 인)))) 인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김 김 김 김 관 관 관 관 배 배 배 배 ((((인 인 인)))) 인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4)

논문개요 논문개요 논문개요 논문개요

우리는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대한 교육 에는 매우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고등학교의 미술교과는 직업 적인 전문가 양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 장차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소양이라고 보았을 때, 종래의 미술교육이 지향해온 심미교육, 창조교육, 개성교육은 일반 디자인 교육으로서 현대사회의 디자인 문화에 대한 생활교 육으로 바꾸어야 한다. 디자인은 인간생활에 대한 총체적 사고를 필요로 하 는 인간의 활동이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은 학생 스스로가 경험과 체험의 바탕 위에서 사물을 인지하고 자유로운 표현능력과 창조성을 발전시키는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창조성과 자유로운 사고의 발전은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을 통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교육은 학생들에게 추상적 개 념을 중점적으로 가르쳐 왔다. 즉 자신들의 경험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조차 추상성이 부각되어,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사고력이 부족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일상의 삶과 연결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근래에 들어 디자인 교육에 대해서 사회나 학생들의 인식과 지지도는 높은 편이나 구체적인 실천 안이 없다. 또한 현장 체험이나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 을 발견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을 적용한 학습모형이 부 족하여 교사들 나름대로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 서 현실적인 교육자료 및 매체 개발과 함께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통 해 비평적 안목을 키우는 교육이 수반 되어야 한다. 더군다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 또한 표현위주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이해와 감상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미적 체험, 표현, 감상 등 세 영역이 대등하게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관되는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5)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분야에 대 한 분석과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 가능한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이 연계된 수 업 모형들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방법 및 범위를 설명하고, 제 2장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디자인 교육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내용과 디자인 분야의 영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제4장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디자인 수업의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디자인 분야 수 업에 있어서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을 연계한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분야의 수업이 작품 제작 위주에서 벗어나 경험 과 체험을 통해 느끼고 생각한 것을 표현으로 연결시킨 후 감상 및 평가의 안목을 키우는 수업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 교육은 생활과 연관 되어야 하며 영역간의 연계성을 가질 때 교육적 효과가 더욱 높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논문개요 논문개요 논문개요 논문개요 표

표 표

표 목차 목차 목차 목차 그림 그림 그림 그림 목차 목차 목차 목차

ⅠⅠ

Ⅰ. . . . 서론서론서론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3. 연구의 체계도 ··· 4

Ⅱ ⅡⅡ Ⅱ. . . 일반계 .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등학교의 고등학교의 미술과 고등학교의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과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과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교육교육교육··· 5

1. 일반계 고등학교의 미술과 교육과정 ··· 5

1-1.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중점 내용 ··· 6

1-2.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영역별 내용 및 특징 ··· 12

2. 디자인 교육의 개념 ··· 17

2-1. 미술 교육과 디자인 교육 ··· 17

2-2. 교육과정과 디자인 교육 ··· 21

Ⅲ ⅢⅢ Ⅲ. . . 일반계 .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미술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미술 미술 교과서 교과서 교과서 분석분석분석분석··· 24

1. 8종 교과서의 내용 및 영역의 연계성 분석 ··· 24

1-1. 영역별 내용 분포 ··· 24

1-2. 표현 영역의 분야별 내용 구성 ··· 25

1-3. 디자인 분야의 내용 구성 ··· 27

1-4. 교과서 별 분석 ··· 27

(7)

ⅣⅣ

Ⅳ. . . 디자인 .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에서의 교육에서의 교육에서의 영역 교육에서의 영역 영역 간 영역 간 연계에 간 간 연계에 연계에 연계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조사 조사 조사 조사 분석분석분석분석··· 44

1. 설문 조사 ··· 44

2. 분석 및 해석 ··· 45

Ⅴ ⅤⅤ Ⅴ. . . 영역 . 영역 영역 영역 간 간 간 간 연계를 연계를 연계를 연계를 통한 통한 디자인 통한 통한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수업 수업 수업 모형의 수업 모형의 모형의 모형의 제안제안제안제안··· 71

1. 디자인 교육에서 영역별 접근방법 ··· 71

1-1. 미적체험의 영역 ··· 71

1-2. 표현영역 ··· 75

1-3. 감상영역 ··· 75

2. 수업 모형 제안 ··· 76

2-1. 수업 모형 1 ··· 78

2-2. 수업 모형 2 ··· 82

2-3. 수업 모형 3 ··· 86

2-4. 수업 모형 4 ··· 90

2-5. 수업 모형 5 ··· 94

3. 수업모형에 대한 검증 평가 ··· 98

3-1. 평가 개요 ··· 98

3-2. 학생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 98

3-3. 교사의 수업 모형에 대한 평가 ··· 104

3-4. 교육적 기대 효과 ··· 109

Ⅵ ⅥⅥ Ⅵ. . . .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제언제언제언제언··· 111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14

부록 ··· 116

(8)

표 표 표 표 목차 목차 목차 목차

<표 1>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육목표 ··· 6

<표 2>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시간(단위) 배당 기준 ··· 9

<표 3>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보통 교과 ··· 10

<표 4>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목표 ··· 11

<표 5> 10학년의 영역별 내용 ··· 12

<표 6> 교과서의 영역별 내용 분포 ··· 25

<표 7> 표현 영역의 내용 구성 ··· 26

<표 8> ‘교학사’ 교과서 분석 ··· 29

<표 9> ‘교학연구사’ 교과서 분석 ··· 31

<표 10> ‘금성 출판사’ 교과서 분석 ··· 33

<표 11> ‘대한 교과서’ 교과서 분석 ··· 35

<표 12> ‘두산’ 교과서 분석 ··· 37

<표 13> ‘삶과 꿈’ 교과서 분석 ··· 38

<표 14> ‘시공사’ 교과서 분석 ··· 40

<표 15> ‘천재교육’ 교과서 분석 ··· 42

<표 16> 연중 디자인 수업시간 ··· 46

<표 17> 다른 분야와 디자인 수업의 비교 ··· 47

<표 18> 디자인 수업이 미흡한 이유 ··· 47

<표 19> 디자인 수업 시 학생들의 반응 ··· 48

<표 20> 디자인 수업의 학습자료 ··· 49

<표 21> 교과서의 분야별 만족도 ··· 49

<표 22> 교과서의 분야별 불만족도 ··· 50

<표 23> 교과서의 활용도 ··· 50

<표 24> 교과서와 수업의 연관성 ··· 50

<표 25> 교교과서와 수업의 연관성이 적은 이유 ··· 51

<표 26> 교과서의 디자인 분야 내용의 만족도 ··· 51

<표 27> 교과서의 디자인 분야 내용의 만족도 ··· 53

<표 28> 교과서의 디자인 분야의 내용이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 ··· 53

<표 29> 교과서에서 디자인 분야에 할애된 분량 ··· 54

(9)

<표 30> 교과서의 영역 구성에 대한 견해 ··· 54

<표 31> 교과서 미적 체험 영역의 만족도 ··· 55

<표 32> 교과서의 체험 영역이 만족스러운 이유 ··· 56

<표 33> 교과서의 미적 체험 영역이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 ··· 56

<표 34> 교과서 미적 체험 영역의 분량 ··· 57

<표 35> 미적 체험 영역의 필요성 ··· 57

<표 36> 미적 체험 영역의 시행 시간 ··· 59

<표 37> 미적 체험의 시간 배정 ··· 58

<표 38> 미적 체험 영역이 질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 59

<표 39> 미적 체험 영역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 ··· 60

<표 40> 미적 체험의 방법 ··· 61

<표 41> 미적 체험의 장소 ··· 61

<표 42> 표현 영역의 수업 방향 ··· 62

<표 43> 디자인 표현 영역의 수업 내용 ··· 64

<표 44> 표현 영역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 ··· 63

<표 45> 표현 영역의 참고 자료 ··· 64

<표 46> 감상 수업의 내용디자인 수업의 영역 활용 ··· 65

<표 47> 디자인 수업 감상 영역의 중점 내용 ··· 56

<표 48> 디자인 수업의 영역 활용 ··· 66

<표 49> 디자인 수업에서의 영역 구성 ··· 67

<표 50> 미디자인 수업에서 영역의 연계성 ··· 67

<표 51> 연계성을 적용한 수업 ··· 68

<표 52> 디자인 교육에서 개선할 사항 ··· 69

<표 53> 미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수업내용 ··· 70

<표 54> 분야별 수업 안 설정 ··· 77

<표 55> 영역 별 지도 방법 ··· 77

<표 56> 점, 선, 면을 이용한 패턴 디자인 수업 ··· 78

<표 57> 패턴 디자인 수업의 미적 체험 영역 결과물 ··· 79

<표 58> 패턴 디자인 수업의 감상 영역 평가서 ··· 81

<표 59> 학교 축제에 사용할 포스터 디자인 수업 ··· 82

<표 60> 포스터 수업 미적 체험 영역 결과물 ··· 83

<표 61> 축제용 포스터 감상 영역 평가서 ··· 85

(10)

<표 62> 의자 디자인 수업 ··· 86

<표 63> 의자 디자인 수업의 미적 체험 영역 보고서 ··· 87

<표 64> 의자 디자인 수업의 표현 영역 작품 계획서 ··· 88

<표 65> 티셔츠 디자인 수업 ··· 90

<표 66> 티셔츠 디자인 미적 체험 영역 결과물 ··· 91

<표 67> 티셔츠 디자인 감상 영역 평가서 ··· 93

<표 68> 교내 환경 리-디자인 ··· 94

<표 69> 교내 환경 리-디자인 수업의 미적 체험 영역 결과물 ··· 95

<표 70> 교내 환경 리-디자인 수업의 감상 영역 평가서 ··· 97

<표 71> 학생들의 디자인 수업의 흥미도 ··· 99

<표 72> 미적 체험의 필요성 ··· 99

<표 73> 미적 체험과 표현의 연관성 ··· 100

<표 74> 표현의 완성 단계 ··· 100

<표 75> 학생 자신의 작품 평가의 필요성 ··· 101

<표 76> 디자인 결과물 평가 분석과 미적 안목 ··· 101

<표 77> 연계성 수업에서 수업 선호도 ··· 102

<표 78> 연계성 수업과 이전 수업의 비교 ··· 102

<표 79> 분수업의 만족도 ··· 103

<표 80> 수업의 만족도 ··· 103

<표 81> 영역별 효과 ··· 104

<표 82> 미적 체험의 수업 내용 ··· 104

<표 83> 표현 영역의 과정 ··· 105

<표 84> 표현 영역의 작품 계획서 ··· 105

<표 85> 표현 영역 결과물의 미적 수준 ··· 106

<표 86> 표현 영역 결과물의 비교 ··· 106

<표 87> 감상 과정의 비중 ··· 107

<표 88> 연계성 수업과 이전 수업의 비교 ··· 107

<표 89> 연계성 수업의 긍정성 ··· 108

<표 90> 수업의 효율성 ··· 108

<표 91> 연계성 수업과 소비자 안목 ··· 109

(11)

그림 그림 그림 그림 목차 목차 목차 목차

<그림 1> 연구 방향의 체계도 ··· 4

<그림 2> 미술과 목표 체계도 ··· 13

<그림 3> 패턴 디자인 수업의 표현 영역 결과물 ··· 80

<그림 4> 포스터 수업의 표현 영역 결과물 ··· 84

<그림 5> 의자 디자인 수업의 표현 영역 결과물 ··· 89

<그림 6> 티셔츠 디자인 표현 영역 결과물 ··· 92

<그림 7> 교내 환경 리- 디자인 결과물 ··· 96

(12)

Ⅰ. . . . 서론 서론 서론 서론

1. 1. 1.

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배경 연구의 배경 배경 및 배경 및 및 목적 및 목적 목적 목적

오늘날에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생활환경 속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사 회 전반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디자인을 통해 창의적이며 선진화 된 민주시 민으로서의 기대가 높아져가고 있다. 또한 디자인의 수준이 국가의 경쟁력으 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 나라들은 모두 그들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디자 인을 추구하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독특한 디자인 교육체계의 운영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미술 교육의 현장을 보면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일방적인 미술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기나 만들기 등 작품 제작 위 주로 진행이 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미술 수업 시간은 주 당 1시간으로 줄었고 따라서 작품 제작 시간은 턱없이 부족해 졌다. 시간에 쫒기다 보니 즐거워야 할 미술 시간이 오히려 학생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시간 이 되기도 한다. 또한 미술 교과서가 현실성이 없거나 내용이 부적합하여 수 업 시간에 제대로 활용이 되지 않는 현실에서 교사들은 수업 자료를 손수 개 발해야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으며 그러다 보니 수업 내용이 다양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디자인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분류 또한 점점 더 많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디자인 교육은 생활과 연결되어야 하고 현재의 학생들이 성 인이 되어서도 삶을 윤택하게 즐길 수 있는 생활 예술인으로 길러져야 하며 미래의 소비자로서 안목을 키우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지식 습득 위주의 교육이나 표현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미적 체험 영역과 감상 영역과의 연

(13)

계성을 가지면서 표현이 이루어짐으로써 경험과 안목을 키워 줄 필요가 있 다. 그리하여 표현이 미숙한 학생들도 모두 수업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학생시절의 디자인 교육을 통해 다양한 미적 체험과 객관적인 평가의 단계 가 이루어진다면 일반 소비자가 되어 디자인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미의식 이 상향될 수 있음을 가능하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디자인 교육이 표현 위주에서 표현 뿐 만 아니라 체험과 감상에 의해 연계성이 이루 어졌을 때 더욱 효과가 크다고 보고 앞으로 디자인 교육이 점차 이러한 방향 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미적 체험과 표현, 감 상 영역간의 연계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 분석 하고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기능위주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미래 사회에 걸 맞는 소비자의 안목을 키우기 위한 수업의 일환으로 미적 체 험에서 표현, 감상 영역이 연결된 새로운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 다.

2.

2.

2.

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방법 방법 방법 방법 및 및 및 및 범위 범위 범위 범위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 수업시간 중 디자인 분야의 수업에서 영역 간의 연계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현실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의 수업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8종 미술 교과서에서 디자인 분야의 내용 및 영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 였으며 교사들의 설문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수업의 내용을 알아보고 문제점 및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14)

면 다음과 같다.

Ⅰ장장장에서는 이 논문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범위장 를 제시하였다.

Ⅱ장장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중장 점 내용과 영역별 내용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디자인 교육의 개념을 통해 미술교육과 디자인 교육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디 자인 교육의 내용을 알아보는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장장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8종 미술교과서의 단원별 장 내용을 파악하고 디자인 분야의 내용에서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연계 성을 분석 하였으며 연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ⅣⅣ

ⅣⅣ장장장에서는 미술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실제 현장장 에서 디자인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과서의 만족도와 활용도 및 영역의 구성을 알아보았고 디자인 수업에서 영역별 시행 상황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Ⅴ장장장에서는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영역별 접근 방법과 영역간의 연장 계를 통한 디자인 수업의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수업 모형에 대한 검증을 하 였다.

Ⅵ장장장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영역간의 연계를 고려한 수업 장 의 결론 및 제언 부분으로 향후 바람직한 수업에 대한 방향 및 연구를 제시 하였다.

3. 3.

3. 3.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체계도 체계도 체계도 체계도

연구한 방향의 흐름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5)

연구 배경 및 목적

수업 모형 제안

<그림 1> 연구 방향의 체계도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징

디자인 교육의 개념

미술 교과서 분석

디자인 수업에 관한 설문조사

영역별 접근 방법 모색

검증 및 평가

결론 및 제언

(16)

Ⅱ Ⅱ....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등학교의 고등학교의 미술과 고등학교의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과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과 디자인 교육과정과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 교육 교육 교육

1.

1. 1.

1. 일반계 일반계 일반계 고등학교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등학교의 미술과 고등학교의 미술과 미술과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이 교육 과정은 교육법 제 155조 제 1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것으로, 초․중 등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이 며, 초․중등학교에서 편성,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 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1)

미술과 교육과정은 미술 교육을 통해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고 아 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을 구 성하고,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교수․학습의 결과는 바람직하게 평가하 는 것을 설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내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992년에 개정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과 교육은‘미적 교육의 정신을 반영하여 미술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시키면서 미술을 통한 인간 형성’이라는 입장이 강조되었다. 이에 감성․창조․개성 교육의 강화, 생활 속에서의 감성적 체험, 초․중등의 연계성 및 체계화, 감상지도의 강조, 전통 미술의 계승 발전, 지도 방법이나 평가의 구체화 등을 중점 사항으로 제시하여 실행하였다. 하 지만, 교육 개혁 위원회(1995년 대통령 자문 기구로 발족)에서 제시한 교육 개혁 방안에 따르면, 학습자 중심의 교육, 적성과 능력에 따른 다양한 학습,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과 운영 등의 교육 비전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이 개정됨으로써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정을 요구하게 되 었다.

제7차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1)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p.17

(17)

동시에 추구하며,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미술교과 내용은 교과의 특성과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미적체험, 표현, 감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등학교 10학년 수준에서는 자연과 조형물의 미적가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도록 하며, 다양한 문화 속에서 미술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도록 하였다. 고등 학교 2, 3학년인 11, 12학년에서는 일반 과목으로 ‘미술과 생활’이 심화선택 과목으로 ‘미술 이론’ 및 ‘미술 실기’가 포함되어 있다. 고등학교 1학년인 10 학년은 1시간으로 34주, 고등학교 2, 3학년인 11, 12학년은 선택과목이다.

1-1.

1-1. 1-1.

1-1. 제제제7제777차 차 차 교육과정의 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미술과 미술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중점 중점 중점 내용중점 내용내용내용

1) 1) 1)

1) 교육목표교육목표교육목표교육목표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 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미술교과 교육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 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 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 다.2)

<표 1>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육목표3)

고등학교의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 다.

가. 심신이 건강한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하고, 성숙한 자아의식을 가진다.

(18)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하면 미술과 교육과정은 세계화, 정보화 시대가 될 21세기에 알맞은 주도적이며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코자 하기에 목표 면에서는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 기본교육에 충실하고, 내용 면에서는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을 신장하 며, 운영 면에서는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 천하고, 제도 면에서는 지역 및 학교 교육 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확대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4)

2) 2) 2)

2) 시간 시간 시간 배당 시간 배당 배당 배당 기준기준기준기준

2002년에 개정되어 현재까지도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하면 국민공통교육 기간인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개 학년이 하나의 체제로 구성됨으로써 학교 급별 차이에 따른 연속성이나 연계성의 부 족을 극복할 수 있도록 내용의 계열성과 위계성, 통합성을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적 성과 능력에 따른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입시 위주의 현 교육체제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3)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4) 교육부2000.11 발행,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p17

5) 양용모, “디자인 교육의 전인교육 방안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16 나. 학문과 생활에 필요한 논리적, 판적, 창의적 고력과 태도를 익힌다.

다.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적성과 소질에 맞게 진로를 개척 하는 능력을 기른다.

라.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세계 속에서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가진다.

마. 국가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식 과 태도를 가진다.

(19)

제한되어있고 학교의 교사 수급에 따른 다양한 교과목의 편성이 어렵다는 점 이다. 실제로 학습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입시에 반영되는 과목이 선호되고 있으며 선택교과도 학습자의 선호도와는 관계없이 학교의 일방적인 선택에 의해 강요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2, 3학년에서 미술과 생 활을 선택하는 학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시간 배당의 경우도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의 마지막 단계인 10학년의 경우 미술 시간이 주당 1시간으로 되어있는데 미술 교과는 다른 과목과는 달리 1 시간의 수업에서는 제대로 시행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위에서 제시한 대로 미술과의 교육 목표는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하였으나 시간적인 제 약으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많다고 볼 수 있다.

(20)

<표 2>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시간(단위) 배당 기준

초 등 학 교 중 학 교 고등 학교

학 교 학 년

구 분 1111 2222 3333 4444 5555 6666 7777 8888 9999 10101010 11111111 12121212

국 어 238 204 204 204 170 136 136 136

국어

210 138

도 덕 34 34 34 34 68 68 34 34

사 회 102 102 102 102 102 102 136 170

(국사68)

수 학 120 136

수 학 136 136 136 136 136 136 102 136

바른생활 60 68

과 학 102 102 102 102 102 136 136 102

실 과 ․․․․ ․․․․ 68 68 기술․가정

슬기로운 생활 90 68

68 102 102 102

체 육 102 102 102 102 102 102 68 68

즐거운 생활 180 204

음 악 68 68 68 68 68 34 34 34

미 술 68 68 68 68 34 34 68 34

우리들은 1 학년 80 ․․․․

외국어

(영어) 34 34 68 68 102 102 136 136

재량 활동 60 68 68 68 68 68 136 136 136 204

특별 활동 30 34 34 68 68 68 68 68 68 68 8 단위

연간 수업

시간 수 830 850 986 986 1,088 1,088 1,156 1,156 1,156 1,224 144 단위

(21)

<표 3>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의 보통 교과

구 분 국민공통국민공통국민공통국민공통기본교과기본교과기본교과기본교과

선 택 택 과 과 목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선택 선택 선택 과목선택 과목과목과목 심화 선택 심화 심화 심화 선택 선택 과목선택 과목과목과목

국 어 도 덕

국어(8)

도덕(2) 국어 생활(4) 시민 윤리(4) 인간 사회와 환경(4)

화법(4), 독서(8), 작문(8), 문법(4), 문학 (8)

윤리와 사상(4), 전통 윤리(4)

한국 지리(8), 세계 지리(8), 경제 지리(6) 한국 근․현대사(8), 세계사(8), 법과 사회 (6)

정치(8), 경제(6), 사회․문화(8) 사 회 사회(10)

(국사 4)

수 학 과 학 기술 가정

수학(8) 과학(6) 기술 가정(6)

실용 수학(4) 생활과 과학(4) 정보 사회와 컴퓨터(4)

수학Ⅰ(8), 수학Ⅱ(8), 미분과 적분(4) 확률과 통계(4), 이산 수학(4)

물리Ⅰ(4), 화학Ⅰ(4), 생물Ⅰ(4), 지구과학

Ⅰ(4)

물리Ⅱ(6), 화학Ⅱ(6), 생물Ⅱ(6), 지구과학

Ⅱ(6)

농업 과학(6), 공업 기술(6), 기업 경영(6) 해양 과학(6), 가정 과학(6)

체 육 음 악 미 술

체육(4) 음악(2) 미술(2)

체육과 건강(4) 음악과 생활(4) 미술과 생활(4)

체육 이론(4), 체육 실기(4 이상)*

음악 이론(4), 음악 실기(4 이상)*

미술 이론(4), 미술 실기(4 이상)*

외국어

영어(8) 영어Ⅰ(8), 영어Ⅱ(8), 영어 회화(8) 영어 독해(8), 영어 작문(8) 독일어Ⅰ(6), 프랑스어Ⅰ(6)

스페인어Ⅰ(6), 중국어Ⅰ(6) 일본어Ⅰ(6), 러시아어Ⅰ(6) 아랍어Ⅰ(6)

독일어Ⅱ(6), 프랑스어Ⅱ(6) 스페인어Ⅱ(6), 중국어Ⅱ(6) 일본어Ⅱ(6), 러시아어Ⅱ(6) 아랍어Ⅱ(6)

한 문 교 련

교 양

한문(6) 교련(6)

철학(4), 논리학(4), 심리학(4), 교육학(4), 생활 경제(4), 종교(4), 생태와 환경(4), 진로와 직업(4), 기타(4)

한문 고전(6)

이수

단위 (56) 24 이상 112 이하

재량 활동 (12)

특별 활동 (4) 8

총 이수 단위 216

(22)

3) 3) 3)

3) 미술과 미술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목표교육과정의 목표목표목표

미술은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 언어를 통하여 창조, 발전시켜 나아 가는 예술의 한 영역이다. 또, 미술은 그 시대의 문화를 기록하고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는 미술 문화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의 창조와 발전에 공헌 할 수 있다. 미술 교과 교육은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 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 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의 목표는 고등학교 1학년까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을 마쳤을 때 궁극적으로 달성해야할 목표를 학습자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미술과의 총괄 목표는 표현 및 감 상 능력, 창의성, 정의적 태도를 강조하고 있으며 미술과의 총괄 목표에 도달 하기 위한 세부적인 목표로써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하위 목표를 설정하였 다.

<표 4> 제 7차 교육과정의 미술과 목표

미술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계발하며,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한다.

미적 체험 표현 감상

미적 대상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다.

느낌과 생각을 창의 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미술품의 가치를 판 단하고 미술문화유산 을 존중할 수 있다.

(23)

1-2.

1-2. 1-2.

1-2. 제제제7제777차 차 차 교육과정의 차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과 영역별 미술과 미술과 영역별 영역별 영역별 내용 내용 내용 및 내용 및 및 및 특징 특징 특징 특징 고등학교 1학년(10학년)의 영역별 내용은 <표 5>와 같다.

<표 5> 10학년의 영역별 내용

영역 체계 내용 학습 내용

미 적 체 험

가. 자연물 과 조형물

가치

이해

자연과 조형물의 아 름다움과 조화를 이 해할 수 있다.

①자연과 조형물에서 조형요소와 원리 를 발견하고 비교한다.

②조형 요소와 원리의 활용에 관하여 토 론한다.

나. 미술과 문화의 관 계 이해

다양한 문화의 미적 가치를 비교하여 미 술문화의 성을 이해 할 수 있다.

①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의 미적 가치를 비교한다.

②미술의 문화적 역할과 기능에 관하여 토론한다.

표 현

가. 주제 표현

주제의 특징과 목적 등을 생각하여 창 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①본 것, 느낀 것, 상상한 것, 조형적 질서 를 나타낸다.

②시각전달과 환경에 필요한 것, 생활용품을 나타낸다.

③한글, 한자로 나타낸다.

나. 표현 방법

평면과 입체의 특징 을 살려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①주제와 목적, 재료에 알맞은 표현 방법을 탐색하여 나타낸다.

②여러 가지 서체로 쓰거나 새긴다.

다. 조형요 소와 원리

조형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창의적으 로 활용할 수 있다.

①형, 색, 질감, 동세, 명암, 공간, 비례, 구 조, 균형, 변화, 통일 등을 생각하여 나타 낸다.

②자형, 문자의 크기, 배자, 자법, 도법 등을 익혀서 특성을 살려 쓰거나 새긴다.

라. 표현재 료와 용구

재료와 용구의 특성 을 이해하고 창의적 으로 활용할 수 있 다.

①표현의도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여 활용 한다.

②재료 및 표현의도에 적합한 용구를 선택하 여 활용한다.

감 상

가. 미술품 감상

서로의 작품과 미술 품의 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다.

①감상 관점을 선정하고 활용한다.

②미술품의 표현 특징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나. 미술문

유산

이해

우리나라와 다른 나 라 미술의 특성과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①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의 시대별, 양 식별 특징을 파악한다.

②미술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관하여 이해 한다.

(24)

1) 1) 1)

1) 미적 미적 미적 체험 미적 체험 체험 체험 영역영역영역영역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접근 을 시도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교육개혁의 방향이 창의성 계발과 인성함 양을 통한 학습자의 자아실현에 중심을 두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방법적 원 리로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체험학습, 상황학습, 경험중심의 학습 등 이 강조되어 왔었다. 특히 미술교과에서는 생활 속에서 미적 체험을 확대하 고 창의적 표현과 체험중심의 감상활동을 중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체험 학습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어 있는 셈이다.

자연관찰, 지역견학, 환경과 조화된 조형미, 전통미의 계승발전 등이 필요 한 학습으로 많은 경험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단원의 성격상, 과 제학습이나 발표학습 등에서 수준의 차를 엿볼 수 있다.

2) 2) 2)

2) 표현 표현 표현 영역 표현 영역 영역 영역

미술 학습은 작품을 제작하고 작품의 미적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며, 감 상을 통하여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작품의 가치를 이해하는 상호 유기적 인 학습 활동에 의해서 미적 발달을 돕는 것이다.

표현 활동은 첫째,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하는 내용적 측면인 주제를 필수 학습 요소로 구성하였다.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에는 다양한 소재들이 있으며 이들의 작품을 해석할 때에는 문화적, 역사적 설명 등의 사전 지식과 미적 안목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전 지식과 경험을 지속적으로 축적해 가는 것이 주제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길이며, 다양한 표현 활동 및 기법의 학습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제를 구성하였다.

둘째, 필수 학습 요소로 표현 방법을 선정하였다. 미술은 시각 예술이며 조 형 예술로서 구체적인 형태로 존재하며 또 평면적이거나 입체적인 것으로 존 재한다. 훌륭한 미술품은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 가장 적절한 표현 방법이 사 용되었는가의 문제와 깊이 연관된다. 미술가들은 형태를 창조하기 위해 선, 형, 색, 질감, 명암 등의 조형 요소와 원리를 이용하여 창작 활동을 하지만

(25)

학생들에게는 완벽한 조형 요소와 원리의 적용을 강조하기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적용하려는 태도를 기르는 데 조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필수 학습 요소는 표현재료와 용구에 관한 것이다. 표현에 있어서 사 용되는 용구의 기본적인 특징과 사용 방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중요 한 부분이다. 다분히 기능적인 부분으로만 이해될 소지가 있지만, 재료와 용 구의 활용에 대한 이해는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3) 3) 3)

3) 감상 감상 감상 영역 감상 영역 영역 영역

미술 작품이나 조형물 등의 감상 활동을 통해 미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고취하고 미술과 가깝게 접근하는 방법을 배워 생활화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은 물론, 정서를 풍부하게 하며 다양한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다.

감상 활동은 표현 활동의 동기 유발이며, 작품이나 문화유산을 보는 안목 을 높임으로써 역사적,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서 작품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미술이 각 시대나 민족, 지역에 따라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었으 며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고,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작품을 통 하여 당시의 사상, 종교, 문화와 미술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 양식의 특징 등을 파악하는 것은 감상에 있어 필요하다. 단순히 작품의 연대나 작가 명, 작품명 등을 파악하는 것은 바람직한 감상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감상 영역은 미술사와 미술 비평으로 구성되어 있 다. 미술 비평은 미술의 세 과정인 제작, 이해, 비평 중 지금까지 가장 소홀 히 취급되어 왔던 부분으로 보다 적극적인 감상을 하게 할 뿐만 아니라 비판 력, 사고력, 분석력, 통찰력 등을 키워주며, 시각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 는 현대인들에게는 매우 중요시되어야 할 미술 교육의 한 영역이다.

4) 4) 4)

4) 교수교수교수교수․․․․학습 학습 학습 학습 방법방법방법방법

(26)

가. 학습 지도 계획은 학생의 자율성, 창의성 등이 존중되도록 하며, 흥미, 발달 단계 및 개인차를 고려하여 수립한다.

나.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성, 행사나 계절 등을 고려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

다.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제재를 선정하고 지도 방법을 모색한다.

라.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활용한다.

마. ‘미적 체험’ 은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지도한다.

(1) 현장 학습이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미적인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2) ‘표현’ 및 ‘감상’ 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바. ‘표현’은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지도한다.

(1) 다양한 발상 지도를 통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다.

(2) 주제 표현, 표현 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 재료와 용구는 표현 활 동 속에서 통합할 수 있다.

(3) 교육과정상의 내용에서 제시된 조형 요소와 원리는 학생들의 흥미, 수 준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선정할 수 있다.

(4) 표현 재료와 용구는 선택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지도가 충분히 이루어 지도록 하며, 안전에 유의한다.

(5) 표현 활동을 계획할 때에는 환경 문제를 고려한다.

(6) ‘미적 체험’ 및 ‘감상’ 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7) 표현 활동 후에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도록 한다.

사. ‘감상’ 은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지도한다.

(1) 작품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도우미 되도록 다양한 감상 관점을 선정하 여 활용한다.

(2) 미술용어를 이해하고, 감상할 때에 이를 활용하도록 한다.

(3)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등을 한 학기에 1회 이상 관람하도록 한다.

(4)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인다.

(27)

(5) ‘ 미적 체험’ 및‘표현’ 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6) 서로의 작품과 미술품을 존중하도록 한다.

5) 5) 5) 5) 평 평 평 가평 가가가

가. 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학습태도, 과정 및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한다.

다. 관찰법, 감상문, 토론법,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

라. ‘미적 체험’, ‘감상’ 영역을 모두 평가한다.

마. 평가 계획을 세울 때에는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여 객관성을 높인다.

바. 평가 결과는 될 수 있는 대로 서술하여 제시하고, 누가 기록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한다.

사. 각 영역별 평가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1) ‘미적 체험’ : 관찰력, 이해, 적용, 발표력, 태도 등

(2) ‘표현’ : 표현력, 상상력, 관찰력, 재료 및 용구의 선택과 활용, 창의성, 심미성, 실용 성, 이해의 적용, 태도 등

(3) ‘감상’ : 지식, 이해, 적용, 분석력, 판단력, 발표력, 태도 등

일반계 고등학교의 미술 교육은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수업 시간이 줄어들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현장 학습 등 교수 학습 방법이 새롭게 개 선되고 다양화를 추구하고 수업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있지만 수업 시간은 오히려 더 줄어들어 현실적으로 교육과정을 이루기는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 다.

미국과 영국은 1994년과 1998년에 국가주도의 위원회를 두어 예술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프랑스도 자크랑 교육부 장관이 2001년에 초등학교 교육과 정의 절반을 예술교육으로 편성하였다.

또한 영국은 이미 초등학교에서부터 디자인 교육을 ‘미술과 디자인’, ‘디자 인과 테크놀러지’로 나누어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미술교과를

(28)

‘회화와 조각’, ‘디자인과 공예’의 두 가지로 나누어 비중 있는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도 중학교 과정에 따로 디자인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특히 서유럽에서 디자인 교육은 지리나 역사, 생태학 등 타 교과와 연계된 적극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6)

디자인이 국가의 경쟁력을 주도하고 있는 오늘날 우리나라는 오히려 미술 교육이 축소되고 디자인 교육 또한 미술 교육의 한 부분으로 편재 되어 창의 성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지고 이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 정책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2.

2.

2.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의 디자인 교육의 교육의 개념 교육의 개념 개념 개념

2-1.

2-1.

2-1.

2-1. 미술 미술 미술 교육과 미술 교육과 교육과 디자인 교육과 디자인 디자인 교육디자인 교육교육교육

미술 교육은 모든 사람에 의한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으로 일반적인 조형 활동을 통하여 전인적인 인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 인간이 긍정적 자아 개 념의 형성과 창조적 자기표현을 하기 위한 바탕으로서 인간과 인격형성을 위 해 개인이 잠재적 표현을 계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또한, 생활과 사 회 나아가서는 하나의 문화권의 보다 쾌적하고 안락하며 조화 있는 공간과 질서를 위해서도 미술 교육은 그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술 교육은 인간육성에 유익한 것으로 미는 감성과 이성이 합치는 개성의 표현이며 표현은 인간성의 양육으로 결국 인간교육은 예술에 의한 미술 교육 의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미술교육은 미술을 위한 교육과 미술에 의한, 미술을 통한 교육으로 나눌

6) 양용모, “디자인 교육의 전인교육 방안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16

(29)

수 있다. 미술을 위한 교육은 미의 생산자로서의 미술가나, 미의 소비자로서 의 향수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고, 미술에 의한, 미술을 통한 교육은 미의 창조과정과 미술활동, 그 자체를 인간형성의 과정으로 하여 미술을 통한 심 미적 인간을 양성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의 보통교육이 이에 속 한다.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을 통해서 미적 정서, 미적 창조성을 신장 시키고 실 생활을 아름답게 꾸미거나 영위 할 수 있는 창조적 정신 능력, 조형적 기초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7) 디자인 교육의 가치가 학생들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만드는 실제적 디자인 과정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문제의 발견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으며 디자인 교육은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행동의 과정을 통하여 체계적 사고로 이어지게 하고 나아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고 미래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1) 1) 1)

1)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의 디자인 교육의 교육의 본질교육의 본질본질본질

오늘날 디자인 교육의 내용은 과거의 단순한 미와 기술적 문제에서 최근 들어 인간, 감성, 사회, 환경, 전략의 문제 등 다양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 다. 디자인 교육의 본질은 시각적 조형언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곳에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을 함양시키며 아울러 미술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 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8) 장래의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건전한 소비자를 기르기 위한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의 내용과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보다는 디자인 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창의력과 우 연한 사고를 발전시키도록 ‘만들고 행하는’ 행위에 기반을 둔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일반교육으로의 발전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은 전문가 육성에 필요한

7) 신종욱,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효과적인 수업제안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p.12~14

8) 최성호, "예술 고등학교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석

(30)

디자인 교육과는 차별화되며, 또한 현재 초. 중등학교의 미술시간에서 부분적 으로 다뤄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은 전문교육의 축소형이거나 공예적 특성을 지닌 디자인 행위 재현이 중심이 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은 제작에만 중점을 둘 필요는 없다. 오히려 디자인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디자 인 적인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디 자인 교육은 실업계고교의 디자인 관련학과와, 대학의 디자인학과를 중심으 로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교육에만 치우쳐있고, 초. 중. 고등학교에서 이루어 지는 디자인 교육은 등한시되고 있다.

따라서 초 중 고등학교에서 국민 공통 교양 과목으로써 디자인 교육은 디 자인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을 통한 교육’을 하는 것으로써 디자인 교육의 본질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초 중 고 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현대사 회가 요구하는 시민적 자질을 위한 필수 덕목으로서 다루어져야 한다.

2) 2) 2)

2)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의 디자인 교육의 교육의 특성 교육의 특성 특성 특성

디자인 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력을 증진한다.

-문제 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판단력을 개발한다.

-문제 해결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매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활용 을 통한 창조성을 개발한다.

-문제 해결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내고, 이의 활 용 과정에서 각 방법이 지닌 잠재적 해결방안을 예측하고, 이를 다음 문 제 해결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활용력을 개발한다.

-학생 스스로 학습해 가는 주체성을 기른다.

-디자인 문제해결과정에서는 소규모 그룹에 의한 진행을 통하여 상호간에 타협하고, 설득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해가는 사회화와 협동심을 기른 다.

(31)

3) 3) 3)

3)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의 디자인 교육의 교육의 역할교육의 역할역할 역할

디자인 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조형 생활과 관련하여 그 생산과 유통, 그것을 향유하는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창의 력 함양, 감성의 순화 내지 잠재력 향상이라는 예술 교육적 성격을 넘어서서 인간을 둘러싼 모든 조형 환경의 창조적 개선 그리고 수용과정에 직접 참여 케 하는 실용적이며 적극적인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교육은 주관적이어서는 안 되며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 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감성에 치우친 나머지 무 조건 아름답거나 또는 기능성을 상실하기 보다는 누가?, 어디에?, 왜? 라는 기본적 삶의 바탕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이 전반적으로 논 리성과 객관성이 부족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더더욱 디자인 교육의 역할이 기대되는 것이다.

4) 4) 4)

4)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교육의 디자인 교육의 교육의 의의와 교육의 의의와 의의와 필요성 의의와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디자인 교육은 자신의 환경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삶 속에서 미의 요소 를 발견하는 것을 전제로 삼기 때문에 디자인 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 은 디자인 학습이 우리의 생활문제를 해결해 가는 하나의 삶의 과정이며, 문 제해결을 위한 과정이라는 점이다. 즉 디자인 교육은 인간의 물질적 생활 욕 구와 함께 미적 욕구를 만족시키며 생활에 사용하는 조형품의 바른 선택과 합리적인 사용 그리고 그것을 보다 가치 있게 개선하려는 능력과 태도를 기 르는데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에서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의 디자 인 교육 실태는 전체 미술영역을 100으로 했을 때 독일 30~40, 이탈리아 50~60, 미국 35~50, 일본 20~30이다. 이는 한국 18~21과 대충 보기에 10~30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것 같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시간 수를 따지 면 2배 이상 차이가 난다.9)

참조

관련 문서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xperience and exploration in early childhood and knowledge on the develop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xperience and exploration in early childhood and knowledge on the develop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xperience and exploration in early childhood and knowledge on the development

training department Korean volunteer Office of X for free individual.. ※The language training course is a 10-week course and a paid course. Please apply and inquire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이하선의 실질 속에서 하악경의 후내측에서 나와 하악지의 내측면을 따라 앞으로 간다. (귀밑샘 부위에서 갈라져 나와

- quadriceps tendon 이 슬개골 하연에서 tibial tuberocity에 부착.